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8462B1 - 슬라이드 원터치 체결이 가능한 홀더부재 및 이에 의하여 단순 조작과 조립의 용이함이 확보되는 테이블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원터치 체결이 가능한 홀더부재 및 이에 의하여 단순 조작과 조립의 용이함이 확보되는 테이블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8462B1
KR102388462B1 KR1020220016533A KR20220016533A KR102388462B1 KR 102388462 B1 KR102388462 B1 KR 102388462B1 KR 1020220016533 A KR1020220016533 A KR 1020220016533A KR 20220016533 A KR20220016533 A KR 20220016533A KR 102388462 B1 KR102388462 B1 KR 102388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frame
reinforcing bar
holder memb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6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프
Priority to KR1020220016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84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2Combination of tables; Linking or assembl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교적 상당한 무게와 부피로 제공되는 상판의 특성상 이를 취급하거나 조립하는 일련의 작업이 다소 번거롭고 난해했던 기존 대비 극히 간소한 체결 타입과 간편하고 신속 정확한 메커니즘에 기인하여 안정적으로 설치 가능하면서 편의하게 조립 및 조작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로 제공됨에 따라 측 방향으로의 회동만으로도 쉽고 확실하게 체결 여부가 결정되는 제반 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상판 조립성의 활용 가치가 극대화될 뿐 아니라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조작의 편의성 내지 사용상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슬라이드 원터치 체결이 가능한 홀더부재 및 이에 의하여 단순 조작과 조립의 용이함이 확보되는 테이블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판(10)과,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부(20)와, 다리부 상단에 결부되고 다리부 상간에서 횡단 배열되는 보강대(30)의 위치를 구속하는 연결유닛(40)을 포함하되, 상기 상판(10)은 수평 슬라이드 움직임에 기인한 중첩 여부에 따라 상호 결합 여부가 결정되는 2개 1조의 홀더부재(50)를 통해 보강대(30) 상에서 위치 고수되고, 상기 홀더부재(50)는 암수 서로 대응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평 이동에 의한 슬라이드 원터치 체결이 허용됨에 따라 보강대의 단순 거치 후 측 방향으로의 위치 전환에 의한 암수 결합으로 상판과 보강대가 일체화된다.

Description

슬라이드 원터치 체결이 가능한 홀더부재 및 이에 의하여 단순 조작과 조립의 용이함이 확보되는 테이블 체결구조{THE TOP BOARD COMBINATION STRUCTURE OF TABLE}
본 발명은 테이블 상판의 조립구조 내지 결합방식에 관한 기술사상을 개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교적 상당한 무게와 부피로 제공되는 상판의 특성상 이를 취급하거나 조립하는 일련의 작업이 다소 번거롭고 난해했던 기존 대비 극히 간소한 체결 타입과 간편하고 신속 정확한 메커니즘에 기인하여 안정적으로 설치 가능하면서 편의하게 조립 및 조작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로 제공됨에 따라 측 방향으로의 회동만으로도 쉽고 확실하게 체결 여부가 결정되는 제반 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상판 조립성의 활용 가치가 극대화될 뿐 아니라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조작의 편의성 내지 사용상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슬라이드 원터치 체결이 가능한 홀더부재 및 이에 의하여 단순 조작과 조립의 용이함이 확보되는 테이블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 테이블은 물건을 올려놓기 위하여 만든 가구의 통칭 개념으로, 강의실이나 회의실, 응접실 등 다수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형태나 구조 또한 소비자 요구에 맞추어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테이블은 흔히 물건을 얹어 놓을 수 있는 상판을 형성하고, 상판 저면으로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가 고정됨이 일반적이다.
전술한 것과 같은 구조의 테이블은 물류비용을 줄이기 위한 수단으로 다리와 상판이 분리되는 구조를 취하며, 해당 경우 주로 현장에서 조립 사용되고 있다.
