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765B1 - 디자인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디자인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765B1
KR102393765B1 KR1020200066858A KR20200066858A KR102393765B1 KR 102393765 B1 KR102393765 B1 KR 102393765B1 KR 1020200066858 A KR1020200066858 A KR 1020200066858A KR 20200066858 A KR20200066858 A KR 20200066858A KR 102393765 B1 KR102393765 B1 KR 102393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ign
group
file
sub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2559A (ko
Inventor
이현지
로우 테일러 칼리
Original Assignee
(주)클로버추얼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클로버추얼패션 filed Critical (주)클로버추얼패션
Priority to CN202010768430.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3641356B/zh
Publication of KR20210132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2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경우 디자인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자인 그룹을 생성하는, 디자인 파일과 각각 연관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파일 영역을 포함하는, 디자인 그룹 생성 레이어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디자인 파일 영역은, 디자인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 1 서브 영역; 및 상기 디자인 파일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중 적어도 일부에 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객체를 표시하는, 제 2 서브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자인 정보 제공 방법{METHOD TO PROVIDE DESIGN INFORMATION}
본 발명은 디자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디자인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의류 제작 업계에서는 디자인 작업에 따른 의류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서, 수기로 필요한 내용을 작성하거나, 또는 실물 샘플(예를 들어, 패브릭, 부자재 등)을 직접 전달하는 형태로 작업이 수행되었다. 실물 샘플을 오프라인을 통해 전달하는 경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존재하며, 온라인을 통해 사진 등을 전송하는 경우에는 정확한 정보 전달이 어렵다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최근 산업이 발달하면서 오프라인 상의 데이터를 디지털화 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산업 발전 추세에 대응하여 의류 업계에서도 디자인 데이터들을 디지털화 하고자 하는 요구가 존재하고 있다.
디지털화 된 디자인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데이터를 이해하고, 그에 대한 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당업계의 요구가 존재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131268호는 패션 디자인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 된 것으로, 디자인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경우 디자인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자인 그룹을 생성하는, 디자인 파일과 각각 연관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파일 영역을 포함하는, 디자인 그룹 생성 레이어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디자인 파일 영역은, 디자인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 1 서브 영역; 및 상기 디자인 파일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중 적어도 일부에 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객체를 표시하는, 제 2 서브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디자인 파일 영역에 포함된, 상기 제 1 서브 영역 및 상기 제 2 서브 영역은 나란히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서브 영역 및 상기 제 2 서브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중첩하여 배치되는,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디자인 그룹은, 디자인된 물품에 관련된 정보들을 시각화 하여 표시한 데이터 집합이고,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객체 중 적어도 일부에 관한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에 대응되는 디자인 속성에 관한 디자인 파일들을 포함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객체 중 적어도 일부에 관한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에 대응되는 디자인 속성에 관한 디자인 파일들을 포함하는 디자인 그룹이 생성되었음을 표시하는 디자인 그룹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디자인 파일 영역은, 상기 디자인 이미지를 변경하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 이미지 속성 객체를 표시하는, 제 3 서브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디자인 파일 영역에 포함된, 상기 제 1 서브 영역 및 상기 제 3 서브 영역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디자인 이미지 속성 객체는: 상기 디자인 이미지를 3차원으로 표시하는 3차원 속성 객체, 상기 디자인 이미지를 랜더링하여 표시하는 랜더링 속성 객체, 상기 디자인 이미지를 선택된 사이즈에 따라 상이하게 표시하는 사이즈 속성 객체, 또는 상기 디자인 이미지에 대한 피쳐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디자인 피쳐 속성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서브 영역은, 상기 제 3 서브 영역의 디자인 이미지 속성 객체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디자인 이미지에 대한 속성을 변경하여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디자인 이미지에 대한 피쳐는, 상기 이미지에 대한 색상, 질감 또는 소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디자인 속성 객체는, 디자인 소재 또는 디자인 색상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디자인 속성과 관련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서브 영역은, 상기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객체 중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디자인 속성 객체와 다른 디자인 속성 객체를 구별하여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서브 영역은: 사전 결정된 개수의 디자인 속성 객체; 및 상기 사전 결정된 개수 이외의 디자인 속성 객체를 확인하는 화살표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디자인 그룹은, 상기 디자인 그룹에 포함된 디자인 파일들을 확인 또는 생성하는 주체, 상기 디자인 파일들이 이용되는 시기, 또는 상기 디자인 파일들의 디자인 특성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디자인 그룹 생성 레이어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 그룹 종류 선택 객체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디자인 그룹 종류 선택 객체는, 상기 디자인 그룹에 포함되는 디자인 파일들이 표시되는 방법과 관련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디자인 파일은 디자인된 물품과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디자인 그룹 생성 레이어는, 상기 디자인 파일 이외에 새로운 디자인 파일을 추가하는 디자인 파일 추가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생성된 디자인 그룹을 표시하는, 상기 디자인 그룹에 포함된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과 각각 연관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 영역을 포함하는, 디자인 그룹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 영역은, 상기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에 포함된 디자인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 1 디자인 그룹 서브 영역; 및 상기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허용하는, 제 2 디자인 그룹 서브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디자인 그룹 레이어는, 상기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에 대한 사용자 어노테이션 입력을 허용하는 어노테이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서브 영역은, 피팅 맵 객체에 관한 사용자 선택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의류가 피팅 되는 정도에 따라 상이한 시각적 표현을 상기 디자인 이미지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디자인 그룹 생성 레이어는 둘 이상의 디자인 파일 영역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둘 이상의 디자인 파일 영역 중 하나의 디자인 파일 영역에 표시된 디자인 이미지의 표시 방법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나머지 다른 디자인 파일 영역들에 표시된 디자인 이미지의 표시 방법을 대응되게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디자인 그룹 레이어는 둘 이상의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 영역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둘 이상의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 영역 중 하나의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 영역에 표시된 디자인 이미지의 표시 방법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나머지 다른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 영역들에 표시된 디자인 이미지의 표시 방법을 대응되게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경우 디자인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자인 그룹을 생성하는, 디자인 파일과 각각 연관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파일 영역을 포함하는, 디자인 그룹 생성 레이어를 표시하고, 상기 디자인 파일 영역에 포함된 제 1 서브 영역에 디자인 이미지를 표시하고, 그리고 상기 디자인 파일 영역에 포함된 제 2 서브 영역에 상기 디자인 파일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중 적어도 일부에 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디자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디자인 그룹을 생성하는, 디자인 파일과 각각 연관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파일 영역을 포함하는, 디자인 그룹 생성 레이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디자인 파일 영역에 포함된 제 1 서브 영역에 디자인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디자인 파일 영역에 포함된 제 2 서브 영역에 상기 디자인 파일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중 적어도 일부에 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개시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하나 이상의 코어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자인 그룹을 생성하는, 디자인 파일과 각각 연관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파일 영역을 포함하는, 디자인 그룹 생성 레이어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디자인 파일 영역은, 디자인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 1 서브 영역; 및 상기 디자인 파일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중 적어도 일부에 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객체를 표시하는, 제 2 서브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가 개시된다. 상기 서버는 하나 이상의 코어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네트워크부;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네트워크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전송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자인 그룹을 생성하는, 디자인 파일과 각각 연관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파일 영역을 포함하는, 디자인 그룹 생성 레이어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디자인 파일 영역은, 디자인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 1 서브 영역; 및 상기 디자인 파일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중 적어도 일부에 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객체를 표시하는, 제 2 서브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디자인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자인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자인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자인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자인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자인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자인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자인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자인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설명들이 본 개시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은 컴퓨터-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처리과정(procedure), 프로세서, 객체,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장치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다. 일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내에 로컬화 될 수 있다. 일 컴포넌트는 2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그 내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을 갖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갖는 신호(예를 들면, 로컬 시스템, 분산 시스템에서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의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통해 다른 시스템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처리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만,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이상" 및/또는 "미만"은, "초과" 및/또는 "이하"로 해석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해석도 가능할 수 있다.
