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4455B1 - 건물의 외장 마감용 사이딩 제조용 몰탈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사이딩 제조방법 및 그 제품 - Google Patents

건물의 외장 마감용 사이딩 제조용 몰탈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사이딩 제조방법 및 그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4455B1
KR102394455B1 KR1020210064457A KR20210064457A KR102394455B1 KR 102394455 B1 KR102394455 B1 KR 102394455B1 KR 1020210064457 A KR1020210064457 A KR 1020210064457A KR 20210064457 A KR20210064457 A KR 20210064457A KR 102394455 B1 KR102394455 B1 KR 102394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ing
mortar
weight
mold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현
Original Assignee
(주) 함라에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함라에이원 filed Critical (주) 함라에이원
Priority to KR1020210064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4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 B28B1/087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by means acting on the mould ; Fixation thereof to the mould
    • B28B1/0873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by means acting on the mould ; Fixation thereof to the mould the mould being placed on vibrating or jolting supports, e.g. mould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29Moulds or moulding surfaces not covered by B28B7/0058 - B28B7/36 and B28B7/40 - B28B7/465, e.g. moulds assembled from several pa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38Fibrous materials; Whiskers
    • C04B14/42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38Fibrous materials; Whiskers
    • C04B14/46Rock wool ; Ceramic or silicate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41Polyacrylates; Polymeth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81Polyep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83Polyes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02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of plane slabs, slates, or sheets, or in which the cross-section is unimportant
    • E04D3/04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of plane slabs, slates, or sheets, or in which the cross-section is unimportant of concrete or ceram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rchitectur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건물의 외장 마감재로 사용되는 사이딩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몰탈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사이딩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 설비가 간소하면서도 사이딩 제품의 성형 불량과 귀털어짐이 없는 고품질 사이딩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몰탈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사이딩 제조방법및 그 제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물의 외장 마감용 사이딩 제조용 몰탈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사이딩 제조방법 및 그 제품{Mortar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siding products for exterior finishing of buildings, siding product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products thereof}
본 발명은 주로 건물의 외장 마감재로 사용되는 사이딩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몰탈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사이딩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 설비가 간소하면서도 사이딩 제품의 성형 불량과 귀털어짐이 없는 고품질 사이딩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몰탈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사이딩 제조방법및 그 제품에 관한 것이다.
사이딩(Siding)은 지붕이나 외벽의 표면에 횡문양의 외장재를 말하는 것으로, 주로 주택의 외장공사를 위해 주로 사용되고, 재질면에서 요업재로 제조된 요업재 사이딩, 금속재 사이딩, 수지재 사이딩으로 구분하고 있다. 그 중 수지재 사이딩은 장식면을 고품질화할 수 있고, 후가공의 용이성과 경량화 및 기계적/물리적 성질 등을 충족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어 주로 제조 및 사용되고 있다.
전술한 사이딩들은 용도 측면에서 내/외장용으로 구분되어 용도를 구분하여 채용되는 재질이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공통적으로 사이딩의 노출 면은 시각적 미감(패턴이나 모양)을 지닌 장식층을 마련하되. 전술한 장식층과 기판층을 차례로 구성하여 제조되거나, 동일한 재질로 장식층과 기판층을 한 번에 일체로 제조되기도 한다.
그러나, 전술한 사이딩은 용도와 재질에서 차이가 있음에도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이를 구분하지 않고 사이딩으로 통칭하고 있으나, 사이딩의 재질과 용도에 따라 사이딩 제조용 성형물과 그 제조방법에서는 현저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건물 외장용 사이딩은 최대한 경량이면서 내충격성, 내마모성, 단열 및 불연 특성 등 기계적, 물리적 특성을 갖추고, 장식층의 장식성(칼러, 패턴, 질감)이 매우 강조되며, 또한 작업 및 취급의 용이성을 높이기 위해 일시에 큰 표면을 마감할 수 있도록 두께: 1cm ~ 1.6cm, 폭: 35㎝~50㎝, 길이 2m ~ 4m 크기로 제조되고 있다.
