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6085B1 -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 Google Patents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6085B1
KR102386085B1 KR1020200080171A KR20200080171A KR102386085B1 KR 102386085 B1 KR102386085 B1 KR 102386085B1 KR 1020200080171 A KR1020200080171 A KR 1020200080171A KR 20200080171 A KR20200080171 A KR 20200080171A KR 102386085 B1 KR102386085 B1 KR 102386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fixing
collet
guide
connecto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1796A (ko
Inventor
박용운
Original Assignee
(주)청호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호시스템 filed Critical (주)청호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080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6085B1/ko
Publication of KR20220001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6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6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가 제공된다. 이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는 호스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관체 형상을 가지며, 일 단부 측의 내부면에는 제한턱, 안착단 및 장착단이 순차적으로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관 몸체, 호스를 수용하기 위해 호스 내로 삽입되는 수용단, 연결관 몸체의 제한턱에 걸리는 장착 걸림 돌기 및 연결관 몸체의 제한턱 내로 삽입되는 삽입단으로 이루어지며, 연결관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내부 호스 가이드 부재, 호스가 통과되는 관통 홀을 가지며, 연결관 몸체의 안착단 내에 안착되어 내부 호스 가이드 부재의 수용단과 함께 삽입된 호스를 압착하는 실링 부재, 호스가 통과되는 관체 형상을 가지며, 호스의 삽입 방향의 일 단부의 내주면에 돌출된 형태를 가져 삽입된 호스의 외주면을 파지하는 걸림편 및 일 단부에 대향하는 타 단부의 외주면에 확장된 형태를 갖는 플랜지단으로 이루어진 콜릿 부재, 및 연결관 몸체의 일 단부 측에 고정되도록 결합하여 콜릿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Fitting Apparatus for Connecting Hose}
본 발명은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호스의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호스를 연결 및 분리할 때 호스의 외부 표면을 손상시키거나 또는 피팅 장치를 손상시키지 않고 원활하게 호스를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는 동시에 호스의 외부 표면의 손상에도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를 갖는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나 비데(bidet) 등과 같은 제품에 물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는 호스(hose)는 피팅(fitting) 장치에 의해 또 다른 호스 혹은 장치(예를 들어, 필터(filter) 등)에 연결한다.
이와 같은 피팅 장치는 호스가 연결된 상태에서 원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함과 더불어 물의 누설이 방지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에 더하여, 간편한 조작성도 만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다양한 형태의 피팅 장치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는 등록실용신안 제20-015243호, 등록실용신안 제20-0194982호,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7460호,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7157호, 등록특허 제10-1127284호, 공개특허 제10-2014-0040315호, 공개특허 제10-2017-0056944호 등에 개시된 것과 같이 다양한 구조로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피팅 장치는 단순히 연결된 호스가 분리가 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주요한 목적으로 설계가 된 것이기 때문에, 호스를 교체하기 위한 과정 등의 유지 보수를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해당 호스의 외부 표면에 손상되거나 또는 피팅 장치가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호스 또는/및 피팅 장치를 다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즉, 종래 기술의 피팅 장치는 호스가 삽입되는 부위에 금속 링(ring)으로 이루어진 걸림 링을 호스의 삽입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호스를 분리할 때에는 호스의 외부 표면을 파고들면서 호스가 분리되지 않도록 방지하게 구성되지만, 호스를 분리할 때에는 더욱 큰 힘으로 강제적으로 호스를 당기거나 혹은 호스와 피팅 장치 사이로 별도의 도구를 삽입하여 걸림 링을 기울인 상태로 호스를 분리하여야만 했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피팅 장치는 주(main) 몸체관 내에 오링(O-ring)을 개재하여 호스의 외부 표면을 통한 누수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러한 오링의 경우 피팅 장치 내에서 고정되지 못하고 호스의 연결 방향으로 유동 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호스를 연결할 때에 호스와의 마찰로 인해 뒤틀리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오링의 뒤틀림 현상으로 인해 생성되는 틈새로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15243호 등록실용신안 제20-0194982호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7460호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7157호 등록특허 제10-1127284호 공개특허 제10-2014-0040315호 공개특허 제10-2017-005694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호스의 연결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호스를 연결 및 분리할 때에 호스의 외부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리고 피팅 장치를 손상시키지 않는 동시에 호스의 외부 표면의 손상에도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를 갖는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를 제공한다. 이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는 호스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관체 형상을 가지며, 일 단부 측의 내부면에는 제한턱, 안착단 및 장착단이 순차적으로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관 몸체, 호스를 수용하기 위해 호스 내로 삽입되는 수용단, 연결관 몸체의 제한턱에 걸리는 장착 걸림 돌기 및 연결관 몸체의 제한턱 내로 삽입되는 삽입단으로 이루어지며, 연결관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내부 호스 가이드 부재, 호스가 통과되는 관통 홀을 가지며, 연결관 몸체의 안착단 내에 안착되어 내부 호스 가이드 부재의 수용단과 함께 삽입된 호스를 압착하는 실링 부재, 호스가 통과되는 관체 형상을 가지며, 호스의 삽입 방향의 일 단부의 내주면에 돌출된 형태를 가져 삽입된 호스의 외주면을 파지하는 걸림편 및 일 단부에 대향하는 타 단부의 외주면에 확장된 형태를 갖는 플랜지단으로 이루어진 콜릿 부재, 및 연결관 몸체의 일 단부 측에 고정되도록 결합하여 콜릿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는 호스가 통과되는 관체 형상을 가지며, 내부 호스 가이드 부재와 실링 부재 사이에 구비되되, 연결관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내부 호스 가이드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가이드 부재는 연결관 몸체의 안착단에 접촉되어 걸리는 역할을 수행하는 고정 가이드 걸림 돌기를 가질 수 있다. 고정 가이드 부재는 실링 부재와 접촉하는 고정 가이드 걸림 돌기 부위에 실링 부재의 일부 외주를 감싸도록 굴곡지게 요입된 받침홈을 가질 수 있다.
