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1646B1 - 관리가 용이한 수질개선 시스템 - Google Patents

관리가 용이한 수질개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1646B1
KR102391646B1 KR1020210038592A KR20210038592A KR102391646B1 KR 102391646 B1 KR102391646 B1 KR 102391646B1 KR 1020210038592 A KR1020210038592 A KR 1020210038592A KR 20210038592 A KR20210038592 A KR 20210038592A KR 102391646 B1 KR102391646 B1 KR 102391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rrosion
flow rate
water quality
quality impr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식
Original Assignee
김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식 filed Critical 김원식
Priority to KR1020210038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6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65Heating or cool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natural organic sorbent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9Characterized by the sha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icro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가 용이한 수질개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단면에 도포되는 부식, 상기 부식의 상면에 도포되어 상기 부식과 물이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공성 재료, 상기 부식을 통해 물속의 양이온을 치환시키기 위한 양이온 여과기, 그리고 상기 물속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 조절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모래세척 및 물갈이의 횟수를 최소화하며, 부식과 다공성 재료를 투입함으로써, 물속의 질화세균 및 각종 세균량을 증가시켜 자연정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물속의 수초의 생장과 수질악화를 방지하여 물고기, 수생식물, 여과 박테리아, 미생물 등이 공존 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여 생물종 다양성을 공간을 만들어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관리가 용이한 수질개선 시스템{EASY-TO-MANAGE WATER QUALITY IMPROVEMENT SYSTEM}
본 발명은 관리가 용이한 수질개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수족관, 연못, 저수지 등에 적용되어 이끼 또는 녹조가 끼지 않도록 함으로써 빈번한 관리 없이도 수질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수질개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수족관 연못 등의 바닥재는 모래, 토양, 자갈 등으로 이루어진 바닥재로서 수족관 내에 어류의 배설물과 사료에 기인한 암모니아(NH3) 또는 암모늄이온(NH4+) 등이 시간이 지날수록 수족관 물에 누적되어 질화세균의 처리용량을 초과하여 수질의 악화로 어류가 폐사하게 된다. 또한 연못의 경우에는 질산염 등이 과다하게 유입되어 녹조가 끼면서 수질이 악화시키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어류의 폐사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족관이나 연못 등은 주기적으로 물갈이를 수행해주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수족관 관리에 있어 가장 어렵고 힘든 작업이 월 3~4회 걸쳐 물갈이를 해야 하는 것이며 또한 년간 3 ~ 4회 정도 수족관 전체를 비워 모래세척을 하고 있어 수족관 관리에 엄청난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연못의 경우에도 주기적인 물갈이는 물론 이끼의 제거를 위해 지속적으로 관리를 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완전히 탈피하여 수족관, 연못 등의 바닥재에 부식을 투입하여 질화 세균 등 미생물이 번식하기에 좋은 환경을 만들어 미생물량을 늘려 질소순환을 원활히 하고, 부식 투입으로 인한 바닥재에 칼슘이온(Ca2+), 마그네슘이온(Mg2+), 나트륨이온(Na+), 칼륨이온(K+) 등의 양이온을 흡착을 극대화 하여 수질을 양호하게 유지하고 부식은 비타민, 아미노산, 옥신, 지베렐린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식물생장촉진물질을 제공하기 때문에 고등식물과 토양미생물의 성장을 촉진시켜 어류에 좋은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91951호(2009.08.31.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족관, 연못, 저수지 등에서 이끼 또는 녹조가 끼지 않도록 함으로써 빈번한 관리 없이도 수질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수질개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수족관의 관리에 있어서 모래세척 및 물갈이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관리가 용이한 수질개선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단면에 도포되는 부식, 상기 부식의 상면에 도포되어 상기 부식과 물이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공성 재료, 상기 부식을 통해 물속의 양이온을 치환시키기 위한 양이온 여과기, 그리고 상기 물속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 조절기를 포함한다.
