KR102395822B1 - 흑화 처리된 전도성 잉크 기반 임베디드형 메탈메쉬를 이용하는 감압식의 터치 센서 - Google Patents

흑화 처리된 전도성 잉크 기반 임베디드형 메탈메쉬를 이용하는 감압식의 터치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5822B1
KR102395822B1 KR1020150148951A KR20150148951A KR102395822B1 KR 102395822 B1 KR102395822 B1 KR 102395822B1 KR 1020150148951 A KR1020150148951 A KR 1020150148951A KR 20150148951 A KR20150148951 A KR 20150148951A KR 102395822 B1 KR102395822 B1 KR 102395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ensor
layer
pattern
conductive ink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8062A (ko
Inventor
김혜영
김용남
한병선
연효동
Original Assignee
미래나노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나노텍(주) filed Critical 미래나노텍(주)
Priority to KR1020150148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822B1/ko
Publication of KR20170048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흑화 처리된 전도성 잉크 기반 임베디드형 메탈메쉬를 이용하는 감압식의 터치 센서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감압식의 터치 센서는 압력에 대한 복원력을 갖고, 일부에 음각 패턴이 형성된 레진층; 흑화 처리된 전도성 잉크를 상기 음각 패턴에 매립하여 형성된 전도층; 및 상기 음각 패턴 이외의 상기 레진층에 형성된 광학패턴을 포함하는 제1 센서층; 및 상기 전도층과 마주하며 이격된 제2 센서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흑화 처리된 전도성 잉크 기반 임베디드형 메탈메쉬를 이용하는 감압식의 터치 센서{RESISTIVE TOUCH SENSOR USING EMBEDDED METAL MESH BASED ON BLACKENED CONDUCTIVE INK}
본 발명은 감압식의 터치 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흑화 처리된 전도성 잉크를 기반으로 한 임베디드형 메탈메쉬를 이용하는 감압식의 터치 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은 화면과 동일한 크기의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비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상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전기적 변화로부터 접촉 지점을 감지하게 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좌표와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접촉 지점 좌표를 일치시켜 디스플레이 장치상에 터치 스크린 패널을 부착함으로써, 사용자는 화면에 나타내는 아이콘이나 문자를 접촉하는 것으로, 각종 메뉴 선택이나 조작을 위한 명령을 실행시킬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의 터치 센서는 접촉 신호를 감지하는 방식에 따라 감압식, 정전용량 방식이 대표적이다. 특히, 감압식의 터치 센서는 정전용량 방식에 비해 저렴하여 공공 장소에 설치된 정보 단말기나 매표기, 현금 자동 지급기와 같이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장비에 설치되어 있으며 보급형 휴대용 단말기에도 적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감압식의 터치 센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ITO(Indium-Tin Oxide) 감압식 터치 센서는 전기가 통하는 투명 전극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저항을 감지하는데,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 사이에 절연이 가능한 마이크로 도트 스페이서(micro dot spacer)가 필요하다.
그러나 절연체로 마이크로 도트 스페이서를 사용하는 경우 불투명하고, 조도를 형성하게 되어 투과율은 손실되며, 난반사가 발생하여 광학적 특성이 저하된다.
또한 ITO 전극의 경우 굴절율이 높아 공기와 만나는 계면에서 굴절율 차이에 의한 반사광이 발생하여 시각적 간섭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이 양면테이프 등의 접착제에 의해 테두리가 접합되게 되는데, 접합부를 제외한 도트 스페이서 영역에는 셀 갭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이 렌즈와 같은 곡률을 형성하게 되고, 필름의 렌즈화에 따른 뉴턴스 링(Newton's ring) 현상이 발생되어 외관에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임베디드형 메탈메쉬 기반의 터치 센서가 이용되는데, 기존의 임베디드형 메탈메쉬 기반의 터치 센서의 경우 개구율 감소에 따라 휘도와 시야각 등의 광학적 손실이 불가피하게 야기된다. 휘도와 시야각을 개선하는 방안으로 광학 시트를 적용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적인 슬림화가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임베디드형 메탈메쉬 기반의 터치 센서의 경우 패턴에 채워지는 전도성 물질은 마이그레이션(migration) 발생의 가능성이 있는데, 전도성 물질의 마이그레이션이 발생하게 될 경우 전극 간 쇼트 불량의 발생을 초래할 수 있다.
