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483B1 - 스윙머신 - Google Patents

스윙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2483B1
KR102392483B1 KR1020210113006A KR20210113006A KR102392483B1 KR 102392483 B1 KR102392483 B1 KR 102392483B1 KR 1020210113006 A KR1020210113006 A KR 1020210113006A KR 20210113006 A KR20210113006 A KR 20210113006A KR 102392483 B1 KR102392483 B1 KR 102392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rotation shaft
shaft
housing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재
Original Assignee
(주)마스터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스터이엔지 filed Critical (주)마스터이엔지
Priority to KR1020210113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4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45Magnetic mixers; Mixers with magnetically driven stirr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6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about an inclined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윙머신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ㅇ어 침지액이 저수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저수조의 침지액에 침지되는 침지 대상물이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킷; 및 상기 버킷을 상기 회전축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며, 침지액에 침지되는 침지 대상물을 유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스윙머신 {SWING MACHINE}
본 발명은 스윙머신에 관한 것으로, 침지를 위한 물질을 저수조의 내부에서 유동시키는 스윙머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윙머신은 침지를 위한 침지 대상물을 침지액이 저수된 저수조의 내부에서 유동시켜 침지시킨다. 이러한 스윙머신은 침지 대상물의 산세나 수세 또는 불림을 위해 침지액에 침지시킨 후 유동시키는 것이 대부분이며, 침지대상물을 침지액에 후 노출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은 아직까지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청의 실용신안등록 제20-0488254호(정승호)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축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로 돌출된 상기 출력축의 상단과 결합되며, 제1영구자석이 마련되는 회전로터; 상기 회전로터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한 채 교반용기와 결합되는 웰딩부; 상기 웰딩부와 결합되어 상기 교반용기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영구자석과 자성 결합되는 제2영구자석이 마련된 임펠러부; 및 상기 임펠러부와 상기 웰딩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임펠러부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베어링부;를 포함하는 마그네틱 믹싱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믹싱장치는, 상기 임펠러부의 상부로 돌출된 상기 베어링부를 수용한 채 상기 임펠러부의 상부에 안착되는 중공의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웰딩부와 연결되는 변형방지축; 상기 회전축의 개방된 상부로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유동방지캡; 및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서 상기 회전축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교반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변형방지축의 하단은 상기 베어링부에 형성된 구멍을 경유하여 상기 웰딩부에 형성된 체결홈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믹싱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로터에 설치된 제1영구자석의 회전시 임펠러부의 제2영구자석이 함께 회전되므로 임펠러부의 회전축에 설치된 교반날개가 회전된다. 따라서, 교반날개는 교반용기의 내용물을 교반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기술은 회전축을 통해 내용물을 교반하도록 설계되어 교반은 가능하지만, 내용물을 침지액에 침지된 상태로 유동시키거나 내용물을 반복적으로 침지 및 노출시킬 수 없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88254호(정승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회전축의 회전력을 통해 침지액에 침지되는 침지 대상물을 침지된 상태로 유동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침지 후 침지액에서 노출시킬 수 있는 스윙머신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특히, 침지 대상물이 내재된 용기형상 부재를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킬 수 있는 구조로 특화되어, 침지 대상물을 침지액에 침수시키거나 침지액의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는 스윙머신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그리고, 침지 대상물이 내재된 부재가 복수로 구성되고, 이러한 부재들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축의 측방에 설치됨에 따라 순차적으로 침지액에 침지 및 노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부재의 침지시 침지액을 부재의 내부로 투과시킬 수 있는 스윙머신을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또, 용기형상 부재가 개폐가능하게 구성되어 침지 대상물을 필요에 따라 용기형상 부재에 격리시키거나 격리를 해제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자력을 통해 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는 스윙머신을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또한, 용기형상 부재들을 회전축의 측방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고, 회전축의 회전력이 회전축의 상부 및 하부에서 제각기 용기형상 부재로 전달되는 스윙머신을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윙머신은, 함체형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유입구가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향하며, 내부에 침지액이 저수되는 컵형태의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회전축을 정회전이나 역회전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저수조의 침지액에 침지되는 침지 대상물이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킷; 및 상기 버킷을 상기 회전축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저수조는, 상기 회전축과 함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경사상태로 설치되어 경사상태에서 침지액이 저수된다.,
상기 버킷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침지액에 경사상태로 침지되고, 상기 회전축에 의해 경사상태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기 하우징은 전방이 개방구가 구비되고, 개방된 전방에 도어가 힌지를 통해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수조는 상기 하우징의 개방구에 유입구가 구비된 선단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도어를 로킹하여 잠그거나 언로킹하여 잠금을 해제하는 로커;를 더 포함한다.
상기 로커는, 상기 도어의 테두리에 설치되고, 일측이 개방된 끼움홈을 갖는 걸림날개; 상기 하우징에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걸림날개의 상기 끼움홈에 탈거가능하게 삽입되는 폴딩 스틱; 및 상기 폴딩 스틱의 자유단측 단부에 설치되고, 하단이 상기 걸림날개에 밀착되는 노브;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는, 상기 도어의 문틀(61a)에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연결판; 상기 연결판에 고정되는 힌지축; 상기 힌지축의 상단 및 하단이 끼워지는 한쌍의 부쉬; 및 상기 부쉬가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부쉬 브래킷;을 포함한다.
상기 부쉬 브래킷은, 상기 하우징의 패널에 고정된다.
