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529B1 - 비자성 파이프 검사용 자성 금속 이물질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비자성 파이프 검사용 자성 금속 이물질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529B1
KR102393529B1 KR1020200103547A KR20200103547A KR102393529B1 KR 102393529 B1 KR102393529 B1 KR 102393529B1 KR 1020200103547 A KR1020200103547 A KR 1020200103547A KR 20200103547 A KR20200103547 A KR 20200103547A KR 102393529 B1 KR102393529 B1 KR 102393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etection
magnetic
metal foreign
foreign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2405A (ko
Inventor
제만석
Original Assignee
제만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만석 filed Critical 제만석
Priority to KR1020200103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529B1/ko
Publication of KR20220022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0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 G01V3/081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the magnetic field is produced by the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15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during transport, e.g. by a person, vehicle or boat
    • G01V3/165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during transport, e.g. by a person, vehicle or boat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the object or by the detecting devi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38Processing data, e.g. for analysis, for interpretation, for corre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인리스 등과 같이 비자성 재질로 이루어진 파이프의 내부에 자성 재질의 금속 이물질이 적체되어 있는지를 검출하여 금속 이물질의 적체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비자성 파이프 검사용 자성 금속 이물질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비자성 재질로 이루어진 파이프의 내부에 금속 이물질의 적체 여부를 검출하는 것으로; 상기 파이프의 하부 외주면에 사용자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취부되는 취부구; 상기 취부구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금속 이물질을 자기장 수치를 근거로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생성하는 검출수단; 상기 검출수단에서 생성된 상기 검출신호와 상기 자기장 수치에 기초하여 상기 파이프의 내부에 적체된 상기 금속 이물질에 대한 검출영상을 생성하는 검출영상생성모듈; 및 상기 검출영상생성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검출영상을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자성 파이프 검사용 자성 금속 이물질 검출 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비자성 파이프 검사용 자성 금속 이물질 검출 장치{Magnetic metal foreign matter detection device for non-magnetic pipe inspection}
본 발명은 스테인리스 등과 같이 비자성 재질로 이루어진 파이프의 내부에 자성 재질의 금속 이물질이 적체되어 있는지를 검출하여 금속 이물질의 적체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비자성 파이프 검사용 자성 금속 이물질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는 고온 고압의 스팀을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정해진 기능을 각각 수행하는 금속 재질의 설비들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금속 재질의 설비들은 스팀 등의 유체와 접촉되더라도 부식되지 않도록 부식에 강한 스테인레스계 파이프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발전소를 장기간 지속적으로 가동하게 되면 금속 재질의 설비들로부터 금속파편이 탈락하게 될 뿐만 아니라 파이프의 내주면에서도 산화피막이 탈락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금속 재질의 설비들에서 탈락된 금속파편은 유체의 흐름 압력에 의해 파이프의 내를 따라 이동하면서 파이프에서 탈락된 산화파막과 함께 자중의 작용에 따라 파이프의 내부 하측에 적체되게 된다.
여기서 파이프의 내부 하측에 금속파면이나 산화피막 등과 같이 금속 이물질이 적체되면 파이프의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여 파이프가 계속적으로 가열되어 파열되는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파이프 파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파이프의 내부에 금속 이물질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를 주기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한편 파이프 검사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구분되는데, 하나는 방사선 검사 장치를 이용하는 방사선 검사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와전류 검사 장치를 이용하는 완전류 검사 방식이다.
