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8730B1 - 밀착 착용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밀착 착용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8730B1
KR102388730B1 KR1020210105790A KR20210105790A KR102388730B1 KR 102388730 B1 KR102388730 B1 KR 102388730B1 KR 1020210105790 A KR1020210105790 A KR 1020210105790A KR 20210105790 A KR20210105790 A KR 20210105790A KR 102388730 B1 KR102388730 B1 KR 102388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ad
skirt
mask
close
coupl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5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6925A (ko
Inventor
구홍식
Original Assignee
위드클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드클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드클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5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8730B1/ko
Publication of KR20210106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41D27/06Stiffening-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밀착 착용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밀착 착용 마스크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측의 가운데 부분에는 하향으로 파여진 중간홈이 형성되어 상기 중간홈 양측으로 밀착날개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패드; 및 가로 방향으로 상기 본체 패드의 좌우측 측부 각각에 결합선을 따라 결합되어 상기 본체 패드에 대하여 상기 결합선을 따라 절곡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본체 패드 및 상기 스커트부는 상부로 향할수록 상기 가로 방향으로의 길이가 감소하고 하부로 향할수록 상기 가로 방향으로의 길이가 감소하여, 사용자가 상기 스커트부의 연결부에 결합된 양측 착용 끈을 귀에 걸칠 때 상기 본체 패드의 중앙 영역은 상기 세로 방향으로는 전방으로 볼록하되 상기 가로 방향으로는 직선형 단면을 유지하고 상기 밀착날개는 상기 사용자의 코 양측에 밀착할 수 있다. 이러한 마스크는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 이외에 마스크를 밀착시키기 위한 별도의 동작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사용자 편의를 증대시키고 마스크의 오염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불량률을 낮추며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밀착 착용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SNUG-FITTING 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별도의 코받침 부재 없이 마스크를 사용자의 코 주변에 밀착시킬 수 있는 밀착 착용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독감, 감기 및 코로나 19와 같이 호흡기 질환은 주로 바이러스에 의해서 유발되는 것으로, 접촉이나 비말을 통해서 바이러스가 전파되어 감염된다. 이와 같은 바이러스의 전파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중의 하나가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다. 마스크는 착용자의 코 및 입에 밀착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바이러스, 미세먼지 또는 황사 등을 필터링하고, 착용자의 비말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마스크는 착용시 사용자의 코와 입 주변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요구조건 중 하나이며, 이를 위해 시중에는 금속 재료의 코받침 부재가 상부 가장자리에 구비된 마스크가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마스크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마스크를 착용한 후 금속 코받침 부재를 구부려 코에 밀착시켜 코 주위로 공기가 진입하지 못하게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마스크에서는 금속 코받침 부재를 분리하기가 어려우며, 사용자가 일회용 마스크를 사용한 후 코받침 부재는 따로 분리되는 일 없이 마스크와 함께 폐기되고 있어 환경보호 및 재활용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위와 같은 마스크를 착용할 때 사용자는 매번 코받침 부재를 눌러 코 주변 형상에 맞게 변형시켜야 하는데, 이는 마스크 사용의 불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마스크의 오염 가능성을 증가시킨다는 단점이 있다.
마스크의 제조 측면에서는 별도의 금속 코받침 부재를 사용할 때 제조 원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코받침 부재를 마스크의 겉감과 안감 사이에 배치하여 고정시키는 공정에서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품질 저하, 생산성 저하, 제조 비용 상승 등의 단점을 수반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은 별도의 코받침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마스크를 사용자의 코 주변에 밀착시킬 수 있는 밀착 착용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밀착 착용 마스크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측의 가운데 부분에는 하향으로 파여진 중간홈이 형성되어 상기 중간홈 양측으로 밀착날개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패드; 및 가로 방향으로 상기 본체 패드의 좌우측 측부 각각에 결합선을 따라 결합되어 상기 본체 패드에 대하여 상기 결합선을 따라 절곡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본체 패드 및 상기 스커트부는 상부로 향할수록 상기 가로 방향으로의 길이가 감소하고 하부로 향할수록 상기 가로 방향으로의 길이가 감소하여, 사용자가 상기 스커트부의 연결부에 결합된 양측 착용 끈을 귀에 걸칠 때 상기 본체 패드의 중앙 영역은 상기 세로 방향으로는 전방으로 볼록하되 상기 가로 방향으로는 직선형 단면을 유지하고 상기 밀착날개는 상기 사용자의 코와 광대뼈 사이의 오목한 부분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밀착 착용 마스크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측의 가운데 부분에는 하향으로 파여진 중간홈이 형성되어 상기 중간홈 양측으로 밀착날개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패드; 및 가로 방향으로 상기 본체 패드의 좌우측 측부 각각에 결합선을 따라 결합되어 상기 본체 패드에 대하여 상기 결합선을 따라 절곡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사용자의 마스크 착용시 착용 끈이 결합되는 상기 스커트부의 연결부와 상기 본체 패드의 중앙 영역을 잇는 경로 상에는 장력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장력은 상기 본체패드의 중앙 영역이 상기 세로 방향으로는 전방으로 볼록하되 상기 가로 방향으로는 직선형 단면을 유지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밀착날개는 상기 사용자의 코와 광대뼈 사이의 오목한 부분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밀착 착용 마스크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밀착날개 