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6355B1 -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 - Google Patents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6355B1
KR102386355B1 KR1020220000039A KR20220000039A KR102386355B1 KR 102386355 B1 KR102386355 B1 KR 102386355B1 KR 1020220000039 A KR1020220000039 A KR 1020220000039A KR 20220000039 A KR20220000039 A KR 20220000039A KR 102386355 B1 KR102386355 B1 KR 102386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bag
fixing bracket
bracket
conven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0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헌
Original Assignee
김보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헌 filed Critical 김보헌
Priority to KR1020220000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63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6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6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4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23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elongated profiles fastened by sliders
    • A45C13/103Arrangement of zip-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휠체어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며 환자 또는 장애인이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쉽게 가방을 가슴위치로 이동시켜 가방에 수납된 물품들을 인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후에는 휠체어의 뒷부분으로 이동하여 고정됨으로써 가방에 의하여 휠체어의 조작에 방해를 받거나 가방이 떨어지는 것을 물리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Easy-to-use wheelchair bag}
본 발명은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휠체어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며 환자 또는 장애인이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쉽게 가방을 가슴위치로 이동시켜 가방에 수납된 물품들을 인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후에는 휠체어의 뒷부분으로 이동하여 고정됨으로써 가방에 의하여 휠체어의 조작에 방해를 받거나 가방이 떨어지는 것을 물리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보행이 불편한 환자, 노인, 등 노약자 및 장애인이 이용하는 이동수단으로 실내뿐만 아니라, 실외에서도 노약자의 편안한 이동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필수 이동수단이다.
그러나 현재 휠체어를 이용하는 노약자 및 장애인들은 휠체어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지갑이나 휴대폰 등의 악세서리를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없어 백팩과 같은 가방에 수납하고 수납한 가방을 휠체어의 뒷부분에 형성된 손잡이에 걸어 휴대하거나 또는 무릎위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휠체어를 운전함으로써, 무릎위에 가방을 올린 상태에서 이동하는 경우, 가방이 무거운 경우 다리가 쉽게 저리거나 통증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가방이 가벼운 경우에는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휠체어의 뒷부분에 형성된 손잡이에 가방을 걸어 휴대하는 경우, 가방의 인출과 수납이 매우 어려워 노약자 및 장애인이 쉽게 가방에 수납된 지갑이나 휴대폰을 꺼낼 수 없는 구조적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 들어 휠체어에 설치할 수 있는 가방과 관련된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휠체어에 설치할 수 있는 가방과 관련된 종래 기술로 실용신안등록 제20-0492376호(등록일: 2020년 09월 21일)휠체어용 가방은, 내외부에 복수개의 수납부를 구비한 몸체부, 상기 몸체부를 개폐하는 덮개부 및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어 휠체어에 분리가능하게 체결가능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휠체어용 가방으로, 몸체부의 배면은, 상부 측단에 일단이 각각 서로 대향되게 마련되고 타단에는 각각 암수체결부재가 마련되어 서로 체결되는 상부고정부와, 하부 측단에 일단이 각각 서로 대향되게 마련되고 타단에는 각각 암수체결부재가 마련되어 서로 체결되는 하부고정부와, 상부 고정부와 하부 고정부 사이에서 배면의 일측단에 마련되고 암수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와 서로 대향되게 배면의 타측단에 마련되고 암수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고, 몸체부의 측면은, 지퍼에 의해 측면의 일부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몸체부 내부의 수납부 중 적어도 하나는, 수납부의 상단 테두리가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마감처리되고, 