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0418B1 - Hapln1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Hapln1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0418B1
KR102390418B1 KR1020200051429A KR20200051429A KR102390418B1 KR 102390418 B1 KR102390418 B1 KR 102390418B1 KR 1020200051429 A KR1020200051429 A KR 1020200051429A KR 20200051429 A KR20200051429 A KR 20200051429A KR 102390418 B1 KR102390418 B1 KR 102390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pln1
hair
cells
protein
tβri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1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6920A (ko
Inventor
김대경
하해찬
장지민
신인철
백문정
주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플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플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플사이언스
Priority to PE2021001803A priority Critical patent/PE20220335A1/es
Priority to CA3138467A priority patent/CA3138467A1/en
Priority to JP2021563100A priority patent/JP7182816B2/ja
Priority to PCT/KR2020/005703 priority patent/WO2020222538A2/ko
Priority to US17/607,765 priority patent/US20220202899A1/en
Priority to SG11202112030SA priority patent/SG11202112030SA/en
Priority to EP20799504.4A priority patent/EP3964223A4/en
Priority to AU2020265476A priority patent/AU2020265476A1/en
Priority to MX2021013349A priority patent/MX2021013349A/es
Priority to CN202080032625.XA priority patent/CN113784723A/zh
Publication of KR20200126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920A/ko
Priority to IL287659A priority patent/IL287659A/en
Priority to CL2021002853A priority patent/CL2021002853A1/es
Priority to CONC2021/0014968A priority patent/CO2021014968A2/es
Priority to ZA2021/09732A priority patent/ZA202109732B/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6Glycosaminoglycans, i.e. muco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6Glycosaminoglycans, i.e. mucopolysaccharides
    • A61K31/728Hyalur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Abstract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과 프로테오글리칸 연결 단백질 1(hyaluronan and proteoglycan link protein 1; HAPLN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HAPLN1 단백질은 투여시 TGF-β 단백질로 활성화되는 Ras-ERK1/2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모모세포의 증식을 촉진함으로써 모발을 성장시킨다.

Description

HAPLN1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HAIR LOSS COMPRISING HAPLN1}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과 프로테오글리칸 연결 단백질 1(hyaluronan and proteoglycan link protein 1; HAPLN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HAPLN1 단백질은 투여시 TGF-β 단백질로 활성화되는 ERK1/2 신호전달 경로(즉, 비정규(non-canonical)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모모세포의 증식을 촉진함으로써 모발을 성장시킨다.
전세계적으로 약 3,500만 명의 남성과 2,500만 명의 여성이 탈모로 고통 받고 있고, 매년 탈모 환자의 수는 증가하는 추세이다. 모발은 외모, 단열, 두피 보호, 마찰 완충 등의 여러가지 기능을 갖는다. 그 중에서도 모발은 특히 자존감, 사회성과 직접적으로 연관되므로, 심미적인 이유로 많은 사람들은 모발 관리에 매우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인간 머리카락은 약 100,000개의 개별 모발의 집합체이며, 각각의 모발은 모낭(hair follicle)에 의해 생성된다. 모낭은, 모낭 자신, 상피, 및 피지선을 재구성하는 데 필요한 모든 세포주를 생성할 수 있는 줄기세포의 저장소 역할을 한다. 모낭은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 모모세포(hair germinal matrix cell), 모낭 세포 외벽, 내벽(outer, inner layer), 돌출부(bulge)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도 1).
모발은 성장기(anagen), 퇴화기(catagen), 휴지기(telogen)의 성장 주기를 반복한다(도 2). 성장기는 통상 3년 내지 5년간 지속되며, 모유두세포와 모모세포가 발달하면서 모모세포의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가 증식, 각질화되어 모발이 성장하는 단계이다. 퇴화기는 10 내지 14일간 지속되며, 전반적인 모낭세포의 세포사멸(apoptosis)이 일어나면서 모낭이 축소되는 단계이다. 휴지기는 약 3 내지 4개월간 유지되며, 모발 생성이 중단된 시기로, 모낭 전체에 새로운 세포를 공급하여 다음 성장기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모발 성장 주기에 관여하는 신호전달 경로로는 Wnt, Shh, JAK, TGFβ/BMP, Testosterone 등이 관여하는 신호전달 경로가 있다. 이 중 Wnt, Shh, JAK 신호전달 경로는 휴지기 말기에 활성화되어 성장기로의 진입을 촉진한다.
이와 같이 사람의 모발은 일정한 모주기(hair growth cycle)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항상 일정한 모발의 수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탈모가 진행되면 모근에 존재하는 유두가 작아지고, 모유두가 작아지면 머리털의 굵기도 가늘어지고, 동시에 모주기도 짧아지며, 새로 자라나온 털은 더욱 가늘어지게 된다. 따라서 탈모가 진행되면 머리털은 솜털로 변하며 모주기는 더욱 짧아져 조금 자란 후 빠지게 된다.
