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5470B1 - 월 스탠드 타워 - Google Patents

월 스탠드 타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5470B1
KR102395470B1 KR1020210077810A KR20210077810A KR102395470B1 KR 102395470 B1 KR102395470 B1 KR 102395470B1 KR 1020210077810 A KR1020210077810 A KR 1020210077810A KR 20210077810 A KR20210077810 A KR 20210077810A KR 102395470 B1 KR102395470 B1 KR 102395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bottom plate
angle
pair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용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션케어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션케어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션케어컴퍼니
Priority to KR1020210077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4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5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7Exercising equipment, e.g. tread mills, carousels

Abstract

반려동물중 주로 고양이가 사용하는 캣타워에 있어서 벽에 밀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기존의 캣타워에 비하여 반려동물이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중에 넘어짐에 의한 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월 스탠드 타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 일측이 연결되며, 수직면에서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 양측을 연결하며, 상기 바닥판과 수평을 이루는 다수개의 안착판을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의 타측은 건축물의 벽면에 의하여 지지되는 월 스탠드 타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월 스탠드 타워{Wall stand tower}
본 발명은 월 스탠드 타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려동물중 주로 고양이가 사용하는 캣타워에 있어서 벽에 밀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기존의 캣타워에 비하여 반려동물이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중에 넘어짐에 의한 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월 스탠드 타워에 관한 것이다.
최근 1인가구와 원룸,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 생활이 증가하면서 건강, 환경 관리 등이 용이하고 조용한 고양이를 반려동물로 선택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반려묘용 식품, 장난감, 하우징 등의 시장 규모가 지난 5년 새 6배 이상으로 성장하고 있다. 고양이는 좁은 거주공간에서도 잘 적응하지만 여전히 야생성이 강하게 남아있어 고양이가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의 확보가 중요하다.
캣타워 또는 캣트리는 높은 곳에서 안정감을 느끼는 고양이들의 습성을 만족시키며 좁은 거주공간에서도 활동공간을 제공하는 반려동물용 전용 가구로, 고양이들이 오르내릴 수 있는 패널들, 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기둥 및 고양이가 숨을 수 있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특히 고양이는 독립적인 성향이 강하고 좁은 공간을 좋아하며 높은 곳에 올라가려는 성향이 강하다. 고양이가 좁은 공간을 좋아하는 것은 큰 동물이 들어올 수 없다는 안도감 때문이고, 높은 곳에 올라가려는 성향은 자신이 더 우위에 있음을 과시하기 위함이나 외부로부터 위험을 방지하고자 하는 본능 때문이라고 한다.
이러한 고양이의 기본적이고 본능적인 행동을 이해해주고, 더불어 집 고양이의 성향상 활동성이 떨어지고 운동을 안하는 고양이의 근력을 키워주기 위해 놀이공간으로 캣타워를 선택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 사용되는 캣타워의 경우 바닥면에 수직으로 구조물을 적층하여 구성하고 있으므로, 고양이의 이동에 의하여 쓰러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높은 곳을 좋아하며, 높은곳에서 이동이 많은 고양이의 특성상, 캣타워의 사용시 무게중심이 올라가게되므로 이러한 캣타워의 쓰러짐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고양이가 부상을 입거나 캣타워에 올라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59553호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6412호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려동물중 주로 고양이가 사용하는 캣타워에 있어서 벽에 밀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기존의 캣타워에 비하여 반려동물이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중에 넘어짐에 의한 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월 스탠드 타워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 일측이 연결되며, 수직면에서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 양측을 연결하며, 상기 바닥판과 수평을 이루는 다수개의 안착판을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의 타측은 건축물의 벽면에 의하여 지지되는 월 스탠드 타워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은 20~80cm의 길이 및 10~50cm의 폭을 가지며, 2~10개가 동일한 간격을 가지도록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 사이에 수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일측이 상기 바닥판의 제1 고정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지지부재; 및 일측이 상기 바닥판의 제2 고정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바닥판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부에서 소정의 거리가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안착판의 중앙 양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안착판의 상기 제1 지지부재에서 소정의 거리가 이격된 부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안착판은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의 회전시 상기 바닥판과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며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재의 하단은 상기 안착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중단에서 하방으로 수직을 이루며 상기 바닥판과 연결되는 보조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가 기울어진 방향으로 확장 가능한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월 스탠드 타워는 캣타워의 설치시 일측을 벽면에 지지함에 따라 반려동물이 탑승한 경우에도 쉽게 넘어지지 않아 반려동물의 낙하게 의한 부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월 스탠드 타워는 지지부재의 각도를 변경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도 반려동물이 올라타는 안착부는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며 이동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공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월 스탠드 타워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월 스탠드 타워의 측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각도변경이 가능한 월 스탠드 타워의 측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높은 각도로 조절된 월 스탠드 타워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낮은 각도로 조절된 월 스탠드 타워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구현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서 