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413B1 - 세울 수 있는 장애우용 지팡이 - Google Patents

세울 수 있는 장애우용 지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413B1
KR102385413B1 KR1020200174612A KR20200174612A KR102385413B1 KR 102385413 B1 KR102385413 B1 KR 102385413B1 KR 1020200174612 A KR1020200174612 A KR 1020200174612A KR 20200174612 A KR20200174612 A KR 20200174612A KR 102385413 B1 KR102385413 B1 KR 102385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e
support
fixing groove
fixture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주하
Original Assignee
장주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주하 filed Critical 장주하
Priority to KR1020200174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4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4Ferrules or ti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05Walking stick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팡이(10)의 하부에 형성하는 회동축(110); 상기 회동축(110)을 중심으로 내측 또는 외측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받침구(120); 다수개의 받침구(120)의 외측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받침구(120)가 내측으로 회전하여 서로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지팡이(10)의 외측에 삽입할 수 있도록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받침구(120)가 간섭없이 외측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구(130); 상기 고정구(130)의 일측에 연결하여 상기 지팡이(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는 손잡이(140); 다수개의 상기 받침구(120)의 내측에 형성하는 스프링(150);을 포함하는 세울 수 있는 장애우용 지팡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장애우가 지팡이를 사용 후 또는 보관할 경우 세울 수 있도록 형성하여 쓰러지면서 발생하는 파손을 방지하고 장애우가 쉽게 잡고 다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세울 수 있는 장애우용 지팡이{Cane for the handicapped to stand}
본 발명은 세울 수 있는 장애우용 지팡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애우가 지팡이를 세워서 편리하게 보관 및 대기할 수 있도록 하는 세울 수 있는 장애우용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애우용 지팡이는 다리가 불편한 장애우가 안전하게 걸어갈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장애우용 지팡이는 사용 후 또는 휴식하는 과정에서 바닥에 눕혀야 하는데 다리가 불편한 장애우는 쉽게 앉지 못하므로 그냥 바닥으로 떨어뜨려 파손을 유발하는 문제를 갖게 되었다.
또한, 바닥에 쓰러져 있는 장애우용 지팡이를 쉽게 들어올릴 수 없으므로 주변사람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불편한 문제를 갖게 되었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6-0003137호(2016.09.2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 후 또는 보관하는 과정에서 세워서 쓰러지지 않도록 하는 세울 수 있는 장애우용 지팡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세울 수 있는 장애우용 지팡이는,
지팡이(10)의 하부에 형성하는 회동축(110); 상기 회동축(110)을 중심으로 내측 또는 외측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받침구(120); 다수개의 받침구(120)의 외측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받침구(120)가 내측으로 회전하여 서로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지팡이(10)의 외측에 삽입할 수 있도록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받침구(120)가 간섭없이 외측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구(130); 상기 고정구(130)의 일측에 연결하여 상기 지팡이(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는 손잡이(140); 다수개의 상기 받침구(120)의 내측에 형성하는 스프링(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팡이(10)의 하부 일측에 상기 고정구(13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여 맞닿을 경우 더는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정지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걸림턱(11); 상기 받침구(120)의 외측에 상기 고정구(13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여 맞닿을 경우 더는 하부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정지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턱(1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수개의 상기 받침구(120)의 하부에 형성하는 완충패드(122); 다수개의 상기 받침구(120)의 상부에 상기 받침구(120)가 외측으로 회전할 경우 서로 맞닿아 더는 외측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정지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턱(1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지팡이(10)의 상부 일측에 형성하는 하부 고정홈(12); 상기 지팡이(10)의 상부 일측에 상기 하부 고정홈(12)의 위치보다 더 높게 형성하는 상부 고정홈(13); 상기 손잡이(140)의 상부에 상기 하부 고정홈(12) 또는 상부 고정홈(13)에 끼워져 상기 고정구(13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돌기(1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장애우가 지팡이를 사용 후 또는 보관할 경우 세울 수 있도록 형성하여 쓰러지면서 발생하는 파손을 방지하고 장애우가 쉽게 잡고 다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세울 수 있는 장애우용 