상기 양이온 여과기는, 상기 부식을 통한 양이온 치환 용량이 150me/100g 내지 300me/100g로 설정되며, 내부에 상기 다공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식 및 다공성 재료의 투입량은, 상기 물속의 양이온의 농도, 물의 유량 및 유속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부식 및 다공성 재료의 투입량은, 상기 물속의 양이온의 농도가 기준 농도보다 높거나, 물의 유량이 기준 유량보다 높거나, 상기 물의 유속이 기준 유속보다 빠른 경우, 증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부식과 다공성 재료를 투입함으로써, 물속의 질화세균 및 각종 세균량을 증가시켜 자연정화 능력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연못이나 저수지의 녹조 제거 작업이나 수족관의 모래세척 및 물갈이 없이도(또는 최소화하여) 수질이 유지 또는 개선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물속의 수초의 생장과 수질악화를 방지하여 물고기, 수생식물, 여과 박테리아, 미생물 등이 공존 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여 생물종 다양성을 공간을 만들어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양이온 교환능력의 증가로 수족관 또는 어항등에 직수로 새로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질개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식이 도포된 수족관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식위에 다공성 재료가 도포된 상면을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을 반으로 잘랐을 때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초가 생장한 수족관의 상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을 반으로 잘랐을 때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서 A의 평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추가로, 본 발명의 설명에서, 도면의 도시 및 설명의 편의를 위해 주로 본 시스템이 수족관에 적용되는 실시를 위주로 설명하나, 연못, 저수지 등과 같이 다량의 물을 수용하여 어류 생태 환경을 조성한 상황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활용된다면 그 분야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넓게 적용될 수 있음을 전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질개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질개선 시스템(100)는 부식(110), 다공성 재료(120), 양이온 여과기(130), 온도 조절기(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먼저, 부식(110)은 토양유기물의 변성으로 생성되는 것으로, 유기물이 분해, 축합, 중합 및 산화되어 이중결합이 증가하고 축합고리가 형성된 고분자 화합물이다.
이러한 부식은 식물의 유체가 장기간 퇴적되어 미생물에 의한 분해 및 축합이 반복됨으로써 형성되는 이탄으로부터 얻을 수 있고, 또는 이탄 중에서도 특히 이끼의 퇴적 및 탄화에 의해 생성되는 토탄으로부터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부식(110)은 질화세균 및 각종 세균이 다량 존재하게 하여 물고기가 남긴 유기물과 배설물에 존재하는 각종 영양염류 등을 효과적으로 변환 및 흡착하여 수질 악화를 방지한다.
또한, 물속에 강한 산이나 알칼리, 중금속 등이 들어오는 경우, 부식(110)은 이온 교환을 통해 강한 산이나 알칼리, 중금속등을 중화시킨다.
그리고, 부식(110)은 수생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각종 영양분을 식물에게 제공한다.
다음으로, 다공성 재료(120)는 물과 부식(110)이 교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부식(110)의 상부에 도포된다.
또한, 다공성 재료(120)는 수생식물이 물속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며, 여과박테리아 등 각종 미생물의 서식지를 제공한다.
이때, 여과 박테리아와 같은 각종 미생물은 부식(110)과 함께 물속의 암모니아제거 산도조절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양이온 여과기(130)는 물의 흐름을 조절하고, 질화세균 및 각종 미생물이 생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물과 바닥재 및 수생식물과의 접촉 율을 높여 오염물질의 제거 향상 및 산소를 공급한다.
또한, 양이온 여과기(130)는 부식(110)을 통한 양이온 치환 용량(CEC)이 150me/100g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300me/100g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양이온 치환 용량은 특정 pH에서 일정량의 토양에 전력에 의하여 다른 양이온과 교환이 가능한 형태로 흡착된 양이온의 총량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부식(110)의 양이온 보유력을 판단하는 척도로 사용된다.
또한, 양이온 여과기(130)는 내부에 다공질 재료를 포함하기 때문에, 세척 후 재사용이 용이하다.
다음으로, 온도 조절기(140)는 물속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물속의 생물에 따라 생장에 최적화된 온도로 조절한다.
예를 들어, 물속에 열대어를 키우는 경우, 온도 조절기(140)는 해당 물의 온도를 24.5 ~ 25.5℃정도를 유지시킨다.
