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8497B1 - 자동 수직 의류 압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수직 의류 압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8497B1
KR102388497B1 KR1020200063874A KR20200063874A KR102388497B1 KR 102388497 B1 KR102388497 B1 KR 102388497B1 KR 1020200063874 A KR1020200063874 A KR 1020200063874A KR 20200063874 A KR20200063874 A KR 20200063874A KR 102388497 B1 KR102388497 B1 KR 102388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compression
coupled
frame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6718A (ko
Inventor
김애자
김관옥
Original Assignee
(주)삼일무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일무역 filed Critical (주)삼일무역
Priority to KR1020200063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8497B1/ko
Publication of KR20210146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6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0Feeding material to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용이 가능한 물품 특히 헌옷을 압축하여 포장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재활용 의류, 플라스틱, 폐PET병, PE, PS 또는 폐지나 캔, 비닐 등 재활용이 가능한 재활용 물품의 투입량을 정량화할 수 있고, 압축밀도를 일정하게 부여하여 압축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 압축밀도를 향상시키며, 이에 따라 재활용품 특히, 의류의 부피를 줄임으로써, 재생을 위한 보관 및 운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자동 수직 의류 압축장치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자동 수직 의류 압축장치{Automatic vertical clothing compression device}
본 발명은 재활용이 가능한 물품 특히 헌옷을 압축하여 포장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재활용 의류, 플라스틱, 폐PET병, PE, PS 또는 폐지나 캔, 비닐 등 재활용이 가능한 재활용 물품의 투입량을 정량화할 수 있고, 압축밀도를 일정하게 부여하여 압축효율을 극대화시키도록 압축밀도를 향상시키며, 이에 따라 재활용품 특히, 의류의 부피를 줄임으로써, 재생을 위한 보관 및 운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자동 수직 의류 압축장치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 및 가정 등에서 버려지는 소정 물품은 재활용의 가능 여부에 따라 각각 종류별로 분리 수거되고 있으며, 또한 수거된 재활용이 가능한 물품은 이송 및 보관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특정 구조를 갖는 재활용 물품 압축기를 통해 그 부피가 대폭 줄어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재활용품 압축기는 압축챔버와, 상기 압축챔버의 내부로 재활용 품품이 투입되는 호퍼가 구비되고, 또한 상기 압축챔버의 후방에는 상기 호퍼를 통해 투입된 재활용 물품을 압축시키기 위한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로드와 함께 연동하여 전,후 방향으로 주행하면서 재활용 물품에 압력을 가하는 압축수단이 실린더의 로드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챔버의 내부로 이동됨으로써, 재활용품을 압축시킨다.
상기 압축챔버의 전방에는 상기 압축수단을 매개로 압축된 후 결혹된 소정 재활용 물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도어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압축챔버 내에서 상기 압축수단이 왕복운동 하여 상기 압축챔버의 상기 도어 부분에 상기 재활용품을 몰아서 압축시켜 최종적으로 압축된 재활용품이 상기 도어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재활용품 압축기는 압축대상인 재활용 물품을 호퍼를 통해 투입해야 하는데, 이때 작업자에 의해 투입되는 재활용 물품의 투입량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고, 규격화된 수집함에 재활용 물품을 수집하여 투입량을 일정하게 한다고 하여도 수집된 재활용 물품의 무게가 상당하여 쉽게 호퍼에 투입하기 힘든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재활용품 압축기는 상기 압축수단의 왕복운동시 상기 실린더의 압력에 의해서만 제어되므로, 상기 압축수단이 이송되는 구간이 일정하지 않게 되고, 정확한 압력측정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압축되어 배출될 때 재활용품 규격(전체적인 크기 및 밀도 등)이 일정하지 않아 압축효율이 불규칙해 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재활용품 압축기는 상기 압축수단과 상기 압축챔버의 사이에 이송시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일정한 이격공간이 형성되는데, 상기 이격공간 사이로 압축되기 전의 재활용품이 유입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유입된 재활용품은 상기 압축챔버 내부의 바닥에 쌓여 상기 압축수단의 왕복운동을 방해하게 되고 재활용품 압축기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재활용품 압축기는 하부방향으로 재활용 품을 압축시킬 때, 대량의 재활용 물품을 투입하여 압축하기 어려워 측방향으로 재활용 물품을 압축하는 구조의 압축기가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나, 측방향으로 재활용 물품을 압축하는 구조는 압축된 재활용 물품의 포장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구조상 압축력을 견디는 내구성이 필요하여 장치의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58535호(2019.03.08.)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7026호(2009.07.08.)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41459호(2001.07.2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06856호(2000.10.0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04847호(2000.09.18.)