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107B1 - 300kW 모의부하기 - Google Patents

300kW 모의부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107B1
KR102384107B1 KR1020210192156A KR20210192156A KR102384107B1 KR 102384107 B1 KR102384107 B1 KR 102384107B1 KR 1020210192156 A KR1020210192156 A KR 1020210192156A KR 20210192156 A KR20210192156 A KR 20210192156A KR 102384107 B1 KR102384107 B1 KR 102384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mulated load
test
unit
load
simu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2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웅구
Original Assignee
(주)보성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성테크 filed Critical (주)보성테크
Priority to KR1020210192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1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0Testing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72Fan mounting or fan specif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sts Of Circuit Breakers, Generators, And Electric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00kW 모의부하기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에는 바퀴가 형성되어 있어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전면에는 차량과 연결된 후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검사대상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설정된 테스트 전압 및 전력 소모량에 따라 부하를 발생시키는 모의 부하부와, 상기 모의 부하부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검사대상물과 상기 모의 부하부를 연결하기 위한 다수 개의 케이블이 권취되어 있는 케이블보관부와, 상기 이송부에 형성되며 상기 모의 부하부 및 상기 검사대상물의 상태를 판단하고 설정된 상태로 자세 및 작동환경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300kW 모의부하기{300kw load bank for electrical dummy}
본 발명은 300kW 모의부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야전이나 격오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동이 용이하고 다양한 환경에서 전원장치가 정상동작되는지 테스트할 수 있는 300kW 모의부하기에 관한 것이다.
자체 발전시설 등에서 생산하는 전력이나, 격오지에 전송되는 전력은 노이즈 성분이 유입되거나 전압 및 전류의 변동이 심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공급되는 전력의 품질이 낮을 수 있으므로, 실제로 장비에 전력을 공급하기 전에 테스트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발전기, 주파수 변환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등과 같은 전원장비를 점검하거나, 수리한 후에는 전력의 품질이 양호한지 테스트해야 한다.
특히 군의 이동무기장치에 사용되는 전원장비의 전력은, 신뢰성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전력을 사용하기 전에 품질을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즉, 전원장비에서 생산되는 교류전력을 테스트 없이, 그냥 사용하게 되는 경우, 해당 장비나 설비의 수명이 단축되거나 장비 및 부품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생산되는 전력을 테스트하기 위해 모의 부하기를 사용한다.
모의 부하기는 전원장비에서 생산되는 교류전력을 공급 받으며, 부하용량을 다양하게 변경하면서 해당 전력의 품질을 확인하게 된다.
즉, 모의 부하기는 실제로 사용되는 장비 및 설비의 전력 소모량을 고려하여 부하를 변동하면서 전력의 품질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모의 부하기는 부하의 변경 범위를 넓게 하기 위해, 많은 수의 저항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모의 부하기의 무게와 부피가 너무 커지게 되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군의 이동무기장치는 야전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주변환경에 따른 영향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되며, 발사 또는 작동 중에 발생되는 진동이나 분진에 의해 발전기에 영향을 줄 수 있는데, 이러한 환경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테스트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7-0025030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전기 또는 전원공급장치를 설비와 직접연결하지 않고 설비의 작동 조건과 유사한 부하를 발생시켜 정상 작동하는지 판단할 수 있는 300kW 모의부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드 환경이나 장치가 동작되는 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구현하여 발전기나 전원공급장치를 검사할 때 필드의 불안정한 상태와 동일한 조건으로 검사할 수 있는 300kW 모의부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전기 또는 전원공급장치가 사용되는 다양한 설비의 종류를 선택하면 테스트 정보가 자동으로 로딩되어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300kW 모의부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300kW 모의부하기는 양측에는 바퀴가 형성되어 있어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전면에는 차량과 연결된 후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검사대상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설정된 테스트 전압 및 전력 소모량에 따라 부하를 발생시키는 모의 부하부와, 상기 모의 부하부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검사대상물과 상기 모의 부하부를 연결하기 위한 다수 개의 케이블이 권취되어 있는 케이블보관부와, 상기 이송부에 형성되며 상기 모의 부하부 및 상기 검사대상물의 상태를 판단하고 설정된 상태로 자세 및 작동환경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300kW 모의부하기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의 부하부와 상기 이송부 사이에 형성되어 충격이나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다수 개의 감쇄기와, 상기 모의 부하부의 하부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모의 