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1380B1 - 베이비시트가 구비된 카트형 여행용 가방 - Google Patents

베이비시트가 구비된 카트형 여행용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1380B1
KR100441380B1 KR10-2002-0002980A KR20020002980A KR100441380B1 KR 100441380 B1 KR100441380 B1 KR 100441380B1 KR 20020002980 A KR20020002980 A KR 20020002980A KR 100441380 B1 KR100441380 B1 KR 100441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frame
seat
cart
ba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2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2658A (ko
Inventor
황준호
Original Assignee
황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준호 filed Critical 황준호
Priority to KR10-2002-0002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1380B1/ko
Publication of KR20030062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2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1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13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4Trunks; Travelling bas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Adaptations for moving the carts by wheel chair users or other disabled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45C2009/005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into a vehicle, e.g. scoo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비시트가 구비된 카트형 여행용 가방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의류 등의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가방본체와, 상기 가방본체의 전면 일부가 절개되어 연직방향에 대해 개폐힌지를 중심으로 90°각도로 하향 개방되고 이 상태를 유지하여 유아를 앉힐 수 있게 지지하도록 그 양측에 시트고정힌지가 마련된 개폐 가능한 시트와, 상기 가방본체의 저면 및 배면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가방본체를 지지함과 아울러 지면과 접촉된 상태로 견인할 수 있도록 저면부 각 모서리부에 복수의 로울러가 장착되며 이동시 사용자가 신장시켜 끌어당기거나 밀 수 있는 견인손잡이가 결합된 본체프레임과, 별도 가방 등의 적재물을 올려놓고 운반하고자 할 때 상기 본체프레임의 길이를 지면과 평행하게 신장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프레임의 내측에 중첩 배치된 신장용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여행용 가방은, 별도의 카트 없이도 다수의 적재물을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거리의 경우에 체중이 적은 유아나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등을 태운 상태로 이동할 수도 있으므로 실생활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베이비시트가 구비된 카트형 여행용 가방{Suit case of cart type having baby seat}
본 발명은 베이비시트가 구비된 카트형 여행용 가방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카트 없이도 다수의 적재물을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거리의 경우에 체중이 적은 유아나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등을 태운 상태로 이동할 수도 있으므로 실생활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베이비시트가 구비된 카트형 여행용 가방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중에 출시되거나 공개되어 있는 종래의 여행용 가방으로는, 가방의 저면부에 로울러가 장착되어 있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견인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어 원거리를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가방에 부착되어 있는 손잡이를 잡고 들어 옮길 필요 없이 상기 견인손잡이를 파지한 후 가방 자체를 기울여 끌어당김으로써 손쉽게 이동할 수 있게 한 것들이 널리 보급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카트형 여행용 가방은 하나의 가방을 옮기는데는 편리함이 제공되지만 사용자의 소지품이 많은 경우에는 확장이 불가능하여 기존 가방의 상부에 또 다른 적재물을 올려놓고 이동하게 되므로 무게중심이 상부쪽으로 치우쳐 불안정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적재물에 대한 별도의 체결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특히 노면 상태가 불량한 지역에서 견인하는 경우에는 상부에 올려놓은 적재물이 이탈하여 추락할 수 있는 염려가 있어 신속한 운반을 하기에 곤란하고, 힘이 많이 들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사람의 사용자가 유아와 함께 많은 짐을 소지한 채로 동시에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 불편함이 더욱 가중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별도의 카트를 빌려 운반할 수밖에 없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별도의 카트 없이도 다수의 적재물을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고, 비교적 체중이 적은 유아나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등을 태운 상태로 이동할 수 있는 다능성을 갖는 베이비시트가 구비된 카트형 여행용 가방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베이비시트가 구비된 카트형 여행용 가방은, 의류 등의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가방본체와, 상기 가방본체의 전면 일부가 절개되어 연직방향에 대해 개폐힌지를 중심으로 90°각도로 하향 개방되고 이 상태를 유지하여 유아를 앉힐 수 있게 지지하도록 그 양측에 시트고정힌지가 마련된 개폐 가능한 시트와, 상기 가방본체의 저면 및 배면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가방본체를 