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4864B1 - 가열로 밀봉장치 - Google Patents

가열로 밀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4864B1
KR102394864B1 KR1020200090109A KR20200090109A KR102394864B1 KR 102394864 B1 KR102394864 B1 KR 102394864B1 KR 1020200090109 A KR1020200090109 A KR 1020200090109A KR 20200090109 A KR20200090109 A KR 20200090109A KR 102394864 B1 KR102394864 B1 KR 102394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recirculation
sealing
heating furnace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1341A (ko
Inventor
김재현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0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864B1/ko
Publication of KR20220011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1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99/0073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04Heating the pro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40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by means of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2Skids or tracks for heavy objects
    • F27D3/022Skids
    • F27D3/024Details of skids, e.g. ri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 Treatments In General, Especially Conveying And Coo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로 밀봉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열로에 형성된 설치홀부를 통해 가열로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스키드부에 설치되고, 설치홀부와 스키드부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밀봉하기 위한 유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수조부와, 수조부에 구비된 배출구에 연결되는 재순환탱크를 포함하고, 배출구에서 배출되어 재순환탱크로 유입된 유체를 수조부로 재순환시키기 위한 재순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열로 밀봉장치{SEALING APPARATUS FOR FURNACE}
본 발명은 가열로 밀봉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가열로 내부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 최소화되는 가열로 밀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열로는 제철소의 열연공장 등에서 슬라브(Slab) 등의 소재를 가스, 기름 등의 연료를 사용하여 대략 1200∼1300℃의 적정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장치로서, 소재를 판재 등의 제품으로 가공하기 위한 열간압연공정의 전 공정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44050호(2006.01.11 공개, 발명의 명칭: 워킹 빔형 가열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재순환탱크로 배출된 유체를 다시 수조부에 공급하는 재순환라인이 형성함으로써, 유입구에 연결된 용수설비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도 순간적으로 수조부의 유체의 수위가 낮아지는 것을 지연시키는 가열로 밀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기 정비 시까지 가열로 내부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지연시키거나 최소화시키고, 이에 의해 운전자의 사고 미인지로 인한 조업손실을 최소화시키는 가열로 밀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조부의 수위가 낮아진 경우에도, 밀봉부에 의해 간격이 밀봉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열로 밀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열로에 형성된 설치홀부를 통해 상기 가열로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스키드부에 설치되고, 상기 설치홀부와 상기 스키드부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밀봉하기 위한 유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수조부와, 상기 수조부에 구비된 배출구에 연결되는 재순환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어 상기 재순환탱크로 유입된 유체를 상기 수조부로 재순환시키기 위한 재순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순환부는 상기 재순환탱크와 상기 수조부를 연결하는 재순환관과, 상기 재순환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재순환탱크의 유체를 상기 수조부로 순환시키기 위한 재순환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재순환탱크에 수용된 유체의 수위가 소정 범위 이하이면, 상기 수조부의 상기 배출구가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설치홀부와 상기 스키드부 사이에 형성된 상기 간격에 설치되고, 상기 간격에 유체가 소정 범위 이상이면 개방되고, 상기 간격에 유체가 소정 범위 미만이면 자중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어 상기 간격을 밀봉하게 구비되는 밀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밀봉부는 상기 설치홀부의 내면에 고정되는 제1 밀봉부재와, 상기 스키드부의 외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밀봉부재와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간격에 유체가 소정 범위 미만이면 상기 제1 밀봉부재에 접촉되어 상기 간격을 밀봉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밀봉부재는 상기 설치홀부의 내면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밀봉부재는 상기 스키드부의 외면에 고정되는 제2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밀봉부재와 상기 제2 밀봉부재는 상기 간격에 수용된 유체의 수위가 소정 범위 이하가 되면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가 자중에 의해 처짐 변형되어 서로 접촉됨으로써 상기 간격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밀봉부재는 상기 제2 밀봉부재를 향하는 면에 돌출되고 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 접촉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밀봉부재는 상기 제1 밀봉부재를 향하는 면에 돌출되고 일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복수의 