부하부가 지면에 따라 수평상태 또는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자세조정기와, 상기 모의 부하부에 형성되며 테스트 전압 및 전력 소모량에 따른 부하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검사대상물과 상기 모의 부하부의 전원을 차단하는 안정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300kW 모의부하기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사대상물이 사용되는 실제 환경에 맞춰 상기 모의 부하부 및 상기 검사대상물의 습도, 진동, 분진, 온도, 자세를 설정된 상태로 조절하여, 작동 중 발생되는 환경요인을 출력함으로써 필드 테스트와 동일한 조건을 구현할 수 있는 환경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300kW 모의부하기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의 부하부 내부에 형성되며 부하에 따라 발생되는 열을 배출하기 위해 냉매를 이용하여 냉풍을 발생시키는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에 형성되며 상기 냉매에 의해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포집하여 습도를 조절하거나, 포집된 수분을 초음파 진동으로 내부를 가습시켜 습도 변화에 따른 상기 검사대상물의 테스트 환경을 변화시키는 습도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300kW 모의부하기의 상기 모의 부하부는 테스트 전압 및 전력 소모량에 따라 상기 검사대상물과 연결된 케이블이 비인가 규격의 케이블인지 판단하는 규격판단기와, 상기 케이블이 부하 테스트 중 발생하는 온도를 측정하고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증가되면 테스트를 중지시켜 화재를 방지하는 화재판단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300kW 모의부하기의 상기 모의 부하부는 상기 검사대상물이 실제 연결되는 운영장치의 규격에 맞는 테스트 전압 및 전력 소모량이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DB)가 저장되어 있어, 상기 모의 부하부에 입력되는 상기 운영장치를 설정하면 필드 테스트에 부합되는 필요한 검사 정보가 자동으로 로딩되어 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300kW 모의부하기의 상기 케이블보관부는 내부에 서로 다른 규격의 케이블이 권취되거나 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다수 개의 케이블릴과, 상기 다수 개의 케이블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릴선택모듈과, 상기 다수 개의 케이블릴에 형성되며 상기 릴선택모듈에 의해 선택된 케이블릴을 회전시켜 상기 케이블을 권취하거나 권출하도록 제어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300kW 모의부하기의 상기 케이블보관부의 상기 모의부하부는 내부에 다수 개의 보조배터리가 형성되어 있어 검사대상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보조배터리를 통해 모의부하부 내부를 냉각시키는 팬을 구동하여 부하를 발생시키는 저항체의 발열로 인해 화재가 발생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00kW 모의부하기에 의하면, 발전기 또는 전원공급장치를 설비와 직접연결하지 않고 설비의 작동 조건과 유사한 부하를 발생시켜 정상 작동하는지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300kW 모의부하기에 의하면, 필드 환경이나 장치가 동작되는 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구현하여 발전기나 전원공급장치를 검사할 때 필드의 불안정한 상태와 동일한 조건으로 검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300kW 모의부하기에 의하면, 발전기 또는 전원공급장치가 사용되는 다양한 설비의 종류를 선택하면 테스트 정보가 자동으로 로딩되어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00kW 모의부하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300kW 모의부하기의 외형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00kW 모의부하기의 감쇄기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00kW 모의부하기의 후면을 나타낸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300kW 모의부하기의 조작패널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300kW 모의부하기의 케이블보관부의 내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300kW 모의부하기의 모의부하부 내부 회로를 나타낸 회로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300kW 모의부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야전이나 격오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동이 용이하고 다양한 환경에서 전원장치가 정상동작되는지 테스트할 수 있는 300kW 모의부하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00kW 모의부하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300kW 모의부하기의 외형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00kW 모의부하기의 감쇄기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00kW 모의부하기의 후면을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300kW 모의부하기의 조작패널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300kW 모의부하기의 케이블보관부의 내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00kW 모의부하기는 양측에는 바퀴(110)가 형성되어 있어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전면에는 차량과 연결된 후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이송부(100)와, 이송부(100)의 상부에 형성되며 검사대상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설정된 테스트 전압 및 전력 소모량에 따라 부하를 발생시키는 모의 부하부(200)와, 모의 부하부(200) 전면에 형성되며 검사대상물과 모의 부하부(200)를 연결하기 위한 다수 개의 케이블이 권취되어 있는 케이블보관부(300)와, 이송부(100)에 형성되며 모의 부하부(200) 및 검사대상물의 상태를 판단하고 설정된 상태로 자세 및 작동환경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송부(100)는 상부에는 적재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 모의 부하부(200), 케이블보관부(300), 제어부(4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에는 바퀴(110)가 형성되어 있어 전면에 연결되는 차량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적재공간에는 필요에 따라 검사대상물을 적치시킬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검사대상물의 환경을 변화시키면서 다양한 테스트를 진행시킬 수도 있게 된다.