탈모는 크게 남성형 탈모(male-pattern hair loss), 여성형 탈모(female-pattern hair loss), 원형 탈모(alopecia areata), 휴지기성 탈모(telogen effluvium)의 4가지 타입으로 나눌 수 있다. 남성형 탈모의 원인은 유전적인 원인이 크게 자리하고 있으며, 5α-환원효소(5α-reductase)와 관련되어 있다. 5α-환원효소는 남성호르몬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을 5α-dihydrotestosterone(DHT)로 변환시키며, DHT는 모낭을 축소시켜 탈모가 유발된다. 여성형 탈모의 주 원인으로는 출산 또는 폐경으로 인한 호르몬의 불균형적인 분비를 들 수 있다. 그 외 사회생활의 정신적 스트레스, 대기오염 노출, 가공 식품의 섭취, 고열로 인한 중병, 영양의 불균형, 항암제 및 항갑상선제의 복용, 경구 피임약의 투여, 샴푸, 강한 자외선이나 운동 중 흘리는 땀, 식습관, 심리적 압박감등의 다양한 습관과 환경 역시 탈모의 주범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국내에서 가장 빈번하게 쓰이는 탈모 치료제로는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 상품명 Propecia®), 두타스테라이드(dutasteride; 상품명 Avodart®), 미녹시딜(minoxidil; 상품명 마이녹실® 또는 Rogaine®) 등이 있다. 피나스테라이드와 두타스테라이드는 5α-환원효소 억제제(5α-reductase inhibitor)로 남성호르몬(testosterone)이 5α-dihydrotestosterone(DHT)로 전환되는 것을 억제한다. 그러나 이 제품은 성욕감퇴, 발기부전, 운전 및 수행능력 상실 등의 부작용을 나타낸다. 한편 미녹시딜의 경우 아직까지 그 기전이 완벽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세포막을 과분극(hyperpolarization)시키는 칼륨 채널 개방제(potassium chaennel opener)로서, 혈관 확장 및 칼륨 채널 개방을 통해, 모낭에 산소, 혈액, 영양소 등의 공급을 증가시켜 모낭을 건강하게 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이 제품 역시 도포 부위의 가려움, 홍반, 피부 자극, 눈의 자극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며, 머리 이외에 신체 부위에서도 원치않는 모발의 성장이 관찰되기도 한다. 이러한 기존 제품들의 부작용은 환자들의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심할 경우 투여 거부까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부작용이 적은 약물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히알루론산과 프로테오글리칸 연결 단백질 1(hyaluronan and proteoglycan link protein 1; HAPLN1)은 기질(cartilage)에서 발견되는 세포외 기질 단백질이다. 이 단백질은 히알루론산과 프로테오글리칸의 응집체를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세포간의 결합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최근 보고된 연구로서, 미국특허공개공보 제2012/0128632호에서는, 모낭 형성을 유도할 수 있는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 및 모근초 세포(dermal sheath cell)와 같은 발모성 피부 세포(trichogenic dermal cell)를 동정하는 방법을 제시하면서, 발모성 피부 세포를 검출 및 동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바이오마커(biomarker) 중 하나로서 HAPLN1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미국특허등록공보 제8,334,136호에서는 모유두세포에서 세포 접착(cell adhesion)에 관여하는 20여개 유전자를 나열하고, 상기 유전자의 발현을 유지 또는 증가시켜 모낭 형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언급하지만, 상기 20개의 유전자들 중 하나로 HAPLN1를 개시할 뿐이며, 또한 이들 유전자의 발현으로 실제로 모낭 형성이 촉진되는지 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전혀 개시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상기 문헌들은 단지 모유두세포 또는 모근초 세포를 동정하거나 다른 세포들과 구별하기 위한 바이오마커 중 하나로서 HAPLN1을 언급하고 있을 뿐이며, HAPLN1 단백질을 직접 유효성분으로 투여시 탈모를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나타낸다는 점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한 바 없다. 나아가 모발 성장 주기에 관여하는 많은 경로 중 TGF-β 단백질로 활성화되는 ERK1/2 신호전달 경로의 활성화가 탈모 치료에 효과적이며, 특히, HAPLN1이 모모세포(germinal matrix cell)에 작용하여 위 경로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발모를 촉진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전혀 연구된 바가 없다.
미국특허공개공보 제2012/0128632호 (2012. 5. 24. 공개) 미국특허등록공보 제8,334,136호 (2012. 12. 8. 공개)
본 발명은, 심각한 부작용이 동반되는 기존의 탈모 치료제와 비교하여, 탈모 치료의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부작용이 적은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탈모 치료제에서 사용되는 작용기전과는 다른 작용기전을 통해 탈모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모모세포의 증식을 촉진하여 모발을 성장시키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모발은 성장기, 퇴화기, 휴지기를 반복하는데, 그 중 성장기는 모모세포가 활발하게 분화하여 모발을 생성하는 단계로, 이 단계에서 모발의 굵기와 길이가 결정된다. 성장기는 탈모 치료에 있어 가장 핵심적 단계이기 때문에 모낭의 성장기 돌입을 촉진하거나 성장기의 모모세포의 증식을 돕는 치료제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HAPLN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HAPLN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HAPLN1은 비정규(non-canonical) 신호전달 경로를 활성화시키며, 여기서 비정규(non-canonical) 신호전달 경로는 TGF-β 단백질로 활성화되는 ERK1/2 신호전달 경로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HAPLN1은 모모세포(hair germinal matrix cell)의 증식을 촉진시켜 모발을 성장시킨다.
일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남성형 탈모, 여성형 탈모, 원형 탈모, 또는 휴지기성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탈모는 모모세포(hair germinal matrix cell)에서 HAPLN1 단백질의 발현이 감소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치료제와 함께 조합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세포외기질을 구성하는 체내 단백질인 HAPLN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므로, 기존의 탈모 치료제보다 부작용이 적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된 HAPLN1은 TGF-β 단백질로 활성화되는 ERK1/2 신호전달 경로, 즉, 비정규(non-canonical) 신호전달 경로를 활성화시켜, 모모세포의 증식을 통해 모발을 성장시킨다. 이러한 작용기전은 기존의 탈모 치료제에서 사용되는 작용기전과는 전혀 다른 방식이며, 현재까지 알려진 바 없다. 이에 따라 HAPLN1은 새로운 개념의 탈모 치료제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향후 탈모 연구에 획기적인 전략 및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도 1은 모낭의 구조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모발 성장 주기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3은 HAPLN1의 모모세포 증식 및 모발 성장 촉진 기전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성장기(anagen), 퇴화기(catagen), 휴지기(telogen)의 각각의 모발 성장 주기에서 HAPLN1 단백질 및 HAPLN1 mRNA의 발현 정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인간 모모세포에서 HAPLN1에 의한 TβRII 단백질 증가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인간 모모세포에서 HAPLN1 및/또는 HA에 의한 TβRII 단백질 증가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8은 인간 모모세포에서 TβRII 단백질 농도에 대한 내인성 HAPLN1 결핍 효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9는 내인성 HAPLN1이 결핍된 인간 모모세포에서 TβRII 단백질 농도에 대한 외인성 HAPLN1 및/또는 HA의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0은 내인성 HA가 결핍된 인간 모모세포에서 TβRII 및 HAS2 단백질 농도에 대한 외인성 HAPLN1의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1은 인간 모모세포에서 TβRII 단백질 농도에 대한 CD44 결핍의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2는 CD44가 결핍된 인간 모모세포에서 TβRII 단백질 농도에 대한 HAPLN1 및/또는 HA의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3은 세포막 TβRII 단백질 농도에 대한 HAPLN1 및/또는 HA의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4 내지 도 16는 인간 모모세포에서 p-ERK1/2, p-Smad2, p-MEK1/2, p-c-Raf에 대한 HAPLN1 및/또는 HA의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7은 TGF-β2 존재 시 HAPLN1 및/또는 HA을 처리한 군에서 세포증식이 촉진되었음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8은 각 모발 성장 주기에서 HAPLN1 단백질 및 TβRII 단백질 발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9는 마우스의 모발 성장에 대한 HAPLN1의 복강 전신 투여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 스케줄 및 그 결과를 나타낸다.
