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0471B1 - 최대 전력 부하 관리를 위한 정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최대 전력 부하 관리를 위한 정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0471B1
KR102390471B1 KR1020200048180A KR20200048180A KR102390471B1 KR 102390471 B1 KR102390471 B1 KR 102390471B1 KR 1020200048180 A KR1020200048180 A KR 1020200048180A KR 20200048180 A KR20200048180 A KR 20200048180A KR 102390471 B1 KR102390471 B1 KR 102390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maximum
maximum power
operation server
inform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8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0317A (ko
Inventor
김영민
Original Assignee
김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민 filed Critical 김영민
Priority to KR1020200048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0471B1/ko
Priority to PCT/KR2021/004320 priority patent/WO2021215705A1/ko
Publication of KR20210130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07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the power network as support for th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monito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H02J3/144Demand-response oper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net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70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energy generation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하부 공정별로 최대 전력 부하 관리를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정보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최대 전력 부하 관리 정보 시스템은, 전력 수용가 전체의 최대 부하를 측정하는 메인 계측기; 상기 수용가의 하부 공정의 최대 부하를 측정하는 적어도 2이상의 서브 계측기; 상기 메인 계측기 및 서브 계측기와 통신망으로 연결되며, 상기 상기 메인 계측기 및 서브 계측기에서 출력된 최대 부하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에게 상기 수용가 전체 또는 하부 공정의 최대 전력 부하 모니터링 데이터를 제공하는 운영 서버;를 포함하는 최대 전력 부하 관리 정보 시스템으로서, 상기 최대 전력 부하 모니터링 데이터는, 기준 부하, 한계 최대 부하, 한계 최소 부하, 현재 부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최대 전력 부하 관리를 위한 정보 시스템{Information system for electric power peak load management}
본 발명은 최대 전력 부하 관리를 위한 정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국가별로 전기 사용에 따른 다양한 비용 체계를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의 전기 비용 체계는 다시 가정용과 산업용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가정용과 달리 산업용 전기의 경우, 계약전력이라는 항목으로 사용 부하에 따른 기본 요금을 산정한다. 계약전력에 따른 기본 요금은 수용가의 최대 부하가 증가할 수록 상승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공장의 전력 사용 구조에 대한 참고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건물 또는 공장(100)의 하부에는 부속 건물 또는 공정(101)이 존재한다. 각 공정(101)의 하부에는 전력 에너지를 사용하는 다양한 설비(102)들과 구비되어 있다. 이들 설비(102)들 중 특정 설비의 경우 최대 부하 관리를 위하여 가동 제어(예: 가동 중단 또는 가동 속도 완화)를 할 수 있는 설비들의 경우 제어기(103)을 설치한다. 각각의 개별 부속 건물 및 공정(101)과 하부 설비들에 전력 계측기(105, 106)가 설치되고, 또 다시 전체 건물 및 공장(100)의 최대 부하(피크)를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전력 계측기(104)가 설치된다. 이들 전력 계측기(104, 105, 106)와 스위치 허브 및 게이트웨이(107)는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계측된 데이터는 취합되어 운영 서버(108)로 전송된다. 공장 관리자는 사용자 PC 또는 모바일 단말기(110)로 인터넷 또는 내부 네트워크(109)를 통해 운영 서버를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전력 사용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건물 또는 공장은 15분 간격의 최대 부하(피크)를 관리한다. 전력 계측기의 전력 부하[kW]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면서 관리 목표 부하[kW]를 넘어설 것으로 판단될 경우, 사용자에게 제어기(103)를 통해 전력 사용량을 낮추는 방법으로 최대 부하(피크)를 관리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최대 부하(피크) 관리 방법은, 공장 전체의 전체 전력 부하가 관리 목표 부하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될 때, 구체적으로 어느 공정, 어느 설비단에서 부하 상승 요인이 발생하는지 즉각적인 파악이 안되기 때문에 목표 부하 아래로 절감하기 위한 방안 수립이 어려워진다.