상기 조립식 테이블에 관한 선행기술자료를 검토하여 보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173556호 "조립식 테이블" (특허문헌 1)과, 공개특허공보 제10-2012-124182호 "조립식 테이블" (특허문헌 2) 등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기술내용은 끼움부가 형성된 모서리 연결구와 중앙연결구를 이용하여 상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을 조립하는 조립식 테이블에 관한 것이고, 특허문헌 2의 기술내용은 테이블 본체와 본체를 지지하는 다리로 구성하되, 상기 테이블 본체는 길이 방향의 양측에서 각각 분할경사면을 형성한 등변 사다리꼴로 이루어진 제1상판, 제2상판, 제3상판 및 제4상판이 차례로 배치되며, 각 상판 사이에는 착탈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착탈연결부 및 절첩 가능하도록 힌지경첩수단으로 구성되는 조립식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조립식 테이블 경우에도 상판과 다리를 분해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물류비용을 줄일 뿐 아니라 현장에서 간편히 조립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특허문헌 1과 2를 비롯한 종래 모든 기술사상에서는 상판과 다리 및 다리를 구성하는 부재들간 결속수단이 미흡하여 견고한 조립성에는 부족함이 존재하고, 더욱이 이러한 부재들은 필요 이상으로 사용되면서 그 조립구조가 복잡해지며, 필수불가결하게 상판 조립에 따르는 작업자의 고충이나 노고, 어려움이 여전히 동반되고 있어 개선책이 요구된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173556호 "조립식 테이블" 공개특허공보 제10-2012-124182호 "조립식 테이블"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기존과 차별화된 제반 구성으로 인해 상판 조립성 내지 취급의 효율적인 이점은 물론 유지 보수의 활용 가치가 극대화되는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히 측 방향에서의 슬라이드 진입 여부에 의한 상호 탈·부착 방식의 홀더부재로 인해 기존 대비 상판 조립작업의 어려움과 불편이 적극 해소될 수 있는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홀더부재를 이루는 제반 구성의 안정적이고 확실한 위치 제어를 기반으로 하여 상판의 위치 고수 및 유동 방지에 적극 기여하는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슬라이드 원터치 체결이 가능한 홀더부재 및 이에 의하여 단순 조작과 조립의 용이함이 확보되는 테이블 체결구조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슬라이드 원터치 체결이 가능한 홀더부재(50)는 상판(10)과 보강대(30)를 서로 결부시키기 위하여 보강대 외주면을 상향으로 권취하면서 포용하는 구속프레임(52); 및 수평 이동하는 구속프레임을 인입시켜 구속프레임의 개구된 상단이 봉합되게 하여 상판 저부에서 보강대의 수평 위치를 고수시키는 고정프레임(5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5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수단을 통해 상판(10) 저부에 체결되는 메인블록(51-1);과, 메인블록 양단으로부터 동일 수평선상에 이르기까지 하향 연장되는 절곡 형상의 수용가이드(51-2);와, 수용가이드의 절곡된 형상에 기인하여 메인블록 저부와 이격된 공간으로 제공되면서 구속프레임(52)의 내부 진입을 가이드하는 안내홀(51-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속프레임(52)은 보강대(30) 인입을 위하여 상단이 개구되면서 보강대의 거치가 유도되게 하향 만곡한 경로로 제공되는 바디(52-1);와, 바디 상단 양측에서 서로 대응한 형상으로 구비되고 고정프레임(51)의 안내홀(51-3)로 내입되게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토퍼(52-2);와, 스토퍼 각 단부에서 설정 수준의 탄성에 의해 측 방향으로 유동성이 확보됨에 따라 고정프레임(51)의 안내홀(51-3)로 인입되는 스토퍼의 진입 정도를 조절 내지 제어하기 위한 조작편(52-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속프레임(52)은 스토퍼(52-2)와 조작편(52-3) 사이의 임의 지점으로 만곡 형상의 걸림돌부(52-4)가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프레임(51)은 수용가이드(51-2) 내부의 임의 지점에 걸림돌부와 대응하는 걸림홈(51-4)이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돌부(52-4)와 걸림홈(51-4)은 각 구속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의 상호 중첩 과정에서 구속프레임의 슬라이드 진입 정도를 선택하거나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락킹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전술한 홀더부재에 의하여 단순 조작과 조립의 용이함이 확보되는 테이블 체결구조는 상판(10)과,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부(20)와, 다리부 상단에 결부되고 다리부 상간에서 횡단 배열되는 보강대(30)의 위치를 구속하는 연결유닛(40)을 포함하되, 상기 상판(10)은 수평 슬라이드 움직임에 기인한 중첩 여부에 따라 상호 결합 여부가 결정되는 2개 1조의 홀더부재(50)를 통해 보강대(30) 상에서 위치 고수되고, 상기 홀더부재(50)는 암수 서로 대응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평 이동에 의한 슬라이드 원터치 체결이 허용됨에 따라 보강대의 단순 거치 후 측 방향으로의 위치 전환에 의한 암수 결합으로 상판과 보강대가 일체화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더부재(50)는 상판 저부에 결부되는 