도 20은 마우스의 모발 성장에 대한 HAPLN1 siRNA의 복강 전신 투여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 스케줄 및 그 결과를 나타낸다.
도 21은 인간 모유두세포에 HAPLN1, CX3CL1, CDON 단백질 또는 미녹시딜을 처리한 경우 세포 증식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2는 인간 모모세포에 HAPLN1, CX3CL1 또는 CDON 단백질을 처리한 경우 세포 증식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태양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태양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HAPLN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유효량의 HAPLN1 단백질을 탈모 예방 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대상체에서 탈모를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탈모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HAPLN1 단백질의 용도를 제공한다.
HAPLN1은 체내 존재하는 단백질로, 종래 탈모 치료 관련 연구들에서는 특정 세포를 동정하거나 이를 다른 세포들과 구별하기 위한 바이오마커로서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HAPLN1 단백질은 직접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경우, 심각한 부작용을 동반하는 기존의 탈모 치료제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부작용이 적으면서도, 우수한 탈모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본 발명의 HAPLN1 단백질은 직접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경우, 기존의 탈모 치료제와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모발 성장을 촉진시킨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HAPLN1 단백질은 비정규(non-canonical) 신호전달 경로를 활성화시키며, 이 때 비정규(non-canonical) 신호전달 경로는 TGF-β 단백질로 활성화되는 ERK1/2 신호전달 경로이다. 이를 통해, HAPLN1은 모모세포(hair germinal matrix cell)의 증식을 촉진시키고 모발을 성장시켜, 탈모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최초로 밝힌 HAPLN1 단백질의 비정규(non-canonical) 신호전달 경로 활성화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GF-β 신호전달 기전과 관련하여, 모모세포가 TGF-β에 의해 자극을 받으면 TGF-β는 모모세포의 TGF-β receptor 2(TβRII)와 결합한다. 이후 TβRII는 TGF-β receptor 1(TβRI)과 결합하여 TβR 복합체(TβR complex)를 형성한다. TβR 복합체는 내포작용에 의해 세포 내로 들어가게 되는데, Clathrin에 의한 내포작용 시 Smad2/3 신호전달을 통해 세포 주기가 차단된다(cell cycle arrest). 이 경로는 정규적 신호전달 경로(canonical pathway)이다. 반면 Caveolin-1에 의한 내포작용 시 Smad7 신호전달을 통해 TβRI과 TβRII은 최종적으로 분해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도 TGF-β 신호전달 경로가 작동되는데, 정규적인 Smad 기전(canonical Smad pathway)과는 별개로 비정규적인 경로(non-canonical pathway)의 Ras-ERK1/2 기전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Ras-ERK1/2 신호전달이 활성화될 경우 나타나는 결과는 세포 증식이다.
본 발명에서는 HAPLN1이 TGF-β 신호전달 기전에서 Ras-ERK1/2 경로, 즉, 비정규적인 경로(non-canonical pathway)를 활성화시킨다는 사실을 최초로 밝혔다(도 3). 구체적인 기전을 살펴보면,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은 세포의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 2(hyaluronan synthase 2, HAS2)에 의해 생성된다. HA는 세포막의 CD44(HA의 수용체)와 결합하고, CD44는 TβR과 결합한다. 즉, HA는 TβR과 간접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HA의 내포작용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히알루로니다아제(hyaluronidase, HYAL2)의 HA 분해가 필수적이다. HAPLN1은 HA와 프로테오글리칸을 연결시켜 HA의 안정화를 유도한다. HAPLN1은 HA를 프로테오글리칸으로 촘촘하게 둘러싸게 하여 HYAL2가 HA를 분해시키는 것을 억제하거나,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의한 HA 분해를 억제한다. 그 결과, HAPLN1은 TβR의 내포작용을 억제하여 Smad2/3 기전 활성 및 TβR의 분해를 막고 세포막의 TβRII를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HAPLN1에 의해 비정규(non-canonical) 신호전달 경로, 즉, Ras-ERK1/2 기전이 활성화되며 세포증식이 촉진되고 결국 모발 성장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HAPLN1 단백질은 TGF-β 단백질로 활성화되는 Ras-ERK1/2 신호전달을 통해 세포증식을 촉진하며, 탈모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HAPLN1 단백질은 모모세포(hair germinal matrix cell)의 증식을 촉진시켜 모발을 성장시킨다.
