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0157B1 - 스테레오 신호를 위한 공간 크로스토크 처리 - Google Patents

스테레오 신호를 위한 공간 크로스토크 처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0157B1
KR102390157B1 KR1020217012624A KR20217012624A KR102390157B1 KR 102390157 B1 KR102390157 B1 KR 102390157B1 KR 1020217012624 A KR1020217012624 A KR 1020217012624A KR 20217012624 A KR20217012624 A KR 20217012624A KR 102390157 B1 KR102390157 B1 KR 102390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crosstalk
band
generating
processe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2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5095A (ko
Inventor
재커리 셀데스
Original Assignee
붐클라우드 360,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붐클라우드 360,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붐클라우드 360,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55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5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04S3/002Non-adaptive circuits, e.g. manually adjustable or static, for enhancing the sound image or the spatial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1/00Two-channel systems
    • H04S1/002Non-adaptive circuits, e.g. manually adjustable or static, for enhancing the sound image or the spatial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2Electronic adapt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to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04R3/14Cross-ove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13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tereophonic soun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20/00Techniques used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20/01Enhancing the perception of the sound image or of the spatial distribution using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s [HRTF's] or equivalents thereof, e.g. interaural time difference [ITD] or interaural level difference [I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20/00Techniques used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20/07Synergistic effects of band splitting and sub-band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04S3/002Non-adaptive circuits, e.g. manually adjustable or static, for enhancing the sound image or the spatial distribution
    • H04S3/004For head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오디오 시스템은 오디오 신호의 크로스토크 처리 및 크로스토크 보상 처리를 제공한다. 크로스토크 처리는 크로스토크 제거 처리 또는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는 크로스토크 처리를 좌측 및 우측 채널의 측면 채널에 적용하여 생성되고, 좌측 및 우측 채널의 중간 채널은 크로스토크 처리를 바이패스한다. 크로토크 처리를 바이패스하는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 및 중간 채널은 좌측 출력 채널 및 우측 출력 채널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크로스토크 보상 처리를 측면 채널에 적용해서 크로스토크 보상된 신호가 생성된다. 크로스토크 보상된 신호는 크로스토크 처리로 인한 스펙트럼 결함에 대해 조정한다. 크로스토크 처리 및 크로스토크 보상 처리는 상이한 순서로 적용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출력 채널은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 및 크로스토크 보상된 신호를 사용하여 생성된다.

Description

스테레오 신호를 위한 공간 크로스토크 처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오디오 신호 처리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멀티 채널 오디오의 크로스토크 처리에 관한 것이다.
크로스토크 처리는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또는 크로스토크 제거(cancellation)와 같은 대측(contralateral) 및 동측(ipsilateral) 사운드 성분을 사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크로스토크 보상은 크로스토크 처리로 인한 스펙트럼 결함에 대해 조정하는 처리를 말한다. 계산 속도를 높이고 계산 자원 사용을 줄이기 위해 크로스토크 처리 및 크로스토크 보상 처리를 최적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들은 좌측 채널 및 우측 채널을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향상시키는 것과 관련된다. 크로스토크 제거 또는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필터 및 지연을 포함하는 크로스토크 처리는 좌우 채널의 측면(side)(또는 공간(spatial)) 채널에 적용되어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를 생성한다. 측면 채널은 좌측 채널과 우측 채널 사이의 차를 포함한다. 좌측 채널과 우측 채널의 중간(mid)(또는 비공간(nonspatial)) 채널은 크로스토크 처리를 바이패스한다. 중간 채널은 좌측 및 우측 채널의 합을 포함한다.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와 크로스토크 처리를 바이패스하는 중간 채널을 사용하여 좌측 출력 채널과 우측 출력 채널을 생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크로스토크 보상 처리가 측면 채널에 적용되어, 측면 채널에 적용된 크로스토크 처리로 인한 스펙트럼 결함에 대해 조정하기 위한 크로스토크 보상된 신호를 생성한다. 중간 채널은 크로스토크 보상 처리를 바이패스한다. 좌측 및 우측 출력 채널은 크로스토크 보상된 신호,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 및 크로스토크 처리 및 크로스토크 보상을 바이패스하는 중간 채널을 사용하여 생성된다.
다른 측면들은 구성요소, 장치, 시스템, 개선 사항, 방법, 프로세스, 애플리케이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및 이들 중 어느 하나와 관련된 기타 기술을 포함한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라우드스피커용 스테레오 오디오 재생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폰용 스테레오 오디오 재생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2b 및 2c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토크 처리를 위한 오디오 처리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3b, 3c, 3c, 3e 및 3f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4b, 4c, 4c, 4e 및 4f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및 측면 채널에 적용되는 크로스토크 제거의 주파수 플롯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채널에 적용되는 크로스토크 제거에 대한 주파수 플롯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및 측면 채널에 적용되는 크로스토크 제거의 주파수 플롯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채널에 적용되는 크로스토크 제거 및 크로스토크 보상에 대한 주파수 플롯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및 측면 채널에 적용되는 크로스토크 제거의 주파수 플롯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채널에 적용되는 크로스토크 제거 및 크로스토크 보상에 대한 주파수 플롯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토크 처리 및 크로스토크 보상 처리에 대한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의 블록도이다.
명세서에 기술된 특징 및 이점은 모두를 망라한 것은 아니며, 특히 도면, 명세서 및 청구항에 비추어 통상의 기술자에게 많은 추가적인 특징 및 이점이 명백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된 언어는 주로 가독성 및 교육 목적을 위해 선택되었으며, 발명의 대상을 설명하거나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닐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면 및 다음의 설명은 단지 예시로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다음의 논의로부터, 본 발명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채택될 수 있는 실행 가능한 대안으로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조 및 방법의 대안적 실시예가 쉽게 인식될 것임에 유의해야 한다.
이제, 본 발명(들)의 여러 실시예에 대한 참조가 상세하게 이루어질 것이며, 그 예는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가능한 경우, 유사하거나 동일한 참조 번호가 도면에서 사용되어 유사하거나 동일한 기능을 나타낼 수 있음에 유의한다. 도면은 단지 예시의 목적으로 실시예를 묘사한다. 당업자는,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원리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명세서에 예시된 구조 및 방법의 대안적 실시예가 채텍될 수 있음을 쉽게 인식할 것이다.
예시적인 크로스토크 보상 처리
실시예는 좌측 및 우측 채널을 포함하는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에 대한 크로스토크 처리 및 일부 실시예에서 크로스토크 보상 처리에 관한 것이다. 크로스토크 처리는 라우드스피커에 대한 크로스토크 제거 또는 헤드폰에 대한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크로스토크 보상 처리는 크로스토크 처리로 인한 스펙트럼 결함에 대해 조정한다. 처리 효율을 높이기 위해, 좌측 및 우측 채널로부터 생성된 측면 채널에 크로스토크 처리 또는 크로스토크 보상 처리를 적용하고, 좌측 및 우측 채널로부터 생성된 중간 채널은 바이패스한다. 이것은, 측면 채널을 생성하고, 크로스토크 처리 또는 크로스토크 보상을 측면 채널에 적용하며, 처리된 측면 채널을 중간 채널과 결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크로스토크 처리가 좌측 및 우측 채널 각각에 적용될 수 있으며, 그 결과가 크로스토크 처리가 측면 채널에 효과적으로 적용되고 중간 채널을 바이패스하도록 추가로 처리된다. 결과 출력 신호는, 공간 크로스토크 특성(예컨대, 헤드폰에 대한 시뮬레이션 또는 라우드스피커에 대한 제거)을 유지하면서, 스펙트럼적으로 투명한 중간 채널을 나타낸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라우드스피커 배열에서, 두 라우드스피커(110L 및 110R)에 의해 생성된 음파는 청취자(120)의 좌우 귀(125L, 125R)에서 수신된다. 각각의 라우드스피커(110L, 110R)로부터의 음파는 좌측 귀(125L)와 우측 귀(125R) 사이에 약간의 지연이 있고, 청취자(120)의 머리로 인해 필터링이 발생한다. 청취자의 머리와 같은 쪽에 있는 스피커에 의해 출력되고 청취자의 그 쪽 귀에 의해 수신된 사운드 성분(예컨대, 118L, 118R)은 본 명세서에서 "동측 사운드 성분(ipsilateral sound component)"(예컨대, 좌측 귀에서 수신된 좌측 채널 신호 성분 및 우측 귀에서 수신된 우측 채널 신호 성분)이라 하고, 청취자의 머리 반대편에 있는 스피커에 의해 출력된 사운드 성분(예컨대, 112L, 112R)은 본 명세서에서 "대측 사운드 성분(contralateral sound component)"(예컨대, 우측 귀에서 수신된 좌측 채널 신호 성분 및 좌측 귀에서 수신된 우측 채널 신호 성분)이라 한다. 대측 사운드 성분은 크로스토크 간섭에 기여하며, 이는 공간 지각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청취자(120)에 의한 크로스토크 간섭 경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라우드스피커(110)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크로스토크 제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헤드 마운티드 스피커 배열에서, 전용 좌측 스피커(130L)는 사운드를 좌측 귀(125L)로 방출하고 전용 우측 스피커(130R)는 사운드를 우측 귀(125R)로 방출한다. 헤드 마운티드 스피커는 사용자의 귀 가까이에 음파를 방출하며, 따라서 트랜스오럴(trans-aural) 음파 전파를 낮게 또는 전혀 생성하지 않아, 크로스토크 간섭을 유발하는 대측 성분이 없다. 청취자(120)의 양쪽 귀는 대응하는 스피커로부터 동측 사운드 성분을 수신하고, 다른 스피커로부터 대측 크로스토크 사운드 성분을 수신하지 않는다. 따라서, 청취자(120)는 헤드 마운티드 스피커를 통해 다른, 일반적으로 더 작은 음장을 감지할 것이다. 따라서, 오디오 신호가 가상의 라우드스피커 사운드 소스(140A 및 140B)에 의해 출력될 때 청취자(120)가 경험하게 될 크로스토크 간섭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헤드 마운티드 스피커(130)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이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오디오 처리 시스템
도 2a, 2b 및 2c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토크 처리를 위한 오디오 처리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오디오 처리 시스템은 크로스토크 제거 또는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과 같은 크로스토크 처리를 수행하고, 크로스토크 처리로 인한 스펙트럼 결함에 대해 다양한 순서로 조정하기 위해 크로스토크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오디오 처리 시스템(200)은 크로스토크 프로세서(202) 및 크로스토크 보상 프로세서(204)를 포함한다. 크로스토크 프로세서(202)는 입력 오디오 신호(X)에 대해 크로스토크 처리를 수행한다. 크로스토크 보상 프로세서(204)는 크로스토크 프로세서(202)에 결합되어 크로스토크 프로세서(202)의 결과를 수신한다. 크로스토크 보상 프로세서(204)는 이전 크로스토크 처리로 인한 스펙트럼 결함에 대해 조정하여 출력 오디오 신호(O)를 생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크로스토크 보상 프로세서(204)는 생략될 수도 있고, 크로스토크 프로세서(202)에 통합될 수도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오디오 처리 시스템(210)은 크로스토크 프로세서(202), 크로스토크 보상 프로세서(204), 및 결합기(206)를 포함한다. 여기서, 크로스토크 프로세서(202) 및 크로스토크 보상 프로세서(204)는 입력 오디오 신호(X)를 수신하고, 입력 오디오 신호(X)를 병렬로 처리한다. 크로스토크 프로세서(202) 및 크로스토크 보상 프로세서(204)로부터의 결과는 결합기(206)에 의해 결합되어 출력 오디오 신호(O)를 생성한다.
도 2c를 참조하면, 오디오 처리 시스템(215)은 크로스토크 프로세서(202) 및 크로스토크 보상 프로세서(204)를 포함한다. 오디오 처리 시스템(215)은 오디오 처리 시스템(200)과 같이 크로스토크 처리 및 크로스토크 보상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지만, 그 순서는 달리 한다. 크로스토크 보상 프로세서(204)는 입력 오디오 신호(X)를 수신하고, 후속 크로스토크 처리로 인한 스펙트럼 결함에 대한 크로스토크 보상을 수행한다. 크로스토크 프로세서(202)는 크로스토크 보상 프로세서(204)로부터의 결과를 수신하고, 크로스토크 처리를 적용하여 출력 오디오 신호(O)를 생성한다.
예시적인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
도 3a 내지 3f는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는 라우드스피커(110L 및 110R)를 사용할 때 크로스토크 간섭 경험을 줄인다. 각각의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는, 도 2a 내지 2c에 도시된 것과 같은 오디오 처리 시스템의 크로스토크 프로세서(202)의 예이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02)를 도시한 것이다.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02)는 좌측 채널(XL) 및 우측 채널(XR)을 수신하고, 채널(XL, XR)에 대해 크로스토크 제거를 수행하여 좌측 출력 채널(OL) 및 우측 출력 채널(OR)을 생성한다.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02)는 대역 내-외 분할기(in-out band divider)(310), 인버터(320 및 322), 대측 추정기(contralateral estimator)(330 및 340), 결합기(350 및 352), 대역 내-외 결합기(360), L/R-M 변환기(362), L/R-S 변환기(364) 및 M/S-L/R 변환기(366)를 포함한다. 이들 구성요소는 함께 작동하여 입력 채널(TL, TR)을 대역내(in-band) 성분과 대역외(out-of-band) 성분으로 분할하며, 대역내 성분에 대해 크로스토크 제거를 수행하여 출력 채널(OL, OR)을 생성한다.