고정프레임(51); 및 보강대를 수용한 상태에서 고정프레임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 내지 인출됨에 따라 개구된 상단이 고정프레임과 맞물려 외부와 차단되는 구속프레임(5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속프레임(52)은 보강대(30) 인입을 위하여 상단이 개구되면서 보강대의 거치가 유도되게 하향 만곡한 경로로 제공되는 바디(52-1);와, 바디 상단 양측에서 서로 대응한 형상으로 구비되고 고정프레임(51)의 안내홀(51-3)로 내입되게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토퍼(52-2);와, 스토퍼 각 단부에서 설정 수준의 탄성에 의해 측 방향으로 유동성이 확보됨에 따라 고정프레임(51)의 안내홀(51-3)로 인입되는 스토퍼의 진입 정도를 조절 내지 제어하기 위한 조작편(52-3);과, 스토퍼와 조작편 사이의 임의 지점에서 만곡된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부(52-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5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수단을 통해 상판(10) 저부에 체결되는 메인블록(51-1);과, 메인블록 양단으로부터 동일 수평선상에 이르기까지 하향 연장되는 절곡 형상의 수용가이드(51-2);와, 수용가이드의 절곡된 형상에 기인하여 메인블록 저부와 이격된 공간으로 제공되면서 구속프레임(52)의 내부 진입을 가이드하는 안내홀(51-3);과, 수용가이드 내부의 임의 지점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함몰 형성되어 구속프레임(52)의 걸림돌부(52-4)를 안착 유도하는 걸림홈(51-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한편, 상기 연결유닛(40)은 보강대(30)를 인입 구속하기 위한 가압프레임(70)이 더 형성되고, 상기 가압프레임(70)은 보강대 내부 공간에 대응하는 폭을 보유하고 보강대 내측 상방에 맞물려 위치 구속되는 끼움상부(71)와, 끼움상부에 비해 축소된 폭으로 형성되어 보강대 내부로의 진입 시 압력 분산 내지 배출을 유도하고 보강대 내측 하방에 맞물려 위치 구속되는 끼움하부(72)와, 끼움상부에서 끼움하부에 이르기까지 수직 방향에 대해 설정 너비로 절개 형성되면서 보강대 내부로의 진입 시 측부 사이 간극의 축소가 유도되는 절개홀(7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한편, 상기 가압프레임(70)은 절개홀(73)을 기준으로 양측이 설정 범위 내에서 신축되게 하거나 또는 끼움하부(72)를 기반으로 끼움상부(71)가 보강대(30) 내부로의 진입 시 설정 범위 내에서 상하 요동되게 하여 보강대 규격에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비교적 상당한 무게와 부피로 제공되는 상판의 특성상 이를 취급하거나 조립하는 일련의 작업이 다소 번거롭고 난해했던 기존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소정 구조의 홀더부재를 기반으로 한 단순 탈·부착 결합방식의 테이블 조립 내지 체결구조가 제안되므로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대비 극히 간소한 체결 타입과 간편하고 신속 정확한 홀더부재의 관련 메커니즘에 기인하여 안정적으로 설치 가능하면서 편의하게 조립 및 조작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로 제공되므로 더욱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측 방향으로의 회동만으로도 쉽고 확실하게 체결 여부가 결정되는 홀더부재로 인해 상판 조립성의 활용 가치를 극대화할 뿐 아니라 유지 보수 시 사용자에 의해 간편하게 조작될 수 있으므로 편의성 증대 및 조작의 간편성과 정확성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제반 구성들이 기존 대비 극히 간소화되고 서로 긴밀하게 유기적으로 구현됨에 따라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이 확보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테이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요부의 결합관계를 상세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4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홀더부재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홀더부재의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홀더부재의 결합과정을 순차 도시한 평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테이블 상판의 조립구조 내지 결합방식에 관하여 개시된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비교적 상당한 무게와 부피로 제공되는 상판의 특성상 이를 취급하거나 조립하는 일련의 작업이 다소 번거롭고 난해했던 기존 대비 극히 간소한 체결 타입과 간편하고 신속 정확한 메커니즘에 기인하여 안정적으로 설치 가능하면서 편의하게 조립 및 조작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로 제공됨에 따라 측 방향으로의 회동만으로도 쉽고 확실하게 체결 여부가 결정되는 제반 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상판 조립성의 활용 가치가 극대화될 뿐 아니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조작의 편의성 내지 사용상 효율성이 극대화되는 슬라이드 원터치 체결이 가능한 홀더부재 및 이에 의하여 단순 조작과 조립의 용이함이 확보되는 테이블 체결구조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도 1 내지 6에 도시한 것처럼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안하는 홀더부재(50)는 2개 1조의 제반 구성으로 이루어져 슬라이드 회동에 의한 원터치 체결을 허용한다.
