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932B1 - 히터 조립체 및 히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히터 조립체 및 히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932B1
KR102074932B1 KR1020180063764A KR20180063764A KR102074932B1 KR 102074932 B1 KR102074932 B1 KR 102074932B1 KR 1020180063764 A KR1020180063764 A KR 1020180063764A KR 20180063764 A KR20180063764 A KR 20180063764A KR 102074932 B1 KR102074932 B1 KR 102074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eater assembly
aerosol generating
heat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7507A (ko
Inventor
이문봉
성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180063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932B1/ko
Publication of KR20190137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7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7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in liquid or vaporisable form, e.g. liquid composi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6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61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containing additives entrapped within capsules, sponge-like material or the like, for further release upon smok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6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8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of organic materials as carrier or major constituent
    • A24D3/10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of organic materials as carrier or major constituent of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조립체로서, 기저부, 기저부 위에 위치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는 전도성 발열체, 및 전도성 발열체의 소정 부분 위에 위치하여 기저부와 결합함으로써 전도성 발열체를 기저부에 고정시키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히터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공기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는 기저부를 둘러싸는 다층 구조로 형성되고, 다층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은 단열층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표면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히터 조립체 및 히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HEATER ASSEMBLY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개시는 히터 조립체 및 히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궐련 내의 에어로졸 발생 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전기를 이용하여 궐련을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한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사용할 때에, 히터는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야 한다. 히터를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고정 요소가 필요하나,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동작하는 동안 히터의 온도가 높은 온도까지 상승할 수 있어 고정 요소는 고온 저항성이 높아야 한다.
이에 따라,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이용되는 히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히터 조립체 및 히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제1 측면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조립체로서, 기저부; 상기 기저부 위에 위치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는 전도성 발열체; 및 상기 전도성 발열체의 소정 부분 위에 위치하여 상기 기저부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전도성 발열체를 상기 기저부에 고정시키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기저부를 둘러싸고, 상기 지지대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공기 통로가 형성되는 것인, 히터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공기 통로는 상기 지지대의 가장자리 주변에 형성되는 것인, 히터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 조립체는, 상기 히터 조립체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부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히터 조립체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연결하는 히터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 플랜지는 상기 지지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지지대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지지대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히터 조립체를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고정시키는 것인, 히터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공기 통로는, 상기 히터 플랜지와 결합된 상기 지지대의 일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형성되는 것인, 히터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 조립체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상기 전도성 발열체에 의해 가열됨에 따라 생성되는 진액이 상기 복수의 공기 통로를 따라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상기 지지대와 이격되어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위치하는 것인, 히터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의 측벽에는, 상기 복수의 공기 통로를 통과한 공기가 흐를 수 있는 측벽 통로가 형성되는 것인, 히터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에 방열판가 부착되는 것인, 히터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2 측면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조립체로서, 기저부;상기 기저부 위에 위치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는 전도성 발열체; 및 상기 전도성 발열체의 소정 부분 위에 위치하여 상기 기저부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전도성 발열체를 상기 기저부에 고정시키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기저부를 둘러싸는 다층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다층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은 단열층인 것인, 히터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층 구조의 지지대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공기 통로가 형성되는 것인, 히터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 조립체는, 상기 히터 조립체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부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히터 조립체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연결하는 히터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 플랜지는 상기 지지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지지대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지지대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히터 조립체를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고정시키는 것인, 히터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공기 통로는, 상기 히터 플랜지와 결합된 상기 지지대의 일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형성되는 것인, 히터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 조립체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상기 전도성 발열체에 의해 가열됨에 따라 생성되는 진액이 상기 복수의 공기 통로를 따라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상기 지지대와 이격되어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위치하는 것인, 히터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의 측벽에는, 상기 복수의 공기 통로를 통과한 공기가 흐를 수 있는 측벽 통로가 형성되는 것인, 히터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3 측면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조립체로서, 기저부; 상기 기저부 위에 위치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는 전도성 발열체; 및 상기 전도성 발열체의 소정 부분 위에 위치하여 상기 기저부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전도성 발열체를 상기 기저부에 고정시키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기저부를 둘러싸고, 상기 지지대의 표면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것인, 히터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 조립체는, 상기 히터 조립체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부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히터 조립체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연결하는 히터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 플랜지는 상기 지지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지지대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지지대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히터 조립체를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고정시키는 것인, 히터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4 측면은, 궐련을 수용하는 수용통로; 상기 수용통로에 수용된 궐련을 가열하는 히터 조립체; 상기 히터 조립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서, 상기 히터 조립체는 제1 측면, 제2 측면 및 제3 측면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히터 조립체인 것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도성 발열체를 기저부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고온 저항성이 높은 지지대를 구비한 히터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삽입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궐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에 궐련을 삽입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공기 통로를 갖는 지지대를 구비한 히터 조립체의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진액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용기를 갖는 지지대를 구비한 히터 조립체의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의 지지부를 구비한 히터 조립체의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에 복수의 홀이 형성된 지지대를 구비한 히터 조립체의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삽입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배터리(11000), 제어부(12000) 및 히터(13000)를 포함한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내부 공간에는 궐련(20000)이 삽입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1에는 배터리(11000), 제어부(12000) 및 히터(13000)가 일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설계에 따라, 배터리(11000), 제어부(12000) 및 히터(13000)의 배치는 변경될 수 있다.
궐련(2000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삽입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히터(13000)를 가열한다. 궐련(20000)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가열된 히터(13000)에 의하여 온도가 상승하고, 이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에어로졸은 궐련(20000)의 필터(2200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필요에 따라, 궐련(2000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히터(13000)를 가열할 수 있다.
배터리(110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00)는 히터(13000)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제어부(120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0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센서, 모터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20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00)는 배터리(11000) 및 히터(13000)뿐 만 아니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20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히터(13000)는 배터리(11000)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가열된다. 예를 들어, 궐련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삽입되면, 히터(13000)는 궐련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된 히터(13000)는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히터(13000)는 전기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000)에는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히터(13000)가 가열될 수 있다. 그러나, 히터(13000)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희망 온도까지 가열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여기에서, 희망 온도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기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원하는 온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예로, 히터(13000)는 유도 가열식 히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터(13000)에는 궐련을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궐련은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히터(13000)가 궐련(2000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히터(13000)는 관 형 가열 요소, 판 형 가열 요소, 침 형 가열 요소 또는 봉 형의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열 요소의 모양에 따라 궐련(20000)의 내부 또는 외부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는 히터(13000)가 복수 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히터(13000)들은 궐련(2000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궐련(20000)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히터(13000)들 중 일부는 궐련(2000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나머지는 궐련(2000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히터(13000)의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배터리(11000), 제어부(12000) 및 히터(13000) 외에 범용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시각 정보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및/또는 촉각 정보의 출력을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퍼프 감지 센서, 온도 감지 센서, 궐련 삽입 감지 센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궐련(20000)이 삽입된 상태에서도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기체가 유출 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별도의 크래들과 함께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배터리(11000)의 충전에 이용될 수 있다. 또는, 크래들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히터(13000)가 가열될 수도 있다.
