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864B1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864B1
KR102385864B1 KR1020170128300A KR20170128300A KR102385864B1 KR 102385864 B1 KR102385864 B1 KR 102385864B1 KR 1020170128300 A KR1020170128300 A KR 1020170128300A KR 20170128300 A KR20170128300 A KR 20170128300A KR 102385864 B1 KR102385864 B1 KR 102385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garette
housing
heater
support
gener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8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8182A (ko
Inventor
서장원
고경민
윤진우
정진철
정민석
장용준
정종성
장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170128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864B1/ko
Publication of KR20190038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3/00Appliances for smo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F13/02Cigar or cigarette holders

Abstract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궐련을 수용하기 위한 통로와 외부로부터 궐련이 삽입되도록 통로의 일단에서 외부로 개방된 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하우징에 궐련이 삽입된 경우 궐련을 가열하는 히터, 히터를 지지하면서 삽입된 궐련이 하우징의 바닥벽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멈출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체, 및 하우징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우징의 외통에 형성된 공기 구멍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에어로졸 생성 장치, 특히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외부 구조에 관한다.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열식 궐련 또는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개시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궐련을 수용하기 위한 통로와 외부로부터 상기 궐련이 삽입되도록 상기 통로의 일단에서 외부로 개방된 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상기 궐련이 삽입된 경우 상기 궐련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히터를 지지하면서, 상기 삽입된 궐련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벽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멈출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체;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통에 형성된 공기 구멍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삽입된 궐련의 일측 단부와 접촉하는 상기 지지체의 단면의 면적은 상기 삽입된 궐련의 일측 단부의 단면적 보다 작고, 상기 히터의 단면의 면적보다는 크다.
또한, 상기 외부 공기는 상기 공기 구멍을 통해 유입된 후 상기 지지체와 접촉하지 않은 상기 삽입된 궐련의 일측 단부의 나머지 영역을 통해 상기 궐련의 내부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지지체는 대칭형 단면 또는 비대칭형의 단면을 갖는 일정 높이의 기둥 형상의 구조체이다.
또한, 상기 공기 구멍은 상기 지지체의 둘레에 대응되는 상기 외통의 일부 위치들에 형성된 것인다.
또한, 상기 지지체는 내열성 플라스틱 소재 또는 금속 재료로 제작된 것이다.
또한, 상기 내열성 플라스틱 소재는 LCP(Liquid Crystal Polymer) 소재 및 PEEK(polyether ether ketone) 소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 재료는 STS(stainless steel), 스틸, 티타늄, 알루미늄, 마그네슘 합금, 아연 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히터는 상기 지지체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체의 상단으로부터 솟아오른 봉침형의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궐련이 삽입된 경우, 상기 외통과 상기 궐련의 담배 로드의 사이의 위치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제작되고, 상기 빈 공간은 상기 유입된 외부 공기가 축적되는 공간이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궐련을 수용하기 위한 통로와 외부로부터 상기 궐련이 삽입되도록 상기 통로의 일단에서 외부로 개방된 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상기 궐련이 삽입된 경우 상기 궐련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히터를 지지하면서 상기 삽입된 궐련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벽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멈출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체,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통에 형성된 공기 구멍을 포함하는 홀더; 및 상기 홀더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홀더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크래들을 포함한다.