즉, 물속에 생장하는 물고기의 종류 또는 수초의 종류에 따라 적정 물의 온도를 유지시킨다.
다음으로, 수질개선 시스템(100)은 제어부(150)를 통해 부식 및 다공성 재료의 투입량, 양이온 여과기 및 온도 조절기를 제어한다.
즉, 물속의 양이온의 농도가 기준 농도보다 높거나, 물의 유량이 기준 유량보다 높거나, 물의 유속이 기준 유속보다 빠른 경우, 수질개선 시스템(100)은 제어부(150)를 이용하여 부식 및 다공성 재료의 투입량을 증가시킨다.
예를 들어, 물속의 양이온의 농도가 기준 농도이고, 물의 유량이 기준 유량보다 높거나, 물의 유속이 기준 유속보다 빠른 경우, 수질개선 시스템(100)은 제어부(150)를 이용하여 부식 및 다공성 재료의 투입량을 기 설정된 값으로 투입한다.
또한, 예를 들어, 물속의 양이온의 농도가 기준 농도이고, 물의 유량이 기준 유량이고, 물의 유속이 기준 유속인 경우, 수질개선 시스템(100)은 제어부(150)를 이용하여 부식 및 다공성 재료의 투입량을 기 설정된 값으로 투입한다.
반면에, 물속의 양이온의 농도가 기준 농도이하이고, 물의 유량이 기준 유량이하이고, 물의 유속이 기준 유속 이하인 경우, 수질개선 시스템(100)은 제어부(150)를 이용하여 부식 및 다공성 재료의 투입량을 감소시킨다.
이때, 기준 농도, 기준 유량 및 기준 유속은 수질개선 시스템(100)이 설치된 위치 및 규모와 수질개선 시스템(100)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에 수질개선 시스템이 적용된 경우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식이 도포된 수족관의 상면도이다.
도 2에서 나타낸 것처럼, 부식(110)은 수족관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토양유기물이 변하여 형성된 화학적으로 안정한 고분자량의 물질을 사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식위에 다공성 재료가 도포된 상면을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3을 반으로 잘랐을 때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3 내지 도 5에서 나타낸 것처럼, 다공성 재료(120)는 부식(110)과 물이 교반되지 못하도록 부식(110)의 상면에 도포된다.
이때, 다공성 재료(120)는 다공질을 가지는 마사토 또는 산모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연못과 같이 대면적에 본 시스템을 적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다공성 재료를 자갈로 구성할 수 있으며, 자갈과 같이 공극이 크게 형성될 수 있는 다공성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부식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초가 생장한 수족관의 상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며, 도 8은 도 6을 반으로 잘랐을 때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6 내지 도 8에서 나타낸 것처럼, 수초(10)의 뿌리는 부식(110)에 고정된다.
이때, 도 6 내지 도 8에서 나타낸 수초(10)는 어류의 치어 및 새우 등 작은 수생동물의 은신처가 될 수 있는 침수식물, 부엽식물, 부유식물, 추수식물 등 도입이 가능하며, 관상가치가 있는 물질경이 또는 눈여뀌바늘일 수 있다.
즉, 수초(10)는 수온, 광량, 키우는 물고기, 관상가치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수초(10)는 물속에서 광합성을 하여 물속에 산소를 공급하는 기능 외에 크기가 작은 수생식물은 물속에 사는 작은 어류 등 수생동물에게는 은신처를 제공한다.
또한, 크기가 큰 수초(10)는 물속의 특이한 경관을 창출하며, 그밖에 수생식물의 역할은 수중동물들의 활동과 번식에 여러 가지로 도움을 줌으로써 수중생태계를 건강하게 유지시키며, 수중 환경의 자정 작용(정화작용)을 하여 수족관내 생태계를 유지한다.
