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806B1 - 분산 방식으로 접속된 디바이스들을 사용하여 수도 시설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규모 조절이 가능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분산 방식으로 접속된 디바이스들을 사용하여 수도 시설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규모 조절이 가능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806B1
KR102393806B1 KR1020177023287A KR20177023287A KR102393806B1 KR 102393806 B1 KR102393806 B1 KR 102393806B1 KR 1020177023287 A KR1020177023287 A KR 1020177023287A KR 20177023287 A KR20177023287 A KR 20177023287A KR 102393806 B1 KR102393806 B1 KR 102393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device
water
flow rate
type
softw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3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9590A (ko
Inventor
끌로드 쏘마지니
Original Assignee
워터 매니저 에스. 에이 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워터 매니저 에스. 에이 알.엘 filed Critical 워터 매니저 에스. 에이 알.엘
Publication of KR20170109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9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05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uxiliary non-electric power combined with the use of electr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3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d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6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transmitting utility meters data, i.e. transmission of data from the reader of the utility me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80Arrangements in the sub-station, i.e. sensing device
    • H04Q2209/82Arrangements in the sub-station, i.e. sensing device where the sensing device takes the initiative of sending data
    • H04Q2209/823Arrangements in the sub-station, i.e. sensing device where the sensing device takes the initiative of sending data where the data is sent when the measured values exceed a threshold, e.g. sending an al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 Pipeline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목적은 수도 시설 전체에 분포되어 있고 서로 통신하는 다양한 특수화된 접속 디바이스들을 사용함으로써 수도 시설 전체를 제어하고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이러한 접속 디바이스들 각각은 다른 접속 디바이스들에 의해 전달되는 정보를 사용하여 자신의 기능 또는 기능들을 수행한다. 이들 접속 디바이스들들 각각은 다른 접속 디바이스들들과의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독립적으로 자신의 기능 또는 일부 기능들을 수행한다. 인터넷에 접속된 스마트폰, 터치스크린 태블릿, 컴퓨터, 서버 등과 같은 이동형 또는 고정형 디바이스들로부터, 사용자 또는 사용자들은 이러한 접속 디바이스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오작동을 보고받을 수 있으며, 수도 시설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산 방식으로 접속된 디바이스들을 사용하여 수도 시설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규모 조절이 가능한 시스템 및 방법
통상적으로, 물을 개폐하기 위한 조작은 수도꼭지부들 또는 밸브들에 대한 수동 동작을 통해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밸브들 중 하나 또는 수도꼭지부들 중 하나에 대해서 수동으로 동작이 수행되기까지 수도 시설의 일부를 일시적으로 격리할 수는 없다. 수도 시설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들이 있지만, 이러한 시스템들 각각은 센서들로부터 유래되는 정보 및 사용자의 지시사항을 프로세싱하고 이로써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중앙 프로세싱 유닛(접속되거나 그렇지 않음)을 기반으로 한다. 다양한 센서들 사이에는 상호 작용이 없으며 중앙 프로세싱 유닛만이 수도 시설의 운영을 관리한다.
수도 시설의 모니터링과 관련하여, 현재 자동 차단 디바이스들이 있지만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트리거된 경우 수동으로 리셋되어야 한다. 이러한 차단 디바이스들을 비활성화하고 다시 활성화하기 위해서 이러한 차단 디바이스들에 대해 직접적으로 동작을 취해야 한다. 이러한 선행 기술의 일례는 문헌 FR2870325에 개시된다. 또한, 급수 네트워크의 다양한 지점을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이러한 차단 디바이스들의 수를 늘려야하며, 이러한 차단 디바이스들은 서로 통신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어, 누수와 같은 수도 시설의 오작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검출하기 위해서, 이러한 차단 디바이스들 중 하나가 이러한 차단 디바이스들 중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유래되는 정보를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선행 기술의 다른 예는 FR3007925 문헌에서 개시된다. 본 문헌에서의 시스템은 수도 시설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게 하지만 중앙 프로세싱 유닛을 사용한다. 센서들-액추에이터들은 서로 통신하지 않고, 센서들-액추에이터들 전체를 단독으로 관리하는 주 제어-명령 디바이스에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이러한 타입의 센서들-액추에이터들만의 특성으로 인해서, 수도 시설을 오직 부분적으로만 제어 및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목적은 수도 시설 전체에 분포되어 있고 서로 통신하는 다양한 특수화된 접속 디바이스들을 사용함으로써 수도 시설 전체를 제어하고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이러한 접속 디바이스들 각각은 다른 접속 디바이스들에 의해 전달되는 정보를 사용하여 자신의 기능 또는 기능들을 수행한다. 이들 접속 디바이스들들 각각은 다른 접속 디바이스들들과의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독립적으로 자신의 기능 또는 일부 기능들을 수행한다. 인터넷에 접속된 스마트폰, 터치스크린 태블릿, 컴퓨터, 서버 등과 같은 이동형 또는 고정형 디바이스들로부터, 사용자 또는 사용자들은 이러한 접속 디바이스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오작동을 보고받을 수 있으며, 수도 시설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문헌의 나머지 부분에서, "시스템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이러한 접속 디바이스들을 서로 상호 접속시키고 이러한 접속 디바이스들이 인터넷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를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시스템 네트워크는 여러 무선 하위-네트워크들(예: Zigbee, WIFI, 6LoWPAN, 등) 및/또는 유선 네트워크들(예: 이더넷, HomePlug, 등) 및/또는 모바일 네트워크들(예: GPRS, UMTS, LTE, 등)으로 물리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접속 디바이스들은 일 프로토콜에서 다른 프로토콜로 전환하기 위해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제공한다.
본 문헌의 나머지 부분에서, 용어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는 스마트폰, 터치스크린 태블릿 또는 임의의 다른 이동 장치용 애플리케이션을 지칭하거나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과 소통하기 위해 필요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본 문헌의 나머지 부분에서, "원격 단말"이라는 용어는 스마트폰, 터치스크린 태블릿, 컴퓨터, 서버 등과 같이 인터넷에 접속된 모바일 장치들 또는 고정형 장치들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며, 이러한 모바일 장치들 또는 고정형 장치들 상에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과 상호 작용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설치된다.
본 문헌의 나머지 부분에서,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이라는 용어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통해 수도 시설에 대해 작용하도록 의도된 원격 단말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을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은 인터넷을 통해 그리고 이어서 시스템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디바이스로 전송되어 해당 접속 디바이스가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본 문헌의 나머지 부분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인스트럭션"이라는 용어는, 파라미터를 변경시키거나 또는 예를 들어, 욕조를 채우거나, 수영장을 물로 채우거나, 정원에 물을 주는 등과 같은, 프로그램들을 실행하도록,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대해 작용하도록 의도된 원격 단말에 대한 사용자의 동작을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사용자로부터의 인스트럭션은 인터넷을 통해 그리고 이어서 시스템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디바이스로 전송되어 해당 접속 디바이스가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본 문헌의 나머지 부분에서, "전기 밸브"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모터화된 밸브와 같은, 전기 신호를 사용하여 파이프 내에서의 물의 플로우 레이트를 제어하거나 변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디바이스를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모니터링 프로세스는 센서들을 내장한 접속 디바이스들을 사용하여, 물 누수, 수도 시설에 접속된 장치들의 비정상적인 소비, 또는 공급 차단과 같은 이상을 탐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접속 디바이스들 중 하나에 의해서 이상이 감지되면, 해당 접속 디바이스는 경고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상 징후의 심각성에 따라, 또는 사용자가 경보 메시지에 반응하지 않으면, 본 시스템을 포함하여 접속 디바이스들 각각은 예를 들어, 수도 시설의 일부분에 대해서 물을 차단하거나, 결함이 있는 장치를 정지시킴으로써 그 상황에 개입할 수 있다. 수도 시설의 상태를 시각화하고 및/또는 예를 들어, 소비 그래프, 통계사항 등을 수집된 정보들로부터 추출하기 위해, 접속 디바이스들에 의해 수집된 정보들이 최종적으로 프로세싱되어 원격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 프로세스는 접속 디바이스들에 인터넷에 의해서 수신된 사용자로부터의 명령 및 인스트럭션을 전송하여, 해당 접속 디바이스들이 필요한 경우, 예를 들어, 전기 밸브와 같은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물리적으로 수행되는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접속 디바이스들 내에 포함된 센서들은, 동작들이 실제로 수행되었는지 확인하고, 특정 사용자 인스트럭션에 따라, 규정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러한 제어 프로세스의 일부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수도 시설 전체에 걸쳐 분포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특수화된 접속 디바이스들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포함하는 접속 디바이스들들 각각은 하드웨어 수단 및 소프트웨어 수단을 포함함으로써,
- 시스템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을 통해 접속된 원격 단말과 통신하고,
- 시스템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접속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며,
- 해당 접속 디바이스의 기능이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의 프로세싱을 요구하고/하거나 이러한 프로세싱을 허용하는 경우에, 해당 접속 디바이스를 위해서 의도되어 시스템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을 실시간으로 프로세싱하고,
- 해당 접속 디바이스의 기능이 사용자로부터의 인스트럭션의 기록 및 실행을 요구하고/하거나 이러한 인스트럭션의 기록 및 실행을 허용하는 경우에, 사용자로부터의 인스트럭션을 기록하고 실행하며,
- 해당 접속 디바이스의 기능이 해당 정보 및/또는 경보사항의 전송을 요구하고/하거나 해당 정보 및/또는 경보사항의 전송을 허용하는 경우에, 시스템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해당 정보 및/또는 경보사항을 전송하며,
- 해당 접속 디바이스의 기능이 사용자로부터의 인스트럭션의 기록 및 실행을 요구하고/하거나 이러한 인스트럭션의 기록 및 실행을 허용하는 경우에, 사용자로부터의 인스트럭션을 기록하고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지 예로서 제공되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진 다음의 설명을 독해할 때 보다 양호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든 접속 디바이스들 내에 포함된 전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몇 가지 가능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액추에이터" 접속 디바이스에 대한 몇 가지 가능한 실시예 및 구성을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도시설 집수기(sanitary collector)" 접속 디바이스에 대한 몇 가지 가능한 실시예 및 구성을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식 수도시설 집수기" 접속 디바이스에 대한 몇 가지 가능한 실시예 및 구성을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2-핸들 혼합 수도꼭지부(two-handle mixing tap)" 접속 디바이스에 대한 몇 가지 가능한 실시예 및 구성을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플러그" 접속 디바이스에 대한 몇 가지 가능한 실시예 및 구성을 도시한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트 밸브(float valve)" 접속 디바이스에 대한 2 개의 가능한 실시예 및 구성을 도시한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에 따른 "습도 검출기" 접속 디바이스의 실시예 및 가능한 사용의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접속 디바이스들를 통해 수도 시설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플로우 레이트 센서를 포함한 접속 디바이스를 갖지 않는 물 경로 지점들에 대해 동작 구역들을 설정하는 템플릿의 예를 그래프의 형태로 도시한다.