궐련(20000)은 일반적인 연소형 궐련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궐련(20000)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 1 부분(21000)과 필터 등을 포함하는 제 2 부분(2200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는, 궐련(20000)의 제 2 부분(22000)에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과립 또는 캡슐의 형태로 만들어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제 2 부분(22000)에 삽입될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내부에는 제 1 부분(21000) 전체가 삽입되고, 제 2 부분(22000)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내부에 제 1 부분(21000)의 일부만 삽입될 수도 있고, 제 1 부분(21000) 및 제 2 부분(22000)의 일부가 삽입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 2 부분(22000)을 입으로 문 상태에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이때, 에어로졸은 외부 공기가 제 1 부분(21000)을 통과함으로써 생성되고, 생성된 에어로졸은 제 2 부분(22000)을 통과하여 사용자의 입으로 전달된다.
일 예로서, 외부 공기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로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형성된 공기 통로의 개폐 및/또는 공기 통로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화량, 끽연감 등이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외부 공기는 궐련(20000)의 표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을 통하여 궐련(20000)의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궐련(20000)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궐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궐련(20000)은 담배 로드(21000) 및 필터 로드(2200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 1 부분(21000)은 담배 로드(21000)를 포함하고, 제 2 부분(32000)은 필터 로드(22000)를 포함한다.
도 2에는 필터 로드(22000)가 단일 세그먼트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필터 로드(22000)는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필터 로드(22000)는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제 1 세그먼트 및 에어로졸 내에 포함된 소정의 성분을 필터링하는 제 2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필터 로드(22000)에는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궐련(20000)은 적어도 하나의 래퍼(24000)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래퍼(24000)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기체가 유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궐련(20000)은 하나의 래퍼(24000)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궐련(20000)은 2 이상의 래퍼(24000)들에 의하여 중첩적으로 포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래퍼에 의하여 담배 로드(21000)가 포장되고, 제 2 래퍼에 의하여 필터 로드(22000)가 포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개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된 담배 로드(21000) 및 필터 로드(22000)가 결합되고, 제 3 래퍼에 의하여 궐련(20000) 전체가 재포장될 수 있다. 만약, 담배 로드(21000) 또는 필터 로드(22000) 각각이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되어 있다면, 각각의 세그먼트가 개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개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된 세그먼트들이 결합된 궐련(20000) 전체가 다른 래퍼에 의하여 재포장될 수 있다.
담배 로드(21000)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담배 로드(21000)는 풍미제, 습윤제 및/또는 유기산(organic acid)과 같은 다른 첨가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000)에는, 멘솔 또는 보습제 등의 가향액이, 담배 로드(21000)에 분사됨으로써 첨가할 수 있다.
담배 로드(21000)는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담배 로드(21000)는 시트(sheet)로 제작될 수도 있고, 가닥(strand)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000)는 담배 시트가 잘게 잘린 각초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000)는 열 전도 물질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전도 물질은 알루미늄 호일과 같은 금속 호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담배 로드(21000)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은 담배 로드(21000)에 전달되는 열을 고르게 분산시켜 담배 로드에 가해지는 열 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담배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000)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은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서셉터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담배 로드(21000)는 외부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 이외에도 추가의 서셉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로드(22000)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다. 한편, 필터 로드(2200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필터 로드(22000)는 원기둥 형(type) 로드일 수도 있고,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튜브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또한, 필터 로드(22000)는 리세스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만약, 필터 로드(22000)가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된 경우, 복수의 세그먼트들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필터 로드(22000)는 향미가 발생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필터 로드(22000)에 가향액이 분사될 수도 있고, 가향액이 도포된 별도의 섬유가 필터 로드(22000)의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다.
또한, 필터 로드(220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23000)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캡슐(23000)은 향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캡슐(23000)은 향료를 포함하는 액체를 피막으로 감싼 구조일 수 있다. 캡슐(23000)은 구형 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만약, 필터 로드(22000)에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세그먼트가 포함될 경우, 냉각 세그먼트는 고분자 물질 또는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 세그먼트는 순수한 폴리락트산 만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냉각 세그먼트는 복수의 구멍들이 뚫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냉각 세그먼트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에어로졸이 냉각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에 궐련을 삽입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는 개구(340)를 통해 삽입된 궐련(310)을 수용하는 수용통로(320)가 마련될 수 있고, 수용통로(320)에는 삽입된 궐련(310) 내부를 관통하기 위한 일측 단부(331)를 갖는 히터 조립체(332)가 구비될 수 있다.
수용통로(320)는 전체적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수용통로(320)의 일측 말단에 구비된 개구(340)는 외부로 개방되어 궐련(310)이 개구(340)를 통해 수용통로(320) 내로 수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궐련(310)을 손에 쥐고 수용통로(320)의 개구(340)에 궐련(310)을 밀어 넣는 동작을 실시함으로써 궐련(310)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장착할 수 있다. 여기서, 개구(340)의 직경은 궐련(310)과 거의 유사한 직경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궐련(310)이 수용통로(320)에 수용된 경우, 히터 조립체(332)는 궐련(310)을 가열할 수 있다. 히터 조립체(33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가열된다. 궐련(31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삽입되면, 히터 조립체(332) 중 적어도 일부는 삽입된 궐련(310)의 담배 로드(311) 내부에 위치하게 되고, 가열된 히터 조립체(332)는 담배 로드(311)의 내부에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온도를 상승시켜 에어로졸의 생성을 유발시킬 수 있다.
히터 조립체(332)는 기저부, 전도성 발열체 및 지지대로 구성될 수 있다. 히터 조립체(332)의 기저부는 원기둥과 원뿔이 조합된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저부는 직경이 약 2mm, 길이가 약 23mm인 원기둥 형상을 갖고, 기저부의 일측 단부(331)는 예각으로 마감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기저부는 궐련(31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형태라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히터 조립체(332)의 기저부는 일부 부분만 가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저부의 길이가 23mm라고 가정하면, 기저부의 말단으로부터 12mm만 가열되고, 기저부의 나머지 부분은 가열되지 않을 수도 있다.