또한, 기본 요금 산정을 위한 계약전력은 개별 공정이 아닌 공장 전체의 최대 부하(피크)를 기준으로 산정되기 때문에, 공장 전체 관리자와 각 공정의 관리자 사이에 심리적 갭이 발생할 수 있다. 즉, 공장 전체의 최대 부하(피크)를 낮추기 위해서 개별 단위(공정)에서 자발적인 부하 절감 노력을 유도할 수 없다면, 목표 부하 유지가 어려워질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8-0025675호 (1998.07.15)
본 명세서는 하부 공정별로 최대 전력 부하 관리를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정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는 상기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따른 최대 전력 부하 관리 정보 시스템은, 전력 수용가 전체의 최대 부하를 측정하는 메인 계측기; 상기 수용가의 하부 공정의 최대 부하를 측정하는 적어도 2이상의 서브 계측기; 상기 메인 계측기 및 서브 계측기와 통신망으로 연결되며, 상기 상기 메인 계측기 및 서브 계측기에서 출력된 최대 부하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에게 상기 수용가 전체 또는 하부 공정의 최대 전력 부하 모니터링 데이터를 제공하는 운영 서버;를 포함하는 최대 전력 부하 관리 정보 시스템으로서, 상기 최대 전력 부하 모니터링 데이터는, 기준 부하, 한계 최대 부하, 한계 최소 부하, 현재 부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준 부하는 이벤트 발생시 수용가 전체 또는 해당 하부 공정의 부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한계 최대 부하는 상기 운영 서버에 저장된 수용가 전체 또는 해당 하부 공정의 부하 데이터 중 동일 요일의 동일 시간 구간 중 최대 부하이고, 상기 한계 최소 부하는 상기 운영 서버에 저장된 수용가 전체 또는 해당 하부 공정의 부하 데이터 중 동일 요일의 동일 시간 구간 중 최소 부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 서버는 이벤트 발생 시각부터 현재 시간까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마다 수신된 최대 부하 데이터를 그래프 정보로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더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 서버는 기준 부하 대비 실시간 현재 부하의 증감량 및 증감율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더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수용가 전체 및 모든 하부 공정의 최대 전력 부하 모니터링 데이터를 동시에 비교할 수 있는 하나의 화면(이하 '전체 모니터링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체 모니터링 화면은 하부 공정 별 최대 부하 비중 또는 용도별 최대 부하 비중에 대한 정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전체 모니터링 화면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하부 공정에 포함된 설비마다 최대 전력 부하 모니터링 데이터가 표시된 화면(이하 '공정 모니터링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공정 모니터링 화면은 해당 공정에 포함된 각 설비의 가동을 제어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운영 서버는 수용가 전체 관리자 단말기 또는 해당 공정 관리자 단말기에만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 서버는 목표 부하, 기준 부하 및 최종 부하를 이용하여 산출된 절감량과 절감액 정보가 포함된 성과 지표 정보를 더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성과 지표 정보를 월별, 분기별, 반기별 및 연도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통합하여 종합 성과 지표 정보를 더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운영 서버는, 각 공정마다 절감량을 산출하고, 수용가 전체의 절감량 대비 각 공정의 절감량에 따른 양적 기여도 정보를 더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운영 서버는 각 공정마다 절감량을 산출하고, 각 공정마다 한게 최소 부하 대비 대비 각 공정의 절감량에 따른 질적 기여도 정보를 더 생성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운영 서버는 각 공정 별 성과 지표 정보를 동시에 비교할 수 있는 하나의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용자 전체의 최대 부하 관리 외에 하부 공정별로 전력 계측기를 설치하여 하부 공정별로도 최대 부하 관리를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종래 관리 시스템과 같이 단순히 특정 제어 가능 등록 설비만으로 최대 부하를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최대 부하를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용가의 최대 부하 관리 능력을 더 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공장의 전력 사용 구조에 대한 참고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따른 최대 전력 부하 관리 정보 시스템의 일부에 대한 참고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최대 전력 부하 모니터링 데이터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모니터링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모니터링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과 지표 정보의 예시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적 기여도 정보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적 기여도 정보의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이하 '당업자')에게 본 명세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따른 최대 전력 부하 관리 정보 시스템의 일부에 대한 참고도이다.
