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928B1 - Peg 계열의 유화제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안정성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Peg 계열의 유화제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안정성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2928B1
KR102392928B1 KR1020210154886A KR20210154886A KR102392928B1 KR 102392928 B1 KR102392928 B1 KR 102392928B1 KR 1020210154886 A KR1020210154886 A KR 1020210154886A KR 20210154886 A KR20210154886 A KR 20210154886A KR 102392928 B1 KR102392928 B1 KR 102392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polyglyceryl
present
based emulsifier
comparative ex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4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도연
노향선
조자운
Original Assignee
(주)나우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우코스 filed Critical (주)나우코스
Priority to KR1020210154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9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8Tocopherol, i.e.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EG계열의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실질적으로 제형 안정성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은 유상, 수상 및 파우더상을 포함하고, 상기 유상은 솔비탄계 유화제와 폴리글리세린계 유화제를 상기 화장품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6.5 내지 9.5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PEG 계열의 유화제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안정성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UV protection cosmetic composition with excellent stability without PEG-based emulsifier}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PEG(폴리에틸렌글라이콜) 계열의 유화제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상분리 없이 안정한 성상을 유지하는 유중수형(W/O Emulsion) 무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태양광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은 피부에 홍반이나 부종, 주근깨, 피부암 등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다. 따라서 최근까지 자외선에 기인한 여러 가지 피부 질병들에 대한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나아가,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전기, 전자제품에서 발생하는 생활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자극 문제도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수많은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이 등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는 수용성 및 수불용성 자외선 흡수제와 자외선 산란을 목적으로 하는 초미립자 분말 등을 배합하여 크림상 및 유액상의 제품으로 구현되는데, 이러한 크림상이나 유액상 제품의 경우에는 오일 및 왁스를 다량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들은 사용감이 무겁기 때문에 땀이 많고 기온이 높은 여름철에 이러한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 자외선 차단효과는 감소되고 산뜻한 사용감을 나타내지 못하며 피부에 상당한 부담을 주는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화장품에 있어서 환경 또는 인체 건강에 이슈가 있는 성분은 배제하고자 하는 노력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PEG(폴리에틸렌글라이콜) 계열의 유화제는 제조 시 에톡실화의 부산물로 1,4-다이옥세인이 생성될 수 있어 안전성 이슈가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해당 성분을 배제하여 제품을 개발할 경우 오일분리가 발생하는 등의 제형 안정성에 대한 이슈가 번번히 발생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PEG(폴리에틸렌글라이콜) 계열의 유화제를 배제하면서 제형 안정성을 유지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선행기술문헌은 글리세릴계 유화제 및 솔비탄계 유화제를 사용한 제형의 안정성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문헌은 실제로 유화제의 함량이 과도하게 삽입되어 뻑뻑하고 오일리한 사용감을 유발시키거나 글리세릴계 유화제에 따라 실제로 제형의 안정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간과하고 있다.
