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434B1 - 프레스 금형의 스크랩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프레스 금형의 스크랩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434B1
KR102393434B1 KR1020200126763A KR20200126763A KR102393434B1 KR 102393434 B1 KR102393434 B1 KR 102393434B1 KR 1020200126763 A KR1020200126763 A KR 1020200126763A KR 20200126763 A KR20200126763 A KR 20200126763A KR 102393434 B1 KR102393434 B1 KR 102393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charge
protrusion
mold
sc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6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3403A (ko
Inventor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주)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신 filed Critical (주)화신
Priority to KR1020200126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434B1/ko
Publication of KR20220043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3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5/00Ejecting or stripping-off devices arranged in machines or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 B21D45/02Ejec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스 금형의 스크랩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재가 안착되는 하부금형부와, 하부금형부의 상방에서 상하 이동되면서 소재를 가공하는 상부금형부와, 하부금형부에 형성되고 소재를 가공하면서 발생되는 스크랩을 배출하는 배출부와, 상부금형부에 의해 구동되고 배출부의 경사각을 변경하는 조절부를 포함하여, 스크랩을 안정적으로 배출시킬수 있다.

Description

프레스 금형의 스크랩 처리장치{PROCESSING DEVICE FOR SCRAP OF PRESS MOLD}
본 발명은 프레스 금형의 스크랩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스 가공을 실시하면서 발생되는 스크랩을 안정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프레스 금형의 스크랩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스란 압축 가공기계의 하나로서 재료에 힘을 가해서 소성 변형시켜 굽힘, 전단, 단면수축, 펀칭 등의 가공을 하는 기계이고, 프레스 기계의 종류로는 압축력을 발생시키는 구조에 따라 기계식 프레스와 유압식 프레스로 구별된다.
프레스 가공을 간단히 프레스라고도 하는데 주로 금속관에 압출력을 가하여 소성 변형시켜 여러 모양을 만들어 내는 금형 가공이 프레스 가공의 대표적인 예이다.
프레스금형은 프레스 금형장치의 베드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하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의 연직상부에서 승강하며 하부금형으로 하강하여 하부금형 위에 공급되어 있는 금속판재를 가압하거나 펀칭하는 상부금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금형장치는 각종 공산품의 대량 생산라인에 설치되어 별도의 공급라인을 통해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로 공급된 판상의 소재를 설계된 형상으로 찍어내는 것이다.
그런데 소재를 원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찍어내게 되면 스크랩(SCRAP)이 발생되기 때문에 이 스크랩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슈트(CHUTE)를 설치하는데 이때 슈트의 설치각도가 필요각도 이하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아 스크랩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52065호(2016.05.12. 