본 발명의 "탈모"는, 그 원인과 무관하게, 정상적으로 모발이 존재해야 할 부위에 모발이 없는 상태를 지칭하며, 예를 들어, 남성형 탈모, 여성형 탈모, 원형 탈모, 또는 휴지기성 탈모일 수 있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HAPLN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로는 예를 들어, 모발용 화장료일 수 있고, 그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샴푸, 린스, 바디클렌저 등의 세정료, 헤어토닉, 젤 또는 무스 등의 정발제, 양모제 또는 염모제 등의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발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당업계에 통상적인 방부제, 색소, 첨가제 등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원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각 모발 성장 주기에서 HAPLN1 단백질 및 HAPLN1 mRNA 발현 확인
본 실시예에서는 마우스 피부를 이용하여 각 모발 성장 주기에서 HAPLN1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마우스 피부는 생후 23일령(초기 성장기), 생후 32일령(성장기), 생후 40일령(퇴화기), 생후 44일령(휴지기)에서 채취하였으며, 신선 동결(fresh frozen) 하였다. 피부 조직 절편은 8 μm 두께로 제작되었으며, HAPLN1(Abcam, USA) 항체를 이용하여 HAPLN1 단백질의 존재 유무를 검출하였다. 면역형광법(immunofluorescence)은 보편적인 실험 방법을 따라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HAPLN1은 성장기의 모모세포에서 상당히 발현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퇴화기, 휴지기에선 발현이 줄어들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HAPLN1이 어떤 세포에서 생성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마우스 피부에서 HAPLN1 mRNA를 확인하였다.
마우스 피부는 생후 32일령(성장기), 생후 40일령(퇴화기), 생후 44일령(휴지기)에서 채취하였으며, 피부조직 절편은 8 μm 두께로 파라핀 박절하였다. HAPLN1 mRNA probe(ACDbio, USA)를 이용하여 검출하였고, in-situ hybridization 실험은 제조사의 실험방법(ACDbio; RNAscope® 2.5 HD Assay-BROWN, CA, USA)을 따라 수행되었다.
그 결과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HAPLN1 mRNA는 성장기의 모모세포에서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퇴화기, 휴지기에선 발현이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2]
인간 모모세포에서 HAPLN1에 의한 TβRII 단백질 증가 확인
본 실시예에서는 HAPLN1이 TβRII의 분해를 막아 그 양을 증가시키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HAPLN1을 인간 모모세포에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 모모세포(human hair germinal matrix cell; HHGMC)를 poly-D-lysine 6 well plate에 각 well 당 5.0 Х 104 개씩 분주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지를 제거하고 혈청이 들어가지 않은 새 배지로 바꾸어주었다. HAPLN1을 0, 5, 10, 20 ng/mL로 처리하고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를 모은 후 lysis buffer(25 mM Tris-HCl, 1 mM EDTA, 0.1 % Triton-X100, phosphatase inhibitor, and protease inhibitor)를 넣어주고 초음파 처리(sonication)를 통해 세포를 전부 깨주었다. Western blotting을 이용하여 해당 시료에서 TβRII를 측정하였다. 농도계(densitometer)를 이용하여 GAPDH 대비 각 TβRII의 광학적 농도를 비교하였다(즉, TβRII 광학적 농도 ÷ GAPDH 광학적 농도). 이 때 GAPDH는 로딩 대조군(loading control)으로 사용되었다.
그 결과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HAPLN1 20 ng/mL에서 TβRII가 증가함이 확인되었다.
이로부터 인간 모모세포에 HAPLN1을 처리하면 TβRII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인간 모모세포에서 HAPLN1 및/또는 HA에 의한 TβRII 단백질 증가 확인
HAPLN1은 TGF-β 신호전달 경로에서 TβRII에 직접 작용하는 것이 아닌 HA를 안정화시킴으로써 TβRII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였는바, 이를 확인하기 위해 HAPLN1과 HA를 같이 처리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인간 모모세포를 poly-D-lysine 6 well plate에 각 well 당 5.0 Х 104 개씩 분주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지를 제거하고 혈청이 들어가지 않은 새 배지로 바꾸어주었다. HAPLN1을 25 ng/mL, HA를 25 μg/mL로 처리하고 1시간 뒤 TGF-β2(2 ng/mL)를 처리하였다. 23시간 뒤 세포를 모은 후 lysis buffer(25 mM Tris-HCl, 1 mM EDTA, 0.1 % Triton-X100, phosphatase inhibitor, and protease inhibitor)를 넣어주고 초음파 처리(sonication)를 통해 세포를 전부 깨주었다. Western blotting을 이용하여 해당 시료에서 TβRI 및 TβRII를 측정하였다. 농도계를 이용하여 GAPDH 대비 각 TβRII의 광학적 농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간 모모세포에 HAPLN1 또는 HA를 처리하였을 때 TβRII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HAPLN1 단독 처리 시 TβRII가 현저하게 증가한 것을 재확인하였고, 특히 HAPLN1이 HA에 의한 TβRII의 증가를 더욱 강화시켜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반해, TβRI의 농도에는 변화가 없었으므로, HAPLN1에 의한 TβRII의 증가는 선택적이라 할 수 있다.
[실시예 4]
인간 모모세포에서 TβRII 단백질 농도에 대한 내인성 HAPLN1 결핍 효과 확인
인간 모모세포의 TβRII 단백질 농도에 대한 내인성 HAPLN1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HAPLN1 siRNA를 사용하여 내인성 HAPLN1을 결핍시켰다.
인간 모모세포를 poly-D-lysine 6 well plate에 각 well 당 5.0 Х 104 개씩 분주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지를 제거하고 low serum 배지로 바꾸어 주었다. HAPLN1 siRNA 및 scrambled siRNA를 well당 25 pmol 씩 넣어주고 24시간 배양하였다. 세포를 모은 후 lysis buffer(25 mM Tris-HCl, 1 mM EDTA, 0.1 % Triton-X100, phosphatase inhibitor, and protease inhibitor)를 넣어주고 초음파 처리(sonication)를 통해 세포를 전부 깨주었다. Western blotting을 이용하여 해당 시료에서 HAPLN1 및 TβRII를 측정하였다. 농도계를 이용하여 GAPDH 대비 각 HAPLN1 및 TβRII의 광학적 농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간 모모세포에 HAPLN1 siRNA를 처리하여 내인성 HAPLN1을 결핍시킴에 따라 TβRII도 줄어든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내인성 HAPLN1이 결핍된 인간 모모세포에서 TβRII 단백질 농도에 대한 외인성 HAPLN1 및/또는 HA의 효과 확인
HAPLN1 siRNA를 이용해 HAPLN1을 결핍시킨 인간 모모세포에 외인성 HAPLN1 및/또는 HA에 의한 TβRII 단백질 증가 여부를 확인하였다.
