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400B1 - 상수도에 연결되고 자외선을 사용하는 가습/방역 장치 - Google Patents

상수도에 연결되고 자외선을 사용하는 가습/방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5400B1
KR102385400B1 KR1020220000331A KR20220000331A KR102385400B1 KR 102385400 B1 KR102385400 B1 KR 102385400B1 KR 1020220000331 A KR1020220000331 A KR 1020220000331A KR 20220000331 A KR20220000331 A KR 20220000331A KR 102385400 B1 KR102385400 B1 KR 102385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drain pipe
units
water
collection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0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정식
이금성
Original Assignee
(주) 케이세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케이세이프 filed Critical (주) 케이세이프
Priority to KR1020220000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4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2Treatment by sorption, e.g. absorption, adsorption, chemisorption, scrubbing, wet clea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상수도 직수형 액체 분사 장치는 천장에 결합되고 내부에 제 1 배수관, 제 2 배수관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포함하고,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사각형인 메인 프레임,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고, 제 1 배수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안개 형태의 액체를 분사하며, 서로 일정한 간격을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고, 제 2 배수관으로부터 소독약품을 공급받아 안개 형태의 액체를 분사하며, 서로 일정한 간격을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고,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 및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살균 조명부, 제 1 배수관의 일단 및 제 2 배수관의 일단에 연결된 액체수집통,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 및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보드를 포함하고, 제 1 배수관의 타단은 수도관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으며, 제 2 배수관의 타단은 약품통에 연결되어 소독약품을 공급받는다.

Description

상수도에 연결되고 자외선을 사용하는 가습/방역 장치{APPARATUS FOR HUMIDIFICATION/DISINFECTION CONNECTED TO WATER SUPPLY SYSTEM AND USING ULTRAVIOLET LIGHT}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상수도와 소독용액을 이용한 액체 분사 장치 및 액체 분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장치는 상수도에 직접 연결되어 안개 형태의 수분을 실내 공간에 공급하여 실내 공기중에 미세먼지를 가라앉혀 미세먼지의 활성도를 낮춰주며, 센서 또는 통신부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의 쾌적한 습도를 유지시키고, 용도에 따라 소독액을 분사하거나 자외선(예를 들어, UVA 320nm이상 410nm이하의 조명)을 발광하여 실내 공간을 살균 소독한다.
현재 코로나 19 감염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감염자 및 사망자가 급증하고 있으며, 본 장치는 공간을 소독 및 살균하여 각종 유해한 균/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수도권 지역의 대기는, 정부의 청정연료 및 저황유 공급의 확대, 저공해자동차 보급 등 각종 대기오염저감정책에 힘입어 황산화화합물(SOx)과 일산화탄소(CO) 등과 같은 개발도상국형 오염상태가 개선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PM10(직경이 대략 10㎛ 정도가 되는 미세분진) 등의 오염도는 완만하게 증가하거나 오히려 악화되고 있어, 대기오염의 형태가 선진국형으로 전환되고 있다.
특히, 경제협력개발기구국가의 주요 도시들과 비교했을 때, 대한민국 수도권 지역의 미세먼지 농도는 15 내지 35배 정도 높은 수준으로서, 최하위 수준인 것으로 보고된다. 2002년 한미경제연구소(KEI)의 보고에 따르면, 미세먼지에 의한 피해비용을 추정했을 때 약 10조원에 달할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서, 국민의 건강과 사회비용을 고려해 볼 때 보다 적극적인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한편, 미세먼지는 주 대기오염물질 중 하나로서 입자 표면에 황산염, 질산염, 중금속 등의 유해물질이 붙어있고, 폐나 기관지에 침착함으로써 인체에 심각한 해를 끼친다. 외부의 이러한 미세먼지들은 실내에 쌓일 수 있으며, 미세먼지를 없애기 위하여 환기를 한다고 하여도 외부의 미세먼지가 더 유입될 가능성이 있어 환기를 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미세먼지를 거르기 위한 공기청정기를 구비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공기 청정기는 일부 영역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을 뿐이므로, 넓은 범위의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서는 공기 청정기를 여러 대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물청소를 하는 경우가 있으며, 물청소의 효과는 상당부분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물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장치가 많이 연구되고 있다. 또한 물 분사장치를 실내 공간에 효과적으로 배치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기존의 액체 분사 장치는 야외에서 폭염, 건조, 미세먼지 등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제품이었다. 따라서 제품의 큰 부피와 과도한 외형의 디자인으로 인하여 실내에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사용 시간 설정의 단순화 등의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었다.
본 개시는 실내에서 상수도를 직수로 연결하여 액체를 분사하고 UVA 310nm이상 410nm이하의 조명을 포함하고 소독액을 사용하여 방역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미세한 액체는 미세먼지를 가라앉히므로, 미세먼지의 활성도를 낮춰준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는, 천장에 결합되고 내부에 제 1 배수관 및 제 2 배수관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포함하고,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사각형인 메인 프레임,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고, 제 1 배수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안개 형태의 액체를 분사하며, 서로 일정한 간격을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고, 제 2 배수관으로부터 소독약품을 공급받아 안개 형태의 액체를 분사하며, 서로 일정한 간격을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고,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 및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살균 조명부, 제 1 배수관의 일단 및 제 2 배수관의 일단에 연결된 액체수집통, 및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 및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보드를 포함하고, 제 1 배수관의 타단은 수도관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으며, 제 2 배수관의 타단은 약품통에 연결되어 소독약품을 공급받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의 액체수집통은 제 1 배수관으로부터 액체를 수집하는 제 1 액체수집구역 및 제 2 배수관으로부터 액체를 수집하는 제 2 액체수집구역을 포함하고, 제 1 액체수집구역은 제 2 액체수집구역과 독립적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의 액체수집통은 액체수집통의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제 1 전자펌프 및 제 3 전자펌프 중 적어도 하나, 액체수집통에 제 1 높이까지 액체가 찼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제 1 액체감지센서, 및 액체수집통에 제 2 높이까지 액체가 찼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제 2 액체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제어보드는 제 1 액체감지센서가 액체수집통의 액체가 제 1 높이까지 도달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제 1 전자펌프 및 제 3 전자펌프 중 적어도 하나를 제 1 출력으로 동작시켜서 액체수집통으로부터 액체를 배출하고, 제 2 액체감지센서가 액체수집통의 액체가 제 2 높이까지 도달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제 1 전자펌프 및 제 3 전자펌프 중 적어도 하나를 제 2 출력으로 동작시켜서 액체수집통으로부터 액체를 배출하고, 제 1 출력은 제 2 출력보다 작으며, 제 1 높이는 제 2 높이보다 작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의 제 1 배수관의 타단은 밸브그룹을 통하여 수도관에 연결되고, 제 1 배수관의 일단은 제 1 체크밸브를 통하여 액체수집통에 연결되며, 밸브그룹은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닫히거나 열리는 수동밸브, 수도관의 수압을 제 1 배수관이 허용할 수 있는 임계 압력으로 낮추는 감압밸브, 및 제어보드의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닫히거나 열리는 전자밸브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의 제 2 배수관의 타단은 제 2 전자펌프를 통하여 수도관에 연결되고, 제 2 배수관의 일단은 제 2 체크밸브를 통하여 액체수집통에 연결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의 제어보드는 통신부 또는 입력부로부터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의 켜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전자밸브를 열고,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를 동작시키고,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가 분사 중인 상태이고, 통신부 또는 입력부로부터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의 꺼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전자밸브를 닫고,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를 미리 정해진 제 1 시간동안 동작시키고, 제 1 시간이 지난 후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를 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는 제 1 시간이 지난 후 제 1 전자펌프를 제 2 시간동안 동작시켜서 액체수집통 내의 액체를 배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의 메인 프레임의 밑면에는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 및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가 삽입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 및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는 메인 프레임의 밑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높은 곳에서 액체를 분사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액체 분사 장치의 동작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는 실내의 미세 먼지의 활성도를 효과적으로 낮춰줄 수 있으며, 실내의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더불어 액체 분사 장치는 조명부를 포함하므로 실내에 별도의 조명을 추가하지 않아도 되어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개시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는 무더운 여름에 실내 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장치는 UVA 405nm 조명 및 소독액을 분사함으로써 무인 방역 장치로써 활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장치는 저소음으로 동작하므로, 실내에 설치되어도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의 저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의 메인 프레임의 측면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의 메인 프레임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의 동작 모습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상태 머신 등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몇몇 환경에서는, "프로세서"는 주문형 반도체 (ASIC),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용어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은 처리 디바이스들의 조합을 지칭할 수도 있다.
용어 "메모리"는 전자 정보를 저장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용어 메모리는 임의 액세스 메모리 (RAM), 판독-전용 메모리 (ROM), 비-휘발성 임의 액세스 메모리 (NVRAM),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 (PROM), 소거-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 PROM (EEPROM), 플래쉬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장치, 레지스터들 등과 같은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의 다양한 유형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하거나 메모리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면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고 불린다. 프로세서에 집적된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의 저면도를 나타낸다.
액체 분사 장치(100)는 천장에 결합될 수 있다. 액체 분사 장치(100)는 메인 프레임(11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10)은 액체 분사 장치의 골격일 수 있다. 메인 프레임(110)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메인 프레임(110)은 내부에 제 1 배수관, 제 2 배수관 및 전선 중 적어도 하나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10)의 내부에는 공간이 있으므로, 메인 프레임(110)은 가벼울 수 있다. 따라서 설치 작업자가 쉽게 들고 액체 분사 장치(100)를 실내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110)은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사각형일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110)은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정사각형일 수 있다. 메인 프레임(110)은 모듈형이어서 조립 및 분해가 쉬울 수 있다. 메인 프레임(110)은 제 1 프레임 내지 제 4 프레임 및 제 1 연결부(141) 내지 제 4 연결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인 프레임(110)은 하나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액체 분사 장치(100)는 복수의 액체분사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복수의 액체분사부(120) 중 일부의 액체분사부(120)에 도면부호를 표시하였다. 하지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동일한 모양은 모두 복수의 액체분사부(120)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복수의 액체분사부(120)는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 및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액체분사부(120)는 메인 프레임(110)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10)에서 제 1 액체분사부(121) 및 제 2 액체분사부(122)는 번갈아 가면서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10)에 포함된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는 4개이상 24개이하일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110)에 포함된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는 4개이상 24개이하일 수 있다.
복수의 액체분사부(120)는 메인 프레임(110)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액체분사부(120) 사이의 간격(L)은 7.5cm 내지 10cm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액체분사부(120) 사이의 간격은 액체분사부(120)의 액체 분사각도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과 함께 설명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의 메인 프레임의 측면을 나타낸다.
액체 분사각도(310)는 10도에서 45도일 수 있다. 복수의 액체분사부(120) 사이의 간격(L)은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L= c * tan(A)
여기서 c는 미리 정해진 상수 일 수 있다. c는 5cm 내지 40cm일 수 있다. c는 액체 분사 장치(100)의 기능이 발휘되기 위하여 대상체가 액체 분사 장치(100)로부터 떨어져 있어야 하는 거리일 수 있다. 즉, 액체 분사 장치(100)가 미세먼지를 제거하거나 살균할 수 있는 대상 공간은 액체 분사 장치(100)로부터 최소한 c만큼 떨어져 있어야 할 수 있다. A는 액체 분사각도(310)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액체분사부(120)를 배치하여 실내의 넓은 범위에 빠짐없이 액체를 분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는 안개형태의 물을 실내의 넓은 범위에 빠짐없이 분사할 수 있으며, 복수에 제 2 액체분사부(122)는 안개형태의 소독약품을 실내의 넓은 범위에 빠짐없이 분사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의 메인 프레임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액체분사부(120)의 주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메인 프레임(110)은 윗면(116) 및 밑면(115)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10)의 밑면(115)에는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 및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가 삽입되기 위한 홀(32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홀(320)의 깊이는 밑면(115)부터 중간 레이어(330)까지일 수 있다. 홀(320)의 깊이는 20mm이상 30mm이하일 수 있다. 홀의 내면은 액체분사부(120)를 둘러쌀 수 있다. 따라서 액체분사부(120)의 액체가 메인 프레임(110)의 내부로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액체분사부(120)는 메인 프레임(110)의 밑면(115)으로부터 홀(320)의 깊이만큼 높은 곳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액체분사부(120)에서 살포되는 안개형태의 액체는 공조장치의 바람에 의하여 영향을 덜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액체분사부(120)는 메인 프레임(110)의 밑면(115)에 배치될 수 있다.