상기 제1 접촉돌기와 접촉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제2 접촉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밀봉부는 실리콘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 밀봉장치는 재순환부에 의해 재순환탱크로 배출된 유체를 다시 수조부에 공급하는 재순환라인이 형성함으로써, 유입구에 연결된 용수설비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도 순간적으로 수조부의 유체의 수위가 낮아지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차기 정비 시까지 가열로 내부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지연시키거나 최소화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운전자의 사고 미인지로 인한 조업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조부의 수위가 낮아진 경우에도, 밀봉부에 의해 간격이 밀봉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 밀봉장치가 적용되는 가열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 밀봉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밀봉부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조부에 유체가 부족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밀봉부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비교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가열로 밀봉장치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 밀봉장치가 적용되는 가열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 밀봉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밀봉부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조부에 유체가 부족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밀봉부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비교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열로 밀봉장치(100)는 수조부(200)와 재순환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가열로(10)는 내부에 가열공간을 형성하는 가열로본체(11)와, 슬라브 등의 작업대상물(1)을 지지하고 이동시키는 스키드부(20)와, 가열로(10) 내부 작업대상물(1)을 가열하는 히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스키드부(20)는 가열로본체(11)에 고정 설치되어 작업대상물(1)을 지지하는 고정빔과 작업대상물(1)을 단계적으로 이동시키는 워킹빔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스키드부(20)는 워킹빔을 일례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고정빔이 설치되는 부분에도 적용할 수 있다.
가열로(10)는 가열로본체(11)의 바닥판(11a)에 설치홀부(15)가 관통되고, 스키드부(20)는 설치홀부(15)를 통해 가열로(10)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스키드부(20)가 워킹빔인 경우 상하좌우로 이동하면서 작업대상물(1)을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로 인해 스키드부(20)와 설치홀부(15) 사이에 간격(G)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스키드부(20)와 설치홀부(15) 사이의 간격(G)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 가열로(10) 내부의 온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조부(200)와 재순환부(300)를 포함하는 가열로 밀봉장치(100)를 제공한다.
수조부(200)는 가열로(10)에 형성된 설치홀부(15)를 통해 가열로(1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스키드부(20)에 설치되고, 설치홀부(15)와 스키드부(20)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G)을 밀봉하기 위한 유체(W)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가열로(10)는 가열로본체(11)의 바닥판(11a)에 관통된 설치홀부(15)가 구비되고, 설치홀부(15)는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5a)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부(200)는 스키드부(20)에 설치되고 설치홀부(15)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수조부(200)는 내부에 유체(W)가 수용되는 수용공간과, 유체(W)가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210) 및 유입밸브(211)와, 유체(W)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230) 및 배출밸브(231)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구(230)에는 배출관(232)이 연결될 수 있다.
수용공간에 적정량의 유체(W)가 수용된 경우, 설치홀부(15)의 연장부(15a)는 유체(W)에 담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설치홀부(15)와 스키드부(20) 사이에 유체(W)가 유입될 수 있고, 유체(W)에 의해 가열로(10)와 스키드부(20) 사이에 외부의 공기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수조부(200)는 수용공간에 수용된 유체(W)에 의해 설치홀부(15)와 스키드부(20) 사이의 간격(G)을 밀봉할 수 있다(도 2 참조).
재순환부(300)는 수조부(200)에 구비된 배출구(230)에 연결되는 재순환탱크(310)를 포함하고, 배출구(230)에서 배출되어 재순환탱크(310)로 유입된 유체(W)를 수조부(200)로 재순환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재순환부(300)는 수조부(200)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유체의 수위가 낮아지는 것을 지연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수용공간에서 배출된 유체(W)를 순환시켜서 재사용하게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수용공간에 수용된 유체의 양이 적정 범위 이하인 경우 즉 수용공간에 수용된 유체의 수위가 낮아질 경우, 설치홀부(15)와 스키드부(20) 사이의 간격(G)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도 6 참조). 일반적으로 가열로(10) 내부는 연소중이므로 가열로(10)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져서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열로(10) 내부의 온도가 낮아져서, 결과적으로 에너지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수조부(200)의 수용공간으로 유체의 공급은 직접수 형태로 공급되기 때문에 용수설비에 문제가 있을 경우, 수용공간으로의 유체의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용공간에 수용된 유체(W)가 배출구(230)로 배출되기 때문에, 대처할 시간이 없어서 수용공간의 유체의 수위가 낮아지게 된다.
