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1269B1 -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의 동적 스위칭 - Google Patents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의 동적 스위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1269B1
KR102391269B1 KR1020177003761A KR20177003761A KR102391269B1 KR 102391269 B1 KR102391269 B1 KR 102391269B1 KR 1020177003761 A KR1020177003761 A KR 1020177003761A KR 20177003761 A KR20177003761 A KR 20177003761A KR 102391269 B1 KR102391269 B1 KR 102391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t
channel quality
multiple access
wireless communication
beamforming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3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1744A (ko
Inventor
정호 류
순다르 수브라마니안
준이 리
애시윈 삼파스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41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1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space frequency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15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04L27/2634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in combination with other circuits for modulation
    • H04L27/2636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in combination with other circuits for modulation with FFT or DFT modulators, e.g. standard single-carrier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transmitter or DFT sprea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DFT-SOFD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4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using feedback from receiver for adjusting OFDM transmission parameters, e.g. transmission timing or guard interval 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97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in combination with other modulation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2011/0003Combination with other multiplexing techniques
    • H04J2011/0009Combination with other multiplexing techniques with FDM/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의 동적 스위칭을 위한 방법들, 시스템들, 및 장치들이 기재되어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무선 통신 채널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특성들이 식별될 수 있고, 그리고 무선 통신 채널에서의 통신에 사용된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이 식별된 복수의 특성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동적으로 스위칭될 수 있고,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OFDMA) 및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SC-FDMA)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의 동적 스위칭{DYNAMIC SWITCHING BETWEEN WIRELESS MULTIPLE ACCESS SCHEMES}
교차 참조
본 특허 출원은, 발명의 명칭이 "Dynamic Switching Between Wireless Multiple Access Schemes"이고 2014년 8월 12일에 출원되고, 양수인에게 양도된 Ryu 등에 의한 미국 특허 출원 No. 14/457,748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개시의 분야
하기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의 동적 스위칭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음성, 비디오, 패킷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통신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전개된다. 이들 시스템들은 가용의 시스템 리소스들 (예를 들면, 시간, 주파수, 및 전력) 을 공유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액세스 방식들일 수 있다. 이러한 다중 액세스 시스템들의 예들은 코드분할 다중 접속 (CDMA) 시스템들, 시분할 다중 접속 (TDMA)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FDMA) 시스템들 (단일 캐리어 FDMA (SC-FDMA) 를 포함), 및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OFDMA)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다중 액세스 방식은 어떤 상황에서 특정 다중 액세스 방식이 이용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소정의 특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작은 송신 대역폭을 갖는 일부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서, OFDMA는, 단일의 원래의 송신된 신호의 반사 및 굴절에 대응하는 관찰된 에코와 같은 열악한 채널 조건들에 대한 복원력 및 상대적으로 높은 스루풋 때문에, 기지국으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다운링크 송신에 사용된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낮은 피크 대 평균 전력비 (peak to average power ratio; PAPR) 특성 때문에 SC-FDMA는 이동 디바이스로부터 기지국으로의 대응하는 업링크 송신에 사용될 수 있다. 특정 링크에 사용되는 다중 액세스 방식의 유형은 통상적으로 이러한 시스템에 대해 고정되어 있으며 동작 중에 변경되지 않는다.
요약
설명된 특징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서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 간을 동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개선된 시스템, 방법 및/또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는 무선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특성을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특성에 기초하여 둘 이상의 상이한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예컨대 SC-FDMA 및 OFDMA) 간을 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어떤 경우들에서는, 특성은 다수의 상이한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에 대해 식별될 수 있고,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의 선택은 통신을 위해 선택된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에 대응하는 특성에 의존할 수 있다. 각각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에 대해 식별된 특성(들)은 채널 품질 측정, 빔 폭 (beam width)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은, 무선 통신 채널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의 개개의 수에 대응하는 다수의 특성들을 식별하는 단계, 및 식별된 특성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무선 통신 채널에서의 통신에 사용하기 위해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을 동적으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OFDMA) 및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SC-FDMA) 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는, 무선 통신 채널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의 개개의 수에 대응하는 다수의 특성들을 식별하는 수단, 및 식별된 특성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무선 통신 채널에서의 통신에 사용하기 위해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을 동적으로 스위칭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OFDMA) 및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SC-FDMA) 를 포함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기재된다.
또한, 무선 통신을 위한 또 다른 장치가 설명되며, 이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하는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들을 포함한다. 명령들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무선 통신 채널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의 개개의 수에 대응하는 다수의 특성들을 식별하게 하고, 그리고 식별된 특성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무선 통신 채널에서의 통신에 사용하기 위해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을 동적으로 스위칭하게 하는 것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OFDMA) 및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SC-FDMA) 를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가 설명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무선 통신 채널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의 개개의 수에 대응하는 다수의 특성들을 식별하게 하고, 그리고 식별된 특성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무선 통신 채널에서의 통신에 사용하기 위해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을 동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 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OFDMA) 및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SC-FDMA) 를 포함한다.
방법, 장치, 및/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일부 예들에서,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이 이용되는 것은 통신을 위해 선택되는 복수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의 복수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에 대응하는 개개의 특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각각의 개개의 특성은 송신 또는 수신 빔 폭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개개의 채널 품질 결정 신호는 변화하는 송신 및/또는 수신 빔 폭들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에 송신되어 어느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이 통신에 사용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통신을 위해 OFDMA를 사용할지 또는 SC-FDMA를 사용할지의 여부는, 하나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에 대응하는 특성이 미리결정된 임계치보다 큰지 또는 작은지 여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채널 품질 결정 신호는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의 각각의 개개의 쌍에 송신될 수 있고,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개개의 채널 품질 측정치는 수신될 수 있으며, 그리고 통신을 위해 OFDMA를 사용할지 또는 SC-FDMA를 사용할지 여부는 수신된 채널 품질 측정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채널 품질 결정 신호들은 다수의 상이한 주파수들을 사용하여 동시에 또는 유사한 주파수를 사용하는 상이한 시간에 송신될 수 있다. 채널 품질 측정치는 신호 세기, 신호 대 간섭 및 잡음비 (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SINR), 패킷 에러 레이트, 지연 스프레드, 또는 사용자 장비 (UE) 에서 관찰된 에코의 수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통신에 OFDMA가 사용될 것인지 또는 SC-FDMA가 사용될 것인지의 표시가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예들에서, 특성들이 모니터링될 수 있고, 사용된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은 모니터링된 특성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계속해서 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의 하나 이상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채널 품질 결정 신호들이 수신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채널 품질 측정치가 결정될 수 있으며, 채널 품질 측정치는 개개의 채널 품질 결정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다. 결정된 채널 품질 측정치들이 더 송신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채널에서의 통신을 위해 OFDMA를 사용할지 또는 SC-FDMA를 사용할지 여부의 결정은 결정된 채널 품질 측정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채널 품질 결정 신호는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의 각각에 대해 송신될 수 있고, 무선 통신 채널의 특성들이 수신될 수 있으며, 각각의 특성들은 송신된 채널 품질 결정 신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개개의 채널 품질 측정치를 포함하고, 그리고 수신된 특성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통신에 OFDMA를 사용할지 또는 SC-FDMA를 사용할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무선 통신 채널은 밀리미터 파장 무선 주파수 채널일 수 있다. 또한, 송신기는 특성을 수신할 수 있고 무선 통신 채널에서 통신을 위해 OFDMA를 사용할지 또는 SC-FDMA를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예들에서,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의 각각은, 빔 형성 신호가 송신기로부터 전파하는 송신기의 배향에 대한 송신 빔 형성 방향과 또한 빔 형성 신호가 수신되는 수신기의 배향에 대한 수신 빔 형성 방향을 포함한다.