지지함과 아울러 지면과 접촉된 상태로 견인할 수 있도록 저면부 각모서리부에 복수의 로울러가 장착되며 이동시 사용자가 신장시켜 끌어당기거나 밀 수 있는 견인손잡이가 결합된 본체프레임과, 별도 가방 등의 적재물을 올려놓고 운반하고자 할 때 상기 본체프레임의 길이를 지면과 평행하게 신장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프레임의 내측에 중첩 배치된 신장용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프레임의 배면쪽 일측에는, 상기 시트를 개방한 후 유아를 태우거나 또는 상기 신장용 프레임을 신장한 후 별도의 가방을 추가로 적재하였을 때 이를 감싸며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신축조절이 가능한 체결용 벨트가 구비된 구조를 구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견인손잡이는 상기 본체프레임을 사용자가 전방으로 밀 때 수평방향으로 전환되어 쉽게 가압할 수 있도록 상향으로 신장시킨 후 절곡 가능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트는, 상기 가방본체의 전면상부 절반이 절개되어 이루어지고, 그 하단부와 이에 인접하는 상기 가방본체 간에 개폐힌지가 결합되며, 그 양측면과 이에 인접하는 상기 가방본체의 내측면 간에는 상기 시트의 개방각도를 제한하여 지지할 수 있는 원호형 장공을 갖는 복수의 시트고정힌지가 장착되고, 상기 시트 및 가방본체의 각 내측면에는 쿠션재가 충전되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트의 내부 일측에는 유아의 몸통 전면을 감싸며 벨트를 체결할 수 있도록 벨트체결판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견인손잡이는 파지후 견인이 용이하도록 상기 본체프레임의 배면부로부터 상기 견인손잡이의 각도를 견인방향으로 소정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지지해줌과 아울러 불사용시에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배면부로 밀착 고정시켜주는 각도조절힌지가 장착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신장용 프레임은, 상기 본체프레임의 저면쪽 양측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ㄷ'자형으로 절곡된 파이프 형상을 이루며, 그 선단부 저면측에 방향 전환이 자유로운 복수의 로울러가 장착되고, 상기 본체프레임의 내부로 수용되는 상기 신장용 프레임의 양측 파이프 후단부에는 상기 신장용 프레임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그 인출방향으로 탄성을 발휘하는 압축스프링이 개재되며, 상기 신장용 프레임의 양측 파이프 각 저면쪽 선·후단부에는 상기 신장용 프레임의 출몰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복수의 탄성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신장용 프레임의 양측 파이프간에는 추가로 적재되는 가방을 받쳐주기 위한 가로대가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프레임의 저면부 양쪽 내측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가로대가 간섭 없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절개된 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 내부의 각 저면쪽 선·후단부에는 상기 각 탄성걸림돌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그 대응되는 위치에 안착홈이 각각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비시트가 구비된 카트형 여행용 가방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비시트가 구비된 카트형 여행용 가방을 베이비시트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예시한 사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비시트가 구비된 카트형 여행용 가방에 추가 적재물을 올려놓고 사용하는 경우를 예시한 사용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비시트가 구비된 카트형 여행용 가방을 베이비시트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대한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신장용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절취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적재물 10 ; 가방본체
11 ; 시트 12 ; 개폐힌지
13 ; 시트고정힌지 13a ; 원호형 장공
14 ; 벨트체결판 15 ; 쿠션재
16 ; 손잡이 17 ; 체결용 벨트
20 ; 본체프레임 21, 31 ; 로울러
22 ; 견인손잡이 23 ; 브래킷
24 ; 각도조절힌지 24a ; 절첩고정부
25 ; 가이드홈 26 ; 안착홈
30 ; 신장용 프레임 32 ; 가이드
33 ; 가로대 34 ; 탄성걸림돌기
35 ; 압축스프링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베이비시트가 구비된 카트형 여행용 가방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비시트가 구비된 카트형 여행용 가방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여행용 가방에 대한 정지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여행용 가방을 베이비시트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예시한 사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여행용 가방에 추가 적재물(1)을 올려놓고 사용하는 경우를 예시한 사용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여행용 가방을 베이비시트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대한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신장용 프레임(30)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절취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베이비시트가 구비된 카트형 여행용 가방은, 의류 등을 수납할 수 있는 가방본체(10)와, 상기 가방본체(10)의 전면 일부에 마련된 개폐 가능한 시트(11)와, 상기 가방본체(10)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가방본체(10)를 지지함과 아울러 지면과 접촉된 상태로 견인 및 전방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복수의 로울러(21) 및 견인손잡이(22)가 결합된 본체프레임(20)과, 별도의 적재물(1)을 올려놓고 운반하고자 할 때 상기 본체프레임(10)으로부터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신장용 프레임(30)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고 있다.