공개, 발명의 명칭 : 스크랩 자동취출을 위한 프레스 금형)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프레스 가공을 실시하면서 발생되는 스크랩을 안정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프레스 금형의 스크랩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금형의 스크랩 처리장치는: 소재가 안착되는 하부금형부; 상기 하부금형부의 상방에서 상하 이동되면서 상기 소재를 가공하는 상부금형부; 상기 하부금형부에 형성되고, 상기 소재를 가공하면서 발생되는 스크랩을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상부금형부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배출부의 경사각을 변경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하부금형부에 장착되어 상기 스크랩을 배출하는 제1배출부; 및 상기 제1배출부에 장착되고, 상기 조절부에 의해 회전 가능한 제2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상부금형부에 장착되는 상부조절부; 및 상기 하부금형부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조절부의 가압에 의해 상기 배출부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하부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조절부는 상기 상부금형부에 장착되는 상부돌기부; 및 상기 상부돌기부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금형부가 하방 이동될 때 상기 하부조절부를 가압하는 상부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조절부는 상기 하부금형부에 장착되는 하부돌기부; 상기 하부돌기부를 관통하고, 상기 배출부와 연결되며, 상기 상부조절부에 의해 가압되는 하부관통부; 및 상기 하부돌기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관통부를 탄성 지지하는 하부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금형부가 하강하면 상기 배출부에 부착된 상기 스크랩을 강제로 밀어내는 추가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가배출부는 상기 상부금형부의 작동을 감지하는 추가감지부; 및 상기 추가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배출부에 유체를 토출하는 추가토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금형의 스크랩 처리장치는 상부금형부가 하방 이동되면, 상부조절부가 하부조절부를 가압하여 스크랩을 배출하는 배출부의 각도를 조절하여 스크랩 배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금형의 스크랩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금형의 스크랩 처리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금형의 스크랩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금형의 스크랩 처리장치(1)는 하부금형부(10)와, 상부금형부(20)와, 배출부(30)와, 조절부(40)를 포함한다.
하부금형부(10)에는 소재가 안착되고, 상부금형부(20)는 하부금형부(10)의 상방에서 상하 이동되면서 소재를 가공한다.
배출부(30)는 하부금형부(10)에 형성되고, 소재를 가공하면서 발생되는 스크랩을 배출한다. 일예로, 배출부(30)는 소재 가공으로 발생되는 스크랩을 하부금형부(10)이 하부금형부(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배출부(30)는 경사지게 배치되어 스크랩의 낙하를 유도할 수 있다.
조절부(40)는 상부금형부(20)에 의해 구동되고, 배출부(30)의 경사각을 변경한다. 일예로, 조절부(40)는 상부금형부(20)가 소재를 가공하기 위해 하강하는 경우 상부금형부(20)의 가압에 의해 구동되어 배출부(30)의 경사각을 키울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30)는 제1배출부(31)와 제2배출부(32)를 포함한다.
제1배출부(31)는 하부금형부(10)에 장착되어 스크랩을 배출한다. 일예로, 제1배출부(31)는 소재 가공 과정에서 낙하되는 스크랩의 배출을 유도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2배출부(32)는 제1배출부(31)에 장착되고, 조절부(40)에 의해 회전 가능하다. 일예로, 제2배출부(32)는 제1배출부(31)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핀결합되되, 제2배출부(32)의 회전 과정에서 제1배출부(31)와 간섭되지 않도록 이격될 수 있다.
즉, 초기에 배출되는 스크랩이 위치에너지에 의해 제1배출부(31)를 통과하고, 제2배출부(32)와의 마찰에 의해 제2배출부(32)를 통과하지 못하더라도, 제2배출부(32)의 경사각이 커지면서 스크랩을 배출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40)는 상부조절부(50)와 하부조절부(60)를 포함한다.
상부조절부(50)는 상부금형부(20)에 장착된다. 일예로, 상부조절부(50)는 상부금형부(20)에 장착되어 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상부금형부(20)와 연동되어 상하 이동될 수 있다.
하부조절부(60)는 하부금형부(10)에 장착되고, 상부조절부(50)의 가압에 의해 배출부(30)의 경사각을 조절한다. 일예로, 하부조절부(60)는 상부조절부(50)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제2배출부(32)의 경사각을 크게 변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조절부(50)는 상부돌기부(51)와 상부가압부(52)를 포함한다.
