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448B1 - 낚시용 카고 - Google Patents

낚시용 카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448B1
KR102385448B1 KR1020190096978A KR20190096978A KR102385448B1 KR 102385448 B1 KR102385448 B1 KR 102385448B1 KR 1020190096978 A KR1020190096978 A KR 1020190096978A KR 20190096978 A KR20190096978 A KR 20190096978A KR 102385448 B1 KR102385448 B1 KR 102385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fishing
cargo body
rigging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6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7550A (ko
Inventor
김동찬
Original Assignee
김동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찬 filed Critical 김동찬
Priority to KR1020190096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448B1/ko
Publication of KR20210017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4Containers for bait; Preparation of bai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2Devices for laying ground-bait, e.g. chum dispensers, e.g. also for throwing ground-bai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용 카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고 내부에 밑밥을 깔끔하고 편리하게 채워넣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손이나 장갑, 낚시 장비 등이 밑밥에 의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낚시용 카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카고는 뚜껑이 없어 사용자가 뚜껑을 개방시킨 상태로 카고본체를 파지할 필요가 없고, 카고본체와 먼 거리에 위치하는 파지부를 파지한 채로 카고 내부에 밑밥을 깔끔하고 편리하게 채워넣을 수 있어 사용자의 손이나 장갑, 낚시 장비 등이 밑밥을 채우는 과정에서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청결한 상태로 낚시를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지부를 한 손으로만 파지한 상태로 카고본체를 밑밥통에 접어 넣어 카고본체에 밑밥을 채워넣을 수 있어 다른 한 손은 낚싯대를 잡거나 다른 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고본체의 자체 구조 및 파지부 구조에 의해 수중 장애물 등에 밑걸림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채비의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줄채비 또는 편대 채비를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편대 채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물고기가 느끼는 이물감을 최소화하여 확실한 입질 및 입걸림을 나타낼 수 있고, 이를 통해 조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낚시용 카고{Fishing cargo}
본 발명은 낚시용 카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고 내부에 밑밥을 깔끔하고 편리하게 채워넣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손이나 장갑, 낚시 장비 등이 밑밥에 의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낚시용 카고에 관한 것이다.
밑밥이란 낚싯바늘에 꿴 미끼에 입질을 할 확률을 높일 목적으로 미끼가 있는 주변으로 물고기를 불러 모으기 위하여 사용되는 '덤으로 흩뿌리는 미끼'를 말한다.
바다낚시 중에서도 특히 갯바위 낚시는 이러한 밑밥의 사용이 조과를 좌우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밑밥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된 바 있다.
밑밥을 사용하는 가장 널리 알려진 방법은, 밑밥 투척용 주걱으로 밑밥을 수면 위로 투척하는 것이다. 수면 위로 투척된 밑밥은 수중으로 가라앉으며 조류를 따라 바늘에 꿴 미끼 주변으로 투입되며, 이렇게 투입된 밑밥은 원하는 어종을 바늘에 꿴 미끼 주변으로 모이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밑밥을 수면 위로 투척할 경우에는 조류의 흐름을 고려하여 바늘에 꿴 미끼와 투입된 밑밥이 수중에서 동조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상기의 방식으로 밑밥을 투입할 경우 밑밥의 소모가 심하며, 아울러 조류의 흐름으로 인하여 의도한 위치로 밑밥을 투입하기 어렵다. 더불어 밑밥은 수중에서 빠르게 흩어지게 되므로 주기적으로 밑밥을 투척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방식은 가까운 거리로 채비를 투척하는 낚시에서만 가능하며 채비를 원거리로 투척하는 원투낚시에서는 밑밥을 채비 근처로 투입한다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밑밥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카고, 카고망, 집어망 등으로도 불리는 카고 낚시용 집어통(ground bait feeder)이 제안된 바 있다. 카고 낚시용 집어통은 채비에 마련되고 채비와 함께 투척되어 바늘에 꿴 미끼 주변으로 밑밥을 지속적으로 방출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구멍이나 틈이 형성되어 있는 바구니 또는 고정된 형태의 그물망이다. 아울러 카고 낚시용 집어통을 이용하는 낚시 방법을 카고 낚시라고 한다.