상기된 바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별도의 추출기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삽입된 궐련을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외부 공기를 궐련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기류 패스 구조가 추출기 없이도 마련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에 가열식 궐련을 삽입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타입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타입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 및 지지체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 및 지지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외부 및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도 5의 B-B의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체의 다양한 형상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구멍의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오로지 예시를 위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설명은 실시예들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상단” 및 “하단”은 사용자의 입을 기준으로 결정된다.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이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수용된 궐련을 흡연하는 경우를 가정하였을 때, 사용자의 입을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의 입에 가까운 쪽이 상단이고, 사용자의 입에 먼 쪽이 하단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이용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수용된 궐련을 흡연하는 경우 담배 로드는 사용자의 입에서 가장 멀리 위치하는 구성이므로, 담배 로드는 궐련의 하단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에 가열식 궐련을 삽입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는 궐련(1)이 삽입될 수 있는 수용공간인 하우징(10)이 마련될 수 있고, 하우징(10)에는 삽입된 궐련(1) 내부를 관통하기 위한 일측 단부(21)를 갖는 히터(20)가 구비될 수 있다. 히터(20)의 하단에는 히터(20)를 지지하면서 삽입된 궐련(1)이 하우징(10)의 바닥벽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멈출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체(30)가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전체적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일측 말단에 구비된 개구(11)는 외부로 개방되어 궐련(1)이 개구(11)를 통해 하우징(1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궐련(1)을 손에 쥐고 하우징(10)의 개구(11)에 궐련(1)을 밀어 넣는 동작을 실시함으로써 궐련(1)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장착할 수 있다. 여기서, 개구(11)의 직경은 궐련(1)과 거의 유사한 직경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궐련(1)이 하우징(10)에 삽입되어 수용된 경우, 히터(20)는 궐련(1)을 가열할 수 있다. 히터(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가열된다. 궐련(1)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삽입되면, 히터(20)는 삽입된 궐련(1)의 담배 로드(7) 내부에 위치하게 되고, 가열된 히터(20)는 담배 로드(7)의 내부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온도를 상승시켜 에어로졸의 생성을 유발시킬 수 있다.
히터(20)는 원기둥과 원뿔이 조합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20)는 직경이 약 2mm, 길이가 약 23mm인 원기둥 형상을 갖고, 히터(20)의 일측 단부(21)는 예각으로 마감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히터(20)는 궐련(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형태라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히터(20)는 일부 부분만 가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히터(20)의 길이가 23mm라고 가정하면, 히터(20)의 말단으로부터 12mm만 가열되고, 히터(20)의 나머지 부분은 가열되지 않을 수도 있다.
히터(20)는 전기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20)는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히터(20)가 가열될 수 있다. 전기 전도성 트랙은 전기 저항성 물질을 포함한다. 일 예로서, 전기 전도성 트랙은 금속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기 전도성 트랙은 전기 전도성 세라믹 물질, 탄소, 금속 합금 또는 세라믹 물질과 금속의 합성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히터(20)는 궐련(1)을 가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전기 전도성 트랙 및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전기 전도성 트랙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히터(20)에는 3.2 V, 2.4 A, 8 W의 규격에 따른 전력이 공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히터(20)에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히터(20)의 표면 온도는 400℃ 이상으로 상승할 수 있다. 히터(20)에 전력이 공급되기 시작한 때부터 15초가 초과되기 이전에 히터(20)의 표면 온도는 약 350℃까지 상승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배터리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는 히터(20)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어 회로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센서, 모터 등 다양한 구성들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흡연을 완료한 경우, 사용자는 삽입된 궐련(1)을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약하게 돌린 후 잡아 당김으로써 궐련(1)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하우징(10)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한편, 궐련(1)을 수용하는 도 1의 하우징(10)의 구조는 다양한 타입들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에 채용 가능한 구조에 해당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타입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고하면, 제 1 타입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210)는 분리형 타입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타입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210)는 홀더(213) 및 크래들(215)을 포함한다. 홀더(213)와 크래들(215)은 서로 분리되거나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된다.
사용자는 홀더(213)만을 이용하여 흡연을 실시하거나, 또는 홀더(213)가 크래들(215)에 결합된 상태에서 홀더(213)를 일정 각도로 틸트시켜 흡연을 실시할 수 있다.
