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7332B1 - 혼합 폐 플라스틱 (mwp)을 가치있는 석유화학제품으로 전환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혼합 폐 플라스틱 (mwp)을 가치있는 석유화학제품으로 전환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7332B1
KR102387332B1 KR1020167026458A KR20167026458A KR102387332B1 KR 102387332 B1 KR102387332 B1 KR 102387332B1 KR 1020167026458 A KR1020167026458 A KR 1020167026458A KR 20167026458 A KR20167026458 A KR 20167026458A KR 102387332 B1 KR102387332 B1 KR 102387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cracking
unit
stream
feed
liquid 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6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6676A (ko
Inventor
앤드류 마크 와드
아르노 요하네스 마리아 오프린스
라비찬데르 나라야나스와미
Original Assignee
사우디 베이식 인더스트리즈 코포레이션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우디 베이식 인더스트리즈 코포레이션,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filed Critical 사우디 베이식 인더스트리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146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7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7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1/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 C10G1/1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il-shale, oil-sand, or non-melting solid carbonaceous or similar materials, e.g. wood, coal from rubber or rubber was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45/0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using hydrogen or hydrogen-generat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45/0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using hydrogen or hydrogen-generating compounds
    • C10G45/02Refining of hydrocarbon oils using hydrogen or hydrogen-generating compounds to eliminate hetero atoms without changing the skeleton of the hydrocarbon involved and without cracking into lower boiling hydrocarbons; Hydrofinis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47/00Crack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presence of hydrogen or hydrogen- generating compounds, to obtain lower boiling fra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47/00Crack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presence of hydrogen or hydrogen- generating compounds, to obtain lower boiling fractions
    • C10G47/36Controlling or reg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65/00Treatment of hydrocarbon oils by two or more hydrotreatment processes only
    • C10G65/02Treatment of hydrocarbon oils by two or more hydrotreatment processes only plural serial stages only
    • C10G65/12Treatment of hydrocarbon oils by two or more hydrotreatment processes only plural serial stages only including cracking steps and other hydrotreatment step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69/00Treatment of hydrocarbon oils by at least one hydrotreatment process and at least one other conversion process
    • C10G69/02Treatment of hydrocarbon oils by at least one hydrotreatment process and at least one other conversion process plural serial stage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69/00Treatment of hydrocarbon oils by at least one hydrotreatment process and at least one other conversion process
    • C10G69/02Treatment of hydrocarbon oils by at least one hydrotreatment process and at least one other conversion process plural serial stages only
    • C10G69/06Treatment of hydrocarbon oils by at least one hydrotreatment process and at least one other conversion process plural serial stages only including at least one step of thermal cracking in the absence of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70/00Working-up undefined normally gaseous mixtures obtained by processes covered by groups C10G9/00, C10G11/00, C10G15/00, C10G47/00, C10G51/00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9/00Thermal non-catalytic cracking, in the absence of hydrogen, of hydrocarbon oils
    • C10G9/34Thermal non-catalytic cracking, in the absence of hydrogen, of hydrocarbon oils by direct contact with inert preheated fluids, e.g. with molten metals or salts
    • C10G9/36Thermal non-catalytic cracking, in the absence of hydrogen, of hydrocarbon oils by direct contact with inert preheated fluids, e.g. with molten metals or salts with heated gases or vapou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03Wast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74Vacuum distil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20Characteristics of the feedstock or the products
    • C10G2300/201Impurities
    • C10G2300/202Heteroatoms content, i.e. S, N, O, P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20Characteristics of the feedstock or the products
    • C10G2300/201Impurities
    • C10G2300/205Metal cont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 폐 플라스틱 (MWP)을 열분해 반응기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MWP를 기체 스트림 및 액체 스트림으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기체 스트림을 가치있는 석유화학제품으로 추가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혼합 폐 플라스틱 (MWP)을 가치있는 석유화학제품으로 전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더 포함한다:
i) 상기 액체 스트림을, 수소화분해로 공급물과 함께, 수소화분해 유닛으로 공급하는 단계;
ii) 상기 액체 스트림을 상기 수소화분해로 공급물과 함께, 수소화분해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체 스트림 및 액체 스트림으로 전환하는 단계;
iii)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체 스트림을 가치있는 석유화학제품으로 추가 처리하는단계.

Description

혼합 폐 플라스틱 (MWP)을 가치있는 석유화학제품으로 전환하는 방법{Process for converting mixed waste plastic (MWP) into valuable petrochemicals}
본 발명은 혼합 폐 플라스틱 (mixed waste plastic, MWP)을 가치있는 석유화학제품으로 전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방법은 혼합 폐 플라스틱 (MWP)을 열분해 반응기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MWP를 기체 스트림 및 액체 스트림으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기체 스트림을 가치있는 석유화학제품으로 추가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WO2013/169367호는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고 VI 윤활 기유(high VI lubricating base oil)를 제조하는 공정에 관한 것이다: a) (1) 플라스틱 공급(feed)을 열분해하는 것으로부터 유래된 중질 왁스(heavy wax) 및 (2) 윤활유 공급원료(lube oil feedstock)를 포함하는 블렌드(blend)를, 윤활유 수소화분해(hydrocracking) 조건들 하에서 수소화분해 촉매 및 수소의 존재 하에, 윤활유 수소화분해 구역에서 수소화분해하여, 수소화분해된 스트림(hydrocracked stream) 을 생산하는 단계; 및 b) 상기 수소화분해된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수소이성화(hydroisomerization) 조건들 하에서 수소이성화 촉매 및 수소의 존재 하에, 수소이성화 구역에서 탈랍시켜(dewaxing), 기유를 생산하는 단계. 중질 왁스들은 당업자들에게 잘 공지된 방법에 의해 플라스틱 공급물을 열분해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고, 이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6,143,940호에 기술되어 있다. 열분해 구역 유출물은 전형적으로 광범위한 범위의 비등점을 갖는 물질들을 함유한다. 열분해 구역 유출물(액체 부분)은 매우 왁스질이며 높은 유동점 (pour point) 을 갖는다. 그것은 n-파라핀들 및 일부 올레핀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WO2013/169367호는 수소화이성화 및 수소화개질이 뒤따르는 수소화분해 공정에 의해 고 VI 윤활 기유를 제조하는 공정을 개시하며, 공급물로서 플라스틱의 열분해로부터의 중질 왁스 및 일반적인 윤활유 공급원료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중질 왁스는 30-90wt% n-파라핀, 5-25wt% 올레핀 및 < 5wt% 방향족을 포함한다. 제WO2013/169367호는 수소화분해 공급에 중질 왁스를 공동-공급함에 의해, 중질 왁스가 생성물의 343℃+ 커트(cut)에서 농축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참조의 목적은 생성물의 343℃+ 커트를 최대화, 즉 윤활유 기유(343℃+)를 최대화하는 것이다.
미국 특허출원 번호 제2009/151233호는 a) 약 450℃ 내지 약 650℃의 온도에서 적어도 약 75 wt.%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폐 플라스틱과 바이오매스를 동시에 열분해하여 열분해 오일을 수득하는 단계; b) 열분해 오일을 650°F.- 분획 및 650°F.+ 분획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성분 분획으로 분리하는 단계; c) 적어도 2개의 성분 분획 중 적어도 하나를 수소처리하여 적어도 하나의 수소처리된 중간체를 수득하는 단계; 및 d) 적어도 하나의 수소처리된 중간체를 촉매적으로-이성화하여 적어도 하나의 이성화된 생성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출원 번호 제2009/151233호의 목적은 바이오매스 및 플라스틱을 열분해 유닛에 공동-공급하는 단계 및 수송 연료를 형성하기 위하여 열분해 유닛으로부터 생성물에서 적어도 하나의 비등 커트(cut) 분획을 이성화하고 수소처리하는 단계에 따라 생성된 수송 연료를 최대화하는 것이다. 미국 특허출원 번호 제2009/151233호는 수소화분해로에 석유화학 공급과 함께 열분해 액체를 공동-공급하고, 그 결합된 수소화분해로 공급물에서 아스팔텐의 안정성에 관한 것이 아니다.
