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909B1 - 애완동물 분실 방지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애완동물 분실 방지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2909B1
KR102392909B1 KR1020200027682A KR20200027682A KR102392909B1 KR 102392909 B1 KR102392909 B1 KR 102392909B1 KR 1020200027682 A KR1020200027682 A KR 1020200027682A KR 20200027682 A KR20200027682 A KR 20200027682A KR 102392909 B1 KR102392909 B1 KR 102392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ember
pets
ultrasonic
wireless communication
l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2552A (ko
Inventor
김상우
최병옥
김영준
이동민
김보성
정재환
강민기
강동현
김형택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27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909B1/ko
Publication of KR20210112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6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 A01K11/008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incorporatin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Abstract

본 발명은 초음파 송신장치; 초음파 기반 마찰전기 발전소자 및 배터리 등을 포함한 무선 송신 장치; 및 사용자 단말기로 이뤄진 애완동물 분실 방지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이용한다면, 애완동물(반려 동물)의 보안 수준이 높아지며,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 반영구적으로 가능한 생체 삽입 기기의 구현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애완동물 분실 방지를 위한 시스템 {SYSTEM FOR PREVENTING LOSS OF PETS}
본 발명은 애완동물의 분실 방지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애완동물의 분실 방지를 위하여, 무선 통신 기기(GPS, 블루투스 등)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체내 삽입형 기기 구조를 제안한다.
기존 반려동물의 분실 방지를 위한 제품은 GPS를 기반으로 하여 체외에 착용이 가능한 목걸이, 키링 형태로 많이 출시가 되었지만, 이러한 형태의 제품은 외부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반려동물의 활동에 의해 파손될 가능성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분실 방지를 위해 착용한 제품 또한 활동 시 분실의 위험이 있으며, 이러한 제품을 분실 할 경우 주인은 근처에 반려동물이 있다고 안심하여 오히려 반려 동물의 분실을 자각하는 속도를 늦출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최근 악의적으로 시장 수요가 높은 인기 품종의 반려동물을 훔치는 범죄가 증가하였는데, 기존의 제품은 이러한 범죄를 막기에는 매우 취약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인체 삽입형 무선 통신 기기의 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초음파 송신장치; 초음파 기반 마찰전기 발전소자 및 배터리 등을 포함한 무선 송신 장치; 및 사용자 단말기로 이뤄진 애완동물 분실 방지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분실 방지를 위한 시스템은, 초음파를 발생하여 송신하는 초음파 송신 장치; 애완동물의 체내에 삽입된 무선 통신부; 및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송신 장치는 초음파 발생부 및 초음파 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통신부는 에너지 발생부; 배터리;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송신 장치의 초음파에 의해 상기 에너지 발생부에서 전기가 발생되고, 발생된 전력을 이용해 통신 모듈을 통해 애완 동물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해 확인이 가능하다.
상기 무선 통신부의 에너지 발생부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전극; 상기 전극 상에 배치된 제 1 접촉부재; 상기 전극 및 상기 제 1 접촉 부재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스페이서; 및 상기 제 1 접촉 부재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스페이서 상에 배치된 제 2 접촉 부재를 포함하고, 초음파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 1 접촉 부재와 상기 제 2 접촉 부재 사이의 공간 내부의 압력이 변경됨으로써 상기 제 2 접촉 부재가 상기 제 1 접촉 부재와 접촉 및 비접촉을 반복하면서 전기가 발생된다.
상기 에너지 발생부는 티타늄으로 패키징되어 있다.
상기 에너지 발생부는 정류 다이오드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초음파의 세기는 1W/cm2 이하이다.
상기 초음파의 주파수는 20kHz 내지 50kHz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분실 방지를 위한 시스템은, 초음파를 발생하여 송신하는 초음파 송신 장치; 애완동물의 피부에 부착된 무선 통신부; 및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송신 장치는 초음파 발생부 및 초음파 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통신부는 에너지 발생부; 배터리;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송신 장치의 초음파에 의해 상기 에너지 발생부에서 전기가 발생되고, 발생된 전력을 이용해 통신 모듈을 통해 애완 동물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해 확인이 가능하다.