이를 위해, 상기 홀더부재(50)는 상판(10)과 보강대(30)를 서로 결부시키기 위하여 보강대 외주면을 상향으로 권취하면서 포용하는 구속프레임(52); 및 수평 이동하는 구속프레임을 인입시켜 구속프레임의 개구된 상단이 봉합되게 하여 상판 저부에서 보강대의 수평 위치를 고수시키는 고정프레임(5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프레임(51)은 상판(10) 저부의 임의 위치에 볼트 등의 조립수단으로 고정 체결되고, 고정 위치는 상판 조립 시 보강대(30)와 중첩되는 지점으로 선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성은 별도의 수단 없이 상판을 보강대 상면에 위치시키는 일련의 동작만으로도 상판과 보강대가 서로 일체되게 하기 위함이며, 상판 위치 선정에 의하여 고정프레임이 보강대 상에 안착된 후 소정의 구속프레임(52)을 도면과 같은 방향으로 진입시켜 고정프레임 내부에서 서로 기밀한 결속을 유도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5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수단을 통해 상판(10) 저부에 체결되는 메인블록(51-1);과, 메인블록 양단으로부터 동일 수평선상에 이르기까지 하향 연장되는 절곡 형상의 수용가이드(51-2);와, 수용가이드의 절곡된 형상에 기인하여 메인블록 저부와 이격된 공간으로 제공되면서 구속프레임(52)의 내부 진입을 가이드하는 안내홀(51-3);로 구분 구성된다.
상기 메인블록(51-1)은 설치 대상 보강대의 너비를 고려하여 제공될 수 있으나, 구조적 특성상 보강대를 포용 가능한 수준의 너비라면 보강대 규격에 제한됨이 없이 범용으로 활용 가능하다.
상기 수용가이드(51-2) 및 안내홀(51-3)은 추후 기술할 구속프레임(52)의 스토퍼(52-2) 일체가 내입되는 통로로, 메인블록 저부로 하향 연장되면서 좌우 동일하게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수용가이드(51-2)와 안내홀(51-3)은 구속프레임의 너비와 대응되게 구성되어야 함은 물론 보강대의 삽입 수용을 위하여 최소 보강대에 비해 넓은 이격거리로 제공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안하는 구속프레임(52)은 전술한 고정프레임(51)과 상호 치합되면서 원터치 결속을 가능하게 하는 주요 구성으로, 양측 후단의 폭 조절에 기인하여 고정프레임 내부로의 원활한 이·출입을 자유롭게 허용하는 수단이 된다.
즉 상기 구속프레임(52)은 보강대를 수용 거치한 상태로 상판 저부에 고정된 고정프레임(51)을 수단으로 슬라이드 결합되는바, 이러한 구속프레임(52)은 상판 조립 시 보강대의 단순 거치 후 간편하게 고정프레임과의 결합이 이루어지면서 보강대의 낙하 혹은 뜻하지 않은 이탈은 물론 구속프레임의 유동 또한 적극 제어되므로 상호 견고한 결합상태가 보존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기존과 극명하게 구분되는 것이며, 종래에는 보강대나 기타 지지를 요하는 수단에 상판이 조립되는 경우 작업의 편의를 위해 결합 대상 상판을 뒤집어 배치한 후 해당 조립 부위가 외부에 드러나게 하여 조립되거나 또는 작업자가 낮은 자세로 상판 하방에 접근 후 조립되었는바, 조립 작업 후 재차 상당한 중량의 테이블을 뒤집어야 하는 불편함과 낮은 자세에서 조립이 실시되어야 하는 등 어떠한 경우에도 설치, 보수의 모든 작업 시 그 취급이 어려웠다.
