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670B1 - 고양이의 배뇨활동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고양이의 배뇨활동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670B1
KR102393670B1 KR1020210024507A KR20210024507A KR102393670B1 KR 102393670 B1 KR102393670 B1 KR 102393670B1 KR 1020210024507 A KR1020210024507 A KR 1020210024507A KR 20210024507 A KR20210024507 A KR 20210024507A KR 102393670 B1 KR102393670 B1 KR 102393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ation
cat
activity
sound
analysis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용주
Original Assignee
우주라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주라컴퍼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주라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4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로 인기가 높은 고양이의 배뇨활동에 대한 정보를 자동 수집하는 배뇨활동 모니터링 방법과 관련되며 실시예로, 고양이의 배설 활동 중에 발생하는 배뇨음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배뇨음으로부터 배뇨 활동에 대한 분석지표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지표로부터 상기 고양이의 배뇨 활동에 대한 건전성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양이의 배뇨활동 모니터링 방법을 제시한다.

Description

고양이의 배뇨활동 모니터링 방법{Monitoring methods for urination of cat}
본 발명은 애완동물로 인기가 높은 고양이의 배뇨활동에 대한 정보를 자동 수집/분석/평가하는 배뇨활동 모니터링 방법과 관련된다.
집고양이는 본디 비옥한 초승달 지대를 둘러싼 반사막지대에서 기원한 Felis silvestris lybica를 조상으로 두고 있는 종으로, 물이 부족한 반사막지대에 서식하는 동물들의 대부분이 그러하듯이 별도의 수분섭취가 없더라도 먹이에서 확보한 수분만으로 무리 없이 생활할 수 있는 고도의 소변 농축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수분섭취에 소극적인 습성을 지니고 있다.
고양이의 소극적 수분섭취 습관, 수명의 증대 및 먹이로 제공하는 건조사료 등의 사육 환경은 고양이에게 하부요로계증후군(FUS)이라고 불리는 요로폐색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과거 야생에서는 요로폐색이 발생할 나이에 도달하기 전에 수명을 다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사람이 데리고 살면서 고양이의 기대 수명이 증가하자 노령 묘에서 요로폐색에 시달리는 사례가 주요 건강 문제로 대두되었다.
그러나 고양이는 방광이 소변으로 팽창하여 체강의 절반을 차지하는 상황에서도 겉으로는 거의 아무런 증상을 호소하지 않는 습성, 즉 질병을 감추는 습성이 있어, 생명이 경각에 달한 수준에 이르러서야 보호자가 이를 인지하고 병원에 내원하는 경우가 많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152068호 (2020.08.31)
본 발명은 평소 고양이의 배뇨 활동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데에 일차적인 목적이 있으며, 이를 통해 고양이의 건강한 노년 생활을 영위케 하고자 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고양이의 배설 활동 중에 발생하는 배뇨음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배뇨음으로부터 배뇨 활동에 대한 분석지표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지표로부터 상기 고양이의 배뇨 활동에 대한 건전성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양이의 배뇨활동 모니터링 방법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분석지표는 배뇨의 성공 여부, 배뇨빈도, 배뇨음의 추이, 배뇨의 소요시간, 배뇨음의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고양이의 배설 활동 전 화장실 모래 무게와, 배설 활동 후 상기 모래 무게를 대비하여 배설량을 추정하고, 상기 모래를 건조 처리한 후 건조된 상기 모래의 무게와, 상기 배설 활동 전 화장실 모래 무게를 대비하여, 배뇨만 있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배뇨만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배설량을 배뇨량으로 하여 상기 분석지표에 포함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건전성 평가는 현재로부터 일정 기간 내에 산출되었던 상기 분석지표의 각 항목별 평균값과, 과거의 특정 시점으로부터 일정 기간 내에 산출되었던 상기 분석지표의 각 항목별 평균값의 차이를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건전성 평가는 산출된 상기 분석지표와, 품종, 나이 및 체중을 포함하는 개체분류에 따라 미리 저장되어 있는 과거 평균치의 분석지표와 차이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평소에도 고양이의 배뇨 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그에 따라 배뇨 활동과 연관된 고양이의 건강상 문제점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어, 조기 치료, 선제적 예방 활동에 의한 노령 묘의 건강한 사육이 가능하게 된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양이의 배뇨활동 모니터링 방법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배뇨활동 모니터링 방법이 적용된 플랫폼의 개략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양이 화장실의 단면도.