본 명세서에 따른 최대 전력 부하 관리 정보 시스템은 메인 계측기(104), 서브 계측기(105), 운영 서버(10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계측기(104)는 전력 수용가 전체의 최대 부하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서브 계측기(105)는 상기 수용가의 하부 공정의 최대 부하를 측정할 수 있다. 하부 공정이 2이상인 경우, 상기 서브 계측기(105)의 개수도 2이상이 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108)는 상기 메인 계측기(104) 및 서브 계측기(105)와 통신망으로 연결되며, 상기 상기 메인 계측기(104) 및 서브 계측기(105)에서 출력된 최대 부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운영 서버(108)는 수신된 최대 부하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에게 상기 수용가 전체 또는 하부 공정의 최대 전력 부하 모니터링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최대 전력 부하 모니터링 데이터는 기준 부하, 한계 최대 부하, 한계 최소 부하, 현재 부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108)와 상기 메인 계측기(104), 상기 운영 서버(108)와 상기 서브 계측기(105), 상기 운영 서버(108)와 사용자 단말기 사이의 통신망 연결은 도 1을 참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최대 전력 부하 모니터링 데이터의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최대 전력 부하 모니터링 데이터의 각 부분이 나타내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먼저 '(1) 단위 공정명'은 해당 범위 내의 수용가 단위명(예: 공정명, 건물명 등)을 나타낼 수 있다. '(2) 기준 부하'는 이벤트 발생시 해당 단위(공정) 즉, 수용가 전체 또는 해당 하부 공정의 부하[kW]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벤트'란, 최대 전력 부하 관리를 위해 모니터링을 시작한 시점을 의미한다. 상기 운영 서버(108)는 상기 메인 계측기(104)를 통해 수신된 최대 부하 데이터를 회귀 분석을 통해 사업장 전체의 부하[kW]가 부하 목표치(미리 설정된 목표 전력 사용량)를 넘을 것으로 판단되는 시점부터 최대 전력 부하 관리를 위해 모니터링을 시작할 수 있다. 따라서, '(3) 이벤트 시작 시각'은 이벤트 발생한 시점의 시각(time)이 시작점이 된다. 그리고 '(4) 이벤트 현재 시각 (실시간 현재)'은 이벤트 시작 이후 현재(최근) 시간대이며, 해당 피크 시간대의 종료 시각(예: 매시 15분, 30분, 45분, 60분 중 하나)까지 진행될 수 있다.
