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409B1 - Tension member disposal equipment - Google Patents
Tension member disposal equip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93409B1 KR102393409B1 KR1020210058277A KR20210058277A KR102393409B1 KR 102393409 B1 KR102393409 B1 KR 102393409B1 KR 1020210058277 A KR1020210058277 A KR 1020210058277A KR 20210058277 A KR20210058277 A KR 20210058277A KR 102393409 B1 KR102393409 B1 KR 1023934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nsion member
- gripping
- connection
- driving unit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장재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장재가 체결부재에 의해 파지부에 파지되며, 기계에 의해 인장재가 제거되는 인장재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nsion member remov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nsion member removing device in which a tension member is gripped by a holding member by a fastening member and the tension member is removed by a machine.
일반적으로, 앵커공법은 흙막이 공사, 터널갱구부 안정용, 석축 및 옹벽 보강용 등 토목공사에서 주로 사용되는 공법이다. In general, the anchor method is a method mainly used in civil works such as retaining work, for stabilizing tunnel shafts, and for reinforcing stonework and retaining walls.
앵커공법은 앵커를 갖는 복수의 인장재에 하나의 그라우트호스를 부가하여 앵커유닛을 마련하고, 천공하고자 하는 위치의 지반에 천공기를 이용하여 소정깊이로 천공홀을 천공한 다음, 상기 천공홀에 앵커유닛을 삽입한 상태에서 그라우트호스를 통해 그라우트를 주입하되, 주입된 그라우트가 앵커와 양생되면 인장재의 다른 한쪽 끝단에 앵커를 체결한 후, 인장재를 인장기로 당겨 그라우트와 지면을 인장함으로써 연약한 지면을 보강하는 공법이다.In the anchor method, an anchor unit is prepared by adding a grout hose to a plurality of tension members having an anchor, and a drilling hole is drilled to a predetermined depth using a drilling machine in the ground at a position to be drilled, and then the anchor unit is placed in the drilling hole. Insert the grout through the grout hose, but when the injected grout is cured with the anchor, the anchor is fastened to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member, and then the tension member is pulled with a tensioner to tension the grout and the ground to reinforce the soft ground. it's a technique
이러한 앵커공법의 적용은 도심지공사에서 효과적인 시공관리 및 공기단축 등의 장점이 있으나, 앵커공법이 적용된 인접지역에서 추후 공사를 할 때, 일반철근의 강도에 비해 단면적상 강도가 약6배인 앵커유닛의 인장부재가 가설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굴착장비 및 천공장비의 손실과 공기지연이 발생하였다.Application of this anchor method has advantages such as effective construction management and shortening of construction period in urban construction. Due to the temporary installation of the tension member, there was a loss of excavation equipment and drilling equipment and delayed construction.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8860호(2016.01.20. 등록)에서는, 앵커공법용 인장부재의 제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선행 인장부재의 제거방법으로 제거하지 못한 인장부재의 끝단 부분에 연결구를 통해 적당하게 제2인장부재를 연장 연결하고 이렇게 연장된 제2인장부재의 끝단부분을 인장실린더에 의해 파지한 상태에서 당겨 긴장시키되 인장부재에 인가되는 유효 긴장력 이상으로 긴장시켜 인장부재를 절단시킴으로써 인장부재의 긴장력이 해제됨과 동시에 인장부재가 지중앵커 측으로 후퇴되면서 일시적으로 지중앵커의 웨지유닛을 이동시켜 벌어지게 하고 인장부재의 외측소선들이 중앙소선과 이격 분리되면서 중앙소선을 제외한 외측소선들이 인장부재 길이방향의 중앙으로 긴축됨에 따라 짧아지므로 지중앵커의 웨지유닛으로부터 인장부재가 해제된 후 지중앵커의 웨지유닛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오므라들며 이후에 인장부재를 잡아당기면 부드럽게 인장부재가 제거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588860 (registered on January 20, 2016) relates to a method for removing a tension member for an anchor construction method and a device therefor. The second tension member is properly extended and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or, and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tension member extended in this way is pulled and tensioned while gripped by the tension cylinder. By doing this, the tension member of the tension member is released and at the same time the tension member is retracted to the underground anchor side, the wedge unit of the underground anchor is temporarily moved to open it. As the member shortens as it contracts toward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fter the tension member is released from the wedge unit of the underground anchor, the wedge unit of the underground anchor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shrinks. has been disclosed.