인간 모모세포를 poly-D-lysine 6 well plate에 각 well 당 5.0 Х 104 개씩 분주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지를 제거하고 low serum 배지로 바꾸어 주었다. HAPLN1 siRNA 및 scrambled siRNA를 well당 25 pmol 씩 넣어주고 24시간 배양하였다. siRNA 및 배지를 모두 제거한 후 HAPLN1(25 ng/mL) 또는 HA(25 μg/mL)가 첨가된 serum-free 배지로 교체하고 1시간 배양하였다. TGF-β2(2 ng/mL)을 처리하고 23시간 배양하였다. 세포를 모은 후 lysis buffer(25 mM Tris-HCl, 1 mM EDTA, 0.1 % Triton-X100, phosphatase inhibitor, and protease inhibitor)를 넣어주고 초음파 처리(sonication)를 통해 세포를 전부 깨주었다. Western blotting을 이용하여 해당 시료에서 TβRII를 측정하였다. 농도계를 이용하여 GAPDH 대비 TβRII의 광학적 농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인성 HAPLN1이 결핍된 인간 모모세포에 외인성 HAPLN1 및/또는 HA를 처리하자 줄어들었던 TβRII가 회복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내인성 HA가 결핍된 인간 모모세포에서 TβRII 및 HAS2 단백질 농도에 대한 외인성 HAPLN1의 효과 확인
4-MU(4-methylumbelliferone)은 HA를 생성하는 HAS2(hyaluronan synthase 2)의 억제제이다. 세포에서 생성되는 HA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4-MU를 사용하여 세포의 HA 생성을 억제시켰다.
4-MU를 처리하여 내인성 HA가 억제된 인간 모모세포를 poly-D-lysine 6 well plate에 각 well 당 5.0 Х 104 개씩 분주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지를 제거하고 혈청이 들어가지 않은 새 배지로 바꾸어주었다. HAPLN1을 25 ng/mL로 처리하고 1시간 뒤 TGF-β2(2 ng/mL)를 처리하였다. 23시간 뒤 세포를 모은 후 lysis buffer(25 mM Tris-HCl, 1 mM EDTA, 0.1 % Triton-X100, phosphatase inhibitor, and protease inhibitor)를 넣어주고 초음파 처리(sonication)를 통해 세포를 전부 깨주었다. Western blotting을 이용하여 해당 시료에서 HAS2 및 TβRII를 측정하였다. 농도계를 이용하여 GAPDH 대비 HAS2 및 TβRII의 광학적 농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4-MU 처리시에는 HAS2 및 TβRII의 양이 줄어들었고, 여기에 HAPLN1을 처리하자 HAS2 및 TβRII가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3에서 HAPLN1은 HA를 통해 TβRII를 조절함이 확인된 바 있다. 그러나 HA도 TβRII와 직접 결합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HA의 수용체인 CD44가 TβRII와 결합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CD44는 TβRII 조절 과정에서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지, 그리고 실제로 HAPLN1이 TβRII를 증가시키는 과정에서 CD44가 필수적인지 확인하였다.
1. 인간 모모세포에서 TβRII 단백질 농도에 대한 CD44 결핍의 효과 확인
우선, 인간 모모세포에 CD44가 결핍될 경우 TβRII 단백질 농도가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확인하였다.
CD44 siRNA를 처리하여 세포 내 CD44를 결핍시킨 인간 모모세포를 poly-D-lysine 6 well plate에 각 well 당 5.0 Х 104 개씩 분주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지를 제거하고 low serum 배지로 바꾸어 주었다. CD44 siRNA 및 scrambled siRNA를 well당 25 pmol씩 넣어주고 24시간 배양하였다. 세포를 모은 후 lysis buffer(25 mM Tris-HCl, 1 mM EDTA, 0.1 % Triton-X100, phosphatase inhibitor, and protease inhibitor)를 넣어주고 초음파 처리(sonication)를 통해 세포를 전부 깨주었다. Western blotting을 이용하여 해당 시료에서 CD44 및 TβRII를 측정하였다. 농도계를 이용하여 GAPDH 대비 CD44 및 TβRII의 광학적 농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CD44의 결핍시 인간 모모세포에서 TβRII 단백질 농도가 상당히 줄어든 것을 확인하였다.
2. CD44가 결핍된 인간 모모세포에서 TβRII 단백질 농도에 대한 HAPLN1 및/또는 HA의 효과 확인
이어서, CD44가 결핍된 인간 모모세포에서 TβRII 단백질 농도에 대한 HAPLN1 및/또는 HA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CD44 siRNA를 이용해 CD44를 결핍시킨 인간 모모세포를 poly-D-lysine 6 well plate에 각 well 당 5.0 Х 104 개씩 분주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지를 제거하고 low serum 배지로 바꾸어 주었다. CD44 siRNA 및 scrambled siRNA를 well당 25 pmol 씩 넣어주고 24시간 배양하였다. siRNA 및 배지를 모두 제거한 후 HAPLN1(25 ng/mL) 또는 HA(25 μg/mL)가 첨가된 serum-free 배지로 교체하고 1시간 배양하였다. TGF-β2(2 ng/mL)을 처리하고 23시간 배양하였다. 세포를 모은 후 lysis buffer(25 mM Tris-HCl, 1 mM EDTA, 0.1 % Triton-X100, phosphatase inhibitor, and protease inhibitor)를 넣어주고 초음파 처리(sonication)를 통해 세포를 전부 깨주었다. Western blotting을 이용하여 해당 시료에서 T
Figure 112020043777756-pat00001
RII를 측정하였다. 농도계를 이용하여 GAPDH 대비 TβRII의 광학적 농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간 모모세포에 CD44가 결핍된 경우, HAPLN1 및/또는 HA를 처리하더라도 TβRII가 회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없었다.
