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064B1 - Hoist device for crane - Google Patents
Hoist device for cra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85064B1 KR102385064B1 KR1020200087888A KR20200087888A KR102385064B1 KR 102385064 B1 KR102385064 B1 KR 102385064B1 KR 1020200087888 A KR1020200087888 A KR 1020200087888A KR 20200087888 A KR20200087888 A KR 20200087888A KR 102385064 B1 KR102385064 B1 KR 1023850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rope
- fixed
- head block
- sheav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965 rop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3
- 239000003638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0789 fasten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42 transportation engine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16—Rope, cable, or chain drives for trolleys; Combinations of such drives with hoisting ge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14—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adapted to operate on crane or bridge structure of particular configuration, e.g. on reinforced concrete girders of rectangular cross-s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7—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for containers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용 호이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헤드블록(210)과 제1 ∼ 8쉬브(220a∼220h), 와이어드럼(230,230'), 제1 ∼ 8로프고정구(240a∼240h), 제1 ∼ 8와이어로프(250a∼250h) 및 구동유닛(260)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컨테이너의 승강시 하중이 16가닥의 제1 ∼ 8와이어로프에 각각 걸리게 됨에 따라 하중의 분산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고, 제1 ∼ 8와이어로프를 통해 좌·우측 와이어드럼으로 가해지던 하중 역시 종래에 비해 획기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1 ∼ 8와이어로프와 좌·우측 와이어드럼 및 제1 ∼ 8쉬브의 직경을 작게 제작할 수 있어 소형화 제작에 유리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ist device for a crane, and the head block 210 and the first to eight sheaves (220a to 220h), the wire drums (230 and 230'), the first to eighth rope fixtures (240a to 240h), the first to It is composed of 8 wire ropes (250a to 250h) and a driving unit (26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the load is applied to each of the first to eighth wire ropes of 16 strands when the container is lifted, the effect of dispersing the load can be expected, and the left and right wire drums through the first to eighth wire ropes Since the applied load can also be remarkably reduced compared to the prior art, the diameters of the 1st to 8th wire ropes, the left and right wire drums and the 1st to 8th sheaves can be made small, which is advantageous for miniaturiz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크레인용 호이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와이어로프와 와이어드럼, 쉬브 및 구동유닛을 소형화할 수 있게 개선한 크레인용 호이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ist device for a cra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ist device for a crane that is improved to miniaturize a wire rope, a wire drum, a sheave, and a drive unit.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를 이송하기 위한 컨테이너 크레인은 선박과 부두사이에서 컨테이너를 싣고 내리는 하역장비로, 컨테이너 크레인의 하역속도는 부두 전체 화물의 처리능력 및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핵심적인 요소이다.In general, a container crane for transporting containers is a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for loading and unloading containers between a ship and a wharf.
그러므로 최근 컨테이너 선박의 대형화로 급변하는 국제 물류환경에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컨테이너 운반의 정밀성과 신속성이 더욱 요구된다.Therefore, in order to quickly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international logistics environment due to the recent enlargement of container ships, the precision and speed of container transportation are more required.
종래에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과정을 살펴 보면, 먼저 트롤리를 통해 배에 선적되어져 있는 컨테이너를 수직으로 상승시켜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다시 차량이 위치한 곳으로 컨테이너를 수직 하강시켜 적재한다.Looking at the process of unloading a container in the prior art, first, a container loaded on a ship through a trolley is vertically raised and mov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n the container is vertically lowered to a location where the vehicle is located and loaded.
도 1은 종래의 크레인을 도시한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rane.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크레인(1)은 지주(2)의 직교방향으로 설치된 붐(3)을 따라 왕복이송하는 트롤리(100)와, 트롤리(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트롤리(100)와 함께 붐(2)을 따라 이동하며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호이스트(20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conventional crane (1) is a
상기 호이스트(200)는 크게 스프레더(spreader)와 연결되는 헤드블록과, 일단이 헤드블록에 전후좌우측에 각각 고정되고 타단이 와이어드럼에 각각 고정되는 8개의 와이어로프와, 와이어로프를 가이드하는 쉬브와, 와이어로프를 감거나 풀어 헤드블록을 승강시키는 와이어드럼과, 구동모터와 브레이크 및 감속기로 구성되어 와이어드럼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유닛으로 구성된다.The
한편, 종래의 호이스트는 다음과 같은 심각한 문제가 있는데, 일단 하나의 와이어드럼에 8가닥의 와이어로프가 연결됨에 따라 컨테이너의 하중이 8가닥의 와이어로프를 통해 하나의 와이어드럼에 집중되므로 이를 견디기 위해서는 와이어드럼의 사이즈는 물론 와이어로프 및 와이어로프를 각각 가이드하는 쉬브의 직경 역시 상대적으로 커질 수밖에 없어 소형화제작에 큰 어려움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hoist has the following serious problems. Once 8 wire ropes are connected to one wire drum, the load of the container is concentrated on one wire drum through the 8 wire ropes. The size of the wire drum as well as the diameter of the wire rope and the sheave guiding the wire rope were relatively large, which made it very difficult to miniaturize the product.