상기 무선 통신부의 에너지 발생부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전극; 상기 전극 상에 배치된 제 1 접촉부재; 상기 전극 및 상기 제 1 접촉 부재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스페이서; 및 상기 제 1 접촉 부재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스페이서 상에 배치된 제 2 접촉 부재를 포함하고, 초음파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 1 접촉 부재와 상기 제 2 접촉 부재 사이의 공간 내부의 압력이 변경됨으로써 상기 제 2 접촉 부재가 상기 제 1 접촉 부재와 접촉 및 비접촉을 반복하면서 전기가 발생된다.
상기 에너지 발생부는 티타늄으로 패키징되어 있다.
상기 에너지 발생부는 정류 다이오드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초음파의 세기는 1W/cm2 이하이다.
상기 초음파의 주파수는 20kHz 내지 50kHz이다.
본 발명을 이용한다면, 애완동물(반려 동물)의 보안 수준이 높아지며,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는 반영구적으로 가능한 생체 삽입 기기의 구현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분실 방지를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분실 방지를 위한 시스템의 무선 통신부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발생부에서 전기 에너지 발생 원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초음파 기반 마찰 전기 발전소자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음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전체 도면에서 걸쳐 유사한 도면번호는 유사한 엘리먼트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설명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설명들이 본 발명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특정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다른 예들에서, 공지된 구조 및 장치들은 실시예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블록 다이아그램 형태로 제시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초음파 송신장치; 초음파 기반 마찰전기 발전소자 및 배터리 등을 포함한 무선 송신 장치; 및 사용자 단말기로 이뤄진 애완동물 분실 방지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분실 방지를 위한 기기의 경우 목적이 분실 방지인 만큼 높은 수준의 안정성이 요구되나, 기존의 제품과 같이 체외에 설치하여 사용할 경우 외부환경에 쉽게 노출되며, 악의적으로 타인이 제거하려고 하는 상황에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체내 삽입형 또는 피부 부착형 기기를 제안한다. 높은 안정성을 위하여 체내에 삽입하였을 때 높은 화학적, 기계적 안정성을 가지는 티타늄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 기기 및 이를 충전하기 위한 마찰전기 발전소자를 패키징하였다.
체내에 삽입한 무선 통신 기기를 충전하기 위한 방안으로, NFC, RF등의 방식은 발열 및 전자기파로 인한 애완동물 유해성이 있기 때문에 애완동물에 무해한 초음파를 사용하여 마찰전기 발전 소자를 구동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분실 방지를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분실 방지를 위한 시스템의 무선 통신부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분실 방지를 위한 시스템(1000)은 초음파를 발생하여 송신하는 초음파 송신 장치(100); 무선 통신부(200; 220; 230); 및 사용자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초음파 송신 장치(100)는 초음파를 발생하여 발생된 초음파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초음파 송신장치(100)는 초음파를 발생하는 초음파 발생부(110) 및 상기 초음파를 송신하는 초음파 송신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초음파 발생부(100)는 초음파의 주파수가 약 20㎑ 내지 50㎑이고, 초음파의 세기는 약 1W/㎠ 이하인 초음파를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초음파 송신장치(100)는 휴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일정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휴대하는 경우 초음파 송신장치(100)의 콘트롤러(미도시)를 통하여 사용자가 발생하는 초음파의 주파수 및 세기를 조절할 수 있고, 초음파를 송신하거나 초음파의 송신을 중단할 수 있다. 일정한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 애완동물의 집(예를 들어 애완동물이 개인 경우 개집)이나 애완동물이 자주 머무르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에너지 발생부(200); 배터리(220); 및 통신 모듈(230)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부의 에너지 발생부(200)는 초음파 송신장치(100)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수신하여 전기를 발생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외부와 밀폐되고, 애완동물의 체내에(몸 속에) 삽입되거나 또는 애완동물의 피부에 부착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일 예로 초음파 송신장치(100)에서 수신하는 초음파의 세기가 약 1W/㎠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애완동물에 손상을 일으킬 염려가 있으므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초음파의 세기는 약 1W/㎠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발생부에서 전기 에너지 발생 원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전기 에너지 발생장치(200)는 기판(212), 전극(222), 제1 접촉부재(232), 스페이서(242) 및 제2 접촉부재(252)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212)은 애완동물에 무해한 폴리머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 예로 테프론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극(222)은 기판(212) 상에 배치될 수 있고, 기판(212)의 상부면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애완동물에 무해한 금속 물질 예를 들면 금(Au)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접촉부재(232)는 전극(222)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아래의 제2 접촉부재(252)와 접촉 및 비접촉을 반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접촉부재(232)를 이루는 물질은 공지된 마찰전기 시리즈(triboelectric series)를 참고하여 선택될 수 있다.