부분에서 상기 본체 패드의 가장자리와 상기 결합선 사이의 간격은 나머지 부분에서의 상기 본체 패드의 가장자리와 상기 결합선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밀착날개 부분에서의 상기 본체 패드의 가장자리와 상기 결합선 사이의 영역에 하나 이상의 외측 보강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착날개는 상기 결합선 내측에 소정 면적으로 형성된 보강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영역 내에는 복수의 평행한 날개 보강선이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커트부는 착용 끈이 결합되는 연결부로부터 상기 본체 패드의 중앙 영역을 향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장력전달 보강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커트부의 상부에는 상기 밀착날개와 대칭되는 형상을 가진 스커트날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 패드는 측부에 인접한 지점으로부터 상기 중간홈의 저점 또는 상기 본체 패드의 하부를 향해 직선 또는 곡선을 그리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내측 보강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커트부의 내측 가장자리는 상기 본체 패드의 측부 가장자리와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좌우측의 스커트부가 상기 본체 패드의 후면에 중첩될 때 상기 본체 패드 및 상기 스커트부는 편평한 형상을 갖도록 접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아래의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코받침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마스크를 사용자의 코 주변에 밀착시킬 수 있는 밀착 착용 마스크가 제공된다. 이러한 마스크는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 이외에 마스크를 밀착시키기 위한 별도의 동작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사용자 편의를 증대시키고 마스크의 오염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 착용 마스크는 간단한 구조로 인해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불량률을 낮추며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 착용 마스크가 착용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 착용 마스크가 착용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 착용 마스크의 본체 패드와 스커트부가 제조 단계에서 펼쳐진 형태를 예시하는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 착용 마스크를 제조하기 위한 원부재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 착용 마스크의 제조 과정에서 스커트부가 본체 패드 뒤로 중첩되어 접혀진 형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 착용 마스크의 제조 과정에서 스커트부의 일부가 펼쳐진 형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 착용 마스크의 본체 패드와 스커트부의 펼쳐진 형태를 예시하는 전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가 마스크를 얼굴에 착용하였을 때 얼굴 전방으로 노출되는 마스크의 일면을 마스크의 정면이라 지칭하기로 하고, 사용자의 얼굴에 접촉하는 마스크의 타면을 마스크의 후면 또는 배면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마스크를 얼굴에 착용하였을 때 마스크에서 상측을 향하는 부분을 마스크의 상측이라 지칭하기로 하고 하측을 향하는 부분을 마스크의 하측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세로 방향이라 함은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였을 때의 상하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을 일컫는 것이고, 가로 방향이라 함은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하였을 때의 좌우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을 일컫는 것이다. 한편, 마스크에서 중앙에 가까운 부분을 마스크의 내측이라 지칭하고 착용 끈에 가까운 부분을 마스크의 외측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이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마스크가 놓인 위치 및 배향과 무관하게 적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 착용 마스크(1000)가 착용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 착용 마스크(1000)가 착용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 착용 마스크(1000)의 본체 패드(100)와 스커트부(200)가 제조 단계에서 펼쳐진 형태를 예시하는 전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00)는 크게 본체 패드(100), 스커트부(200) 및 착용 끈(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 패드(100)는 밀착 착용 마스크(1000)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이다. 본체 패드(100)는 가로 방향으로는 양측으로 스커트부(200)에 이웃할 수 있으며, 좌우측의 결합선(120)에 의해 스커트부(200)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패드(100)는 중간 부분 높이에서의 가로 방향 폭이 상측 및 하측에서의 가로 방향 폭 보다 크게(넓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 패드(100)는 상측과 하측에 비해 중간 부분이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체 패드(100)는 사용자의 코끝에 대응하는 높이에서 가장 큰 폭을 갖고, 해당 부분에서 본체 패드(100)의 좌우측 측부 가장자리(12)가 직선으로 또는 완만한 곡선을 그리며 소정의 길이로 상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측부 가장자리(12)가 해당 부분의 상부에서는 본체 패드(100)의 좌우 폭이 좁아지게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하부에서도 하측 좌우 폭이 좁아지게 내측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패드(100)에서 가장 큰 폭을 갖는 부분에는 착용 끈(30)에 의해 양측으로 당겨지는 힘과 사용자의 코와 콧등에 의해 지지되는 힘에 의해 사용자의 코와 입 주위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체 패드(100)는 상부 영역(100a), 중앙 영역(100b) 및 하부 영역(100c)을 포함하는 세 개의 영역으로 나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도 3에서는 각 영역(100a, 100b, 100c)의 경계가 일점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본체 패드(100)의 중앙 영역(100b)은 사용자가 스커트부(200)의 연결부(230, 235)에 결합된 양측 착용 끈(30)을 귀에 걸쳐 밀착 착용 마스크(1000)를 착용할 때 연결부(230, 235) 사이에 장력이 발생하는 경로를 포함하는 영역이다. 마스크(1000)가 착용될 때에도 본체 패드(100)의 중앙 영역(100b)은 대체로 편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세로 방향으로는 전방으로 볼록하되 가로 방향으로는 직선형 단면을 유지할 수 있다. 본체 패드(100)의 상측 및 하측에서 좌우 폭이 좁아지기 시작하는 부분이 반드시 상부 영역(100a) 및 하부 영역(100c)의 시작점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는 중앙 영역(100b)의 하부에서 이미 좌우 폭이 좁아지기 시작한다.
