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9754B1 - 안전 투입구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 Google Patents

안전 투입구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9754B1
KR102389754B1 KR1020150043945A KR20150043945A KR102389754B1 KR 102389754 B1 KR102389754 B1 KR 102389754B1 KR 1020150043945 A KR1020150043945 A KR 1020150043945A KR 20150043945 A KR20150043945 A KR 20150043945A KR 102389754 B1 KR102389754 B1 KR 102389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over
inlet
juice
cov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3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6392A (ko
Inventor
이성희
박만욱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3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754B1/ko
Publication of KR20160116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구형의 외측 덮개(110); 및 상기 외측 덮개(12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는 한 쌍의 내측 덮개(120)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덮개(110)의 모서리 측이 아래쪽에 위치한 경우, 상기 한 쌍의 내측 덮개(120)는 상기 외측 덮개(110)의 내측면에 의하여 들어올려져 위치하는, 투입구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를 제안한다. 이에 따라, 안전성과 편의성이 모두 상승한다.

Description

안전 투입구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A safety entrance and a juic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외측 덮개와 내측 덮개로 이루어져 편리상과 안전성을 동시에 상승시킨 투입구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에 관한 것이다.
주서기는 구동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야채, 과일 등의 착즙 대상물부터 주스를 착즙하는 전자 기기이다. 간편한 사용법, 빠른 착즙 속도 등의 장점들을 지니고 있어 주서기는 직접 주스를 착즙하여 음용하고자 하는 경우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주서기는 착즙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과 그 안에 수용되는 착즙 스크류를 포함한다. 착즙 과정이 진행될 때 구동 모터에 의해 착즙 스크류가 회전되며, 착즙 스크류의 회전력에 의해 착즙 대상물로부터 주스가 착즙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주서기(1)를 도시한다.
종래의 일반적인 주서기(1)는 구동 모터가 실장된 본체(10)와, 본체(10) 상부에 위치하며 착즙 스크류가 위치하는 드럼(20)과, 드럼(20) 상부에 위치하며 과일과 같은 착즙 대상물이 드럼(20)에 투입되는 투입구(40)를 포함한다.
착즙 스크류에 의하여 착즙 대상물이 분쇄 및 착즙되면 착즙물(예를 들어, 주스)과 찌꺼기(예를 들어, 펄프)로 구분되는데, 드럼(20)의 하우징(21)에는 별도의 배출구(23, 24)가 구비되어 있어 구분되어 배출된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투입구(40)의 크기는 작은 편이어서, 예를 들어 사과 1개가 통으로 들어가기 어렵다.
이와 같이 투입구(40)의 크기를 작게 제조하는 이유는 안전 때문이다. 즉, 사용자의 손이 작동 중인 착즙 스크류가 실장된 드럼(20) 내측으로 들어갈 수 있다면 위험하기에, 특히 어린 아이의 손이 들어갈 수 없는 크기로 투입구(40)의 크기가 결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안전을 고려하여 투입구(40)의 크기를 작게 할 경우 사용자의 불편함이 발생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투입구(40)의 크기가 작기에 사과 1개를 착즙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과도 등을 이용하여 사과를 미리 수 개로 등분하여 작게 만들어 놓은 후 이를 투입하여야 하며, 투입 과정에 있어서도 밀개 등을 이용하여 빡빡하게 투입구(40)에 걸친 사과를 힘으로 밀어 넣어야만 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인지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시도하였던 다수의 종래 기술이 존재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00464호는 안전 커버를 포함한 주서기를 제안한다. 여기에서는, "L자"의 제 1 커버와 제 2 커버로 이루어진 넓은 투입구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본 종래기술은 예를 들어 손목이 얇은 사람이나 어린 아이는 커버에도 불구하고 손을 투입구 안쪽으로 깊이 집어 넣을 수 있어서 스크류에 손이 닿을 수 있다. 더욱이, 착즙 대상물이 착즙 스크류까지 직투입되지 못하고 사선으로 투입되는 구조이기에, 투입구의 일측 하단에 과다한 하중이 가해질 수 있다.