게다가, 기존의 임베디드형 메탈메쉬 기반의 터치 센서의 경우 제조시 전기 전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전도성 금속이 포함된 잉크 또는 페이스트가 사용된다. 즉, 1차 코팅 후 LCD 기판 위에 빛의 산란 방지 및 명암비 향상을 위하여 흑화 잉크 또는 페이스트를 상부에 2차 코딩하여 메탈 메쉬 터치 필름이 완성된다.
이때, 2차 코팅이 진행됨에 따라 공정이 늘어나고 잔여 코팅물과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작업도가 감소하고 불량률이 증가함으로 인해 가격 상승을 유도하며 생산 수율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메탈 메쉬에 이용되는 잉크 또는 페이스트의 경우 유연 특성은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어, 반복적으로 굽히게 될 경우 재료의 탈락 발생으로 인한 불량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재 위에 복원력을 갖는 UV 또는 열 경화형 레진층이 형성되어 그 형성된 UV 또는 열 경화형 레진층의 음각 패턴 내 일부 또는 전체를 흑화 처리된 전도성 잉크로 충진시키고 음각패턴 사이마다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갖는 광학 패턴이 구비된 센서 패턴을 형성하도록 하는 흑화 처리된 전도성 잉크 기반 임베디드형 메탈메쉬를 이용하는 감압식의 터치 센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감압식의 터치 센서는 압력에 대한 복원력을 갖고, 일부에 음각 패턴이 형성된 레진층; 흑화 처리된 전도성 잉크를 상기 음각 패턴에 매립하여 형성된 전도층; 및 상기 음각 패턴 이외의 상기 레진층에 형성된 광학패턴을 포함하는 제1 센서층; 및 상기 전도층과 마주하며 이격된 제2 센서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흑화 처리된 전도성 잉크는 흑색 피그먼트와 전도성 물질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흑색 피그먼트는 Ru, Ni, Cr, Co, Fe, P, Mo, W 및 Mn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조성된 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흑색 피그먼트는 Ru 산화물, Ru 화합물, Cu-Cr계 흑색 복합 산화물, Cu-Fe계 흑색 복합 산화물, Co계 산화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도성 물질은 AgNW, PEDOT, CNT, 메탈나노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광학 패턴은 확산 형상, 콘 형상, 렌즈 형상, MLA(Micro Lens Array) 형상, 프리즘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광학 패턴은 10~500㎛ 이내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흑화 처리된 전도성 잉크는 상기 레진층의 하부에 형성된 음각 패턴들 각각의 일부 또는 전체에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레진층은 3㎛ ~ 100㎛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흑화 처리된 전도성 잉크는 10nm ~ 30㎛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음각 패턴은 30㎛ ~ 3000㎛의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감압식의 터치 센서는 상기 제1 센서층의 외곽과 상기 제2 센서층의 외곽을 접합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센서층은 투명 필름, 유리 기판, 플라스틱 기판 상에 전도성 물질을 격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제조하거나, ITO(Indium-Tin Oxide), FTO(Fluorine-doped Tin Oxide), AgNW, 전도성 고분자를 형성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기재 위에 복원력을 갖는 UV 또는 열 경화형 레진층이 형성되어 그 형성된 UV 또는 열 경화형 레진층의 음각 패턴 내 일부 또는 전체를 흑화 처리된 전도성 잉크로 충진시키고 음각 패턴 사이마다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갖는 광학 패턴이 구비된 센서 패턴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도트 스페이서 생성 공정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트 스페이서를 없애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도트 스페이서에 의해 발생하는 난반사를 최소화하여 투과율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방식보다 두께가 얇고 평탄도가 우수하며 ITO 대비 굴절율이 낮은 터치 센서 제작이 가능하여 뉴턴스 링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원력을 갖는 레진층에 광학 패턴을 형성하기 때문에 기존의 메탈 메쉬의 사용에 따른 개구율 감소로 저하된 휘도 및 시야각 등의 광학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원력을 갖는 레진층에 광학 패턴을 형성하기 때문에 사용 목적에 따라 광학 시트의 제거가 가능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슬림화가 가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원력을 갖는 레진층에 광학 패턴을 형성하고, 굼힘 특성에 강한 흑화 처리된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도성 물질의 마이그레이션 발생에 따른 쇼트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흑화 처리된 전도성 잉크를 적용하기 때문에 명암비 향상을 통한 시인성 및 굽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흑화 처리된 전도성 잉크를 이용하여 임베디드형 메탈메쉬를 제조할 경우 공정 단순화를 통한 공정 수율 향상 및 원가 절감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감압식의 터치 센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압식의 터치 센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압식의 터치 센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흑화 처리된 전도성 잉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터치 센서의 스펙을 추가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상술한 터치 센서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상술한 터치 센서의 평면도다.