입력 오디오 신호(T)를 상이한 주파수 대역 성분들로 분할하고 선택적인 성분들(예를 들면, 대역내 성분들)에 대해 크로스토크 제거를 수행함으로써,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의 열화를 미연에 방지하면서 특정 주파수 대역에 대해 크로스토크 제거가 수행될 수 있다. 입력 오디오 신호(T)를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로 분할하지 않고 크로스토크 제거가 수행되면, 이러한 크로스토크 제거 후의 오디오 신호는 저주파수(예를 들면, 350Hz 미만), 고주파수(예를 들면, 12000Hz 초과), 또는 양자 모두에서 비공간적 성분과 공간적 성분에 상당한 감쇠 또는 증폭을 나타낼 수 있다. 영향을 미치는 공간적 큐(spatial cues)의 대부분이 존재하는 대역내(예를 들면, 250Hz 내지 14000Hz 사이)에 대해 크로스토크 제거를 선택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믹스의 스펙트럼 전체에 걸쳐 특히 비공간적 성분에서 균형잡힌 전체 에너지가 유지될 수 있다.
대역 내-외 분할기(310)는 입력 채널(XL, XR)을 대역내 채널(TL,In, TR,In) 및 대역외 채널(TL,Out, TR,Out)로 각각 분할한다. 구체적으로, 대역 내-외 분할기(310)는 좌측 향상 보상 채널(TL)을 좌측 대역내 채널(TL,In) 및 좌측 대역외 채널(TL,Out)로 분할한다. 유사하게, 대역 내-외 분할기(310)는 우측 향상 보상 채널(TR)을 우측 대역내 채널(TR,In) 및 우측 대역외 채널(TR,Out)로 분할한다. 각각의 대역내 채널은, 예를 들면, 250Hz 내지 14 kHz를 포함하는 주파수 범위에 대응하는 개개의 입력 채널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주파수 대역의 범위는, 예를 들어, 스피커 파라미터에 따라 조정 가능할 수 있다.
인버터(320) 및 대측 추정기(330)는 함께 동작하여, 좌측 대역내 채널(TL,In)로 인한 대측 사운드 성분을 보상하기 위한 좌측 대측 제거 채널(SL)을 생성한다. 유사하게, 인버터(322)와 대측 추정기(340)는 함께 동작하여, 우측 대역내 채널(TR,In)로 인한 대측 사운드 성분을 보상하기 위해 우측 대측 제거 채널(SR)을 생성한다.
하나의 접근법에서, 인버터(320)는 대역내 채널(TL,In)을 수신하고, 수신된 대역내 채널(TL,In)의 극성을 반전시켜 반전된 대역내 채널(TL,In')을 생성한다. 대측 추정기(330)는 반전된 대역내 채널(TL,In')을 수신하고, 필터링을 통해 대측 사운드 성분에 대응하는 반전된 대역내 채널(TL,In')의 부분을 추출한다. 반전된 대역내 채널(TL,In')에 대해 필터링이 수행되기 때문에, 대측 추정기(330)에 의해 추출된 부분은 대측 사운드 성분에 기인하는 대역내 채널(TL,In)의 일부의 역(inverse)이 된다. 따라서, 대측 추정기(330)에 의해 추출된 부분은, 대역내 채널(TL,In)로 인한 대측 사운드 성분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대 대역내 채널(TR,In)에 추가될 수 있는 좌측 대측 제거 채널(SL)이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인버터(320) 및 대측 추정기(330)는 상이한 순서로 구현된다.
인버터(322) 및 대측 추정기(340)는 대역내 채널(TR,In)에 대해 유사한 동작을 수행하여 우측 대측 제거 성분(SR)을 생성한다. 따라서, 여기서는 간결성을 위해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일례의 구현예에서, 대측 추정기(330)는 필터(332), 증폭기(334), 및 지연 유닛(336)을 포함한다. 필터(332)는 반전된 입력 채널(TL,In')을 수신하고, 필터링 기능을 통해 대측 사운드 성분에 대응하는 반전된 대역내 채널(TL,In')의 부분을 추출한다. 필터 구현예는 중심 주파수가 5000 내지 10000Hz 사이에서 선택되고 Q가 0.5 내지 1.0 사이에서 선택되는 노치(Notch) 또는 하이 쉘프(High-shelf) 필터이다. 데시벨 단위의 이득(GdB)은 수학식 1에서 도출될 수 있다.
Figure 112021049039204-pct00001
여기서, D는 예를 들어 48KHz의 샘플링 속도에서 샘플 내의 지연 유닛(336, 346)에 의한 지연량이다. 다른 구현예는 코너 주파수가 5000 내지 10000Hz 사이에서 선택되고 Q가 0.5 내지 1.0 사이에서 선택되는 로우 패스 필터이다. 또한, 증폭기(334)는 추출된 부분을 대응하는 이득 계수(GL,In)만큼 증폭하고, 지연 유닛(336)은 증폭기(334)로부터 증폭된 출력을 지연 함수(D)에 따라 지연시켜 좌측 대측 제거 채널(SL)을 생성한다.
대측 추정기(340)는 반전된 대역내 채널(TR,In')에 대해 유사한 동작을 수행하여 우측 대측 제거 채널(SR)을 생성하는 필터(342), 증폭기(344), 및 지연 유닛(346)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대측 추정기(330, 340)는 아래 수학식에 따라, 좌측 및 우측 대측 제거 채널(SL, SR)을 생성한다.
Figure 112021049039204-pct00002
Figure 112021049039204-pct00003
여기서 F[]는 필터 함수이고, D[]는 지연 함수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필터는 대측 추정기 내의 증폭기와 통합된다. 예를 들어, 필터(332)는 필터링 함수의 일부로서 증폭기(334)의 이득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신호 또는 채널에 필터를 적용하는 것은 주파수에 기초한 조정 외에 이득 레벨의 광대역 조정을 포함할 수 있다.
크로스토크 제거의 구성은 스피커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청취자에 대한 두 스피커 사이에 형성된 각도에 따라, 필터 중심 주파수, 지연 양, 증폭기 이득, 및 필터 이득이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피커 각도들 사이의 값들은 다른 값들을 보간하는 데 사용된다.
결합기(350)는 우측 대측 제거 채널(SR)을 좌측 대역내 채널(TL,In)에 결합시켜 좌측 대역내 크로스토크 채널(UL)을 생성하고, 결합기(352)는 좌측 대측 제거 채널(SL)을 우측 대역내 채널(TR,In)에 결합시켜 우측 대역내 크로스토크 채널(UR)을 생성한다.
L/R-S 변환기(364)는 좌측 대역내 크로스토크 채널(UL) 및 우측 대역내 크로스토코 채널(UR)을 수신하고, 측면 대역내 크로스토크 채널(US)을 생성한다. 측면 대역내 크로스토크 채널(US)은 좌측 대역내 크로스토크 채널(UL)과 우측 대역내 크로스토크 채널(UR)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L/R-M 변환기(362)는 좌측 대역내 채널(TL,In) 및 우측 대역내 채널(TR,In)을 수신하고, 중간 대역내 채널(TM,In)을 생성한다. 중간 대역내 채널(TM,In)은 좌측 대역내 채널(TL,In) 및 우측 대역내 채널(TR,In)의 합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M/S-L/R 변환기(366)는 중간 대역내 채널(TM,In) 및 측면 대역내 크로스토크 채널(US)을 수신하고, 좌측 대역내 크로스토크 제거 채널(CL) 및 우측 대역내 크로스토크 제거 채널(CR)을 생성한다. 좌측 대역내 크로스토크 제거 채널(CL)은 중간 대역내 채널(TM,In) 및 측면 대역내 크로스토크 채널(US)의 합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고, 우측 대역내 크로스토크 제거 채널(CR)은 중간 대역내 채널(TM,In)과 측면 대역내 크로스토크 채널(US)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측면 대역내 채널(US)은 좌측 및 우측 대역내 크로스토크 채널(UL, UR)의 측면 성분이고, 대역내 채널(TL,In 및 TR,In)의 중간 성분인 중간 대역내 채널(TM,In)과 결합된다.
대역 내-외 결합기(360)는 좌측 대역내 채널(CL)과 대역외 채널(TL,Out)을 결합시켜 좌측 출력 채널(OL)을 생성하고, 우측 대역내 채널(CR)과 대역외 채널(TR,Out)을 결합시켜 우측 출력 채널(OR)을 생성한다. 좌측 출력 채널(OL)은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02)에 의해 생성된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좌측 크로스토크 제거 채널이고, 우측 출력 채널(OR)은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02)에 의해 생성된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우측 크로스토크 제거 채널이다. 이들 크로스토크 제거 채널은 오디오 처리 시스템의 출력으로 또는 오디오 처리 시스템(예컨대, 크로스토크 제거로 인한 스펙트럼 결함에 대해 조정하는 크로스토크 보상 프로세서(204))의 다른 성분에 대한 입력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좌측 출력 채널(OL)은 대측 사운드에 기인하는 대역내 채널(TR,In)의 부분의 역에 대응하는 우측 대측 제거 채널(SR)의 측면 성분을 포함하고, 우측 출력 채널(OR)은 대측 사운드에 기인하는 대역내 채널(TL,In)의 부분의 역에 대응하는 좌측 대측 제거 채널(SL)의 측면 성분을 포함한다. 이 구성에서, 우측 출력 채널(OR)에 따라 라우드스피커(110R)에 의해 출력되어 우측 귀에 도달한 동측 사운드 성분의 파면(wavefront)은 좌측 출력 채널(OL)에 따라 라우드스피커(110L)에 의해 출력되는 대측 사운드 성분의 파면을 상쇄시킬 수 있다. 유사하게, 좌측 출력 채널(OL)에 따라 좌측 스피커(110L)에 의해 출력되어 좌측 귀에 도달한 동측 사운드 성분의 파면은, 우측 출력 채널(OR)에 따라 우측 스피커(110R)에 의해 출력된 대측 사운드 성분의 파면을 상쇄시킬 수 있다. 좌측 출력 채널(OL)은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02)에 의해 생성된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좌측 크로스토크 제거 채널이고, 우측 출력 채널(OR)은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02)에 의해 생성된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우측 크로스토크 제거 채널이다. 따라서, 대측 사운드 성분들이 감소되어 공간적 감지능력(spatial detectability)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04)를 도시한 것이다.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04)는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02)와 유사하지만, 처리 효율이 개선되었다.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04)는 대역 내-외 분할기(310), 인버터(320 및 322), 대측 추정기(330 및 340), 및 대역 내-외 결합기(360)를 포함한다.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04)의 이들 구성요소는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02)의 대응하는 구성요소와 유사하게 동작한다.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04)는 추정기(330, 340)에 결합된 L/R-S 변환기(364), L/R-S 변환기(364)에 결합된 M/S-L/R 변환기(368), 및 M/S-L/R 변환기(368), 대역 내-외 분할기(310) 및 대역 내-외 결합기(360)에 결합된 분할기(370, 372)를 더 포함한다.
L/R-S 변환기(364)는 좌측 대측 제거 채널(SL) 및 우측 대측 제거 채널(SR)을 수신하고, 좌측 대측 제거 채널(SL)과 우측 대측 제거 채널(SR)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측면 대측 제거 채널(SS)을 생성한다.
M/S-L/R 변환기(368)는 측면 대측 제거 채널(SS) 및 제로 중간 채널을 수신하고, 좌측 대측 대역내 채널(KL) 및 우측 대측 대역내 채널(KR)을 생성한다. 좌측 대측 대역내 채널(KL)은 측면 대측 제거 채널(SS)과 제로 중간 채널의 합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고, 우측 대측 대역내 채널(KR)은 제로 중간 채널과 측면 대측 제거 채널(SS)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결합기(370)는 우측 대측 대역내 채널(KR) 및 좌측 대역내 채널(TL,In)을 수신하고, 우측 대측 대역내 채널(KR) 및 좌측 대역내 채널(TL,In)을 더하여 좌측 크로스토크 제거 대역내 채널(CL)을 생성한다. 결합기(372)는 좌측 대측 대역내 채널(KL) 및 우측 대역내 채널(TR,In)을 수신하고, 좌측 대측 대역내 채널(KL) 및 우측 대역내 채널(TR,In)을 더하여 우측 크로스토크 제거 대역내 채널(CR)을 생성한다.
대역 내-외 결합기(360)는 좌측 크로스토크 제거 대역내 채널(CL)과 대역외 채널(TL,Out)을 결합시켜 좌측 출력 채널(OL)을 생성하고, 우측 크로스토크 제거 대역내 채널(CR)과 대역외 채널(TR,Out)을 결합시켜 우측 출력 채널(OR)을 생성한다. 좌측 출력 채널(OL)은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04)에 의해 생성된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좌측 크로스토크 제거 채널이고, 우측 출력 채널(OR)은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04)에 의해 생성된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우측 크로스토크 제거 채널이다.