또한, 상기 와이어드럼의 사이즈가 커짐에 따라 와이어드럼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의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커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에 따라 제작업체 선정에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In addition, as the size of the wire drum increas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ize of the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wire drum becomes relatively large, and accordingly, the selection of the manufacturer has to be limited.
더욱이, 와이어드럼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유닛의 구동모터가 단일로 구성됨에 따라 구동모터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고장) 크레인작업을 진행할 수 없게 되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Moreover, as the drive motor of the drive unit for driving the wire drum is configured as a single drive motor, there is a serious problem that the crane operation cannot be performed when the drive motor does not operate (failur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와이어로프와 와이어드럼, 쉬브 및 구동유닛을 소형화할 수 있는 크레인용 호이스트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ist device for a crane capable of miniaturizing a wire rope, a wire drum, a sheave, and a driving uni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동모터를 한 쌍으로 제작하여 어느 하나가 고장나더라도 나머지 하나를 이용해 크레인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크레인용 호이스트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ist device for a crane capable of performing a crane operation using the other one even if one is broken by manufacturing a pair of driving motor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 쌍의 구동모터가 모두 고장나더라도 기어드모터를 이용해 크레인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응급조치가 가능한 크레인용 호이스트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ist device for a crane capable of emergency measures so that a crane operation can be carried out using a geared motor even if a pair of driving motors are both broke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크레인의 붐을 따라 왕복이송하는 트롤리의 하부에 배치되어 트롤리와 함께 붐을 따라 이동하며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호이스트로 구성된 크레인용 호이스트 장치에 있어서,In the hoist device for a crane, which is disposed under the trolley for reciprocating along the boom of the crane and consists of a hoist that moves along the boom with the trolley and ascends and desc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호이스트는,The hoist is
상기 트롤리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판상의 헤드블록과,A plate-shaped head block disposed under the trolley and ascending and desc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헤드블록의 좌단부 상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서로 이격된 제1·2쉬브와,First and second sheaves disposed in paralle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ft end of the head block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헤드블록의 우단부 상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서로 이격된 제3·4쉬브와,A third and fourth sheave disposed in paralle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ight end of the head block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헤드블록의 전단부 상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서로 이격된 제5·6쉬브와,5th and 6th sheave disposed in paralle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head block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헤드블록의 후단부 상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서로 이격된 제7·8쉬브와,7th and 8th sheave disposed in paralle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head block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붐을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상호 대향되게 트롤리의 상부에 배치되는 와이어드럼과,a wire drum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trolley to face each other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boom;
상기 좌측 와이어드럼의 전·후방으로 각각 배치되어 트롤리에 고정되는 제1·2로프고정구와, First and second rope fasteners respectively arranged in front and rear of the left wire drum and fixed to the trolley;
상기 우측 와이어드럼의 전·후방으로 각각 배치되어 트롤리에 고정되는 제3·4로프고정구와, Third and fourth rope fasteners respectively arranged in front and rear of the right wire drum and fixed to the trolley;
상기 와이어드럼 사이로 배치되어 제5·6쉬브의 상부에 각각 위치하며 트롤리에 고정되는 제5·6로프고정구와, 5 and 6 rope fixtures disposed between the wire drums, respectively located on the upper portions of the 5 and 6 sheave, and fixed to the trolley;
상기 와이어드럼 사이로 배치되어 제7·8쉬브의 상부에 각각 위치하며 트롤리에 고정되는 제7·8로프고정구와, 7th and 8th rope fasteners disposed between the wire drums, respectively located on the upper parts of the 7th and 8th sheaves, and fixed to the trolley;
상기 제1로프고정구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1쉬브를 경유해 좌측 와이어드럼에 고정되어 좌측 와이어드럼에 감기거나 풀림으로서 헤드블록을 승강시키는 제1와이어로프와,a first wire rope having one end fixed to the first rope fixture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left wire drum via the first sheave, and elevating the head block by winding or unwinding the left wire drum;
상기 제2로프고정구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2쉬브를 경유해 좌측 와이어드럼에 고정되어 좌측 와이어드럼에 감기거나 풀림으로서 헤드블록을 승강시키는 제2와이어로프와,a second wire rope having one end fixed to the second rope fixture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left wire drum via a second sheave, and elevating the head block by winding or unwinding the left wire drum;
상기 제3로프고정구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3쉬브를 경유해 우측 와이어드럼에 고정되어 우측 와이어드럼에 감기거나 풀림으로서 헤드블록을 승강시키는 제3와이어로프와,a third wire rope having one end fixed to the third rope fixture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right wire drum via a third sheave, and elevating the head block by winding or unwinding it on the right wire drum;
상기 제4로프고정구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4쉬브를 경유해 우측 와이어드럼에 고정되어 우측 와이어드럼에 감기거나 풀림으로서 헤드블록을 승강시키는 제4와이어로프와,a fourth wire rope having one end fixed to the fourth rope fixture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right wire drum via a fourth sheave, and elevating the head block by winding or unwinding it on the right wire drum;