콜릿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공에 가져, 콜릿 부재의 상기 일 단부는 복수의 부분으로 분리되어 외측 또는 내측으로 휘어질 수 있다.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는 연결관 몸체 내부의 장착단 내에 안착되면서, 실링 부재에 의해 지지가 됨과 동시에 콜릿 부재가 가압 조작에 의해 이동할 때에 걸림편이 구비된 콜릿 부재의 일 단부가 벌어지도록 유도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는 실링 부재와 접촉하는 부위에 실링 부재의 일부 외주를 감싸도록 굴곡지게 요입된 지지홈을 가질 수 있다.
콜릿 부재와 마주보는 가이드 부재의 부위는 콜릿 부재의 일 단부가 수용되는 안내홈을 가질 수 있다. 안내홈은 콜릿 부재가 가압 조작에 의해 이동할 때에 콜릿 부재의 일 단부를 점차 벌리도록 가이드 부재의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질 수 있다. 가이드 부재와 마주보는 지지 부재의 부위는 가이드 부재의 외곽 둘레면과 접촉하도록 돌출된 받침턱을 갖고, 그리고 받침턱의 내부면은 지지 부재의 내측으로 갈수록 내향 경사질 수 있다.
콜릿 부재의 일 단부의 내주면은 가이드 부재 쪽으로 갈수록 외향 경사질 수 있다. 콜릿 부재와 마주보는 가이드 부재의 내주면은 가이드 부재의 내측으로 갈수록 내향 경사질 수 있다.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는 지지 부재와 가이드 부재 사이에 개재되며, 가이드 부재, 콜릿 부재의 일 단부 및 지지 부재 사이의 공간을 채우면서 호스가 삽입되었을 때에 콜릿 부재의 일 단부를 호스 측으로, 그리고 지지 부재의 호스의 삽입 방향의 일 단부를 연결관 몸체 측으로 압착시키는 고정용 돌기를 갖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열린 도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 부재는 하나의 고정용 돌기를 갖고, 고정 부재는 니트릴-부타디엔 러버로 제조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복수의 고정용 돌기들을 갖고, 고정 부재는 폴리옥시메틸렌으로 제조될 수 있다. 고정용 돌기의 외주면은 고정 부재에서 지지 부재 쪽으로 갈수록 내향 경사질 수 있다. 고정용 돌기는 지지 부재의 호스의 삽입 방향에 대향하는 일 단부 및 콜릿 부재의 일 단부 사이에 압착되도록 신축성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가 콜릿(collet) 부재의 가압 동작에서 콜릿 부재의 일 단부를 벌려주는 가이드(guide)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호스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호스의 연결 과정 및 분리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가 호스의 연결 과정 및 분리 과정에서 호스를 파지하지 않는 콜릿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강제적인 호스의 분리 과정으로 인한 콜릿 부재의 파손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게다가,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가 콜릿 부재가 호스를 파지한 상태에서 호스를 분리 방향으로 당길 경우 일 단부가 더욱 오므라지도록 동작하는 콜릿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호스의 원하지 않는 분리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가 실링(sealing) 부재의 일부를 감싸는 굴곡진 형태의 지지홈을 갖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호스의 연결 과정에서 실링 부재가 뒤틀리는 등의 연결 불량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추가로,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는 호스를 수용하기 위해 호스 내로 삽입되는 수용단을 갖는 내부 호스 가이드 부재가 연결관 몸체의 내부에 장착됨으로써, 콜릿 부재의 걸림편에 의해 호스의 외부 표면이 손상을 입더라도 이에 의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는 콜릿 부재와 가이드 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고정 부재가 가이드 부재, 콜릿 부재의 일 단부 및 지지 부재 사이의 공간을 채우면서 호스가 삽입되었을 때에 콜릿 부재의 일 단부를 호스 측으로, 그리고 지지 부재의 호스의 삽입 방향의 일 단부를 연결관 몸체 측으로 압착시키는 고정용 돌기를 가짐으로써, 호스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해 강제적으로 콜릿 부재를 호스의 삽입 방향으로부터 후퇴시켜 콜릿 부재와 지지 부재 사이에 삽입하는 로커(locker)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호스의 연결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호스를 분리할 때에 호스의 외부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리고 피팅 장치를 손상시키지 않는 동시에 호스의 외부 표면의 손상에도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 입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에 포함되는 내부 호스 가이드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입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에 포함되는 고정 부재들을 각각 설명하기 위한 입체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 단면도 및 확대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도 6의 확대 부분 단면도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의 호스 연결 과정 및 분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부분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장치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장치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설명의 순서에 따라 제시되는 참조 부호는 그 순서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에 더하여, 본 명세서에서, 어떤 막이 다른 막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막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막이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의 구성 요소(element)가 다른 구성 요소와 '접속된(connected to)' 또는 '결합한(coupled