카고 낚시용 집어통은 금속제 그물망으로 이루어지는 캡슐 형태이며, 상부에는 스프링 부재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어 탄력적으로 개폐되는 덮개가 마련되어 있다.
카고 낚시용 집어통에는 밑밥을 방출하기 위한 구멍이나 틈이 사방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카고 낚시용 집어통에 밑밥을 채워넣기 위해서는 카고 낚시용 집어통을 한 손으로 감싼 채잡고 있어야 하며, 카고 낚시용 집어통의 덮개를 엄지손가락으로 젖혀서 개방된 상태로 고정시킨 후 밑밥을 카고 낚시용 집어통의 개방된 상부로 채워넣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카고 낚시용 집어통의 구멍이나 틈새로 밑밥의 일부가 배출되므로 밑밥이 카고 낚시용 집어통의 내부에서 단단히 뭉쳐질 때까지 밑밥을 담고 있는 용기 위에서 카고 낚시용 집어통을 붙잡고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밑밥을 카고 낚시용 집어통에 채워넣고 나면, 필연적으로 카고 낚시용 집어통을 파지한 손에 밑밥이 묻어 지저분해지게 된다. 손에 밑밥이 묻은 상태로 낚싯대를 비롯한 다른 장비들을 사용하게 되면 장비와 더불어 주변까지 모두 지저분해지며, 이를 정리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매우 번거롭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132406 대한민국 공개실용 20-2009-0000090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428770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42151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고 내부에 밑밥을 깔끔하고 편리하게 채워넣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손이나 장갑, 낚시 장비 등이 밑밥에 의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낚시용 카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밑밥이 투입되는 카고본체의 외측에 손잡이를 설치하고, 카고본체를 밑밥통에 집어 넣어 카고본체에 밑밥을 채워넣을 수 있도록 하여 한 손으로도 카고본체에 밑밥을 쉽게 채워넣을 수 있어 다른 한손은 자유로울 수 있도록 하는 낚시용 카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중 장애물 등에 밑걸림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채비의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이물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편대채비와, 줄채비를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어 확실한 입질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여 조과를 높일 수 있는 낚시용 카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카고는 일 측에 낚시 원줄 또는 채비줄이 통과할 수 있도록 메인고리부가 구비된 지지부와; 일 단이 상기 지지부의 일 측에 결합되고, 타 단은 상기 지지부의 타 측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 주변을 설정된 피치를 갖는 나선형 또는 코일형으로 감싸도록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와의 사이로 밑밥을 투입하거나, 투입된 밑밥이 외부로 빠져 나올 수 있게 형성된 카고본체와; 일 측이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카고본체의 측방으로 멀어지도록 연장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게 형성되고, 타 측에는 상기 메인고리부를 통과한 낚시 원줄 또는 채비줄이 통과할 수 있도록 보조고리부가 형성된 파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지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일 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카고본체의 측방을 향해 멀어지도록 연장된 제1연장대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일 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카고본체의 측방을 향해 멀어지도록 연장된 제2연장대와, 상기 제1연장대와 상기 제2연장대의 타 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며, 일 측에 상기 보조고리부가 마련된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고본체는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 일 측과 대응되는 측에서 밑밥을 내부로 투입할 수 있도록 개방된 밑밥투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고본체는 상기 지지부의 길이 중심에 대응되는 측면을 통해 내부로 밑밥을 투입할 수 있게 상하로 벌어져 개방된 측방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측방투입구를 상하로 닫거나 열 수 있도록 일 단이 상기 측방투입구 상측 또는 하측의 카고본체에 고정되고, 타 단은 상기 측방투입구 하측 또는 상측의 카고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잠금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카고는 뚜껑이 없어 사용자가 뚜껑을 개방시킨 상태로 카고본체를 파지할 필요가 없고, 카고본체와 먼 거리에 위치하는 파지부를 파지한 채로 카고 내부에 밑밥을 깔끔하고 편리하게 채워넣을 수 있어 사용자의 손이나 장갑, 낚시 장비 등이 밑밥을 채우는 과정에서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청결한 상태로 낚시를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지부를 한 손으로만 파지한 상태로 카고본체를 밑밥통에 집어 넣어 카고본체에 밑밥을 채워넣을 수 있어 다른 한 손은 낚싯대를 잡거나 다른 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고본체의 자체 구조 및 파지부 구조에 의해 수중 장애물 등에 밑걸림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채비의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줄채비 또는 편대 채비를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편대 채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물고기가 느끼는 이물감을 최소화하여 확실한 입질 및 입걸림을 나타낼 수 있고, 이를 통해 조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고본체와 먼 측으로 연장된 파지부 및 파지부에 구비된 보조고리부에 의해 낚시 원줄 또는 줄채비에 연결되는 목줄이 카고본체와 먼 위치에 위치하므로 목줄이 카고본체 또는 낚시 원줄에 엉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카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카고의 카고본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카고의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카고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카고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카고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카고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카고의 측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카고를 이용한 채비도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카고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카고(1)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카고(1)는 지지부(100)와, 카고본체(200)와, 파지부(300)를 구비한다.