반면, 본 발명은 상판의 조립해체 시 위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구속프레임(52)을 제안한다.
상기 구속프레임(52)은 보강대(30) 인입을 위하여 상단이 개구되면서 보강대의 거치가 유도되게 하향 만곡한 경로로 제공되는 바디(52-1);와, 바디 상단 양측에서 서로 대응한 형상으로 구비되고 고정프레임(51)의 안내홀(51-3)로 내입되게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토퍼(52-2);와, 스토퍼 각 단부에서 설정 수준의 탄성에 의해 측 방향으로 유동성이 확보됨에 따라 고정프레임(51)의 안내홀(51-3)로 인입되는 스토퍼의 진입 정도를 조절 내지 제어하기 위한 조작편(52-3);으로 이루어짐을 주된 요부로 한다.
상기 바디(52-1)는 도면과 같이 U자형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기타 보강대의 규격이나 형태를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자명한 사실이다.
상기 스토퍼(52-2)는 바디(52-1) 상단의 양측 외주면에서 측 방향으로 설정 범위 돌출한 형태로 구비되며, 이러한 스토퍼에 의해 고정프레임과 구속프레임의 상호 결합 내지 위치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작편(52-3)은 수용가이드의 안내홀(51-3) 상으로 맞물림 유지되면서 슬라이드 운용되는 스토퍼(52-2)의 구조적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설정 방향에 대한 탄성이 보유된다.
즉 이러한 조작편(52-3)은 바디와 이격된 상태로 형성됨으로써 안내홀 내부로 구속프레임을 진입시키는 경우 사용자 가압에 의해 폭 조절이 가능해지므로 고정프레임과의 원활한 치합을 도모한다.
특히 상기 구속프레임(52)은 스토퍼(52-2)와 조작편(52-3) 사이의 임의 지점으로 만곡 형상의 걸림돌부(52-4)가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51)은 수용가이드(51-2) 내부의 임의 지점에 걸림돌부와 대응하는 걸림홈(51-4)이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걸림돌부(52-4)와 걸림홈(51-4)은 각 구속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의 상호 중첩 과정에서 구속프레임의 슬라이드 진입 정도를 선택하거나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락킹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홀더부재에 의하여 단순 조작과 조립의 용이함이 확보되는 테이블 체결구조는 다음과 같다.
상판(10)과,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부(20)와, 다리부 상단에 결부되고 다리부 상간에서 횡단 배열되는 보강대(30)의 위치를 구속하는 연결유닛(40)을 포함하되, 상기 상판(10)은 수평 슬라이드 움직임에 기인한 중첩 여부에 따라 상호 결합 여부가 결정되는 2개 1조의 홀더부재(50)를 통해 보강대(30) 상에서 위치 고수되고, 상기 홀더부재(50)는 암수 서로 대응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평 이동에 의한 슬라이드 원터치 체결이 허용됨에 따라 보강대의 단순 거치 후 측 방향으로의 위치 전환에 의한 암수 결합으로 상판과 보강대가 일체화되게 한다.