본 발명은 재순환부(300)를 포함함으로써, 수용공간에서 배출되는 유체(W)를 재사용함으로써 유체의 수위가 낮아지는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재순환부(300)는 재순환탱크(310)와 재순환관(350)과 재순환펌프(360)를 포함할 수 있다.
재순환탱크(310)는 수조부(200)에 구비된 배출구(230)에 연결되어, 수용공간에서 배출되는 유체(W)가 저장될 수 있다. 배출구(230)와 재순환탱크(310)는 배출관(232)으로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배출관(232)에는 배출관(232)의 개폐를 제어하는 배출밸브(231)가 설치될 수 있다. 재순환탱크(310)는 내부의 유체를 배수하기 위한 배출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재순환관(350)은 재순환탱크(310)와 수조부(200)를 연결하는 재순환라인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으로, 재순환탱크(310)에 저장된 유체(W)를 다시 수조부(200)로 공급할 수 있다. 재순환펌프(360)는 재순환관(350) 상에 설치되어 재순환탱크(310)의 유체(W)를 수조부(200)로 순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재순환관(350)을 통해 재순환탱크(310)로 배출된 유체(W)를 다시 수조부(200)에 공급하는 재순환라인이 형성됨으로써, 유입구(210)에 연결된 용수설비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도 순간적으로 수조부(200)의 유체의 수위가 낮아지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차기 정비 시까지 가열로(10) 내부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지연시키거나 최소화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운전자의 사고 미 인지로 인한 조업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 이를 차단하기 위한 에어유입차단 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 중 움직이는 설비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유입차단 작업의 빈도가 낮으므로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제어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재순환탱크(310)에 수용된 유체의 수위가 소정 범위 이하이면, 수조부(200)의 배출구(230)가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순환탱크(310)의 내부에는 수위센서부재(320)가 설치될 수 있고, 수위센서부재(320)는 재순환탱크(310) 내부의 유체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배출관(232)에는 배출밸브(231)가 설치될 수 있다. 수위센서부재(320)와 배출밸브(231)는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수위센서부재(320)로부터 재순환탱크(310) 내부의 유체의 수위 신호를 수신하고, 수위가 소정 범위 이하인 경우(일례로 유체(W)가 전부 소진된 경우), 배출밸브(231)가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용공간의 수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밀봉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봉부(400)는 설치홀부(15)와 스키드부(20) 사이에 형성된 간격(G)에 설치되고, 간격(G)에 유체(W)가 소정 범위 이상이면 개방되고, 간격(G)에 유체(W)가 소정 범위 미만이면 자중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어 간격(G)을 밀봉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밀봉부(400)는 스키드부(2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될 수 있고, 스키드부(20)와 설치홀부(15)의 연장부(15a)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스키드부(20)와 설치홀부(15) 사이의 간격(G)에 유체(W)가 소정범위 이상인 경우 즉, 수용공간에 유체(W)가 충분하여 연장부(15a)가 유체(W)에 충분히 담수된 경우, 밀봉부(400)는 개방될 수 있다.