크래들(215)의 일 측면에는 홀더(213)가 장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홀더(213)와 크래들(215)이 결합된 경우, 크래들(215) 내에 구비된 배터리는 홀더(213)를 충전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홀더(213)의 일부분(211)의 내부에는 앞서 설명된 도 1의 하우징(10)이 채용되어 있고, 홀더(213)는 하우징(10) 내의 히터(20)를 이용하여 궐련(1)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타입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b를 참고하면, 제 2 타입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220)는 일체형 타입일 수 있다. 즉, 제 2 타입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220)는 도 2a에서 설명된 제 1 타입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210)와는 달리, 홀더와 크래들이 분리되지 않는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220)는 뚜껑(223) 및 본체(225)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220)는 뚜껑(223)의 일부가 슬라이딩됨으로써 개구(11)가 노출될 수 있고, 사용자는 노출된 개구(11)를 통해 궐련(1)을 삽입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220)의 상단 부분(221)의 내부에는 앞서 설명된 도 1의 하우징(10)이 채용되어 있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220)는 하우징(10) 내의 히터(20)를 이용하여 궐련(1)을 가열함으로써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서는 도 1의 하우징(10)의 구조가 채용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타입들에 대해서 예시적으로 설명되었고, 본 실시예들과 관련이 적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다른 구조들 및 기능들에 대해서는 자세히 설명되지 않았다. 하지만,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전기-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기술들을 이용하여 분리형 에어로졸 생성 장치(210) 및 일체형 에어로졸 생성 장치(220)가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한편, 도 1, 도 2a 및 도 2b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우징(10) 내의 구조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되었으나,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고하여 하우징(10) 내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에서 설명될 구조는 도 1, 도 2a 및 도 2b에 채용되는 하우징(10)의 구조에 해당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 및 지지체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의 단면도는 도 1에서 설명된 하우징(10)의 상세 구조도로서, 도2a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210)의 일부분(211)의 단면도이거나, 또는 도 2b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220)의 상단 부분(221)의 단면도에 해당될 수 있다.
궐련(1)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개구를 형성하는 하우징(10)의 상단 부분의 내통(40)을 통과하여 삽입된다. 내통(40)은 외통(15)의 내측면에 형성된 구조물에 해당된다. 여기서, 내통(40)과 외통(15)은 접합된 별개의 구조물로 제작되거나 또는 일체형의 단일 구조물로도 제작될 수 있다.
내통(40)에 의해 형성된 통로의 직경은 궐련(1)이 삽입될 수 있도록 궐련(1)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지나, 내통(40)에 의해 형성된 통로와 삽입된 궐련(1) 사이에는 유격이 거의 없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내통(40)과 삽입된 궐련(1) 사이의 틈을 통한 공기의 흐름은 비교적 적을 수 있다.
궐련(1)이 삽입되다가 궐련(1)의 담배 로드의 바닥면(7c)이 지지체(30)와 맞닿게 되면, 궐련(1)은 더 이상 삽입되지 않는다. 이 경우 사용자의 손에는 바닥면(7c)과 지지체(30)가 접촉하는 느낌이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끝까지 삽입된 궐련(1)과 바닥벽(70) 간에는 지지체(30)의 높이만큼 이격되게 된다.
바닥면(7c)과 접촉하는 지지체(30)의 일측 단부의 단면적은, 바닥면(7c)의 단면적 보다 작으나, 히터(20)의 단면의 면적보다는 크도록 구현된다. 다만, 바닥면(7c)의 단면적 대비 지지체(30)의 일측 단부의 단면적의 비율은 어느 특정한 비율로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에 따라, 지지체(30)와 접촉하고 있지 않은 바닥면(7c)의 나머지 영역은 하우징(10) 내에서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출된 영역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담배 로드(7)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지지체(30)의 일측 단부의 단면적은 궐련(1)의 스토퍼 역할, 히터(20)의 지지 역할, 적절한 공기 유입을 위한 바닥면(7c)의 노출 영역의 크기 조절 역할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하우징(10)에는 외부 공기가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 구멍(50)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궐련(1)의 필터부(8)를 통해 퍼프하는 경우, 외부 공기는 공기 구멍(50)을 통해 하우징(10) 내로 유입되게 되고, 유입된 공기는 앞서 설명된 바닥면(7c)의 노출 영역으로 흐르게 된다. 즉, 하우징(10)에 형성된 외부 공기의 기류 패스는 공기 구멍(50) 및 바닥면(7c)의 노출 영역을 포함하는 경로에 의해 형성되고, 이와 같은 기류 패스를 통해 외부 공기가 궐련(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기류 패스는 화살표들로 표현되어 있다.