도 3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06)를 도시한 것이다.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06)는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04)와 유사하지만, 처리 효율이 개선되었다.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06)는 대역 내-외 분할기(310), 인버터(320 및 322), 대측 추정기(330 및 340), 및 대역 내-외 결합기(360)를 포함한다.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06)의 이들 구성요소는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02)의 대응하는 구성요소와 유사하게 동작한다.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06)는 추정기(330, 340)에 결합된 L/R-S 변환기(364), L/R-S 변환기(364)에 각각 결합된 감산기(374) 및 결합기(376), 대역 내-외 분할기(310) 및 대역 내-외 결합기(360)를 더 포함한다.
L/R-S 변환기(364)는 좌측 대측 제거 채널(SL) 및 우측 대측 제거 채널(SR)을 수신하고, 좌측 대측 제거 채널(SL)과 우측 대측 제거 채널(SR)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측면 대측 제거 채널(SS)을 생성한다.
감산기(374)는 좌측 대역내 채널(TL,In) 및 측면 대측 제거 채널(SS)을 수신하고, 측면 대측 제거 채널(SS)과 좌측 대역내 채널(TL,In)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좌측 크로스토크 제거 대역내 채널(CL)을 생성한다.
결합기(376)는 우측 대역내 채널(TR,In) 및 측면 대측 제거 채널(SS)을 수신하고, 측면 대측 제거 채널(SS)과 우측 대역내 채널(TR,In)의 합에 기초하여 우측 크로스토크 제거 대역내 채널(CR)을 생성한다.
대역 내-외 결합기(360)는 좌측 대역내 채널(CL)과 대역외 채널(TL,Out)을 결합시켜 좌측 출력 채널(OL)을 생성하고, 우측 대역내 채널(CR)과 대역외 채널(TR,Out)을 결합시켜 우측 출력 채널(OR)을 생성한다. 좌측 출력 채널(OL)은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06)에 의해 생성된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좌측 크로스토크 제거 채널이고, 우측 출력 채널(OR)은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06)에 의해 생성된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우측 크로스토크 제거 채널이다.
크로스토크 제거의 일반적인 목표는, 대칭인 라우드스피커 시스템을 듣는 경우에 크로스채널 신호를 인지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며, 여기서 전체 크로스채널 신호는 동일하게 변환된다. 즉, 좌측 채널은, 반대쪽 채널과의 합산 전에 우측 채널과 동일하게 지연되고, 필터링되고, 스케일링될 수 있다. 좌측/우측 크로스채널 신호 변환에서 대칭이라고 가정하면, 도 3d 내지 3f는 도 3a 내지 3c에 도시된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에 비해 개선된 처리 효율을 갖는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의 예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좌측 대역내 채널(TL,In) 및 우측 대역내 채널(TR,In)로부터 생성된 측면 대역내 채널(TS,In)에 크로스토크 처리가 적용되는 반면에, 중긴 대역내 채널(TM,In)은 생성되지 않거나 또는 측면 대역내 채널(TS,In)에 적용되는 크로스토크 처리를 바이패스한다.
도 3d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08)를 도시한 것이다.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08)는 대역 내-외 분할기(310), L/R-M/S 변환기(378), 인버터(320), 대측 추정기(330), 감산기(380), M/S-L/R 변환기(382), 및 대역 내-외 결합기(360)를 포함한다.
대역 내-외 분할기(310)는 입력 채널(XL, XR)을 대역내 채널(TL,In, TR,In) 및 대역외 채널(TL,Out, TR,Out)로 각각 분할한다. L/R-M/S 변환기(378)는 대역 내-외 분할기(310)에 결합되어 대역내 채널(TL,In, TR,In)을 수신하고, 측면 대역내 채널(TS,In) 및 중간 대역내 채널(TM,In)을 생성한다. 측면 대역내 채널(TS,In)은 좌측 대역내 채널(TL,In) 및 우측 대역내 채널(TR,In)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중간 대역내 채널(TM,In)은 좌측 대역내 채널(TL,In) 및 우측 대역내 채널(TR,In)의 합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인버터(320) 및 대측 추정기(330)는 함께 동작하여, 측면 대역내 채널(TS,In)로부터 중간 대역내 채널(TM,In)로 인한 대측 사운드 성분을 보상하기 위한 측면 대측 제거 채널(SS)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인버터(320)는 측면 대역내 채널(TS,In)을 수신하고 극성을 반전시켜 반전된 측면 대역내 채널(TS,In')을 생성한다. 대측 추정기(330)는 반전된 측면 대역내 채널(TS,In')을 수신하고, 필터링을 통해 대측 사운드 성분에 대응하는 반전된 측면 대역내 채널(TS,In')의 부분을 추출한다. 반전된 측면 대역내 채널(TS,In')에 대해 필터링이 수행되기 때문에, 대측 추정기(330)에 의해 추출된 부분은 대측 사운드 성분에 기인하는 측면 대역내 채널(TS,In')의 부분의 역(inverse)이 된다. 따라서, 대측 추정기(330)에 의해 추출된 부분은 측면 대측 제거 채널(SS)이 된다.
감산기(380)는 측면 대역내 채널(TS,In) 및 측면 대측 제거 채널(SS)을 수신하고, 측면 대역내 채널(TS,In)과 측면 대척 제거 채널(SS)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측면 크로스토크 제거 대역내 채널(CS)을 생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인버터(320) 및 대측 추정기(330)는 상이한 순서로 구현된다.
M/S-L/R 변환기(382)는 중간 대역내 채널(TM,In) 및 측면 크로스토크 제거 대역내 채널(CS)을 수신하고, 좌측 크로스토크 제거 대역내 채널(CL) 및 우측 크로스토크 제거 대역내 채널(CR)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좌측 크로스토크 제거 대역내 채널(CL)은 중간 대역내 채널(TM,In) 및 측면 크로스토크 제거 대역내 채널(CS)의 합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고, 우측 크로스토크 제거 대역내 채널(CR)은 중간 대역내 채널(TM,In)과 측면 크로스토크 대역내 채널(CS)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대역 내-외 결합기(360)는 좌측 크로스토크 제거 대역내 채널(CL)과 대역외 채널(TL,Out)을 결합시켜 좌측 출력 채널(OL)을 생성하고, 우측 크로스토크 제거 대역내 채널(CR)과 대역외 채널(TR,Out)을 결합시켜 우측 출력 채널(OR)을 생성한다. 좌측 출력 채널(OL)은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08)에 의해 생성된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좌측 크로스토크 제거 채널이고, 우측 출력 채널(OR)은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08)에 의해 생성된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우측 크로스토크 제거 채널이다.
도 3e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12)를 도시한 것이다.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12)는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08)와 유사하며, 유사한 처리 효율을 갖는다.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12)는 대역 내-외 분할기(310), 인버터(320), 대측 추정기(330), 및 대역 내-외 결합기(360)를 포함한다.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12)의 이들 구성요소는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08)의 대응하는 구성요소와 유사하게 동작한다.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12)는 대역 내-외 분할기(310) 및 인버터(320)에 결합된 L/R-S 변환기(384), 대측 추정기(330)에 결합된 M/S-L/R 변환기(386), 및 M/S-L/R 변환기(386), 대역 내-외 분할기(310) 및 대역 내-외 결합기(360)에 결합된 결합기(388, 390)를 더 포함한다. L/R-S 변환기(384)는 좌측 대역내 채널(TL,In) 및 우측 대역내 채널(TR,In)을 수신하고, 좌측 대역내 채널(TL,In)과 우측 대역내 채널(TR,In)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측면 대역내 채널(TS,In)을 생성한다. 측면 대역내 채널(TS,In)은 인버터(320) 및 대측 추정기(330)에 의해 처리되어 측면 대측 제거 채널(SS)을 생성한다. M/S-L/R 변환기(386)는 대측 추정기(330)로부터 측면 대측 제거 채널(SS)을 수신하고 또한 제로 중간 채널을 수신하며, 좌측 대측 대역내 채널(KL) 및 우측 대측 대역내 채널(KR)을 생성한다. 좌측 대측 대역내 채널(KL)은 측면 대측 제거 채널(SS)과 제로 중간 채널의 합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고, 우측 대측 대역내 채널(KR)은 제로 중간 채널과 측면 대측 제거 채널(SS)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결합기(388)는 우측 대측 대역내 채널(KR) 및 좌측 대역내 채널(TL,In)을 수신하고, 우측 대측 대역내 채널(KR) 및 좌측 대역내 채널(TL,In)을 더하여 좌측 크로스토크 제거 대역내 채널(CL)을 생성한다. 결합기(390)는 좌측 대측 대역내 채널(KL) 및 우측 대역내 채널(TR,In)을 수신하고, 좌측 대측 채널(KL) 및 우측 대역내 채널(TR,In)을 더하여 우측 크로스토크 제거 대역내 채널(CR)을 생성한다.
대역 내-외 결합기(360)는 좌측 크로스토크 제거 대역내 채널(CL)과 좌측 대역외 채널(TL,Out)을 결합시켜 좌측 출력 채널(OL)을 생성하고, 우측 크로스토크 제거 대역내 채널(CR)과 우측 대역외 채널(TR,Out)을 결합시켜 우측 출력 채널(OR)을 생성한다. 좌측 출력 채널(OL)은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12)에 의해 생성된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좌측 크로스토크 제거 채널이고, 우측 출력 채널(OR)은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12)에 의해 생성된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우측 크로스토크 제거 채널이다.
도 3f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14)를 도시한 것이다.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14)는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12)와 유사하지만, 처리 효율이 개선되었다.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14)는 대역 내-외 분할기(310), L/R-S 변환기(384), 인버터(320), 대측 추정기(330), 및 대역 내-외 결합기(360)를 포함한다.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14)의 이들 구성요소는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12)의 대응하는 구성요소와 유사하게 동작한다.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14)는 감산기(392) 및 결합기(394)를 더 포함하고, 이들 각각은 대측 추정기(330), 대역 내-외 분할기(310), 및 대역 내-외 결합기(360)에 결합된다. 감산기(392)는 대역 내-외 분할기(310)로부터 좌측 대역 내-외 채널(TL,In)을 수신하고 또한 대측 추정기(330)로부터 측면 대측 제거 채널(SS)을 수신하며, 좌측 대역내 채널(TL,In)과 측면 대측 제거 채널(SS)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좌측 크로스토크 제거 대역내 채널(CL)을 생성한다. 결합기(394)는 대역 내-외 분할기(310)로부터 우측 대역 내-외 채널(TR,In)을 수신하고 또한 대측 추정기(330)로부터 측면 대측 제거 채널(SS)을 수신하며, 우측 대역내 채널(TR,In)과 측면 대측 제거 채널(SS)의 합에 기초하여 우측 크로스토크 제거 대역내 채널(CR)을 생성한다.
대역 내-외 결합기(360)는 좌측 크로스토크 제거 대역내 채널(CL)과 좌측 대역외 채널(TL,Out)을 결합시켜 좌측 출력 채널(OL)을 생성하고, 우측 크로스토크 제거 대역내 채널(CR)과 우측 대역외 채널(TR,Out)을 결합시켜 우측 출력 채널(OR)을 생성한다. 좌측 출력 채널(OL)은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14)에 의해 생성된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좌측 크로스토크 제거 채널이고, 우측 출력 채널(OR)은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14)에 의해 생성된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우측 크로스토크 제거 채널이다.
도 3a 내지 3f에 도시된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는 입력 채널(XL, XR)로부터 등가의 출력 채널(OL, OR)을 생성할 수 있다. A가 대측 추정기(330 또는 340)의 기능을 캡슐화하는 선형 동작(예컨대, 필터)이라고 하자. 도 3a에 도시된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02)에 대한 출력 채널(OL 및 OR)은 각각 수학식 4 및 5로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21049039204-pct00004
Figure 112021049039204-pct00005
도 3b에 도시된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04)에 대한 출력 채널(OL 및 OR)은 각각 수학식 6 및 7로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21049039204-pct00006
Figure 112021049039204-pct00007
도 3c에 도시된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06)에 대한 출력 채널(OL 및 OR)은 각각 수학식 8 및 9로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21049039204-pct00008
Figure 112021049039204-pct00009
도 3d에 도시된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08)에 대한 출력 채널(OL 및 OR)은 각각 수학식 10 및 11로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21049039204-pct00010
Figure 112021049039204-pct00011
도 3e에 도시된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12)에 대한 출력 채널(OL 및 OR)은 각각 수학식 12 및 13으로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21049039204-pct00012
Figure 112021049039204-pct00013
도 3f에 도시된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14)에 대한 출력 채널(OL 및 OR)은 각각 수학식 14 및 15로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21049039204-pct00014
Figure 112021049039204-pct00015
대수학적 처리방법에 의하면, 좌측 출력 채널(OL)에 대한 수학식 4, 6, 8, 10, 12, 및 14가 같고, 우측 출력 채널(OR)에 대한 수학식 5, 7, 9, 11, 13, 및 15가 같다.