히터 조립체(332)의 전도성 발열체는 전기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 조립체(332)의 전도성 발열체는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가열될 수 있다. 전기 전도성 트랙은 전기 저항성 물질을 포함한다. 일 예로서, 전기 전도성 트랙은 금속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기 전도성 트랙은 전기 전도성 세라믹 물질, 탄소, 금속 합금 또는 세라믹 물질과 금속의 합성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히터 조립체(332)의 전도성 발열체는 궐련(310)을 가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전기 전도성 트랙 및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전기 전도성 트랙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히터(332)의 전도성 발열체에는 3.2 V, 2.4 A, 8 W의 규격에 따른 전력이 공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도성 발열체에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전도성 발열체의 표면 온도는 400℃ 이상으로 상승할 수 있다. 전도성 발열체에 전력이 공급되기 시작한 때부터 15초가 초과되기 이전에 전도성 발열체의 표면 온도는 약 350℃까지 상승할 수 있다.
히터 조립체(332)의 지지대는 전도성 발열체의 소정 부분 위에 위치하여 기저부를 둘러쌀 수 있다. 지지대는 전도성 발열체의 소정 부분 위에서 기저부와 결합함으로써, 전도성 발열체를 기저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지지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8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흡연을 완료한 경우, 사용자는 삽입된 궐련(310)을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약하게 돌린 후 잡아 당김으로써 궐련(310)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수용통로(320)에서 제거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히터 조립체는 기저부(400), 기저부(40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제 1 시트(410), 제 1 시트(410)를 보호하는 제 2 시트(420) 및 코팅층(4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4a에 도시된 히터 조립체의 구성 요소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일 실시예에서 기저부(400)는 봉침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기저부(400)는 전반적으로 원통형상을 가지되, 기저부(400)의 일측 단부는 궐련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예각으로 마감될 수 있다.
기저부(400)는 열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전도성 물질은 알루미나(Alumina) 또는 지르코니아(zirconia) 등을 포함하는 세라믹(ceramic), 아노다이징(anodizing)된 금속, 코팅된 금속, 폴리이미드(polyimide: PI)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시트(410)는 기저부(400)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시트(410)는 기저부(40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한편, 제 1 시트(410)의 양 단면 각각에는 전기 전도성 트랙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 1 시트(410)의 양 단면에는 전도성 발열체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전도성 발열체는 전도성 트랙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시트(410)의 양 단면 중 제 1 면(411)에 형성된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412)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412)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412)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412)에 인접한 기저부(400)에 열이 전달됨으로써 기저부(400)가 가열될 수 있다.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412)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고,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412)에 흐르는 전류가 전류 감지기를 통하여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전류와 인가된 전압의 비율을 통하여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412)의 저항이 산출될 수 있다. 산출된 저항에 기초하여,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412)의 저항 온도 계수 특성에 따라,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412) 또는 기저부(400)의 온도가 추정될 수 있다.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412)은 텅스텐, 금, 백금, 은 구리, 니켈 팔라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412)은 적절한 도핑재에 의해 도핑될 수 있고,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시트(410)의 양 단면 중 제 2 면(413)에는 기저부(400)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이용되는 저항 온도 계수 특성을 가지는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4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414)은 저항 온도 계수 특성에 따라, 온도가 상승할수록 내부 저항의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온도 구간에서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414)의 온도와 저항의 크기는 비례할 수 있다.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414)은 기저부(40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저부(400)의 온도가 상승할 경우, 인접한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414)의 온도도 상승할 수 있다.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414)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고,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414)에 흐르는 전류가 전류 감지기를 통하여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전류와 인가된 전압의 비율을 통하여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414)의 저항이 결정될 수 있다. 결정된 저항에 기초하여,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414)의 저항 온도 계수 특성에 따라, 기저부(400)의 온도가 결정될 수 있다.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414)은 텅스텐, 금, 백금, 은 구리, 니켈 팔라듐,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414)은 적절한 도핑재에 의해 도핑되거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412) 및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414)은 제 1 시트(410)의 양 단면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412)은 제 1 시트(410)의 양 단면 중 기저부(400)와 접촉하는 제 1 면(411)에 포함되고,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414)은 제 2 면(413) 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414)은 제 1 시트(410)의 양 단면 중 기저부(400)와 접촉하는 제 1 면(411)에 포함되고,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412)은 제 2 면(413)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412) 및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414)은 제 1 시트(410)의 양 단면 중 동일한 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412) 및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414)은 제 1 시트(410)의 양 단면 중 기저부(400)와 접촉하는 제 1 면(411)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제 1 전기 전도성 트랙(412) 및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414)은 제 1 시트(410)의 양 단면 중 기저부(400)와 접촉하지 않는 제 2 면(413)에 포함될 수 있다.
제 1 시트(410)는 세라믹 합성 물질로 구성된 그린 시트(green sheet)일 수 있다. 이 때, 세라믹은 알루미나, 지르코나 등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시트(420)는 제 1 시트(410)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또한, 제 2 시트(420)는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 2 시트(420)는 히터(100)가 에어로졸 형성기질에 삽입될 때 제 1 시트(410)와 전기 전도성 트랙들을 보호한다.
예를 들어, 제 2 시트(420)는 세라믹 합성 물질로서 구성된 그린 시트일 수 있다. 이 때, 세라믹은 알루미나, 지르코나 등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제 2 시트(420)는, 히터(100)가 궐련(3)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고 히터(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유약(glaze)으로 코팅될 수 있다. 제 2 시트(420)가 유약으로 코팅됨에 따라, 제 2 시트(420)의 강성은 증가할 수 있다.
기저부(400), 제 1 시트(410) 및 제 2 시트(420) 각각은, 동일한 재료군, 예를 들어, 알루미나, 지르코나 등의 화합물인 세라믹 등에서 선택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히터 조립체에 코팅층(430)이 구비됨에 따라, 기저부(400), 제 1 시트(410) 및 제 2 시트(420)를 포함하는 적층 구조에 의해 형성되는 계단 표면(stepped surface)이 평탄화 될 수 있다.
계단 표면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생성되는 진액(또는, 증착물, 잔류물)이 끼어 히터 조립체가 오염되고, 이로 인하여 히터 조립체의 열 전도율이 감소하는 등 히터 조립체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계단 표면을 평탄화하기 위하여, 히터 조립체의 외면에 코팅층(430)이 형성될 수 있다.