중간 레이어(330)는 살균 조명부(130)가 배치되기 위한 보드일 수 있다. 살균 조명부(130)는 LED 또는 램프일 수 있다. 살균 조명부는 UVA, UVB, 또는 UVC일 수 있다. 중간 레이어(330)는 살균 조명부(130)를 지지하기 위한 레이어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중간 레이어(330)가 윗면(116)과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져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중간 레이어(330)는 윗면(116)과 접하거나 결합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 및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는 메인 프레임의 밑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높은 곳에서 액체를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분사된 액체가 에어컨 또는 선풍기와 같은 공조기의 바람으로부터 영향받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사된 안개 형태의 액체가 공조기의 바람에 의하여 흩날리거나 응집하여 물방울이 맺히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공간의 습도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 및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는 메인 프레임의 밑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높은 곳에서 액체를 분사하는 경우 이러한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는 메인 프레임(110)에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는 제 1 배수관(521)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안개 형태의 액체를 분사하며, 서로 일정한 간격을 배치될 수 있다. 제 1 배수관(521)은 메인 프레임(110)의 내부에 위치하므로 도 1 및 도 2에는 도시되지 않는다. 제 1 배수관(521)은 1/4인치 PB호스일 수 있다.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는 메인 프레임(110)에 고정되고, 제 2 배수관(522)으로부터 소독약품을 공급받아 안개 형태의 액체를 분사하며, 서로 일정한 간격을 배치될 수 있다.
액체분사부(120)는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액체 분사 장치(100)는 천장에 배치되고, 노즐은 지면을 향하여 배치되어 지면을 향하여 안개 형태의 액체를 분사할 수 있다. 액체분사부(120)는 무압 분사 노즐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무소음으로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액체 분사 장치(100)가 실내에 설치되더라도 실내의 사용자를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액체분사부(120)는 안개 형태의 액체를 분사할 수 있다. 액체는 물 또는 소독약품일 수 있다. 제 1 액체분사부(121)는 메인 프레임(110)에 포함된 제 1 배수관(521)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 1 배수관(521)은 상수도(수도관)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수도관과 메인 프레임(110)에 포함된 제 1 배수관 사이에는 필터부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수도관의 물이 제 1 배수관에 공급되기 전에 물은 정화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액체분사부(121)의 노즐이 막히는 현상이 줄어들 수 있으며, 액체 분사 장치(100)는 깨끗한 액체를 흩뿌릴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호흡기 질환이 생기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 2 액체분사부(122)는 메인 프레임(110)에 포함된 제 2 배수관(522)에 연결되어 소독약품을 공급받을 수 있다. 액체 분사 장치(100)는 액체 저장부로부터 소독약품을 메인 프레임(110)의 제 2 배수관에 공급할 수 있다. 액체 저장부는 약품통을 포함할 수 있다. 액체 분사 장치(100)는 전자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분사 장치(100)는 제 2 전자펌프(562)를 이용하여 약품통(550)으로부터 제 2 배수관(522)으로 소독약품을 공급할 수 있다. 제 2 배수관(522)은 1/4인치 PB호스일 수 있다.
제 1 배수관(521) 및 제 2 배수관(522)의 액체는 복수의 액체분사부(120)에 의하여 안개 형태로 실내 공간에 흩뿌려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액체 분사 장치(100)가 액체를 흩뿌림으로써, 공간의 미세먼지가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액체 분사 장치(100)는 소독약품을 흩뿌릴 수도 있다. 따라서 액체 분사 장치(100)는 공간의 살균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사람이 일일이 공간을 드나들면서 살균을 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액체 분사 장치(100)는 살균 조명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살균 조명부(130) 중 일부의 살균 조명부(130)에 도면부호를 표시하였다. 하지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동일한 모양은 모두 살균 조명부(130)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살균 조명부(130)는 메인 프레임(110)에 고정될 수 있다. 살균 조명부(130)는 복수의 액체분사부(1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살균 조명부(130)는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 및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살균 조명부(130)는 LED 또는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살균 조명부(130)는 UVA, UVB, 또는 UVC 중 하나의 자외선을 발광하는 복수의 LED 또는 복수의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살균 조명부(130)는 UVA, UVB, 또는 UVC 중 하나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실내 공간을 살균할 수 있다. 또한 살균 조명부(130)는 자외선 영역에서 약간 벗어난 파장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빛의 성질은 연속적으로 변화하므로 자외선 영역에서 다소 벗어나더라도 살균의 효과는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살균 조명부(130)는 미리 정해진 시간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실내 공간을 살균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시간은 사용자가 실내 공간을 사용하지 않는 시간일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시간은 액체 분사 장치(100)에 포함된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시간은 오전 2시부터 오전 4시까지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보드(600)는 센서에 기초하여 살균 조명부(130)를 켜거나 끌 수 있다. 센서는 물체 감지 센서일 수 있다. 물체 감지 센서는 레이저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일 수 있다. 물체 감지 센서는 복수의 연결부(141, 142, 143, 144)에 각각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체 감지 센서는 프레임들(111, 112, 113, 114)에 각각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살균 조명부(130)가 꺼진 상태에서 제어보드(600)는 물체 감지 센서로부터 물체를 감지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보드(600)는 물체 감지 센서로부터 물체를 감지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제어보드(600)는 물체 감지 센서로부터 물체를 감지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미리 정해진 제 1 시간동안 획득한 경우, 살균 조명부(130)를 켤 수 있다. 제어보드(600)는 미리 정해진 제 2 시간동안 살균 조명부(130)를 제 1 밝기로 켤 수 있다. 또한 제어보드(600)는 미리 정해진 제 2 시간이후 살균 조명부(130)를 제 2 밝기로 켤 수 있다. 제 2 밝기는 제 1 밝기보다 클 수 있다. 살균 조명부(130)가 켜진 상태에서, 제어보드(600)가 물체 감지 센서로부터 물체를 감지하였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어보드(600)는 살균 조명부(130)를 즉시 끌 수 있다. 이와 같이 액체 분사 장치(100)가 동작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외선을 쬐는 상황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살균 조명부(130)는 사용자들이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을 시각적으로 알 수 있도록 적색, 녹색, 또는 청색 중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보드(600)의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살균 조명부(130)에 포함된 적색, 녹색, 또는 청색 중 적어도 하나의 광원은 켜지거나 꺼질 수 있다. 또는 살균 조명부(130)는 백색 광원만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보드(60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살균 조명부(130)에 포함된 백색 광원은 켜지거나 꺼질 수 있다.
살균 조명부(130)는 실내 조명으로써 활용될 수 있으므로, 액체 분사 장치(100)가 설치된 실내에 사용자가 별도의 조명을 설치하지 않아도 될 수 있다. 따라서 실내에 조명을 설치할 공간을 아낄 수 있다. 또한 액체 분사 장치(100)의 인테리어 소품으로써의 효용이 높아질 수 있다.
제어보드(600)는 살균 조명부(130)가 켜질 때, 제 2 액체분사부(122)가 자동으로 켜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보드(600)는 살균 조명부(130)가 꺼질 때, 제 2 액체분사부가 자동으로 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제어보드(600)는 제 2 액체분사부(122)가 켜질 때, 살균 조명부(130)가 자동으로 켜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보드(600)는 제 2 액체분사부가 꺼질 때, 살균 조명부(130)가 자동으로 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메인 프레임(110)은 제 1 프레임(111), 제 2 프레임(112), 제 3 프레임(113), 및 제 4 프레임(1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프레임(111), 제 2 프레임(112), 제 3 프레임(113), 및 제 4 프레임(114)은 모두 살균 조명부(130) 및 복수의 액체분사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프레임(111)은 제 2 프레임(112) 및 제 4 프레임(114)에 수직하고 제 3 프레임(113)에 평행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10)은 제 1 연결부(141), 제 2 연결부(142), 제 3 연결부(143), 및 제 4 연결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연결부(141)는 제 1 프레임(111) 및 제 2 프레임(112)을 연결할 수 있다. 제 2 연결부(142)는 제 2 프레임(112) 및 제 3 프레임(113)을 연결할 수 있다. 제 3 연결부(143)는 제 3 프레임(113) 및 제 4 프레임(114)을 연결할 수 있다. 제 4 연결부(144)는 제 4 프레임(114) 및 제 1 프레임(111)을 연결할 수 있다.
위에서는 제 1 연결부(141) 내지 제 4 연결부(144) 및 제 1 프레임(111) 내지 제 4 프레임(114)을 나누어서 설명하였으나, 제 1 연결부(141) 내지 제 4 연결부(144) 및 제 1 프레임(111) 내지 제 4 프레임(114)은 서로 분리 불가능할 수 있다. 즉, 제 1 연결부(141) 내지 제 4 연결부(144) 및 제 1 프레임(111) 내지 제 4 프레임(114)은 통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제 1 연결부(141), 제 2 연결부(142), 제 3 연결부(143) 및 제 4 연결부(144)는 바닥, 벽 또는 천장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연결부(141), 제 2 연결부(142), 제 3 연결부(143) 및 제 4 연결부(144)는 고정부(150)와 견고히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고정부(150)는 끈 형태일 수 있다. 고정부(150)는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고정부(150)는 끈 형태로 만들어져서 미니멀한 인테리어 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고정부(150)는 제 1 연결부(141), 제 2 연결부(142), 제 3 연결부(143) 및 제 4 연결부(144)에 구비되어, 액체 분사 장치(100)가 천장, 벽 또는 바닥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개시의 액체 분사 장치(100)는 액체수집통(540)을 포함할 수 있다. 액체수집통(540)은 제 1 배수관(521)의 일단 및 제 2 배수관(522)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액체수집통(540)은 메인 프레임(11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액체 분사 장치(100)의 내부의 제 1 배수관(521) 및 제 2 배수관(522)을 흐르면서 액체분사부(120)에 의해 분사되고 남은 액체들은 액체수집통(540)에 모일 수 있다. 액체수집통(540)은 제 1 배수관(521) 및 제 2 배수관(522)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하여 제 1 배수관(521) 및 제 2 배수관(522)을 흐르고 남은 액체들이 자연스럽게 액체수집통(540)에 모일 수 있다.
제 1 배수관(521)의 타단은 수도관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 1 배수관(521)은 수도관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으므로, 항상 깨끗한 물이 흐를 수 있다. 따라서 곰팡이, 세균 등이 번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수도관의 수압에 의하여 제 1 배수관(521)에 물이 흐를 수 있으므로, 별도의 펌프가 필요 없을 수 있다.
또한, 제 2 배수관(522)의 타단은 약품통(550)에 연결되어 소독약품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 2 배수관(522)은 제 2 전자펌프(562)에 의하여 약품통(550)으로부터 소독약품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5에 대해서는 도 6의 제어보드와 함께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다.
액체 분사 장치(100)는 제어보드(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보드(600)는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 및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 및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보드(600)는 프로세서(610) 및 메모리(6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메모리(620)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보드(600)는 메모리를 포함하지 않고 프로세서(610)만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신호를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출력 라인으로 출력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보드(600)는 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제어보드(600)의 동작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제 1 배수관(521)의 타단은 밸브그룹(510)을 통하여 수도관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밸브그룹(510)의 일단은 수도관(상수도)에 연결되고 밸브그룹(510)의 타단은 제 1 배수관에 연결될 수 있다. 밸브그룹(510)은 수동밸브(511), 감압밸브(512), 및 전자밸브(513)를 포함할 수 있다. 수동밸브(511)는 수도관으로부터 흘러 들어온 물을 수동으로 막거나 흘려 보내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수동밸브(511)는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닫히거나 열릴 수 있다.