도 4는 배설활동 중 배뇨활동을 구분하는 방법과 관련된 블록도.
도 5는 배뇨음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의 배뇨활동 모니터링 방법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도면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배설"은 대변 또는 소변을 배출하는 행위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뇨활동 모니터링 방법과 관련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뇨활동 모니터링 방법은, 사육되는 고양이에게 제공되는 고양이용 화장실에서 행하여지는 고양이의 배뇨 활동 중에 배뇨음을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배뇨 활동에 대한 분석지표를 생성 및 저장한다. 이렇게 생성된 분석지표를 활용하여 배뇨 활동에 대한 건전성 평가를 수행하여, 고양이의 하부요로계의 건강을 살피려는 것이다. 이를 단계별로 구분하면, 배뇨음 수집 단계, 분석지표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 및 건전성 평가 단계를 거치게 된다.
도 2와 도 3은 배뇨활동 모니터링 방법이 적용되는 플랫폼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적용되는 플랫폼은, 고양이 화장실(100), 정보 처리 장치(200), 사육자의 모바일 디바이스(300) 및 해당 서비스 주체가 운용하는 운영자 서버(400)를 포함한다.
고양이 화장실(100)은 배설 활동이 발생하는 장소로, 고양이 화장실용 모래(S)를 바닥에 깔아 사용하는 것이다.
고양이 화장실(100)에는 배설 활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를 수집하는 마이크(10), 수집한 소리를 정보 처리 장치에 발신하는 송신기 및 전송에 적합하게 소리를 가공하는 변환기 등이 구비된다.
도 3은 고양이 화장실이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20)은 상자 형태로, 상부에는 고양이의 출입구(2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자 형태의 하우징(20)은 주변의 잡음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하우징의 상부는 하우징 내부를 향하여 오므려진 형상이 되어, 모래 위에 발생하는 소리의 수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하우징의 바닥은 이중 용기 형태로, 내부 용기(30)에 고양이용 모래(S)가 담기며, 내부 용기(30)의 바닥에는 모래를 가열하는 가열수단으로, 전원 공급에 받아 작동하는 열선(40)이 장착되어 있다. 이 열선(40)의 작동 제어를 위해 모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가 내부 용기 안에 구비된다.
또한 하우징(20)에는 내부 용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저울(50)이 구비된다. 저울(50)은 배설물에 의한 모래(S)의 무게 변화를 측정하는 것으로, 측정된 무게는 정보 처리 장치(200)로 전송된다.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하우징에는, 고양이의 출입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객체 감지 센서(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 열선의 전력 공급을 위한 전력 배분 장치, 작동 상태를 외부에 표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사육자가 열선을 직접 조작하거나 통상 상태 감시 등을 위한 조작모듈을 구비한다.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배뇨음 수집을 위한 마이크 등의 하드웨어는 고양이에 채워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장착될 수 있다. 고양이의 목걸이 형태로 제작되는 충전식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구비된 마이크 장비와 송수신기를 통하여, 녹음된 소리를 정보 처리 장치에 송출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200)는 고양이 화장실(100)이나 고양이에 채워진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배뇨음 정보를 수신 받아 분석지표를 생성 및 저장하고, 건전성 평가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정보 처리 장치(200)는, 분석모듈, 데이터베이스 및 평가모듈을 구비한다. 나아가 고양이 화장실 등과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 고양이 화장실의 열선에 전원 공급 제어를 위한 제어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양이 화장실이 설치된 장소의 습도, 모래의 물성과 양 등을 고려하여 일정량의 소변을 건조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과 온도에 대한 운영설정정보를 보유하고, 이를 활용하여 열선의 작동을 제어하는 건조제어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300)는 사육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이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정보 처리 장치에서 제공하는 분석지표나 건전성 평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또 이를 운영자 서버에 보내기 위한 조작, 사육하는 고양이와 관련된 정보를 운영자 서버로부터 내려받기 위한 조작, 고양이 화장실의 전자 장비들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등을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사육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후술하는 객체특성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수 있다.