지팡이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세울 수 있는 장애우용 지팡이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세울 수 있는 장애우용 지팡이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세울 수 있는 장애우용 지팡이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팡이(10)의 하부에 형성하는 회동축(110); 상기 회동축(110)을 중심으로 내측 또는 외측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받침구(120); 다수개의 받침구(120)의 외측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받침구(120)가 내측으로 회전하여 서로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지팡이(10)의 외측에 삽입할 수 있도록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받침구(120)가 간섭없이 외측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구(130); 상기 고정구(130)의 일측에 연결하여 상기 지팡이(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는 손잡이(140); 다수개의 상기 받침구(120)의 내측에 형성하는 스프링(15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회동축(110)은 평소에 장애가 지팡이를 사용할 경우 다수개의 상기 받침구(120)가 서로 맞닿을 수 있도록 유도하고, 지팡이를 세울 경우 다수개의 상기 받침구(120)가 외측으로 회전하여 벌릴 수 있도록 유도하는 중심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받침구(120)는 적어도 2개 이상을 형성하여 상기 회동축(110)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지팡이(10)가 쓰러지지 않고 세워질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때 다수개의 상기 받침구(120)의 하부에 형성하는 가죽 또는 실리콘재질 등과 같은 완충패드(122);를 포함하여 지면에 맞닿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130)는 상기 지팡이(10) 및 받침구(120)의 외측에 삽입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하부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다수개의 상기 받침구(120)의 외측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유도하여 서로 맞닿은 상태로 고정하고, 반대로 상부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다수개의 상기 받침구(120)의 외측을 벗어나면서 다수개의 상기 받침구(120)가 외측으로 회전하면서 벌릴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때 상기 지팡이(10)의 하부 일측에 상기 고정구(13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여 맞닿을 경우 더는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정지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걸림턱(11); 상기 받침구(120)의 외측에 상기 고정구(13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여 맞닿을 경우 더는 하부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정지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턱(12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상기 받침구(120)의 상부에 상기 받침구(120)가 외측으로 회전할 경우 서로 맞닿아 더는 외측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정지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턱(123);을 포함하여 바닥에 지팡이(10)를 세운 상태에서 다수개의 상기 받침구(120)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손잡이(140)는 장애우(사용자)가 잡고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고정구(1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140)는 장애우가 쉽게 잡고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팡이(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정길이를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팡이(10)의 상부 일측에 형성하는 하부 고정홈(12); 상기 지팡이(10)의 상부 일측에 상기 하부 고정홈(12)의 위치보다 더 높게 형성하는 상부 고정홈(13); 상기 손잡이(140)의 상부에 상기 하부 고정홈(12) 또는 상부 고정홈(13)에 끼워져 상기 고정구(13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돌기(141);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하부 고정홈(12) 및 상부 고정홈(13)은 상기 고정구(13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위치에 따라 형성하여 상기 손잡이(140)를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140)는 상기 고정구(130)와 수평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상기 고정돌기(141)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하부 고정홈(12) 및 상부 고정홈(13)의 내측에 삽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150)은 다수개의 상기 받침구(120)를 외측으로 회전시켜 벌릴 수 있도록 유도하는 탄성력을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장애우가 지팡이(10)를 짚고 사용할 경우 상기 고정구(130)가 다수개의 상기 받침구(120)의 외측에 삽입하여 감싸도록 위치한 상태로 사용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150)은 압축상태를 유지한다.
반대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애우가 상기 손잡이(140)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고정구(13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여 다수개의 상기 받침구(120)의 외측에 벗어날 경우 상기 스프링(150)의 압축 복원력에 의해서 다수개의 상기 받침구(120)를 외측으로 회전하여 펼쳐지면서 바닥에 세울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구성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당연하다.
10: 지팡이 11: 걸림턱
12: 하부 고정홈 13: 상부 고정홈
110: 회동축 120: 받침구
121: 고정턱 122: 완충패드
123: 지지턱 130: 고정구
140: 손잡이 141: 고정돌기
150: 스프링