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재활용품 압축기는 압축되기 위한 재활용 물품의 투입량을 정량화시키기 어렵고, 압축밀도를 일정하게 부여하기 어려우며, 압축된 재활용 물품의 배출이 배출장치에 걸려 배출장치가 고장나거나 배출이 안될 수 있어 전체적인 장치의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정량의 재활용 물품 특히 헌옷을 내부에 정량 수용할 수 있는 대차를 이용하여 재활용 물품을 수집하고, 대차에 수용된 재활용 물품을 압축틀부재의 개방된 상부로 투입하여 압축한 후 상기 압축틀부재를 상부로 이동시켜 압축된 재활용 물품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재생을 위한 재활용 물품의 보관 및 운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수직 의류 압축장치를 통하여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다수의 헌옷을 수용하는 대차와 상기 대차를 상부로 이동시킨 후 전방으로 상기 대차를 기울여 상기 헌옷을 전방 하부로 배출하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로부터 배출되는 헌옷을 공급받아 압축하는 압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직 의류 압축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승강부는 상기 대차를 상부로 이동시킨 후 전방으로 상기 대차를 기울여 헌옷을 전방으로 배출하는 수직이동부와 상기 수직이동부의 전방 상부에 후방이 결합되어 상기 대차로부터 배출된 헌옷을 공급받고, 전방 하부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헌옷을 전방으로 배출시키는 전방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직이동부는 상부가 전방 하부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후방에 상하부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상부에 전방 상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대차가 안착되는 회동부재 및 상기 회동부재의 전방에 로드의 말단이 전후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수직부재의 하부에 하부가 전후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동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수직부재의 상부에 전방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프레임과 상부 전방에 상기 한 쌍의 회전프레임이 일체로 결합되는 "ㄴ" 형상의 제2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지지프레임은 상부 전방에 상기 한 쌍의 회전프레임이 일체로 결합되고, 하부에 후방으로 하부지지프레임이 돌출되도록 일체로 결합되는 수직지지프레임과 상기 수직지지프레임의 양측 상부에 후방으로 돌출되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바와 상기 수직지지프레임의 후면과 상기 한 쌍의 지지바의 내측면에 하부가 결합되고, 내부 양측면 하부에 일체로 상부지지바가 결합되는 "ㄷ" 형상의 배출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압축부는 후방이 개방된 베이스프레임과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하부로 이동되면 개방된 상부로 상기 승강부로부터 배출되는 헌옷을 공급받는 압축틀부재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측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압축틀부재의 내부로 인입출 가능한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상기 압축틀부재의 개방된 하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형성되고,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 복수 개의 하부인입홈이 형성되는 포장돌출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하부면에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하부인입홈과 대응되는 복수 개의 상부인입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수직 의류 압축장치는 재활용 의류, 플라스틱, 폐PET병, PE, PS 또는 폐지나 캔, 비닐 등의 재활용 물품 특히 헌옷을 압축하여 부피를 줄이되, 압축되기 위한 재활용 물품의 투입량을 정량화함으로써, 압축밀도를 일정하게 부여하여 압축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와 이에 따라 재생을 위한 재활용 물품의 보관 및 운송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축틀부재의 상부를 개방하고, 개방된 상부로 재활용 물품이 원활하게 투입되도록 하며, 재활용 물품을 압축한 후 상기 압축틀부재를 상부로 이동시켜 재활용 물품이 압축된 상태에서 포장이 가능하여 포장 및 배출이 용이함에 따라 재활용품을 신속하게 원활하게 압축, 포장 및 배출되도록 하여 작업속도가 월등하게 향상되므로 작업 능률이 대폭 향상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압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압축장치를 나타낸 다른 각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압축장치를 나타낸 또 다른 각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압축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압축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제1측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압축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제2측면도.
도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압축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제3측면도.
도 5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압축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제4측면도.
도 5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압축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제5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승강부의 승강실린더 상부(a)와 하부(b)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승강부의 수직이동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발람직한 실시예 의한 승강부의 수직이동부를 나타낸 다른 각도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수직이동부의 회동부재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수직이동부의 회동부재를 나타낸 부분 확대 저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수직이동부의 회동부재를 나타낸 부분 확대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수직이동부의 회동부재를 나타낸 부분 확대 배면도(a)와 대차의 하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 배면도(b).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압축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압축부의 베이스프레임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a)와 가압부재를 나타낸 부분 저면 사시도(b).