본체 패드(100)는 예를 들어 부직포 또는 직물과 같은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 패드(100)가 부직포 또는 직물로 구성되는 경우, 본체 패드(100)는 겉감과 안감을 포함하고 겉감과 안감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본체 패드(100)가 고무, 실리콘, 연성 플라스틱 수지 등의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본체 패드(100)의 고무, 실리콘, 연성 플라스틱 수지 등의 재료는 통기성을 갖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겉감, 필터 및 안감 중 적어도 일부는 더욱 통기성이 높은 부직포 또는 직물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 패드(100) 상부 영역(100a)의 가운데 부분에는 하향으로 파여진 중간홈(13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중간홈(130) 양측에는 한 쌍의 밀착날개(140)가 형성될 수 있다. 중간홈(130)은 대체로 U자 또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 패드(100)의 상부가 내측으로 기울어져 형성됨에 따라 밀착날개(140)는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에 가까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밀착 착용 마스크(1000)를 착용하면, 밀착날개(140)는 사용자의 콧등의 양측에 밀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밀착날개(140)에 대해서는 이후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스커트부(200)는 본체 패드(100)의 좌우측 각각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결합선(120)을 따라 결합될 수 있고, 마스크(1000)의 사용시 스커트부(200)는 결합선(120)을 따라 절곡될 수 있다. 스커트부(200)는 본체 패드(100)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부직포, 직물, 고무, 실리콘, 연성 플라스틱 수지, 등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스커트부(200)의 측부에는 착용 끈(30)이 결합되는 연결부(230, 235)가 구비될 수 있다. 착용 끈(30)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연결부(230, 235)에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착용 끈(30)을 귀에 걸쳐 마스크(1000)를 착용할 수 있으며, 이 때 본체 패드(100)의 상부는 사용자의 코에 접촉하고 하부는 사용자의 턱에 지지되어 사용자의 코와 입 주위로 소정의 아치(arch)형 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 패드(100)와 스커트부(200)를 결합하는 결합선(120)은 융착, 재봉 또는 기타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 패드(100)와 스커트부(200)가 용융가능한 폴리머의 부직포로 구성된 경우, 본체 패드(100)와 스커트부(200)를 겹친 상태에서 결합선(120)을 따라 필요한 정도의 열을 가하면, 본체 패드(100)와 스커트부(200)가 결합선(120)을 따라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융착에 대한 언급은 융착뿐만 아니라 재봉, 접착, 접합 등의 기타 방법을 포괄하는 결합 방식을 의미한다.
본체 패드(100)와 스커트부(200)는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봉합선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 패드(100)의 상측 가장자리(11), 즉 중간홈(130)의 가장자리에는 상측 봉합선(311)이 형성될 수 있고, 본체 패드(100)의 하측 가장자리(13)에는 하측 봉합선(3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스커트부(200)의 외측 가장자리(21)에는 상부 봉합선(320) 및 하부 봉합선(325)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 패드(100)의 상측 봉합선(311)과 하측 봉합선(313)은 각각 양측의 결합선(120)과 이어져 본체 패드(100)의 전체 가장자리를 따라 본체 패드(100)를 에워싸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커트부(200)의 상부 봉합선(320)과 하부 봉합선(325)도 결합선(120)과 이어져 전체 가장자리를 따라 스커트부(200)를 에워싸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 착용 마스크(1000)에는 전술한 봉합선(311, 313, 320, 325)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의 봉합선이 형성될 수 있고, 결합선(120)과 봉합선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발명을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본체 패드(100)의 측부 가장자리(12) 및/또는 스커트부(200)의 내측 가장자리(22)에 본체 패드(100)와 스커트부(200)를 결합하는 용도로 형성되는 융착선을 다른 봉합선과 구분하여 결합선(120)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좌우측의 결합선(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패드(100)의 측부 가장자리(12)를 따라 형성되어 본체 패드(100)의 중간 부분 높이에서의 가로 방향 폭이 상측 및 하측에서의 가로 방향 폭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 패드(100)가 상측과 하측에 비해 중간 부분이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진 것에 대응하여 결합선(120) 또한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선(120)은 본체 패드(100)와 스커트부(200)를 서로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결합선(120)의 개수와 형상에 따라 밀착 착용 마스크(1000)의 착용시 3차원적 기하학적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의 스커트부(200)의 상부 및 하부에서는 내측 가장자리(22)가 마스크(1000)의 외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스커트부(200) 상부 및 하부의 폭이 좁아질 수 있다. 특히, 좌우측의 스커트부(200)는 그 내측 가장자리(22)가 본체 패드(100)의 측부 가장자리(12)와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밀착 착용 마스크(1000)의 제조를 단순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스커트부(200)는 또한 상부가 밀착날개(140)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스커트날개(240)를 이룰 수 있다. 이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밀착날개(140)의 성능을 도울 수 있다.
본체 패드(100)의 상부 영역(100a), 즉 밀착날개(140) 부분에서는 본체 패드(100)의 가장자리와 결합선(120) 사이의 간격(d1)이 나머지 부분에서의 본체 패드(100)의 가장자리와 결합선(120) 사이의 간격(d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밀착날개(140) 부분에서 더 큰 간격으로 형성된 본체 패드(100)의 가장자리와 결합선(120) 사이의 영역에는 하나 이상의 외측 보강선(350)이 형성될 수 있다.
외측 보강선(350)은 결합선(120)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밀착날개(140) 부분에서 본체 패드(100)를 더욱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외측 보강선(350)은 본체 패드(100)와 스커트부(200)를 함께 융착한 것일 수도 있고 본체 패드(100) 또는 스커트부(200)에만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외측 보강선(350)은 본체 패드(100)의 가장자리와 결합선(120) 사이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외측 보강선(350)은 결합선(120)의 외측에 형성되어 해당 부위를 더욱 보강할 수 있다. 특히, 외측 보강선(350)이 밀착날개(140)에 형성되는 경우, 중간홈(130)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폭이 감소한 밀착날개(140)를 보강할 수 있다. 본체 패드(100)와 스커트부(200)를 함께 융착한 경우, 외측 보강선(350)은 본체 패드(100)와 스커트부(200)의 결합을 보강하는 역할도 겸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는 본체 패드(100)의 다른 부위에 결합선(120)에 평행한 외측 보강선(350)이 형성될 수도 있고, 일부 실시예에서는 외측 보강선(350)이 결합선(120)의 내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측 보강선(350)은 본체 패드(100)의 하부에서 결합선(120)의 내측에 형성되어 본체 패드(100)와 스커트부(200)의 결합을 보강할 수 있다.
