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0994B1 - Scalable pallet - Google Patents

Scalable pall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0994B1
KR102390994B1 KR1020200022448A KR20200022448A KR102390994B1 KR 102390994 B1 KR102390994 B1 KR 102390994B1 KR 1020200022448 A KR1020200022448 A KR 1020200022448A KR 20200022448 A KR20200022448 A KR 20200022448A KR 102390994 B1 KR102390994 B1 KR 102390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support
frame
palle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4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07440A (en
Inventor
신범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곡
Priority to KR1020200022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0994B1/en
Publication of KR20210107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74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9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385Frames, corner posts or pallet converters, e.g. for facilitating stacking of charged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5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 B65D2519/00557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without separate auxiliary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98Dismountabl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건을 운반할 때나 보관할 때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으며, 두 개를 연결하여 적재공간을 확장할 수 있도록 된 적재용 파렛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적재용 파렛트는 사각의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네 모서리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연장되는 서포트부재와, 상기 네 개의 서포트부재들 인접하는 서포트부재들을 상호 연결하되,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네 변중 하나의 변은 개구된 상태가 되도록 세 변에 대응하는 위치를 가릴 수 있게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가로대를 포함하는 테두리프레임과, 상기 테두리프레임이 설치되지 않는 개방된 하나의 영역을 개폐하도록 상기 서포트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어 적재물을 지지하는 메인지지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ading pallet that can be stably loaded when transporting or storing goods, and can expand the loading space by connecting the two. A support member extending upward from each of the four corners of the base frame, and supporting members adjacent to the four support members are interconnected, one of the four sides of the base frame corresponds to three sides so as to be in an open state An opening and closing frame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to open and close an open area where the frame frame is not installed, and a frame frame including a plurality of cross bar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vertically to cover the position of the frame. And, it includes a main support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to support the load.

Description

적재용 파렛트{Scalable pallet}Pallet for loading {Scalable pallet}

본 발명은 물건을 운반할 때나 보관할 때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으며, 두 개를 연결하여 적재공간을 확장할 수 있도록 된 적재용 파렛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ading pallet that can be stably loaded when transporting or storing goods, and extending the loading space by connecting the two.

일반적으로 자동차 부품 등을 운반하거나 창고에 보관하기 위한 목적 등 각종 적재 목적을 위해 파렛트를 사용한다. 파렛트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재질, 구조로 제작 가능하다. 이중 철재용 파렛트는 견고하여 재사용 수명 기간이 길며 변형과 손상률이 적으며 폐기하더라도 고철 비용을 확보할 수 있다. In general, pallets are used for various loading purposes, such as for transporting automobile parts or for storage in a warehouse. Pallets can be manufactured with various materials and structures according to their use. Double steel pallets are strong and have a long re-use life, have low deformation and damage rates, and can secure scrap metal costs even when discarded.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9390호(등록일자;2016년1월18일)에는 '적재용 파렛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적재용 파렛트를 개별적으로 사용할 경우 사이드바가 적재용 파렛트의 측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적재용 파렛트를 사용하지 않고 다른 적재용 파렛트와 함께 겹쳐서 보관할 경우 사이드바를 해당 적재용 파렛트의 후방으로 옮겨서 거치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79390 (registration date; January 18, 2016) discloses a 'loading pallet'. Looking at this prior art, when loading pallets are used individually, the sidebar is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loading pallet, and when stacked with other loading pallets without using a loading pallet, the sidebar is placed at the rear of the corresponding loading pallet A technology for moving and mounting is disclosed.