그러나, 인장부재를 제거하기 위해 인장부재의 끝단 부분에 제2 인장부재를 연결해서, 인장부재를 절단해야 하는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However, in order to remove the tension member, it is cumbersome to cut the tension member by connecting the second tension member to the end of the tension member.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9100호(2018.03.09. 등록)에서는, 분산형 복합 그라운드 앵커용 내부 정착체가 개시되어 있으며, 본원 발명 인장재 제거장치가 제거하려는 인장재와 동일한 인장재가 기술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839100 (registered on March 9, 2018) discloses an internal fixer for a distributed composite ground anchor, and the same tension member as the tension member to be removed by the tension member remov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그러나 인장재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작업자의 인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order to remove the tension memb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ork efficiency is lowered because the manpower of the worker is us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에 노출된 인장재를 체결부재에 의해 인장재 제거장치의 파지부에 고정시켜, 외부기기의 외력과 구동부의 회전력을 인장재에 인가하여, 작업자의 외력이 아닌, 기계에 의해 인장재를 인출시키는 방법을 제공하여, 작업자의 작업효율을 증진시키고자 함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x the tension member exposed to the outside to the gripping part of the tension member removal device by a fastening member, thereby reducing the external force of the external device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part. It is intended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of the operator by providing a method of applying the tension member to the tension member and withdrawing the tension member by a machine rather than an external force of the operato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장치는, 지반이나 건축물에 설치된 인장재를 제거하는 인장재 제거장치로서, 인장재를 파지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외부기기 간의 연결을 매개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인장재 제거장치 일 수 있다.A tension member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nsion member removing device for removing a tension member installed on a ground or a building, comprising: a gripper for gripping the tension member; a driving unit for apply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gripping unit; And it may be a tension member removal device comprising a; and a connection unit that mediat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driving unit and an external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장치에 의하면, 외부에 노출된 인장재를 체결부재에 의해 인장재 제거장치의 파지부에 고정시켜, 외부기기의 외력과 구동부의 회전력을 인장재에 인가하여, 기계에 의해 인장재를 인출시켜,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tension memb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nsion member exposed to the outside is fixed to the gripping part of the tension member removal device by a fastening member, and the external force of the external device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part are applied to the tension member, This has the effect of drawing out the tension member and increasing the work efficiency of the operator.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장치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장치의 부분 측면도 및 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장치의 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장치의 개략 측면도 및 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장치의 부분 사시도 및 부분 분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장치의 부분 단면도.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tension member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ension member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side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a tension member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tension member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tension member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side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a tension member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xploded view of a tension member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tension member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tension member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장치는, 지반이나 건축물에 설치된 인장재를 제거하는 인장재 제거장치로써, 인장재를 파지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외부기기 간의 연결을 매개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인장재 제거장치 일 수 있다.A tension member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nsion member removing device for removing a tension member installed on a ground or a building, comprising: a gripper for gripping the tension member; a driving unit for apply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gripping unit; And it may be a tension member removal device comprising a; and a connection unit for mediating a connection between the driving unit and an external device.
또한, 상기 파지부는, 제1 중공을 형성하는 파지몸체부;를 구비하며, 상기 인장재가 상기 파지몸체부의 상기 제1 중공에 삽입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ripping portion may include a gripping body portion forming a first hollow, and the tension member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hollow of the gripping body portion.
또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인장재가 상기 파지몸체부 내부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파지몸체부 상에 이격되되, 복수 개 형서오디는 체결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ipper, the tension member is spaced apart on the gripping body portion so that the tension member is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gripping body portion, the plurality of types of the fastening member;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파지부는, 제1 중공을 형성하는 파지몸체부 및상기 파지몸체부 상에 형성되되,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구비하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1 중공에 삽입되는 내부파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내부파지부는, 제2 중공을 형성하여, 상기 인장재가 상기 제2 중공에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ip portion, the grip body portion forming a first hollow and is formed on the grip body portion, the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fastening member is inserted; and the grip portion, the internal wave inserted into the first hollow It further includes a holding part, wherein the internal gripping part forms a second hollow, so that the tension member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hollow.
또한, 상기 내부파지부는,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 돌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파지몸체부는, 내주면의 상기 슬라이딩 돌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gripper may further include a sliding protrusio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gripping body may further include a sliding groov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liding protrus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 is.
또한, 상기 내부파지부는, 내주면이 상기 인장재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lso, the inner gripper may have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having the same shape a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ension member.
또한, 상기 연결부는, 연결몸체부 및 상기 연결몸체부에 형성되며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기기연결부를 구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art may include a connection body part and a device connection part formed in the connection body part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상기 기기연결부는, 상기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외부기기로부터 인가받은 외력을 상기 연결몸체부로 인가하며, 상기 연결몸체부는, 상기 외력을 상기 구동부로 인가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외력을 상기 파지부로 인가하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외력을 상기 인장재로 인가할 수 있다.The device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and applies an external force applied from the external device to the connection body part, the connection body part applies the external force to the driving part, and the driving part, the external force to the holding part and the gripper may apply the external force to the tension member.
상기 연결부는, 상기 외부기기를 기준으로 상기 구동부가 힌지 회전되도록하는 힌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기기연결부가 상기 외부기기와 연결될 시, 상기 힌지부에 의해 상기 외부기기를 기준으로 회전 이동 될 수 있다.The connec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hinge unit that allows the driving unit to be hinged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external device, and the driving unit may be rotated based on the external device by the hinge unit when the device connec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can be moved
상기 구동부는, 회전력을 형성하는 구동본체부 및 상기 구동본체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파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파지부에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body forming a rotating force and a rotating shaft protruding from the driving main unit, the rotating shaft being connected to the holding unit and applying a rotating force to the holding unit.
