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745B1 - Connector of steel piles - Google Patents

Connector of steel pi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2745B1
KR102392745B1 KR1020200116589A KR20200116589A KR102392745B1 KR 102392745 B1 KR102392745 B1 KR 102392745B1 KR 1020200116589 A KR1020200116589 A KR 1020200116589A KR 20200116589 A KR20200116589 A KR 20200116589A KR 102392745 B1 KR102392745 B1 KR 102392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teel pipe
coupling
pipe pil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5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34343A (en
Inventor
문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택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택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택한
Priority to KR1020200116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745B1/en
Publication of KR20220034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43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7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6Connection means between pile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관 파일의 회전 관입시 충분한 토크 저항 성능을 확보할 수 있고, 작업자 없이 회전관입장비의 부착이 가능하며, 상하부 연결구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일 규격으로 제작 가능한 강관 파일 연결구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강관 파일 연결구는 하부 강관 파일의 상단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제1연결구, 상부 강관 파일의 하단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제2연결구 및 상기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가 맞닿은 상태에서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의 외부에 결합되어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를 축 방향으로 결합하는 결합밴드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연결구는 하부 강관 파일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본체링; 및 상기 제1본체링의 외측 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1걸림링; 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연결구는 상부 강관 파일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본체링; 및 상기 제2본체링의 외측 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걸림링; 으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밴드는 원호 형상인 적어도 2 이상의 밴드유니트로 분할 구성되고, 각 밴드유니트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걸림링과 제2걸림링이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pipe pile connector that can secure sufficient torque resistance performance when rotating a steel pipe pile, can attach a rotating penetration device without an operator, and have the upper and lower connectors formed in the same shape and can be manufactured in a single standard.
The present invention steel pipe pile connector includes a ring-shaped first connector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steel pipe pile, a ring-shaped second connector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steel pipe pile, and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nector A first body ring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to be composed of a coupling band for coupling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in the axial direction, the first connector being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steel pipe pile; and a first locking ring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ring; Consisting of, the second connector is a second body ring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steel pipe pile; and a second locking ring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ring; It is composed of, and the coupling band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or more band units having an arc shape, and a locking groove portion is formed in which the first locking ring and the second locking ring are inserted and hook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band unit. .

Description

강관 파일 연결구{Connector of steel piles}Connector of steel piles

본 발명은 강관 파일의 회전 관입시 양방향 모두 충분한 토크 저항 성능을 확보할 수 있고, 회전관입장비의 탈착이 용이하며, 상하부 연결구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일 규격으로 제작 가능한 강관 파일 연결구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pipe pile connector that can secure sufficient torque resistance performance in both directions when a steel pipe pile is rotated, it is easy to detach the rotating penetration device, and the upper and lower connectors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and can be manufactured in a single standard.

헬리컬 파일은 선단으로부터 나선형 원판이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파일로, 지반에 회전 관입 후 교란된 지반을 그라우팅하여 하중 재하시 나선형 원판에서 발현되는 선단지지력과 시공 후 압축 또는 인발력 작용시 상하 나선형 원판 사이에 있는 원통 형상의 지반과 인접하는 주변 지반 사이에서 발현되는 주면마찰력으로 지지력을 발휘한다.A helical pile is a pile in which a spiral disk i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tip, and after rotational penetration into the ground, the disturbed ground is grouted. It exerts its bearing power by the frictional force on the main surface that is expressed between the cylindrical ground and the adjacent surrounding ground.

이러한 헬리컬 파일은 소음 및 진동이 적고 경제성과 시공성이 우수한 특징으로 인하여 리모델링 공사시 기초 보강 등에 많이 사용된다.These helical piles are often used for reinforcing foundations during remodeling construction due to their low noise and vibration, and excellent economic efficiency and constructability.

헬리컬 파일은 보통 백호 등 소규모 장비에 장착된 유압장치를 이용하여 지반 내에 회전 관입한다. 이에 파일 길이가 3m 이내로 제한되는 경우가 많으며, 관입 심도에 따라 다수의 헬리컬 파일을 연결하여 사용한다.Helical piles rotate and penetrate into the ground using hydraulic devices mounted on small-scale equipment such as backhoes. Accordingly, the length of the pile is often limited to less than 3m, and a number of helical piles are connected and used according to the depth of penetration.

종래에는 이러한 헬리컬 파일과 같은 강관 파일을 연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파일 연결구가 사용되었다.Conventionally, various pile connectors have been used to connect steel pipe piles such as helical piles.

일례로 핀홀이 가공된 연결강관을 강관 파일의 일측에 용접하여 연결하고, 일측 강관 파일의 단부를 핀홀이 가공된 타측 강관 파일의 단부에 삽입하여 핀을 체결하는 핀(pin) 타입 연결구가 있다.As an example, there is a pin-type connector for connecting a pinhole-processed connecting steel pipe to one side of a steel pipe pile by welding, and inserting the end of one steel pipe pile into the end of the other steel pipe pile with a pinhole-processed pin hole.

상기 핀 타입 연결구는 시공이 단순하고, 다른 방식에 비해 저렴하여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핀과 핀홀의 지름에 유격이 있어 회전 관입시 발생하는 토크에 대해 핀과 핀홀이 상호 저항하므로, 핀홀이 손상되는 등 구조적으로 취약한 단점이 있다. 또한, 핀에 의해서만 인장력에 저항하므로 인발 강도가 떨어지고, 연결부에서 파일을 관통하는 핀들의 간섭으로 인해 그라우팅을 위한 주입관 삽입이 불가능해 선단부 그라우팅을 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강관은 기성 강관을 절단하여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연결강관 내경과 강관 파일의 외경 사이에 유격이 있어 연결부에서 파일이 꺾이는 현상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The pin-type connector is widely used because of its simple construction and low cost compared to other methods. However, there is a gap between the diameters of the pin and the pinhole, and the pin and the pinhole mutually resist the torque generated during rotational penetration, so there is a structural weakness such as damage to the pinhole. In addition, since only the pin resists the tensile force, the pulling strength is lowered, and the insertion of the injection pipe for grouting is impossible due to the interference of the pins passing through the pile at the connection part, making it impossible to perform the tip grouting. 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ng steel pipe is mainly used by cutting a ready-made steel pipe, there is a gap between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necting steel pipe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steel pipe pile, so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pile is bent at the connecting part.

또한, 암나사산과 수나사산이 각각 가공된 연결강관을 강관 파일의 양측에 용접한 후 회전하여 나사 결합에 의해 체결하는 스레드(thread) 타입 연결구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thread-type connector in which a female and male threaded connection steel pipe is welded to both sides of a steel pipe pile and then rotated and screwed together.