개폐부의 상기 지퍼는 링형상의 손가락걸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휠체어용 가방은 가방이 휠체어의 등받이에 암수체결부재 또는 밸크로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는 구성으로써 앞서 문제점으로 설명한 휠체어 사용자가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가방에 수납된 물품을 꺼내기 힘든 구조적 문제점으로 인하여 실질적인 노약자나 장애인이 사용할 수 있는 휠체어용 가방으로는 적당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92376호(등록일: 2020년 09월 21일) "휠체어용 가방"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노약자 또는 장애인이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도 쉽게 가방에 수납된 지갑이나 휴대폰과 같은 악세서리를 꺼내 사용할 수 있어 실질적인 휠체어 사용자의 편의성과 물품 보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상기 휠체어용 가방은 휠체어에 일측이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체만을 이용한 단순한 동작을 통하여 가방의 위치가 사용자의 전방으로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인출과 수납에 어려움이 없으며, 가방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최소화 할 수 있어 하체를 사용할 수 없는 장애인도 쉽게 가방의 위치를 변형시켜 수납된 물품을 인출하거나 수납할 수 있는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휠체어의 수납 및 차량에 보관을 위하여 접는 과정에서도 가방의 변형이 없으며 분리가 불필요하여 취급이 용이한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은, 휠체어의 등받이프레임에 설치되며 단면이 " ㄷ" 형태를 갖는 판상의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 일면에 휠체어의 등받이프레임을 감싸는 형태로 결착되는 한 쌍의 탄성체결부와, 일측 단부에 회전브라켓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개방홈과, 상기 개방홈의 상부와 하부에 제1체결핀이 결합되는 구멍이 일체로 형성된 휠체어고정브라켓과, 단면이 " ㄷ" 형태를 갖는 판상의 제2몸체와, 상기 제2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구멍과 타측에 외측으로 확장되는 형태를 갖는 걸림홈 및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된 가방고정브라켓 및, 일측에 상기 가방고정브라켓의 내부로 끼움되고 중앙부분에 형성된 관통공이 구멍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제1기둥과 타측에 상기 휠체어고정브라켓의 내부로 끼움되고 중앙부분에 관통공과 상부와 하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제2기둥이 연결판으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된 회전브라켓이 "Z" 형태로 연결되는 연결브라켓과, 상기 가방고정브라켓의 일면에 부착되며 내부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용부와 일측에 수용부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수단이 형성된 가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휠체어고정브라켓의 양측에는 탄성체결부와 동일선상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볼트체결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휠체어고정브라켓은 제1몸체가 한 쌍으로 구성되고 중앙부분이 리벳으로 연결되어 접철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브라켓은 자유각도로 꺽임되는 체인으로 구성되어 가방고정브라켓의 회전시 가방이 회전범위를 휠체어에 근접하게 형성할 수 있어 협소한 공간 또는 장애물이 있는 공간에서도 가방을 휠체어 탑승자의 전방부분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방고정브라켓은 내부에 회전브라켓이 수용된 상태로 휠체어브라켓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형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은, 휠체어고정브라켓이 휠체어의 등받이 프레임에 억지끼움식의 착탈 가능한 형태로 간단하게 설치됨으로써 누구나 현재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휠체어에 쉽게 설치할 수 있어 신속한 대중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휠체어고정브라켓은 양측에 형성된 볼트체결공을 이용하여 휠체어고정브라켓과 등받이 프레임을 볼트로 보조적으로 연결함으로서 가방이 대형으로 제작되거나 또는 무거운 물건이 수납되더라도 가방이 하중에 의하여 쳐짐이 없이 설치된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방고정브라켓은 일측에 상하로 형성된 걸림홈에 회전브라켓의 일측 상부와 하부의 걸림돌기가 억지 끼움되는 형태로 체결됨으로서 가방이 외부 충격이나 휠체어의 주행 중 발생되는 진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것을 물리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설정된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로 제시된 체인의 구성을 이용하여 가방의 사용을 위한 회전범위를 휠체어에 근접하게 형성할 수 있어 협소한 공간 또는 장애물이 있는 공간에서도 원활하게 가방을 휠체어 탑승자의 전방부분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휠체어고정브라켓은 중앙부분이 접철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휠체어의 미사용시 또는 차량에 적재시 휠체어의 프레임이 접힘되더라도 휠체어고정브라켓의 