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0885B1 - 통화중 대기콜의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중 대기콜의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0885B1
KR102390885B1 KR1020210004444A KR20210004444A KR102390885B1 KR 102390885 B1 KR102390885 B1 KR 102390885B1 KR 1020210004444 A KR1020210004444 A KR 1020210004444A KR 20210004444 A KR20210004444 A KR 20210004444A KR 102390885 B1 KR102390885 B1 KR 102390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reminder
time
wait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정윤
김은성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04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08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 H04M3/4285Notifying, informing or entertaining a held party while on hold, e.g. Music On 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중 대기콜의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화중 대기콜의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는 제1 상대방과의 제1 통화를 진행하는 통화 진행부, 상기 제1 통화의 진행 중에 제2 상대방으로부터 제2 통화를 수신하는 통화중 대기콜 수신부, 상기 제2 통화가 수신되면 상기 제1 통화의 진행 중에 디스플레이에 통화중 리마인더를 시각적으로 생성하는 통화중 리마인더 생성부, 상기 통화중 리마인더를 통해 리마인드 알람시간을 수신하는 리마인드 알람시간 처리부, 및 상기 제1 통화의 진행과 무관하게 상기 리마인드 알람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제2 통화의 연결을 위한 리마인더를 제공하는 리마인드 처리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화중 대기콜의 리마인더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의 통화 관리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화중 대기콜의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MINDER SERVICE FOR WAITING CALLS DURING A CALL}
본 발명은 통화중 대기콜의 리마인더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통화 예정 일정을 리마인더하여 일정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화중 대기콜의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화를 하고 있는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게 되면 발신자는 상대방이 이미 통화중입니다 안내를 받게 되지만 통화를 하고 있는 상대방의 경우 전화가 왔었다는 사실을 알지 못하게 된다.
최근에는 통신사 부가서비스의 하나로 통화중 대기 서비스에 가입을 하면 통화를 하고 있는 도중에 다른 상대방이 전화를 걸면 전화 화면에 전화가 걸려왔다는 것이 표시되어 상대방에게 언제쯤 전화를 다시 드리겠다고 문자 메시지 또는 음성 통화로 알려줄 수 있다.
그런데, 사용자의 일정 과부하 혹은 망각에 의해 통화중 대기 상대방에게 전화 거는 것을 잊어버리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일일이 통화 예정 시간을 기록해두고 통화 일정을 관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22378(2011.03.08)호는 통화중 대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입자가 통화하고 있는 중에 제3자인 사용자로부터 가입자에게 통화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광고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면, 사용자는 가입자가 통화중임을 인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통화중 대기 시간 동안 광고 정보를 청취하면서 대기할 수 있으므로, 통화중 대기 시간 동안 사용자로부터 발생하는 불완료 호를 줄일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08378(2012.01.13)호는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의 통화 중에 제3 단말기가 제1 단말기로 통화 요청을 하여 제3 단말기의 통화 요청을 제1 단말기에 알려주는 경우, 음원 송출 서버가 제1 단말기에 음성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이동 교환국과 제2 단말기에 음성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이동 교환국 간에 간접적인 통화로를 형성하고, 통화 요청 안내 음과 제2 이동 교환국에서 전송된 음성을 결합하여 제1 이동 교환국으로 송출함으로써,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간의 통화를 방해하지 않고 제1 단말기로 제3 단말기의 통화 요청을 알릴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22378(2011.03.08)호 한국등록특허 제10-1108378(2012.01.13)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통화 예정 일정을 리마인더하여 일정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화중 대기콜의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통화 중에 제3자로부터 통화 요청이 있는 경우 통화중 리마인더를 통해 리마인드 알람시간을 설정하여 설정한 라미인드 알람시간이 되면 사용자에게 통화 연결을 위한 리마인더를 제공할 수 있는 