그러나 스레드 타입 연결구는 나사산 가공 비용이 고가여서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관입장비와의 결합을 위해 파일 상단 연결구의 스레드를 이용하면, 장비 해체를 위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파일 자체가 같이 회전하면서 파일들 간 연결 부위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연결구의 외측에 토크를 전달할 수 있는 육각 너트 형태로 제작하여야 하므로 추가적인 비용 상승 요인이 발생한다. 동일한 이유로 영농형 태양광시설 등과 같이 지반 복원을 조건으로 하는 공사의 경우 파일을 역회전시켜 지반에서 뽑아내야 하는데, 스레드 타입은 위와 같은 이유로 파일 간 연결이 해제되어 버려 적용이 곤란하다. However, the thread-type connector has a problem in that the cost of thread processing is high, which increases the cost. In addition, if the thread of the top connector of the pile is used for coupling with the intrusion equipment, when the file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for dismantling the equipment,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piles can be released while the file itself rotates together. In order to prevent this, an additional cost increase factor occurs because it must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hexagon nut that can transmit torque to the outside of the connector. For the same reason, in the case of construction that is conditional on ground restoration, such as an agricultural solar power plant, the pile must be rotated in reverse and pulled out from the ground.

특히, 헬릭스 파일 상단에 회전관입장비를 결합할 때 3m 정도 고공에서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런데 종래 핀 타입이나 스레드 타입은 작업자가 직접 부착 및 해체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안전사고 우려가 있다.In particular, when attaching the rotary penetration device to the top of the helix pile, work must be done at an altitude of about 3m. However, the conventional pin type or thread type requires a worker to directly attach and disassemble, so the operation is cumbersome and there is a risk of a safety accident.

아울러 종래 하부 샤프트 파일의 상단 내주면에 ㄱ자형 걸림턱이 형성된 암커플링을 결합하고, 상부 샤프트 파일의 하부 외주면에 ㄴ자형의 수커플링을 형성하여 암커플링과 수커플링을 결합하는 헬리컬 파일용 샤프트 파일 연결구조가 있다(공개특허 제10-2019-0000532호).In addition, a helical pile that combines a female coupling having a L-shaped locking jaw on the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ventional lower shaft pile and forming a L-shaped male coupling on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shaft pile to combine the female coupling and the male coupling There is a shaft file connection structure for use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00532).

상기 종래 기술은 연결부에서 상하부 샤프트 파일의 전체 단면이 축하중에 저항하는 것이 아니라 수커플링 또는 ㄱ자형 걸림턱의 전단력에 의해서만 샤프트 파일 하중이 전달되므로, 연결부의 하중 저항 능력에 한계가 있다. 또한, 상부 샤프트 파일에 수커플링을 일체로 형성시 샤프트 파일 가공 비용이 증가하고, 이들을 용접에 의해 별도로 부착한다 하더라도 수커플링의 둘레만을 필렛 용접(fillet welding)하게 되므로 전단저항 성능에 한계가 있다. 나아가 용접비드의 간섭으로 인해 암커플링의 ㄱ자형 걸림턱에 제대로 밀착 지지되기 어렵다. In the prior art, since the shaft pile load is transmitted only by the shear force of a male coupling or a L-shaped locking jaw rather than the entire cross section of the upper and lower shaft piles resisting the axial load in the connection part, there is a limit to the load-resisting capacity of the connection part. In addition, when the male coupling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haft pile, the shaft pile processing cost increases, and even if they are attached separately by welding, only the circumference of the male coupling is fillet welded, so the shear resistance performance is limited. there is. Furthermore, due to the interference of the welding bead, it is difficult to be properly supported on the L-shaped locking jaw of the female coupling.

뿐만 아니라 걸림턱 부분의 전단강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주조방식으로 생산을 하는 경우, 암커플링과 수커플링의 형상이 달라 각각 개별 제작해야 하므로, 제작 비용이 상승하고 자재 관리가 번거롭다. 나아가 ㄱ자형 돌출부 또는 홈부가 형성되는 금속 제품은 금형 제작시 중자(core)가 필요하여 제작 비용이 고가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production using the casting method to solve the shear strength problem of the shackle part, the shape of the female coupling and the male coupling are different and must be individually manufactured, so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and material management is cumbersome. Furthermore, the metal product in which the L-shaped protrusion or groove is formed requires a core when manufacturing the mold, and thus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강관 파일의 회전 관입시 충분한 토크 저항 성능을 확보할 수 있고, 작업자의 도움 없이 회전관입장비의 탈착이 용이한 강관 파일 연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el pipe pile connector that can secure sufficient torque resistance performance during rotational penetration of a steel pipe pile, and can easily detach and detach rotational penetration equipment without an operator's help.

본 발명은 상하부 강관 파일에 각각 결합되는 연결구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일 규격으로 제작 가능한 강관 파일 연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el pipe pile connector that can be manufactured in a single standard by forming the connector resp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teel pipe piles in the same shape.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하부 강관 파일의 상단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제1연결구, 상부 강관 파일의 하단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제2연결구 및 상기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가 맞닿은 상태에서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의 외부에 결합되어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를 축 방향으로 결합하는 결합밴드로 구성되는 강관 파일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1연결구는 하부 강관 파일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본체링; 및 상기 제1본체링의 외측 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1걸림링; 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연결구는 상부 강관 파일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본체링; 및 상기 제2본체링의 외측 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걸림링; 으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밴드는 원호 형상인 적어도 2 이상의 밴드유니트로 분할 구성되고, 각 밴드유니트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걸림링과 제2걸림링이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연결구의 제1본체링 하단 외측 및 제2연결구의 제2본체링 상단 외측에는 강관 파일 단부와의 사이에 용접살이 채워지기 위한 경사진 용접홈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구의 제1본체링 하단면 및 제2연결구의 제2본체링 상단면에는 강관 파일의 단부를 본체링의 단부와 이격시키는 복수의 이격돌부가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파일 연결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is a ring-shaped first connector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steel pipe pile, a ring-shaped second connector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steel pipe pile, and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in abutting state It relates to a steel pipe pile connector comprising a coupling band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to couple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in the axial direction, wherein the first connector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steel pipe pile a first body ring; and a first locking ring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ring; Consisting of, the second connector is a second body ring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steel pipe pile; and a second locking ring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ring; Consisting of, the coupling band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or more band units having an arc shape, and a locking groove portion is formed in which the first locking ring and the second locking ring are inserted and hook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band unit, the first On the outer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first body ring of the connector and the upper outer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main ring of the second connector, an inclined weld groove surface for filling the weld meat between the end of the steel pipe pile is formed, respectively, and the first body ring of the first connector It provides a steel pipe pi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paced protrusions for separating the end of the steel pipe pile from the end of the body ring are respectively protruded from the lower surface and the second body ring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or.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1연결구의 제1본체링 상단면에는 제1결합돌부와 제1결합홈부가 톱니 형상으로 번갈아 배치되고, 상기 제2연결구의 제2본체링 하단면에는 상기 제1결합홈부에 끼워지는 제2결합돌부와 상기 제1결합돌부가 끼워지는 제2결합홈부가 톱니 형상으로 번갈아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파일 연결구를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and the first coupling groove are alternately arranged in a sawtooth shape on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body ring of the first connector, an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ring of the second connector It provides a steel pipe pi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fitted to the first coupling groove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first coupling projection is fitted are alternately arranged in a sawtooth shape.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1결합돌부와 제2결합돌부 및 제1결합홈부와 제2결합홈부는 각각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부는 결합홈부와 형상이 동일하게 대칭으로 형성되어 제1결합돌부와 제2결합돌부의 측면이 서로 밀착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파일 연결구를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and the first coupling recess and the second coupling recess are each formed in the same shape as each other, and the coupling protrusion is symmetrical in shape to the coupling recess. It provides a steel pipe pi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are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제1연결구의 제1본체링 하단 내측 및 제2연결구의 제2본체링 상단 내측에는 강관 파일의 내부에 삽입되는 가이드링이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파일 연결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ring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steel pipe pile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first body ring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upper inner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ody ring of the second connector. Steel pipe pile connectors are provided.