한편, 담배 로드(7)의 외측면(7a)의 주변은 내통(40)으로 인하여 거의 폐쇄되어 있으나, 외측면(7b)의 주변에는 외통(15)으로만 둘러싸인 빈 공간(60)이 형성되어 있다. 빈 공간(60)은 공기 구멍(50)에 의해 유입된 외부 공기가 머무를 수 있는 공간으로서, 빈 공간(60)에 축적된 공기도 마찬가지로 바닥면(7c)의 노출 영역으로 유입되어 궐련(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바닥벽(70)은 지지체(30)를 고정하고, 히터(20)는 지지체(30)의 내부를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제작된다. 지지체(30)는 가열된 히터(20)의 온도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내열성 플라스틱 소재 또는 금속 재료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지지체(30)는 LCP(Liquid Crystal Polymer) 소재, PEEK(polyether ether ketone) 소재 등과 같은 내열성 소재로 제작되거나 또는 STS(stainless steel), 스틸, 티타늄, 알루미늄, 마그네슘 합금, 아연 합금 등과 같은 금속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하우징(10)에서, 궐련(1)에서의 담배 로드(7) 및 필터부(8)의 길이, 히터(20)의 길이, 지지체(30)의 높이, 공기 구멍(50)의 크기, 빈 공간(60)의 크기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임의적으로 도시되었을 뿐이고, 도 3에 도시된 구조가 구현될 수 있는 한 하우징(10) 내부의 구성들은 다양한 수치들의 길이, 높이,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 및 지지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앞서 설명된 하우징(10)은 히터(20) 및 지지체(30)가 일체화된 구조체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체(30)는 중심부에서 히터(20)가 관통되는 구조를 갖고, 히터(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히터(20)가 관통하는 위치가 반드시 지지체(30)의 정중앙일 필요는 없다. 즉, 히터(20)는 지지체(3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지지체(30)의 상단으로부터 솟아오른 봉침형의 구조를 갖는다.
히터(20)의 일측 단부는 예각으로 마감되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1)이 삽입될 때 궐련(1)의 담배 로드(7) 내부에 삽입된다. 나아가서, 히터(20)의 일측 단부 뿐만 아니라, 지지체(30)로부터 솟아오른 히터(20)의 노출 부분들은 담배 로드(7)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히터(20)의 타측 단부는 전기 배선(410)을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에 구비된 전기공급장치(4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히터(20)는 전기공급장치(420)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지지체(30)는 높이(400)를 갖는 구조체로서, 앞서 도 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삽입된 궐련(1)의 바닥면(7c)의 노출 영역이 제공될 수 있는 한, 높이(400)에 대한 수치는 다양할 수 있다.
한편, 지지체(30)는 원기둥 형상 이외에도, 히터(20)를 지지할 수 있으면서 삽입된 궐련(1)을 바닥벽(70)으로부터 높이(400)만큼 이격시킬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외부 및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하우징(10)의 외부 형상은 도 2a에서 설명된 홀더(213)의 일부분(211)에 채용된 형상이거나, 또는 도 2b에서 설명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220)의 상단 부분(221)에 채용된 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10)의 외부에는 하우징(10) 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통로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공기 구멍들(50)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 구멍들(50)의 개수 및 형상은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도 5의 하우징(10)의 A-A의 선을 따라 취한 사시도 및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궐련(1)은 하우징(10) 내의 통로를 따라 삽입되면서, 지지체(30)에 의하여 바닥벽(70)으로부터 일정한 높이(400)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정지된다.
하우징(10)의 외통(15)의 하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공기 구멍들(50)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 구멍들(50)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는, 지지체(30)에 의해 이격됨에 따라 노출된 궐련(1)의 단부(도 3의 바닥면(7c))를 통해 궐련(1) 내로 유입될 수 있다.
히터(20)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체(30)는 바닥벽(70)에 고정되어 있다. 공기 구멍들(50)의 위치는 지지체(3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고 외통(15) 상에서 다른 위치들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하우징(10)의 개구 주위에 구비된 내통(40)은 내부 직경이 삽입된 궐련(1)의 직경과 유사한 크기로 구현됨으로써, 하우징(10)에 삽입되는 궐련(1)의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삽입된 궐련(1)을 지지할 수 있다. 그러나, 내통(40)은 삽입된 궐련(1)의 담배 로드(7) 부분의 주위에서는 형성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된 궐련(1)의 담배 로드(7)와 외통(15) 사이의 공간에는 빈 공간(60)이 형성될 수 있고, 빈 공간(60)에는 공기 구멍들(50)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가 머무를 수 있다.