그러나 방사선과 와전류를 이용하는 종래의 파이프 검사 방식은 고가의 방사선 검사 장치와 와전류 검사 장치를 이용해야 하므로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연속적인 검사 작업을 수행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파이프의 내부에 금속 이물질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검사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검사 작업을 저렴한 비용으로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검사 장치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9515호, 2010.10.26.자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19187호, 2020.02.21.자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파이프의 내부에 금속 이물질의 적체 여부를 검출하는 검사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금속 이물질의 재질 특성을 이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비자성 파이프 검사용 자성 금속 이물질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면서 본 발명의 목적에 충분히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자성 파이프 검사용 자성 금속 이물질 검출 장치는 비자성 재질로 이루어진 파이프의 내부에 금속 이물질의 적체 여부를 검출하는 것으로; 상기 파이프의 하부 외주면에 사용자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취부되는 취부구; 상기 취부구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금속 이물질을 자기장 수치를 근거로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생성하는 검출수단; 상기 검출수단에서 생성된 상기 검출신호와 상기 자기장 수치에 기초하여 상기 파이프의 내부에 적체된 상기 금속 이물질에 대한 검출영상을 생성하는 검출영상생성모듈; 및 상기 검출영상생성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검출영상을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취부구에 구비되고 상기 취부구의 취부각도와 이동속도를 측정하는 감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검출영상생성모듈은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 상기 검출신호와 상기 자기장 수치를 입력받고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상기 취부각도와 상기 이동속도를 입력받아 상기 검출신호와 상기 자기장 수치와 상기 취부각도와 상기 이동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상기 취부각도와 상기 이동속도를 입력받아 상기 취부각도와 상기 이동속도가 각각 기설정된 각도범위와 속도범위를 벗어나면 알림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알림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취부구는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접촉 가능한 형태를 가지고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일면에 상기 검출수단이 설치되는 몸체블록과, 상기 몸체블록의 일측에 구비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따라 상기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영상생성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과 상기 감지수단과 상기 알림수단을 작동시키는 작동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취부구의 일면에 복수 개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자기장 수치를 각각 감지하는 복수 개의 마그네틱센서부와, 상기 취부구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마그네틱센서부에서 각각 감지된 상기 자기장 수치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이 기준 자기장 수치보다 높은 경우 상기 파이프의 내부에 상기 금속 이물질이 적체된 것으로 나타내는 검출신호와 함께 상기 복수 개의 마그네틱센서부에서 각각 감지된 상기 자기장 수치를 출력하는 판별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비자성 파이프 검사용 자성 금속 이물질 검출 장치는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취부구를 파이프의 하부에 취부하여 파이프를 따라 이동시키면 취부구에 구비된 마그네틱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자기장 수치에 근거하여 파이프의 내부에 자성 재질의 금속 이물질이 적체되어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금속 이물질의 검출 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마그네틱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자기장 수치에 근거하여 파이프의 내부에 적체된 금속 이물질에 대한 검출영상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출력할 수 있으므로 파이프 내부에서의 금속 이물질의 적체 위치와 적체량을 정확도 있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이물질을 검출할 때 취부구의 취부각도와 이동속도를 감지하여 기준 취부각도범위와 기준 이동속도범위에 만족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으므로 금속 이물질을 정확도 있게 검출할 수 있고 금속 이물질에 대한 검출영상을 원활하게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자성 파이프 검사용 자성 금속 이물질 검출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자성 파이프 검사용 자성 금속 이물질 검출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자성 파이프 검사용 자성 금속 이물질 검출 장치의 검출영상생성모듈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자성 파이프 검사용 자성 금속 이물질 검출 장치의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검출영상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자성 파이프 검사용 자성 금속 이물질 검출 장치의 검출영상생성모듈을 통해 전면검출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자성 파이프 검사용 자성 금속 이물질 검출 장치의 검출영상생성모듈을 통해 측면검출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스테인리스 등과 같이 비자성 재질로 이루어진 파이프의 내부에 자성을 띄는 금속 이물질의 적체 여부를 검출하여 금속 이물질의 적체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비자성 파이프 검사용 자성 금속 이물질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비자성 파이프 검사용 자성 금속 이물질 검출 장치는 비자성 재질로 이루어진 파이프의 내부에 금속 이물질의 적체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검사 작업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편리하게 휴대하여 파이프의 외부에서 파이프를 따라 이동하면서 사용 가능한 구조와 함께 금속 이물질의 재질 특성을 이용하여 적체 여부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구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자성 파이프 검사용 자성 금속 이물질 검출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자성 파이프 검사용 자성 금속 이물질 검출 장치(100)는 스테인리스 등을 포함하는 비자성 재질로 이루어진 파이프(P)의 내부에 자성 재질의 금속 이물질(M)을 검출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부구(10)와 검출수단(20)과 감지수단(30)과 검출영상생성모듈(40)과 디스플레이모듈(50) 및 알림수단(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취부구(10)는 파이프(P)의 하측 외주면에 일면이 밀착되게 취부될 수 있다. 