이때 이송부(100)는 트레일러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차량과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핀들후크가 마련된 견인봉(120)이 형성되어 있어 차량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송부(100)의 후면에는 후미등(130) 및 방향지시등(140)이 마련되어 있고 견인봉(120)에는 차량과 연동되어 후미등(130) 및 방향지시등(140)이 작동될 수 있도록 커넥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이송부(100)에 형성된 바퀴(110)에도 별도의 제동 장치가 마련되도록 하여 차량과 연동하여 제동장치가 동작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송부(100)의 측면에는 점검이나 케이블을 탈부착할 때 사용되는 공구함(150)이 마련되어 있으며, 공구함(150)에 각종 공구가 마련되어 있어 테스트 중 발생하는 문제를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모의 부하부(200)는 다수 개의 케이블을 이용하여 검사대상물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검사대상물이 실제 연결되어 사용되는 설비 또는 장치와 동일한 부하를 발생시켜 검사대상물이 정상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지 품질을 검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모의 부하부(200)의 양측에는 환풍구(202)가 마련되어 있어 모의 부하 테스트 중에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모의 부하부(200)는 검사대상물과 케이블로 연결된 후 교류전력을 공급 받으며 모의 부하를 발생시키기 위한 테스트 전압 및 전력 소모량을 설정할 수 있도록 부하용량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조작패널(20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검사대상물이 실제로 사용되는 장비 및 설비의 전력 소모량을 고려하여, 조작패널(203)을 작동시켜 부하를 변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모의 부하부(200)는 디지털 형태의 조작패널(203)이 구비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터치 패널 형태의 액정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어, 테스트 전압 및 전력 소모량을 설정 및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모의 부하부(200)는 검사대상물로부터 교류전력을 전달받는 입력커넥터(201)( 병렬용 잭)와, 과온도 차단 스위치, 부하 선택 스위치(204)(OkW, 5kW, 7.5kW, 10kW, 15kW, 20kW, 50kW, 100kW, 100kW), 입력전압 선택 스위치(205)(208V 또는 380V), 위상 점검부, 전압 및 전류 선택 스위치, 전력계, 전류계, 전압계를 표시하는 미터계(208), 주 차단 스위치(206), 주파수 선택스위치(60Hz, 400Hz)를 구비한다.
이때 부하 선택 스위치(204)의 경우 208V와 380V 별로 각각 따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참고적으로 모의 부하부(200)의 주 차단 스위치(206) 및 입력커넥터(201)를 제외한 다른 부분은, 터치 패널 형태로 구성되는 조작패널(203)을 통해서 정보를 확인하거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모의 부하부(200)의 다른 실시예로써, 전원장비로부터 교류전력을 전달받는 입력커넥터(201)(병렬용 잭)와, 과온도 차단 스위치, 부하 선택 스위치(204)(OkW, 5kW, 7.5kW, 10kW, 15kW, 20kW, 50kW, 100kW, 100kW), 입력전압 선택 스위치(205)(208V 또는 380V), 위상 점검부, 전압 및 전류 선택 스위치, 주 차단 스위치(206), 주파수 선택 스위치(60Hz, 400Hz) 등과 같은 스위치 류는 아날로그 방식의 누름 버튼 스위치, 커버나이프 스위치, 텀블러 스위치, 펄스 스위치, 중간 스위치 등과 같이 물리적인 이동에 의해서 동작하는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력계, 전류계, 전압계는 디지털 방식의 계기판(LED 계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모의 부하부(200)는 내부에 직사각 판형의 브라켓을 위치시키고 브라켓과 절연된 상태에서 그 외측을 애자로 감싸며, 애자의 외측을 저항코일로 스프링 형태로 감아서 형성된 저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저항을 복수 개 연결하여 모의 부하체가 형성되고, 모의 부하체를 복수 개 연결하여 모의 부하체 그룹이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모의 부하체 그룹에 교류전력 각각의 상이 연결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인버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적으로, 저항은 고유저항이 높고 온도계수가 낮은 철크롬 2종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온도변화에 따른 저항값의 변동률이 적고 소형 경량화 될 수 있다.