사이딩 시공방법으로는 하부에서 상측방향으로 사이딩의 상단부 테두리를 다른 사이딩의 하단부로 중첩시키는 방식으로 시공할 표면에 설치하는데, 먼저 하단부의 사이딩 상단 결합부위에 클립을 끼우고 볼트(또는 나사)를 클립을 관통하여 건물 외벽(또는 브라켓트)에 나선체결하고, 그 위로 중첩되도록 다른 사이딩의 하단부를 중첩시킨 후 그 상단부를 위와 같은 방식으로 시공하게 된다.
이렇게 하면, 전술한 클립이 노출되지 않고 사이딩의 장식층 만이 건물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내장용 사이딩 제품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83533호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1mm ~ 10mm 두께의 장식층과, 기판층을 시멘트로 제조되고, 총 두께는 약 10cm ~ 20cm로 두껍고, 시멘트 벽돌과 유사한 형태로 길이는 20cm ~ 40cm로 짧으며, 외장용 사이딩 제품에 비해 월등히 무거우며, 시멘트 몰탈을 사용하여 적층 방식으로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처럼 내/외장용 사이딩은 형태와 크기에서 현저하게 차이가 있고 그 제조방식에서도 현저한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은 건물 외장 마감용 사이딩 제조방법와 관련된 발명이므로 내장용 사이딩 제품에 관한 설명을 생략한다.
종래의 건물 외장용 사이딩 제조방법은 일본국 공개특허 제2013-244689호(2013. 12. 09) "수지 성형체 및 사이딩재 제조방법"이 있다.
전술한 일본국 공개특허 제2013-244689호는 용융된 합성수지를 금형을 통해 압출하고, 압출된 성형물의 성형을 유지하면서 몇 차례의 냉각단계를 거쳐 냉각시킨 후, 냉각된 수지 성형물을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수지재 사이딩 제품을 제조하는 것으로, 특히 금형의 도입부속으로 주입된 용융된 수지가 금형의 세밀한 부분까지 침투 또는 확산되도록 금형 내에 확대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위 일본국 공개특허 제2013-244689호는 도 1a 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 수지 성형체의 상/하단부에 각각 대칭되게 마련되는 홈부(13) 및 돌부(14)와, 기판층(12)과 나란하고 홈부(13)보다 더 연장되는 두께가 얇은 고정부(15)에서 성형불량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a 와 도 1b에서, 도면부호 10은 수지재 사이딩 제품이고, 11은 사이딩의 장식층이고, 12는 사이딩의 기판층이며, 16은 위 사이딩 제품(10)를 시공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제품(10)의 테두리부위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는 각각의 클립을 관통해서 건물 외벽에 미리 고정된 브라켓트에 나사로 사이딩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구멍(16)이다.
수지재 사이딩 제품(10)은 시공할 건물 표면에 사이딩 제품의 폭(높이)에 맞게 건물 외벽에 일정간격으로 브라켓트가 배치되도록 미리 설치하고, 전술한 체결구멍(16)을 통해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전술한 브라켓트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시공한다.
그러나, 도 1b에 도시된 시멘트 사이딩 제품은, 장식층(11)이 손상되지 않더라도 체결구멍(16)이 손상되거나 고정부(15)의 일부가 떨어진(귀떨어짐이나 이빠짐) 사이딩 제품(10)은 시공할 표면에 고정시킬 방법이 없을 뿐 아니라 그 곳을 통해 빗물이 유입되는 뚜렷한 문제가 있어 사용할 수 없다.