즉, 취부구(10)는 사용자가 손으로 들고 이동이 가능한 형태를 가짐에 따라 파이프(P)의 하측 외주면에 일면이 밀착되게 취부한 상태에서 파이프(P)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취부구(10)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P)의 하측 외주면에 일면이 접촉 가능한 형태를 가지는 몸체블록(11)과, 몸체블록(11)의 단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수부로 취부 가능한 손잡이(12)와, 손잡이(12)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따라 검출수단(20)과 감지수단(30)과 검출영상생성모듈(40)과 디스플레이모듈(50) 및 알림수단(60)을 작동시키는 작동버튼(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블록(11)은 일면이 일부만이 파이프(P)의 하측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일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진 막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블록(11)은 일면 전체가 파이프(P)의 하측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일면이 파이프(P)의 외주면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진 곡면으로 이루어진 막대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몸체블록(11)와 손잡이(12)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손잡이(12)의 단부에는 연결브래킷(14)이 구비되고 연결브래킷(14)에 의해 손잡이(12)의 단부가 몸체블록(11)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몸체블록(11)은 파이프(P)의 다양한 직경에 대응되도록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몸체블록(11) 중에서 파이프(P)의 직경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진 어느 하나의 몸체블록(11)을 선택하고 이를 손잡이(12)에 연결하면 파이프(P)의 다양한 직경에 적응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검출수단(20)은 취부구(10)의 몸체블록(11)에 설치되어 파이프(P)의 내부에 적체될 수 있는 금속 이물질(M)을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검출수단(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부구(10)의 몸체블록(11) 일면에 단부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자연상태에서 자기장 수치를 감지하는 마그네틱센서부(21)와, 취부구(10)의 몸체블록(11) 내부에 설치되어 마그네틱센서부(21)에서 감지된 자기장 수치에 따라 파이프(P)의 내부에 금속 이물질(M)의 적체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센서부(21)는 검출수단(20)을 통해 파이프(P)의 외부에서 금속 이물질(M)을 효과적으로 검출하기 위해 금속 이물질(M)의 적체 위치와 함께 금속 이물질(M)의 적체 위치별 적체량을 객관적으로 수치화할 수 있도록 취부구(10)의 몸체블록(11) 일면에 복수 개가 일정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판별부(22)는 마그네틱센서부(21)에서 각각 감지된 자기장 수치를 입력받고 입력된 자기장 수치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이 비자성 금속이 자연상태에서 가지는 기준 자기장 수치보다 높으면 파이프(P)의 내부에 금속 이물질(M)이 적체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한편 판별부(22)는 파이프(P)의 내부에 금속 이물질(M)이 적체된 것으로 판별하면 금속 이물질(M)이 파이프(P)의 내부에 적체된 것으로 나타내는 검출신호와 함께 마그네틱센서부(21)에서 각각 감지된 자기장 수치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상기 감지수단(30)은 취부구(10)의 몸체블록(11) 내부에 구비되어 취부구(10)가 파이프(P)의 하부 외측에 취부되어 이동될 때 취부구(10)의 취부각도와 이동속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감지수단(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부구(10)의 취부각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기울기센서부(31)와, 취부구(10)의 이동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가속도센서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감지수단(30)은 사용자가 취부구(10)를 수부로 파지한 상태에서 파이프(P)의 하부 외측에 취부하여 파이프(P)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기울기센서부(31)와 가속도센서부(32)를 통해 취부구(10)의 취부각도와 이동속도를 감지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검출영상생성모듈(40)은 검출수단(20)에서 출력된 검출신호와 자기장 수치와 함께 감지수단(30)에서 출력된 취부각도와 이동속도에 기초하여 파이프의 내부에 적체된 금속 이물질(M)에 대한 검출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즉, 검출영상생성모듈(40)은 검출수단(20)과 감지수단(30)과는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검출수단(20)으로부터 검출신호와 자기장 수치를 입력받을 수 있고 감지수단(30)으로부터 취부각도와 이동속도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검출영상생성모듈(40)은 검출신호를 우선적으로 입력받은 후 자기장 수치와 취부각도와 이동속도에 기초하여 검출영상(D)을 생성할 수 있다. 즉, 검출영상생성모듈(40)은 검출수단(20)으로부터 검출신호를 입력받지 못하면 파이프(P)의 내부에 금속 이물질(M)이 적체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검출영상(D)을 생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검출영상생성모듈(40)은 검출신호를 입력받은 상태에서 비로소 자기장 수치와 취부각도와 이동속도에 기초하여 검출영상(D)을 생성하게 된다. 단, 검출영상생성모듈(40)은 검출신호를 입력받지 않은 상태에서는 파이프(P)를 나타내는 파이프영상(B)만을 생성하게 된다.