소개되는 구현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기술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각 장치의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도면 설명시 관찰자 시점에서 설명하였고,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사상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 방법 또는 제조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이루는 각 과정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과정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월 스탠드 타워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 일측이 연결되며, 수직면에서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 양측을 연결하며, 상기 바닥판과 수평을 이루는 다수개의 안착판을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의 타측은 건축물의 벽면에 의하여 지지되는 월 스탠드 타워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바닥판(100)은 상기 월 스탠드 타워의 하부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상기 월 스탠드 타워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월 스탠드 타워가 전도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바닥판(100)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바닥판(100)의 중심 또는 상기 중심에서 일정거리가 이격된 부분에 상기 지지부재(20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00)가 연결되는 부분이 상기 바닥판의 중심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재(200)의 각도가 변경되더라도 일정한 지지력을 발휘한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200)가 상기 바닥판(100)의 중심에서 일정거리가 이격되어 설치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재(200)의 무게중심의 연직 하면에 상기 바닥판(100)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상기 바닥판(100)이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판(100)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200)가 기울어진 방향으로 확장 가능한 확장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도 3 참조).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200)는 일정한 각도로 기울여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경우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다만 상기 지지부재(200)를 수직면에서 일정각도 이상으로 기울이는 경우 상기 지지부재의 무게 중심이 상기 바닥판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도 4 참조). 이 경우 상기 지지부재의 타측이 벽면(400)에 지지되고 있더라도 안정적인 지지가 되기 어려우며, 따라서 반려동물이 상기 월 스탠드 타워에 올라서는 경우 전복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무게중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바닥판에 확장부(11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부(110)는 상기 바닥판(100)의 일측으로 연정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이 확장부(110)가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지지부재(200)가 기울어지는 방향과 일치하도록 할 수 있다(도 3참조). 이를 통하여 상기 지지부재(200)가 수직면에서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확장부(110)를 확장하여 상기 지지부재(200)의 중심이 상기 확장부(110) 내에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부(110)는 상기와 같은 확장을 위하여 상기 바닥판(100)과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으며, 확장되는 방향의 말단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확장부(110)를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00)는 상기 바닥판(100)에 일측이 연결되어 수직면에서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할 안착판(300)이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적층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지지부재(200)는 상기 안착판(300)의 양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안착판(3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쌍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일측은 상기 바닥판(100)에 연결되고 타측은 벽면에 지지되도록 하여 상기 월 스탠드 타워를 안정적으로 직립시킬 수 있다(도 3 참조).
또한 기존의 캣타워의 지지부재는 일정한 각도로 고정되어 설치되었지만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지지부재(2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으로 다양한 위치에 최적의 각도로 설치될 수 있다. 하지만 단순히 살기 지지부재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만으로는 상기 안착판의 수평을 유지하면서 각도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본 발명의 경우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20)의 조합을 통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에도 상기 안착판(300)의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조절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는, 일측이 상기 바닥판의 제1 고정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지지부재; 및 일측이 상기 바닥판의 제2 고정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바닥판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부에서 소정의 거리가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재(210)는 일측이 상기 바닥판(100)의 중심에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판(300)의 양측을 지지하여 상기 안착판(300)이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지지부재(210)는 상기 안착판(300)의 중앙 양측 부위를 연결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안착판(300) 역시 상기 제1 지지부재(2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지지부재(210)의 각도가 변경되더라도 일정한 각도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상기 안착판(300)은 특별한 조작이 없는 이상 상기 제1 지지부재(210)와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지지부재(210)의 각도가 변경되는 경우 지면과의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기존의 캣타워의 경우 이러한 안착판의 각도를 일일이 손으로 변경하였지만 이 경우 각 안착판의 각도를 일정하게 고정하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반려동물의 사용으로 인하여 상기 안착판의 각도가 변경되어 반려동물이 미끄러지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경우 제2 지지부재(220)를 상기 안착판에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제1 지지부재(210)의 각도가 변경되더라도 상기 안착판과 지면 사이의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지지부재(210) 및 상기 제2 지지부재(220)는 상기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안착판(300)은 상기 제1 지지부재(210) 및 상기 제2 지지부재(220)의 회전시 상기 바닥판과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며 이동할 수 있다(도 4 및 도 5).