상기 제5로프고정구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5쉬브를 경유해 우측 와이어드럼에 고정되어 우측 와이어드럼에 감기거나 풀림으로서 헤드블록을 승강시키는 제5와이어로프와,a fifth wire rope having one end fixed to the fifth rope fixture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right wire drum via a fifth sheave, and elevating the head block by winding or unwinding it on the right wire drum;
상기 제6로프고정구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6쉬브를 경유해 우측 와이어드럼에 고정되어 우측 와이어드럼에 감기거나 풀림으로서 헤드블록을 승강시키는 제6와이어로프와,a sixth wire rope having one end fixed to the sixth rope fixture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right wire drum via the sixth sheave, and elevating the head block by winding or unwinding the right wire drum;
상기 제7로프고정구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7쉬브를 경유해 우측 와이어드럼에 고정되어 우측 와이어드럼에 감기거나 풀림으로서 헤드블록을 승강시키는 제7와이어로프와,a seventh wire rope having one end fixed to the seventh rope fixture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right wire drum via the seventh sheave, and elevating the head block by winding or unwinding it on the right wire drum;
상기 제8로프고정구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8쉬브를 경유해 좌측 와이어드럼에 고정되어 좌측 와이어드럼에 감기거나 풀림으로서 헤드블록을 승강시키는 제8와이어로프와,an eighth wire rope having one end fixed to the eighth rope fixture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left wire drum via the eighth sheave, and elevating the head block by winding or unwinding the left wire drum;
상기 와이어드럼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유닛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driving unit that rotates the wire drum in a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여기서, 상기 구동유닛은, Here, the driving unit is
상기 좌·우측 와이어드럼에 각각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a driving motor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wire drums, respectively, to provide driving force;
상기 좌·우측 와이어드럼과 구동모터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해 좌·우측 와이어드럼으로 전달하는 감속기와,a speed reducer install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wire drums and the drive motor to reduc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e motor and transmit it to the left and right wire drums;
상기 감속기를 상호 연결하는 축연결장치와,a shaft connecting device interconnecting the speed reducer;
상기 구동모터와 감속기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의 회전을 멈추도록 하는 브레이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brake installed between the driving motor and the speed reducer to stop the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감속기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의 고장시 구동력을 제공하는 기어드모터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geared motor that is installed in any one of the reduction gears and provides a driving force in case of a failure of the driving motor is further provided with reinforcement.
여기서, 상기 축연결장치는,Here, the shaft connection device,
상기 감속기로부터 각각 인출된 축과,shafts each drawn out from the reduction gear;
상기 축을 상호 연결하는 커플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coupling that interconnects the shafts.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컨테이너의 승강시 하중이 16가닥의 제1 ∼ 8와이어로프에 각각 걸리게 됨에 따라 하중의 분산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고, 제1 ∼ 8와이어로프를 통해 좌·우측 와이어드럼으로 가해지던 하중 역시 종래에 비해 획기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1 ∼ 8와이어로프와 좌·우측 와이어드럼 및 제1 ∼ 8쉬브의 직경을 작게 제작할 수 있어 소형화 제작에 유리하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the load is applied to each of the first to eighth wire ropes of 16 strands when the container is lifted, the effect of dispersing the load can be expected, and the left and right wire drums through the first to eighth wire ropes Since the applied load can also be remarkably reduced compared to the prior art, the diameters of the 1st to 8th wire ropes, the left and right wire drums and the 1st to 8th sheaves can be made small, which is advantageous for miniaturization.
또한, 좌·우측 와이어드럼으로 가해지던 하중이 경감됨에 따라 좌·우측 와이어드럼의 회전토크를 크게 낮출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좌·우측 와이어드럼을 구동하는 구동유닛을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되므로 해당 부품을 제조하는 업체 선정의 폭이 상당히 넓어지게 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s the load applied to the left and right wire drums is reduced, the rotational torque of the left and right wire drums can be greatly reduced, and accordingly, the drive unit that drives the left and right wire drums can be manufactured in a compact siz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ange of selection of companies that manufacture parts is considerably widened.
또한, 구동유닛을 구성하는 구동모터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나더라도 감속기가 축연결장치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나머지 구동모터를 이용해 구동력을 좌·우측 와이어드럼으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if any one of the drive motors constituting the drive unit fails, since the speed reducer is interconnected through the shaft connection device, the driving force can be transmitted to the left and right wire drums using the remaining drive motors, which increases the convenience of us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greatly strengthened.
또한, 구동유닛의 구성으로 기어드모터를 보강해 줌으로서 구동모터가 모두 고장나더라도 기어드모터를 이용해 응급조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긴급상황에 쉽게 대응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운영상의 편의성을 크게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by reinforcing the geared motor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drive unit, even if all the drive motors fail, emergency measures can be taken using the geared motor, making it easy to respond to emergency situations There is an advantage.