to)'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또는 결합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접속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적으로 결합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item)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밑(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장치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장치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장치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장치를 뒤집을 경우, 다른 장치의 '아래(below)' 또는 '밑(beneath)'으로 기술된 장치는 다른 장치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rounded)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왼쪽을 전방으로, 오른쪽을 후방으로, 위쪽을 상방으로 그리고 아래쪽을 하방으로 하여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 입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에 포함되는 내부 호스 가이드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입체도들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에 포함되는 고정 부재들을 각각 설명하기 위한 입체도들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 단면도 및 확대 부분 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는 연결관 몸체(100), 콜릿 부재(200), 지지 부재(300) 및 실링 부재(500)를 갖는 일반적인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의 구성에 고정 부재(350) 및 가이드 부재(400)를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가이드 부재(400)에 의해 콜릿 부재(200)가 가압 조작될 때에 콜릿 부재(200)의 일 단부가 벌어지면서 호스(도 10 내지 도 12의 10 참조)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호스의 외부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는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로부터의 호스의 분리가 가능함과 동시에 연결 작업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는 고정 가이드 부재(600) 및 내부 호스 가이드 부재(700)를 추가로 더 포함함으로써, 내부 호스 가이드 부재(700) 및 실링 부재(500)에 의해 호스가 내측 및 외측에서 동시에 압착을 받아 실링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호스의 외부 표면이 콜릿 부재(200)의 걸림편(221)에 의해 손상을 입더라도 이러한 손상에 의한 누수가 방지될 수 있다.
연결관 몸체(100)는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의 외관 몸체를 형성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연결관 몸체(100)는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말단은 호스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관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관 몸체(100)는 수평한 일자형의 관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관 몸체(100)에 대한 설명은 양측 말단들로 서로 다른 호스들이 각각 결합하여 연결되는 관체 구조를 예로 들어 서술하고자 한다. 하지만, 앞서 설명된 것과 같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관 몸체(100)는 절곡형의 관체 또는 유체가 저장되는 저장통과 일체로 구성되는 관체가 될 수도 있다.
연결관 몸체(100)는 내부 호스 가이드 부재(700)의 삽입 정도를 제한하기 위해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구조를 갖는 제한턱(110)을 가질 수 있고, 그리고 연결관 몸체(100)의 일 단부 측의 내주면에는 제한턱(110)으로부터 연결관 몸체(100)의 일 단부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확장되면서 계단지게 형성된 제한턱(110)의 내경에 비해 확장된 내경을 갖는 안착단(120) 및 안착단(120)의 내경에 비해 확장된 내경을 갖는 장착단(130)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연결관 몸체(100)의 내부에는 내부 호스 가이드 부재(700)가 장착됨으로써, 호스와 연결관 몸체(100) 사이의 틈새를 통한 물의 누수가 차단될 수 있다. 내부 호스 가이드 부재(700)는 호스를 수용하기 위해 호스 내로 삽입되는 수용단(730), 연결관 몸체(100)의 제한턱(110)에 걸리는 장착 걸림 돌기(720) 및 연결관 몸체(100)의 제한턱(110) 내로 삽입되는 삽입단(7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안착단(120)에는 실링 부재(600)가 제공됨으로써, 호스의 외주면과 연결관 몸체(100)의 내주면 사이의 틈새를 통한 물의 누수가 차단될 수 있다. 실링 부재(600)는 호스가 통과되는 관통 홀(hole)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실링 부재(500)는 연결관 몸체(100)의 안착단(120) 내에 안착되는 오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실링 부재(500)의 내경은 연결관 몸체(100)의 제한턱(110)이 이루는 내경에 비해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안착단(120)의 내경은 실링 부재(500)의 외경 및 내경을 고려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내부 호스 가이드 부재(700)와 실링 부재(500) 사이에는 고정 가이드 부재(600)가 구비됨으로써, 연결관 몸체(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내부 호스 가이드 부재(700)가 고정될 수 있다. 