당업자들은 추가적으로 여기서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되어 설명된 다양한 예시 적 논리적 블록들, 구성들, 모듈들, 회로들, 수단들, 로직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쪽 모두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상호교환성을 명백하게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 적 컴포넌트들, 블록들, 구성들, 수단들, 로직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그들의 기능성 측면에서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로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전반적인 시스템에 부과된 특정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설계 제한들에 달려 있다. 숙련된 기술자들은 각각의 특정 어플리케이션들을 위해 다양한 방법들로 설명된 기능성을 구현할 수 있다. 다만, 그러한 구현의 결정들이 본 개시내용의 영역을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자인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100)는 네트워크부(110),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출력부(140) 및 입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컴퓨팅 장치(100)는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 book), 모바일 단말기(mobile terminal),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부(110)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등을 다른 컴퓨팅 장치, 서버 등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부(110)는 근거리(단거리), 원거리,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현재 사용 및 구현되는 임의의 형태의 유무선 통신 기술에 기반하여 동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하나 이상의 코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컴퓨팅 장치의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범용 그래픽 처리 장치(GPGPU: general purpose graphics processing unit), 텐서 처리 장치(TPU: tensor processing unit) 등의 디자인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의 CPU, GPGPU, 및 TPU 중 적어도 하나가 디자인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또는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PU 와 GPGPU가 함께 디자인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를 함께 사용하여 디자인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CPU, GPGPU 또는 TPU 실행가능 프로그램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20)가 생성하거나 결정한 임의의 형태의 정보 및 네트워크부(110)가 수신한 임의의 형태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상기 메모리(13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전술한 메모리에 대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140)는 사용자 선택 기반 디자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시되고 그리고 후술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은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140)는 프로세서(120)가 생성하거나 결정한 임의의 형태의 정보 및 네트워크부(110)가 수신한 임의의 형태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출력부(14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 모듈은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이라 지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5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 받기 위한 키 및/또는 버튼들을 구비할 수 있다. 입력부(15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선택 기반 디자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입력부(150)는 사용자의 버튼 조작 또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신호를 수신하거나, 카메라 또는 마이크로폰을 통하여 사용자 등의 음성 또는 동작을 수신하여 이를 입력 신호로 변환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음성 인식(Speech Recognition) 기술 또는 동작 인식(Motion Recognition)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입력부(150)는 컴퓨팅 장치(100)와 연결된 외부 입력 장비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비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터치 패드, 터치 펜, 키보드 또는 마우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50)는 사용자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50)는 출력부(140)와 동일한 구성일 수도 있다. 입력부(150)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현되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광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SAW) 방식, 압전 방식, 저항막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터치 스크린에 대한 자세한 기재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일 뿐이며, 다양한 터치 스크린 패널이 컴퓨팅 장치(100)에 채용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 입력부(150)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입력부(150)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입력부(150)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 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프로세서(120)로 전송한다. 이로써, 프로세서(120)는 입력부(150)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서버는 서버의 서버 환경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성들이 포함될 수도 있다. 서버는 임의의 형태의 장치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서버는 디지털 기기로서, 랩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웹 패드, 이동 전화기와 같이 프로세서를 탑재하고 메모리를 구비한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서버(미도시)는 네트워크부,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는 클라이언트(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컴퓨팅 시스템일 수 있다. 서버는 생성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 단말은 서버에 액세스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의 컴퓨팅 장치(100)일 수 있다. 서버의 프로세서는 네트워크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는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일 수 있다. 서버는 서비스를 처리하는 웹 서버일 수 있다. 전술한 서버의 종류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에 포함된 네트워크부, 프로세서 및 메모리 각각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100)에 포함된 네트워크부(110), 프로세서(120) 및 메모리(130)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거나 또는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레이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 되는, 여러 개의 화상을 겹쳐서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층을 의미할 수 있다. 둘 이상의 레이어는 겹쳐서 표시될 수도 있다. 둘 이상의 레이어가 겹쳐서 표시되는 경우, 하나의 레이어에 다른 레이어가 가려져,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둘 이상의 레이어가 겹쳐서 표시되고, 상위 레이어가 일부 반 투명하게 표시되는 경우 하위 레이어의 적어도 일부가 보일 수 있다. 둘 이상의 레이어는 동일한 크기일 수 있다. 또한, 둘 이상의 레이어는 상이한 크기일 수도 있다. 레이어는 하나 이상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레이어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레이어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 있다. 복수의 영역들은 겹쳐지지 않는 화면 상의 일 공간일 수 있다. 하나의 레이어는 하나의 영역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의 영역은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객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또는 데이터 각각에 대응되는 그림, 기호 또는 글자의 집합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객체는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해당 객체에 대응되어 저장된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실행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객체와 디스플레이 객체는 동일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표시”는 출력부(140)를 통해 사용자에게 데이터가 보여 지도록 하는 동작일 수 있다. “표시” 및 “디스플레이”는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라 디자인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디자인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자인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디자인 파일 및 디자인 파일을 선택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하나 이상의 디자인 파일에 관한 객체(210)들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 파일들에 관한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 파일은 디자인된 물품과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 파일은 물품을 디자인하는 사용자(디자이너)가 온라인 상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자인한 물품과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하는 파일일 수 있다. 하나의 디자인 파일은 하나의 옷의 형상과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디자인 파일은 한가지 형상의 원피스에 관한 디자인과 연관될 수 있다. 하나의 디자인 파일은 한가지 형상의 원피스를 형성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소재 또는 색상과 연관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디자인 파일은 동일한 형상의 원피스를 검정색 모직 원피스, 검정색 벨벳 원피스, 자주색 벨벳 원피스로 표현할 수 있다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물품을 디자인한 정보들은 디자인 이미지 및 디자인 이미지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자인 파일 1은 재킷에 대한 파일일 수 있다. 디자인 파일 1은 하나 이상의 색상 또는 소재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재킷에 대한 디자인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자인 파일 1은 하나 이상의 재킷에 대한 디자인 이미지 각각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 파일 2는 티셔츠에 대한 파일일 수 있다. 전술한 디자인 파일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자인 이미지는 디자인된 물품을 가상화 한 이미지일 수 있다. 디자인된 물품은 특정 물품에 한정되지 않고 디자인 가능한 모든 물품을 포괄적으로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를 디자인하는 사용자(디자이너)가 디지털화 된 의류를 디자인할 수 있다. 온라인에서 의류를 디자인함에 따라 완성된 가상화 된 샘플 의류가 의류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자인 이미지는 의류, 커튼, 신발, 가방 등을 디자인하여 가상화 한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디자인 이미지는 가구, 장난감 등을 디자인하여 가상화 한 이미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회색 상의와 청바지는 의류를 디자인함에 따라 완성된 가상화 된 샘플 의류인 의류 이미지일 수 있다. 전술한 디자인 이미지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자인 이미지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데이터는 디자인 이미지와 대응되는 디자인을 생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일 수 있다. 디자인 데이터는 가상화 된 샘플 물품을 실제 공정에서 생산하기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일 수 있다. 디자인 데이터는 물품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물품의 색상, 패턴, 소재, 부자재 또는 각각에 대한 치수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데이터일 수 있다. 패턴은 물품을 구성하는 적어도 일 부분에 대한 재단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턴은 티셔츠를 구성하는 앞, 뒤, 소매, 부분 각각에 대한 평면 재단을 의미할 수 있다. 소재는 물품을 구성하는 원료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재는 의류의 경우 코튼(cotton), 울(wool), 벨벳(velvet)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부자재는 물품을 구성하기 위하여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자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를 구성하기 위해 주요하게 사용되는 자재는 천일 수 있고, 그리고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부자재는 단추, 로고, 지퍼 등일 수 있다. 치수는 물품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재 또는 부자재를 설명하기 위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수는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패턴 각 모서리의 길이, 단추의 지름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자인 데이터는 동일 형상의 티셔츠들을 만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색상 또는 소재, 티셔츠를 구성하는 4개의 패턴, 티셔츠의 각 부분을 구성하는 소재, 티셔츠에 달리는 단추 및 로고, 그리고 그 각각에 대한 크기 또는 길이에 대한 데이터일 수 있다. 전술한 디자인 데이터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20)는 디자인 파일들을 네트워크부(11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디자인 파일들을 읽어올 수 있다. 디자인 파일은 물품 디자인 프로그램을 통해 생성된 데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파일에 관한 객체(210)들 중 적어도 일부의 디자인 파일에 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적어도 일부의 디자인 파일에 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은, 복수의 디자인 파일 중 디자인 그룹을 생성하기 위한 일부의 디자인 파일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일 수 있다. 디자이너들은 복수의 물품을 디자인할 수 있다. 디자인된 복수의 물품들 중에서 일부 물품들을 선택하여 디자인 그룹을 선택하고자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디자인 파일들 중 적어도 일부의 디자인 파일들을 선택함으로써, 일부 디자인 파일을 이용한 디자인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디자인 그룹은 디자인된 물품에 관련된 정보들을 시각화 하여 표시한 데이터 집합일 수 있다. 디자인 그룹은 디자이너의 복수의 작업물들(즉, 디자인 파일) 중 일부만을 선택(select)하여 표시한 데이터 파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자이너가 작업한 복수의 작업물들 중에서, A 브랜드 사에 제안할 일부 작업물들을 선택하여 A 브랜드 디자인 그룹을 생성할 수도 있고, 또는 A 브랜드 사의 B 시즌에 대해서 제안할 일부 작업물들을 선택하여 B 시즌 디자인 그룹을 생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디자인 그룹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자인 그룹은 디자인 그룹에 포함된 디자인 파일들을 확인 또는 생성하는 주체, 디자인 그룹에 포함된 디자인 파일들이 이용되는 시기, 또는 디자인 그룹에 포함된 디자인 파일들의 디자인 특성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될 수 있다. 