이를 위하여 상기 제2 지지부재(220)는 상기 제1 지지부재(210)와 평행하게 설치되되, 상기 안착판(300)의 제1 지지부재 연결부위 및 상기 바닥판의 제1 지지부재 연결부위와 일정거리가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도 3 참조). 이 경우 상기 안착판(300)의 각도는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연결부와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연결부의 높이차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으므로 상기 지지부재의 각도를 변경하는 경우에도 상기 안착판과 지면의 각도는 고정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제1 지지부재(210)는 상기 바닥판(10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바닥판(100)과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지지부재(220) 역시 상기 바닥판(100)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제1 지지부재(210)와 상기 제2 지지부재(220)는 수평을 이루며 상기 안착판(300)에 연결되므로 결과적으로는 상기 제1 지지부재(210)와 상기 제2 지지부재(220)는 동일한 각도를 이루며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안착판(300)과 제1 지지부재의 연결부는 상기 안착판과 제2 지지부재의 연결부를 상기 지지부재가 회전이동 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안착부 역시 동일한 각도를 가지며 이동할 수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상기 제2 지지부재(220)의 하단은 상기 안착판(3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안착판은 상기 제1 지지부재 연결부와 제2 지지부재 연결부의 높이 차이에 의하여 지면과의 각도가 결정될 수 있으며, 이 각도는 상기 지지부재의 각도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지지부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안착판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제2 지지부재의 높이를 높이는 경우 상기 제2 지지부재에 연결된 안착판의 연결부위가 상승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안착판의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지지부재의 높이를 낮추는 경우에도 상기 안착판의 연결부위가 하강하며, 상기 안착판의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바닥판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안착판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일측은 상기 바닥판과 높이조절부재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재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높이 조절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지지부재에 형성된 고정홈과 고정핀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2 지지부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이물질의 침입방지 및 사용자의 높이 조절시 부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지지부재의 내부로 삽입되는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핀의 일측은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외측에 위치하며,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고정핀의 상승을 용이하도록 하는 부분으로, 원기둥, 사각기둥, 오각기둥, 육각기둥 또는 팔각기둥 형상으로 제작되어 사용자가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는 플라스틱, 금속 또는 나무로 제작될 수 있으며, 측면의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구조를 가져 조작시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지 않고 조작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의 조작에 의한 상기 고정핀의 상승으로 상기 고정핀은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높이 조절 홈에서 이탈하게 되며, 사용자는 상기 제2 지지부재의 높이를 조절한 다음, 다시 상기 고정핀을 하강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핀을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고정홈에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고정핀에 의한 상기 높이 조절 이후 상기 제2 지지부재의 고정을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핀의 타측 외주면에는 상기 높이 조절 홈 내부에 위치하는 나사산과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제2 지지부재를 일정위치에 고정시킨 다음, 상기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기 고정핀을 상기 높이 조절 홈의 내부에 나사 결합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의 이동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상기 고정핀이 이탈되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00)는 상기 지지부재의 중단에서 하방으로 수직을 이루며 상기 바닥판과 연결되는 보조 지지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도 3 참조). 상기 지지부재의 경우 원하는 각도로 조절될 수 있으며, 타단이 벽면(400)이 지지되어 자립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상기 안착판(300)에 과한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이 상기 벽면에서 미끄러져 상기 지지부재의 각도가 변경되거나 상기 월 스탠드 타워가 전도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보조 지지부재(230)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각도를 일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 지지부재(230)는 상기 지지부재에 가해지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지지부재의 각도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이를 지지하기 위하여 수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지지부재의 후면에는 다수개의 보조지지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지지부재의 상단이 상기 보조지지홈 중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보조 지지부재가 수직을 이루며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지지홈의 높이는 상기 지지부재의 각도에 따라 변하게 되므로 상기 보조 지지부재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작되며, 일정한 높이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보조 지지부재(230)는 일측이 개방되어 후술할 하부 보조지지부재가 삽입되며, 타측이 상기 보조지지홈과 연결되는 상부 보조 지지부재, 일측이 상기 바닥판과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상부 보조지지부재의 내부로 삽입되는 하부 보조 지지부재 및 상기 상부 보조 지지부재를 관통하며, 상기 하부 보조 지지부재를 압박하여 상기 보조 지지부재의 높이를 