운영자 서버(400)는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하여, 배뇨음 관련 정보를 전달받게 된다.
운영자 서버(400)는 다수의 사육자와 그들의 고양이에 대한 분석지표나 건전성 평가 결과를 한데 모아, 분류, 저장 및 업데이트를 반복함으로써, 고양이의 품종, 나이, 체중을 포함하는 개체분류에 따른 분석지표나 건전성 평가 결과를 보유하게 된다.
여기서 개체분류는 품종, 나이, 체중에 따른 분류 카테고리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성별, 중성화 수술 여부, 출산 경험 유무, 중대 질병에 대한 사전 진단 여부, 주로 제공되는 식단, 식사량, 운동량 등이 2차 분류 카테고리로 더 추가되어, 세분화될 수 있다.
운영자 서버(400)는 개체분류에 따라 분석지표나 건전성 평가 결과에 대한 테이블을 구비한다. 어느 한 정보 처리 장치에서 전달된 분석지표 데이터에는 개체분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운영자 서버는 개체분류에 따라 해당 테이블의 값을 갱신한다. 여기서 갱신 방법으로 테이블에 기록된 값과의 평균치를 산출하고, 이를 새로운 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동종 개체분류에 따른 다수의 분석지표가 반영됨으로써, 개체분류에 따른 분석지표나 건전성 평가 결과의 표준이 형성된다.
도 4는 배뇨 활동을 선정하고, 배뇨량을 산출하는 과정과 관련된다.
고양이의 배설 활동은 배변 또는 배뇨가 있다. 그 중 본 발명이 목적하는 배뇨 활동만을 선별하기 위해, 다음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고양이 화장실에 구비된 저울을 통해 고양이의 배설 활동 전,후로 화장실의 모래 무게 측정하고 저장해 둔다.
배설 활동이 있었는지 여부는, 객체 감지 센서를 통해 화장실에 고양이가 들어갔다가 나왔는지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추정할 수 있다.
보다 정확히 판별하기 위하여, 녹음된 소리를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양이가 고양이 화장실에 진입하였음을 객체 감지 센서가 인식한 후,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녹음이 시작된다.
고양이 화장실에 들어온 고양이는 모래를 살피면서 두리번거리다가 앞발 등으로 모래를 정리하고, 배설을 위한 자세를 취한 후 잠시 정적이 되었다가 배설을 시작하는 행동 패턴을 보인다. 마이크로 녹음된 소리를 실시간 분석하여 일련의 행동 패턴에 따르는지 추적하고, 배설 시작 타이밍에 맞춰 물소리와 같은 특정 소음이 발생하는지를 확인함으로서 배설 행동이 있었는지를 더욱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고양이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가속도 센서를 통해 고양이가 두리번거리는 행동, 앞발을 사용하는 행동, 배설 자세를 취하고 잠시 멈춘 정적인 상태인지를 순차적으로 추적, 확인하여 배설 활동이 있었는지를 추가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배설 활동이 완료된 후 고양이는 배설물을 모래로 덮는 행동을 취하는데, 이를 모래가 덮이는 소리 또는 다시 앞발을 움직이는 행동으로 파악함으로써, 배설활동의 종료 시점을 판정할 수 있다.
고양이가 배설 후 고양이 화장실에서 나간 상황에서, 모래 무게를 측정한다.
고양이의 배설 전후의 모래 무게의 증감분을 산출함으로써, 배설량(정확히는 배설물의 무게)을 계산할 수 있다.