수동밸브(511)를 통과한 물은 감압밸브(512)를 통과할 수 있다. 감압밸브(512)는 수도관의 수압을 제 1 배수관이 허용할 수 있는 임계 압력으로 낮추는 구성일 수 있다. 감압밸브(512)는 수도관의 수압을 미리 정해진 수압으로 변경할 수 있다. 감압밸브(512)의 미리 정해진 수압은 수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감압밸브(512)가 없다면 물의 흐름이 너무 빨라서, 액체분사부(120)에 의하여 공급되고 남은 물들이 액체수집통(540)에 너무 많은 물이 모일 수 있고, 일부 물은 물방울이 되어 실내에 있는 사용자에게 떨어져서,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는 감압밸브(512)를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물이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수동밸브(511)와 감압밸브(512) 사이에는 필터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수도관에 있는 이물질이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를 막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액체 분사 장치는 수도관에 있는 물을 정화하여 깨끗한 물로 실내 공간을 가습할 수 있다.
전자밸브(513)는 제어보드(600)의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닫히거나 열릴 수 있다. 액체 분사 장치(100)는 자동으로 전자밸브(513)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분사 장치(100)는 실내에 가습이 필요하지 않은 때에, 자동으로 전자밸브(513)를 닫고, 실내에 가습이 필요한 경우, 자동으로 전자밸브(513)를 열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액체 분사 장치(100)는 습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분사 장치(100)는 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실내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액체 분사 장치(100)는 실내의 습도가 임계 습도 이하인 경우, 전자밸브(513)를 열어서 실내가 가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액체 분사 장치(100)는 실내의 습도가 임계습도 이상인 경우, 전자밸브(513)를 닫아서 실내가 가습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습도는 예를 들어 60%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액체 분사 장치(100)는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는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안개형태로 분사할 수 있다.
제 1 배수관(521)의 일단은 제 1 체크밸브(531)를 통하여 액체수집통(54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 1 배수관(521)은 제 1 체크밸브(531)의 일단에 연결되고 제 1 체크밸브(531)의 타단은 액체수집통(540)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체크밸브(531)는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제 1 배수관(521)에서 액체수집통(540)으로만 액체가 흐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 1 체크밸브(531)는 액체수집통(540)에서 다시 제 1 배수관(521)로 액체가 흘러나오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2 배수관(522)의 타단은 제 2 전자펌프(562)를 통하여 약품통(55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 2 전자펌프(562)의 일단은 약품통(550)에 연결되고 제 2 전자펌프(560)의 타단은 제 2 배수관(522)에 연결될 수 있다. 약품통(550)은 지면에 있을 수 있으며,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는 천장에 연결된 메인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전자펌프(562)는 약품통(550)의 소독약품을 제 2 배수관(522)을 통해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약품통(550)과 제 2 전자펌프(562)의 사이에는 필터(931), 제 5 체크밸브(932), 및 제 2 전자밸브(933)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필터(931)는 약품에 있는 이물질을 거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5 체크밸브(932)는 유체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전자밸브(933)까지 이동한 소독약품이 다시 약품통(550)으로 흘러들어가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제 2 전자밸브(933)는 제어보드(600)의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닫히거나 열릴 수 있다. 액체 분사 장치(100)는 자동으로 제 2 전자밸브(933)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분사 장치(100)는 실내에 소독이 필요하지 않은 때에, 자동으로 제 2 전자밸브(933)를 닫고, 실내에 소독이 필요한 경우, 자동으로 제 2 전자밸브(933)를 열수 있다. 제어보드(600)는 사용자가 설정해둔 시각에 자동으로 제 2 전자밸브(933)를 열고, 사용자가 설정해둔 다른 시각에 자동으로 제 2 전자밸브(933)를 닫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액체 분사 장치(100)는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는 약품통으로부터 공급된 소독약품을 안개형태로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제 2 배수관(522)의 일단은 제 2 체크밸브(532)를 통하여 액체수집통(54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 2 체크밸브(532)의 일단은 제 2 배수관(522)에 연결되고 제 2 체크밸브(532)의 타단은 액체수집통(540)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체크밸브(532)는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제 2 배수관(522)에서 액체수집통(540)으로만 액체가 흐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 2 체크밸브(532)에 의하여 액체수집통(540)에서 배수관(522)로 액체가 역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체크밸브(532)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5 체크밸브(932)가 구비된 경우 제 2 체크밸브(532)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배수관(522)의 일단은 제 4 전자펌프(미도시)를 통하여 약품통(55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 2 배수관(522)의 내부의 소독약품은 제 2 체크밸브(532)를 통하여 액체수집통(540)로 흐르는 것이 아니고, 제 4 전자펌프를 통하여 다시 약품통(550)으로 흐를 수 있다.
액체수집통(540)은 제 1 배수관(521)으로부터 액체를 수집하는 제 1 액체수집구역(54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체수집통(540)은 제 2 배수관(522)으로부터 액체를 수집하는 제 2 액체수집구역(5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액체수집구역은 제 2 액체수집구역과 독립적일 수 있다. 즉, 액체수집통(540)에 포함된 제 1 액체수집구역(541) 및 제 2 액체수집구역(542)은 독립적인 공간일 수 있다. 제 1 액체수집구역(541) 및 제 2 액체수집구역(542)의 사이에는 분리벽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 1 액체수집구역(541)의 액체는 제 2 액체수집구역(542)의 액체와 섞이지 않을 수 있다. 제 1 액체수집구역(541)에는 상수도물 중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에 의하여 분사되고 남은 물이 수집될 수 있다. 또한 제 2 액체수집구역(542)에는 소독약품 중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에 의하여 분사되고 남은 소독약품이 수집될 수 있다.
액체수집통(540)은 액체수집통의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제 1 전자펌프(561) 및 제 3 전자펌프(56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자펌프(561)는 제 1 액체수집구역(541)에 수집된 액체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제 3 전자펌프(563)는 제 2 액체수집구역(542)에 수집된 액체를 배출할 수 있다.
액체수집통(540)은 액체수집통(540)에 제 1 높이까지 액체가 찼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제 1 액체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체수집통(540)은 액체수집통(540)에 제 2 높이까지 액체가 찼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제 2 액체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높이는 제 2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제 1 액체감지센서는 액체수집통(540)의 제 1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액체감지센서는 액체수집통(540)의 제 2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액체감지센서는 액체가 제 1 높이에 도달했음을 감지할 수 있고 제 2 액체감지센서는 액체가 제 2 높이에 도달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액체수집통(540)은 제 1 액체수집구역(541)을 위한 제 1 액체감지센서 및 제 2 액체수집구역(542)을 위한 제 1 액체감지센서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액체수집통(540)은 제 1 액체수집구역(541)을 위한 제 2 액체감지센서 및 제 2 액체수집구역(542)을 위한 제 2 액체감지센서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액체감지센서 및 제 2 액체감지센서는 제 1 액체수집구역(541) 및 제 2 액체수집구역(542)의 액체의 높이를 모두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액체감지센서 및 제 2 액체감지센서는 제 1 액체수집구역(541) 및 제 2 액체수집구역(542)의 사이 있는 분리벽에 설치될 수 있다.
제 1 전자펌프(561)는 전자밸브(513)가 열려있는 동안 동작할 수 있다. 제 1 전자펌프(561)는 전자밸브(513)가 닫히면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동작 후 멈출 수 있다. 또한 제 3 전자펌프(563)는 제 2 전자펌프(562)가 동작하는 동안 동작할 수 있다. 제 3 전자펌프(563)는 제 2 전자펌프(562)가 멈추면,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동작 후 멈출 수 있다.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보드(600)는 제 1 액체감지센서가 액체수집통(540)의 액체가 제 1 높이까지 도달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제 1 전자펌프(561) 및 제 3 전자펌프(563) 중 적어도 하나를 제 1 출력으로 동작시켜서 액체수집통으로부터 액체를 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액체수집구역(541)의 액체 가 제 1 높이까지 도달했다면, 제어보드(600)는 제 1 전자펌프(561)를 제 1 출력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제 1 액체수집구역(541)의 액체는 제 1 전자펌프(561)에 의하여 하수관으로 향할 수 있다. 또한 제 2 액체수집구역(542)의 액체 가 제 1 높이까지 도달했다면, 제어보드(600)는 제 3 전자펌프(563)를 제 1 출력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제 2 액체수집구역(542)의 액체는 제 3 전자펌프(563)에 의하여 다시 약품통(550)으로 향할 수 있다.
제어보드(600)는 제 2 액체감지센서가 액체수집통의 액체가 제 2 높이까지 도달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제 1 전자펌프(561) 및 제 3 전자펌프(563) 중 적어도 하나를 제 2 출력으로 동작시켜서 액체수집통으로부터 액체를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출력은 제 2 출력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액체수집구역(541)의 액체 가 제 2 높이까지 도달했다면, 제어보드(600)는 제 1 전자펌프(561)를 제 2 출력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제 1 액체수집구역(541)의 액체는 제 1 전자펌프(561)에 의하여 하수관으로 향할 수 있다. 또한 제 2 액체수집구역(542)의 액체 가 제 2 높이까지 도달했다면, 제어보드(600)는 제 3 전자펌프(563)를 제 2 출력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제 2 액체수집구역(542)의 액체는 제 3 전자펌프(563)에 의하여 다시 약품통(550)으로 향할 수 있다.
전자펌프는 출력이 클 수록 큰 소리를 낼 수 있다. 하지만 본 개시의 액체 분사 장치(100)는 제 1 출력 및 제 2 출력을 이용하여 제 1 전자펌프(561) 및 제 3 전자펌프(563)를 동작시키므로, 되도록 작은 소리를 내면서 동작할 수 있다.
액체수집통(540)의 내부에는 UV살균광원이 포함되어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배수관(521) 및 제 2 배수관(522)으로부터 액체수집통(540)으로 흘러 들어온 액체는 UV살균광원에 의하여 소독될 수 있다.