도 2 내지 도 8을 통해 구성된 수족관의 경우, 송사리, 버들붕어 등 우리나라 민물고기와 열대어 중 구피, 네온테트라 등을 키울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족관에 수질개선 시스템(100)이 적용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수질개선 시스템(100)은 규모, 크기 및 설치장소에 따라 저수지, 연못, 강 또는 아쿠아리움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래세척 및 물갈이의 횟수를 최소화하며, 부식과 다공성 재료를 투입함으로써, 물속의 질화세균 및 각종 세균량을 증가시켜 자연정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물속의 수초의 생장과 수질악화를 방지하여 물고기, 수생식물, 여과 박테리아, 미생물 등이 공존 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여 생물종 다양성을 공간을 만들어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양이온 교환능력의 증가로 수족관 또는 어항등에 직수로 새로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베이스(미도시), 베이스(미도시)의 테두리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측벽(H1), 상기 측벽(H1) 상단을 덮는 커버(H2) 및 상기 측벽(H1)과 상기 커버(H2)를 결합시키는 잠금수단(H3)을 포함하는 하우징(H)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커버(H2)는 상기 측벽(H1)의 상단이 형성하는 개구부를 덮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H)에서 측벽(H1)과 측벽(H1) 하단에 구비된 베이스는 본체를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한 기능 들을 수행하기 위해 통상의 인쇄회로기판, CPU, 램, 팬 등을 포함하는 컴퓨팅장치 등이 구비될 수 있는데, 평상 시에는 커버(H2)에 의해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상기 컴퓨팅장치 등을 보호하고, 유지보수 시에는 용이하게 커버(H2)와 측벽(H1)에 결합을 해제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상기한 잠금수단(H3)은 측벽(H1)과 커버(H2)를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잠금수단(H3)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잠금수단(H3)은 커버(H2)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끼움돌부(H31)와 측벽(H1) 상단에서 끼움돌부(H31)가 삽입되도록 하측으로 함몰 형성된 끼움홈(H32)을 포함한다.
도 9의 [C]와 같이, 끼움돌부(H31)가 끼움홈(H32)에 삽입된 상태에서 커버(H2)는 수평 이동이 제한되어 상기 개구부를 효과적으로 덮을 수 있다.
또한 잠금수단(H3)은 끼움홈(H32)에서 수평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걸림홈(H33)을 포함하고, 끼움돌부(H31)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함몰 형성된 수직관(H341), 끼움돌부(H31)의 측부에서 수평 방향 중 제1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수직관(H341)과 연통되는 수평관(H342)을 포함하는 유체관(H34)을 포함한다. 상기한 제1방향은 도 10에서 후술하는 제2방향(d2)에 반대되는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잠금수단(H3)은 수직관(H341)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피스톤(H35)과 수평관(H342)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피스톤(H37)을 포함할 수 있다. 유체관(H34), 제1피스톤(H35), 제2피스톤(H37)이 형성하는 공간에, 유체(예시적으로 공기 등)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잠금수단(H3)은 제1피스톤(H35)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가압부(H36)를 포함하고, 제2피스톤(H37)에서 상기 제1방항에 대하여 반대 방향인 제2방향(d2)을 따라 돌출되는 돌출부(H381)와 돌출부(H381)에서 하향 경사지게 제2방향(d2)으로 돌출되고 걸림홈(H33)에 삽입되는 경사부(H38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의 [A]에서 상태에서 제1피스톤(H35)은 자체 중량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여, 유압에 의해 제2피스톤(H37)은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이다. 이때 커버(H2)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도 9의 [C]와 같이 끼움돌부(H31)가 끼움홈(H32)에 삽입되면, 가압부(H36)가 끼움홈(H32)의 바닥에 눌려져 제1피스톤(H35)이 수직관(H341) 내부에서 상측으로 이동하고, 유체관(H34)의 유압에 의해 제2피스톤(H37)은 제2방향(d2)으로 이동하여 걸림부(H38)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걸림홈(H33)에 삽입된다.