이후 모래를 가열하여 모래를 건조시킨다. 모래의 건조는 내부 용기의 하부에 구비된 열선에 전원을 인가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설물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것으로, 히터를 통해 모래를 가열하는 시간은 배설물을 포함한 모래의 무게가 일정 수준으로 수렴하는 조건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히터 작동 이후 저울을 통한 모래의 무게 측정이 수시로 수행된다.
건조가 완료된 시점에서 모래의 무게를 측정하고, 건조 후 측정한 모래의 무게와 배설 전 모래의 무게를 대비하여, 무게 증감분을 산출한다.
여기서 무게 증감분의 크기에 따라 배설물이 소변만으로 이루어진 것인지, 즉 배뇨 활동만 있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만일 배설물에 대변이 포함된 경우라면, 모래의 건조 이후 남은 대변의 무게만큼 모래 무게가 증가된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수준을 넘어선 범위로 모래 무게가 늘었다면, 이는 배설 활동에 대변이 포함된 것으로 판별한다. 이 경우, 대변 활동이 있음을 로그 기록한다.
한편 배설물이 소변만이라면, 모래를 건조하는 과정 중에 증발하므로 모래 무게의 증가분이 거의 없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설치 이내로 무게 변화가 없다면, 배설 활동이 배뇨 활동만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판별한다.
이로써 사육자가 매번 화장실 모래를 뒤집어 관찰하지 아니하여도, 고양이의 배설 활동이 순수한 배뇨 활동만으로 이루어진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배설활동 전,후로 늘어난 무게 증감분을, 배뇨량으로 확정할 수 있게 된다. 이 배뇨량을 분석지표 중 하나로 삼을 수 있다. 배뇨량이 분석지표로 추가됨으로써, 배뇨음에 기인한 분석지표와 더불어 건전성 평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분석모듈은 전달된 배뇨음을 음향 분석하여 배뇨 활동에 대한 분석지표를 생성한다.
여기서 분석지표로는 배설의 성공 여부, 배뇨빈도, 배뇨음의 추이, 배뇨의 소요시간, 배뇨음의 크기가 포함된다.
배설의 성공 여부는 대변 또는 소변이 나왔는지 여부에 대한 것으로, 배설음에서 대변이 떨어지는 소리나 소변이 흐르는 소리 등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는 배설 활동 전후 모래 무게의 증감 여부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하부요로계가 크게 나빠진 경우, 요의를 느껴 고양이 화장실에서 배뇨 자세를 취하더라도 최종적으로 배뇨에 성공하지 못할 수 있다. 배뇨에 성공하지 못하였다면, 하부요로계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기에 건전성 평가에서 주요 항목으로 평가될 수 있다.
배뇨빈도는 배뇨 활동이 얼마나 자주 있었는지에 대한 것으로, 하루 중 배설 횟수나 배뇨 횟수로 측정된다.
배뇨음의 추이는 시간에 따른 배뇨음의 크기 변화 양상과 관련된다. 여기서 배뇨음의 크기는 배뇨음의 고저 또는 강약이 될 수 있다. 건강한 고양이는 배뇨 시작에서 끝까지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소음이 발생하지만(도 5의 (a) 참조), 하부요로계에 어떤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배뇨음이 단속적이다(도 5의 (b) 참조).
배뇨의 소요시간은 소변을 누는데 걸린 시간의 길이로, 소변량에 비례하지만, 적은 배뇨량에도 불구하고 소요 시간이 긴 경우에 하부요로계에 어떤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 지표이다.
배뇨음의 크기는 배뇨의 시작과 마지막에서 일정 시간 분량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대에서 발생한 물소리의 평균치나 최대값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배뇨음의 크기는 요압이나 요속과 관련하여, 요로계통이 건강한지를 평가하는 항목이 된다.