제어보드(600)는 사용자의 입력을 입력부 또는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제어보드(600)는 입력부 또는 통신부를 통하여 복수의 액체분사부(120)를 켤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전자밸브(513)를 열거나, 제 2 전자펌프(562)를 동작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보드(600)는 통신부 또는 입력부로부터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의 켜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전자밸브(513)를 열고,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 때, 수동밸브(511)는 사용자가 열어놓은 상태여야 할 수 있다. 액체 분사 장치(100)는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를 통하여 안개형태의 물을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체크밸브(531) 대신 전자밸브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보드(600)는 제 1 체크밸브(531)의 위치의 전자밸브를 열어서 제 1 액체분사부(121)에 공급되고 남은 액체를 액체수집통(540)에 수집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보드(600)는 미리 정해진 주기로 제 1 체크밸브(531)의 위치의 전자밸브를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만 열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배수관(521)의 물이 지나치게 액체수집통(540)에 모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주기는 변하는 값일 수 있으며, 수압에 반비례할 수 있다. 즉,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제 1 배수관(521)의 내부의 압력이 높을 수록 미리 정해진 주기는 짧을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시간은 미리 정해진 주기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미리 정해진 주기(T)는 A- B*P와 같을 수 있다. 여기서 A, B는 미리 정해진 양수일 수 있다. P는 내부의 압력일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시간은 일정한 값으로써, C일 수 있다. C는 양수일 수 있다. 제어보드(600)는 미리 정해진 주기(T)인 A-B*P가 C보다 작아지는 경우, 제 1 체크밸브(531)의 위치의 전자밸브를 계속 열어둘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제 1 체크밸브(531)의 위치의 전자밸브의 닫히는 시간이 커지거나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하여 액체 분사 장치(100)는 제 1 체크밸브(531)의 위치의 전자밸브를 간헐적으로 닫으면서, 제 1 배수관(521)에 최소한의 양의 액체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보드(600)는 통신부 또는 입력부로부터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의 켜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 2 전자펌프(562)를 동작시키고,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를 동작시킬 수 있다. 액체 분사 장치(100)는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를 통하여 안개형태의 소독약품을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체크밸브(532) 대신 전자밸브가 이용될 수 있다. 제어보드(600)는 제 2 체크밸브(532)의 위치의 전자밸브를 열어서 제 2 액체분사부(122)에 공급되고 남은 액체를 액체수집통(540)에 수집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보드(600)는 미리 정해진 주기로 제 2 체크밸브(532)의 위치의 전자밸브를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만 열 수 있다. 따라서 제 2 배수관(522)의 소독약품이 지나치게 액체수집통(540)에 모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주기는 변하는 값일 수 있으며, 수압에 반비례할 수 있다. 즉,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제 2 배수관(522)의 내부의 압력이 높을 수록 미리 정해진 주기는 짧을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시간은 미리 정해진 주기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미리 정해진 주기(T)는 A- B*P와 같을 수 있다. 여기서 A, B는 미리 정해진 양수일 수 있다. P는 내부의 압력일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시간은 일정한 값으로써, C일 수 있다. C는 양수일 수 있다. 제어보드(600)는 미리 정해진 주기(T)인 A-B*P가 C보다 작아지는 경우, 제 2 체크밸브(532)의 위치의 전자밸브를 계속 열어둘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제 2 체크밸브(532)의 위치의 전자밸브의 닫히는 시간이 커지거나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하여 액체 분사 장치(100)는 제 2 체크밸브(532)의 위치의 전자밸브를 간헐적으로 닫으면서, 제 2 배수관(522)에 최소한의 양의 액체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가 분사 중인 상태이고, 통신부 또는 입력부로부터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의 꺼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보드(600)는 전자밸브(513)를 닫고,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를 미리 정해진 제 1 시간동안 동작시킬 수 있다. 전자밸브(513)를 닫으면, 제 1 배수관(521)에 액체가 소모되기만 할 뿐,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왜냐하면 제 1 체크밸브(531)는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므로 액체수집통(540)에서 액체가 제 1 배수관(521)으로 흐르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제 1 배수관(521)의 물이 제 1 체크밸브(531)를 통하여 액체수집통(540)으로 흐를 수 있다. 제 1 배수관(521)에 갇힌 물은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에 의하여 제 1 시간동안 소모되거나 액체수집통(540)으로 수집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가 분사 중인 상태이고, 통신부 또는 입력부로부터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의 꺼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보드(600)는 제 1 전자펌프(561)를 미리 정해진 제 1 시간동안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시간이 지난 후 제어보드(600)는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를 끌 수 있다. 제 1 배수관(521)에 있던 물은 제 1 체크밸브(531)를 통하여 액체수집통(540)에 모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시간이 지난 후 제어보드(600)는 제 1 전자펌프(561)를 끌 수 있다. 제 1 배수관(521)에는 액체가 거의 남아있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액체 분사 장치(100)로부터 액체가 지면으로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제어보드(600)는 제 1 시간이 지난 후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를 끌 수 있다. 제 1 시간 동안 전자밸브(513)를 닫은 채로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에 의하여 제 1 배수관(521) 내부의 액체를 소모하였으며 제 1 체크밸브(531)에 의하여 공기 또는 액체와 같은 유체의 역류가 방지되므로, 제 1 배수관(521) 내부의 압력은 대기압보다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배수관(521) 내부의 액체는 제 1 배수관(521)의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액체 분사 장치(100)로부터 액체가 지면으로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가 제 1 시간동안 액체를 소모하게 하여, 제 1 배수관(521)의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배수관(521)의 내부에 액체가 고여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배수관(521)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1 배수관(521)에 고인 물이 지면으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제 1 시간은 5초 이상 20초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시간은 10초일 수 있다.
제 1 시간이 지난 후 제어보드(600)는 제 1 전자펌프(561)를 제 2 시간동안 동작시켜서 액체수집통 내의 액체를 배출할 수 있다. 제 2 시간은 제 1 시간보다 짧거나 같을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보드(600)는 제 1 시간이 지난 후,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전자펌프(561)를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시간이 지난 후, 제 1 액체감지센서가 제 1 액체수집구역(541)의 액체가 제 1 높이까지 도달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제어보드(600)는 제 1 전자펌프(561)를 동작시킬 수 있다. 제어보드(600)는 제 1 액체감지센서가 제 1 액체수집구역(541)의 액체가 제 1 높이가지 도달하지 못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제 1 전자펌프(561)를 동작시키지 않을 수 있다.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가 분사 중인 상태이고, 통신부 또는 입력부로부터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의 꺼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보드(600)는 제 2 전자펌프(562)를 끄고,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를 미리 정해진 제 1 시간동안 동작시킬 수 있다. 제 2 체크밸브(532)는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므로, 제 2 전자펌프(562)를 끄면, 제 2 배수관(522)에 액체가 소모되기만 할 뿐,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 2 배수관(522)의 액체가 제 2 체크밸브(532)를 통하여 액체수집통(540)으로 흐르기만 할 수 있다. 제 2 배수관(522)에 갇힌 물은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에 의하여 제 1 시간동안 소모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가 분사 중인 상태이고, 통신부 또는 입력부로부터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의 꺼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보드(600)는 제 3 전자펌프(563)를 미리 정해진 제 1 시간동안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시간이 지난 후 제어보드(600)는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를 끌 수 있다. 제 2 체크밸브(532)에 의하여 제 2 배수관(522)에 있던 액체는 액체수집통(540)에 모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시간이 지난 후 제어보드(600)는 제 3 전자펌프(563)를 끌 수 있다. 따라서 액체 분사 장치(100)로부터 액체가 지면으로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제어보드(600)는 제 1 시간이 지난 후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를 끌 수 있다. 제 1 시간 동안 제 2 전자펌프(562)를 끈 채로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에 의하여 제 2 배수관(522) 내부의 액체를 소모하였으며, 제 2 체크밸브(532)는 기체 또는 액체를 포함한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였으므로, 제 2 배수관(522) 내부의 압력은 대기압보다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제 2 배수관(522) 내부의 액체는 제 2 배수관(522)의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액체 분사 장치(100)로부터 액체가 지면으로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가 제 1 시간동안 액체를 소모하게 하여, 제 2 배수관(522)의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배수관(522)의 내부에 액체가 고여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배수관(522)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2 배수관(522)에 고인 액체가 지면으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 1 시간이 지난 후 제어보드(600)는 제 3 전자펌프(563)를 제 2 시간동안 동작시켜서 액체수집통 내의 액체를 배출할 수 있다. 제 2 시간은 제 1 시간보다 짧거나 같을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보드(600)는 제 1 시간이 지난 후,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제 3 전자펌프(563)를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시간이 지난 후, 제 1 액체감지센서가 제 2 액체수집구역(542)의 액체가 제 1 높이까지 도달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제어보드(600)는 제 3 전자펌프(563)를 동작시킬 수 있다. 제어보드(600)는 제 1 액체감지센서가 제 2 액체수집구역(542)의 액체가 제 1 높이가지 도달하지 못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제 3 전자펌프(563)를 동작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 및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가 입력부 또는 통신부에 의하여 켜지거나 꺼지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 및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는 미리 정해진 시간에 액체를 분사하여 실내 공간에 가습하거나 살균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시간은 액체 분사 장치(100)에 포함된 입력부 또는 통신부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시간은 오전 2시부터 오전 4시까지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 및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가 켜지거나 꺼지는 과정에 대해서는 위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보드(600)는 통신부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설정 정보는 액체 분사 시작 시각, 액체 분사 종료 시각, 액체 분사 시간, 액체 종류에 대한 정보, 또는 액체 분사 주기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분사 장치(100)는 분사 시작 시각에 복수의 액체분사부(120)가 액체를 분사하도록 제어하고, 분사 종료 시각에 복수의 액체분사부(120)가 액체의 분사를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액체 분사 장치(100)는 분사 시작 시각에 복수의 액체분사부(120)가 액체를 분사하도록 제어하고, 액체 분사 시간동안 액체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액체 분사 장치(100)는 액체 분사 주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주기적으로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액체를 분사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시간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액체 분사 장치(100)는 액체 종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액체를 분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레임(110)에 포함된 제 1 배수관(521)은 수도관과 연결될 수 있다. 제 1 배수관(521)은 수도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110)에 포함된 제 2 배수관(522)은 약품통(550)과 연결될 수 있다. 제 2 배수관(522)은 약품통(550)으로부터 액체의 소독약품을 공급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액체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제어보드(600)로 송신할 수 있다. 액체 분사 장치(100)는 액체 종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밸브(513)를 열거나, 제 2 전자펌프(562)를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배수관(521) 또는 제 2 배수관(522)은 수도관 또는 약품통(550)으로부터 액체를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액체분사부(120)는 제 1 배수관(521) 또는 제 2 배수관(522)으로부터 액체를 공급받아서 액체를 실내에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액체 분사 장치(100)는 근무시간에 물을 분사하여 실내의 미세먼지를 감소시키고, 야간에는 소독약을 실내에 분사하여 무인 방역 장치로써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항상 소독된 실내에서 활동할 수 있다. 따라서 액체 분사 장치(100)는 사용자를 바이러스 감염의 위협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액체 분사 장치(100)는 인체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체 감지 센서는 적외선 센서, 레이저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체 감지 센서는 출입구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사람이 입구를 통하여 들어오는 경우, 인체 감지 센서는 사람을 감지하여 마스터 제어보드(600)에 출입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출입신호는 사람이 들어오는 것을 나타내거나 나가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액체 분사 장치(100)는 출입신호에 기초하여 액체를 분사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분사 장치(100)는 인체 감지 센서로부터의 출입신호가 사람이 들어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액체를 분사할 수 있다. 액체는 물 또는 소독약 중 하나일 수 있다. 액체 분사 장치(100)는 인체 감지 센서로부터의 출입신호가 사람이 나가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액체의 분사를 중지할 수 있다. 즉, 액체 분사 장치(100)는 사용자가 실내에 있을 때만 액체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액체 분사 장치(100)는 인체 감지 센서로부터의 출입신호가 사람이 들어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액체를 분사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시간은 액체 분사 장치(100)에 저장되어 있는 값으로써, 사용자 단말기의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액체는 물 또는 소독약품 중 하나일 수 있다.
액체 분사 장치(100)는 출입신호에 기초하여 분사할 액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분사 장치(100)는 물을 분사하고 있거나, 물을 분사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출입신호가 사람이 들어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액체 분사 장치(10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소독약을 실내에 분사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시간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값일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의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액체 분사 장치(100)는 미리 정해진 시간이 끝난 이후에 다시 물을 분사하거나, 물을 분사하지 않을 수 있다. 액체 분사 장치(100)는 외부의 사람이 들어왔을 때, 잠시 소독약을 분사함으로써, 실내에 혹시라도 바이러스 또는 세균이 증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액체 분사 장치(100)는 필요한 경우에만 동작함으로써, 에너지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액체 분사 장치(100)는 노즐에서 물을 포함하는 액체 입자를 미세한 안개처럼 분사하여, 미세먼지가 액체와 결합하여 지면에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공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액체 분사 장치(100)는 출입문이나 창가에 배치됨으로써, 에어커튼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더불어, 본 개시의 액체 분사 장치는 분사된 액체의 기화로 주변 온도를 낮추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액체 분사 장치(100)는 액체에 소독약 또는 농약을 추가함으로써, 소독(방역), 농약살포, 수분공급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5에서 일부를 변형한 도면이다. 도 5와 도 9는 중복되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 대한 설명 중 생략된 설명은 도 5에 대한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써 도 5의 구성 및 도 9의 구성의 일부를 생략하거나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액체 분사 장치(100)는 액체수집통(540)을 포함할 수 있다. 액체수집통(540)은 제 1 배수관(521)의 일단 및 제 2 배수관(522)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액체수집통(540)은 메인 프레임(11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액체 분사 장치(100)의 내부의 제 1 배수관(521) 및 제 2 배수관(522)을 흐르면서 액체분사부(120)에 의해 분사되고 남은 액체들은 액체수집통(540)에 모일 수 있다. 액체수집통(540)은 제 1 배수관(521) 및 제 2 배수관(522)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하여 제 1 배수관(521) 및 제 2 배수관(522)을 흐르고 남은 액체들이 자연스럽게 액체수집통(540)에 모일 수 있다.