기재된 방법들 및 장치들의 적용가능성의 추가 범위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 청구항들 및 도면들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예들은 단지 예시로서만 주어지는데, 이는 기재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이하, '통상의 기술자' 라 함) 에게 자명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성질 및 이점들의 추가 이해는 하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현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유사 컴포넌트들 또는 피쳐들은 동일한 참조 라벨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동일한 종류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하기 점선에 의한 레퍼런스 라벨과 유사 컴포넌트들 중에서 구별되는 제 2 라벨에 의해 구별될 수도 있다. 제 1 레퍼런스 라벨만이 명세서에서 사용된다면, 제 2 레퍼런스 라벨과 무관하게 동일한 제 1 레퍼런스 라벨을 갖는 유사 컴포넌트들 중 어느 것에 대해 기재가 적용가능하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물의 양태들에 따라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을 동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물의 양태들에 따라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을 동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물의 양태들에 따라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을 동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물의 양태들에 따라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을 동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물의 양태들에 따라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을 동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물의 양태들에 따라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을 동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기지국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물의 양태들에 따라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을 동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사용자 장비 (UE) 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물의 양태들에 따라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을 동적으로 스위칭하는 것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물의 양태들에 따라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을 동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은 본 개시물의 양태들에 따라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을 동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2는 본 개시물의 양태들에 따라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을 동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을 동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개선된 시스템, 방법 및/또는 장치에 관한 특징들이 설명된다. 이하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는 무선 통신 채널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특성들을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특성들에 기초하여 둘 이상의 상이한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예컨대 SC-FDMA 및 OFDMA) 간을 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어떤 경우들에서는, 특성은 다수의 상이한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에 대해 식별될 수 있고,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의 선택은 통신을 위해 선택된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에 대응하는 특성에 의존할 수 있다. 각각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에 대해 식별된 특성(들)은 채널 품질 측정, 빔 폭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하기 설명은 예들을 제공하며, 범위, 응용가능성, 또는 청구항에 제시된 구성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개시물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논의된 엘리먼트들의 기능 및 배열에서 변화들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적절한 경우 다양한 절차들 또는 컴포넌트들을 생략, 치환 또는 부가할 수도 있다. 가령, 기재된 방법들은 기재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다양한 단계들이 부가, 생략,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소정의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기재된 피쳐들은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 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라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의 동적 스위칭을 위한 시스템 (100) 의 일례를 나타낸다. 시스템 (100) 은 기지국들 (105), 통신 디바이스들 (115), 예컨대 사용자 장비 (UE) 디바이스들 (115), 및 코어 네트워크 (130) 를 포함한다. 기지국들 (105) 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코어 네트워크 (130) 또는 기지국들 (105) 의 부분일 수도 있는 기지국 제어기 (미도시) 의 제어 하에, UE들 (115) 과 통신할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5) 은 백홀 링크들 (132) 을 통해서 제어 정보 및/또는 사용자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 (130) 와 통신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기지국들 (105) 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들 일 수도 있는, 백홀 링크들 (134) 을 통해서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시스템 (100) 은 다중 반송파들 (상이한 주파수들의 파형 신호들) 에 대한 동작을 지원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링크 (125) 는 다양한 무선 기술들에 따라 변조될 수도 있다. 각각의 변조된 신호는 제어 정보 (예를 들어, 참조 신호들, 제어 채널들 등), 오버헤드 정보, 데이터 등을 반송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기지국들 (105) 및/또는 UE들 (115) 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수신기, 스위칭 모듈, 및 송신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5) 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 안테나들을 통해 UE들 (115) 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기지국 (105) 사이트들의 각각은 각각의 지리적 지역 (110) 에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기지국들 (105) 은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 무선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무선 트랜시버, 기본 서비스 세트 (BSS), 확장형 서비스 세트 (ESS), NodeB, eNodeB (eNB), 홈 NodeB, 홈 eNodeB, 또는 일부 다른 적합한 용어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기지국에 대한 커버리지 지역 (110) 은 커버리지 지역의 부분만을 구성하는 섹터들로 분할될 수도 있다. 시스템 (100) 은 상이한 유형의 기지국들 (105) (예를 들어, 매크로, 마이크로, 및/또는 피코 기지국들)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이한 기술들에 대한 중첩하는 커버리지 영역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
시스템 (100) 은, 상이한 유형들의 기지국들 (105) 이 여러 지리적 영역들에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이종 (Heterogeneous) 롱 텀 에볼루션 (LTE)/LTE-A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기지국 (105) 은 매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및/또는 다른 타입들의 셀에 대하여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매크로 셀은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큰 지리적 영역 (예를 들어, 반경이 수 킬로미터) 을 커버하고, 네트워크 제공자로의 서비스 가입들을 갖는 디바이스들에 의한 제한없는 액세스를 허여할 수도 있다. 피코 셀은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더 작은 지리적 영역을 커버할 것이고, 네트워크 제공자로의 서비스 가입들을 갖는 디바이스들에 의한 제한없는 액세스를 허여할 수도 있다. 펨토 셀은 또한, 상대적으로 작은 지리적 영역 (예를 들어, 홈) 을 커버할 것이고, 제한없는 액세스에 부가하여, 펨토 셀과의 연관을 갖는 디바이스들에 의한 제한된 액세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시스템 (100) 은, 상이한 기지국들 (105) 이 상이한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할 수 있고, 및/또는 단일 기지국 (105) 이 복수의 상이한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종일 수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기지국 (105) 은 LTE 기술을 사용할 수있는 반면, 다른 기지국들은 802.11n Wi-Fi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 (130) 는 백홀 링크들 (132) (예컨대, S1 등) 를 통해 기지국들 (105) 과 통신할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5) 은 또한, 백홀 링크들 (134) (예를 들어, X2 등) 을 통해서 및/또는 백홀 링크들 (132) 을 통해서 (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 (130) 를 거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시스템 (100) 은 동기식 또는 비동기식 동작을 지원할 수도 있다. 동기식 동작을 위해, 기지국들은 유사한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도 있고, 상이한 기지국들로부터의 송신들은 시간상 대략적으로 정렬될 수도 있다. 비동기식 동작을 위해, 기지국들은 상이한 프레임 타이밍을 가질 수도 있고, 상이한 기지국들로부터의 송신들은 시간상 대략적으로 정렬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원에서 설명된 기법들은 동기식 또는 비동기식 동작들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UE (115) 는 또한 이동국,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무선 유닛, 원격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원격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국, 액세스 단말, 모바일 터미널, 무선 단말, 원격 단말, 핸드셋, 사용자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일부 다른 적합한 전문용어로서 당업자들에 의해 지칭될 수도 있다. UE (115) 는 셀룰러 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디바이스, 핸드헬드 디바이스, 랩톱 컴퓨터, 무선 전화, 무선 로컬 루프 (WLL) 스테이션 등일 수도 있다.
시스템 (100) 에 도시된 무선 통신 링크 (125) 는 UE (115) 로부터 기지국 (105) 으로의 업링크 (UL) 송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UE (115) 는 송신기로서 동작하고 기지국 (105) 은 수신기로서 동작한다. 무선 통신 링크들 (125) 은 또한 기지국 (105) 으로부터 UE (115) 로의 다운링크 (DL) 송신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기지국은 송신기로서 동작하고 UE는 수신기로서 동작한다. 따라서, 기지국들 (105) 및 UE들 (115) 모두는 데이터 송신의 방향에 따라 송신기 및 수신기 양자 모두로서 동작할 수 있다. DL 송신은 순방향 링크 전송이라 할 수 있는 반면, UL 송신은 역방향 링크 송신이라 할 수 있으며, DL 및 UL 송신은 각각 무선 통신 채널에서의 무선 통신의 예이다.
상이한 무선 주파수 (RF) 대역은 도 1의 시스템 (100) 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각각은 다른 무선 기술보다 UL 및/또는 DL 송신에 더 적합한 하나의 유형의 무선 기술을 이용하는 특정 특성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밀리미터 파장 RF 대역 (20 내지 300 GHz 일 수 있음) 은 다른 RF 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경로 손실 및 상대적으로 짧은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밀리미터 파장의 RF 채널들에서의 경로 손실 및 단거리를 보상하기 위해, UL 및/또는 DL 송신들에 빔 형성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로써 송신기는 안테나 어레이를 사용하여 송신기 방위에 대한 하나 이상의 특정 공간 방향들에서 RF 신호를 송신한다. 송신 빔 형성 기술은 RF 신호가 에너지의 협소한 빔 (들) 을 형성하게 하고, RF 신호가 이들 방향으로 더 멀리 전파되도록 한다. 유사하게, 빔 형성은 수신기 방위에 대한 하나 이상의 특정 수신 공간 방향들에서 약한 신호들을 수집하기 위해 수신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송신 및 수신 빔 형성 기술들은 제곱 평균 제곱근 (RMS) 지연 스프레드를 감소시키고, 관찰된 "에코"의 수 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빔 포밍 기술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밀리미터 파장 스펙트럼에서의 NLOS (non-line of sight) RF 통신은 UE (115) 에 도달하기 위해 빔들의 반사 및/또는 회절에 의존할 수도 있다. 방향이 차단되면, UE (115) 움직임 또는 환경 변화로 인해, 빔은 UE (115) 에 도달할 수 없을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가능한 한 양호한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상이한 방향으로 다수의 빔이 이용가능하게 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 (105-a) 이 빔 형성을 이용하여 특정 UE (115-a) 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기지국 송신기는 UE (115-a) 와의 통신 (예를 들어, 송신 및/또는 수신) 을 위해 하나 이상의 상이한 빔들 (140) 을 이용할 수도 있다. 각각의 빔 (140) 은, 송신 빔 형성 방향 및 수신 빔 형성 방향을 포함할 수 있는,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과 관련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통신을 위해 사용하는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은 빔 탐색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고, 이로써 다수의 상이한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 (및 선택적으로 상이한 빔 폭들) 이 송신기와 수신기 간의 통신에 대한 그 적합성을 위해 평가된다. 무선 통신 채널의 각각의 후보 빔 (140) 은, 송신 빔 형성 방향, 수신 빔 형성 방향, 빔 폭, 채널 품질 측정치 (예를 들어, 신호 세기, 신호 대 간섭 및 잡음비 (SINR), 패킷 에러 레이트, 지연 스프레드, 관찰된 에코의 수 등) 와 같은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특성들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후보 빔들 (140) 의 각각의 수 및 이들과 관련된 송신 및 수신 빔 형성 방향들에 대응하는 다수의 특성들이 식별될 수 있고, 송신기 및 수신기는 식별된 특성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무선 통신 채널에서의 통신에 사용하기 위해 무선 액세스 방식들 (예를 들어, SC-FDMA, OFDMA 등) 을 동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특성은 빔 탐색 중에 또는 빔 탐색과 별도로 식별될 수 있다.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은, 특정 통신 또는 통신 세트를 위해 선택되는 복수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에 대응하는 개객의 특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어느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을 사용할지의 결정은, 선택된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에 대응하는 특성이 미리결정된 임계치보다 큰지 또는 작은지 여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성이 송신 빔 폭 (또는 수신 빔 폭, 또는 송신 및 수신 빔 폭들 모두) 인 경우, 빔(들)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 폭보다 작다면 하나의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 (예를 들어, SC-FDMA) 이 사용될 수 있는 반면, 빔(들)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 폭보다 크다면 또 다른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 (예를 들어, OFDMA) 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특성이 채널 품질인 경우, 채널 품질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크다면 하나의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 (예를 들어, SC-FDMA) 이 사용될 수 있는 한편, 채널 품질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작다면 또 다른 다중 액세스 방식 (예를 들어, OFDMA) 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2개 이상의 특징들의 조합은, 특정 통신에 대해 어느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이 사용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어떤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을 사용할 것인지의 결정은 채널의 특성(들) 및 이용 가능한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의 유형 모두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C-FDMA는 상대적으로 낮은 피크 대 평균 전력비 (PAPR) 를 가질 수 있고, 더 높은 전력 효율을 달성하기 위해, 더 높은 PAPR을 갖는 OFDMA보다 일반적으로 선호될 수 있다. SC-FDMA와 OFDMA 사이의 PAPR 차이는, 통신 대역폭이 밀리미터 파장 RF 대역과 같이 상대적으로 클 때 특히 클 수 있다. 한편, OFDMA는, 그 높은 PAPR 에도 불구하고, 빔이 충분히 넓고 및/또는 채널 품질이 충분히 낮으면, OFDMA가 비선형 왜곡을 보상할 수 있고 보다 큰 RMS 지연 스프레드 및/또는 보다 많은 수의 에코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서, SC-FDMA는, 빔 폭(들)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작고/작거나 채널 품질이 선택된 빔에 대한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양호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반면, OFDMA는, 빔 폭(들)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크고/크거나 채널 품질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나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라 도 1의 시스템 (100) 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에서 사용하기 위한 장치 (205) 의 블록도 (200) 를 도시한다. 장치 (205) 는 도 1의 시스템 (100) 에서 기지국 (105) 또는 UE (115) 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장치 (205) 는 수신기 모듈 (210), 스위칭 모듈 (215), 및 송신기 모듈 (220)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장치 (205) 는 또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컴포넌트들의 각각은 서로와 통신할 수도 있다.