상기 가방본체(10)는, 의류 등의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통상의 여행용 가방(Suit Case)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상면에는 사용자가 들어 옮길 수 있는 손잡이(16)가 구비되어 있고, 저면쪽에는 상기 본체프레임(20)과 연결되는 일체형의 프레임 구조를 이루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방본체(10)의 전면 일부에는, 유아나 체중이 적은 노약자 등을 태울 수 있는 시트(1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시트(11)는, 상기 가방본체(10)의 전면상부 절반 정도가 연직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연직방향에 대해 하단부의 개폐힌지(12)를 중심으로 90°각도로 하향 개방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기 시트(11)를 닫았을 때는 통상의 육면체형 가방을 이룬다. 즉, 상기 시트(11)는, 그 하단부와 이에 인접하는 상기 가방본체(10) 간에 개폐힌지(12)가 결합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개폐힌지(12)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방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시트(11)의 하단부와 상기 가방본체(10)의 간극 내에 설치하면 연결부가 노출되지 아니하므로 외관상 더욱 좋은 제품을 제작해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시트(11)는 90°각도로 개방하였을 때 그 내측면이 수평상태를 이뤄 유아나 거동이 불편한 저체중자 등을 앉힐 수 있는 간이 의자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의 개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시트(11)의 양측과 가방본체(10)의 내측면 간에 지지용의 시트고정힌지(13)가 마련되어 있다.
즉, 상기 시트고정힌지(13)는, 상기 시트(11)의 양측면과 이에 인접하는 상기 가방본체(10)의 내측면 간에 상기 시트(11)의 개방각도를 제한하여 지지할 수 있는 안내부인 원호형 장공(13a)을 갖는 것으로, 상기 시트(11)를 닫았을 때 상기 시트고정힌지(13)가 상기 가방본체(10)의 내측으로 간섭 없이 수용되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든 관계없다. 예컨대, 상기 도 2에서는 상기 시트(11)와 가방본체(10)의 각 부에 축핀(도면 부호 미도시)이 형성되고, 그 축핀이 상기 시트고정힌지(13)의 원호형 장공(13a)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한 것이다. 단, 상기 가방본체(10)의 축핀은 그 자체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어야 개폐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시트(11) 및 가방본체(10)의 각 내측면에는 쿠션재(15)가 충전되어 유아 등이 착석시에 안락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시트(11)의 내부 일측에는 유아의 몸통 전면을 감싸며, 후술하게 될 벨트(17)를 체결할 수 있도록 벨트체결판(14)이 구비되고, 상기 시트고정힌지(13)가 위치한 양측으로는 상기 벨트(17)를 착탈시킬 수 있는 버클(도면 부호 미도시)이 구비되도록 한 것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프레임(20)은, 상기 가방본체(10)의 저면 및 배면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가방본체(10)를 지지함과 아울러 지면과 접촉된 상태로 견인할 수 있도록 저면부 각 모서리부에 복수의 로울러(21)가 장착되며, 이동시 사용자가 신장시켜 끌어당기거나 밀 수 있는 견인손잡이(22)가 결합된 것이다.