스페이서(242)는 전극(222) 및 제1 접촉부재(232)를 둘러싸는 형태로 기판(21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242)에 의하여 제1 접촉부재(232)와 제2 접촉부재(252)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고, 제1 접촉부재(232)와 제2 접촉부재(242) 사이에는 외부와 밀폐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접촉부재(252)는 제1 접촉부재(232)와 이격된 상태로 스페이서(242)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접촉부재(252)는 제1 접촉부재(232)와 접촉 및 비접촉을 반복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접촉부재(252)는 반복적으로 변형이 일어나는 부분이기 때문에 기계적 안정성이 뛰어나며, 애완동물에 무해한 비금속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음파 송신장치(100)를 통하여 송신된 초음파에 의하여 제1 접촉부재(232)와 제2 접촉부재(252) 사이의 공간 내부의 압력이 변경될 수 있고, 이러한 압력의 변경에 의하여 제2 접촉부재(252)에는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제2 접촉부재(252)에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2 접촉부재(252)와 제1 접촉부재(232)가 접촉 및 비접촉을 반복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른 정전기가 발생하게 된다. 일 예로 발생되는 전기 에너지가 높아질 수 있도록 제1 접촉부재(232)와 제2 접촉부재(252)의 접촉 면적은 증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상기 공간 내부의 압력을 효과적으로 변경하여 제1 접촉부재(232)와 제2 접촉부재(252)가 접촉 및 비접촉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초음파의 주파수는 약 20㎑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간의 높이는 제1 접촉부재(232)의 변형 정도를 고려하여 제1 접촉부재(232)와 제2 접촉부재(252)가 접촉 및 비접촉을 반복할 수 있는 높이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제2 접촉부재(252)를 이루는 물질은 공지된 마찰전기 시리즈(triboelectric series)를 참고하여 선택될 수 있고, 제2 접촉부재(252)는 제1 접촉부재(232)와는 반대로 대전될 수 있고, 제2 접촉부재(252)는 제1 접촉부재(232)와 접촉하는 경우에 서로 대전되는 전하량이 많은 물질로 선택될 수 있다.
전기 에너지 발생장치(200)는 애완동물 몸 속에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애완동물에 무해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애완동물 내부에 삽입되어 애완동물의 세포와 접촉할 수 있는 기판(212), 스페이서(242) 및 제2 접촉부재(252)는 각각 애완동물에 무해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접촉부재(232)와 제2 접촉부재(252) 사이에 발생되는 정전기가 애완동물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기판(212), 스페이서(242) 및 제2 접촉부재(252)는 각각 비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기판(212)으로는 PDMS, Ecoflex, PEN, Silicon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스페이서(242)로는 Kapton, 아크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212), 제1 접촉부재(232), 스페이서(242) 및 제2 접촉부재(252)는 영의 계수(Young's modulus)가 충분히 높은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무선 통신부의 통신 모듈과 통신을 하는 단말기로써,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해 애완동물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사용자는 확인이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기는 특별한 한정이 없으며, 예를 들어 휴대폰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애완동물의 신체 내부 또는 피부에 부착된 무선 통신부의 전원 상태도 확인이 가능하다. 무선 통신부의 전원 상태를 확인하고 배터리가 없거나 일정 수준 이하가 되면, 사용자 단말기에 자동으로 알람이 오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알람을 통해 사용자는 애완동물을 초음파 송신장치 주위에 위치시키거나 또는 휴대용 초음파 송신장치를 이용해 애완동물에게 직접 초음파를 쏴 줌으로써 무선 통신부의 전원을 충전시킬 수 있다. 무선 통신분의 배터리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사용자 단말기의 알람은 해제된다.