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8162B1 - 탈부착형 흡음재가 구비된 타이어 - Google Patents

탈부착형 흡음재가 구비된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8162B1
KR102388162B1 KR1020200132235A KR20200132235A KR102388162B1 KR 102388162 B1 KR102388162 B1 KR 102388162B1 KR 1020200132235 A KR1020200132235 A KR 1020200132235A KR 20200132235 A KR20200132235 A KR 20200132235A KR 102388162 B1 KR102388162 B1 KR 102388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ing material
sound absorbing
tire
protrusion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민석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2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81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002Noise damping elements provided in the tyre structure or attached thereto, e.g. in the tyre in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5/00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 B60C5/002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filled at least partially with foam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2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06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solid or vice versa
    • C09K5/063Materials absorbing or liberating heat during crystallisation; Heat storage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탈부착형 흡음재가 구비된 타이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형 흡음재가 구비된 타이어는, 주행중 타이어로부터 유발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타이어의 내주면을 따라 부착되는 흡음재와, 이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갖는 타이어로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내주면을 마주하는 상기 흡음재의 부착면에서 돌출형성된 체결돌기; 및 상기 내주면에서 상기 체결돌기가 끼움고정되도록 상보적인 홈형상으로 성형되어 상기 체결돌기와 탈착결합을 이루는 체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타이어 내주면에 대한 흡음재의 부착작업이 별도의 접착제나 공구를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작업자의 숙련도나 노하우에 의존하지 않아도 정확한 위치에 균일한 부착력으로 흡음재를 손쉽게 부착하고 탈거하며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탈부착형 흡음재가 구비된 타이어{TIRES WITH SOUND ABSORBING MATERIAL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본 발명은, 탈부착형 흡음재가 구비된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행중 발생하는 타이어의 공명음을 저감하기 위해 제작된 흡음재를 타이어의 내주면에 별도의 접착물질을 도포하지 않고도 타이어에 탈부착할 수 있는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공기 주입식 타이어의 빈공간인 공동에서 발생하는 공명음은 차량의 주행에 따른 타이어의 진동으로 인해 생기는 소음으로, 최근 차량 및 타이어 제조업체에서는 쾌적한 승차감과 주행환경의 구현을 위해 주행시 발생하는 타이어 소음에 대한 관심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공기 주입식 타이어 소음은, 구체적으로 노면 위를 주행할 때 타이어에 가해지는 불규칙한 충격으로부터 유발된 타이어 내부의 공기 진동이 차체를 통해 차량 내부로 전달되며 날카로운 음으로 변환됨으로써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탑승자 등에게 불쾌감 내지 쾌적한 승차감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나아가 최근 고급 차량에 장착되는 타이어는, 단면폭과 직경이 커지는 한편, 낮은 편평비의 규격으로 제작되고 있다는 점에서 타이어 공명소음은 더욱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위와 같은 타이어의 공명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도 7에 도시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20-0071299호(공개일: 2020년06월19일)는 다공성 재료로 이루어진 흡음재층을 타이어 내부면에 장착하는 기술을 구체적으로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흡음재층(3)은 작업자의 수작업 또는 별도 공정의 부착장치를 통해 타이어의 내주면이나 흡음재층(3)의 부착면에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도포되는 실란트층(2)에 의해 타이어에 부착되는 것이어서, 작업자의 숙련도가 낮아 정확한 위치에 균일한 접착력으로 부착되지 못하게 되면, 설계된 대로의 흡음성능이 온전히 발휘되기 어렵고, 휠밸런스가 미세하게 뒤틀리거나 흡음재층(3)이 타이어의 내주면으로부터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흡음재층(3)의 부착을 위해서는 접착성의 실란트층(2)이 반드시 요구됨에 따라 실란트층(2)이 소진되거나 부족한 경우, 부착작업이 중단되는 문제가 있으며, 차량 주행에 따라 타이어가 발열하는 경우 부착력이 저하될 염려가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들을 해소할 수 