즉, 고정 가이드 부재(600)는 내부 호스 가이드 부재(700)를 정 위치에 고정하는 동시에 내부 호스 가이드 부재(700)의 휨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 가이드 부재(600)는 연결관 몸체(100)의 안착단(120)에 접촉되어 걸리는 역할을 수행하는 고정 가이드 걸림 돌기(610)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고정 가이드 부재(600)는 실링 부재(500)와 접촉하는 고정 가이드 걸림 돌기(610) 부위에 실링 부재(500)의 일부 외주를 감싸도록 굴곡지게 요입된 받침홈(620)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호스를 삽입할 때에 실링 부재(500)가 호스와의 마찰로 인한 뒤틀림 등에 의한 실링 불량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콜릿 부재(200)는 호스의 구속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콜릿 부재(200)는 내부로 호스가 통과되도록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콜릿 몸체(210), 안내단(222) 및 플랜지(flange)단(230)의 세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콜릿 몸체(210)는 원통형의 관체로 이루어지면서 몸체를 이루는 부위로써, 플랜지단(230)으로부터 이격된 부위로부터 안내단(222)까지의 일부를 절개한 적어도 하나의 절개공(211)에 의해 열린 도형 형상을 가져 외주면 또는 내주면 방향으로 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콜릿 몸체(210)는 복수의 절개공들(211)에 의해 복수의 부분으로 분리된 구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콜릿 몸체(210)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 방향으로 휘는 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안내단(222)은 콜릿 부재(200)의 호스가 삽입되는 방향의 일 단부를 이루면서, 콜릿 부재(200)를 연결관 몸체(100)의 내부로 가압하여 삽입할 경우, 호스의 파지를 해제하도록 안내하는 부위이며, 호스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외향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안내단(222)의 내주면 중 경사가 시작되기 직전의 부위에는 걸림편(221)이 안내단(222)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어, 삽입된 호스의 외부면을 파지하여 호스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걸림편(221)은 호스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내향 경사진 형태를 가져, 호스가 콜릿 부재(20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삽입된 상태에서 콜릿 부재(200)를 강제적으로 호스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당기면 걸림편(221)이 호스의 외주면으로 파고들어가면서 호스를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다.
플랜지단(230)은 콜릿 몸체(210)의 호스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향하는 타 단부에 구비되면서, 콜릿 부재(200)가 연결관 몸체(100)의 내부로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콜릿 몸체(210)의 호스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향하는 타 단부로부터 내향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지지 부재(300)는 콜릿 부재(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부재(300)는 호스가 삽입되는 방향의 내주면 부위가 연결관 몸체(100)의 일 단측의 내주면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콜릿 부재(200)의 안내단(222)의 외주면에는 외향 돌출된 형태의 걸림 돌기(220)가 구비되고, 지지 부재(300)의 내주면에는 콜릿 부재(200)의 걸림 돌기(220)가 걸려서 콜릿 부재(200)가 호스의 분리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310)이 지지 부재(300)의 내부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300)의 호스가 삽입되는 방향의 내주면에는 후술되는 고정 부재(350)의 고정용 돌기(360, 360a 또는 360b)와의 접촉에 의해 외부 방향으로 압착되도록 이루어진 받침턱(320)이 호스의 삽입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받침턱(320)의 내주면은 호스의 분리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내향 경사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로써 콜릿 부재(200)가 호스의 분리 방향으로 당겨질 때, 콜릿 부재(200)의 안내단(222)이 받침턱(320)의 경사면에 의해 점차 가압되면서 콜릿 부재(200)의 안내단(222)이 오므라지게 됨으로써, 삽입된 호스에 대한 파지가 보다 더 견고히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가이드 부재(400)는 콜릿 부재(200)를 가압하는 동작을 할 때, 콜릿 부재(200)에 의한 호스의 파지를 해제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부재(400)는 연결관 몸체(100) 내의 장착단(130) 내에 안착되면서, 실링 부재(500)를 받쳐주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실링 부재(500)의 지지를 위한 지지홈(410) 및 콜릿 부재(200)의 안내를 위한 안내홈(420)을 갖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지지홈(410)은 가이드 부재(400)의 호스가 삽입되는 방향의 면인 실링 부재(500)와 마주보는 면으로부터 실링 부재(500)의 일부 외주를 감싸도록 굴곡지게 요입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그리고 안내홈(420)은 가이드 부재(400)의 호스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향하는 면인 콜릿 부재(200)와 마주보는 면에 콜릿 부재(200)의 호스가 삽입되는 방향의 일 단부가 수용되도록 요입 형성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안내홈(420)은 콜릿 부재(200)를 가압하는 동작을 할 때, 콜릿 부재(200)의 호스가 삽입되는 방향의 일 단부인 걸림편(221)이 위치된 안내단(222)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요입 형성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안내홈(420)은 콜릿 부재(200)를 가압하는 동작을 할 때, 콜릿 부재(200)의 안내단(222)을 점차 벌리도록 호스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함께, 가이드 부재(400)의 호스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향하는 측의 내주면은 호스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내향 경사지면서 직경이 축소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콜릿 부재(200)를 통과하여 가이드 부재(400)의 내부로 수용되는 호스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 부재(350)는 지지 부재(300)와 가이드 부재(4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고정 부재(350)는 고정용 돌기(360, 360a 또는 360b)를 가질 수 있다. 