삭제delete

삭제delete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밴드유니트의 단부에는 결합플레이트가 구비되어 이웃하는 밴드유니트의 결합플레이트와 볼트 및 너트로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파일 연결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provides a steel pipe pi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a coupling plate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band unit and coupled to the coupling plate of the neighboring band unit with bolts and nuts.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결합플레이트와 밴드유니트의 사이에는 한 쌍의 보강 리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파일 연결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provides a steel pipe pi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reinforcing ribs are provided between the coupling plate and the band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상하부 강관 파일에 각각 결합되는 제1, 2연결구를 서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제1, 2연결구의 본체링 외측에 돌출 형성된 걸림링이 제1, 2연결구의 접합부를 감싸는 결합밴드의 밴드유니트 내주면의 걸림홈부에 걸려 상하부 강관 파일을 쉽게 연결할 수 있는 강관 파일 연결구를 제공할 수 있다. First,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teel pipe pile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engaging ring protruding outside the body ring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surrounds the jun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as a band unit of a coupling b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eel pipe pile connector through which the upper and lower steel pipe piles can be easily connected by being caught in the engaging groov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둘째, 제1, 2연결구를 결합돌부와 결합홈부가 상호 대응되도록 톱니 형상으로 형성하여 결합홈부에 결합돌부가 삽입되어 제1, 2연결구가 서로 밀착되는 경우, 강관 파일의 회전 관입시 결합돌부 간 측면 지압과 결합돌부와 본체링 사이 전단력에 의해 충분한 토크 저항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Second, wh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are formed in a sawtooth shape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s and the coupling grooves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ar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s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etween the coupling protrusions when the steel pipe pile enters the rotation. Sufficient torque resistance performance can be secured by side pressure and shear force between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body ring.

셋째, 제1, 2연결구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 가능하므로, 단일 규격으로 제작 가능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자재 관리가 용이하다.Third, since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can be formed in the same shape, they can be manufactured in a single standard, thereby reducing costs and facilitating material management.

넷째, 장비 하부에 제2연결구를 부착하는 경우, 작업자 없이도 최상단 강관 파일 상단의 제1연결구에 장비의 제2연결구를 단순 끼움 결합할 수 있다. Fourth, when attaching the second connector to the lower part of the equipment, it is possible to simply fit the second connector of the equipment to the first connector on the top of the uppermost steel pipe pile without an operator.

도 1은 본 발명 강관 파일 연결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강관 파일 연결구에 의해 연결된 상하부 강관 파일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회전 근입 장비와 최상단 강관 파일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연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연결구와 강관 파일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연결구와 강관 파일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steel pipe pile connector.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and lower steel pipe piles connected by the present invention steel pipe pile connector.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first connector and a second connector;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rotary retraction equipment and the uppermost steel pipe pile.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connector;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connector and a steel pipe pile.
7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connector and a steel pipe pile.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 강관 파일 연결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강관 파일 연결구에 의해 연결된 상하부 강관 파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steel pipe pile connector,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and lower steel pipe pile connected by the present invention steel pipe pile connector.

도 1,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강관 파일 연결구는 하부 강관 파일(1a)의 상단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제1연결구(21a), 상부 강관 파일(1b)의 하단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제2연결구(21b) 및 상기 제1연결구(21a)와 제2연결구(21b)가 맞닿은 상태에서 제1연결구(21a)와 제2연결구(21b)의 외부에 결합되어 제1연결구(21a)와 제2연결구(21b)를 축 방향으로 결합하는 결합밴드(22)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연결구(21a)는 하부 강관 파일(1a)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본체링(211a); 및 상기 제1본체링(211a)의 외측 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1걸림링(212a); 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연결구(21b)는 상부 강관 파일(1b)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본체링(211b); 및 상기 제2본체링(211b)의 외측 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걸림링(212b); 으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밴드(22)는 원호 형상인 적어도 2 이상의 밴드유니트(220)로 분할 구성되고, 각 밴드유니트(220)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걸림링(212a)과 제2걸림링(212b)이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부(2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and 2, the present invention steel pipe pile connector is a ring-shaped first connector 21a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steel pipe pile 1a, a ring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steel pipe pile 1b The shape of the second connector 21b and the first connector 21a and the second connector 21b ar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connector 21a and the second connector 21b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nector 21a ) and a coupling band 22 for coupling the second connector 21b in the axial direction, wherein the first connector 21a is a first body ring 211a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steel pipe pile 1a. ; and a first locking ring 212a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ring 211a; Consists of, the second connector (21b) is a second body ring (211b)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steel pipe pile (1b); and a second locking ring (212b)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ring (211b); The coupling band 22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or more band units 220 having an arc shape,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each band unit 220 has the first locking ring 212a and the second locking ring ( 212b) is inser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groove portion 221 is formed.

본 발명은 강관 파일의 회전 관입시 충분한 토크 저항 성능을 확보할 수 있고, 작업자 없이 회전관입장비의 부착이 가능하며, 상하부 연결구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일 규격으로 제작 가능한 강관 파일 연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el pipe pile connector that can secure sufficient torque resistance performance when rotating a steel pipe pile, can attach rotating penetration equipment without an operator, and that the upper and lower connectors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and can be manufactured in a single standard will be.

본 발명 강관 파일 연결구는 헬리컬 파일 뿐 아니라 회전 근입되는 다른 종류의 강관 파일에도 적용 가능하다.The steel pipe pil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not only to helical piles but also to other types of steel pipe piles that are rotatably inserted.