상기 파지부는, 체결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체결공간 상으로 삽입 체결되어 상기 파지부와 연결될 수 있다.The holding part may form a fastening space, and the rotation shaft may be inserted and fastened into the fastening space to be connected to the holding part.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Elem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shown in the drawings of eac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장치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tension member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ension member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장치의 부분 측면도 및 부분 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3 is a partial side view and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tension member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tension member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6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장치의 개략 측면도 및 부분 투시도이다.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tension member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 (a) to (c) are a schematic side view and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tension member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
도7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장치의 부분 사시도 및 부분 분해도이며, 도 8의 (a) 내지 (b)는, 본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9는 본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7 (a) to (b) are a partial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xploded view of a tension member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8 (a) to (b) are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tension member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xample, and FIG. 9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tension member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more clearly express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at can be easily derived from those skilled in the art have been simplified or omitted.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우선,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자면, 도 1을 기준으로 x방향은, 파지부(20)의 길이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y방향은, 파지부(20)의 폭 방향을 의미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길이 방향, 폭 방향이라 함) First, to define the terminology for the direction, the x-direction may mea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도 1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장치(1)는, 지반이나 건축물(60)에 설치된 인장재(10)를 제거하는 인장재 제거장치(1)로서, 인장재(10)를 파지하는 파지부(20); 상기 파지부(20)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구동부(30); 및 상기 구동부(30)와 외부기기(50) 간의 연결을 매개하는 연결부(4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6, the tension
또한, 상기 파지부(20)는, 제1 중공(S1)을 형성하는 파지몸체부(21) 및 상기 인장재(10)가 상기 파지몸체부(21)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파지몸체부(21) 상에 이격되되, 복수 개 형성되는 체결부재(22)를 구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지반이나 건축물(60)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된 인장재(10)는 상기 파지몸체부(21)가 형성하는 제1 중공(S1)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인장재(10)는, 상기 파지몸체부(21)상에 이격되되, 복수 개 형성되는 상기 체결부재(22)에 의해 위치 고정 될 수 있다.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the
이는, 상기 파지몸체부(21)는, 상기 체결부재(22)가 삽입되는 위치에 나사산(미 도시)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인장재(10)가 상기 파지몸체부(21) 내부에서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즉, 체결부재(22)는 나사산을 통해 상기 파지몸체부(21) 상에 체결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인장재(10)를 결속하는 정도가 다를 수 있다.This means that, in the
That is, the fastening
다만, 도 1에서는 상기 파지부(20)는 제1 중공(S1)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상기 파지부(20)는 일례로, 집게 형태로 형성 될 수 있으며, 공지된 파지의 형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할 것이며, 상기 체결부재(22)도, 도 1에서 볼트로 도시하였으나, 공지된 임의의 체결부재를 사용하는 모든 발명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할 것이다.However, in FIG. 1 , the
또한, 상기 체결부재(22)는,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복수 개 설치되되, 폭 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설치되는 것이 아닌, 길이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어 지그재그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 a plurality of fastening
이는, 상기 인장재(10)가 상기 제1중공(S1)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부재(22)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될 시, 상기 인장재(10)를 보다 강하게 결속하며,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함은 물론이다. In this case, when the
한편, 상기 파지부(20)는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구동부(30)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30)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상기 인장재(10)에 회전력을 인가 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 , the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3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구동부(30)는 외부의 유압기기(미 도시) 또는 외부의 전기 에너지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30)는, 상기 파지부(20)와 연동되어, 길이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며, 회전력을 상기 파지부(20)에 인가 할 수 있으며, 상기 파지부(20)는, 상기 구동부(30)에 의해 형성된 회전력을 상기 인장재(10)로 인가 할 수 있다.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as can be seen in FIG. 3 , the driving
이는, 상기 구동부(30)와 상기 파지부(20)는 연동되어 있어, 상기 구동부(30)가 외부의 유압기기(미 도시) 또는 외부의 전기 에너지에 의해 회전될 경우, 상기 파지부(20)도 상기 구동부(30)와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어, 상기 파지부(20)가 상기 인장재(10)로 회전력을 인가하는 것을 구현 할 수 있다. This is because the driving