고정용 돌기(360, 360a 또는 360b)는 가이드 부재(400), 콜릿 부재(200)의 호스가 삽입되는 방향의 일 단부 및 지지 부재(300) 사이의 공간을 채울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용 돌기(360, 360a 또는 360b)는 호스가 삽입되었을 때에 콜릿 부재(200)의 호스가 삽입되는 방향의 일 단부인 안내단(222)을 호스 측으로, 그리고 지지 부재(300)의 호스의 삽입 방향의 일 단부인 받침턱(320)을 연결관 몸체(100) 측으로 압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부재(400)의 안내홈(420)은 콜릿 부재(200)의 안내단(222)의 일부를 수용하는 동시에 수용된 안내단(222)의 외주에 고정 부재(400)를 수용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내부 호스 가이드 부재(700)는 연결관 몸체(100)의 제한턱(110) 내로 삽입되는 삽입단(710), 연결관 몸체(100)의 제한턱(110)에 걸리는 장착 걸림 돌기(720) 및 호스를 수용하기 위해 호스 내로 삽입되는 수용단(7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내부 호스 가이드 부재(700)는 수용단(730)으로 수용된 호스의 삽입 정도를 제한하는 동시에 연결관 몸체(100)의 제한턱(110) 내로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삽입단(710)보다 돌출된 장착 걸림 돌기(720)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장착 걸림 돌기(720)에 의해 내부 호스 가이드 부재(700)는 삽입되는 호스를 수용단(730)을 통해 수용하고, 그리고 삽입단(710)을 통해 연결관 몸체(10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고정 부재(350)는 열린 도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고정 부재(350)의 일부분은 개구에 의해 끊어진 도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개구에 의해 고정 부재(350)는 그 자체로 신축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콜릿 부재(200)가 가압 조작에 의해 이동할 때에 고정 부재(350)가 오므라지면서 고정 부재(350)의 고정용 돌기(360a 또는 360b)가 가이드 부재(400), 콜릿 부재(200)의 일 단부 및 지지 부재(300) 사이의 공간으로 용이하게 수용되는 동시에 호스가 삽입되었을 때에 콜릿 부재(200)의 일 단부를 호스 측으로, 그리고 지지 부재(300)의 일 단부를 연결관 몸체(100) 측으로 압착시킬 수 있다.
고정 부재(350)는 하나의 고정용 돌기(360a)를 가질 수 있으며, 고정 부재(350)는 니트릴-부타디엔 러버(Nitrile-Butadiene Rubber : NBR)로 제조될 수 있다. 하나의 고정용 돌기(360a)는 고정 부재(350)의 호스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향하는 면에 거의 전면에 배치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고정 부재(350)는 복수의 고정용 돌기들(360b)을 가질 수 있으며, 고정 부재(350)는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 POM)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용 돌기들(360b)은 고정 부재(350)의 호스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향하는 면에 방사형으로 배치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고정용 돌기(360, 360a 또는 360b)의 외주면은 고정 부재(350)에서 지지 부재(300) 쪽으로 갈수록 내향 경사질 수 있으며, 그리고 고정용 돌기(360, 360a 또는 360b)는 가이드 부재(400)의 호스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향하는 일 단부 및 콜릿 부재(200)의 호스가 삽입되는 방향의 일 단부 사이에 압착되도록 신축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용 돌기(360, 360a 또는 360b)는 호스가 삽입되었을 때에 콜릿 부재(200)의 일 단부인 안내단(222)을 호스 측으로, 그리고 지지 부재(300)의 일 단부인 받침턱(320)을 연결관 몸체(100) 측으로 압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는 내부 호스 가이드 부재(700)를 포함함으로써, 내부 호스 가이드 부재(700)의 수용단(730) 및 실링 부재(500)에 의해 호스가 내측 및 외측에서 동시에 압착을 받을 수 있다. 즉, 콜릿 부재(200)의 걸림편(221)이 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 : STS)인 관계로 인해 호스의 외부 표면에 스크래치(scratch) 등과 같은 손상이 발생하더라도, 호스를 통해 흐르는 물의 압력에 의해 내부 호스 가이드 부재(700)의 수용단(730)과 호스 사이의 실링이 강화되는 것에 의해 이러한 손상에 의한 누수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실링 부재(500)와 호스 사이의 실링이 여전히 유지되기 것에 의해 호스의 외부 표면에 발생한 손상에 의한 누수가 방지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는 도 6의 확대 부분 단면도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의 호스 연결 과정 및 분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부분 단면도들이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의 작용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호스(10)가 연결되지 않은 최초의 상태에서 호스(10)를 연결하고자 할 경우, 우선적으로 콜릿 부재(200)를 가압하여 연결관 몸체(100)의 내부로 삽입시킨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호스(10)를 콜릿 부재(200)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콜릿 부재(200)를 연결관 몸체(200)의 내부로 가압함과 동시에 호스(10)를 밀어 넣음으로써, 호스(10)가 연결될 수도 있다.
이렇게 콜릿 부재(200)를 가압하게 될 경우, 콜릿 부재(200)의 안내단(222)은 지지 부재(300)의 내부로 삽입되고, 그리고 콜릿 부재(200)의 안내단(222)은 가이드 부재(400)의 안내홈(420) 내로 삽입되면서 안내홈(420)의 경사에 의해 점차 벌어질 수 있다.