도 1은 종래의 크레인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호이스트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호이스트 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호이스트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호이스트 장치의 평면도.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ran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ist device for a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of the hoist device for a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hoist device for a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view of the hoist device for a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호이스트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호이스트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호이스트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호이스트 장치의 평면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ist device for a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of the hoist device for a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hoist device for a c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lan view of a hoist device for a crane according to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용 호이스트 장치(200)는, 헤드블록(210)과 제1 ∼ 8쉬브(220a∼220h), 와이어드럼(230,230'), 제1 ∼ 8로프고정구(240a∼240h), 제1 ∼ 8와이어로프(250a∼250h) 및 구동유닛(260)으로 구성된 것으로, 이에 의하면 와이어로프 당 부과되는 하중을 줄일 수 있어 와이어로프의 직경 및 와이어드럼 그리고 각 쉬브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줄 수 있고, 와이어드럼에 걸리는 부하를 분산시킬 수 있어 와이어드럼을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와이어드럼이 소형화됨에 따라 소형의 구동유닛 적용이 가능해져 해당 부품 제조업체 선정의 폭이 상대적으로 넓어지는 특징이 있다.2 to 5, the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헤드블록(210)은 직사각형상의 판재로, 본 실시 예의 경우 트롤리(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한다.2 to 5, the
일 예로, 상기 헤드블록(210)의 하부에는 컨테이너를 집거나 놓을 수 있는 스프래더(spreader)가 설치된다.For example, a spreader capable of picking up or placing a container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 8쉬브(220a∼220h)는 헤드블록(210)의 좌·우측단부 및 전·후측단부에 각각 설치되는데, 이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2 to 4, the first to eight
상기 제1·2쉬브(220a,220b)는 헤드블록(210)의 좌단부 상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제3·4쉬브(220c,220d)는 헤드블록(210)의 우단부 상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제5·6쉬브(220e,220f)는 헤드블록(210)의 전단부 상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서로 이격되며, 제7·8쉬브(220g,220h)는 헤드블록(210)의 후단부 상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다.The first and second sheave (220a, 220b) are disposed in paralle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ft end of the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와이어드럼(230,230')은 붐(2:도 1a 참조)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으로 상호 대향되게 트롤리(10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이후에 설명되는 구동유닛(260)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헤드블록(210)이 승강될 수 있게 제1 ∼ 8와이어로프(250a∼250h)를 감거나 풀어주는 역할을 한다.2 to 5 , the wire drums 230 and 230 ′ are installed to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 8로프고정구(240a∼240h)는 제1 ∼ 8와이어로프(250a∼250h)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서, 제1·2로프고정구(240a,240b)는 좌측 와이어드럼(230)의 전·후방으로 각각 배치되어 트롤리(100)에 고정되고, 제3·4로프고정구(240c,240d)는 우측 와이어드럼(230')의 전·후방으로 각각 배치되어 트롤리(100)에 고정되며, 제5·6로프고정구(240e,240f)는 와이어드럼(230,230') 사이로 배치되어 제5·6쉬브(220e,220f)의 상부에 각각 위치하며 트롤리(100)에 고정되며, 제7·8로프고정구(240g,240h)는 와이어드럼(230,230') 사이로 배치되어 제7·8쉬브(220g,220h)의 상부에 각각 위치하며 트롤리(100)에 고정된다.2 to 5, the first to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 8와이어로프(250a∼250h)는 일단이 와이어드럼(230,230')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1 ∼ 8쉬브(220a∼220h)를 경유해 제1 ∼ 8로프고정구(240a∼240h)에 각각 고정되어 와이어드럼(230,230')에 감기거나 풀림으로써 헤드블록(210)을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2 to 5, one end of the first to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와이어로프(250a)는 제1로프고정구(240a)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1쉬브(220a)를 경유해 좌측 와이어드럼(230)에 고정되어 좌측 와이어드럼(230)에 감기거나 풀림으로서 헤드블록(210)을 승강시킨다.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the
상기 제2와이어로프(250b)는 제2로프고정구(240b)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2쉬브(220b)를 경유해 좌측 와이어드럼(230)에 고정되어 좌측 와이어드럼(230)에 감기거나 풀림으로서 헤드블록(210)을 승강시킨다.The
여기서, 상기 제1와이어로프(250a)와 제2와이어로프(250b)의 설치형태를 좌측면에서 보게 되면, 서로‘V’자 형태로 서로 대칭을 이루고 있다.Here, when the installation form of the
상기 제3와이어로프(250c)는 제3로프고정구(240c)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3쉬브(220c)를 경유해 우측 와이어드럼(230')에 고정되어 우측 와이어드럼(230')에 감기거나 풀림으로서 헤드블록(210)을 승강시킨다.One end of the
상기 제4와이어로프(250d)는 제4로프고정구(240d)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4쉬브(220d)를 경유해 우측 와이어드럼(230')에 고정되어 우측 와이어드럼(230')에 감기거나 풀림으로서 헤드블록(210)을 승강시킨다.The
여기서, 상기 제3와이어로프(250c)와 제4와이어로프(250d)의 설치형태를 우측면에서 보게 되면, 서로‘V’자 형태로 서로 대칭을 이루고 있다.Here, when the installation form of the
상기 제5와이어로프(250e)는 제5로프고정구(240e)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5쉬브(220e)를 경유해 좌측 와이어드럼(230)에 고정되어 좌측 와이어드럼(230)에 감기거나 풀림으로서 헤드블록(210)을 승강시킨다.The
상기 제6와이어로프(250f)는 제6로프고정구(240f)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6쉬브(220f)를 경유해 우측 와이어드럼(230')에 고정되어 우측 와이어드럼(230')에 감기거나 풀림으로서 헤드블록(210)을 승강시킨다.The