'(5) 한계 최대 부하[kW]'는 상기 운영 서버에 저장된 수용가 전체 또는 해당 하부 공정의 부하 데이터 중 동일 요일의 동일 시간 구간 중 최대 부하[kW]를 의미한다. '(6) 한계 최소 부하[kW]'는 상기 운영 서버에 저장된 수용가 전체 또는 해당 하부 공정의 부하 데이터 중 동일 요일의 동일 시간 구간 중 최소 부하[kW]를 의미한다. 상기 한계 최대 부하 및 한계 최소 부하와 관련되어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 중 비정상 가동시 데이터는 제외될 수 있고, 상기 비정상 가동시 데이터는 관리자에 의해 분류 또는 설정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영 서버(108)는 이벤트 발생 시각부터 현재 시간까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마다 수신된 최대 부하 데이터를 그래프 정보로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더 제공할 수 있다. '(7) 현재 부하[kW]'는 해당 단위(공정)의 실시간 현재 부하[kW]를 의미한다. '(8) 기준 부하[kW] 대비 실시간 현재 부하 증감[kW], 증감율(%)'은 절대적인 전력량과 상대적인 비율을 의미하며, 증가할 경우 숫자가 적색으로 표시되고 감소할 경우 숫자가 청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108)는 기준 부하 대비 실시간 현재 부하의 증감량 및 증감율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더 제공할 수 있다. '(9) 실시간 증감 알림 배경색'은 현재 부하[kW] 값이 변할 때 표시되는 것으로서, 증가할 경우 적색, 감소할 경우 청색으로 표시될 수 있고, 1~2초 후 색상이 사라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 서버(108)는 상기 수용가 전체 및 모든 하부 공정의 최대 전력 부하 모니터링 데이터를 동시에 비교할 수 있는 하나의 화면(이하 '전체 모니터링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모니터링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최대 전력 부하 모니터링 데이터가 상기 수용가 전체 및 각 하부 공정에 대해서 구분되어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108)는 수용가의 최대 부하가 목표 부하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 발생(이벤트 발생 시점)하면 사용자 단말기(예: PC 및 핸드폰)에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화면을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전체 모니터링 화면을 통해서 수용가 전체 관리자 또는 해당 공정 관리자는 신속하고 쉽게 이벤트 발생 이후 해당 부하의 증감 수준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수용가 전체 관리자는, 수용가 전체 최대 부하 상승이 어느 공정에서 발생하는지 한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체 모니터링 화면은 하부 공정 별 최대 부하 비중 또는 용도별 최대 부하 비중에 대한 정보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수용가 전체 관리자는 최대 부하 상승의 원인 공정을 파악 외에 최대 부하 감축을 위해 사전에 설정된 대상 설비들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운영 서버(108)는 상기 전체 모니터링 화면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하부 공정에 포함된 설비마다 최대 전력 부하 모니터링 데이터가 표시된 화면(이하 '공정 모니터링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정 모니터링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공정 2'를 사용자가 선택한 상황이면, 공정 2에 포함된 설비별 가동 상태, 부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공정 모니터링 화면은 해당 공정에 포함된 각 설비의 가동을 제어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설비의 가동을 중지시키거나 해당 설비가 소비하는 전력을 낮추도록 가동 수준을 낮추는 등의 제어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운영 서버(108)는 수용가 전체 관리자 단말기 또는 해당 공정 관리자 단말기에만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에 따른 전체 모니터링 화면 및 공정 모니터링 화면은 공장의 하부 공정별 전력 부하 상태, 각 공정의 설비별 가동, 전력 부하 상태 정보를 제공하여, 수용가 전체 관리자 또는 해당 공정 관리자가 사전에 전력 부하 감축을 위해 가동 제어 대상으로 설정된 설비들 외에 각 공정에서 추가로 제어를 할 수 있는 설비가 존재하는지 원활하게 파악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공장 전체의 최대 부하가 관리 목표 부하 초과가 예상되는 상황(이벤트 발생 시점)에서 각 공정별 부하 절감량을 비교할 수 있다. 다만, 도 4에 표시된 그래프는 절감량에 대한 정성적인 비교가 가능하지만, 정량적으로 비교가 가능하지 않다. 이를 위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영 서버(108)는 목표 부하, 기준 부하 및 최종 부하를 이용하여 산출된 절감량과 절감액 정보가 포함된 성과 지표 정보를 더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과 지표 정보의 예시이다.