상기 버킷은, 상기 고정유닛을 통해 상기 회전축의 측방에 설치되고, 컵형태로 형성되어 개방된 상부를 갖는 버킷 본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킷은, 적어도 일측에 침지액의 유입을 위한 다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킷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가능하게 차폐하는 쉴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쉴드는, 상기 버킷 본체의 상부측 외주면에 설치된 외측날개; 상기 외측날개에 돌출상태로 설치되는 볼트; 상기 버킷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테두리가 상기 외측날개에 안착되며, 상기 볼트가 테두리를 관통하는 커버; 및 상기 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커버를 상기 외측날개에 고정하는 너트;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는, 상기 볼트가 측방으로 삽입되는 절개공이 테두리를 따라 노치 형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유닛은,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상기 출력축에 의해 회전되는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에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슬리브와 함께 회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마그네트를 갖는 메인 로터; 상기 메인 로터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저수조의 바닥면에 돌출상태로 설치되는 로터 하우징; 상기 저수조의 바닥면에 돌출된 상기 로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바디 및 상기 메인 로터에 구비되어 회전되는 상기 제1 마그네트에 의해 상기 바디가 회전되도록, 상기 바디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자성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마그네트를 가지며, 상기 회전축이 연결되어 상기 바디와 함께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서브 로터; 상기 로터 하우징에 회전이 방지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 방지축; 및 상기 유동 방지축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베어링;을 포함한다.
상기 유동 방지축은 상기 회전축의 하단에서부터 적어도 중간부분까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어링은, 상기 유동 방지축의 하단부 및 상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의 하단부 및 중간부를 회전가능하게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회전축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횡방향으로 제각기 설치되고, 상기 버킷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구비된 버킷 고정판; 및 상기 버킷 고정판을 상기 회전축에 일체로 고정하는 패스너;를 포함한다.
상기 패스너는, 상기 회전축의 상단에 체결되어, 상기 버킷 고정판 중 상기 회전축의 상단부에 설치된 상부측 버킷 고정판을 상기 회전축에 고정하는 상단측 볼트; 및 상기 회전축의 상단부에 고정된 상기 상부측 버킷 고정판을, 상기 버킷 고정판 중 상기 회전축의 하단부에 설치된 하부측 버킷 고정판과 일체로 연결하여, 상기 상부측 버킷 고정판을 통해 상기 하부측 버킷 고정판을 상기 회전축에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회전축의 상기 하부측 버킷 고정판의 일부분을 상기 회전축의 하단부에 구속시켜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하부측 버킷 고정판에 제공하는 홀더;를 더 포함한다.
상기 홀더는, 상기 회전축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측 버킷 고정판이 안착되는 안착 플랜지; 및 상기 안착 플랜지에 안착된 상기 하부측 버킷 고정판을 관통하여 상기 안착 플랜지에 체결되고, 관통에 의해 상기 하부측 버킷 고정판이 걸림에 따라 상기 안착 플랜지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하부측 버킷 고정판에 제공하는 하단측 볼트;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버킷이 고정유닛을 통해 회전축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므로 버킷을 필요에 따라 회전축에 고정하거나 탈거할 수 있으며, 버킷이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므로 버킷에 수용된 침지 대상물을 유동시킬 수 있다.
특히, 저수조 및 회전축이 경사를 형성하므로 버킷이 침지액에 침지되거나 침지액의 상부로 노출되는 것을 반복할 수 있으므로 침지 대상물을 반복적으로 불리거나 건조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의 전방측 개방구에 도어가 설치되므로 도어를 통해 개방구를 개폐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저수조의 선단이 개방구에 고정되므로 저수조를 경사상태로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 로커가 마련되므로 필요에 따라 도어를 로킹하거나 언로킹할 수 있고, 로커의 폴딩 스틱을 편축회전시킨 후 노브를 통해 도어의 걸림날개를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할 수 있으므로 도어를 용이하게 쇄정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도어의 힌지가 연결판과 힌지축과 부쉬 및 부쉬 브래킷으로 구성되므로 힌지를 하우징 및 도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버킷이 개방된 상부를 갖는 버킷 본체로 구성되므로 침지 대상물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버킷 본체가 쉴드의 커버에 의해 차폐되므로 버킷 본체의 내부에 침지 대상물을 격리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버킷 본체의 외측날개에 형성되어 커버를 관통하는 볼트에 너트가 체결됨에 따라 커버를 버킷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게다가, 커버에 절개공이 구비되므로 외측날개의 볼트가 커버를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버를 버킷 본체에 용이하게 착탈식으로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메인 로터 및 서브 로터가 제1 마그네트 및 제2 마그네트의 자력에 의해 회전되므로 회전축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고, 유동 방지축이 회전축에 삽입되어 회전축의 유동을 방지하므로 회전축이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유동 방지축이 회전축의 하단에서부터 중간부분까지 삽입되므로 회전시 자체 길이로 인해 회전축이 유동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베어링이 회전축의 하단부 및 중간부를 회전가능하게 가이드하므로 회전축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덧붙여, 고정유닛이 버킷 고정판 및 패스너로 구성되므로 버킷을 회전축의 측방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패스너의 상단측 볼트에 의해 회전축에 고정된 상부측 버킷 고정판이 연결봉을 통해 하부측 버킷 고정판에 연결되므로 회전축의 회전시 상부측 버킷 고정판 및 하부측 버킷 고정판이 함께 회전될 수 있으며, 더 나아기 하부측 버킷 고정판을 관통하여 회전축의 안착 플랜지에 체결되는 하단측 볼트로 홀더가 구성되므로 하단측 볼트를 통해 회전축의 회전력이 하부측 버킷 고정판으로 용이하게 전달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마그네틱 믹싱장치가 적용된 교반기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그네틱 믹싱장치의 분해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마그네틱 믹싱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윙장치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스윙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스윙유닛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스윙유닛의 분해 측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스윙유닛의 결합 단면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스윙유닛이 저수조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버킷 고정판의 사시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버킷 고정판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버킷 및 버킷 고정판을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13은 도 9에 도시된 버킷의 측면도;
도 14는 도 3에 도시된 도어의 측단면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도어의 정면도 및 평단면도;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도어의 개폐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및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힌지의 일부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윙머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윙머신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0), 저수조(70), 회전축(170) 및 버킷(90), 그리고 후술되는 구동유닛 및 고정유닛을 포함한다. 하우징(50)은 빔형태의 프레임에 후술되는 판상의 패널(51)이 설치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형의 함체로 구성된다. 하우징(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힌지(HG)를 통해 전방에 도어(60)가 설치된다. 하우징(50)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의 개방구(50a)에 도어(60)가 설치되어 도어(60)를 통해 개방구(50a)가 개폐가능하게 차폐된다. 하우징(5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60)의 측방에 통상의 컨트롤러(CT)가 구비된다, 컨트롤러(CT)는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와 버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저수조(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유입구를 갖는다. 저수조(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가 하우징(50)의 일측, 즉 도어(60)가 구비된 방향을 향하는 상태로 하우징(50)의 내부에 설치된다. 저수조(70)는 유입구를 통해 침지액이 내부에 저수된다. 이러한 침지액은 예컨대, 정제수나 식염수 또는 침지 대상물의 가공 특성에 알맞는 다양한 액상 물질(예: 세척수, 산성수, 알카리 수 등)로 구성될 수 있다.