한편, 도 2 및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파지부(20)는, 상기 파지몸체부(21)의 일측에 형성되는 파지연결부(23)를 더 구비하며, 상기 파지연결부(23)는 상기 구동부(30)와 연결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can be seen in FIGS. 2 and 3 , the
다만, 설명의 편의상을 위해 도2 및 도3에서는, 상기 파지연결부(23)의 후술 될 연결공간(S3)에 후술 될 회전축(32)이 삽입되어 볼트(T1) 및 너트(T2)에 의해 연결 된 형태를 도시하였으나, 일례로, 상기 파지연결부(23)가 상기 회전축(32)에 삽입되거나, 또 다른 일례로, 볼트(T1) 및 너트(T2)이 외의 공지된 여러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파지연결부(23)와 상기 회전축(32)을 체결 하는 등의 변경은, 당업자의 입장에서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을 것이며, 따라서,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Howe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FIGS. 2 and 3 , a
한편, 상기 연결부(40)는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연결몸체부(41) 및 상기 연결몸체부(41) 상에 형성되며 외부기기(50)와 연결되는 기기연결부(42)를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2 , the
상기 외부기기(50)는 굴삭기(미 도시) 또는 크레인(미 도시)의 한 종류일 수 있으며, 상기 기기연결부(42)와 연결되어 외력을 가할 수 있는 기기는, 모두 외부기기(50)에 포함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또한, 상기 기기연결부(42)는, 상기 외부기기(50)와 연결되어 상기 외부기기(50)로부터 외력을 인가 받을 수 있으며, 상기 외력을 상기 연결몸체부(41)로 인가하며, 상기 연결몸체부(41)는 상기 외력을 상기 구동부(30)로 인가하며, 상기 구동부(30)는, 상기 외력을 상기 파지부(20)로 인가하며, 상기 파지부(20)는, 상기 외력을 상기 인장재(10)로 인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외부기기(50)에 의한 외력은, 일례로 인장재(10)를 길이방향으로 당기는 힘 일 수 있을 것이며, 또 다른 일례로 인장재(10)를 길이방향으로 미는 힘 일 수 있다.Here, the external force by the
또한, 상기 인장재(10)는, 상기 체결부재(22)에 의해 상기 파지몸체부(21)의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되어, 상기 구동부(30)에 의해 회전력을 인가받으며, 상기 외부기기(50)에 의해 외력을 인가받아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먼저, 인장재(10)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39100(2018.03.09. 등록)에 기술되어 있으며, 간략히 설명하자면, 지반이나 건축물(60)에 삽입되는 한쪽 끝단에 웨지체(미 도시)와 결합하고 있어서, 인장재(10)와 웨지체(미 도시)를 분리해야 하는데, 이를 구현하기 위해, 인장재(10)에 회전력과 외력을 가하여, 견인체(미 도시)와 웨지체(미 도시)가 나사결합되어 위치이동 되면서, 웨지체(미 도시)와 결합된 인장재(10)사이에 이격공간(미 도시)이 형성되며, 다시 외력을 가함으로써, 인장재(10)가 지반이나 건축물(60)에서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다. First, the
도6을 참조하여,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6(a)는, 인장재 제거장치(1)의 파지부(20)와 인장재(10)가 결합되지 않고, 인장재(10)가 지반이나 건축물(6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6(b)는, 인장재 제거장치(1)와 인장재(10)가 파지부(20)에 의해 결합 된 후, 체결부재(22)에 의해 고정되어, 인장재 제거장치(1)가 상기 인장재(10)로 외력 및 회전력을 인가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Referring to FIG. 6, 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FIG. 6(a) shows that the
상기 인장재(10)가 외부기기(50)에 의해 외력을 인가 받고, 구동부(30)에 의해 회전력을 인가받으면, 상기 인장재(10)와 결합된 웨지체(미 도시)가, 견인체(미 도시)에 나사결합 되며, 위치이동 되어, 웨지체(미 도시)와 결합된 인장재(10)사이에 이격 공간(미 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인장재(10)와 웨지체(미 도시)는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도6(c)는, 인장재(10)가 웨지체(미 도시)와 분리된 상태에서 외부기기(50)에 의해 외력을 인가받아, 인장재(10)가 지반이나 건축물(60)에서 인출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6(c) shows that the
즉, 인장재(10)는, 인장재 제거장치(1)의 파지부(20)에 의해 위치 고정되며, 인장재 제거장치(1)의 연결부(40)와 연결된 외부기기(50)에 의해 외력을 전달받으며, 인장재 제거장치(1)의 구동부(30)에 의해 회전력을 인가받아 지반이나 건축물(60)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출되는 것이다.That is, the
한편, 상기 연결부(40)는, 상기 외부기기(50)를 기준으로 상기 구동부(30)가 힌지 회전되도록 하는 힌지부(43)를 더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30)는, 상기 기기연결부(42)가 상기 외부기기(50)와 연결 될 시, 상기 힌지부(43)에 의해 상기 외부기기(50)를 기준으로 회전 이동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이는,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힌지부(43)에 의한 상기 구동부(30)의 힌지 회전은, 폭 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구현될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FIG. 4 , the hinge rotation of the driving
다만, 도 4에서는, 연결부(40)에서 형성되는 상기 힌지부(43)와 상기 구동부(30)간의 힌지 결합에 의한 폭 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힌지 회전 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in FIG. 4 , it is illustrated that the hinge is rotated based on the axis in the width direction by the hinge coupling between the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외부기기(50)와 연결된 상기 기기연결부(42)와 상기 연결몸체부(41) 간을 힌지부(43)에 의해 힌지 결합 하여 상기 연결몸체부(41)가 상기 외부기기(50)를 기준으로 폭 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힌지 회전 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몸체부(41)내에서 상기 힌지부(43) 에 의해 힌지 결합을 하여 상기 기기연결부(42)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연결몸체부(41)가 상기 기기연결부(42)가 형성된 상기 연결몸체부(41)를 기준으로 폭 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힌지 회전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연결부(40)와 상기 구동부(30)간의 힌지부(43)에 의한 힌지결합을 이용하여 상기 구동부(30)가 폭 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힌지 회전 될 수 있다.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the
즉, 상기 기기연결부(42)에 상기 외부기기(50)가 결합되어 상기 기기연결부(42)가 상기 외부기기(50)에 의해 위치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힌지부(43)의 형성 위치에 따라, 상기 연결몸체부(41)가 폭 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힌지 회전 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힌지부(43)의 형성 위치에 따라, 상기 구동부(30)가 폭 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힌지 회전 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또한, 상기 파지부(20)는, 상기 구동부(30)와 연동됨으로 인하여 상기 연결몸체부(41)와 이루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ngle between the