도 11은 접속 디바이스들들의 각각의 플로우 레이트 센서를 구성하는 방법을 흐름도 형태로 도시한다.
도 12는 접속 디바이스들들의 각각의 플로우 레이트 센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을 흐름도 형태로 도시한다.
도 13은 접속 디바이스들들의 각각의 플로우 레이트 센서에 대한 경보 방법을 흐름도 형태로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든 접속 디바이스들은 전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인터페이스는,
- 시스템 네트워크와의 인터페이싱 기능;
- 필요한 센서 및 액추에이터와의 인터페이싱 기능; 및
- 본 발명에 따른 접속 디바이스들의 기능 또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정보 프로세싱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전자 인터페이스는 또한, 일 프로토콜에서 다른 프로토콜로 전환하기 위해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a는 전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가능한 실시예의 예를 도시한다. 유선 시스템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전기 케이블은 접속 디바이스를 시스템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 커넥터(1A-2)에 접속된다. 이 전기 케이블은 또한 해당 접속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 버스(1A-3)는 이 인터페이스 버스를 통해 통신하도록 신호들이 구성되게 한다. 논리 프로세싱 유닛(1A-4)은 접속 디바이스의 기능 또는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하드웨어 수단(마이크로 프로세서, 메모리, 등) 및 소프트웨어 수단을 포함한다. 필요하다면, 본 발명에 따른 접속 디바이스의 동작에 필수적인 액추에이터 제어 및/또는 센서 판독은 신호 구성을 실현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A-5)를 통해 수행된다. 접속 디바이스로의 전력 공급(시스템 네트워크의 케이블이 주 전원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백업임)은 전원 공급 유닛(1A-6)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력 공급 유닛은 단순한 전자 배터리, 충전기가 있거나 없는 축전지, 주 전원 등일 수 있다.
도 1b는 전자 인터페이스(1B-1)에 대한 가능한 실시예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는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 즉 논리 프로세싱 유닛(1B-4) 및 입력/출력 인터페이스(1B-5) 및 전력 공급 유닛(1B-6)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버스(1B-3)는 내장형 또는 비내장형인 안테나(1B-2)를 사용하여 무선 시스템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기 위해 전자기 신호를 방출하고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도 1c는 전자 인터페이스(1C-1)에 대한 가능한 실시예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는 도 1b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 즉 논리 프로세싱 유닛(1C-4), 입력/출력 인터페이스(1C-5) 및 전력 공급 유닛(1C-6)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버스(1C-3)는 하나는 유선이고 다른 하나는 무선인, 2개의 하위-네트워크 시스템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버스는 내장형 또는 비내장형인 안테나(1C-2b)를 사용하여 무선 시스템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기 위해 전자기 신호를 방출하고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유선 시스템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전기 케이블은 커넥터(1C-2a)에 접속된다. 이로써, 전자 인터페이스는 일 프로토콜에서 다른 프로토콜로 전환하기 위해 게이트웨이 기능을 보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든 접속 디바이스들 내에 내장된 전자 인터페이스(1D-1)에 대한 가능한 실시예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는 도 1b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 즉 안테나(1D-2), 인터페이스 버스(1D-3), 논리 프로세싱 유닛(1D-4) 및 입력/출력 인터페이스(1D-5)를 포함한다. 접속 디바이스의 전력 공급은 축전지(1D-6)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축전지는 수도 시설의 파이프에서 순환하는 물의 플로우 레이트에 의해 운용되는 발전기(1D-7)로 재충전되며, 일반적으로 상기 파이프는 접속 디바이스를 지지한다. 이로써, 접속 디바이스가 완전히 자율적으로 운영된다.
"센서-액추에이터" 접속 디바이스는, 수도 시설의 파이프에 접속되어, 상기 파이프를 통해 물의 분배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액추에이터" 접속 디바이스에 대한 가능한 실시예의 예를 도시한다. 이 접속 디바이스는 유입부(2A-2)와 유출부(2A-3)에 의해 연통된다. 따라서, 이 접속 디바이스는 통상적인 밸브로서 설치된다. 이 접속 디바이스는 해당 디바이스의 하류에서 물을 개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기 밸브(2A-4)를 포함한다. 이 전기 밸브는 해당 디바이스의 액추에이터 부분이다. 플로우 레이트 센서(2A-5)는 파이프 내에서 순환하는 물의 플로우 레이트에 따라 그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하는 전기 신호를 제공한다. 이러한 플로우 레이트 센서는 해당 디바이스의 센서 부분이다. 이러한 전기 밸브 및 플로우 레이트 센서는 전자 인터페이스(2A-1)에 접속된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액추에이터" 접속 디바이스에 대한 가능한 실시예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는 전자 인터페이스(2B-1), 수도 시설의 파이프에 대한 연통부들(2B-2 및 2B-3), 액추에이터 부분(2B-4) 및 플로우 레이트 센서(2B-5)에 대해서는 도 2a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요소들을 포함한다. 해당 디바이스의 센서 부분은 "센서-액추에이터" 접속 디바이스의 유입부에서 측정된 압력에 따라 그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하는 전기 신호를 공급하는 압력 센서(2B-6)에 의해 보강된다.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액추에이터" 접속 디바이스에 대한 가능한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본 접속 디바이스의 본체(2C-0)는 센서들, 전기 밸브 및 전자 인터페이스를 하우징한다. 이어서, 유입부용 피팅부(fitting)(2C-2)과 유출부용 피팅부(2C-3)를 사용하여 수도 시설의 파이프에 대한 연통부가 형성된다.
수도시설 집수기를 사용하면 물을 유입부로부터 해당 디바이스의 유출부들에 연통된 여러 파이프들로 분배할 수 있다. 이는 "문어발식"이라고 불리는 네트워크를 실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수도시설 집수기" 접속 디바이스는 상기한 기능 외에도, 그의 유출부에 연통된 파이프들을 통한 물의 분배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수도시설 집수기 접속 디바이스는 유출부들의 개수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특성화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3 개의 유출부를 갖는 "다중 차단형 수도시설 집수기(multi cut-off sanitary collector)" 접속 디바이스에 대한 가능한 실시예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다중 차단형 수도시설 집수기 접속 디바이스는 대체적으로 "센서-액추에이터" 접속 디바이스로부터 착안되었다. 물 유입부는 해당 디바이스의 각 단부에 위치한 유입부들(3A-2) 중 하나에 연통된다. 이렇게 하면, 여러 개의 "수도시설 집수기" 접속 디바이스들을 직렬로 배치할 수 있다. 파이프들은 유출부들(3A-3)에 연통된다. 본 다중 차단형 수도시설 집수기 접속 디바이스는 통상적인 수도시설 집수기 대신 설치된다. 본 다중 차단형 수도시설 집수기 접속 디바이스는 해당 디바이스의 각 유출부에서 물의 흐름을 개방하거나 차단할 수 있게 하는 전기 밸브들(3A-4)을 포함한다. 플로우 레이트 센서(3A-5)들 각각은 유출부들에 연통된 파이프들 각각에서 순환하는 물의 플로우 레이트에 따라 그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하는 전기 신호를 제공한다. 이러한 전기 밸브들 및 플로우 레이트 센서들은 전자 인터페이스(3A-1)에 접속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각각의 파이프를 서로 독립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3 개의 유출부를 갖는 "단일 차단형 수도시설 집수기" 접속 디바이스에 대한 가능한 실시예의 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는 자신을 수도 시설 및 센서(3B-5) 및 전기 밸브(3B-4)로 연통 및 접속시키기 위해서, 전자 인터페이스(3B-1), 유입부 연통부들(3B-2) 및 유출부 연통부들(3B-3)과 같은 도 3a에 도시된 것들과 동일한 유형의 요소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는, 유출부들에 연통된 모든 파이프들의 물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전기 밸브가 오직 하나만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파이프를 서로 독립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지만, 이 파이프들 모두가 오직 함께 제어된다.
도 3c는 4 개의 유출부가 있는 "다중 차단형 수도시설 집수기" 접속 디바이스의 가능한 구성의 예를 보여준다. 이 디바이스의 본체(3C-0)는 플로우 레이트 센서들, 전기 밸브들 및 전자 인터페이스를 하우징한다. 이어서, 유입부용 피팅부들(3C-2)과 유출부용 피팅부들(3C-3)을 사용하여 수도 시설의 파이프로의 연통이 이루어진다.