본 발명은 재활용이 가능한 물품 특히 헌옷(1)을 압축하여 포장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재활용 의류, 플라스틱, 폐PET병, PE, PS 또는 폐지나 캔, 비닐 등 재활용이 가능한 재활용 물품 특히 헌옷(1)을 압축시켜 포장시킴으로서, 부피를 줄여 재생을 위한 보관 및 운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수직 의류 압축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재활용 물품(이하, '헌옷(1)'이라 한다.)을 일정량 수집할 수 있는 대차(100)를 이용하여 압축부(300)에 공급함으로써, 압축되는 헌옷(1)의 투입량을 정량화시킬 수 있어 압축밀도를 비교적 일정하게 부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압축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재활용 물품 압축장치 중 수직으로 재활용 물품을 압축하는 방식을 이용하되, 상하부가 개방된 압축틀부재(320)를 이용하여 개방된 상부로 헌옷(1)의 공급 즉, 투입이 용이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헌옷(1)의 압축 후 상부로 이동되어 압축된 헌옷(1)의 포장 및 배출이 용이하여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다수의 헌옷(1)을 수용하는 대차(100);와 상기 대차(100)를 상부로 이동시킨 후 전방으로 상기 대차(100)를 기울여 상기 헌옷(1)을 전방 하부로 배출하는 승강부(200); 및 상기 승강부(200)로부터 배출되는 헌옷(1)을 공급받아 압축하는 압축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승강부(200)는 상기 대차(100)를 상부로 이동시킨 후 전방으로 상기 대차(100)를 기울여 헌옷(1)을 전방으로 배출하는 수직이동부(210);와 상기 수직이동부(210)의 전방 상부에 후방이 결합되어 상기 대차(100)로부터 배출된 헌옷(1)을 공급받고, 전방 하부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헌옷(1)을 전방으로 배출시키는 전방이동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직이동부(210)는 상부가 전방 하부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제1지지프레임(222);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222)의 후방에 상하부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수직부재(224);와 상기 수직부재(224)의 상부에 전방 상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대차(100)가 안착되는 회동부재(226); 및 상기 회동부재(226)의 전방에 로드의 말단이 전후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수직부재(224)의 하부에 하부가 전후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동실린더(22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회동부재(226)는 상기 수직부재(224)의 상부에 전방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프레임(226a);과 상부 전방에 상기 한 쌍의 회전프레임(226a)이 일체로 결합되는 "ㄴ" 형상의 제2지지프레임(226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지지프레임(226b)은 상부 전방에 상기 한 쌍의 회전프레임(226a)이 일체로 결합되고, 하부에 후방으로 하부지지프레임(226b-2)이 돌출되도록 일체로 결합되는 수직지지프레임(226b-1);과 상기 수직지지프레임(226b-1)의 양측 상부에 후방으로 돌출되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바(226b-3);와 상기 수직지지프레임(226b-1)의 후면과 상기 한 쌍의 지지바(226b-3)의 내측면에 하부가 결합되고, 내부 양측면 하부에 일체로 상부지지바(226b-5)가 결합되는 "ㄷ" 형상의 배출가이드프레임(226b-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압축부(300)는 후방이 개방된 베이스프레임(310);과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프레임(31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하부로 이동되면 개방된 상부로 상기 승강부(200)로부터 배출되는 헌옷(1)을 공급받는 압축틀부재(320);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310)의 내측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압축틀부재(320)의 내부로 인입출 가능한 가압부재(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프레임(310)은 상기 압축틀부재(320)의 개방된 하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형성되고,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 복수 개의 하부인입홈(312a)이 형성되는 포장돌출부(31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압부재(330)는 하부면에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하부인입홈(312a)과 대응되는 복수 개의 상부인입홈(33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1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대차(100)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다수의 헌옷(1)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하부에 다수의 바퀴(미표시)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쉽게 수용된 헌옷(1)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수용공간을 통해 일정량의 헌옷(1)이 수집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압축부(300)에 정량의 헌옷(1)이 투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대차(100)는 제조가 간편하고, 흔히 말하는 플라스틱 재질의 이사용 박스가 내부에 쉽게 안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사각의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대차(100)는 사각의 통 형상을 이루고 상부가 개방된 지지틀프레임(미표시)과, 상기 지지틀프레임의 내부에 안착되어 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된 수집박스(미표시) 및 상기 지지틀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바퀴(미표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집박스의 내부에 헌옷(1)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집박스가 상기 지지틀프레임의 내측에 안착되어 설치됨으로써, 사각의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틀프레임은 후방 하부에 단턱(미표시)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단턱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회동부재(226)의 회전봉(226b-2-a)에 구비된 걸림고리(226b-2-b)가 상기 회전봉(226b-2-a)의 회전에 의해 걸림으로써, 상기 대차(100)가 이후에 자세히 자세히 설명될 승강부(200)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대차(100)는 작업자가 수거된 헌옷(1)이 쌓여 있는 장소 즉, 수집장소에서 다수의 헌옷(1)이 상기 수집박스의 수용공간에 적재되고, 작업자는 바퀴를 이용하여 쉽게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승강부(200)로 이동시킴으로써,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대차(100)는 수거된 헌옷(1)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이사용 박스에 적재되어 오는 경우, 기존에 안착되어 설치되어 있는 수집박스를 제거한 후 지지틀프레임의 내측에 헌옷(1)이 수거되어 적재되어 있는 이사용 박스를 쉽게 안착하여 설치함으로써, 보다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대차(100)는 후방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승강부(200)에서 상승된 후 전방으로 기울어질 때, 후방 상부에 적재되어 있는 헌옷(1)이 쉽게 쏟아지도록 함으로써, 수용공간에 수집된 다수의 헌옷(1)이 모두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고, 이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압축부(300)로 헌옷(1)이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부가하여, 본 발명의 대차(100)의 후방 상부가 개방되어 있다는 것은 앞서 설명된 지지틀프레임과 수집박스의 후방 상부가 개방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후방 상부가 개방됨으로써, 작업자가 헌옷(1)을 보다 용이하게 대차(100)에 적재할 수 있는 효과 또한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대차(100)는 하부에 돌출형성되되,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형성되도록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 복수 개의 결합홈(110)이 형성되는 결합돌부(미표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결합돌부의 결합홈(110)에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회동부재(226)의 결합바(226b-2-d)가 슬라이딩되어 결합됨으로써, 승강부(200)에 안착되어 설치될 때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홈(110)은 상부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홈(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걸림홈은 앞서 설명된 결합바(226b-2-d)의 상부 양측에 돌출형성되는 결합돌기(미표시)가 내입되어 상기 대차(100)가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승강부(200)는