지지부(100)는 봉돌부(110)와, 채비연결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봉돌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카고(1)에 중량을 부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앙에 중공부(111A)가 형성된 축부(111)와, 축부(111)의 중앙 부분에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돌출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축부(111)와 돌출부(112) 사이의 경계인 축부(111)의 상단 측과 하단 측에는 돌출부(112)에 의해 단차부(113)가 구비되며, 봉돌부(110) 상측의 단차부(113)와, 하측의 단차부(113)에 의해 후술하는 카고본체(200)의 일 단과 카고본체(200)의 타 단이 축부(111) 또는 돌출부(112)를 따라 상하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카고본체(200)의 일 단과 타 단이 서로를 향해 이동하면서 카고본체(200)가 압착되는 방향으로 찌그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채비연결부(120)는 후술하는 낚시 원줄이나 편대 채비 또는 가지 채비 등의 채비줄이 통과할 수 있도록 봉돌부(110) 상부와 하부에 각각 메인고리부(121)를 형성한다.
채비연결부(120)는 봉돌부(1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배치되고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상측 구슬(122) 및 하측 구슬(123)과, 봉돌부(110) 상단에 배치된 상측 구슬(122), 봉돌부(110)의 중공부, 봉돌부(110) 하단에 배치되는 하측 구슬(123)을 모두 관통하도록 연장된 중심줄(124)과, 상측 구슬(122)과 하측 구슬(123)이 각각 중심줄(124)에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면서 중심줄(124)의 양측 단부에 각각 메인고리부(121)를 형성하는 고정편(125, 1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편(125, 126)은 중심줄(124)의 단부 측과 중심줄(124) 일부를 함께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측 구슬(122) 및 하측 구슬(123)의 구멍보다 큰 크기로 형성된다.
후술하는 지지부(110)의 상단 측에 결합되는 파지부(300)의 제1연장대(310)와, 지지부의 하단 측에 결합되는 파지부(300)의 제2연장대(320) 단부는 단부는 채비연결부(120)의 상측 구슬(122)과 하측 구슬(123)에 의해 각각 지지부(100)에 구속된다.
카고본체(200)는 일 단이 지지부(100)의 돌출부(112) 상단과 상측 구슬(122) 사이에 결합되고, 타 단은 지지부(100)의 돌출부(112) 하단과 하측 구슬(123) 사이에 결합되며, 지지부(100) 주변을 설정된 피치를 갖는 나선 형상 또는 코일 형상으로 감싸도록 연장되어 지지부(100)와의 사이로 밑밥을 투입하거나, 투입된 밑밥이 외부로 빠져 나올 수 있게 형성된다.
또한, 카고본체(200)는 강선(201)을 이용하여 일정 피치를 갖는 나선 또는 코일 형으로 형성되어 바닥 장애물에 카고본체(200)가 걸리더라도 장애물에 걸린 부분이 피치가 좁아지는 방향으로 찌그러질 수 있어 쉽게 장애물에서 이탈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채비 손실이 거의 없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카고(1)의 카고본체(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두께를 갖는 강선(201)을 항아리 형상 또는 팽이 형상을 이루도록 나선 또는 코일 형으로 성형하여 내부에 밑밥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하였다.