통화중 대기콜의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텍스트 또는 음성 기반의 통화 연기 예정 시간이 입력되면 텍스트 데이터로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하고 통화 연기 예정 시간이 되기 직전에 사용자에게 알림을 통해 통화 일정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통화중 대기콜의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통화중 대기콜의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는 제1 상대방과의 제1 통화를 진행하는 통화 진행부, 상기 제1 통화의 진행 중에 제2 상대방으로부터 제2 통화를 수신하는 통화중 대기콜 수신부, 상기 제2 통화가 수신되면 상기 제1 통화의 진행 중에 디스플레이에 통화중 리마인더를 시각적으로 생성하는 통화중 리마인더 생성부, 상기 통화중 리마인더를 통해 리마인드 알람시간을 수신하는 리마인드 알람시간 처리부, 및 상기 제1 통화의 진행과 무관하게 상기 리마인드 알람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제2 통화의 연결을 위한 리마인더를 제공하는 리마인드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통화중 리마인더 생성부는 상기 통화중 리마인더를 통해 텍스트 또는 음성 기반의 통화연기 예정시간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화중 리마인더 생성부는 상기 음성 기반의 통화연기 예정시간이 선택되면 상기 제1 통화를 대기시키고 동시에 상기 제1 통화의 대기 중에 상기 제1 상대방에게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설정 대기음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통화중 리마인더 생성부는 상기 음성 기반의 통화연기 예정시간이 수신되면 상기 제1 통화의 대기를 해제하고 상기 제1 통화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통화중 리마인더 생성부는 상기 텍스트 기반의 통화연기 예정시간이 선택되면 상기 제1 통화의 대기 없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대기예정 알람시간의 입력을 위한 대기시간 입력창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리마인드 알람시간 처리부는 상기 리마인드 알람시간이 수신되면 상기 제2 상대방에게 상기 리마인드 예정시간에 해당하는 통화 대기 시간을 1차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상기 리마인드 알람시간 처리부는 상기 통화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사용자의 통화 중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리마인드 알람시간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가 통화 중이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2 상대방에게 상기 사용자와의 통화 재연결을 위한 통화 알람을 2차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상기 리마인드 처리부는 상기 제1 통화의 진행이 계속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상대방이 통화 중인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제2 상대방이 통화 중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2 상대방의 대기 시간을 표시하는 리마인더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리마인드 처리부는 상기 리마인더를 통해 상기 제2 상대방과의 통화를 바로 연결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통화중 대기콜의 리마인더 서비스 방법은 (a) 제1 상대방과의 제1 통화를 진행하는 단계, (b) 상기 제1 통화의 진행 중에 제2 상대방으로부터 제2 통화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제2 통화가 수신되면 상기 제1 통화의 진행 중에 디스플레이에 통화중 리마인더를 시각적으로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통화중 리마인더를 통해 리마인드 알람시간을 수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1 통화의 진행과 무관하게 상기 리마인드 알람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제2 통화의 연결을 위한 리마인더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통화중 리마인더를 통해 텍스트 또는 음성 기반의 통화연기 예정시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음성 기반의 통화연기 예정시간이 선택되면 상기 제1 통화를 대기시키고 동시에 상기 제1 통화의 대기 중에 상기 제1 상대방에게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설정 대기음을 제공하고, 상기 음성 기반의 통화연기 예정시간이 수신되면 상기 제1 통화의 대기를 해제하고 상기 제1 통화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텍스트 기반의 통화연기 예정시간이 선택되면 상기 제1 통화의 대기없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대기예정 알람시간의 입력을 위한 대기시간 입력창을 표시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중 대기콜의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의 통화 예정 일정을 리마인더하여 일정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중 대기콜의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은 통화 중에 제3자로부터 통화 요청이 있는 경우 통화중 리마인더를 통해 리마인드 알람시간을 설정하여 설정한 라미인드 알람시간이 되면 사용자에게 통화 연결을 위한 리마인더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중 