그러나 선행기술들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However, the following problems are pointed out in the prior art.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파렛트는 규격이 일정하여 적재범위가 한정적이므로 큰 물건을 적재시 파손이 잦아 주문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용화된 파렛트는 상면이 개방된 폐쇄형이거나 측면 일부만 개방된 반개폐 구조여서 무거운 물건을 적재시 높이로 인해 작업 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Pallets that are currently commercialized have a fixed standard and have a limited loading range. In addition, the commercialized pallet has a closed type with an open top or a semi-opening structure with only a part of the side open,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work efficiency is lowered due to the height when loading heavy objects.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9390호(등록일자;2016년1월18일)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79390 (Registration Date; January 18, 2016)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용 규격으로 제작 가능하며, 큰 물건 적재시 선택적으로 조립되어 확장 가능한 적재용 파렛트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xpandable loading pallet that can be manufactured in commercial standards and is selectively assembled when loading large objec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재물을 적재하여 보관 또는 운반할 수 있는 적재용 파렛트에 있어서, 사각의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네 모서리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연장되는 서포트부재와, 상기 네 개의 서포트부재들 중 인접하는 서포트부재들을 상호 연결하되,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네 변중 하나의 변은 개구된 상태가 되도록 세 변에 대응하는 위치를 가릴 수 있게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가로대를 포함하는 테두리프레임과, 상기 테두리프레임이 설치되지 않는 개방된 하나의 영역을 개폐하도록 상기 서포트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어 적재물을 지지하는 메인지지대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a loading pallet that can be loaded and stored or transported, a rectangular base frame, a support member extending upward from the four corners of the base frame, respectively, and the four A plurality of crossbar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up and down so that adjacent support members among the support members are interconnected, and one side of the four sides of the base frame is in an open state so as to cover the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three sides. A frame including a frame, an opening/closing frame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to open and close an open area where the frame frame is not installed, and a main support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to support a load. do.

상기 적재용 파렛트는 두 개가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며, 일측 적재용 파렛트의 개폐프레임이 인접하는 타측 적재용 파렛트의 서포트부재에 연결되어 적재공간이 확장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Two of the loading pallets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opening and closing frame of one loading pallet is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of the adjacent loading pallet to expand the loading space.

두 개의 적재용 파렛트가 인접하게 배치되어 적재공간이 확장될 때, 양측 적재용파렛트의 메인지지대 사이에 설치되어 확장된 적재공간의 하부를 지지하는 확장지지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two loading pallets are arranged adjacently to expand the loading spac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expansion support installed between the main supports of the two loading pallets to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expanded loading space.

상기 확장지지대는 상기 메인지지대의 일측에 절첩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있고, 상기 개폐프레임에 의해 개방되는 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xtension support is hinged so as to be foldable to one side of the main support, and it is preferable to extend in a direction to be open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frame.

상기 확장지지대는 상기 개폐프레임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확장지지대는 두 개의 적재용 파렛트가 연결될 때, 양측 적재용 파렛트의 확장지지대가 함께 확장되는 적재공간의 바닥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expansion support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frame, in this case, the expansion support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loading space where the expansion supports of both loading pallets are expanded together when two loading pallets are connected. It can be formed to cover.

상기 베이스프레임에는 상기 확장지지대를 지지하기 위한 보강지지프레임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base frame further includes a reinforcing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the extension support.

본 발명에 따른 적재용 파렛트는 필요에 따라 두 개의 적재용 파렛트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적재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다. 아울러 필요에 따라 적재물의 운반, 보관, 작업지지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The loading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xpand the loading space by interconnecting two loading pallets as needed. In addition, i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transport, storage, and work support of loads, as needed, so there is an advantage in improving work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의 적재용 파렛트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적재용 파렛트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적재용 파렛트의 저면도,
도 4는 도 1의 적재용 파렛트에서 확장지지대를 펼친 상태를 표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적재용 파렛트를 두 개 연결하여 적재공간을 확장한 상태를 표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적재용 파렛트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적재용 파렛트의 측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파렛트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파렛트 유닛의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한 쌍의 파렛트 유닛의 확장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loading palle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loading pallet of Figure 1,
Figure 3 is a bottom view of the loading pallet of Figure 1,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xpansion support is unfolded from the loading pallet of Figure 1;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ading space is expanded by connecting two loading pallets of FIG. 1;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loading palle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of the loading pallet shown in FIG. 6;
8 is a front view of the pallet unit shown i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se state of the pallet unit shown in FIG.
10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air of pallet units shown in FIG. 6 .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용 파렛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a loading pall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han the actual size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재용 파렛트(1)는 적재물을 적재 및 운반할 수 있도록 된 것이며, 두 개를 상호 연결하여 적재공간을 확장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1 to 5, the loading pallet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load and transport loads, and to extend the loading space by interconnecting the two it has become