예시적인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
도 4a 내지 4f는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는 헤드 마운티드 스피커(130L 및 130R)에서 라우드스피커와 같은 청취 경험을 제공한다. 각각의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는, 도 2a 내지 2c에 도시된 오디오 처리 시스템의 크로스토크 프로세서(202)의 예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02)를 도시한 것이다.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02)는 좌측 채널(XL) 및 우측 채널(XR)을 수신하고, 채널(XL, XR)에 대해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좌측 출력 채널(OL) 및 우측 출력 채널(OR)을 생성한다.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02)는, 좌측 입력 채널(XL)을 처리하기 위해, 좌측 두영(head shadow) 저역 통과 필터(422), 좌측 두영 고역 통과 필터(424), 좌측 크로스토크 지연부(426), 및 좌측 두영 이득부(428)를 포함한다.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02)는, 우측 입력 채널(XR)을 처리하기 위해, 우측 두영 저역 통과 필터(432), 좌측 두영 고역 통과 필터(434), 좌측 크로스토크 지연부(436), 및 좌측 두영 이득부(438)를 포함한다.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02)는 결합기(440, 442), L/R-M 변환기(444), L/R-S 변환기(446), 및 M/S-L/R 변환기(448)를 더 포함한다.
좌측 두영 저역 통과 필터(422) 및 좌측 두영 고역 통과 필터(424)는 좌측 입력 채널(XL)을 수신하고 청취자의 머리를 통과한 후의 신호의 주파수 응답을 모델링하는 변조를 적용한다. 저역 통과 및 고역 통과 필터 모두를 사용하면, 청취자의 머리를 통한 주파수 응답을 보다 정확하게 모델링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저역 통과 필터(422)와 고역 통과 필터(424)중 하나만 사용된다. 좌측 두영 고역 통과 필터(424)의 출력은 좌측 크로스토크 지연부(426)에 제공되며, 이는 좌측 두영 고역 통과 필터(424)의 출력에 시간 지연을 적용한다. 시간 지연은, 동측 사운드 성분에 대한 대측 사운드 성분이 횡단하는 트랜스오럴 거리를 나타낸다. 주파수 응답은 경험적 실험에 기초하여 생성되어 청취자의 머리에 의한 음파 변조의 주파수 의존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b를 참조하면, 우측 귀(125R)로 전파되는 대측 사운드 성분(112L)은, 트랜스오럴 전파로부터의 음파 변조를 나타내는 주파수 응답, 및 대측 사운드 성분(112L)가 우측 귀(125R)에 도달하기 위해(동측 사운드 성분(118R)에 비해) 이동하는 증가된 거리를 모델링하는 시간 지연으로 동측 사운드 성분(118L)을 필터링함으로써, 좌측 귀(125L)로 전파되는 동측 사운드 성분(118L)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좌측 두영 이득부(428)는 좌측 크로스토크 지연부(426)의 출력에 이득을 적용하여 좌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WL)을 생성한다.
우측 입력 채널(XR)의 경우와 유사하게, 우측 두영 저역 통과 필터(432) 및 우측 두영 고역 통과 필터(434)는 우측 입력 채널(XR)을 수신하고, 청취자의 머리의 주파수 응답을 모델링하는 변조를 적용한다. 우측 두영 고역 통과 필터(434)의 출력은 우측 크로스토크 지연부(436)에 제공되고, 우측 크로스토크 지연부는 시간 지연을 적용한다. 우측 두영 이득부(438)는 우측 크로스토크 지연부(436)의 출력에 이득을 적용하여 우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WR)을 생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두영 저역 통과 필터(422, 432)는 2,023Hz의 차단 주파수를 갖는다. 두영 고역 통과 필터(424, 434)는 150Hz의 차단 주파수를 갖는다. 크로스토크 지연부(426, 436)는 0.792 밀리초의 지연을 적용한다. 두영 이득부(428, 438)는 -14.4dB 이득을 적용한다. 좌측 및 우측 채널 각각에 대한 두영 필터, 크로스토크 지연, 및 두영 이득의 적용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두영 필터는 두영 이득과 통합된다. 예를 들어, 두영 저역 통과 필터(422, 432)는 두영 이득부(428, 438)의 이득을 필터링 기능의 일부로서 적용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신호 또는 채널에 필터를 적용하는 것은 주파수에 기초한 조정 외에 이득 레벨의 광대역 조정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기(440)는 우측 두영 이득부(438) 및 L/R-S 변환기(446)에 결합된다. 결합기(440)는 좌측 입력 채널(XL) 및 우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WR)을 수신하고, 좌측 입력 채널(XL) 및 우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WR)을 더하여 좌측 크로스토크 채널(VL)을 생성한다. 결합기(442)는 좌측 두영 이득부(428) 및 L/R-S 변환기(446)에 결합된다. 결합기(442)는 우측 입력 채널(XR) 및 좌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WL)을 수신하고, 우측 입력 채널(XR) 및 좌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WL)을 더하여 우측 크로스토크 채널(VR)을 생성한다.
L/R-S 변환기(446)는 좌측 크로스토크 채널(VL) 및 우측 크로스토크 채널(VR)을 수신하고, 좌측 크로스토크 채널(VL) 및 우측 크로스토크 채널(VR)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측면 크로스토크 채널(VS)을 생성한다.
L/R-M 변환기(444)는 M/S-L/R 변환기(448)에 결합된다. L/R-M 변환기(444)는 좌측 입력 채널(XL) 및 우측 입력 채널(XR)을 수신하고, 좌측 입력 채널(XL) 및 우측 입력 채널(XR)의 합에 기초하여 중간 채널(XM)을 생성한다.
M/S-L/R 변환기(448)는 L/R-M 변환기(444) 및 L/R-S 변환기(446)에 결합된다. M/S-L/R 변환기(448)는 측면 크로스토크 채널(VS) 및 중간 채널(XM)을 수신하고, 좌측 출력 채널(OL) 및 우측 출력 채널(OR)을 생성한다. 좌측 출력 채널(OL)은 측면 크로스토크 채널(VS) 및 중간 채널(XM)의 합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고, 우측 출력 채널(OR)은 측면 크로스토크 채널(VS) 및 중간 채널(XM)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좌측 출력 채널(OL)은 크로스토크 시큘레이션 프로세서(402)에 의해 생성된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좌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된 채널이고, 우측 출력 채널(OR)은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02)에 의해 생성된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우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된 채널이다.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04)를 도시한 것이다.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04)는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02)와 유사하지만, 처리 효율이 개선되었다.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04)는 좌측 두영 저역 통과 필터(422), 좌측 두영 고역 통과 필터(424), 좌측 크로스토크 지연부(426), 좌측 두영 이득부(428), 우측 두영 저역 통과 필터(432), 우측 두영 고역 통과 필터(434), 우측 크로스토크 지연부(436), 및 우측 두영 이득부(438)를 포함한다.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04)의 이들 구성요소는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02)의 대응하는 구성요소와 유사하게 동작한다.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04)는 좌측 두영 이득부(428) 및 우측 두영 이득부(438)에 결합된 L/R-S 변환기(450), L/R-S 변환기(450)에 결합된 M/S-L/R 변환기(452), 및 M/S-L/R 변환기(452)에 각각 결합된 결합기(454, 456)를 더 포함한다.
L/R-S 변환기(450)는 좌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WL) 및 우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WR)을 수신하고, 좌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WL) 및 우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WR)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측면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WS)을 생성한다.
M/S-L/R 변환기(452)는 측면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WS) 및 제로 중간 채널을 수신하고, 좌측 크로스토크 채널(DL) 및 우측 크로스토크 채널(DR)을 생성한다. 좌측 크로스토크 채널(DL)은 측면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WS)과 제로 중간 채널의 합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우측 크로스토크 채널(DR)은 제로 중간 채널과 측면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WS)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결합기(454)는 우측 크로스토크 채널(DR) 및 좌측 입력 채널(XL)을 수신하고, 우측 크로스토크 채널(DR)과 좌측 입력 채널(XL)을 더하여 좌측 출력 채널(OL)을 생성한다. 결합기(456)는 좌측 크로스토크 채널(DL) 및우측 입력 채널(XR)을 수신하고, 좌측 크로스토크 채널(DL)과 우측 입력 채널(XR)을 더하여 우측 출력 채널(OR)을 생성한다. 좌측 출력 채널(OL)은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04)에 의해 생성된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좌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된 채널이고, 우측 출력 채널(OR)은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04)에 의해 생성된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우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된 채널이다.
도 4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06)를 도시한 것이다.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06)는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04)와 유사하지만, 처리 효율이 개선되었다.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06)는 좌측 두영 저역 통과 필터(422), 좌측 두영 고역 통과 필터(424), 좌측 크로스토크 지연부(426), 좌측 두영 이득부(428), 우측 두영 저역 통과 필터(432), 우측 두영 고역 통과 필터(434), 우측 크로스토크 지연부(436), 우측 두영 이득부(438), 및 L/R-S 변환기(450)를 포함한다.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06)의 이들 구성요소는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04)의 대응하는 구성요소와 유사하게 동작한다.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06)는 감산기(458) 및 결합기(460)을 더 포함하고, 이들 각각은 L/R-S 변환기(450)에 결합된다. 감산기(458)는 좌측 입력 채널(XL) 및 측면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WS)을 수신하고, 좌측 입력 채널(XL)과 측면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WS)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좌측 출력 채널(OL)을 생성한다. 결합기(460)는 우측 입력 채널(XR) 및 측면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WS)을 수신하고, 우측 입력 채널(XR)과 측면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WS)의 합에 기초하여 우측 출력 채널(OR)을 생성한다. 좌측 출력 채널(OL)은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06)에 의해 생성된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좌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된 채널이고, 우측 출력 채널(OR)은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06)에 의해 생성된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우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된 채널이다.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의 일반적인 목표는, 헤드폰을 통해 대칭형 라우드스피커 시스템을 듣는 경험을 인지적으로 시뮬레이션하는 것이며, 여기서 전체 크로스채널 신호는 동일하게 변환된다. 즉, 좌측 채널은, 반대쪽 채널과의 합산 전에 우측 채널과 동일하게 지연되고, 필터링되고, 스케일링될 수 있다. 좌측/우측 크로스채널 신호 변환에서 대칭이라고 가정하면, 도 4d 내지 4f는 도 4a 내지 4c에 도시된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에 비해 개선된 처리 효율을 갖는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의 예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좌측 입력 채널(XL) 및 우측 입력 채널(XR)로부터 생성된 측면 채널(XS)에 크로스토크 처리가 적용되는 반면에, 중간 채널(XM)은 생성되지 않거나 또는 측면 채널(XS)에 적용되는 크로스토크 처리를 바이패스한다.
도 4d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08)를 도시한 것이다.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08)는 L/R-M/S 변환기(462), 측면 두영 저역 통과 필터(464), 측면 두영 고역 필터(466), 측면 크로스토크 지연부(468), 측면 두영 이득부(470), 감산기(472), 및 M/S-L/R 변환기(474)를 포함한다.
L/R-M/S 변환기(462)는 좌측 좌측 입력 채널(XL) 및 우측 입력 채널(XR)을 수신하고, 중간 채널(XM) 및 측면 채널(XS)을 생성한다. 측면 채널(XS)은 좌측 입력 채널(XL)과 우측 입력 채널(XR)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중간 채널(XM)은 좌측 입력 채널(XL)과 우측 입력 채널(XR)의 합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측면 두영 저역 통과 필터(464) 및 측면 두영 고역 통과 필터(466)는 좌측 채널(XS)을 수신하고, 청취자의 머리를 통과한 후의 신호의 주파수 응답을 모델링하는 변조를 적용한다. 저역 통과 및 고역 통과 필터 모두를 사용하면, 청취자의 머리를 통한 주파수 응답을 보다 정확하게 모델링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저역 통과 필터(464)와 고역 통과 필터(466)중 하나만 사용된다. 측면 두영 고역 통과 필터(466)의 출력은 측면 크로스토크 지연부(468)에 제공되며, 이는 측면 두영 고역 통과 필터(466)의 출력에 시간 지연을 적용한다. 측면 두영 이득부(470)는 측면 크로스토크 지연부(426)의 출력에 이득을 적용하여 측면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WS)을 생성한다. 측면 채널에 대한 두영 필터, 크로스토크 지연, 및 두영 이득의 적용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감산기(472)는 L/R-M/S 변환기(462) 및 측면 두영 이득부(470)에 결합된다. 감산기(472)는 측면 채널(XS) 및 측면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WS)을 수신하고, 측면 채널(XS) 및 측면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WS)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측면 크로스토크 채널(Gs)을 생성한다.