밀착날개(140)에는 또한 결합선(120) 내측에 보강영역(330)이 형성될 수 있다. 보강영역(330)은 소정 면적으로 밀착날개(140)의 강도가 보강된 영역에 해당하며, 이와 같이 특정 면적에 걸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를 들자면, 보강영역(330)에는 해당 면적에 대응하는 크기의 편평한 부재(미도시)가 본체 패드(100)의 겉감과 안감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편평한 부재(미도시)를 본체 패드(100)의 겉감 및/또는 안감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하는 경우 마스크(1000)의 사용 후 재활용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에서는, 보강영역(330)에서 겉감과 안감이 소정 면적에 걸쳐 열융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보강영역(330)에서 경화되는 부분이 효과적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열융착을 수행할 수 있고, 열융착에 의해 별도의 편평한 부재를 부착시킬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에서는, 보강영역(330) 내에 복수의 날개 보강선(340)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날개 보강선(340)은 열융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일 수도 있지만 재봉, 접착, 접합 등의 기타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3에는 보강영역(330)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날개 보강선(340)이 삼각형 형상 내에 형성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날개 보강선(340)을 이용하는 경우 면접촉에 의한 열융착 수단을 구비할 필요도 없고 별도의 부재를 삽입하지 않고도 보강영역(330)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강영역(330)은 밀착날개(140)의 외측 테두리 부분이 사용자의 코의 양측과 광대뼈 사이의 오목한 부위의 피부와 접촉할 때에 충분한 압박 강도로 밀착할 수 있도록, 해당 밀착날개(140)의 중심 부분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커트부(200) 상부의 스커트날개(240)에도 보강영역(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스커트부(200)는 착용 끈(30)이 결합되는 연결부(230, 235) 각각으로부터 본체 패드(100)를 향해 연장되는 장력전달 보강선(370, 375)을 포함할 수 있다. 장력전달 보강선(370, 375)은 연결부(230, 235)로부터 대체적으로 수평 방향을 따라 본체 패드(100)에 인접한 지점까지 연장될 수 있다. 장력전달 보강선(370, 375)은 사용자가 마스크(1000)를 착용할 때 착용 끈(30)의 장력을 전달하는 경로를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서, 본체 패드(100)가 당겨져야 하는 위치에서 필요한 장력이 올바로 가해지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 착용 마스크(1000)는 별도의 코받침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코 양측에 밀착하여 필터링 되지 않은 공기의 유입 틈새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하 사용자가 마스크(1000)를 착용할 때 어떻게 밀착이 일어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스커트부(200)의 연결부(230, 235)에 결합된 착용 끈(30)을 귀에 걸쳐 마스크(1000)를 착용하면, 본체 패드(100)에서 중간홈(130)의 저점에 해당하는 지점이 사용자의 콧등에 지지되어 지지력이 형성되고, 이와 동시에 착용 끈(30)이 당겨지게 되어 장력이 발생한다.
스커트부(200)의 연결부(230, 235)와 본체 패드(100)의 중앙 영역(100b)을 잇는 경로 상에는 장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 장력은 본체패드(100)의 중앙 영역(100b)이 세로 방향으로는 전방으로 볼록하되 가로 방향으로는 직선형 단면을 유지하게 한다. 이 때, 스커트부(200) 상부의 스커트날개(240) 및 본체 패드(100) 상부의 밀착날개(140)도 약간의 장력으로 당겨지고, 스커트날개(240)와 밀착날개(140)는 중간홈(130)을 중심으로 사용자의 코의 양측과 광대뼈 사이의 오목한 부위에 접촉하게 된다. 스커트날개(240)와 밀착날개(140)는 사용자가 숨을 내쉴 때의 배출압에 의해 밀착이 해제되지 않는 정도의 강도를 유지하여 사용자의 평소 호흡시 계속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좌우 양측의 스커트부(200)는 장력을 본체 패드(100)의 중앙 영역(100b)으로 전달하는데, 연결부(230, 235)로부터 본체 패드(100)의 중앙 영역(100b)으로 이어지는 장력전달 보강선(370, 375), 상부 봉합선(320) 및 하부 봉합선(325)이 주요 장력전달 경로를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본체 패드(100)는 가로 방향으로 당겨지는데, 장력전달 보강선(370, 375)이 도달하는 부분에서 가장 강하게 당겨지고, 상부 봉합선(320)과 하부 봉합선(325)이 도달하는 본체 패드(100)의 상부와 하부에서도 가로 방향으로 당겨진다.
본체 패드(100)에서 장력전달 보강선(370, 375)이 도달하는 지점 사이의 중앙 영역(100b)은 가로 방향으로 당겨지는 힘과 사용자의 코에 지지되는 부분의 지지력에 의해 사용자의 코와 입 주위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체 패드(100)의 상부 영역(100a) 및 하부 영역(100c)은 중앙 영역(100b)에 비해 폭이 좁아진 상태이고 스커트부(200)의 상부 및 하부 역시 폭이 좁아진 상태이므로, 스커트부(200)의 내측 가장자리(22)가 본체 패드(100)의 측부 가장자리(12)에 결합되면 마스크(1000)는 도 2에서와 같이 상부 영역(100a)과 하부 영역(100c)이 사용자를 향해 후면으로 굴곡될 수 있다.
스커트부(200)의 상부 봉합선(320)은 연결부(230)에 가해지는 장력을 전달하여 본체 패드(100)의 상부, 즉 밀착날개(140)의 상부를 당기게 된다. 밀착날개(140)에 형성된 상측 봉합선(311), 외측 보강선(350) 및 보강영역(330)은 밀착날개(140)가 흐늘거리지 않게 보강하며, 스커트부(200)의 상부 봉합선(320)을 통해 밀착날개(140)의 상부가 가로 방향으로 당겨지면 밀착날개(140) 및 스커트날개(240)는 형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콧등의 양측에 밀착될 수 있다.