카고본체(200)는 내부에 채워진 밑밥이 측면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설정된 피치를 가지도록 형성하였다. 카고본체(200)의 피치는 밑밥을 구성하는 밑밥구성물의 입도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카고(1)의 카고본체(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의 길이방향 일 측과 대응되는 측에서 밑밥을 내부로 투입할 수 있도록 개방된 밑밥투입구(202)가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밑밥투입구(202)는 지지부의 상단 측으로 밑밥을 투입할 수 있도록 카고본체(200)의 상측에 형성된 것을 적용하였다.
이 밑밥투입구(202)는 카고본체(200)를 형성하는 강선(201)을 지지부 상측 부근에서 여러 번 감지 않고 지지부를 향해 바로 절곡하거나 구부려 지지부에 체결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밑밥투입구(202)의 크기는 카고본체(200)의 피치보다 수배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부(300)는 일 측이 지지부(100)에 결합되고, 타 측은 카고본체(200)의 측방으로 멀어지도록 연장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게 형성된다. 파지부(300)는 타 측에 메인고리부(121)를 통과한 낚시 원줄 또는 채비줄이 통과할 수 있도록 보조고리부(331)가 형성된다.
파지부(300)는 제1연장대(310)와, 제2연장대(320)와, 연결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연장대(310)는 지지부(100)의 하부에 일 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측은 카고본체(200)의 측방을 향해 멀어지도록 연장된다.
제2연장대(320)는 제1연장대(31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지지부(100)의 상부에 일 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측은 카고본체(200)의 측방을 향해 멀어지도록 연장된다.
연결대(330)는 제1연장대(310)와 상기 제2연장대(320)의 타 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며, 일 측에는 코일형으로 말아진 형태의 보조고리부(331)가 마련된다. 보조고리부(331)에는 낚시 원줄 및 채비줄이 통과할 수 있게 형성되고, 낚시 원줄 및 채비줄을 보호할 수 있게 형성된 별도의 브라켓(340)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파지부(300)는 사용자가 카고본체(200)를 쥐고 밑밥을 카고본체(200)에 투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장갑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밑밥이 사용자의 손이나 낚싯대에 뭍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파지부(300)는 카고본체(200) 측방으로 길게 연장된 구조를 가져 장애물에 걸리는 것을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카고(2)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카고(2)는 지지부(100)와, 카고본체(200)와, 파지부(300)를 구비하며, 카고본체(200)를 제외한 지지부 및 파지부(30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카고(1)와 동일한 구성을 적용하였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카고(2)의 카고본체(200)는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항아리 형상 또는 팽이 형상으로 형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카고(1)의 카고본체(200)와 다르게 지지부의 길이 중심 측이 가장 넓고, 지지부의 상측과 하측은 좁은 상하 대칭형 마름모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카고(2)는 카고본체(200)에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낚시용 카고(1)의 카고본체(200)와 같이 밑밥투입구(202)가 형성된 구조가 아니므로 카고본체(200)에 밑밥을 투입할 때에는 사용자가 파지부(300)를 잡고 밑밥통에 카고본체(200)를 넣은 상태로 카고본체(200)를 굴려주면 카고본체(200) 측방에 형성된 틈 즉, 강선(201)의 피치에 의해 형성된 틈을 통해 밑밥이 카고본체(200) 내부로 투입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카고(3)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카고(3)는 지지부(100)와, 카고본체(200)와, 파지부(300)를 구비하며, 카고본체(200)를 제외한 지지부(100) 및 파지부(30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카고(2)와 동일한 구성을 적용하였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카고본체(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00)의 길이 중심 측이 가장 넓고, 지지부(100)의 상측과 하측은 좁은 상하 대칭형 마름모 형태로 형성된 구조를 적용하였다.
그리고, 카고본체(200)는 평상시에는 지지부(100)의 길이 중심에 대응되는 측면을 통해 카고본체(200) 내부로 밑밥을 투입할 수 있도록 상하로 벌어져 개방된 측방투입구(205)가 형성된 구조를 적용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카고(2)를 투척하기 위해 카고본체(200)의 측방투입구(205)를 상하로 닫거나, 카고본체(200) 내부에 밑밥을 투입하기 위해 측방투입구(205)를 상하로 열 수 있도록 잠금부(210)가 더 구비된다.