적재용 파렛트(1)는 사각의 베이스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네 모서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네 개의 서포트부재(20) 및 서포트부재(20)들을 상호 연결하는 복수개의 가로대(31)를 포함하는 테두리프레임(30)과, 적재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프레임(40)과, 베이스프레임(10)에 설치되는 메인지지대(50)와, 메인지지대(50)에 절첩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 확장지지대(60)를 포함한다.The loading pallet (1) is a rectangular base frame (10), and four support members (20) extending upward from the four corners of the base frame (10) and a plurality of crossbars interconnecting the support members (20) The frame 30 including the 31, the opening and closing frame 4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oading space, the main support 50 installed on the base frame 10, and the main support 50 so as to be foldable It includes a hinged extension support (60).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은 사각의 프레임 형상으로 베이스프레임(10)의 하부에는 이동을 위한 이송바퀴(11)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메인지지대(50)가 장착되므로, 베이스프레임(10)은 메인지지대(5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The base frame 10 has a rectangular frame shape, and a transport wheel 11 for movement is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frame 10 . Since a main support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frame 10, the base frame 10 is formed so that the main support 50 can be seated thereon.

상기 서포트부재(20)들은 베이스프레임(10)의 네 모서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편의를 위해 네 개의 서포트부재(20)를 베이스프레임(10)의 테두리 방향을 따라 각각 제1 서포트부재(20a)와 제2 서포트부재(20b), 제3 서포트부재(20c) 및 제4 서포트부재(20d)라고 하면, 제1 서포트부재(20a)와 제2 서포트부재(20b), 제2 서포트부재(20b)와 제3 서포트부재(20c) 그리고 제3 서포트부재(20c)와 제4 서포트부재(20d)의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가로대(31)들이 설치된다. The support members 20 are formed to extend upwardly from the four corners of the base frame 10 . For convenience, the first support member 20a, the second support member 20b, the third support member 20c and the fourth support member along the edge direction of the base frame 10, respectively, the four support members 20 Referring to (20d), the first support member 20a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0b, the second support member 20b and the third support member 20c, and the third support member 20c and the fourth support member A plurality of crossbars 31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installed between (20d).

또한 각 서포트부재(20)의 하단에는 상기 적재용 파렛트(1) 간 상하 적재가 가능토록 종발이(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종발이(21)는 안정적으로 상하 적재될 수 있도록 서포트부재(2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송바퀴(11)를 통한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이송바퀴(11)의 하단보다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하단면이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at the lower end of each support member 20 , vertical feet 21 may be provided to enable vertical loading between the loading pallets 1 . The vertical teeth 21 may be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member 20 so that they can be stably stacked up and down, and upwards from the lower end of the transfer wheel 11 so as not to interfere with movement through the transfer wheel 11 . It is formed so that the lower surface can be locat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가로대(31)는 적재되는 물품의 종류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재질과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가로대(31)의 설치 개수와 이격거리도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The crossbar 31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and sizes according to the type or characteristics of the loaded article, and the number and spacing of the crosspiece 31 may be set in various ways.

상기 제1 서포트부재(20a)와 제4 서포트부재(20d)의 사이에는 가로대(31)가 설치되지 않으며, 개폐프레임(40)의 일측이 제1 서포트부재(20a)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개폐프레임(40)의 타측은 제4 서포트부재(20d)에 마련되는 개폐고정부를 통해 제4 서포트부재(20d)와 결합 또는 분리되면서 적재공간을 개폐한다. The crossbar 31 is not installed between the first support member 20a and the fourth support member 20d, and one 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frame 4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20a, The other side of the opening/closing frame 40 opens and closes the loading space while being coupled or separated with the fourth support member 20d through the opening/closing fixing part provided on the fourth support member 20d.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개폐고정부가 개폐프레임(40)에 설치되는 걸쇠(41)가 걸릴 수 있도록 제4 서포트부재(20d)에 형성되는 걸쇠고리(42)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데, 개폐프레임(40)의 고정 및 분리를 위한 개폐고정부는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프레임(40)에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고, 제4 서포트부재(20d)에 상기 고정홀로 진퇴 가능하게 고정핀(82)이 설치될 수도 있고, 자석과 같은 결합수단이 개폐고정부로 적용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ning and closing fixing part is formed in the form of a clasp ring 42 formed on the fourth support member 20d so that the clasp 41 installed on the opening and closing frame 40 can be caught, the opening and closing frame 40 The opening/closing fixing part for fixing and separating of the may be formed in various other forms. For example, a fixing hole is formed in the opening/closing frame 40, and a fixing pin 82 may be installed in the fourth support member 20d to advance and retreat into the fixing hole. may be applied as