M/S-L/R 변환기(474)는 L/R-M/S 변환기(462) 및 감산기(472)에 결합된다. M/S-L/R 변환기(474)는 중간 채널(XM) 및 측면 크로스토크 채널(Gs)을 수신하고, 좌측 출력 채널(OL) 및 우측 출력 채널(OR)을 생성한다. 좌측 출력 채널(OL)은 중간 채널(XM)과 측면 크로스토크 채널(Gs)의 합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고, 우측 출력 채널(OL)은 중간 채널(XM)과 측면 크로스토크 채널(Gs)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좌측 출력 채널(OL)은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08)에 의해 생성된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좌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된 채널이고, 우측 출력 채널(OR)은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08)에 의해 생성된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우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된 채널이다.
도 4e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10)를 도시한 것이다.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10)는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08)와 유사하며, 유사한 처리 효율을 갖는다.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10)는 측면 두영 저역 통과 필터(464), 측면 두영 고역 통과 필터(466), 측면 크로스토크 지연부(468), 및 측면 두영 이득부(470)를 포함한다.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10)의 이들 구성요소는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08)의 대응하는 구성요소와 유사하게 동작한다.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10)는 측면 두영 저역 통과 필터(464)에 결합된 L/R-S 변환기(476), 측면 두영 이득부(470)에 결합된 M/S-L/R 변환기(478), M/S-L/R 변환기(478)에 결합된 결합기(480), 및 M/S-L/R 변환기(478)에 결합된 결합기(482)를 더 포함한다. L/R-S 변환기(476)는 좌측 입력 채널(XL) 및 우측 입력 채널(XR)을 수신하고, 좌측 입력 채널(XL)과 우측 입력 채널(XR)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측면 채널(XS)을 생성한다. 측면 채널(XS)은 측면 두영 저역 통과 필터(464), 측면 두영 고역 통과 필터(466), 측면 크로스토크 지연부(468), 및 측면 두영 이득부(470)에 의해 처리되어 측면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WS)을 생성한다.
M/S-L/R 변환기(478)는 측면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WS) 및 제로 중간 채널을 수신하고, 좌측 크로스토크 채널(WL) 및 우측 크로스토크 채널(WR)을 생성한다. 좌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WL)은 측면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WS)과 제로 중간 채널의 합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우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WR)은 제로 중간 채널과 측면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WS)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결합기(480)는 좌측 입력 채널(XL) 및 우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WR)을 수신하고, 좌측 입력 채널(XL) 및 우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WR)을 더하여 좌측 출력 채널(OL)을 생성한다. 결합기(482)는 우측 입력 채널(XR) 및 좌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WL)을 수신하고, 우측 입력 채널(XR) 및 좌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WL)을 더하여 우측 출력 채널(OR)을 생성한다. 좌측 출력 채널(OL)은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10)에 의해 생성된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좌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된 채널이고, 우측 출력 채널(OR)은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10)에 의해 생성된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우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된 채널이다.
도 4f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12)를 도시한 것이다.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12)는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10)와 유사하지만, 처리 효율이 개선되었다.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12)는, L/R-S 변환기(476), 측면 두영 저역 통과 필터(464), 측면 두영 고역 통과 필터(466), 측면 크로스토크 지연부(468), 및 측면 두영 이득부(470)를 포함한다.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12)의 이들 구성요소는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10)의 대응하는 구성요소와 유사하게 동작한다.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12)는 감산기(484) 및 결합기(486)를 더 포함하고, 이들 각각은 측면 두영 이득부(470)에 결합된다. 감산기(484)는 좌측 입력 채널(XL) 및 측면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WS)을 수신하고, 좌측 입력 채널(XL)과 측면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WS)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좌측 출력 채널(OL)을 생성한다. 결합기(486)는 우측 입력 채널(XR) 및 측면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WS)을 수신하고, 우측 입력 채널(XR)과 측면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WS)의 합에 기초하여 우측 출력 채널(OR)을 생성한다. 좌측 출력 채널(OL)은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12)에 의해 생성된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좌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된 채널이고, 우측 출력 채널(OR)은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12)에 의해 생성된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우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된 채널이다.
도 4a 내지 4f에 도시된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는 입력 채널(XL, XR)로부터 등가의 출력 채널(OL, OR)을 생성할 수 있다. A가 두영 저역 통과 필터, 두영 고역 통과 필터, 크로스토크 지연, 및 두영 이득부의 기능을 캡슐화하는 선형 동작(예컨대, 필터)이라고 하자. 도 4a에 도시된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02)에 대한 출력 채널(OL 및 OR)은 각각 수학식 4 및 5로 정의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04)에 대한 출력 채널(OL 및 OR)은 각각 수학식 6 및 7로 정의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06)에 대한 출력 채널(OL 및 OR)은 각각 수학식 8 및 9로 정의될 수 있다. 도 4d에 도시된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08)에 대한 출력 채널(OL 및 OR)은 각각 수학식 10 및 11로 정의될 수 있다. 도 4e에 도시된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10)에 대한 출력 채널(OL 및 OR)은 각각 수학식 12 및 13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4f에 도시된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12)에 대한 출력 채널(OL 및 OR)은 각각 수학식 14 및 15로 정의될 수 있다. 좌측 출력 채널(OL)에 대한 수학식 4, 6, 8, 10, 12, 및 14가 같고, 우측 출력 채널(OR)에 대한 수학식 5, 7, 9, 11, 13, 및 15가 같다.
예시적인 크로스토크 보상 프로세서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토크 보상 프로세서(500)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크로스토크 보상 프로세서(500)는, 도 2a 내지 2c에 도시된 오디오 처리 시스템의 크로스토크 보상 프로세서(204)의 예이다. 크로스토크 보상 프로세서(500)는 좌측 및 우측 입력 채널을 수신하고, 이들 입력 채널에 크로스토크 보상을 적용하여 좌측 및 우측 출력 채널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크로스토크 보상 프로세서(500)는 오디오 신호의 측면 채널에 크로스토크 보상을 적용하여 측면 채널에 대한 크로스토크 처리로 인한 스펙트럼 결함을 보상하는 반면에, 오디오 신호의 중간 채널은 측면 채널에 적용된 크로스토크 보상을 바이패스한다.
크로스토크 보상 프로세서(500)는 L/R-M/S 변환기(512), 측면 성분 프로세서(530), 및 M/S-L/R 변환기(514)를 포함한다. L/R-M/S 변환기(512)는 좌측 입력 채널(XL) 및 우측 입력 채널(XR)을 수신하고, 입력 채널들(XL, XR)의 합에 기초하여 중간 채널(XM)을 생성하며, 입력 채널들(XL, XR)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측면 채널(Xs)을 생성한다.
측면 성분 프로세서(530)는 m개의 측면 필터(550(a), 550(b) 내지 550(m))와 같이, 복수의 필터(550)를 포함한다. 측면 성분 프로세서(530)는 공간 채널(Xs)을 처리하여 측면 크로스토크 보상 채널(Zs)을 생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크로스토크 처리를 한 공간 Xs의 주파수 응답 플롯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주파수 응답 플롯을 분석함으로써, 크로스토크 처리의 아티팩트로서 발생하는 사전 결정된 문턱값(예를 들면, 10dB)을 초과하는 주파수 응답 플롯에서의 피크 또는 트로프와 같은 임의의 스펙트럼 결함이 추정될 수 있다. 측면 보상 프로세서(530)에 의해 측면 크로스토크 보상 채널(Zs)이 생성되어 추정된 피크 또는 트로프를 보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크로스토크 처리에 적용되는 특정 지연, 필터링 주파수, 및 이득에 기초하여, 피크 및 트로프는 주파수 응답에서 상하로 쉬프트되며, 그에 의해 스펙트럼의 특정 영역에서 에너지의 가변 증폭 및/또는 감쇠를 초래한다. 각각의 측면 필터링(550)은 피크 및 트로프 중 하나 이상을 감안하여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측면 성분 프로세서(530)는 다른 수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측면 필터(550)는 수학식 16으로 정의된 전달 함수를 갖는 바이쿼드(biquad)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21049039204-pct00016
여기서 z는 복소 변수이고, a0, a1, a2, b0, b1, 및 b2는 디지털 필터 계수이다. 이러한 필터를 구현하는 한 방법은 수학식 17로 정의된 제I 직접형 토폴로지이다.
Figure 112021049039204-pct00017
여기서 X는 입력 벡터이고, Y는 출력이다. 최대 단어 길이 및 포화 거동에 따라 다른 토폴로지가 사용할 수도 있다.
그 다음에 실수값의 입력들 및 출력들을 갖는 2 차 필터를 구현하기 위해 바이쿼드가 사용될 수 있다. 이산 시간 필터를 설계하기 위해, 연속 시간 필터가 설계되며 그리고 나서 양선형 변환(bilinear transform)을 통해 이산 시간으로 변환된다. 또한, 결과적으로 발생하는 중심 주파수 및 대역폭의 시프트는 주파수 와핑을 사용하여 보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킹 필터(peaking filter)는 수학식 18에 의해 정의된 S 평면 전달 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21049039204-pct00018
여기서 s는 복소 변수이고, A는 피크의 진폭이며, Q는 필터 "품질"이고, 디지털 필터 계수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21049039204-pct00019
Figure 112021049039204-pct00020
Figure 112021049039204-pct00021
Figure 112021049039204-pct00022
Figure 112021049039204-pct00023
Figure 112021049039204-pct00024
여기서,
Figure 112021049039204-pct00025
은 라디안 단위의 필터 중심 주파수이고,
Figure 112021049039204-pct00026
이다.
또한, 필터 품질(Q)은 수학식 19로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21049039204-pct00027
여기서
Figure 112021049039204-pct00028
는 대역폭이고, fc는 중심 주파수이다.
M/S-L/R 변환기(514)는 중간 채널(XM) 및 측면 크로스토크 보상 채널(Zs)을 수신하고, 좌측 출력 채널(OL) 및 우측 출력 채널(OR)을 생성한다. 좌측 출력 채널(OL)은 중간 채널(XM)과 측면 크로스토크 보상 채널(Zs)의 합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우측 출력 채널(OR)은 중간 채널(XM)과 측면 크로스토크 보상 채널(Zs)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좌측 출력 채널(OL)은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500)에 의해 생성된 크로스토크 보상된 신호의 좌측 크로스토크 보상 채널이고, 우측 출력 채널(OR)은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보상 프로세서(500)에 의해 생성된 크로스토크 보상된 신호의 우측 크로스토크 보상 채널이다.
예시적인 크로스토크 보상
도 6 내지 12b는 측면(또는 공간) 및 중간(또는 비공간) 신호 성분에서 다양한 크로스토크 지연 및 이득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콤 필터링 결함(comb-filtering artifact)의 주파수 플롯을 도시한다. 측면 성분에 크로스토크 처리를 적용하면서, 크로스토크 처리(여기서는 크로스토크 제거)로부터 중간 성분을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중간 성분의 스펙트럼 결함이 제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측면 성분에 적용된 크로스토크 처리로 인한 스펙트럼 결함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측면 성분에 정정 필터를 사용하여, 크로스토크 보상이 적용된다. 결과 신호는 대다수 원하는 공간 크로스토크 특징(시뮬레이션 또는 제거)을 가지면서 스펙트럼상 투명한 중간 채널을 보여준다.