콜릿 부재(200)를 가압한 상태에서 호스(10)가 콜릿 부재(200)의 내부를 관통하여 연결관 몸체(100)의 내부에 장착된 내부 호스 가이드 부재(700)의 수용단(730)을 완전히 덮도록 삽입된다. 이때, 호스(10)는 연결관 몸체(100)의 내부에 장착된 내부 호스 가이드 부재(700)의 장착 걸림 돌기(720)가 위치된 부위에 이르기까지 삽입된다. 호스(10)를 연결관 몸체(100)의 내부에 장착된 내부 호스 가이드 부재(700)의 수용단(730)을 덮도록 삽입하는 도중에도 콜릿 부재(200)의 안내단(222)은 고정 부재(350)의 고정용 돌기(360)에 의한 압착에 의해 호스(10)를 가압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고정 가이드 부재(600)는 내부 호스 가이드 부재(700)를 연결관 몸체(100)의 내부에 고정하기 위해 내부 호스 가이드 부재(700)와 실링 부재(500) 사이에는 구비될 수 있다. 즉, 고정 가이드 부재(600)는 내부 호스 가이드 부재(700)를 정 위치에 고정하는 동시에 내부 호스 가이드 부재(700)의 휨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호스(10)의 삽입이 완료되면, 콜릿 부재(200)는 호스(10)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당겨서 이동시킨다. 이때, 콜릿 부재(200)의 안내단(222)이 가이드 부재(400)의 안내홈(420)으로부터 이탈되면서 호스(10)가 삽입되기 이전의 상태로 복원되어 오므라짐에 따라, 콜릿 부재(200)의 안내단(222)의 내부면에 구비된 걸림편(221)이 호스(10)의 외주면을 파고 들어가 파지하는 쐐기 역할을 하는 것에 의해 호스(10)와 콜릿 부재(200)가 함께 이동하여 호스(1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부터 후퇴된다. 여기서, 고정 부재(350)의 고정용 돌기(360)는 신축성이 있기 때문에, 여전히 콜릿 부재(200)의 일 단부인 안내단(222)을 호스(10) 측으로, 그리고 지지 부재(300)의 일 단부인 받침턱(320)을 연결관 몸체(100) 측으로 압착시킬 수 있다.
콜릿 부재(200)가 호스(1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부터 후퇴하는 것은 콜릿 부재(200)의 안내단(222)의 외주면에 구비된 걸림 돌기(220)가 지지 부재(300)의 내주면에 구비된 걸림턱(310)에 걸릴 때까지 이루어진다. 이렇게 걸림 돌기(220)가 걸림턱(310)에 걸릴 경우, 콜릿 부재(200)는 더는 호스(1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부터 후퇴하지 못하게 되어 해당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지지 부재(300)의 받침턱(320)이 형성된 부위의 내주면은 호스(1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내향 경사진 형태를 갖는 것을 고려할 때, 호스(10)의 분리 방향으로의 당김에 따른 콜릿 부재(200)의 안내단(222)이 호스(10)의 삽입 방향으로의 이동할 때에는 콜릿 부재(200)의 걸림 돌기(220)가 지지 부재(300)의 내주면이 이루는 경사에 의해 점차 가압되기 때문에, 콜릿 부재(200)의 안내단(222)의 걸림편(221)이 호스(10)의 외주면에 더욱 깊게 파고들어서 호스(10)를 더욱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치 않는 호스(10)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호스(10)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 콜릿 부재(200)를 호스(1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호스(10)를 분리하는 것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콜릿 부재(200)의 호스(1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통해 콜릿 부재(200)의 안내단(222)이 벌어지도록 하여 콜릿 부재(200)의 걸림편(221)이 호스(10)의 외주면으로부터 완전히 이격된 상태에서 호스(10)를 분리함에 따라, 호스(10)의 표면 손상뿐만 아니라 콜릿 부재(200)의 걸림편(221)에 대한 파손 역시 방지될 수 있다.
결국, 콜릿 부재(200)를 호스(1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가압할 때에 콜릿 부재(200)의 안내단(222)을 벌려주는 가이드 부재(400)에 의해 호스(10)의 표면에 대해 손상 없이 호스(10)의 연결이 수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호스(10)의 분리 역시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함께, 호스(10)의 연결이나 분리를 수행할 때에 콜릿 부재(200)가 호스(10)를 파지하지 않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강제적으로 호스(10)를 분리할 때에 발생할 수 있는 콜릿 부재(20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콜릿 부재(200)가 호스(10)를 파지한 상태에서 호스(10)를 분리 방향으로 당길 경우, 콜릿 부재(200)의 안내단(222)은 더욱 오므라지도록 동작함으로써, 호스(10)의 원치 않는 분리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가이드 부재(400)는 실링 부재(500)의 일부를 감싸는 굴곡진 구조의 지지홈(410)이 추가로 요입 형성된 구조를 가지고, 그리고 고정 가이드 부재(600)는 실링 부재(500)의 일부를 감싸는 굴곡진 구조의 받침홈(620)이 추가로 요입 형성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호스(10)를 삽입할 때에 실링 부재(500)가 호스(10)와의 마찰로 인한 뒤틀림 등에 의한 실링 불량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추가로, 내부 호스 가이드 부재(700)의 수용단(730)과 실링 부재(500)는 호스(10)를 내측 및 외측에서 동시에 압착을 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콜릿 부재(200)의 걸림편(221)에 의해 호스(10)의 외부 표면에 손상이 발생하더라도, 호스(10)를 통해 흐르는 물의 압력에 의해 내부 호스 가이드 부재(700)의 수용단(730)과 호스(10) 사이의 실링이 강화되고, 그리고 실링 부재(500)와 호스(10) 사이의 실링이 여전히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호스의 외부 표면에 발생한 손상에 의한 누수가 방지될 수 있다.