디자인 파일들을 확인 또는 생성하는 주체는, 물품 생산 과정에 포함되는 주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물품 생산 과정에 포함되는 모든 주체는, 예를 들어, 의류를 디자인하는 디자이너, 의류를 디자인하는 디자이너들이 속한 벤더(vendor) 사, 의류 브랜드 사, 의류 제조사, 의류를 제작하는 공장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자인 그룹은 디자인 파일을 확인하는 주체들이 결정한 마지막 주문 가능 날짜, 컨택 정보, 배송 관련 정보 등과 연관될 수도 있다. 디자인 파일들을 확인 또는 생성하는 주체는 리테일러 정보와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 국가의 브랜드 사, B 국가의 브랜드 사, 뉴욕의 팝업 스토어, 토론토의 팝업 스토어 들의 정보가 디자인 그룹과 연관될 수 있다. 디자인 파일들이 이용되는 시기는 물품의 생산 시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2020년 봄-여름 시즌(SS Season), 2020년 3월 등일 수 있다. 디자인 파일들의 디자인 특성은 예를 들어, 계층, 성별, 연령, 스타일, 의류의 종류(예를 들어, 니트, 스커트), 무늬의 종류(예를 들어, 체크, 아가일 패턴 등), 패브릭의 소재, 색감 또는 질감, 사이즈, 사이즈 범위, 사전 결정된 스타일의 번호(예를 들어, 플로럴 스타일의 경우 스타일 번호 1 등), 산업에서 사용되는 표준 색상 번호 등 과 연관될 수 있다. 디자인 특성은 예를 들어, 디자인 파일의 2D 이미지, 3D 이미지, 피팅 맵, 사진, 또는 텍스트 설명으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가일 패턴에 대한 디자인 그룹은 A, B 및 C 브랜드 사 각각에 송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성 빅 사이즈인 사이즈 46에 대한 디자인 그룹을 생성하여, 빅 사이즈 의류 생산 업체들에 송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 계열 색상에 대응되는 디자인 파일들을 포함하는 디자인 그룹을 생성할 수도 있다. 디자인 그룹은 디자인 파일들의 가격 대 별로 생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자인 그룹은 저가 의류에 대한 디자인 파일들을 포함하고, 그리고 제 2 디자인 그룹은 고가 의류에 대한 디자인 파일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디자인 그룹에 최소 주문 량, 주문 가능 날짜, 연락처, 샘플의 실제 사진 등이 대응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전술한 디자인 그룹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파일에 관한 객체(210)들 중 적어도 일부의 디자인 파일에 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선택 입력에 대응되는 디자인 파일에 관한 객체와 나머지 디자인 파일에 관한 객체를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 파일에 관한 객체(210)들 중 적어도 일부의 디자인 파일에 관한 사용자 선택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 선택 입력에 대응되는 디자인 파일에 관한 객체와 나머지 디자인 파일에 관한 객체를 상이하게 표시한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둘 이상의 객체를 상이하게 표시하는 것은, 둘 이상의 객체에 대한 색상, 추가 표시, 음영, 테두리 등을 상이하게 표시하는 것일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사용자 선택 입력에 대응되는 디자인 파일 객체에 체크 표시 객체를 중첩하여 표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전술한 디자인 파일 선택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20)는 어소트먼트(assortment) 객체(220)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어소트먼트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일부의 디자인 파일에 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한 이후, 어소트먼트 객체(220)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어소트먼트 객체(220)는 적어도 일부의 디자인 파일들을 디자인 그룹 생성을 위한 디자인 파일로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객체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일부의 디자인 파일을 하나의 어소트먼트 그룹으로 그룹핑할 수 있다. 어소트먼트 그룹은 디자인 그룹 생성의 기초가 되는 디자인 파일들의 그룹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복수의 디자인 작업물들 중 일부 디자인 작업물을 선택하여 어소트먼트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어소트먼트 그룹에 포함된 디자인 작업물들 중 일부의 디자인 작업물을 선택하여 디자인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어소트먼트 그룹에 포함된 디자인 작업물들에 대한 색상 또는 소재 만을 선택하여 디자인 그룹을 생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어소트먼트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20)는 최근에 사용되거나, 또는 생성된 디자인 파일들의 목록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디자인 파일들을 선택 입력 받아, 어소트먼트 그룹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특정 경로에 저장된 디자인 파일들의 목록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디자인 파일들을 선택 입력 받아, 어소트먼트 그룹에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작업자의 최근 생성 디자인 파일 목록에서 적어도 일부의 디자인 파일을 선택 입력 받아, 어소트먼트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제 1 작업자는 어소트먼트 그룹을 생성하는 작업자와 동일 또는 상이한 작업자일 수 있다. 전술한 어소트먼트 그룹 생성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20)는 제 1 어소트먼트 그룹에 포함된 디자인 파일들 중 적어도 일부의 디자인 파일을 제 2 어소트먼트 그룹에 포함되도록 변경시킬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제 1 어소트먼트 그룹에 포함된 디자인 파일들 중 적어도 일부의 디자인 파일을 제 2 어소트먼트 그룹에도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F/W 시즌의 어소트먼트 그룹에 포함되어 있던 디자인 파일을, S/S 시즌의 어소트먼트 그룹에 포함되도록 수정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제 1 벤더에 대한 어소트먼트 그룹에 포함되어 있던 디자인 파일을, 제 2 벤더에 대한 어소트먼트 그룹에도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어소트먼트 그룹 생성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20)는 어소트먼트 객체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 적어도 일부의 디자인 파일들을 포함하는 어소트먼트 그룹에 이름을 지정할 수 있다. 어소트먼트 그룹과 관련하여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자인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어소트먼트 그룹이 생성된 후, 어소트먼트 그룹에 관한 이름을 입력하는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어소트먼트 그룹 각각은 어소트먼트 그룹에 포함된 디자인 파일들을 확인 또는 생성하는 주체, 디자인 파일들이 이용되는 시기, 또는 디자인 파일들의 디자인 특성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될 수 있다. 주체, 시기 또는 디자인 특성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는 전술한 디자인 그룹에 관한 주체, 시기 또는 디자인 특성에 관한 예시와 동일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하나 이상의 어소트먼트 그룹을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어소트먼트 그룹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위한 어소트먼트 그룹 객체(310)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어소트먼트 그룹 객체(310)를 포함할 수 있다. 어소트먼트 그룹 객체(310) 각각은 어소트먼트 그룹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객체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저장한 어소트먼트 그룹 및 다른 사용자로부터 수신한(공유 받은) 어소트먼트 그룹 각각과 관련된 어소트먼트 그룹 객체(310)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저장한 어소트먼트 그룹 및 다른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어소트먼트 그룹 각각과 관련된 어소트먼트 그룹 객체(3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자신이 생성한 어소트먼트 그룹을 사용자 자신이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어소트먼트 그룹에 연관된 어소트먼트 그룹 객체(310)들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생성하였거나, 또는 다른 사용자로부터 공유 받음으로써,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어소트먼트 그룹에 연관된 어소트먼트 그룹 객체(310)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어소트먼트 그룹 객체(310)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어소트먼트 그룹 객체(310)에 대응되는 어소트먼트 그룹에 포함된 디자인 파일들을 포함하는 디자인 그룹 생성 레이어(400)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어소트먼트 그룹 객체(310)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어소트먼트 그룹에 포함된 디자인 파일들을 포함하는 디자인 그룹 생성 레이어(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 그룹 생성 레이어와 관련하여 후술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디자인 그룹을 생성하는 방법에 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자인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디자인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동일하게 그려져 있는 디자인이라도, 실제로는 각각 상이한 디자인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디자인 그룹을 생성하는 디자인 그룹 생성 레이어(400)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디자인 그룹 생성 레이어(400)는 어소트먼트 그룹에 포함된 디자인 파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 그룹 생성 레이어(400)에 포함된 디자인 파일들 중 적어도 일부의 디자인 파일을 선택하여 디자인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디자인 그룹 생성 레이어(400)에 포함된 디자인 파일들에 대응하는 색상 또는 소재를 선택하여 디자인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디자인 그룹 생성 레이어(400)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자인 그룹 생성 레이어(4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 그룹 생성 레이어(400)는 디자인 그룹을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레이어일 수 있다. 디자인 그룹 생성 레이어(400)는 디자인 파일과 각각 연관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파일 영역(41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하나의 어소트먼트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파일과 각각 연관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파일 영역(410)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 파일 영역(410)을 포함할 수 있다. 어소트먼트 그룹에 포함된 디자인 파일의 개수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디자인 파일 영역(410)의 개수는 동일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자인 그룹 생성 레이어(4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 그룹 생성 레이어(400)는 기존의 디자인 파일 이외에 새로운 디자인 파일을 추가하는 디자인 파일 추가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프로세서(120)는 디자인 파일 추가 객체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디자인 파일 추가 객체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에 대응하여, 어소트먼트 그룹에 포함되지 않은 다른 디자인 파일들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어소트먼트 그룹에 포함되지 않은 다른 디자인 파일들을 포함하는 새로운 레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새로운 레이어에 포함된 어소트먼트 그룹에 포함되지 않은 다른 디자인 파일들 중 적어도 일부의 디자인 파일들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대응되는 일부의 디자인 파일들을 어소트먼트 그룹에 새롭게 추가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새로 추가된 디자인 파일들과 관련하여 디자인 파일 영역(410)을 새로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도 7(b)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최근에 사용되었던 디자인 파일들의 목록에서, 적어도 일부의 디자인 파일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도 7(a)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어소트먼트 그룹에 포함된 디자인 파일을 해당 어소트먼트 그룹에 옮기거나, 또는 동일한 디자인 파일을 해당 어소트먼트 그룹에도 포함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20) 사용자 선택 입력된 디자인 파일을 어소트먼트 그룹에 포함시킬 수 있다. 전술한 디자인 파일 추가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자인 파일 영역(410)은 제 1 서브 영역(420), 제 2 서브 영역(430) 및 제 3 서브 영역(44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이며,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 디자인 파일 영역(410)에 다른 서브 영역이 추가될 수도 있고, 또는 전술한 서브 영역 중 적어도 일부의 서브 영역이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 1 서브 영역(420)은 디자인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어소트먼트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파일들 각각에 포함된 디자인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제 1 서브 영역(420)은 디자인 파일에 대한 썸네일(thumbnail)을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 1 서브 영역(420)은 디자인 파일에 포함된 디자인 이미지를 작은 사이즈로 변환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제 1 서브 영역(420)에 디자인 이미지를 표시하여, 디자인 파일에 관한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제 1 서브 영역(420)은 사전 결정된 디자인 이미지 속성에 따라 표시된 디자인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 이미지 속성은 디자인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법일 수 있다. 디자인 이미지 속성은 디자인 이미지를 2차원으로 표시하는 속성, 디자인 이미지를 3차원으로 표시하는 속성, 디자인 이미지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속성 또는 디자인 이미지를 특정 질감, 색상 또는 소재로 표시하는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서브 영역(420)은 사전 결정된 디자인 이미지 속성에 따라 2차원으로 디자인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제 1 서브 영역(420)의 디자인 이미지 속성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디자인 이미지 속성을 변경하는 동작과 관련하여 후술하여 설명한다. 즉, 제 1 서브 영역(420)은 사전 결정된 디자인 이미지 속성에 따른 디폴트 디자인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디폴트 디자인 이미지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제 3 서브 영역(440)은 디자인 이미지를 변경하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 이미지 속성 객체(442, 444, 446)를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 이미지 속성은 전술한 바와 같이 디자인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법일 수 있다. 디자인 이미지 속성 객체(442, 444, 446)는 디자인 이미지를 3차원으로 표시하는 3차원 속성 객체(442)를 포함할 수 있다. 3차원 속성 객체(442)는 디자인 이미지에 대한 3차원 썸네일 이미지로 구성될 수 있다. 디자인 이미지 속성 객체(442, 444, 446)는 디자인 이미지를 랜더링하여 표시하는 랜더링(rendering) 속성 객체(444)를 포함할 수 있다. 랜더링 속성 객체(444)는 디자인 이미지를 랜더링 한 짧은 영상, 또는 정지된 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디자인 이미지를 사실적으로 구현한, 2차원 또는 3차원의 랜더링된 결과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할 수 있다. 