제 1 배수관(521)의 타단은 수도관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 1 배수관(521)은 수도관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으므로, 항상 깨끗한 물이 흐를 수 있다. 따라서 곰팡이, 세균 등이 번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수도관의 수압에 의하여 제 1 배수관(521)에 물이 흐를 수 있으므로, 별도의 펌프가 필요 없을 수 있다.
또한, 제 2 배수관(522)의 타단은 약품통(550)에 연결되어 소독약품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 2 배수관(522)은 제 2 전자펌프(562)에 의하여 약품통(550)으로부터 소독약품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 1 배수관(521)의 타단은 밸브그룹(510)을 통하여 수도관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밸브그룹(510)의 일단은 수도관(상수도)에 연결되고 밸브그룹(510)의 타단은 제 1 배수관에 연결될 수 있다. 밸브그룹(510)은 수동밸브(511), 감압밸브(512), 전자밸브(513) 및 제 3 체크밸브(911)를 포함할 수 있다.
수동밸브(511)는 수도관으로부터 흘러 들어온 물을 수동으로 막거나 흘려 보내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수동밸브(511)는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닫히거나 열릴 수 있다. 수동밸브(511)의 일단 또는 타단에는 필터가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수도관에 있는 이물질이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를 막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액체 분사 장치는 수도관에 있는 물을 정화하여 깨끗한 물로 실내 공간을 가습할 수 있다.
수동밸브(511)를 통과한 물은 감압밸브(512)를 통과할 수 있다. 감압밸브(512)는 수도관의 수압을 제 1 배수관이 허용할 수 있는 임계 압력으로 낮추는 구성일 수 있다. 감압밸브(512)는 수도관의 수압을 미리 정해진 수압으로 변경할 수 있다. 감압밸브(512)의 미리 정해진 수압은 수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감압밸브(512)가 없다면 물의 흐름이 너무 빨라서, 액체분사부(120)에 의하여 공급되고 남은 물들이 액체수집통(540)에 너무 많은 물이 모일 수 있고, 일부 물은 물방울이 되어 실내에 있는 사용자에게 떨어져서,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는 감압밸브(512)를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물이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전자밸브(513)는 제어보드(600)의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닫히거나 열릴 수 있다. 액체 분사 장치(100)는 자동으로 전자밸브(513)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분사 장치(100)는 실내에 가습이 필요하지 않은 때에, 자동으로 전자밸브(513)를 닫고, 실내에 가습이 필요한 경우, 자동으로 전자밸브(513)를 열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액체 분사 장치(100)는 습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분사 장치(100)는 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실내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액체 분사 장치(100)는 실내의 습도가 임계 습도 이하인 경우, 전자밸브(513)를 열어서 실내가 가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액체 분사 장치(100)는 실내의 습도가 임계습도 이상인 경우, 전자밸브(513)를 닫아서 실내가 가습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습도는 예를 들어 60%일 수 있다.
도 5와 다르게 도 9의 액체 분사 장치(100)는 제 3 체크밸브(9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체크밸브(911)는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수도관에서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로만 액체가 흐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 3 체크밸브(911)는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에서 다시 수도관으로 액체가 흘러나가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액체 분사 장치(100)는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는 수도관 또는 액체수집통(54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안개형태로 분사할 수 있다.
제 2 배수관(522)의 타단은 제 2 밸브그룹(930)을 통하여 약품통(55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 2 밸브그룹(930)의 일단은 약품통(550)에 연결되고 제 2 밸브그룹(930)의 타단은 제 2 배수관(522)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밸브그룹(930)은 필터(931), 제 5 체크밸브(932), 제 2 전자밸브(933) 및 제 2 전자펌프(562)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931)는 약품에 있는 이물질을 거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5 체크밸브(932)는 유체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전자밸브(933)까지 이동한 소독약품이 다시 약품통(550)으로 흘러들어가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제 2 전자밸브(933)는 제어보드(600)의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닫히거나 열릴 수 있다. 액체 분사 장치(100)는 자동으로 제 2 전자밸브(933)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분사 장치(100)는 실내에 소독이 필요하지 않은 때에, 자동으로 제 2 전자밸브(933)를 닫고, 실내에 소독이 필요한 경우, 자동으로 제 2 전자밸브(933)를 열수 있다. 제어보드(600)는 사용자가 설정해둔 시각에 자동으로 제 2 전자밸브(933)를 열고, 사용자가 설정해둔 다른 시각에 자동으로 제 2 전자밸브(933)를 닫을 수 있다.
약품통(550)은 지면에 있을 수 있으며,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는 천장에 연결된 메인프레임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제 2 전자펌프(562)는 지면의 약품통(550)에 있는 소독약품을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제어보드(600)는 제 2 전자펌프(562)를 동작시킬 때, 제 2 전자밸브(933)를 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보드(600)는 제 2 전자펌프(562)를 끌 때, 제 2 전자밸브(933)를 닫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액체 분사 장치(100)는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는 약품통(550) 또는 액체수집통(540)으로부터 공급된 소독약품을 안개형태로 분사할 수 있다.
액체수집통(540)은 제 1 배수관(521)으로부터 액체를 수집하는 제 1 액체수집구역(54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체수집통(540)은 제 2 배수관(522)으로부터 액체를 수집하는 제 2 액체수집구역(5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액체수집구역은 제 2 액체수집구역과 독립적일 수 있다. 즉, 액체수집통(540)에 포함된 제 1 액체수집구역(541) 및 제 2 액체수집구역(542)은 독립적인 공간일 수 있다. 제 1 액체수집구역(541) 및 제 2 액체수집구역(542)의 사이에는 분리벽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 1 액체수집구역(541)의 액체는 제 2 액체수집구역(542)의 액체와 섞이지 않을 수 있다. 제 1 액체수집구역(541)에는 상수도물 중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에 의하여 분사되고 남은 물이 수집될 수 있다. 또한 제 2 액체수집구역(542)에는 소독약품 중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에 의하여 분사되고 남은 소독약품이 수집될 수 있다.
액체수집통(540)은 액체수집통의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제 1 전자펌프(561) 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자펌프(561)는 제 1 액체수집구역(541)에 수집된 액체를 배출할 수 있다. 이 때, 제 1 전자펌프(561)는 액체의 흐름을 미세하기 조절하기 힘들 수 있다. 따라서 제 1 전자펌프(561)와 액체수집통(540)의 사이에 제 2 감압밸브(921)를 둘 수 있다. 감압밸브(921)에 의하여 제 1 배수관 내의 액체의 압력이 일정해질 수 있다. 또한 감압밸브(921)에 의하여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에서 액체 방울이 사용자에게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액체 분사 장치(100)는 안개형태의 액체만 사용자에게 공급하므로 사용자는 쾌적함을 느낄 수 있다.
제 4 체크밸브(923)는 액체수집통(540)에서 다시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로 흐르는 액체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제 1 전자펌프(561)는 동작을 멈출 때가 있으며, 제 4 체크밸브(923)는 제 1 전자펌프(561)가 동작을 멈추더라도 액체가 다시 액체수집통(540)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와 다르게 도 9에 따르면, 액체수집통(540)에 있던 액체가 다시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로 흐르며,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는 안개 형태의 액체를 실내 공간에 분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액체 분사 장치(100)는 액체(물)의 사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에서 액체 방울이 사용자에게 떨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액체 분사 장치(100)는 안개 형태의 액체만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므로 사용자는 쾌적함을 느낄 수 있다.
액체수집통(540)은 액체수집통의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제 3 전자펌프(563) 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전자펌프(563)는 제 2 액체수집구역(542)에 수집된 액체를 배출할 수 있다. 제 6 체크밸브(934)는 액체수집통(540)에서 다시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로 흐르는 액체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제 3 전자펌프(563)는 동작을 멈출 때가 있으며, 제 6 체크밸브(934)는 제 3 전자펌프(563)가 동작을 멈추더라도 액체가 다시 액체수집통(540)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액체수집통(540)은 액체수집통(540)에 제 1 높이까지 액체가 찼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제 1 액체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체수집통(540)은 액체수집통(540)에 제 2 높이까지 액체가 찼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제 2 액체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높이는 제 2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제 1 액체감지센서는 액체수집통(540)의 제 1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액체감지센서는 액체수집통(540)의 제 2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액체감지센서는 액체가 제 1 높이에 도달했음을 감지할 수 있고 제 2 액체감지센서는 액체가 제 2 높이에 도달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액체수집통(540)은 제 1 액체수집구역(541)을 위한 제 1 액체감지센서 및 제 2 액체수집구역(542)을 위한 제 1 액체감지센서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액체수집통(540)은 제 1 액체수집구역(541)을 위한 제 2 액체감지센서 및 제 2 액체수집구역(542)을 위한 제 2 액체감지센서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액체감지센서 및 제 2 액체감지센서는 제 1 액체수집구역(541) 및 제 2 액체수집구역(542)의 액체의 높이를 모두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액체감지센서 및 제 2 액체감지센서는 제 1 액체수집구역(541) 및 제 2 액체수집구역(542)의 사이 있는 분리벽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보드(600)는 제 1 액체감지센서가 액체수집통(540)의 액체가 제 1 높이까지 도달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제 1 전자펌프(561) 및 제 3 전자펌프(563) 중 적어도 하나를 제 1 출력으로 동작시켜서 액체수집통으로부터 액체를 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액체수집구역(541)의 액체 가 제 1 높이까지 도달했다면, 제어보드(600)는 제 1 전자펌프(561)를 제 1 출력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제 1 액체수집구역(541)의 액체는 제 1 전자펌프(561)에 의하여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로 향할 수 있다. 또한 제 2 액체수집구역(542)의 액체 가 제 1 높이까지 도달했다면, 제어보드(600)는 제 3 전자펌프(563)를 제 1 출력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제 2 액체수집구역(542)의 액체는 제 3 전자펌프(563)에 의하여 다시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로 향할 수 있다.
제어보드(600)는 제 2 액체감지센서가 액체수집통의 액체가 제 2 높이까지 도달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제 1 전자펌프(561) 및 제 3 전자펌프(563) 중 적어도 하나를 제 2 출력으로 동작시켜서 액체수집통(540)으로부터 액체를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출력은 제 2 출력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액체수집구역(541)의 액체 가 제 2 높이까지 도달했다면, 제어보드(600)는 제 1 전자펌프(561)를 제 2 출력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제 1 액체수집구역(541)의 액체는 제 1 전자펌프(561)에 의하여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로 향할 수 있다. 또한 제 2 액체수집구역(542)의 액체 가 제 2 높이까지 도달했다면, 제어보드(600)는 제 3 전자펌프(563)를 제 2 출력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제 2 액체수집구역(542)의 액체는 제 3 전자펌프(563)에 의하여 다시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로 향할 수 있다.
전자펌프는 출력이 클 수록 큰 소리를 낼 수 있다. 하지만 본 개시의 액체 분사 장치(100)는 제 1 출력 및 제 2 출력을 이용하여 제 1 전자펌프(561) 및 제 3 전자펌프(563)를 동작시키므로, 되도록 작은 소리를 내면서 동작할 수 있다.
액체수집통(540)의 내부에는 UV살균광원이 포함되어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배수관(521) 및 제 2 배수관(522)으로부터 액체수집통(540)으로 흘러 들어온 액체는 UV살균광원에 의하여 소독될 수 있다. 또한 소독된 액체는 다시 제 1 배수관(521) 또는 제 2 배수관(522)을 통하여 제 1 액체분사부(121) 또는 제 2 액체분사부(122)에 의하여 실내에 분사될 수 있다. UV살균광원은 제 1 액체수집구역(541) 및 제 2 액체수집구역(542) 모두를 살균할 수 있다.