장치 (205) 의 컴포넌트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적용가능한 기능들의 일부 또는 모두를 하드웨어에서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들 상에서 하나 이상의 다른 프로세싱 유닛들 (또는 코어들)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다른 유형의 집적 회로들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구조화된/플랫폼 ASIC들,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들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및 다른 반주문형 (Semi-Custom) IC들), 이들은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방식으로 프로그래밍될 수도 있다. 각각의 유닛의 기능들은 또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하나 이상의 일반적인 또는 주문형 (application-specific)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포맷된, 메모리에서 실현되는 명령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수신기 모듈 (210) 은 패킷들, 사용자 데이터 및/또는 다양한 정보 채널들 (예를 들어, 제어 채널들, 데이터 채널 등) 과 관련된 제어 정보와 같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정보는 스위칭 모듈 (215) 및 장치 (205) 의 다른 컴포넌트들로 전달될 수 있다. 장치 (205) 가 기지국 (105) 인 경우, 수신기 모듈 (210) 은, UE (115) 에 송신되어야 할 도 1의 코어 네트워크 (130) 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대안으로, 장치 (205) 가 UE (115) 인 경우, 수신기 모듈 (210) 은 기지국 (105) 과 결국 코어 네트워크 (130) 로 전송될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송신기 모듈 (220) 은 장치 (205) 의 다른 컴포넌트들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송신기 모듈 (220) 은 송수신기 모듈에서의 수신기 모듈 (210) 과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장치 (205) 가 기지국 (105) 인 경우, 송신기 모듈 (220) 은 도1의 코어 네트워크 (130) 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UE (115) 로 송신할 수 있다. 대안으로, 장치 (205) 가 UE (115) 인 경우, 송신기 모듈 (220) 은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지국 (105) 에 송신할 수 있으며, 기지국 (105) 은 결국 그 데이터를 코어 네트워크 (130) 에 송신할 수 있다.
스위칭 모듈 (215) 은 도 2의 장치 (205) 의 송신기 모듈 (220) 과 다른 장치의 수신기 모듈 사이, 또는 다른 장치의 송신기 모듈과 도 2의 장치 (205) 의 수신기 모듈 (210) 사이의 무선 통신 채널을 위한 개개의 송신 및 수신 빔 형성 방향과 다수의 후보 빔들 (140) 각각에 대응하는 다수의 특성들을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스위칭 모듈 (215) 은 장치 (205) 의 다른 컴포넌트들 또는 장치 (205) 의 외부로부터 특성을 수신함으로써 특성을 식별할 수 있는 반면, 다른 실시형태에서, 스위칭 모듈 (215) 은 특성 그 자체를 측정 또는 계산함으로써 특성을 식별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스위칭 모듈 (215) 은 식별된 특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무선 통신 채널에서의 통신에 사용하기 위해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 (예컨대, SC-FDMA 및 OFDMA) 간을 동적으로 스위칭하도록 또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무선 통신 채널 내의 소정의 통신에 대하여, 스위칭 모듈 (215) 의 기능들은 송신기 (예를 들어, 기지국 (105) 또는 UE (115)) 에 배치된 단일 스위칭 모듈 (215) 에 의해 수신기 (예를 들어, UE (115) 또는 기지국 (105)) 에 배치된 단일 스위칭 모듈 (215) 에 의해, 또는 송신기와 수신기 양자에 배치된 스위칭 모듈 (215) 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기지국 (105) 과 같은 송신기는 특성들을 식별할 수 있고, 그리고 식별된 특성들에 적어도 기초하여 무선 통신 채널에서 통신을 위해 OFDMA를 사용할지 또는 SC-FDMA를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송신기는 상술된 빔 탐색에 기초하여 송신 및/또는 수신 빔 폭을 식별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의도된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채널 품질 측정치에 기초하여 채널 품질 특성을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UE (115) 와 같은 수신기는 특성들을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특성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OFDMA를 사용할지 또는 SC-FDMA를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수신기는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및/또는 수신 빔 폭을 식별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채널 품질 결정 신호에 기초하여 채널 품질 특성을 식별할 수 있다. 어느 예에서, 어느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이 사용될 것인지를 결정하는 엔티티 (예를 들어, 송신기 또는 수신기) 는 결정을 내리기 위해 사용된 데이터 및/또는 결정을 다른 엔티티에 통신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시스템 (100) 을 다시 참조하면, UL 및 DL 통신 모두가 고려되는, 즉 시스템 (100) 이 양방향 통신 시스템인 동안, 일부 실시형태에서, 스위칭 모듈 (215) 의 기능은 UL 또는 DL 통신들 중 하나만을 위해 단지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부 실시형태에서, 통신에 사용되는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이 UL 또는 DL 통신에 대해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지만, 다른 유형의 통신에 사용되는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은 동적으로 변경되지 않을 수 있으며, 대신에 영구적으로 또는 반영구적으로 변결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UL 및 DL 통신 모두에 사용되는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라 도 1의 시스템 (100) 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에서 사용하기 위한 장치 (205-a) 의 블록도 (300) 를 도시한다. 도 3의 장치 (205-a) 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기지국들 (105) 또는 UE들 (115)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도 3의 장치 (205-a) 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장치 (205) 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의 일례일 수 있고, 도 2를 참조하여 전술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장치 (205-a) 는 수신기 모듈 (210-a), 스위칭 모듈 (215-a), 및 송신기 모듈 (220-a) 을 포함한다. 장치 (205-a) 는 또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컴포넌트들의 각각은 서로와 통신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기 모듈 (210-a) 은 채널 품질 신호 측정 모듈 (305) 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송신기 모듈 (220-a) 은 채널 품질 신호 생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스위칭 모듈 (215-a) 은 채널 특성 모듈 (310), 선택 모듈 (315) 및 모니터링 모듈 (32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수신기 모듈 (210-a) 은 도 2의 수신기 모듈 (210) 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의 일례일 수 있고, 도 3의 스위칭 모듈 (215-a) 은 도 2의 스위칭 모듈 (215) 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의 일례일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도 3의 송신기 모듈 (220-a) 은 도 2의 송신기 모듈 (220) 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의 일례일 수 있다.
장치 (205-a) 의 컴포넌트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적용가능한 기능들의 일부 또는 모두를 하드웨어에서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들 상에서 하나 이상의 다른 프로세싱 유닛들 (또는 코어들)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다른 유형의 집적 회로들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구조화된/플랫폼 ASIC들,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들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및 다른 반주문형 (Semi-Custom) IC들), 이들은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방식으로 프로그래밍될 수도 있다. 각각의 유닛의 기능들은 또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하나 이상의 일반적인 또는 주문형 (application-specific)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포맷된, 메모리에서 실현되는 명령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채널 품질 신호 측정 모듈 (305) 은 하나 이상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 (후보 빔 (40) 과 관련된 각각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 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채널 품질 결정 신호들을 수신하고, 그리고 하나 이상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채널 품질 측정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채널 품질 측정치는 개개의 채널 품질 결정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다. 채널 품질 측정치는, 예를 들어,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채널 이득의 추정치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채널 품질 측정은, 제로 포싱 (zero-forcing) 또는 최소 평균 제곱 에러 (minimum mean squared error; MMSE) 등화가 사용될 것으로 가정될 수 있다. 채널 품질 신호 측정 모듈 (305) 은 (아래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수신기 모듈 (210-a) 에 데이터를 송신할 송신기의 채널 품질 신호 생성 모듈 (325) 에 의해 송신된 채널 품질 결정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몇몇 경우에, 채널 품질 신호 측정 모듈 (305) 은,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이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는 통신들을 수신하는, 장치들에 대한 수신기 모듈 (210) 에서만 포함된다.