기사 "친환경적으로 유리한 가솔린 범위 제품에서 플라스틱 열분해 액체의 연속적인 업그레이드", H.S Joo 등, Fuel Processing Technology, 1998년 1월 1일 (1998-01 -01), 페이지 25-40는 수소처리, 수소화분해 및 증류로 이루어진 3-단계의 연속적인 공정을 이용하는 가솔린 범위 제품에서 플라스틱 열분해로부터 잔류 액체를 업그레이드하는 것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열분해를 받게된 원래의 액체는 90℃ 및 20 밀리바에서 증류에 의해 2개의 분획으로 분리되었고, 공급 물질은 원료 플라스틱 열분해 액체의 58%에 달하는 잔류 분획이었다. 이 잔류 분획은 비등점 분배에 따른 71 wt.% 가스 오일 분획 (+ 205℃) 및 29 wt.% 나프타 분획을 포함하는 불투명한 흑색 액체였다. 이 참조는 플라스틱 열분해 공정으로부터 잔류 액체의 수소화분해에 관한 것이다. 열분해 공정으로부터의 액체 생성물은 증류 분획(48wt %) 및 잔류 액체 분획(52wt %)을 생성하기 위해 증류된다. 29wt% 나프타 범위 탄화수소 및 205℃ 초과 비등(boiling) 71wt%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이 잔류 액체 분획은 수소화분해 공정에 대한 공급물이다. 그 생성물은 가솔린 비등(boiling) 범위에서 물질의 46wt%를 포함하였다. 따라서, 이 참조는 석유화학제품을 최대화하기 위한 통합 공정은 지시하지 않는다.
일본 제11061147A호 및 일본 제11061148A호는 플라스틱의 열분해 방법을 개시하며, 여기서 열분해 오일은 염소로부터 유리되기 위해 수소화되고, 석유 오일과 혼합되고, 정제 장치에 공급된다.
일본 제10310778A호는 0-100 부피%의 열분해 오일이 250℃ 미만 비등의 석유 스트림과 혼합되어 FCC 유닛에 공급되는 공정을 개시한다. 그 열분해 오일 품질은 0.1-5g 디엔/100g, 0.0007-1wt% 염소 및 0.0001-1wt% 산소를 가져야 한다.
폐 플라스틱은 재활용으로 전환되는 일부가 있으나, 대부분 매립지에 버려지거나, 소각된다. 수년에 걸쳐, 매립지에 대한 증가하는 규제 및 세금부과에 따라, 재활용되거나 에너지 회수를 위해 소각되는 소비 후 폐기물의 비율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플라스틱 유럽(Plastics Europe)에 의한 2009년 통계는 대략적으로 2천4백40만 톤의 폐 플라스틱이 유럽에서 생성되었음을 나타내었다. 이 중, 54%는 재활용(22.6%) 또는 에너지 회수를 통해 처리되었다. 매립지에 버려진 플라스틱은 대략적으로 46.1%이였다. 즉, 매립지에 폐 플라스틱을 버리는 것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나프타, 에틸렌, 프로필렌 및 방향족과 같은 생성물로 폐 플라스틱을 열분해하는 것은 폐 플라스틱의 공급원료 재활용의 범주 하에 분류될 수 있다. 나프타 가격이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나프타 공급으로 작동하는 증기 분해기는 더 값싼 가스 탄화수소 공급으로 작동하는 증기 분해기에 비해 불리한 위치에 있다. 증기 분해기로 공급되는 나프타의 일부가 열분해와 같은 플라스틱 전환 공정 유래의 동등한 양의 생성물에 의해 대체된다면, 나프타 공급으로 작동하는 증기 분해기에 대한 경제적 상황은 개선될 것이다.
연속 증기 분해기 플랜트 작동에서 매우 큰 양으로 경제성에 대한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 열분해 공정 또한 연속적인 것이 필요하다. 오늘날, 어떠한 큰 규모의 플랜트도 폐 플라스틱을 석유화학제품으로 단일 단계를 통해 직접적으로 전환하지 못한다. 전세계에 걸친 이전의 시도는 폐 플라스틱으로부터 액체 연료의 생성에 초점을 맞춰왔다. 이 플랜트는 사실상 규모 및 모듈에서 작았다. 그러한 소규모의 플랜트에서 수행된 반응은 또한 더 오랜 체류 시간 동안 수행되며, 그들을 더 큰 규모의 연속적인 작동에 부적합하게 만든다. 일부 초기 시도는 또한, 폐 플라스틱으로부터 증기 분해기에 대한 공급원료를 생성하는 데 초점을 맞춰 왔다. 그러나, 이들은 성공을 위해 증기 분해기 용광로의 가용성에 의존하고 있다. 또한, 크래커 용광로에서 이러한 생성된 증기 분해기 공급의 전환은 전형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많은 양의 메탄의 생성을 초래할 것이다.
혼합 플라스틱 폐기물(MPW)의 열분해는 가스 및 액체의 수득을 제공한다. 가스 생성 수득물은 올레핀 성분이 풍부하다. 액체 생성물은 방향족이 풍부하다. 열분해 반응기에서 작동의 정도에 따라, 열분해 반응기로부터 경질 올레핀의 수율은 증가될 수 있고, 방향족의 수율은 증가될 수 있다. 액체 열분해 생성물은 비율을 변화함에 따라, 즉 파라핀, 이소-파라핀, 나프텐, 올레핀 및 방향족의 모든 부류의 화합물을 갖는다.
본 발명의 양태 또는 특징은 혼합 폐 플라스틱 (MWP)을 가치있는 석유화학제품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고, 여기서 가치있는 석유화학제품의 수율은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 또는 특징은 혼합 폐 플라스틱 (MWP)을 가치있는 석유화학제품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고, 여기서 열분해 반응기로부터 발생한 액체 스트림의 화학적 조성은 특정 수소화처리 유닛을 위해 이용된다.
즉, 본 발명은 혼합 폐 플라스틱 (MWP)을 가치있는 석유화학제품으로 전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혼합 폐 플라스틱 (MWP)을 열분해 반응기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반응기에서 MWP를 기체 스트림 및 액체 스트림으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기체 스트림을 가치있는 석유화학제품으로 추가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를 더 포함한다:
i) 상기 액체 스트림을, 수소화분해로 공급물과 함께, 수소화분해 유닛으로 공급하는 단계;
ii) 상기 액체 스트림을 상기 수소화분해로 공급물과 함께, 수소화분해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체 스트림 및 액체 스트림으로 전환하는 단계;
iii)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체 스트림을 가치있는 석유화학제품으로 추가 처리하는 단계, 여기서, 단계 i)에서 상기 열분해 반응기 유래의 상기 액체 스트림은 먼저 높은 방향족 함량을 갖는 액체 스트림 및 낮은 방향족 함량을 갖는 액체 스트림으로 분리되고, 그 후, 상기 낮은 방향족 함량을 갖는 액체 스트림을 상기 수소화분해 유닛으로 전송한다.
본 방법에 따르면, 가치있는 석유화학제품의 수율은 열분해 반응기로부터 발생한 액체 스트림이 수소화분해 반응기로 전송되어 적어도 하나의 기체 스트림으로 변환되기 때문에 상당히 증가되며, 그 기체 스트림으로부터 또한 가치있는 석유화학제품이 얻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가치있는 석유화학제품은 열분해 반응기로부터 직접적으로 발생한 기체 스트림뿐 아니라, 수소화분해 반응기로부터 발생한 기체 스트림으로부터 유래된다.