상기 강관 파일 연결구(2)는 하부 강관 파일(1a)에 결합되는 제1연결구(21a), 상부 강관 파일(1b)에 결합되는 제2연결구(21b) 및 제1, 2연결구(21a, 21b)의 외부에 결합되는 결합밴드(22)로 구성된다.The steel pipe pile connector 2 is a first connector 21a coupled to the lower steel pipe pile 1a, a second connector 21b coupled to the upper steel pipe pile 1b, and first and second connectors 21a, 21b) It is composed of a coupling band 22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상기 제1연결구(21a)와 제2연결구(21b)는 각각 용접에 의해 하부 강관 파일(1a)과 상부 강관 파일(1b)에 고정 가능하다. The first connector 21a and the second connector 21b can be fixed to the lower steel pipe pile 1a and the upper steel pipe pile 1b by welding, respectively.

상기 제1연결구(21a)와 제2연결구(21b)가 결합밴드(22)에 의해 상호 고정되어 상하부 강관 파일(1a, 1b)이 연결된다.The first connector 21a and the second connector 21b are fixed to each other by a coupling band 22 so that the upper and lower steel pipe piles 1a and 1b are connected.

상기 강관 파일(1a, 1b)은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 부재로 구성 가능하다.The steel pipe piles 1a and 1b may be configured as a hollow cylindrical member.

상기 제1연결구(21a)와 제2연결구(21b)는 상하가 개방된 링 형상으로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first connector 21a and the second connector 21b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a ring shape with an open top and bottom.

상기 제1연결구(21a)는 하부 강관 파일(1a)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본체링(211a)의 외주면에 제1걸림링(212a)이 돌출 형성된다. The first connector 21a has a first locking ring 212a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ody ring 211a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steel pipe pile 1a.

상기 제2연결구(21b)는 제1연결구(21a)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제2연결구(21b)는 상부 강관 파일(1b)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본체링(211b)의 외주면에 제2걸림링(212b)이 돌출 형성된다. The second connector 21b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connector 21a. That is, in the second connector 21b, a second locking ring 212b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ring 211b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steel pipe pile 1b.

상기 제1연결구(21a)와 제2연결구(21b)가 서로 맞닿아 밀착된 상태에서 제1연결구(21a)와 제2연결구(21b)의 접합부를 측방에서 감싸 고정하도록 결합밴드(22)는 적어도 2 이상의 밴드유니트(220)로 분할 구성된다.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nector 21a and the second connector 21b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oupling band 22 is at least wrapped around the junction of the first connector 21a and the second connector 21b from the side to fix it. It is divided into two or more band units 220 .

각 밴드유니트(220)는 호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웃하는 밴드유니트(220)는 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제1연결구(21a)와 제2연결구(21b)의 접합부를 고정한다.Each band unit 220 is configured in an arc shape, and adjacent band units 220 connect the ends to each other to fix the junction of the first connector 21a and the second connector 21b.

상기 밴드유니트(220)는 내주면에 제1연결구(21a)의 제1걸림링(212a)과 제2연결구(21b)의 제2걸림링(212b)이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부(221)가 형성되어 대략 C형 단면을 이루는 것으로, 상하부 강관 파일(1a, 1b)을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The band unit 220 has a locking groove portion 221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which the first locking ring 212a of the first connector 21a and the second locking ring 212b of the second connector 21b are inserted. By forming an approximately C-shaped cross section, the upper and lower steel pipe piles 1a and 1b can be easily connected.

본 발명에서는 상하로 이웃하는 제1연결구(21a)와 제2연결구(21b)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단일 금형으로 연결구(21a, 21b)를 제작할 수 있고, 자재 관리가 용이하며, 강관 파일(1a, 1b)의 단부에 부착시 암수 구분없이 사용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21a and 21b adjacent to each other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connectors (21a, 21b) with a single mold, and it is easy to manage materials, and when attached to the ends of the steel pipe piles (1a, 1b), it can be used regardless of gender.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드유니트(220)의 단부에는 결합플레이트(222)가 구비되어 이웃하는 밴드유니트(220)의 결합플레이트(222)와 볼트(B) 및 너트(N)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1, etc., the end of the band unit 22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late 222, the coupling plate 222 and the bolt (B) and the nut (N) of the neighboring band unit 220 are mutually can be combined.

상기 밴드유니트(220)의 단부에는 밴드유니트(220)의 단부 외측으로 수직 절곡된 결합플레이트(222)가 구비될 수 있다.An end portion of the band unit 220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plate 222 vertically bent to the outside of the end of the band unit 220 .

이에 따라 상기 결합플레이트(222)를 인접하는 밴드유니트(220)의 결합플레이트(222)와 밀착시킨 상태에서 볼트(B) 및 너트(N)를 체결하여 인접하는 밴드유니트(220)를 상호 결합할 수 있다.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plate 22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upling plate 222 of the adjacent band unit 220, the bolt (B) and the nut (N) are fastened to couple the adjacent band units 220 to each other. can

상기 결합밴드(22)는 2 이상의 밴드유니트(220)로 분할 구성되므로, 파일에 인장력이 작용하면 밴드유니트(220) 내부의 걸림링(212a, 212b)에 의해 지레 반력(prying action)이 작용하여 밴드유니트(220) 단부의 상부 및 하부가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플레이트(222)는 밴드유니트(220)와 수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단부를 보강하므로, 밴드유니트(220) 단부의 상부 및 하부가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coupling band 22 is divided into two or more band units 220, when a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pile, a lever reaction force (prying action) is applied by the locking rings 212a and 212b inside the band unit 220. A phenomenon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nd of the band unit 220 are widened may occur. At this time, since the coupling plate 222 is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band unit 220 to reinforce the e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and unit 220 are widened.

도 1, 도 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플레이트(222)와 밴드유니트(220)의 사이에는 한 쌍의 보강 리브(223)가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7 , a pair of reinforcing ribs 223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oupling plate 222 and the band unit 220 .

인접하는 결합플레이트(222)를 볼트(B) 및 너트(N)로 상호 고정시 결합플레이트(222)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플레이트(222)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보강 리브(223)가 구비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coupling plate 222 when the adjacent coupling plate 222 is mutually fixed with the bolt (B) and the nut (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oupling plate 222 have reinforcing ribs 223, respectively. can be provided.

이때, 일측에서 볼트(B)의 회전만으로 너트(N)와 체결 가능하도록 한 쌍의 보강 리브(223)는 너트(N)에 밀착되어 너트(N)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pair of reinforcing ribs 223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nut N so as to be fastened to the nut N only by rotation of the bolt B from one side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nut N.