도 6 내지 12b는, 상이한 스피커 각도 및 스피커 크기 구성에 대해, 크로스토크 제거 측면 채널에 정정 필터를 포함하는 크로스토크 보상 처리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면서, 크로스토크 보상 처리에서 중간 성분을 제거할 때의 측면 및 중간 채널에 대한 효과를 도시한다. 따라서, 측면 채널의 주파수 응답을 선택적으로 평탄화하면서, 변하지 않은 중간 채널이 달성되어, 최소로 왜곡되고 최소로 이득 조정된 포스트-크로스토크 처리 출력을 제공한다. 보상 필터가 측면 채널에서 독립적으로 구현되어, 중간 채널에서의 모든 콤 필터 피크/트로프를 회피하고, 측면 채널에서 가장 낮은 콤 필터 피크/트로프를 제외한 모든 부분을 수정한다. 측면 채널의 크로스토크 보상에 대한 파라미터는 절차적으로 유도되거나 귀와 손에 의해 또는 그 조합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및 측면 채널에 적용되는 크로스토크 제거의 주파수 플롯(600)을 도시한 것이다. 라인(602)은 화이트 노이즈 입력 신호이다. 라인(604)은 크로스토크 제거 후의 입력 신호의 중간 채널이다. 라인(606)은 크로스토크 제거 후의 입력 신호의 측면 채널이다. 스피커 각도가 10도이고 스피커 설정이 작은 경우, 크로스토크 제거는 48 KHz 샘플링 레이트에서 1 샘플의 크로스토크 지연, -3dB의 크로스토크 이득, 350Hz의 저주파 바이패스 및 12000Hz의 고주파 바이패스로 정의되는 대역 내 주파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채널에 적용되는 크로스토크 제거에 대한 주파수 플롯(700)을 도시한 것이다. 플롯(700)에 도시된 크로스토크 제거는 측면 채널에만 적용되었다는 것을 제외하면 플롯(600)에 도시된 크로스토크 제거와 유사한 파라미터를 사용한다. 특히 스피커 각도가 10도이고 스피커 설정이 작은 경우, 크로스토크 제거는 48 KHz 샘플링 레이트에서 1 샘플의 크로스토크 지연, -3dB의 크로스토크 이득, 350Hz의 저주파 바이패스 및 12000Hz의 고주파 바이패스로 정의되는 대역 내 주파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인(702)은 화이트 노이즈 입력 신호이다. 라인(706)은 크로스토크 제거 후의 입력 신호의 측면 채널이다. 라인(704)은 크로스토크 제거를 바이패스하는 입력 신호의 중간 채널이다. 주파수 플롯(700)에서 중간 채널 및 측면 채녈에 어떠한 크로스토크 보상도 적용되지 않는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및 측면 채널에 적용된 크로스토크 제거의 주파수 플롯(800)을 도시한 것이다. 플롯(800)에 도시된 크로스토크 제거는, 사용되는 스피커 각도 및 크로스채널 지연이 다르다는 점에서 플롯(600)에 도시된 크로스토크 제거와 상이하다. 특히, 스피커 각도가 30도이고 스피커 설정이 작은 경우, 크로스토크 제거는 48 KHz 샘플링 레이트에서 3 샘플의 크로스토크 지연, -6.875dB의 크로스토크 이득, 350Hz의 저주파 바이패스 및 12000Hz의 고주파 바이패스로 정의되는 대역 내 주파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인(802)은 화이트 노이즈 입력 신호이다. 라인(804)은 크로스토크를 제거한 입력 신호의 중간 채널이다. 라인(806)은 크로스토크를 제거한 입력 신호의 측면 채널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채널에 적용되는 크로스토크 제거 및 보상에 대한 주파수 플롯(900)을 도시한 것이다. 플롯(900)에 도시된 크로스토크 제거는 측면 채널에만 적용된다는 것을 제외하면 플롯(800)에 도시된 크로스토크 제거와 유사한 파라미터를 사용한다. 특히, 스피커 각도가 30도이고 스피커 설정이 작은 경우, 크로스토크 제거는 48 KHz 샘플링 레이트에서 3 샘플의 크로스토크 지연, -6.875dB의 크로스토크 이득, 350Hz의 저주파 바이패스 및 12000Hz의 고주파 바이패스로 정의되는 대역 내 주파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인(902)은 화이트 노이즈 입력 신호이다. 라인(904)은 크로스토크 제거 및 크로스토크 보상을 바이패스하는 입력 신호의 중간 채널이다. 라인(906)은 크로스토크 제거 및 크로스토크 보상 후의 입력 신호의 측면 채널이다. 크로스토크 보상 결과, 플롯(800)에서 라인(806)으로 도시된 크로스토크 제거 측면 채널로부터 라인(906)이 생성된다. 크로스토크 보상을 위해, 6830Hz의 중심 주파수, 4.0dB의 이득 및 1.0 Q를 갖는 제1 피크노치(peaknotch) 필터와, 15500Hz의 중심 주파수, -2.5dB의 이득 및 2.0 Q를 갖는 제2 피크노치 필터를 포함하는 2개의 측면 필터가 측면 채널에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크로스토크 보상 처리기에 의해 적용되는 측면 필터의 수 및 이들의 파라미터는 달라질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및 측면 채널에 적용되는 크로스토크 제거의 주파수 플롯(1000)을 도시한 것이다. 플롯(1000)에 도시된 크로스토크 제거는, 사용되는 스피커 각도 및 크로스채널 지연이 다르다는 점에서 플롯(600, 800)에 도시된 크로스토크 제거와 상이하다. 특히, 스피커 각도가 50도이고 스피커 설정이 작은 경우, 크로스토크 제거는 48 KHz 샘플링 레이트에서 5 샘플의 크로스토크 지연, -8.625dB의 크로스토크 이득, 350Hz의 저주파 바이패스 및 12000Hz의 고주파 바이패스로 정의되는 대역 내 주파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인(1002)은 화이트 노이즈 입력 신호이다. 라인(1004)은 크로스토크를 제거한 입력 신호의 중간 채널이다. 라인(1006)은 크로스토크를 제거한 입력 신호의 측면 채널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채널에 적용되는 크로스토크 제거 및 크로스토크 보상에 대한 주파수 플롯(1100)을 도시한 것이다. 플롯(1100)에 도시된 크로스토크 제거는 측면 채널에만 적용된다는 것을 제외하면 플롯(1000)에 도시된 크로스토크 제거와 유사한 파라미터를 사용한다. 특히, 스피커 각도가 50도이고 스피커 설정이 작은 경우, 크로스토크 제거는 48 KHz 샘플링 레이트에서 5 샘플의 크로스토크 지연, -8.625dB의 크로스토크 이득, 350Hz의 저주파 바이패스 및 12000Hz의 고주파 바이패스로 정의되는 대역 내 주파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인(1102)은 화이트 노이즈 입력 신호이다. 라인(1104)은 크로스토크 제거 및 크로스토크 보상을 바이패스하는 입력 신호의 중간 채널이다. 라인(1106)은 크로스토크 제거 및 크로스토크 보상 후의 입력 신호의 측면 채널이다. 크로스토크 보상 결과, 플롯(1000)에서 라인(1006)으로 도시된 크로스토크 제거 측면 채널로부터 라인(1106)이 생성된다. 크로스토크 보상을 위해, 4,000Hz의 중심 주파수, 8.0dB의 이득 및 2.0 Q를 갖는 제1 피크노치 필터와, 8,800Hz의 중심 주파수, -2.0dB의 이득 및 1.0 Q를 갖는 제2 피크노치 필터, 15,800Hz의 중심 주파수, 1.5dB의 이득 및 2.5 Q를 갖는 제3 피크노치 필터를 포함하는 3개의 측면 필터가 측면 채널에 적용된다. 크로스토크 보상 처리기에 의해 적용되는 측면 필터의 수 및 이들의 파라미터는 달라질 수 있다.
예시적인 처리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토크 처리 및 크로스토크 보상 처리에 대한 프로세스(1200)의 흐름도이다. 프로세스(1200)는 더 적은 또는 추가의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고, 이들 단계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오디오 처리 시스템은 좌측 채널 및 우측 채널을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1205). 오디오 신호는, 좌측 채널이 좌측 스피커용으로 믹스되고 우측 채널이 우측 스피커용으로 믹스되는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X)일 수 있다.
오디오 처리 시스템은 좌측 및 우측 채널의 측면 채널에 크로스토크 처리를 적용하여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를 생성한다(1210). 크로스토크 처리는 크로스토크 제거, 또는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 채널의 중간 채널은 크로스토크 처리를 바이패스할 수 있다.
크로스토크 제거를 위해, 오디오 처리 시스템은 도 3a, 3b, 3c, 3d, 3e, 3f에 제각기 도시된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02, 304, 306, 308, 312, 314)와 같은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는 측면 채널에 크로스토크 제거 처리를 적용하는 반면에 중간 채널은 바이패싱하는 다른 방식으로 동작한다. 예를 들어,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02, 304, 306)는 각각 좌측 및 우측 채널로부터 생성된 좌측 대역내 채널(TL,In) 및 우측 대역내 채널(TR,In)에 인버터 및 대측 추정기를 적용하고, 그 후 도 3a 내지 3c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추가 처리를 하여 측면 채널에 크로스토크 제거 처리를 적용하고, 중간 채널은 바이패스한다. 예를 들어, 크로스토크 제거 프로세서(308, 312, 314)는 각각 좌측 및 우측 채널로부터 생성된 측면 대역내 채널(TS,In)에 인버터 및 대측 추정기를 적용하고, 그 후 도 3d 내지 3f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추가 처리를 하여 측면 채널에 크로스토크 제거 처리를 적용하고, 중간 채널은 바이패스한다.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을 위해, 오디오 처리 시스템은 도 4a, 4b, 4c, 4d, 4e, 4f에 제각기 도시된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02, 404, 406, 408, 410, 412)와 같은 크로스토크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는 좌측 및 우측 채널의 측면 채널에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처리를 적용하는 다른 방식으로 동작한다. 예를 들어,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02, 404, 406)는 각각 저역 통과 필터, 고역 통과 필터, 크로스토크 지연, 및 이득을 좌측 채널(XL) 및 우측 채널(XR) 각각에 적용하고, 그 후 도 4a 내지 4c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추가 처리를 하여 측면 채널에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처리를 적용하고, 중간 채널은 바이패스한다. 예를 들어,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프로세서(408, 410, 412)는 각각 저역 통과 필터, 고역 통과 필터, 크로스토크 지연, 및 이득을 좌측 채널 및 우측 채널로부터 생성된 측면 채널(XS)에 적용하고, 그 후 도 4d 내지 4f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추가 처리를 하여 측면 채널에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처리를 적용하고, 중간 채널은 바이패스한다.
오디오 처리 시스템은 측면 채널에 크로스토크 보상 처리를 적용하여 크로스토크 보상된 신호를 생성한다(1215). 측면 채널에 적용된 크로스토크 보상 처리는 측면 채널에 적용된 크로스토크 처리로 인한 스펙트럼 결함에 대해 조정한다. 중간 채널은 크로스토크 보상 처리를 바이패스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 시스템은 도 5에 도시된 크로스토크 보상 프로세서(500)를 포함할 수 있다. 크로스토크 보상 프로세서(500)는 도 5에 입력(XL, XR)으로서 도시된 크로스토크 처리의 출력을 수신하고, 채널(XL, XR)로부터 중간 채널(XM) 및 측면 채널(XS)을 생성한다. 측면 채널(XS)은 측면 채널 프로세서(530)에 의해 처리되는 반면에, 중간 채널(XM)은 이 처리를 바이패스한다.
오디오 처리 시스템은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 및 크로스토크 보상된 신호를 사용하여 좌측 출력 채널 및 우측 출력 채널을 생성한다(1220). 좌측 및 우측 출력 채널은 또한 크로스토크 처리 및 크로스토크 보상 처리를 바이패스하는 중간 채널을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출력 채널은 크로스토크 처리 및 크로스토크 보상 처리를 바이패스하는 중간 채널 및 측면 채널에 적용된 크로스토크 처리 및 크로스토크 보상 처리의 결과의 합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우측 출력 채널은 크로스토크 처리 및 크로스토크 보상을 바이패스하는 중간 채널 및 측면 채널에 적용된 크로스토크 처리 및 크로스토크 보상 처리의 결과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 및 크로스토코 보상된 신호 각각은 좌측 및 우측 채널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각각 좌측 및 우측 출력 채널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크로스토크 보상은 도 2a의 오디오 처리 시스템(20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토크 처리 후에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는 크로스토크 보상 처리에 대한 입력으로 사용되며, 크로스토크 보상 처리의 출력은 좌측 출력 채널 및 우측 출력 채널을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도 2b의 오디오 처리 시스템(21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크로스토크 처리 및 크로스토크 보상은 병렬로 수행되며, 이들의 좌측 출력 채널들은 (예컨대 결합기(206)에 의해) 결합되어 좌측 출력 채널을 생성하고, 이들의 우측 출력 채널은 결합되어 우측 출력 채널을 생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크로스토크 보상은 도 2c의 오디오 처리 시스템(214)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토크 처리 후에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크로스토크 보상된 신호는 크로스토크 처리에 대한 입력으로 사용되며, 크로스토크 처리의 출력은 좌측 출력 채널 및 우측 출력 채널을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크로스토크 보상 처리가 수행되지 않고, 크로스토크 처리의 좌측 및 우측 출력 채널은 각각 좌측 출력 채널(OL) 및 우측 출력 채널(OR)을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오디오 처리 시스템은 좌측 출력 채널을 좌측 스피커에 제공하고, 우측 출력 채널을 우측 스피커에 제공한다(1225). 크로스토크 처리가 크로스토크 제거이면, 좌측 및 우측 스피커는 각각 라우드스피커(110L 및 110R)일 수 있다. 크로스토크 처리가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이면, 좌측 및 우측 스피커는 각각 헤드폰(130L 및 130R)일 수 있다.
예시적인 컴퓨터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1300)의 블록도이다. 컴퓨터(1300)는 오디오 시스템을 구현하는 회로부의 예이다. 칩셋(1304)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302)가 도시된다. 칩셋(1304)은 메모리 제어기 허브(1320) 및 입력/출력(I/O) 제어기 허브(1322)를 포함한다. 메모리(1306) 및 그래픽 어댑터(1312)는 메모리 제어기 허브(1320)에 결합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318)는 그래픽 어댑터(1312)에 결합된다. 저장 장치(1308), 키보드(1310), 포인팅 장치(1314), 및 네트워크 어댑터(1316)는 I/O 제어기 허브(1322)에 결합된다. 컴퓨터(1300)는 다양한 타입의 입력 또는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1300)의 다른 실시예는 상이한 아키텍처를 갖는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1306)는 프로세서(1302)에 직접 결합된다.