제어보드(600)는 사용자의 입력을 입력부 또는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제어보드(600)는 입력부 또는 통신부를 통하여 복수의 액체분사부(120)를 켤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전자밸브(513)를 열거나 제 2 전자펌프(562)를 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보드(600)는 통신부 또는 입력부로부터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의 켜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전자밸브(513)를 열고,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 때, 수동밸브(511)는 사용자가 열어놓은 상태여야 할 수 있다. 액체 분사 장치(100)는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를 통하여 안개형태의 물을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보드(600)는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가 켜진 경우, 살균 조명부(130) 역시 켜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보드(600)는 통신부 또는 입력부로부터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의 켜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 2 전자펌프(562)를 동작시키고,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를 동작시킬 수 있다. 액체 분사 장치(100)는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를 통하여 안개형태의 소독약품을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보드(600)는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가 켜진 경우, 살균 조명부(130) 역시 켜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가 분사 중인 상태이고, 통신부 또는 입력부로부터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의 꺼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보드(600)는 전자밸브(513)를 닫고,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를 미리 정해진 제 1 시간동안 동작시킬 수 있다. 전자밸브(513)를 닫으면, 제 1 배수관(521)의 액체가 소모되기만 할 뿐,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제 1 배수관(521)에 갇힌 물은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에 의하여 제 1 시간동안 소모되거나 액체수집통(540)으로 수집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전자펌프(561)에 의하여 액체수집통(540)에 있는 액체가 제 1 배수관(521)에 공급되더라도,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는 미리 정해진 제 1 시간동안 동작시켜서 제 1 배수관(521)의 내부의 액체를 소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전자펌프(561)가 동작하여 제 1 배수관(521)의 내부에 액체가 공급되는 경우라도, 사용자에게 액체방울이 떨어지는 상황이 방지될 수 있다.
제어보드(600)는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에 대한 꺼짐 신호를 수신한 경우, 즉시 살균 조명부(130)를 끄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보드(600)는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에 대한 꺼짐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 1 시간동안 살균 조명부(130)를 켜둔 후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와 동시에 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의 꺼짐 입력을 수신했을 때, 제어보드(600)는 액체수집통(540)의 제 1 액체감지센서 및 제 2 액체감지센서가 액체를 감지하지 않았더라도 제 1 전자펌프(561)를 동작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가 꺼진 후 불측의 상황에서 액체수집통(540)에 액체가 차올라서 액체 방울이 사용자에게 또는 지면으로 떨어지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보드(600)는 제 1 액체감지센서 및 제 2 액체감지센서가 액체를 감지한 경우, 제 1 전자펌프(561)를 동작시킬 수 있다.
제 1 시간은 미리 정해진 시간일 수 있으나, 제어보드(600)는 적응적으로 제 1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의 꺼짐 입력을 수신했을 때, 액체수집통(540)의 제 1 액체감지센서 또는 제 2 액체감지센서가 액체를 감지했거나, 또는 제 1 전자펌프(561)가 동작하고 있는 경우, 제어보드(600)는 미리 정해진 제 1 시간에 미리 정해진 서브 시간을 더하여 제 1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제 1 시간은 5초 이상 20초 이하의 값일 수 있다. 또한 서브 시간은 5초 이상 20초 이하의 값일 수 있다.
또한, 제 1 시간이 지난 후 제어보드(600)는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를 끌 수 있다. 제 1 배수관(521)에 있던 물은 제 1 체크밸브(531)를 통하여 액체수집통(540)에 모일 수 있다. 제 1 배수관(521)에는 액체가 거의 남아있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액체 분사 장치(100)로부터 액체가 지면으로 또는 사용자에게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제어보드(600)는 제 1 시간이 지난 후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를 끌 수 있다. 도 9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와 액체수집통(540)의 사이에는 제 1 체크밸브(531)가 위치할 수 있다. 제 1 시간 동안 전자밸브(513)를 닫은 채로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에 의하여 제 1 배수관(521) 내부의 액체를 소모하였으며 제 1 체크밸브(531) 및 제 4 체크밸브(923)에 의하여 공기 또는 액체와 같은 유체의 역류가 방지되므로, 제 1 배수관(521) 내부의 압력은 대기압보다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배수관(521) 내부의 액체는 제 1 배수관(521)의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액체 분사 장치(100)로부터 액체가 지면으로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가 제 1 시간동안 액체를 소모하게 하여, 제 1 배수관(521)의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배수관(521)의 내부에 액체가 고여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배수관(521)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1 배수관(521)에 고인 물이 지면으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제 1 시간은 5초 이상 20초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시간은 10초일 수 있다.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가 분사 중인 상태이고, 통신부 또는 입력부로부터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의 꺼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보드(600)는 제 2 전자펌프(562)를 끄고,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를 미리 정해진 제 1 시간동안 동작시킬 수 있다. 제 2 배수관(522)에 갇힌 물은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에 의하여 제 1 시간동안 소모될 수 있다. 제 2 전자펌프(562)를 끄면, 제 2 배수관(522)의 액체가 소모되기만 할 뿐,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제 2 배수관(522)에 갇힌 액체는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에 의하여 제 1 시간동안 소모되거나 액체수집통(540)으로 수집될 수 있다. 또한, 제 3 전자펌프(563)에 의하여 액체수집통(540)에 있는 액체가 제 2 배수관(522)에 공급되더라도,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는 미리 정해진 제 1 시간동안 동작시켜서 제 2 배수관(522)의 내부의 액체를 소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3 전자펌프(563)가 동작하여 제 2 배수관(522)의 내부에 액체가 공급되는 경우라도, 사용자에게 액체방울이 떨어지는 상황이 방지될 수 있다.
제어보드(600)는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에 대한 꺼짐 신호를 수신한 경우, 즉시 살균 조명부(130)를 끄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보드(600)는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에 대한 꺼짐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 1 시간동안 살균 조명부(130)를 켜둔 후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와 동시에 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의 꺼짐 입력을 수신했을 때, 제어보드(600)는 액체수집통(540)의 제 1 액체감지센서 및 제 2 액체감지센서가 액체를 감지하지 않았더라도 제 3 전자펌프(563)를 동작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가 꺼진 후 불측의 상황에서 액체수집통(540)에 액체가 차올라서 액체 방울이 사용자에게 또는 지면으로 떨어지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보드(600)는 제 1 액체감지센서 및 제 2 액체감지센서가 액체를 감지한 경우, 제 3 전자펌프(563)를 동작시킬 수 있다.
제 1 시간은 미리 정해진 시간일 수 있으나, 제어보드(600)는 적응적으로 제 1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의 꺼짐 입력을 수신했을 때, 액체수집통(540)의 제 1 액체감지센서 또는 제 2 액체감지센서가 액체를 감지했거나, 또는 제 3 전자펌프(563)가 동작하고 있는 경우, 제어보드(600)는 미리 정해진 제 1 시간에 미리 정해진 서브 시간을 더하여 제 1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제 1 시간은 5초 이상 20초 이하의 값일 수 있다. 또한 서브 시간은 5초 이상 20초 이하의 값일 수 있다.
또한, 제 1 시간이 지난 후 제어보드(600)는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를 끌 수 있다. 제 2 체크밸브(532)에 의하여 제 2 배수관(522)에 있던 액체는 액체수집통(540)에 모일 수 있다. 따라서 액체 분사 장치(100)로부터 액체가 지면으로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제어보드(600)는 제 1 시간이 지난 후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를 끌 수 있다. 도 9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와 액체수집통(540)의 사이에는 제 2 체크밸브(532)가 위치할 수 있다. 제 1 시간 동안 제 2 전자펌프(562)를 끈 채로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에 의하여 제 2 배수관(522) 내부의 액체를 소모하였으며, 제 2 체크밸브(532) 및 제 6 체크밸브(934)는 기체 또는 액체를 포함한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였으므로, 제 2 배수관(522) 내부의 압력은 대기압보다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제 2 배수관(522) 내부의 액체는 제 2 배수관(522)의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액체 분사 장치(100)로부터 액체가 지면으로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가 제 1 시간동안 액체를 소모하게 하여, 제 2 배수관(522)의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배수관(522)의 내부에 액체가 고여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배수관(522)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2 배수관(522)에 고인 액체가 지면으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은 도 5 및 도 9에서 일부를 변형한 도면이다. 도 5와 도 10은 중복되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9와 도 10은 중복되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에 대한 설명 중 생략된 설명은 도 5 및 도 9에 대한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 5, 도 9 및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써 도 5의 구성, 도 9의 구성, 및 도 10의 구성의 일부를 생략하거나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액체 분사 장치(100)는 액체수집통(540)을 포함할 수 있다. 액체수집통(540)은 제 1 배수관(521)의 일단 및 제 2 배수관(522)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액체수집통(540)은 메인 프레임(11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액체 분사 장치(100)의 내부의 제 1 배수관(521) 및 제 2 배수관(522)을 흐르면서 액체분사부(120)에 의해 분사되고 남은 액체들은 액체수집통(540)에 모일 수 있다. 액체수집통(540)은 제 1 배수관(521) 및 제 2 배수관(522)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하여 제 1 배수관(521) 및 제 2 배수관(522)을 흐르고 남은 액체들이 자연스럽게 액체수집통(540)에 모일 수 있다.
제 1 배수관(521)의 타단은 수도관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 1 배수관(521)은 수도관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으므로, 항상 깨끗한 물이 흐를 수 있다. 따라서 곰팡이, 세균 등이 번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수도관의 수압에 의하여 제 1 배수관(521)에 물이 흐를 수 있으므로, 별도의 펌프가 필요 없을 수 있다.
또한, 제 2 배수관(522)의 타단은 약품통(550)에 연결되어 소독약품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5 및 도 9와 다르게 약품통(550)은 액체수집통(540)에 포함될 수 있다. 제 2 배수관(522)은 제 3 전자펌프(563)에 의하여 약품통(550)으로부터 소독약품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 1 배수관(521)의 타단은 밸브그룹(510)을 통하여 수도관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밸브그룹(510)의 일단은 수도관(상수도)에 연결되고 밸브그룹(510)의 타단은 제 1 배수관에 연결될 수 있다. 밸브그룹(510)은 수동밸브(511), 감압밸브(512), 및 전자밸브(513)를 포함할 수 있다.
수동밸브(511)는 수도관으로부터 흘러 들어온 물을 수동으로 막거나 흘려 보내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수동밸브(511)는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닫히거나 열릴 수 있다. 수동밸브(511)의 일단 또는 타단에는 필터가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수도관에 있는 이물질이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를 막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액체 분사 장치는 수도관에 있는 물을 정화하여 깨끗한 물로 실내 공간을 가습할 수 있다.
수동밸브(511)를 통과한 물은 감압밸브(512)를 통과할 수 있다. 감압밸브(512)는 수도관의 수압을 제 1 배수관이 허용할 수 있는 임계 압력으로 낮추는 구성일 수 있다. 감압밸브(512)는 수도관의 수압을 미리 정해진 수압으로 변경할 수 있다. 감압밸브(512)의 미리 정해진 수압은 수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감압밸브(512)가 없다면 물의 흐름이 너무 빨라서, 액체분사부(120)에 의하여 공급되고 남은 물들이 액체수집통(540)에 너무 많은 물이 모일 수 있고, 일부 물은 물방울이 되어 실내에 있는 사용자에게 떨어져서,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는 감압밸브(512)를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물이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전자밸브(513)는 제어보드(600)의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닫히거나 열릴 수 있다. 액체 분사 장치(100)는 자동으로 전자밸브(513)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분사 장치(100)는 실내에 가습이 필요하지 않은 때에, 자동으로 전자밸브(513)를 닫고, 실내에 가습이 필요한 경우, 자동으로 전자밸브(513)를 열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액체 분사 장치(100)는 습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분사 장치(100)는 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실내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액체 분사 장치(100)는 실내의 습도가 임계 습도 이하인 경우, 전자밸브(513)를 열어서 실내가 가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액체 분사 장치(100)는 실내의 습도가 임계습도 이상인 경우, 전자밸브(513)를 닫아서 실내가 가습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습도는 예를 들어 60%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액체 분사 장치(100)는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는 수도관 또는 액체수집통(54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안개형태로 분사할 수 있다.