도 3d는 4 개의 유출부가 있는 "단일 차단형 수도시설 집수기" 접속 장치의 두 가지 가능한 구성 실례들을 보여준다. 이 디바이스의 본체(3D-0)는 플로우 레이트 센서들, 전기 밸브들 및 전자 인터페이스를 하우징한다. 이어서, 유입부용 피팅부들(3D-2)과 유출부용 피팅부들(3D-3)을 사용하여 수도 시설의 파이프로의 연통이 이루어진다.
수도 시설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수도시설 집수기들을 모듈화할 수 있다. 이로써, 모듀들을 추가하고 이로써 유출부를 집수기에 추가함으로써, 본 위생 설비의 크기를 확장할 수 있다. 이는 "모듈식 수도시설 집수기" 접속 디바이스의 목적이다. 이러한 모듈식 수도시설 집수기 접속 디바이스는 기본 모듈, 및 추가 모듈들을 포함하며, 추가 모듈들은 하나가 다른 것 상에 배치된다.
도 4a 내지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차단형 모듈식 수도시설 집수기" 접속 디바이스에 대한 실시예 및 구성의 가능한 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는 각각의 파이프를 서로 독립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4a는 기본 모듈에 대한 가능한 실시예의 예를 도시한다. 이 기본 모듈은 도 3a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유형의 요소들을 포함한다. 물 유입 파이프는 유입부 (4A-2)에 연통된다. 제 1 파이프는 유출부(4A-3)에 연통된다. 전기 밸브(4A-4)를 사용하면 본 디바이스의 유출부에서 물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플로우 레이트 센서(4A-5)는 해당 유출부에 연통된 파이프에서 순환하는 물의 플로우 레이트에 따라서 그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가 변하는 전기 신호를 제공한다. 전기 밸브 및 플로우 레이트 센서는 전자 인터페이스(4A-1)에 접속된다. 또한, 전자 인터페이스는, 유선 하위-시스템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기능을, 필요에 따라, 제공한다. 유선 하위-시스템 네트워크는, 추가 모듈을 시스템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 커넥터(4A-7)에 접속된다. 유출부(4A-6)는 이러한 추가 모듈의 유입부를 연통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4b는 추가 모듈에 대한 가능한 실시예의 예를 도시한다. 이 추가 모듈은 기본 모듈(또는 다른 추가 모듈)에, 유입부(4B-2)를 통해 연통되고 그리고 전기 커넥터(4B-8)를 통해 접속된다. 이로써, 이러한 추가 모듈은 물 유입부에 연통되고 시스템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다. 이 추가 모듈은 유출부(4B-3), 전기 밸브(4B-4), 플로우 레이트 센서(4B-5), 다른 추가 모듈로의 유출부(4B-6), 및 시스템 네트워크의 커넥터(4B-7)와 같은, 도 4a에 도시된 기본 모듈의 요소들 중 일부를 포함한다. 전자 인터페이스(4B-1)는 기본 모듈에 의해 분배된 유선 시스템 네트워크를 통해서만 통신한다.
도 4c는 기본 모듈(4C-0a) 및 추가 모듈들(4C-0b) 및 4 개의 유출부를 갖는 "다중 차단형 모듈식 수도시설 집수기" 접속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이들의 어셈블리에 대한 2 개의 가능한 구성 예를 도시한다. 수도 시설의 파이프들로의 연통은 유입부용 피팅부들(4C-2a) 및 유출부용 피팅부들(4C-3)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피팅부들(4C-6 및 4C-2b) 및 전기 커넥터들(4C-7 및 4C-8)을 사용하면 모듈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도 4d 내지 도 4f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차단형 모듈식 수도시설 집수기" 접속 디바이스에 대한 실시예 및 구성의 또 다른 가능한 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는 서로 독립적으로 각각의 파이프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지만, 파이프들 모두는 오직 다 같이 제어될 수 있다.
도 4d는 기본 모듈에 대한 가능한 실시예의 예를 도시한다. 이 기본 모듈은 도 4a에 도시된 요소들과 동일한 요소들을 포함한다. 유일한 차이점은 전기 밸브(4D-4)의 접속이다. 이 전기 밸브는 물 유입부에서 물을 직접적으로 차단하고, 유출부(4D-3) 및 유출부(4D-6)에서 물을 차단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는 기본 모듈의 유출부 이외에, 모든 추가 모듈의 유출부들을 동시에 제어한다.
도 4e는 추가 모듈에 대한 가능한 실시예의 예를 도시한다. 이 추가 모듈은 전기 밸브를 제외하고, 도 4c에 도시된 요소들 모두를 포함한다. 사실상, 기본 모듈이 모든 유출부들을 동시에 제어하기 때문에, 전기 밸브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된다.
도 4f는 기본 모듈(4F-1)과 추가 모듈들(4F-2) 및 4 개의 유출부가 있는 "단일 차단형 모듈식 수도시설 집수기" 접속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이들의 어셈블리에 대한 두 가지 가능한 구성 예들을 보여준다. 수도 시설의 파이프로의 연통은 유입부용 피팅부들(4F-2a) 및 유출부용 피팅부들(4F-3)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피팅부들(4F-6 및 4F-2b) 및 전기 커넥터들(4F-7 및 4F-8)을 사용하면, 이러한 모듈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수도 시설에 있는 수도꼭지부(tap)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어야 한다. 실제로, 이러한 수도꼭지부들은 종종 누수의 소스가 되거나 때로는 단순히 망각하여 개방 상태로 유지된다. "센서-액추에이터" 접속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이러한 단점을 해결할 수는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파이프의 전체가 차단된다. 또한, 시스템은 수도꼭지부 누수 상태와 망각하여 개방 상태로 유지된 상태를 구별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본 시스템은 "단순한 수도꼭지부" 접속 디바이스 또는 "2-핸들 혼합 수도꼭지부" 접속 디바이스 또는 "1-핸들 혼합 수도꼭지부" 접속 디바이스를 제안한다. 그러나, 2-핸들 혼합 수도꼭지부가 1-핸들 혼합 수도꼭지부보다 훨씬 더 많이 사용된다. 본 문헌에서 제공되는 예들은 1-핸들 혼합 수도꼭지부에 대해서 이루어지지만, 조작 메커니즘이나 메커니즘들을 간단하게 변경함으로써, 기존의 수도꼭지부 또는 2-핸들 혼합 수도꼭지부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2-핸들 혼합 수도꼭지부" 접속 디바이스에 대한 가능한 실시예의 예를 도시한다. 이 디바이스의 본체(5A-0)는 물 혼합 기능을 수행하는 카트리지(5A-3)를 포함하고 이 카트리지는 수도꼭지부가 열려 있는 지의 여부를 알 수 있게 하는 메커니즘과 일체로 된 센서를 포함한다. 이는 카트리지가 전자 인터페이스(5A-1)에 접속된 이유이다. 물 유입부(5A-2)는 2-핸들 혼합 수도꼭지부의 카트리지에 물을 직접 공급한다. 따라서, 이 간단한 디바이스는 본 시스템이 수도꼭지부가 열려 있는 지의 여부를 알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수도꼭지부" 접속 디바이스는 개폐 메커니즘에 해당 디바이스를 체결함으로써 임의의 수도꼭지부에 추가될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2-핸들 혼합 수도꼭지부" 접속 디바이스에 대한 가능한 실시예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 디바이스는 도 5a에 도시된 디바이스의 요소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 디바이스에서는, 센서(5B-3)를 구비한 카트리지에 전기 밸브(5B-4)가 추가되며, 본 디바이스는 수도꼭지부의 수동 조작 메커니즘과 일체화된다. 이로써, 이러한 전기 밸브는 2-핸들 혼합 수도꼭지부를 제어한다.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2-핸들 혼합 수도꼭지부" 접속 디바이스에 대한 가능한 실시예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 디바이스는 몸체(5C-0), 센서를 구비한 카트리지(5C-3), 전자 인터페이스(5C-1) 및 온수 유입부 및 냉수 유입부(5C-2)와 같은 도 5a에 도시된 디바이스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를 포함한다. 하나는 온수용이고 다른 하나는 냉수용인, 두 개의 플로우 레이트계(5C-5)가 각각 각 유입부와 카트리지 사이에 개재된다. 이로써, 모니터링은 더욱 정확해진다.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2-핸들 혼합 수도꼭지부" 접속 디바이스에 대한 가능한 실시예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 디바이스는 도 5c에 도시된 디바이스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 디바이스는 센서(5D-3)를 구비한 카트리지 상의 전기 밸브(5D-4)를 더 포함하며, 수도꼭지부의 수동 조작 메커니즘과 일체화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 밸브는 "2-핸들 혼합 수도꼭지부"를 제어한다.
수도 시설에 있어서 홈 오토메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주요 문제 중 하나는 배수 플러그의 제어 및 모니터링이다. 사실상, 예를 들어, 욕조를 채우려면, 배수 플러그가 먼저 닫혀야 하고 이러한 폐쇄 동작이 실제로 수행되었는지 보장해야 한다. 싱크대에 물이 가득 찬 경우에, 싱크대를 비우기 위해 배수 플러그를 열어야 한다. "배수 플러그" 접속 디바이스는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고자 한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플러그" 접속 디바이스의 모듈 검출기-액추에이터(6A-2a)에 대한 가능한 실시예의 예를 도시한다. 배수 플러그(6A-3)의 조작 로드(manoeuvring rod)는 축(6A-2d)을 중심으로 피벗 운동할 수 있다. 개폐 동작은 무한 스크류 모터(6A-2b)에 의해 제공된다. 검출기(6A-2c)는 조작 로드의 위치를 표시한다. 커넥터들(6A-2e 및 6A-2f)을 사용하면 검출기와 모터를 전자 인터페이스에 접속할 수 있다. 이로써, 이러한 간단한 디바이스는 배수 플러그를 조작하고 그 위치를 점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플러그" 접속 디바이스에 대한 가능한 실시예의 예를 도시한다. 배수 플러그의 본체(6B-0)가 단면으로 도시된다. 이로써, 배수 플러그(6B-4)의 조작 로드(6B-3)를 볼 수 있다. 모듈 검출기-액추에이터(6B-2)는 배수 플러그를 조작하는 기능 및 배수 플러그의 위치를 확인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모듈은 전자 인터페이스(6B-1)에 접속된다.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 플러그" 접속 디바이스에 대한 실시예 및 구성의 또 다른 가능한 예를 도시한다. 본 예에서, "배수 플러그" 접속 디바이스는 배수 사이펀(drinage siphon)(6C-0) 내에 포함되어 있다. 이 디바이스는 전기 밸브(6C-4)와 전자 인터페이스(6C-1)를 포함한다. 전기 밸브에는, 이 전기 밸브가 실제로 열려 있거나 실제로 닫혔는지를 감지하기 위해, 위치 센서(6C-5)가 제공된다. 이러한 전기 밸브 및 위치 센서는 전자 인터페이스에 접속된다. 피팅부들(6C-2 및 6C-3)을 사용하면, 상기 배수 사이펀을 수도 설비와 배수부에 연결할 수 있다. 이렇게 배수 사이펀을 사용하게 되면, 대부분의 싱크대, 세면기, 욕조 등을 간단하게 구축할 수 있다.