상기 제7와이어로프(250g)는 제7로프고정구(240g)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7쉬브(220g)를 경유해 우측 와이어드럼(230')에 고정되어 우측 와이어드럼(230')에 감기거나 풀림으로서 헤드블록(210)을 승강시킨다.The seventh wire rope (250g) has one end fixed to the seventh rope fixture (240g)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right wire drum 230' via the seventh sheave (220g) to the right wire drum 230'. The
상기 제8와이어로프(250h)는 제8로프고정구(240h)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8쉬브(220h)를 경유해 좌측 와이어드럼(230)에 고정되어 좌측 와이어드럼(230)에 감기거나 풀림으로서 헤드블록(210)을 승강시킨다.The
여기서, 상기 제5와이어로프(250e)와 제6와이어로프(250f) 그리고 제7와이어로프(250g)와 제8와이어로프(250h)의 설치형태를 전면 또는 배면에서 보게 되면, 서로‘V’자 형태로 대칭을 이루고 있다.Here, when the installation form of the
참고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블록(210)이 특정높이에 있을 때, 제1 ∼ 8와이어로프(250a∼250h)가 이루는‘V’형태의 각도(θ1=θ2=θ3=θ4)는 모두 동일하다.For reference, as shown in FIGS. 3 and 4, when the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유닛(260)은 구동모터(261,261')와 감속기(262,262'), 축연결장치(263) 및 브레이크(264,264')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와이어드럼(230,230')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켜주는 역할을 한다.Referring to FIG. 5 , the driving
일 예로서, 상기 구동모터(261,261')는 와이어드럼(230,230')에 각각 연결되어 구동력을 와이어드럼(230,230')으로 제공해 와이어드럼(230,230')이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As an example, the driving motors 261,261'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wire drums 230 and 230' to provide driving force to the wire drums 230 and 230' so that the wire drums 230 and 230' rotate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일 예로서, 상기 감속기(262,262')는 좌·우측 와이어드럼(230,230')과 구동모터(261,261')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구동모터(261,261')의 회전속도를 감속해 좌·우측 와이어드럼(230,23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As an example, the
일 예로서, 상기 축연결장치(263)는 감속기(262,262')를 상호 연결하는 장치로서, 감속기(262,262')로부터 각각 인출된 축(263a)과 커플링(263b)을 매개로 상호 연결된다.As an example, the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261,261') 중 하나만 적용될 수 있고, 본 발명과 같이 두개가 적용될 수도 있다.Here, only one of the driving motors 261,261' may be applied, or two may be applied as in the present invention.
일 예로, 상기 구동모터(261,261') 중 좌측 와이어드럼(230)과 연결된 구동모터(261)가 고장 나더라도 감속기(262,262')가 축연결장치(263)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우측 와이어드럼(230')에 연결된 구동모터(261')의 구동력을 좌측 와이어드럼(230)에 전달할 수 있다.For example, even if the
일 예로서, 상기 브레이크(264,264')는 구동모터(261,261')와 감속기(262,262')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모터(261,261')의 회전을 멈추도록 하는 제동장치이다.As an example, the
한편, 상기 구동모터(261,261')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난 경우라도 사용은 가능한데, 만일 구동모터(261,261')가 모두 고장인 경우에는 호이스트(200)를 전혀 움직일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it can be used even if any one of the driving motors 261,261' is broken, but if all of the driving motors 261,261' are broke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hoist 200 cannot be moved at all.
이에 본 실시 예의 경우 감속기(262,262') 중 어느 하나에 기어드모터(265)를 설치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였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eared
상기 기어드모터(265)는 전동기(電動機)와 감속기를 하나로 조합한 공지의 장치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구동모터(261,261')의 고장시 조작에 의해 동작되어 구동력을 좌·우측 와이어드럼(230,23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The geared
일 예로서, 상기 기어드모터(265)가 동작하게 되면, 구동력은 축연결장치(263)를 매개로 상호 연결된 감속기(262,262')로 전달되고, 감속기(262,262')와 연결된 좌·우측 와이어드럼(230,230')으로 전달되어 좌·우측 와이어드럼(230,230')이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As an example, when the geared
이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261,261')가 모두 고장나더라도 기어드모터(265)를 이용해 응급조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긴급상황에 쉽게 대응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운영상의 편의성을 크게 강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As such, even if all of the driving motors 261,261 ′ fail, emergency measures can be taken using the geared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호이스트(200)를 이용해 컨테이너(미도시)의 상·하역을 실시하면 되는데,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loading and unloading of containers (not shown) may be performed using the hois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먼저, 헤드블록(210)의 하부에 설치된 스프레더(미도시)가 컨테이너를 파지하게 되면, 구동유닛(260)을 구성하는 구동모터(261,261')가 동작한다.First, when a spreader (not shown) installed under the
상기 구동모터(261,261')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은 축연결장치(263)를 매개로 상호 연결된 감속기(262,262')로 전달되고, 감속기(262,262')는 구동모터(261,261')의 회전속도를 감속해 좌·우측 와이어드럼(230,230')으로 전달하게 되며, 좌·우측 와이어드럼(230,230')는 회전하게 된다.The driving force generated from the driving motors 261,261' is transmitted to the
상기 좌·우측 와이어드럼(230,230')이 회전함에 따라 좌·우측 와이어드럼(230,230')에 각각 연결된 제1 ∼ 8와이어로프(250a∼250h)는 좌·우측 와이어드럼(230,230')에 감기게 되고, 제1 ∼ 8와이어로프(250a∼250h)가 좌·우측 와이어드럼(230,230')에 감기면서 짧아짐에 따라 제1 ∼ 8와이어로프(250a∼250h)가 제1 ∼ 8쉬브(220a∼220h)를 들어올리게 되며, 이로 인해 헤드블록(210)이 자연스럽게 상방으로 승강하게 되면서 스프레더(미도시)에 파지된 컨테이너는 상승하게 된다.As the left and right wire drums 230 and 230' rotate, the first to