잠금부(210)는 일 단이 측방투입구(205) 상측 또는 하측의 카고본체(200)에 고정되고, 타 단은 측방투입구(205) 하측 또는 상측의 카고본체(200)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된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카고(1)를 이용한 채비가 예시되어 있다. 도 9에는 낚시 원줄(10)에 연장줄(20)을 연장하여 사용하는 줄채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낚시 원줄(10)을 이용한 편대 채비 또는 가지 채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낚시 원줄(10)에 연장줄(20)을 연장하여 사용하는 줄채비는 낚시 원줄(10)과 별개로 미리 준비된 연장줄(20)을 지지부(100)에 마련된 메인고리부(121)와, 파지부(300)에 마련된 보조고리부(331)를 각각 통과시킨 뒤, 메인고리부(121) 측의 연장줄(20)에 구슬형 스토퍼를 끼우고, 메인고리부(121) 측의 연장줄(20) 일 측 단부에 낚시도래(21)를 연결한다. 그리고, 보조고리부(331) 측의 연장줄(20) 단부에 낚시도래(22)를 연결한다.
이 상태에서 연장줄(20)은 스토퍼(23) 및 양측의 낚시도래(21, 22)에 의해 메인고리부(121)와 보조고리부(331)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연장줄(20)의 일 측 단부에 연결된 낚시도래(21)에 낚시 원줄(10)을 연결하고, 연장줄(20)의 타 측 단부에 연결된 낚시도래(22)에 낚싯바늘(12)이 묶인 목줄(11)을 연결하여 줄채비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줄채비는 낚시 원줄을 감을 때에는 목줄 측의 스토퍼가 보조고리부에 걸리고, 물고기가 입질할 때에는 낚시 원줄 측의 스토퍼가 메인고리부에 걸리게 되므로 연장줄의 일정 길이에 대응되는 유동구간을 갖는다. 연장줄이 길 수록 유동구간 또한 길어지게 된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낚시 원줄(10)을 이용한 편대 채비 또는 가지 채비는 낚시 원줄(10)을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카고(2)의 지지부(100)에 마련된 메인고리부(121)와, 파지부(300)에 마련된 보조고리부(331)를 각각 통과시킨 뒤, 낚시 원줄(10)의 단부에 낚시도래(15)의 일 단을 연결한다. 그리고, 낚시도래(15)의 타 단에 낚싯바늘(12)이 달린 목줄(11)을 연결하여 편대 채비 또는 가지채비를 구성한다.
이와 같은 편대 채비 또는 가지 채비는 앞서 설명한 줄채비와 다르게 낚시 원줄(10)이 메인고리부(121) 및 보조고리부(331)를 통과하도록 연결되고, 낚시 원줄(10)에 스토퍼가 장착되어 있지 않아 물고기가 목줄(11)에 연결된 낚싯바늘(12)을 물고 이동하는 경우에 카고에 어떠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낚시 원줄(10)만을 잡아 끌게 되므로 물고기에 이물감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입걸림을 확실하게 할 수 있으며 낚싯대에 입질 신호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어 조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카고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채비와 편대 채비 또는 가지 채비를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편대 채비 또는 가지 채비를 사용할 때에는 물고기의 이물감을 줄일 수 있어 확실한 입걸림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조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카고는 목줄이 카고본체와 먼 거리에 위치하므로 카고본체에 목줄이 감겨 엉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카고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원줄
11 : 목줄
100 : 지지부
110 : 봉돌부
120 : 채비연결부
200 : 카고본체
300 : 파지부
310 : 제1연장대
320 : 제2연장대
330 : 연결대

Claims (4)

  1. 일 측에 낚시 원줄 또는 채비줄이 통과할 수 있도록 메인고리부가 구비된 지지부와;
    일 단이 상기 지지부의 일 측에 결합되고, 타 단은 상기 지지부의 타 측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 주변을 설정된 피치를 갖는 나선형 또는 코일형으로 감싸도록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와의 사이로 밑밥을 투입하거나, 투입된 밑밥이 외부로 빠져 나올 수 있게 형성된 카고본체와;
    일 측이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카고본체의 측방으로 멀어지도록 연장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게 형성되고, 타 측에는 상기 메인고리부를 통과한 낚시 원줄 또는 채비줄이 통과할 수 있도록 보조고리부가 형성된 파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카고본체는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 일 측과 대응되는 측에서 밑밥을 내부로 투입할 수 있도록 개방된 밑밥투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카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일 측 단부가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카고본체의 측방을 향해 멀어지도록 연장된 제1연장대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일 측 단부가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카고본체의 측방을 향해 멀어지도록 연장된 제2연장대와,
    상기 제1연장대와 상기 제2연장대의 타 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며, 일 측에 상기 보조고리부가 마련된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카고.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고본체는 상기 지지부의 길이 중심에 대응되는 측면을 통해 내부로 밑밥을 투입할 수 있게 상하로 벌어져 개방된 측방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측방투입구를 상하로 닫거나 열 수 있도록 일 단이 상기 측방투입구 상측 또는 하측의 카고본체에 고정되고, 타 단은 상기 측방투입구 하측 또는 상측의 카고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잠금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카고.