이때 상기 홀더부재(50)는 전술한 것처럼 상판 저부에 결부되는 고정프레임(51); 및 보강대를 수용한 상태에서 고정프레임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 내지 인출됨에 따라 개구된 상단이 고정프레임과 맞물려 외부와 차단되는 구속프레임(5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속프레임(52)은 보강대(30) 인입을 위하여 상단이 개구되면서 보강대의 거치가 유도되게 하향 만곡한 경로로 제공되는 바디(52-1);와, 바디 상단 양측에서 서로 대응한 형상으로 구비되고 고정프레임(51)의 안내홀(51-3)로 내입되게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토퍼(52-2);와, 스토퍼 각 단부에서 설정 수준의 탄성에 의해 측 방향으로 유동성이 확보됨에 따라 고정프레임(51)의 안내홀(51-3)로 인입되는 스토퍼의 진입 정도를 조절 내지 제어하기 위한 조작편(52-3);과, 스토퍼와 조작편 사이의 임의 지점에서 만곡된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부(52-4);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5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수단을 통해 상판(10) 저부에 체결되는 메인블록(51-1);과, 메인블록 양단으로부터 동일 수평선상에 이르기까지 하향 연장되는 절곡 형상의 수용가이드(51-2);와, 수용가이드의 절곡된 형상에 기인하여 메인블록 저부와 이격된 공간으로 제공되면서 구속프레임(52)의 내부 진입을 가이드하는 안내홀(51-3);과, 수용가이드 내부의 임의 지점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함몰 형성되어 구속프레임(52)의 걸림돌부(52-4)를 안착 유도하는 걸림홈(51-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연결유닛(40)의 상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연결유닛(40)은 보강대(30)를 인입 구속하기 위한 가압프레임(70)이 더 형성되고, 상기 가압프레임(70)은 보강대 내부 공간에 대응하는 폭을 보유하고 보강대 내측 상방에 맞물려 위치 구속되는 끼움상부(71)와, 끼움상부에 비해 축소된 폭으로 형성되어 보강대 내부로의 진입 시 압력 분산 내지 배출을 유도하고 보강대 내측 하방에 맞물려 위치 구속되는 끼움하부(72)와, 끼움상부에서 끼움하부에 이르기까지 수직 방향에 대해 설정 너비로 절개 형성되면서 보강대 내부로의 진입 시 측부 사이 간극의 축소가 유도되는 절개홀(73)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가압프레임(70)은 절개홀(73)을 기준으로 양측이 설정 범위 내에서 신축되게 하거나 또는 끼움하부(72)를 기반으로 끼움상부(71)가 보강대(30) 내부로의 진입 시 설정 범위 내에서 상하 요동되게 하여 보강대 규격에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상의 미니피스를 활용하여 체결력 증대 내지 결합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비교적 상당한 무게와 부피로 제공되는 상판의 특성상 이를 취급하거나 조립하는 일련의 작업이 다소 번거롭고 난해했던 기존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소정 구조의 홀더부재를 기반으로 한 단순 탈·부착 결합방식의 테이블 조립 내지 체결구조가 제안되므로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대비 극히 간소한 체결 타입과 간편하고 신속 정확한 홀더부재의 관련 메커니즘에 기인하여 안정적으로 설치 가능하면서 편의하게 조립 및 조작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로 제공되므로 더욱 효과적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측 방향으로의 회동만으로도 쉽고 확실하게 체결 여부가 결정되는 홀더부재로 인해 상판 조립성의 활용 가치를 극대화할 뿐 아니라 유지 보수 시 사용자에 의해 간편하게 조작될 수 있으므로 편의성 증대 및 조작의 간편성과 정확성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제반 구성들이 기존 대비 극히 간소화되고 서로 긴밀하게 유기적으로 구현됨에 따라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이 확보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10. 상판
20. 다리부
30. 보강대
40. 연결유닛
50. 홀더부재
70. 가압프레임

Claims (8)

  1. 상판(10)과 보강대(30)를 서로 결부시키기 위한 홀더부재(50)에 있어서,
    보강대 외주면을 상향으로 권취하면서 포용하는 구속프레임(52);
    수평 이동하는 구속프레임을 인입시켜 구속프레임의 개구된 상단이 봉합되게 하여 상판 저부에서 보강대의 수평 위치를 고수시키는 고정프레임(51);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원터치 체결이 가능한 홀더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5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수단을 통해 상판(10) 저부에 체결되는 메인블록(51-1);
    메인블록 양단으로부터 동일 수평선상에 이르기까지 하향 연장되는 절곡 형상의 수용가이드(51-2);
    수용가이드의 절곡된 형상에 기인하여 메인블록 저부와 이격된 공간으로 제공되면서 구속프레임(52)의 내부 진입을 가이드하는 안내홀(51-3);
    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원터치 체결이 가능한 홀더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프레임(52)은,
    보강대(30) 인입을 위하여 상단이 개구되면서 보강대의 거치가 유도되게 하향 만곡한 경로로 제공되는 바디(52-1);
    바디 상단 양측에서 서로 대응한 형상으로 구비되고 고정프레임(51)의 안내홀(51-3)로 내입되게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토퍼(52-2);
    스토퍼 각 단부에서 설정 수준의 탄성에 의해 측 방향으로 유동성이 확보됨에 따라 고정프레임(51)의 안내홀(51-3)로 인입되는 스토퍼의 진입 정도를 조절 내지 제어하기 위한 조작편(52-3);
    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원터치 체결이 가능한 홀더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프레임(52)은 스토퍼(52-2)와 조작편(52-3) 사이의 임의 지점으로 만곡 형상의 걸림돌부(52-4)가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프레임(51)은 수용가이드(51-2) 내부의 임의 지점에 걸림돌부와 대응하는 걸림홈(51-4)이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돌부(52-4)와 걸림홈(51-4)은 각 구속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의 상호 중첩 과정에서 구속프레임의 슬라이드 진입 정도를 선택하거나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락킹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원터치 체결이 가능한 홀더부재.