한편, 스프레더(미도시)에 파지된 컨테이너를 하강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와 방법의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On the other hand, if you want to lower the container held by the spreader (not shown), you can proce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above method.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컨테이너의 승강시 하중이 16가닥의 제1 ∼ 8와이어로프(250a∼250h)에 각각 걸리게 됨에 따라 하중의 분산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고, 제1 ∼ 8와이어로프(250a∼250h)를 통해 좌·우측 와이어드럼(230,230')으로 가해지던 하중 역시 종래에 비해 획기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1 ∼ 8와이어로프(250a∼250h)와 좌·우측 와이어드럼(230,230') 및 제1 ∼ 8쉬브(220a∼220h)의 직경을 작게 제작할 수 있어 소형화 제작에 유리하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the load is applied to each of the 16 first to 8 wire ropes (250a to 250h) when the container is lifted as described above, the effect of dispersing the load can be expected, and the first to 8 wire ropes can be expected. Since the load applied to the left and right wire drums 230 and 230' through (250a to 250h) can also be remarkably reduced compared to the prior art, the 1st to 8th wire ropes (250a to 250h) and the left and right wire drums 230 and 230 ') and the first to eight sheaves (220a to 220h) can be made small in diameter, which is advantageous for miniaturization.
또한, 상기 좌·우측 와이어드럼(230,230')으로 가해지던 하중이 경감됨에 따라 좌·우측 와이어드럼(230,230')의 회전토크를 크게 낮출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좌·우측 와이어드럼(230,230')을 구동하는 구동유닛(260)을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되므로 해당 부품을 제조하는 업체 선정의 폭이 상당히 넓어지게 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s the load applied to the left and right wire drums 230 and 230' is reduced, the rotational torque of the left and right wire drums 230 and 230' can be greatly reduced, and accordingly, the left and right wire drums 230 and 230' Since the
또한, 상기 구동유닛(260)을 구성하는 구동모터(261,261')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나더라도 감속기(262,262')가 축연결장치(263)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나머지 구동모터(261,261')를 이용해 구동력을 좌·우측 와이어드럼(230,230')으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if any one of the driving motors 261,261' constituting the
또한, 상기 구동유닛(260)의 구성으로 기어드모터(265)를 보강해 줌으로서 구동모터(261,261')가 모두 고장나더라도 기어드모터(265)를 이용해 응급조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긴급상황에 쉽게 대응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운영상의 편의성을 크게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by reinforcing the geared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only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it is natural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natural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elong to the appended claims.
1: 크레인 2: 지주 3: 붐
100: 트롤리 200: 호이스트 210: 헤드블록
220a∼220h: 제1 ∼ 8쉬브 230,230': 와이어드럼
240a∼240h: 제1 ∼ 8로프고정구 250a∼250h: 제1 ∼ 8와이어로프
260: 구동유닛 261,261': 구동모터 262,262': 감속기
263: 축연결장치 264,264': 브레이크 265: 기어드모터1: Crane 2: Shoring 3: Boom
100: trolley 200: hoist 210: head block
220a~220h: 1st~8th sheave 230,230': wire drum
240a to 240h: 1st to
260: drive unit 261,261': drive motor 262,262': reducer
263: shaft coupling device 264,264': brake 265: geared motor
Claims (4)
상기 호이스트(200)는,
상기 트롤리(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판상의 헤드블록(210)과,
상기 헤드블록(210)의 좌단부 상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서로 이격된 제1·2쉬브(220a,220b)와,
상기 헤드블록(210)의 우단부 상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서로 이격된 제3·4쉬브(220c,220d)와,
상기 헤드블록(210)의 전단부 상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서로 이격된 제5·6쉬브(220e,220f)와,
상기 헤드블록(210)의 후단부 상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며 서로 이격된 제7·8쉬브(220g,220h)와,
상기 붐(2)을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상호 대향되게 트롤리(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와이어드럼(230,230')과,
상기 좌측 와이어드럼(230)의 전·후방으로 각각 배치되어 트롤리(100)에 고정되는 제1·2로프고정구(240a,240b)와,
상기 우측 와이어드럼(230')의 전·후방으로 각각 배치되어 트롤리(100)에 고정되는 제3·4로프고정구(240c,240d)와,
상기 와이어드럼(230,230') 사이로 배치되어 제5·6쉬브(220e,220f)의 상부에 각각 위치하며 트롤리(100)에 고정되는 제5·6로프고정구(240e,240f)와,
상기 와이어드럼(230,230') 사이로 배치되어 제7·8쉬브(220g,220h)의 상부에 각각 위치하며 트롤리(100)에 고정되는 제7·8로프고정구(240g,240h)와,
상기 제1로프고정구(240a)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1쉬브(220a)를 경유해 좌측 와이어드럼(230)에 고정되어 좌측 와이어드럼(230)에 감기거나 풀림으로서 헤드블록(210)을 승강시키는 제1와이어로프(250a)와,
상기 제2로프고정구(240b)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2쉬브(220b)를 경유해 좌측 와이어드럼(230)에 고정되어 좌측 와이어드럼(230)에 감기거나 풀림으로서 헤드블록(210)을 승강시키는 제2와이어로프(250b)와,
상기 제3로프고정구(240c)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3쉬브(220c)를 경유해 우측 와이어드럼(230')에 고정되어 우측 와이어드럼(230')에 감기거나 풀림으로서 헤드블록(210)을 승강시키는 제3와이어로프(250c)와,
상기 제4로프고정구(240d)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4쉬브(220d)를 경유해 우측 와이어드럼(230')에 고정되어 우측 와이어드럼(230')에 감기거나 풀림으로서 헤드블록(210)을 승강시키는 제4와이어로프(250d)와,
상기 제5로프고정구(240e)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5쉬브(220e)를 경유해 우측 와이어드럼(230')에 고정되어 우측 와이어드럼(230')에 감기거나 풀림으로서 헤드블록(210)을 승강시키는 제5와이어로프(250e)와,
상기 제6로프고정구(240f)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6쉬브(220f)를 경유해 우측 와이어드럼(230')에 고정되어 우측 와이어드럼(230')에 감기거나 풀림으로서 헤드블록(210)을 승강시키는 제6와이어로프(250f)와,
상기 제7로프고정구(240g)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7쉬브(220g)를 경유해 우측 와이어드럼(230')에 고정되어 우측 와이어드럼(230')에 감기거나 풀림으로서 헤드블록(210)을 승강시키는 제7와이어로프(250g)와,
상기 제8로프고정구(240h)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제8쉬브(220h)를 경유해 좌측 와이어드럼(230)에 고정되어 좌측 와이어드럼(230)에 감기거나 풀림으로서 헤드블록(210)을 승강시키는 제8와이어로프(250h)와,
상기 와이어드럼(230,230')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유닛(260)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유닛(260)은,
상기 좌·우측 와이어드럼(230,230')에 각각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261,261')와,