디자인 이미지 속성 객체(442, 444, 446)는 디자인 이미지를 선택된 사이즈에 따라 상이하게 표시하는 사이즈 속성 객체(446)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즈 속성 객체(446)는 둘 이상의 사이즈 중 하나의 사이즈에 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객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즈 속성 객체(446)는 디자인 이미지로 표시되는 의류의 사이즈 또는 의류를 피팅하고 있는 아바타의 사이즈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객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이즈 속성 객체(446)는 의류의 사이즈를 사이즈 0, 사이즈 1 또는 사이즈 2로 변경하여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객체일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사이즈 속성 객체(446)는 의류를 피팅하고 있는 아바타의 사이즈를 사이즈 0. 사이즈 1 또는 사이즈 2로 변경하여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객체일 수 있다. 디자인 이미지 속성 객체(442, 444, 446)는 디자인 이미지에 대한 피쳐 변경하여 표시하는 디자인 피쳐 속성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 피쳐 속성은 디자인의 색상, 질감 또는 소재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속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디자인 피쳐 속성 객체는 검정색 디자인에 대응될 수 있고, 그리고 제 2 디자인 피쳐 속성 객체는 흰색 디자인에 대응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제 3 디자인 피쳐 속성 객체는 원사 50, 제 4 디자인 피쳐 속성 객체는 원사 100에 대응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제 5 디자인 피쳐 속성 객체는 벨벳, 제 6 디자인 피쳐 속성 객체는 진(jean)에 대응될 수 있다. 전술한 디자인 이미지 속성 객체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서브 영역(420)은, 제 3 서브 영역(440)의 디자인 이미지 속성 객체(442, 444, 446)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속성이 변경된 디자인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 3 서브 영역(440)의 디자인 이미지 속성 객체(442, 444, 446)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선택한 디자인 이미지 속성 객체(442, 444, 446)에 대응되도록 제 1 서브 영역(420)의 디자인 이미지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 입력한 디자인 이미지 속성 객체(442, 444, 446)가 3차원 속성 객체(442)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 1 서브 영역(420)의 디자인 이미지를 3차원의 디자인 이미지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 1 서브 영역(420)은 3차원으로 변경된 디자인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서브 영역(420)은 디폴트 속성으로 지정된 2차원 디자인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제 1 서브 영역(420)은 사용자 선택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2차원에서 3차원으로 변경된 디자인 이미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서브 영역(420)은 사이즈 속성 객체(444)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디자인 이미지의 사이즈 또는 디자인 이미지를 피팅하고 있는 아바타의 사이즈가 변경된 디자인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디자인 이미지 속성 객체 및 디자인 이미지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사용자는 어소트먼트 그룹에 포함된 디자인 파일들 각각에 대한 디자인 속성들 또는 디자인의 특징들을 제 1 서브 영역(420)의 디자인 이미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 서브 영역(420)에 포함된 디자인 이미지의 속성을 제 3 서브 영역(440)에 포함된 디자인 이미지 속성 객체(442, 444, 446)에 대한 선택 입력을 통해 변경하면서, 여러 각도 또는 여러 속성의 가상화 된 디자인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 서브 영역(420)에 포함된 3차원 디자인 이미지를 통해 가상화 된 디자인 샘플을 다각도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 1 서브 영역(420)에 포함된 색상, 질감 또는 소재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된 디자인 이미지를 통해, 해당 색상, 질감 또는 소재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된 가상화 된 디자인 샘플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상화 된 디자인 샘플들을 확인함으로써, 생성하고자 하는 디자인 그룹의 속성에 맞는 디자인 속성들을 선택할 수 있다. 전술한 디자인 이미지 속성 객체 및 디자인 이미지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2 서브 영역(430)은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객체(432)를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 속성 객체(432)는, 디자인 소재 또는 디자인 색상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디자인 속성과 연관될 수 있다. 하나의 디자인 파일은 하나의 형상의 물품 디자인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디자인 파일은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디자인 파일은 하나의 형상의 물품 디자인에 대해 복수의 색상 또는 패턴 속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디자인 파일은 하나의 자켓 형상에 대하여 베이지색, 검정색, 남색 각각에 대응되는 색상 속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하나의 디자인 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디자인 속성들 각각에 대응되는 디자인 속성 객체(432)를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디자인 속성 객체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2 서브 영역(430)은 디자인 파일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중 적어도 일부에 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객체(432)를 포함할 수 있다. 어소트먼트 그룹은 하나 이상의 디자인 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디자인 파일 각각은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복수의 디자인 속성 중 적어도 일부의 디자인 속성들 만을 포함하도록 디자인 그룹을 생성할 필요성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자인한 의류에 대응되는 디자인 속성들이 울 소재, 캐시미어 소재, 아크릴 혼용 소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A 브랜드는 저가 브랜드이기 때문에, 아크릴 혼용 소재 및 울 소재 만을 포함하도록 디자인 파일을 구성하여 디자인 그룹을 생성하고자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울 소재 디자인 속성 객체, 캐시미어 소재 디자인 속성 객체, 아크릴 혼용 소재 디자인 속성 객체 중, 울 소재 디자인 속성 객체 및 아크릴 혼용 소재 디자인 속성 객체에 관해서만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자인한 의류에 대응되는 디자인 속성들이 검정색, 흰색, 파란색, 베이지색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2020 가을 시즌에 맞는 색상인 검정색 및 베이지색만을 포함하도록 디자인 파일을 구성하여 디자인 그룹을 생성하고자 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4가지 색상에 대응되는 디자인 속성 객체(432) 중 검정색 및 베이지색에 대응되는 디자인 속성 객체(432)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디자인 속성 객체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2 서브 영역(430)은 사전 결정된 개수의 디자인 속성 객체(4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서브 영역(430)은 화살표 객체(434)를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 파일에 포함된 디자인 속성의 개수는 사전 결정된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제 2 서브 영역(430)에 사전 결정된 개수보다 많은 디자인 속성 객체(432)가 표시될 경우, 사용자가 디자인 속성 객체(432)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제 2 서브 영역(430)에는 사전 결정된 개수의 디자인 속성 객체(432)만을 표시할 수 있다. 화살표 객체(434)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기존에 표시된 디자인 속성 객체 중 적어도 일부의 디자인 속성 객체를 다른 디자인 속성 객체로 교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오른쪽 화살표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을 통해, 표시된 디자인 속성 객체들이 왼쪽으로 하나씩 이동되어 표시되고, 그리고 가장 오른쪽에 새로운 디자인 속성 객체가 표시될 것으로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전술한 제 2 서브 영역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2 서브 영역(430)은 사용자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디자인 속성 객체와 다른 디자인 속성 객체가 상이하게 표시된 디스플레이 객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 2 서브 영역(430)에 포함된 사용자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디자인 속성 객체와 다른 디자인 속성 객체를 구별하여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둘 이상의 객체를 상이하게 표시하는 것은, 둘 이상의 객체에 대한 색상, 추가 표시, 음영, 테두리 등을 상이하게 표시하는 것일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둘 이상의 객체를 구별하여 표시하는 것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선택 입력된 디자인 속성 객체에 대해서는 하단에 표시된 핀 객체를 하얀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나머지 디자인 속성 객체에 대해서는 하단에 표시된 핀 객체를 회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디자인 속성 객체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서브 영역(420)은 아바타 온 오프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아바타 온 오프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제 1 서브 영역(420)은 아바타를 표시하거나, 또는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 1 서브 영역(420)은 아바타 온 오프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에 대응하여 디자인 이미지인 디자인된 의류를 아바타가 입고 있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제 1 서브 영역(420)은 아바타 온 오프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에 대응하여 아바타를 삭제하고, 그리고 디자인 이미지인 디자인된 의류 만을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자인 이미지의 표시 방법이 3D일 때, 의류를 아바타가 입고 있는 상태에서 확인하는 것이 의류에 대한 직관적인 이해가 빠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아바타 온 오프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의류를 입고 있는 아바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제 1 서브 영역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서브 영역(420)은 디자인 온 오프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 온 오프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제 1 서브 영역(420)은 디자인 이미지를 표시하거나, 또는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제 1 서브 영역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서브 영역(420)은 피팅 맵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피팅 맵 객체는 디자인 이미지에 의류가 피팅 되는 정도에 따라 상이한 시각적 표현을 디자인 이미지에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객체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피팅 맵 객체에 관한 사용자 선택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디자인 이미지에 피팅 맵을 표시할 수 있다. 즉, 피팅 맵 객체는, 피팅 맵을 표시하거나, 또는 표시하지 않게 하기 위한 온 오프 디스플레이 객체로 사용될 수 있다. 피팅 맵 객체에 관한 사용자 선택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제 1 서브 영역(420)에 피팅 맵을 표시하거나, 또는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피팅 맵은 디자인된 의류를 사람이 착용하였을 때, 얼마나 몸에 달라붙는 지, 혹은 넉넉하게 착용되는지에 관한 정보를 디자인 이미지에 시각적으로 표시한 정보일 수 있다. 피팅 맵은 예를 들어, 티셔츠의 허리 부분이 몸에 핏 되는 경우 허리 부분을 파란색으로 표시하고, 그리고 티셔츠의 팔 부분이 몸에 핏 되지 않고 넉넉한 경우 팔 부분을 노란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몸에 핏 되는 정도에 따라 의류의 색상을 다르게 표시할 수 있고, 그리고 색상의 진하기를 상이하게 표시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 3 서브 영역(440)에 포함된 사이즈 속성 객체(446)에 관한 사용자 선택 입력에 따라, 제 1 서브 영역(420)에 상이한 피팅 맵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즈 36과 사이즈 38 각각에 대응되는 의류는 동일한 사이즈의 아바타가 피팅 했을 때, 몸에 핏 되는 정도가 상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선택 입력된 사이즈 속성 객체(446)의 사이즈에 따라 상이한 피팅 맵을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피팅 맵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서브 영역(420) 및 제 2 서브 영역(430)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두개의 영역이 나란히 배치되는 것은, 두개의 영역이 인접하게 배치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두개의 영역이 나란히 배치되는 것은, 두개의 영역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배치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서브 영역(420) 및 제 2 서브 영역(430)의 적어도 일부는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 1 서브 영역(420)의 적어도 일부가 제 2 서브 영역(430)의 적어도 일부에 오버랩 되어, 해당 부분의 제 2 서브 영역(430)은 가려질 수 있다. 또는, 그 반대로 표시될 수도 있다. 제 1 서브 영역(420)은 디자인 파일에 관한 디자인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제 2 서브 영역(430)은 제 1 서브 영역(420)에 포함된 디자인 이미지들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들을 설명하는, 디자인 속성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서브 영역(420) 및 제 2 서브 영역(430)은 각 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서브 영역(420) 및 제 2 서브 영역(430)은 상하 또는 좌우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디자인 이미지와 그와 관련된 디자인 속성들을 나란히 배치함으로써, 사용자는 해당 디자인 속성을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제 1 서브 영역(420) 및 제 3 서브 영역(440)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제 3 서브 영역(440)에 포함된 디자인 이미지 속성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에 대응하여 제 1 서브 영역(420)에 포함된 디자인 이미지는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즉, 나란히 배치된 왼쪽의 제 3 서브 영역(440)에서의 이미지 속성 변경에 따라, 오른쪽의 제 1 서브 영역(420)에서의 이미지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서브 영역(420) 및 제 3 서브 영역(440)은 각 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서브 영역(420) 및 제 3 서브 영역(440)은 상하 또는 좌우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속성을 변경하는 객체들과 그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이미지를 좌우로 나란히 배치함으로써, 사용자는 해당 디자인 속성을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디자인 그룹 생성 레이어(400)는 둘 이상의 디자인 파일 영역(410)을 포함할 수 있다. 