  5. 상판(10)과,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부(20)와, 다리부 상단에 결부되고 다리부 상간에서 횡단 배열되는 보강대(30)의 위치를 구속하는 연결유닛(40)으로 구성되는 테이블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판(10)은 수평 슬라이드 움직임에 기인한 중첩 여부에 따라 상호 결합 여부가 결정되는 2개 1조의 홀더부재(50)를 통해 보강대(30) 상에서 위치 고수되고,
    상기 홀더부재(50)는 암수 서로 대응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평 이동에 의한 슬라이드 원터치 체결이 허용됨에 따라 보강대의 단순 거치 후 측 방향으로의 위치 전환에 의한 암수 결합으로 상판과 보강대가 일체화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순 조작과 조립의 용이함이 확보되는 테이블 체결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50)는,
    상판 저부에 결부되는 고정프레임(51);
    보강대를 수용한 상태에서 고정프레임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 내지 인출됨에 따라 개구된 상단이 고정프레임과 맞물려 외부와 차단되는 구속프레임(52);
    을 포함하는 단순 조작과 조립의 용이함이 확보되는 테이블 체결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프레임(52)은,
    보강대(30) 인입을 위하여 상단이 개구되면서 보강대의 거치가 유도되게 하향 만곡한 경로로 제공되는 바디(52-1);
    바디 상단 양측에서 서로 대응한 형상으로 구비되고 고정프레임(51)의 안내홀(51-3)로 내입되게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토퍼(52-2);
    스토퍼 각 단부에서 설정 수준의 탄성에 의해 측 방향으로 유동성이 확보됨에 따라 고정프레임(51)의 안내홀(51-3)로 인입되는 스토퍼의 진입 정도를 조절 내지 제어하기 위한 조작편(52-3);
    스토퍼와 조작편 사이의 임의 지점에서 만곡된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부(52-4);
    를 포함하는 단순 조작과 조립의 용이함이 확보되는 테이블 체결구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5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수단을 통해 상판(10) 저부에 체결되는 메인블록(51-1);
    메인블록 양단으로부터 동일 수평선상에 이르기까지 하향 연장되는 절곡 형상의 수용가이드(51-2);
    수용가이드의 절곡된 형상에 기인하여 메인블록 저부와 이격된 공간으로 제공되면서 구속프레임(52)의 내부 진입을 가이드하는 안내홀(51-3);
    수용가이드 내부의 임의 지점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함몰 형성되어 구속프레임(52)의 걸림돌부(52-4)를 안착 유도하는 걸림홈(51-4);
    을 포함하는 단순 조작과 조립의 용이함이 확보되는 테이블 체결구조.