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손쉽게 무선 통신부의 전원(배터리)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에 애완동물을 잃어버릴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초음파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 1 접촉 부재와 상기 제 2 접촉 부재 사이의 공간 내부의 압력이 변경됨으로써 상기 제 2 접촉 부재가 상기 제 1 접촉 부재와 접촉 및 비접촉을 반복하면서 전기가 발생된다. 발생된 전기는 직접 바로 이용되거나 배터리(220)에 저장되었다가 이용될 수 있다. 에너지 발생부는 정류 다이오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발생된 전력을 이용해 통신 모듈(230)을 통해 애완 동물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해 확인이 가능하다. 이러한 통신 모듈은 GPS, NFC, beacon 등 어떠한 방식이라도 무관하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무선 통신부는 애완동물의 신체 내에 삽입되거나 또는 피부에 부착되므로 높은 화학적/기계적 안정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러한 무선 통신부를 패키징할 필요가 있으며, 도 2에서 보는 것처럼 티타늄으로 패키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티타늄 패키징을 통해 높은 화학적/전기적/기계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4는 초음파 기반 마찰 전기 발전소자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음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초음파 발생기를 이용해 초음파를 이용한 마찰전기 발전 소자를 이용해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고, 이를 이용해 완전히 방전된 GPS 모듈의 전원 장치를 초음파 기반 마찰전기 발전 소자와 연결 하였을 때 일정시간 이후에 GPS 신호가 정상적으로 잡힘을 확인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초음파를 발생하여 송신하는 초음파 송신 장치;
    애완동물의 체내에 삽입된 무선 통신부; 및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송신 장치는 초음파 발생부 및 초음파 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통신부는 에너지 발생부; 배터리;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송신 장치의 초음파에 의해 상기 에너지 발생부에서 전기가 발생되고, 발생된 전력을 이용해 통신 모듈을 통해 애완 동물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해 확인이 가능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의 에너지 발생부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전극;
    상기 전극 상에 배치된 제 1 접촉부재;
    상기 전극 및 상기 제 1 접촉 부재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스페이서; 및
    상기 제 1 접촉 부재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스페이서 상에 배치된 제 2 접촉 부재를 포함하고,
    초음파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 1 접촉 부재와 상기 제 2 접촉 부재 사이의 공간 내부의 압력이 변경됨으로써 상기 제 2 접촉 부재가 상기 제 1 접촉 부재와 접촉 및 비접촉을 반복하면서 전기가 발생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무선 통신부의 전원 상태를 확인하고 배터리가 미리 정해진 수준 이하가 되면 사용자 단말기로 알람이 오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알람이 오는 경우 상기 초음파 송신 장치에 의해 초음파를 애완 동물에게 인가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의 전원을 충전시키는,
    애완동물 분실 방지를 위한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발생부는 티타늄으로 패키징되어 있는,
    애완동물 분실 방지를 위한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발생부는 정류 다이오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애완동물 분실 방지를 위한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의 세기는 1W/cm2 이하인,
    애완동물 분실 방지를 위한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의 주파수는 20kHz 내지 50kHz인,
    애완동물 분실 방지를 위한 시스템.