이는, 상기 파지부(20)와 상기 구동부(30)가 연동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30)는 상기 연결부(40)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힌지부(43)의 형성 위치와 관계없이, 상기 구동부(30)와 상기 연결몸체부(41)가 이루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상기 구동부(30)와 연동된 상기 파지부(20)와 상기 연결몸체부(41)가 이루는 각도가 조절 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작업자는 보다 용이하게 인장재(10)를 상기 파지부(20)에 삽입 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한편, 도 2및 도5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구동부(30)는, 유압기기(미 도시) 또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본체부(31) 및 상기 구동본체부(31)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회전축(32)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32)은 상기 파지부(20)와 연결되어, 상기 파지부(20)에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can be seen in FIGS. 2 and 5 , the driving
이는, 상기 파지부(20)가, 체결공간(S2)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축(32)은, 상기 체결공간(S2) 상으로 삽입 체결되어 상기 파지부(20)와 연결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holding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파지부(20)는, 제1 체결공간(S3)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32)은, 제2 체결공간(S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as can be seen in FIG. 5 , the holding
따라서, 상기 회전축(32)은 상기 파지부(20)가 형성하는 체결공간(S2)에 삽입되며, 볼트(T1) 및 너트(T2)가 상기 제1 체결공간(S3)과 상기 제2 체결공간(S4)으로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상기 회전축(32)과 상기 파지부(20)가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이하에서는, 도6을 참조하여, 상기 인장재(10)의 인출과정을 자세히 설명하겠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6 , a process of withdrawing the
도6(a)는, 상기 인장재 제거장치(1)의 상기 파지부(20)와 상기 인장재(10)가 결합하지 않고, 상기 인장재(10)가 지반이나 건축물(60)의 외부로 노출된 최초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6( a ) shows the first time that the holding
최초 상태에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장재(10)는, 상기 인장재 제거장치(1)의 상기 파지몸체부(21)의 상기 제1 중공(S1)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부재(22)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서 위치 고정 될 수 있다.In the initial state, as shown in FIG. 6(b) , the
여기서, 상기 인장재(10)와 웨지체(미 도시)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인장재(10)는, 상기 연결부(40)에 연결된 상기 외부기기(50)에 의한 외력을 상기 파지부(20)로부터 지반이나 건축물(60)방향으로 인가 받으며, 상기 구동부(30)에 의한 회전력을 인가 받을 수 있다. Here, in order to separate the
따라서, 상기 외력 및 상기 회전력에 의해 웨지체(미 도시)는, 견인체(미 도시)와 나사결합되어 위치이동 되면서, 웨지체(미 도시)와 결합된 상기 인장재(10) 사이에 이격공간(미 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by the external force and the rotational force, the wedge body (not shown) is screwed with the traction body (not shown) and moved while the wedge body (not shown) is spaced apart between the
이때, 상기 인장재(10)는, 상기 외부기기(50)에 의한 외력을 지반이나 건축물(60)으로부터 파지부(20)방향으로 인가 받아, 이격공간(미 도시)을 통하여, 도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이하게 인출 될 수 있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이는, 작업자의 외력을 이용하는 것이 아닌, 인장재 제거장치(1)에 의해 인장재(10)가 용이하게 인출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인장재 제거장치(1)의 제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겠다.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the tension
도 7(a)은 인장재 제거장치(1)의 파지부(2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b)는 파지부(20)에 인장재(10)가 삽입된 것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7(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도 8(a) 내지 8(b)는 파지부(20)와 인장재(10), 후술 될 내부파지부(24)를 길이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8(a) to 8(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도 9는, 파지부(20)와 인장재(10), 후술 될 내부파지부(24)를 폭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gripping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당업자의 입장에서 용이하게 유추 가능한 내용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히 하겠다. Contents that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or that can be easily inferred from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be omitted or simplified.
제2 실시예에 따른 지반이나 건축물에 설치된 인장재(10)를 제거하는 인장재 제거장치(1)에 있어서, 인장재(10)를 파지하는 파지부(20), 상기 파지부(20)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구동부(30) 및 상기 구동부(30)와 외부기기(50) 간의 연결을 매개하는 연결부(40)를 포함하는 인장재 제거장치(1)일 수 있으며, 상기 파지부(20)는 제1 중공(S1)을 형성하는 파지몸체부(21) 및 상기 파지몸체부(21) 상에 형성되되 체결부재(22)가 삽입되는 삽입홈(S5)을 구비하며, 상기 파지부(20)는 상기 제1 중공(S1)에 삽입되는 내부파지부(24)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파지부(24)는 제2 중공(S7)을 형성하여, 상기 인장재(10)가 상기 제2 중공(S7)에 삽입 될 수 있다.In the tension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7(a) 내지 도 7(b)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내부파지부(24)는, 상기 파지몸체부(21)가 형성하는 상기 제1 중공(S1)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인장재(10)는 상기 내부파지부(24)가 형성하는 상기 제2 중공(S7)에 삽입 될 수 있다. 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as can be seen in FIGS. 7 ( a ) to 7 ( b ), the internal
또한, 상기 내부파지부(24)는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 돌출부(26)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파지몸체부(21)는 내주면의 상기 슬라이딩 돌출부(26)와 대응하는 위치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S6)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는, 도7(a) 내지 도 7(b)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내부파지부(24)가 상기 파지몸체부(21)가 형성하는 상기 제1 중공(S1)에 삽입 될 때, 상기 내부파지부(24)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슬라이딩 돌출부(26)와 상기 파지몸체부(2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슬라이딩 홈(S6)을 통하여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된 후, 상기 내부파지부(24)는, 외부기기(50)에 의해 외력이 인장재(10)로 가해질 때,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슬라이딩 돌출부(26)와 상기 슬라이딩 홈(S6)을 통하여, 상기 내부파지부(24)는 상기 파지몸체부(21)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This is, as can be seen in FIGS. 7(a) to 7(b), when the