이를 위해 검출영상생성모듈(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정보입력부(41)와 파이프영상생성부(42)와 검출신호확인부(43)와 객체영상생성부(44)와 영상보정부(45) 및 검출영상생성부(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정보입력부(41)는 디스플레이모듈(5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파이프(P)의 직경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파이프(P)의 직경정보는 파이프(P)의 외경과 내경 및 두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영상생성부(42)는 파이프정보입력부(41)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파이프(P)의 직경정보에 기초하여 도 5의 (a)와 같이 파이프(P)를 나타내는 고리 형상의 파이프영상(B)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검출신호확인부(43)는 검출수단(20)으로부터 검출신호가 입력된 상태인지를 확인하여 검출신호가 입력된 상태이면 객체영상생성부(44)와 영상보정부(45)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객체영상생성부(44)는 복수 개의 마그네틱센서부(21) 중에서 기준 자기장 수치보다 높은 자기장 수치가 감지된 마그네틱센서부(21)에서 감지된 자기장 수치와 함께 복수 개의 마그네틱센서부(21) 중에서 기준 자기장 수치보다 높은 자기장 수치가 감지된 마그네틱센서부(21)의 설치위치와 각도에 각각 기초하여 금속 이물질(M)을 나타내는 덩어링 형상의 객체영상(O)을 생성할 수 있다.
즉, 객체영상생성부(44)는 도 5의 (b)와 같이 파이프영상생성부(42)에서 생성된 파이프영상(B) 상에 상기 마그네틱센서부(21)의 설치위치와 대응되는 제1지점(P1)부터 상기 마그네틱센서부(21)의 설치각도와 대응되는 각도를 따라 상기 마그네틱센서부(21)에서 감지된 자기장 수치에 비례하는 길이만큼 이격되는 제2지점(P2)까지 직선으로 이르는 제1라인(L1)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런 다음 객체영상생성부(44)는 도 5의 (c)와 같이 파이프영상생성부(42)에서 생성된 파이프영상(B) 상에 제2지점(P2)을 직선으로 서로 잇는 제2라인(L2)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객체영상생성부(44)는 도 5의 (d)와 같이 파이프영상생성부(42)에서 생성된 파이프영상(B) 상에 제2라인(L2)의 좌측 단부와 우측 단부가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하향 경사진 각도로 파이프(P)의 내주면을 나타내는 윤곽선(C)에 각각 이어지는 제3라인(L3)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런 다음 객체영상생성부(44)는 도 5의 (e)와 같이 파이프영상생성부(42)에서 생성된 파이프영상(B) 상에서 제2라인(L2)과 제3라인(L3)과 파이프(P)의 내주면을 나타내는 윤곽선(C)에 둘러싸인 두 개의 영역 중에서 하부 영역을 레이블링하여 객체영상(O)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영상보정부(45)는 객체영상생성부(44)에서 생성된 파이프영상(B)을 포함하는 객체영상(O)을 감지수단(30)에서 감지된 취부구(10)의 취부각도에 대응되게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켜 보정할 수 있다.
상기 검출영상생성부(46)는 영상보정부(45)에서 회전 보정된 파이프영상(B)을 포함하는 객체영상(O)을 이용하여 파이프(P)의 직경방향에 따른 정면검출영상(D1)과 파이프(P)의 길이방향에 따른 측면검출영상(D2)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검출영상생성부(46)는 감지수단(30)에서 감지된 취부구(10)의 이동속도에 대응되게 정면검출영상(D1)을 실시간으로 갱신하여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검출영상생성부(46)는 감지수단(30)에서 감지된 취부구(10)의 이동속도에 따라 일정시간 동안 누적해가면서 측면검출영상(D2)을 갱신하여 생성할 수 있다.
단, 검출영상생성부(46)는 측면검출영상(D2)을 생성할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시간별 정면검출영상(D1) 상에서 객체영상(O)의 가장 높은 지점(P3)을 시간 순대로 서로 직선으로 연결하여 측면검출영상(D2)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검출영상생성부(46)는 검출신호확인부(43)에 검출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파이프영상생성부(42)에서 생성된 파이프영상(B)을 이용하여 정면검출영상(D1)과 측면검출영상(D2)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50)은 검출영상생성모듈(40)에서 생성된 검출영상(D)을 화면에 출력함으로써 검출영상(D)에 포함된 객체영상(O)을 통해 파이프(P)의 내부에 적체된 금속 이물질(M)의 적체량을 사용자가 손쉽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모듈(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일측에 정면검출영상(D1)을 출력할 수 있고 화면의 타측에 정면검출영상(D1)을 일정시간 동안 누적한 측면검출영상(D2)을 출력할 수 있다.