또한 모의 부하부(200)는 교류전력의 전압, 전류, 위상, 주파수를 감지하며 모의 부하부(200)의 설정에 따라, 모의 부하부(200)의 각 저항의 직병렬 연결을 조절함으로써 모의 부하부(200)의 부하값을 조절한다.
모의 부하부(200)는 교류전력의 전압, 전류, 위상, 주파수를 감지한 후, 그 감지 결과를 조작패널(203)에 표시하게 되는데, 교류전력의 전압 및 전류가 시간대 별로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고, 3상 형태의 교류전력의 각 상별위상차이가 표시될 수 있으며, 교류전력의 시간대 별 주파수 변화가 표시될 수 있다.
참고적으로 부하값이 변경될 때, 각 상의 위상차이의 변동이 발생할 경우, 그 부분을 확대해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부하 테스트 결과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부하 테스트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모의 부하부(200)에는 소형 인쇄모듈이 구비되어 부하 테스트 결과를 소형 출력물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모의 부하부(200)는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모드를 자동으로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사용자의 상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주 차단 스위치(206)가 턴오프(TURN OFF)된 상태에서 입력커넥터(201)에 교류전력이 공급 되어야 한다.
이때, 사용자의 실수로 인해, 주 차단 스위치(206)가 턴온(TURN ON)된 상태에서 입력커넥터(201)에 교류전력이 공급될 경우, 안전모드가 자동으로 실행되며, 안전모드에서는 주 차단 스위치(206)가 자동으로 턴오프(TURN OFF)되는 동시에 입력커넥터(201)가 내부에 형성된 감전 방지용 접지단으로 자동 연결되며, 일정시간(5초 내지 10초) 이후에 안전모드가 자동해제 된다.
또한, 부하 선택 스위치(204)는 5kW, 7.5kW, 10kW, 15kW, 20kW, 50kW, 100kW, 100kW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두 OFF된 상태에서는 0kW의 부하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고, 각 부하 선택 스위치(204)를 조합하여 최대 300kW까지 부하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부하 공급은 7.5kW, 15kW, 20kW, 30kW, 45kW, 60kW, 75kW, 100kW, 125kW, 150kW, 175kW, 200kW, 250kW, 300kW의 14가지 단계로 순차적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각 부하 순서가 자동으로 설정되어 진행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조작패널(203)에는 모의 부하부(200)가 동작되고 있는 상태를 안내하는 상태표시창(207)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태표시창(207)은 각 구성요소에 대한 동작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기재된 표시창이 마련되어 있어 구성요소의 동작에 따라 표시창이 점등되면서 동작상태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동작상태 외에 각종 경고 상태를 표시할 수도 있게 되며 사용자는 상태표시창(207)을 통해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케이블보관부(300)는 모의 부하부(200)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케이블이 권취되어 있어 검사대상물과 모의 부하부(200)를 서로 연결할 때 필요한 길이만큼 권출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케이블보관부(300)는 내부에 케이블릴(310)이 형성되어 있어 케이블을 회전시켜 권취하거나 권출할 수 있게 되는데, 케이블의 일측은 검사대상물과 연결되게 되는데 검사대상물이 형성된 위치까지 길이를 연장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케이블의 타측은 모의 부하부(20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케이블의 타측은 모의 부하부(200)에 연결된 상태로 유지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며, 케이블의 일측만 릴에 권취되어 사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보관함에 대한 세부 구성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제어부(400)는 모의 부하부(200)와 검사대상물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모의 부하를 발생하면서 모의 부하부(200)나 검사대상물이 작동할 때 발생되는 이상 상태를 감지하고, 모의 부하부(200)와 검사대상물이 