본 발명의 근본적인 문제는 혼합 플라스틱으로부터, 석유화학제품, 예를 들어, 에탄, 프로판, 부탄,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및 벤젠, 톨루엔, 크실렌 및 에틸벤젠과 같은 방향족의 극대화이고, 또한, 수소화분해로에 안정적인 공급을 유지하는 통합 공정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방법은 열분해기, 수소화분해기, 증기 분해기, PDH 및 BDH를 결합한 통합 공정에서 혼합 플라스틱으로부터 석유화학제품의 생산을 극대화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석유화학제품의 생산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열분해 반응기는 바람직하게는 열분해기의 출구에서 경질 가스인 올레핀 및 방향족의 수율을 극대화하는 더욱 격렬한 장치에서 작동한다. 240℃ 미만 비등 액체 생성물은 약 70% 방향족 함량을 갖는다. 이것은 제WO2013/169367호와 상이하다. 수소화분해 공급에서 아스팔텐의 침전을 초래하는 수소화분해로에 불안정한 공급 블렌드를 생성할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종속항에 언급된 바와 같은 블렌드 규칙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특히 석유 공급이 아랍(Arab) 중질 상압 또는 진공 잔사유와 같은 아스팔텐 함량이 풍부한 구현예에 유용하다. 결합된 용액의 효과는 커트 C5-150℃이 최대화되고, 343℃+이 최소화되는 것이 명확한 것으로 실시예에서 증명되었다. 따라서, 석유화학제품은 극대화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적어도 하나의 기체 스트림"은 수소화분해 반응이 복수의 기체 스트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소화분해 유닛으로부터 생성된 기체 스트림의 임의의 양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가치있는 석유화학제품"은 예를 들어, H2, CO, CO2, CH4, 에탄, 프로판, 부탄, 에틸렌, 프로필렌 및 부텐과 같은 출발 물질뿐 아니라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BTX)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의 추가적인, 예상치 못한 이점은 열분해 반응기로부터 발생한 액체 스트림 및 수소화 분해로 공급, 바람직하게는 상압 증류(AR) 및/또는 진공 증류 (VR) 유래의 원유 증류 바닥(crude distillation bottom)의 조합이 전체 원유와 유사한 비등 곡선을 갖는 수소화분해 유닛에 대한 결합된 공급 스트림을 야기한다는 것이다.
또한, 상압 증류 (AR) 및/또는 진공 증류 (VR)의 원유 증류 바닥의 문제는 하부 스트림 처리 유닛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는, 아스팔텐의 응집이다. 본 발명자들은 현재 열분해 반응기로부터 발생한 액체 스트림과 수소화 분해로 공급을 결합하고, 얻어진 그 혼합된 공급을 수소화분해 반응기에 공급함으로써, 용해된 상태의 AR 또는 VR에서 아스팔텐을 유지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가지게 되며, 따라서, 수소화처리 촉매의 오염을 감소시킬 것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그러한 결합된 공급원료에서, 아스팔텐은 용해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수소화분해 유닛 분야 내의 문제는 수소화분해로 공급물에 불필요한 금속의 존재이다. 본 발명자들은 현재 열분해 반응기로부터 발생한 액체 스트림과 수소화 분해로 공급을 결합하고, 얻어진 그 혼합된 공급물을 수소화분해 반응기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언급된 액체스트림의 첨가 없이, 상압 잔사유(atmospheric residue, AR) 또는 진공 잔사유(vacuum residue, VR)와 비교할 때, 낮은 금속 함량의 공급원료를 발생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수소화분해 유닛 분야 내의 문제는 수소화분해로 공급물(hydrocracker feed)의 황 함량이다. 높은 황 함량은 수소화처리 반응 구역에서 수소화처리 촉매의 활성 부위에 대해 수소와 경쟁하는 높은 양의 황화수소의 생성을 초래한다. 또한, 수소 분압이 감소되어 반응 성능에 영향을 끼친다. 본 발명자들은 현재 열분해 반응기로부터 유래된 액체 스트림 및 수소화 분해로 공급을 결합하고, 얻어진 그 혼합된 공급을 수소화분해 반응기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언급된 액체스트림의 첨가 없이, 상압 잔사유(AR) 또는 진공 잔사유(VR)에 비교할 때, 낮은 황 함량의 공급원료(feedstock)를 발생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소화분해 유닛에서 그러한 수소화분해로 공급물의 황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수소화분해로 공급물과 혼합되는 MWP 열분해 반응기 유래의 액체 스트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혼합 폐 플라스틱 (MWP)의 열분해는 가스 및 액체를 제공한다. 가스 생성물 수율은 올레핀 성분이 풍부하다. 액체 생성물은 방향족이 풍부하다. 열분해 반응기의 조작 정도에 따라, 열분해 반응기에서 작동의 정도에 따라, 열분해 반응기로부터 경질 올레핀의 수율은 증가될 수 있고, 방향족의 수율은 증가될 수 있다. 액체 열분해 생성물은 비율을 변화함에 따라, 즉 파라핀, 이소-파라핀, 나프텐, 올레핀 및 방향족의 모든 부류의 화합물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열분해 반응기에 대한 작동 조건은 550-730℃, 공급물에 대한 촉매의 6 이상의 비율, 유동 접촉 분해(fluidized catalytic cracking, FCC) 촉매 및 ZSM-5 제올라이트 촉매를 포함하는 촉매 조성물을 포함하는 작동 조건을 포함하며, ZSM-5 제올라이트 촉매는 촉매 조성물의 적어도 10wt%를 차지한다. 하류에 위치한 수소화분해 유닛에서 가치있는 석유화학제품의 고 수율을 얻는 관점에서, 상기 열분해 반응기로부터 발생한 상기 액체 스트림의 90%가 350℃ 미만에서 비등하는 열분해 반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열분해 반응기가 작동되는 방법은 더 경질 올렌핀을 생산할 뿐 아니라 안정한 수소화분해로 공급물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충분한 방향족을 생성하는 높은 정도의 열분해 공정이 참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소화분해 반응기 공정은 330-500℃의 온도, 70-200 barg의 압력 범위, 고정된 용도, 부유층 또는 슬러리 베드(bed) 반응기를 포함한다. 수소화분해를 위한 촉매는 통상적으로 알루미나 상의 Co-Mo/Ni-Mo와 같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수소화분해 촉매 또는 상업적으로 이용되는 기타 다른 것들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혼합 폐 플라스틱 (MWP)은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PVC), 폴리아미드,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우레판, 폴리에스터, 천연 및 합성 고무, 타이어, 충진된 중합체, 복합체, 플라스틱 합금, 용매에 용해된 플라스틱, 바이오매스, 바이오 오일, 및 석유 오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열분해 반응기로부터의 액체 스트림은 높은 방향족 함량을 갖는 액체 스트림 및 낮은 방향족 함량을 갖는 액체 스트림으로 분리되고, 여기서 낮은 방향족 함량을 갖는 액체 스트림은 상기 수소화분해 유닛으로 전송된다. 그러한 분리는 수소화분해로 공급물이 아스팔텐 침전 경향이 없을 때 바람직하다.
본 방법에 따르면, 수소화분해 유닛으로부터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기체 스트림은 가치있는 석유화학제품으로 추가적으로 처리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열분해 반응기로부터 발생한 기체 스트림은 상기 수소화분해 유닛으로부터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기체 스트림과 결합되고, 상기 결합된 기체 스트림은 가치있는 석유화학제품으로 추가 처리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열분해 반응기로부터의 기체 스트림 및 상기 수소화분해 유닛으로부터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기체 스트림은 증기 분해 유닛, 프로판 탈수소 유닛, 부탄 탈수소 유닛 및 결합된 프로판/부탄 탈수소 유닛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 더욱 바람직하게는 증기 분해 유닛, 및 프로판 탈수소 유닛, 부탄 탈수소 유닛 및 결합된 프로판/부탄 탈수소 유닛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으로 추가 처리된다.