채널 품질 측정치는 신호 세기, 신호 대 간섭 및 잡음비 (SINR), 패킷 에러 레이트, 지연 스프레드, 또는 수신기에서 관찰된 에코의 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채널 품질 신호 측정 모듈 (305) 은 예를 들어 송신기에서의 수신기 모듈 (210) 에 (예를 들어, 송신기 모듈 (220-a) 을 통해) 결정된 채널 품질 측정치를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결정된 채널 품질 측정치들 모두가 송신되는 반면, 다른 실시형태들에서는, 최상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 및 빔 폭일 가능성이 있는 것에 대응하는 것과 같이, 결정된 채널 품질 측정치의 서브세트 만이 송신된다.
여전히 도 3을 참조하면, 채널 품질 신호 생성 모듈 (325) 은, 선택적으로 각 방향에 대해 하나 이상의 상이한 빔 폭들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수신기들에 다수의 송신 빔 형성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채널 품질 결정 신호들를 형성하고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채널 품질 결정 신호들은, 예를 들어 OFDM 파일럿 톤들의 공지된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채널 품질 결정 신호들은 대응하는 수신기의 채널 품질 신호 측정 모듈 (305) 에 의해 수신될 수 있으며,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에 대응하는 개개의 채널 품질 측정치들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은 결국 어느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이 무선 통신 채널에서 통신을 위해 사용될 것인지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채널 품질 신호 생성 모듈 (325) 은 통신에 사용되는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을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송신기 모듈 (220) 에만 포함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채널 품질 신호 생성 모듈 (325) 은 다수의 상이한 주파수들을 사용하여 다수의 송신 빔 형성 방향들로 채널 품질 결정 신호를 동시에 송신할 수 있는 반면, 다른 실시형태에서, 채널 품질 신호 생성 모듈 (325) 은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여 상이한 시간들에서 상이한 송신 빔 형성 방향들에 대한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채널 품질 신호 생성 모듈 (325) 은, 가변하는 빔 폭들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송신 빔 형성 방향들에서 채널 품질 결정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제, 스위칭 모듈 (215-a) 의 컴포넌트들로 돌아가면, 채널 특성 모듈 (310) 은, 송신 및/또는 수신 빔 형성 방향, 빔 폭, 채널 품질 등을 포함하여, 통신에 이용하기 위한 다수의 후보 빔들 (140) 에 관한 특성을 수신, 결정, 저장 및/또는 송신할 수 있다.
선택 모듈 (315) 은,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과 선택적으로 통신을 위해 선택된 빔 폭에 대응하는 개개의 특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OFDMA를 사용할지 또는 SC-FDMA를 사용할지 또는 다른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 (동작 동안 OFDMA 또는 SC-FDMA 또는 다른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의 사용 사이의 동적 스위칭을 포함) 을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 모듈 (315) 은, 채널 품질 신호 측정 모듈 (305) 에 의해 결정된 채널 품질 측정치를 포함하여, 채널 품질 측정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OFDMA 또는 SC-FDMA 또는 다른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을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소정의 통신을 위한 송신기는 선택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데이터가 송신되어야 하는 수신기의 채널 품질 신호 측정 모듈 (305) 에 의해 송신기로 송신된 채널 품질 측정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OFDMA를 사용할지 또는 SC-FDMA를 사용할지 또는 다른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을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수신기는 채널 품질 신호 측정 모듈 (305) 및 선택 모듈 (315) 을 모두 포함하고, 따라서 수신기는 채널 품질 측정치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OFDMA, SC-FDMA, 또는 다른 방식을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그리고 그 결정을 송신기로 송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선택 모듈 (315) 은 빔 폭 특성, 또는 빔 폭 특성과 채널 품질 측정치의 조합에 기초하여 통신을 위해 어느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을 사용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선택 모듈 (315) 은, 무선 통신 채널에서 통신을 위해 어느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이 이용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예를 들어, 채널 품질 및/또는 빔 폭의 송신 및/또는 수신에 관련된 하나 이상의 임계치를 사용할 수 있다.
선택 모듈 (315) 은 또한 예를 들어 도 1의 시스템 (100) 의 UE (115) 또는 기지국 (105) 으로의 통신에 어떤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이 사용될 것인지에 대한 결정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정은, 예를 들어, 송신 프레임에 알려진 프리픽스 (prefix) 를 첨부하거나, 송신 프레임 내의 알려진 비트를 설정하는 등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모니터링 모듈 (320) 은 하나 이상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에 대응하는 (채널 품질과 같은) 하나 이상의 특성들을 모니터링하고, 그리고 선택 모듈에 정보를 제공하여, 모니터링된 특성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의 동적 스위칭을 계속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라 도 1의 시스템 (100) 에 있어서의 무선 통신에서 사용하기 위한 스위칭 모듈 (215-b) 의 블록도 (400) 를 도시한다. 스위칭 모듈 (215-b) 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기재된 스위칭 모듈 (215) 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의 일례일 수 있고,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전술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스위칭 모듈 (215-b) 은 채널 특성 모듈 (310-a), 선택 모듈 (315-a) 및 모니터링 모듈 (320-a) 을 포함하고, 이것은 도 3에 도시된 대응하는 모듈들 (310, 315, 320) 의 예일 수도 있고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의 스위칭 모듈 (215-b) 의 컴포넌트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하드웨어에서의 적용가능한 기능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으로,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들 상에서 하나 이상의 다른 프로세싱 유닛들 (또는 코어들)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다른 유형의 집적 회로들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구조화된/플랫폼 ASIC들,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들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및 다른 반주문형 (Semi-Custom) IC들), 이들은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방식으로 프로그래밍될 수도 있다. 각각의 유닛의 기능들은 또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하나 이상의 일반적인 또는 주문형 (application-specific)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포맷된, 메모리에서 실현되는 명령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채널 특성 모듈 (310-a) 은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서브 모듈 (405), 빔 폭 서브 모듈 (410) 및 채널 품질 서브 모듈 (415) 을 더 포함한다.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서브 모듈 (405)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140) 의) 하나 이상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에 대응하는 빔 형성 가중치 및/또는 방향을 수신, 결정, 저장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빔 폭 서브 모듈 (410) 은 하나 이상의 후보 빔들 및/또는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들에 대응하는 빔 폭들을 수신, 결정, 저장 및/또는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채널 품질 서브 모듈 (415) 은 도 3의 채널 품질 신호 측정 모듈 (305) 에 의해 수신된 채널 품질 결정 신호에 기초하여 채널 품질 측정치를 수신, 결정, 저장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후보 빔은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 송신 및/또는 수신 빔 폭, 및/또는 채널 품질 측정치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며, 그리고 (소정의 통신에 대해 빔이 선택되는 것과 함께) 각각의 후보 빔의 이러한 특성들에 기초하여, 어떤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이 통신에 사용되는지에 관한 결정이 스위칭 모듈 (215-b) 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서브 모듈들 (405, 410, 415) 은 스위칭 모듈 (예를 들어, 선택 모듈 (315-a)) 에 의한 결정에 사용하기 위해 이들 또는 개개의 특성들을 수신, 결정, 저장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채널 특성 모듈 (310-a) 은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서브 모듈 (405), 빔 폭 서브 모듈 (410), 및 채널 품질 서브 모듈 (415) 의 세가지 모두를 포함할 수 있는 반면, 다른 실시형태에서, 채널 특성 모듈 (310-a) 은 이러한 서브 모듈들 (405, 410, 415) 중 하나 또는 2개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장치 (예를 들어, 도 2 또는 도 3의 장치 (205, 205-a)) 는 채널 특성 모듈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채널 특성 모듈 (315-a) 은 채널 품질 임계 서브 모듈 (420), 빔 방향 및 폭 선택 서브 모듈 (425), 및 액세스 방식 선택 서브 모듈 (430) 을 포함한다. 채널 품질 임계 서브 모듈 (420) 은 OFDMA 또는 SC-FDMA 또는 다른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을 사용할지 여부의 결정에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임계치를 수신, 결정, 저장, 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 예를 들어, 채널 품질 특성이 채널 품질 서브 모듈 (415) 이 수신, 결정, 저장 또는 송신되면, 모듈 (415) 은 채널 품질 임계 서브 모듈 (420) 에 의해 수신, 결정, 저장 또는 송신되는 임계 값보다 크거나 작으면, 특정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고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임계치들은 소정의 통신에 대해 송신기 및 수신기 각각에 의해 미리 설정되고 알려질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예를 들어, 이용가능한 리소스들에 기초하여) 동작 동안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는 임계치들을 포함하여, 임계치들은 송신기 및 수신기 중에서 통신될 수 있다. 