대기콜의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은 텍스트 또는 음성 기반의 통화 연기 예정 시간이 입력되면 텍스트 데이터로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하고 통화 연기 예정 시간이 되기 직전에 사용자에게 알림을 통해 통화 일정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중 대기콜의 리마인더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통화중 대기콜의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통화중 대기콜의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리마인더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대기시간 입력창의 예시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중 대기콜의 리마인더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화중 대기콜의 리마인더 서비스 시스템(100, 이하 리마인더 서비스 시스템)은 통화중 대기콜의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110, 이하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 사용자 단말(120), 및 복수의 상대방 단말들(130)을 포함하고, 이들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20)과 복수의 상대방 단말들(130) 중 제1 상대방 단말(130a) 사이의 통화를 진행할 수 있고 통화 중에 제2 상대방 단말(130b)로부터 통화가 수신되면 통화중 리마인더를 제공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110)는 통화중 리마인더를 통해 라마인드 알람시간을 수신할 수 있고 리마인드 알람시간이 경과되면 사용자 단말(120)에 제2 상대방 단말(130b)과의 통화 연결을 위한 리마인더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110)는 통화중 리마인더를 통해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텍스트 또는 음성 기반의 통화연기 예정시간을 수신하여 제2 상대방 단말(130b)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제2 상대방 단말(130b)에 음성 기반의 통화연기 예정시간이 제공되는 동안 제1 상대방 단말(130a)과의 통화를 대기시키고 동시에 제1 상대방 단말(130a)에 사용자 단말(120)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설정 대기음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 및 복수의 상대방 단말들(130)은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110)와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고 서로 통화 가능한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120) 및 복수의 상대방 단말들(130)은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 노트북 등 통화 기능을 구비한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20)의 사용자는 복수의 상대방 단말들(130) 중 제1 상대방 단말(130a)의 상대방과 통화 중에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110)를 통해 제2 상대방 단말(130b)의 통화 요청을 알려주는 통화중 라미인더를 제공받을 수 있고, 통화중 라미인더를 통해 통화 수락 또는 거절을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의 사용자는 통화 수락시 제1 상대방 단말(130a)의 상대방과의 통화를 보류하고 제2 상대방 단말(130b)의 상대방과 통화를 통해 현재 통화중이고 언제 다시 전화를 걸겠다는 통화연기 예정 시간을 알릴 수 있다. 사용자 단말(120)의 사용자는 통화 거절시 문자 메시지를 통해 제2 상대방 단말(130b)에 통화연기 예정 시간을 알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20)의 사용자는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110)를 통해 통화연기 예정 시간에 통화 연결을 위한 라마인더를 제공받아 제2 상대방 단말(130b)의 상대방과의 통화를 진행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통화중 대기콜의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110)는 통화 진행부(210), 통화중 대기콜 수신부(220), 통화중 리마인더 생성부(230), 리마인드 알람시간 처리부(240), 리마인드 처리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통화 진행부(210)는 제1 상대방과의 제1 통화를 진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화 진행부(210)는 사용자 단말(120)과 제1 상대방 단말(130a) 사이에 통화로를 형성하여 사용자와 제1 상대방 사이에 통화를 진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화 진행부(210)는 제1 상대방의 음성을 수신하여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출력하고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여 제1 상대방에게 전달되도록 송신할 수 있다.
통화중 대기콜 수신부(220)는 제1 통화의 진행 중에 제2 상대방으로부터 제2 통화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화중 대기콜 수신부(220)는 사용자 단말(120)과 제1 상대방 단말(130a)이 통화 중에 있을 때 제2 상대방 단말(130b)이 사용자 단말(120)에 전화를 걸어 통화 요청을 하면 사용자 단말(120)과 제2 상대방 단말(130b) 사이에 간접적인 통화로를 형성하여 제2 상대방으로부터 제2 통화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화중 대기콜 수신부(220)는 제2 상대방 단말(130b)에 통화중 대기음(Ring back Tone)을 송출할 수 있다.