도 9는 광학 패턴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및 11은 터치 센서에 광학 패턴을 형성할 경우의 휘도 및 시야각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일반적인 금속 배선과 흑화 처리된 전도성 잉크로 형성된 전도층의 굽힘에 따른 저항 변화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흑화 처리된 전도성 잉크 기반 임베디드형 메탈메쉬를 이용하는 감압식의 터치 센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예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기재 위에 복원력을 갖는 UV 또는 열 경화형 레진층이 형성되어 그 형성된 UV 또는 열 경화형 레진층의 음각 패턴 내 일부 또는 전체를 흑화 처리된 전도성 잉크로 충진시키고, 음각패턴 사이마다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갖는광학 패턴이구비된 센서 패턴을 형성하도록 하는 새로운 터치 패널 구조를 제안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압식의 터치 센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감압식의 터치 센서는 압력에 대한 복원력을 갖는 레진층에 격자 형상으로 매립되어 일면이 노출된 전도층을 포함하는 제1 센서층 및 상기 전도층의 노출면과 마주하며 이격하는 제2 센서층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터치 센서는 제1 센서층에 해당하는 상부 기판(100), 레진층(200), 광학 패턴(210), 흑화 처리된 전도성 잉크로 이루어진 전도층(300)과 제2 센서층에 해당하는 하부 기판(500) 및 접착층(4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도층(300)과 하부 기판(500)은 센싱 패턴이라고도 칭하며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부 기판(100)은 투명 필름, 유리 기판, 플라스틱 기판 등 소재의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기판은 투명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투명 필름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I(Polymide), 아크릴(Acryl), PEN(Polyethylene Naphthalate), 또는 글라스(glass)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레진층(200)은 상부 기판(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격자 형상의 음각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레진층(200)은 자기 복원력을 갖는 UV 또는 열 경화형 레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자기 복원력이란 한 번 생긴 오목부(홈부) 자국이 경시적으로 소실되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는(복원되는) 성질을 의미한다. 레진층(200)의 두께는 3㎛~100㎛가 바람직하다. 즉, 이 두께가 3㎛ 미만인 경우 레진층(200)의 유연성이 부족하여 자기 복원력이나 필기 내구성이 저하되고, 100㎛ 이상인 경우 레진층(200)이 너무 두꺼워 져 터치 패널에 이용했을 때의 펜(혹은 손) 입력의 하중을 크게 할 필요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레진층 형성용 경화성 조성물 중에는 UV 또는 열 경화성의 불포화 아크릴 수지 조성물, 우레탄 변성(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불포화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폴리아미드수지 조성물, 열경화형의 실리콘계, 멜라민계 및 에폭시계의 수지 조성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음각 패턴은 센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형 또는 비정형 격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레진층(200)은 상부 기판(100)의 하부에 임프린트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광학 패턴(210)은 레진층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음각 패턴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광학 패턴(210)은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컨대, 확산(diffusion) 형상, 콘(corn) 형상, 렌즈(lens) 형상, MLA(Micro Lens Array) 형상, 프리즘(prism)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학 패턴(210)은 레진층(200)과 마찬가지로 자기 복원력을 갖는 UV 또는 열 경화형 레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전도층(300)과 하부 기판(500)의 접촉시 광학 패턴(210)이 변형될 수 있는 것을 감안한 것이다.