중앙부분이 접철되며 휠체어와 같이 접힘되고 가방은 일측에 밀착되는 형태로 위치됨으로써 휠체어의 형태가 변형되더라도 분리가 필요없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이 휠체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 중 연결브라켓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 중 연결브라켓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 중 연결브라켓의 요부 확대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의 인출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 중 휠체어휠체어고정브라켓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 중 회전브라켓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이 휠체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 중 연결브라켓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 중 연결브라켓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 중 연결브라켓의 요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휠체어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며 환자 또는 장애인이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쉽게 가방을 가슴위치로 이동시켜 가방에 수납된 물품들을 인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후에는 휠체어의 뒷부분으로 이동하여 고정됨으로써 가방에 의하여 휠체어의 조작에 방해를 받거나 가방이 떨어지는 것을 물리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에 관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A)는, 크게 휠체어(1)의 등받이프레임(2)에 설치되는 연결브라켓(100)과, 상기 연결브라켓(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가방(200)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브라켓(100)은 휠체어(1)의 등받이프레임(2)에 고정설치되는 휠체어고정브라켓(110)과, 가방(200)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가방고정브라켓(120) 및, 상기 휠체어고정브라켓(110)과 가방고정브라켓(120)을 연결하는 회전브라켓(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휠체어고정브라켓(110)은 단면이 대략 " ㄷ" 형태를 갖는 판상의 제1몸체(111)와, 상기 제1몸체(111) 일면에 휠체어(1)의 등받이프레임(2)을 감싸는 형태로 결착되는 한 쌍의 탄성체결부(112)와, 상기 탄성체결부(112)와 동일선상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볼트체결공(113)이 형성되며 일측 단부에 회전브라켓(130)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개방홈(114)과, 상기 개방홈(114)의 상부와 하부에 제1체결핀(140)이 결합되는 구멍(115)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가방고정브라켓(120)은 단면이 대략 " ㄷ" 형태를 갖는 판상의 제2몸체(121)와, 상기 제2몸체(121)의 일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구멍(122)과 타측에 외측으로 확장되는 형태를 갖는 걸림홈(123) 및 손잡이(124)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방고정브라켓(120)의 높이는 휠체어고정브라켓(11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가방고정브라켓(120)이 휠체어고정브라켓(1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브라켓(130)은 일측에 상기 가방고정브라켓(120)의 내부로 끼움되고 중앙부분에 형성된 관통공(131)이 구멍(122)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제1기둥(132)과 타측에 상기 휠체어고정브라켓(110)의 내부로 끼움되고 중앙부분에 관통공(133)과 상부와 하부에 걸림돌기(134)가 형성된 제2기둥(135)이 연결판(136)으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브라켓(130)은 일측의 제1기둥(132)이 가방고정브라켓(120)에 끼움되고 제2체결핀(150)이 가방고정브라켓(120)의 구멍(122)과 제1기둥(132)의 관통공(131)을 관통하여 회전브라켓(130)과 가방고정브라켓(120)을 회전 가능한 형태로 연결하고, 타측의 제2기둥(135)이 휠체어고정브라켓(110)에 끼움되고 제1체결핀(140)이 휠체어고정브라켓(110)의 구멍(115)과 관통공(133)을 관통하여 회전브라켓(130)과 휠체어고정브라켓(110)을 회전 가능한 형태로 연결함으로써 실질적으로 휠체어고정브라켓(110)과 가방고정브라켓(120) 및 회전브라켓(130)은 대략 "Z" 형태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가방고정브라켓(120)의 일측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걸림홈(123)은 제2기둥(135)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걸림돌기(134)의 외주면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어 가방고정브라켓(120)이 외부충격이나 진동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홈(123)의 위치 및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걸림홈(123)과 걸림돌기(134)의 결합방향이 도 3 또는 도 4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가 손잡이(124)를 잡고 휠체어(1)의 후방으로 밀어 결합상태를 분리하거나 