상기 메인지지대(50)에는 확장지지대(60)가 힌지결합되어 있다. An extension support 60 is hinged to the main support 50 .

확장지지대(60)는 두 개의 적재용 파렛트(1)를 연결하여 적재공간을 확장할 때, 베이스프레임(10)들 사이 영역에 설치되어 적재물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The extension support 60 is installed in the area between the base frames 10 to support the load when connecting the two loading pallets 1 to expand the loading space.

상기 확장지지대(60)는 제1 서포트부재(20a)와 제2 서포트부재(20b)의 사이 변에 대응하는 메인지지대(50)의 일측 변에 절첩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있고, 회동 시 개폐프레임(40)이 열려 개방되는 공간을 통해 펼쳐지면서 지지면이 확장될 수 있다. The extension support 60 is hinge-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support 50 corresponding to the side between the first support member 20a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0b so as to be foldable, and an opening/closing frame ( 40) can be opened and the support surface can be expanded as it unfolds through the open space.

상기 메인지지대(50)와 확장지지대(60)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공(51)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적재물로부터 흘러나온 물이나 기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메인지지대(50)에 네 개의 배수공(51)이 형성되어 있고, 확장지지대(60)에는 하나의 배수공(51)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배수공(51)의 크기와 위치 및 형성 갯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Drain holes 51 for drainage are formed in the main support 50 and the extended support 60 so that water or oil flowing from the load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this embodiment, it is shown that four drain holes 51 are formed in the main support 50 and one drain hole 51 is formed in the extended support 60, but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drain holes 51 and the number of formations may be variously set as needed.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는 상기 확장지지대(60)가 펼쳐졌을 때 확장지지대(6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는 엘(L)자 형의 보강지지프레임(12)이 마련되어 있다. The base frame 10 is provided with an L-shaped reinforcing support frame 12 capable of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extension support 60 when the extension support 60 is unfolded.

상기 적재용 파렛트(1)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두 개를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하고, 각 개폐프레임(40)을 인접하는 다른 적재용 파렛트(1)에 연결함으로써 적재공간을 확장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loading pallet (1) is arrang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and each opening and closing frame 40 is connected to another adjacent loading pallet (1) to expand the loading space. can

개폐프레임(40)은 확장연결고정구(80)를 통해 인접하는 적재용 파렛트(1)의 서포트부재(20)에 연결됨으로써 개폐프레임(40)이 테두리프레임(30)과 같이 적재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개폐프레임(40)의 길이방향 만틈의 적재공간 확장이 이루어지게 된다. 두 개의 적재용 파렛트(1)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각 적재용 파렛트(1)의 베이스프레임(10) 사이의 지지영역에 상술한 확장지지대(60)를 배치해, 확장된 적재공간으로 적재되는 적재물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opening/closing frame 4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20 of the adjacent loading pallet 1 through the extension connection fixture 80 so that the opening/closing frame 40 prevents the separation of the load like the rim frame 30. It plays a role, and the loading sp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frame 4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expanded.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two loading pallets 1, the above-described expansion support 60 is arranged in the support area between the base frame 10 of each loading pallet 1, and the load is loaded into the expanded loading space. to be able to support

본 실시예의 경우 하나의 확장지지대(60)가 메인지지대(50)들 사이의 영역을 커버할 수 있으므로, 적재용 파렛트(1)는 하나는 확장지지대(60)가 마련되고, 다른 하나의 경우 확장지지대(60)를 생략하여 확장지지대(60)가 마련된 것과 그렇지 않은 나머지 하나를 쌍으로 연결해 설치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since one extended support 60 can cover the area between the main supports 50, one of the loading pallets 1 is provided with an extended support 60, and in the other case it is expanded By omitting the support 60, the one provided with the extended support 60 and the other one that is not provided may be connected in pairs and installed.