본 공정은 추가 처리에 앞서, 상기 열분해 반응기로부터의 상기 기체 스트림 및/또는 상기 수소화분해 유닛으로부터 발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체 스트림을 경질 분획, C2 분획, C3 분획 및 C4 분획으로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증기 분해 유닛에 상기 C2 분획, 상기 프로판 탈수소 유닛에 상기 C3 분획, 및 상기 부탄 탈수소 유닛에 상기 C4 분획을 각각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3 분획 및 C4 분획 모두를 포함하는 혼합 스트림의 경우, 그 혼합 스트림을 결합된 프로판/부탄 탈수소 유닛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비전환된 C3 및 C4의 입구로 재순환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출발물질 혼합 폐 플라스틱 (MWP)는 MWP를 열분해 반응기로 공급하기 전에 PVC 제거를 위해 분리기로 전송된다. 따라서, 오직 추적자 PVC/염소만이 열분해 유닛 공급에 존재한다. 분리된 PVC 스트림은 최대 450 ℃의 온도에서 열적으로 탈염산화되고, 그 후 수소화처리 유닛 또는 열분해 유닛에 공급된다. 이 방법에 따라, 반응 영역 금속 문제는 처리된다.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공정은 단계 i)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열분해 반응기로부터 발생한 임의의 액체 스트림을 염소로부터 유리하기 위해 어떠한 수소화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소화분해 유닛에 이러한 수소화 분해로 공급물의 금속 함량을 감소하기 위하여 수소화분해로 공급물과 혼합되는 MWP 열분해 반응기로부터의 액체 스트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소화분해 유닛에 이러한 수소화 분해로 공급물의 점도를 감소하기 위하여 수소화분해로 공급물과 혼합되는 MWP 열분해 반응기로부터의 액체 스트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계 i)에서 수소화분해 유닛을 나타낸다. 그러나, 특정 구현예에서, 수소화분해 유닛뿐 아니라, 코크스, FCC 유닛과 같은 다른 유닛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과 함께 하기에 추가적으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 도면에서, 예를 들어, 열분해 액체는 상압 증류 및/또는 진공 증류 유래의 원유 증류 바닥보다 훨씬 더 가벼운 열분해 액체를 갖는 상압 증류 및/또는 진공 증류 유래의 원유 증류 바닥의 H/C 원자 비율에 가까운 1.4-1.5의 H/C 원자 비율을 갖는다. 따라서, 이 경우에, 결합된 블렌드는 전체 원유에 유사한 비등 곡선을 가질 것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방향족 화합물이 열분해 액체로부터 추출된 후, 그 열분해 액체의 나머지 부분은 예를 들어, 2-2.2의 H/C 원자 비율을 가질 것이다. 이 값은 상압 증류 및/또는 진공 증류 유래의 원유 증류 바닥의 H/C 원자 비율보다 아마 더 높다. 비-방향족 열분해 액체 및 상압 증류 및/또는 진공 증류 유래의 원유 증류 바닥의 상기 조합을 사용하는 수소화분해로 공급물에서, 얻어진 혼합 공급물의 수소 함량은 향상된다. 열분해 오일로부터의 비-방향족을 수소화분해 유닛에 공급하는 이 경로는 수소화분해 유닛을 위한 공급으로서, 원유 잔사유가 비-방향족 열분해 오일과 원유 잔사유를 혼합함으로써 아스팔텐이 침전하지 않는 경향이 있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으로부터 석유화학제품을 극대화하기 위한 통합 과정을 나타내며, 또한 수소화분해로에 안정한 공급을 유지하기 위한 공급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수소화분해로 공급물의 안정성에 도움을 주는 경질 올레핀을 극대화하고, 방향족 액체(350℃ 미만 비등 액체의 90wt%)를 생산하기 위한 고가혹도 열분해 공정을 사용한다.
단독 도면은 본 발명의 공정의 구현예의 개략도이다.
단독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공정 및 장치(101)를 참조하면, 열분해 반응기(2) 및 수소화분해 유닛(9)이 나타나 있다. 혼합 폐 플라스틱(1)은 열분해 반응기(2)로 도입되어, 가스 생성물(12) 및 액체 생성물(5)을 발생시킨다. 가스 생성물(12)은 추가적으로 H2, CO, CO2, CH4를 포함하는 스트림(13), 에탄을 포함하는 스트림(14), 프로판을 포함하는 스트림(15), 부탄을 포함하는 스트림(16) 및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을 포함하는 스트림(17)과 같은 개별 스트림으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스트림(14)은 증기 분해기에서 처리될 수 있고, 스트림(15)은 프로판 탈수소 유닛에서, 스트림(16)은 부탄 탈수소 유닛에서 각각 처리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혼합 폐 플라스틱 (MWP)(1)은 열분해 반응기(2)로 MWP를 공급하기 전에 PVC 제거를 위한 분리 단계(본 명세서에 표시되지 않음)를 경험할 수 있다. 분리된 PVC 스트림은 최대 450℃의 온도에서 열적으로 탈염산화된 후, 열분해 반응기(2)로 공급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열분해 반응기(2) 유래의 액체 스트림(5)은 분리 유닛(4)에서 높은 방향족 함량을 갖는 스트림(6) 및 낮은 방향족 함량을 갖는 스트림(7)으로 분리되고, 여기서 낮은 방향족 함량을 갖는 스트림(7)은 수소화분해로 유닛(9)으로 전송된다. 스트림(7)은 수소화분해로 공급물(3)과 함께, 수소화분해 유닛(9)의 주입구로 공급된다. 수소화분해 유닛(9)에서, 도입된 혼합 액체 공급은 수소(도시되지 않음)의 존재 하에 수소화분해되어, 가스 생성물(11) 및 액체 생성물(10)로 전환되고, 상기 액체 생성물(10)은 추가적으로 상이한 화학 공정으로 처리될 수 있다. 가스 생성물(11)은 또한 가치있는 석유화학제품으로 처리될 수 있다. 가스 생성물(11)은 추가적으로 H2, CO, CO2, CH4를 포함하는 스트림(13), 에탄을 포함하는 스트림(14), 프로판을 포함하는 스트림(15), 부탄을 포함하는 스트림(16) 및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을 포함하는 스트림(17)과 같은 개별 스트림으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스트림(14)은 증기 분해기에서 처리될 수 있고, 스트림(15)은 프로판 탈수소 유닛에서, 스트림(16)은 부탄 탈수소 유닛에서 처리될 수 있다. 가스 생성물(11)은 또한 가스 생성물(12)과 혼합될 수 있고, 상기 혼합 가스 생성물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추가적으로 가치있는 석유화학제품으로 처리될 수 있다. 수소화분해로 공급물(3)의 예는 예를 들어 상압 증류 및/또는 진공 증류 유래의 원유 증류 바닥이다. 유닛(9)이 수소화분해 유닛으로 식별되었지만, 유닛(9)은 또한 코크스 또는 FCC 유닛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가치있는 석유화학제품"의 예는 예를 들어, H2, CO, CO2, CH4, 에탄, 프로판, 부탄, 에틸렌, 프로필렌 및 부텐과 같은 출발 물질뿐만 아니라,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BTX)에 관련된다.
하기 추가적인 이점은 또한 이러한 혼합 플라스틱 열분해 오일을 상압 증류 및/또는 진공 증류 유래의 원유 증류 바닥과 같은, 수소화분해로 공급물과 결합하여 발생한다.
특징은 결합된 공급의 금속 함량이 오직 상압 증류 및/또는 진공 증류 유래의 원유 증류 바닥에 비해 감소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공급의 유닛 부피 당 탈금속 요구를 수소화처리 반응기에서 더 낮게 만든다는 것이다.
다른 특징은 열분해 액체의 첨가가 또한 상압 증류 및/또는 진공 증류 유래의 원유 증류 바닥의 점도를 감소시켜 결합된 스트림을 더 쉽게 펌프되고 수소화처리를 더 잘 받아들이도록 만든다는 것이다.
다른 특징은 본 발명자들이 아스팔텐이 본 발명에 의해 가능한 더 낮은 점도를 갖는 용액에서 더 안정하다고 추측하는 것이다. 결과로서, 아스팔텐의 침전에 의한 수소화처리 촉매의 오염은 감소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열분해 액체를 방향족 및 비-방향족으로 분리하고, 비 방향족을 수소화 분해를 위해 상압 증류 및/또는 진공 증류 유래의 원유 증류 바닥과 함께 이송하는 것은 본 발명의 이점이다. 방향족은 더 높은 수율을 제공하기 위해 수소화분해 유닛을 우회할 수 있다. 석유화학제품의 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열분해 오일로부터 비-방향족을 수소화분해 유닛에 공급하는 이 경로는 수소화분해 유닛에 대한 공급으로서, 원유 잔사유가 비-방향족 열분해 오일과 원유 잔사유를 혼합함으로써 아스팔텐이 침전하지 않는 경향이 있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원유 잔사유가 아스팔텐 침전하는 경향이 있는 상황에서는, 전체 열분해 오일을 방향족 추출하지 않는 원유 잔사유와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열분해 오일에 존재하는 방향족은 아스팔텐을 용해된 조건으로 유지하는 수소화분해 유닛에서 공급 내 전체 방향족 함량을 높일 것이다. 원유 잔사유는 중량 또는 용적 등의 비율로 열분해 오일과 혼합되어 수소화처리 유닛 또는 그의 공급 히터로 도입되기에 앞서, ASTMD7157-12로 측정된 1 초과의 S 값을 갖는 공급물과 용매의 결합된 혼합물을 발생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정의 구현예의 개략도이다.