그리고, 전술한 사이딩의 고정부(15)는 홈부(13)에 의해 그 두께가 잠식되어 다른 부위에 비해 두께가 가장 얇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취약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도 1a에 도시된 수지재 사이딩 제품은, 성형과정에서 폭이 협소한 고정부(15)의 금형구조로 인해 용융된 수지가 원할하게 충진되지 않는 성형불량이 빈번하지만 압출과정에서는 성형불량을 확인할 방법이 전혀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사이딩의 기판층(12)의 두께를 확대하고, 더불어 고정부(15)의 두께를 더 확대하면 다소 보완할 수 있지만, 이렇게 하면 사이딩의 경량화 측면에 반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원가가 더 상승되는 또 다른 불리함이 있기 때문에 합리적인 해법이라 말하기 어렵다.
또 다른 해법으로는, 도 1a에 도시된 기판층에 대해 도 1b에 도시된 것처럼 절곡된 형태의 고정부(15)를 기판층(12)과 나란하게 연장시키면 불량율을 다소 줄일 수 있지만, 여전히 우려할 만한 성형불량이 발생할 뿐 아니라 위 사이딩 제품(10)를 시공할 표면에 부착할 때, 불트(또는 나사)의 체결력에 의해 체결구멍(16)과 그 주변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 또한 효과적인 해법이라 말하기 어렵다.
전술한 일본국 공개특허 제2013-244689호는 위에서 언급한 문제 이외에도 많은 수의 금형을 조합하여 용융수지를 압출해야 하고, 몇 단계의 냉각장치를 연속적으로 설치해야 하므로 설비 규모가 매우 크고, 충분한 설치공간을 확보해야 하며, 많은 금형 제조비용으로 인해 실시하는데 비용 부담이 매우 크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에 이르렀고 괄목할 만한 성과가 있어 이를 본 발명을 통해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목적은 성형불량과 귀털어짐이 없는 내구성이 우수하고, 고품질 사이딩을 제조할 수 있는 건축물의 외장용 사이딩 제조용 몰탈 조성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공이 용이하고 사이딩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결합부재를 일체로 포함하는 건물 외장 마감용 사이딩 제조방법과 그 제품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사이딩 제조용 몰탈(Mortar) 조성물을 구현하기 위한 해결수단은,
시멘트 25~38중량%, 모래 20~35중량%, 그라스 울 13~25중량%, 미네랄 울(Mineral Wool) 12~25중량%, 석분 17~25중량% 비로 혼합된 제 1 혼합물과;
상기 제 1 혼합물 100중량부에 수성 수지와 물을 1:1 ~1:5 비로 혼합한 제 2 혼합물 35~55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건축용 사이딩 성형용 몰탈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수성 수지는 수성 폴리에스터, 수성 알키드, 수성 아크릴, 수성 에폭시 중 어느 한 종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외장 마감용 사이딩 제조방법과 그 제품을 구현하기 위한 해결수단은,
바닥면에 특정 패턴을 갖춘 캐비티를 포함하는 금형의 테두리에 암수로 구성된 결합부재를 대향되도록 각각 장착하고, 상기 금형 내에 전술한 사이딩 성형용 몰탈을 충진하는 몰탈 충진단계와;
상기 결합부재의 각 요소사이로 전술한 몰탈의 침투가 용이하게 하면서 몰탈 조성물 내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바이브레이터를 사용하여 금형을 진동시킨 후 수평자를 사용하여 상기 캐비티 상면을 밀어 잉여 몰탈을 평탄하게 다지는 몰탈 평탄화 단계와;
상기 금형을 바이브레이터를 통해 수회 진동시켜 몰탈을 다지기 한 후 금형을 분리하여 양생하고 양생된 몰탈을 금형으로부터 탈형시키는 몰탈 탈형단계와;
상기 몰탈 성형물의 사이즈를 정형화하고, 전술한 성형물의 표면을 마감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사이딩 제품에 특징이 있다.
