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8671B1 - 투수블록 - Google Patents

투수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8671B1
KR102388671B1 KR1020210119599A KR20210119599A KR102388671B1 KR 102388671 B1 KR102388671 B1 KR 102388671B1 KR 1020210119599 A KR1020210119599 A KR 1020210119599A KR 20210119599 A KR20210119599 A KR 20210119599A KR 102388671 B1 KR102388671 B1 KR 102388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meable block
adjacent
horizontal direction
respect
parall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석
Original Assignee
박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석 filed Critical 박종석
Priority to KR1020210119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86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면, 하부면 및 네 개의 측면을 가지는 투수블록에 있어서, 중앙부에 상부면과 하부면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 요입부가 형성되는 제1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과 대향하며, 중앙부에 상부면과 하면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는 제2 측면;을 포함하는 투수블록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투수블록{WATER PERMEABLE BLOCK}
본 발명은 구조가 개선된 투수블록에 관한 것이다.
투수블록은 빗물 등이 블록을 통과하여 지중으로 내려가게 하는 것을 총칭하며, 블록 자체가 투수되는 제품과 인접하는 투수블록 틈새로 투수가 되는 제품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시공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미세먼지 등의 이물이 표층에 쌓이게 되면, 투수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투수를 위한 공극 형성으로 인해 구조적으로 내구성이 약한 단점이 있다.
후자의 경우,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5735호(발명의 명칭: 차도용 틈새 투수성 블록) 등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지중으로 투수된 물의 역류를 방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기술은 인접한 블록과의 체결 구조상 인접면에 큰 하중이 가해질 경우 블록층의 평면도 유지력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 부동침하 또는 싱크홀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를 개선하여 효과적으로 투수된 물의 역류(오버플로우) 및 부동침하 방지를 구현할 수 있는 투수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부면, 하부면 및 네 개의 측면을 가지는 투수블록에 있어서, 중앙부에 상부면과 하부면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 요입부가 형성되는 제1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과 대향하며, 중앙부에 상부면과 하면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는 제2 측면;을 포함하는 투수블록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요입부는, 상기 하부면과 인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1 평행면;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1 수직면; 및 상기 상부면과 인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수직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부면과 인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 평행면;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2 수직면; 및 상기 상부면과 인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수직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여 상기 요입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2 측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요입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돌출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측면과 제2 측면 사이의 제3 측면에는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2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부면은 상부면 방향으로 반원구 형상으로 요입 형성되는 저장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홈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면에는 인접하는 저장홈을 연결하는 연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홈 및 연결홈에 도포 또는 코팅되는 방수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측면과 제2 측면에 각각 제1 경사면 제1 수직면 및 수평면으로 구현된 요입부와 돌출부를 형성하여 인접하는 투수블록의 틈새로 투수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지중에서부터의 역류를 방지하고 부동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측면 또는 제2 측면에 리브를 형성하여 지중에서부터의 역류를 방지하고 틈새모래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면에 저장홈이 형성되어 지중으로부터 역류할 수 있는 물을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으며, 더욱이, 다수 개의 저장홈을 연결하는 연결홈으로 인해 효과적인 물의 분배 저장 및 역류 방지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수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수블록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수블록이 연결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수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수블록의 저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수블록이 연결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수블록(100)은 상부면(110)과 하부면(120), 그리고 네 개의 측면(130 내지 160)으로 형성되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투수블록(100)은 규사, 시멘트, 자갈 등의 혼합물로써 압축 및 진동성형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공극을 통해 기본적인 투수성을 