상기 대차(100)를 상부로 이동시킨 후 전방으로 상기 대차(100)를 기울여 상기 헌옷(1)을 전방 하부로 배출하는 것으로서, 상기 헌옷(1)을 전방 하부로 배출하여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압축부(300)의 압축틀부재(32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기 압축틀부재(320)의 내부로 상기 헌옷(1)이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승강부(200)는 다수의 헌옷(1)이 수용된 대차(100)를 상부로 이동시킨 후 전방 하부방향으로 배출함으로써, 압축부(300)로 다수의 헌옷(1)이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신속하게 다수의 헌옷(1)이 투입될 수 있도록 상기 압축부(300)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승강부(200)는 상기 대차(100)를 상부로 이동시킨 후 전방으로 상기 대차(100)를 기울여 상기 대차(100)에 수용된 다수의 헌옷(1)을 전방으로 배출하는 수직이동부(210)와, 상기 수직이동부(210)의 전방 상부에 후방이 결합되어 상기 대차(100)로부터 배출된 다수의 헌옷(1)을 공급받고, 전방하부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대차(100)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다수의 헌옷(1)을 전방으로 즉, 전방 하부방향으로 배출시키는 전방이동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승강부(200)는 상기 수직이동부(210)와 전방이동부(220)를 통해 대차(100)에 수용되어 있는 다수의 헌옷(1)을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압축부(300)의 압축틀부재(320)의 개방된 상부로 투입되도록 하되, 수직방향이 아닌 전방 하부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투입되도록 하여 다수의 헌옷(1)이 용이하게 상기 압축틀부재(320)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 수직이동부(210)는 상기 대차(100)를 상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주요 구성으로서, 상부가 전방 하부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제1지지프레임(222)과, 상기 수직부재(224)의 상부에 전방 상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대차(100)가 안착되어 결합되는 회동부재(226) 및 상기 회동부재(226)의 전방 상부에 로드의 말단이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수직부재(224)의 하부에 하부가 전후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동실린더(22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222)은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상부에 전방이동부(220)의 후방이 결합되어 상기 전방이동부(220)가 전방 하부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지지프레임(222)은 내부 후방 양측에 형성되는 레일홈(222a)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레일홈(222a)을 따라 상기 수직부재(224)가 상하부로 이동가능할 수 있도록 하며, 이때, 상기 수직부재(224)는 상기 레일홈(222a)에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가이드롤러(224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직부재(224)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222)의 후방에 상하부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회동부재(226)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회동부재(226)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대차(10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수직부재(224)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수직이동부(210)는 하부가 상기 제1지지프레임(222)의 내측 하부면에 결합되고, 로드의 말단 양측에 회전가능하도록 한 쌍의 기어(221a)가 결합되는 승강시린더(221)와, 상기 승강실린더(221)의 기어(221a)에 설치되되, 일측이 상기 제1지지프레임(222)의 내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수직부재(224)의 전방 하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체인(2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수직부재(224)는 상기 승강실린더(221)가 상하방향으로 작동되면 상기 기어(221a)가 도르래와 같은 역할을 하여 상기 체인(223)에 의해 상기 수직부재(224)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 기어(221a)와 체인(223)은 도면에 단순하게 도시되었지만, 상기 기어(221a)는 외주면에 복수 개의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체인(223)은 롤러체인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수직부재(224)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수직부재(224)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프레임(22)의 내부 후방 양측에 형성된 레일홈(222a)을 따라 안정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홈(222a)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가이드롤러(224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롤러(224a)는 상기 승강실린더(221)와 체인(223)에 의해 상기 수직부재(224)의 하부가 들어올려지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승하강 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부재(224)의 양측 상부에 적어도 한 쌍 이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수직부재(224)는 상부 후방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상부 후방의 내측에 설치되는 회전축봉(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회전축봉은 상기 회동부재(226)의 전방 상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회동부재(226)는 상기 수직부재(224)의 상부 즉, 상기 회전축봉에 전방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프레임(226a)과, 상부 전방에 상기 한 상의 회전프레임(226a)이 일체로 결합되는 "ㄴ" 형상의 제2지지프레임(226b)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226b)의 내측 하부에 대차(100)가 안착되어 설치됨으로써, 상기 수직부재(224)에 의해 상기 대차(100)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회전프레임(226a)은 상기 회전축봉에 전방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승강실린더(221)와 수직부재(224)에 의해 상부로 이동된 후 상기 회전축봉을 중심으로 상부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전후방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지지프레임(226b)에 설치된 대차(100)의 상부가 전방 하부방향으로 향하게 되어 상기 대차(100)에 수용된 다수의 헌옷(1)이 전방이동부(220)로 배출된다.