고정하는 보조 지지부재 고정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경우 고점홈을 이용하여 높이를 조절하고 있지만 상기 보조지지부재의 경우 고정홈을 이용하는 경우 정확한 각도로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각도를 정확하게 조절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 지지부재는 상기 상부 보조 지지부재에 상기 하부 보조 지지부재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보조 지지부재 고정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하부 보조지지부재를 압박하는 것으로 상기 보조 지지부재의 높이를 일정한 높이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조 지지부재 고정나사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보조 지지부재의 일단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보조 지지부재 고정나사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상부 보조 지지부재의 내부에 삽입된 하부 보조 지지부재를 압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기 상부 보조 지지부재와 상기 하부 보조 지지부재가 마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안착판(300)은 20~80cm의 길이 및 10~50cm의 폭을 가지며, 2~10개가 동일한 간격을 가지도록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 사이에 수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안착판(300)은 반려동물이 올라가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 대부분의 반려동물이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20~80cm의 길이 및 10~50cm의 폭을 가지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안착판(300)의 양측에는 상기 지지부재(200)가 설치되어 상기 안착판(300)을 고정하고 있으므로 상기 지지부재 사이의 거리는 20~80cm일 수 있다. 상기 안착판(300)의 크기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반려동물이 휴식을 취하는 공간이 부족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크기를 가지는 경우 상기 월 스탠드 타워의 크기가 커져 취급 및 보관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판(300)의 상부에는 충격흡수수단을 설치하여 반려동물이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격흡수수단은 상기 안착판의 형상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탄성체일 수 있으며, 이때 사용되는 탄성체는 고무, 스펀지, 라텍스 또는 솜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탄성체는 손상을 방지하며,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천, 가죽, 인조가죽 또는 고분자 필름으로 표면이 감싸여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수단은 공기주입식 충격흡수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공기주입식 충격흡수수단의 경우 상측 필름과 하측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상측 필름과 하측 필름의 사이에 공기를 주입하여 충격흡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의 주입량을 조절하게 되면 상기 공기주입식 충격흡수수단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반려동물의 체형에 따른 높이 조절수단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공기주입식 충격흡수수단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측 필름과 상기 하측 필름의 내부가 격막 또는 고분자 섬유로 연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주입식 매트의 경우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중앙부가 가장 높은 높이를 형성하게 되며, 주변부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형상을 가지게 된다. 하지만 이 경우 반려동물의 신체를 지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신체의 각 지점에 가해지는 하중이 상이하게 되어 반려동물이 편안하게 휴식을 취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상기 상측 필름과 하측 필름을 격막 또는 고분자 섬유로 연결하는 경우 상기 격막 또는 고분자 섬유의 길이 이상으로는 부풀지 않게 되므로 각 지점이 일정한 높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응용하여 각 지점의 격막 또는 고분자 섬유의 길이를 달리하게 되면, 반려동물의 형상에 맞는 형상을 가지는 공기주입식 충격흡수수단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바닥판
110 : 확장부
200 : 지지부재
210 : 제1 지지부재
220 : 제2 지지부재
230 : 보조 지지부재
300 : 안착부
400 : 벽면

Claims (8)

  1. 원형, 타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 일측이 연결되며, 수직면에서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 양측을 연결하며, 상기 바닥판과 수평을 이루는 다수개의 안착판;
    을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의 타측은 건축물의 벽면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일측이 상기 바닥판의 제1 고정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지지부재; 및
    일측이 상기 바닥판의 제2 고정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 지지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바닥판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부에서 소정의 거리가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제2 지지부재의 하단은 상기 안착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부가 형성되어 있는 월 스탠드 타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은 20~80cm의 길이 및 10~50cm의 폭을 가지며, 2~10개가 동일한 간격을 가지도록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 사이에 수직으로 배열된 월 스탠드 타워.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상기 안착판의 중앙 양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안착판의 상기 제1 지지부재에서 소정의 거리가 이격된 부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월 스탠드 타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기 안착판은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의 회전시 상기 바닥판과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며 이동하는 월 스탠드 타워.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중단에서 하방으로 수직을 이루며 상기 바닥판과 연결되는 보조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월 스탠드 타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가 기울어진 방향으로 확장 가능한 확장부를 포함하는 월 스탠드 타워.