또한, 도 9에서 볼 수 있듯이, 회전력이, 상기 구동부(30)에 의해 상기 파지몸체부(21)로 인가 될 때, 상기 내부파지부(24)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슬라이딩 돌출부(26)와 상기 파지몸체부(2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슬라이딩 홈(S6)이 존재함으로 인하여, 상기 파지몸체부(21)가 상기 구동부(30)에 의해 회전력을 인가받아 길이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면, 이와 연동되어 상기 내부파지부(24)도, 길이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 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s can be seen in FIG. 9 , when rotational force is applied to the
한편, 상기 내부파지부(24)는, 내주면이 상기 인장재(10)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inner holding
이는, 도7(a)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내부파지부(24)의 내주면이, 상기 인장재(10)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 될 수 있다. As can be seen in FIG. 7( a ),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따라서,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장재(10)가 상기 파지몸체부(21)에 삽입되되, 복수 개의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 체결부재(22)에 의해 인장재(10)가 파지몸체부(21) 내에서 위치 고정되었으나,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장재(10)가 상기 내부파지부(24)의 제2 중공(S7)에 삽입될 경우, 상기 내부파지부(24)의 내주면이 상기 인장재(10)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성으로 형성되어, 상기 인장재(10)는, 상기 내부파지부(24) 내에서 안착될 수 있어서, 상기 인장재(10)의 위치가 고정 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in the first embodiment, the
이하에서는, 도 8(a) 내지 도 8(b),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인장재(10)의 인출과정을 자세히 설명하겠다.Hereinafter, the drawing process of the
도8(a)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인장재(10)는, 상기 내부파지부(24)의 제2 중공(S7)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파지부(24)에 의해 포위되며, 상기 내부파지부(24)의 내주면이 상기 인장재(10)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성으로 형성되어, 상기 인장재(10)는, 상기 내부파지부(24) 내에서 안착되어 위치 고정될 수 있다.As can be seen in FIG. 8( a ), the
여기서, 상기 인장재(10)와 웨지체(미 도시)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인장재(10)는, 상기 연결부(40)에 연결된 상기 외부기기(50)에 의한 외력을 상기 파지부(20)로부터 지반이나 건축물(60)방향으로 인가 받을 수 있으며, 상기 파지부(20)로부터 지반이나 건축물(60)방향으로의 외력이 인가될 경우, 상기 내부파지부(24)는 상대적으로 지반이나 건축물(60)로부터 상기 파지부(20) 방향으로 위치 이동 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내부파지부(24)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슬라이딩 돌출부(26)와 상기 파지몸체부(2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슬라이딩 홈(S6)이 존재함으로 인하여, 상기 내부파지부(24)의 위치가 이동 될 수 있다.Here, in order to separate the
따라서, 도8(b)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파지몸체부(21)는, 상기 내부파지부(24)의 지반이나 건축물(60)로부터 상기 파지부(20)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소정의 길이를 갖는 슬라이딩 홈(S6)을 형성 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홈(S6)의 길이가 상기 파지부(20)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와 동일하더라도, 상기 구동부(30)가 존재함으로써, 상기 내부파지부(24)는, 지반이나 건축물(60)로부터 상기 파지부(20)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되더라도, 상기 구동부(30)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내부파지부(24)의 위치 이동이 제한 될 수 있다.Therefore, as can be seen in Figure 8 (b), the gripping
또한, 도 9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인장재(10)와 웨지체(미 도시)를 분리하기위해, 상기 파지몸체부(21)가 상기 구동부(30)에 의해 회전력을 인가받을 경우, 상기 내부파지부(24)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슬라이딩 돌출부(26)와 상기 파지몸체부(2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슬라이딩 홈(S6)이 존재함으로 인하여, 상기 파지몸체부(21)가 상기 구동부(30)에 의해 회전력을 인가받아 길이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면, 이와 연동되어 상기 내부파지부(24)도, 길이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 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can be seen in FIG. 9 , in order to separate the
따라서, 상기 외력 및 상기 회전력에 의해 웨지체(미 도시)는, 견인체(미 도시)와 나사결합되어 위치이동 되면서, 웨지체(미 도시)와 결합된 상기 인장재(10) 사이에 이격공간(미 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by the external force and the rotational force, the wedge body (not shown) is screwed with the traction body (not shown) to move the position, and a spaced space between the wedge body (not shown) and the
이때, 상기 인장재(10)는, 상기 외부기기(50)에 의한 외력을 지반이나 건축물(60)으로부터 파지부(20)방향으로 인가 받아, 이격공간(미 도시)을 통하여, 외부로 용이하게 인출 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여기서, 도8(a)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파지몸체부(21)는, 체결부재(22)가 삽입되는 삽입홈(S5)을 더 구비하며, 상기 파지몸체부(21)는, 상기 체결부재(22)가 삽입되는 위치에 나사산(미 도시)을 형성 할 수 있어, 상기 체결부재(22)가 상기 삽입홈(S5)을 통하여 상기 파지몸체부(21)와 체결 됨으로써, 상기 내부파지부(24)의 파지부(20)로부터 지반이나 건축물(60)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Here, as can be seen in Fig. 8(a), the gripping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인장재(10)는, 상기 외부기기(50)에 의한 외력을 지반이나 건축물(60)으로부터 파지부(20)방향으로 인가 받을 경우, 상기 내부파지부(24)는, 상대적으로 파지부(20)로부터 지반이나 건축물(60)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될 수 있다. 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when the
그러나, 도 8(a)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내부파지부(24)는, 상기 체결부재(22)가 상기 삽입홈(S5)을 통하여 상기 파지몸체부(21)와 체결 됨으로써, 상기 내부파지부(20)로부터 지반이나 건축물(60)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 될 수 있다.However, as can be seen in FIG. 8( a ), the internal