KR1020220016533A 2022-02-08 2022-02-08 슬라이드 원터치 체결이 가능한 홀더부재 및 이에 의하여 단순 조작과 조립의 용이함이 확보되는 테이블 체결구조 KR102388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533A KR102388462B1 (ko) 2022-02-08 2022-02-08 슬라이드 원터치 체결이 가능한 홀더부재 및 이에 의하여 단순 조작과 조립의 용이함이 확보되는 테이블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533A KR102388462B1 (ko) 2022-02-08 2022-02-08 슬라이드 원터치 체결이 가능한 홀더부재 및 이에 의하여 단순 조작과 조립의 용이함이 확보되는 테이블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8462B1 true KR102388462B1 (ko) 2022-05-02

Family

ID=81593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533A KR102388462B1 (ko) 2022-02-08 2022-02-08 슬라이드 원터치 체결이 가능한 홀더부재 및 이에 의하여 단순 조작과 조립의 용이함이 확보되는 테이블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8462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556Y1 (ko) 1999-09-30 2000-03-15 이동명 조립식 테이블
KR20120124182A (ko) 2011-05-03 2012-11-13 주식회사 파세코 조립식 테이블
KR101397547B1 (ko) * 2013-03-27 2014-05-27 김선갑 조립이 용이한 가구
KR101415056B1 (ko) * 2013-06-20 2014-08-06 고운길 조립식 테이블
KR101633855B1 (ko) * 2015-11-17 2016-06-28 (주)캠퍼스라인 상판받침부재가 구비된 테이블
KR102027992B1 (ko) * 2019-06-26 2019-10-04 주식회사 이노프 정밀도와 내구성을 가진 조립식 다용도 테이블
KR102105593B1 (ko) * 2020-01-13 2020-04-28 (주)대한오에이퍼니쳐 사방 확장형 지지프레임을 구비한 조립식 사각 테이블
KR102222819B1 (ko) * 2020-12-04 2021-03-08 (주)아모스아인스가구 간편 조립구조의 테이블용 프레임
KR20210155146A (ko) * 2020-06-15 2021-12-22 (주) 장성산업 탁자 다리 장착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556Y1 (ko) 1999-09-30 2000-03-15 이동명 조립식 테이블
KR20120124182A (ko) 2011-05-03 2012-11-13 주식회사 파세코 조립식 테이블
KR101397547B1 (ko) * 2013-03-27 2014-05-27 김선갑 조립이 용이한 가구
KR101415056B1 (ko) * 2013-06-20 2014-08-06 고운길 조립식 테이블
KR101633855B1 (ko) * 2015-11-17 2016-06-28 (주)캠퍼스라인 상판받침부재가 구비된 테이블
KR102027992B1 (ko) * 2019-06-26 2019-10-04 주식회사 이노프 정밀도와 내구성을 가진 조립식 다용도 테이블
KR102105593B1 (ko) * 2020-01-13 2020-04-28 (주)대한오에이퍼니쳐 사방 확장형 지지프레임을 구비한 조립식 사각 테이블
KR20210155146A (ko) * 2020-06-15 2021-12-22 (주) 장성산업 탁자 다리 장착 장치
KR102222819B1 (ko) * 2020-12-04 2021-03-08 (주)아모스아인스가구 간편 조립구조의 테이블용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5710B1 (ko) 간편 조립형 테이블의 체결구조
US20220338618A1 (en) Desk system with expandable benching
KR101188543B1 (ko) 접이식 수강대를 갖는 의자
CN102018384B (zh) 椅子
KR102422942B1 (ko) 홀더부재와 어뎁터에 의해 결합부의 견고성을 향상시킨 간편 조립형 테이블
US20160157621A1 (en) Foldable bed frame with limit mechanism
KR101803436B1 (ko) 기능성 확장 테이블
CA2741884A1 (en) Reconfigurable table assemblies
US20080035034A1 (en) Furniture
JP2008515546A (ja) ルームサービス用テーブル
KR102388462B1 (ko) 슬라이드 원터치 체결이 가능한 홀더부재 및 이에 의하여 단순 조작과 조립의 용이함이 확보되는 테이블 체결구조
KR20160045366A (ko) 휴대용 테이블
KR102000417B1 (ko) 원터치 슬라이드 탈착이 가능한 수납장 이동형 테이블
KR101356778B1 (ko) 받침다리 절첩장치
JPH11151133A (ja) 組立て式ソファ
KR102539672B1 (ko) 연계적 체결 구조에 기인한 보조수납장 간편 탈착형 테이블
KR101941239B1 (ko) 출입이 자유로운 s형 테이블
CN109774551A (zh) 具有椅背角度调节装置的儿童安全座椅
KR101824215B1 (ko) 일체형 파티션을 갖는 조립식 책상
KR101705520B1 (ko) 지주 조립형 접이식 책상 테이블
KR102388459B1 (ko) 홀더부재와 어뎁터에 의해 결합부의 견고성을 향상시킨 간편 조립형 테이블
CN217065780U (zh) 一种可折叠抽屉
CN211673315U (zh) 椅背与椅座快锁结构
KR20140049242A (ko) 등받이 틸팅 기능을 갖는 조립식 의자
CN215109919U (zh) 一种连接管快装结构、层板组件及展示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