단, 디스플레이모듈(50)은 검출수단(20)으로부터 검출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검출영상생성모듈(40)에서 생성된 파이프영상(B)에 기초한 정면검출영상(D1)과 측면검출영상(D2)을 출력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알림수단(60)은 감지수단(30)에서 감지된 취부구(10)의 취부각도와 이동속도를 입력받아 취부각도와 이동속도가 각각 기설정된 기준 각도범위와 기준 이동속도범위를 벗어나면 알림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파이프(P)의 내부에 금속 이물질(M)의 적체 여부를 확인하게 위해 취부구(10)를 수부로 파지하여 파이프(P)의 하부 외측에 취부한 상태에서 파이프(P)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취부구(10)의 취부각도가 기준 각도범위에서 벗어나 필요이상으로 기울어지거나 취부구(10)의 이동속도가 기준 속도범위를 초과하여 필요이상으로 빠른 경우 금속 이물질(M)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없고 검출영상(D)을 원활하게 생성할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알림수단(60)은 취부구(10)의 취부각도가 기준 각도범위에서 벗어나 필요이상으로 기울어지거나 취부구(10)의 이동속도가 기준 이동속도범위를 초과하여 필요이상으로 빠른 경우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여 취부구(10)의 취부각도와 이동속도가 기준 각도범위와 기준 이동속도 범위에 만족되도록 알림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알림수단(60)은 취부구(10)의 취부각도가 기준 각도범위에서 벗어나 필요이상으로 기울어지거나 취부구(10)의 이동속도가 기준 이동속도범위를 초과하여 필요이상으로 빠른 경우 알림신호를 생성하는 알림신호생성부(61)와, 알림신호생성부(61)로부터 알림신호를 수신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알림신호출력부(6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알림신호출력부(62)는 취부구(10)에 설치되어 알림신호를 시각적인 형태로 출력하는 발광부재 또는 취부구(10)에 설치되어 알림신호를 청각적인 형태로 출력하는 스피커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 취부구
11: 몸체블록
12: 손잡이
13: 작동버튼
14: 연결브래킷
20: 검출수단
21: 마그네틱센서부
22: 판별부
30: 감지수단
31: 기울기 센서부
32: 가속도 센서부
40: 검출영상생성모듈
41: 파이프정보입력부
42: 파이프영상생성부
43: 검출신호확인부
44: 객체영상생성부
45: 영상보정부
46: 검출영상생성부
50: 디스플레이모듈
60: 알림수단
61: 알림신호생성부
62: 알림신호출력부
P: 파이프
M: 금속 이물질
D: 검출영상
D1: 정면검출영상
D2: 측면검출영상
B: 파이프영상
O: 객체영상
100: 비자성 파이프 검사용 자성 금속 이물질 검출 장치

Claims (5)

  1. 비자성 재질로 이루어진 파이프의 내부에 금속 이물질의 적체 여부를 검출하는 것으로;
    상기 파이프의 하부 외주면에 사용자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취부되는 취부구;
    상기 취부구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금속 이물질을 자기장 수치를 근거로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생성하는 검출수단;
    상기 검출수단에서 생성된 상기 검출신호와 상기 자기장 수치에 기초하여 상기 파이프의 내부에 적체된 상기 금속 이물질에 대한 검출영상을 생성하는 검출영상생성모듈;
    상기 검출영상생성모듈에서 생성된 상기 검출영상을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모듈; 및
    상기 취부구에 구비되고 상기 취부구의 취부각도와 이동속도를 측정하는 감지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검출영상생성모듈은
    상기 검출수단으로부터 상기 검출신호와 상기 자기장 수치를 입력받고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상기 취부각도와 상기 이동속도를 입력받아 상기 검출신호와 상기 자기장 수치와 상기 취부각도와 상기 이동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자성 파이프 검사용 자성 금속 이물질 검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상기 취부각도와 상기 이동속도를 입력받아 상기 취부각도와 상기 이동속도가 각각 기설정된 각도범위와 속도범위를 벗어나면 알림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알림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자성 파이프 검사용 자성 금속 이물질 검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취부구는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접촉 가능한 형태를 가지고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일면에 상기 검출수단이 설치되는 몸체블록과, 상기 몸체블록의 일측에 구비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일측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따라 상기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영상생성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모듈과 상기 감지수단과 상기 알림수단을 작동시키는 작동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자성 파이프 검사용 자성 금속 이물질 검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취부구의 일면에 복수 개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자기장 수치를 각각 감지하는 복수 개의 마그네틱센서부와, 상기 취부구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마그네틱센서부에서 각각 감지된 상기 자기장 수치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이 기준 자기장 수치보다 높은 경우 상기 파이프의 내부에 상기 금속 이물질이 적체된 것으로 나타내는 검출신호와 함께 상기 복수 개의 마그네틱센서부에서 각각 감지된 상기 자기장 수치를 출력하는 판별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자성 파이프 검사용 자성 금속 이물질 검출 장치.