실시예 1:
783 mm의 길이 및 15mm의 내부 직경을 갖는 인-시츄 유동층 실험실 관형 반응기를 사용하였다. 반응기는 각 구역에 대한 독립적인 온도 제어를 갖는 분할-구역 3-구역 관형 용광로에 위치되었다. 각 구역의 크기는 9.3 인치(236.2 mm)였다. 용광로의 내부에 배치된 반응기의 전체 가열 길이는 591 mm이였다. 반응기 벽 온도를 각 구역의 중앙에서 측정하였고, 각 용광로 구역의 가열을 제어하는데 사용하였다. 반응기는 원추형 바닥을 가지며, 반응기 베드 온도는 원추형 바닥의 상부에서 반응기 내부에 배치되고, 보호관 내부에 있는 열전쌍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반응기 벽 온도는 반응기의 바닥이 뜨거운 것을 확인하도록 원추형 바닥에서 측정하였다. 반응기 바닥은 용광로 엔드 캡(end cap) 열 손실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반응기 바닥 벽 온도를 측정된 내부 베드 온도와 20℃ 차 이내로 유지하기 위해 용광로 바닥 구역의 중앙에 위치시켰다. 1.5g의 혼합 플라스틱 공급물을 조성물 19wt% HDPE, 21wt% LDPE, 24wt% PP, 12wt% C4-LLDPE, 6wt% C6-LLDPE, 11wt% PS 및 7wt% PET을 가지고 제조하였다. 폐 FCC 촉매를 62.5wt% 폐 FCC 촉매 및 37.5wt% ZSM-5 제올라이트 촉매의 비율로 ZSM-5 제올라이트 촉매와 조합하여 사용하였다. 플라스틱 공급물은 200 마이크론 플라스틱 분말의 형태였다. FCC 촉매는 작동 정제소로부터 얻어진 폐 FCC 촉매였다. 사용된 폐 FCC 촉매는 0.23wt%의 잔류 코크스를 가지고 있었다. 사용된 ZSM-5 제올라이트 촉매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ZSM-5 제올라이트 촉매였다. 실험에 사용된 건조 촉매 혼합물은 8.95g이었다. 사용된 촉매 / 플라스틱 공급물 비율은 ~5.96이었다. 플라스틱 공급물은 컵에서 휘저어서 촉매와 혼합한 후, 반응기 내로 공급하였다. 공급의 충전 전에, 반응기 내부 열전쌍에 의해 측정된 베드 온도는 700℃이었다. 175Ncc/분 (표준 cc/분)의 질소 가스 흐름을 유동화 및 담체 가스로 사용하였다. 반응기로부터의 전환 생성물을 수집하였고 응축기에서 응축하였다. 비응축된 생성물은 가스 수집 용기에 수집하였고, 정제 가스 분석기(M/s AC Analyticals B.V., 네덜란드)를 이용하여 가스 조성을 분석하였다. 액체 생성물은 모조 증류 GC (M/s AC Analyticals B.V., 네덜란드)를 이용하여 그들의 비등 분포에 대해 특징화하였다. 또한, 상세한 탄화수소 분석(최대 C13 탄화수소)을 DHA 분석기(M/s AC Analyticals B.V., 네덜란드)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촉매 상에 증착된 코크스를 IR-기반 CO 및 CO2 분석기를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질량 균형을 가스, 액체 및 코크스의 수율을 합산하여 결정하였다. 개별 생성물 수율을 결정하고, 표준화된 생성물 기반으로 보고하였다. 이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본 실험으로부터 경질 가스 올레핀의 수율은 34.91wt%이었다. 생성물 수율은 46.6wt% 가스, 50.4wt% 액체 및 3.1wt% 코크스이었다. < 220℃ 비등 액체 생성물의 수율은 43.57wt%이었다. < 240℃ 비등 액체 생성물의 상세한 탄화수소 분석을 표 2에 나타내었다. 액체는 그 안에 ~75.4wt% 방향족을 가졌다.
혼합 플라스틱 열분해로부터의 생성물
혼합 플라스틱 열분해로부터의 생성물 wt.%
H2 0.14
메탄 1.49
에탄 0.92
에틸렌 6.77
이산화탄소 1.85
프로판 2.95
프로필렌 15.84
i-부탄 2.77
n-부탄 1.15
t-2-부텐 2.98
1-부텐 2.08
i-부틸렌 4.90
c-2-부텐 2.20
1,3-부타티엔 0.14
일산화탄소 0.39
가솔린 43.57
디젤 5.82
중질(Heavies) 0.98
코크스 3.06
[표 2] 240℃ 미만 비등의 혼합 플라스틱 열분해 스트림의 상세한 탄화수소 분석
Figure 112016092630494-pct00001

실시예 2
아랍 중질 원유 유래의 340℃+ 잔사유(AHAR)의 포화물, 방향족, 수지 및 아스팔텐 (SARA) 분석 결과는 53.7/34.8/3.1/8.1이다. 240℃ 미만 비등 플라스틱 열분해 오일(PP오일)에 대한 SARA 분석 결과는 24.6/75.4/0/0이다. 상이한 중량 비율의 이러한 스트림의 조합은 이들 혼합물 내에서 예상된 안정한 아스팔텐 농도와 함께 하기 표에서 분석된다.
100% AHAR 70% AHAR + 30% PP오일 50% AHAR + 50% PP오일 25% AHAR + 75% PP오일 100% PP오일
아스팔텐 8.1 5.7 4.1 2.0 0.0
포화물 53.7 45.0 39.2 31.9 24.6
방향족 34.8 47.0 55.1 65.2 75.4
수지 3.1 2.2 1.6 0.8 0.0
혼합물 내 방향족 및 수지 농도로부터 혼합물 내 예상된 안정한 아스팔텐 농도 4.6 6.3 7.4 8.8 10.2
표 3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안정한 아스팔텐 조합은 혼합물에서 PP오일의 30wt% 또는 그 이상을 초과하는 모든 비율을 갖는 AHAR의 혼합물에서 얻어질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주어진 바와 같은, 100 Kg의 혼합 플라스틱의 열분해에 의해 생성된 50.39kg의 열분해 오일을 200Kg의 아랍 경질 AR과 혼합하고, 394℃ 및 186Kg/cm2g에서 작동하는 수소화분해 유닛에 공급하였다. 수율은 하기와 같다:
Figure 112016092630494-pct00002

실시예 4
100Kg의 혼합 플라스틱 및 200Kg AL AR을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 언급된 조건하에 열분해 및 수소화분해의 조합으로 처리한 전체 공정 수율을 동일한 조건하에 300Kg AL AR로 처리한 경우와 비교하여 하기 나타내었다:
Figure 112016092630494-pct00003
본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소화처리 유닛에서 플라스틱 열분해 오일이 AL AR과 함께 공동-처리될 때, H2S와 NH3의 낮은 수율 및 에탄, 프로판, 부탄, C5-150℃ 나프타 커트의 높은 수율 및 에틸렌, 프로필렌 및 부텐의 우수한 수율을 초래한다.
실시예 5
100Kg의 혼합 플라스틱 및 200Kg AL AR을 각각 에탄 스팀 분해, 프로판 탈수소 및 부탄 탈수소 공정에서 형성된 에탄, 프로판 및 부탄의 추가적인 전환과 함께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 언급된 조건하에 열분해 및 수소화분해의 조합으로 처리한 전체 공정 수율을 동일한 조건하에 300Kg AL AR로 처리하고, 에탄, 프로판 및 부탄의 동일한 업그레이드 절차를 채택한 경우와 비교하여 하기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6092630494-pct00004
본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혼합 플라스틱 열분해 및 AL AR이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처리되고, 형성된 에탄, 프로판 및 부탄이 각각 스팀 분해, 프로판 탈수소 및 부탄 탈수소 단계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전환될 때, 결과적인 전체 공정은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및 C-150℃ 나프타 커트의 훨씬 더 높은 수율을 제공한다. 또한, H2S 및 NH3의 수율은 감소한다.