플러시 탱크는 가정에서는 높은 물 소비량을 갖는 디바이스이다. 오랜 시간 동안, 제조자들은 물을 절약할 수 있는 2-볼륨 시스템들을 개발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들은, 탱크 레벨 설정치를 쉽게 변경할 수 없다는 점에서, 정적인 측면을 갖는다. "플로트 밸브(float valve)" 접속 디바이스는 이러한 문제에 대응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수영장과 같은 다른 물 탱크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트 밸브" 접속 디바이스에 대한 실시예에 대한 두 가지 가능한 예를 도시한다. 플로트부(float)(7A-6)는 위치 센서(7A-5)를 작동시킨다. 이로써, 탱크 내의 수위는 검출되어 전자 인터페이스(7A-1)로 전달된다. 전기 밸브(7A-4)는 유입부(7A-2)에서 유출부(7A-3)로의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로써, 플로트부가 특정 수위 아래로 떨어지면 본 시스템은 탱크를 물로 채울 수 있다. 본 시스템은 또한 탱크가 채워지는 수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탱크의 최대 채워짐 수위를 매우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은 플로트부의 위치를 측정함으로써 물을 채우는 것을 모니터링한다.
본 시스템에 연결된 수도 장비의 수가 많을수록, 수도 시설의 모니터링 및 제어가 더 정확해진다. 따라서, 세탁기, 냉장고, 커피 기계 등과 같은 가정용 수도 연관 장치들을 직접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것이 유용하다. 전자 인터페이스는 이러한 가정용 수도 연관 장치가 제조될 때 이러한 장치에 일체화되거나, 또는 이후에 기술자에 의해 추가되어서, "수도 연관 장치(sanitary equipment)"로 지칭되는 접속 디바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간단하고 기능적인 API를 사용하면 다른 접속 디바이스들과의 통신이 실현된다. 구성은 용이해야 하며 원격 단말로부터 수행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이로써 접속된 수도 연관 장치와 직접 통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필요에 따라, 이러한 수도 연관 장치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다.
물 유입부를 검사할 때 모든 것이 정상적인 것처럼 보일지라도, 수도 연관 장치 누수가 종종 발생한다. 세탁기와 같은 수도 연관 장치의 배수 펌프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사례를 언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현재까지 기술된 디바이스들 중 어느 것도 적합한 해법을 제안하지 않는다. "습도 검출기" 접속 디바이스는 이러한 요구에 응답하기 위한 것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습도 검출기" 접속 디바이스에 대한 가능한 실시예의 예를 도시한다. 이 디바이스의 본체(8A-0)는 전자 인터페이스(8A-2)에 접속된 전극들(8A-1)을 갖는 습도 센서를 포함한다. 이러한 간단한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바닥에서 물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도 연관 장치"(8B-0) 접속 디바이스 및 "습도 검출기"(8B-2) 접속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 방법의 가능한 예를 도시한다. 세탁기는 이러한 세탁기를 본 발명에 따른 "수도 연관 장치" 접속 디바이스(8B-0)로 만드는 전자 인터페이스(8B-1)를 구비한다. 세탁기 아래에 있는 "습도 검출기" 접속 디바이스(8B-2)가 물을 감지하면, 이 "습도 검출기" 접속 디바이스(8B-2)는 세탁기에 의해 캡처된 동작을 전송하여, 세탁기의 프로그램을 중단하고 이어서 경보사항을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접속 디바이스들들을 통해 수도 시설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시스템은 일련의 접속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며, 각 접속 디바이스는 수도 시설의 특정 부분의 모니터링 및 제어에 참여한다. 제 1 "센서-액추에이터" 접속 디바이스(9-4)는 물 유입부(9-1), 일반적 차단 밸브(9-2) 및 일반적 플로우 레이트계(9-3) 바로 후방에서 네트워크의 헤드에 위치한다. 따라서, 이 제 1 "센서-액추에이터" 접속 디바이스(9-4)는 수도 시설 전체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한다. 이어서, 정원(9-7)과 수영장(9-8)으로의 물 유출부들 바로 전방에 두 개의 다른 "센서 액추에이터" 접속 디바이스들(9-5 및 9-6)이 배치된다. 이러한 처음 세 개의 접속 디바이스들은 집(9-24) 밖에 있다. "센서-액추에이터" 접속 디바이스(9-9)는 온수 생성 장치(9-10) 바로 앞에 배치된다. 이 "센서-액추에이터" 접속 디바이스(9-9)는 온수 생성 장치를 포함하여, 수도 시설의 온수 하위-네트워크를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데 참여한다. 3 개의 유출부를 갖는 "다중 차단형 모듈식 수도시설 집수기" 접속 디바이스(9-11)는 부엌(9-19), 욕실(9-20) 및 화장실(9-15)으로의 각 온수 유출부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한다. 4 개의 유출부가 있는 "다중 차단형 모듈식 수도시설 집수기" 접속 디바이스(9-12)는 부엌(9-21), 세탁기(9-13), 욕실(9-22), 및 화장실(9-15)으로의 각 온수 유출부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한다. 화장실(9-15)에는, "2-핸들 혼합 수도꼭지부" 접속 디바이스(9-16), 및 "배수 플러그" 접속 디바이스(9-17)가 제공된 세면대가 존재한다. 또한, 플러시 탱크가 존재하며, 이 플러시 탱크에는 이 탱크의 물 채움을 제어하고 모니터링하는 "플로트 밸브" 접속 디바이스(9-18)가 제공된다. 이러한 접속 디바이스들 전체는 지그비 무선 접속을 통해 시스템 네트워크에 접속된다. 집(9-24)에 이미 존재하고 인터넷(9-25)과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ADSL 박스(9-23)가 사전에 장착된 지그비 접속을 통해 접속 디바이스들 전체에 접속된다.
도 10은 플로우 레이트 센서가 포함된 전용 접속 디바이스를 구비하지 않은 수도 시설 구역에 대한 동작 상의 한계치를 설정하는 템플릿을 그래프 형태로 보여준다. 플로우 레이트 센서를 포함하는 전용 접속 디바이스를 갖추지 않는 여러 수도 시설 구역의 템플릿들은 이러한 수도 시설 구역들에 물을 공급하는 접속 디바이스의 물 유출부에 대한 동작 상의 한계치를 나타내는 템플릿만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정상 동작 구역(10-1)은 플로우 레이트/시간 쌍이 유지되어야 하는 구역이다. 플로우 레이트/시간 쌍이 누수 경고 구역(10-2)으로 들어가면, 이러한 수도 시설 구역들에 물을 공급하는 접속 디바이스는 경고 신호를 발송해야 한다. 플로우 레이트가 커져서 차단 경보 구역(10-3) 내로 들어가면, 이러한 수도 시설 구역들에 물을 공급하는 접속 디바이스는 급수를 차단하고 중단 경고 신호를 발송해야 한다.
도 11은 접속 디바이스들 각각의 플로우 레이트 센서를 구성하는 방법을 흐름도의 형태로 나타낸다. 첫 번째 단계(11-1)는 동작 한계치를 하기와 같이 설정하는 템플릿을 생성하는 것이다:
D = 0 l/min ∀ t
여기서, D는 플로우 레이트을 나타내고 t는 시간을 나타낸다. 다음 단계(11-2)는 접속 디바이스가 시스템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디바이스를 감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다음 단계(11-3)는 사용자가 상기 방법으로 구성된 상기 플로우 레이트 센서에 물을 공급하는 전기 밸브를 포함하는 접속 디바이스를 규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기 밸브는 변수 "A"에 기록된다. 다음 단계(11-4)는 사용자가 이러한 유출부에 의해 물이 직접적으로 공급되는 접속 디바이스들 전체를 규정할 수 있게 해 주는 루프형 과정이다. 이러한 접속 디바이스들은 다음과 같은 알고리즘에 따라서 해당 목록들에 기록된다:
● 접속 디바이스에 전기 밸브가 포함되어 있으면, 이 전기 밸브가 "ov"라고 지칭된 목록에 기록된다.
● 접속 디바이스에 플로우 레이트 센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 플로우 레이트 센서는 "od"라고 지칭된 목록에 기록된다.
● 접속 디바이스에 습도 센서가 포함되어 있으면, 이 습도 센서가 "oh"라고 지칭된 목록에 기록된다.
루프(11-5)는 사용자로 하여금, 접속 디바이스가 없고 이러한 물 유출부에 의해서 물이 직접적으로 공급되는 물 경로 지점들을 규정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루프 동안, 논리 프로세싱 유닛은 이러한 물 경로 지점들에 대한 동작 한계치를 나타내는 템플릿을 개발한다.