코팅층(430)은 내열성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팅층(430)은 유리막 코팅층, 테플론 코팅층 및 더몰론 코팅층의 단일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또한, 코팅층(430)은 유리막 코팅층, 테플론 코팅층 및 더몰론 코팅층 중 두 개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된 복합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공기 통로를 갖는 지지대를 구비한 히터 조립체의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히터 조립체(500)는 기저부(510) 및 지지대(52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3, 도 4a 내지 도 4b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기저부(510) 위에는 전도성 발열체가 위치할 수 있다.
기저부(510)는 원기둥과 원뿔이 조합된 봉침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기저부(510)는 직경이 약 2mm, 길이가 약 23mm인 원기둥 형상을 갖고, 기저부(510)의 일측 단부는 예각으로 마감될 수 있다. 기저부(510)는 열 전도성과 전기 절연성이 높은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저부(510)는 알루미나(Alumina) 또는 지르코니아(zirconia) 등을 포함하는 세라믹(ceramic), 아노다이징(anodizing)된 금속, 코팅된 금속, 폴리이미드(polyimide: PI)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기저부(510)의 형상 및 기저부(510)를 구성하는 물질은 상술한 내용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전도성 발열체는 전기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도성 발열체는 기저부(510)를 감싸는 시트의 일 단면에 배치된 전도성 트랙일 수 있다. 전도성 발열체는 기저부(510)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전도성 발열체는 은 텅스텐, 금, 백금, 은 구리, 니켈 팔라듐,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전도성 발열체의 형상 및 전도성 발열체를 구성하는 물질은 상술한 내용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지지대(520)는 전도성 발열체의 소정 부분 위에 위치하여 기저부(510)를 둘러쌀 수 있다. 지지대(520)는 전도성 발열체의 소정 부분 위에서 기저부(510)와 결합함으로써, 전도성 발열체를 기저부(5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지지대(520)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나, 지지대(520)의 형상은 원기둥 형상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대(520)는 비대칭 단면을 갖는 기둥 형상으로 제작되거나,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 기둥 형상, 별모양 단면을 갖는 기둥 형상, 또는 십자형 단면을 갖는 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지지대(520)가 원기둥 형상을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
지지대(520)는 직경이 약 3~7mm, 높이가 약 1~5mm일 수 있다. 즉, 지지대(520)의 직경은 기저부(510)의 직경보다 크며, 지지대(520)와 기저부(510)는 약 1~5mm에 걸쳐 접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지지대(520)는 직경이 약 5mm, 높이가 약 3mm일 수 있다. 그러나, 지지대(520)의 직경 및 높이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지지대(520)는 알루미나(Alumina) 또는 지르코니아(zirconia) 등을 포함하는 세라믹(ceramic), 아노다이징(anodizing)된 금속, 코팅된 금속, 폴리이미드(polyimide: PI)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지지대(520)는 기저부(510)와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대(520)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공기 통로(530)가 형성될 수 있다. 기저부(510)에 삽입된 궐련이 흡입됨에 따라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는 지지대(520)에 도달하고, 기저부(510)의 길이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공기 통로(530)를 통과할 수 있다. 복수의 공기 통로(530)를 통과한 공기는 기저부(510)에 삽입된 궐련 내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 다다를 수 있다.
기저부(510) 위에 위치한 전도성 발열체에 전력이 공급되어 전도성 발열체의 온도가 상승함으로써, 기저부(510)에 삽입된 궐련 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되며, 전도성 발열체와 접촉하는 지지대(520)의 온도 역시 상승한다. 이 때, 사용자가 궐련을 흡입하면,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지지대(520)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통로(530)를 통과함으로써, 지지대(520)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지지대(520)는 전도성 발열체를 기저부(510)에 고정시킴으로써 전도성 발열체의 기계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대(520)에 복수의 공기 통로(530)를 형성함으로써 궐련 흡입 시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복수의 공기 통로(530)를 통과함으로써 지지대(520)가 과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복수의 공기 통로(530)가 형성된 지지대(520)는 고온 저항성이 높아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대(520)를 관통하는 복수의 공기 통로(530)는 기저부(510)의 길이 방향의 수평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공기 통로(530)는 직선 형태 외에도 대각선 형태, 만곡된 형태 또는 비정형의 형태 등으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520)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통로(530)의 단면은 원형, 정사각형, 별모양, 십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공기 통로(530)는 지지대(520)의 표면에 균일하게 분포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공기 통로(530)는 지지대(520) 일 면의 표면적 대비 약 20~50% 비율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공기 통로(530)는 지지대(520)의 가장자리 주변에 분포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공기 통로(530)는 지지대(520) 일 면의 표면적 대비 약 10~30% 비율일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공기 통로(530)가 지지대(520)의 가장자리 주변으로 형성되어 지지대(520)의 중심부에는 공기 통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지지대(520)의 중심부에 인접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지지대(520)의 중심부로부터도 열을 전달 받아 가열될 수 있다.
기저부(510), 지지대(520) 및 전도성 발열체로 구성된 히터 조립체(500)는 히터 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 조립체(500)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부에서 고정되도록, 히터 플랜지는 히터 조립체(500)와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
지지대(520)에 복수의 공기 통로(530)를 형성함으로써 궐련 흡입 시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복수의 공기 통로(530)를 통과함으로써 지지대(520)가 과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히터 플랜지는 지지대(5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지지대(520)를 둘러싸는 형태로 지지대(520)와 결합함으로써 히터 조립체(500)를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히터 플랜지는 복수의 공기 통로(530)가 형성된 지지대(520)의 가장자리 부분에 고정됨으로써 열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지지대(520)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통로(530)는 히터 플랜지와 결합된 지지대(520)의 일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히터 플랜지는 LCP(Liquid Crystal Polymer) 소재, PEEK(polyether ether ketone) 소재 등과 같은 내열성 소재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진액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용기를 갖는 지지대를 구비한 히터 조립체의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히터 조립체(600)는 기저부(610), 지지대(620) 및 용기(64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620)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공기 통로(63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3, 도 4a 내지 도 4b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기저부(610) 위에는 전도성 발열체가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5와 중복되는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궐련이 기저부(610)에 삽입되고, 기저부(610) 상의 전도성 발열체가 궐련 내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진액이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진액은 궐련이 기저부(610)로부터 제거된 후에도 기저부(610) 및 지지대(620)에 남아있을 수 있으며, 이 때 남아있던 진액이 복수의 공기 통로(630)를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자 회로 등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히터 조립체(600)에는 용기(640)가 구비될 수 있다.