상측 봉합선(311)은 스커트부(200) 상부의 양측에 가해지는 장력을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겸할 수 있다. 또한, 외측 보강선(350)은 스커트부(200)의 상부 봉합선(320)을 통해 가해지는 장력이 밀착날개(140)를 제위치에 고정하는 데에만 사용되고 해당 장력으로 인해 스커트부(200)와 본체 패드(100)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 착용 마스크(1000)는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콧등 주변에 밀착시키기 위한 별도의 코받침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사용자가 착용하는 것만으로 밀착날개(140)가 사용자의 코와 광대뼈 사이의 오목한 부분에 밀착하게 된다. 코받침 부재가 생략되므로, 사용자는 콧등의 형상에 맞게 코받침을 변형시키는 동작을 가할 필요도 없고, 사용자가 마스크(1000)를 손으로 만질 필요도 적어져 마스크(1000)의 오염 가능성 역시 낮아질 수 있다.
밀착 착용 마스크(1000)에 포함될 수 있는 결합선(120), 상측 봉합선(311), 하측 봉합선(313), 상부 봉합선(320), 하부 봉합선(325), 날개 보강선(340), 외측 보강선(350) 및 장력전달 보강선(370, 375) 등의 융착선은 단수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 착용 마스크(1000)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 착용 마스크(1000)를 제조하기 위한 원부재(10)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 착용 마스크(1000)의 제조 과정에서 스커트부(200)가 본체 패드(100) 뒤로 중첩되어 접혀진 형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 착용 마스크(1000)의 제조 과정에서 스커트부(200)의 일부가 펼쳐진 형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000)가 부직포 재료로 제조하는 경우가 일례로 묘사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마스크 제조 단계에서 먼저 본체 패드(100)에 대응하는 부분과 스커트부(200)에 대응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원부재(10)가 준비될 수 있다. 원부재(10)는 부직포 재료의 겉감 및 안감을 포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겉감과 안감 사이에 필터 등의 기타 재료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겉감과 안감이 서로 다른 재료로 구성되거나 서로 다른 색상이나 도안 등이 부여된 경우, 겉감과 안감의 위치는 추후 공정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원부재(10) 상에서 스커트부(200)의 내측 가장자리(22)는 본체 패드(100)의 측부 가장자리(12)와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스커트부(200)의 내측 가장자리(22)와 본체 패드(100)의 측부 가장자리(12)는 소정의 절곡선(15)에 대하여 좌우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원부재(10)에 봉합선 및 보강선이 형성될 수 있고 일차적으로 외측 부분이 절단될 수 있다. 원부재(10)의 지정된 위치에는 전술한 각종 봉합선 및 보강선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측 봉합선(311), 하측 봉합선(313), 상부 봉합선(320), 하부 봉합선(325), 날개 보강선(340), 외측 보강선(350) 및 장력전달 보강선(370, 375)이 지정된 위치에 융착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밀착날개(140) 및/또는 스커트날개(240)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보강영역(330)이 형성될 수 있고, 이는 복수의 날개 보강선(34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날개 보강선(340)을 포함한 다수의 보강선은 중간홈(135) 양측의 밀착날개(140) 및 스커트날개(240)가 충분한 강도를 가져 마스크(1000)가 착용될 때에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원부재(10)에는 연결부(230, 235)를 위한 연결홀(미도시) 등이 가공될 수도 있다. 물론, 착용 끈(30)을 연결부(230, 235)에 장착하는 데에는 여러 방법이 사용될 수 있고, 그 중에는 연결홀을 천공할 필요가 없는 방법도 있다. 예를 들어, 착용 끈(30)은 융착, 재봉, 접착 등의 방법으로 장착될 수 있고, 별도의 커넥터를 경유하여 장착될 수도 있다. 연결부(230, 235)에는 착용 끈(30)이 직접 장착될 수도 있고 착용 끈(30)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미도시)가 장착될 수도 있다. 착용 끈(30) 자체가 또는 착용 끈(30)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요소가 연결부(230, 235)에 결합되는 경우, 이러한 결합 공정은 추후에 수행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한편, 원부재(10)에는 또한 일차 재단이 가해질 수 있는데, 좌우측 스커트부(200)의 외측 가장자리(21)를 따라 원부재(10)가 절단될 수 있다. 도 4에는 일차 재단 공정에서 제거될 수 있는 부분을 예시적으로 표시하였으며, 이는 해칭으로 표시되어 있다.
원부재(10)를 일차적으로 재단하는 공정은 봉합선 및 보강선을 형성하는 공정과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고, 시간차를 두고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일차 재단 공정이 반드시 봉합선 및 보강선을 형성하는 공정 이후에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봉합선 및 보강선이 형성되기 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 착용 마스크(1000)를 제조하는 장치는 롤 등에 권취된 상태로 공급되는 원부재(10)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원부재(10)를 가공할 수 있다. 제조 장치는 전술한 봉합선/보강선 형성 공정을 수행하는 융착기, 일차 재단 공정을 수행하는 재단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공급되는 원부재(10)는 이송되면서 융착기, 재단기 등에 의해 차례로 가공될 수 있다.
이 때, 원부재(10)는 도 4에서와 같이 마스크(1000)의 하부에 해당하는 부분이 먼저 가공되는 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다. 마스크(1000)의 상부에 해당하는 부분이 먼저 가공되도록 하면, 밀착날개(140), 스커트날개(240) 부분 등이 좁은 폭을 갖기 때문에 이후의 원부재(10)를 절곡하는 공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원부재(10)가 스커트부(200)의 외측 가장자리(21)를 따라 일차적으로 재단된 후, 원부재(10)는 절곡선(15)을 따라 절곡될 수 있다. 즉, 밀착 착용 마스크(1000)를 제조하는 장치는 원부재(10)의 양측이 가운데로 접혀지도록 하는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절곡선(15)은, 원부재(10)가 절곡될 때 좌우측의 스커트부(200)가 본체 패드(100)에 중첩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커트부(200) 상부의 스커트날개(240)는 본체 패드(100) 상부의 밀착날개(140)와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원부재(10)가 절곡되면 좌우측 스커트부(200)는 각각 상부가 본체 패드(100) 양측의 대응하는 밀착날개(140)에 온전히 중첩될 수 있다.