위 실험으로부터 HAPLN1 및 HA가 TβRII를 증가시키는 과정에 CD44가 필수적인 요소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8]
세포막 TβRII 단백질 농도에 대한 HAPLN1 및/또는 HA의 효과 확인
HAPLN1이 TβRII의 내포작용을 억제하여 세포막 TβRII 증가를 초래할 것이라고 가정하였는바, 이를 증명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세포막에 존재하는 모든 단백질을 biotin으로 표지하고, Biotin 항체로 immunoprecipitation을 수행하여 세포막 단백질만을 분리하였다. 세포막 단백질 중 TβRII의 비율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western blotting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인 실험 방법은 아래와 같다.
인간 모모세포를 poly-D-lysine 100 mm dish에 2.7 Х 106 개씩 분주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지를 제거하고 혈청이 들어가지 않은 새 배지로 바꾸어주었다. HAPLN1을 25 ng/mL, HA를 25 μg/mL로 처리하고 1시간 뒤 TGF-β2(2 ng/mL)를 처리하였다. 23시간 뒤 biotin을 표지하기 위해, EZ-Link™ Sulfo-NHS-LC-Biotin(Thermo Fisher Scientific, MA, USA)를 250 μg/mL 농도로 처리하고 4℃, 1시간 배양하였다. 50 mM Tris-HCl을 처리하여 biotin 표지 반응을 종결시켰다. 세포를 모은 후 lysis buffer(50 mM Tris-HCl, 150 mM NaCl, 1 % NP-40, phosphatase inhibitor, and protease inhibitor)를 넣어주고 초음파 처리(sonication)를 통해 세포를 전부 깨주었다. Anti-biotin 항체를 이용하여 immunoprecipitation 실험을 수행하여 세포막 단백질을 분리하였다. Western blotting을 이용하여 분리한 세포막 단백질 시료에서 TβRII를 측정하였다. 농도계를 이용하여 GAPDH 대비 각 TβRII의 광학적 농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HAPLN1 및/또는 HA를 처리시 세포막 TβRII 단백질 농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9]
HAPLN1의 세포증식 효과 및 작용기전 규명
본 실시예에서는 HAPLN1이 어떤 기전으로 세포 증식을 유도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Smad2 pathway 및 ERK1/2 pathway에 대한 HAPLN1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인간 모모세포를 poly-D-lysine 6 well plate에 각 well 당 5.0 Х 104 개씩 분주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지를 제거하고 혈청이 들어가지 않은 새 배지로 바꾸어주었다. HAPLN1을 25 ng/mL, HA를 25 μg/mL로 처리하고 23시간 배양한 뒤 TGF-β2(2 ng/mL)로 1시간 동안 자극을 주었다. 세포를 모은 후 lysis buffer(25 mM Tris-HCl, 1 mM EDTA, 0.1 % Triton-X100, phosphatase inhibitor, and protease inhibitor)를 넣어주고 초음파 처리(sonication)를 통해 세포를 전부 깨주었다. Western blotting을 이용하여 해당 시료에서 p-ERK1/2, p-Smad2, p-MEK1/2, p-c-Raf를 측정하였다. 농도계를 이용하여 ERK1/2, Smad2/3, MEK1, c-Raf 대비 p-ERK1/2, p-Smad2, p-MEK1/2, p-c-Raf의 광학적 농도를 비교하였다. 이 때 ERK1/2, Smad2/3, MEK1, c-Raf는 로딩 대조군(loading control)로 사용되었다.
그 결과는 도 14 내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HAPLN1 및/또는 HA를 처리한 세포에서는 TGF-β2에 의한 ERK1/2 신호전달이 활성화되었다. 또한 HAPLN1은 HA의 ERK1/2 신호전달 활성화를 강화시켜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Smad2의 인산화에는 변화가 없었다. 또한 ERK1/2의 상위 기전(upstream)인 MEK1/2와 c-Raf도 HAPLN1 및/또는 HA 처리에 의해 활성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HAPLN1에 의해 ERK signal이 활성화됨을 확인하였고, 이는 non-canonical pathway를 통해 신호전달이 이루어짐을 나타낸다. 그러나 HAPLN1은 Smad2/3의 canonical pathway는 활성화시키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0]
HAPLN1의 세포증식 효과 및 작용기전 규명
인간 모모세포를 poly-D-lysine 96 well plate에 각 well 당 2.0 Х 103 개씩 분주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지를 제거하고 혈청이 들어가지 않은 새 배지로 바꾸어주었다. HAPLN1을 25 ng/mL, HA를 25 μg/mL로 처리하고 1시간 배양한 뒤 TGF-β2(2 ng/mL)로 23시간 동안 자극을 주었다. CCK-8(Enzo Biochem, NY, USA)을 처리하고 37℃, 1시간 배양하였다.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17에 나타내었다.
TGF-β2 존재 시 HAPLN1 및/또는 HA를 처리한 군에서 대조군보다 세포증식이 촉진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HAPLN1이 non-canonical TGF-β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인간 모모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킴을 의미한다.
[실시예 11]
각 모발 성장 주기에서 HAPLN1 단백질 및 TβRII 단백질 발현 확인
본 실시예에서는 마우스 피부의 각 모발 주기에서 HAPLN1과 TβRII를 형광염색하여, HAPLN1 단백질 및 TβRII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마우스 피부는 생후 32일령(성장기), 생후 40일령(퇴화기), 생후 44일령(휴지기)에서 채취하였으며, 신선동결(fresh frozen) 하였다. 피부조직 절편은 8 μm 두께로 제작되었으며, HAPLN1(Abcam, USA) 항체와 TβRII 항체를 이용하여 HAPLN1 및 TβRII 단백질의 존재 유무를 검출하였다. 면역형광법(immunofluorescence)은 보편적인 실험 방법을 따라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HAPLN1은 성장기의 모모세포에서 발현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퇴화기, 휴지기에선 발현이 줄어들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성장기(Aangen)의 모모세포(hair germical matrix)에서 HAPLN1 및 TβRII가 같은 위치에 발현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co-localization). 이는 HAPLN1 및 TβRII가 인간 모모세포의 증식에 기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12]
동물 모델에서 HAPLN1에 의한 모발 성장 주기 변화 관찰
1. 마우스의 모발 성장에 대한 HAPLN1의 복강 전신 투여의 효과 확인
체내 HAPLN1은 나이가 들수록 줄어든다. 체내 HAPLN1이 줄어든 20개월령 C57 마우스에 HAPLN1을 투여하였다.