상기 제2지지프레임(226b)은 상기 회전프레임(226a)의 후방에 전방 상부가 결합되어 상기 승강실린더(221)와 수직부재(224)에 의해 상부로 이동된 후 상기 회전축봉을 중심축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되면 전방 상부가 후방 하부에 위치되고 후방 상부가 전방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대차(100)에 수용된 다수의 헌옷(1)이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대차(100)는 상기 제2지지프레임(226b)에 이탈되지 않도록 안착되어 결합되어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 대차(100)가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결합되고, 상기 대차(100)에 수용된 헌옷(1)이 안정적으로 전방이동부(220)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지지프레임(226b)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제2지지프레임(226b)은 상부 전방에 상기 한 쌍의 회전프레임(226a)이 일체로 결합되고, 하부에 후방으로 하부지지프레임(226b-2)이돌출되도록 일체로 결합되는 수직지지프레임(226b-1)과, 상기 수직지지프레임(226b-1)의 양측 상부에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바(226b-3)와, 상기 수직지지프레임(226b-1)의 후면과 상기 한 쌍의 지지바(226b-3(의 내측면에 하부가 결합되고, 내부 양측면 하부에 일체로 상부지지바(226b-5)가 결합되는 "ㄷ" 형상의 배출다이드프레임(226b-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대차(100)는 상기 하부지지프레임(226b-2)의 상부에 안착되어 결합된다. 더욱 정확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대차(100)는 바퀴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상기 하부지지프레임(226b-2)의 상부에 안착되어 결합된다.
상기 수직지지프레임(226b-1)은 상기 하부지지프레임(226b-2)의 상부에 안착되어 결합된 후 상기 대차(100)의 전방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하부지지프레임(226b-2)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대차(100)가 상부에 슬라이딩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대차(100)의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상기 지지바(226b-3)는 상기 수직지지프레임(226b-1)의 양측 상부에 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배출가이드프레임(226b-4)의 양측면이 견고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출가이드프레임(226b-4)은 한 쌍의 지지바(226b-3)와 상기 수직지지프레임(226b-1)의 후면 상부에 용접 또는 일체로 결합되고, 상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부로 돌출됨으로써, 회동부재(226)가 전방으로 회전된 후 상부가 전방이동부(220)의 내측 하부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대차(100)로부터 배출되는 다수의 헌옷(1)이 수직이동부(210) 즉, 제1지지프레임(222)과 전방이동부(220)의 사이로 누출되지 않고 모두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상기 배출가이드프레임(226b-4)의 내부 양측면에 일체로 결합되되, 전후방으로 결합되는 상부지지바(226b-5)는 대차(100)가 상기 하부지지프레임(226b-2)의 상부로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면 상기 대차(100)의 테두리 상부면이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대차(100)가 전방으로 기울어질 때, 상기 하부지지프레임(226b-2)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 즉, 이탈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배출가이드프레임(226b-4)은 내부 후면에 구비되되, 상기 대차(100)가 하부지지프레임(226b-2)의 상부에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면 상기 대차(100)의 내부 전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고정클램프(226b-4-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클램프(226b-4-b)는 상기 대차(100)가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회동부재(226)의 상부에 안착되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대차(100)가 전방으로 기울어질 때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상기 대차(100)를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상기 회동부재(22^)의 상부 즉, 상기 하부지지프레임(226b-2)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하부지지프레임(226b-2)은 후방 내측면에 양측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고리(226b-2-b)가 구비되는 회전봉(226b-2-a)과, 내측에 후방이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회전봉(226b-2-a)과 로드가 연결되어 상기 회전봉(226b-2-a)을 회전시키는 고정실린더(226b-2-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림고리(226b-2-b)는 상기 고정실린더(226b-2-c)와 회전봉(226b-2-a)에 의해 회전되어 앞서 설명된 상기 대차(100)의 후방 하부에 형성된 단턱에 고정되거나 고정해제되어 상기 대차(100)를 상기 하부지지프레임(226b-2)의 상부에 고정 또는 고정해제시킨다.
즉, 상기 대차(100)는 작업자에 의해 상기 하부지지프레임(226b-2)의 상부로 슬라이딩되어 안착된 후 상기 고정실린더(226b-2-c)가 작동되어 상기 회전봉(226b-2-a)을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걸림고리(226b-2-b)가 상기 대차(100)의 후방 하부를 고정시키게됨으로써, 앞서 설명된 고정클램프(226b-4-b)와 함께 상기 대차(100)가 회동부재(226) 즉, 상기 하부지지프레임(226b-2)에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봉(226b-2-a)은 상기 고정실린더(226b-2-c)의 로드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중앙에 링크부재(미표시)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고정실린더(226b-2-c)는 후방이 회전가능하게 상기 하부지지프레임(226b-2)의 내측에 결합되므로 상기 회전봉(226b-2-a)을 자연스럽게 회전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부지지프레임(226b-2)은 상부에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결합바(226b-2-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대차(10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하부에 상기 복수 개의 결합바(226b-2-d)가 인입출가능하도록 형서오디는 복수 개의 결합홈(110)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대차(100)가 상기 하부지지프레임(226b-2)의 상부에 정확한 위치에 쉽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바(226b-2-d)는 상부 양측에 돌출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앞서 설명된 상기 결합홈(110)의 걸림홈에 상기 결합돌기가 내입됨으로써, 대차(100)가 전방으로 기울어질 때,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회동부재(226)에 안착되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회동실린더(228)는 상기 회동부재(226)를 상기 회전축봉을 중심축으로 하여 전후방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회동부재(226)의 전방 즉, 수직부재에 로드의 말단이 전후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수직부재(224)의 하부에 하부가 전후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회동부재(226)가 승강실린더(221)과 수직부재(224)에 의해 상부로 이동된 후 상기 회동부재(226)를 전후방으로 회전시킨다.