반면 스키드부(20)와 설치홀부(15) 사이의 간격(G)에 유체(W)가 소정 범위 미만인 경우 즉, 수용공간의 유체의 수위가 낮아서 연장부(15a)가 유체(W)에 담수되지 못한 경우, 밀봉부(400)는 폐쇄될 수 있다. 이때 밀봉부(400)는 자중에 의해 형태가 변형됨으로써 간격(G)을 밀봉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스키드부(20)와 설치홀부(15) 사이의 간격(G)을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밀봉부(400)는 제1 밀봉부재(410)와 제2 밀봉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밀봉부재(410)는 설치홀부(15)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밀봉부재(410)는 제1 고정부(411)와 제1 접촉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411)는 설치홀부(15)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접촉부(412)는 제1 고정부(411)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변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밀봉부재(410)는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1 밀봉부재(410)는 하단부에 구비된 제1 고정부(411)가 설치홀부(15)의 연장부(15a)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접촉부(412)는 제1 고정부(411)에서 자유단의 형태로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부(15a)의 내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밀봉부재(420)는 스키드부(20)의 외면에 고정되고, 제1 밀봉부재(410)와 이격되게 설치되고, 간격(G)에 유체(W)가 소정 범위 미만이면 제1 밀봉부재(410)에 접촉되어 간격(G)을 밀봉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 밀봉부재(420)는 간격(G)에 수용되는 유체의 양에 따라 서로 이격되거나 접촉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 밀봉부재(420)는 제2 고정부(421)와 제2 접촉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부(421)는 스키드부(20)의 외면에 고정되고, 제2 접촉부(422)는 제2 고정부(421)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변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밀봉부재(420)는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2 밀봉부재(420)는 하단부에 구비된 제2 고정부(421)가 스키드부(20)의 외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접촉부(422)는 제2 고정부(421)에서 자유단의 형태로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스키드부(20)의 외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밀봉부재(410)와 제2 밀봉부재(420)는 간격(G)에 수용된 유체의 수위가 소정 범위를 초과하면, 유체의 압력에 의해 서로 떨어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체의 압력이 가열로(10) 내부의 압력보다 높기 때문에 제1 밀봉부재(410)와 제2 밀봉부재(420)를 서로 떨어지게 되고, 이때 유체(W)에 의해 간격(G)은 밀봉된다.
반면, 제1 밀봉부재(410)와 제2 밀봉부재(420)는 간격(G)에 수용된 유체의 수위가 소정 범위 이하가 되면, 제1 접촉부(412)와 제2 접촉부(422)가 자중에 의해 처짐 변형되어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이때 간격(G)은 밀봉부(400)에 의해 밀봉되고, 간격(G)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공간에 수용된 유체의 수위가 낮아져서 간격(G)에 유체(W)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1 접촉부(412)와 제2 접촉부(422)의 자중이 외부 공기의 압력보다 높기 때문에, 제1 접촉부(412)와 제2 접촉부(422)는 중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처지게 될 수 있다. 즉 제1 밀봉부재(410)와 제2 밀봉부재(420)는 하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처짐 변형이 발생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접촉부(412)와 제2 접촉부(422)가 서로 접촉되어 간격(G)이 밀봉되고, 이로 인해 외부의 공기가 가열로(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이때 제1 접촉부(412)와 제2 접촉부(422)가 서로 접촉되는 것일 뿐이므로, 스키드부(20)의 상하 이동에는 영향이 없고, 차기 보수 시까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밀봉부재(410)는 복수의 제1 접촉돌기(4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촉돌기(413)는 제2 밀봉부재(420)를 향하는 면에 돌출되고 일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2 밀봉부재(420)는 복수의 제2 접촉돌기(4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촉돌기(423)는 제1 밀봉부재(410)를 향하는 면에 돌출되고 일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열되며, 복수의 제1 접촉돌기(413)와 접촉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촉돌기(413) 및 제2 접촉돌기(423)는, 톱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접촉돌기(413) 및 제2 접촉돌기(423)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접촉돌기(413) 및 제2 접촉돌기(423)의 형상, 배열 및 방향은 도시된 실시예와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아니다.