<종래기술>
(특허문헌1) 한국등록특허 제10-1300464호
(특허문헌2) 한국공개특허 제2001-0012045호
(특허문헌3)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00-0017231호
(특허문헌4) 한국등록특허 제10-0793852호
(특허문헌5) 한국공개특허 제2012-004260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편리성 상승을 위하여 넓은 투입구를 적용하되 안전성 측면에서도 특히 어린 아이의 손이 들어갈 수 없는 구조의 투입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반구형의 외측 덮개(110); 및 상기 외측 덮개(12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는 한 쌍의 내측 덮개(120)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덮개(110)의 모서리 측이 아래쪽에 위치한 경우, 상기 한 쌍의 내측 덮개(120)는 상기 외측 덮개(110)의 내측면에 의하여 들어올려져 위치하는, 투입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외측 덮개(110)의 모서리 측이 위쪽에 위치한 경우, 상기 한 쌍의 내측 덮개(120)는 상기 외측 덮개(110)의 내측면에 의한 들어올림이 해제됨으로써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측 덮개(110)의 모서리 측이 아래쪽 위치에서 위쪽 위치로 변경될 경우, 상기 한 쌍의 내측 덮개(120)는 자중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들어올림이 해제되어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내측 덮개(12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외측면에 걸림턱(121)이 위치하며, 상기 외측 덮개(110)의 모서리 측이 위쪽 위치에서 아래쪽 위치로 변경될 경우, 상기 외측 덮개(110)가 상기 걸림턱(121)에 걸림으로써 상기 한 쌍의 내측 덮개(120)가 상기 외측 덮개(110)의 내측으로 들어올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측 덮개(110)와 상기 내측 덮개(120)는 동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측 덮개(110)에는, 상기 외측 덮개(110)의 모서리 측의 아래쪽 위치와 위쪽 위치 사이에서 상기 외측 덮개(110)를 변경시킬 수 있는 손잡이(115)가 구비되며, 상기 외측 덮개(110)는 상기 손잡이(115)에 의하여 1/2바퀴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입구는 상기 외측 덮개(110)와 상기 내측 덮개(12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하우징(1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50)의 상측에는 상기 손잡이(115)가 위치할 수 있는 손잡이 이동홈(155, 156)이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반구형의 외측 덮개(110); 및 상기 외측 덮개(120)의 내측에 위치하며 한 쌍의 내측 덮개(120)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덮개(120)는, 상기 외측 덮개(110)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내측 덮개(120)가 일부 폐쇄되는 제 1 위치, 및 상기 내측 덮개(120)가 개방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변경될 수 있는, 투입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외측 덮개(110)의 외측면에 손잡이(115)가 위치하며, 상기 외측 덮개(110)는 제 1 위치에서 모서리 측이 아래쪽에 위치하고 제 2 위치에서 모서리 측이 위쪽에 위치하며, 그리고 상기 외측 덮개(110)와 상기 내측 덮개(120)가 상기 손잡이(115)에 의하여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위치는, 착즙 대상물을 상기 내측 덮개(120) 위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외측 덮개(110)가 개방된 위치이며, 제 2 위치는, 상기 외측 덮개(110)가 폐쇄되되 상기 내측 덮개(120) 위쪽에 위치한 착즙 대상물이 투입구(100)의 하우징(150)을 통과하여 하강할 수 있는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투입구(100)를 포함하는, 주서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주서기는, 상기 투입구(100)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내측 덮개(120)가 개방된 경우 하강한 착즙 대상물을 착즙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착즙 스크류 조립체는, 회전에 의해 상기 착즙 대상물을 분쇄 및 착즙하여 착즙물과 찌꺼기로 구분하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 하측에 위치하며, 착즙물은 내측으로 통과시키고 찌꺼기는 통과시키지 않는 착즙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착즙 스크류 조립체는, 회전에 의해 상기 착즙 대상물을 분쇄 및 착즙하여 착즙물과 찌꺼기로 구분하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 외측에 위치하며, 내측에는 착즙 대상물의 착즙을 위한 리브(rib)가 다수 구비되며, 착즙물은 외측으로 통과시키고 찌꺼기는 통과시키지 않는 망드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여, 넓은 입구를 도입하여 편리성이 상승하였음은 물론, 이와 동시에 어린 아이의 손이 착즙 스크류 등을 향하여 내측으로 들어갈 수 없는 구조이어서 안전성도 상승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투입구 하측에 착즙 스크류가 위치할 수 있어서 직투입구조가 가능한바 투입구 자체에 하중이 많이 걸리지 않아 장비 수명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투입구는 어떠한 방식의 주서기, 착즙기, 원액기, 녹즙기, 믹서기 등에도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손잡이를 조절하여 간단하게 개폐가 가능한바, 평상시 먼지 등으로부터 착즙기 내측의 위생 부품들을 보호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채택하여 제조 원가가 감소하고 제조 난이도가 높지 않으며, 기계적인 조립으로만 제조가 가능한바 장비 수명 역시 증가하여 유지 보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주서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투입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에 따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투입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도 4는 후술할 제 1 위치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5 는 후술할 제 2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위쪽과 아래쪽은 투입구가 구비된 주서기가 직립한 경우를 가정한 방향으로 정의되며,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서 도면의 위쪽이 설명되는 위쪽이고 도면의 아래쪽이 설명되는 아래쪽으로 정의된다.