게다가, 콜릿 부재(200)가 고정 부재(350)의 고정용 돌기(360)에 의해 항상 지지 부재(300)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호스(10)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강제적으로 콜릿 부재(200)를 호스(10)의 삽입 방향으로부터 후퇴시킨 후, 별도의 로커를 콜릿 부재(200)와 지지 부재(300) 사이에 추가로 삽입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는 콜릿 부재의 가압 동작에서 콜릿 부재의 일 단부를 벌려주는 동시에 실링 부재의 일부를 감싸는 굴곡진 형태의 지지홈을 갖는 가이드 부재, 호스의 연결 과정 및 분리 과정에서 호스를 파지하지 않는 동시에 호스를 파지한 상태에서 호스를 분리 방향으로 당길 경우에 일 단부가 더욱 오므라지도록 동작하는 콜릿 부재, 지지 부재와 가이드 부재 사이에 개재되며, 가이드 부재, 콜릿 부재의 일 단부 및 지지 부재 사이의 공간을 채우면서 호스가 삽입되었을 때에 콜릿 부재의 일 단부를 호스 측으로, 그리고 지지 부재의 호스의 삽입 방향의 일 단부를 연결관 몸체 측으로 압착시키는 고정용 돌기를 갖는 고정 부재, 및 호스를 수용하기 위해 호스 내로 삽입되는 수용단, 연결관 몸체의 제한턱에 걸리는 장착 걸림 돌기 및 연결관 몸체의 제한턱 내로 삽입되는 삽입단으로 이루어지며, 연결관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내부 호스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호스의 연결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호스를 연결 및 분리할 때에 호스의 외부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리고 피팅 장치를 손상시키지 않는 동시에 호스의 외부 표면의 손상에도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호스
100 : 연결관 몸체
110 : 제한턱
120 : 안착단
130 : 장착단
200 : 콜릿 부재
210 : 콜릿 몸체
211 : 절개공
220 : 걸림 돌기
221 : 걸림편
222 : 안내단
230 : 플랜지단
300 : 지지 부재
310 : 걸림턱
320 : 받침턱
350 : 고정 부재
360, 360a, 360b : 고정용 돌기
400 : 가이드 부재
410 : 지지홈
420 : 안내홈
500 : 실링 부재
600 : 고정 가이드 부재
610 : 고정 가이드 걸림 돌기
620 : 받침홈
700 : 내부 호스 가이드 부재
710 : 삽입단
720 : 장착 걸림 돌기
730 : 수용단

Claims (18)

  1. 호스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관체 형상을 가지며, 일 단부 측의 내부면에는 제한턱, 안착단 및 장착단이 순차적으로 계단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관 몸체;
    상기 호스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호스 내로 삽입되는 수용단, 상기 연결관 몸체의 상기 제한턱에 걸리는 장착 걸림 돌기 및 상기 연결관 몸체의 상기 제한턱 내로 삽입되는 삽입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관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내부 호스 가이드 부재;
    상기 호스가 통과되는 관통 홀을 가지며, 상기 연결관 몸체의 상기 안착단 내에 안착되어 상기 내부 호스 가이드 부재의 상기 수용단과 함께 삽입된 상기 호스를 압착하는 실링 부재;
    상기 호스가 통과되는 관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호스의 삽입 방향의 일 단부의 내주면에 돌출된 형태를 가져 삽입된 상기 호스의 외주면을 파지하는 걸림편 및 상기 일 단부에 대향하는 타 단부의 외주면에 확장된 형태를 갖는 플랜지단으로 이루어진 콜릿 부재;
    상기 연결관 몸체의 상기 일 단부 측에 고정되도록 결합하여 상기 콜릿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호스가 통과되는 관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내부 호스 가이드 부재와 상기 실링 부재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연결관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상기 내부 호스 가이드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가이드 부재는 상기 연결관 몸체의 상기 안착단에 접촉되어 걸리는 역할을 수행하는 고정 가이드 걸림 돌기를 갖는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가이드 부재는 상기 실링 부재와 접촉하는 상기 고정 가이드 걸림 돌기 부위에 상기 실링 부재의 일부 외주를 감싸도록 굴곡지게 요입된 받침홈을 갖는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콜릿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공에 가져, 상기 콜릿 부재의 상기 일 단부는 복수의 부분으로 분리되어 외측 또는 내측으로 휘어지는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 몸체 내부의 상기 장착단 내에 안착되면서, 상기 실링 부재에 의해 지지가 됨과 동시에 상기 콜릿 부재가 가압 조작에 의해 이동할 때에 상기 걸림편이 구비된 상기 콜릿 부재의 상기 일 단부가 벌어지도록 유도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실링 부재와 접촉하는 부위에 상기 실링 부재의 일부 외주를 감싸도록 굴곡지게 요입된 지지홈을 갖는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콜릿 부재와 마주보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부위는 상기 콜릿 부재의 상기 일 단부가 수용되는 안내홈을 갖는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은 상기 콜릿 부재가 상기 가압 조작에 의해 이동할 때에 상기 콜릿 부재의 상기 일 단부를 점차 벌리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의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는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와 마주보는 상기 지지 부재의 부위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외곽 둘레면과 접촉하도록 돌출된 받침턱을 갖고, 그리고