결합할 수 있으며, 걸림홈(123)의 위치를 걸림돌기(134)와 수평방향으로 형성하는 경우 사용자가 손잡이(124)를 잡고 휠체어(1)의 측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형태로 결합상태를 분리하거나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방(200)은 후면이 상기 가방고정브라켓(120)의 제2몸체(121)의 일면에 부착 고정되며 중앙분에 지퍼와 같이 개폐수단(210)과 내부에 지갑이나 핸드폰과 같은 악세서리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가방(200)의 형태는 앞서 설명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면이 가방고정브라켓(120)에 부착되는 형태를 제외한 다양한 크기와 형태 및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디자인에 따라서 단추, 지퍼, 밸크로 등의 다양한 개폐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가방(200)은 도시한 바와 같이 단단한 플라스틱과 같은 내장재를 내부에 형성하여 가방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서 가방(200)이 연결브라켓(100)의 동작시 휠체어(1)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의 사용과정을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은 휠체어 사용자가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가방(200)이 휠체어(1)의 등받이프레임(2) 후방에 위치됨으로서 휠체어 사용자는 가방에 의한 불편함 없이 편안하게 휠체어를 운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등받이 프레임(2)의 후방에 가방이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방에 수납된 지갑이나 휴대폰관과 같은 악세서리를 꺼내고자 하는 경우 가방(200)과 연결된 가방고정브라켓(120)의 손잡이(124)를 잡고 후방측으로 밀어 걸림홈(123)을 걸림돌기(134)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가슴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브라켓(100)이 대략 "Z" 형태로 펼쳐지며 회전브라켓(130)이 회전하여 가방고정브라켓(120)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가슴 전방부분으로 이동됨으로서 사용자가 쉽게 가방고정브라켓(120)에 고정된 가방(200)에서 물품을 꺼내거나 수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는 연결브라켓(100)을 회전하켜 가방(200)을 사용자의 가슴전방부분으로 위치시켜 가방에 수납된 물품을 꺼내거나 수납한 상태에서 손잡이(124)를 잡고 휠체어(1)의 등받이 프레임(2) 후방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브라켓(130)이 회전함과 동시에 휠체어고정브라켓(110)과 가방고정브라켓(120)의 사이공간으로 접힘되며 가방(200)을 등받이프레임(2) 뒷부분에 위치되고, 걸림홈(123)이 걸림돌기(134)에 끼움되어 고정됨으로써 가방(200)은 휠체어(1)의 주행중에 고정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9는 상기 휠체어고정브라켓(110)의 다른 실시예로써 본 실시예의 특징은 휠체어브라켓(110)의 중앙부분이 접철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휠체어를 차량에 적재하거나 또는 미사용시 휠체어를 접어 보관하는 과정에서 휠체어와 연결되는 휠체어고정브라켓(110)의 중앙부분이 접히도록 구성하여 휠체어의 미사용시 연결브라켓(100)을 분리하지 안고 가방이 설치된 상태 그대로 접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즉,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휠체어고정브라켓(110)은 제1몸체(111)의 중앙부분을 분리하여 한 쌍으로 형성하고 중앙부분의 연결되는 부분을 리벳(116)으로 연결하여 한 쌍의 제1몸체(111)가 회전하여 접힐 수 있도록 구성하고, 휠체어의 미사용시에는 휠체어고정브라켓(110)이 한 쌍의 등받이프레임(2) 사이로 집힘되고 회전브라켓(130)과 가방고정브라켓(120)이 회전하여 접혀진 휠체어(1)의 일측면에 밀착됨으로서 휠체어의 보관시에도 가방을 분리하지 않고 설치된 상태로 보관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한편, 도 10은 상기 회전브라켓(130)의 변형된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의 특징은 회전브라켓(130)을 체인으로 형성하여 가방의 위치를 이동하기 위하여 가방고정브라켓(120)을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체인의 자유로운 꺽임에 의하여 자유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실질적으로 가방이 회전범위를 휠체어에 근접하게 형성할 수 있어 협소한 공간 또는 장애물이 있는 공간에서도 원활하게 가방을 휠체어 탑승자의 전방부분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더욱이, 상기 회전브라켓(130)을 체인으로 형성하는 경우 가방고정브라켓(120)의 고정을 위한 걸림홈(123)에 결합되는 결합돌기(미도시)를 휠체어고정브라켓(110)의 일측 내측으로 형성하여 걸림홈(123)의 걸림되는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은, 휠체어고정브라켓이 휠체어의 등받이 프레임에 억지끼움식의 착탈 가능한 형태로 간단하게 설치됨으로써 누구나 현재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휠체어에 쉽게 설치할 수 있어 신속한 대중화가 가능한 구성적 특징이 있으며, 더욱이, 휠체어고정브라켓은 양측에 형성된 볼트체결공을 이용하여 휠체어고정브라켓과 등받이 프레임을 볼트로 보조적으로 연결함으로서 가방이 대형으로 제작되거나 또는 무거운 물건이 수납되더라도 가방이 하중에 의하여 쳐짐이 없이 설치된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구성적 특징이 있다.