상부돌기부(51)는 상부금형부(20)에 장착된다. 일예로, 상부돌기부(51)는 상부금형부(2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가압부(52)는 상부돌기부(51)에 장착되고 상부금형부(20)가 하방 이동될 때 하부조절부(60)를 가압한다. 일예로, 상부가압부(52)의 외측에 탈부착 가능한 상부완충부(53)는 탄성소재로 제작되고, 하부조절부(60)와의 접촉에 의한 충격 및 진동을 완화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완충부(53)는 손상되면 교체 가능하다.
하부조절부(60)는 하부돌기부(61)와, 하부관통부(62)와, 하부탄성부(63)를 포함한다.
하부돌기부(61)는 하부금형부(10)에 장착된다. 일예로, 하부돌기부(61)는 하부금형부(10)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부돌기부(51)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부돌기부(61)는 하부금형부(10)에 결합되는 돌기고정부(611)와, 돌기고정부(611)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돌기연장부(61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관통부(62)는 하부돌기부(61)를 관통하고, 상부조절부(50)에 의해 가압되며, 배출부(30)와 연결된다. 일예로, 하부관통부(62)는 상단부가 돌기고정부(611)의 상방으로 돌출되고, 하단부는 제2배출부(32)와 연결되는 관통막대부(621)와, 관통막대부(621)에 결합되고 돌기연장부(612)에 내장되는 관통지지부(622)와, 돌기연장부(612)의 하부 개방된 영역을 커버하면서 관통지지부(622)의 하방 이탈을 방지하는 관통스토퍼부(623)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탄성부(63)는 하부돌기부(61)에 배치되어 하부관통부(62)를 탄성 지지한다. 일예로, 하부탄성부(63)는 코일스프링 형상을 하여 돌기연장부(612)에 내장되고, 관통지지부(622)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배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금형의 스크랩 처리장치(1)는 추가배출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배출부(70)는 상부금형부(20)가 하강하면 배출부(30)에 부착된 스크랩을 강제로 밀어낸다. 일예로, 추가배출부(70)는 제1배출부(31)에 부착되어 정지된 스크랩을 직접 접촉하여 밀어내거나 유체를 분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추가배출부(70)는 추가감지부(71)와 추가토출부(72)를 포함한다.
추가감지부(71)는 상부금형부(20)의 작동을 감지한다. 일예로, 추가감지부(71)는 상부금형부(20)에 구비되어 상부금형부(20)의 하방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그 외, 추가감지부(71)는 하부돌기부(61)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부가압부(52)와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추가토출부(72)는 추가감지부(71)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배출부(30)에 유체를 토출한다. 일예로, 추가토출부(72)는 유체가 저장되는 토출저장부(721)와, 토출저장부(721)에 연결되어 유체를 안내하는 토출라인부(722)와, 토출라인부(722)에 연결되고 제1배출부(31)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유체를 토출하는 토출노즐부(7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프레스 금형의 스크랩 처리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부금형부(10)에 소재를 안착시키고, 하부금형부(10)의 상방에 배치되는 상부금형부(20)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소재를 성형한다. 이때, 소재가 성형되면서 생성되는 스크랩은 배출부(30)을 통해 배출되며, 배출부(30)는 하부금형부(10)에 장착되는 제1배출부(31)와, 제1배출부(3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2배출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상태에서, 상부금형부(20)가 하방 이동되면, 상부금형부(20)에 장착된 상부조절부(50)가 하방에 배치되는 하부조절부(60)를 가압한다. 즉, 상부가압부(52)가 하부관통부(62)를 가압하면, 하부탄성부(63)에 지지되는 하부관통부(62)가 하방 이동되어 제2배출부(31)의 경사각을 증대시킨다. 이로 인해 제2배출부(32)에 부착된 스크랩이 낙하될 수 있다.
한편, 추가감지부(71)가 하방 이동된 상부금형부(20)를 감지하면, 추가토출부(72)가 제1배출부(31)에 유체를 분사하여 제1배출부(31)에 부착된 스크랩을 낙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금형의 스크랩 처리장치(1)는 상부금형부(20)가 하방 이동되면, 상부조절부(50)가 하부조절부(60)를 가압하여 스크랩을 배출하는 배출부(30)의 각도를 조절하여 스크랩 배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하부금형부 20 : 상부금형부
30 : 배출부 31 : 제1배출부
32 : 제2배출부 40 : 조절부
50 : 상부조절부 51 : 상부돌기부
52 : 상부가압부 60 : 하부조절부
61 : 하부돌기부 62 : 하부관통부
63 : 하부탄성부 70 : 추가배출부
71 : 추가감지부 72 : 추가토출부