    상기 받침턱의 내부면은 상기 지지 부재의 내측으로 갈수록 내향 경사지는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콜릿 부재의 상기 일 단부의 내주면은 상기 가이드 부재 쪽으로 갈수록 외향 경사지는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콜릿 부재와 마주보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내주면은 상기 가이드 부재의 내측으로 갈수록 내향 경사지는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13.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 상기 콜릿 부재의 상기 일 단부 및 상기 지지 부재 사이의 공간을 채우면서 상기 호스가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콜릿 부재의 상기 일 단부를 상기 호스 측으로, 그리고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호스의 삽입 방향의 일 단부를 상기 연결관 몸체 측으로 압착시키는 고정용 돌기를 갖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열린 도형 형상을 갖는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하나의 고정용 돌기를 갖고, 상기 고정 부재는 니트릴-부타디엔 러버로 제조되는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복수의 고정용 돌기들을 갖고, 상기 고정 부재는 폴리옥시메틸렌으로 제조되는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돌기의 외주면은 상기 고정 부재에서 상기 지지 부재 쪽으로 갈수록 내향 경사지는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돌기는 상기 지지 부재의 상기 호스의 삽입 방향에 대향하는 일 단부 및 상기 콜릿 부재의 상기 일 단부 사이에 압착되도록 신축성을 갖는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KR1020200080171A 2020-06-30 2020-06-30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KR102386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171A KR102386085B1 (ko) 2020-06-30 2020-06-30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171A KR102386085B1 (ko) 2020-06-30 2020-06-30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796A KR20220001796A (ko) 2022-01-06
KR102386085B1 true KR102386085B1 (ko) 2022-04-14

Family

ID=79348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171A KR102386085B1 (ko) 2020-06-30 2020-06-30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608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862B1 (ko) * 2018-07-20 2020-06-11 (주)청호시스템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333076A (en) * 1998-02-27 2000-06-23 Guest John D Tube coupling having a first and a second enlarged diameter portion and a plastics sleeve to seal a tube against the coupling
KR200194982Y1 (ko) 2000-03-10 2000-09-01 이중호 호스연결용 컨넥터
KR20100007460U (ko) 2009-01-14 2010-07-22 김인 호스 연결용 피팅
KR101127284B1 (ko) 2010-01-22 2012-03-29 주식회사 이앤에이메디칼 호스 연결구
KR20110007157U (ko) 2011-05-30 2011-07-19 김기래 호스 연결용 피팅
KR20130029928A (ko) * 2011-09-16 2013-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호스 연결 커넥터
KR20140040315A (ko) 2012-09-24 2014-04-03 (주)워피온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KR20170056944A (ko) 2015-11-16 2017-05-24 최병철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862B1 (ko) * 2018-07-20 2020-06-11 (주)청호시스템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796A (ko) 2022-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3733B2 (en) Valve connections
RU112736U1 (ru) Муфта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US8844980B2 (en) Device for coupling a tube to a circuit element, method for mounting an anchoring ring on a body of such a coupling device and method for dismantling such a device
KR102121862B1 (ko)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US20120326439A1 (en) Valve and Other Connections
CN108779882A (zh) 具有带凸片的固持器的联接器
WO1995030857A1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attaching conduits to a fitting
KR20060115605A (ko) 급속 커넥터의 가외 걸쇠/확인체
US11313499B2 (en) Pipe fitting apparatus and methods
US5868435A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attaching conduits to a fitting
KR102386085B1 (ko)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US20040178630A1 (en) Pipe coupling
US10619769B2 (en) Fluid connector with pre-positioned crimping collar
KR102467065B1 (ko)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EP0580222B1 (fr) Raccord de dérivation pour tuyauterie en matière thermoplastique
KR102339388B1 (ko) 호스 연결용 피팅 장치
KR102215988B1 (ko) 호스 연결용 버튼형 피팅 장치
KR101918082B1 (ko) 약압 압착식 관 이음쇠 및 그 압착 방법
KR102250122B1 (ko) 원터치 고압 커넥터
CN112096993A (zh) 一种快速接头
EP3382252B1 (en) Hose clamp
JP4389049B2 (ja) コルゲート管継手
KR20080090097A (ko) 호스 배관용 피팅
JPH09210267A (ja) 管継手
KR20190002702U (ko) 호스 연결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