있는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20-0071299호(공개일: 2020년06월19일)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어 내주면에 대한 흡음재의 부착작업이 별도의 접착제나 공구를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이루어질 수 있고, 작업자의 숙련도나 노하우에 의존하지 않아도 정확한 위치에 균일한 부착력으로 흡음재를 부착하고 탈거할 있는 탈부착형 흡음재가 구비된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주행중 타이어로부터 유발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타이어의 내주면을 따라 부착되는 흡음재와, 이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갖는 타이어로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내주면을 마주하는 상기 흡음재의 부착면에서 돌출형성된 체결돌기; 및 상기 내주면에서 상기 체결돌기가 끼움고정되도록 상보적인 홈형상으로 성형되어 상기 체결돌기와 탈착결합을 이루는 체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흡음재가 구비된 타이어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흡음재에서 상기 체결홈을 향해 돌출된 돌출체; 상기 돌출체의 일단부에서 주변으로 확장형성되어 상기 체결홈에 걸림고정되는 걸림체; 및 상기 돌출체의 타단부에서 주변으로 확장형성되어 상기 흡음재의 내측에 고정되는 고정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체 및 상기 걸림체가 이루는 단면형상은, T자 형상, 화살표 형상, 버섯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체결홈은, 타이어 가류공정에서 사용되는 가류금형에 구비되어 고온 고압의 팽창력으로 상기 내주면을 가압하는 블래더에 형성된 대응가압체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홈은, 상기 체결돌기 주변의 상기 흡음재에서 함몰형성된 음각부에 끼워지도록 상기 내주면에서 상보적으로 돌출형성된 양각부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음재는, 탄성을 갖는 경질의 합성수지를 소재로 제작된 상기 체결돌기가 인서트된 금형 내부로 발포 PP(polypropylene), 발포 PS(polystyrene), 발포 PU(polyurethane) 및 발포 PVC((Polyvinylchlori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소재를 사출하여 상기 체결돌기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흡음재는, 상기 흡음재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매설되는 중공을 갖는 가요성의 튜브와, 상기 중공에 충진되는 상변이물질을 포함하여 타이어의 과도한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흡음재는, 상기 고정체가 변형되어 상기 흡음재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매설되는 중공을 갖는 가요성의 튜브와, 상기 중공에 충진되는 상변이물질을 포함하여 타이어의 과도한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상변이물질은, 유기계열의 파라핀계 왁스, 폴리글리콜 E6000, 스테아린산, 나프탈렌, 프로필아미드, 무기계열의 ZnSO4ㆍ7H2O 및 SrBr2ㆍ6H2O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행중 타이어로부터 유발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타이어의 내주면을 따라 부착되는 흡음재의 부착면에 돌출형성된 체결돌기와, 타이어의 내주면에서 체결돌기가 끼움고정되도록 상보적인 홈형상으로 성형되어 체결돌기와 탈착결합을 이루는 체결홈으로 구성된 결합수단으로 인해, 타이어 내주면에 대한 흡음재의 부착작업이 별도의 접착제나 공구를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작업자의 숙련도나 노하우에 의존하지 않아도 정확한 위치에 균일한 부착력으로 흡음재를 손쉽게 부착하고 탈거하며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흡음재가 구비된 타이어의 절단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흡음재를 탈거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체결돌기의 다양한 형상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체결홈을 형성하는 가류금형과 블래더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타이어에 설치되는 흡음재의 배치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탈부착형 흡음재가 구비된 타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 흡음재층을 포함하는 타이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형 흡음재가 구비된 타이어의 절단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흡음재를 탈거한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체결돌기의 다양한 형상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체결홈을 형성하는 가류금형과 블래더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타이어에 설치되는 흡음재의 배치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탈부착형 흡음재가 구비된 타이어의 단면도이고, 도 7은 종래 흡음재층을 포함하는 타이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정,앞쪽), 후(배,뒤쪽) 등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및 구성 간의 상대적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으로, 3 개의 축은 서로 대응되게 회전하여 바뀔 수 있으며, 특별히 다르게 한정하는 경우 외에는 이에 따른다.