도 3은 제1연결구와 제2연결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회전 근입 장비와 최상단 강관 파일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rotary retraction equipment and the uppermost steel pipe pile.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구(21a)의 제1본체링(211a) 상단면에는 제1결합돌부(213a)와 제1결합홈부(214a)가 톱니 형상으로 번갈아 배치되고, 상기 제2연결구(21b)의 제2본체링(211b) 하단면에는 상기 제1결합홈부(214a)에 끼워지는 제2결합돌부(213b)와 상기 제1결합돌부(213a)가 끼워지는 제2결합홈부(214b)가 톱니 형상으로 번갈아 배치될 수 있다. 3 and 4,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ring 211a of the first connector 21a, a first coupling protrusion 213a and a first coupling groove 214a are alternately arranged in a sawtooth shape.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213b fit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214a and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213a are fit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ring 211b of the second connector 21b. The second coupling groove portions 214b may be alternately arranged in a sawtooth shape.

상기 강관 파일(1a, 1b)의 회전 관입시 장비(3)의 토크를 전달하기 위해, 제1본체링(211a)의 상단과 제2본체링(211b)의 하단을 톱니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In order to transmit the torque of the equipment 3 during rotation of the steel pipe piles 1a and 1b, the upper end of the first body ring 211a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body ring 211b may be formed in a sawtooth shape. .

즉, 상기 제1연결구(21a)의 제1본체링(211a) 상단면에는 복수의 제1결합돌부(213a)를 상호 이격되게 돌출 형성되고, 이웃하는 제1결합돌부(213a)의 사이에 제1결합홈부(214a)를 형성할 수 있다. That is,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protrusions 213a are formed to protrude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ring 211a of the first connector 21a, and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s 213a are disposed between the adjacent first coupling protrusions 213a. One coupling groove 214a may be formed.

상기 제2연결구(21b) 역시 제1연결구(21a)와 동일하게 제2결합돌부(213b)와 제2결합홈부(214b)가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or 21b may also have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213b and a second coupling groove 214b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connector 21a.

상기 제1결합돌부(213a)와 제2결합돌부(213b)는 각각 제2결합홈부(214b)와 제1결합홈부(214a)에 삽입된다.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213a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213b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recess 214b and the first coupling recess 214a.

상기 결합돌부(213a, 213b)는 단부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하여, 결합돌부(213a, 213b)가 결합홈부(214a, 214b)에 쉽게 삽입되게 할 수 있다.The coupling protrusions 213a and 213b are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to taper toward the ends,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s 213a and 213b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s 214a and 214b.

즉, 상기 제1연결구(21a)의 제1결합돌부(213a)는 상단이 하단보다 폭이 좁고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하고, 제1결합홈부(214a)는 상단이 하단보다 폭이 넓고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213a of the first connector 21a has an upper end that is narrower than the lower end and has an inclined side surface, and the first coupling groove portion 214a has an upper end wider than the lower end and has an inclined side surface. can do.

상기 제2연결구(21b) 역시 제2결합돌부(213b)는 하단이 상단보다 좁고, 제2결합홈부(214b)는 하단이 상단보다 폭이 넓게 형성할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or 21b may also be formed such th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213b is narrower than the upper end,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portion 214b has the lower end wider than the upper end.

이에 따라 상기 제1연결구(21a)와 제2연결구(21b)의 결합이 매우 용이하다.Accordingly,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nnector 21a and the second connector 21b is very easy.

상기 제1연결구(21a)와 제2연결구(21b)간 토크는 제1결합돌부(213a)와 제2결합돌부(213b)의 측면 지압에 의해 전달된다.The torque between the first connector 21a and the second connector 21b is transmitted by the side pressure of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213a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213b.

상기 결합돌부(213a, 213b)에 전달되는 토크는 결합돌부(213a, 213b)와 본체링(211a, 211b) 사이 단면의 전단력에 의해 전달된다.The torque transmitted to the coupling protrusions 213a and 213b is transmitted by the shear force of the cross section between the coupling protrusions 213a and 213b and the body rings 211a and 211b.

상하부 강관 파일(1a, 1b)의 접합부에서 강관 파일(1a, 1b) 모재의 토크 저항 이상으로 토크 저항성이 발휘될 수 있도록 결합돌부(213a, 213b)와 본체링(211a, 211b) 사이 단면적의 합은 강관 파일(1a, 1b)의 단면적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m of the cross-sectional areas between the coupling protrusions 213a, 213b and the body rings 211a, 211b so that torque resistance can be exhibited more than the torque resistance of the base material of the steel pipe piles 1a, 1b at the junction of the upper and lower steel pipe piles 1a, 1b It is preferable to make it more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teel pipe piles 1a and 1b.

상기 제1결합돌부(213a)와 제2결합돌부(213b)는 측면이 서로 밀착되어 토크를 전달하므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연결구(21a, 21b)의 풀림 없이 안정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Since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213a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213b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transmit torque, the rotational force can be stably transmitted without loosening of the connectors 21a and 21b regardless of rotation in either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here is.

또한, 상기 제1연결구(21a)의 제1결합홈부(214a)에 제2연결구(21b)의 제2결합돌부(213b)만 끼워지면 결합밴드(22)를 연결하지 않고도 토크 전달이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only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213b of the second coupling member 21b is fit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214a of the first coupling member 21a, torque transmission is possible without connecting the coupling band 22.

그러므로 최상단의 강관 파일(1) 상단에 장비(3)를 결합하여 회전시, 장비(3)의 하부에 제2연결구(21b)를 부착함으로써 작업자 없이도 최상단 강관 파일(1) 상단의 제1연결구(21a)에 장비(3)의 제2연결구(21b)를 단순 끼움 결합함으로써 회전 근입할 수 있다(도 4).Therefore, when the equipment (3)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most steel pipe pile (1) and rotated, the second connector (21b) is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equipment (3), so that even without an operator, the first connector ( By simply fitting the second connector 21b of the equipment 3 to 21a), rotation can be performed (FIG. 4).

아울러 상기 연결구(21a, 21b)의 결합돌부(213a, 213b)와 결합홈부(214a, 214b)는 단순히 번갈아 형성되고, 연결구(21a, 21b)에 전체적으로 꺾인 구성이 없다. 그러므로 연결구(21a, 21b)의 금형 제작시 중자가 필요 없어 제작 비용이 절감된다.In addition, the coupling protrusions (213a, 213b) and coupling grooves (214a, 214b) of the connectors (21a, 21b) are simply alternately formed, and there is no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nnectors (21a, 21b) are bent as a whole. Therefore, there is no need for a core during the manufacturing of the mold of the connector (21a, 21b),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이때, 상기 결합돌부(213a, 213b)의 두께는 본체링(211a, 211b)과 걸림링(212a, 212b)의 전체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 즉 결합돌부(213a, 213b)의 외주면이 걸림링(212a, 212b)의 외주면과 일치하도록 형성하여 밴드유니트(220)의 중앙부를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파일에 인장력 작용 시 지레 반력에 의해 밴드유니트(220)의 상하부가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thickness of the coupling protrusions (213a, 213b)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total thickness of the body rings (211a, 211b) and the locking rings (212a, 212b), that i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s (213a, 213b) is the locking ring ( 212a, 212b) is formed to coincide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nd unit 220 to support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nd unit 220, it is prefera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and unit 220 open up by the lever reaction force when the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pile.