이는, 상기 내부파지부(24)가 형성하는 상기 슬라이딩 돌출부(26)의 파지부(20)로부터 지반이나 건축물(60)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상기 체결부재(22)가 상기 삽입홈(S5)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돌출부(26)가 상기 체결부재(22)와 접촉되어, 위치 이동이 제한되어 상기 내부파지부(24)의 파지부(20)로부터 지반이나 건축물(60)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이다.This means that the position movement from the
즉, 인장재(10)는, 인장재 제거장치(1)의 파지부(20)에 의해 위치 고정되며, 인장재 제거장치(1)의 연결부(40)와 연결된 외부기기(50)에 의해 외력을 전달받으며, 인장재 제거장치(1)의 구동부(30)에 의해 회전력을 인가받아 지반이나 건축물(60)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출되는 것이다. That is, the
이는, 작업자의 외력을 이용하는 것이 아닌, 인장재 제거장치(1)에 의해 인장재(10)가 용이하게 인출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ha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refore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인장재 제거장치
10: 인장재
20: 파지부
S1: 제1중공, S5: 삽입홈, S7: 제2 중공
21: 파지몸체부, 22: 체결부재, 23: 파지연결부, 24: 내부파지부
26: 슬라이딩 돌출부, S6: 슬라이딩 홈
S2: 체결공간
30: 구동부
31: 구동몸체부, 32: 회전축, 33: 구동연결부
40: 연결부
41: 연결몸체부, 42: 기기연결부, 43: 힌지부
50: 외부기기
60: 지반이나 건축물
T1: 볼트, T2: 너트
S3: 제1체결공간, S4: 제2체결공간1: Tension member removal device
10: tension member
20: grip part
S1: first hollow, S5: insertion groove, S7: second hollow
21: gripping body part, 22: fastening member, 23: gripping connection part, 24: internal gripping part
26: sliding projection, S6: sliding groove
S2: Fastening space
30: drive unit
31: drive body part, 32: rotation shaft, 33: drive connection part
40: connection
41: connection body portion, 42: device connection portion, 43: hinge portion
50: external device
60: ground or building
T1: bolt, T2: nut
S3: first fastening space, S4: second fastening space
Claims (9)
인장재를 파지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외부기기 간의 연결을 매개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는,
제1 중공을 형성하는 파지몸체부;를 구비하며,
상기 인장재가 상기 파지몸체부의 상기 제1 중공에 삽입되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인장재가 상기 파지몸체부 내부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파지몸체부 상에 이격되되, 복수 개 형성되는 체결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파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파지몸체부 상에 복수 개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체결부재 각각은,
상기 파지몸체부 상에 체결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인장재를 결속하는 정도가 다른,
인장재 제거장치.
In the tension member removal device for removing the tension member installed in the ground or building,
a gripper for gripping the tension member;
a driving unit for apply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gripping unit; and
It includes; a connection unit that mediat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driving unit and an external device;
The grip part,
and a gripping body portion forming a first hollow;
The tension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irst hollow of the gripping body,
The grip part,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spaced apart from the gripping body so that the tension member is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gripping body,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is further provided,
The fastening member is
A plurality of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ipping portion is formed on the gripping body por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The degree of binding the tension member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degree of fastening on the gripping body part,
Tension member removal device.
인장재를 파지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외부기기 간의 연결을 매개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는,
제1 중공을 형성하는 파지몸체부; 및
상기 파지몸체부 상에 형성되되,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구비하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1 중공에 삽입되는 내부파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내부파지부는,
제2 중공을 형성하여, 상기 인장재가 상기 제2 중공에 삽입되는,
인장재 제거장치.
In the tension member removal device for removing the tension member installed in the ground or building,
a gripper for gripping the tension member;
a driving unit for apply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gripping unit; and
It includes; a connection unit that mediat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driving unit and an external device;
The grip part,
A gripping body portion forming a first hollow; and
and an insertion groove formed on the gripping body, into which the fastening member is inserted;
The grip part,
It further includes; an internal gripper inserted into the first hollow,
The internal gripper,
By forming a second hollow, the tension member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ollow,
Tension member removal device.
상기 내부파지부는,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 돌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파지몸체부는,
내주면의 상기 슬라이딩 돌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을 더 구비하는,
인장재 제거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internal gripper,
It further includes; a sliding protrusion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grip body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sliding groov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liding projection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ension member removal device.
상기 내부파지부는,
내주면이 상기 인장재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인장재 제거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internal gripper,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ension member,
Tension member removal device.