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형 흡음재가 구비된 타이어(100)는, 타이어 내주면(102)에 대한 흡음재(110)의 부착작업이 별도의 접착제나 공구를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작업자의 숙련도나 노하우에 의존하지 않아도 정확한 위치에 균일한 부착력으로 흡음재(110)를 손쉽게 부착 및 탈거하며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 내지 작용을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형 흡음재가 구비된 타이어(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음재(110) 및 결합수단(120) 등을 포함하는 실시예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변이물질(116)이 충진된 가요성 튜브(114)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변형예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구성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흡음재(110)는, 주행중 타이어로부터 유발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타이어의 내주면(102)을 따라 부착되는 구성요소로서, 주행시 타이어에 가해지는 불규칙한 충격으로부터 유발된 타이어 내부의 공기 진동을 흡수 내지 저감하는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다공성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음재(110)는,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의 내주면(102)에 밀착되는 평평한 부착면(112)이 일면에 형성된 상태에서 타이어의 내주면(102)에 대응하는 길이로 제작된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져 타이어에 링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흡음재(110)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의 내주면(102)에 밀착되는 평평한 부착면(112)이 일면에 형성된 상태에서 타이어의 내주면(102)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일정하게 배치되는 분할된 길이로 제작될 수 있고, 평평한 부착면(112)의 반대쪽 타면에 소정의 굴곡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판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러한 흡음재(110)의 두께는 30mm 내지 50mm로 제작하되, 흡음재(110)의 너비는 타이어의 접촉면인 트레드 대비 50% 내지 100%가 되도록 제작할 수 있다. 이때, 흡음재(110)의 두께를 위와 같이 제한한 이유는, 흡음재(110)의 두께가 30mm 미만인 경우 소음저감 성능을 기대하기 어렵고, 50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주행시 휠의 림표면과의 마찰에 의해 흡음재(110)에 대한 손상이나 마모가 발생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흡음재(110)에 형성된 기공의 크기는, 사용될 타이어의 규격, 특성 또는 용도에 따라 발생하는 고유한 공기 진동에 대응하여 평균 0.5mm 내지 2.0mm 범위에서 적절한 크기로 선택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진 흡음재(110)는, 다공성 부직포, 다공성 발포체 및 이들을 교대로 적층한 적층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공성 부직포는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 또는 폴리스티렌계 부직포일 수 있다.
그리고 다공성 발포체는, 발포 폴리프로필렌 폼, 발포 폴리스티렌 폼, 에테르계 발포 폴리우레탄 폼, 에스테르계 발포 폴리우레탄 폼, 에테르/에스테르계 발포 폴리우레탄 폼, 발포 폴리비닐크롤라이드 폼 등의 발포합성수지, 또는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폼(EPDM 폼), 니트릴 고무 폼(NBR 폼) 등의 발포고무일 수 있다.
이때, 발포 폴리우레탄 폼은 일반적으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polyisocyanate compound)과 폴리올(polyhydroxycompound)을 우레탄 반응시켜 제조하게 된다.
결합수단(120)은, 접착물질의 도포없이 작업자의 수작업이나 별도의 가압장치(미도시)를 통해 흡음재(110)를 타이어의 내주면(102)에 정확하고 신속하게 고정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돌기(121) 및 체결홈(12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돌기(121)는, 타이어의 내주면(102)을 마주하는 상술한 흡음재(110)의 부착면(112)에서 타이어의 내주면(102)을 향해 돌출형성된 상태로 흡음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후술할 체결홈(125)과 탈착결합을 이루게 되는 구성요소로서, 구체적으로 돌출체(122), 걸림체(123) 및 고정체(12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체(122)는, 흡음재(110)에서 후술할 체결홈(125)을 향해 돌출형성된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걸림체(123)는 돌출체(122)의 일단부에서 주변으로 확장형성되어 후술할 체결홈(125)에 걸림고정되는 구성요소로서, 구체적으로는 체결홈(125)의 걸림돌기(125a)를 탄성변형시키며 체결홈(125)의 내측 공간으로 인입된 후 탄성복원된 걸림돌기(125a)에 의해 이탈이 방지됨으로써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체(124)는 돌출체(122)의 타단부에서 주변으로 확장형성되어 흡음재(110)의 내측에 고정되는 구성요소이다.
위와 같이 돌출체(122) 및 걸림체(123)를 포함하는 체결돌기(121)의 형상은, 체결홈(125)에 끼움고정된 후 체결홈(125)으로부터 이탈이 억제될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형상이 T자 형상(121a)일 수 있고,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형상(121b)일 수 있으며,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섯 형상(121c)일 수 있다.