빔 방향 및 폭 선택 서브 모듈 (425) 은 통신에 사용되는 빔의 폭 및 송신 및 수신 빔 형성 방향을 수신, 결정 (예를 들어, 선택), 저장 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스 방식 선택 서브 모듈 (430) 은 어떤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이 특정 통신 또는 통신 그룹에 사용될 것인지에 대한 표시를 수신, 결정, 저장 또는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 예를 들어, 액세스 방식 선택 서브 모듈 (430) 은 채널 품질 임계 서브 모듈에 의해 수신, 결정, 저장 또는 송신되는 임계치에 의해 알려진 바와 같이 채널 특성 모듈 (310) 의 서브 모듈 (405, 410, 415) 에 의해 수신, 결정, 저장, 또는 송신된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빔 폭 및 채널 품질 특성, 및 빔 방향 및 폭 선택 서브 모듈 (425) 에 의해 수신, 결정, 저장, 또는 송신된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및 빔 폭에 기초하여 어떤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이 사용될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선택 모듈 (315-a) 은 채널 품질 임계 서브 모듈 (420), 빔 방향 및 폭 선택 서브 모듈 (425), 및 액세스 방식 선택 서브 모듈 (430) 의 3개 모두를 포함할 수 있는 반면, 다른 실시형태에서, 선택 모듈 (315-a) 은 이러한 서브 모듈들 (420, 425, 430) 중 하나 또는 2개만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장치 (도 2 또는 도 3의 장치 (205, 205-a)) 는 선택 모듈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모니터링 모듈 (320-a) 은 주기적 모니터링 서브 모듈 (435) 및 반동 모니터링 서브 모듈 (440) 을 포함한다. 주기적 모니터링 서브 모듈 (435) 은, 하나 이상의 후보 또는 실제 빔들에 대한 채널 품질과 같은 하나 이상의 특성들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동 모니터링 모듈 (440) 은 장치 (205) 로 하여금 특정 수의 패킷 등의 손실과 같은 일부 이벤트에 대한 반응으로 후보 또는 실제 빔 중 하나 이상을 재특성화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특정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은 초기 조건들의 일부 세트에 기초하여 사용을 위해 선택될 수 있고, 주기적 및/또는 반동 모니터링 서브 모듈들 (435, 440) 은 후보 빔들 및 다양한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에 대응하는 특성을 주기적으로 재평가할 수 있고, 그리고 재평가에 기초하여, 다양한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을 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모니터링 모듈 (320-a) 은 주기적 모니터링 서브 모듈 (435) 및 반동 모니터링 서브 모듈 (440) 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 반면, 다른 실시형태에서 모니터링 모듈 (320-a) 은 주기적 모니터링 서브 모듈 (435) 및 반동 모니터링 서브 모듈 (440)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장치 (도 2 또는 도 3의 장치 (205, 205-a)) 는 모니터링 모듈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라 무선 통신에서 사용하기 위한 시스템 (500) 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시스템 (500) 은, 도 1의 UE들 (115) 의 예일 수 있는 UE (115-b) 및 도 2 - 도 3의 장치 (205, 205-a) 를 포함한다. 시스템 (500) 은 또한, 도1의 기지국들 (105) 의 예일 수 있는 기지국 (115-b) 및 도 2 - 도 3의 장치 (205, 205-a) 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UE (115-b) 는, 각각이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버스들 (545) 을 통해) 서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는, 안테나(들) (525), 송수신기 모듈 (520), 프로세서 모듈 (505) 및 메모리 (510) (소프트웨어 (515) 포함) 를 포함한다. 송수신기 모듈 (520) 은, 송신들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수신 안테나(들) (525) 및/또는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링크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 (105-b) 과 양방향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기 모듈 (520) 은 패킷을 변조하여 변조된 패킷을 송신을 위해 안테나(들) (525) 에 제공하고, 그리고 안테나 (들) (525) 로부터 수신된 패킷들을 복조하도록 구성된 모뎀을 포함할 수 있다. UE (115-b) 가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단일 안테나 (525) 를 포함할 수 있지만, UE (115-b) 는 대안으로 다수의 무선 송신들을 동시에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는 다중 안테나들 (525) 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송수신기 모듈 (520) 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 (105-b) 또는 단일 기지국 (105-b) 의 하나 이상의 셀들과 동시에 통신할 수 있다.
메모리 (510) 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및 판독 전용 메모리 (ROM) 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510) 는, 실행 시, 프로세서 모듈 (505) 로 하여금 본원에 기재된 다양한 기능들 (예를 들어, 상이한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을 이용한 동적 스위칭) 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컴퓨터 실행 가능 소프트웨어/펌웨어 코드 (515) 를 저장할 수 있다. 대안으로, 소프트웨어/펌웨어 코드 (515) 는 프로세서 모듈 (505) 에 의해 직접 실행 가능하지 않을 수 있지만, 컴퓨터가 (예를 들어, 컴파일되고 실행될 때) 여기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 모듈 (505) 은 중앙 처리 디바이스 (CPU), 마이크로제어기,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등과 같은 지능형 하드웨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및 판독 전용 메모리 (ROM) 를 포함할 수 있다.
UE (115-b) 는 또한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스위칭 모듈 (215) 의 일례일 수도 있고, 그리고 UE (115-b) 의 다른 컴포넌트들과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버스 (545) 에 커플링될 수도 있는, 스위칭 모듈 (215-c) 을 포함한다. 스위칭 모듈 (215-c) 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채널 특성 및 선택 모듈 (310, 315) 의 예들일 수 있는, 채널 특성 모듈 (310-b) 및 선택 모듈 (315-b)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신기 모듈 (520) 은 도 3에 도시된 채널 품질 신호 측정 모듈 (305) 의 일례일 수 있는 채널 품질 신호 측정 모듈 (305-a) 을 포함할 수 있다.
여전히 도 5를 참조하면, UE (115-b) 는 기지국 (105-b) 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채널 품질 신호 측정 모듈 (305-a) 은 (예를 들어, 다수의 상이한 후보 빔들에 대해) 다수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에 대응하는 기지국 (105-b) 으로부터 채널 품질 결정 신호들을 수신하고, 그리고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채널 품질 측정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칭 모듈 (215-c) 의 채널 특성 모듈 (310-b) 은 이러한 특성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선택 모듈 (315-b) 은 통신에 사용하기 위한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과 후보 송신 및/또는 수신 빔 폭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그리고 또한 기지국 (105-b) 으로부터 UE (115-b) 로의 그 통신을 위해 사용하기 위한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UE (115-b) 는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에 대응하는 채널 품질 측정치들을 기지국 (105-b) 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기지국 (105-b) 은 선택된 후보 빔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을 위해 어느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을 사용할지를 결정한다.
UE (115-b) 가 기지국 (105-b) 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의 수신기로서 도 5에 도시되어 있지만, 전술된 바와 같이, UE (115-b) 는 기지국 (105-b) 으로 데이터도 또한 송신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라 무선 통신에서 사용하기 위한 시스템 (600) 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시스템 (600) 은 도 1 또는 도 5의 기지국 (105) 의 예일 수 있는 기지국들 (105-c, 605-m, 605-n), 및/또는 도 2 - 도 3의 장치들 (205, 205-a) 을 포함한다. 시스템 (600) 은, 도 1 또는 도 5의 UE들 (115) 의 예일 수 있는 UE (115-c), 및/또는 도 2 - 도 3의 장치들 (205, 205-a) 을 또한 포함한다.
기지국 (105-c) 은, 각각이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버스들을 통해) 서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는, 안테나(들) (645), 송수신기 모듈 (650), 메모리 (680) 및 프로세서 모듈 (670) 을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 모듈 (650) 은, 송신들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여, 안테나(들) (645) 을 통해 UE (115-c) 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기 모듈 (650) (및/또는 기지국 (105-c) 의 다른 컴포넌트들들) 은 또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들과 양방향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기지국 (105-d) 은 네트워크 통신 모듈 (675) 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 (130-a) 및/또는 제어기 (620) 와 통신할 수 있다. 기지국 (105-c) 은 eNodeB 기지국, 홈 eNodeB 기지국 , NodeB 기지국 및/또는 홈 NodeB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 (620) 는, 예컨대 eNodeB 기지국과 같이, 일부 경우에 기지국 (105-c) 에 통합될 수 있다.
기지국 (105-c) 은 또한 기지국 (605-m) 및 기지국 (605-n) 과 같은 다른 기지국 (105) 과 통신할 수 있다. 기지국들 (105, 605-m, 605-n) 각각은, 상이한 무선 액세스 기술들과 같은 상이한 무선 통신 기술들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UE들과 통신할 수 있고, 적어도 몇몇 통신들은 빔 형성 기술들을 포함한다. 몇몇 경우에, 기지국 (105-c) 은 기지국 통신 모듈 (665) 을 이용하여 605-m 및/또는 605-n와 같은 다른 기지국들과 통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기지국 통신 모듈 (665) 은 LTE 무선 통신 기술 내에 X2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일부 기지국들 (105-c, 605-m, 605-n) 사이에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기지국 (105-c) 은 제어기 (620)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 (130-a) 를 통해 다른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다.