둘 이상의 디자인 파일 영역(410) 중 하나의 디자인 파일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된 하나의 디자인 파일 영역이 크게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마우스 포인터가 하나의 디자인 파일 영역에 위치한 것을 인식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해당 디자인 파일 영역을 확대시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하나의 디자인 파일 영역을 상기 디자인 그룹 생성 레이어(400)의 상위 레이어에 확대시켜 표시할 수 있다. 상위 레이어에서 디자인 파일 영역이 포함된 부분은 불투명하게 표시되고, 그리고 나머지 부분은 반 투명하게 표시되어, 반 투명한 부분을 통해 디자인 그룹 생성 레이어에 포함된 일부의 디자인 파일 영역들이 보여 질 수 있다. 전술한 디자인 파일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동작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20)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 파일 영역 중 적어도 일부의 디자인 파일 영역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적어도 일부의 디자인 파일 영역과 나머지 디자인 파일 영역이 구별되도록, 상이하게 표시(510)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 파일 영역 중, 적어도 일부의 디자인 파일 영역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디자인 파일 영역과 나머지 디자인 파일 영역을 상이하게 표시(510)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둘 이상의 영역을 상이하게 표시하는 것은, 둘 이상의 영역에 대한 색상, 추가 표시, 음영, 테두리 등을 상이하게 표시하는 것일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디자인 파일 영역에 대하여 체크 객체를 추가로 표시(510)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전술한 디자인 파일 영역에 관한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디자인 파일 만을 포함하도록 디자인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디자인 파일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일부의 디자인 파일을 포함하도록 디자인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디자인 속성 및 디자인 파일 만을 포함하도록 디자인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디자인 파일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일부의 디자인 파일을 포함하도록 디자인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일부의 디자인 파일 중,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일부의 디자인 속성만을 포함하도록 디자인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 그룹 종류 선택 객체(452, 45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 그룹 종류 선택 객체(452, 454)를 표시할 수 있다. 디자인 그룹 종류 선택 객체(452, 454)는, 디자인 그룹에 포함되는 디자인 파일들이 표시되는 방법과 연관될 수 있다. 제 1 디자인 그룹 선택 객체(452)는, 디자인 그룹에 포함되는 디자인 파일들이 2차원으로 표시되는 것과 대응될 수 있다. 제 2 디자인 그룹 선택 객체(454)는, 디자인 그룹에 포함되는 디자인 파일들의 적어도 일부가 3차원으로 표시될 수 있는 것과 대응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 1 디자인 그룹 선택 객체(452)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2차원 형태의 디자인 파일들을 포함하도록 디자인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 1 디자인 그룹 선택 객체(452)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다운로드 가능한 형태의 디자인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제 1 디자인 그룹 선택 객체(452)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엑셀, 워드 파일 형식의 디자인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 2 디자인 그룹 선택 객체(454)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적어도 일부의 디자인 파일들이 3차원으로 포함되도록 디자인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어, 제 2 디자인 그룹 선택 객체(454)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다른 사용자에게 해당 디자인 그룹을 공유할 수 있는 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제 2 디자인 그룹 선택 객체(454)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생성된, 디자인 그룹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여 다시 설명한다. 전술한 디자인 그룹의 종류를 선택하는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객체(432) 중 적어도 일부에 관한 사용자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디자인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디자인 그룹은 사용자 선택 입력에 대응되는 디자인 속성에 관한 디자인 파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디자인 속성 객체(432)들 중, 사용자 선택 입력된 적어도 일부의 디자인 속성 객체(432)만을 포함하는 디자인 파일들을 포함하는 디자인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디자인 속성 객체(432)는 검정색으로 핀의 색상이 변경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선택 입력되지 않은 디자인 속성은 핀의 색상이 흰색으로 표시되고, 그리고 사용자 선택 입력된 디자인 속성은 핀의 색상이 검정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검정색 핀에 대응되는 디자인 속성들 만을 포함하는 디자인 파일들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원단들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일부의 원단들 만이 디자인 그룹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해당 디자인 파일들을 포함하는 디자인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디자인 속성 및 디자인 그룹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객체(432) 중 적어도 일부 및 디자인 그룹 선택 객체(452, 454)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디자인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디자인 그룹은 사용자 선택 입력에 대응되는 디자인 속성에 관한 디자인 파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 그룹은 사용자 선택 입력에 대응되는 형식으로 표시된 디자인 파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디자인 그룹에 관하여 추가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자인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자인 그룹 영역(52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 그룹 영역(520)은 디자인 그룹이 생성되었음에 관한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 그룹 영역(520)은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객체 중 적어도 일부에 관한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 선택 입력에 대응되는 디자인 속성에 관한 디자인 파일들을 포함하는 디자인 그룹이 생성되었음에 관한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디자인 그룹을 생성하고, 그리고 새로운 디자인 그룹이 생성되었음을 디자인 그룹 영역(520)에 표시할 수 있다.
디자인 그룹 영역(520)은 생성된 디자인 그룹들에 관한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 그룹 영역(520)은 사전 결정된 순서에 따라 정렬된 디자인 그룹들에 관한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 그룹 영역(520)에 포함된 목록의 가장 위에 표시된 디자인 그룹은, 가장 최근에 생성된 디자인 그룹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가장 최근에 생성된 디자인 그룹을 디자인 그룹 영역(520)의 가장 상단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디자인 그룹 이름을 지정할 수 있다. 디자인 그룹 이름은 전술한 바와 같이 디자인 그룹과 연관된 주체, 시기 또는 디자인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디자인 그룹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디자인 그룹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자인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생성된 디자인 그룹을 표시하는, 디자인 그룹 레이어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자인 그룹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 그룹 레이어는 생성된 디자인 그룹을 표시하는 레이어일 수 있다. 디자인 그룹 레이어는 디자인 그룹에 포함된 디자인 파일들과 관련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 그룹 레이어는 사용자가 디자인 그룹에 포함할 것으로 결정한 디자인 파일들과 관련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디자인 그룹 레이어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 영역(62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 영역(620)은 디자인 그룹에 포함된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과 각각 연관될 수 있다.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 영역(620)은 디자인 그룹에 포함된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에 포함된 디자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 그룹 레이어에 포함된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 영역(620)은 디자인 그룹 생성 레이어에 포함된 디자인 파일 영역(410)과 일부 유사할 수 있다. 디자인 파일 영역(410)은 어소트먼트 그룹에 포함된 디자인 파일들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 영역(620)은 어소트먼트 그룹에 포함된 디자인 파일들 중 선택된 적어도 일부의 디자인 파일들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 영역(620)은 어소트먼트 그룹에 포함된 디자인 파일들 중 선택된 적어도 일부의 디자인 속성을 포함하는 디자인 파일들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자인 그룹 레이어에 포함된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 영역(620)과 디자인 그룹 생성 레이어에 포함된 디자인 파일 영역(410)은 포함하고 있는 디자인 정보는 일부 상이하나, 표현 방식은 유사할 수 있다.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 영역(620)은 제 1 디자인 그룹 서브 영역(622), 제 2 디자인 그룹 서브 영역(624) 및 제 3 디자인 그룹 서브 영역(626)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이며,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 영역(620)에 다른 서브 영역이 추가될 수도 있고, 또는 전술한 서브 영역 중 적어도 일부의 서브 영역이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 1 디자인 그룹 서브 영역(622)은 디자인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디자인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파일들 각각에 포함된 디자인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제 1 디자인 그룹 서브 영역(622)과 제 1 서브 영역(420)은 표시하는 디자인 이미지가 일부 상이할 수 있으나, 동일한 방식으로 표현된 디자인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디자인 그룹 서브 영역(622)은 디자인 파일에 대한 썸네일(thumbnail)을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 1 디자인 그룹 서브 영역(622)은 디자인 파일에 포함된 디자인 이미지를 작은 사이즈로 변환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제 1 디자인 그룹 서브 영역(622)에 디자인 이미지를 표시하여, 디자인 파일에 관한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어소트먼트 그룹에 포함된 제 1 디자인 파일, 제 2 디자인 파일, 제 3 디자인 파일 중 제 2 디자인 파일에 대해서만 디자인 그룹에 포함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 1 디자인 그룹 서브 영역(622)은 제 2 디자인 파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제 1 디자인 그룹 서브 영역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디자인 그룹 서브 영역(622)은 사전 결정된 디자인 이미지 속성에 따라 표시된 디자인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 이미지 속성은 디자인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법일 수 있다. 디자인 이미지 속성은 디자인 이미지를 2차원으로 표시하는 속성, 디자인 이미지를 3차원으로 표시하는 속성, 디자인 이미지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속성 또는 디자인 이미지를 특정 색상 또는 소재로 표시하는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디자인 그룹 서브 영역(626)은 디자인 이미지를 변경하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 이미지 속성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 이미지 속성은 전술한 바와 같이 디자인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법일 수 있다. 제 3 디자인 그룹 서브 영역(626)과 제 3 서브 영역(440)에 포함된 디자인 이미지 속성 객체는 동일할 수 있다. 제 3 디자인 그룹 서브 영역(626)에 포함된 디자인 이미지 속성 객체는, 3차원 속성 객체, 랜더링 속성 객체 또는 디자인 데이터 속성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디자인 이미지 속성 객체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디자인 그룹 서브 영역(622)은, 제 3 디자인 그룹 서브 영역(626)의 디자인 이미지 속성 객체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속성이 변경된 디자인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 3 디자인 그룹 서브 영역(626)의 디자인 이미지 속성 객체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선택한 디자인 이미지 속성 객체에 대응되도록 제 1 디자인 그룹 서브 영역(622)의 디자인 이미지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디자인 그룹에 포함된 디자인 파일들 각각에 대한 디자인 속성들 또는 디자인의 특징들을 제 1 디자인 그룹 서브 영역(622)의 디자인 이미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 디자인 그룹 서브 영역(622)에 포함된 디자인 이미지의 속성을 제 3 디자인 그룹 서브 영역(626)에 포함된 디자인 이미지 속성 객체에 대한 선택 입력을 통해 변경하면서, 여러 각도 또는 여러 속성의 가상화 된 디자인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디자인 이미지 속성 객체 및 디자인 이미지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2 디자인 그룹 서브 영역(624)은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 속성 객체는, 디자인 소재 또는 디자인 색상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디자인 속성과 연관될 수 있다. 제 2 디자인 그룹 서브 영역(624)은 디자인 그룹에 포함된 디자인 파일의 디자인 속성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2 디자인 그룹 서브 영역(624)은 어소트먼트 그룹의 디자인 파일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들 중, 적어도 일부의 디자인 속성들 만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디자인 그룹 서브 영역(624)은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들 중 사용자가 디자인 그룹에 포함할 것으로 결정 한, 적어도 일부의 디자인 속성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소트먼트 그룹의 일 디자인 파일은 제 1 디자인 속성(즉, 검정 단색), 제 2 디자인 속성(즉, 검정색 체크), 제 3 디자인 속성(즉, 남색 체크)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어소트먼트 그룹의 일 디자인 파일에 포함된 복수의 디자인 속성들 중 적어도 일부의 디자인 속성인 제 3 디자인 속성만을 디자인 그룹에 포함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제 2 디자인 그룹 서브 영역(624)은 디자인 그룹에 포함된 제 3 디자인 속성에 관한 정보만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제 2 디자인 그룹 서브 영역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자인 그룹 레이어는 어노테이션 영역(61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어노테이션 영역(610)을 통해 사용자의 어노테이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입력된 사용자의 어노테이션을 어노테이션 영역(610)에 표시할 수 있다. 