동작되는 자세 및 작동환경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어부(400)는 기본적으로 이송부(100)에 형성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모의 부하부(200) 내부에도 일부 구성이 형성되어 있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작동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통신선이 모의 부하부(200)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물론 모의 부하부(200)와 연결되는 검사대상물의 상태도 통신선을 통해 제어부(400)가 상태를 판단할 수 있게 되며, 이송부(100)의 적재공간에 검사대상물이 적재된 경우 검사대상물의 자세 상태를 판단하고 자세를 변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300kW 모의부하기의 제어부(400)는 모의 부하부(200)와 이송부(100) 사이에 형성되어 충격이나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다수 개의 감쇄기(410)와, 모의 부하부(200)의 하부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며 모의 부하부가 지면에 따라 수평상태 또는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자세조정기(420)와, 모의 부하부(200)에 형성되며 테스트 전압 및 전력 소모량에 따른 부하 상태를 판단하여 검사대상물과 모의 부하부(200)의 전원을 차단하는 안정기(4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감쇄기(410)는 이송부(100)가 이송될 때 모의 부하부(200)와 이송부(100) 사이에 위치되어 이송 중 발생되는 충격을 감소시키고, 이송 중 진동이 발생되었을 때 진동에 의한 상하 방향의 움직임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감쇄기(410)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용 레일(412)이 이격되어 형성되고, 그 사이에 다수 개의 원형으로 된 감쇄링(411)이 형성되어 있어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되면 감쇄링(411)을 따라 이동되면서 충격을 감소시키고 진동을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감쇄링(411)은 다수 개의 독립된 링 형태가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 레일(412)사이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레일(412)에는 감쇄링(411)이 수용될 수 있는 홈이 다수 개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감쇄링(411)을 통해 수직 방향으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력을 억제할 수 있게 되므로 모의 부하부(200)가 이송될 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감쇄링(411)은 코일 스프링 형태로 각각의 링이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레일(412)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진동이나 충격을 다른 방향으로 분산시키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또한 감쇄기(410)는 측면 방향으로 발생되는 힘을 억제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송부(100)와 모의 부하부(200) 하부에는 유압 또는 공압으로 동작되는 실린더 형태의 자세조정기(420)가가 마련되어 있다.
자세조정기(420)는 모의 부하부(200)의 중앙에 형성된 후 하부 가장자리와 연결되어 외부에서 입력되는 유압이나 압력에 따라 돌출되거나 삽입되면서 모의 부하부(200)가 수평상태 또는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자세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자세조정기(420)는 모의 부하부(200)를 수평 방향으로 발생되는 하중을 억제시킬 수 있게 되며, 공압이나 유압에 의해 설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어 이송 중 모의 부하부(200)가 움직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압이나 유압에 의해 자세조정기(420)가 동작될 수 있으므로 모의 부하부(200)가 수평상태로 유지되도록 조절할 수도 있어 경사면에서 검사대상물을 검사할 때 지면으로부터 모의 부하부(200)를 수평상태로 자세를 교정할 수 있어 안정된 자세에서 검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제어부(400)는 자이로스코프나 가속도계가 형성되어 있어 모의 부하부(200)의 자세를 인식할 수 있게 되며, 이를 기반으로 모의 부하부(200)에 대한 자세를 자동으로 교정시킬 수 있게 된다.