전술한 금형은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금형의 테두리부분에 전술한 결합부재를 장착 및 지지하기 위한 슬롯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결합부재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한 종으로 제조되고 서로 교합되도록 암수로 구성되되, 그 일부분이 몰탈 성형물내에 매립되도록 금형에 대칭되게 안치되어 몰탈 조성물 양생시 그 성형물과 일체화되도록 한 사이딩 제조방법 및 위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품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외장용 사이딩 제조용 몰탈 조성물은, 기계적 성질과 물리적 성질이 기존의 사이딩 제품의 성적과 대등하거나 더 우수하면서도 더욱 경량화된 사이딩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이딩 제조용 몰탈 조성물을 금형에 충진한 후 양생을 통해 제조되므로 제조에 따른 구성이 종래의 사이딩 제조 설비에 비해 매우 간소하게 사이딩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부재는 사이딩 제품과 일체로 제조되므로 사이딩 제품의 제조나 취급 또는 시공시 사이딩 결합부위가 구조적으로 취약해지는 문제가 전혀 생기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이브레이터를 통해 몰탈 내의 공기를 탈기시키므로 사이딩 제품의 조직 밀도가 치밀하고 캐비티의 바닥 패턴에 대응하는 시각적 장식층을 갖는 사이딩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a 와 도 1b는 종래의 압출법에 의해 제조된 사이딩 성형체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딩 성형용 금형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금형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금형 내에 결합부재와 몰탈 조성물을 충진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구비한다, 갖추고 있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결합되어 있다 또는 장착되어 있다고 기술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 중 실시 예에 따른 구성요소에 따른 용어는 단지 예시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그 용어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을 보다 용이하게 설명하고 이해되도록 기술한 것일 뿐 예시한 실시 예들로 제한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사이딩 제조용 몰탈 조성물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이딩 제조용 몰탈 조성물은,
시멘트 25~38중량%, 모래 20~35중량%, 그라스 울 13~25중량%, 미네랄 울(Mineral Wool) 12~25중량%, 석분 17~25중량% 비로 혼합된 제 1 혼합물과;
상기 제 1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수성 수지와 물을 1:1 ~1:5 비로 혼합한 제 2 혼합물 35~55중량부를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에 대한 배경은 이하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전술한 시멘트와 모래는 사이딩 제품의 치수안정과 조직의 밀도 및 충격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그리스 울은 사이딩 완제품의 불연 특성을 증진하면서 경량화를 위해 사용되며, 미네랄 울과 석분은 사이딩 완제품의 휨 강도와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수성 수지는 사이딩의 탄성강도와 내방수성, 내후성, 내열성, 내충격성의 강화를 위해 사용된다.
전술한 수성 수지는 수성 폴리에스터, 수성 알키드, 수성 아크릴, 수성 에폭시 중 어느 한 종이 사용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수성 폴리에스터가 채용되었다.
전술한 수성 폴리에스터는 무독성이면서도 금속, 알루미늄등에 부착이 우수하고, 내수성과 내용제성이 양호하고, 아크릴, PUD 등에 블랜딩하여 부착성, 내수성, 내열성, 내용제성 등이 향상되며, PET, 나일론, 폴리에스터, PVC, PU등 필름, 섬유, 직물, 금속에 우수한 부착력을 발휘하고, 또한 탁월한 내수성, 내열성, 내용제성 및 내후성과 난연특성을 발현되게 하는데 유익하며, 또한 투명성이 우수하여 사이딩의 장식층 도막을 칼라화하는데 매우 유익하고, 또한 시멘트와 모래와의 결속력을 강화시켜 탄성강도의 증진에 유용한 우수한 소재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전술한 수성 에폭시 수지 역시 수성 폴리에스터와 유사한 기계적 물리적 특성이 발현되므로, 수성 에폭시 수지와 수성 폴리에스터를 1:1로 혼용해도 좋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딩 제조용 몰탈 조성물을 아래의 표 1과 같은 비율로 채용한 각 실시 예의 기계적 특성과 물리적 성질에 대한 성적을 표 2에 기록하였다.