메모리 (680) 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및 판독 전용 메모리 (ROM) 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680) 는 또한, 실행 시, 프로세서 모듈 (670) 로 하여금 본원에 기재된 다양한 기능들 (예를 들어, 상이한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을 이용한 동적 스위칭) 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컴퓨터 실행 가능 소프트웨어 코드 (685) 를 저장할 수 있다. 대안으로, 소프트웨어 코드 (685) 는 프로세서 모듈 (670) 에 의해 직접 실행 가능하지 않을 수 있지만, 컴퓨터로 하여금, 예를 들어, 컴파일되고 실행될 때 여기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 모듈 (670) 은 지능형 하드웨어 디바이스, 예를 들어, 중앙 처리 유닛 (CPU), 마이크로제어기, 주문형 반도체 (ASI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 모듈 (650) 은 패킷을 변조하여 변조된 패킷을 송신을 위해 안테나(들) (645) 에 제공하고, 그리고 안테나 (들) (645) 로부터 수신된 패킷들을 복조하도록 구성된 모뎀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 (105-c) 의 일부 예들은 단일 안테나 (645) 를 포함할 수 있지만, 기지국 (105-c) 은 대안으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링크들을 위해 다수의 안테나들 (645) 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아키텍처에 따르면, 기지국 (105-c) 은 통신 관리 모듈 (660)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관리 모듈 (660) 은 다른 기지국들 (105) 과의 통신을 관리할 수 있다. 예로써, 통신 관리 모듈 (660) 은, 버스를 통해 기지국 (105-c) 의 다른 컴포넌트들의 일부 또는 전부와 통신하는 기지국 (105-c) 의 컴포넌트일 수 있다. 대안으로, 통신 관리 모듈 (660) 의 기능은 트랜시버 모듈 (650) 의 컴포넌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또는 프로세서 모듈 (670) 의 하나 이상의 제어기 엘리먼트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의 기지국 (105-c) 은 또한 도 2, 도 3,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스위칭 모듈들 (215) 의 예일 수도 있는, 스위칭 모듈 (215-d) 을 포함한다. 도 6의 스위칭 모듈 (215-d) 은 채널 특성 모듈 (310-c), 선택 모듈 (315-c) 및 모니터링 모듈 (320) 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채널 특성 모듈 (310-c), 선택 모듈 (315-c), 및 모니터링 모듈 (320) 은 일부 실시형태에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유사 컴포넌트들과 유사한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신기 모듈 (650) 은 도 3에 도시된 채널 품질 신호 생성 모듈 (325) 의 일례일 수 있는 채널 품질 신호 생성 모듈 (325-a) 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여전히 참조하면, 기지국 (105-c) 은 UE (115-c) 에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채널 품질 신호 측정 모듈 (325-a) 은 (예를 들어, 다수의 상이한 후보 빔들에 대해) 다수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채널 품질 결정 신호를 송신하고, 그리고 선택적으로 송신된 채널 품질 결정 신호들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채널 품질 측정치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칭 모듈 (215-d) 의 채널 특성 모듈 (310-c) 은 이러한 특성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선택 모듈 (315-c) 은 통신에 사용하기 위한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과 송신 및/또는 수신 빔 폭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그리고 또한 기지국 (105-c) 으로부터 UE (115-c) 로의 통신을 위해 사용하기 위한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UE (115-c) 는 어느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이 특정 통신을 위해 사용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고, 기지국 (105-c) 은 그 결정을 수신하고 이에 따라 UE (115-c) 로 송신하기 시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지국 (105-c) 이 UE (115-c) 로의 데이터의 송신기인 것으로 도 6에 도시되어 있지만, 전술된 바와 같이, 기지국 (105-c) 은 또한 UE (115-c) 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또한 수신할 수도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라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을 동적 스위칭할 수 있는 기지국 (105-d) 의 예시 (700) 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 (105-d) 은 다수의 상이한 후보 빔들 (140) 중 하나를 사용하여 수신기 (예를 들어, UE (115)) 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며, 각각의 후보 빔은 기지국 송신 및 UE 수신 빔 형성 방향들을 가지며 하나 이상의 송신 및/또는 수신 빔 폭들 (705) 과 관련된다.
유사하게, 도 8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라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을 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는 UE (115-d) 의 예시 (800) 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 (115-d) 는 다수의 상이한 후보 빔들 (140) 중 하나를 사용하여 수신기 (예를 들어, 기지국 (105)) 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며, 각각의 후보 빔은 개개의 UE 송신/기지국 수신 빔 형성 방향들을 가지며 하나 이상의 송신 및/또는 수신 빔 폭들 (705) 과 관련된다. 기지국 (105-d) 또는 UE (115-d) 가 소정의 통신을 위한 송신기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본원에 기재된 기술들은, 송신 및/또는 수신 빔 폭들의 소정의 조합과 송신 및/또는 수신 빔 형성 방향들의 소정의 조합에서 후보 빔에 대응하는 식별된 특성들에 기초하여 다양한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을 동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도 9로 돌아가면,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라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 간을 동적으로 스위칭하는 것을 나타낸 타이밍도 (900) 가 도시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모니터링 모듈 (320) 은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채널 품질과 같은 채널 특성을 모니터링하고,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의 동적 스위칭에 사용하기 위해 선택 모듈 (315) 에 모니터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도 9는, 채널 품질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채널 품질에 기초하여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간을 동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라 모니터링 모듈 (320) 이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도시한다.
도 9는 소정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 및 소정의 송신 및/또는 수신 빔 폭에 대해 채널 품질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할 수 있는지에 대한 플롯 (905) 을 도시하며, 다이어그램 (900) 의 x-축 (925) 은 시간을 나타내고 y-축 (930) 은 신호 세기와 같은 채널 품질의 일부 측정치를 나타낸다. 도 9에서, SC-FDMA는 채널 품질이 비교적 양호한 경우 사용될 수 있는 반면, OFDMA는 채널 품질이 비교적 나쁜 경우 사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사용중인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이, 이를 테면 채널 품질 측면에서 "비교적" 좋은 또는 "비교적" 나쁜 것을 정의하는, 또 다른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으로 동적으로 스위칭되어야 하는 때를 결정하기 위해 선택 모듈 (315) 의 채널 품질 임계 서브 모듈 (420) 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채널 품질의 하나 이상의 임계치 (910, 915, 920) 가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의 동적 스위칭에서 시간 또는 크기 중 어떤 형태의 히스테리시스 (hysteresis) 의 일부 형태를 구현할 수 있는 다수의 임계치들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는 채널 품질이 Q1 임계치 (920) 아래로 떨어질 때까지 SC-FDMA가 사용되고, 채널 품질이 Q3 임계치 (910) 를 초과할 때까지 OFDMA가 사용되는 크기 기반 히스테리시스를 도시하며, Q2 임계치 (915) 는 단지 어떤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이 사용되어야 하는 초기 결정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대안으로, 송신기가 OFDMA를 사용하기로 스위칭되기 전에 채널 품질이 미리 결정된 양의 시간 동안 품질 임계치 아래에 있을 필요가 있고, 그리고 유사하게 송신기가 SC-FDMA를 사용하기로 스위칭되기 전에 채널 품질이 미리 결정된 양의 시간 동안의 품질 임계치를 초과할 필요가 있는, 시간 기반 히스테리시스가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도 9의 특정 예의 플롯 (905) 으로 돌아가면, 시간 T1에서, 채널 품질은 Q3 임계치 (910) 를 초과하기 때문에 채널 품질이 비교적 양호하며, 따라서 SC-FDMA가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시간 T2에서, 채널 품질은 Q1 임계치 (920) 아래로 떨어지고, 따라서, OFDMA가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시간 T3에서, 채널 품질은 다시 개선되고, 이로써 SC-FDMA가 다시 사용된다. 시간 T4에서, 채널 품질은 Q2 임계치 (915) 아래로 떨어지지만, 채널 품질이 시간 T5에서 Q1 임계치 (920) 아래로 떨어질 때까지 사용된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은 OFDMA로 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시간 T6에서, Q3 임계치 (910) 를 초과하지 않기 때문에, 채널 품질이 어느 정도 향상되더라도, 통신에 사용되는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은 SC-FDMA로 스위칭되지 않고 대신에 OFDMA에 남아있다.
도 9의 플롯 (905) 은, 하나의 채널 특성 (즉, 채널 품질) 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할 수 있는지, 및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이 채널 특성이 시간에 따라 변함에 따라 어떻게 동적으로 변할 수 있는지의 일례일 뿐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의 동적 스위칭 방법을 예시한 플로우차트 (1000) 를 도시한다. 플로우차트 (1000) 의 기능들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 (105) 또는 그 컴포넌트들, UE (115) 또는 그 컴포넌트들, 또는 장치 (205) 또는 그 컴포넌트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블록 1005에서, 무선 통신 채널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특성이 수신될 수 있다. 일례에서, 기지국 (105) 이 복수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에서 복수의 채널 품질 결정 신호들을 UE로 송신한 후에, UE (115) 로부터 기지국의 수신기 모듈 (210) 에 의해 특성들이 수신될 수 있다.