통화중 리마인더 생성부(230)는 제2 통화가 수신되면 제1 통화의 진행 중에 디스플레이에 통화중 리마인더를 시각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화중 리마인더 생성부(230)는 제1 상대방과의 제1 통화의 진행 중에 제2 상대방으로부터 제2 통화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120)의 디스플레이에 제2 상대방으로부터 제2 통화가 수신되었음을 표시하여 사용자 단말(120)의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여기에서, 통화중 리마인더 생성부(230)는 사용자 단말(12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텍스트 형태로 통화중 리마인더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통화중 리마인더 생성부(230)는 통화중 리마인더를 통해 텍스트 또는 음성 기반의 통화연기 예정시간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20)의 디스플레이에 시각적으로 생성된 통화중 리마인더를 통해 통화중 대기콜을 확인할 수 있고 대기콜에 대해 통화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통화 승인을 한 경우에 사용자는 통화 진행부(210)를 통해 제2 상대방과의 제2 통화를 진행하여 통화연기 예정시간을 포함한 통화중 상태를 음성(Voice) 형식으로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가 통화 승인을 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는 통화 진행부(210)를 통해 제2 상대방 단말(130b)에 통화연기 예정시간을 포함한 통화중 상태를 문자메시지 등의 텍스트(Text) 형식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화중 리마인더 생성부(230)는 사용자가 통화중 대기콜의 통화 승인 여부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하는 텍스트 또는 음성 기반의 통화연기 예정시간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화중 리마인더 생성부(230)는 음성 기반의 통화연기 예정시간이 선택되면 제1 통화를 대기시키고 동시에 제1 통화의 대기 중에 제1 상대방에게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설정 대기음을 제공할 수 있다. 통화중 리마인더 생성부(230)는 음성 형식의 사용자 입력을 STT(Speech to Text)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에서 '시간'과 연관된 키워드를 도출하여 통화연기 예정시간으로 선택할 수 있다.
STT(Speech to Text)는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기술을 뜻한다. 즉, 사람이 말하는 음성 언어를 컴퓨터가 해석해 그 내용을 문자 데이터로 전환하는 것이다.
통화중 리마인더 생성부(230)는 텍스트 기반의 통화연기 예정시간이 선택되면 제1 통화의 대기없이 디스플레이에 대기예정 알람시간의 입력을 위한 대기시간 입력창을 표시할 수 있다. 통화중 리마인더 생성부(230)는 텍스트 형식의 사용자 입력을 자연어 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기반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을 통해 '시간'과 연관된 텍스트만 선별하여 통화연기 예정시간으로 선택할 수 있다.
텍스트 마이닝 기술은 자연언어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기술에 기반하고 있다. 텍스트 마이닝은 한마디로 비정형 텍스트 데이터에서 가치와 의미가 있는 정보를 찾아내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사용자는 텍스트마이닝 기술을 통해 방대한 정보 뭉치에서 의미있는 정보를 추출해 내고, 다른 정보와의 연계성을 파악하며, 텍스트가 가진 카테고리를 찾아내는 등, 단순한 정보 검색 그 이상의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
통화중 리마인더 생성부(230)는 음성 기반의 통화연기 예정시간이 수신되면 제1 통화의 대기를 해제하고 제1 통화로 복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화중 리마인더 생성부(230)는 사용자 단말(120)의 사용자가 제2 상대방 단말(130b)의 제2 상대방과 통화하는 과정에서 제1 상대방 단말(130a)에 대기음을 제공하여 제1 상대방을 통화 대기 상태로 유지시키고, 통화가 완료되면 즉, 통화연기 예정시간이 수신되면 제1 상대방 단말(130a)로 통화 전환하여 제1 상대방과 사용자 간의 통화를 복귀시킬 수 있다.
리마인드 알람시간 처리부(240)는 통화중 리마인더를 통해 리마인드 알람시간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리마인드 알람시간은 통화연기 예정시간을 기초로 설정된 특성 시간 전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마인드 알람시간 처리부(240)는 시간을 계수하여 통화연기 예정시간으로부터 특정 시간 전인 리마인드 알람시간이 되면 제2 상대방에게 리마인드 예정시간에 해당하는 통화 대기 시간을 1차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예컨대, 리마인드 알람시간은 통화연기 예정시간 3분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리마인드 알람시간 처리부(240)는 통화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사용자의 통화 중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마인드 알람시간 처리부(240)는 사용자가 통화 중이지 않은 경우에는 제2 상대방에게 사용자와의 통화 재연결을 위한 통화 알람을 2차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제2 상대방은 제2 상대방 단말(130b)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사용자와의 통화 재연결을 위한 통화 알람이 제공되면 통화 요청을 통해 사용자 단말(120)과 통화를 진행할 수 있다.