실시 예
1 2 3 4 5 6
제 1
혼합물
시멘트
(중량%)
30 30 22 25 38 25
모래
(중량%)
25 25 28 30 20 20
그라스 울
중량%)
15 10 15 10 13 15
미네랄 울
(중량%)
10 15 15 10 12 20
석분
(중량%)
20 20 20 25 17 20
제2
혼합물
수성 수지:물(비율) 1:1 1:2 1:3 1:5 1:4 1:3
파괴계수(MPa) 휨강도(N/㎟) 탄성계수(MPa) 압축강도(MPa) 무게(㎏)
실시예 1 38.28 234.4 11982 175.4 9.02
실시예 2 38.52 245.0 12341 176.2 9.06
실시예 3 38.62 238.4 11831 174.6 8.96
실시예 4 38.72 236.2 11764 173.8 9.28
실시예 5 38.94 259.2 12422 179.8 8.88
실시예 6 38.34 248.6 11212 176.8 9.04
대 조 군 37.30 227.8 10042 174.8 9.5
표 2에서 파괴계수의 성적은 각 실시 예 별로 직경 20mm, 길이 150mm의 시료를 제조하고 약 40일 후에 샤르피 충격시험기로 측정하였고, 휨강도 성적은 위 시료를 KSF 2408 기준으로 시험하였으며, 탄성계수 성적은 전술한 시료를 KSF 2438 기준으로 시험하고, 압축강도는 위 시료를 제조사 "피앤피테스터"에서 제조한 만능재료 시험기 (모델명 : PTU-MA Series)을 사용하여 각기 10회씩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표 2에 기록하였다.
그리고, 표 2에서 무게에 대한 성적은 표 1에 기재된 실시 예들을 현재 유통되는 대조군의 사이딩 제품(상표명"SHERA)의 사이즈(65mm x 210mm x 3,600mm)(본 발명은 합성수지재 결합부재표200a, 200b) 포함)와 동일하게 제조하여 측정한 값이다.
표 2에서 각 실시 예 별 성적들은 대조군의 모든 성적 대비 더 우수하고, 그 중 실시 예 5의 무게는 가장 경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래와 석분의 사용량 대비 제 2 혼합물을 수성 수지와 물의 혼합비를 1:4로 제 1 혼합물과 혼합하였을 때 대조군 대비 가장 이상적인 기계적, 물리적 특성이 발현된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양 혼합물을 혼합함에 있어, 실시 예 6에서와 같이 제 2 혼합물의 구성물을 1:5로 혼합한 경우에도 대조군의 각 성적 보다 더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으나, 제 2 혼합물은 수성 수지와 물의 혼합비를 1:5를 초과할 수록 몰탈의 양생시간이 길어지고, 파괴계수와 압축강도, 휨강도의 성적이 대조군에 비해 떨어지므로 제 2 혼합물의 각 구성물질의 사용 범위를 따르는 것이 좋다.
이를 더 부연하여 설명하면, 제 2 혼합물의 혼합 비율에서 물의 사용량이 수성 수지 대비 5 보다 적게 사용하는 경우, 모든 시험 성적들이 실시 예 5에 비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모든 실시 예에서 수성 수지의 사용량을 고정하고 제 2 혼합물과 제 1 혼합물을 혼합시 물의 사용량에 따른 임계범위 내에서 증가할 수록 제 1 혼합물과의 결합력이 증진된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즉, 제2 혼합물은 제 1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35~55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유용하지만, 35중량부 보다 적게 사용하면 제 1 혼합물의 구성물질들의 결합력이 약화되어 탄성계수와 휨강도가 대조군 보다 더 떨어지는 불리함이 생기고, 55중량부를 사용하면 몰탈의 유동성이 증진되어 몰탈의 셀프 레벨링 작용에 의해 금형(100)을 진동시, 캐비티 바닥면에 마련된 특정 패턴(도면부호 미표시)과 결합부재(200) 주위나 표면으로 몰탈 조성물의 침투와 밀착이 용이해지면서 사이딩 제품의 탄성계수, 휨강도 및 파괴계수가 대조군에 비해 더 우수해진다.