원부재(10)가 절곡된 상태에서, 본체 패드(100)와 스커트부(200)는 결합될 수 있고, 본체 패드(100)의 상측 가장자리(11), 측부 가장자리(12) 및 하측 가장자리(13)가 이차적으로 재단될 수 있다. 원부재(10)가 절곡선(15)을 따라 접혀져 본체 패드(100)에 대응하는 부분 위로 스커트부(200)에 대응하는 부분들이 중첩된 상태에서, 융착, 재봉 등에 의해 결합선(120)이 형성될 수 있고, 결합선(120) 너머의 불필요한 부분은 절단될 수 있다.
즉, 밀착 착용 마스크(1000)를 제조하는 장치에 포함된 제2 융착기는 설계된 위치에서 본체 패드(100)와 스커트부(200)를 결합하여 결합선(120)을 형성할 수 있고, 제2 재단기는 본체 패드(100)의 상측 가장자리(11), 측부 가장자리(12) 및 하측 가장자리(13)를 따라 접혀진 원부재(10)를 재단할 수 있다.
여기서, 스커트부(200)의 내측 가장자리(22)는 본체 패드(100)의 측부 가장자리(12)와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본체 패드(100)가 재단되면서 스커트부(200)가 동시에 함께 재단될 수 있다. 또한, 원부재(10)가 절곡된 상태에서 스커트부(200)는 본체 패드(100)의 경계를 벗어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본체 패드(100)의 상측 가장자리(11)와 하측 가장자리(13)를 따라 절단하더라도 스커트부(200)가 영향을 받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5에는 이차 재단이 완성된 후의 마스크(1000)의 모습이 예시되어 있다.
필요한 경우, 밀착 착용 마스크(1000)에 착용 끈(30)을 결합하는 공정도 수행될 수 있다. 마스크를 제조하는 장치는 스커트부(200)를 다시 펼친 후, 스커트부(200)의 연결부(230, 235)에 융착 등의 방식으로 착용 끈(30)을 결합할 수 있다. 도 6에는 착용 끈(30)이 결합된 후의 마스크(1000)의 모습이 예시되어 있다.
원부재(10)가 접힌 상태에서 스커트부(200)가 본체 패드(100)의 양측에 결합되었으므로, 결합선(120)을 따라 결합된 부분 이외의 부분은 하나의 평면 내에서 펼쳐질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배치에서는 밀착 착용 마스크(1000)가 전체적으로 편평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도 6에서 스커트부(200)가 접혀진 선은 도 4의 절곡선(15)과는 상이한 것이며 이들이 반드시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도 아니다.
밀착 착용 마스크(1000)가 편평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음에 따라 본체 패드(100)가 항시 편평한 형상을 유지하게 할 수 있고, 이로써 마스크(1000)를 착용할 때에도 사용자의 코와 입 주변에 공간을 형성하는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밀착 착용 마스크(1000)가 편평한 형상을 유지하는 특성은 밀착 착용 마스크(1000)의 판매를 위한 포장시 특히 유용할 수 있다.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스커트부(200)는 결합선(120)을 절곡된 상태에서 온전히 본체 패드(100) 뒤로 접혀지며 본체 패드(100)의 경계를 벗어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 착용 마스크(1000)는 본체 패드(100)의 크기로 접혀져 제공될 수 있고, 여기서 마스크(1000)는 편평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제조된 마스크(1000)를 포장할 때 적은 양의 포장재로 포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마스크(1000)를 위한 포장은 본체 패드(100)보다 약간 큰 면적의 직사각형 부재 2겹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더 작은 면적으로 마스크(1000)를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완성된 마스크 제품의 포장에 소요되는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위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코받침 부재 없이도 밀착 착용 마스크(1000)가 사용자의 코 양측에 밀착되게 할 수 있는데, 코받침 부재가 생략되므로 코받침 부재를 삽입하는 공정 중에 흔히 발생하는 불량을 낮추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크(1000)의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의 종류가 감소되고 원부재(10)의 절단 공정이 간소화되며 완성 제품이 차지하는 공간을 크게 감소되므로, 결국 마스크(1000)의 제조, 포장 및 유통 측면에서도 비용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밀착 착용 마스크(20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밀착 착용 마스크(2000)에서는 중간홈(135)을 이루는 가장자리가 직선이 아닌 곡선을 이루고 있다. 중간홈(135)에서의 가장자리가 곡선을 그리면서 중간홈(135) 양측의 가장자리가 더 큰 길이로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밀착날개(140)의 변이 더 큰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얼굴과 코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밀착 착용 마스크(1000, 2000)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체 패드(100)는 그 상부에 내측 보강선(360)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보강선(360)은 본체 패드(100)의 측부에 인접한 지점으로부터 중간홈(130)의 저점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내측 보강선(360)이 본체 패드(100)의 상부에서, 구체적으로는 본체 패드(100)에서 폭이 넓게 형성된 부분의 상부에서, 측부 가장자리(12)에 인접한 지점으로부터 중간홈(130)의 저점 부근의 위치를 향해 곡선을 그리며 형성되어 있다.
본체 패드(100)의 하부에도 내측 보강선(365)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 패드(100) 하부의 내측 보강선(365)은 본체 패드(100)의 측부에 인접한 지점으로부터 본체 패드(100)의 하부를 향해 직선, 곡선 또는 원호를 그리며 형성될 수 있다.