리마인드 처리부(250)는 제1 통화의 진행과 무관하게 리마인드 알람시간이 경과되면 사용자 단말(12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2 통화의 연결을 위한 리마인더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마인더 처리부(250)는 사용자와 제1 상대방 간의 제1 통화의 진행이 계속되는 경우에는 제2 상대방이 통화중인지 여부를 검출하고 제2 상대방이 통화 중이 아닌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120)의 디스플레이에 제2 상대방의 대기 시간을 표시하는 리마인더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상대방의 대기 시간은 제2 상대방으로부터 제2 통화가 수신되는 시간을 시점으로 현재 시간까지의 소요 시간에 해당할 수 있다. 리마인드 처리부(250)는 통화연기 예정시간이 되었음을 알리는 라마인드 알람시간이 경과되고 사용자가 여전히 통화중인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120)에 리마인더 메시지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통화에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도 사용자에게 통화연기 예정시간이 도래하였음을 리마인드할 수 있다.
리마인더 처리부(250)는 리마인더를 통해 제2 상대방과의 통화를 바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마인더 처리부(250)는 리마인더 메시지 제공 후 사용자와 제1 상대방 간의 제1 통화가 종료되면 제2 상대방 단말(130b)과 연결하여 제2 상대방과의 제2 통화를 진행시킬 수 있다.
제어부(260)는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1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통화 진행부(210), 통화중 대기콜 수신부(220), 통화중 리마인더 생성부(230), 리마인드 알람시간 처리부(240) 및 리마인드 처리부(25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통화중 대기콜의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리마인더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4는 도 1에 있는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대기시간 입력창의 예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110)는 제1 상대방과의 제1 통화를 진행하는 중에 제2 상대방으로부터 제2 통화를 수신하는 통화중 대기콜을 수신할 수 있다(단계 S310).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110)는 제2 통화가 수신되면 제1 통화의 진행 중에 디스플레이에 통화중 리마인더를 시각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단계 S320).
일 실시예에서,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110)는 통화중 리마인더 생성부(230)를 통해 제1 통화를 진행하는 사용자 단말(120)의 디스플레이에 통화중 리마인더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2 통화가 수신되었음을 알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화중 리마인더 생성부(230)는 통화중 리마인더를 통해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텍스트 또는 음성 기반의 통화연기 예정시간이 선택될 수 있고 선택된 텍스트 또는 음성 기반의 통화연기 예정시간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텍스트 또는 음성 형태로 “30분 후에 통화할게요” 라고 통화연기 예정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110)는 통화중 리마인더 생성부(23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음성 기반의 통화연기 예정시간이 선택되면 음성 기반의 통화연기 예정시간을 수신할 수 있도록 제1 상대방과의 제1 통화를 대기시키고 동시에 제1 통화의 대기 중에 제1 상대방에게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설정 대기음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통화중 리마인더 생성부(230)는 음성 기반의 통화연기 예정시간이 수신되면 제1 통화의 대기를 해제하고 제1 통화로 복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110)는 통화중 리마인더 생성부(23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텍스트 기반의 통화연기 예정시간이 선택되면 제1 통화의 대기없이 사용자 단말(120)의 디스플레이에 대기예정 알람시간의 입력을 위한 대기시간 입력창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20)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기시간 입력창(410)이 팝업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대기시간 입력창(410)에 제2 상대방과의 제2 통화를 위한 통화 대기 시간을 직접 텍스트 입력할 수 있다.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110)는 통화중 리마인더를 통해 리마인드 알람시간을 수신할 수 있다(단계 S330).
일 실시예에서,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110)는 리마인드 알람시간 처리부(240)를 통해 리마인드 알람시간이 수신되면 제2 상대방에게 리마인드 예정시간에 해당하는 통화 대기 시간을 1차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여기에서, 리마인드 알람시간 처리부9240)는 통화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사용자의 통화 중 여부를 검출하고, 사용자가 통화 중이지 않은 경우에는 제2 상대방에게 사용자와의 통화 재연결을 위한 통화 알람을 2차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110)는 제1 통화의 진행과 무관하게 리마인드 알람시간이 경과되면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2 통화의 연결을 위한 리마인더를 제공할 수 (단계 S340).