상기 견인손잡이(22)는 그 하부의 축이 상기 본체프레임(20) 하단부에 마련된 브래킷(23)에 결합되어 이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된 것으로, 파지후 견인이 용이하도록 상기 본체프레임(20)의 배면부로부터 상기 견인손잡이(22)의 각도를 견인방향으로 소정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지지해줌과 아울러 불사용시에는 상기 본체프레임(20)의 배면부로 밀착 고정시켜주는 각도조절힌지(24)가 장착되어 있다.
그 일례로는, 상기 각도조절힌지(24)에는 부재간의 대응되는 부분에 각각 요철형태의 절첩고정부(24)가 형성되어 상기 견인손잡이(22)가 상기 본체프레임(20)의 배면부로 밀착될 때 그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루는 것이다.
또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견인손잡이를 잡고 상기 본체프레임을 사용자가 전방으로 밀 때 수평방향으로 전환되어 쉽게 가압할 수 있도록 상향으로 신장시킨 후 절곡 가능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신장용 프레임(30)에 장착된 로울러(31)는 최선단에 위치하여 인도할 방향을 잡아주게 되므로 상기 신장용 프레임(30)의 저면쪽에 연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축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방향 전환될 수 있도록 결합된 것이어야 한다.
또한, 상기 본체프레임(20)의 배면쪽 일측에는, 상기 시트(11)를 개방한 후 유아를 태우거나 또는 상기 신장용 프레임(30)을 인출한 후 별도의 가방을 추가로 적재하였을 때 이를 감싸며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신축조절이 가능한 체결용 벨트(17)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체결용 벨트(17)는 유아를 착석시킨 후 상기 시트(11)의 벨트체결판(14) 및 버클 등에 체결할 수도 있고, 상기 신장용 프레임(30)을 인출한 후 적재물(1)을 적재한 경우에는 상기 적재물(1)을 감싸며 상기 신장용 프레임(30) 상에 체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신장용 프레임(30)은, 별도 가방 등의 적재물(1)을 올려놓고 운반하고자 할 때 상기 본체프레임(20)의 길이를 지면과 평행하게 신장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프레임(20)의 내측에 중첩 배치된 구조를 이룬다.
즉, 상기 신장용 프레임(30)은, 상기 본체프레임(20)의 저면쪽 양측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ㄷ'자형으로 절곡된 파이프 형상을 이루며, 그 선단부 저면측에 방향 전환이 자유로운 복수의 로울러(31)가 장착되고, 상기 본체프레임(20)의 내부로 수용되는 상기 신장용 프레임(30)의 양측 파이프 후단부에는 상기 신장용 프레임(30)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그 인출방향으로 탄성을 발휘하는 압축스프링(35)이 개재되며, 상기 신장용 프레임(30)의 양측 파이프 각 저면쪽 선·후단부에는 상기 신장용 프레임(30)의 출몰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복수의 탄성걸림돌기(34)가 형성되고, 상기 신장용 프레임(30)의 양측 파이프간에는 추가로 적재되는 가방 등을 받쳐주기 위한 가이드(32) 및 가로대(33)가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프레임(20)의 저면부 양쪽 내측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32) 및 가로대(33)가 간섭 없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절개된 가이드홈(25)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25) 내부의 각 저면쪽 선·후단부에는 상기 각 탄성걸림돌기(34)가 안착될 수 있도록 그 대응되는 위치에 안착홈(2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여행용 가방은, 보관시에는 상기 도 1과 같은 상태로, 유아를 태우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도 2 또는 도 4의 상태로, 별도의 적재물(1)을 추가 적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도 3의 상태로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베이비시트가 구비된 카트형 여행용 가방은, 저면쪽 프레임의 길이를 신축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카트 없이도 다수의 적재물을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고, 개폐식으로 조작할 수 있는 시트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단거리의 경우에 체중이 적은 유아나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등을 태운 상태로 이동할 수도 있어 실생활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발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기준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라 할 수 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들을 생각해 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예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함은 극히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의류 등의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가방본체;