상기 좌·우측 와이어드럼(230,230')과 구동모터(261,261')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구동모터(261,261')의 회전속도를 감속해 좌·우측 와이어드럼(230,230')으로 전달하는 감속기(262,262')와,
상기 감속기(262,262')를 상호 연결하는 축연결장치(263)와,
상기 구동모터(261,261')와 감속기(262,262')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모터(261,261')의 회전을 멈추도록 하는 브레이크(264,26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호이스트 장치.
It is disposed under the trolley 100 that reciprocates along the boom 2 of the crane 1 and moves along the boom 2 together with the trolley 100 for a crane consisting of a hoist 200 that ascends and desc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hoist device,
The hoist 200,
A plate-shaped head block 210 disposed under the trolley 100 and ascending and desc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irst and second sheave (220a, 220b) disposed in paralle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ft end of the head block 21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third and fourth sheaves 220c and 220d disposed in paralle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ight end of the head block 21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5 and 6 sheaves (220e, 220f) disposed in paralle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head block 21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seventh and eighth sheaves (220g, 220h) disposed in paralle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head block 21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re drums 230 and 230'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olley 100 to face each other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boom 2,
First and second rope fasteners 240a and 240b respectively disposed in front and rear of the left wire drum 230 and fixed to the trolley 100;
Third and fourth rope fasteners 240c and 240d respectively disposed in front and rear of the right wire drum 230' and fixed to the trolley 100;
5 and 6 rope fasteners 240e and 240f which are disposed between the wire drums 230 and 230', respectively located on the upper portions of the fifth and sixth sheaves 220e and 220f and are fixed to the trolley 100;
The seventh and eighth rope fixtures (240g, 240h) disposed between the wire drums (230 and 230'), respectively located on the upper parts of the seventh and eighth sheave (220g, 220h) and fixed to the trolley (100);
One end is fixed to the first rope fixture 240a,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left wire drum 230 via the first sheave 220a. A first wire rope (250a) for elevating and,
One end is fixed to the second rope fixture 240b,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left wire drum 230 via the second sheave 220b. And a second wire rope (250b) for elevating,
One end is fixed to the third rope fixture 240c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right wire drum 230' via the third sheave 220c, and the head block 210 by winding or unwinding the right wire drum 230'. ) and a third wire rope (250c) for elevating,
One end is fixed to the fourth rope fixture 240d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right wire drum 230' via the fourth sheave 220d, and the head block 210 is wound or unwound on the right wire drum 230'. ) and a fourth wire rope (250d) for elevating,
One end is fixed to the fifth rope fixture 240e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right wire drum 230' via the fifth sheave 220e, and the head block 210 is wound or unwound on the right wire drum 230'. ) and a fifth wire rope (250e) for elevating,
One end is fixed to the sixth rope fixture 240f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right wire drum 230' via the sixth sheave 220f, and the head block 210 is wound or unwound on the right wire drum 230'. ) and a sixth wire rope (250f) for elevating,
One end is fixed to the seventh rope fixture 240g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right wire drum 230' via the seventh sheave 220g, and the head block 210 by winding or unwinding the right wire drum 230'. ) and a seventh wire rope (250g) for elevating,
One end is fixed to the eighth rope fixture 240h,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left wire drum 230 via the eighth sheave 220h, and the head block 210 is wound around or unwound by the left wire drum 230. And the eighth wire rope (250h) for elevating,
It consists of a driving unit 260 for rotating the wire drums 230 and 230' in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The driving unit 260,
Driving motors 261,261'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wire drums 230 and 230' to provide driving force;
Reducers 262 and 262' respectively install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wire drums 230 and 230' and the driving motors 261,261' to reduc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ing motors 261,261' and deliver them to the left and right wire drums 230 and 230' )Wow,
and a shaft connecting device 263 for interconnecting the reduction gears 262 and 262';
A hoist device for a cran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between the drive motor (261,261') and the speed reducer (262, 262') and consists of brakes (264, 264') for stopping th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261,261').