공개특허 제10-2019-0057660호, 발명의 명칭: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 및 솔리탄계 유화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SUN SCREENING CO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GLYCERYL-BASED EMULSIFIER AND A SORBITAN-BASED EMULSIFIER}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PEG계열의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실질적으로 제형 안정성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은 유상, 수상 및 파우더상을 포함하고, 상기 유상은 솔비탄계 유화제와 폴리글리세린계 유화제를 상기 화장품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6.5 내지 9.5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솔비탄계 유화제는 솔리탄 모노라우레이트, 솔리탄 모노팔미테이트, 솔리탄 모노스테아레이트, 솔리탄 모노올리에이트, 솔리탄 세스퀴올리에이트 및 솔리탄 이소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나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유중수형 제형에서 실리콘 오일의 함량이 낮은 경우에는 HLB 값이 높을수록 유화입자가 커지는 경향이 있다. 솔비탄계 유화제는 HLB 값이 낮을수록 유화입자가 좀더 조밀하여 계면이 튼튼하게 형성되고, 시간이 지나도 안정한 에멀젼을 유지하기 때문에 HLB 값이 낮은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가 가장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때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는 상기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2 내지 3 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의 함량이 2 중량% 미만이면 오일 분리 문제가 있으며, 3 중량%을 초과하면 사용감이 뻑뻑하거나 오일리해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폴리글리세린계 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2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디이소스테아로일 폴리글리세릴-3 디머 딜리노레아트, 폴리글리세릴-4 디이소스테아레이트/홀리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세바케이트,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디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디이소스테아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3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폴리글리세린계 유화제는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폴리글리세릴-6폴리리시놀리에이트, 폴리글리세릴-4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4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올리에이트, 폴리글리세릴-3폴리리시놀리에이트, 및 폴리글리세릴-3올리에이트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혼합물일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폴리글리세린계 유화제는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and) 토코페롤(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과 토코페롤의 혼합물) 또는 폴리글리세릴-6폴리리시놀리에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동일한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이지만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에는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and) 토코페롤 또는 폴리글리세릴-6폴리리시놀리에이트 2종을 혼합한 경우 조성물의 안정성이 극도로 향상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때, 상기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and) 토코페롤의 함량은 폴리글리세릴-6폴리리시놀리에이트의 함량보다 크게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and) 토코페롤은 폴리글리세릴 실리콘계열 유화제로 대체적으로 작고 고른 형태의 입자를 가지고 있어, 계면이 튼튼하게 형성되어 시간이 지나도 안정한 에멀젼을 유지한다. 또한,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and) 토코페롤은 실리콘 오일뿐만 아니라, 하이드로카본계 오일과도 우수한 상용성을 갖고 있어 주유화제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폴리글리세릴-6폴리리시놀리에이트는 끈적이는 사용감을 가지고 있어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and) 토코페롤보다 소량 사용하되 유화안정도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 보조유화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폴리글리세린계 유화제는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2.5 내지 7.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하게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and) 토코페롤 2.0 내지 5.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글리세릴-6폴리리시놀리에이트 0.5 내지 2.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글리세린계 유화제의 함량이 2.5 % 미만일 경우, 유화성상이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7.0 % 초과될 경우에는 사용감이 뻑뻑하거나 오일리해지며 단가 또한 상승되는 문제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파우더 상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 및 스테아릭애씨드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및 산화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의 제형은 유중수형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점증제 상은 무기 점증제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다이스테아다이모늄헥토라이트일 수 있고, 상기 무기 점증제 함량은 1.0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점증제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 점도가 너무 낮아 내용물이 흐를 수 있으며, 3.0 중량% 초과일 경우, 사용감이 뻑뻑하게 된다.
상기 수상부는 정제수,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나이아신아마이드, 아데노신, 다이소듐이디티에이, 마그네슘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수상부 함량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35 내지 5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수상부 함량이 35 중량% 미만인 경우, 오일리한 사용감이 느껴질 수 있으며, 50 중량% 초과인 경우, 고점도로 인한 뻑뻑한 사용감이 느껴질 수 있고 유화성상의 분리가 일어나는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 방부제는 에틸헥산다이올 및 글리세릴타프렐레이트로 이루어진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은 솔비탄계 유화제를 사용하여 안정성 이슈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제형의 안정성을 현저하게 확보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교예1에 따른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비교예2에 따른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교예3에 따른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비교예4에 따른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비교예5에 따른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을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
다음의 단계에 따라 [표 1]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 파우더상을 3단롤밀을 이용하여, 고르게 분산시킨다.
(2) 유상을 70도까지 가온하여 용해한다.
(3) 온도를 70도를 유지하면서, 점증제를 투입하여 고르게 분산한다.
(4) 온도를 70도로 유지하면서, 용해된 유상에 파우더상을 투입하여 고르게 혼합한다.
(6) 수상을 60도까지 가온하여 수용성 성분을 용해 및 혼합한다.
(7) 온도를 60도 이상으로 유지하면서, 유상에 수상을 천천히 투입시키며 유화작업을 진행한다.