또한, 55중량부를 초과하면 몰탈 조성물의 셀프 레벨링 효과는 우수해지지만 사이딩 완제품의 이면에 기포가 생겨 거칠거칠하거나 울퉁불퉁하게 되고, 또한 액상 시멘트 부유물이 표면에 부유되어 시멘트 가루가 묻어나거나 날리는 문제가 생긴다.
전술한 석분은 17중량% 보다 적게 사용하면, 사이딩 완제품의 탄성계수가 대조군에 비해 더 떨어지고, 25중량% 보다 더 많이 사용할 수록 충격강도는 오히려 더 불리하게 된다.
전술한 그라스 울을 25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대조군 대비 사이딩 제품의 탄성강도와 휨강도가 동시에 약화되고, 13중량% 보다 적게 사용하면 난열 특성이 약화되는 문제가 생긴다.
전술한 미네랄 울을 12중량% 보다 적게 사용하면, 사이딩 제품의 휨강도와 파괴계수의 성적이 대조군의 성적 보다 떨어지고, 25중량% 보다 더 많이 사용하면 압축강도가 대조군 보다 더 떨어지는 불리함이 생긴다.
전술한 사이딩 제조용 몰탈 조성물은 표 1에 기재된 각 실시 예의 제 1 혼합물과 제 2 혼합물의 임계범위 내에서 대조군의 성적과 대등 또는 더 우수한 성능을 발현되므로 사이딩 제품의 제조에 유용하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혼합물은, 시멘트 28중량%, 모래 30중량%, 그라스 울 13중량%, 미네랄 울(Mineral Wool) 12중량%, 석분 17중량%를 혼합한 후 상기 제 1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수성 수지와 물을 1:4.3 비율로 혼합한 제 2 혼합물 48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사이딩 완제품은 대조군 대비 파괴계수, 휨강도, 탄성강도, 압축강도의 성적이 더 우수할 뿐 아니라 이면에 기포가 생기는 일이 없고 시멘트 부유물이 사이딩 표면에 부유되는 일이 없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사이딩 제조용 몰탈 조성물을 사용하여 사이딩 제조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이딩 제조방법은,
바닥 표면에 특정 패턴을 갖춘 캐비티(101)를 포함하는 금형(100)의 일측면에 서로 대향되도록 암수로 구성된 양 결합부재(200)를 각기 장착하고, 상기 금형(100) 내에 전술한 사이딩 성형용 몰탈을 충진하는 몰탈 충진단계와;
상기 결합부재(200)의 매립부(101) 절곡부나 둘레에 몰탈 조성물이 긴밀히 충진되도록 하고, 몰탈 조성물 내의 공기가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바이브레이터를 사용하여 금형(100)을 진동시킨 후, 수평자를 사용하여 상기 캐비티(101) 상면을 밀어 잉여 몰탈을 평탄하게 다지는 몰탈 평탄화 단계와;
상기 금형(100)을 바이브레이터(도면에는 미도시)를 통해 수회 진동시켜 몰탈을 다진 뒤 금형(100)을 분리하여 양생하여 양생된 몰탈 성형물을 금형(100)으로부터 탈형시키는 몰탈 탈형단계와;
상기 몰탈 성형물의 사이즈를 정형화하고, 상기 성형물의 표면을 마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결합부재(200)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한 종으로 제조하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교합되는 암수로 구성되되, 결합부재(200)는 금형(100) 내에 위치되는 매립부(201)와, 금형(100)밖으로 돌출되는 노출부(202)를 포함한다.
전술한 금형(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에 특정 장식적 패턴을 갖추고 분리가능하게 합체될 수 있고, 그 상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사이딩 완제품의 두께 보다 약간 큰 높이의 캐비티(101)와, 상기 금형(100)의 대향 면에 전술한 암수로 이루어진 양 결합부재(200)가 각각 설치되고 그를 지지하기 위한 슬롯(102)을 포함한다.