일 실시예에서,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110)는 리마인드 처리부(250)를 통해 제2 통화의 진행이 계속되는 경우에는 제2 상대방이 통화 중인지 여부를 검출하고 제2 상대방이 통화 중이 아닌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에 제2 상대방의 대기 시간을 표시하는 리마인더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리마인드 처리부(250)는 리마인더를 통해 제2 상대방과의 통화를 바로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통화중 대기콜의 리마인더 서비스 시스템
110: 통화중 대기콜의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
120: 사용자 단말 130: 복수의 상대방 단말들
130a: 제1 상대방 단말 130b: 제2 상대방 단말
210: 통화 진행부 220: 통화중 대기콜 수신부
230: 통화중 리마인더 생성부 240: 리마인드 알람시간 처리부
250: 리마인드 처리부 260: 제어부

Claims (14)

  1. 제1 상대방과의 제1 통화를 진행하는 통화 진행부;
    상기 제1 통화의 진행 중에 제2 상대방으로부터 제2 통화를 수신하는 통화중 대기콜 수신부;
    상기 제2 통화가 수신되면 상기 제1 통화의 진행 중에 디스플레이에 통화중 리마인더를 시각적으로 생성하고 상기 통화중 리마인더를 통해 텍스트 또는 음성 기반의 통화연기 예정시간을 수신하는 통화중 리마인더 생성부;
    상기 통화연기 예정시간을 기초로 리마인드 알람시간을 수신하고 상기 리마인드 알람시간이 수신되면 상기 제2 상대방에게 통화 대기 시간을 1차적으로 알려주는 리마인드 알람시간 처리부; 및
    상기 제1 통화의 진행과 무관하게 상기 리마인드 알람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제2 통화의 연결을 위한 리마인더를 제공하는 리마인드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통화중 리마인더 생성부는
    대기콜에 대해 상기 사용자가 통화 승인을 한 경우에 상기 제1 통화를 대기시키고 상기 제2 통화 중 음성 형식의 상기 사용자 입력을 STT(Speech to Text) 변환하여 시간과 연관된 키워드를 도출하여 통화연기 예정시간으로 선택하고,
    대기톨에 대해 상기 사용자가 통화 승인을 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1 통화의 대기 없이 텍스트 형식의 상기 사용자 입력을 자연어 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기반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을 통해 시간과 연관된 텍스트 선별하여 통화연기 예정시간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콜의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중 리마인더 생성부는
    상기 음성 기반의 통화연기 예정시간이 선택되면 상기 제1 통화를 대기시키고 동시에 상기 제1 통화의 대기 중에 상기 제1 상대방에게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설정 대기음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콜의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중 리마인더 생성부는
    상기 음성 기반의 통화연기 예정시간이 수신되면 상기 제1 통화의 대기를 해제하고 상기 제1 통화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콜의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중 리마인더 생성부는
    상기 텍스트 기반의 통화연기 예정시간이 선택되면 상기 제1 통화의 대기 없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기예정 알람시간의 입력을 위한 대기시간 입력창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콜의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마인드 알람시간 처리부는
    상기 통화 대기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사용자의 통화 중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콜의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마인드 알람시간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가 통화 중이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2 상대방에게 상기 사용자와의 통화 재연결을 위한 통화 알람을 2차적으로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콜의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마인드 처리부는
    상기 제1 통화의 진행이 계속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상대방이 통화 중인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제2 상대방이 통화 중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2 상대방의 대기 시간을 표시하는 리마인더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콜의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마인드 처리부는
    상기 리마인더를 통해 상기 제2 상대방과의 통화를 바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콜의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
  11. (a) 제1 상대방과의 제1 통화를 진행하는 단계;
    (b) 상기 제1 통화의 진행 중에 제2 상대방으로부터 제2 통화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제2 통화가 수신되면 상기 제1 통화의 진행 중에 디스플레이에 통화중 리마인더를 시각적으로 생성하고 상기 통화중 리마인더를 통해 텍스트 또는 음성 기반의 통화연기 예정시간을 수신하는 단계;
    (d) 상기 통화연기 예정시간을 기초로 리마인드 알람시간을 수신하고 상기 리마인드 알람시간이 수신되면 상기 제2 상대방에게 통화 대기 시간을 1차적으로 알려주는 단계; 및
    (e) 상기 제1 통화의 진행과 무관하게 상기 리마인드 알람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제2 통화의 연결을 위한 리마인더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c) 단계는
    대기콜에 대해 상기 사용자가 통화 승인을 한 경우에 상기 제1 통화를 대기시키고 상기 제2 통화 중 음성 형식의 상기 사용자 입력을 STT(Speech to Text) 변환하여 시간과 연관된 키워드를 도출하여 통화연기 예정시간으로 선택하고,
    대기콜에 대해 상기 사용자가 통화 승인을 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1 통화를 대기 없이 텍스트 형식의 상기 사용자 입력을 자연어 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기반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을 통해 시간과 연관된 텍스트 선별하여 통화연기 예정시간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콜의 리마인더 서비스 방법.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음성 기반의 통화연기 예정시간이 선택되면 상기 제1 통화를 대기시키고 동시에 상기 제1 통화의 대기 중에 상기 제1 상대방에게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설정 대기음을 제공하고,