KR1020200103547A 2020-08-18 2020-08-18 비자성 파이프 검사용 자성 금속 이물질 검출 장치 KR102393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547A KR102393529B1 (ko) 2020-08-18 2020-08-18 비자성 파이프 검사용 자성 금속 이물질 검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547A KR102393529B1 (ko) 2020-08-18 2020-08-18 비자성 파이프 검사용 자성 금속 이물질 검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405A KR20220022405A (ko) 2022-02-25
KR102393529B1 true KR102393529B1 (ko) 2022-05-02

Family

ID=80490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547A KR102393529B1 (ko) 2020-08-18 2020-08-18 비자성 파이프 검사용 자성 금속 이물질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35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68117A1 (en) * 2010-08-12 2012-10-25 E-Pharma Trento S.P.A.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article of a ferromagnetic metal in a packaging of a paramagnetic material
JP6739822B1 (ja) * 2019-12-02 2020-08-12 近藤 信一 ステンレス管内異物検出センサ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68498B2 (ja) * 1997-02-25 2003-11-17 株式会社日立エンジニアリングサービス 配管等内堆積状態評価方法
KR100989515B1 (ko) 2010-05-03 2010-10-26 부경엔지니어링주식회사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관로 파이프 구간의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US10564108B2 (en) 2017-07-03 2020-02-18 Saudi Arabian Oil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nondestructively inspecting fiberglass and nonmetallic pip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68117A1 (en) * 2010-08-12 2012-10-25 E-Pharma Trento S.P.A.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article of a ferromagnetic metal in a packaging of a paramagnetic material
JP6739822B1 (ja) * 2019-12-02 2020-08-12 近藤 信一 ステンレス管内異物検出センサユニット
JP2021089143A (ja) 2019-12-02 2021-06-10 近藤 信一 ステンレス管内異物検出センサ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405A (ko) 202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2138B1 (ko) 튜브의 품질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393529B1 (ko) 비자성 파이프 검사용 자성 금속 이물질 검출 장치
CN106595803B (zh) 一种用于排水管道的淤泥厚度实时在线监测仪
JP2011242318A (ja) 帯状材料の周期性欠陥検査方法および装置
JP6363907B2 (ja) 内径判定装置
JP2013117459A (ja) 配管の損傷検知方法
CN103604867A (zh) 铝合金扁锭超声波检测装置及探伤方法
JP6162024B2 (ja) 配管形状測定装置および配管形状測定方法
CN213515585U (zh) 一种检测锅炉膜式壁管胀粗的装置
JP4319084B2 (ja) 放電検出装置
JP2009109339A (ja) 振動測定装置および振動測定方法
JP5510117B2 (ja) Uo鋼管溶接部ビード位置検出装置及び検出方法
KR102328571B1 (ko) 용접토치의 모션 측정 시스템
JP2008032675A (ja) 表面粗さ測定装置
CN111307088A (zh) 一种水冷壁气动通球定位装置及通球试验方法
ES2887055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la separación de materiales que contienen metal
NO20140935A1 (no) Apparat og metode for overvåking av den strukturelle integriteten i en rørledning
JP2005121412A (ja) 検査装置
KR102507104B1 (ko) 금속 파이프 검사 장치 및 방법
JP6015577B2 (ja) 棒状体の曲がり量測定装置
JP2006258439A (ja) ゴムホースのワイヤの巻付けピッチの検査方法および検査装置
JP2009156739A (ja) ガス漏洩点検器具
JP6557293B2 (ja) 電縫鋼管製造ラインにおける電縫鋼管の長さ測定装置
JP2005195349A (ja) 超音波斜角探傷方法とその装置
KR20140042289A (ko) 배관용 행거의 지침 표시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