이렇게 하면, 결합부재(200)의 매립부(201)는 몰탈 성형물 내에 매립되어 몰탈 성형물과 일체화할 수 있고, 양 노출부(202)가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부재(200)를 건물 외벽에 전술한 방식으로 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몰탈 탈형단계에서 바이브레이터로 금형(100)을 진동시키면 몰탈 내에 존재하는 공기가 탈기되면서 몰탈의 부피가 축소되므로 이를 감안하여 캐비티(101)의 높이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위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사이딩 제조용 몰탈 조성물은 기계적 성질과 물리적 성질이 기존의 사이딩 제품의 성적과 동등하거나 더 우수하면서도 더욱 경량화된 사이딩 제품을 제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이딩 제조를 몰탈 조성물을 금형(100)에 충진한 후 그것을 양생하여 제조하므로, 종래의 사이딩 제조 설비에 비해 매우 간소한 설비만으로 사이딩 제품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결합부재(200)는 매립부(201)를 통해 사이딩 제품 내에 분리되지 않도록 사이딩과 일체로 제조되므로 사이딩 제품의 제조시 사이딩 결합부위에서 불량이 발생되는 일이 없을 뿐만 아니라 취급 및 시공시 사이딩 제품의 상하 결합부위에서 귀털어짐이 발생할 염려가 전혀 없고, 또한 건물 외벽에 사이딩을 시공할 때 상측 결합부재의 노출부에 마련된 체결구멍(도면에는 미도시)은 나사 체결력에 의해 손상되는 일이 없으므로 건물 표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이브레이터를 통해 몰탈 내의 공기가 탈기되므로 사이딩 제품의 밀도가 치밀하고, 또한 캐비티(101)의 패턴에 대응되는 장식층을 갖는 고품질 사이딩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사이딩은 상/하부 결합부재(200a,200b)는 사이딩의 상하부 모서리를 감싸주므로 모서리를 보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면 본 발명을 기초로 다양한 변경 예나 응용 예를 실시할 수 있으나, 그러한 변경 예나 응용 예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권리범위와 본 발명자가 의도하는 진정한 의미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는 것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100: 금형 101: 캐비티
102: 슬롯 200: 결합부재
201: 매립부 202: 노출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바닥면에 특정 패턴을 갖춘 캐비티를 포함하는 금형의 테두리에 서로 맞물리는 암수 결합부재를 대향되게 각 슬롯에 장착하고, 시멘트 28중량%, 모래 30중량%, 그라스 울 13중량%, 미네랄 울 12중량%, 석분 17중량% 비로 혼합된 제 1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비 수성 수지와 물을 1:4.3 비로 혼합된 제 2 혼합물 48중량부를 혼합한 몰탈 조성물을 상기 금형 내에 충진하는 몰탈 충진단계와;
    상기 결합부재의 각 요소사이로 상기 몰탈의 침투와 몰탈 조성물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바이브레이터를 사용하여 금형을 진동시킨 후 수평자를 사용하여 상기 캐비티 상면을 밀어 잉여 몰탈을 평탄하게 다지는 몰탈 평탄화 단계와;
    상기 금형을 바이브레이터를 통해 수회 진동시켜 몰탈 조성물을 다지기 한 후 금형을 분리하여 양생하고 양생된 몰탈을 금형으로부터 탈형시키는 몰탈 탈형단계와;
    상기 몰탈 성형물의 사이즈를 정형화하고, 상기 성형물의 표면을 마감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장 마감용 사이딩 제조방법.
  4. 삭제
  5. 제 3 항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외장 마감용 사이딩 제품.