블록 1010에서, 무선 통신 채널에서의 통신에 사용되는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은 식별된 복수의 특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동적으로 스위칭 (즉, 변경) 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어느 무선 액세스 접속 방식을 사용할지를 결정 (즉, 현재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이 계속 사용되는지 또는 새로운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이 사용되는지를 결정) 하는 것은, 예를 들어 선택 모듈 (315) 을 포함하는, 스위칭 모듈 (215) 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플로우차트 (1000) 의 방법은 방법의 동작들의 단지 하나의 구현예이고, 단계들은 다른 구현예들이 가능하도록 재배열 또는 달리 변경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의 동적 스위칭 방법을 예시한 플로우차트 (1100) 를 도시한다. 플로우차트 (1100) 의 기능들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 (105) 또는 그 컴포넌트들, UE (115) 또는 그 컴포넌트들, 또는 장치 (205) 또는 그 컴포넌트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도 11의 플로우차트 (1100) 에 나타낸 방법은, 수신기에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송신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블록 1105에서, 채널 품질 결정 신호들은 복수의 개개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의 각각에 대해 송신될 수 있다. 블록 1105은 예를 들어 채널 품질 신호 생성 모듈 (325) 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블록 1110에서,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개개의 채널 품질 측정치는, 예를 들어, 송신기의 수신기 모듈 (210) 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블록 1115에서, 수신된 채널 품질 측정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OFDMA를 사용할지 또는 SC-FDMA를 사용할지 (또는 다른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을 사용할지) 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어느 무선 액세스 접속 방식을 사용할지를 결정 (즉, 현재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이 계속 사용되는지 또는 새로운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이 사용되는지를 결정) 하는 것은, 예를 들어 선택 모듈 (315) 을 포함하는, 스위칭 모듈 (215) 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플로우차트 (1100) 의 방법은 방법의 동작들의 단지 하나의 구현예이고, 단계들은 다른 구현예들이 가능하도록 재배열 또는 달리 변경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의 동적 스위칭 방법을 예시한 플로우차트 (1200) 를 도시한다. 플로우차트 (1200) 의 기능들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 (105) 또는 그 컴포넌트들, UE (115) 또는 그 컴포넌트들, 또는 장치 (205) 또는 그 컴포넌트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도 12의 플로우차트 (1200) 에 나타낸 방법은, 송신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수신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블록 1205에서, 하나 이상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채널 품질 결정 신호들이 수신될 수 있다. 블록 1210에서, 수신된 채널 품질 결정 신호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채널 품질 측정치가 결정될 수 있다. 블록들 1205 및 1210은 예를 들어, 채널 품질 신호 측정 모듈 (305) 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플로우차트 (1200) 의 방법은 방법의 동작들의 단지 하나의 구현예이고, 단계들은 다른 구현예들이 가능하도록 재배열 또는 달리 변경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기에 제시된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기재하고, 청구항의 범위 내이거나 또는 구현될 수도 있는 실시형태만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본 설명 전체에 걸쳐서 사용되는 용어 "예시적인"은 "예, 사례, 또는 예시로서 기능하는"을 의미하며, "선호되거나" 또는 "다른 실시형태들보다 이로운" 것이 아니다. 그러나, 이들 기법들은 이들 구체적인 상세들 없이 실행될 수도 있다. 몇몇 사례들에서, 주지된 구조들 및 디바이스들은 기재된 실시형태들의 컨셉들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블록도로 도시된다.
정보와 신호들은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 중의 임의의 것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설명 전체에 걸쳐 참조될 수도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자기 입자들, 광학 필드들 또는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될 수도 있다.
본원의 개시물과 연계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블록들 및 모듈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나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원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계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원에 기재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되면, 그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되거나 또는 통신 매체를 통해 송신될 수도 있다. 다른 예들 및 구현예들은 본 개시물 및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의 성질로 인해, 상술된 기능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하드와이어링,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기능들을 구현하는 피쳐들은 또한 물리적으로 다양한 위치들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기능들의 부분들이 상이한 물리적 위치들에서 구현되도록 분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청구항들을 포함하여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항목들의 리스트 (예를 들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중 하나 이상"과 같은 문구가 후속하는 항목들의 리스트) 에서 사용되는 "또는"은 예를 들어,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가 A 또는 B 또는 C 또는 AB 또는 AC 또는 BC 또는 ABC (즉, A 및 B 및 C) 를 의미하도록, 분리성 (disjunctive) 리스트를 나타낸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은 데이터 저장 매체들과 같은 유형의 매체에 대응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들, 또는 예컨대,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하나의 장소로부터 또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저장 매체는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용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써,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소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이나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반송 또는 저장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으며 범용 컴퓨터나 특수 목적용 컴퓨터 또는 범용 프로세서나 특수 목적용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디스크 (disk) 및 디스크 (disc) 는 컴팩트 디스크 (disc) (CD), 레이저 디스크 (disc), 광학 디스크 (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 (disc) (DVD), 플로피 디스크 (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 (disc) 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 (disk) 들은 데이터를 보통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디스크 (disc) 들은 레이저들을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의 조합들도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한편, 임의의 접속수단이 통신 매체라고 적절히 칭해진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디지털 가입자 라인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송신된다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은 통신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본원에 기재된 기법들은 CDMA, TDMA, FDMA, OFDMA, SC-FDMA, 및 다른 시스템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대해 사용될 수도 있다. 용어 "시스템" 및 "네트워크"는 종종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CDMA 시스템은 CDMA2000, UTRA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CDMA2000 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커버한다. IS-2000 릴리즈 0 및 A 는 CDMA2000 1X, 1X 등으로 보통 지칭된다. IS-856 (TIA-856) 는 CDMA2000 1xEV-DO, HRPD (High Rate Packet Data) 등으로 보통 지칭된다. UTRA 는 광대역 CDMA (WCDMA) 및 CDMA 의 다른 변형예들을 포함한다. TDMA 시스템은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OFDMA 시스템은 UMB (Ultra Mobile Broadband), E-UTRA (Evolved UTRA),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플래시-OFDM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UTRA 및 E-UTRA 는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의 일부이다. 3GPP 롱 텀 에볼루션 (LTE) 및 LTE-어드밴스드는 E-UTRA 를 사용하는 UMTS 의 새로운 릴리즈이다. UTRA, E-UTRA, UMTS, LTE, LTE-A, 및 GSM 은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로 명명된 기구로부터의 문서들에서 설명된다. CDMA2000 및 UMB 는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 (3GPP2) 로 명명된 기구로부터의 문서들에서 설명된다. 본원에 기재된 기법들은 상기에 언급된 시스템들 및 무선 기술들, 그리고 다른 시스템들 및 무선 기술들에 대해서 이용될 수도 있다.
본 개시물의 전술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본 개시물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당업자들에게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며, 본원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물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변형들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반에 걸쳐, 용어 "예" 또는 "예시적인"은 예 또는 사례를 나타내고, 언급된 예에 대한 어떠한 선호도를 의미하거나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물은 본원에 설명된 예들 및 설계들로 한정되지 않아야 하지만, 본원에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에 부합해야 한다.

Claims (30)

  1.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무선 통신 채널의 복수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특성들을 식별하는 단계로서, 상기 복수의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은 송신 또는 수신 빔 폭을 포함하는, 상기 식별하는 단계; 및
    식별된 상기 복수의 특성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채널에서의 통신에 사용하기 위해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을 동적으로 스위칭하는 단계로서, 상기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및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를 포함하는, 상기 동적으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 중 상기 통신을 위해 선택되는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에 대응하는 개개의 특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어떤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을 사용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변화하는 송신 및/또는 수신 빔 폭들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의 하나 이상에 대한 개개의 채널 품질 결정 신호를 송신하여, 어떤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이 상기 통신에 사용될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에 대응하는 특성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큰지 또는 작은지 여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통신을 위해 OFDMA를 사용할지 또는 SC-FDMA를 사용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 중 개개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 각각에 대한 채널 품질 결정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개개의 채널 품질 측정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채널 품질 측정치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통신을 위해 OFDMA를 사용할지 또는 SC-FDMA를 사용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동시에 복수의 상이한 주파수들을 사용하여, 또는 상이한 시간에 유사한 주파수를 사용하여 상기 채널 품질 결정 신호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 측정치는 신호 세기, 신호 대 간섭 및 잡음비 (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SINR), 패킷 에러 레이트, 지연 스프레드, 또는 사용자 장비 (UE) 에서 관찰된 에코들의 수 중 하나 이상인, 무선 통신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을 위해 OFDMA가 사용될 것인지 또는 SC-FDMA가 사용될 것인지의 표시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특성들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모니터링된 상기 특성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을 동적으로 계속 스위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의 하나 이상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채널 품질 결정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의 하나 이상의 각각에 대응하는 채널 품질 측정치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채널 품질 측정치는 개개의 채널 품질 결정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상기 채널 품질 측정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결정된 상기 채널 품질 측정치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결정된 상기 채널 품질 측정치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채널에서의 통신을 위해 OFDMA를 사용할지 또는 SC-FDMA를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의 각각에 대한 채널 품질 결정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채널의 상기 복수의 특성들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복수의 특성들의 각각은 송신된 상기 채널 품질 결정 신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개개의 채널 품질 측정치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특성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복수의 특성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통신을 위해 OFDMA를 사용할지 또는 SC-FDMA를 사용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채널은 밀리미터 파장 무선 주파수 채널인, 무선 통신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송신기는 상기 복수의 특성들을 수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채널에서의 상기 통신을 위해 OFDMA를 사용할지 또는 SC-FDMA를 사용할지를 결정하는, 무선 통신 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의 각각은, 빔 형성 신호가 송신기로부터 전파하는 상기 송신기의 배향에 대한 송신 빔 형성 방향과 또한 상기 빔 형성 신호가 수신되는 수신기의 배향에 대한 수신 빔 형성 방향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8. 무선 통신 장치로서,
    무선 통신 채널의 복수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특성들을 식별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복수의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은 송신 또는 수신 빔 폭을 포함하는, 상기 식별하는 수단; 및
    식별된 상기 복수의 특성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채널에서의 통신에 사용하기 위해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을 동적으로 스위칭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OFDMA) 및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SC-FDMA) 를 포함하는, 상기 동적으로 스위칭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 중 상기 통신을 위해 선택되는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에 대응하는 개개의 특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어떤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을 사용할지를 결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 중 개개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 각각에 대한 채널 품질 결정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
    상기 복수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개개의 채널 품질 측정치를 수신하는 수단;
    수신된 상기 채널 품질 측정치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통신을 위해 OFDMA를 사용할지 또는 SC-FDMA를 사용할지를 결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 측정치는 신호 세기, 신호 대 간섭 및 잡음비 (SINR), 패킷 에러 레이트, 지연 스프레드, 또는 사용자 장비 (UE) 에서 관찰된 에코들의 수 중 하나 이상인, 무선 통신 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특성들을 모니터링하는 수단; 및
    모니터링된 상기 특성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을 동적으로 계속 스위칭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의 하나 이상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채널 품질 결정 신호들을 수신하는 수단;
    상기 복수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의 하나 이상의 각각에 대응하는 채널 품질 측정치를 결정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채널 품질 측정치는 개개의 채널 품질 결정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상기 채널 품질 측정치를 결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결정된 상기 채널 품질 측정치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채널에서의 통신을 위해 OFDMA를 사용할지 또는 SC-FDMA를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5.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채널은 밀리미터 파장 무선 주파수 채널인, 무선 통신 장치.