어노테이션 영역(610)은 하나 이상의 어노테이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어노테이션 입력 각각은 디자인 파일과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노테이션 영역(610)은 제 1 어노테이션 입력과 제 1 디자인 파일과 관련성이 있다는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어노테이션 입력은 디자인 그룹에 포함된 디자인 파일에 관한 추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데이터는 디자인 파일에 대하여 일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데이터는 디자인 파일에 포함된 디자인 정보에 대한 피드백, 주의 사항 등일 수 있다. 디자인 그룹을 디자이너가 브랜드 사에 전달하는 경우, 브랜드 사에서는 수정하고자 하는 부분에 대한 피드백을 어노테이션 입력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또는, 브랜드 사에서 의류 제작 공장에 디자인 그룹을 전달하는 경우, 의류 제작 시 주의할 부분에 대하여 어노테이션 입력을 통해 전달할 수도 있다. 전술한 어노테이션 입력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자인 그룹 생성 레이어(400)는 둘 이상의 디자인 파일 영역(41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 그룹 생성 레이어(400)는 둘 이상의 디자인 파일 영역 중 하나의 디자인 파일 영역에 표시된 디자인 이미지의 표시 방법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나머지 다른 디자인 파일 영역들에 표시된 디자인 이미지의 표시 방법을 대응되게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하나의 디자인 이미지의 표시 방법 변경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나머지 디자인 이미지의 표시 방법도 또한 대응되게 변경시킬 수 있다. 디자인 이미지의 표시 방법은 디자인 이미지 속성 객체(442, 444, 446)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하나의 디자인 이미지에 대한 표시 방법을 3D로 변경시키면, 그에 대응되게 나머지 디자인 파일 영역에 포함된 디자인 이미지들도 3D로 표시될 수 있다. 디자인 이미지의 표시 방법은 디자인 이미지에 대한 표시 각도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의 디자인 이미지 회전 입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디자인 파일 영역에 포함된 하나의 디자인 이미지를 45도 회전시키면, 그에 대응되게 나머지 디자인 파일 영역에 포함된 디자인 이미지들도 45도 회전될 수 있다. 전술한 표시 방법 변경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자인 그룹 레이어는 둘 이상의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 영역(62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 그룹 레이어는 둘 이상의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 영역(620) 중 하나의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 영역에 표시된 디자인 이미지의 표시 방법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나머지 다른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 영역(620)들에 표시된 디자인 이미지의 표시 방법을 대응되게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하나의 디자인 이미지의 표시 방법 변경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나머지 디자인 이미지의 표시 방법도 또한 대응되게 변경시킬 수 있다. 디자인 이미지의 표시 방법은 제 3 디자인 그룹 서브 영역(626)에 포함된 디자인 이미지 속성 객체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하나의 디자인 이미지에 대한 표시 방법을 사이즈 34에서 사이즈 42로 변경시키면, 그에 대응되게 나머지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 영역에 포함된 디자인 이미지들도 사이즈 34에서 사이즈 42로 표시될 수 있다. 디자인 이미지의 표시 방법은 디자인 이미지에 대한 표시 각도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의 디자인 이미지 회전 입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 영역에 포함된 하나의 디자인 이미지를 45도 회전시키면, 그에 대응되게 나머지 디자인 파일 영역에 포함된 디자인 이미지들도 45도 회전될 수 있다. 전술한 표시 방법 변경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자인 그룹 레이어는 둘 이상의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 영역(620)을 포함할 수 있다. 둘 이상의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 영역(620) 중 하나의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된 하나의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 영역이 크게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마우스 포인터가 하나의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 영역에 위치한 것을 인식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해당 디자인 파일에 관련된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 영역을 확대시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하나의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 영역을 상기 디자인 그룹 레이어의 상위 레이어에 확대시켜 표시할 수 있다. 상위 레이어에서 디자인 파일 영역이 포함된 부분은 불투명하게 표시되고, 그리고 나머지 부분은 반 투명하게 표시되어, 반 투명한 부분을 통해 디자인 그룹 레이어에 포함된 일부의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 영역들이 보여 질 수 있다. 전술한 디자인 파일 영역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동작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자인 그룹 생성 레이어(400)에 포함된 디자인 파일 영역(410) 및 디자인 그룹 레이어에 포함된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 영역(620)은 각각 관련된 데이터들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경로로 링크 될 수 있다. 관련된 데이터들은 예를 들어, 디자인 데이터, 디자인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는 레이어, 쇼핑 플랫폼, 관련 회사의 홈페이지 등 다양한 정보들일 수 있으며, 이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자인 파일 영역(410) 및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 영역(620)은 각각 디자인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한 레이어와 링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자인 파일 영역(410) 또는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 영역(620) 각각에 표시된 디자인 데이터 링크를 사용자가 클릭하면 디자인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디자인 데이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물품을 생산하기 위한 물품의 색상, 패턴, 소재 또는 부자재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데이터일 수 있다. 디자인 데이터가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하여 본 명세서의 기재는 한국 출원번호 제 10-2019-0172432 호의 특허 전체를 통합하여 참조한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생성된 둘 이상의 디자인 그룹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리스트에는 둘 이상의 디자인 그룹에 관한 간략한 정보만이 텍스트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스트에는 둘 이상의 디자인 그룹 각각에 대한 디자인 파일들을 확인 또는 생성하는 주체, 시기 또는 디자인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가 텍스트로 표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마우스 포인터가 리스트에 포함된 하나의 디자인 그룹 위에 위치한 경우, 해당 디자인 그룹에 대한 프리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할 수 있다. 디자인 그룹에 대한 프리뷰는 디자인 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일부의 디자인 파일들의 디자인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복수의 디자인 그룹들을 포함하는 리스트에서, 디자인 그룹들 각각을 프리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프리뷰에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해당 디자인 그룹이 어떤 디자인 의류와 연관되는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프리뷰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사용자에게 어노테이션 입력을 통해 추가 데이터를 전달함으로써 다자간의 디자인 디자인에 관한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수행될 수 있다. 기존에 전화 또는 수기로 전달하던 피드백을 온라인 상의 디자인 그룹에 직접 표시하여 전달함으로써 피드백 전달에 대한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디자인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파일들에 대한 투표(voting)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일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일부의 디자인 파일들 만을 선택하는 투표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일 사용자로부터 디자인 파일에 대한 찬성 또는 반대를 선택하는 투표를 선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전 결정된 임계 표 이상의 투표를 받은 디자인 파일들 만을 디자인 그룹에 포함하도록 하고, 나머지 디자인 파일들은 디자인 그룹에서 삭제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사전 결정된 반대 표 이상의 투표를 받은 디자인 파일들을 디자인 그룹에서 삭제할 수 있다. 전술한 투표 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디자인 그룹에 포함된 디자인 파일에 관한 다양한 방식의 투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자인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순서도이다.
컴퓨팅 장치(100)는 디자인 그룹을 생성하는, 디자인 파일과 각각 연관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파일 영역을 포함하는, 디자인 그룹 생성 레이어를 표시(710)할 수 있다. 디자인 그룹은, 디자인된 디자인에 관련된 정보들을 시각화 하여 표시한 데이터 집합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상기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객체 중 적어도 일부에 관한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에 대응되는 디자인 속성에 관한 디자인 파일들을 포함하도록 디자인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디자인 그룹은, 디자인 그룹에 포함된 디자인 파일들을 확인 또는 생성하는 주체, 디자인 파일들이 이용되는 시기, 또는 디자인 파일들의 디자인 특성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될 수 있다. 디자인 파일은 디자인된 디자인과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디자인 파일 이외에 새로운 디자인 파일을 추가하는 디자인 파일 추가 객체를 포함하는 디자인 그룹 생성 레이어를 표시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디자인 파일 영역에 포함된 제 1 서브 영역에 디자인 이미지를 표시(720)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제 3 서브 영역의 디자인 이미지 속성 객체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디자인 이미지에 대한 속성을 변경하여 제 1 서브 영역에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디자인 파일 영역에 포함된 제 2 서브 영역에 상기 디자인 파일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중 적어도 일부에 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객체를 표시(730)할 수 있다. 디자인 속성 객체는, 디자인 소재 또는 디자인 색상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디자인 속성과 관련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객체 중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디자인 속성 객체와 다른 디자인 속성 객체를 구별하여 제 2 서브 영역에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디자인 파일 영역에 포함된 제 3 서브 영역에 디자인 이미지를 변경하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 이미지 속성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디자인 이미지 속성 객체는: 디자인 이미지를 3차원으로 표시하는 3차원 속성 객체, 디자인 이미지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랜더링 속성 객체, 또는 디자인 이미지에 대한 색상 또는 소재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디자인 데이터 속성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 그룹 종류 선택 객체를 포함하는 디자인 그룹 생성 레이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자인 그룹 종류 선택 객체는, 디자인 그룹에 포함되는 디자인 파일들이 표시되는 방법과 관련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객체 중 적어도 일부에 관한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에 대응되는 디자인 속성에 관한 디자인 파일들을 포함하는 디자인 그룹이 생성되었음을 표시하는 디자인 그룹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생성된 디자인 그룹을 표시하는, 디자인 그룹에 포함된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과 각각 연관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 영역을 포함하는, 디자인 그룹 레이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 영역은, 상기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에 포함된 디자인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 1 디자인 그룹 서브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 영역은,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허용하는, 제 2 디자인 그룹 서브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 그룹 레이어는,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에 대한 사용자 어노테이션 입력을 허용하는 어노테이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자인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자인 정보를 제공하는 로직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자인 그룹을 생성하는, 디자인 파일과 각각 연관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파일 영역을 포함하는, 디자인 그룹 생성 레이어를 표시하는 로직; 디자인 파일 영역에 포함된 제 1 서브 영역에 디자인 이미지를 표시하는 로직; 및 디자인 파일 영역에 포함된 제 2 서브 영역에 디자인 파일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중 적어도 일부에 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객체를 표시하는 로직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사용자 디자인 정보를 제공하는 로직은, 그와 대응되는 모듈, 회로 또는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에 대한 간략하고 일반적인 개략도이다.
본 개시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와 관련하여 전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본 개시가 기타 프로그램 모듈들과 결합되어 및/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은 특정의 태스크를 수행하거나 특정의 추상 데이터 유형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그램,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기타 등등을 포함한다. 또한,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방법이 단일-프로세서 또는 멀티프로세서 컴퓨터 시스템,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는 물론 퍼스널 컴퓨터, 핸드 헬드 컴퓨팅 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또는 프로그램가능 가전 제품, 기타 등등(이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연관된 장치와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음)을 비롯한 다른 컴퓨터 시스템 구성으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본 개시의 설명된 실시예들은 또한 어떤 태스크들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원격 처리 장치들에 의해 수행되는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될 수 있다.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 둘 다에 위치할 수 있다.