도 12는 접속 디바이스들들의 각각의 플로우 레이트 센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을 흐름도 형태로 나타낸다. 첫 번째 단계(12-1)에서, 목록 "ov"에 기록된 전기 밸브를 갖는 접속 디바이스들 중 하나가 이러한 전기 밸브가 닫히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보냈는지의 여부, 또한 목록 "oh"에 기록된 습도 센서를 갖는 접속 디바이스들 중 하나가 상기 습도 센서가 습도를 감지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보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상기 습도 센서가 습도를 감지했다거나 전기 밸브가 닫히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신호가 발송되었으면, 단계(12-9)는 전기 밸브 "A"를 닫고 단계(12-10)는 "폐쇄" 경보를 보낸다. 그렇지 않으면, 다음 단계(12-2)에서, 이러한 방법으로 모니터링된 플로우 레이트 센서에 의해 제공된 플로우 레이트 값 D가 측정된다. 다음 단계(12-3)는 이러한 플로우 레이트 D가 0 l/min보다 큰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다음 단계(12-4)는 전기 밸브 "A"가 닫혀 있지 않은지 확인한다. 전기 밸브 "A"가 닫혀 있다면, 이는 전기 밸브가 작동 중이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경우에, 단계(12-12)는 "폐쇄 오류(closing fault)" 경보를 보내어 이를 공급하고 있는 접속 디바이스에 경고한다. 전기 밸브 "A"가 닫히지 않으면, 루프(12-5)는 해당 접속 디바이스가 다음을 계산할 수 있게 한다:
Dj = D - ∑Di
여기서, Dj는 잔류 플로우 레이트를 나타내고, D는 단계(12-2)에서 측정된 플로우 레이트를 나타내고, ∑Di는 목록 "od"에 기록된 플로우 레이트 센서들에 의해 측정된 플로우 레이트들의 합을 나타낸다. 다음 단계(12-6)는 잔류 플로우 레이트 Dj가 0보다 큰지를 확인한다. 0보다 큰 경우에, 다음 단계(12-7)에서, 잔류 플로우 레이트가 정상 동작 구역에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해당 설정 동안에 개발된 템플릿이 사용된다. 잔류 플로우 레이트가 정상 동작 구역에 있지 않다면, 단계(12-8)는 경보 방법을 호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3은 접속 디바이스들들의 각각의 플로우 레이트 센서에 대한 경보 방법을 흐름도 형태로 도시한다. 첫 번째 단계(13-1)에서는, 잔류 플로우 레이트 Dj가 중단 경고 영역에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설정 동안에 개발된 템플릿이 사용된다. 잔류 플로우 레이트 Dj가 중단 경고 영역에 있다면, 접속 디바이스는 물 유출부에서 물 공급을 차단하고(13-8). 본 방법을 종료하기 이전에 시스템 네트워크를 통해 "중단" 경보를 전송한다(13-9). 잔류 플로우 레이트 Dj가 중단 경고 영역에 있지 않다면, 단계(13-2)에서, 물 경로 지점들 중 하나의 지점 상에서 프로그램이 진행 중인지를 검사한다. 프로그램이 진행중이라면, 본 방법은 종료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 단계(13-3)에서, X 초 미만 이전에 경고가 이미 전송되었는 지의 여부가 확인되며, 여기서 X는 사용자가 반응할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합당한 시간 양을 나타낸다. 단계(13-4)에서, 관측된 오류에 대해 3 번의 경보들이 이미 전송되었는지가 체크된다. 그러한 경우에, 단계(13-5)에서, 전기 밸브를 폐쇄하고, 단계(13-5)에서, 본 방법을 종료하기 전에 시스템 네트워크를 통해 "폐쇄" 경고를 전송한다. 그렇지 않으면, 단계(13-7)에서, 방법을 종료하기 전에 시스템 네트워크를 통해 "누수(leak)" 경고를 전송한다.

Claims (21)

  1. 시스템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접속 디바이스들에 의해 수도 시설(sanitary facility) 및 상기 수도 시설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모니터링, 관리 및 제어하는 규모 조절이 가능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scalable home automation system)으로서,
    상기 시스템 네트워크는,
    Zigbee, 와이파이(Wi-Fi), 또는 IPv6 저전력 무선 사설 네트워크(6LoWPAN)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무선 네트워크;
    이더넷, 또는 HomePlug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PRS),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 또는 롱-텀 에볼루션(LT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모바일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모바일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하위-네트워크들로 물리적으로 분할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접속 디바이스들은:
    상기 접속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시스템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네트워크와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전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인터페이스는:
    논리 프로세싱 유닛으로서, 상기 논리 프로세싱 유닛이 접속 디바이스의 기능 또는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논리 프로세싱 유닛;
    상기 시스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다른 접속 디바이스들과 통신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접속 디바이스들 간의 상호 접속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시스템 네트워크에서 적어도 하나의 신호의 전송이 지원되는 범위를 확장하도록 중계기 기능을 보장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각각이 상이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두 개의 하위-시스템 네트워크를 상호 접속하기 위해 게이트웨이 기능을 보장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스마트폰, 터치스크린 태블릿, 컴퓨터, 또는 서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인터넷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원격 단말들과 통신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다른 접속 디바이스들에 의해 전달된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접속 디바이스의 기능 또는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인터넷에 접속된 상기 원격 단말들에 의해 전달된 정보 또는 명령을 사용함으로써 접속 디바이스의 기능 또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경고 메시지 또는 정보를 원격 단말들에 전송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고
    상기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은:
    상기 접속 디바이스들 중 하나가 보낸, 밸브가 닫히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신호에 반응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접속 디바이스들이 보낸, 적어도 하나의 접속 디바이스가 습도를 감지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에 반응하고, 상기 반응은 상기 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시스템 네트워크를 통해서 "폐쇄" 경고를 전송하는 것이고;
    플로우 레이트 센서에 의해 제공된 플로우 레이트(D)를 측정하고;
    상기 플로우 레이트(D)가 0 l/min보다 큰 지(D > 0 l/min)를 확인하고 크지 않다면, 상기 반응하는 단계로 복귀하고;
    상기 밸브가 닫혀 있지 않은지 확인―상기 밸브가 닫혀 있지 않은 것은 상기 밸브가 오류 상태에 있다는 것을 나타냄―하고 접속 디바이스에 통지하기 위해 "폐쇄 오류(closing fault)" 경보를 전송하기로 바로 전환하고;
    잔류 플로우 레이트(Dj)를 계산하고, 여기서 잔류 플로우 레이트(Dj) = 플로우 레이트(D) - 목록 "od"에 기록된 플로우 레이트 센서에 의해 측정된 플로우 레이트들의 합(∑Di)으로 계산되고,
    상기 잔류 플로우 레이트(Dj)가 0보다 큰 지를 확인하고; 그리고
    상기 잔류 플로우 레이트(Dj)가 정상 동작 구역에 있지 않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잔류 플로우 레이트(Dj)라는 한 가지 파라미터에 대한 경보 방법을 적용하도록 구성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센서-액추에이터(sensor-actuator) 타입 접속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액추에이터 타입 접속 디바이스는,
    상기 센서-액추에이터 타입 접속 디바이스의 상기 수도 시설의 파이프로의 연결을 실현하는, 일 단부의 물(water) 유입부용 피팅부(fitting) 및 타단부의 물 유출부용 피팅부;
    전기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센서-액추에이터 타입 접속 디바이스가 장착된 파이프에서 순환하는 물의 플로우 레이트(flow rate)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전기 밸브; 및
    전기 신호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플로우 레이트 센서로서, 상기 전기 신호는 상기 센서-액추에이터 타입 접속 디바이스가 장착된 파이프에서 순환하는 물의 플로우 레이트에 따라서 가변하는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갖는, 상기 플로우 레이트 센서;를 포함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액추에이터 타입 접속 디바이스는 물 유입부에서의 수압에 따라서 그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하는 다른 전기 신호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단일 차단형 수도시설 집수기(single cut-off sanitary collector) 타입 접속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단일 차단형 수도시설 집수기 타입 접속 디바이스는 복수의 회로형 유출부들 및 단일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단일 차단형 수도시설 집수기 타입 접속 디바이스는,
    주 파이프 및/또는 다른 수도시설 집수기와 연통하기 위해서 상기 단일 차단형 수도시설 집수기 타입 접속 디바이스의 양 단부들 각각에 존재하는 물 유입부용 피팅부;
    보조 파이프들과의 연통 및 상기 단일 차단형 수도시설 집수기 타입 접속 디바이스의 설치를 실현하는 상기 단일 차단형 수도시설 집수기 타입 접속 디바이스의 측부에 존재하는 각 물 유출부용 피팅부;
    전기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단일 차단형 수도시설 집수기 타입 접속 디바이스의 모든 물 유출부들로 순환하는 물의 플로우 레이트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전기 밸브; 및
    각 물 유출부용 플로우 레이트 센서로서, 상기 플로우 레이트 센서가 연결된 물 유출부로 순환하는 물의 플로우 레이트에 따라서 그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가 변하는 전기 신호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상기 플로우 레이트 센서;를 포함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다중 차단형 수도시설 집수기(multi cut-off sanitary collector) 타입 접속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다중 차단형 수도시설 집수기 타입 접속 디바이스는 복수의 회로형 유출부들 및 상기 유출부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밸브들을 포함하며,
    상기 다중 차단형 수도시설 집수기 타입 접속 디바이스는,
    주 파이프 및/또는 다른 수도시설 집수기와 연통하기 위해서 상기 다중 차단형 수도시설 집수기 타입 접속 디바이스의 양 단부들 각각에 존재하는 물 유입부용 피팅부;
    보조 파이프들과의 연통 및 상기 다중 차단형 수도시설 집수기 타입 접속 디바이스의 설치를 실현하는 상기 다중 차단형 수도시설 집수기 타입 접속 디바이스의 측부에 존재하는 각 물 유출부용 피팅부;
    각 물 유출부용 전기 밸브로서, 전기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전기 밸브가 연결된 물 유출부로 순환하는 물의 플로우 레이트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상기 전기 밸브; 및
    각 물 유출부용 플로우 레이트 센서로서, 상기 플로우 레이트 센서가 연결된 물 유출부로 순환하는 물의 플로우 레이트에 따라서 그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가 변하는 전기 신호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상기 플로우 레이트 센서;를 포함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차단형 모듈식 수도시설 집수기 타입 접속 디바이스는,
    상기 단일 차단형 수도시설 집수기 타입 접속 디바이스를 기초로 하여 구성되는, 단일 차단형 기본 모듈 접속 디바이스; 및
    상기 단일 차단형 모듈식 수도시설 집수기 타입 접속 디바이스의 연통을 실현하는 수도시설 집수기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단일 차단형 수도시설 집수기 타입 접속 디바이스를 기초로 하여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일 차단형 추가 모듈 접속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단일 차단형 기본 모듈 접속 디바이스는:
    주 파이프와의 연통을 실현하는 물 유입부용 피팅부;
    상기 단일 차단형 추가 모듈 접속 디바이스들과의 연통을 실현하는 주 물 유출부용 피팅부;
    상기 단일 차단형 추가 모듈 접속 디바이스들을, 상기 단일 차단형 기본 모듈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된 유선 시스템 네트워크에 접속시키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
    보조 파이프와의 연통을 실현하는 보조 물 유출부용 피팅부;
    전기 신호를 사용하여, 주 물 유출부 및 보조 물 유출부로 순환하는 물의 플로우 레이트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전기 밸브; 및
    상기 보조 물 유출부로 순환하는 물의 플로우 레이트에 따라서 그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하는 전기 신호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플로우 레이트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일 차단형 추가 모듈 접속 디바이스는:
    단일 차단형 추가 모듈 접속 디바이스를 상기 단일 차단형 기본 모듈 접속 디바이스에 연통시키거나, 다른 단일 차단형 추가 모듈 접속 디바이스에 연통시키도록 구성된 물 유입부용 피팅부;
    단일 차단형 추가 모듈 접속 디바이스를, 상기 단일 차단형 기본 모듈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서 유선 시스템에 접속시키거나 또는 다른 단일 차단형 추가 모듈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서 전송된 유선 시스템에 접속시키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
    다른 단일 차단형 추가 모듈 접속 디바이스와의 연통을 실현하는 주 물 유출부용 피팅부;
    다른 단일 차단형 추가 모듈 접속 디바이스를, 상기 단일 차단형 기본 모듈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공급되거나 상기 단일 차단형 추가 모듈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서 전송된 시스템 네트워크에 접속시키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
    보조 파이프와의 연통을 실현하는 보조 물 유출부용 피팅부; 및
    보조 물 유출부로 순환하는 물의 플로우 레이트에 따라서 그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하는 전기 신호를 공급하는, 플로우 레이트 센서;를 포함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차단형 모듈식 수도시설 집수기 타입 접속 디바이스는,
    상기 다중 차단형 수도시설 집수기 타입 접속 디바이스를 기초로 하여 구성되는, 다중 차단형 기본 모듈 접속 디바이스; 및
    상기 다중 차단형 모듈식 수도시설 집수기 타입 접속 디바이스의 연통을 실현하는 수도시설 집수기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다중 차단형 수도시설 집수기 타입 접속 디바이스를 기초로 하여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중 차단형 추가 모듈 접속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다중 차단형 기본 모듈 접속 디바이스는:
    주 파이프와의 연통을 실현하도록 구성된 물 유입부용 피팅부;
    상기 다중 차단형 추가 모듈 접속 디바이스들 각각과의 연통을 실현하도록 구성된 주 물 유출부용 피팅부;
    다중 차단형 추가 모듈 접속 디바이스를, 상기 다중 차단형 기본 모듈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서 유선 시스템 네트워크에 접속시키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
    보조 파이프와의 연통을 실현하는 보조 물 유출부용 피팅부;
    전기 신호를 사용하여, 보조 물 유출부로 순환하는 물의 플로우 레이트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전기 밸브; 및
    상기 보조 물 유출부로 순환하는 물의 플로우 레이트에 따라서 그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하는 전기 신호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플로우 레이트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중 차단형 추가 모듈 접속 디바이스는:
    상기 다중 차단형 추가 모듈 접속 디바이스를 상기 다중 차단형 기본 모듈 접속 디바이스에 연통시키거나, 다른 다중 차단형 추가 모듈 접속 디바이스에 연통시키도록 구성된 물 유입부용 피팅부;
    상기 다중 차단형 추가 모듈 접속 디바이스를, 상기 다중 차단형 기본 모듈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서 제공되거나 다른 다중 차단형 추가 모듈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서 전송된 유선 시스템에 접속시키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
    다른 다중 차단형 추가 모듈 접속 디바이스와의 연통을 실현하는 주 물 유출부용 피팅부;
    다른 다중 차단형 추가 모듈 접속 디바이스를, 상기 다중 차단형 기본 모듈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 공급되거나 상기 다중 차단형 추가 모듈 접속 디바이스에 의해서 전송된 시스템 네트워크에 접속시키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
    보조 파이프와의 연통을 실현하는 보조 물 유출부용 피팅부;
    전기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보조 물 유출부로 순환하는 물의 플로우 레이트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전기 밸브; 및
    보조 물 유출부로 순환하는 물의 플로우 레이트에 따라서 그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하는 전기 신호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플로우 레이트 센서;를 포함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간단형 수도꼭지부(simple tap) 타입 접속 디바이스 또는 1-핸들 혼합 수도꼭지부 타입 접속 디바이스 또는 2-핸들 혼합 수도꼭지부 타입 접속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간단형 수도꼭지부 타입 접속 디바이스 또는 1-핸들 혼합 수도꼭지부 타입 접속 디바이스 또는 2-핸들 혼합 수도꼭지부 타입 접속 디바이스는,
    간단형 수도꼭지부용 물 유입부용 피팅부 또는 1-핸들 혼합 수도꼭지부용 또는 2-핸들 혼합 수도꼭지부용의 2 개의 물 유입부용 피팅부를 포함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간단형 수도꼭지부용 물 유입부에 대한, 또는 상기 1-핸들 혼합 수도꼭지부용 또는 상기 2-핸들 혼합 수도꼭지부용의 2 개의 물 유입부 각각에 대한, 플로우 레이트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플로우 레이트 센서는 상기 센서가 연결된 물 유입부에서 순환하는 플로우 레이트에 따라서 그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하는 전기 신호를 공급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간단형 수도꼭지부 타입 접속 디바이스 또는 상기 1-핸들 혼합 수도꼭지부 타입 접속 디바이스에 대해서 센서를 포함하거나,
    상기 2-핸들 혼합 수도꼭지부 타입 접속 디바이스에 대해서 2 개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들 각각은, 상기 수도꼭지부의 개방을 검출하는 상기 수도꼭지부의 메커니즘의 위치에 따라서, 그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이 변화하는 전기 신호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전기 신호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간단형 수도꼭지부 타입 접속 디바이스 또는 1-핸들 혼합 수도꼭지부 타입 접속 디바이스 또는 2-핸들 혼합 수도꼭지부 타입 접속 디바이스에서 순환하는 물의 플로우 레이트를 변화시키도록 구성된 전기 밸브를 포함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간단형 수도꼭지부 타입 접속 디바이스 또는 1-핸들 혼합 수도꼭지부 타입 접속 디바이스 또는 2-핸들 혼합 수도꼭지부 타입 접속 디바이스의 각 물 유입부에서,
    상기 간단형 수도꼭지부 타입 접속 디바이스 또는 1-핸들 혼합 수도꼭지부 타입 접속 디바이스 또는 2-핸들 혼합 수도꼭지부 타입 접속 디바이스의 물 유입부에서 순환하는 플로우 레이트를, 전기 신호를 사용함으로써, 변화시키도록 구성된 전기 밸브를 포함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플로트 밸브(float valve) 타입 접속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플로트 밸트 타입 접속 디바이스는:
    상기 수도 시설의 파이프에 상기 플로트 밸브 타입 접속 디바이스를 연통시키도록 구성된 물 유입부용 피팅부;
    탱크를 물로 채울 수 있게 하는 물 유출부;
    상기 탱크의 수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위치 센서가 일체화된 플로트부(float); 및
    전기 신호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물 유출부로 순환하는 물의 플로우 레이트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전기 밸브;를 포함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수도-연관 장치 타입 접속 디바이스(connected device as sanitary equipment)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수도-연관 장치 타입 접속 디바이스가,
    상기 시스템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수도-연관 장치 타입 접속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 및 상기 수도-연관 장치 타입 접속 디바이스의 물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수도-연관 장치 타입 접속 디바이스가 다른 접속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서 자신의 동작을 변경할 수 있게 하며,
    인터넷에 접속된 원격 단말을 통해 제어될 수 있게 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배수 플러그(drainage plug) 타입 접속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 플러그 타입 접속 디바이스는:
    전기 신호를 사용함으로써, 물 유입부에서 물 유출부로 순환하는 물의 플로우 레이트를 제어하며 이로써 배수부에서의 물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위치 센서가 제공된 전기 밸브; 또는
    메커니즘으로서,
    전기 신호를 사용함으로써, 배수 플러그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며 이로써 배수부에서의 물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조작 로드(manoeuvring rod) 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 및
    상기 배수 플러그의 적절한 개방 및 적절한 폐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위치 센서;를 포함하는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디바이스는 습도 센서인,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17. 수도 시설과 구성요소들을 모니터링, 관리 및 제어하는 규모 조절이 가능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플로우 레이트 센서를 구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시스템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접속 디바이스들에 의한 수도 시설을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 네트워크는,
    Zigbee, 와이파이(Wi-Fi), 또는 IPv6 저전력 무선 사설 네트워크(6LoWPAN)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무선 네트워크;
    이더넷, 또는 HomePlug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PRS),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 또는 롱-텀 에볼루션(LT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모바일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모바일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하위-네트워크들로 물리적으로 분할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접속 디바이스들은:
    상기 시스템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네트워크와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전자 인터페이스;
    센서-액추에이터 타입 접속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인터페이스는:
    논리 프로세싱 유닛으로서, 상기 논리 프로세싱 유닛이 접속 디바이스의 기능 또는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논리 프로세싱 유닛;