또한, 가방고정브라켓은 일측에 상하로 형성된 걸림홈에 회전브라켓의 일측 상부와 하부의 걸림돌기가 억지 끼움되는 형태로 체결됨으로서 가방이 외부 충격이나 휠체어의 주행 중 발생되는 진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것을 물리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설정된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휠체어고정브라켓은 중앙부분이 접철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휠체어의 미사용시 또는 차량에 적재시 휠체어의 프레임이 접힘되더라도 휠체어고정브라켓의 중앙부분이 접철되며 휠체어와 같이 접힘되고 가방은 일측에 밀착되는 형태로 위치됨으로써 휠체어의 형태가 변형되더라도 분리가 필요없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를 한정하거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연결브라켓
110 : 휠체어고정브라켓 111 : 제1몸체
112 : 탄성체연결부 113 : 볼트체결공
114 : 개방홈 115 : 구멍
116 : 리벳
120 : 가방고정브라켓 121 : 제2몸체
122 : 구멍 123 : 걸림홈
124 : 손잡이
130 : 회전브라켓 131 : 관통공
132 : 제1기둥 133 : 관통공
134 : 걸림돌기 135 : 제2기둥
136 : 연결판
140 : 제1체결핀 150 : 제2체결핀

Claims (5)

  1. 휠체어에 설치되는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에 있어서,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은,
    휠체어(1)의 등받이프레임(2)에 설치되며 단면이 " ㄷ" 형태를 갖는 판상의 제1몸체(111)와, 상기 제1몸체(111) 일면에 휠체어(1)의 등받이프레임(2)을 감싸는 형태로 결착되는 한 쌍의 탄성체결부(112)와, 일측 단부에 회전브라켓(130)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개방홈(114)과, 상기 개방홈(114)의 상부와 하부에 제1체결핀(140)이 결합되는 구멍(115)이 일체로 형성된 휠체어고정브라켓(110)과, 단면이 " ㄷ" 형태를 갖는 판상의 제2몸체(121)와, 상기 제2몸체(121)의 일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구멍(122)과 타측에 외측으로 확장되는 형태를 갖는 걸림홈(123) 및 손잡이(124)가 일체로 형성된 가방고정브라켓(120) 및, 일측에 상기 가방고정브라켓(120)의 내부로 끼움되고 중앙부분에 형성된 관통공(131)이 구멍(122)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제1기둥(132)과 타측에 상기 휠체어고정브라켓(110)의 내부로 끼움되고 중앙부분에 관통공(133)과 상부와 하부에 걸림돌기(134)가 형성된 제2기둥(135)이 연결판(136)으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된 회전브라켓(130)이 "Z" 형태로 연결되는 연결브라켓(100)과,
    상기 가방고정브라켓(120)의 일면에 부착되며 내부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용부와 일측에 수용부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수단이 형성된 가방(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고정브라켓(110)의 양측에는 탄성체결부(112)와 동일선상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볼트체결공(11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고정브라켓(110)은 제1몸체(111)가 한 쌍으로 구성되고 중앙부분이 리벳(116)으로 연결되어 접철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라켓(130)은 자유각도로 꺽임되는 체인으로 구성되어 가방고정브라켓(120)의 회전시 가방이 회전범위를 휠체어에 근접하게 형성할 수 있어 협소한 공간 또는 장애물이 있는 공간에서도 가방을 휠체어 탑승자의 전방부분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방고정브라켓(120)은 내부에 회전브라켓(130)이 수용된 상태로 휠체어브라켓(1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형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