Claims (4)

  1. 지팡이(10)의 하부에 형성하는 회동축(110); 상기 회동축(110)을 중심으로 내측 또는 외측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받침구(120); 다수개의 받침구(120)의 외측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받침구(120)가 내측으로 회전하여 서로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지팡이(10)의 외측에 삽입할 수 있도록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받침구(120)가 간섭없이 외측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구(130); 상기 고정구(130)의 일측에 연결하여 상기 지팡이(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는 손잡이(140); 다수개의 상기 받침구(120)의 내측에 형성하는 스프링(150);을 포함하되, 상기 지팡이(10)의 하부 일측에 상기 고정구(13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여 맞닿을 경우 더는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정지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걸림턱(11); 상기 받침구(120)의 외측에 상기 고정구(13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여 맞닿을 경우 더는 하부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정지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턱(121);을 포함하고, 다수개의 상기 받침구(120)의 하부에 형성하는 완충패드(122); 다수개의 상기 받침구(120)의 상부에 상기 받침구(120)가 외측으로 회전할 경우 서로 맞닿아 더는 외측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정지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는 지지턱(123);을 포함하며, 상기 지팡이(10)의 상부 일측에 형성하는 하부 고정홈(12); 상기 지팡이(10)의 상부 일측에 상기 하부 고정홈(12)의 위치보다 더 높게 형성하는 상부 고정홈(13); 상기 손잡이(140)의 상부에 상기 하부 고정홈(12) 또는 상부 고정홈(13)에 끼워져 상기 고정구(13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고정돌기(1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울 수 있는 장애우용 지팡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174612A 2020-12-14 2020-12-14 세울 수 있는 장애우용 지팡이 KR102385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612A KR102385413B1 (ko) 2020-12-14 2020-12-14 세울 수 있는 장애우용 지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612A KR102385413B1 (ko) 2020-12-14 2020-12-14 세울 수 있는 장애우용 지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5413B1 true KR102385413B1 (ko) 2022-04-12

Family

ID=81187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612A KR102385413B1 (ko) 2020-12-14 2020-12-14 세울 수 있는 장애우용 지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41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1721A (ja) * 2001-08-27 2003-03-04 Sashida Yoshio 携帯用椅子兼用杖
KR20130005779U (ko) * 2012-03-27 2013-10-08 성정환 접이식 부채
KR20160003137U (ko) 2015-03-09 2016-09-21 김영민 받침대를 구비한 지팡이
KR101683754B1 (ko) * 2016-08-05 2016-12-07 전승기 의자 겸용 지팡이
JP2017035406A (ja) * 2015-08-14 2017-02-16 健一 國澤 歩行補助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1721A (ja) * 2001-08-27 2003-03-04 Sashida Yoshio 携帯用椅子兼用杖
KR20130005779U (ko) * 2012-03-27 2013-10-08 성정환 접이식 부채
KR20160003137U (ko) 2015-03-09 2016-09-21 김영민 받침대를 구비한 지팡이
JP2017035406A (ja) * 2015-08-14 2017-02-16 健一 國澤 歩行補助具
KR101683754B1 (ko) * 2016-08-05 2016-12-07 전승기 의자 겸용 지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6231A (en) Movable base for a baby walker
US9089194B2 (en) Mobility assistance devices
JP4557951B2 (ja) 回転運動器具
US5040556A (en) Walker
CN206398310U (zh) 一种便于移动的三脚架
KR102065476B1 (ko) 내향성 발톱 교정용 리프팅 장치
JP5843119B2 (ja) ストレッチ器具
US9529332B2 (en) Watch support suitable for use with a watch winder
CN207666827U (zh) 一种可收纳医用防撞扶手
KR102385413B1 (ko) 세울 수 있는 장애우용 지팡이
CN206563163U (zh) 一种三脚架
US1297018A (en) Perambulator and cradle.
CN208511282U (zh) 一种腰椎间盘突出症牵引用的床尾架
US1384215A (en) Invalid-exerciser and baby-walker
KR20210012458A (ko) 목발
CN208692625U (zh) 一种便携式板凳
KR101209830B1 (ko) 보행 보조기
CN206649889U (zh) 一种鼓架
KR20230035921A (ko) 홀로서기 목발
KR102279128B1 (ko) 보행기 지지대
JP3213872U (ja) 健康器具
KR102537507B1 (ko) 지팡이
TWI454256B (zh) The structural improvement of the walker
JP3242566U (ja) 自立型の傘
US20220330670A1 (en) Ergonomic walking a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