이러한 체결돌기(121)는, 흡음재(110)와 함께 휘어지며 타이어의 내주면(102)에 밀착될 수 있는 탄성과, 체결홈(125)에 대한 견고한 끼움고정을 위해 흡음재(110)보다 경질인 강도 특성을 갖는 합성수지를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을 갖는 경질의 합성수지로 제작된 체결돌기(121)는, 흡음재(110) 성형용 금형에 인서트된 후 금형 내로 사출되어 발포성형된 상술한 바와 같은 소재의 흡음재(11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위와 달리 체결돌기(121)는, 외력에 의해 자유롭게 소성변형되는 연질의 금속소재로 제작될 수 있고, 흡음재(110) 성형용 금형에 인서트된 후 금형 내로 사출되어 발포성형된 상술한 바와 같은 소재의 흡음재(110)와 일체를 이룰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체결홈(125)은, 타이어의 내주면(102)에서 체결돌기(121)가 끼움고정되도록 상보적인 홈형상으로 성형되어 체결돌기(121)와 탈착결합을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타이어의 내주면(102)을 이루는 이너라이너 또는 카카스 자체가 변형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체결홈(125)은, 구체적으로 타이어 가류공정에서 사용되는 가류금형(10)에 구비되어 고온 고압의 팽창력으로 타이어의 내주면(102)을 가압하는 도 4의 블래더(20,Bladder)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즉,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체결돌기(121)에 각각 대응하는 형상(T자 형상, 화살표 형상, 버섯 형상)의 대응가압체(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온 고압으로 팽창 작동하는 블래더(20)에 의해 타이어의 내주면(102)을 가압하여 체결돌기(121)의 상보적인 형상인 체결홈(125)을 정확한 위치에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흡음재(110)의 체결돌기(121)는, 일정한 위치에서 타이어 내주면(102)의 체결홈(125)에 꼭 맞게 끼움고정될 수 있는 것이고, 별도의 접착제나 공구를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신속, 용이하게 흡음재(110)를 타이어에 부착하고 탈거하며 교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꼭 맞게 끼워진다.'라는 의미는 체결홈(125)의 내측과 체결돌기(121)의 돌출체(122)나 걸림체(123)의 외형이 물리적으로 완전히 일치한다는 의미가 아니고, 양측의 접촉면에서 마찰력이 발생하여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쉽게 빠지지 않을 정도로 유격이 최소화된 것을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홈(125)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돌기(121) 주변의 흡음재(110)에서 함몰형성된 음각부(111)에 끼워지도록, 타이어의 내주면(102)에서 상보적으로 돌출형성된 양각부(104)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서로 끼워지도록 양각부(104)와 음각부(111)가 각각 대응된 타이어 내주면(102)과 흡음재(110) 측에 형성됨에 따라, 이후 체결홈(125)에 대한 체결돌기(121)의 끼움결합이 안내 내지 유도될 수 있고, 체결돌기(121)와 체결홈(125) 간의 끼움결합과 함께 타이어 내부면에 대한 흡음재(110)의 보다 견고하게 고정이 중첩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돌출형성된 양각부(104)의 양측면과, 이와 접촉하는 음각부(111)의 내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서로를 가압하는 요철구조(미도시)가 더 형성되면, 타이어 내부면에 대한 흡음재(110)의 고정력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양각부(104) 상에 형성되는 체결홈(12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각부(104)에 대응한 홈과 대응가압체(22)가 일체로 형성된 블래더(20)의 팽창 작동에 의해 한 번에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위와 달리 보다 정밀하고 정확하게 체결홈(125)을 양각부(104)에 형성하기 위해, 먼저 타이어 내주면(102)의 양각부(104)는 이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된 1차 블래더(20)에 의해 형성되고, 체결홈(125)은 이후 기형성된 양각부(104)에 다시 체결홈(125)에 대응하는 돌기가 형성된 2차 블래더(20)에 의해 단계별로 순차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탈부착형 흡음재가 구비된 타이어(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14)와 상변이물질(116)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튜브(114)는, 흡음재(110)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매설되는 중공(114a)을 갖는 가요성의 구성요소로서, 상술한 체결돌기(121)와 연관성 없이 흡음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에 관통설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제조 공정의 편의와 부품의 간소화를 위해, 튜브(11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돌기(121)의 고정체(124) 부분을 중공(114a)을 갖는 가요성의 관체로 변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흡음재(110)의 내측에 설치되는 튜브(114)의 개구된 양단부는, 후술할 상변이물질(116)이 충진되면 각각 폐쇄되도록 마감하게 된다.