도 6의 (a)을 참조하면, 공장 전체를 기준으로 2월에 발생한 이벤트와 이에 대한 절감량과 절감액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해당 월(2월) 중 총 4회의 부하 대응 이벤트가 발생했고, 기간 동안 기준 부하가 가장 높았던 값이 2800[kW]였으며, 실제 최종 부하가 가장 높았던 값이 2,650[kW]였으므로, 이 기간 동안 절감한 부하는 150[kW]였고, 이를 연간 적용될 전력 기본요금 절감 비용[2월 기본 요금 절감액: (2800-2650)*6000원*12개월=10800000원]으로 산정할 수 있다. 다만, 도 6에 제시된 예시는 절감량과 절감액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고하면, 도 6의 계산 방식이 아닌 다른 계산 방식으로도 수용가 전체 및 단위(공정)별 양적 절감량과 절감액을 다양하게 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수용가 전체 전력 부하를 관리해야 할 상황에서 각 하부 공정별로 얼마만큼 적극적으로 전력 부하를 낮추기 위하여 노력을 하고 있는지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기 운영 서버(108)는 상기 성과 지표 정보를 월별, 분기별, 반기별 및 연도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통합하여 종합 성과 지표 정보를 더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장 전체의 성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1월부터 6월까지 집계한 결과에 따라 4월의 2,805[kW]가 가장 높은 최대 부하 예상치이고, 같은 기간 동안 최종 부하의 최대값은 2,650[kW]였으므로, 이 기간 동안 절감한 부하량은 155[kW]가 된다.
또한, 상기 운영 서버(108)는 각 공정마다 절감량을 산출하고, 수용가 전체의 절감량 대비 각 공정의 절감량에 따른 양적 기여도 정보를 더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적 기여도 정보의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 서버(108)는 해당 기간 동안 각 공정별 및 공통(개별 공정에 미포함) 부하에 대하여 절감량의 최대값의 전체 합계 대비 각 단위별 기여율(%)로 계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별도로 계산한 절감 전력 기본요금에 대하여 각 공정별로 기여 금액을 산정할 수 있다.
다만, 절대적인 절감량이 많다고 반드시 기여도가 높은 것으로 단정지을 수 없다. 즉, 양적 기여도와 달리 질적 기여도에 대한 평가가 필요할 수 있다. 상기 '질적 기여도'란 공정 간의 전력 사용 규모가 다름에 따라 '양적 기여도'만으로는 충분한 부하 절감 노력을 평가할 수 없다라는 점에서, 각 단위(공정)별 '한계 최소 부하[kW]' 대비 이벤트 발생시 어느 정도 부하량을 절감하고자 노력했는지 평가하기 위한 지표이다. 따라서, 상기 운영 서버(108)는 각 공정마다 절감량을 산출하고, 각 공정마다 한게 최소 부하 대비 대비 각 공정의 절감량에 따른 질적 기여도 정보를 더 생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적 기여도 정보의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질적 기여도 평가를 위한 일 예시로 최종 부하에 한계 최소 부하를 나눈 값을 '질적 기여도'라고 정의하였다. 이를 통해 이벤트 발생 후 최종 부하값과 해당 단위(공정)의 과거 최저 부하값(한계 죄소 부하)과의 상관 관계 분석을 통해 해당 단위(공정)의 부하 절감 잠재력 대비 절감량을 평가할 수 있다. 그 값이 1에 가깝거나 그 이하의 값일 때 더 많은 부하 절감 노력을 수행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도 8에 제시된 예시는 질적 기여도 산정 방식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고하면, 도 8의 계산 방식이 아닌 다른 계산 방식으로도 수용가 전체 및 단위(공정)별 질적 기여도를 다양하게 산정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이벤트에서 최종 부하가 한계 최소 부하보다 적을 경우, 그 이후부터 그 단위(공정)의 한계 최소 부하값는 해당 최종 부하값으로 갱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영 서버(108)는, 각 공정 별 성과 지표 정보를 동시에 비교할 수 있는 하나의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명세서에 따른 최대 전력 부하 관리 정보 시스템은, 단순히 특정 제어 가능 등록 설비만으로 최대 부하를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최대 부하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수용가의 최대 부하를 관리 부하 이하로 유지될 수 있는 능력을 더 강화시킬 수 있으며, 개별 단위(공정)에서 자발적인 부하 절감 노력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서버(108)는 설명한 다양한 산출 및 다양한 제어 로직을 실행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 알려진 프로세서,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레지스터, 통신 모뎀, 데이터 처리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어 로직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기 운영 서버(108)는 프로그램 모듈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프로그램 모듈은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C++, C#, JAVA, Python,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5)