내측 보강선(360, 365)은 본체 패드(100)가 편평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도울 수 있고, 이는 본체 패드(100)가 더 효과적으로 사용자의 코와 입 주위에 공간을 형성하게 할 뿐만 아니라 밀착날개(140)와 스커트날개(240)가 더 효과적으로 사용자의 코와 광대뼈 사이의 오목한 부분에 밀착하게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30: 착용 끈 100: 본체 패드
120: 결합선 130: 중간홈
140: 밀착날개 200: 스커트부
330: 보강영역 340: 날개 보강선
350: 외측 보강선 360, 365: 내측 보강선
370, 375: 장력전달 보강선

Claims (10)

  1.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측의 가운데 부분에는 하향으로 파여진 중간홈이 형성되어 상기 중간홈 양측으로 밀착날개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패드; 및
    가로 방향으로 상기 본체 패드의 좌우측 측부 각각에 결합선을 따라 결합되어 상기 본체 패드에 대하여 상기 결합선을 따라 절곡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 패드 및/또는 상기 스커트부는 상부 또는 하부로 향할수록 상기 가로 방향으로의 길이가 감소하여,
    사용자가 상기 스커트부의 연결부에 결합된 양측 착용 끈을 귀에 걸칠 때 상기 본체 패드의 중앙 영역은 상기 세로 방향으로는 전방으로 볼록하되 상기 가로 방향으로는 직선형 단면을 유지하고 상기 밀착날개는 후면 또는 배면으로 기울어져 상기 사용자의 코와 광대뼈 사이의 오목한 부분을 막고,
    상기 스커트부의 상부에는 상기 밀착날개와 대칭되는 형상을 가진 스커트날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 착용 마스크.
  2.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측의 가운데 부분에는 하향으로 파여진 중간홈이 형성되어 상기 중간홈 양측으로 밀착날개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패드; 및
    가로 방향으로 상기 본체 패드의 좌우측 측부 각각에 결합선을 따라 결합되어 상기 본체 패드에 대하여 상기 결합선을 따라 절곡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 패드 및/또는 상기 스커트부는 상부 또는 하부로 향할수록 상기 가로 방향으로의 길이가 감소하여,
    사용자가 상기 스커트부의 연결부에 결합된 양측 착용 끈을 귀에 걸칠 때 상기 본체 패드의 중앙 영역은 상기 세로 방향으로는 전방으로 볼록하되 상기 가로 방향으로는 직선형 단면을 유지하고 상기 밀착날개는 후면 또는 배면으로 기울어져 상기 사용자의 코와 광대뼈 사이의 오목한 부분을 막고,
    상기 밀착날개 부분에서 상기 본체 패드의 가장자리와 상기 결합선 사이의 간격은 나머지 부분에서의 상기 본체 패드의 가장자리와 상기 결합선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밀착날개 부분에서의 상기 본체 패드의 가장자리와 상기 결합선 사이의 영역에 하나 이상의 외측 보강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 착용 마스크.
  3.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측의 가운데 부분에는 하향으로 파여진 중간홈이 형성되어 상기 중간홈 양측으로 밀착날개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패드; 및
    가로 방향으로 상기 본체 패드의 좌우측 측부 각각에 결합선을 따라 결합되어 상기 본체 패드에 대하여 상기 결합선을 따라 절곡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하되,
    사용자의 마스크 착용시 착용 끈이 결합되는 상기 스커트부의 연결부와 상기 본체 패드의 중앙 영역을 잇는 경로 상에는 장력이 발생하고,
    상기 장력은 상기 본체패드의 중앙 영역이 상기 세로 방향으로는 전방으로 볼록하되 상기 가로 방향으로는 직선형 단면을 유지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밀착날개는 후면 또는 배면으로 기울어져 상기 사용자의 코와 광대뼈 사이의 오목한 부분을 막고,
    상기 스커트부의 상부에는 상기 밀착날개와 대칭되는 형상을 가진 스커트날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 착용 마스크.
  4.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측의 가운데 부분에는 하향으로 파여진 중간홈이 형성되어 상기 중간홈 양측으로 밀착날개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패드; 및
    가로 방향으로 상기 본체 패드의 좌우측 측부 각각에 결합선을 따라 결합되어 상기 본체 패드에 대하여 상기 결합선을 따라 절곡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하되,
    사용자의 마스크 착용시 착용 끈이 결합되는 상기 스커트부의 연결부와 상기 본체 패드의 중앙 영역을 잇는 경로 상에는 장력이 발생하고,
    상기 장력은 상기 본체패드의 중앙 영역이 상기 세로 방향으로는 전방으로 볼록하되 상기 가로 방향으로는 직선형 단면을 유지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밀착날개는 후면 또는 배면으로 기울어져 상기 사용자의 코와 광대뼈 사이의 오목한 부분을 막고,
    상기 밀착날개 부분에서 상기 본체 패드의 가장자리와 상기 결합선 사이의 간격은 나머지 부분에서의 상기 본체 패드의 가장자리와 상기 결합선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밀착날개 부분에서의 상기 본체 패드의 가장자리와 상기 결합선 사이의 영역에 하나 이상의 외측 보강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 착용 마스크.
  5.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측의 가운데 부분에는 하향으로 파여진 중간홈이 형성되어 상기 중간홈 양측으로 밀착날개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패드; 및
    가로 방향으로 상기 본체 패드의 좌우측 측부 각각에 결합선을 따라 결합되어 상기 본체 패드에 대하여 상기 결합선을 따라 절곡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 패드 및/또는 상기 스커트부는 상부 또는 하부로 향할수록 상기 가로 방향으로의 길이가 감소하여,
    사용자가 상기 스커트부의 연결부에 결합된 양측 착용 끈을 귀에 걸칠 때 상기 본체 패드의 중앙 영역은 상기 세로 방향으로는 전방으로 볼록하되 상기 가로 방향으로는 직선형 단면을 유지하고 상기 밀착날개는 후면 또는 배면으로 기울어져 상기 사용자의 코와 광대뼈 사이의 오목한 부분을 막고,
    상기 스커트부는 착용 끈이 결합되는 연결부로부터 상기 본체 패드의 중앙 영역을 향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장력전달 보강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 착용 마스크.