상변이물질(116)은, 주행중 타이어로부터 전달된 과도한 발열을 억제하기 위해 상술한 튜브(114)의 중공(114a)에 충진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상변이물질(116)이란, 미리 설정된 온도범위를 기준으로 고체에서 액체, 액체에서 고체로 상태 변화하며 각각 열을 저장(흡열)하거나 열을 방출(방열)하는 온도조절 물질로서, 유기물질, 무기물질 또는 자연계에서 얻을 수 있는 식물성 물질 등 그 종류는 100개 내지 200개에 달한다.
다만,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상변이물질(116)은, 타이어의 과도한 발열을 억제하는 데에 특화될 수 있도록, 상변화 온도 범위가 40℃ 내지 80℃로 설정된 유기계열의 파라핀계 왁스(융점 약 36℃ 내지 64℃), 폴리글리콜 E6000(융점 약 66℃), 스테아린산(융점 약 71℃), 나프탈렌(융점 약 78℃), 프로필아미드(융점 약 81℃) 등이거나, 무기계열의 ZnSO4ㆍ7H2O(융점 약 39℃), SrBr2ㆍ6H2O(융점 약 89℃) 등일 수 있고, 이들을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변화 온도 범위를 갖는 상변이물질(116)이 튜브(114)의 중공(114a) 내에 충진되면, 특정 온도범위에서의 타이어 온도 상승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고, 급격한 온도변화가 방지되어 타이어의 내구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상변이물질(116)은, 상술한 소재 이외에도, 누출사고시 오염 등의 문제가 없는 에틸렌글리콜, 피마자유 또는 상변이물질(116)(130) 등을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혼합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가류금형 20: 블래더
22: 대응가압체
100: 탈부착형 흡음재가 구비된 타이어
102: 내주면 104: 양각부
110: 흡음재 111: 음각부
112: 부착면 114: 튜브
114a: 중공 116: 상변이물질
120: 결합수단 121: 체결돌기
121a: T자 형상 체결돌기 121b: 화살표 형상 체결돌기
121c: 버섯 형상 체결돌기 122: 돌출체
123: 걸림체 124: 고정체
125: 체결홈 125a: 걸림돌기

Claims (9)

  1. 주행중 타이어로부터 유발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타이어의 내주면을 따라 부착되는 흡음재와, 이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갖는 타이어로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내주면을 마주하는 상기 흡음재의 부착면에서 돌출형성된 체결돌기; 및
    상기 내주면에서 상기 체결돌기가 끼움고정되도록 상보적인 홈형상으로 성형되어 상기 체결돌기와 탈착결합을 이루는 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흡음재는,
    상기 흡음재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매설되는 중공을 갖는 가요성의 튜브와, 상기 중공에 충진되는 상변이물질을 포함하여 타이어의 과도한 발열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흡음재가 구비된 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흡음재에서 상기 체결홈을 향해 돌출된 돌출체;
    상기 돌출체의 일단부에서 주변으로 확장형성되어 상기 체결홈에 걸림고정되는 걸림체; 및
    상기 돌출체의 타단부에서 주변으로 확장형성되어 상기 흡음재의 내측에 고정되는 고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흡음재가 구비된 타이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체 및 상기 걸림체가 이루는 단면형상은,
    T자 형상, 화살표 형상, 버섯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흡음재가 구비된 타이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은,
    타이어 가류공정에서 사용되는 가류금형에 구비되어 고온 고압의 팽창력으로 상기 내주면을 가압하는 블래더에 형성된 대응가압체에 의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흡음재가 구비된 타이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은,
    상기 체결돌기 주변의 상기 흡음재에서 함몰형성된 음각부에 끼워지도록 상기 내주면에서 상보적으로 돌출형성된 양각부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흡음재가 구비된 타이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는,
    탄성을 갖는 경질의 합성수지를 소재로 제작된 상기 체결돌기가 인서트된 금형 내부로 발포 PP(polypropylene), 발포 PS(polystyrene), 발포 PU(polyurethane) 및 발포 PVC((Polyvinylchlori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 소재를 사출하여 상기 체결돌기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흡음재가 구비된 타이어.