확장연결고정구(80)는 두 개의 적재용 파렛트(1)를 연결할 때, 연결된 적재용 파렛트(1)가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결속하기 위한 것이다. The extension connection fixture 80 is to bind the two loading pallets 1 to be connected so that the connected loading pallets 1 can maintain the connection state.

확장연결고정구(80)는 브라켓(81)과, 복수개의 고정핀(82)을 포함할 수 있다.The extension connection fixture 80 may include a bracket 81 and a plurality of fixing pins 82 .

상기 브라켓(81)은 확장시 일측 적재용 파렛트(1)의 개폐프레임(40)과 타측 적재용 파렛트(1)의 서포트부재(20)를 고정한다. 그리고 타측 적재용 파렛트(1)의 개폐프레임(40)과 일측 적재용 파렛트(1)의 서포트부재(20)를 고정한다. The bracket 81 fixes the opening/closing frame 40 of the pallet 1 for loading on one side and the support member 20 of the pallet 1 for loading on the other side when expanded. And the opening/closing frame 40 of the pallet (1) for loading on the other side and the support member (20) of the pallet (1) for loading on one side are fixed.

이를 위해 상기 브라켓(81)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82)이 브라켓(81)과 연결되는 개폐프레임(40) 및 서포트부재(20)를 관통해 결합됨으로써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bracket 81 is formed in a 'C' shape, and the fixing pin 82 penetrates through the opening/closing frame 40 and the support member 20 connected to the bracket 81 to improve the connection state. can keep

상기 확장연결고정구(80)는 일측과 타측 적재용 파렛트(1)의 개폐프레임(40)과 서포트부재(20)가 상호 연결되는 두 지점에만 설치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중량물의 적재물이 적재될 때 안정적인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경첩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개폐프레임(40)과 서포트부재(20) 사이의 연결부에도 확장연결고정구(80)를 구비한다. The extension connection fixture 80 may be installed only at two points where the opening/closing frame 40 and the support member 20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loading pallet 1 are interconnected, but in this embodiment, the load of a heavy object is loaded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frame 40 and the support member 20, which is hinged by a hinge, is also provided with an extension connection fixture 80 so as to maintain a stable connection state when it becomes available.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고정핀(82)은 볼트 체결 가능토록 볼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fixing pin 82 may have a bolt structure to enable bolt fastening.

도 6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용 파렛트(1)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6 to 10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pallet (1) for loa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적재용 파렛트(1)는 베이스프레임(10)과 서포트부재(20) 및 가로대(31)를 포함하는 테두리프레임(30), 개폐프레임(40) 및 메인지지대(50) 등의 구성이 제1 실시예의 적재용 파렛트(1)와 동일하며,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loading pallet 1 of this embodiment has a base frame 10, a support member 20, and a frame 30 including a crossbar 31, an opening and closing frame 40 and a main support 50, etc. It is the same as that of the loading pallet 1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ame number is given and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본 실시예의 적재용 파렛트(1)는 확장지지대(70)의 구성이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The loading pallet 1 of this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e configuration of the extension support 70 .

본 실시예의 확장지지대(70)는 개폐프레임(40)의 내측에 일측 변이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접힘상태일 때에는 지지면이 개폐프레임(40)의 내측면과 접하는 상태가 되도록 즉, 접힘상태일 때에는 확장지지대(70)가 개폐프레임(40)의 내측면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The extension support 70 of this embodiment is hinged on one side to the in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frame 40, and when in a folded state, the support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frame 40, that is, when in a folded state. The extension support 70 is installed to extend upwar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frame 40 .