이러한 배뇨음으로부터 산출되는 분석지표는 수집된 배뇨음을 음향 분석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뇨음을 구성하는 시간에 따른 주파수, 데시벨, 강도(intensity), 파형 등으로부터, spectra, peak, factor, 반복성 등을 평가하여 배뇨음에 대한 특성을 도출할 수 있다. 도출된 특성들로부터 진동레벨과 진동가속도레벨, 소음통계레벨, 소음평가지수를 도출할 수 있으며, 스펙트럼(진폭과 주파수의 함수)과 LPC smoothed spectrum, 역주파수표(cepstrum), 스펙트로그램을 통해서 시각화된 분석이 가능하다. 이러한 음향 분석을 위해 공지된 음향 분석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분석지표 외에도 1회 배뇨 시도 중 배뇨 소리가 끊어진 횟수, 배뇨의 시작으로부터 배뇨음이 최대 크기로 커지기까지 소요된 시간 등을 분석지표로써 추가할 수 있다.
이렇게 산출된 분석지표는 배뇨 활동의 시간 정보와 더불어 정보 처리 장치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평가모듈에 전송된다. 데이터베이스에는 매 배뇨 활동마다 생성된 분석지표를 시간 정보와 함께 기록된다.
나아가 정보 처리 장치는 생성된 분석지표를 객체특성과 함께 운영자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평가모듈은 분석지표를 통해 해당 고양이의 배뇨 활동에 대한 건전성을 평가한다. 여기서 건전성 평가는 해당 고양이의 과거와 현재를 비교하는 개체별 시계열 분석법과, 개체분류의 평균치와 비교하는 유사카테고리와의 비교분석법으로 나뉜다.
먼저 개체별 시계열 분석법은, 현재 산출된 분석지표 또는 현재로부터 일정 기간 내에 산출되었던 분석지표들의 각 항목별 평균값을 대상으로 삼아, 과거의 특정 시점으로부터 일정 기간 내에 산출되었던 분석지표의 각 항목별 평균값과 대조하여, 그 차이를 산출하는 것이다.
같은 개체의 과거와 현재를 비교하는 것으로, 개체분류의 특성이 직접적으로 반영될 필요가 없으며, 그에 따라 운영자 서버가 생략될 수 있다.
한 번의 배뇨 활동으로 산출된 분석지표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특이치(소위 이상치 또는 튀는 값)를 평가 대상으로 삼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수일 동안 이루어진 배뇨 활동에 대한 분석지표들의 각 항목별 평균치를 평가 대상으로 삼을 수 있다.
한편 비교 대상이 되는 과거의 특정 시점은 수개월 전의 한 달치와 같이, 사육자의 임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비교 대상이 되는 과거 시점과 평균치를 산출하기 위한 기간은, 수의사 등 전문가의 조언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건강하였던 과거의 데이터와 지금의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각 분석지표가 얼마나 차이 나는지를 사육자가 확인할 수 있다.
평가모듈은 분석지표의 항목별 대조 결과에 따라, 미리 설정된 질병 분류별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거에 비하여 배뇨량은 크게 차이나지 아니하나, 배뇨음 크기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줄어들면서, 배뇨 시간이 크게 늘어난 경우에는, 요로계의 전문의 진료를 권유하는 메시지를 사육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뇨의 시작과 종료 사이 총 배뇨시간 중 시간 t값에 대해 그려지는 파형 곡선을 단순화주파수표(smoothed spectrum)로 변환 한 후 일정 구간별(예를 들어 전체 배뇨시간의 각 1/10) 극대, 극소값의 차이가 기존 데이터 대비 일정량 이상 증가하거나 지속적인 증가패턴을 보이는 경우에, 이를 요로 폐색 질환과 연결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예시로, 배뇨음의 파형 곡선의 오른쪽 꼬리 부분의 첨도 및 각 구간별 첨도의 증가와 포락선의 x축에 대해 평행한 구간의 감소 수준, 해당 개체의 배뇨시에 일반적으로 발생하던 특정 dB의 소음도에 미치지 못하는 강도의 배뇨음이 일정한 수준 이상으로 발생 또는 그 경향성이 증대, 배뇨음의 스펙트로그램 상에서 특정한 주파수의 현저한 감소(배뇨음을 구성하는 특정 주파수의 멸실 또는 감소 또는 배뇨전 화장실 준비 행동과 배뇨 시작에 걸리는 소요시간의 증가 여부 판정을 터 요로 폐색 질환과 연결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과거의 특정 시점에서의 배뇨음 추이와, 최근의 어느 한 배뇨음 추이를 그래프 방식으로 사육자에게 제시함으로써, 사육자를 두 그래프를 보고 위험도를 살피거나, 사육자가 수의자 등 전문가에게 해당 그래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평가모듈은 당해의 분석지표 자체만으로도 건전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당해 분석지표에서 어떤 경향성이 드러난 경우에, 이를 통해 미리 설정된 질병, 장애가 우려됨을 사육자에게 표출할 수 있다.