이와 같이 제1 밀봉부재(410)와 제2 밀봉부재(420)는 서로를 향하는 면에 제1 접촉돌기(413) 및 제2 접촉돌기(423)가 형성됨으로써, 처짐 변형 발생 시에 공기 차단력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제1 및 제2 접촉돌기(423)가 복수로 구비됨으로써, 스키드부(20)가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에 차단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밀봉부(400)는 실리콘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체의 압력이 작용할 때는 서로 떨어질 수 있고, 수위가 낮은 경우 자중에 의해 처짐 변형이 잘 일어날 수 있다.
다만 밀봉부(400)의 재질은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자중에 의해 변형 가능한 재질이라면 다양한 재질로 변형 실시 가능하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비교예가 도시된다. 도 6에 도시된 비교예는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재순환부(300)와 밀봉부가 없는 예를 도시하였다.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재순환부(300)와 밀봉부를 제외한 도면부호를 본 발명과 동일하게 기재하였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열로 밀봉장치에 재순환부(300)가 없는 경우, 용수설비에 문제가 있을 때 유체(W)의 공급이 중단되어 바로 수조부(200)수위가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가열로 밀봉장치에 밀봉부가 없는 경우 수위가 낮아진 경우 간격(G)이 개방되어 외부 공기가 가열로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 밀봉장치(100)를 이용하면, 재순환부(300)에 의해 용수설비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도 수조의 수위가 낮아지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다. 또한 수조부(200)의 수위가 낮아진 경우에도, 밀봉부에 의해 간격(G)이 밀봉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로 밀봉장치는 재순환부에 의해 재순환탱크로 배출된 유체를 다시 수조부에 공급하는 재순환라인이 형성함으로써, 유입구에 연결된 용수설비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도 순간적으로 수조부의 유체의 수위가 낮아지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차기 정비 시까지 가열로 내부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지연시키거나 최소화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운전자의 사고 미인지로 인한 조업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조부의 수위가 낮아진 경우에도, 밀봉부에 의해 간격이 밀봉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 작업대상물 10: 가열로
11: 가열로본체 11a: 가열로바닥판
15: 설치홀부 15a: 연장부
20: 스키드부 100: 가열로 밀봉장치
200: 수조부 210: 유입구
211: 유입밸브 230: 배출구
231: 배출밸브 232 배출관
300: 재순환부 310: 재순환탱크
320: 수위센서 330: 배출부
350: 재순환관 360: 재순환펌프
400: 밀봉부 410: 제1 밀봉부재
411: 제1 고정부 412: 제1 접촉부
413: 제1 접촉돌기 420: 제2 밀봉부재
421: 제2 고정부 422: 제2 접촉부
423: 제2 접촉돌기 500: 제어부
W: 유체 G: 간격

Claims (8)

  1. 가열로에 형성된 설치홀부를 통해 상기 가열로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스키드부에 설치되고, 상기 설치홀부와 상기 스키드부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밀봉하기 위한 유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수조부;
    상기 수조부에 구비된 배출구에 연결되는 재순환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어 상기 재순환탱크로 유입된 유체를 상기 수조부로 재순환시키기 위한 재순환부; 및
    상기 설치홀부와 상기 스키드부 사이에 형성된 상기 간격에 설치되고, 상기 간격에 유체가 소정 범위 이상이면 개방되고, 상기 간격에 유체가 소정 범위 미만이면 자중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어 상기 간격을 밀봉하게 구비되는 밀봉부; 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부는,
    상기 설치홀부의 내면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접촉부를 포함하는 제1 밀봉부재; 및
    상기 제1 밀봉부재와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스키드부의 외면에 고정되는 제2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되고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하는 제2 밀봉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밀봉부재와 상기 제2 밀봉부재는 상기 간격에 수용된 유체의 수위가 소정 범위를 초과하면,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는 서로 떨어지게 구비되고, 상기 간격에 수용된 유체의 수위가 소정 범위 이하가 되면,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가 자중에 의해 처짐 변형되어 서로 접촉됨으로써 상기 간격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 밀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순환부는
    상기 재순환탱크와 상기 수조부를 연결하는 재순환관; 및
    상기 재순환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재순환탱크의 유체를 상기 수조부로 순환시키기 위한 재순환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 밀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순환탱크에 수용된 유체의 수위가 소정 범위 이하이면, 상기 수조부의 상기 배출구가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 밀봉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부재는 상기 제2 밀봉부재를 향하는 면에 돌출되고 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 접촉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밀봉부재는 상기 제1 밀봉부재를 향하는 면에 돌출되고 일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복수의 상기 제1 접촉돌기와 접촉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제2 접촉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 밀봉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실리콘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로 밀봉장치.