이를 통해, 커버(H2)는 하측으로 이동하는 힘만을 통해, 측벽(H1)과 결합되는 데, 끼움돌부(H31) 및 끼움홈(H32)에 의해 측벽(H1)에 대하여 커버(H2)의 수평 이동이 제한되는 동시에, 걸림부(H38)의 적어도 일부가 걸림홈(H33)에 삽입되어 측벽(H1)에 대하여 커버(H2)의 상하 이동이 제한된다. 즉, 커버(H2)가 하측으로만 이동하였는데 측벽(H1)에 대하여 수평 이동 및 상하 이동이 제한되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상술하였듯이, 걸림부(H38)는 경사부(H382)를 포함한다고 하였는데, 정단면상에서 봤을 때(도 9 참조) 제2방향(d2)(도 9에서 좌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하향 경사진 것이다. 이를 통해 도 9의 [B]와 같이, 가압부(H36)가 끼움홈(H32)의 바닥에 의해 살짝 눌려져(끼움돌부(H31)가 끼움홈(H32)의 바닥에 닿지 않은 상태로 끼움홈(H32)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 걸림부(H38)가 제2방향(d2)으로 소정 거리 이동하여도 경사부(H382)와 끼움홈(H32)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끼움돌부(H31)가 보다 용이하게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경사부(H382)는 평면상에서 봤을 때(도 9를 상측에서 봤을 때) 제2방향(d2)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H382a)을 포함하고, 걸림홈(H33)은 걸림부(H38)와 걸림홈(H33)의 완전 걸림 상태에서, 일 측에서 상기 경사면(H382a)의 법선 방향을 따라 돌출 구비되는 가압편(H3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H2)가 상하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동되는 경우, 경사부(H382) 또한 상하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동하게 되는데, 예시적으로 경사부(H382)가 도 Y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가압편(H331)에 의해 눌러져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유체관(H34)의 유압에 의해 제1피스톤(H35)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끼움홈(H32)의 바닥을 밀게 되고 커버(H2)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측벽(H1)과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 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수초
100: 수질개선 시스템, 110: 부식,
120: 다공성 재료, 130: 양이온 여과기,
140: 온도 조절기, 150: 제어부

Claims (4)

  1. 하단면에 도포되는 부식;
    상기 부식의 상면에 도포되어 상기 부식과 물이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공성 재료;
    상기 부식을 통해 물속의 양이온을 치환시키기 위한 양이온 여과기;
    상기 물속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 조절기; 및
    상기 양이온 여과기 및 상기 온도 조절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베이스의 테두리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측벽(H1), 상기 측벽(H1) 상단을 덮는 커버(H2) 및 상기 측벽(H1)과 상기 커버(H2)를 결합하는 잠금수단(H3)을 포함하는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잠금수단(H3)은
    상기 커버(H2)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끼움돌부(H31);
    상기 측벽(H1) 상단에서 끼움돌부(H31)가 삽입되도록 하측으로 함몰 형성된 끼움홈(H32);
    상기 끼움홈(H32)에서 수평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걸림홈(H33);
    상기 끼움돌부(H31)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함몰 형성된 수직관(H341)과 끼움돌부(H31)의 측부에서 수평 방향 중 제1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수직관(H341)과 연통되는 수평관(H342)을 포함하는 유체관(H34);
    상기 수직관(H341)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피스톤(H35);
    상기 제1 피스톤(H35)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가압부(H36);
    상기 수평관(H342)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2피스톤(H37); 및
    상기 제2피스톤(H37)에서 상기 제1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인 제2방향(d2)을 따라 돌출되는 돌출부(H381)와 돌출부(H381)에서 하향 경사지게 제2방향(d2)으로 돌출되고 걸림홈(H33)에 삽입되는 경사부(H382)를 구비하는 걸림부(H38)를 포함하는 수질개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여과기는,
    상기 부식을 통한 양이온 치환 용량이 150me/100g 내지 300me/100g로 설정되며, 내부에 상기 다공성 재료를 포함하는 수질개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식 및 다공성 재료의 투입량은
    상기 물속의 양이온의 농도, 물의 유량 및 유속에 따라 조절되는 수질개선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식 및 다공성 재료의 투입량은,
    상기 물속의 양이온의 농도가 기준 농도보다 높거나, 물의 유량이 기준 유량보다 높거나, 상기 물의 유속이 기준 유속보다 빠른 경우, 증가되는 수질개선 시스템.