도 5는 연결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connector;

도 3,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돌부(213a)와 제2결합돌부(213b) 및 제1결합홈부(214a)와 제2결합홈부(214b)는 각각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부(213a, 213b)는 결합홈부(214a, 214b)와 형상이 동일하게 대칭으로 형성되어 제1결합돌부(213a)와 제2결합돌부(213b)의 측면이 서로 밀착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3 and 5,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213a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213b and the first coupling groove 214a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214b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same shape.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213a and 213b are formed symmetrically in the same shape as the coupling grooves 214a and 214b so that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213a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213b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can be

상기 제1연결구(21a)와 제2연결구(21b)를 완전히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면서도 결합홈부(214a, 214b) 내에 결합돌부(213a, 213b)가 완전히 삽입되어 제1연결구(21a)와 제2연결구(21b) 결합시 빈틈이 없도록 구성하기 위해, 제1결합돌부(213a)와 제2결합돌부(213b)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고 동시에 결합홈부(214a, 214b)와 결합돌부(213a, 213b)는 상호 대칭되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While forming the first connector 21a and the second connector 21b in the same shape, the engaging protrusions 213a and 213b are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s 214a and 214b, so that the first connector 21a and the second connector 21a are completely inserted. (21b) In order to configure so that there is no gap during the coupling,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213a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213b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and at the same time the coupling groove portions 214a, 214b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213a, 213b are It can be formed in the same shape symmetrical to each other.

이를 위해 각 결합돌부(213a, 213b)의 상부 모서리 및 하부 모서리는 본체링(211a, 211b)의 중심(O)을 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도 5).To this end, the upper and lower corners of each of the coupling protrusions 213a and 213b may be formed to face the center O of the body rings 211a and 211b (FIG. 5).

이때, 상기 결합돌부(213a, 213b)는 단부가 좁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므로, 상부 모서리와 단부 모서리는 서로 평행하지 않다. 이에 따라 결합돌부(213a, 213b)의 측면은 비평면을 이룬다.At this time, since the coupling protrusions 213a and 213b are tapered to have a narrow end, the upper edge and the end edge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Accordingly, the side surfaces of the coupling protrusions 213a and 213b are non-planar.

상기 제1결합돌부(213a)와 제2결합돌부(213b)는 완전 밀착되므로, 회전 관입시 회전력은 물론 압축력 또한 안정적이고 확실하게 전달 가능하다.Since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213a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213b are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stably and reliably transmit the compression force as well as the rotational force when the rotation penetrates.

상기 제1연결구(21a)와 제2연결구(21b)는 완전 동일한 형상을 이루므로, 단일 금형으로 제1연결구(21a)와 제2연결구(21b)를 제작할 수 있다.Since the first connector 21a and the second connector 21b have the exact same shape, the first connector 21a and the second connector 21b can be manufactured with a single mold.

도 6은 연결구와 강관 파일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7은 연결구와 강관 파일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 사시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connector and a steel pipe pile,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connector and a steel pipe pile.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구(21a)의 제1본체링(211a) 하단 내측 및 제2연결구(21b)의 제2본체링(211b) 상단 내측에는 강관 파일(1a, 1b)의 내부에 삽입되는 가이드링(215)이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6 and 7, the inner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first body ring 211a of the first connector 21a and the upper inner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ody ring 211b of the second connector 21b have a steel pipe pile 1a , 1b)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ring 215 may be formed to protrude, respectively.

상기 강관 파일(1a, 1b)의 단부에 연결구(21a, 21b) 결합시, 이들 부재를 상호 용접하기 전까지 연결구(21a, 21b)의 위치를 가고정할 수 있도록 본체링(211a, 211b)의 단부 내측에 가이드링(215)을 돌출 형성할 수 있다.When the connector 21a, 21b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steel pipe pile 1a, 1b, the position of the connector 21a, 21b can be temporarily fixed until these members are welded to each other. A guide ring 215 may be formed to protrude.

상기 가이드링(215)은 강관 파일(1a, 1b)의 내부에 삽입되어 강관 파일(1a, 1b)의 내측 벽면에 걸리므로, 연결구(21a, 21b)가 측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위치를 가고정한다.Since the guide ring 215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steel pipe piles 1a and 1b and caught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steel pipe piles 1a, 1b, the positions of the connectors 21a and 21b are temporarily fixed so as not to be separated laterally.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구(21a)의 제1본체링(211a) 하단 외측 및 제2연결구(21b)의 제2본체링(211b) 상단 외측에는 강관 파일(1a, 1b) 단부와의 사이에 용접살(W)이 채워지기 위한 경사진 용접홈면(216)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6 and 7, the first body ring 211a of the first connector 21a and the second body ring 211b of the second connector 21b are outside the upper end of the steel pipe pile 1a. , 1b) an inclined welding groove surface 216 for filling the welding ribs (W) between the ends may be formed, respectively.

상기 제1연결구(21a)와 제2연결구(21b)를 강관 파일(1a, 1b)에 결합할 때, 필렛 용접이 아닌 용입 용적을 통해 강관 파일(1a, 1b)과 견고하게 일체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본체링(211a)의 하단 외측과 제2본체링(211b)의 상단 외측에 각각 경사진 용접홈면(216)을 형성할 수 있다.When the first connector 21a and the second connector 21b are coupled to the steel pipe piles 1a and 1b, they can be firmly integrated with the steel pipe piles 1a and 1b through the penetration volume rather than fillet welding. To this end, an inclined welding groove surface 216 may b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first body ring 211a and the upper outer side of the second body ring 211b, respectively.

이에 따라 상기 용접홈면(216)과 강관 파일(1a, 1b)의 단부 사이에 용접홈(groove)이 형성되어 용접살(W)이 채워질 수 있다.Accordingly, a welding groove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welding groove surface 216 and the ends of the steel pipe piles (1a, 1b) can be filled with the welding flesh (W).