제 2 배수관(522)의 타단은 제 3 전자펌프(563)를 통하여 약품통(55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 2 배수관(522)은 제 3 전자펌프(563)를 통하여 약품통(550)으로부터 소독약품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9와 같이 제 2 배수관(522)의 타단은 제 2 밸브그룹(930)을 통하여 약품통(55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 2 밸브그룹(930)의 일단은 약품통(550)에 연결되고 제 2 밸브그룹(930)의 타단은 제 2 배수관(522)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밸브그룹(930)은 필터(931), 제 5 체크밸브(932), 제 2 전자밸브(933) 및 제 3 전자펌프(56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와 다르게 도 10의 제 2 밸브그룹(930)은 3 전자펌프(5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전자펌프(563) 대신 제 3 전자펌프(563)가 이용되므로 비교적 저렴하게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약품통(550)은 액체수집통(540)에 포함될 수 있고, 약품통(550)은 제 2 배수관(522) 또는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보다 낮은 위치에 있을 수 있으며,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는 천장에 연결된 메인프레임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제 3 전자펌프(563)는 낮은 위치의 약품통(550)에 있는 소독약품을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한 경우 약품통(550)에 소독약품을 채워서 실내에 소독약품을 분사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경우, 약품통(550)에 소독약품을 제거하여 실내에 소독약품이 분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액체 분사 장치(100)는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는 약품통(550) 또는 액체수집통(540)으로부터 공급된 소독약품을 안개형태로 분사할 수 있다.
제 2 배수관(522)을 일단은 제 4 전자밸브(1020)를 통하야 약품통(550)에 연결될 수 있다. 제 4 전자밸브(1020)는 제어보드(600)에 의하여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제어보드(600)는 제 3 전자펌프(563)를 동작시킬 때, 제 4 전자밸브(1020)를 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보드(600)는 제 3 전자펌프(563)를 끌 때, 제 4 전자밸브(1020)를 닫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액체수집통(540)은 제 1 배수관(521)으로부터 액체를 수집하는 제 1 액체수집구역(54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체수집통(540)은 제 2 배수관(522)으로부터 액체를 수집하는 약품통(5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9와 다르게 액체수집통(540)의 제 2 액체수집구역(542)은 약품통(550)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제 1 액체수집구역(541)은 약품통(550)과 독립적일 수 있다. 즉, 액체수집통(540)에 포함된 제 1 액체수집구역(541) 및 약품통(550)은 독립적인 공간일 수 있다. 제 1 액체수집구역(541) 및 약품통(550)의 사이에는 분리벽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 1 액체수집구역(541)의 액체는 약품통(550)의 액체와 섞이지 않을 수 있다. 제 1 액체수집구역(541)에는 상수도물 중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에 의하여 분사되고 남은 물이 수집될 수 있다. 또한 약품통(550)에는 소독약품 중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에 의하여 분사되고 남은 소독약품이 수집될 수 있다. 따라서 남은 소독약품은 재활용될 수 있다.
액체수집통(540)은 액체수집통의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제 1 전자펌프(561) 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액체수집구역(541)의 액체는 제 1 전자펌프(561)에 의하여 하수관으로 향할 수 있다. 제 1 전자펌프(561)는 제 1 액체수집구역(541)에 수집된 액체를 배출할 수 있다.
액체수집통(540)은 액체수집통(540)에 제 1 높이까지 액체가 찼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제 1 액체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체수집통(540)은 액체수집통(540)에 제 2 높이까지 액체가 찼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제 2 액체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높이는 제 2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제 1 액체감지센서는 액체수집통(540)의 제 1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액체감지센서는 액체수집통(540)의 제 2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액체감지센서는 액체가 제 1 높이에 도달했음을 감지할 수 있고 제 2 액체감지센서는 액체가 제 2 높이에 도달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액체수집통(540)은 제 1 액체수집구역(541)을 위한 제 1 액체감지센서 및 제 2 액체수집구역(542)을 위한 제 1 액체감지센서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액체수집통(540)은 제 1 액체수집구역(541)을 위한 제 2 액체감지센서 및 제 2 액체수집구역(542)을 위한 제 2 액체감지센서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액체감지센서 및 제 2 액체감지센서는 제 1 액체수집구역(541) 및 제 2 액체수집구역(542)의 액체의 높이를 모두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액체감지센서 및 제 2 액체감지센서는 제 1 액체수집구역(541) 및 제 2 액체수집구역(542)의 사이 있는 분리벽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보드(600)는 제 2 액체감지센서 및 제 1 액체감지센서 중 하나가 고장났을 때 다른 하나를 이용함으로써, 액체수집통(540)에 액체가 일정량이상 저장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보드(600)는 제 1 액체감지센서 또는 제 2 액체감지센서가 액체수집통(540)의 액체가 제 1 높이까지 도달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제 1 전자펌프(561) 및 제 3 전자펌프(563)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켜서 액체수집통으로부터 액체를 배출할 수 있다.
제어보드(600)는 제 1 액체감지센서가 액체수집통(540)의 액체가 제 1 높이까지 도달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제 1 전자펌프(561) 및 제 3 전자펌프(563) 중 적어도 하나를 제 1 출력으로 동작시켜서 액체수집통으로부터 액체를 배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액체수집구역(541)의 액체가 제 1 이까지 도달했다면, 제어보드(600)는 제 1 전자펌프(561)를 제 1 출력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제 1 액체수집구역(541)의 액체는 제 1 전자펌프(561)에 의하여 하수관으로 향할 수 있다. 또한 제 2 액체수집구역(542)의 액체 가 제 1 높이까지 도달했다면, 제어보드(600)는 제 3 전자펌프(563)를 제 1 출력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제 2 액체수집구역(542)의 액체는 제 3 전자펌프(563)에 의하여 다시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로 향할 수 있다.
제어보드(600)는 제 2 액체감지센서가 액체수집통의 액체가 제 2 높이까지 도달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제 1 전자펌프(561) 및 제 3 전자펌프(563) 중 적어도 하나를 제 2 출력으로 동작시켜서 액체수집통(540)으로부터 액체를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출력은 제 2 출력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액체수집구역(541)의 액체 가 제 2 높이까지 도달했다면, 제어보드(600)는 제 1 전자펌프(561)를 제 2 출력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제 1 액체수집구역(541)의 액체는 제 1 전자펌프(561)에 의하여 하수관으로 향할 수 있다. 또한 제 2 액체수집구역(542)의 액체 가 제 2 높이까지 도달했다면, 제어보드(600)는 제 3 전자펌프(563)를 제 2 출력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제 2 액체수집구역(542)의 액체는 제 3 전자펌프(563)에 의하여 다시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로 향할 수 있다.
전자펌프는 출력이 클 수록 큰 소리를 낼 수 있다. 하지만 본 개시의 액체 분사 장치(100)는 제 1 출력 및 제 2 출력을 이용하여 제 1 전자펌프(561) 및 제 3 전자펌프(563)를 동작시키므로, 되도록 작은 소리를 내면서 동작할 수 있다.
액체수집통(540)의 내부에는 UV살균광원이 포함되어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배수관(521) 및 제 2 배수관(522)으로부터 액체수집통(540)으로 흘러 들어온 액체는 UV살균광원에 의하여 소독될 수 있다. 또한 소독된 액체는 다시 제 1 배수관(521) 또는 제 2 배수관(522)을 통하여 하수관 또는 제 2 액체분사부(122)에 의하여 실내에 분사될 수 있다. UV살균광원은 제 1 액체수집구역(541) 및 제 2 액체수집구역(542) 모두를 살균할 수 있다.
제어보드(600)는 사용자의 입력을 입력부 또는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제어보드(600)는 입력부 또는 통신부를 통하여 복수의 액체분사부(120)를 켤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전자밸브(513)를 열거나 제 3 전자펌프(563)를 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보드(600)는 통신부 또는 입력부로부터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의 켜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전자밸브(513)를 열고,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 때, 수동밸브(511)는 사용자가 열어놓은 상태여야 할 수 있다. 액체 분사 장치(100)는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를 통하여 안개형태의 물을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보드(600)는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가 켜진 경우, 살균 조명부(130) 역시 켜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보드(600)는 통신부 또는 입력부로부터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의 켜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 3 전자펌프(563)를 동작시키고,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를 동작시키고, 제 4 전자밸브(1020)를 열수 있다. 액체 분사 장치(100)는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를 통하여 안개형태의 소독약품을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보드(600)는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가 켜진 경우, 살균 조명부(130) 역시 켜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가 분사 중인 상태이고, 통신부 또는 입력부로부터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의 꺼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보드(600)는 전자밸브(513) 및 제 3 전자밸브(1010) 중 적어도 하나를 닫고,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를 미리 정해진 제 1 시간동안 동작시킬 수 있다. 전자밸브(513) 및 제 3 전자밸브(1010) 중 적어도 하나를 닫으면, 제 1 배수관(521)의 액체가 소모되기만 할 뿐,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제 1 배수관(521)에 갇힌 물은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에 의하여 제 1 시간동안 소모되거나 액체수집통(540)으로 수집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전자펌프(561)에 의하여 액체수집통(540)에 있는 액체가 제 1 배수관(521)에 공급되더라도,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는 미리 정해진 제 1 시간동안 동작시켜서 제 1 배수관(521)의 내부의 액체를 소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전자펌프(561)가 동작하여 제 1 배수관(521)의 내부에 액체가 공급되는 경우라도, 사용자에게 액체방울이 떨어지는 상황이 방지될 수 있다.
제어보드(600)는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에 대한 꺼짐 신호를 수신한 경우, 즉시 살균 조명부(130)를 끄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보드(600)는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에 대한 꺼짐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 1 시간동안 살균 조명부(130)를 켜둔 후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와 동시에 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의 꺼짐 입력을 수신했을 때, 제어보드(600)는 액체수집통(540)의 제 1 액체감지센서 및 제 2 액체감지센서가 액체를 감지하지 않았더라도 제 1 전자펌프(561)를 동작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가 꺼진 후 불측의 상황에서 액체수집통(540)에 액체가 차올라서 액체 방울이 사용자에게 또는 지면으로 떨어지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보드(600)는 제 1 액체감지센서 및 제 2 액체감지센서가 액체를 감지한 경우, 제 1 전자펌프(561)를 동작시킬 수 있다.
제 1 시간은 미리 정해진 시간일 수 있으나, 제어보드(600)는 적응적으로 제 1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의 꺼짐 입력을 수신했을 때, 액체수집통(540)의 제 1 액체감지센서 또는 제 2 액체감지센서가 액체를 감지했거나, 또는 제 1 전자펌프(561)가 동작하고 있는 경우, 제어보드(600)는 미리 정해진 제 1 시간에 미리 정해진 서브 시간을 더하여 제 1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제 1 시간은 5초 이상 20초 이하의 값일 수 있다. 또한 서브 시간은 5초 이상 20초 이하의 값일 수 있다.