상기 확장지지대(70)는 도 10에서와 같이 한 쌍의 적재용 파렛트(1)를 연결하여 적재공간을 확장하도록 개폐프레임(40)이 인접하는 다른 적재용 파렛트(1)의 서포트부재(20)와 연결되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지지면이 상방을 향하도록 회동한다. 아울러 상기 확장지지대(70)는 두 개의 적재용 파렛트(1)가 연결되어 확장되는 적재영역의 바닥면 면적에 대하여 이분할 된 크기로 형성되어 있어서, 양측 적재용 프레임의 개폐프레임(40)으로부터 각각의 확장지지대(70)가 펼쳐지면서 확장된 적재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게 된다. The expansion support 70 connects a pair of loading pallets 1 as shown in FIG. 10 to extend the loading space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frame 40 is adjacent to the other loading pallets 1 support member 20 When connected to, the support surface is rotated to face upward as shown in FIGS. 9 and 10 . In addition, the expansion support 70 is formed in a size divided into two with respect to the floor area of the loading area where two loading pallets 1 are connected and expanded, respectively, from the opening and closing frames 40 of the loading frames on both sides. The extended support 70 of the is unfolded to form the bottom surface of the expanded loading space.

확장지지대(70)는 적재용 파렛트(1)가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 접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개폐프레임(40)에 확장대고정부(71)가 마련되어 접힘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The extension support 70 is provided with an extension rod fixing part 71 on the opening and closing frame 40 to maintain the folded state when the loading pallet 1 is used alone so that the folded state is maintain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적재용 파렛트(1)는 단독으로 적재물을 보관하거나 운반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두 개의 적재용 파렛트(1)를 연결하는 경우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적재공간을 더욱 확장하여 단일 적재용 파렛트(1)의 사용시보다 50% 확장된 적재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서 효율적인 적재물의 적재와 보관 또는 운반이 가능하다. The loading pallet (1)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used to store or transport the load alone, and if necessary, when connecting the two loading pallets (1), the loading space is further expanded than when used alone Thus, it is possible to secure a loading space that is 50% larger than when using a single loading pallet (1), so tha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load, store, or transport loads.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 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ic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but is to be construed in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1: 적재용 파렛트
10: 베이스프레임
11: 이송바퀴
12: 보강지지프레임
20: 서포트부재
20a: 제1 서포트부재
20b: 제2 서포트부재
20c: 제3 서포트부재
20d: 제4 서포트부재
21: 종발이
30: 테두리프레임
31: 가로대
40: 개폐프레임
41: 걸쇠
42: 걸쇠고리
50: 메인지지대
51: 배수공
60: 확장지지대(제1 실시예)
70: 확장지지대(제2 실시예)
80: 확장연결고정구
81: 브라켓
82: 고정핀
1: Pallet for loading
10: base frame
11: transfer wheel
12: reinforcement support frame
20: support member
20a: first support member
20b: second support member
20c: third support member
20d: fourth support member
21: bellow
30: border frame
31: crossbar
40: opening and closing frame
41: clasp
42: clasp
50: main support
51: drain hole
60: extended support (first embodiment)
70: extended support (second embodiment)
80: extension connector fixture
81: bracket
82: fixing pin

Claims (6)