저수조(70)는 후술되는 버킷(90)이 경사상태로 회전되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0)의 내부에 경사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수조(70)는 경사상태로 침지액이 저수된다.
저수조(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가 마련된 선단이 전술한 하우징(50)의 개방구(50a)에 고정된다. 저수조(7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의 외주면에 플랜지가 구비됨에 따라 볼팅으로 하우징(50)의 개방구(50a)에 선단이 고정된다.
저수조(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상태로 하단부 설치된 금속재 하부관(71)을 통해 하단부가 지지되므로 안정적으로 경사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하부관(71)은 복수로 구성되어 어느 하나를 통해 침지액을 공급하고, 다른 하나를 통해 저수조(70)의 침지액을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축(170)은 후술되는 구동유닛을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70)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축(1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70)가 경사를 형성함에 따라 저수조(70)의 내부에서 경사를 형성한다. 회전축(17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유동 방지축(180)이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내부에 중공을 갖는다. 회전축(170)은 유동 방지축(180)이 중간부분까지 삽입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이 하단에서부터 적어도 중간부분까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축(1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부분 및 하부에 침지액이 유입되는 상부 유입공(171) 및 하부 유입공(172)이 구비된다. 상부 유입공(171) 및 하부 유입공(172)은 회전축(170)의 회전시 후술되는 베어링으로 침지액을 제공한다.
구동유닛은 전술한 회전축(170)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회전축(170)을 정회전이나 역회전시킨다. 구동유닛 예컨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110), 메인 로터(RT), 로터 하우징(140), 서브 로터(AX) 및 유동 방지축(180), 그리고 후술되는 베어링으로 구성할 수 있다.
구동모터(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70)의 외부에 설치되어 하우징(50)의 내부에 내장된다. 구동모터(11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속기가 구비된 기어드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모터(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축(110a)을 통해 구동력을 제공한다. 출력축(110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에 플랜지형태의 칼라가 구비되고, 상부면 중앙에 너트공(NH)이 구비된다. 출력축(110a)은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110)에 결합된 축하우징(120)에 내장되어 외부로부터 보호된다.
메인 로터(RT)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출력축(110a)의 너트공(NH)에 체결되는 볼트(BT)에 의하여 출력축(110a)에 일체로 고정되는 슬리브(130) 및 이러한 슬리브(130)의 외주면에 일체로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마그네트(M1)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슬리브(130)는 구동모터(110의 출력축(110a)에 연결됨에 따라 제1 마그네트(M1)와 함께 회전된다.
로터 하우징(14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형태로 형성되어 메인 로터(RT)의 슬리브(130)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로터 하우징(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플랜지가 구비된다. 로터 하우징(50)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70)의 바닥면에서 돌출되도록 저수조(70)의 하부에 관통상태로 삽입되며, 외주면의 플랜지가 저수조(70)에 용접이나 볼팅으로 고정됨에 따라 저수조(70)에 일체로 고정된다. 로터 하우징(5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중앙에 너트공(NH)이 구비된다.
서브 로터(AX)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저수조(70)의 바닥면에 돌출된 로터 하우징(5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컵형태의 바디(150) 및 이러한 바디(150)에 일체로 장착되어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자성결합되는 제2 마그네트(M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바디(1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보스(151a)가 구비되며, 저수조(70)의 내측에서 로터 하우징(50)을 감싸는 상태로 로터 하우징(50)에 설치된다. 바디(1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70)이 보스(151a)에 끼워져서 일체로 연결된다. 바디(150)는 회전축(170)이 용접이나 볼팅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다. 이때, 회전축(1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보스(151a)의 외측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마그네트(M2)는 도 8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로터(RT)의 제1 마그네트(M1)와 대향하는 상태로 바디(150)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바디(150)는 메인 로터(RT)에 의해 제1 마그네트(M1)가 회전될 경우, 제2 마그네트(M2)의 자력에 의해 함께 회전된다. 따라서, 바디(150)는 회전축(170)을 회전시킨다.