도 8은 도 5의 B-B의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가장 바깥의 외통(15)에는 하나 이상의 공기 구멍들(50)이 형성되어 있고, 궐련(1)의 담배 로드(7)의 중심부에는 히터(20)가 삽입되어 있다.
담배 로드(7)의 바닥면(7c)은 지지체(30)의 상측 면과 맞닿아 있으며, 지지체(30)의 상측 면의 단면적은 바닥면(7c)의 단면적보다 작게 제작되어 있다. 이로써, 바닥면(7c)의 일부는 노출되어 공기 구멍들(50)로부터 유입된 외부 공기가 침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지지체(30)의 상측 면의 단면적은, 히터(20)의 단면의 면적보다는 크다.
내통(40)의 내부 직경은 궐련(1)의 직경(담배 로드(7)의 직경) 보다 약간 크게 제작되며, 그 사이에는 약간의 틈(801)만 형성되어 있어 공기의 유입이 거의 없을 수 있다.
도 8에서는 빈 공간(60)이 내통(40)의 단면에 가려져 도시되지 않았으나, 내통(40)의 아래 쪽에는 외통(15)과 담배 로드(7) 사이의 빈 공간(6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체의 다양한 형상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앞서 설명된 지지체(3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원기둥 형상을 갖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하지만, 지지체(30)의 형상은 원기둥 형상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체(30)는 도 9의 (a)와 같이 비대칭 단면을 갖는 기둥 형상(910)으로 제작되거나, 원형 단면을 갖는 기둥 형상(920),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 기둥 형상(930), 별모양 단면을 갖는 기둥 형상(940), 또는 십자형 단면을 갖는 기둥 형상(950)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다양한 기둥 형상들(910 내지 950)을 갖는 지지체(30)의 중심부에는 모두 히터(20)가 관통할 수 있는 통로(90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9에서 설명된 기둥 형상들(910 내지 950) 외에도 다른 다양한 단면을 갖는 기둥 형상으로도 앞서 설명된 지지체(30)가 구현될 수 있다. 다만, 기둥 형상들(910 내지 950)의 상측 면의 단면적은 궐련(1)의 담배 로드(7)의 바닥면(7c)의 단면적보다는 작게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바닥면(7c)의 노출 영역이 존재하여야만 외부 공기가 바닥면(7c)을 통해 궐련(1)의 담배 로드(7) 내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기둥 형상들(910 내지 950)은 하우징(10)의 바닥벽(70)으로부터 삽입된 궐련(1)이 이격될 수 있도록, 일정한 높이(400)를 갖는 기둥으로 구현될 필요가 있다. 나아가서, 도면들에서는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지지체(30)의 상측 면의 단면의 크기와 하측 면의 단면의 크기가 반드시 일치될 필요는 없을 뿐만 아니라, 그 단면의 모양 또한 동일할 필요는 없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구멍의 다양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에 형성된 공기 구멍들(1010)은 나란히 배치된 원형 구멍들일 수 있고, 또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에 형성된 공기 구멍들(1020)은 지그재그로 배치된 사각형 구멍들일 수 있다.