가질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수블록(100)의 네 개의 측면 중 제1 측면(130)은 중앙부에 상부면(110)과 하부면(120)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 요입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요입부(131)는 상기 하부면(120)과 인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부면(120)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1 평행면(132)과, 상기 상부면(110)과 하부면(120)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1 수직면(133)과, 상기 상부면(110)과 인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수직면(133)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면(13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수블록(100)의 네 개의 측면 중 제2 측면(140)은 상기 제1 측면(130)과 대향하며, 중앙부에 상부면(110)과 하면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부(141)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141)는 상기 하부면(120)과 인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부면(120)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 평행면(142)과, 상기 상부면(110)과 하부면(120)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2 수직면(143)과, 상기 상부면(110)과 인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수직면(143)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면(144)을 포함하여 상기 요입부(13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2 측면(140)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요입부(131)와 돌출부(141)의 구조는 일단 인접하는 투수블록(100)과의 체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투수블록(100) 간의 틈새를 라비린스 구조로 형성하면서 상측에 경사면을 두기 때문에 투수가 용이하지만 역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투수블록(100)의 일측(예를 들어 돌출부(141) 방향)으로 외력이 크게 작용하여도 타측의 요입부(131)의 제1 평행면(132)이 다른 투수블록(100)의 제2 평행면(142)에 의해 모멘트 이동이 방지되어 투수블록(100) 간 평면도가 유지되기 때문에, 부동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측면(130) 또는 제2 측면(140)은 상기 요입부(131)의 상측 또는 하측에 상기 상부면(110)과 하부면(120)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리브(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리브(160)에 의해, 인접하는 투수블록(100)과의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4~6mm의 틈새를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틈새모래의 유실 방지 및 투수균질성을 담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리브(160)는 상기 제1 측면(130) 또는 제2 측면(140)의 폭에 대응되는 하나의 리브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투수성을 고려하여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속적으로 다수 개가 평행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제1 리브(160)는 상기 상부면(110) 방향으로 중앙이 꺾인 ㅅ자 형상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어 투수성을 향상시키고 역류 방지를 도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 측면(130)과 제2 측면(140) 사이의 제3 측면(150)에는 상기 상부면(110)과 하부면(120)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2 리브(17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2 리브(170)는 인접하는 투수블록(100)과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면(120)은 상부면(110) 방향으로 반원구 형상으로 요입 형성되는 저장홈(12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지중으로부터 역류하는 물을 1차적으로 저장하여 오버플로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홈(121)의 반원구 형상은 상기 상부면(110)을 통해 가해지는 외력을 매우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며, 투수블록(100)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홈(121)의 요입된 높이는 상기 하부면(120)에서부터 바닥면 사이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내구성 및 강도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장홈(121)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면(120)에는 인접하는 저장홈(121)을 연결하는 연결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나의 저장홈(121) 방향(국부적)으로 역류되는 물을 상기 연결홈(122)을 통해 효과적으로 다른 저장홈(121)으로 이동시켜 더욱 향상된 역류 방지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투수블록(100)은 기본적인 투수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투수블록(100)은 상기 저장홈(121) 및 연결홈(122)에 도포 또는 코팅되는 방수층(18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은 제1 측면(130)과 제2 측면(140)에 각각 제1 경사면(134) 제1 수직면(133) 및 수평면으로 구현된 요입부(131)와 돌출부(141)를 형성하여 인접하는 투수블록(100)의 틈새로 투수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킴과 동시에 지중에서부터의 역류를 방지하고 부동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측면(130) 또는 제2 측면(140)에 리브를 형성하여 지중에서부터의 역류를 방지하고 틈새모래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면(120)에 저장홈(121)이 형성되어 지중으로부터 역류할 수 있는 물을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으며, 더욱이, 다수 개의 저장홈(121)을 연결하는 연결홈(122)으로 인해 효과적인 물의 분배 저장 및 역류 방지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0: 투수블록 110: 상부면
120: 하부면 121: 저장홈
122: 연결홈 130: 제1 측면
131: 요입부 132: 제1 평행면
133: 제1 수직면 134: 제1 경사면
140: 제2 측면 141: 돌출부
142: 제2 평행면 143: 제2 수직면
144: 제2 경사면 150: 제3 측면
160: 제1 리브 170: 제2 리브
180: 방수층

Claims (10)