유동 방지축(18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로터 하우징(140)에 장착된다. 유동 방지축(180)은 회전이 방지되는 상태로 로터 하우징(50)에 장착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형성된 나사산이 로터 하우징(50)의 상부측 중앙에 형성된 너트공(NH)에 체결된다. 유동 방지축(18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 하우징(50)에 장착된 상태로 회전축(170)의 내측에 삽입된다. 즉, 유동 방지축(180)은 회전축(170)의 중공으로 삽입된다. 유동 방지축(180)은 회전축(170)의 회전시 회전축(170)의 내측을 지지하여 회전축(170)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유동 방지축(18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70)의 하단에서부터 중간부분까지 삽입되는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유동 방지축(180)은 회전축(170)의 하단에서부터 중간부분까지 회전축(170)을 지지하므로 회전축(170)의 회전시 회전축(170)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베어링은 유동 방지축(180)에 설치되어 회전축(170)의 회전을 가이드한다. 베어링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스트 저널 베어링으로 구성되며, 유동 방지축(180)의 하부 및 상부에 제각기 설치되는 하부측 베어링(160) 및 상부측 베어링(182, 183)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측 베어링(16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 방지축(180)의 하부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부쉬형 베어링(163) 및 부쉬형 베어링(163)의 외측에 끼워져서 회전축(170)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환형 베어링(165)으로 구성된다. 부쉬형 베어링(163) 및 환형 베어링(165)은 회전축(170)의 하단부에 형성된 하부 유입공(172)을 통해 용접으로 유동 방지축(180) 및/또는 회전축(170)에 고정된다. 부쉬형 베어링(163)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의 플랜지에 환형 베어링(165)이 안착된다. 따라서, 컵형태의 바디(150)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 하우징(150)의 상부와 이격된다.
상부측 베어링(182, 183)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 방지축의 상단부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관체형의 엑슬 베어링(182) 및 튜브 베어링(182)의 외측에 끼워져서 회전축(170)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튜브 베어링(183)으로 구성된다. 상브측 베어링(182, 183)은 회전축(170)의 상단부에 형성된 상부 유입공(171)을 통해 용접으로 유동 방지축(180) 및/또는 회전축(170)에 고정된다. 상부측 베어링(182, 18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 방지축(180)의 상단에 체결되는 볼트(184)에 의해 유동 방지축(180)의 상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상부측 베어링(172, 183) 및 하부측 베어링(160)은 회전축(170)의 회전시 회전축(170)의 하부 및 중간부분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따라서, 유동 방지축(180)이 끼워진 회전축(170)은 원활하게 회전된다.
여기서, 전술한 베어링은 전술한 바와 달리, 유동 방지축(180)의 하단부 및 상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어 회전축(170)의 하단부 및 중간부 중 어느 하나를 회전가능하게 가이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전술한 버킷(90)은 후술되는 고정유닛에 의해 회전축(170)의 측방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축(170)에 의해 회전된다. 버킷(90)은 도 9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70)의 침지액에 침지되는 침지 대상물(예: 하이루론산, 기계 부속 등)을 수용한다. 버킷(9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단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버킷(90)은 도 12 및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컵형태로 형성되어 개방된 상부를 갖는 버킷 본체(91)로 구성될 수 있다. 버킷 본체(91)는 도 1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측에 침지액의 유입을 위한 다공(H)이 구비될 수 있다.
버킷(90)은 버킷 본체(91)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가능하게 차폐하는 쉴드가 구비될 수 있다. 쉴드는 예컨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날개(91a), 외측날개(91a)에 설치되는 볼트(BT), 커버(93) 및 너트(NT)로 구성될 수 있다.
외측날개(91a)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킷 본체(91)의 상부측 외주면에 돌출형성된다. 외측날개(91a)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형태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볼트(BT)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드 볼트로 구성되어 용접에 의해 외측날개(91a)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외측날개(91a)의 상부를 향해 돌출된다. 커버(93)는 유리나 플라스틱 또는 금속성의 판재로 구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버킷 본체(91)의 상부에 밀착상태로 설치되어 버킷 본체(91)의 상부를 차폐하다. 커버(93)는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가 외측날개(91a)에 안착된다. 커버(93)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 또는 실리콘재 패킹(92)이 테두리에 끼워지도록, 테두리를 따라 단차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단차가 형성된 부분이 외측날개(91a)에 안착될 수 있다. 커버(9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날개(91a)의 볼트(BT)가 테두리를 수직으로 관통한다. 너트(NT)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나비볼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커버(93)를 관통한 외측날개(91a)의 볼트(BT)에 체결되어 커버(93)를 가압한다. 따라서, 커버(93)는 외측날개(91a)에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커버(93)는 도 1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날개(91a)의 볼트(BT)가 측방으로 삽입되는 절개공(93a)이 테두리를 따라 노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외측날개(91a)의 볼트(BT)는 절개공(93a)을 통해 용이하게 커버(93)를 관통한다.
한편, 전술한 고정유닛(80)은 버킷(90)을 회전축(17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한다. 고정유닛(80)은 예컨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버킷 고정판(81, 82) 및 후술되는 패스너로 구성할 수 있다. 버킷 고정판(81, 8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7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제각기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부측 버킷 고정판(81) 및 하부측 버킷 고정판(82)으로 구성된다.버킷 고정판(81, 82)은 내화학성을 위해 예컨대, 실리콘 재질의 판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킷 고정판(81, 82)은 도 6 및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70)이 끼워지는 축공(80a)이 중앙에 형성되고, 축공(80a)을 중심으로 축공(80a)의 외측에 버킷(90), 즉 버킷 본체(91)가 삽입되는 삽입공(80a, 80b)이 구비된다. 그리고, 버킷 고정판(81, 8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연결봉(83)이 관통상태로 고정되는 봉공(80c)이 형성된다.