즉, 공기 구멍은 지지체의 둘레에 대응되는 하우징(10)의 외통의 일부 위치들에 형성될 수 있으나, 공기 구멍은 외부 공기를 하우징(10) 내로 유입시킬 수 있는 한, 그 모양내지 배치는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궐련을 수용하기 위한 통로와 외부로부터 상기 궐련이 삽입되도록 상기 통로의 일단에서 외부로 개방된 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상기 궐련이 삽입된 경우 상기 궐련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히터를 지지하면서, 상기 삽입된 궐련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벽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멈출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체;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통에 형성된 공기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된 궐련의 일측 단부와 접촉하는 상기 지지체의 단면의 면적은 상기 삽입된 궐련의 일측 단부의 단면적 보다 작고, 상기 히터의 단면의 면적보다는 큰,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공기는
    상기 공기 구멍을 통해 유입된 후 상기 지지체와 접촉하지 않은 상기 삽입된 궐련의 일측 단부의 나머지 영역을 통해 상기 궐련의 내부로 유입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대칭형 단면 또는 비대칭형의 단면을 갖는 일정 높이의 기둥 형상의 구조체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구멍은
    상기 지지체의 둘레에 대응되는 상기 외통의 일부 위치들에 형성된 것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내열성 플라스틱 소재 또는 금속 재료로 제작된 것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성 플라스틱 소재는
    LCP(Liquid Crystal Polymer) 소재 및 PEEK(polyether ether ketone) 소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 재료는
    STS(stainless steel), 스틸, 티타늄, 알루미늄, 마그네슘 합금, 아연 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지지체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체의 상단으로부터 솟아오른 봉침형의 구조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궐련이 삽입된 경우, 상기 외통과 상기 궐련의 담배 로드의 사이의 위치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제작되고,
    상기 빈 공간은
    상기 유입된 외부 공기가 축적되는 공간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10. 궐련을 수용하기 위한 통로와 외부로부터 상기 궐련이 삽입되도록 상기 통로의 일단에서 외부로 개방된 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상기 궐련이 삽입된 경우 상기 궐련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히터를 지지하면서 상기 삽입된 궐련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벽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멈출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체,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통에 형성된 공기 구멍을 포함하는 홀더; 및
    상기 홀더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홀더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크래들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된 궐련의 일측 단부와 접촉하는 상기 지지체의 단면의 면적은 상기 삽입된 궐련의 일측 단부의 단면적 보다 작고, 상기 히터의 단면의 면적보다는 큰,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170128300A 2017-09-29 2017-09-29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85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300A KR102385864B1 (ko) 2017-09-29 2017-09-29 에어로졸 생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300A KR102385864B1 (ko) 2017-09-29 2017-09-29 에어로졸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182A KR20190038182A (ko) 2019-04-08
KR102385864B1 true KR102385864B1 (ko) 2022-04-12

Family

ID=66164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8300A KR102385864B1 (ko) 2017-09-29 2017-09-29 에어로졸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8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932B1 (ko) * 2018-06-01 2020-02-0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히터 조립체 및 히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80482B1 (ko) * 2019-07-05 2022-12-2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014603A (ko) * 2021-07-21 2023-01-3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장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124B1 (ko) * 2011-11-21 2016-10-17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추출기
KR101679489B1 (ko) * 2012-01-03 2016-11-24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개선된 공기류를 가진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124B1 (ko) * 2011-11-21 2016-10-17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추출기
KR101679489B1 (ko) * 2012-01-03 2016-11-24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개선된 공기류를 가진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182A (ko) 201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1228B1 (ko) 궐련 삽입 감지 기능을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EP3704968B1 (en) Device for generating aerosol
JP6840289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
US10874146B2 (en) Electronic device for tobacco
US20210068458A1 (en) Consumable for a smoking substitute device
ES2906414T3 (es) Sistema para la vaporización de una sustancia
EP3104726B1 (en) Electronic cigarette
KR100636287B1 (ko) 가열식 담배용 전기 가열기
KR20180107161A (ko) 향미 전달 디바이스
CN115530429A (zh) 气溶胶生成装置
KR102385864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UA124389C2 (uk) Пристрій доставки аерозолю з вузлом резервуара й елемента, що транспортує рідину, який містить пористий моноліт, і спосіб, що до нього належить
KR102343350B1 (ko) 복수의 서셉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KR20200051780A (ko) 증기 제공 시스템들
WO2017205838A1 (en) Devices for vaporization of a substance
JP2021533745A (ja) エアロゾル化可能媒体を含む物品を加熱するための装置、装置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で使用するためのエアロゾル化可能材料の物品
KR102096065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243799B1 (ko) 가열형 향미 흡인구
JP2023012550A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
CN111278314A (zh) 气溶胶生成装置
KR102646986B1 (ko) 흡연 치구
EP3689165B1 (en) Smoking substitute device
WO2019211337A1 (en) A consumable for a smoking substitute device
KR20220092140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