    상기 가방본체의 전면 일부가 절개되어 연직방향에 대해 개폐힌지를 중심으로 90°각도로 하향 개방되고 이 상태를 유지하여 유아를 앉힐 수 있게 지지하도록 그 양측에 시트고정힌지가 마련된 개폐 가능한 시트;
    상기 가방본체의 저면 및 배면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가방본체를 지지함과 아울러 지면과 접촉된 상태로 견인할 수 있도록 저면부 각 모서리부에 복수의 로울러가 장착되며 이동시 사용자가 신장시켜 끌어당기거나 밀 수 있는 견인손잡이가 결합된 본체프레임; 및
    별도 가방 등의 적재물을 올려놓고 운반하고자 할 때 상기 본체프레임의 길이를 지면과 평행하게 신장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프레임의 내측에 중첩 배치된 신장용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시트가 구비된 카트형 여행용 가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의 배면쪽 일측에는, 상기 시트를 개방한 후 유아를 태우거나 또는 상기 신장용 프레임을 신장한 후 별도의 가방을 추가로 적재하였을 때 이를 감싸며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신축조절이 가능한 체결용 벨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시트가 구비된 카트형 여행용 가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손잡이는 상기 본체프레임을 사용자가 전방으로 밀 때 수평방향으로 전환되어 쉽게 가압할 수 있도록 상향으로 신장시킨 후 절곡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시트가 구비된 카트형 여행용 가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상기 가방본체의 전면상부 절반이 절개되어 이루어지고, 그 하단부와 이에 인접하는 상기 가방본체 간에 개폐힌지가 결합되며, 그 양측면과 이에 인접하는 상기 가방본체의 내측면 간에는 상기 시트의 개방각도를 제한하여 지지할 수 있는 원호형 장공을 갖는 복수의 시트고정힌지가 장착되고, 상기 시트 및 가방본체의 각 내측면에는 쿠션재가 충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시트가 구비된 카트형 여행용 가방.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내부 일측에는 유아의 몸통 전면을 감싸며 벨트를 체결할 수 있도록 벨트체결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시트가 구비된 카트형 여행용 가방.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손잡이는 파지후 견인이 용이하도록 상기 본체프레임의 배면부로부터 상기 견인손잡이의 각도를 견인방향으로 소정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지지해줌과 아울러 불사용시에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배면부로 밀착 고정시켜주는 각도조절힌지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시트가 구비된 카트형 여행용 가방.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용 프레임은, 상기 본체프레임의 저면쪽 양측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ㄷ'자형으로 절곡된 파이프 형상을 이루며, 그 선단부 저면측에 방향 전환이 자유로운 복수의 로울러가 장착되고, 상기 본체프레임의 내부로 수용되는 상기 신장용 프레임의 양측 파이프 후단부에는 상기 신장용 프레임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그 인출방향으로 탄성을 발휘하는 압축스프링이 개재되며, 상기 신장용 프레임의 양측 파이프 각 저면쪽 선·후단부에는 상기 신장용 프레임의 출몰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복수의 탄성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신장용 프레임의 양측 파이프간에는 추가로 적재되는 가방을 받쳐주기 위한 가로대가 소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프레임의 저면부 양쪽 내측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가로대가 간섭 없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절개된 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 내부의 각 저면쪽 선·후단부에는 상기 각 탄성걸림돌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그 대응되는 위치에 안착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비시트가 구비된 카트형 여행용 가방.