Claims (7)

  1. 소재가 안착되는 하부금형부;
    상기 하부금형부의 상방에서 상하 이동되면서 상기 소재를 가공하는 상부금형부;
    상기 하부금형부에 형성되고, 상기 소재를 가공하면서 발생되는 스크랩을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상부금형부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배출부의 경사각을 변경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상부금형부에 장착되는 상부조절부; 및
    상기 하부금형부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조절부의 가압에 의해 상기 배출부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하부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조절부는
    상기 상부금형부에 장착되는 상부돌기부;
    상기 상부돌기부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금형부가 하방 이동될 때 상기 하부조절부를 가압하는 상부가압부; 및
    상기 상부가압부에 탈부착 가능하고, 상기 하부조절부와의 접촉에 의한 충격과 진동을 완화하는 상부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조절부는
    상기 하부금형부에 결합되는 돌기고정부와, 상기 돌기고정부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돌기연장부가 구비되는 하부돌기부;
    상기 하부돌기부를 관통하여 상기 배출부와 연결되고, 상기 상부조절부에 의해 가압되는 관통막대부와, 상기 관통막대부에 결합되고 상기 돌기연장부에 내장되는 관통지지부와, 상기 돌기연장부의 하부 개방된 영역을 커버하면서 상기 관통지지부의 하방 이탈을 방지하는 관통스토퍼부가 구비되는 하부관통부; 및
    상기 돌기연장부에 내장되어 상기 관통지지부를 탄성 지지하는 하부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금형의 스크랩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하부금형부에 장착되어 상기 스크랩을 배출하는 제1배출부; 및
    상기 제1배출부에 장착되고, 상기 조절부에 의해 회전 가능한 제2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금형의 스크랩 처리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부가 하강하면 상기 배출부에 부착된 상기 스크랩을 강제로 밀어내는 추가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금형의 스크랩 처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배출부는
    상기 상부금형부의 작동을 감지하는 추가감지부; 및
    상기 추가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배출부에 유체를 토출하는 추가토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금형의 스크랩 처리장치.

KR1020200126763A 2020-09-29 2020-09-29 프레스 금형의 스크랩 처리장치 KR102393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763A KR102393434B1 (ko) 2020-09-29 2020-09-29 프레스 금형의 스크랩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763A KR102393434B1 (ko) 2020-09-29 2020-09-29 프레스 금형의 스크랩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403A KR20220043403A (ko) 2022-04-05
KR102393434B1 true KR102393434B1 (ko) 2022-05-03

Family

ID=81182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763A KR102393434B1 (ko) 2020-09-29 2020-09-29 프레스 금형의 스크랩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3434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4397A (ko) * 2010-10-01 2012-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레스금형 스크랩 자동취출장치
KR20180119211A (ko) * 2017-04-24 2018-11-02 주식회사 에이취 케이 피어싱 가공용 금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403A (ko)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8994B1 (ko)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
KR101006954B1 (ko) 프레스금형용 스크랩 자동배출장치
JP2010120067A (ja) 打ち抜きかす除去手段を有する打ち抜きプレス金型
JPH10166082A (ja) プレス打抜きカス排出装置
JP6438182B2 (ja) プレス成形装置
KR102393434B1 (ko) 프레스 금형의 스크랩 처리장치
CN109747196B (zh) 加压装置
JP5490810B2 (ja) 缶の蓋を開ける機械および缶を空にする方法
KR102027745B1 (ko) 펀치 프레스
KR101026877B1 (ko) 프레스용 금형의 파손방지장치
KR102251438B1 (ko) 블랭크 배출장치
CN209183425U (zh) 一种温控开关自动组装铆接机
US20020178885A1 (en) Chamfer device for cutting packaging materials
KR101382349B1 (ko) 프레스용 스크랩 취출장치
CN116080132A (zh) 一种压片成型机
CN113878054A (zh) 一种具有防止废料反弹功能的数控转塔冲床
JPH11347650A (ja) カス強制落下装置
CN205020645U (zh) 建筑板材冲压成型模具
KR102480539B1 (ko) 프레스 금형장치
CN212577320U (zh) 工程模自动接料机
KR100551304B1 (ko) 프레스용 패널 검출장치
CN217889336U (zh) 一种冲压连续模具内废料滑出装置
CN214053335U (zh) 一种半圆铁自动送料装置
CN218395666U (zh) 一种用于汽车冲压模具生产的废料清理装置
CN104275382B (zh) 一种高精度防跳废料冲压模具冲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