전도층(300)은 레진층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음각 패턴들 각각에 흑화 처리된 전도성 잉크를 충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흑화 처리된 전도성 잉크는 각 음각 패턴의 일부에 충진되거나, 도 3과 같이 전부에 충진될 수 있다. 흑화 처리된 전도성 잉크가 각 음각 패턴의 전체에 충진되지 않고 일부에 충진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접착제 두께가 감소될 수 있고, 적은 압력으로도 동작이 가능하여 감도가 향상될 뿐 아니라 터치 센서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흑화 처리된 전도성 잉크는 음각 패턴에 나이프 코팅 방법을 통해 충진될 수 있다.
도 4는 흑화 처리된 전도성 잉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도층을 형성하기 위한 흑화 처리된 전도성 잉크는 흑색 피그먼트(pigment)와 전도성 물질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잉크 자체의 흑화 처리를 위하여 흑색 피그먼트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흑색 피그먼트로는 예컨대, Ru, Ni, Cr, Co, Fe, P, Mo, W 및 Mn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조성된 산화물을 이용하되, Ru 산화물, Ru 화합물, Cu-Cr계 흑색 복합 산화물, Cu-Fe계 흑색 복합 산화물, Co계 산화물 등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흑색 피그먼트가 잉크 제조 시 1~20wt%가 첨가되는데, 이로 인해 전기 전도도가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도성 물질을 추가하게 된다.
여기서 전도성 물질로는 AgNW, PEDOT, CNT, 메탈나노스트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흑색 피그먼트에 전도성 물질을 추가하여 흑색을 띄면서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흑화 처리된 하이브리드(hybrid) 전도성 잉크를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상부 기판(100) 상에 레진층(200)을 형성하고, 그 형성된 레진층(200)의 하부면에 규칙적으로 형성된 음각 패턴들 각각에 흑화 처리된 전도성 잉크가 충진된 후 열처리 과정을 거치게 되면 복원력을 갖는 임베디드형 센서가 형성될 수 있다.
접착층(400)은 음각 패턴들이 형성된 레진층의 하부에 하부 기판을 접착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층(400)은 레진층의 하부 가장 자리 영역에 하부 기판을 접착할 수 있다.
하부 기판(500)은 다수의 음각 패턴들이 형성된 레진층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기판(500)은 센서 패턴이 형성되는 상부 기판(100)과 마찬가지로 투명 필름, 유리 기판, 플라스틱 기판 등에 메탈메쉬, ITO(Indium-Tin Oxide), FTO(Fluorine-doped Tin Oxide), AgNW, 전도성 고분자 등의 투명 전도성 소재 등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접착층(400)으로 인해 레진층(200)과 하부 기판(500) 사이에 에어 갭(air gap)이 형성될 수 있는데, 흑화 처리된 전도성 잉크(300)가 레진층에 형성된 음각 패턴의 전체에 형성되는 경우보다 일부에 형성되는 경우 에어 갭의 크기가 더 커질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터치 센서의 스펙을 추가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기판(100)은 8㎛ ~ 500㎛ 이내의 두께(L1)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레진층(200)은 3㎛ ~ 100㎛ 이내의 두께(L2)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도층(200)을 이루는 흑화 처리된 전도성 잉크는 레진층(200)에 형성된 음각 패턴의 일부 또는 전체에 충진될 수 있는데, 예컨대, 10nm ~ 30㎛ 이내의 두께(L3)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레진층(200)에 형성되는 음각 패턴은 일정한 크기를 갖는 격자 형상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음각 패턴은 70㎛ ~ 700㎛ 이내의 간격(D)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광학 패턴(210)은 10~500㎛ 이내의 두께(L4)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상술한 터치 센서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누를 때, 레진층(200)이 눌려지면서 전도층(300)이 하부 기판(500)에 접촉하게 된다. 터치 센서는 이 접촉 좌표를 검출하여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인식한다. 여기서 전도층(300)은 격자(mesh) 형태일 수 있다.