KR1020220000039A 2022-01-02 2022-01-02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 KR102386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039A KR102386355B1 (ko) 2022-01-02 2022-01-02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039A KR102386355B1 (ko) 2022-01-02 2022-01-02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6355B1 true KR102386355B1 (ko) 2022-04-14

Family

ID=81211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039A KR102386355B1 (ko) 2022-01-02 2022-01-02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635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0181A (en) * 1991-10-28 1993-01-19 The Good Shepherd Rehabilitation Hospital Motorized movable storage bag for use on a wheelchair
KR101378250B1 (ko) * 2013-02-27 2014-03-2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휠체어용 다용도 수납장치
JP2015051253A (ja) * 2012-10-12 2015-03-19 旭洋鉄工株式会社 車椅子用テーブルおよびこれを備える車椅子
KR20170061926A (ko) * 2015-11-27 2017-06-07 윤수경 장애물을 용이하게 오르내릴 수 있는 삼단 상하운동 바퀴를 구비한 전동휠체어
KR20170120352A (ko) * 2016-04-21 2017-10-31 박민재 이동식 수납부재가 구비된 의자
KR200492376Y1 (ko) 2019-11-28 2020-09-25 (주)필덤 휠체어용 가방
JP2021029624A (ja) * 2019-08-26 2021-03-01 風の郷工房有限会社 身体支持機構を備えたバックサポートと、これを用いた車椅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0181A (en) * 1991-10-28 1993-01-19 The Good Shepherd Rehabilitation Hospital Motorized movable storage bag for use on a wheelchair
JP2015051253A (ja) * 2012-10-12 2015-03-19 旭洋鉄工株式会社 車椅子用テーブルおよびこれを備える車椅子
KR101378250B1 (ko) * 2013-02-27 2014-03-2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휠체어용 다용도 수납장치
KR20170061926A (ko) * 2015-11-27 2017-06-07 윤수경 장애물을 용이하게 오르내릴 수 있는 삼단 상하운동 바퀴를 구비한 전동휠체어
KR20170120352A (ko) * 2016-04-21 2017-10-31 박민재 이동식 수납부재가 구비된 의자
JP2021029624A (ja) * 2019-08-26 2021-03-01 風の郷工房有限会社 身体支持機構を備えたバックサポートと、これを用いた車椅子
KR200492376Y1 (ko) 2019-11-28 2020-09-25 (주)필덤 휠체어용 가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97932B (zh) 助行器
US7909150B2 (en) Expandable bag
US20080042379A1 (en) Collapsible Stroller Backpack
US20020145018A1 (en) Backpack
US7614533B2 (en) Combination diaper bag and infant carrier
JPH0479643B2 (ko)
JP2017169942A (ja) 車椅子
US6615431B2 (en) Portable massage bed
US5242189A (en) Wheeled luggage carrier
CN216940700U (zh) 机器人
KR102386355B1 (ko) 사용이 편리한 휠체어용 가방
WO2017185194A1 (zh) 可便溺折叠式轮椅
JP2000316619A (ja) 椅子付キャリーバッグ
CN209733813U (zh) 便携式马桶
CN110001737A (zh) 婴儿推车架
KR200492376Y1 (ko) 휠체어용 가방
JP2001112541A (ja) リュックサック
KR200314776Y1 (ko) 의자기능을 갖는 가방
CN218792820U (zh) 一种折叠轮椅
KR100441380B1 (ko) 베이비시트가 구비된 카트형 여행용 가방
CN211353624U (zh) 一种钓鱼双肩包
CN210502828U (zh) 一种拥有可伸缩t型扶手的婴儿推车
JP7487985B1 (ja) 座面を有するキャリーケース
KR200324172Y1 (ko) 배낭
JP3091160U (ja) キャリー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