한편 유사카테고리와의 비교분석법은, 현재 산출된 분석지표 또는 현재로부터 일정 기간 내에 산출되었던 분석지표들의 각 항목별 평균값을 대상으로 삼고, 해당 개체분류와 일치 또는 유사한 개체분류를 운영자 서버에서 검색하고, 그 개체분류에 속한 분류지표의 각 항목별 평균값과 대조하여, 그 차이를 산출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정보 처리 장치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개체의 개체분류 정보를 운영자 서버에 전송하고, 운영자 서버는 해당 정보 처리 장치의 요청에 따라 개체분류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테이블을 검색하여, 미리 저장하고 있던 개체분류에 다른 분석지표의 각 항목별 평균치를 정보 처리 장치에 전송한다. 여기서 유사도 평가는 개개의 분류 기준에 대해 미리 정해진 우선순위 순서에 따라 정해지는 방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순위는 고양이의 무게, 나이, 품종, 성별 순으로 정해질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는 운영자 서버로부터 전달된 분석지표의 각 항목별 평균치와, 기르는 고양이로부터 산출된 분석지표의 각 항목을 대비하고, 그 결과를 사육자에게 제시한다.
유사카테고리와의 비교분석법은 개별분류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다른 개체의 분석지표를 비교 기준으로 삼기 때문에, 해당 개체의 건전성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특히 다수의 고양이에 대한 분석지표 데이터가 쌓여 저장된 분석지표를 이용하게 된다면, 건전성 평가에 대한 신뢰성이 매우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나이가 들어가면서 점차 나빠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 반영되므로, 연령에 따른 건강 평가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 동종 품종 간 비교 외에도 타 품종과도 비교함으로써, 유전적 영향을 많이 받는 고양이 질환의 분석 연구에도 기여할 수 있다.
100 : 고양이 화장실
S : 모래 10 : 마이크 20 : 하우징 21 : 출입구
30 : 내부 용기 40 : 열선 50 : 저울
200 : 정보 처리 장치
300 : 모바일 디바이스
400 : 운영자 서버

Claims (6)

  1. 고양이의 배설 활동 중에 발생하는 배뇨음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배뇨음으로부터 배뇨 활동에 대한 분석지표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지표로부터 상기 고양이의 배뇨 활동에 대한 건전성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뇨음을 수집하는 단계에서
    고양이의 배설 활동 전 화장실 모래 무게와, 배설 활동 후 상기 모래 무게를 대비하여 배설량을 추정하고,
    상기 모래를 건조 처리한 후 건조된 상기 모래의 무게와, 상기 배설 활동 전 화장실 모래 무게를 대비하여, 배뇨만 있었는지 또는 대변의 방출도 동반하였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의 배뇨활동 모니터링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분석지표는
    배뇨의 성공 여부, 배뇨빈도, 배뇨음의 추이, 배뇨의 소요시간, 배뇨음의 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의 배뇨활동 모니터링 방법.
  3. 삭제
  4. 제1항에서,
    배뇨만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배설량을 배뇨량으로 간주하여 상기 분석지표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의 배뇨활동 모니터링 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건전성 평가는
    현재로부터 일정 기간 내에 산출되었던 상기 분석지표의 각 항목별 평균값과,
    과거의 특정 시점으로부터 일정 기간 내에 산출되었던 상기 분석지표의 각 항목별 평균값의 차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의 배뇨활동 모니터링 방법.