KR1020200090109A 2020-07-21 2020-07-21 가열로 밀봉장치 KR102394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109A KR102394864B1 (ko) 2020-07-21 2020-07-21 가열로 밀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109A KR102394864B1 (ko) 2020-07-21 2020-07-21 가열로 밀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341A KR20220011341A (ko) 2022-01-28
KR102394864B1 true KR102394864B1 (ko) 2022-05-04

Family

ID=80051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109A KR102394864B1 (ko) 2020-07-21 2020-07-21 가열로 밀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8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6668A (ja) * 2003-04-01 2005-01-13 Tatsuo Okazaki 炭酸泉生成方法及び装置
KR101253703B1 (ko) 2012-10-26 2013-04-12 주식회사 에스에이씨 배치식 소둔 열처리 설비
JP2017166020A (ja) 2016-03-16 2017-09-2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ウォーキングビーム式加熱炉の炉床シール装置およびウォーキングビーム式加熱炉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4347U (ko) * 1990-11-29 1992-07-22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6668A (ja) * 2003-04-01 2005-01-13 Tatsuo Okazaki 炭酸泉生成方法及び装置
KR101253703B1 (ko) 2012-10-26 2013-04-12 주식회사 에스에이씨 배치식 소둔 열처리 설비
JP2017166020A (ja) 2016-03-16 2017-09-2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ウォーキングビーム式加熱炉の炉床シール装置およびウォーキングビーム式加熱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1341A (ko) 2022-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30408B1 (en) Pickling device and paused pickling operation method
KR102394864B1 (ko) 가열로 밀봉장치
KR20140111731A (ko) 웨이퍼 처리 장치
KR20200135345A (ko) 용해로
KR20120026452A (ko) 종형 열처리 장치
EP0201648B1 (en) Steel strip heating furnace
KR101307137B1 (ko) 반도체 제조장치 배출라인의 파우더 고착 방지장치
CN104220627A (zh) 用于细长制品上涂覆涂层的装置
PL193892B1 (pl) Drzwi pieca koksowniczego z kanałem gazowym i sposób regulacji lub sterowania ciśnieniem gazu w komorze pieca koksowniczego
CN111863577B (zh) 排出流动调节部及包括其的等离子处理装置
KR100939369B1 (ko) 배치식 소둔로의 인너커버 오일 씰링장치
US11162177B2 (en) Pickling device
KR101287888B1 (ko) 코크스 오븐의 상승관 커버장치
EP4031701B1 (en) Plate unit for a steam iron
KR100884481B1 (ko) 오븐 탄화실 도어
KR101186579B1 (ko) 소둔로의 연소가스의 배출 및 외기의 혼입 차단 장치
KR101495405B1 (ko) 코크스 오븐 상승관과 리드 실링용 급수장치
KR101192513B1 (ko) 강판의 용융아연 도금코팅 장치 및 방법
CN211035677U (zh) 池壁维护结构及玻璃窑炉
KR100851951B1 (ko) 폭발 방지를 위한 종풍조업 고로의 내부 잔존물질 냉각방법
KR102625679B1 (ko) 로드락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처리시스템
KR100482374B1 (ko) 반도체 확산 설비의 튜브 교체용 지그
KR101968025B1 (ko) 소둔 열처리장치
CA1238182A (en) Steel strip heating furnace
KR200157386Y1 (ko) 약액조 가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