KR1020210077810A 2021-06-16 2021-06-16 월 스탠드 타워 KR102395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810A KR102395470B1 (ko) 2021-06-16 2021-06-16 월 스탠드 타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810A KR102395470B1 (ko) 2021-06-16 2021-06-16 월 스탠드 타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5470B1 true KR102395470B1 (ko) 2022-05-10

Family

ID=81591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810A KR102395470B1 (ko) 2021-06-16 2021-06-16 월 스탠드 타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547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56233A1 (en) * 2003-09-17 2005-03-17 O'leary Kellene Folding grooming table step system
KR20140055744A (ko) * 2012-11-01 2014-05-09 유수원 각도 조절 가능한 계단형 사다리 잠금장치
JP2015122959A (ja) * 2013-12-25 2015-07-06 ドギーマンハヤシ株式会社 ペット用見晴らし台
KR101859553B1 (ko) 2016-06-09 2018-05-21 정찬규 캣타워
KR101996412B1 (ko) 2017-09-22 2019-07-04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캣 타워
KR200491329Y1 (ko) * 2019-07-15 2020-03-20 주식회사 펫502 애완동물용 슬라이딩 계단
KR20210058448A (ko) * 2019-11-14 2021-05-24 정유정 애완동물용 슬라이딩 계단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56233A1 (en) * 2003-09-17 2005-03-17 O'leary Kellene Folding grooming table step system
KR20140055744A (ko) * 2012-11-01 2014-05-09 유수원 각도 조절 가능한 계단형 사다리 잠금장치
JP2015122959A (ja) * 2013-12-25 2015-07-06 ドギーマンハヤシ株式会社 ペット用見晴らし台
JP6026398B2 (ja) * 2013-12-25 2016-11-16 ドギーマンハヤシ株式会社 ペット用見晴らし台
KR101859553B1 (ko) 2016-06-09 2018-05-21 정찬규 캣타워
KR101996412B1 (ko) 2017-09-22 2019-07-04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캣 타워
KR200491329Y1 (ko) * 2019-07-15 2020-03-20 주식회사 펫502 애완동물용 슬라이딩 계단
KR20210058448A (ko) * 2019-11-14 2021-05-24 정유정 애완동물용 슬라이딩 계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79990A (en) Cat tree
KR200491329Y1 (ko) 애완동물용 슬라이딩 계단
US20070004566A1 (en) Infant walker
US6302382B2 (en) Bumper system for limiting the mobility of a wheeled device
CA2920549A1 (en) Pet amusement device with scratching pad, interior ball, and perimeter ball track
US20140138509A1 (en) Furniture Support, Leveling Device, and Carpet Protector Combination
US6269771B1 (en) Multi-station bird feeder with squirrel guard
US20210400915A1 (en) Pet furniture
JP5383444B2 (ja) ペット用遊戯装置
KR102395470B1 (ko) 월 스탠드 타워
US10314286B2 (en) Shape-shifting self-draining indoor-outdoor exercise pet tree, having rotatable slanting logs, rotatable slanting steps, rotatable slanting branches, rotatable slanting houses, rotatable slanting accessories, and rotatable slanting wheels
US4047502A (en) Heavy duty stanchion
US5672118A (en) Golf swing trainer
US11383128B2 (en) Wobble board
JPH03139370A (ja) 昇降運動用装置
KR101650942B1 (ko) 스포츠용 에어 매트리스
KR101358077B1 (ko)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CN205357656U (zh) 多层次猫爬架
JP4455655B2 (ja) ペット遊戯装置
US3398719A (en) Birdcage perch or walkway
US20130239326A1 (en) Resilient and Deformable, Normal and Laterally Biased, Exercise Mat Usable by a Person when Applying a Weighted Object
US20070167068A1 (en) Pet exercise and amusement apparatus
US20160007569A1 (en) Animal treadwheel assembly
KR20200001070U (ko) 전신균형운동기구
KR200460790Y1 (ko) 고양이 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