이때, 레진층(200)과 광학 패턴(210)이 복원력을 갖는 UV 또는 열 경화형 레진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손가락을 때면 레진층(200) 및 광학 패턴(210)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면서 전도층(300)이 하부 기판(500)으로부터 떨어져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상술한 터치 센서의 평면도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감압식의 터치 센서는 제1 센서 패턴이 형성된 제1 센서층(10)와 제2 센서 패턴이 형성된 제2 센서층(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센서층(10)는 복원력을 갖는 UV 또는 열 경화형 레진을 통해 형성된 격자 형상의 센서 패턴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센서층(20)도 제1 센서층(10)와 마찬가지로 전도성 물질이 격자 형상으로 패터닝되어 있거나, 투명 필름, 유리 기판, 플라스틱 기판 등에 ITO, FTO, AgNW, 전도성 고분자 등의 투명 전도성 소재 등이 제한 없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만약, 전도성 물질을 격자 형상으로 패터닝(메탈메쉬)하여 제2 센서층(20)를 제조할 경우, 제2 센서층(20)에는 제1 센서층(10)에 형성된 제1 격자 형상의 제1 센서 패턴보다 간격이 좁은 제2 격자 형상의 제2 센서 패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광학 패턴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패턴은 정렬된 렌즈, 비정렬 렌즈, 다양한 꼭지점 각도를 갖는 프리즘 형상일 수 있다.
도 10 및 11은 터치 센서에 광학 패턴을 형성할 경우의 휘도 및 시야각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기존구조(광학패턴이 없는 구조)를 평균 100%으로 보았을 때 광학 패턴이 확산(비드)구조일 경우 131.2%, 콘구조일 경우 144.4%, 비정형 렌즈구조일 경우 143%, 정형 렌즈구조일 경우 154.4%, 프리즘구조일 경우 166.9%로서 기존구조보다 터치 센서에 광학 패턴을 형성한 경우의 휘도가 더 높음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1을 참조하면, 기존구조(광학패턴이 없는 구조) 보다 확산(비드)구조, 콘구조, 비정형 렌즈구조, 정형 렌즈구조, 프리즘 구조가 평균적 시야각(-40~+40)에서 높은 밝기(Y축 인자)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기존구조보다 광학패턴이 형성된 구조의 시야각이 보다 우수함을 나타낸다.
도 12는 일반적인 금속 배선과 흑화 처리된 전도성 잉크로 형성된 전도층의 굽힘에 따른 저항 변화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금속배선(기존 메탈메쉬)은 굽힘이 많아질수록 저항이 증가하는데 반해, 흑화 처리된 전도성 잉크(산화물의 첨가로 인해 굽힘 특성 향상)로 형성된 전도층(제안 메탈메쉬-A, B, C)은 굽힘이 많아지더라도 저항의 변화가 거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외형 변화가 심한 감압식 터치센서에서, 일반적인 금속배선은 저항 변화가 심해 동작의 불안성이 존재하는 반면, 흑화 처리된 전도성 잉크로 형성된 본 발명의 전도층은 저항 변화가 거의 없어서 동작의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상부 기판
200: 레진층
210: 광학 패턴
300: 전도층
400: 접착층
500: 하부 기판

Claims (13)

  1. 압력에 대한 복원력을 갖고, 일부에 음각 패턴이 형성된 레진층; 흑화 처리된 전도성 잉크를 상기 음각 패턴에 매립하여 형성된 전도층; 및 상기 음각 패턴 이외의 상기 레진층에 형성된 광학패턴을 포함하는 제1 센서층; 및
    상기 전도층과 마주하며 이격된 제2 센서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도층은, 상기 음각 패턴들의 각각의 일부 또는 전체에 10nm ~ 30㎛의 두께를 갖도록 흑화 처리된 전도성 잉크를 충진하여 형성되되,
    상기 광학 패턴은, 10 ~ 500㎛ 이내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식의 터치 센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흑화 처리된 전도성 잉크는,
    흑색 피그먼트와 전도성 물질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식의 터치 센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흑색 피그먼트는, Ru, Ni, Cr, Co, Fe, P, Mo, W 및 Mn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조성된 산화물이며,
    상기 전도성 물질은, AgNW, PEDOT, CNT, 메탈나노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식의 터치 센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패턴은,