컴퓨터는 통상적으로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매체는 그 어떤 것이든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일시적(transitory) 및 비일시적(non-transitory) 매체,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를 포함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를 저장하는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일시적 및 비-일시적 매체,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메모리 기술, CD-ROM, DVD(digital video disk)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 장치,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 장치, 또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는 통상적으로 기타 전송 메커니즘(transport mechanism)과 같은 피변조 데이터 신호(modulated data signal)에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 등을 구현하고 모든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피변조 데이터 신호라는 용어는 신호 내에 정보를 인코딩하도록 그 신호의 특성들 중 하나 이상을 설정 또는 변경시킨 신호를 의미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직접 배선 접속(direct-wired connection)과 같은 유선 매체, 그리고 음향, RF, 적외선, 기타 무선 매체와 같은 무선 매체를 포함한다. 상술된 매체들 중 임의의 것의 조합도 역시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의 범위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컴퓨터(1102)를 포함하는 본 개시의 여러가지 측면들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환경(1100)이 나타내어져 있으며, 컴퓨터(1102)는 처리 장치(1104), 시스템 메모리(1106) 및 시스템 버스(1108)를 포함한다. 시스템 버스(1108)는 시스템 메모리(1106)(이에 한정되지 않음)를 비롯한 시스템 컴포넌트들을 처리 장치(1104)에 연결시킨다. 처리 장치(1104)는 다양한 상용 프로세서들 중 임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듀얼 프로세서 및 기타 멀티프로세서 아키텍처도 역시 처리 장치(1104)로서 이용될 수 있다.
시스템 버스(1108)는 메모리 버스, 주변장치 버스, 및 다양한 상용 버스 아키텍처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는 로컬 버스에 추가적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는 몇 가지 유형의 버스 구조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1106)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1110)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112)를 포함한다. 기본 입/출력 시스템(BIOS)은 ROM, EPROM,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1110)에 저장되며, 이 BIOS는 시동 중과 같은 때에 컴퓨터(1102) 내의 구성요소들 간에 정보를 전송하는 일을 돕는 기본적인 루틴을 포함한다. RAM(1112)은 또한 데이터를 캐싱하기 위한 정적 RAM 등의 고속 RAM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1102)는 또한 내장형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1114)(예를 들어, EIDE, SATA)-이 내장형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114)는 또한 적당한 섀시(도시 생략) 내에서 외장형 용도로 구성될 수 있음-, 자기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FDD)(1116)(예를 들어, 이동식 디스켓(1118)으로부터 판독을 하거나 그에 기록을 하기 위한 것임),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1120)(예를 들어, CD-ROM 디스크(1122)를 판독하거나 DVD 등의 기타 고용량 광 매체로부터 판독을 하거나 그에 기록을 하기 위한 것임)를 포함한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114),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116)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1120)는 각각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124),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126) 및 광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128)에 의해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될 수 있다. 외장형 드라이브 구현을 위한 인터페이스(1124)는 USB(Universal Serial Bus) 및 IEEE 1394 인터페이스 기술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둘 다를 포함한다.
이들 드라이브 및 그와 연관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데이터, 데이터 구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기타 등등의 비 휘발성 저장을 제공한다. 컴퓨터(1102)의 경우, 드라이브 및 매체는 임의의 데이터를 적당한 디지털 형식으로 저장하는 것에 대응한다. 상기에서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대한 설명이 HDD, 이동식 자기 디스크, 및 CD 또는 DVD 등의 이동식 광 매체를 언급하고 있지만, 당업자라면 집 드라이브(zip drive), 자기 카세트, 플래쉬 메모리 카드, 카트리지, 기타 등등의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다른 유형의 매체도 역시 예시 적인 운영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또 임의의 이러한 매체가 본 개시의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운영 체제(1130),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132), 기타 프로그램 모듈(1134) 및 프로그램 데이터(1136)를 비롯한 다수의 프로그램 모듈이 드라이브 및 RAM(1112)에 저장될 수 있다. 운영 체제, 애플리케이션, 모듈 및/또는 데이터의 전부 또는 그 일부분이 또한 RAM(1112)에 캐싱될 수 있다. 본 개시가 여러가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운영 체제 또는 운영 체제들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유선/무선 입력 장치, 예를 들어, 키보드(1138) 및 마우스(1140) 등의 포인팅 장치를 통해 컴퓨터(1102)에 명령 및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기타 입력 장치(도시 생략)로는 마이크, IR 리모콘, 조이스틱, 게임 패드, 스타일러스 펜, 터치 스크린, 기타 등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 및 기타 입력 장치가 종종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 장치 인터페이스(1142)를 통해 처리 장치(1104)에 연결되지만, 병렬 포트, IEEE 1394 직렬 포트, USB 포트, IR 인터페이스, 기타 등등의 기타 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모니터(1144) 또는 다른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도 역시 비디오 어댑터(1146)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된다. 모니터(1144)에 부가하여,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스피커, 프린터, 기타 등등의 기타 주변 출력 장치(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컴퓨터(1102)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을 통한 원격 컴퓨터(들)(1148) 등의 하나 이상의 원격 컴퓨터로의 논리적 연결을 사용하여 네트워크화 된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다. 원격 컴퓨터(들)(1148)는 워크스테이션, 컴퓨팅 디바이스 컴퓨터, 라우터, 퍼스널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오락 기기, 피어 장치 또는 기타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컴퓨터(1102)에 대해 기술된 구성요소들 중 다수 또는 그 전부를 포함하지만, 간략함을 위해, 메모리 저장 장치(1150)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논리적 연결은 근거리 통신망(LAN)(1152) 및/또는 더 큰 네트워크, 예를 들어, 원거리 통신망(WAN)(1154)에의 유선/무선 연결을 포함한다. 이러한 LAN 및 WAN 네트워킹 환경은 사무실 및 회사에서 일반적인 것이며, 인트라넷 등의 전사적 컴퓨터 네트워크(enterprise-wide computer network)를 용이하게 해주며, 이들 모두는 전세계 컴퓨터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LAN 네트워킹 환경에서 사용될 때, 컴퓨터(1102)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또는 어댑터(1156)를 통해 로컬 네트워크(1152)에 연결된다. 어댑터(1156)는 LAN(1152)에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해줄 수 있으며, 이 LAN(1152)은 또한 무선 어댑터(1156)와 통신하기 위해 그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고 있다. WAN 네트워킹 환경에서 사용될 때, 컴퓨터(1102)는 모뎀(1158)을 포함할 수 있거나, WAN(1154) 상의 통신 컴퓨팅 디바이스에 연결되거나, 또는 인터넷을 통하는 등, WAN(1154)을 통해 통신을 설정하는 기타 수단을 갖는다. 내장형 또는 외장형 및 유선 또는 무선 장치일 수 있는 모뎀(1158)은 직렬 포트 인터페이스(1142)를 통해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된다. 네트워크화 된 환경에서, 컴퓨터(1102)에 대해 설명된 프로그램 모듈들 또는 그의 일부분이 원격 메모리/저장 장치(1150)에 저장될 수 있다. 도시된 네트워크 연결이 예시 적인 것이며 컴퓨터들 사이에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기타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컴퓨터(1102)는 무선 통신으로 배치되어 동작하는 임의의 무선 장치 또는 개체, 예를 들어, 프린터, 스캐너, 데스크톱 및/또는 휴대용 컴퓨터, PDA(portable data assistant), 통신 위성, 무선 검출가능 태그와 연관된 임의의 장비 또는 장소, 및 전화와 통신을 하는 동작을 한다. 이것은 적어도 Wi-Fi 및 블루투스 무선 기술을 포함한다. 따라서, 통신은 종래의 네트워크에서와 같이 미리 정의된 구조이거나 단순하게 적어도 2개의 장치 사이의 애드혹 통신(ad hoc communication)일 수 있다.
Wi-Fi(Wireless Fidelity)는 유선 없이도 인터넷 등으로의 연결을 가능하게 해준다. Wi-Fi는 이러한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가 실내에서 및 실외에서, 즉 기지국의 통화권 내의 아무 곳에서나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게 해주는 셀 전화와 같은 무선 기술이다. Wi-Fi 네트워크는 안전하고 신뢰성 있으며 고속인 무선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IEEE 802.11(a,b,g, 기타)이라고 하는 무선 기술을 사용한다. 컴퓨터를 서로에, 인터넷에 및 유선 네트워크(IEEE 802.3 또는 이더넷을 사용함)에 연결시키기 위해 Wi-Fi가 사용될 수 있다. Wi-Fi 네트워크는 비인가 2.4 및 5 GHz 무선 대역에서, 예를 들어, 11Mbps(802.11a) 또는 54 Mbps(802.11b) 데이터 레이트로 동작하거나, 양 대역(듀얼 대역)을 포함하는 제품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정보 및 신호들이 임의의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위의 설명에서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지시들, 명령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입자들, 광학장들 또는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프로세서들, 수단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편의를 위해, 여기에서 "소프트웨어"로 지칭되는) 다양한 형태들의 프로그램 또는 설계 코드 또는 이들 모두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이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위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하여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에 따라 좌우된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여기서 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한 제조 물품(articl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매체(media)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자기 저장 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 광학 디스크(예를 들면, CD, DVD, 등), 스마트 카드, 및 플래쉬 메모리 장치(예를 들면, E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제시되는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 및/또는 다른 기계-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3)

  1.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경우 디자인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자인 파일과 각각 연관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파일 영역을 포함하는, 디자인 그룹 생성 레이어;
    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디자인 속성 객체들 중, 사용자 선택 입력된 적어도 일부의 디자인 속성 객체만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파일을 포함하는 디자인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디자인 파일 영역은,
    디자인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 1 서브 영역; 및
    상기 디자인 파일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중 상기 디자인 그룹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객체에 대해서만 사용자 선택 입력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객체를 표시하는, 제 2 서브 영역;
    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파일 영역에 포함된, 상기 제 1 서브 영역 및 상기 제 2 서브 영역은 나란히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서브 영역 및 상기 제 2 서브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중첩하여 배치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그룹은,
    디자인된 물품에 관련된 정보들을 시각화 하여 표시한 데이터 집합이고,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객체 중 적어도 일부에 관한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에 대응되는 디자인 속성에 관한 디자인 파일들을 포함하도록 생성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객체 중 적어도 일부에 관한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에 대응되는 디자인 속성에 관한 디자인 파일들을 포함하는 디자인 그룹이 생성되었음을 표시하는 디자인 그룹 영역;
    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파일 영역은,
    상기 디자인 이미지를 변경하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 이미지 속성 객체를 표시하는, 제 3 서브 영역;
    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파일 영역에 포함된, 상기 제 1 서브 영역 및 상기 제 3 서브 영역은 나란히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서브 영역 및 상기 제 3 서브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중첩하여 배치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디자인 이미지 속성 객체는:
    상기 디자인 이미지를 3차원으로 표시하는 3차원 속성 객체,
    상기 디자인 이미지를 랜더링하여 표시하는 랜더링(rendering) 속성 객체,
    상기 디자인 이미지를 선택된 사이즈에 따라 상이하게 표시하는 사이즈 속성 객체, 또는
    상기 디자인 이미지에 대한 피쳐를 변경하여 표시하는 디자인 피쳐 속성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이미지에 대한 피쳐는, 상기 이미지에 대한 색상, 질감 또는 소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영역은,
    상기 제 3 서브 영역의 디자인 이미지 속성 객체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디자인 이미지에 대한 속성을 변경하여 추가로 표시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속성 객체는, 색상, 질감 또는 소재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디자인 속성과 관련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브 영역은,
    상기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객체 중 상기 사용자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디자인 속성 객체와 다른 디자인 속성 객체를 구별하여 추가로 표시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브 영역은:
    사전 결정된 개수의 디자인 속성 객체; 및
    상기 사전 결정된 개수 이외의 디자인 속성 객체를 확인하는 화살표 객체;
    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그룹은,