즉, 상기 회동실린더(228)는 작동되어 로드가 후방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로드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226)를 후방으로 밀어내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회동부재(226)는 상기 회전축봉을 중심축으로 하여 하부가 후방으로 회전되어 상부가 전방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회동실린더(228)의 로드는 말단이 상기 회동부재(226)의 전방 즉, 수직지지프레임(226b-1)의 전방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수직지지프레임(226b-1)의 내측으로 내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동부재(226)가 보다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수직지지프레임(226b-1)은 상기 회동실린더(228)의 로드의 말단이 내측으로 내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 또는 대응되는 위치가 개방되어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회동실린더(228) 또한 앞서 설명된 고정실린더(226b-2-c)와 마찬가지로 로드의 말단과 하부가 각각 회동부재(226) 즉, 수직지지프레임(226b-1)의 전방과 수직부재(224)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동부재(226)를 자연스럽게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승강부(200)는 상기 수직이동부(210)와 상기 수직지지프레임(226-1)의 사이에 설치되고,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되, 상기 수직지지프레임(226b-1)의 내부까지 이동가능한 제1펀치(410)를 구비하는 제1푸쉬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푸쉬부재(400)는 상기 대차(100)가 상부로 이동되어 전방으로 기울어져 다수의 헌옷(1)을 배출한 후 다시 하부로 이동되면 고정클램프(226b-4-a)와 걸림고리(226b-2-b)에 의한 상기 대차(100)의 고정이 해제된 후 상기 제1펀치(410)를 작동시켜 상기 제1펀치(410)가 상기 대차(100)를 전방으로 밀어내어 상기 승강부(200)로부터 상기 대차(100)가 쉽게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수직지지프레임(226b-1)은 상기 제1푸쉬부재(400)의 제1펀치(410)가 내부로 내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펀치(410)와 대응되는 위치가 관통형성되거나 내측이 개방되어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압축부(300)는
상기 승강부(200)로부터 배출되는 즉, 상기 전방이동부(220)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다수의 헌옷(1)을 공급받아 압축하는 것으로서, 상기 전방이동부(220)로 부터 배출되는 헌옷(1)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압축틀부재(320)의 개방된 상부로 상기 압축틀부재(320)의 내부에 투입된 후 가압부재(330)에 의해 가압되어 압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압축부(300)는 후방이 개방된 베이스프레임(310)과,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프레임(31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하부로 이동되면 개방된 상부로 승강부(200)로부터 즉, 전방이동부(220)로부터 배출되는 헌옷(1)을 공급받는 압축틀부재(320)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310)의 내측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압축틀부재(320)의 내부로 인입출 가능한 가압부재(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310)은 후방 외에도 전방 및 양측방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압축된 헌옷(1)을 용이하게 포장할 수 있도록 작업자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하고, 압축되어 포장된 헌옷(1)을 사방 중 어느 방향으로 쉽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압축틀부재(32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31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기 위해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승강실린더(미표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승강실린더는 하부가 지면에 고정되거나 상기 베이스프레임(310)의 내측 하부면에 고정되고, 상기 압축틀부재(320)의 측면에 로드가 결합되어 상기 압축틀부재(320)를 승하강시킨다.
즉, 상기 압축틀부재(320)는 헌옷(1)이 공급될 때, 즉, 내부로 투입될 때 상기 승강실린더에 의해 하부로 이동되어 개방된 하부가 상기 베이스프레임(310)의 내측 하부면에 의해 밀폐됨으로써, 투입되는 헌옷(1)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고, 가압부재(330)에 의해 헌옷(1)이 압축되면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실린더에 의해 상부로 이동되어 압축된 헌옷(1)이 포장될 수 있도록 하고, 압축되어 포장된 헌옷(1)은 가압부재(330)가 상승된 후에 상기 베이스프레임(310)의 외부로 배출된다.