(8) 온도를 40도까지 냉각한 후에 방부제를 투입하여, 2차 유화작업을 진행한다.
구분 원료명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유 상 아이소헥사데칸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2.50 2.50 2.50 2.50 2.50 2.50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3.00 3.00 3.00 3.00 3.00 3.00
부틸옥틸살리실레이트 5.00 5.00 5.00 5.00 5.00 5.00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and)토코페롤 4.00 4.00 - - 1.50 4.0
폴리글리세릴-6폴리리시놀리에이트 0.50 - - - 0.5 3.50
폴리글리세릴-4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세바케이트 - - 2.5 2.5 - -
폴리글리세릴-4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세바케이트 (and)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and)
폴리글리세릴-3올리에이트 (and)
다이아이소스테아로일폴리글리세릴-3다이머다이리놀리에이트
- - 1.5 - - -
폴리글리세릴-3폴리리시놀리에이트(and)
폴리글리세릴-3올리에이트
- - - 2.0 - -
점증제 다이스테아다이모늄헥토라이트 2.50 2.50 2.50 2.50 2.50 2.50
파우더상 티타늄디옥사이드 (and)
실리카 (and)
라우로일라이신
1.00 1.00 1.00 1.00 1.00 1.00
징크옥사이드 (and) 스테아릭애씨드 3.00 3.00 3.00 3.00 3.00 3.00
티타늄디옥사이드(and) 실리카(and)스테아릭애씨드 3.00 3.00 3.00 3.00 3.00 3.00
징크옥사이드 4.00 4.00 4.00 4.00 4.00 4.00
실리카 2.00 2.00 2.00 2.00 2.00 2.00
아이소헥사데칸 (and) 아이소도데케인 (and) C13-15알케인 6.00 6.00 6.00 6.00 6.00 6.00
수상 정제수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3.0 3.0 3.0 3.0 3.0 3.0
나이아신아마이드 2.00 2.00 2.00 2.00 2.00 2.00
아데노신 0.04 0.04 0.04 0.04 0.04 0.04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5 0.05 0.05 0.05 0.05 0.05
마그네슘설페이트 1.50 1.50 1.50 1.50 1.50 1.50
방부제 에틸헥산다이올 (and)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0.80 0.80 0.80 0.80 0.80 0.80
온도별 제형 안정도
실시예1은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and) 토코페롤과 폴리글리세릴-6폴리리시놀리에이트를 함께 사용하였다.
비교예1은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and) 토코페롤을 단독으로 사용하였다.
비교예2은 폴리글리세릴-4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세바케이트와 폴리글리세릴-4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세바케이트 (and)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and) 폴리글리세릴-3올리에이트 (and) 다이아이소스테아로일폴리글리세릴-3다이머다이리놀리에이트를 함께 사용하였다.
비교예3은 폴리글리세릴-4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세바케이트와 폴리글리세릴-3폴리리시놀리에이트 (and) 폴리글리세릴-3올리에이트를 함께 사용하였다.
비교예4와 비교예5는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and) 토코페롤과 폴리글리세릴-6폴리리시놀리에이트의 조합 함량을 다르게 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1과 비교예 1~5 모두 실험이 끝난 후 25도, 45도에 각각 보관하여 한 달 후의 성상을 관찰하였다. 실험결과는 아래의 [표 2]와 같다.