KR10-2002-0002980A 2002-01-18 2002-01-18 베이비시트가 구비된 카트형 여행용 가방 KR100441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980A KR100441380B1 (ko) 2002-01-18 2002-01-18 베이비시트가 구비된 카트형 여행용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980A KR100441380B1 (ko) 2002-01-18 2002-01-18 베이비시트가 구비된 카트형 여행용 가방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586U Division KR200289288Y1 (ko) 2002-04-17 2002-04-17 베이비시트가 구비된 카트형 여행용 가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2658A KR20030062658A (ko) 2003-07-28
KR100441380B1 true KR100441380B1 (ko) 2004-07-23

Family

ID=32218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2980A KR100441380B1 (ko) 2002-01-18 2002-01-18 베이비시트가 구비된 카트형 여행용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13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0287B1 (ko) * 2003-10-30 2006-05-16 이준권 여행 가방
GB201205514D0 (en) * 2012-03-28 2012-05-09 Clarke Tom Luggage apparatus
CN108835815A (zh) * 2018-09-19 2018-11-20 安吉罗氏铝合金箱包厂 一种可载儿童的旅行箱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126Y1 (ko) * 1983-10-10 1985-06-08 박근성 가방을 겸한 유모차
KR910004185U (ko) * 1989-08-31 1991-03-18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봉상체 조출기구의 고정장치
JPH09329A (ja) * 1995-06-19 1997-01-07 Kondo Chin 乳母車兼用旅行鞄
KR20000000066U (ko) * 1998-06-01 2000-01-15 박종화 아기의자를 갖춘 여행용 가방
KR20000019292U (ko) * 1999-04-08 2000-11-06 박종화 여행용 가방에 부착되는 의자 어셈블리
KR20000067456A (ko) * 1999-04-28 2000-11-15 엄광섭 의자로 전환 가능한 가방
KR20020041386A (ko) * 2002-05-13 2002-06-01 백수곤 가방 겸용 운반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126Y1 (ko) * 1983-10-10 1985-06-08 박근성 가방을 겸한 유모차
KR910004185U (ko) * 1989-08-31 1991-03-18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봉상체 조출기구의 고정장치
JPH09329A (ja) * 1995-06-19 1997-01-07 Kondo Chin 乳母車兼用旅行鞄
KR20000000066U (ko) * 1998-06-01 2000-01-15 박종화 아기의자를 갖춘 여행용 가방
KR20000019292U (ko) * 1999-04-08 2000-11-06 박종화 여행용 가방에 부착되는 의자 어셈블리
KR20000067456A (ko) * 1999-04-28 2000-11-15 엄광섭 의자로 전환 가능한 가방
KR20020041386A (ko) * 2002-05-13 2002-06-01 백수곤 가방 겸용 운반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2658A (ko) 2003-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1749B2 (en) Multi-function shopping cart insert
US5899467A (en) Carry-on stroller case
US5588696A (en) Convertible chair with armrests which converts to a backpack
US5090063A (en) Packaged toilet seat
US4641844A (en) Babyler folding baby stroller for multiple uses
US20070007801A1 (en) Case with seat
KR101011248B1 (ko) 유모차 겸용 기능성 가방
US5794283A (en) Convertible furniture
CN214677941U (zh) 旅行行李箱和增高座椅的组合件
US6952847B1 (en) Adjustable bed rails including an attachable headboard
KR200289288Y1 (ko) 베이비시트가 구비된 카트형 여행용 가방
KR100441380B1 (ko) 베이비시트가 구비된 카트형 여행용 가방
US4189164A (en) Convertible baby vehicle
US20090032558A1 (en) Baby Carrier
KR101219152B1 (ko) 의자 겸용 배낭
KR20120001229U (ko) 유모차 겸용 여행용 가방
CN112623008A (zh) 储物组件及具有该储物组件的婴儿车
KR102167648B1 (ko) 의자가 부설된 여행용 가방
KR102633787B1 (ko) 의자 겸용 배낭 가방
WO2018150368A1 (en) Multifunctional baby bassinet
KR100807215B1 (ko) 캐리어
KR200296956Y1 (ko) 캐스터를 구비한 접이식 유아 캐리어
CN209473845U (zh) 旅行箱座椅
CN209404200U (zh) 一种可安装在拉杆箱上的儿童座椅
CN214855655U (zh) 承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