실시예 6
플라스틱 열분해 오일과 AL 원유 잔사유의 조합은 하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결합된 공급 스트림에서 금속 농도의 감소를 발생시킨다:
Figure 112016092630494-pct00005
본 발명자들은 혼합 폐 플라스틱 (mixed waste plastics, MWP)이 열분해기에서 가치있는 화학물질로 전환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액체 부분은 수소화분해로에서 업그레이드될 수 있다. 열분해 오일은 AL AR과 비교시 수소화분해로로부터 더 많은 양의 프로판 및 부탄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PP오일이 수소화분해로에서 AL AR로 처리될 때, 석유화학제품의 높은 발생이 있다. PP 오일의 일 부분은 220-370℃에서 비등하고, PP오일의 일 부분은 220℃ 미만에서 비등한다. 수소화분해로에서 이러한 커트의 성능은 수소화분해로에서 LCO 및 FCC 나프타의 성능으로 근사할 수 있다. 실시예 5는 수소화분해로 수율에 대한 공급 차이에 의한 효과를 캡처한다.
Figure 112016092630494-pct00006
본 방법의 다른 장점은 AL AR 및 PP오일을 혼합하여 얻게되는 아스팔텐의 용해도이다. 더 많은 촉매 위치가 AL AR의 수소화분해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H2S 수율 저하는 AL AR의 수소화분해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적은 금속 및 NH3의 저하 모두 수소화분해에 대해 적합하다. 공학적인 관점에서, 공급에서 낮은 비등 물질의 존재 결과로서 기화가 증가될 수 있고, 공급 및 촉매의 더 좋은 분산 및 습윤을 도울 수 있고, 따라서 촉매의 활용도를 더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반응기 공급 용광로는 일부 경질 성분이 잠열 부하의 결과로서 기화될 수 있음에 따라 증가된 열 부하(heat duty)에 직면할 수 있다.

Claims (14)

  1. 혼합 폐 플라스틱 (MWP)을 열분해 반응기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MWP를 기체 스트림 및 액체 스트림으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기체 스트림을 석유화학제품으로 추가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혼합 폐 플라스틱 (MWP)을 석유화학제품으로 전환하는 방법이며, 하기의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i) 상기 액체 스트림을, 수소화분해로 공급물과 함께, 수소화분해 유닛으로 공급하고, 상기 수소화분해로 공급물은 상압증류(AR) 및/또는 진공 증류(VR) 유래의 원유 증류 바닥(crude distillation bottoms)을 포함하는 것인, 단계;
    ii) 상기 액체 스트림을 상기 수소화분해로 공급물과 함께, 수소화분해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체 스트림 및 액체 스트림으로 전환하는 단계;
    iii)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체 스트림을 석유화학제품으로 추가 처리하는 단계, 여기서, 단계 i)에서 상기 열분해 반응기 유래의 상기 액체 스트림은 먼저 높은 방향족 함량을 갖는 액체 스트림 및 낮은 방향족 함량을 갖는 액체 스트림으로 분리되고, 그 후, 상기 낮은 방향족 함량을 갖는 액체 스트림은 상기 수소화분해 유닛으로 전송되고, 상기 높은 방향족 함량을 갖는 액체 스트림은 상기 수소화분해 유닛을 우회하는 것인 단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분해 반응기 유래의 상기 기체 스트림 및 상기 수소화분해 유닛으로부터 발생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체 스트림을 결합하는 단계 및 결합된 기체 스트림을 추가의 석유화학제품으로 추가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분해 반응은 상기 열분해 반응기 유래의 상기 액체 스트림의 90%가 350℃ 미만에서 비등하도록 수행되는 것인,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분해 반응기 유래의 상기 기체 스트림 및 상기 수소화분해 유닛으로부터 발생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체 스트림이 증기 분해 유닛, 프로판 탈수소 유닛, 부탄 탈수소 유닛 및 결합된 프로판/부탄 탈수소 유닛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에서 추가 처리되는 것인,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분해 반응기 유래의 상기 기체 스트림 및 상기 수소화분해 유닛으로부터 발생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체 스트림이 증기 분해 유닛 및 프로판 탈수소 유닛, 부탄 탈수소 유닛 및 결합된 프로판/부탄 탈수소 유닛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에서 추가 처리되는 것인,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분해 반응기 유래의 상기 기체 스트림 및/또는 상기 수소화분해 유닛으로부터 발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체 스트림을 추가 처리에 앞서 경질 분획, C2 분획, C3 분획 및 C4 분획으로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분해 유닛에 상기 C2 분획, 상기 프로판 탈수소 유닛에 상기 C3 분획, 및 상기 부탄 탈수소 유닛에 상기 C4 분획을 각각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화분해로 공급물은 상압 증류 및/또는 진공 증류 유래의 원유 증류 바닥(crude distillation bottom)을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계 i)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열분해 반응기로부터 발생한 임의의 액체 스트림을 염소로부터 유리하기 위해 어떠한 수소화도 더 포함하지 않는,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혼합 폐 플라스틱 (MWP)이 MWP를 상기 열분해 반응기로 공급하기 전에 PVC 제거를 위해 분리기로 공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따라서 얻어진 분리된 PVC 스트림이 바람직하게는 최대 450 ℃의 온도에서 열적으로 탈염산화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분해 반응기로 공급되는 것인, 방법.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소화처리 유닛 또는 그의 공급 히터로 도입되기에 앞서, ASTMD7157-12로 측정된 1 초과의 S 값을 갖는 결합된 혼합물을 발생시키는 중량 또는 용적의 비율로 상기 액체 스트림 및 상기 수소화분해로 공급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MWP 열분해 반응기 유래의 액체 스트림이 수소화분해 유닛에서 수소화분해로 공급물의 금속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수소화분해로 공급물과 혼합되는 것인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MWP 열분해 반응기 유래의 액체 스트림이 수소화분해 유닛에서 수소화분해로 공급물의 점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수소화분해로 공급물과 혼합되는 것인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MWP 열분해 반응기 유래의 액체 스트림이 수소화분해 유닛에서 수소화분해로 공급물의 황 함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수소화분해로 공급물과 혼합되는 것인 방법.