  7. 초음파를 발생하여 송신하는 초음파 송신 장치;
    애완동물의 피부에 부착된 무선 통신부; 및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송신 장치는 초음파 발생부 및 초음파 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통신부는 에너지 발생부; 배터리;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송신 장치의 초음파에 의해 상기 에너지 발생부에서 전기가 발생되고, 발생된 전력을 이용해 통신 모듈을 통해 애완 동물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해 확인이 가능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의 에너지 발생부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전극;
    상기 전극 상에 배치된 제 1 접촉부재;
    상기 전극 및 상기 제 1 접촉 부재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스페이서; 및
    상기 제 1 접촉 부재와 이격된 상태로 상기 스페이서 상에 배치된 제 2 접촉 부재를 포함하고,
    초음파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제 1 접촉 부재와 상기 제 2 접촉 부재 사이의 공간 내부의 압력이 변경됨으로써 상기 제 2 접촉 부재가 상기 제 1 접촉 부재와 접촉 및 비접촉을 반복하면서 전기가 발생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무선 통신부의 전원 상태를 확인하고 배터리가 미리 정해진 수준 이하가 되면 사용자 단말기로 알람이 오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알람이 오는 경우 상기 초음파 송신 장치에 의해 초음파를 애완 동물에게 인가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의 전원을 충전시키는,
    애완동물 분실 방지를 위한 시스템.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발생부는 티타늄으로 패키징되어 있는,
    애완동물 분실 방지를 위한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발생부는 정류 다이오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애완동물 분실 방지를 위한 시스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의 세기는 1W/cm2 이하인,
    애완동물 분실 방지를 위한 시스템.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의 주파수는 20kHz 내지 50kHz인,
    애완동물 분실 방지를 위한 시스템.
KR1020200027682A 2020-03-05 2020-03-05 애완동물 분실 방지를 위한 시스템 KR102392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682A KR102392909B1 (ko) 2020-03-05 2020-03-05 애완동물 분실 방지를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682A KR102392909B1 (ko) 2020-03-05 2020-03-05 애완동물 분실 방지를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552A KR20210112552A (ko) 2021-09-15
KR102392909B1 true KR102392909B1 (ko) 2022-04-29

Family

ID=77793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682A KR102392909B1 (ko) 2020-03-05 2020-03-05 애완동물 분실 방지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9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483B1 (ko) * 2022-12-27 2024-01-04 주식회사 에너지마이닝 매칭 레이어를 이용한 금속 패키지가 적용된 초음파 마찰전기 발전소자 및 이를 구비한 신경 자극 전자약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376B1 (ko) 2014-06-05 2016-01-08 김명환 동물 휴대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611136B1 (ko) * 2015-07-03 2016-04-2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초음파를 이용한 전기 에너지 발생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5423A (ko) * 2014-10-17 2016-04-27 주식회사 펫츠비 반려동물 목걸이를 활용한 분실방지 및 건강관리 시스템
KR101716788B1 (ko) * 2015-08-13 2017-03-15 국립암센터 인체 이식형 의료장치
KR101957498B1 (ko) * 2017-02-02 2019-06-19 주식회사 링크노아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축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53683A (ko) * 2017-11-10 2019-05-20 추명호 애완동물의 동작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376B1 (ko) 2014-06-05 2016-01-08 김명환 동물 휴대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611136B1 (ko) * 2015-07-03 2016-04-2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초음파를 이용한 전기 에너지 발생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552A (ko) 202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60808B2 (ja) 伴侶動物の健康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US10516301B2 (en) System and methods for using sound waves to wirelessly deliver power to electronic devices
US202400725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power waves in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7042361B2 (en) Child monitoring, communication and locating system
US20150318729A1 (en) Wireless sound tracking pocket-forming
CN110999022A (zh) 将发声设备的导线用作用于接收无线传递的功率的天线的系统、方法和设备
US20130157628A1 (en) Smart phone based electronic fence system
WO2015006106A1 (en) Wireless tracking pocket-forming
US8447238B2 (en) RF transmitter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392909B1 (ko) 애완동물 분실 방지를 위한 시스템
AU2017239570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identification, monitoring and control of animals
US20060125646A1 (en) Remote monitoring system
US20050134452A1 (en) Implantable tracking and monitoring system
CN108184810A (zh) 驱逐装置的控制系统
WO2002003856A3 (en) Self energized wireless mems devices
GB2428849A (en) Deterring a pet from crossing a threshold
JP3223721U (ja) 駆逐装置の制御システム
US7336173B1 (en) Owner aware objects
JP6471291B2 (ja) 動物用位置情報送信機
CN218547301U (zh) 一种户外电子报警装置
CN211910106U (zh) 一种基于物联网的宠物行为感知监测装置
US1035702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imal control
WO2024079467A1 (en) Ambient powered device and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CN114333263A (zh) 动物穿戴设备及找寻动物穿戴设备的方法
JP2018078833A (ja) 発信器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