C57 마우스는 모발 성장 주기가 제각각이기 때문에 두 번의 모발 성장 주기를 거쳐 모든 마우스의 주기를 일정하게 맞춰주었다(도 19 스케줄 참조). 그 후 3일에 한번씩 HAPLN1을 0.1 mg/kg으로 복강주사하였다.
그 결과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HAPLN1을 처리한 군에서 단기간에 모발 성장기로 진입하였다.
2. 마우스의 모발 성장에 대한 HAPLN1 siRNA의 복강 전신 투여의 효과 확인
HAPLN1 siRNA를 7주령 C57 마우스에 투여하여, HAPLN1 결핍에 따라 모발 성장 주기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관찰하였다. 이를 위해 HAPLN1 siRNA(Dharmacon; Accell HAPLN1 siRNA SMARTpool, CO, USA)를 일주일에 두 번 4 nmol씩 4주 동안 복강주사 하였다(도 20 스케줄 참조).
그 결과는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HAPLN1 siRNA를 투여한 군이 대조군에 비해 모발 성장기로의 진입이 더뎌진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3]
HAPLN1, CX3CL1 및 CDON의 모유두세포 또는 모모세포 증식효과 검증
미국특허등록공보 제8,334,136호는, 모유두세포에 존재하는 HAPLN1, CX3CL1, CDON 등의 세포접착유전자의 발현을 유지 또는 증가시키면 모낭 형성 또는 모발 재생이 촉진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세포접착유전자들이 발현하는 HAPLN1, CX3CL1 또는 CDON 단백질을 모유두세포 또는 모모세포에 직접 처리하였을 때, 실제로 증식효과가 발현되는지 여부를 검증하였다.
1. 모유두세포 증식효과 확인
인간 모유두세포를 모유두세포 증식 배지(Promocell)를 이용하여 37℃,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세포가 90% 정도 차게 되면 0.05% Trypsin/EDTA 용액으로 세포를 탈부착 시킨 후, 1000 rpm, 3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세포만 회수하였다. 이를 96 well plate에 각 well 당 2.0 Х 103 개씩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하고, serum-free 배지에 HAPLN1, CX3CL1 및 CDON 각각의 최종 농도가 25 ng/ml이 되도록 희석시켰다. 기존 배양 배지를 제거한 후, 희석시킨 HAPLN1, CX3CL1 및 CDON을 각 well에 200 μl씩 분주하고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실험의 편차를 줄이기 위해 그룹 당 3개의 well씩 처리하였다 (triplication). 또한, 모유두세포를 증식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미녹시딜 (Minoxidil)을 10 μM 처리하여 양성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상기 희석 방법과 동일하게 HAPLN1 (25 ng/ml), CX3CL1 (25 ng/ml), CDON (25 ng/ml) 또는 미녹시딜(10 μM), 및 human recombinant TGF-β2를 최종 농도가 2 ng/ml이 되도록 희석시킨 후, TGF-β2가 포함되는 그룹의 배지를 200 μl씩 교환해주었다. 실험의 편차를 줄이기 위해 그룹 당 3개의 well씩 처리하였다(Triplicate).
23시간 동안 배양 후 배양기에서 플레이트를 꺼내 배지와 시약이 포함된 채로 CCK-8(WST-8) 용액을 200 μl 배지 당 20 μl 첨가하여 1시간 동안 37℃, 배양기에서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기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21에 나타내었다.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TGF-β2가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는 경우, 미녹시딜을 처리한 양성대조군에서는 유의한 모유두세포 증식 활성이 확인되었으나(***P<0.001), HAPLN1, CX3CL1 및 CDON는 모두 모유두세포를 증식시키지 못하거나 오히려 증식을 억제하였다. 즉, 모유두세포 내 세포접착유전자가 발현하는 단백질을 모유두세포에 투여하더라도, 모유두세포의 증식효과는 나타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2. 모모세포 증식효과 확인
인간 모모세포를 Mesenchymal Stem Cell Medium(MSCM)을 이용하여 poly-D-lysine이 코팅된 플라스크에 풀어서 37℃,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세포가 90% 정도 차게 되면 0.05% Trypsin/EDTA 용액으로 세포를 탈부착 시킨 후 1000 rpm, 3분 동안 원심분리 하여 세포만 회수하였다. 이를 96 well poly-D-lysine coated plates(BD bioscience)에 각 well 당 2.0 Х 103 개씩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하고, serum-free 배지에 HAPLN1, CX3CL1 및 CDON 각각의 최종 농도가 25 ng/ml이 되도록 희석시켰다. 이후의 과정은 상기 모유두세포에 대한 실험과 동일하게 진행하여 흡광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22에 나타내었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HAPLN1은 TGF-β2가 존재하지 않는 환경에서 유의한 모모세포 증식활성을 나타냈고(*P<0.05), TGF-β2가 존재하는 환경에서는 특히 월등한 모모세포 증식활성을 나타내어(***P<0.001), TGF-β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인간 모모세포의 증식효과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반면, CX3CL1 및 CDON는 모유두세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모모세포에서도 오히려 세포증식을 억제하는 결과를 보였다.