용기(640)는 지지대(620)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지지대(620)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대(620)의 상면이라 함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부로 삽입되는 궐련을 향한 방향일 수 있다. 용기(640)는 지지대(620)와 약 0.5~2mm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으나, 이격된 거리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용기(640)는 바닥면(641) 및 측벽(64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닥면(641)은 지지대(620)의 단면과 동일한 모양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대(620)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 바닥면(641)의 단면 역시 원형일 수 있다. 바닥면(641)의 직경은 지지대(620)의 직경과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면(641)의 직경은 약 3~7mm일 수 있다. 그러나, 바닥면(641)의 단면 및 직경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측벽(642)은 바닥면(641)의 가장자리를 따라 바닥면(641)을 둘러싸는 형태일 수 있다. 측벽(642)의 높이는 약 1~3mm일 수 있다. 그러나, 측벽(642)의 높이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측벽(642)은 용기(640)에 담긴 진액이 용기(640)의 측면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측벽(642)에는 측벽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기저부(610)에 삽입된 궐련이 흡입됨에 따라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는 지지대(620)에 도달하고, 기저부(610)의 길이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공기 통로(630)를 통과할 수 있다. 복수의 공기 통로(630)를 통과한 공기는 측벽(642)에 형성된 측벽 통로를 통과한 후, 기저부(610)에 삽입된 궐련 내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 다다를 수 있다.
측벽 통로는 지지대(620)의 길이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저부(610)의 길이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공기 통로(630)를 통과한 공기는 지지대(620)의 길이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측벽 통로를 통과할 수 있다. 한편, 측벽 통로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측벽(642)에 형성될 수 있다.
용기(640)의 바닥면(641) 및 측벽(642)은 알루미나(Alumina) 또는 지르코니아(zirconia) 등을 포함하는 세라믹(ceramic), 아노다이징(anodizing)된 금속, 코팅된 금속, 폴리이미드(polyimide: PI)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용기(640)의 바닥면(641) 위에는 직포 또는 부직포와 같은 진액을 흡수 할 수 있는 소재가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용기(640)의 바닥면(641)은 메쉬 형태일 수 있다. 메쉬 형태의 바닥면(641)에는 기공이 존재하며 기공의 크기는, 복수의 공기 통로(630)를 통과한 공기를 통과시키지만,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생성된 진액은 통과시키지 않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공기 통로(630)를 통과한 공기는 메쉬 형태의 바닥면(641)의 기공을 통과한 후, 기저부(610)에 삽입된 궐련 내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 다다를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의 지지부를 구비한 히터 조립체의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히터 조립체(700)는 기저부(710) 및 지지대(720)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3, 도 4a 내지 도 4b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기저부(710) 위에는 전도성 발열체가 위치할 수 있다.
기저부(710) 위에 위치한 전도성 발열체에 전력이 공급되어 전도성 발열체의 온도가 상승함으로써, 기저부(710)에 삽입된 궐련 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되며, 전도성 발열체와 접촉하는 지지대(720)의 온도 역시 상승한다. 이 때, 지지대(72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대(720)를 단열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지지대(720)는 전도성 발열체를 기저부(710)에 고정시킴으로써 전도성 발열체의 기계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대(720)를 단열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지지대(720)가 과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단열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로 형성된 지지대(720)는 높은 고온 저항성을 가질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지지대(720)는 제 1 층(721), 제 2 층(722) 및 제 3 층(723)의 다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층(722)이 단열층일 수 있다. 제 2 층(722)은 단열성 및 내열성이 높은 소재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 2 층(722)은 합성 수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테프론) 및 실리콘 중 적어도 하나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 1 층(721) 및 제 3 층(723)은 단열층이 아닌 층들로서, 제 1 층(721) 및 제 3 층(723)은 알루미나(Alumina) 또는 지르코니아(zirconia) 등을 포함하는 세라믹(ceramic), 아노다이징(anodizing)된 금속, 코팅된 금속, 폴리이미드(polyimide: PI)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2 층(722) 및 제 3 층(723)은 단열층일 수 있다.
단열층을 갖는 지지대(720)의 구조는 상술한 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지지대(720)는 복수의 단열층을 포함하며, 단열층들과 단열층이 아닌 층들이 번갈아가며 배치됨으로써 다층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지지대(720)가 다층 구조로 형성된 경우, 지지대(720)에 접촉하는 전도성 발열체의 온도가 상승하더라도, 제 3 층(723)은 단열층인 제 2 층(722)에 의해 열적으로 절연됨으로써 과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히터 플랜지는 지지대(720)의 가장자리 즉, 제 3 층(723)을 둘러싸는 형태로 지지대(720)와 결합함으로써 히터 조립체(700)를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히터 플랜지는 제 3 층(723)에 고정됨으로써 열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대(72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공기 통로가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저부(710)에 삽입된 궐련이 흡입됨에 따라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는 지지대(720)에 도달하고, 기저부(710)의 길이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공기 통로를 통과할 수 있다. 복수의 공기 통로를 통과한 공기는 기저부(710)에 삽입된 궐련 내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다다를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대(720)를 단열층(예를 들어, 제 2 층(722)))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지지대(72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지지대(720)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통로를 통과함으로써 지지대(720)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대(720)의 표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수의 홀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저부(710)에 삽입된 궐련이 흡입됨에 따라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는 지지대(720)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홀들과 접촉한 후, 궐련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대(720)를 단열층(예를 들어, 제 2 층(722)))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지지대(72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지지대(720)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홀로 인해 지지대(720)와 외부 공기가 접촉하는 접촉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지지대(720)의 온도 상승이 억제될 수 있다.
한편, 지지대(720)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통로는 제 1 층(721), 제 2 층(722) 및 제 3 층(7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히터 조립체(700)와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연결해주는 히터 플랜지가 지지대(7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지지대(720)를 둘러싸는 형태로 지지대(720)와 결합하는 경우, 지지대(720)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통로는 히터 플랜지와 결합된 지지대(720)의 일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히터 조립체에는 도 6에 도시된 용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에 복수의 홀이 형성된 지지대를 구비한 히터 조립체의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히터 조립체(800)는 기저부(810) 및 지지대(82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3, 도 4a 내지 도 4b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기저부(810) 위에는 전도성 발열체가 위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5와 중복되는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기저부(810) 위에 위치한 전도성 발열체에 전력이 공급되어 전도성 발열체의 온도가 상승함으로써, 기저부(810)에 삽입된 궐련 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되며, 전도성 발열체와 접촉하는 지지대(820)의 온도 역시 상승한다.