상기 제1본체링(211a)과 제2본체링(211b)은 단면 전체를 경사진 용접홈면(216)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강관 파일(1a, 1b)에 연결구(21a, 21b)를 안착하여 수직도를 맞추기 위해, 제1본체링(211a)의 하단 내측 및 제2본체링(211b)의 상단 내측은 평탄면(217)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body ring 211a and the second body ring 211b may have an entire cross-section of an inclined welding groove surface 216 . However, in order to seat the connectors 21a and 21b on the steel pipe piles 1a and 1b to align the verticality, the inner bottom of the first body ring 211a and the top inside of the second body ring 211b are flat surfaces 217 ) is preferably formed.

도 3,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구(21a)의 제1본체링(211a) 하단면 및 제2연결구(21b)의 제2본체링(211b) 상단면에는 강관 파일(1a, 1b)의 단부를 본체링(211a, 211b)의 단부와 이격시키는 복수의 이격돌부(218)가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 6, and 7,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ody ring 211a of the first connector 21a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ring 211b of the second connector 21b have a steel pipe A plurality of spacing protrusions 218 for spacing the ends of the piles 1a and 1b from the ends of the body rings 211a and 211b may be formed to protrude, respectively.

회전 관입되는 강관 파일(1a, 1b)의 토크 성능은 주로 연결구(21a, 21b)와 강관 파일(1a, 1b) 사이 용접에 의해 좌우된다.The torque performance of the rotating penetrating steel pipe piles 1a, 1b mainly depends on the welding between the connectors 21a, 21b and the steel pipe piles 1a, 1b.

따라서 강관 파일(1a, 1b)과 연결구(21a, 21b)의 접합시 충분한 양의 용접살(W)이 용입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용접홈면(216)의 크기가 크고 평탄면(217)의 폭이 좁은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본체링(211a, 211b)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링(215)이 강관 파일(1a, 1b)의 내부에 삽입되어 연결구(21a, 21b)의 위치를 가고정하더라도 가이드링(215)의 외주면과 강관 파일(1a, 1b)의 내주면 사이에는 조립 공차를 고려하여 유격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평탄면(217)의 폭이 좁아지면 연결구(21a, 21b)와 강관 파일(1a, 1b)의 유격으로 인한 축심 오차가 조금이라도 발생시, 연결구(21a, 21b)가 강관 파일(1a, 1b)의 단부에 제대로 안착되지 않아 수직도 맞추기가 어려울 수 있다.Therefore, a sufficient amount of welding flesh (W) must be penetrated when joining the steel pipe piles (1a, 1b) and the connectors (21a, 21b). To this end, the size of the weld groove surface 216 is large and the width of the flat surface 217 is Narrow is advantageous. However, even if the guide ring 215 protruding from the body ring 211a, 211b is inserted into the steel pipe pile 1a, 1b to temporarily fix the position of the connector 21a, 21b,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ring 215 and the steel pipe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piles 1a and 1b, there is inevitably a gap in consideration of the assembly tolerance. Accordingly, when the width of the flat surface 217 is narrowed, when there is even a slight axial center error due to the gap between the connectors 21a and 21b and the steel pipe piles 1a and 1b, the connectors 21a and 21b are connected to the steel pipe piles 1a, 1b. ), it may not be properly seated at the end, so it may be difficult to align it vertically.

따라서 상기 강관 파일(1a, 1b)의 단부에 연결구(21a, 21b)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평탄면(217)의 폭보다 폭이 큰 이격돌부(218)를 본체링(211a, 211b)의 단부에 돌출 형성할 수 있다.Therefore, the separation protrusion 218 having a width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flat surface 217 is installed at the ends of the steel pipe piles 1a and 1b so that the connectors 21a and 21b can be stably seated in the body rings 211a and 211b. It can be formed to protrude at the end.

이에 따라 충분한 면적의 용접홈면(216)을 형성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welding groove surface 216 having a sufficient area can be formed.

뿐만 아니라 이격돌부(218)에 의해 강관 파일(1a, 1b)과 본체링(211a, 211b) 사이가 이격되어 용접부 후면 측에 충분한 루트 갭(root gap)이 형성되므로, 용융액이 잘 침투할 수 있어 용입 부족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충분한 토크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sufficient root gap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welded part by spacing between the steel pipe piles 1a and 1b and the body rings 211a and 211b by the spacing protrusion 218, the molten solution can penetrate well. Insufficient penetration phenomenon can be prevented. Therefore, sufficient torque performance can be exhibited.

상기 강관 파일(1a, 1b)의 단부에 연결구(21a, 21b)가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이격돌부(218)는 적어도 3개 이상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three spaced protrusions 218 are formed at the ends of the steel pipe piles 1a and 1b so that the connectors 21a and 21b are stably mounted.

1: 최상단 강관 파일 1a: 하부 강관 파일
1b: 상부 강관 파일 2: 강관 파일 연결구
21a: 제1연결구 21b: 제2연결구
211a: 제1본체링 211b: 제2본체링
212a: 제1걸림링 212b: 제2걸림링
213a: 제1결합돌부 213b: 제2결합돌부
214a: 제1결합홈부 214b: 제2결합홈부
215: 가이드링 216: 용접홈면
217: 평탄면 218: 이격돌부
22: 결합밴드 220: 밴드유니트
221: 걸림홈부 222: 결합플레이트
223: 보강 리브 3: 장비
B: 볼트 N: 너트
W: 용접살
1: Top steel pipe pile 1a: Bottom steel pipe pile
1b: upper steel pipe pile 2: steel pipe pile connector
21a: first connector 21b: second connector
211a: first body ring 211b: second body ring
212a: first locking ring 212b: second locking ring
213a: first coupling protrusion 213b: second coupling protrusion
214a: first coupling groove 214b: second coupling groove
215: guide ring 216: weld groove surface
217: flat surface 218: spaced protrusion
22: combined band 220: band unit
221: engaging groove 222: coupling plate
223: reinforcement rib 3: equipment
B: Bolt N: Nut
W: Weld

Claims (8)