저장 장치(1308)는, 하드 드라이브, CD-ROM(compact disk read-only memory), DV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 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메모리(1306)는 프로세서(1302)에 의해 사용되는 명령어 및 데이터를 보유한다. 포인팅 장치(1314)는 컴퓨터 시스템(1300)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키보드(1310)와 함께 사용된다. 그래픽 어댑터(1312)는 디스플레이 장치(1318)에 이미지 및 다른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318)는 사용자 입력 및 선택을 수신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기능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어댑터(1316)는 컴퓨터 시스템(1300)을 네트워크에 결합시킨다. 컴퓨터(1300)의 일부 실시예는 도 13에 도시된 것과 상이하고/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갖는다.
컴퓨터(1300)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모듈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는 본 문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크로스토크 처리 또는 크로스토크 제거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모듈"이라는 용어는 지정된 기능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 및/또는 다른 로직을 지칭한다. 따라서, 모듈은 하드웨어,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로 형성된 프로그램 모듈은 저장 장치(1308)에 저장되고, 메모리(1306)에 로딩되며, 프로세서(1302)에 의해 실행된다.
본 개시를 읽을 때,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원리에 대한 또 다른 대안적 실시예를 인식할 것이다. 그래서, 특정 실시예들 및 적용들이 예시되고 설명되었으나,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정확한 구조 및 컴포넌트들로 국한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수 있는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변형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범위로부터 일탈함이 없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 및 장치의 구성, 작동, 및 세부 사항에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단계들, 동작들, 또는 프로세스들 중 임의의 것이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 단독으로 또는 다른 장치와 함께 - 로 수행되거나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모듈은 기재된 단계들, 동작들, 또는 프로세스들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가독 매체(예를 들면, 비일시적 컴퓨터 가독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된다.

Claims (21)

  1. 좌측 채널 및 우측 채널을 갖는 오디오 신호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필터 및 지연을 포함하는 크로스토크 처리를 상기 좌측 채널 및 상기 우측 채널의 측면 채널(side channel)에 적용하여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측면 채널은 상기 좌측 채널과 상기 우측 채널 사이의 차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채널과 상기 우측 채널의 중간 채널(mid channel)은 상기 크로스토크 처리를 바이패스하며, 상기 중간 채널은 상기 좌측 채널과 상기 우측 채널의 합을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토크 처리는 크로스토크 제거 처리를 포함하며,
    상기 크로스토크 처리를 상기 좌측 채널 및 상기 우측 채널의 상기 측면 채널에 적용하여 상기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좌측 채널을 좌측 대역내 채널 및 좌측 대역외 채널로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우측 채널을 우측 대역내 채널 및 우측 대역외 채널로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좌측 대역내 채널과 상기 우측 대역내 채널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측면 대역내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측면 대역내 채널로부터 반전된 측면 대역내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필터 및 상기 지연을 상기 반전된 측면 대역내 채널에 적용하여 측면 대측 제거 채널(side contralateral cancellation channel)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좌측 대역내 채널과 상기 측면 대측 제거 채널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좌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대역내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좌측 대역내 채널과 상기 측면 대측 제거 채널의 합에 기초하여 우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대역내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좌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대역내 채널을 상기 좌측 대역외 채널과 결합하여 상기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좌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우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대역내 채널을 상기 우측 대역외 채널과 결합하여 상기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우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함 - 와,
    상기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와 상기 크로스토크 처리를 바이패스하는 상기 중간 채널을 사용하여 좌측 출력 채널 및 우측 출력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2 좌측 채널을 제2 좌측 대역내 채널 및 제2 좌측 대역외 채널로 분리하는 것과,
    제2 우측 채널을 제2 우측 대역내 채널 및 제2 우측 대역외 채널로 분리하는 것과,
    상기 제2 좌측 대역내 채널과 상기 제2 우측 대역내 채널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측면 성분의 제2 측면 대역내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2 측면 대역내 채널로부터 제2 반전된 측면 대역내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제2 필터 및 제2 지연을 상기 제2 반전된 측면 대역내 채널에 적용하여 제2 측면 대측 제거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제로 중간 채널과 상기 제2 측면 대측 제거 채널의 합에 기초하여 좌측 대측 대역내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로 중간 채널과 상기 제2 측면 대측 제거 채널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우측 대측 대역내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우측 대측 대역내 채널과 상기 제2 좌측 대역내 채널의 합에 기초하여 제2 좌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대역내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좌측 대측 대역내 채널과 상기 제2 우측 대역내 채널의 합에 기초하여 제2 우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대역내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2 좌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대역내 채널을 상기 제2 좌측 대역외 채널과 결합하여 제2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제2 좌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2 우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대역내 채널을 상기 제2 우측 대역외 채널과 결합하여 상기 제2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제2 우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채널을 생성하는 것에 의해,
    제2 크로스토크 처리를 상기 제2 좌측 채널 및 상기 제2 우측 채널의 제2 측면 채널에 적용하여 상기 제2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와, 상기 제2 좌측 채널 및 상기 제2 우측 채널의 제2 중간 채널을 사용하여, 제2 좌측 출력 채널 및 제2 우측 출력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2 좌측 채널을 제2 좌측 대역내 채널 및 제2 좌측 대역외 채널로 분리하는 것과,
    제2 우측 채널을 제2 우측 대역내 채널 및 제2 우측 대역외 채널로 분리하는 것과,
    상기 제2 좌측 대역내 채널과 상기 제2 우측 대역내 채널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제2 측면 대역내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2 좌측 대역내 채널과 상기 제2 우측 대역내 채널의 합에 기초하여 중간 대역내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2 측면 대역내 채널로부터 제2 반전된 측면 대역내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제2 필터 및 제2 지연을 상기 제2 반전된 측면 대역내 채널에 적용하여 제2 측면 대측 제거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2 측면 대역내 채널과 상기 제2 측면 대측 제거 채널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측면 크로스토크 제거된 대역내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중간 대역내 채널과 상기 측면 크로스토크 제거된 대역내 채널의 합에 기초하여 제2 좌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대역내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중간 대역내 채널과 상기 측면 크로스토크 제거된 대역내 채널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제2 우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대역내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2 좌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대역내 채널을 상기 제2 좌측 대역외 채널과 결합하여 제2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제2 좌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2 우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대역내 채널을 상기 제2 우측 대역외 채널과 결합하여 상기 제2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제2 우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채널을 생성하는 것에 의해,
    제2 크로스토크 처리를 상기 제2 좌측 채널 및 상기 제2 우측 채널의 제2 측면 채널에 적용하여 상기 제2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와, 상기 제2 좌측 채널 및 상기 제2 우측 채널의 제2 중간 채널을 사용하여 제2 좌측 출력 채널 및 제2 우측 출력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2 좌측 채널을 제2 좌측 대역내 채널 및 제2 좌측 대역외 채널로 분리하는 것과,
    제2 우측 채널을 제2 우측 대역내 채널 및 제2 우측 대역외 채널로 분리하는 것과,
    상기 제2 좌측 대역내 채널로부터 반전된 좌측 대역내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2 우측 대역내 채널로부터 반전된 우측 대역내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제2 필터 및 제2 지연을 상기 반전된 좌측 대역내 채널에 적용하여 좌측 대측 제거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제3 필터 및 제3 지연을 상기 반전된 우측 대역내 채널에 적용하여 우측 대측 제거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좌측 대측 제거 채널과 상기 우측 대측 제거 채널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제2 측면 대측 제거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2 좌측 대역내 채널과 상기 제2 측면 대측 제거 채널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제2 좌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대역내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2 우측 대역내 채널과 상기 제2 측면 대측 제거 채널의 합에 기초하여 제2 우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대역내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2 좌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대역내 채널을 상기 제2 좌측 대역외 채널과 결합하여 제2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제2 좌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2 우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대역내 채널을 상기 제2 우측 대역외 채널과 결합하여 상기 제2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제2 우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채널을 생성하는 것에 의해,
    제2 크로스토크 처리를 상기 제2 좌측 채널 및 상기 제2 우측 채널의 제2 측면 채널에 적용하여 상기 제2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와, 상기 제2 좌측 채널 및 상기 제2 우측 채널의 제2 중간 채널을 사용하여 제2 좌측 출력 채널 및 제2 우측 출력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제2 좌측 채널을 제2 좌측 대역내 채널 및 제2 좌측 대역외 채널로 분리하는 것과,
    제2 우측 채널을 제2 우측 대역내 채널 및 제2 우측 대역외 채널로 분리하는 것과,
    상기 제2 좌측 대역내 채널로부터 반전된 좌측 대역내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2 우측 대역내 채널로부터 반전된 우측 대역내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제2 필터 및 제2 지연을 상기 반전된 좌측 대역내 채널에 적용하여 좌측 대측 제거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제3 필터 및 제3 지연을 상기 반전된 우측 대역내 채널에 적용하여 우측 대측 제거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좌측 대측 제거 채널과 상기 우측 대측 제거 채널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제2 측면 대측 제거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2 측면 대측 제거 채널과 제로 중간 채널의 합에 기초하여 좌측 대측 대역내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로 중간 채널과 상기 제2 측면 대측 제거 채널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우측 대측 대역내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2 좌측 대역내 채널과 상기 우측 대측 대역내 채널의 합에 기초하여 제2 좌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대역내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좌측 대측 대역내 채널과 상기 제2 우측 대역내 채널의 합에 기초하여 제2 우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대역내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2 좌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대역내 채널을 상기 제2 좌측 대역외 채널과 결합하여 제2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제2 좌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2 우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대역내 채널을 상기 제2 우측 대역외 채널과 결합하여 상기 제2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제2 우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채널을 생성하는 것에 의해,
    제2 크로스토크 처리를 상기 제2 좌측 채널 및 상기 제2 우측 채널의 제2 측면 채널에 적용하여 상기 제2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와, 상기 제2 좌측 채널 및 상기 제2 우측 채널의 제2 중간 채널을 사용하여 제2 좌측 출력 채널 및 제2 우측 출력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제2 좌측 채널을 제2 좌측 대역내 채널 및 제2 좌측 대역외 채널로 분리하는 것과,
    제2 우측 채널을 제2 우측 대역내 채널 및 제2 우측 대역외 채널로 분리하는 것과,
    상기 제2 좌측 대역내 채널로부터 반전된 좌측 대역내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2 우측 대역내 채널로부터 반전된 우측 대역내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제2 필터 및 제2 지연을 상기 반전된 좌측 대역내 채널에 적용하여 좌측 대측 제거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제3 필터 및 제3 지연을 상기 반전된 우측 대역내 채널에 적용하여 우측 대측 제거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우측 대측 제거 채널과 상기 제2 좌측 대역내 채널의 합에 기초하여 좌측 대역내 크로스토크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좌측 대측 제거 채널과 상기 제2 우측 대역내 채널의 합에 기초하여 우측 대역내 크로스토크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좌측 대역내 크로스토크 채널과 상기 우측 대역내 크로스토크 채널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측면 대역내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2 좌측 대역내 채널과 상기 제2 우측 대역내 채널의 합에 기초하여 중간 대역내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중간 대역내 채널과 상기 측면 대역내 크로스토크 채널의 합에 기초하여 제2 좌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대역내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중간 대역내 채널과 상기 측면 대역내 크로스토크 채널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제2 우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대역내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2 좌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대역내 채널을 상기 제2 좌측 대역외 채널과 결합하여 제2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제2 좌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2 우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대역내 채널을 상기 제2 우측 대역외 채널과 결합하여 상기 제2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제2 우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채널을 생성하는 것에 의해,
    제2 크로스토크 처리를 상기 제2 좌측 채널 및 상기 제2 우측 채널의 제2 측면 채널에 적용하여 상기 제2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와, 상기 제2 좌측 채널 및 상기 제2 우측 채널의 제2 중간 채널을 사용하여 제2 좌측 출력 채널 및 제2 우측 출력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크로스토크 보상 처리를 상기 측면 채널에 적용하여 크로스토크 보상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크로스토크 보상 처리는 상기 크로스토크 처리로 인한 스펙트럼 결함에 대해 조정하고, 상기 중간 채널은 상기 크로스토크 보상 처리를 바이패스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토크 보상 처리를 상기 측면 채널에 적용하여 상기 크로스토크 보상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제2 필터를 상기 측면 채널에 적용하여 측면 크로스토크 보상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중간 채널과 상기 측면 크로스토크 보상 채널의 합에 기초하여 상기 크로스토크 보상된 신호의 좌측 크로스토크 보상된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중간 채널과 상기 측면 크로스토크 보상 채널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상기 크로스토크 보상된 신호의 우측 크로스토크 보상된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토크 보상 처리는 상기 크로스토크 처리가 상기 측면 채널에 적용된 후에 상기 측면 채널에 적용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토크 보상 처리는 상기 크로스토크 처리가 상기 측면 채널에 적용되기 전에 상기 측면 채널에 적용되는,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토크 보상 처리는 상기 크로스토크 처리가 상기 측면 채널에 적용되는 것과 병행하여 상기 측면 채널에 적용되는,
    방법.