제어보드(600)는 제 1 시간이 지난 후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를 끌 수 있다.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와 액체수집통(540)의 사이에는 제 3 전자밸브(1010)가 위치할 수 있다. 제 1 시간 동안 전자밸브(513) 및 제 3 전자밸브(1010) 중 적어도 하나를 닫은 채로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에 의하여 제 1 배수관(521) 내부의 액체를 소모하였으며 전자밸브(513) 및 제 3 전자밸브(1010)에 의하여 공기 또는 액체와 같은 유체의 공급이 방지되므로, 제 1 배수관(521) 내부의 압력은 대기압보다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배수관(521) 내부의 액체는 제 1 배수관(521)의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액체 분사 장치(100)로부터 액체가 지면으로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가 제 1 시간동안 액체를 소모하게 하여, 제 1 배수관(521)의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배수관(521)의 내부에 액체가 고여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배수관(521)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1 배수관(521)에 고인 물이 지면으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제 1 시간은 5초 이상 20초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시간은 10초일 수 있다.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가 분사 중인 상태이고, 통신부 또는 입력부로부터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의 꺼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어보드(600)는 제 3 전자펌프(563)를 끄거나 제 4 전자밸브(1020)를 닫을 수 있다. 또한 제어보드(600)는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를 미리 정해진 제 1 시간동안 동작시킬 수 있다. 제 2 배수관(522)에 갇힌 물은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에 의하여 제 1 시간동안 소모될 수 있다. 제 2 전자펌프(562)를 끄면, 제 2 배수관(522)의 액체가 소모되기만 할 뿐,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제 2 배수관(522)에 갇힌 액체는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에 의하여 제 1 시간동안 소모되거나, 액체수집통(540)으로 수집될 수 있다. 따라서 제 3 전자펌프(563)가 동작하여 제 2 배수관(522)의 내부에 액체가 공급되는 경우라도, 사용자에게 액체방울이 떨어지는 상황이 방지될 수 있다.
제어보드(600)는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에 대한 꺼짐 신호를 수신한 경우, 즉시 살균 조명부(130)를 끄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보드(600)는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에 대한 꺼짐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 1 시간동안 살균 조명부(130)를 켜둔 후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와 동시에 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보드(600)는 제 1 액체감지센서 및 제 2 액체감지센서가 액체를 감지한 경우, 제 3 전자펌프(563)를 동작시킬 수 있다.
제 1 시간은 미리 정해진 시간일 수 있으나, 제어보드(600)는 적응적으로 제 1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의 꺼짐 입력을 수신했을 때, 액체수집통(540)의 제 1 액체감지센서 또는 제 2 액체감지센서가 액체를 감지했거나, 또는 제 3 전자펌프(563)가 동작하고 있는 경우, 제어보드(600)는 미리 정해진 제 1 시간에 미리 정해진 서브 시간을 더하여 제 1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제 1 시간은 5초 이상 20초 이하의 값일 수 있다. 또한 서브 시간은 5초 이상 20초 이하의 값일 수 있다.
제어보드(600)는 제 1 시간이 지난 후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를 끌 수 있다.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와 액체수집통(540)의 사이에는 제 4 전자밸브(1020)가 위치할 수 있다. 제 1 시간 동안 제 3 전자펌프(563)를 끄고, 제 4 전자밸브(1020)를 닫은 채로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에 의하여 제 2 배수관(522) 내부의 액체를 소모하였으며, 기체 또는 액체를 포함한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였으므로, 제 2 배수관(522) 내부의 압력은 대기압보다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제 2 배수관(522) 내부의 액체는 제 2 배수관(522)의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액체 분사 장치(100)로부터 액체가 지면으로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가 제 1 시간동안 액체를 소모하게 하여, 제 2 배수관(522)의 내부를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배수관(522)의 내부에 액체가 고여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배수관(522)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2 배수관(522)에 고인 액체가 지면으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는 사각형의 액체 분사 장치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과 같이 액체 분사 장치(100)는 원통형을 가질 수 있다. 액체 분사 장치(100)는 천장 고정부(710)를 통하여 천장에 연결될 수 있다. 도 7의 액체 분사 장치(100)는 도 1 및 도 2 의 액체 분사 장치(100)보다 좁은 범위에 가습을 하거나 소독을 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 분사 장치의 동작 모습을 나타낸다.
액체 분사 장치(100)는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 및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 및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는 안개 형태의 액체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121) 및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122)의 사이에는 살균 조명부(130)가 위치할 수 있다. 살균 조명부(130)는 UVA, UVB, UVC 중 적어도 하나를 조사하여 실내 공간을 살균할 수 있다.
이제까지 다양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가 본 개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개시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Claims (8)

  1. 천장에 결합되고 내부에 제 1 배수관 및 제 2 배수관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포함하고,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사각형인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배수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안개 형태의 액체를 분사하며, 서로 일정한 간격을 배치되는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배수관으로부터 소독약품을 공급받아 안개 형태의 액체를 분사하며, 서로 일정한 간격을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 및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살균 조명부;
    상기 제 1 배수관의 일단 및 제 2 배수관의 일단에 연결된 액체수집통; 및
    상기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 및 상기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배수관의 타단은 수도관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으며,
    상기 제 2 배수관의 타단은 약품통에 연결되어 소독약품을 공급받는 상수도 직수형 액체 분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수집통은,
    상기 제 1 배수관으로부터 액체를 수집하는 제 1 액체수집구역; 및
    상기 제 2 배수관으로부터 액체를 수집하는 제 2 액체수집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액체수집구역은 상기 제 2 액체수집구역과 독립적인 상수도 직수형 액체 분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수집통은,
    상기 액체수집통의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제 1 전자펌프 및 제 3 전자펌프 중 적어도 하나;
    상기 액체수집통에 제 1 높이까지 액체가 찼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제 1 액체감지센서; 및
    상기 액체수집통에 제 2 높이까지 액체가 찼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제 2 액체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보드는,
    상기 제 1 액체감지센서가 상기 액체수집통의 액체가 제 1 높이까지 도달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제 1 전자펌프 및 상기 제 3 전자펌프 중 적어도 하나를 제 1 출력으로 동작시켜서 상기 액체수집통으로부터 액체를 배출하고,
    상기 제 2 액체감지센서가 상기 액체수집통의 액체가 제 2 높이까지 도달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제 1 전자펌프 및 상기 제 3 전자펌프 중 적어도 하나를 제 2 출력으로 동작시켜서 상기 액체수집통으로부터 액체를 배출하고,
    상기 제 1 출력은 상기 제 2 출력보다 작으며, 상기 제 1 높이는 상기 제 2 높이보다 작은 상수도 직수형 액체 분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수관의 타단은 밸브그룹을 통하여 상기 수도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배수관의 일단은 제 1 체크밸브를 통하여 상기 액체수집통에 연결되며,
    상기 밸브그룹은,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닫히거나 열리는 수동밸브;
    상기 수도관의 수압을 제 1 배수관이 허용할 수 있는 임계 압력으로 낮추는 감압밸브; 및
    상기 제어보드의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닫히거나 열리는 전자밸브를 포함하는 상수도 직수형 액체 분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배수관의 타단은 제 2 전자펌프를 통하여 상기 수도관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배수관의 일단은 제 2 체크밸브를 통하여 상기 액체수집통에 연결되는 상수도 직수형 액체 분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보드는,
    통신부 또는 입력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의 켜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자밸브를 열고, 상기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가 분사 중인 상태이고, 상기 통신부 또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의 꺼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자밸브를 닫고, 상기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를 미리 정해진 제 1 시간동안 동작시키고,
    상기 제 1 시간이 지난 후 상기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를 끄는 상수도 직수형 액체 분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이 지난 후 상기 제 1 전자펌프를 제 2 시간동안 동작시켜서 상기 액체수집통 내의 액체를 배출하는 상수도 직수형 액체 분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밑면에는 상기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 및 상기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가 삽입되기 위한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 1 액체분사부 및 상기 복수의 제 2 액체분사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밑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높은 곳에서 액체를 분사하는 상수도 직수형 액체 분사 장치.
KR1020220000331A 2022-01-03 2022-01-03 상수도에 연결되고 자외선을 사용하는 가습/방역 장치 KR102385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331A KR102385400B1 (ko) 2022-01-03 2022-01-03 상수도에 연결되고 자외선을 사용하는 가습/방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331A KR102385400B1 (ko) 2022-01-03 2022-01-03 상수도에 연결되고 자외선을 사용하는 가습/방역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5400B1 true KR102385400B1 (ko) 2022-04-13

Family

ID=81213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331A KR102385400B1 (ko) 2022-01-03 2022-01-03 상수도에 연결되고 자외선을 사용하는 가습/방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4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5447B1 (ko) 2022-09-19 2023-06-20 심정식 실내환경 개선을 위한 방역소독 및 가습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0843A (ja) * 2005-06-08 2006-12-21 Sanden Corp 空気浄化装置
KR101771031B1 (ko) * 2016-04-29 2017-08-24 주식회사 인성메디칼 배액물 수집 용기를 포함하는 석션기
KR102026809B1 (ko) * 2019-01-21 2019-11-15 신기택 거점식 축산차량 소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독방법
KR102101612B1 (ko) * 2019-01-31 2020-04-17 주식회사 우정바이오 개별 공간 멸균 제어 및 재사용이 가능한 이동식 격리시스템
KR102111417B1 (ko) * 2019-12-30 2020-05-15 주식회사 이코블록 미세먼지제거 및 안개발생기능을 갖는 사계절용 조경 시설물
KR102284256B1 (ko) * 2021-04-15 2021-07-30 (주) 케이세이프 액체 분사 장치 및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310467B1 (ko) * 2021-05-18 2021-10-08 (주)유신텍 실외 공간의 대기질 관리 설비
KR20210122398A (ko) * 2020-03-31 2021-10-12 황근우 출입구 설치형 에어로졸 스프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0843A (ja) * 2005-06-08 2006-12-21 Sanden Corp 空気浄化装置
KR101771031B1 (ko) * 2016-04-29 2017-08-24 주식회사 인성메디칼 배액물 수집 용기를 포함하는 석션기
KR102026809B1 (ko) * 2019-01-21 2019-11-15 신기택 거점식 축산차량 소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독방법
KR102101612B1 (ko) * 2019-01-31 2020-04-17 주식회사 우정바이오 개별 공간 멸균 제어 및 재사용이 가능한 이동식 격리시스템
KR102111417B1 (ko) * 2019-12-30 2020-05-15 주식회사 이코블록 미세먼지제거 및 안개발생기능을 갖는 사계절용 조경 시설물
KR20210122398A (ko) * 2020-03-31 2021-10-12 황근우 출입구 설치형 에어로졸 스프레이 장치
KR102284256B1 (ko) * 2021-04-15 2021-07-30 (주) 케이세이프 액체 분사 장치 및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310467B1 (ko) * 2021-05-18 2021-10-08 (주)유신텍 실외 공간의 대기질 관리 설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5447B1 (ko) 2022-09-19 2023-06-20 심정식 실내환경 개선을 위한 방역소독 및 가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8658A (ko) 축사용 분진 및 악취 제거 장치
US20070181000A1 (en) Air quality device
KR101807192B1 (ko) 공기 소독 청정기
KR101565952B1 (ko) 소독액 분무 기능을 갖는 에어샤워 장치
CN201267751Y (zh) 使用了植物的空气净化器
KR101260937B1 (ko) 공기청정 겸용 축사환기시스템
KR102188123B1 (ko) 출입자 소독 장치
KR102385400B1 (ko) 상수도에 연결되고 자외선을 사용하는 가습/방역 장치
KR102219356B1 (ko) 자외선 공기 살균기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
KR101253322B1 (ko) 자외선 살균장치
CN101130100A (zh) 具有异物除去机构的空气除菌装置
US20190345701A1 (en) Fluid treatment and disposal system and methods of use
KR101636009B1 (ko) 애완동물 케어 시스템
KR102241673B1 (ko) 실내공기 소독장치
KR200464232Y1 (ko) 다목적 방역 장치
KR102122198B1 (ko) 습식형 공기청정기
KR102617907B1 (ko) 공기정화장치
KR101816517B1 (ko) 친환경 축사
KR100821511B1 (ko) 다기능 출입구용 신발털이장치
KR101565951B1 (ko) 필터오염방지 기능을 포함하는 에어샤워 장치
KR102284256B1 (ko) 액체 분사 장치 및 장치의 동작 방법
KR0139497Y1 (ko) 축사출입용 자동 소독상
KR102286942B1 (ko) 에어샤워 게이트
KR20220047422A (ko) 다기능 에어 타워 시스템
KR20100069633A (ko)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