KR1020167026458A 2014-02-25 2014-12-23 혼합 폐 플라스틱 (mwp)을 가치있는 석유화학제품으로 전환하는 방법 KR1023873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56623 2014-02-25
EP14156623.2 2014-02-25
PCT/EP2014/079151 WO2015128033A1 (en) 2014-02-25 2014-12-23 Process for converting mixed waste plastic (mwp) into valuable petrochemic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676A KR20160146676A (ko) 2016-12-21
KR102387332B1 true KR102387332B1 (ko) 2022-04-14

Family

ID=50156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6458A KR102387332B1 (ko) 2014-02-25 2014-12-23 혼합 폐 플라스틱 (mwp)을 가치있는 석유화학제품으로 전환하는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233395B2 (ko)
EP (1) EP3110912B1 (ko)
JP (1) JP6378368B2 (ko)
KR (1) KR102387332B1 (ko)
CN (1) CN106164223B (ko)
EA (1) EA033376B1 (ko)
ES (1) ES2673596T3 (ko)
SG (1) SG11201606314UA (ko)
WO (1) WO20151280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08896B2 (en) * 2015-08-10 2019-06-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for producing alkylbenzenes, paraffins, olefins and oxo alcohols from waste plastic feedstocks
EP3356037B1 (en) 2015-09-30 2019-07-31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Process for producing aromatics from a heavy hydrocarbon feed
US10639617B2 (en) 2015-09-30 2020-05-05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Process for producing LPG from a heavy hydrocarbon feed
CN108025295A (zh) 2015-09-30 2018-05-11 沙特基础工业全球技术有限公司 由重烃进料生产lpg的方法
EP3356035B1 (en) 2015-09-30 2021-07-07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Process for producing aromatics from a heavy hydrocarbon feed
WO2017103013A1 (en) * 2015-12-18 2017-06-22 Solvay Sa Process for converting mixed waste plastic into liquid fuels and waxes by catalytic cracking
EP3390574A1 (en) * 2015-12-18 2018-10-24 Solvay Sa Process for converting mixed waste plastic into liquid fuels by catalytic cracking
US10442997B2 (en) * 2016-06-29 2019-10-15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Plastic pyrolysis
JP6999637B2 (ja) 2016-07-13 2022-01-18 サビック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ベスローテン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炭素数9以上の芳香族化合物類の選択的水素化脱アルキル化を達成しつつ、混合プラスチック熱分解からの熱分解油の脱塩化水素と水素化クラッキングを同時に行う方法
CN109642164B (zh) * 2016-09-22 2021-06-08 沙特基础工业全球技术公司 包括热解、加氢裂化、加氢脱烷基化和蒸汽裂解步骤的集成工艺配置
EP3526310A1 (en) * 2016-10-11 2019-08-21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Maximizing high-value chemicals from mixed plastic using different steam-cracker configurations
EP3565801B1 (en) * 2017-01-05 2021-07-14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Conversion of waste plastic to propylene and cumene
EP3565799B1 (en) * 2017-01-05 2020-10-07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Conversion of waste plastic to propylene and cumene
IT201800020818A1 (it) * 2018-12-21 2020-06-21 Eni Spa Procedimento di idroconversione di miscele di polimeri
WO2020152317A1 (en) * 2019-01-24 2020-07-30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lyethylenes from waste plastic feedstocks
EP3976735A4 (en) * 2019-05-24 2023-03-15 Eastman Chemical Company CO-CRACKING OF PYROLYSIS OIL WITH ETHANE
US20200369965A1 (en) * 2019-05-24 2020-11-26 Eastman Chemical Company Feeding pyoil and steam at cracker furnace crossover
US11365357B2 (en) * 2019-05-24 2022-06-21 Eastman Chemical Company Cracking C8+ fraction of pyoil
US11180699B1 (en) * 2019-07-01 2021-11-23 Gen Tech PTD,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plastic into diesel
CN110330996B (zh) * 2019-07-19 2021-10-29 华东理工大学 矿化垃圾裂解油加氢裂化的方法及装置
CN114585710A (zh) * 2019-10-24 2022-06-03 埃克森美孚化学专利公司 用于由塑料废物生产的液体的直接蒸汽裂化方法
KR20220092563A (ko) * 2019-10-31 2022-07-01 이스트만 케미칼 컴파니 재활용물 탄화수소 조성물의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EP4051760A4 (en) * 2019-10-31 2024-03-20 Eastman Chem Co METHOD AND SYSTEMS FOR PRODUCING HYDROCARBON COMPOSITIONS WITH RECYCLE CONTENT
WO2021087023A1 (en) * 2019-10-31 2021-05-06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es and systems for making recycle content hydrocarbons through an ethylene fractionator
US20220363616A1 (en) * 2019-11-07 2022-11-17 Eastman Chemical Company Recycle content propanol
JP2023508353A (ja) * 2019-12-23 2023-03-02 シェブロン ユー.エス.エ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精製fcc及びアルキレーションユニットを介したポリエチレンへの廃プラスチックのサーキュラーエコノミー
CA3164238A1 (en) * 2019-12-23 2021-07-01 Chevron U.S.A. Inc. Circular economy for plastic waste to polyethylene via refinery crude unit
EP4081617A4 (en) 2019-12-23 2024-01-03 Chevron Usa Inc CIRCULAR ECONOMY FOR PLASTIC WASTE TO POLYPROPYLENE AND LUBRICATION OIL VIA FCC REFINING AND ISOMERIZATION DEPARAFFINIZATION UNITS
US11584890B2 (en) 2019-12-23 2023-02-21 Chevron U.S.A. Inc. Circular economy for plastic waste to polypropylene via refinery FCC unit
EP4081616A4 (en) * 2019-12-23 2024-02-28 Chevron Usa Inc CIRCULAR ECONOMY OF POLYETHYLENE PLASTIC WASTE AND CHEMICALS THROUGH A RAW REFINERY UNIT
MX2022007132A (es) * 2019-12-23 2022-09-19 Chevron Usa Inc Economia circular para residuos plasticos en polipropileno a traves de craqueo catalitico de fluidos (fcc) de refineria y unidades de alquilacion.
BR112022011767A2 (pt) 2019-12-23 2022-08-30 Chevron Usa Inc Economia circular para resíduos de plástico para polietileno e óleo lubrificante via cru e unidades de desparafinização pela isomerização
EP4127102A4 (en) * 2020-03-30 2024-05-08 Chevron Usa Inc CIRCULAR ECONOMY OF POLYETHYLENE PLASTIC WASTE VIA REFINERY FCC OR ALKYLATION/FCC UNITS
US11566182B2 (en) 2020-03-30 2023-01-31 Chevron U.S.A. Inc. Circular economy for plastic waste to polyethylene via refinery FCC feed pretreater and FCC units
US11306253B2 (en) 2020-03-30 2022-04-19 Chevron U.S.A. Inc. Circular economy for plastic waste to polyethylene via refinery FCC or FCC/alkylation units
CN115397903A (zh) * 2020-04-13 2022-11-25 伊士曼化工公司 回收成分聚丙烯
WO2021209276A1 (en) 2020-04-17 2021-10-21 Nantek Hub S.L. Pyrolysis process to obtain petrochemical products from plastic waste
KR20230004713A (ko) 2020-04-22 2023-01-06 셰브런 유.에스.에이.인크. 열분해 오일의 여과 및 금속 산화물 처리가 있는 오일 정제를 통한 플라스틱 폐기물의 폴리에틸렌으로의 순환 경제
BR112022020961A2 (pt) 2020-04-22 2022-12-06 Chevron Usa Inc Economia circular para resíduo de plástico para polipropileno via refinaria de óleo com filtração e tratamento de óxido metálico de óleo de pirólise
EP3919587A1 (en) * 2020-06-03 2021-12-08 SK Innovation Co., Ltd. Method of producing selective naphtha oil through secondary pyrolysis of waste oil
US20220010211A1 (en) * 2020-07-11 2022-01-13 Uop Llc Conversion of plastics to monomers with integrated recovery with a cracking unit
CN111825514B (zh) * 2020-08-12 2021-06-01 浙江科茂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乙烯或丙烯最大化的生产方法
US11518942B2 (en) * 2020-09-28 2022-12-06 Chevron Phillips Chemical Company Lp Circular chemicals or polymers from pyrolyzed plastic waste and the use of mass balance accounting to allow for crediting the resultant products as circular
EP4259750A1 (en) * 2020-12-10 2023-10-18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A process for steam cracking chlorine-containing feedstock
FI20206383A1 (en) * 2020-12-30 2022-07-01 Neste Oyj CO-PROCESSING ROUTE FOR HYDROGEN TREATMENT OF POLYMER WASTE BASED MATERIAL
FI130067B (fi) * 2020-12-30 2023-01-31 Neste Oyj Menetelmä nesteytettyjen jätepolymeerien prosessoimiseksi
FI130057B (fi) 2020-12-30 2023-01-13 Neste Oyj Menetelmä nesteytettyjen jätepolymeerien prosessoimiseksi
WO2022183184A1 (en) 2021-02-23 2022-09-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ecycling of superabsorbent polymer with a hybrid oxidative degradation and high shear mixing
US11584888B2 (en) 2021-03-15 2023-02-21 Anellotech, Inc. Two step process for chemically recycling plastic waste
FR3122663B1 (fr) * 2021-05-07 2024-04-26 Ifp Energies Now Procede integre de traitement d’huiles de pyrolyse de plastiques et/ou de combustibles solides de recuperation chargees en impuretes
FR3122662B1 (fr) * 2021-05-07 2024-04-26 Ifp Energies Now Procede de traitement simultane d’huiles de pyrolyse de plastiques et d’une charge issue de sources renouvelables