이 때, 지지대(82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대(820)의 표면에 복수의 홀(830)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대(820)는 전도성 발열체와 접촉함에 따라 의해 온도가 상승되는데, 지지대(820)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홀(830)로 인해 지지대(820)는 방열판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대(820)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홀(830)로 인해 지지대(820)와 외부 공기가 접촉하는 접촉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지지대(820)의 온도 상승이 억제될 수 있다.
지지대(820)는 전도성 발열체를 기저부(810)에 고정시킴으로써 전도성 발열체의 기계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대(820)의 표면에 홀(830)을 형성함으로써 지지대(820)가 과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표면에 복수의 홀(830)이 형성된 지지대(820)는 높은 고온 저항성을 가질 수 있다.
지지대(820)의 일면에는 복수의 홀(83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지지대(820)의 하면에 복수의 홀(830)이 형성되어있으나, 지지대(820)의 상면에 복수의 홀(830)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대(820)의 양면에 복수의 홀(830)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홀(830)은 지지대(820)의 표면에 균일하게 분포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홀(830)은 지지대(820) 일 면의 표면적 대비 약 20~70% 비율일 수 있다. 그러나, 지지대(820)의 표면 상의 복수의 홀(830)의 분포 방식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대(820)의 일면에 홀(830)이 형성되는 경우, 지지대(820) 높이의 약 20~80%의 깊이로 홀(83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820)의 양면에 홀(830)이 형성되는 경우, 지지대(820)의 일 면에는 지지대(820) 높이의 약 20~40%의 깊이로 홀(830)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820)의 표면에 형성된 홀(830)의 단면은 원형, 정사각형, 별모양, 십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홀(830)의 단면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지지대(820)의 표면에 복수의 홀(830)이 형성된 경우 지지대(820)와 외부 공기가 접촉하는 접촉 면적이 증가하므로, 지지대(820)에 접촉하는 전도성 발열체의 온도가 상승하더라도, 지지대(820)가 과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히터 플랜지는 지지대(8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지지대(820)를 둘러싸는 형태로 지지대(820)와 결합함으로써 히터 조립체(800)를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히터 플랜지는 표면에 복수의 홀(830)이 형성된 지지대(820)의 가장자리 부분에 고정됨으로써 열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궐련이 기저부(810)에 삽입되고, 기저부(810) 상의 전도성 발열체가 궐련 내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진액이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진액은 궐련이 기저부(810)로부터 제거된 후에도 기저부(810) 및 지지대(820)에 남아있을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홀(830)은 지지대(820)의 표면에 형성될 뿐, 복수의 홀(830)에 의해 지지대(820)가 관통되지는 않으므로, 기저부(810)에 남아있던 진액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부의 전자 회로 등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궐련(900)은 외부에서 삽입구멍으로 삽입되어 수용통로(910)에 수용된다. 수용통로(910) 내부에는 궐련(900)을 가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히터 조립체가 위치한다. 히터 조립체는 기저부(920) 및 지지대(930)로 구성될 수 있다.
궐련(900)이 삽입구멍에 삽입된 후 수용통로(910)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기저부(920)의 일측 단부는 궐련(900)으로 삽입된다. 궐련(900)은 기저부(920)를 따라 지지대(930)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는, 궐련(900)이 기저부(920)를 따라 일정 거리만큼 이동하였을 때 궐련(900)이 더 이상 이동할 수 없도록 궐련(900)의 이동을 방지하는 이동방지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방지 요소는 궐련(900)의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궐련(900)을 지지대(930)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시킬 수 있다.
기저부(920)의 타측 단부는 전기 배선(950)을 통해 배터리(9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전기 배선(950)은 배터리(960) 외에도 제어부에도 연결될 수 있다.
기저부(920)는 원기둥과 원뿔이 조합된 봉침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기저부(920)는 열 전도성과 전기 절연성이 높은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기저부(920) 위에는 전도성 발열체가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도성 발열체는 기저부(920)를 감싸는 시트의 일 단면에 배치된 전도성 트랙일 수 있다. 지지대(930)는 전도성 발열체의 소정 부분 위에 위치하여 기저부(920)를 둘러쌀 수 있다. 지지대(930)는 전도성 발열체의 소정 부분 위에서 기저부(920)와 결합함으로써, 전도성 발열체를 기저부(9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기저부(920) 위에 위치한 전도성 발열체에 전력이 공급되어 전도성 발열체의 온도가 상승함으로써, 기저부(920)는 궐련(900)에 삽입되어 궐련(900) 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며, 전도성 발열체와 접촉하는 지지대(930)의 온도 역시 상승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대(930)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공기 통로(931)가 형성될 수 있는데, 궐련(900)이 기저부(9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궐련(900)을 흡입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지지대(930)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통로(931)를 통과함으로써, 지지대(930)의 온도 상승이 억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대(930)의 표면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됨으로써, 지지대(930)가 과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지지대(930)의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홀로 인해 지지대(930)와 외부 공기가 접촉하는 접촉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지지대(930)의 온도 상승이 억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대(930)는 단열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지지대(930)가 과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단열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로 형성된 지지대(930)에는 복수의 공기 통로(931)가 추가적으로 형성되거나, 지지대(930)의 표면에 복수의 홀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히터 조립체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부에서 고정되도록, 히터 조립체와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히터 플랜지(940)가 도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히터 플랜지(940)는 지지대(930)의 가장자리를 따라 지지대(930)를 둘러싸는 형태로 지지대(930)와 결합함으로써 히터 조립체를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대(930)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통로(931)는 히터 플랜지(940)와 결합된 지지대(930)의 일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히터 플랜지(940)는 LCP(Liquid Crystal Polymer) 소재, PEEK(polyether ether ketone) 소재 등과 같은 내열성 소재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부 하우징(970)에는 적어도 하나의 틈(971a 내지 974a)이 형성될 수 있다. 기저부(920)에 삽입된 궐련(900)이 흡입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 외부의 공기는 외부 하우징(97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틈(971a 내지 974a)을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 1 틈(971a 내지 972a)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 1 기류패스(971b 내지 972b)를 형성하고, 제 2 틈(973a 내지 974a)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 2 기류패스(973b 내지 974b)를 형성한다.