    상기 음성 기반의 통화연기 예정시간이 수신되면 상기 제1 통화의 대기를 해제하고 상기 제1 통화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콜의 리마인더 서비스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텍스트 기반의 통화연기 예정시간이 선택되면 상기 제1 통화의 대기없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기예정 알람시간의 입력을 위한 대기시간 입력창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중 대기콜의 리마인더 서비스 방법.
KR1020210004444A 2021-01-13 2021-01-13 통화중 대기콜의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2390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444A KR102390885B1 (ko) 2021-01-13 2021-01-13 통화중 대기콜의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444A KR102390885B1 (ko) 2021-01-13 2021-01-13 통화중 대기콜의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0885B1 true KR102390885B1 (ko) 2022-04-26

Family

ID=81390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444A KR102390885B1 (ko) 2021-01-13 2021-01-13 통화중 대기콜의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08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378B1 (ko) 2008-08-11 2011-03-22 주식회사 케이티 통화중 대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10037552A (ko) * 2009-10-07 2011-04-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화중 대기 호 전환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통신단말
KR101108378B1 (ko) 2009-11-23 2012-01-3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26721A (ko) * 2012-08-23 2014-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호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378B1 (ko) 2008-08-11 2011-03-22 주식회사 케이티 통화중 대기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10037552A (ko) * 2009-10-07 2011-04-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화중 대기 호 전환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통신단말
KR101108378B1 (ko) 2009-11-23 2012-01-3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통화중 대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26721A (ko) * 2012-08-23 2014-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호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91124B (zh) 一种人工智能代接来电的系统
US10320980B2 (en) User device detection and integration for an IVR system
US8234289B2 (en) Restoration of conversation stub for recognized experts
US20190052751A1 (en) Call Holding Management
US20090109961A1 (en) Multiple simultaneous call management usin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CN104244198B (zh) 一种对呼叫接通状态进行提示的方法及装置
US20050015495A1 (en) Application server component that notifies one or more communication devices of one or more invitations to join communication session
US11699360B2 (en) Automated real time interpreter service
US20170339278A1 (en) Method, apparatu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9274831A (zh) 一种语音通话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050053278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검색 방법
US201801391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urpose and multiformat instant messaging
KR20140078258A (ko) 대화 인식을 통한 이동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회의 중 대화 인식을 통한 정보 제공 장치
CN114760387A (zh) 管理保持的方法和装置
JPWO2015083741A1 (ja) 中継装置、表示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101643808B1 (ko) 어플리케이션과 서버 간의 연동을 이용한 음성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US100702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identifying and annotating auditory signals from one or more parties
KR102390885B1 (ko) 통화중 대기콜의 리마인더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1798765B1 (ko) 통화중 질의에 대한 실시간 응답 장치 및 방법
CN114731355A (zh) 基于呼叫设置的呼入控制
KR100929531B1 (ko) 음성 인식을 이용한 무선 환경에서의 정보 제공 시스템 및그 방법
JP2011250270A (ja) 電話機、自動応答システム、並びに電話機の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935348A (zh) 提供通话处理服务的方法和装置
KR101621136B1 (ko) 조도 센서를 이용한 음성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음성 인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단말기
KR102221015B1 (ko) 대리통화 서비스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