  26. 무선 통신 장치로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들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무선 통신 채널의 복수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특성들을 식별하는 것으로서, 상기 복수의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은 송신 또는 수신 빔 폭을 포함하는, 상기 식별하고; 그리고
    식별된 상기 복수의 특성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채널에서의 통신에 사용하기 위해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을 동적으로 스위칭하는 것으로서, 상기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OFDMA) 및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SC-FDMA) 를 포함하는, 상기 동적으로 스위칭하도록 실행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복수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 중 개개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 각각에 대한 채널 품질 결정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복수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개개의 채널 품질 측정치를 수신하고; 그리고
    수신된 상기 채널 품질 측정치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통신을 위해 OFDMA를 사용할지 또는 SC-FDMA를 사용할지를 결정하도록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복수의 특성들을 모니터링하고; 그리고
    모니터링된 상기 특성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을 동적으로 계속 스위칭하도록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복수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의 하나 이상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채널 품질 결정 신호들을 수신하고; 그리고
    하나 이상의 상기 복수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의 각각에 대응하는 채널 품질 측정치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채널 품질 측정치는 개개의 채널 품질 결정 신호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상기 채널 품질 측정치를 결정하도록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30.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무선 통신 채널의 복수의 송신/수신 빔 형성 방향 쌍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특성들을 식별하는 것으로서, 상기 복수의 특성들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은 송신 또는 수신 빔 폭을 포함하는, 상기 식별하고; 그리고
    식별된 상기 복수의 특성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채널에서의 통신에 사용하기 위해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을 동적으로 스위칭하는 것으로서, 상기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OFDMA) 및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SC-FDMA) 를 포함하는, 상기 동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 코드를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77003761A 2014-08-12 2015-07-13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의 동적 스위칭 KR1023912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457,748 US9692494B2 (en) 2014-08-12 2014-08-12 Dynamic switching between wireless multiple access schemes
US14/457,748 2014-08-12
PCT/US2015/040103 WO2016025111A1 (en) 2014-08-12 2015-07-13 Dynamic switching between wireless multiple access schem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744A KR20170041744A (ko) 2017-04-17
KR102391269B1 true KR102391269B1 (ko) 2022-04-26

Family

ID=53836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3761A KR102391269B1 (ko) 2014-08-12 2015-07-13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의 동적 스위칭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692494B2 (ko)
EP (1) EP3180898B1 (ko)
JP (1) JP6929770B2 (ko)
KR (1) KR102391269B1 (ko)
CN (1) CN106664149B (ko)
ES (1) ES2784874T3 (ko)
HU (1) HUE048733T2 (ko)
WO (1) WO20160251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01623B1 (en) * 2014-09-29 2017-06-21 Alcatel Lucent Choice of filter sideband suppression according to channel quality in universal filtered multicarrier
US10715386B2 (en) * 2015-09-16 2020-07-14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communication parameters
WO2017148956A1 (en) * 2016-02-29 2017-09-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echnique for accessing a wireless channel in coexistence scenarios
ES2911032T3 (es) 2016-11-03 2022-05-1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étodo de transmisión de datos, equipo de usuario y dispositivo de red
US10547429B2 (en) 2017-02-09 2020-01-28 Qualcomm Incorporated Search candidates in multi-link control channel
CN106973358B (zh) * 2017-02-28 2019-12-10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通信连接方法及终端
US10992364B2 (en) * 2019-01-18 2021-04-2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beamforming management
US11041948B2 (en) * 2019-04-08 2021-06-22 Apple Inc. Channel estimation combining for secure time of flight applications
US11153000B1 (en) * 2020-11-19 2021-10-19 Qualcomm Incorporated Multi-factor beam selection for channel shaping
US20220321386A1 (en) * 2021-04-06 2022-10-06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domain reference signal block with a time-domain single carrier waveform data transmission
EP4324110A1 (en) * 2021-04-30 2024-02-21 Huawei Technologies Co., Ltd. Beam alignment in a multiuser wireless cell-free mass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networ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34152A1 (en) * 2008-08-11 2010-02-11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fdma and sc-fdma switching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671B1 (ko) * 2004-05-27 2008-08-27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3차원 제어 채널 빔을 형성하고 하이-볼륨 사용자 커버리지 영역을 관리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US20050272472A1 (en) * 2004-05-27 2005-12-0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forming three-dimensional control channel beams and managing high volume user coverage areas
US8429502B2 (en) 2005-11-16 2013-04-23 Qualcomm Incorporated Frame format for millimeter-wave systems
US20070291635A1 (en) * 2006-06-15 2007-12-2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between ofdm communication modes
US8081698B2 (en) 2006-06-29 2011-12-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on mechanism between OFDM-MIMO and LFDM-SIMO
US8483134B2 (en) * 2008-06-17 2013-07-09 Panasonic Corporation Radio transmission appratus and radio transmission method that switch between communication methods
KR101417084B1 (ko) * 2008-07-02 2014-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기준신호 전송 방법
EP2490345B1 (en) 2009-10-14 2019-04-1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de switching between a multi-cell coordinated communication mode and a single-cell mimo communication mode
KR101663617B1 (ko) 2009-10-29 2016-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향링크 기준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지국 및 사용자기기
US9537555B2 (en) * 2011-02-22 2017-01-03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transmit antenna selection in carrier aggregation
JP5989798B2 (ja) * 2011-12-08 2016-09-07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ミリ波通信システムの方法および装置
JP5853764B2 (ja) * 2012-02-28 2016-02-09 富士通株式会社 無線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9531573B2 (en) 2012-04-09 2016-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cyclic prefix reduction in MMwave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US9544880B2 (en) * 2012-09-28 2017-01-10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nabling further L1 enhancements in LTE heterogeneous network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34152A1 (en) * 2008-08-11 2010-02-11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fdma and sc-fdma switching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aeyoung Kim et al., "Tens of Gbps Support with mmWave Beamforming Systems for Next Generation Communications", 2013 IEEE Global Communications Conference (GLOBECOM)(2013.12.13. 공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E048733T2 (hu) 2020-08-28
JP6929770B2 (ja) 2021-09-01
JP2017530594A (ja) 2017-10-12
CN106664149A (zh) 2017-05-10
WO2016025111A1 (en) 2016-02-18
EP3180898B1 (en) 2020-01-15
EP3180898A1 (en) 2017-06-21
KR20170041744A (ko) 2017-04-17
US20160050094A1 (en) 2016-02-18
CN106664149B (zh) 2018-07-27
US9692494B2 (en) 2017-06-27
ES2784874T3 (es) 202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1269B1 (ko) 무선 다중 액세스 방식들 간의 동적 스위칭
TWI766840B (zh) 用於上行鏈路波束追蹤的強化探測參考傳訊
US10020926B2 (en) Signal strength aware band steering
KR102250639B1 (ko) 보충 링크를 지원하기 위한 기지국 개시형 제어 메커니즘
EP2753037B1 (en) Method and device for interference control
CN107950055B (zh) Ul/dl不平衡场景中的增强的连接性能
JP5406939B2 (ja) 分散アンテナシステムにおけるサブセル測定手順
US11864120B2 (en) Uplink spatial relation indication and power control
US11973591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st single-DCI and multi-DCI mode switching
WO2020199902A1 (zh) 一种选择接收波束的方法及装置
US20150381282A1 (en) Polarization assisted wireless transmission
US20230014328A1 (en) PUCCH Repetition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PUCCH Transmission
US10362578B2 (en) TM9-based carrier aggregation method and device
CN111106884B (zh) 控制终端上行控制信道发射方式的方法、发射方法及设备
US10104556B2 (en) Method and device for eliminating inter-system neighbor cell interference
WO2020132495A1 (en) Millimeter wave antenna module control
TW201338433A (zh) 用於調適相對於一增強接收器之平行量測之節點與方法
WO2018177549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use in power headroom reporting
US20170353955A1 (en) Resource management
US20200007289A1 (en)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a Sound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CN117280820A (zh) 用于设备内共存干扰的技术
US20220353859A1 (en) Accumulation of PUCCH Repetitions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PUCCH Reception
KR101834388B1 (ko) 적응형 라디오 주파수 로컬 오실레이터 튜닝
JP2023504552A (ja) 高速モビリティ用のドップラースプレッドベースのビーム測定/報告
EP2763456B1 (en) Method of Handling Interference Measurement in TDD System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