제 1 틈(971a 내지 972a) 및 제 2 틈(973a 내지 974a)은 지지대(930)의 형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대(930)에 복수의 공기 통로(931)가 형성된 경우, 외부 하우징(970)에는 제 1 틈(971a 내지 972a) 및 제 2 틈(973a 내지 974a)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는 제 1 기류패스(971b 내지 972b) 및 제 2 기류패스(973b 내지 974b)를 통해 궐련(900) 내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 다다를 수 있다. 또한, 지지대(930)에 복수의 공기 통로(931)가 형성된 경우, 외부 하우징(970)에는 제 2 틈(973a 내지 974a)만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는 제 2 기류패스(973b 내지 974b)를 통해 궐련(900) 내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 다다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대(930)에 복수의 공기 통로(931)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 외부 하우징(970)에는 제 1 틈(971a 내지 972a)만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는 제 1 기류패스(971b 내지 972b)를 통해 궐련(900) 내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에 다다를 수 있다.
도 9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히터 조립체에는 도 6에 도시된 용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궐련(900)이 기저부(920)에 삽입되고, 기저부(920) 상의 전도성 발열체가 궐련(900) 내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진액이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진액은 궐련(900)이 기저부(920)로부터 제거된 후에도 기저부(920) 및 지지대(930)에 남아있을 수 있으며, 이 때 남아있던 진액이 복수의 공기 통로(931)를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배터리(960)와 같은 전자 장치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히터 조립체에는 용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히터 조립체에는 방열판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열판은 지지대(930)의 적어도 일면에 부착됨으로써, 지지대(93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대(930)에 복수의 공기 통로(931)이 형성된 경우, 방열판은 복수의 공기 통로(931)가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지지대(930)의 나머지 영역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공기 통로(931)가 지지대(930)의 가장자리 주변으로 형성되어 지지대(930)의 중심부에는 공기 통로(931)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방열판은 지지대(930)의 중심부에 부착될 수 있다. 방열판은 탄소재료 또는 세라믹 소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0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제어부(1010), 히터(1020), 배터리(1030), 메모리(1040), 센서(1050) 및 인터페이스(1060)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1020)는 제어부(101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1030)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가열된다. 히터(1020)는 궐련을 수용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수용통로 내부에 위치한다. 궐련이 외부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삽입 구멍을 통해 삽입된 후, 수용통로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궐련의 일측 단부가 히터(102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된 히터(1020)는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히터(1020)는 궐련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형태라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히터(1020)는 전기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020)에는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히터(1020)가 가열될 수 있다.
안정적인 사용을 위하여, 히터(1020)에는 3.2 V, 2.4 A, 8 W의 규격에 따른 전력이 공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히터(1020)에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히터(1020)의 표면 온도는 400℃ 이상으로 상승할 수 있다. 히터(1020)에 전력이 공급되기 시작한 때부터 15초가 초과되기 이전에 히터(1020)의 표면 온도는 약 350℃까지 상승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는 별도의 온도 감지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온도 감지 센서가 구비되는 대신, 히터(1020)가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히터(1020)가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는 별도의 온도 감지 센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히터(1020)가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히터(1020)에는 발열 및 온도 감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트랙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히터(1020)에는 발열을 위한 제1 전기 전도성 트랙 이외에 온도 감지를 위한 제2 전기 전도성 트랙이 별도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기 전도성 트랙에 걸리는 전압 및 제2 전기 전도성 트랙에 흐르는 전류가 측정되면, 저항(R)이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하여 제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온도(T)가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8054414359-pat00001
수학식 1에서, R은 제2 전기 전도성 트랙의 현재 저항 값을 의미하고, R0는 온도 T0(예를 들어, 0℃)에서의 저항 값을 의미하고, α는 제 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 온도 계수를 의미한다. 전도성 물질(예를 들어, 금속)은 고유의 저항 온도 계수를 갖고 있는바, 제2 전기 전도성 트랙을 구성하는 전도성 물질에 따라 α는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저항(R)이 결정되는 경우, 상기 수학식 1에 의하여 제2 전기 전도성 트랙의 온도(T)가 연산될 수 있다.
히터(1020)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전도성 트랙(제1 전기 전도성 트랙 및 제2 전기 전도성 트랙)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020)는 2개의 제1 전기 전도성 트랙 및 1개 또는 2개의 제2 전기 전도성 트랙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기 전도성 트랙은 전기 저항성 물질을 포함한다. 일 예로서, 전기 전도성 트랙은 금속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기 전도성 트랙은 전기 전도성 세라믹 물질, 탄소, 금속 합금 또는 세라믹 물질과 금속의 합성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제어부(10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하드웨어이다. 제어부(10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등과 같은 프로세싱 유닛으로 구현된 집적 회로이다.
제어부(1010)는 센서(1050)에 의해 센싱된 결과를 분석하고 뒤이어 수행될 처리들을 제어한다. 제어부(1010)는 센싱 결과에 따라 배터리(1030)로부터 히터(1020)로의 전력 공급을 개시 또는 중단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10)는 히터(1020)가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되거나 적절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히터(1020)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 및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서, 제어부(1010)는 인터페이스(1060)의 다양한 입력 정보 및 출력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0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 이용한 사용자의 흡연 횟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흡연을 제한하도록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관련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104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하드웨어로서, 메모리(1040)는 제어부(1010)에서 처리된 데이터들 및 처리될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040)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의 다양한 종류들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040)는 흡연 시각, 흡연 횟수 등과 같은 사용자의 흡연 패턴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040)에는 궐련이 수용통로에 수용된 경우의 기준 온도 변화 값 관련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배터리(103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즉, 배터리(1030)는 히터(1020)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03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 내에 구비된 다른 하드웨어들, 제어부(1010), 센서(1050) 및 인터페이스(106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030)는 리튬인산철(LiFePO4) 배터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산화 리튬 코발트(LiCoO2) 배터리, 리튬 티탄산염 배터리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배터리(1030)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이거나 일회용 배터리일 수 있다.