    확산 형상, 콘 형상, 렌즈 형상, MLA(Micro Lens Array) 형상, 프리즘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식의 터치 센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50148951A 2015-10-26 2015-10-26 흑화 처리된 전도성 잉크 기반 임베디드형 메탈메쉬를 이용하는 감압식의 터치 센서 KR102395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951A KR102395822B1 (ko) 2015-10-26 2015-10-26 흑화 처리된 전도성 잉크 기반 임베디드형 메탈메쉬를 이용하는 감압식의 터치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951A KR102395822B1 (ko) 2015-10-26 2015-10-26 흑화 처리된 전도성 잉크 기반 임베디드형 메탈메쉬를 이용하는 감압식의 터치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062A KR20170048062A (ko) 2017-05-08
KR102395822B1 true KR102395822B1 (ko) 2022-05-09

Family

ID=60164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951A KR102395822B1 (ko) 2015-10-26 2015-10-26 흑화 처리된 전도성 잉크 기반 임베디드형 메탈메쉬를 이용하는 감압식의 터치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582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05453A (ja) * 2011-11-16 2013-05-30 Dainippon Printing Co Ltd 保護板および保護板を備えた表示装置
KR101543594B1 (ko) * 2013-03-20 2015-08-11 난창 오-필름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터치 스크린 및 그 전도층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0034A (ko) * 2010-03-03 2011-09-09 미래나노텍(주) 정전 용량 방식 터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628807B1 (ko) * 2013-11-08 2016-06-21 주식회사 아모센스 터치 스크린 패널용 터치 센서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05453A (ja) * 2011-11-16 2013-05-30 Dainippon Printing Co Ltd 保護板および保護板を備えた表示装置
KR101543594B1 (ko) * 2013-03-20 2015-08-11 난창 오-필름 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터치 스크린 및 그 전도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062A (ko) 2017-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24656B2 (ja) タッチパネル基板、及び表示装置
US9419612B2 (en) Touch panel
CN103853380A (zh) 电极构件及包括该电极构件的触屏
KR20120018059A (ko) 터치 스크린 패널용 기판,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120065333A (ko) 협액자 터치 입력 시트와 그 제조 방법 및 협액자 터치 입력 시트에 이용하는 도전성 시트
JP2012208621A (ja) 入力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110562A (ko) 터치 스크린 패널
CN104331184A (zh) 触摸窗口及包含该触摸窗口的显示器
TW200928937A (en) Panel-type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JP6405659B2 (ja) タッチパネル用位置検知電極部材、タッチパネル、及び画像表示装置、並びにタッチパネル用位置検知電極部材の多面付け中間体
CN107885401A (zh) 触摸面板和用于制造该触摸面板的方法
JP5798270B1 (ja) タッチパネル
JP2012155644A (ja) 加飾カバーガラス一体型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TWI594154B (zh) 觸控面板及其製作方法
CN103838454A (zh) 与电容式触摸屏相关的贴膜、盖板和电子设备
KR20130046022A (ko) 터치 패널
JP2014179063A (ja) タッチパネル
KR20160007227A (ko) 전극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KR102395822B1 (ko) 흑화 처리된 전도성 잉크 기반 임베디드형 메탈메쉬를 이용하는 감압식의 터치 센서
TW201426445A (zh) 觸控面板及觸控顯示裝置
KR102360721B1 (ko) 광학 패턴을 갖는 임베디드형 메탈메쉬를 이용하는 감압식의 터치 센서
CN103838425A (zh) 触屏
CN203812219U (zh) 与电容式触摸屏相关的贴膜、盖板和电子设备
KR20140014872A (ko) 디스플레이용 인터페이스패널 및 그 제조방법
CN208141359U (zh) 一种触控感应器及一种触控显示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