패스너는 전술한 버킷 고정판(81, 82)을 회전축(170)에 일체로 고정한다. 패스너는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상단측 볼트(190) 및 도 12에 도시된 연결봉(83)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단측 볼트(19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70)의 상단에 체결되고, 헤드를 통해 회전축(170)의 상단에 설치된 상부측 버킷 고정판(81)을 가압하여 상부측 버킷 고정판(81)을 회전축(170)의 상단부에 고정한다. 이를 위해, 회전축(1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상부측 버킷 고정판(81)이 안착되는 단차형의 안착턱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봉(83)은 도 9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70)의 상단부에 고정된 상부측 버킷 고정판(81)을 회전축(170)의 하단부에 설치된 하부측 버킷 고정판(82)과 일체로 연결한다. 따라서, 연결봉(8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측 버킷 고정판(81)을 통해 하부측 버킷 고정판(82)을 회전축(170)에 고정한다. 연결봉(83)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단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연결봉(83)은 도 1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및 하단이 상부측 버킷 고정판(81) 및 하부측 버킷 고정판(82)의 봉공(80c)에 끼워진 후, 볼트(BT)가 체결됨에 따라 버킷 고정판(81, 82)에 고정되어 상부측 및 하부측 버킷 고정판(81, 82)들을 일체로 연결한다.
여기서, 전술한 하부측 버킷 고정판(82)은 홀더를 통해 회전축(170)의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홀더는 하부측 버킷 고정판(82)의 일부분을 회전축(170)의 하단부에 구속시켜서 회전축(170)의 회전력을 하부측 버킷 고정판(82)에 제공한다. 홀더는 예컨대, 도 6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 플랜지(PL) 및 하단측 볼트(BT)로 구성할 수 있다.
안착 플랜지(PL)는 도 6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70)의 하단부측 외주면에 일체로 구비되어 하부측 버킷 고정판(82)이 상부에 안착된다. 하단측 볼트(BT)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 플랜지(PL)에 안착된 하부측 버킷 고정판(82)을 관통하여 안착 플랜지(PL)에 체결된다. 이때, 하단측 볼트(BT)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측 버킷 고정판(82)에 형성된 볼트공(BH)을 통해 하단부 버킷 고정판(82)을 관통한다. 하단측 볼트(BT)는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에 의해 하부측 버킷 고정판(82)이 걸림에 따라 안착 플랜지(PL)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축(170)의 회전력을 하부측 버킷 고정판(82)에 제공한다. 따라서, 하부측 버킷 고정판(82)은 회전축(170)의 회전시 회전축(170)과 함께 원활하게 회전된다.
한편, 하우징(50)의 도어(6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나 플리스틱으로 구성된 투시창(61) 및 이러한 투시창(61)이 장착되는 문틀(61a)로 구성된다. 도어(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61a)에 연결된 힌지(HG)를 통해 하우징(50)에 개폐가능하게 고정된다.
힌지(HG)는 예컨대,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판(62a), 힌지축(62), 부쉬(64) 및 부쉬 브래킷(64a)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연결판(62a)은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로 구성되어 볼팅이나 용접에 의해 도어(60)의 문틀(61a)에 일체로 연결된다. 힌지축(6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판(62a)에 수직으로 고정된다. 부쉬(64)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으로 구성되어 힌지축(62)의 상단 및 하단에 마련되며, 힌지축(62)의 상단 및 하단이 끼워진다. 부쉬 브래킷(64a)은 도시된 바와 같이 부쉬(64)가 일측에 일체로 고정되고, 타측이 하우징(50)에 고정된다. 부쉬 브래킷(64a)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구(50a)가 형성된 하우징(50)의 패널(51)에 고정된다.
힌지(HG)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60)가 개폐될 경우 부쉬 브래킷(64a)의 부쉬(64)에 양단부가 삽입된 힌지축(62)이 회전된다. 이때, 문틀(61a)에 연결된 연결판(62a)은 힌지축(62)과 함께 회전된다. 따라서, 도어(60)는 원활하게 개폐된다.
여기서, 전술한 도어(60)는 로커에 의해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되어 잠기거나 언로킹되어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로커는 예컨대, 도 14 및 도 16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날개(61b), 폴딩 스틱(63) 및 노브(NV)를 포함항 구성할 수 있다.
걸림날개(61b)는 도 14 및 도 16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60)의 테두리에 돌출상태로 설치되고, 일측이 개방된 끼움홈을 갖는다. 즉, 걸림날개(61b)는 도어(6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폴딩 스틱(63)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0)의 패널(51)에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고정된다. 폴딩 스틱(63)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0)의 패널(51)에 고정되고, 회전봉이 끼워진 요크(63a)의 회전봉에 수직으로 고정됨에 따라 편축회전된다. 폴딩 스틱(63)은 도시된 바와 같이 편축되전되면서 걸림날개(61b)의 끼움홈에 삽입되거나 탈거된다. 노브(NV)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 스틱(63)의 자유단측 단부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노브(NV)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걸림날개(61b)에 밀착된다. 노브(NV)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결합에 의해 폴딩 스틱(63)의단부에 결합된다. 노브(NV)는 나사결합에 의해 잠기거나 풀리면서 걸림날개(61b)를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한다. 따라서, 노브(NV)는 잠김시 걸림날개(61b)를 압박하여 도어(60)를 로킹하고, 풀림시 걸림날개(61b)와 이격되어 도어(60)의 잠금을 해제한다.