KR1020210038592A 2021-03-25 2021-03-25 관리가 용이한 수질개선 시스템 KR102391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592A KR102391646B1 (ko) 2021-03-25 2021-03-25 관리가 용이한 수질개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592A KR102391646B1 (ko) 2021-03-25 2021-03-25 관리가 용이한 수질개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1646B1 true KR102391646B1 (ko) 2022-04-27

Family

ID=81390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592A KR102391646B1 (ko) 2021-03-25 2021-03-25 관리가 용이한 수질개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64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5870A (ja) * 1991-10-25 1993-05-14 Yamato Giken Kk 鑑賞魚飼育用水処理装置
KR200227401Y1 (ko) * 2000-12-22 2001-06-15 이준덕 수족관용 바닥모래
KR20090091951A (ko) * 2008-02-26 2009-08-31 김원식 양이온 치환장치를 이용한 수족관
KR20130068387A (ko) * 2011-12-15 2013-06-26 (주)대영프로파일 식물재배장치
KR101479977B1 (ko) * 2013-09-26 2015-01-09 에프에이테크 주식회사 가정용 수족관 겸용 수경재배장치
KR101772814B1 (ko) * 2016-04-14 2017-08-30 부산외국어대학교 산학협력단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스마트 빌딩양식 통합 관제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5870A (ja) * 1991-10-25 1993-05-14 Yamato Giken Kk 鑑賞魚飼育用水処理装置
KR200227401Y1 (ko) * 2000-12-22 2001-06-15 이준덕 수족관용 바닥모래
KR20090091951A (ko) * 2008-02-26 2009-08-31 김원식 양이온 치환장치를 이용한 수족관
KR20130068387A (ko) * 2011-12-15 2013-06-26 (주)대영프로파일 식물재배장치
KR101479977B1 (ko) * 2013-09-26 2015-01-09 에프에이테크 주식회사 가정용 수족관 겸용 수경재배장치
KR101772814B1 (ko) * 2016-04-14 2017-08-30 부산외국어대학교 산학협력단 발전소 온배수를 이용한 스마트 빌딩양식 통합 관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5981B2 (en) Aquarium cleaning system
KR100818912B1 (ko) 수생초목을 이용한 오수의 자연고도 정화장치
WO2012108456A1 (ja) 二枚貝等の底棲生物の多段式養殖装置及び養殖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バイオフィルター
KR102213378B1 (ko) 아쿠아포닉스 장치
KR102258856B1 (ko) 어류사육과 채소작물을 동시 얻기 위한 순환시스템의 적용방법
JP2007209969A (ja) 水中設置型植物栽培容器体
JP2002102880A (ja) 水系生息環境の管理方法および水系生息環境の管理システム
KR102226453B1 (ko) 아쿠아포닉스 복합 재배장치
KR200462881Y1 (ko) 수족관이 결합된 수경재배 정원
KR102391646B1 (ko) 관리가 용이한 수질개선 시스템
US10264767B2 (en) Multi-level apartment type three-dimensional water tank
Hussan et al. Common problems in aquaculture and their preventive measures
KR20220057698A (ko) 무환수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
KR100264091B1 (ko) 수상식물 재배장치
EP1968521B1 (de) Verfahren zur aufbereitung von salzwasser und salzwasser-anlage
CN1199559C (zh) 自然生态水族箱及其建置方法
CN213756281U (zh) 一种分散式循环水高密度工厂化淡水养殖的装置
KR100784634B1 (ko) 수생식물을 이용한 연못물의 여과방법
Sarkar et al. Importance of Soil and Water Quality Management in Freshwater Aquaculture with Special Reference to Catfish Farming
US9771289B2 (en) Water cleaning system, water cleaning method, startup method for water cleaning system, and water cleaning unit
KR20090091951A (ko) 양이온 치환장치를 이용한 수족관
JPS607955B2 (ja) 水生植物を利用した水質浄化方法
CN105307485A (zh) 水净化系统、水净化方法、水净化系统的启动方法以及水净化单元
JPH0351479B2 (ko)
KR101483612B1 (ko) 수경재배 시스템이 장착된 다층식 아파트형 입체수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