실시예 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25도(4주) 안정 오일 분리 오일 분리 오일 분리 오일 분리 안정
45도(4주) 안정 오일 분리 오일 분리 오일 분리 오일 분리 안정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비교예1~4는 한 달 사이에 오일 분리가 일어났으며, 실시예1과 비교예5은 안정한 성상을 유지하였다. 다만, 비교예5는 실시예1와 같이 안정한 성상을 구현하였으나, 뻑뻑하고 오일리한 사용감으로 인해 제품화할 수 없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을 촬영한 사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비교예1, 도 3은 본 발명의 비교예2, 도 4는 본 발명의 비교예3, 도 5는 본 발명의 비교예4, 도 6은 본 발명의 비교예5에 따른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을 촬영한 사진이다. 여기서 왼쪽은 25도 4주 조건이고, 오른쪽은 45도 4주 조건에 대한 것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1은 안정한 성상을 유지하나 비교예 1~4는 오일 분리가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5는 육안으로도 뻑뻑한 성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8)

  1.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에 있어서,
    유상;
    수상; 및
    파우더상;
    을 포함하고,
    상기 유상은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를 상기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2 내지 3 중량%를 함유하고,
    상기 유상은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과 토코페롤의 혼합물, 그리고 폴리글리세릴-6폴리리시놀리에이트를 상기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2.5 내지 7.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릴폴리글리세릴-3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과 토코페롤의 혼합물의 함량은 상기 폴리글리세릴-6폴리리시놀리에이트의 함량보다 크게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 상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 및 스테아릭애씨드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의 제형은 유중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10154886A 2021-11-11 2021-11-11 Peg 계열의 유화제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안정성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 KR102392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886A KR102392928B1 (ko) 2021-11-11 2021-11-11 Peg 계열의 유화제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안정성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886A KR102392928B1 (ko) 2021-11-11 2021-11-11 Peg 계열의 유화제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안정성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2928B1 true KR102392928B1 (ko) 2022-05-03

Family

ID=81591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4886A KR102392928B1 (ko) 2021-11-11 2021-11-11 Peg 계열의 유화제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안정성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9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7756A (ko) * 2014-12-24 2016-07-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20160107064A (ko) * 2015-03-03 2016-09-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폴리글리세릴 계열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190057660A (ko) * 2017-11-20 2019-05-29 (주)아모레퍼시픽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 및 소르비탄계 유화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10800B1 (ko) * 2021-06-17 2021-10-08 주식회사 와이브로뷰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7756A (ko) * 2014-12-24 2016-07-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20160107064A (ko) * 2015-03-03 2016-09-1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폴리글리세릴 계열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190057660A (ko) * 2017-11-20 2019-05-29 (주)아모레퍼시픽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 및 소르비탄계 유화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10800B1 (ko) * 2021-06-17 2021-10-08 주식회사 와이브로뷰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 제10-2019-0057660호, 발명의 명칭: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 및 솔리탄계 유화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SUN SCREENING CO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GLYCERYL-BASED EMULSIFIER AND A SORBITAN-BASED EMULSIFI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4015B1 (ko) 폴리글리세릴계 유화제 및 소르비탄계 유화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82693B1 (ko) 선스크린 화장료
WO2007060823A1 (ja) 皮膚外用剤
JP2016074660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5639569B2 (ja) 水中油型乳化日焼け止め化粧料
KR20230047985A (ko) 폴리글리세릴 계열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1557369B1 (ko) 캡슐을 함유하는 투명한 실리콘중수(w/s) 타입의 고보습 및 피부결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51058B1 (ko) 아스코빅 애씨드 분산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38664A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46898B1 (ko) 비타민c를 안정화한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KR20190079201A (ko) 투명성이 개선된 고함량 천연 오일을 함유한 나노 에멀젼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04314B1 (ko) 워터드롭 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92928B1 (ko) Peg 계열의 유화제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안정성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 화장품 조성물
KR20160056842A (ko) 점증제 없이 점도 및 경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98623B1 (ko) 에칠헥실트리아존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제 혼합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2804987B (zh) 水包油型乳化化妆品
KR102574547B1 (ko) 무기분체를 안정적으로 내포하는 워터 드롭 매크로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81547B1 (ko) 피부 효능 물질을 안정하게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7197434A (ja) 水中油型日焼け止め化粧料
KR102366308B1 (ko) 비저블한 오일입자를 가지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20110012942A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116181A (ko) 나노에멀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94193A (ko) 에어로졸 화장료
KR102453889B1 (ko)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KR20130055332A (ko) 워터-스플래쉬 현상을 갖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