한편, 도면상 미설명 부호 72는 세척수가 유입되는 세척수가 유입되거나 공기를 밴트하는 니플이다. 그리고, 미설명 부호 73은 저수조(70)의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니플이고, 미설명 부호 SU는 전술한 고정유닛(80) 및 버킷(90)으로 구성되어 회전하는 스윙유닛이며, 미설명 부호 94는 오링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킷(90)의 버킷 본체(91)에 하이루론산과 같은 과립형 침지 대상물이 충전된 후, 버킷 본체(91)의 상부에 커버(93)가 패킹(92)과 함께 설치된다. 커버(93)는 설치시 테두리에 형성된 절개공(93a)으로 버킷 본체(91)의 외측날개(91a)에 수직으로 설치된 스터드 볼트식의 볼트(BT)가 관통된다. 커버(93)는 볼트(BT)에 나비너트식 너트(NT)가 체결됨에 따라 버킷 본체(91)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버킷 본체(91)의 개방된 상부를 실링한다.
버킷 본체(91)는 하우징(50)의 도어(60)가 전술한 힌지(HG)를 통해 개방된 후,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킷 고정판(81, 82)의 삽입공(80b)에 삽입된다. 따라서, 버킷 본체)는 저수조(70)의 내부에 경사상태로 설치된다.
하우징(50)은 버킷 본체(91)가 저수조(70)에 설치된 후, 전술한 힌지(HG)를 통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60)가 차폐된다. 하우징(50)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로커의 노브(NV)가 잠김에 따라 도어(60)가 로킹된다. 하우징(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70)에 연결된 하부관(71)을 통해 정제수와 같은 침지액이 충전된다.
구동모터(110는 침지액의 충전이 완료된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70)의 외부에서 출력축(110a)을 통해 회전축(170)을 회전시킨다. 출력축(110a)의 회전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축(110a)에 장착된 메인 로터(RT)의 슬리브(130)는 제1 마그네트(M1)와 함께 회전한다. 이때, 서브 로터(AX)의 캡형태 바디(150)에 설치된 제2 마그네트(M2)는 제1 마그네트(M1)의 자력에 의해 바디(150)를 회전시킨다. 바디(150)는 회전축(170)과 함께 회전된다.
회전축(17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 및 하단부에 버킷 고정판(81, 82)에 설치됨에 따라 버킷 고정판(81, 82)을 회전시킨다. 버킷 고정판(81, 82)들 중에서 회전축(170)의 하단부에 설치된 하부측 버킷 고정판(8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공(BH)을 통해 하단측 볼트(BT)에 걸림에 따라 회전축(170)의 회전력이 거의 손실 없이 전달된다. 이때, 하단측 볼트(BT)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70)의 하단부에 구비된 안착 플랜지(PL)에 볼팅됨에 따라 회전축(170)의 회전력을 원활하게 전달한다.
하부측 버킷 고정판(8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봉(83)을 통해 상부측 버킷 고정판(81)과 연결됨에 따라, 회전축(170)의 회전력을 상부측 버킷 고정판(81)에 용이하게 전달한다. 따라서, 버킷 고정판(81, 82)들은 원활하게 회전된다.
버킷(90)의 버킷 본체(91)는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킷 고정판(81, 82)의 회전에 의해 경사상태로 회전됨에 따라 일부분이 침지액에 침지되고, 나머지 일부분이 침지액의 상부로 노출된다. 버킷 본체(91)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지시 다공(H)을 통해 침지액이 유입되고, 노출시 다공(H)을 통해 침지액이 배출된다. 이에 따러, 버킷 본체(91)에 수용된 침지 대상물(하이루론산 과립)은 반복적으로 침지액(정제수)에 침지되어 불려지거나, 침지액에서 간헐적으로 노출되어 약간씩 건조된다. 따라서, 침지 대상물은 주사제에 사용할 수 있는 최적의 크기로 가공된다. 이러한 침지 대상물은 계속해서 침지될 경우 용해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불림과 건조가 반복되어야 주사제에 적당한 최적의 입도로 가공된다.
여기서, 전술한 회전축(170)은 회전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의 중공으로 삽입된 유동 방지축(180)에 의해 내부가 지지되어 유동이 방지됨에 따라 원활하게 회전된다. 회전축(1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의 하부측 베어링(160)이 하부를 회전가능하게 가이드하고, 중간부분의 엑슬 베어링(182) 및 튜브 베어링(183)이 중간부위를 지지하므로 더욱 원활하게 회전된다. 이러한 베어링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70)의 중간부분 및 하부에 형성된 상부 유입공(171) 및 하부 유입공(172)으로 유입되는 침지액에 의해 냉각되며, 이러한 침지액의 윤활작용에 의해 원활하게 회전축(170)의 회전을 가이드한다.
한편, 버킷 본체(91)는 침지 대상물의 가공이 완료되어 하우징(50)에서 침지액이 배출된 후 도어(60)가 개방됨에 따라 하우징(50)의 외부로 유출된다. 하우징(50)은 버킷 본체(91)가 유출된 후 도어(60)가 다시 잠긴 상태에서 저수조(70)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니플(72)을 통해 세척수가 제공됨에 따라 저수조(70)가 세척되며, 세척수가 하부관(71)을 통해 배출됨에 따라 세척수가 제거된다. 하우징(50)은 스팀이 공급되는 니플(73)을 통해 스팀이 공금됨에 따라 저수조(70)가 살균된다. 이때, 공기를 벤트하는 니플(72)은 개방되어 저수조(70)의 압력을 해제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버킷(90)이 고정유닛(80)을 통해 회전축(17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므로 버킷(90)을 필요에 따라 회전축(170)에 고정하거나 탈거할 수 있으며, 버킷(90)이 회전축(170)과 함께 회전되므로 버킷(90)에 수용된 침지 대상물을 유동시킬 수 있다.