상기 연결부는,
연결몸체부; 및
상기 연결몸체부에 형성되며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기기연결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기기연결부는,
상기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인가받은 외력을 상기 연결몸체부로 인가하며,
상기 연결몸체부는,
상기 외력을 상기 구동부로 인가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외력을 상기 파지부로 인가하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외력을 상기 인장재로 인가하는,
인장재 제거장치.
5.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or 4,
The connection part,
connection body part; and
It is formed in the connection body portion and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further comprising a device connection portion,
The device connection unit,
It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and applies an external force applied from the external device to the connection body,
The connecting body portion,
applying the external force to the driving unit,
The driving unit,
Applying the external force to the holding part,
The grip part,
applying the external force to the tension member,
Tension member removal device.
상기 연결부는,
상기 외부기기를 기준으로 상기 구동부가 힌지 회전되도록하는 힌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기기연결부가 상기 외부기기와 연결될 시,
상기 힌지부에 의해 상기 외부기기를 기준으로 회전 이동되는,
인장재 제거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nection part,
It further includes; a hinge unit for hinge rotation of the driving unit based on the external device,
The driving unit,
When the device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Rotationally moved based on the external device by the hinge part,
Tension member removal device.
상기 구동부는,
회전력을 형성하는 구동본체부; 및
상기 구동본체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파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파지부에 회전력을 인가하며,
상기 파지부는,
체결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체결공간 상으로 삽입 체결되어 상기 파지부와 연결되는,
인장재 제거장치.5.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or 4,
The driving unit,
a driving body to form a rotational force; and
It further includes; a rotating shaft protruding from the driving body part;
The rotating shaft is
It is connected to the grip part,
Apply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gripper,
The grip part,
to form a fastening space,
The rotating shaft is
It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space and connected to the holding part,
Tension member removal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8277A KR102393409B1 (en) | 2021-05-06 | 2021-05-06 | Tension member disposal equip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8277A KR102393409B1 (en) | 2021-05-06 | 2021-05-06 | Tension member disposal equip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93409B1 true KR102393409B1 (en) | 2022-05-03 |
Family
ID=81591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58277A KR102393409B1 (en) | 2021-05-06 | 2021-05-06 | Tension member disposal equip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93409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76366U (en) * | 2000-09-18 | 2001-03-30 | 有限会社丸高重量 | Boom attachment for work equipment |
JP2005060939A (en) * | 2003-08-19 | 2005-03-10 | Fujikusu Kk | Removing device for existing anchor member, removing method, and repair method |
JP2013071197A (en) * | 2011-09-27 | 2013-04-22 | Toyota Motor Corp | Anchor bolt removal tool |
KR20170039389A (en) * | 2015-10-01 | 2017-04-11 | 주식회사 장평건설 | Removal apparatus of tension material for ground anchor and removal method thereof |
-
2021
- 2021-05-06 KR KR1020210058277A patent/KR10239340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76366U (en) * | 2000-09-18 | 2001-03-30 | 有限会社丸高重量 | Boom attachment for work equipment |
JP2005060939A (en) * | 2003-08-19 | 2005-03-10 | Fujikusu Kk | Removing device for existing anchor member, removing method, and repair method |
JP2013071197A (en) * | 2011-09-27 | 2013-04-22 | Toyota Motor Corp | Anchor bolt removal tool |
KR20170039389A (en) * | 2015-10-01 | 2017-04-11 | 주식회사 장평건설 | Removal apparatus of tension material for ground anchor and removal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93409B1 (en) | Tension member disposal equipment | |
KR20170077074A (en) | clamp unit of vibrating Pile driver | |
KR100728103B1 (en) | Auger for engineering work underground pil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underground pile using it | |
JP4253016B2 (en) | Tightening method of concrete box in open shield method | |
KR101588860B1 (en) | dismantling method of tension member for anchor and apparatus thereof | |
JP3533981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screwed pile | |
JP6920711B2 (en) | Pile connection structure | |
US6848674B2 (en) | Placementing method of reinforcing strips for constructing precast concrete facing panel and pulling-up device of reinforcing strips | |
JP2001173385A (en) | Tunnel lining segment and its assembling method | |
JPS59228529A (en) | Formation of sheathing continuous wall and rotary excavator and sheathing member therefor | |
KR20190108780A (en) | Sd nailing method | |
JP3235704U (en) | Underground drilling equipment | |
KR102505449B1 (en) | Casing for retaining wall construction and method for retaining wall construction using the same | |
JP7153376B2 (en) | Existing pile extraction device and existing pile extraction method | |
KR102156683B1 (en) | A Improved Punching Machine For Straight Punch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7477411B2 (en) | Joint structure of steel shell elemen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0123886B1 (en) | Working machine and working method for underground foundation pile | |
JP2003328674A (en) | Cleaning unit for drilling rod | |
KR20200095706A (en) | Punching Machine For Multistage Method of Straight Punching Steel Pip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H047272Y2 (en) | ||
JPH10205298A (en) | Drilling filling method of grout and pulling device of grouting hose | |
JPH07116743B2 (en) | Concrete block connection method and thin plate used for it | |
JP2013231335A (en) | Drilling device for burying pile material and method of burying pile material | |
JP2004339892A (en) | Existing pile drawing device | |
JPH073780A (en) | Method for treating head of cast-in-place concrete pi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