KR1020190096978A 2019-08-08 2019-08-08 낚시용 카고 KR102385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978A KR102385448B1 (ko) 2019-08-08 2019-08-08 낚시용 카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978A KR102385448B1 (ko) 2019-08-08 2019-08-08 낚시용 카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550A KR20210017550A (ko) 2021-02-17
KR102385448B1 true KR102385448B1 (ko) 2022-04-12

Family

ID=74732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6978A KR102385448B1 (ko) 2019-08-08 2019-08-08 낚시용 카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44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9332B2 (ja) 1995-08-07 2001-02-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舵角比可変操舵装置
JP3160378B2 (ja) * 1991-08-23 2001-04-25 ミクロナス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電流調整回路
JP2012080858A (ja) 2010-10-08 2012-04-26 Atsushi Watanabe 魚釣り用まき餌かご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79391U (ko) * 1975-12-11 1977-06-14
JPS6019381U (ja) * 1983-07-16 1985-02-09 中西 守勝 釣具
KR200421518Y1 (ko) 2006-04-27 2006-07-14 양재두 낚시용 피싱 카고
KR200428770Y1 (ko) 2006-07-19 2006-10-16 오건부 피싱 카고
KR20090000090U (ko) 2007-07-02 2009-01-07 강현철 낚시용 카고
JP3139332U (ja) * 2007-10-30 2008-02-14 善光 吉田 魚釣り用撒き餌籠
KR20100132406A (ko) 2009-06-09 2010-12-17 임재영 낚시용 편대 카고
JP3160378U (ja) * 2010-03-16 2010-06-24 勝利 鈴木 コマセ保持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0378B2 (ja) * 1991-08-23 2001-04-25 ミクロナス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電流調整回路
JP3139332B2 (ja) 1995-08-07 2001-02-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舵角比可変操舵装置
JP2012080858A (ja) 2010-10-08 2012-04-26 Atsushi Watanabe 魚釣り用まき餌か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550A (ko)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8367A (en) Weedless roll-over lure apparatus and method
US6786000B1 (en) Pocketed hoop net
US20080250693A1 (en) Streamlined Counterbalanced Fishing Jig
US5946850A (en) Crab trap
JP3813977B1 (ja) 底蓋及び引っ掛け金具を有する中通し撒き餌カゴを用いた釣り具及び釣り方
US5048222A (en) Crab catcher
US4077151A (en) Non-snagging sinker
KR102385448B1 (ko) 낚시용 카고
US20200214275A1 (en) Bait Container
EP2467016B1 (en) Fishing protector
US5237768A (en) Castable crab rig
JP5291242B1 (ja) 小蟹小魚捕獲具
KR200409920Y1 (ko) 낚시채비
US3464138A (en) Device for releasing a snagged fishing lure
US3063187A (en) Live bait casting device
KR200416617Y1 (ko) 집어통이 구비된 채비
JP3538196B1 (ja) 魚釣具
KR20030045898A (ko) 소형 어류 탈출장치가 구비된 트롤어구
US6389737B1 (en) Float for fishing rod
KR200433526Y1 (ko) 부상 훌치기 낚시채비
KR200463878Y1 (ko) 소프트루어 이탈방지구
KR102301865B1 (ko) 밑 걸림 방지 채비
Pierre et al. Improving tori line performance in small-vessel longline fisheries
KR102260502B1 (ko) 가지줄 엉킴 방지용 낚시채비
KR20230175033A (ko) 무게추와 낚시바늘이 이격된 수평 낚시 채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