이하에서, 반구형의 외측 덮개를 설명하기 위하여 "모서리 측"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일반적인 반구 형상은 넓은 원형 개구부가 있는 중심 측과 그 반대쪽인 모서리 측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외측 덮개(110)는 모서리 측이 아래쪽 위치에 있는 상태이며, 도 5에서 외측 덮개(110)는 모서리 측이 위쪽 위치에 있는 상태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투입구의 설명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투입구(100)를 설명한다. 설명을 위하여, 투입구(100) 이외의 주서기의 다른 부품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투입구(100)는 외측 덮개(110)와 내측 덮개(120)를 포함하며, 이들은 회전축(140)을 통해 하우징(15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외측 덮개(110)와 내측 덮개(120)는 동축일 수 있다.
외측 덮개(110)는 반구형으로서, 외측 덮개(110)의 외측면 일측에는 손잡이(115)가 구비된다.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잡이(115)를 잡고 하우징(150)의 하나의 손잡이 이동홈(155)에서 다른 손잡이 이동홈(156)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1/2바퀴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손잡이 이동홈(155, 156)은 하우징(150)의 상부에서 서로 대향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측 덮개(110)는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 측이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 1 위치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 측이 위쪽에 위치하는 제 2 위치로 180도 회전된다. 그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 역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외측 덮개(110)에 개구부(112)가 위치할 수 있는데, 개구부(112)는 공기 순환이나 세척 등 부가적인 목적을 위한 것이므로 어린 아이의 손이 들어갈 수 없도록 작은 크기이어야 한다.
내측 덮개(120)는 외측 덮개(110) 내측에 위치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내측 덮개(120)에는 별도의 손잡이가 구비되지 않아서, 외측 덮개(110)의 이동에 따라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변경되도록 작동된다.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제 1 위치에서 외측 덮개(110)의 모서리 측이 아래쪽에 위치함에 따라 한 쌍의 내측 덮개(120)는 외측 덮개(110)의 내측면에 의하여 들어올려져 위치한다. 이 경우 내측 덮개(120)는 일부 폐쇄된 상태이다.
도 5에 도시된 제 2 위치에서 외측 덮개(110)의 모서리 측이 위쪽에 위치함에 따라 한 쌍의 내측 덮개(120)는 외측 덮개(110)에 의한 들어올림이 해제되어 자중에 의하여 회전됨으로써 개방된 상태이다.
한 쌍의 내측 덮개(120)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의 외측면에는 걸림턱(121)이 위치한다(도 3 참조).
걸림턱(121)은 제 1 위치나 제 2 위치에서는 외측 덮개(110)에 걸리지 않는다. 다만,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로 외측 덮개(110)가 이동하는 궤적에서 걸림턱(121)이 가장 먼저 외측 덮개(110)에 걸리게 되며, 걸림턱(121)의 완만한 돌출 형상으로 인하여 외측 덮개(110)가 제 1 위치로 끝까지 이동하면 자연스럽게 내측 덮개(120)가 안으로 오무려지고 들어올려진 위치가 된다.
주서기의 설명
본 발명에 따른 투입구(100)는 주서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투입구(100)는 주서기의 가장 상측에 위치하며, 투입구(100) 아래에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미도시)가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착즙 스크류 조립체(미도시)가 위치하는 드럼(미도시)은 투입구(100)의 하우징(150)과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직투입구조가 될 수도 있으며, 또는 드럼(미도시)의 중심과 투입구(100)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아서 사선으로 투입되는 구조가 될 수도 있다.