  1. 상부면, 하부면 및 네 개의 측면을 가지는 투수블록에 있어서,
    중앙부에 상부면과 하부면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 요입부가 형성되는 제1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과 대향하며, 중앙부에 상부면과 하면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는 제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요입부는,
    상기 하부면과 인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1 평행면;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1 수직면; 및
    상기 상부면과 인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수직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부면과 인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 평행면;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2 수직면; 및
    상기 상부면과 인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수직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여 상기 요입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2 측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돌출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단속적으로 다수 개가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1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요입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과 제2 측면 사이의 제3 측면에는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2 리브를 포함하고,
    하부면은 상부면 방향으로 반원구 형상으로 요입 형성되는 저장홈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홈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면에는 상호 인접하는 저장홈을 연결하는 연결홈이 형성되는 투수블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홈 및 연결홈에 도포 또는 코팅되는 방수층을 더 포함하는 투수블록.
KR1020210119599A 2021-09-08 2021-09-08 투수블록 KR102388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599A KR102388671B1 (ko) 2021-09-08 2021-09-08 투수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599A KR102388671B1 (ko) 2021-09-08 2021-09-08 투수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8671B1 true KR102388671B1 (ko) 2022-04-20

Family

ID=81395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599A KR102388671B1 (ko) 2021-09-08 2021-09-08 투수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86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9603A (ja) * 1995-01-31 1996-08-13 Shinsei Kosan Kk 舗石ブロック
KR20050091770A (ko) * 2003-02-12 2005-09-15 니혼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포장용 블록
KR20080098718A (ko) * 2007-05-07 2008-11-12 제이비아이 주식회사 배수관로를 갖는 투수블럭
KR20130059247A (ko) * 2011-11-28 2013-06-05 유니손 코포레이션 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9603A (ja) * 1995-01-31 1996-08-13 Shinsei Kosan Kk 舗石ブロック
KR20050091770A (ko) * 2003-02-12 2005-09-15 니혼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포장용 블록
KR20080098718A (ko) * 2007-05-07 2008-11-12 제이비아이 주식회사 배수관로를 갖는 투수블럭
KR20130059247A (ko) * 2011-11-28 2013-06-05 유니손 코포레이션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6011A (en) Frames for installing wooden bricks
US11220792B2 (en) Structural element for forming a ground covering
KR101302936B1 (ko) 단지, 조경, 공원, 하천, 도로에 사용되는 데크 조립체
KR101011907B1 (ko) 인조 잔디 구조체의 배수보드
JPH08506638A (ja) 特にコンクリートから成るプレート状舗石
KR102388671B1 (ko) 투수블록
US9963834B2 (en) Monolithic paver
ZA200606926B (en) Loosely laid natural stone panel floor
KR102121907B1 (ko) 충격 완충 기능을 갖는 데크 플레이트 체결 장치 및 그것이 적용된 데크
US9644326B1 (en) Monolithic paver
CN209555684U (zh) 一种透水地面以及地砖
KR102448199B1 (ko) 조립식 합성블록
JP4300232B2 (ja) コンクリート床構造
KR101365436B1 (ko)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EA014868B1 (ru) Опор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слабых грунтов
KR20180087603A (ko) 내구성이 강화된 친환경 고강도 합성데크 조립체
KR100590409B1 (ko) 조립식 건축용 바닥패널
KR100818794B1 (ko) 하상보호블록
CN107268368A (zh) 锁扣缝隙透水砖
JP4837771B2 (ja) 連結型境界ブロック
CN214460371U (zh) 一种装配式土钉墙
KR102003726B1 (ko) 수축 및 팽창에 대한 보상 기능을 갖는 바닥재 시공방법 및 그에 따른 바닥재
JP3138736U (ja) 敷設又は法面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2002317503A (ja) 土台用スペーサー
JP2004052472A (ja) 舗装道路、舗装道路構築用の保砂構造体、舗装道路の路面安定方法及び道路の舗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