안정기(430)는 모의 부하부(200)의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의 부하부(200) 내에 자체적으로 차단기가 마련되어 있으나 검사대상물에서 오작동이 발생되거나 모의 부하부(200)의 외부 요소에서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 이를 차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를 위해 안정기(430)는 모의 부하부(200)와 통신선을 통해 연결되어 입력과 출력 데이터를 수신받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상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모의 부하부(200)의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안정기(430)는 모의 부하부(200)와 연결된 케이블을 이용하여 검사대상물의 전원도 차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안정기(430)의 동작과 동시에 부저음을 출력하고 이상원인을 모의 부하부(200)에서 인쇄시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400)는 검사대상물이 사용되는 실제 환경에 맞춰 모의 부하부(200) 및 검사대상물의 습도, 진동, 분진, 온도, 자세를 설정된 상태로 조절하여, 작동 중 발생되는 환경요인을 출력함으로써 필드 테스트와 동일한 조건을 구현할 수 있는 환경조절기(4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환경조절기(440)는 검사대상물이 실제 야전이나 격오지 등의 실제 필드에서 사용되는 환경과 유사한 환경에서도 동작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습도, 진동, 분진, 온도, 자세를 변경시키면서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검사대상물은 야전이나 격오지에서 사용되는 설비나 장치에 연결되기 때문에 실제 필드상태에서 검사를 수행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 외에도 설지나 장치의 동작할 때 발생되는 분진, 온도, 진동에 의한 오동작 여부도 고려해야 한다.
습도의 경우 야전에서 사용될 때 안개나 우천 상황에 검사대상물이 사용될 때 오작동이 발생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며, 모의 부하부(200)에서 가습 또는 제습 기능이 구현되면서 모의 부하부(200)와 검사대상물의 습도를 조절하게 된다.
진동의 경우 검사대상물이 연결되는 설비나 장치가 동작되면서 발생되는 진동이 모의 부하부(200)에서도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하부면에 다수 개의 진동모터가 형성되어 있거나 자세조정기(420)의 동작에 의해 임의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게 도니다.
분진의 경우 모의 부하부(200)의 하부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시켜 흙먼지가 주위로 퍼질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를 통해 실제 필드에서 사용될 때 흙먼지로 인해 오작동이나 출력이 저하되는 것을 검사할 수 있게 된다.
필요에 따라 이송부(100) 내부에 흙먼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미립자 형태의 흙가루가 형성되어 있고 작동시 이를 대기중으로 비산시켜 테스트할 수도 있다.
온도의 경우 계절에 따라 고온 또는 저온 상태에서 동작되는 것을 테스트하기 위해 모의 부하부(200) 내부에는 냉매를 이용한 냉각기(441)가 마련되어 있어 모의 부하부(200)와 검사대상물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냉각기(441)는 모의 부하부(200)가 작동될 때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해 사용되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정지된 상태에서 온도를 증가시켜 고온에서도 동작이 가능한지 테스트할 수 있고, 케이블을 통해 검사대상물의 팬 기능을 정지시켜 검사대상물도 고온으로 유지시켜 동작상태를 판단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저온의 경우 냉매를 이용한 냉풍을 모의 부하부(200) 내부에서 발생시켜 배출하게 되며 이때 발생되는 냉풍은 검사대상물에도 공급되어 검사대상물이 저온상태로 유지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때 검사대상물에 공급되는 냉풍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별도의 배기관이 마련되어 검사대상물 내부에 공급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세의 경우 검사대상물이 필드에서 사용될 때 경사면에서 사용되었을 때 동작 상태가 양호한지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이송부(100)의 적재공간에 검사대상물을 적재시킨 후 자세조정기(420)를 통해 검사대상물과 모의 부하부(200)의 자세를 변경시켜 특정 기울기에서도 정상 동작하는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환경조절기(440)를 통해 실제 필드에서 사용되는 유사 형태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검사대상물이 다양한 환경에서도 사용 가능한지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400)는 모의 부하부(200) 내부에 형성되며 부하에 따라 발생되는 열을 배출하기 위해 냉매를 이용하여 냉풍을 발생시키는 냉각기(441)와, 냉각기(441)에 형성되며 냉매에 의해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포집하여 습도를 조절하거나, 포집된 수분을 초음파 진동으로 내부를 가습시켜 습도 변화에 따른 검사대상물의 테스트 환경을 변화시키는 습도조절기(44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냉각기(441)는 모의 부하부(200)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냉매 