  1. 전력 수용가 전체의 최대 부하를 측정하는 메인 계측기;
    상기 수용가의 하부 공정의 최대 부하를 측정하는 적어도 2이상의 서브 계측기;
    상기 메인 계측기 및 서브 계측기와 통신망으로 연결되며, 상기 메인 계측기 및 서브 계측기에서 출력된 최대 부하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에게 상기 수용가 전체 또는 하부 공정의 최대 전력 부하 모니터링 데이터를 제공하는 운영 서버;를 포함하는 최대 전력 부하 관리 정보 시스템으로서,
    상기 최대 전력 부하 모니터링 데이터는, 기준 부하, 한계 최대 부하, 한계 최소 부하, 현재 부하를 포함하고,
    상기 운영 서버는, 목표 부하, 기준 부하 및 최종 부하를 이용하여 산출된 절감량과 절감액 정보가 포함된 성과 지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 전력 부하 관리 정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준 부하는, 이벤트 발생시 수용가 전체 또는 해당 하부 공정의 부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 전력 부하 관리 정보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계 최대 부하는 상기 운영 서버에 저장된 수용가 전체 또는 해당 하부 공정의 부하 데이터 중 동일 요일의 동일 시간 구간 중 최대 부하이고,
    상기 한계 최소 부하는 상기 운영 서버에 저장된 수용가 전체 또는 해당 하부 공정의 부하 데이터 중 동일 요일의 동일 시간 구간 중 최소 부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 전력 부하 관리 정보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버는, 이벤트 발생 시각부터 현재 시간까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마다 수신된 최대 부하 데이터를 그래프 정보로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 전력 부하 관리 정보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버는, 기준 부하 대비 실시간 현재 부하의 증감량 및 증감율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 전력 부하 관리 정보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수용가 전체 및 모든 하부 공정의 최대 전력 부하 모니터링 데이터를 동시에 비교할 수 있는 하나의 화면(이하 '전체 모니터링 화면')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 전력 부하 관리 정보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체 모니터링 화면은, 하부 공정 별 최대 부하 비중 또는 용도별 최대 부하 비중에 대한 정보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 전력 부하 관리 정보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전체 모니터링 화면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하부 공정에 포함된 설비마다 최대 전력 부하 모니터링 데이터가 표시된 화면(이하 '공정 모니터링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 전력 부하 관리 정보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공정 모니터링 화면은, 해당 공정에 포함된 각 설비의 가동을 제어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더 표시하는 최대 전력 부하 관리 정보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버는, 수용가 전체 관리자 단말기 또는 해당 공정 관리자 단말기에만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 전력 부하 관리 정보 시스템.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버는, 상기 성과 지표 정보를 월별, 분기별, 반기별 및 연도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통합하여 종합 성과 지표 정보를 더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 전력 부하 관리 정보 시스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버는, 각 공정마다 절감량을 산출하고, 수용가 전체의 절감량 대비 각 공정의 절감량에 따른 양적 기여도 정보를 더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 전력 부하 관리 정보 시스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버는, 각 공정마다 절감량을 산출하고, 각 공정마다 한게 최소 부하 대비 대비 각 공정의 절감량에 따른 질적 기여도 정보를 더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 전력 부하 관리 정보 시스템.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영 서버는, 각 공정 별 성과 지표 정보를 동시에 비교할 수 있는 하나의 화면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대 전력 부하 관리 정보 시스템.