  6.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측의 가운데 부분에는 하향으로 파여진 중간홈이 형성되어 상기 중간홈 양측으로 밀착날개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패드; 및
    가로 방향으로 상기 본체 패드의 좌우측 측부 각각에 결합선을 따라 결합되어 상기 본체 패드에 대하여 상기 결합선을 따라 절곡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 패드 및/또는 상기 스커트부는 상부 또는 하부로 향할수록 상기 가로 방향으로의 길이가 감소하여,
    사용자가 상기 스커트부의 연결부에 결합된 양측 착용 끈을 귀에 걸칠 때 상기 본체 패드의 중앙 영역은 상기 세로 방향으로는 전방으로 볼록하되 상기 가로 방향으로는 직선형 단면을 유지하고 상기 밀착날개는 후면 또는 배면으로 기울어져 상기 사용자의 코와 광대뼈 사이의 오목한 부분을 막고,
    상기 본체 패드는 측부에 인접한 지점으로부터 상기 중간홈의 저점 또는 상기 본체 패드의 하부를 향해 직선 또는 곡선을 그리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내측 보강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 착용 마스크.
  7.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측의 가운데 부분에는 하향으로 파여진 중간홈이 형성되어 상기 중간홈 양측으로 밀착날개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패드; 및
    가로 방향으로 상기 본체 패드의 좌우측 측부 각각에 결합선을 따라 결합되어 상기 본체 패드에 대하여 상기 결합선을 따라 절곡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하되,
    사용자의 마스크 착용시 착용 끈이 결합되는 상기 스커트부의 연결부와 상기 본체 패드의 중앙 영역을 잇는 경로 상에는 장력이 발생하고,
    상기 장력은 상기 본체패드의 중앙 영역이 상기 세로 방향으로는 전방으로 볼록하되 상기 가로 방향으로는 직선형 단면을 유지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밀착날개는 후면 또는 배면으로 기울어져 상기 사용자의 코와 광대뼈 사이의 오목한 부분을 막고,
    상기 스커트부는 착용 끈이 결합되는 연결부로부터 상기 본체 패드의 중앙 영역을 향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장력전달 보강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 착용 마스크.
  8.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측의 가운데 부분에는 하향으로 파여진 중간홈이 형성되어 상기 중간홈 양측으로 밀착날개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패드; 및
    가로 방향으로 상기 본체 패드의 좌우측 측부 각각에 결합선을 따라 결합되어 상기 본체 패드에 대하여 상기 결합선을 따라 절곡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하되,
    사용자의 마스크 착용시 착용 끈이 결합되는 상기 스커트부의 연결부와 상기 본체 패드의 중앙 영역을 잇는 경로 상에는 장력이 발생하고,
    상기 장력은 상기 본체패드의 중앙 영역이 상기 세로 방향으로는 전방으로 볼록하되 상기 가로 방향으로는 직선형 단면을 유지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밀착날개는 후면 또는 배면으로 기울어져 상기 사용자의 코와 광대뼈 사이의 오목한 부분을 막고,
    상기 본체 패드는 측부에 인접한 지점으로부터 상기 중간홈의 저점 또는 상기 본체 패드의 하부를 향해 직선 또는 곡선을 그리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내측 보강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 착용 마스크.
  9. 삭제
  10. 삭제
KR1020210105790A 2021-08-11 2021-08-11 밀착 착용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2388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790A KR102388730B1 (ko) 2021-08-11 2021-08-11 밀착 착용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790A KR102388730B1 (ko) 2021-08-11 2021-08-11 밀착 착용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925A KR20210106925A (ko) 2021-08-31
KR102388730B1 true KR102388730B1 (ko) 2022-04-20

Family

ID=77489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790A KR102388730B1 (ko) 2021-08-11 2021-08-11 밀착 착용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87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963U (ko) 2021-11-04 2023-05-11 김광수 마스크
KR20220099925A (ko) * 2022-06-17 2022-07-14 위드클린 주식회사 세로형 본체 패드를 가진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817A (ko) * 2019-04-19 2020-10-28 조경찬 밀착성이 향상된 마스크
KR20210052403A (ko) * 2021-04-19 2021-05-10 구홍식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925A (ko) 202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8730B1 (ko) 밀착 착용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AU2011253869B2 (en) Mask
CN110769900B (zh) 呼吸半面罩
KR102522613B1 (ko) 마스크
JP7264579B2 (ja) 使い捨てマスク
MX2009000135A (es) Articulo de uso tipo pantalon.
KR101918084B1 (ko) 공기챔버 확보형 주름 마스크
JP3734660B2 (ja) マ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770697A (zh) 一次性口罩
KR102283616B1 (ko) 끈 조절 구조가 개선된 입체형 접이식 마스크
JP2022547496A (ja) 防塵マスク
KR102259991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귀걸이부를 구비한 접이식 안면 마스크
KR20200128846A (ko) 스트랩 길이 조절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TWM605836U (zh) 可調整耳帶之口罩
KR20220013429A (ko) 마스크 제조장치
KR102654650B1 (ko) 마스크
KR20210052403A (ko) 마스크
KR102280704B1 (ko) 일회용 마스크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7117599A (ja) マスク
WO2023008429A1 (ja) マスク
KR102551151B1 (ko)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99925A (ko) 세로형 본체 패드를 가진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JP3216529U (ja) マスク
KR20210145569A (ko) 마스크
JP3232543U (ja) マ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