착즙 대상물은 제 1 위치에서 내측 덮개(120) 위에 놓이고, 제 2 위치로 변경되면 내측 덮개(120)가 개방됨에 따라 착즙 스크류 조립체(미도시)를 향하여 투입될 것이며, 착즙 스크류 조립체(미도시)는 이를 분쇄하고 착즙할 것이다.
여기에서, 주서기는 어떠한 형태의 주서기여도 무방하다.
일 실시예에서, 주서기의 착즙 스크류 조립체(미도시)는, 회전에 의해 착즙 대상물을 분쇄 및 착즙하여 착즙물과 찌꺼기로 구분하는 스크류와, 스크류 하측에 위치하며 착즙물은 내측으로 통과시키고 찌꺼기는 통과시키지 않는 착즙망을 포함하는, 일체형의 착즙 스크류 조립체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주서기의 착즙 스크류 조립체(미도시)는, 회전에 의해 착즙 대상물을 분쇄 및 착즙하여 착즙물과 찌꺼기로 구분하는 스크류와, 스크류 외측에 위치하고 그 내측에는 착즙 대상물의 착즙을 위한 리브(rib)가 다수 구비되며 이에 따라 착즙물은 외측으로 통과시키고 찌꺼기는 통과시키지 않는 망드럼을 포함하는, 분리형의 착즙 스크류 조립체일 수도 있다.
투입 방법의 설명
투입구는 도 2,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위치의 상태이다. 즉, 외측 덮개(110)에 의하여 내측 덮개(120)가 들어올려져서 오무려진 상태이다. 현재의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은 투입구(100) 내측으로 들어갈 수 없다.
사용자는 사과 1개와 같은 비교적 큰 크기의 과일인 착즙 대상물을 내측 덮개(120) 위쪽에 올려놓는다.
다음, 사용자는 손잡이(115)를 잡고 도 2의 화살표와 같이 1/2바퀴 회전시킨다.
손잡이(115)가 회전함에 따라 외측 덮개(110)는 제 2 위치로 이동하며, 외측 덮개(110)가 제 2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내측 덮개(120)를 들어올린 외측 덮개(110)가 없어져서, 내측 덮개(120)는 자중에 의하여 도 5의 화살표와 같이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내측 덮개(120) 위에 놓인 착즙 대상물은 자연스럽게 하강하여 투입구(100)를 통과하여 착즙 스크류 조립체(미도시)를 향해 투입된다.
이 경우가 바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위치의 상태인데, 사용자 입장에서는 투입구(100)의 외측이 외측 덮개(110)에 의하여 폐쇄된 상태이므로 역시 투입구(100) 내측으로 사용자 손이 들어갈 수 없다.
착즙 대상물의 분쇄 및 착즙이 완료되어 다음 착즙 대상물을 투입하고자, 또는 어떠한 다른 이유로든, 사용자가 손잡이(115)를 잡고 도 2의 화살표 반대 방향으로 1/2바퀴 회전시키게 되면, 외측 덮개(110)는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로 돌아온다.