KR1020200048180A 2020-04-21 2020-04-21 최대 전력 부하 관리를 위한 정보 시스템 KR102390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180A KR102390471B1 (ko) 2020-04-21 2020-04-21 최대 전력 부하 관리를 위한 정보 시스템
PCT/KR2021/004320 WO2021215705A1 (ko) 2020-04-21 2021-04-07 최대 전력 부하 관리를 위한 정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180A KR102390471B1 (ko) 2020-04-21 2020-04-21 최대 전력 부하 관리를 위한 정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317A KR20210130317A (ko) 2021-11-01
KR102390471B1 true KR102390471B1 (ko) 2022-04-26

Family

ID=78269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180A KR102390471B1 (ko) 2020-04-21 2020-04-21 최대 전력 부하 관리를 위한 정보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90471B1 (ko)
WO (1) WO2021215705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6814A (ja) 2000-06-13 2001-12-26 Toyota Industries Corp 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及びエネルギー消費管理方法
KR101271166B1 (ko) 2012-01-13 2013-06-05 (주)트리포스 최대수요전력을 관리하는 절전 시스템
KR101452384B1 (ko) * 2013-12-09 2014-10-22 김영기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1652345B1 (ko) * 2015-04-28 2016-08-30 조은규 최대 수요전력을 조절하는 부하 제어시스템
KR101744298B1 (ko) 2015-09-02 2017-06-20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지그비 통신기반의 피크전력 제어장치 및 제어 방법
JP2017208046A (ja) * 2016-05-20 2017-11-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需要予測システム及び需要予測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675A (ko) 1996-10-04 1998-07-15 이종훈 수급연동형 최대전력 관리 시스템
KR20200036532A (ko) * 2018-09-28 2020-04-07 (주)아이엠 생산에너지 저감을 위한 지능형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6814A (ja) 2000-06-13 2001-12-26 Toyota Industries Corp 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及びエネルギー消費管理方法
KR101271166B1 (ko) 2012-01-13 2013-06-05 (주)트리포스 최대수요전력을 관리하는 절전 시스템
KR101452384B1 (ko) * 2013-12-09 2014-10-22 김영기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1652345B1 (ko) * 2015-04-28 2016-08-30 조은규 최대 수요전력을 조절하는 부하 제어시스템
KR101744298B1 (ko) 2015-09-02 2017-06-20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지그비 통신기반의 피크전력 제어장치 및 제어 방법
JP2017208046A (ja) * 2016-05-20 2017-11-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需要予測システム及び需要予測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15705A1 (ko) 2021-10-28
KR20210130317A (ko) 202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5087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smart alarms
US20100064001A1 (en) Distributed Processing
US20220397877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energy management, for usage by consumers of energy from electric utility service providers, and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same
US20090281885A1 (en) Using virtual environment incentives to reduce real world energy usage
US20090281886A1 (en) Indicating physical site energy usage through a virtual environment
JP5479779B2 (ja) 省エネルギー運転の省消費電力効果を表示する省エネルギー運転支援装置およびその支援方法
US9127963B2 (en) Selection of bellwether smart grid meters
JP2015064877A (ja) 契約のサービス合意に関連するリスクを評価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3029724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easurement and verification weighting with temperature distribution
JP2017034797A (ja) ベースライン負荷推定装置及びベースライン負荷推定プログラム
JP4606257B2 (ja) デマンド要因分析システムおよびデマンド要因分析方法
KR102269887B1 (ko) 전력량계 검침 장치 및 그것의 검침 방법
CN116822967A (zh) 一种工程项目造价风险管理方法及管理系统
CN116482598A (zh) 一种用电数据监测方法及装置
KR102390471B1 (ko) 최대 전력 부하 관리를 위한 정보 시스템
TWI497037B (zh) 解析公共事業消耗
Fowler et al. Energy data management system commercial product summary
WO20020276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ergy usage curtailment
US10241881B2 (en) Energy services recommendation engine
JP2016093098A (ja) 電力使用量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293466B1 (ko) 에너지 효율향상 관리 장치 및 성과측정 방법
Efkarpidis et al. Technoeconomic review of smart metering applications
CN114282881A (zh) 折旧测算方法、装置、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WO2022006546A1 (en) Methods for remote building intelligence, energy waste detection, efficiency tracking, utility management and analytics
Cowan et al. 'Measuring'energy savings for modernization proj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