KR1020210064457A 2021-05-19 2021-05-19 건물의 외장 마감용 사이딩 제조용 몰탈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사이딩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102394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457A KR102394455B1 (ko) 2021-05-19 2021-05-19 건물의 외장 마감용 사이딩 제조용 몰탈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사이딩 제조방법 및 그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457A KR102394455B1 (ko) 2021-05-19 2021-05-19 건물의 외장 마감용 사이딩 제조용 몰탈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사이딩 제조방법 및 그 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4455B1 true KR102394455B1 (ko) 2022-05-04

Family

ID=81584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457A KR102394455B1 (ko) 2021-05-19 2021-05-19 건물의 외장 마감용 사이딩 제조용 몰탈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사이딩 제조방법 및 그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4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8284B1 (ko) 2023-01-10 2023-05-03 (주)아트윌씨앤아이 미네랄울을 적용하여 소성균열 방지와 강도증진 효과가 있는 조형물 제작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6164A (ja) * 1999-11-24 2001-11-13 Kanegafuchi Chem Ind Co Ltd 無機質水硬性組成物および無機質軽量成形体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2004068589A (ja) * 2002-07-24 2004-03-04 Asahi Fiber Glass Co Ltd 建築用断熱複合板
KR20050071426A (ko) * 2005-06-15 2005-07-07 손진호 무기섬유를 이용한 경질내화 차음보온재의 제작방법 및이에 따라 제작된 경질내화 차음보온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6164A (ja) * 1999-11-24 2001-11-13 Kanegafuchi Chem Ind Co Ltd 無機質水硬性組成物および無機質軽量成形体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2004068589A (ja) * 2002-07-24 2004-03-04 Asahi Fiber Glass Co Ltd 建築用断熱複合板
KR20050071426A (ko) * 2005-06-15 2005-07-07 손진호 무기섬유를 이용한 경질내화 차음보온재의 제작방법 및이에 따라 제작된 경질내화 차음보온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8284B1 (ko) 2023-01-10 2023-05-03 (주)아트윌씨앤아이 미네랄울을 적용하여 소성균열 방지와 강도증진 효과가 있는 조형물 제작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43520A (zh) 一种改进的混凝土空心砌块
CN1662713A (zh) 高性能的门
KR102394455B1 (ko) 건물의 외장 마감용 사이딩 제조용 몰탈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사이딩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20120105406A (ko) 장식 석판 부착 패널
CN103526874A (zh) 保温装饰一体化复合混凝土预制构件及其制造方法
CN104831891A (zh) 复合无机合成饰面一体化板及其加工工艺
ITPS20010017A1 (it) Procedimento atto ad ottenere pannelli piastrelle e simili con agglomerati minerali vari ed eventuale aggiunta di gomma o materie plastiche
KR102371889B1 (ko) 건물 외장 마감용 사이딩 장착구조와 그 시공방법
KR100671799B1 (ko) 흡차음 스톤패널
US20080003398A1 (en) Foam core cement shutter
KR20110099468A (ko) 강도가 우수한 합성목재 제품 및 그 제조방법
AU2013202049A1 (en) Tileable shower base and its method of preparation
CN113500690B (zh) 一种uhpc外墙装饰板的制作工艺
KR20110017793A (ko) 건축물 내외장용 경량패널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US20080141608A1 (en) Foam core cement and urethane shutters
KR20100050631A (ko) 건물 외벽 장식용 경량 콘크리트 몰딩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46296A (ko) 건물 내 외벽 장식용 경량 ds몰딩 및 제조방법
KR20070065980A (ko) 건축물의 외벽면 단열 마감 시공 방법
JP2005001959A (ja) セメント系断熱用パネル
JP2007190758A (ja) レジン被覆コンクリー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S6013159A (ja) 軽量気泡コンクリ−トパネル及びその製造法
KR101497983B1 (ko) 노출 콘크리트 패널의 제조방법
CN104400888B (zh) 砌块模具及利用其压制成型砌块的方法
WO2013010545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lete insulated high strength concrete element having a superior surface, as well as a high strength concrete element manufactured by said method
JP2000085043A (ja) 合成樹脂積層体及び枕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