적재물을 적재하여 보관 또는 운반할 수 있는 적재용 파렛트에 있어서,
사각의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네 모서리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연장되는 서포트부재와, 상기 네 개의 서포트부재들 중 인접하는 서포트부재들을 상호 연결하되,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네 변중 하나의 변은 개구된 상태가 되도록 세 변에 대응하는 위치를 가릴 수 있게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가로대를 포함하는 테두리프레임과;
상기 테두리프레임이 설치되지 않는 개방된 하나의 영역을 개폐하도록 상기 서포트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어 적재물을 지지하는 메인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용 파렛트는 두 개가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며, 일측 적재용 파렛트의 개폐프레임이 인접하는 타측 적재용 파렛트의 서포트부재에 연결되어 적재공간이 확장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두 개의 적재용 파렛트가 인접하게 배치되어 적재공간이 확장될 때, 양측 적재용파렛트의 메인지지대 사이에 설치되어 확장된 적재공간의 하부를 지지하는 확장지지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용 파렛트.
In the loading pallet that can be loaded and stored or transported,
a square base frame;
A support member extending upward from each of the four corners of the base frame and adjacent support members among the four support members are interconnected, and one side of the four sides of the base frame is in an open state on three sides. a frame frame including a plurality of cross bar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up and down so as to cover a corresponding position;
an opening/closing frame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to open and close an open area where the frame frame is not installed;
and a main support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to support the load,
The two loading pallets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opening and closing frame of one loading pallet is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of the adjacent loading pallet to expand the loading space,
When the two loading pallets are arranged adjacently to expand the loading space, it further comprises an expansion support installed between the main supports of the two loading pallets to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expanded loading space.
Pallet for loading.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지지대는 상기 메인지지대의 일측에 절첩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있고, 상기 개폐프레임에 의해 개방되는 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용 파렛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extension support is hinged so as to be foldable to one side of the main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it extends in a direction to be open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frame
Pallet for load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지지대는 상기 개폐프레임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용 파렛트.
The method of claim 1,
The extension sup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frame.
Pallet for loading.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지지대는 두 개의 적재용 파렛트가 연결될 때, 양측 적재용 파렛트의 확장지지대가 함께 확장되는 적재공간의 바닥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용 파렛트.
5. The method of claim 4,
The expansion sup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two loading pallets are connected, the expansion supports of both loading pallets can cover the bottom surface of the loading space that is expanded together.
Pallet for loading.
제 1항,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에는 상기 확장지지대를 지지하기 위한 보강지지프레임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용 파렛트.
6.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3 to 5,
The base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ement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the extension support is further provided
Pallet for loading.
KR1020200022448A 2020-02-24 2020-02-24 Scalable pallet KR1023909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448A KR102390994B1 (en) 2020-02-24 2020-02-24 Scalable pall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448A KR102390994B1 (en) 2020-02-24 2020-02-24 Scalable pall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440A KR20210107440A (en) 2021-09-01
KR102390994B1 true KR102390994B1 (en) 2022-04-26

Family

ID=77780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448A KR102390994B1 (en) 2020-02-24 2020-02-24 Scalable pall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099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3868A (en) 1998-07-24 2000-02-15 Juken Sangyo Co Ltd Flat pallet
JP2007099376A (en) * 2005-10-07 2007-04-19 Fuso Kinzoku Kogyo Kk Container
JP2017043215A (en) 2015-08-26 2017-03-02 ジー・オー・ピー株式会社 Foldable storage car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117Y2 (en) * 1993-03-15 1995-06-28 株式会社武蔵野商工 Roll box pallet connector
KR200479390Y1 (en) 2015-09-14 2016-01-22 거창피엘티 주식회사 Pallet with sidebar keeping device
KR101768055B1 (en) * 2015-10-14 2017-08-30 김봉수 Variable Pallet for Volume Minimiz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3868A (en) 1998-07-24 2000-02-15 Juken Sangyo Co Ltd Flat pallet
JP2007099376A (en) * 2005-10-07 2007-04-19 Fuso Kinzoku Kogyo Kk Container
JP2017043215A (en) 2015-08-26 2017-03-02 ジー・オー・ピー株式会社 Foldable storage ca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440A (en) 202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869B1 (en) Container type foldable pallet
KR200470963Y1 (en) Folding pallet of the automobile parts lift
RU2346873C2 (en) Goods rack structure
JP2011016536A (en) Rack for freight
KR20110003297A (en) Pallet for carrying of automobile parts
KR200431994Y1 (en) Cart for carrying various parts
KR102390994B1 (en) Scalable pallet
KR100829160B1 (en) Cart for carrying various parts
KR102268567B1 (en) Scalable pallet
KR102391816B1 (en) Conneting device for loading pallet
KR200490368Y1 (en) Safety palate for freight transport
KR100920301B1 (en) A Container for Loading Vehicles with Two Layers Structure
RU193958U1 (en) Tipper vehicle body
KR100799969B1 (en) Folding type pallet
KR101366511B1 (en) Pallete using latch type bending column for agricultural machinery storage
KR200433342Y1 (en) a crate
JP2002225866A (en) Pallet for transporting load
CN203359064U (en) Supporting structure of tray box discharging opening
KR20100010930U (en) It folds and it writes many layer palette
CN216547621U (en) Can convertible flat freight frame
KR200472409Y1 (en) Pallet rack
JP5507918B2 (en) truck
KR860002693Y1 (en) Carrier for food
KR101061381B1 (en) Pallet
KR100757306B1 (en) Folding and unfolding for pallet support of multi type lading wareh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