부가하여, 상기 압축틀부재(320)는 상기 승강실린더에 의해 승하강될 때, 보다 안정적으로 흔들림 없이 승하강될 수 있도록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봉부재(미표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봉부재 또한 지면에 하부가 고정되거나 상기 베이프레임(310)의 내측 하부면에 하부가 고정되며, 상기 압축틀부재(320)의 측면에 결합되어 함께 승하강됨으로써, 상기 압축틀부재(320)가 안정적으로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덧붙여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봉부재는 지면 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310)의 내측 하부면에 하부가 고정되는 가이드봉(미표시)과, 상기 가이드봉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압축틀부재(320)의 측면에 결합되는 가이드통(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통이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압축틀부재(320)가 안정적으로 이동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아울러, 상기 압축틀부재(320)는 후방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후방 상부에 하부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수집도어(3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수집도어(322)는 상기 압축틀부재(320)의 개방된 상부의 후방을 더욱더 개방함으로써, 승강부(200) 즉, 전방이동부(220)로부터 배출되는 헌옷(1)의 투입이 보다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압축틀부재(320)는 상기 수집도어(322)에 의해 상부 뿐만 아니라 후방 상부까지 개방됨으로써, 전방이동부(220)를 통해 전방 하부방향으로 배출되는 헌옷(1)이 자연스럽게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투입되는 헌옷(1)이 상기 수집도어(322)나 테두리에 걸리지 않도록 하여 투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수집도어(322)는 전방이동부(220)로부터 배출되는 헌옷(1)이 테두리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전방이동부(220)의 내측 폭 즉, 헌옷(1)이 이동되는 이동통로보다 폭이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가압부재(33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310)의 내측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하강됨으로써, 상기 압축틀부재(320)의 내부로 투입된 헌옷(1)을 가압하여 압축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프레임(310)의 상부에는 상기 가압부재(330)와 연결되는 로드를 구비하는 메인실린더(미표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메인실린더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330)가 승하강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프레임(310)은 상기 압축틀부재(320)의 개방된 하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형성되고, 전후방향와 좌우방향으로 복수 개의 하부인입홈(312a)이 형성되는 포장돌출부(3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장돌출부(312)는 가압부재(330)에 의해 압축된 헌옷(1)이 상기 베이스페임(310)의 내측 하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인입홈(312a)을 통해 포장을 위한 끈 또는 실이 압축된 헌옷(1)의 하부를 관통함으로써, 포장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가압부재(330)는 하부면에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포장돌출부(312)의 하부인입홈(312a)과 대응되는 복수 개의 상부인입홈(33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인입홈(332)은 가압부재(330)에 의해 압축된 헌옷(1)의 상부로 포장을 위한 끈 또는 실이 관통되도록 함으로써, 포장이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하부인입홈(312a)과 함께 상기 끈 또는 실이 압축된 헌옷(1)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여 측면에서 고정되어 견고하게 포장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부가하여, 본 발명의 압축부(300)는 상기 헌옷(1)을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밀봉하여 포장하기 위해 상기 압축틀부재(320)가 하부로 이동되기 전에 상기 포장돌출부(312)의 상부에 평평한 비닐을 위치시거나, 상기 압축틀부재(320)가 하부로 이동된 후 상기 압축틀부재(320)의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비닐봉투를 위치시킨 후 상기 가압부재(330)가 하부로 이동되기 전에 상기 압축틀부재(320)의 상부에 평평한 비닐을 위치시켜 상기 가압부재(330)에 의해 헌옷(1)과 함게 상기 비닐이 압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하부인입홈(312a)과 상부인입홈(332)에 헌옷(1)이 내입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끈 또는 실이 원활하게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압축부(3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310)과 상기 승강부(200)의 사이에 설치되고,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되,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부까지 이동가능한 제2펀치(510)를 구비하여, 상기 제2펀치(510)가 포장 압출물을 전방으로 밀어내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포장 압출물을 적재 장소로 이동하거나 처리함에 있어, 큰힘을 가하지 않고도 쉽고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2푸쉬부재(500)는 압축된 헌옷(1)이 포장된 후 가압부재(330)가 상승되면 작동되어 상기 제2펀치(510)를 통해 압축되어 포장된 헌옷(1)을 압축부(300) 즉, 베이스프레임(310)의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더욱더 원활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프레임(310)의 전방이 개방되어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 제1푸쉬부재(400) 및 제2푸쉬부재(500)의 작동은, 레버를 이용한 가이드바와 실린더 또는 압축공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자동 수직 의류 압축장치는 헌옷(1)을 일예로 설명하였지만, 재활용이 가능하고 압축되어 보관 및 이동이 가능한 물품은 어떠한 것이든 적용이 가능하고, 압축되는 헌옷(1)의 투입량을 정량화시킬 수 있어 압축밀도를 일정하게 부여할 수 있으므로 압축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재생을 위한 재활용 물품의 보관 및 운송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헌옷(1)이 신속하게 압축, 포장 및 배출되도록 하여 작업 능률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 : 헌옷 또는 재활용 물품
100 : 대차 200 : 승강부
210 : 수직이동부 220 : 전방이동부
222 : 제1지지프레임 224 : 수직부재
226 : 회동부재 226a : 회전프레임
226b : 제지지프레임 226b-1 : 수직지지프레임
226b-2 : 하부지지프레임 226b-3 : 지지바
226b-4 : 배출가이드프레임 228 : 회동실린더
300 : 압축부 310 : 베이스프레임
320 : 압축틀부재 330 : 가압부재
312 : 포장돌출부 312a : 하부인입홈
332 : 상부인입홈

Claims (7)

  1.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다수의 헌옷(1)을 수용하는 대차(100);와
    상기 대차(100)를 상부로 이동시킨 후 전방으로 상기 대차(100)를 기울여 상기 헌옷(1)을 전방 하부로 배출하는 승강부(200); 및
    상기 승강부(200)로부터 배출되는 헌옷(1)을 공급받아 압축하는 압축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200)는 상기 대차(100)를 상부로 이동시킨 후 전방으로 상기 대차(100)를 기울여 헌옷(1)을 전방으로 배출하는 수직이동부(210);와
    상기 수직이동부(210)의 전방 상부에 후방이 결합되어 상기 대차(100)로부터 배출된 헌옷(1)을 공급받고, 전방 하부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헌옷(1)을 전방으로 배출시키는 전방이동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이동부(210)는 상부가 전방 하부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제1지지프레임(222);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222)의 후방에 상하부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수직부재(224);와
    상기 수직부재(224)의 상부에 전방 상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대차(100)가 안착되는 회동부재(226); 및
    상기 회동부재(226)의 전방에 로드의 말단이 전후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수직부재(224)의 하부에 하부가 전후방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동실린더(22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직 의류 압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226)는
    상기 수직부재(224)의 상부에 전방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프레임(226a);과
    상부 전방에 상기 한 쌍의 회전프레임(226a)이 일체로 결합되는 "ㄴ" 형상의 제2지지프레임(226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직 의류 압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프레임(226b)은
    상부 전방에 상기 한 쌍의 회전프레임(226a)이 일체로 결합되고, 하부에 후방으로 하부지지프레임(226b-2)이 돌출되도록 일체로 결합되는 수직지지프레임(226b-1);과
    상기 수직지지프레임(226b-1)의 양측 상부에 후방으로 돌출되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바(226b-3);와
    상기 수직지지프레임(226b-1)의 후면과 상기 한 쌍의 지지바(226b-3)의 내측면에 하부가 결합되고, 내부 양측면 하부에 일체로 상부지지바(226b-5)가 결합되는 "ㄷ" 형상의 배출가이드프레임(226b-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직 의류 압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300)는
    후방이 개방된 베이스프레임(310);과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프레임(31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하부로 이동되면 개방된 상부로 상기 승강부(200)로부터 배출되는 헌옷(1)을 공급받는 압축틀부재(320);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310)의 내측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압축틀부재(320)의 내부로 인입출 가능한 가압부재(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직 의류 압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310)은
    상기 압축틀부재(320)의 개방된 하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형성되고,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 복수 개의 하부인입홈(312a)이 형성되는 포장돌출부(31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압부재(330)는
    하부면에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하부인입홈(312a)과 대응되는 복수 개의 상부인입홈(33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직 의류 압축장치.