    상기 시스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모든 다른 접속 디바이스들과 통신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접속 디바이스들 간의 상호 접속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시스템 네트워크에서 적어도 하나의 신호의 전송이 지원되는 범위를 확장하도록 중계기 기능을 보장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각각이 상이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두 개의 하위-시스템 네트워크를 상호 접속하기 위해 게이트웨이 기능을 보장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스마트폰, 터치스크린 태블릿, 컴퓨터, 또는 서버와 같은 것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인터넷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원격 단말들과 통신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다른 접속 디바이스들에 의해 전달된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접속 디바이스의 기능 또는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인터넷에 접속된 상기 원격 단말들에 의해 전달된 정보 또는 명령을 사용함으로써 접속 디바이스의 기능 또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경고 메시지 또는 정보를 원격 단말들에 전송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액추에이터 타입 접속 디바이스는:
    상기 센서-액추에이터 타입 접속 디바이스의 상기 수도 시설의 파이프로의 연결을 실현하는, 일 단부의 물 유입부용 피팅부 및 타단부의 물 유출부용 피팅부;
    전기 신호를 사용하여, 상기 센서-액추에이터 타입 접속 디바이스가 장착된 파이프에서 순환하는 물의 플로우 레이트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전기 밸브; 및
    전기 신호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플로우 레이트 센서로서, 상기 전기 신호는 상기 센서-액추에이터 타입 접속 디바이스가 장착된 파이프에서 순환하는 물의 플로우 레이트에 따라서 가변하는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갖는, 상기 플로우 레이트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플로우 레이트(D) = 0 l/min ∀ 시간(t)를 갖는 템플릿(template)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에 접속된 다른 접속 디바이스들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플로우 레이트 센서에 물을 공급하는 전기 밸브를 포함하는 접속 디바이스를 규정하고 상기 논리 프로세싱 유닛이 상기 전기 밸브를 A로 지칭되는 변수에 기록하게 하는 단계;
    상기 플로우 레이트 센서에 의해 물이 직접적으로 공급된 접속 디바이스들을 규정하고 상기 논리 프로세싱 유닛이 알고리즘을 실행하게 하는 일련의 단계들로서, 상기 알고리즘에서는,
    상기 전기 밸브를 제 1 목록에 기록하고,
    플로우 레이트 센서를 제 2 목록에 기록하고,
    습도 센서를 제 3 목록에 기록하는, 상기 일련의 단계들; 및
    상기 논리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플로우 레이트 센서를 포함하는 전용 접속 디바이스를 구비하지 않은 물 경로 지점들(water points)에 대한 동작 한계치를 설정하는 템플릿을 생성하는 일련의 단계들로서, 상기 물 경로 지점들로의 물 공급은 상기 방법에 의해서 구성된 상기 플로우 레이트 센서에 의해 직접적으로 제어되는, 상기 일련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플로우 레이트 센서 구성 방법.
  18. 수도 시설과 구성요소들을 모니터링, 관리 및 제어하는 규모 조절이 가능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플로우 레이트 센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시스템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접속 디바이스들에 의한 수도 시설을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 네트워크는,
    Zigbee, 와이파이(Wi-Fi), 또는 IPv6 저전력 무선 사설 네트워크(6LoWPAN)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무선 네트워크;
    이더넷, 또는 HomePlug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PRS),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 또는 롱-텀 에볼루션(LT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모바일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모바일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하위-네트워크들로 물리적으로 분할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접속 디바이스들은:
    상기 시스템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네트워크와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전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인터페이스는:
    논리 프로세싱 유닛으로서, 상기 논리 프로세싱 유닛이 접속 디바이스의 기능 또는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논리 프로세싱 유닛;
    상기 시스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모든 다른 접속 디바이스들과 통신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접속 디바이스들 간의 상호 접속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시스템 네트워크에서 적어도 하나의 신호의 전송이 지원되는 범위를 확장하도록 중계기 기능을 보장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각각이 상이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두 개의 하위-시스템 네트워크를 상호 접속하기 위해 게이트웨이 기능을 보장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스마트폰, 터치스크린 태블릿, 컴퓨터, 또는 서버와 같은 것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인터넷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원격 단말들과 통신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다른 접속 디바이스들에 의해 전달된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접속 디바이스의 기능 또는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인터넷에 접속된 상기 원격 단말들에 의해 전달된 정보 또는 명령을 사용함으로써 접속 디바이스의 기능 또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경고 메시지 또는 정보를 원격 단말들에 전송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하는 방법은:
    상기 논리 프로세싱 유닛이, 접속 디바이스들 중 하나가 보낸 전기 밸브가 닫히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신호, 또는 접속 디바이스들 중 하나가 보낸 접속 디바이스가 습도를 감지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에 반응하는, 반응 단계로서, 상기 논리 프로세싱 유닛에 의한 반응은 상기 전기 밸브 "A"를 폐쇄하고 상기 시스템 네트워크를 통해서 "폐쇄" 경고를 전송하는 것인, 상기 반응 단계;
    상기 방법에 의해서 모니터링된 플로우 레이트 센서에 의해 제공된 플로우 레이트(D)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플로우 레이트(D)가 0 l/min보다 큰 지(D > 0 l/min)를 확인하고 크지 않다면, 상기 반응 단계로 복귀하는 단계;
    상기 전기 밸브 "A"가 닫혀 있지 않은지 확인―상기 전기 밸브 "A"가 닫혀 있지 않은 것은 상기 전기 밸브가 오류 상태에 있다는 것을 나타냄―하고, 상기 전기 밸브를 포함하고 있는 접속 디바이스에 통지하기 위해 "폐쇄 오류(closing fault)" 경보를 전송하기로 바로 전환하고, 상기 반응 단계로 복귀하는 단계;
    잔류 플로우 레이트(Dj)를 계산하는 일련의 루프형 단계들로서, 여기서 잔류 플로우 레이트(Dj) = 플로우 레이트(D) - 목록 "od"에 기록된 플로우 레이트 센서에 의해 측정된 플로우 레이트들의 합(∑Di)으로 계산되고;
    상기 잔류 플로우 레이트(Dj)가 0보다 큰 지를 확인하고 크지 않으면, 상기 반응 단계로 복귀하는 단계; 및
    상기 잔류 플로우 레이트(Dj)가 정상 동작 구역에 있지 않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잔류 플로우 레이트(Dj)라는 한 가지 파라미터에 대한 경보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 설정 동안에 개발된 템플릿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로우 레이트 센서 모니터링 방법.
  19. 수도 시설과 구성요소들을 모니터링, 관리 및 제어하는 규모 조절이 가능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플로우 레이트 센서에 대한 경보 방법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시스템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접속 디바이스들에 의한 수도 시설을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 네트워크는,
    Zigbee, 와이파이(Wi-Fi), 또는 IPv6 저전력 무선 사설 네트워크(6LoWPAN)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무선 네트워크;
    이더넷, 또는 HomePlug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PRS),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 또는 롱-텀 에볼루션(LT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모바일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모바일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하위-네트워크들로 물리적으로 분할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접속 디바이스들은:
    상기 시스템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네트워크와 접속을 확립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전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인터페이스는:
    논리 프로세싱 유닛으로서, 상기 논리 프로세싱 유닛이 접속 디바이스의 기능 또는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논리 프로세싱 유닛;
    상기 시스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모든 다른 접속 디바이스들과 통신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접속 디바이스들 간의 상호 접속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시스템 네트워크에서 적어도 하나의 신호의 전송이 지원되는 범위를 확장하도록 중계기 기능을 보장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각각이 상이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두 개의 하위-시스템 네트워크를 상호 접속하기 위해 게이트웨이 기능을 보장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스마트폰, 터치스크린 태블릿, 컴퓨터, 또는 서버와 같은 것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인터넷에 접속된 하나 이상의 원격 단말들과 통신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다른 접속 디바이스들에 의해 전달된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접속 디바이스의 기능 또는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인터넷에 접속된 상기 원격 단말들에 의해 전달된 정보 또는 명령을 사용함으로써 접속 디바이스의 기능 또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경고 메시지 또는 정보를 원격 단말들에 전송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고,
    상기 경보 방법은:
    전기 밸브 "A"를 폐쇄하고, 상기 방법을 종료하기 이전에 상기 시스템 네트워크를 통해 "중단" 경보를 전송하는 단계;
    어떠한 사용자 인스트럭션도 진행 중이지 않은지 체크하고, 상기 사용자 인스트럭션이 진행 중이라면, 상기 방법을 종료하는 단계;
    설정 동안에 개발된 템플릿을 사용하여, 잔류 플로우 레이트가 중단 경고 영역(break alert zone)에 있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폐쇄 단계로 전환하거나, 상기 잔류 플로우 레이트가 상기 중단 경고 영역에 있지 않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체크 단계로 전환하는 단계;
    이미 보낸 경보가 없는지 확인하는 단계;
    접속 디바이스가 유출부에서 물을 차단하고 상기 방법을 종료하기 이전에 상기 시스템 네트워크를 통해 폐쇄 경고를 전송하는, 폐쇄 경고 단계;
    상기 방법을 종료하기 전에 상기 시스템 네트워크를 통해 "누수" 경고를 전송하는 단계; 및
    경보들이 이미 전송되었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폐쇄 경고 단계로 전환하거나, 또는 경보들이 전송되지 않았다는 결정에 기초하여 누수 경고 단계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로우 레이트 센서에 대한 경보 방법.