상기 감속기(262,262')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구동모터(261,261')의 고장시 구동력을 제공하는 기어드모터(265)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호이스트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hoist device for a crane, characterized in that the geared motor 265 which is installed in any one of the reduction gears 262 and 262' and provides driving force when the driving motor 261,261' fails is further provided with reinforcement.
상기 축연결장치(263)는,
상기 감속기(262,262')로부터 각각 인출된 축(263a)과,
상기 축(263a)을 상호 연결하는 커플링(263b)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호이스트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shaft connection device 263 is,
Shafts 263a each drawn out from the reducers 262 and 262',
The hoist device for a cran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oupling (263b) for interconnecting the shaft (263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7888A KR102385064B1 (en) | 2020-07-16 | 2020-07-16 | Hoist device for cra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7888A KR102385064B1 (en) | 2020-07-16 | 2020-07-16 | Hoist device for cra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9556A KR20220009556A (en) | 2022-01-25 |
KR102385064B1 true KR102385064B1 (en) | 2022-04-11 |
Family
ID=80048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7888A KR102385064B1 (en) | 2020-07-16 | 2020-07-16 | Hoist device for cra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85064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949855A (en) | 1988-12-09 | 1990-08-21 | Harnischfeger Corporation | Anti-sway crane reeving apparatus |
US20070158290A1 (en) | 2006-01-12 | 2007-07-12 | Hans Kuenz Gesellschaft M.B.H. | Lifting device |
CN204400458U (en) | 2015-01-07 | 2015-06-17 | 诺尔起重设备(中国)有限公司 | Eight rope hoisting mechanism for trolleys of container handling crane |
US20180141790A1 (en) | 2015-07-03 | 2018-05-24 | Martin PAAL | Hoisting winch assembly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1836B1 (en) * | 2001-11-29 | 2007-10-30 | 주식회사 포스코 | Apparatus for hoisting of over head crane |
KR101112156B1 (en) | 2010-04-08 | 2012-02-22 | 한국과학기술원 | Container crane with multi-stage trolley |
-
2020
- 2020-07-16 KR KR1020200087888A patent/KR10238506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949855A (en) | 1988-12-09 | 1990-08-21 | Harnischfeger Corporation | Anti-sway crane reeving apparatus |
US20070158290A1 (en) | 2006-01-12 | 2007-07-12 | Hans Kuenz Gesellschaft M.B.H. | Lifting device |
CN204400458U (en) | 2015-01-07 | 2015-06-17 | 诺尔起重设备(中国)有限公司 | Eight rope hoisting mechanism for trolleys of container handling crane |
US20180141790A1 (en) | 2015-07-03 | 2018-05-24 | Martin PAAL | Hoisting winch assembl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9556A (en) | 2022-0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382437B1 (en) | Crane apparatus | |
CN201424355Y (en) | Mobile self climbing elevator | |
US6926259B1 (en) | Hoist system | |
WO2010093251A1 (en) | Method and device for hoisting an item by means of a crane | |
CN1252468A (en) | Multiple strand twisted synthetic fibrous rope | |
KR102385064B1 (en) | Hoist device for crane | |
EP0365672B1 (en) | Deepwater extended hook travel attachment | |
US20030019828A1 (en) | Hoist apparatus using a counter weight technology | |
US9963327B2 (en) | Frustoconical drum winch for lifting loads with hook reduced approximation lifting height | |
EP1198406B1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container handling device | |
WO2013161037A1 (en) | Elevator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guide rail for same | |
KR102437147B1 (en) | Container crane | |
JP5031558B2 (en) | Elevator equipment | |
JP6610914B2 (en) | Inspection method for elevator safety device | |
KR102467426B1 (en) |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car lift | |
CN210192717U (en) | Steering lifting device for lifting object | |
KR102527774B1 (en) | Smart automatic hook device | |
JP2006240819A (en) | Multi-car elevator device | |
CN214653242U (en) | Hoisting type lifting device | |
NL2026970B1 (en) | Crane for handling a cable-suspended loa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crane and use of such a crane. | |
CN214359889U (en) | Lifting machine for building engineering | |
EP3738915B1 (en) | Koepe hoist | |
CN112374351B (en) | Lifting appliance adjusting device and crane | |
CN214935260U (en) | Lifting appliance | |
JP5657986B2 (en) | cra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