특히, 저수조(70) 및 회전축(170)이 경사를 형성하므로 버킷(90)이 침지액에 침지되거나 침지액의 상부로 노출되는 것을 반복할 수 있으므로 침지 대상물을 반복적으로 불리거나 건조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50)의 전방측 개방구(50a)에 도어(60)가 설치되므로 도어(60)를 통해 개방구(50a)를 개폐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저수조(70)의 선단이 개방구(50a)에 고정되므로 저수조(70)를 경사상태로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 로커가 마련되므로 필요에 따라 도어(60)를 로킹하거나 언로킹할 수 있고, 로커의 폴딩 스틱(63)을 편축회전시킨 후 노브(NV)를 통해 도어(60)의 걸림날개(61b)를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할 수 있으므로 도어(60)를 용이하게 쇄정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도어(60)의 힌지(HG)가 연결판(62a)과 힌지축(62)과 부쉬(64) 및 부쉬 브래킷(64a)으로 구성되므로 힌지(HG)를 하우징(50) 및 도어(60)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버킷(90)이 개방된 상부를 갖는 버킷 본체(91)로 구성되므로 침지 대상물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버킷 본체(91)가 쉴드의 커버(93)에 의해 차폐되므로 버킷 본체(91)의 내부에 침지 대상물을 격리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버킷 본체(91)의 외측날개(91a)에 형성되어 커버(93)를 관통하는 볼트(BT)에 너트(NT)가 체결됨에 따라 커버(93)를 버킷 본체(91)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게다가, 커버(93)에 절개공(93a)이 구비되므로 외측날개(91a)의 볼트(BT)가 커버(93)를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버(93)를 버킷 본체(91)에서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아울러, 메인 로터(RT) 및 서브 로터(AX)가 제1 마그네트(M1) 및 제2 마그네트(M2)의 자력에 의해 회전되므로 회전축(17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고, 유동 방지축(180)이 회전축(170)에 삽입되어 회전축(170)의 유동을 방지하므로 회전축(170)이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유동 방지축(180)이 회전축(170)의 하단에서부터 중간부분까지 삽입되므로 회전시 자체 길이로 인해 회전축(170)이 유동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베어링이 회전축(170)의 하단부 및 중간부를 회전가능하게 가이드하므로 회전축(170)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덧붙여, 고정유닛(80)이 버킷 고정판(81, 82) 및 패스너로 구성되므로 버킷(90)을 회전축(170)의 측방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패스너의 상단측 볼트(190)에 의해 회전축(170)에 고정된 상부측 버킷 고정판(81)이 연결봉(83)을 통해 하부측 버킷 고정판(82)에 연결되므로 회전축(170)의 회전시 상부측 버킷 고정판(81) 및 하부측 버킷 고정판(82)이 함께 회전될 수 있으며, 더 나아기 하부측 버킷 고정판(82)을 관통하여 회전축(170)의 안착 플랜지(PL)에 체결되는 하단측 볼트(BT)로 홀더가 구성되므로 하단측 볼트(BT)를 통해 회전축(170)의 회전력이 하부측 버킷 고정판(82)으로 용이하게 전달된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질적 특징이 충족될 수 있을 경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형(구조나 구성의 변경이나 부분적 생략 또는 보완)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은 특징의 일부 또는 다수가 상호 간에 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구조 및 구성은 변형이나 조합에 의해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구조 및 구성의 변형이나 조합이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50: 하우징 50a: 개방구
51: 패널 60: 도어
61: 투시창 61a: 문틀
61b: 걸림날개 62: 힌지축
62a: 연결판 63: 폴딩 스틱
64: 부쉬 64a: 부쉬 브래킷
70: 저수조 71: 하부관
80: 고정유닛 80a: 축공
80b: 삽입공 80c: 봉공
81: 상부측 버킷 고정판 82: 하부측 버킷 고정판
83: 연결봉 90: 버킷
91: 버킷 본체 92: 패킹
93: 커버 91a: 외측날개
93: 커버 93a: 절개공
110: 구동모터 110a: 출력축
120: 축하우징 130: 슬리브
140: 로터 하우징 150: 바디
151a: 보스 160: 하부측 베어링
163: 뷔쉬형 베어링 165: 환형 베어링
170: 회전축 171: 상부 유입공
172: 하부 유입공 180: 유동 방지축
182: 엑슬 베어링 183: 튜브 베어링
184: 볼트 190: 상단측 볼트

Claims (7)

  1. 함체형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유입구가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향하며, 내부에 침지액이 저수되는 컵형태의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회전축을 정회전이나 역회전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저수조의 침지액에 침지되는 침지 대상물이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킷; 및
    상기 버킷을 상기 회전축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버킷은,
    상기 고정유닛을 통해 상기 회전축의 측방에 설치되고, 컵형태로 형성되어 개방된 상부를 갖는 버킷 본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버킷 본체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가능하게 차폐하는 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쉴드는,
    상기 버킷 본체의 상부측 외주면에 설치된 외측날개;
    상기 외측날개에 돌출상태로 설치되는 볼트;
    상기 버킷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테두리가 상기 외측날개에 안착되며, 상기 볼트가 테두리를 관통하는 커버; 및
    상기 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커버를 상기 외측날개에 고정하는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볼트가 측방으로 삽입되는 절개공이 테두리를 따라 노치 형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머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는,
    상기 회전축과 함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경사상태로 설치되어 경사상태에서 침지액이 저수되고,
    상기 버킷은,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어 침지액에 경사상태로 침지되며, 상기 회전축에 의해 경사상태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머신.