  20. 삭제
  21. 삭제
KR1020177023287A 2015-01-19 2016-01-18 분산 방식으로 접속된 디바이스들을 사용하여 수도 시설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규모 조절이 가능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3938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500109A FR3031863B1 (fr) 2015-01-19 2015-01-19 Systeme evolutif et methodes pour la surveillance et le controle d'une installation sanitaire par des dispositifs connectes distribues
FR1500109 2015-01-19
PCT/EP2016/050909 WO2016116407A1 (fr) 2015-01-19 2016-01-18 Système évolutif et méthodes pour la surveillance et le contrôle d'une installation sanitaire par des dispositifs connectés distribué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590A KR20170109590A (ko) 2017-09-29
KR102393806B1 true KR102393806B1 (ko) 2022-05-03

Family

ID=54707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3287A KR102393806B1 (ko) 2015-01-19 2016-01-18 분산 방식으로 접속된 디바이스들을 사용하여 수도 시설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규모 조절이 가능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10461952B2 (ko)
EP (1) EP3248385B1 (ko)
JP (1) JP6680801B2 (ko)
KR (1) KR102393806B1 (ko)
CN (1) CN107409246B (ko)
AU (2) AU2016208642A1 (ko)
BR (1) BR112017015392A2 (ko)
CA (1) CA2974165C (ko)
DK (1) DK3248385T3 (ko)
ES (1) ES2764088T3 (ko)
FR (1) FR3031863B1 (ko)
HR (1) HRP20192228T1 (ko)
HU (1) HUE047760T2 (ko)
IL (1) IL253502B (ko)
MA (1) MA41370B1 (ko)
PL (1) PL3248385T3 (ko)
PT (1) PT3248385T (ko)
RU (1) RU2713435C2 (ko)
SG (1) SG11201705859YA (ko)
SI (1) SI3248385T1 (ko)
WO (1) WO20161164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22517B2 (en) 2019-04-12 2021-06-01 Goodrich Corporation Leak detection for aircraft
US11153945B1 (en) 2020-12-14 2021-10-19 Zurn Industries, Llc Facility occupancy detection with thermal grid sensor
FR3119186A1 (fr) * 2021-01-22 2022-07-29 Acwa Developpement Système électrique dédié à l’alimentation électrique et au pilotage des équipements électriques d’une piscine
US11543791B1 (en) 2022-02-10 2023-01-03 Zurn Industries, Llc Determining operations for a smart fixture based on an area status
US11555734B1 (en) * 2022-02-18 2023-01-17 Zurn Industries, Llc Smart and cloud connected detection mechanism and real-time internet of things (IoT) system manage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0885A1 (en) 2011-06-10 2012-12-13 Fairfax County Water Authority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power through the flow of water
US20130047327A1 (en) 2011-08-30 2013-02-28 Alliance Service International Corporation Water-saving management system for sanitary facility and water-saving management method for sanitary facility
US20140230925A1 (en) 2013-02-18 2014-08-21 Henry M. Halimi Fluid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WO2014207322A1 (fr) 2013-06-26 2014-12-31 Claude Somajini Système de surveillance et de gestion centralisé d'un réseau d'alimentation en eau par appareils mobiles (smartphone, tablettes tactiles etc.) ou par ordinateur via internet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0413A (en) * 1906-05-09 1907-07-16 James Scales Damper-regulator.
US2744541A (en) * 1948-06-23 1956-05-08 Henry G Fleischhauer Automatic controlling device for branch pipe lines
US5937455A (en) * 1992-11-19 1999-08-17 Donati; William R. Electrically operated toilet water inlet valve system having a variable fill level
US20030041374A1 (en) * 2001-08-27 2003-03-06 Franke Craig Robert SureQix Pop Up Drain
FR2870325A1 (fr) 2004-05-13 2005-11-18 Carre Gourmet Diffusion Sarl Procede de cuisson au four et dispositif pour sa mise en oeuvre
US7792126B1 (en) * 2005-05-19 2010-09-07 EmNet, LLC Distributed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JP3800428B1 (ja) * 2005-08-24 2006-07-26 東フロ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流量センサ内蔵型集合配管ユニット
RU2307898C2 (ru) * 2005-09-06 2007-10-1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База" Система обнаружения протечек воды и отключения ее подачи в помещение
MX2009006236A (es) * 2006-12-11 2010-02-11 V2Green Inc Manejo de transaccion en un sistema de agregacion de potencia para recursos electricos distribuidos.
US20090086023A1 (en) * 2007-07-18 2009-04-02 Mccubbrey David L Sensor system including a configuration of the sensor as a virtual sensor device
US20110186154A1 (en) * 2007-10-24 2011-08-04 Michael Klicpera Water Parameter Apparatus for Displaying, Monitoring and/or Controlling Kitchen, Bathroom, Bath or Other Sink Faucets
DE102007058777A1 (de) * 2007-12-06 2009-06-10 Abb Ag Verfahren zur Inbetriebnahme von Stellantrieben
NZ571668A (en) * 2008-09-30 2011-02-25 David John Picton Water management system using controlled valves each with pressure and flow sensors and a water bypass
US8304699B2 (en) * 2008-10-29 2012-11-06 Be Intellectual Property, Inc. Proximity sensor
US8467907B2 (en) * 2009-01-17 2013-06-18 Certus Process Solutions Automated valve with self-contained valve actuator system
CN102111796A (zh) * 2010-12-14 2011-06-29 广州市香港科大霍英东研究院 一种面向大规模无线传感器网络的分布式交互方法
US9074356B2 (en) * 2011-09-12 2015-07-07 Steven Fuller Tarantino Systems and methods for water conservation
EP2605539B1 (en) * 2011-12-13 2015-03-11 ATS Group (IP Holdings)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sensor classification
US20140343737A1 (en) * 2013-05-15 2014-11-20 Dzuy H. Nguyen Techniques for controlling fluid distribu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0885A1 (en) 2011-06-10 2012-12-13 Fairfax County Water Authority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power through the flow of water
US20130047327A1 (en) 2011-08-30 2013-02-28 Alliance Service International Corporation Water-saving management system for sanitary facility and water-saving management method for sanitary facility
US20140230925A1 (en) 2013-02-18 2014-08-21 Henry M. Halimi Fluid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WO2014207322A1 (fr) 2013-06-26 2014-12-31 Claude Somajini Système de surveillance et de gestion centralisé d'un réseau d'alimentation en eau par appareils mobiles (smartphone, tablettes tactiles etc.) ou par ordinateur via intern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9590A (ko) 2017-09-29
PL3248385T3 (pl) 2020-05-18
HRP20192228T1 (hr) 2020-03-06
AU2020203769A1 (en) 2020-06-25
IL253502B (en) 2021-05-31
RU2017129382A (ru) 2019-02-22
SG11201705859YA (en) 2017-08-30
JP6680801B2 (ja) 2020-04-15
RU2017129382A3 (ko) 2019-07-17
SI3248385T1 (sl) 2020-02-28
EP3248385A1 (fr) 2017-11-29
FR3031863A1 (fr) 2016-07-22
DK3248385T3 (da) 2019-12-16
US20170346651A1 (en) 2017-11-30
MA41370B1 (fr) 2019-12-31
BR112017015392A2 (pt) 2018-01-16
CA2974165A1 (fr) 2016-07-28
HUE047760T2 (hu) 2020-05-28
RU2713435C2 (ru) 2020-02-05
US10461952B2 (en) 2019-10-29
CA2974165C (fr) 2022-07-05
CN107409246A (zh) 2017-11-28
AU2020203769B2 (en) 2021-06-10
ES2764088T3 (es) 2020-06-02
IL253502A0 (en) 2017-09-28
AU2016208642A1 (en) 2017-09-07
JP2018512020A (ja) 2018-04-26
EP3248385B1 (fr) 2019-09-25
CN107409246B (zh) 2021-01-15
PT3248385T (pt) 2020-01-10
FR3031863B1 (fr) 2018-07-13
WO2016116407A1 (fr) 2016-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3806B1 (ko) 분산 방식으로 접속된 디바이스들을 사용하여 수도 시설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규모 조절이 가능한 시스템 및 방법
US20220030068A1 (en) Battery powered end point device for iot applications
US20100155635A1 (en) Systems & Method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Water Consumption
US10479699B1 (en) Valve control apparatus
EP3183706B1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upply of electrical power
AU2009230882A1 (en) Flow control device and flow control method
WO2014178920A2 (en) Intelligent electronic water flow regulation system
US11591240B1 (en) Water delivery control system
AU2012311420A1 (en) Building water safety device
US20170009432A1 (en) Wireless Autom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Fluid Pressure in a Building
JP2018512020A5 (ko)
CN106123354B (zh) 基于智能混水器的流量监测系统及基于其的漏水监测方法
WO2014207322A1 (fr) Système de surveillance et de gestion centralisé d'un réseau d'alimentation en eau par appareils mobiles (smartphone, tablettes tactiles etc.) ou par ordinateur via internet
CN106335936A (zh) 净水器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
WO2023248031A1 (en) Water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in distribution networks
NZ730125A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upply of electrical power
WO2023237999A1 (en) A method of controlling a valve assembly
CN113671841A (zh) 用于智能家居系统的控制方法
NZ730125B2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upply of electrical power
UA30211U (uk) Спосіб протиаварійного захисту споживачів газ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