  6. 제1항에서,
    상기 건전성 평가는
    산출된 상기 분석지표와,
    품종, 나이 및 체중을 포함하는 개체분류에 따라 미리 저장되어 있는 과거 평균치의 분석지표와 차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의 배뇨활동 모니터링 방법.
KR1020210024507A 2021-02-24 2021-02-24 고양이의 배뇨활동 모니터링 방법 KR102393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507A KR102393670B1 (ko) 2021-02-24 2021-02-24 고양이의 배뇨활동 모니터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507A KR102393670B1 (ko) 2021-02-24 2021-02-24 고양이의 배뇨활동 모니터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3670B1 true KR102393670B1 (ko) 2022-05-04

Family

ID=81584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507A KR102393670B1 (ko) 2021-02-24 2021-02-24 고양이의 배뇨활동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36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9390A (ko) * 2015-06-18 2016-12-28 이민성 배설물상태 및 배변활동을 이용한 애완동물 건강상태 판단 방법 및 장치
KR20200002093A (ko) * 2018-06-29 2020-01-08 다인기술 주식회사 배뇨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JP2020005556A (ja) * 2018-07-06 2020-01-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健康状態判定装置、健康状態判定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2152068B1 (ko) 2020-01-06 2020-09-04 주식회사 디케이코리아 반려동물 관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9390A (ko) * 2015-06-18 2016-12-28 이민성 배설물상태 및 배변활동을 이용한 애완동물 건강상태 판단 방법 및 장치
KR20200002093A (ko) * 2018-06-29 2020-01-08 다인기술 주식회사 배뇨에 관한 정보를 산출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JP2020005556A (ja) * 2018-07-06 2020-01-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健康状態判定装置、健康状態判定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2152068B1 (ko) 2020-01-06 2020-09-04 주식회사 디케이코리아 반려동물 관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vergnas et al. Claw disorders in dairy cattle: Effects on production, welfare and farm economics with possible prevention methods
NL1017354C2 (nl)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melken van een dier, inrichting voor het bewaken van een dier.
Bicalho et al. Association between a visual and an automated locomotion score in lactating Holstein cows
Frost et al. A review of livestock monitoring and the need for integrated systems
Kamphuis et al. Applying additive logistic regression to data derived from sensors monitoring behavior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dairy cows to detect lameness
US200700002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animals' health and performance
MX2011008206A (es) Sistema y metodos para monitorear la salud de animales anonimos en grupos de ganado.
Algers et al. Monitoring animal welfare on commercial broiler farms in Sweden
MX2011008205A (es) Medidor de vitalidad para monitorear la salud de animales anonimos en grupos de ganado.
JP6630906B1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Cornou et al. Use of information from monitoring and decision support systems in pig production: Collection, applications and expected benefits
KR101976519B1 (ko) 가축의 반추위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Steensels et al. Towards practical application of sensors for monitoring animal health; design and validation of a model to detect ketosis
Shahinfar et al. Machine learning approaches for the prediction of lameness in dairy cows
Watts et al. Variability in vocal and behavioural responses to visual isolation between full-sibling families of beef calves
WO202016558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livestock rearing
Goharshahi et al. Monitoring selected behaviors of calves by use of an ear-attached accelerometer for detecting early indicators of diarrhea
US10089435B1 (en) Device and method of correlating rodent vocalizations with rodent behavior
KR102393670B1 (ko) 고양이의 배뇨활동 모니터링 방법
Pastell et al. Application of CUSUM charts to detect lameness in a milking robot
US20190042692A1 (en) Device and method of using rodent vocalizations for automatic classification of animal behavior
Dittrich et al. Estimating risk probabilities for sickness from behavioural patterns to identify health challenges in dairy cows with multivariate cumulative sum control charts
NL1017352C2 (nl) Inrichting voor het uitvoeren van een behandeling aan een melkdier.
US10806129B2 (en) Device and method of automatic classification of animal behaviors using vocalizations
Dittrich et al. Combining multivariate cumulative sum control charts with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partial least squares model to detect sickness behaviour in dairy catt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