KR1020200063874A 2020-05-27 2020-05-27 자동 수직 의류 압축장치 KR102388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874A KR102388497B1 (ko) 2020-05-27 2020-05-27 자동 수직 의류 압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874A KR102388497B1 (ko) 2020-05-27 2020-05-27 자동 수직 의류 압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718A KR20210146718A (ko) 2021-12-06
KR102388497B1 true KR102388497B1 (ko) 2022-04-20

Family

ID=78936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874A KR102388497B1 (ko) 2020-05-27 2020-05-27 자동 수직 의류 압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849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615B1 (ko) * 2009-03-27 2009-10-21 주식회사 대림기계 폐비닐 절단기
JP5574251B2 (ja) * 2009-11-30 2014-08-20 エスイーベー・シュトラウトマン・インジェニエールビュロー・ゲー・エム・ベー・ハー 連結及び連結解除可能な少なくとも一つのコレクタワゴンを有するプレス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3229B2 (ja) * 1996-06-10 2004-11-04 富士重工業株式会社 可搬型塵芥投入装置
KR200204847Y1 (ko) 2000-07-07 2000-12-01 김교연 자동 압축포장기
KR200206856Y1 (ko) 2000-07-13 2000-12-15 김교연 압축포장기
KR200241459Y1 (ko) 2001-05-16 2001-10-15 안인태 압축 포장기
KR100907026B1 (ko) 2008-11-13 2009-07-08 광림 컴팩 주식회사 재활용품 압축기
CN105825907B (zh) 2016-03-18 2018-09-14 清华大学 一种物料压缩打包设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615B1 (ko) * 2009-03-27 2009-10-21 주식회사 대림기계 폐비닐 절단기
JP5574251B2 (ja) * 2009-11-30 2014-08-20 エスイーベー・シュトラウトマン・インジェニエールビュロー・ゲー・エム・ベー・ハー 連結及び連結解除可能な少なくとも一つのコレクタワゴンを有するプレ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718A (ko) 2021-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5975A (en) Shredder/compactor assembly for recycling waste material
CN113264391B (zh) 一种物流小包裹快速卸货机械
US3881407A (en) Waste reduction equipment
KR102388497B1 (ko) 자동 수직 의류 압축장치
US3651754A (en) Compacting and forming apparatus
CA2665443C (en) Universal material compression and containment system
US7597045B2 (en) Portable compactor for materials, especially waste and recyclable materials
US20210370631A1 (en) Lift and tilt device, baler equipped therewith and method of its operation
JP2006327718A (ja) 軟質廃棄物の減容袋詰め装置
CN211917806U (zh) 一种垃圾中转站用垃圾压缩打包装置
CN211000108U (zh) 瓦楞纸边角料压实打包机
KR101685576B1 (ko) 톱밥 및 분쇄물 운반차량
US20210187890A1 (en) Vertical box baler and method of operating it
US20110289882A1 (en) Mid-size baler
US20040144067A1 (en) Material bagging machine having a bag folder mounted thereon
KR101807626B1 (ko) 락킹을 이용한 고철 압축장치
CN210505409U (zh) 一种用于编织袋包装的承载托运机构
US7540234B1 (en) Waste baling machine
CN219447523U (zh) 卷烟热缩膜压缩装置
CN110697180A (zh) 敞口袋灌装机的自动切换整形装置
DK201700157A1 (en) Compac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ressing waste material and use of the compact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WO1997006031A1 (en) Channeling mechanism for multi-compartmentalized refuse collection vehicle body
CN216443128U (zh) 一种立式打包机
CN217674676U (zh) 一种具有自动开门功能且可整理多种规格铝材的集装箱
CN219146735U (zh) 一种智能烟叶打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