  12. 좌측 채널 및 우측 채널을 갖는 오디오 신호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필터 및 지연을 포함하는 크로스토크 처리를 상기 좌측 채널 및 상기 우측 채널의 측면 채널에 적용하여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측면 채널은 상기 좌측 채널과 상기 우측 채널 사이의 차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채널과 상기 우측 채널의 중간 채널은 상기 크로스토크 처리를 바이패스하며, 상기 중간 채널은 상기 좌측 채널과 상기 우측 채널의 합을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토크 처리는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처리를 포함하며,
    상기 크로스토크 처리를 상기 좌측 채널 및 상기 우측 채널의 상기 측면 채널에 적용하여 상기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좌측 채널과 상기 우측 채널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상기 측면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필터 및 상기 지연을 상기 측면 채널에 적용하여 측면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측면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과 제로 중간 채널의 합에 기초하여 좌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로 중간 채널과 상기 측면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우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좌측 채널과 상기 우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의 합에 기초하여 상기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좌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된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우측 채널과 상기 좌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의 합에 기초하여 상기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우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된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함 - 와,
    상기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와 상기 크로스토크 처리를 바이패스하는 상기 중간 채널을 사용하여 좌측 출력 채널 및 우측 출력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제2 좌측 채널과 제2 우측 채널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제2 측면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제2 필터 및 제2 지연을 상기 제2 측면 채널에 적용하여 제2 측면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2 좌측 채널과 상기 제2 측면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제2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제2 좌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된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2 우측 채널과 상기 제2 측면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의 합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제2 우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된 채널을 생성하는 것에 의해,
    제2 크로스토크 처리를 상기 제2 좌측 채널 및 상기 제2 우측 채널의 상기 제2 측면 채널에 적용하여 상기 제2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와, 상기 제2 좌측 채널 및 상기 제2 우측 채널의 제2 중간 채널을 사용하여 제2 좌측 출력 채널 및 제2 우측 출력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제2 좌측 채널과 제2 우측 채널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제2 측면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2 좌측 채널과 상기 제2 우측 채널의 합에 기초하여 제2 중간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제2 필터 및 제2 지연을 상기 제2 측면 채널에 적용하여 제2 측면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2 측면 채널과 상기 제2 측면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측면 크로스토크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2 중간 채널과 상기 측면 크로스토크 채널의 합에 기초하여 제2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제2 좌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된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2 중간 채널과 상기 측면 크로스토크 채널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제2 우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된 채널을 생성하는 것에 의해,
    제2 크로스토크 처리를 상기 제2 좌측 채널 및 상기 제2 우측 채널의 상기 제2 측면 채널에 적용하여 상기 제2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와, 상기 제2 중간 채널을 사용하여 제2 좌측 출력 채널 및 제2 우측 출력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제2 필터 및 제2 지연을 제2 좌측 채널에 적용하여 제2 좌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제3 필터 및 제3 지연을 제2 우측 채널에 적용하여 제2 우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2 좌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과 상기 제2 우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제2 측면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2 좌측 채널과 상기 제2 측면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제2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제2 좌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된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2 우측 채널과 상기 제2 측면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의 합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제2 우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된 채널을 생성하는 것에 의해,
    제2 크로스토크 처리를 상기 제2 좌측 채널 및 상기 제2 우측 채널의 제2 측면 채널에 적용하여 상기 제2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와, 상기 제2 좌측 채널 및 상기 제2 우측 채널의 제2 중간 채널을 사용하여 제2 좌측 출력 채널 및 제2 우측 출력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제2 필터 및 제2 지연을 제2 좌측 채널에 적용하여 제2 좌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제3 필터 및 제3 지연을 제2 우측 채널에 적용하여 제2 우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2 좌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과 상기 제2 우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제2 측면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2 측면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과 제로 중간 채널의 합에 기초하여 좌측 크로스토크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로 중간 채널과 상기 제2 측면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우측 크로스토크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2 좌측 채널과 상기 우측 크로스토크 채널의 합에 기초하여 제2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제2 좌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된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2 우측 채널과 상기 좌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의 합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제2 우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된 채널을 생성하는 것에 의해,
    제2 크로스토크 처리를 상기 제2 좌측 채널 및 상기 제2 우측 채널의 제2 측면 채널에 적용하여 제2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와, 상기 제2 좌측 채널 및 상기 제2 우측 채널의 제2 중간 채널을 사용하여 제2 좌측 출력 채널 및 제2 우측 출력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제2 좌측 채널과 제2 우측 채널의 합에 기초하여 제2 중간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제2 필터 및 제2 지연을 제2 좌측 채널에 적용하여 제2 좌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제3 필터 및 제3 지연을 상기 제2 우측 채널에 적용하여 제2 우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2 좌측 채널과 상기 제2 우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의 합에 기초하여 좌측 크로스토크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2 우측 채널과 상기 제2 좌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 채널의 합에 기초하여 우측 크로스토크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좌측 크로스토크 채널과 상기 우측 크로스토크 채널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측면 크로스토크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측면 크로스토크 채널과 상기 제2 중간 채널의 합에 기초하여 제2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제2 좌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된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제2 중간 채널과 상기 측면 크로스토크 채널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제2 우측 크로스토크 시뮬레이션된 채널을 생성하는 것에 의해,
    제2 크로스토크 처리를 상기 제2 좌측 채널 및 상기 제2 우측 채널의 제2 측면 채널에 적용하여 상기 제2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와, 상기 제2 중간 채널을 사용하여 제2 좌측 출력 채널 및 제2 우측 출력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에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필터 및 지연을 포함하는 크로스토크 처리를 오디오 신호의 좌측 채널 및 우측 채널의 측면 채널에 적용하여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를 생성하고 - 상기 측면 채널은 상기 좌측 채널과 상기 우측 채널 사이의 차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채널과 상기 우측 채널의 중간 채널은 상기 크로스토크 처리를 바이패스하며, 상기 중간 채널은 상기 좌측 채널과 상기 우측 채널의 합을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토크 처리는 크로스토크 제거 처리를 포함함 -,
    상기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와 상기 크로스토크 처리를 바이패스하는 상기 중간 채널을 사용하여 좌측 출력 채널과 우측 출력 채널을 생성하게 하되,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좌측 채널을 좌측 대역내 채널 및 좌측 대역외 채널로 분리하는 것과,
    상기 우측 채널을 우측 대역내 채널 및 우측 대역외 채널로 분리하는 것과,
    상기 좌측 대역내 채널과 상기 우측 대역내 채널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측면 대역내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측면 대역내 채널로부터 반전된 측면 대역내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필터 및 상기 지연을 상기 반전된 측면 대역내 채널에 적용하여 측면 대측 제거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좌측 대역내 채널과 상기 측면 대측 제거 채널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좌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대역내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좌측 대역내 채널과 상기 측면 대측 제거 채널의 합에 기초하여 우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대역내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좌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대역내 채널을 상기 좌측 대역외 채널과 결합하여 상기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좌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우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대역내 채널을 상기 우측 대역외 채널과 결합하여 상기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우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채널을 생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크로스토크 처리를 상기 좌측 채널 및 상기 우측 채널의 상기 측면 채널에 적용하여 상기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를 생성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9. 좌측 채널 및 우측 채널을 갖는 오디오 신호를 향상시키는 시스템으로서,
    필터 및 지연을 포함하는 크로스토크 처리를 상기 좌측 채널 및 상기 우측 채널의 측면 채널에 적용하여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를 생성하고 - 상기 측면 채널은 상기 좌측 채널과 상기 우측 채널 사이의 차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채널과 상기 우측 채널의 중간 채널은 상기 크로스토크 처리를 바이패스하며, 상기 중간 채널은 상기 좌측 채널과 상기 우측 채널의 합을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토크 처리는 크로스토크 제거 처리를 포함함 -
    상기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와 상기 크로스토크 처리를 바이패스하는 상기 중간 채널을 사용하여 좌측 출력 채널과 우측 출력 채널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회로는,
    상기 좌측 채널을 좌측 대역내 채널 및 좌측 대역외 채널로 분리하는 것과,
    상기 우측 채널을 우측 대역내 채널 및 우측 대역외 채널로 분리하는 것과,
    상기 좌측 대역내 채널과 상기 우측 대역내 채널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측면 대역내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측면 대역내 채널로부터 반전된 측면 대역내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필터 및 상기 지연을 상기 반전된 측면 대역내 채널에 적용하여 측면 대측 제거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좌측 대역내 채널과 상기 측면 대측 제거 채널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좌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대역내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좌측 대역내 채널과 상기 측면 대측 제거 채널의 합에 기초하여 우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대역내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좌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대역내 채널을 상기 좌측 대역외 채널과 결합하여 상기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좌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채널을 생성하는 것과,
    상기 우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대역내 채널을 상기 우측 대역외 채널과 결합하여 상기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의 우측 크로스토크 제거된 채널을 생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크로스토크 처리를 상기 좌측 채널 및 상기 우측 채널의 상기 측면 채널에 적용하여 상기 크로스토크 처리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20. 삭제
  21. 삭제
KR1020217012624A 2018-09-28 2019-07-31 스테레오 신호를 위한 공간 크로스토크 처리 KR1023901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147,296 US10715915B2 (en) 2018-09-28 2018-09-28 Spatial crosstalk processing for stereo signal
US16/147,296 2018-09-28
PCT/US2019/044547 WO2020068270A1 (en) 2018-09-28 2019-07-31 Spatial crosstalk processing for stereo sig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095A KR20210055095A (ko) 2021-05-14
KR102390157B1 true KR102390157B1 (ko) 2022-04-22

Family

ID=69946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2624A KR102390157B1 (ko) 2018-09-28 2019-07-31 스테레오 신호를 위한 공간 크로스토크 처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715915B2 (ko)
EP (1) EP3857918A4 (ko)
JP (1) JP7191214B6 (ko)
KR (1) KR102390157B1 (ko)
CN (1) CN112806029B (ko)
TW (1) TWI722537B (ko)
WO (1) WO202006827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55797A1 (en) 2013-05-28 2014-12-04 Audio Design Experts, Inc. Broad sound field loudspeaker system
US20170230772A1 (en) 2014-09-30 2017-08-10 Apple Inc. Method for creating a virtual acoustic stereo system with an undistorted acoustic cent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7456B2 (ja) * 1993-07-30 1999-09-13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サラウンド信号処理装置及び映像音声再生装置
US20050265558A1 (en) * 2004-05-17 2005-12-01 Waves Audio Ltd. Method and circuit for enhancement of stereo audio reproduction
US8619998B2 (en) * 2006-08-07 2013-12-31 Creative Technology Ltd Spatial audio enhancement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8705748B2 (en) * 2007-05-04 2014-04-22 Creative Technology Ltd Method for spatially processing multichannel signals, processing module, and virtual surround-sound systems
US8064624B2 (en) * 2007-07-19 2011-11-2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stereo signal with enhanced perceptual quality
US8295498B2 (en) * 2008-04-16 2012-10-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3D audio in systems with closely spaced speakers
CN105917674B (zh) * 2013-10-30 2019-11-22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处理音频信号的方法和移动装置
WO2015089468A2 (en) 2013-12-13 2015-06-18 Wu Tsai-Yi Apparatus and method for sound stage enhancement
EP2963950B1 (en) * 2014-07-04 2016-11-23 Bang & Olufsen A/S Modal response compensation
CN111131970B (zh) * 2015-02-16 2023-06-02 华为技术有限公司 过滤音频信号的音频信号处理装置和方法
US10225657B2 (en) * 2016-01-18 2019-03-05 Boomcloud 360, Inc. Subband spatial and crosstalk cancellation for audio reproduction
EP3406084B1 (en) 2016-01-18 2020-08-26 Boomcloud 360, Inc. Subband spatial and crosstalk cancellation for audio reproduction
CA3011694C (en) 2016-01-19 2019-04-02 Boomcloud 360, Inc. Audio enhancement for head-mounted speak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55797A1 (en) 2013-05-28 2014-12-04 Audio Design Experts, Inc. Broad sound field loudspeaker system
US20170230772A1 (en) 2014-09-30 2017-08-10 Apple Inc. Method for creating a virtual acoustic stereo system with an undistorted acoustic ce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57918A1 (en) 2021-08-04
CN112806029B (zh) 2023-03-28
EP3857918A4 (en) 2022-06-22
WO2020068270A1 (en) 2020-04-02
CN112806029A (zh) 2021-05-14
TW202018700A (zh) 2020-05-16
TWI722537B (zh) 2021-03-21
JP7191214B2 (ja) 2022-12-16
US10715915B2 (en) 2020-07-14
JP2021528934A (ja) 2021-10-21
KR20210055095A (ko) 2021-05-14
US20200107124A1 (en) 2020-04-02
JP7191214B6 (ja) 202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1564B2 (en) Subband spatial and crosstalk cancellation for audio reporoduction
JP6832968B2 (ja) クロストーク処理の方法
US11051121B2 (en) Spectral defect compensation for crosstalk processing of spatial audio signals
US10764704B2 (en) Multi-channel subband spatial processing for loudspeakers
KR102416854B1 (ko) 대향하는 트랜스오럴 라우드스피커 시스템에서의 크로스토크 소거
KR102390157B1 (ko) 스테레오 신호를 위한 공간 크로스토크 처리
US11284213B2 (en) Multi-channel crosstalk proce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