    상기 디자인 그룹에 포함된 디자인 파일들을 확인 또는 생성하는 주체,
    상기 디자인 파일들이 이용되는 시기, 또는
    상기 디자인 파일들의 디자인 특성,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그룹 생성 레이어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 그룹 종류 선택 객체;
    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디자인 그룹 종류 선택 객체는, 상기 디자인 그룹에 포함되는 디자인 파일들이 표시되는 방법과 관련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파일은 디자인된 물품과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디자인 그룹 생성 레이어는,
    상기 디자인 파일 이외에 새로운 디자인 파일을 추가하는 디자인 파일 추가 객체;
    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생성된 디자인 그룹을 표시하는, 상기 디자인 그룹에 포함된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과 각각 연관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 영역을 포함하는, 디자인 그룹 레이어;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 영역은,
    상기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에 포함된 디자인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 1 디자인 그룹 서브 영역; 및
    상기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에 대한 사용자 선택 입력을 허용하는, 제 2 디자인 그룹 서브 영역;
    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그룹 레이어는,
    상기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에 대한 사용자 어노테이션 입력을 허용하는 어노테이션 영역;
    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영역은,
    피팅 맵 객체에 관한 사용자 선택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의류가 피팅 되는 정도에 따라 상이한 시각적 표현을 상기 디자인 이미지에 표시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그룹 생성 레이어는 둘 이상의 디자인 파일 영역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둘 이상의 디자인 파일 영역 중 하나의 디자인 파일 영역에 표시된 디자인 이미지의 표시 방법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나머지 다른 디자인 파일 영역들에 표시된 디자인 이미지의 표시 방법을 대응되게 변경하여 표시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그룹 레이어는 둘 이상의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 영역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둘 이상의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 영역 중 하나의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 영역에 표시된 디자인 이미지의 표시 방법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나머지 다른 디자인 그룹 디자인 파일 영역들에 표시된 디자인 이미지의 표시 방법을 대응되게 변경하여 표시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21. 사용자 단말에서 디자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디자인 파일과 각각 연관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파일 영역을 포함하는, 디자인 그룹 생성 레이어를 표시하는 단계;
    복수의 디자인 속성 객체들 중, 사용자 선택 입력된 적어도 일부의 디자인 속성 객체만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파일을 포함하는 디자인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디자인 파일 영역에 포함된 제 1 서브 영역에 디자인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디자인 파일 영역에 포함된 제 2 서브 영역에 상기 디자인 파일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중 상기 디자인 그룹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객체에 대해서만 사용자 선택 입력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디자인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22. 사용자 단말로서,
    하나 이상의 코어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자인 파일과 각각 연관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파일 영역을 포함하는, 디자인 그룹 생성 레이어;
    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디자인 속성 객체들 중, 사용자 선택 입력된 적어도 일부의 디자인 속성 객체만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파일을 포함하는 디자인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디자인 파일 영역은,
    디자인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 1 서브 영역; 및
    상기 디자인 파일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중 상기 디자인 그룹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객체에 대해서만 사용자 선택 입력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객체를 표시하는, 제 2 서브 영역;
    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23. 서버로서,
    하나 이상의 코어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네트워크부; 및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네트워크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전송할 것을 결정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자인 파일과 각각 연관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파일 영역을 포함하는, 디자인 그룹 생성 레이어;
    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디자인 속성 객체들 중, 사용자 선택 입력된 적어도 일부의 디자인 속성 객체만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파일을 포함하는 디자인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디자인 파일 영역은,
    디자인 이미지를 표시하는, 제 1 서브 영역; 및
    상기 디자인 파일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중 상기 디자인 그룹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객체에 대해서만 사용자 선택 입력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디자인 속성 객체를 표시하는, 제 2 서브 영역;
    을 포함하는,
    서버.
KR1020200066858A 2020-04-27 2020-06-03 디자인 정보 제공 방법 KR102393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768430.3A CN113641356B (zh) 2020-04-27 2020-08-03 设计信息提供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859,144 US11281365B2 (en) 2020-04-27 2020-04-27 Method to provide design information
US16/859,144 2020-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559A KR20210132559A (ko) 2021-11-04
KR102393765B1 true KR102393765B1 (ko) 2022-05-04

Family

ID=78222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858A KR102393765B1 (ko) 2020-04-27 2020-06-03 디자인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11281365B2 (ko)
KR (1) KR1023937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0392B1 (en) 2017-06-29 2018-11-27 Best Apps, Llc Computer aided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custom products
USD951294S1 (en) * 2020-04-27 2022-05-10 Clo Virtual Fashion Inc. Display panel of a programmed computer system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514203B2 (en) * 2020-05-18 2022-11-29 Best Apps, Llc Computer aided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custom produc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630B1 (ko) * 2015-08-06 2017-02-01 황예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의류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784355B1 (ko) * 2015-08-19 2017-11-03 주식회사 제이와이피글로벌 디자인 툴을 이용한 디자인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US20190004688A1 (en) * 2017-06-29 2019-01-03 Best Apps, Llc Computer aided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custom product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29278B2 (en) 2005-08-29 2012-07-24 Sony Corporation Portfolios in disc authoring
DE102008035187A1 (de) 2008-07-28 2010-02-11 Frank Obrist Schmuck-/Dekorationselement
US8698920B2 (en) * 2009-02-24 2014-04-15 Olympus Imaging Corp.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EP2625660A4 (en) * 2010-10-05 2014-06-11 Centric Software Inc INTERACTIVE COLLECTION BOOK FOR MOBILE DEVICES
US20130110679A1 (en) 2011-09-22 2013-05-02 D'marie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designer garment tracking platform
US20140022238A1 (en) 2012-07-20 2014-01-23 Clo Virtual Fashion Inc. System for simulating user clothing on an avatar
US9767114B2 (en) * 2012-08-14 2017-09-19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disseminating content based on contexual information
KR101937929B1 (ko) 2014-06-23 2019-01-14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신발 디자인 도구
WO2016158896A1 (ja) * 2015-03-31 2016-10-06 セーレン株式会社 衣服デザイン表示システム、衣服製造システム、衣服デザイン出力システム及び衣服デザイン出力方法
EP3115971B1 (en) * 2015-06-02 2020-06-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hree-dimensional data of cloth
EP3317859A1 (en) 2015-07-01 2018-05-09 Dimensionalmecha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dular online product selection visualization and design services
US10068179B2 (en) 2015-07-29 2018-09-04 Adobe Systems Incorporated Positioning text in digital designs based on an underlying image
WO2018165239A1 (en) * 2017-03-07 2018-09-13 Original,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ustomized garment and outfit design generation
US9971854B1 (en) * 2017-06-29 2018-05-15 Best Apps, Llc Computer aided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custom products
US20190026393A1 (en) * 2017-07-20 2019-01-24 SiegeTek LLC Highly Custom and Scalable Design System and Method for Articles of Manufacture
US20190026397A1 (en) 2017-07-20 2019-01-24 SiegeTek LLC Highly Custom and Scalable Design System and Method for Articles of Manufacture
WO2019164741A1 (en) 2018-02-26 2019-08-29 Seddi, Inc. Avatar matching in on-line shopping
US11461510B2 (en) 2018-05-08 2022-10-04 Myntra Designs Private Limited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KR20190131268A (ko) 2018-05-16 2019-11-26 재단법인 한국패션유통정보연구원 디자인 크리에이터와 프로슈머가 참여하는 패션 디자인 커스터마이징 시스템
JP2022511186A (ja) * 2018-05-30 2022-01-31 ナイキ イノベイト シーブイ 衣類製作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200242174A1 (en) * 2019-01-25 2020-07-30 Karen Biran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procurement of construction goods and services
KR102011055B1 (ko) 2019-04-24 2019-08-14 주식회사 디쓰리디 의류 제작 시스템과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의류 자판기
US11972466B2 (en) * 2019-05-20 2024-04-30 Adobe Inc Computer storage media, method, and system for exploring and recommending matching products across categories
CN113010928A (zh) 2019-12-20 2021-06-22 柯镂虚拟时尚股份有限公司 设计信息提供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630B1 (ko) * 2015-08-06 2017-02-01 황예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 의류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784355B1 (ko) * 2015-08-19 2017-11-03 주식회사 제이와이피글로벌 디자인 툴을 이용한 디자인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US20190004688A1 (en) * 2017-06-29 2019-01-03 Best Apps, Llc Computer aided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custom produ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33986A1 (en) 2021-10-28
US20220171526A1 (en) 2022-06-02
US11886692B2 (en) 2024-01-30
US11281365B2 (en) 2022-03-22
KR20210132559A (ko)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7152B1 (ko) 디자인 정보 제공 방법
KR102393765B1 (ko) 디자인 정보 제공 방법
US11455177B1 (en) Hierarchical data binding for industrial control systems
US11287947B2 (en) Contextual input in a three-dimensional environment
Ens et al. Ivy: Exploring spatially situated visual programming for authoring and understanding intelligent environments
CN107250891A (zh) 头戴式显示器与真实世界对象之间的相互通信
CN102713894B (zh) 讨论消息的面向相关性的图形表示
JP556663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0476188A (zh) 集中式渲染
CN107219916A (zh) 基于多平台的体验生成
KR102265439B1 (ko) 의상의 3차원 모델링 방법
Gesslein et al. Pen-based interaction with spreadsheets in mobile virtual reality
CN108885793A (zh) 电子文档中的墨水
CN105683888B (zh) 提供关于图像绘制的信息的方法和设备及其记录介质
KR101726184B1 (ko) 포장 상자의 3차원 애니메이션 연출 방법 및 장치
CN113196271A (zh) 用于衣服建模的身体形状显示方法
CN113641356B (zh) 设计信息提供方法
US11423193B1 (en) Perspective piping for a human machine interface
KR102179450B1 (ko) 의류 개발을 위한 바디 템플릿을 제공하는 템플릿 제공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20190311424A1 (en) Product visualizatio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wo-dimensional images to interactively display photorealistic representations of three-dimensional objects based on smart tagging
KR20210107558A (ko) 라벨 생성 방법
KR102466085B1 (ko) 파일상태에 따른 접근 권한 설정 방법
US20230354941A1 (en) Automatic generation of fashion manufacturing tech packs from images using computer vision
KR102322600B1 (ko) 데이터 표시 방법
KR102351939B1 (ko) 소셜 네트워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