센서(1050)는 퍼프 감지(puff detect) 센서(온도 감지 센서, 유량(flow) 감지 센서, 위치 감지 센서 등), 궐련삽입 감지 센서, 히터(1020)의 온도 감지센서 등의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1050)에 의해 센싱된 결과는 제어부(1010)로 전달되고, 제어부(1010)는 센싱 결과에 따라 히터 온도의 제어, 흡연의 제한, 궐련 삽입 유/무 판단, 알림 표시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이 수행되도록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를 제어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060)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램프, 촉각 정보를 출력하는 모터, 소리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는 입/출력(I/O) 인터페이싱 수단들(예를 들어,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과 데이터 통신을 하거나 충전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단자들,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예를 들어, WI-FI, WI-FI Direct, Bluetooth, NFC(Near-Field Communication) 등)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싱 모듈 등의 다양한 인터페이싱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위의 예시된 다양한 인터페이싱 수단들 중 일부만을 취사 선택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조립체로서,
    기저부;
    상기 기저부 위에 위치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는 전도성 발열체; 및
    상기 전도성 발열체의 소정 부분 위에 위치하여 상기 기저부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전도성 발열체를 상기 기저부에 고정시키는 지지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기저부를 둘러싸고, 상기 지지대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공기 통로가 형성되는 것인, 히터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기 통로는 상기 지지대의 가장자리 주변에 형성되는 것인, 히터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조립체는,
    상기 히터 조립체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부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히터 조립체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연결하는 히터 플랜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 플랜지는 상기 지지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지지대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지지대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히터 조립체를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고정시키는 것인, 히터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기 통로는, 상기 히터 플랜지와 결합된 상기 지지대의 일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형성되는 것인, 히터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조립체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상기 전도성 발열체에 의해 가열됨에 따라 생성되는 진액이 상기 복수의 공기 통로를 따라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상기 지지대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위치하는 것인, 히터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측벽에는, 상기 복수의 공기 통로를 통과한 공기가 흐를 수 있는 측벽 통로가 형성되는 것인, 히터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 방열판가 부착되는 것인, 히터 조립체.
  8.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조립체로서,
    기저부;
    상기 기저부 위에 위치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는 전도성 발열체; 및
    상기 전도성 발열체의 소정 부분 위에 위치하여 상기 기저부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전도성 발열체를 상기 기저부에 고정시키는 지지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기저부를 둘러싸는 다층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다층 구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은 단열층인 것인, 히터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구조의 지지대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공기 통로가 형성되는 것인, 히터 조립체.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조립체는,
    상기 히터 조립체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부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히터 조립체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연결하는 히터 플랜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 플랜지는 상기 지지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지지대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지지대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히터 조립체를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고정시키는 것인, 히터 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구조의 지지대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공기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공기 통로는 상기 히터 플랜지와 결합된 상기 지지대의 일부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형성되는 것인, 히터 조립체.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조립체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상기 전도성 발열체에 의해 가열됨에 따라 생성되는 진액이 상기 복수의 공기 통로를 따라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상기 지지대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위치하는 것인, 히터 조립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측벽에는, 상기 복수의 공기 통로를 통과한 공기가 흐를 수 있는 측벽 통로가 형성되는 것인, 히터 조립체.
  14.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조립체로서,
    기저부;
    상기 기저부 위에 위치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는 전도성 발열체; 및
    상기 전도성 발열체의 소정 부분 위에 위치하여 상기 기저부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전도성 발열체를 상기 기저부에 고정시키는 지지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기저부를 둘러싸고, 상기 지지대의 표면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것인, 히터 조립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조립체는,
    상기 히터 조립체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부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히터 조립체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연결하는 히터 플랜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 플랜지는 상기 지지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지지대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지지대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히터 조립체를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고정시키는 것인, 히터 조립체.
  16. 궐련을 수용하는 수용통로;
    상기 수용통로에 수용된 궐련을 가열하는 히터 조립체;
    상기 히터 조립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제어부;
    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서,
    상기 히터 조립체는 청구항 1, 청구항 8 및 청구항 1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히터 조립체인 것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180063764A 2018-06-01 2018-06-01 히터 조립체 및 히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74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764A KR102074932B1 (ko) 2018-06-01 2018-06-01 히터 조립체 및 히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764A KR102074932B1 (ko) 2018-06-01 2018-06-01 히터 조립체 및 히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507A KR20190137507A (ko) 2019-12-11
KR102074932B1 true KR102074932B1 (ko) 2020-02-07

Family

ID=69003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764A KR102074932B1 (ko) 2018-06-01 2018-06-01 히터 조립체 및 히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9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687A (ko) * 2020-06-16 2021-12-2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10158581A (ko) * 2020-06-24 2021-12-31 주식회사 이엠텍 단열구조를 가지는 미세입자 발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597B1 (ko) * 2020-09-07 2023-03-1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사용되는 카트리지
KR20230075702A (ko) * 2021-11-23 2023-05-3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발생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29601A1 (en) 2008-02-29 2009-09-03 Yunqiang Xiu Electronic simulated cigarette & atomization fluid and electronic simulated cigarette utensil & smoke fluid capsule
JP2014216287A (ja) * 2013-04-30 2014-11-17 清水 和彦 無煙喫煙冶具用ヒータ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5015098B1 (pt) * 2012-12-28 2021-02-09 Philip Morris Products S.A conjunto de aquecimento para aquecimento de um substrato de formação de aerossol, dispositivo gerador de aerossol e método de fabricação de um conjunto de aquecimento
KR102385864B1 (ko) * 2017-09-29 2022-04-1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29601A1 (en) 2008-02-29 2009-09-03 Yunqiang Xiu Electronic simulated cigarette & atomization fluid and electronic simulated cigarette utensil & smoke fluid capsule
JP2014216287A (ja) * 2013-04-30 2014-11-17 清水 和彦 無煙喫煙冶具用ヒータ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687A (ko) * 2020-06-16 2021-12-2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93438B1 (ko) * 2020-06-16 2023-01-3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10158581A (ko) * 2020-06-24 2021-12-31 주식회사 이엠텍 단열구조를 가지는 미세입자 발생장치
KR102465729B1 (ko) * 2020-06-24 2022-11-14 주식회사 이엠텍 단열구조를 가지는 미세입자 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507A (ko) 2019-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4930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6840289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
KR102052713B1 (ko)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74932B1 (ko) 히터 조립체 및 히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124636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히터
US11590303B2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a first heater and a second heater,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first and second heaters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JP6927648B2 (ja) シガレット挿入感知機能を有する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その方法
JP7307157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それを含む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KR102602605B1 (ko) 다층의 열전도 부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 조립체
CN113645866B (zh) 气溶胶生成系统和香烟
KR102052715B1 (ko)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269573B1 (ko) 히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65073B1 (ko) 히터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87083B1 (ko) 서셉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36914B1 (ko) 다층의 열전도 부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 조립체
KR102471106B1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이용되는 브라켓
CA3226422A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erosol generating system
KR20240047893A (ko) 에어로졸 생성 물품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KR20240076348A (ko) 증기화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CA3194464A1 (en) Aerosol generating article,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erosol generating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