결국, 미국특허등록공보 제8,334,136호는 모유두세포에 존재하는 세포접착유전자의 발현을 유지 또는 증가시키면 모낭 형성 또는 모발 재생이 촉진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언급하지만, 실제로 세포접착유전자들이 발현하는 단백질이 모두 모유두세포 또는 모모세포를 증식시키는 것은 아닌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HAPLN1 단백질만이 모모세포의 증식을 촉진하고 모발을 성장시켜, 탈모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7)

  1. 히알루론산과 프로테오글리칸 연결 단백질 1(hyaluronan and proteoglycan link protein 1; HAPLN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APLN1은 비정규(non-canonical) 신호전달 경로를 활성화시키며, 상기 비정규(non-canonical) 신호전달 경로는 TGF-β 단백질로 활성화되는 Ras-ERK1/2 신호전달 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APLN1은 모모세포(hair germinal matrix cell)의 증식을 촉진시켜 모발을 성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모는 남성형 탈모, 여성형 탈모, 원형 탈모, 또는 휴지기성 탈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5. 히알루론산과 프로테오글리칸 연결 단백질 1(hyaluronan and proteoglycan link protein 1; HAPLN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HAPLN1은 비정규(non-canonical) 신호전달 경로를 활성화시키며, 상기 비정규(non-canonical) 신호전달 경로는 TGF-β 단백질로 활성화되는 Ras-ERK1/2 신호전달 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HAPLN1은 모모세포(hair germinal matrix cell)의 증식을 촉진시켜 모발을 성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051429A 2019-04-30 2020-04-28 Hapln1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90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80032625.XA CN113784723A (zh) 2019-04-30 2020-04-29 包括hapln1的用于预防或治疗脱发的组合物
MX2021013349A MX2021013349A (es) 2019-04-30 2020-04-29 Composicion para la prevencion o el tratamiento de la caida del cabello que incluye hapln1.
PCT/KR2020/005703 WO2020222538A2 (ko) 2019-04-30 2020-04-29 Hapln1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A3138467A CA3138467A1 (en) 2019-04-30 2020-04-29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hair loss including hapln1
SG11202112030SA SG11202112030SA (en) 2019-04-30 2020-04-29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hair loss including hapln1
EP20799504.4A EP3964223A4 (en) 2019-04-30 2020-04-29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HAIR LOSS INCLUDING HAPLN1
PE2021001803A PE20220335A1 (es) 2019-04-30 2020-04-29 Composicion para la prevencion o el tratamiento de la caida del cabello que incluye hapln1
JP2021563100A JP7182816B2 (ja) 2019-04-30 2020-04-29 Hapln1を含む脱毛の予防用または治療用の組成物
US17/607,765 US20220202899A1 (en) 2019-04-30 2020-04-29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hair loss including hapln1
AU2020265476A AU2020265476A1 (en) 2019-04-30 2020-04-29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hair loss including HAPLN1
IL287659A IL287659A (en) 2019-04-30 2021-10-28 A preparation that includes hapln1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hair loss
CL2021002853A CL2021002853A1 (es) 2019-04-30 2021-10-29 Composición para la prevención o el tratamiento de la caída del cabello que incluye hapln1
CONC2021/0014968A CO2021014968A2 (es) 2019-04-30 2021-11-05 Composición para la prevención o el tratamiento de la caída del cabello que incluye hapln1
ZA2021/09732A ZA202109732B (en) 2019-04-30 2021-11-29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hair loss including hapln1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50698 2019-04-30
KR1020190050698 2019-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920A KR20200126920A (ko) 2020-11-09
KR102390418B1 true KR102390418B1 (ko) 2022-04-26

Family

ID=73429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1429A KR102390418B1 (ko) 2019-04-30 2020-04-28 Hapln1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390418B1 (ko)
CA (1) CA3138467A1 (ko)
CO (1) CO202101496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5133B1 (ko) 2021-03-26 2021-10-19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모발에 유익한 효능을 주는 스트렙토코커스 배양액을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28632A1 (en) * 2009-07-23 2012-05-24 Jeffrey Keeler Teumer Identity marker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34136B2 (en) 2009-07-24 2012-12-18 Shiseido Company, Ltd. Method for promoting hair growth or hair regeneration by maintaining or increasing expression of cell-adhesion factor
FR2955381A1 (fr) 2010-01-19 2011-07-22 Michel Charles Albert Barbizet Procede de valorisation d'energie thermique a basse temperature dans les systemes multi-generation
KR20190024727A (ko) * 2017-08-29 2019-03-0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Hapln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연골 재생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28632A1 (en) * 2009-07-23 2012-05-24 Jeffrey Keeler Teumer Identity mark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38467A1 (en) 2020-11-05
CO2021014968A2 (es) 2021-11-19
KR20200126920A (ko) 202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essandrini et al. Common causes of hair loss–clinical manifestations, trichoscopy and therapy
Otberg et al. Androgenetic alopecia
Rathnayake et al. Male androgenetic alopecia
EP2400980B1 (en) Visfatin antagonists agents for the treatment of acne and other conditions
KR102205774B1 (ko) 모발 성장을 조절하는 방법 및 조성물
EP4205750A1 (en) Compositions for suppressing or improving hair loss and graying, and uses thereof
KR102440809B1 (ko) Mpc 저해제를 사용하여 모발 성장을 촉진하는 조성물 및 방법
AU705118B2 (en) Control of hair growth
KR102390418B1 (ko) Hapln1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110306546A1 (en) Compositions for increasing hair growth and decreasing hair loss
Daniels et al. Can plant‐derived phytochemicals provide symptom relief for hair loss? A critical review
US20170080046A1 (en) Association of a tetrapeptide and a glyceryl ester for treating androgenic alopecia
Shin The physiological and pharmacological roles of prostaglandins in hair growth
US20220202899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hair loss including hapln1
Magerl et al. Limitations of human occipital scalp hair follicle organ culture for studying the effects of minoxidil as a hair growth enhancer
JP2015529669A (ja) 脱毛症及び/又は毛髪色素脱失を治療するためのpedf由来のポリペプチドの使用
Whitting et al. Biology of hair follicle pigmentation
Diba et al. Diagnosis and management of female pattern hair loss
KR20210084731A (ko) Dmt-tic 펩티드성 유도체를 포함하는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Vishnyakova et al. Hair growth stimulation by a natural remedy: Animal studies
KR102500978B1 (ko) 이속사졸 유도체를 포함하는 탈모 완화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Tobin Pigmentation of human hair
US10716829B2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hair loss
Alessandrini et al. Summary of Hair Diseases: Cicatricial and Non-Cicatricial
Mysore Hair Loss in the Naked A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