하부 강관 파일(1a)의 상단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제1연결구(21a), 상부 강관 파일(1b)의 하단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제2연결구(21b) 및 상기 제1연결구(21a)와 제2연결구(21b)가 맞닿은 상태에서 제1연결구(21a)와 제2연결구(21b)의 외부에 결합되어 제1연결구(21a)와 제2연결구(21b)를 축 방향으로 결합하는 결합밴드(22)로 구성되는 강관 파일 연결구(2)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1연결구(21a)는 하부 강관 파일(1a)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본체링(211a); 및 상기 제1본체링(211a)의 외측 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1걸림링(212a); 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연결구(21b)는 상부 강관 파일(1b)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본체링(211b); 및 상기 제2본체링(211b)의 외측 면에 돌출 형성되는 제2걸림링(212b); 으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밴드(22)는 원호 형상인 적어도 2 이상의 밴드유니트(220)로 분할 구성되고, 각 밴드유니트(220)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걸림링(212a)과 제2걸림링(212b)이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부(221)가 형성되되,
상기 제1연결구(21a)의 제1본체링(211a) 하단 외측 및 제2연결구(21b)의 제2본체링(211b) 상단 외측에는 강관 파일(1a, 1b) 단부와의 사이에 용접살(W)이 채워지기 위한 경사진 용접홈면(216)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구(21a)의 제1본체링(211a) 하단면 및 제2연결구(21b)의 제2본체링(211b) 상단면에는 강관 파일(1a, 1b)의 단부를 본체링(211a, 211b)의 단부와 이격시키는 복수의 이격돌부(218)가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파일 연결구.
A ring-shaped first connector 21a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steel pipe pile 1a, a ring-shaped second connector 21b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steel pipe pile 1b, and the first connector 21a and A coupling band that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connector 21a and the second connector 21b in a state where the second connector 21b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nector 21a and the second connector 21b in the axial direction ( It relates to a steel pipe pile connector (2) consisting of 22),
The first connector (21a) is a first body ring (211a)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steel pipe pile (1a); and a first locking ring 212a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ring 211a; is composed of
The second connector (21b) is a second body ring (211b)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steel pipe pile (1b); and a second locking ring (212b)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ring (211b); is composed of
The coupling band 22 is divided into at least two or more band units 220 having an arc shape, and the first locking ring 212a and the second locking ring 212b are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band unit 220 . A locking groove 221 is formed to be caught,
On the outer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first body ring (211a) of the first connector (21a) and the upper outer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ody ring (211b) of the second connector (21b), there is a weld between the ends of the steel pipe piles (1a, 1b) ( W) inclined welding groove surfaces 216 for filling are formed, respectively,
The ends of the steel pipe piles 1a and 1b are attached to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first body ring 211a of the first connector 21a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ring 211b of the second connector 21b, the body ring 211a, A steel pipe pi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paced protrusions 218 to be spaced apart from the end of 211b) are respectively formed to protrude.
제1항에서,
상기 제1연결구(21a)의 제1본체링(211a) 상단면에는 제1결합돌부(213a)와 제1결합홈부(214a)가 톱니 형상으로 번갈아 배치되고,
상기 제2연결구(21b)의 제2본체링(211b) 하단면에는 상기 제1결합홈부(214a)에 끼워지는 제2결합돌부(213b)와 상기 제1결합돌부(213a)가 끼워지는 제2결합홈부(214b)가 톱니 형상으로 번갈아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파일 연결구.
In claim 1,
A first coupling protrusion 213a and a first coupling groove 214a are alternately arranged in a sawtooth shap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ody ring 211a of the first connector 21a,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213b fit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214a and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213a fitted to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second body ring 211b of the second connector 21b are fitted. A steel pipe pi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grooves (214b) are alternately arranged in a sawtooth shape.
제2항에서,
상기 제1결합돌부(213a)와 제2결합돌부(213b) 및 제1결합홈부(214a)와 제2결합홈부(214b)는 각각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부(213a, 213b)는 결합홈부(214a, 214b)와 형상이 동일하게 대칭으로 형성되어 제1결합돌부(213a)와 제2결합돌부(213b)의 측면이 서로 밀착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파일 연결구.
In claim 2,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213a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213b and the first coupling recess 214a and the second coupling recess 214b are respectively formed in the same shape as each other,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213a and 213b are A steel pipe pi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grooves (214a, 214b) are formed symmetrically in the same shape so that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213a)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213b)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제1항에서,
상기 제1연결구(21a)의 제1본체링(211a) 하단 내측 및 제2연결구(21b)의 제2본체링(211b) 상단 내측에는 강관 파일(1a, 1b)의 내부에 삽입되는 가이드링(215)이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파일 연결구.
In claim 1,
A guide ring ( 215) is a steel pipe pi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each protrud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밴드유니트(220)의 단부에는 결합플레이트(222)가 구비되어 이웃하는 밴드유니트(220)의 결합플레이트(222)와 볼트(B) 및 너트(N)로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파일 연결구.
In claim 1,
A coupling plate 222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band unit 220, and the coupling plate 222 of the neighboring band unit 220 is coupled to each other with a bolt (B) and a nut (N). connector.
제7항에서,
상기 결합플레이트(222)와 밴드유니트(220)의 사이에는 한 쌍의 보강 리브(22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파일 연결구.
In claim 7,
A pair of reinforcing ribs (223) are provided between the coupling plate (222) and the band unit (220).
KR1020200116589A 2020-09-11 2020-09-11 Connector of steel piles KR1023927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589A KR102392745B1 (en) 2020-09-11 2020-09-11 Connector of steel pi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589A KR102392745B1 (en) 2020-09-11 2020-09-11 Connector of steel pi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343A KR20220034343A (en) 2022-03-18
KR102392745B1 true KR102392745B1 (en) 2022-04-29

Family

ID=80936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589A KR102392745B1 (en) 2020-09-11 2020-09-11 Connector of steel pi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745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0537A (en) * 2011-08-19 2013-02-28 Asahi Kasei Construction Materials Co Ltd Steel pipe pile connection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329U (en) * 1989-06-21 1991-02-12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0537A (en) * 2011-08-19 2013-02-28 Asahi Kasei Construction Materials Co Ltd Steel pipe pile connection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4343A (en) 2022-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9024B2 (en) End plate for concrete piles
US9151010B2 (en) Article for joining concrete piles
KR102065742B1 (en) Connector of steel piles
JP4645268B2 (en) Joint structure of steel pipe pile for landslide prevention and steel pipe pile for landslide prevention provided with the same
JP2007063806A (en) Screw joint structure of metal tube
KR102392745B1 (en) Connector of steel piles
KR101913401B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steel pipe
CN215857666U (en) Combined pile foundation
TW201420844A (en) Non-welded joint for piles
CN210368607U (en) Joint structure of prefabricated reinforced concrete pier or column
KR102520170B1 (en) Connector of steel piles
TWI586873B (en) Pile joint structure
JP6243814B2 (en) Steel pipe pile joint structure
JP4461153B2 (en) Pile joint structure
KR102128820B1 (en) Coupling apparatus for non-welding of pile
KR102622384B1 (en) Connection structure of steel piles
JP5892439B2 (en) Pile-free welded joint
JP2005213947A (en) Connecting method and connecting structure of concrete pile
JP6470699B2 (en) Pile connection structure
KR101291705B1 (en) Extended vertical support power reinforcing device of pile
JP6007863B2 (en) Joint structure of steel pipes constituting rotating piles
CN209670366U (en) A kind of work anchor position limiting structure
KR20220094226A (en) Apparatus of connector concrete piles
JP5954679B2 (en) Pile-free welded joint
CN217460546U (en) Mechanical connecting joint for tubular p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