  7. 삭제
  8. 주행중 타이어로부터 유발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타이어의 내주면을 따라 부착되는 흡음재와, 이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갖는 타이어로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내주면을 마주하는 상기 흡음재의 부착면에서 돌출형성된 체결돌기; 및
    상기 내주면에서 상기 체결돌기가 끼움고정되도록 상보적인 홈형상으로 성형되어 상기 체결돌기와 탈착결합을 이루는 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흡음재에서 상기 체결홈을 향해 돌출된 돌출체; 상기 돌출체의 일단부에서 주변으로 확장형성되어 상기 체결홈에 걸림고정되는 걸림체; 및 상기 돌출체의 타단부에서 주변으로 확장형성되어 상기 흡음재의 내측에 고정되는 고정체를 포함하고,
    상기 흡음재는,
    상기 고정체가 변형되어 상기 흡음재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매설되는 중공을 갖는 가요성의 튜브와, 상기 중공에 충진되는 상변이물질을 포함하여 타이어의 과도한 발열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흡음재가 구비된 타이어.
  9.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변이물질은,
    유기계열의 파라핀계 왁스, 폴리글리콜 E6000, 스테아린산, 나프탈렌, 프로필아미드, 무기계열의 ZnSO4ㆍ7H2O 및 SrBr2ㆍ6H2O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흡음재가 구비된 타이어.
KR1020200132235A 2020-10-13 2020-10-13 탈부착형 흡음재가 구비된 타이어 KR102388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235A KR102388162B1 (ko) 2020-10-13 2020-10-13 탈부착형 흡음재가 구비된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235A KR102388162B1 (ko) 2020-10-13 2020-10-13 탈부착형 흡음재가 구비된 타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8162B1 true KR102388162B1 (ko) 2022-04-19

Family

ID=81390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235A KR102388162B1 (ko) 2020-10-13 2020-10-13 탈부착형 흡음재가 구비된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816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5319A (ja) * 2010-07-27 2012-02-09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01932B1 (ko) * 2016-02-22 2017-12-28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흡음 부재를 가진 타이어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71299A (ko) 2018-12-11 2020-06-19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실란트층 및 흡음재층을 포함하는 타이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5319A (ja) * 2010-07-27 2012-02-09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01932B1 (ko) * 2016-02-22 2017-12-28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흡음 부재를 가진 타이어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71299A (ko) 2018-12-11 2020-06-19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실란트층 및 흡음재층을 포함하는 타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72348B1 (en) Method for fitting a puncture-proof tire tube to a tire
CN108688406B (zh) 半充气轮胎及半充气轮胎的制造方法
US7490644B2 (en) Pneumatic tire with noise damper
US7857926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neumatic tire
EP2457749A1 (en) Method for making a tire with foam noise damper and pneumatic tire
JP2012071601A (ja) フォーム製ノイズダンパーを有する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法
US20140116601A1 (en) Method of applying an annular strip to a tire
KR200467880Y1 (ko) 자전거 타이어용 노펑크 튜브 및 상기 자전거 타이어용 노펑크 튜브 제작용 발포 성형틀
US6287101B1 (en) Semi-pneumatic mine service tire
KR102388162B1 (ko) 탈부착형 흡음재가 구비된 타이어
JP5308906B2 (ja) タイヤ内面への部材の貼付け方法
US20170305208A1 (en) Pneumatic tire
US10632790B2 (en) Pneumatic tire
JP2018095068A (ja) 非空気圧タイヤ
EP1669215B1 (en) Retreaded solid tire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6094620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4384098B2 (ja) ランフラット支持体と空気入りタイヤとの固定具
US11554616B2 (en) Pneumatic tire with removably mounted run-flat load support bodies
JP4169727B2 (ja) ソリッドタイヤの製造方法
KR102569142B1 (ko) 타이어 및 타이어 제조 방법
JP7241481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20210091400A (ko) 공기입타이어
JP2007320141A (ja) ランフラットタイヤ支持体の製造方法及び成形型
JP2005313690A (ja) ランフラットタイヤ支持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ランフラットタイヤ
US20060162835A1 (en) Tire wheel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