US11572511B2 (en) * 2021-05-28 2023-02-07 Uop Llc Integrated process for pyrolysis and steam cracking
US20230013013A1 (en) * 2021-06-23 2023-01-19 Saudi Arabian Oil Company Method of producing pyrolysis products from a mixed plastics stream and integration of the same in a refinery
WO2023279019A1 (en) * 2021-06-29 2023-01-05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mixed plastic waste
WO2023278264A1 (en) * 2021-06-30 2023-01-05 Eastman Chemical Company Separation and processing of recycled content pyrolysis gas
FI130086B (en) * 2021-07-19 2023-01-31 Neste Oyj Procedure for treating plastic waste
EP4155367A1 (en) 2021-09-23 2023-03-29 Nantek Hub S.L. Pyrolysis process activated by nanocarbon-based metal free reagents to obtain synthetic fuels from plastic waste
CN117957276A (zh) 2021-09-24 2024-04-30 国立大学法人室兰工业大学 烯烃的制造方法
FI130130B (en) 2021-12-03 2023-03-09 Neste Oyj WASTE PLASTIC BASED THERMAL CRACKING FEED AND METHOD FOR PROCESSING IT
WO2023111946A1 (en) * 2021-12-15 2023-06-22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Methods and systems for conversion of mixed plastics to high value chemicals
US11692139B1 (en) 2022-02-10 2023-07-04 Saudi Arabian Oil Company Method of producing pyrolysis products from a mixed plastics stream
US11807815B2 (en) 2022-02-16 2023-11-07 Saudi Arabian Oil Company Method of producing plastic pyrolysis products from a mixed plastics stream
KR20230131535A (ko) * 2022-03-07 2023-09-1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정제 방법 및 정제 장치
FR3133618A1 (fr) * 2022-03-17 2023-09-22 IFP Energies Nouvelles Hydroconversion en lit bouillonnant ou hybride bouillonnant-entraîné d’une charge comportant une fraction d’huile de pyrolyse de plastiques et/ou de combustibles solides de recuperation
WO2023186687A1 (en) * 2022-03-28 2023-10-05 Pointbreak As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polymer waste comprising heteroatomic polymers
US20230312439A1 (en) * 2022-04-01 2023-10-05 Chevron U.S.A. Inc. Circular economy for plastic waste to polypropylene and base oil via refinery crude unit
WO2023186974A1 (en) * 2022-04-01 2023-10-05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Thermal cracking method for producing lower hydrocarbons
WO2023234696A1 (ko) * 2022-05-31 2023-12-0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폐플라스틱으로부터 이산을 생산하는 방법
FI130639B1 (fi) 2022-06-29 2024-01-03 Resiclo Oy Menetelmä isomeroitujen hiilivetyjen tuottamiseksi sekamuovista
WO2024012998A1 (en) * 2022-07-09 2024-01-18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Systems an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carbon products from crude and heavy hydrocarbon feedstocks
WO2024012994A1 (en) * 2022-07-09 2024-01-18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olefins and/or aromatics by aquaprocessing and steam cracking
WO2024012991A1 (en) * 2022-07-09 2024-01-18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Aquaprocessing of crude and heavy hydrocarbon feedstocks
WO2024056515A1 (en) 2022-09-12 2024-03-21 Basf Se Method for producing aqueous polymer dispersions from organic waste materials
US11802250B1 (en) 2022-11-10 2023-10-31 Chevron Phillips Chemical Company Lp Systems and processes for processing pyrolysis oil
WO2024108199A1 (en) 2022-11-18 2024-05-23 Anellotech, Inc. Processes and system for chemically recycling plastic waste involving catalytic pyrolysi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3283A (ja) 1995-07-06 2001-11-22 Mitsubishi Heavy Ind Ltd 廃プラスチックからの油回収方法
US20090151233A1 (en) * 2007-12-12 2009-06-18 Chevron U.S.A.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transportation fuels from waste plastic and biomass
WO2013169367A1 (en) 2012-05-09 2013-11-14 Chevron U.S.A. Inc. Process for making high vi lubricating oil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72834A (en) * 1965-03-09 Process for manufacturing gasoline by blending the hydrocracked gasoline with the dehydrogenated and alkyl- ated products obtained from the hy- drocracking stage
JPS5087466A (ko) 1973-12-07 1975-07-14
US4137147A (en) * 1976-09-16 1979-01-30 Institut Francais Du Petrole Process for manufacturing olefinic hydrocarbons with respectively two and three carbon atoms per molecule
JPS58179291A (ja) * 1982-01-18 1983-10-20 Chiyoda Chem Eng & Constr Co Ltd 重質炭化水素類の軽質化方法
JPH1161147A (ja) * 1997-08-21 1999-03-05 Jgc Corp 廃プラスチックの処理方法
JP3095739B2 (ja) * 1998-08-28 2000-10-10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樹脂または有機化合物、あるいはそれらを含む廃プラスチックの処理方法
JP2002060757A (ja) * 2000-08-22 2002-02-26 Toshiba Corp 廃プラスチックの再生システム
US20030004743A1 (en) * 2001-03-19 2003-01-02 Jeff Callegari Methods for providing a location based merchant presence
US6534689B1 (en) * 2001-08-24 2003-03-18 Pyrocat Ltd. Process for the conversion of waste plastics to produce hydrocarbon oils
JP4787598B2 (ja) 2005-10-31 2011-10-05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分解油の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3283A (ja) 1995-07-06 2001-11-22 Mitsubishi Heavy Ind Ltd 廃プラスチックからの油回収方法
US20090151233A1 (en) * 2007-12-12 2009-06-18 Chevron U.S.A.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transportation fuels from waste plastic and biomass
WO2013169367A1 (en) 2012-05-09 2013-11-14 Chevron U.S.A. Inc. Process for making high vi lubricating oi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10912B1 (en) 2018-03-14
JP2017512246A (ja) 2017-05-18
KR20160146676A (ko) 2016-12-21
ES2673596T3 (es) 2018-06-25
EA201691364A1 (ru) 2017-01-30
US10233395B2 (en) 2019-03-19
EA033376B1 (ru) 2019-10-31
EP3110912A1 (en) 2017-01-04
WO2015128033A1 (en) 2015-09-03
SG11201606314UA (en) 2016-08-30
US20160362609A1 (en) 2016-12-15
CN106164223B (zh) 2018-04-06
JP6378368B2 (ja) 2018-08-22
CN106164223A (zh) 201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7332B1 (ko) 혼합 폐 플라스틱 (mwp)을 가치있는 석유화학제품으로 전환하는 방법
JP2020517797A (ja) 原油の変換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RU2005117790A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тяжелого сырья, такого как тяжелая сырая нефть и кубовые остатки
US10119083B2 (en) Method for converting a high-boiling hydrocarbon feedstock into lighter boiling hydrocarbon products
US20220372375A1 (en) Co-processing of waste plastic in cokers
US20240110107A1 (en) Co-processing of polymer waste-based material for jet fuel production
EP3110913A1 (en)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feedstock for a hydroprocessing unit
CN113710776A (zh) 在高苛刻度条件下使用热加氢处理、加氢处理与蒸汽裂化器的组合将原油的重质馏分或全原油转化为高价值化学品,以使乙烯、丙烯、丁烯和苯最大化
JP7466067B2 (ja) 液化廃棄物ポリマー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
US20230287276A1 (en) Plastic Waste Pyrolysis with Liquid Recycle
CN115989307A (zh) 由废塑料原料制备丁烯和丁二烯的方法
US20230312438A1 (en) Circular economy for plastic waste to polyethylene and base oil via refinery crude unit
US20230312439A1 (en) Circular economy for plastic waste to polypropylene and base oil via refinery crude unit
US20240010583A1 (en) Use of blend of waste plastic with bio feed for circular economy polyethylene production
US20240084095A1 (en) Integration of Polymeric Waste Co-Processing in Cokers to Produce Circular Chemical Products from Coker Naphtha
EP3010999B1 (en) Methods for slurry hydroconversion pitch disposition as solid pellets
US20240010928A1 (en) Use of blend of waste plastic with bio feed for circular economy polypropylene production
US20240093102A1 (en) Integration of Polymeric Waste Co-Processing in Cokers to Produce Circular Chemical Products from Coker Gas Oil
US20230348342A1 (en) Circular economy for plastic waste to polyethylene and base oil via refinery hydrocracking unit
US20230313052A1 (en) Circular economy for plastic waste to polypropylene and base oil via refinery hydrocracking unit
US20240010927A1 (en) Blend of waste plastic with bio feed and process of preparation
US20230312437A1 (en) Circular economy for plastic waste to polypropylene via refinery fcc unit
KR20240073975A (ko) 폐플라스틱의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