  3. 삭제
  4. 삭제
  5. 함체형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유입구가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향하며, 내부에 침지액이 저수되는 컵형태의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회전축을 정회전이나 역회전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저수조의 침지액에 침지되는 침지 대상물이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킷; 및
    상기 버킷을 상기 회전축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유닛은,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상기 출력축에 의해 회전되는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에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슬리브와 함께 회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마그네트를 갖는 메인 로터;
    상기 메인 로터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저수조의 바닥면에 돌출상태로 설치되는 로터 하우징;
    상기 저수조의 바닥면에 돌출된 상기 로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바디 및 상기 메인 로터에 구비되어 회전되는 상기 제1 마그네트에 의해 상기 바디가 회전되도록, 상기 바디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마그네트와 자성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마그네트를 가지며, 상기 회전축이 연결되어 상기 바디와 함께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서브 로터;
    상기 로터 하우징에 회전이 방지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 방지축; 및
    상기 유동 방지축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며,
    상기 유동 방지축은 상기 회전축의 하단에서부터 적어도 중간부분까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머신.
  6. 함체형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유입구가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향하며, 내부에 침지액이 저수되는 컵형태의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회전축을 정회전이나 역회전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저수조의 침지액에 침지되는 침지 대상물이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킷; 및
    상기 버킷을 상기 회전축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회전축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횡방향으로 제각기 설치되고, 상기 버킷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구비된 버킷 고정판; 및
    상기 버킷 고정판을 상기 회전축에 일체로 고정하는 패스너;를 포함하는 스윙머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는,
    상기 회전축의 상단에 체결되어, 상기 버킷 고정판 중 상기 회전축의 상단부에 설치된 상부측 버킷 고정판을 상기 회전축에 고정하는 상단측 볼트; 및
    상기 회전축의 상단부에 고정된 상기 상부측 버킷 고정판을, 상기 버킷 고정판 중 상기 회전축의 하단부에 설치된 하부측 버킷 고정판과 일체로 연결하여, 상기 상부측 버킷 고정판을 통해 상기 하부측 버킷 고정판을 상기 회전축에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봉;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의 상기 하부측 버킷 고정판의 일부분을 상기 회전축의 하단부에 구속시켜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하부측 버킷 고정판에 제공하는 홀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홀더는,
    상기 회전축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측 버킷 고정판이 안착되는 안착 플랜지; 및
    상기 안착 플랜지에 안착된 상기 하부측 버킷 고정판을 관통하여 상기 안착 플랜지에 체결되고, 관통에 의해 상기 하부측 버킷 고정판이 걸림에 따라 상기 안착 플랜지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하부측 버킷 고정판에 제공하는 하단측 볼트;를 포함하는 스윙머신.
KR1020210113006A 2021-08-26 2021-08-26 스윙머신 KR102392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006A KR102392483B1 (ko) 2021-08-26 2021-08-26 스윙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006A KR102392483B1 (ko) 2021-08-26 2021-08-26 스윙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2483B1 true KR102392483B1 (ko) 2022-04-29

Family

ID=81429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006A KR102392483B1 (ko) 2021-08-26 2021-08-26 스윙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4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13554A (ja) * 2012-12-11 2014-06-26 Hiroshi Kogyo:Kk 粒状物の分離装置
KR200488254Y1 (ko) 2017-06-30 2019-01-03 정승호 마그네틱 믹싱장치
JP2020099910A (ja) * 2020-04-06 2020-07-02 倉敷紡績株式会社 攪拌装置及び温度測定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13554A (ja) * 2012-12-11 2014-06-26 Hiroshi Kogyo:Kk 粒状物の分離装置
KR200488254Y1 (ko) 2017-06-30 2019-01-03 정승호 마그네틱 믹싱장치
JP2020099910A (ja) * 2020-04-06 2020-07-02 倉敷紡績株式会社 攪拌装置及び温度測定ユニッ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2030A (en) Machine for controlled conditioning of liquids and mixture
KR102392483B1 (ko) 스윙머신
US7059763B2 (en) Gyroscopic mixer
US20200179885A1 (en) Radially driven agitator
KR102659009B1 (ko) 스윙머신
KR102273839B1 (ko) 표면처리장치
US6991934B2 (en) Tissue processor with integrated valve
DE19907561A1 (de) Elektrisch betriebene Pumpenvorrichtung mit verbesserter Luftkanalkonstuktion
US4173418A (en) Apparatus for mixing liquids
US3016841A (en) Fluid supply means and drive therefor for parts washers and the like
JP7215909B2 (ja) 組織片処理装置
US6789788B2 (en) Device for a flotation machine
KR100952068B1 (ko) 쉐이커를 구비한 헤드 스페이서
JP3955484B2 (ja) 撹拌・脱泡装置
CN218457144U (zh) 一种人体大脑标本保存装置
US335739A (en) Churn
JP2008002510A (ja) 圧力容器
CN218222167U (zh) 一种用于头颈鳞癌靶向治疗的纳米颗粒的制备装置
JP2789317B2 (ja) めっき又は洗浄用処理装置
CN215464087U (zh) 一种涂料搅拌罐
US723900A (en) Churn.
CN218573550U (zh) 一种搅拌装置
US1320881A (en) Essex l
SU88955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астаривани металлических емкостей
JPS614034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