손잡이(115)가 회전함에 따라 외측 덮개(110)가 제 1 위치로 이동되면, 그 과정에서 외측 덮개(110)의 외측면 일부는 내측 덮개(120)에 구비된 걸림턱(121)과 만나게 된다. 외측 덮개(110)가 이동하던 방향으로 계속 이동되면 걸림턱(121)이 상승되어 이에 따라 내측 덮개(120)가 다시 일부 폐쇄되는 제 1 위치로 이동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투입구
110: 외측 덮개
112: 개구부
115: 손잡이
120: 내측 덮개
121: 걸림턱
140: 회전축
150: 하우징
155, 156: 손잡이 이동홈

Claims (14)

  1. 상단이 개방된 하우징(150);
    상기 하우징(15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150)의 상단을 개폐하는 반구형의 외측 덮개(110); 및
    상기 하우징(150)의 내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내측 덮개(120)를 포함하고,
    제 1 위치에서, 상기 외측 덮개(110)는 상기 하우징(150)의 상단을 개방하되 상기 내측 덮개(120)의 하측에 접촉하여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내측 덮개(120)는 상기 외측 덮개(110)에 의해 들어올려져 서로 간의 이격거리가 짧아져 일부 폐쇄되고,
    제 2 위치는 상기 외측 덮개(110)가 상기 하우징(150)에 대해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회전 이동한 위치이며,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외측 덮개(110)는 상기 하우징(150)의 상단을 폐쇄하되 상기 내측 덮개(120)의 상측에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한 쌍의 내측 덮개(120)는 상기 외측 덮개(110)에 의한 들어올림이 해제됨으로써 서로 간의 이격거리가 길어져 개방되는,
    투입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한 쌍의 내측 덮개(120)는 자중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들어올림이 해제되어 개방되는,
    투입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내측 덮개(12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걸림턱(121)이 위치하며,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외측 덮개(110)가 상기 걸림턱(121)에 걸림으로써 상기 한 쌍의 내측 덮개(120)가 상기 외측 덮개(110)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투입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덮개(110)와 상기 내측 덮개(120)는 동축인,
    투입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덮개(110)에는,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 변경시킬 수 있는 손잡이(115)가 구비되며, 상기 외측 덮개(110)는 상기 손잡이(115)에 의하여 1/2바퀴 회전되는,
    투입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50)의 상측에는 상기 손잡이(115)가 위치할 수 있는 손잡이 이동홈(155, 156)이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투입구.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는, 착즙 대상물을 상기 내측 덮개(120) 위에 위치시키는 위치이며,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내측 덮개(120) 위에 위치한 착즙 대상물이 상기 하우징(150)을 통과하여 하강하는 위치인,
    투입구.
  11.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7 항 및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투입구(100); 및
    상기 투입구(100)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100)로부터 하강한 착즙 대상물을 착즙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를 포함하는,
    주서기.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50043945A 2015-03-30 2015-03-30 안전 투입구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2389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945A KR102389754B1 (ko) 2015-03-30 2015-03-30 안전 투입구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945A KR102389754B1 (ko) 2015-03-30 2015-03-30 안전 투입구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392A KR20160116392A (ko) 2016-10-10
KR102389754B1 true KR102389754B1 (ko) 2022-04-25

Family

ID=57145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3945A KR102389754B1 (ko) 2015-03-30 2015-03-30 안전 투입구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975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464B1 (ko) * 2013-01-14 2013-08-28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원액기용 착즙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015Y1 (ko) * 1994-08-30 1998-07-01 김광호 녹즙기의 안전장치
KR20140031098A (ko) * 2013-07-19 2014-03-12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안전 투입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464B1 (ko) * 2013-01-14 2013-08-28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원액기용 착즙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392A (ko) 201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3608B1 (ko) 찌꺼기 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
US6112649A (en) Safety switch structure of a mixer adjustable for a juice extractor
KR101102902B1 (ko) 스무디기 겸용 주스기
KR200494286Y1 (ko) 착즙기
CA2874069A1 (en) Juice extraction module for juicer
KR20120016532A (ko) 순환 분쇄 기능을 구비한 착즙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CN105960182A (zh) 榨汁机及其下料装置
US10470485B2 (en) Juice extraction devices with hollow juice extraction screw
KR101597631B1 (ko) 착즙드럼 체결 구조 개선 착즙기
JP2002336139A (ja) ミキサー
WO2016091182A1 (zh) 一种螺杆挤压榨汁机
KR102223429B1 (ko) 찌꺼기 배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착즙기
CN105496251B (zh) 多功能果蔬处理器
KR102389754B1 (ko) 안전 투입구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140001804A (ko) 찌꺼기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
CN106037436B (zh) 用于电榨汁机的可叠放的压榨锥状部的组件
KR200493484Y1 (ko) 착즙기
KR20120054572A (ko) 찌꺼기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
KR20200002766U (ko) 착즙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기
KR20190002097U (ko) 착즙기
KR102452432B1 (ko) 다단 형상의 스크류를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2257330B1 (ko) 안전 투입장치를 구비한 착즙 스크류 조립체
EP4029414A2 (en) Food cooker
KR102257333B1 (ko) 회전가능한 일체형 구조를 가진 커버
JP6159882B2 (ja) パルプ量調節可能なジューサ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