이용하여 냉풍을 발생시켜 모의 부하부(200)가 작동될 때 발생되는 열을 제어하여 모의 부하부(200)가 정상적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냉각기(441)는 냉매를 압축시키기 위한 압축기, 냉매를 증발시키기 위한 증발기, 냉매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팽창밸브, 냉매에 의해 차가워진 공기를 분사하는 냉각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냉각팬은 모의 부하부(200)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압축기, 증발기, 팽창밸브는 모의 부하부(200) 외부에 형성되어 있고, 냉매는 순환되면서 모의 부하부(200) 내부에서 냉각팬에 의해 분사되어 모의 부하부(200)를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냉각팬에서 분사되는 냉풍은 모의 부하부(200) 내부에 분사된 후 모의 부하부(200) 측면 방향에 형성된 환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열을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차가운 냉매가 흐르면서 공기 중의 수분이 응결되는 경우 모의 부하부(200) 내부 습도를 낮출 수 있게 되며, 응결된 수분을 포집한 후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습도조절기(442)는 공기 중의 수분을 포집한 후 이를 임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초음파 진동자가 마련되어 있어 포집된 수분을 진동자를 통해 기화시킨 후 이를 검사대상물로 분사킬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검사대상물 주변의 습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되며, 습도가 증가된 상태에서 검사대상물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테스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300kW 모의부하기의 모의 부하부(200)는 테스트 전압 및 전력 소모량에 따라 검사대상물과 연결된 케이블이 비인가 규격의 케이블인지 판단하는 규격판단기(210)와, 케이블이 부하 테스트 중 발생하는 온도를 측정하고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증가되면 테스트를 중지시켜 화재를 방지하는 화재판단기(2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의 부하부(200)의 측면에는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다수 개의 입력커넥터(201)가 형성되어 있으며, 입력커넥터(201)에는 케이블이 결합됨으로써 검사대상물과 모의 부하부(2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규격판단기(210)는 입력커넥터(201)에 형성되어 있으며 입력커넥터(201)에 삽입되어 연결된 케이블의 규격을 판단하여 테스트 전압 및 전력 소모량을 견딜 수 있는 케이블인지 판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케이블의 규격을 확인하기 위해 규격판단기(210)는 검사대상물에서 출력되는 출력값과 케이블을 통해 모의 부하부(200)로 입력되는 입력값을 이용하여 케이블의 저항값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저항값을 기준으로 케이블의 규격이 검사대상물을 검사할 때 적합한 규격인지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규격이 맞지 않는 경우 부저음과 함께 케이블의 규격을 확인하라는 내용의 경고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규격판단기(210)는 케이블을 통해 모의 부하부(200)에 입력되는 입력값을 이용하여 케이블이 정상적으로 결합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 검사대상물이 검사되는 종류에 따라 케이블이 입력커넥터(201)의 올바른 위치에 결합되었는지 확인할 수도 있게 된다.
화재판단기(220)는 케이블의 온도를 측정하여 케이블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온도 상승 및 화재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입력커넥터(201)에 연결된 케이블의 외부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화재 상태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화재판단기(220)를 통해 케이블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된 것이 감지되면 검사대상물 및 모의 부하부(200)의 작동을 중지시켜 케이블에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저음과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점검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화재판단기(220)는 검사대상물과 모의 부하부(200)를 연결한 케이블의 규격에 따라 설정된 온도가 다르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의 부하부(200)는 검사대상물이 연결되는 운영장치의 규격에 맞는 테스트 전압 및 전력 소모량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DB)(230)가 저장되어 있어, 모의 부하부(200)에 입력되는 운영장치를 설정하면 필드 테스트에 부합되는 필요한 검사 정보가 자동으로 로딩되어 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운영장치는 검사 후 출하되는 검사대상물이 실제로 사용되는 설비나 장치를 의미하며, 운영장치가 실제 동작될 때 발생되는 전력 데이터가 모의 부하부(200)에 형성된 데이터베이스(DB)(230)에 저장되어 있다.
즉, 모의 부하부(200)는 검사대상물이 사용되는 운영장치에 따라 필요한 테스트 전압 및 전력 소모량이 자동으로 셋팅되어 검사대상물을 검사할 수 있게 되며, 데이터베이스(DB)(230)에는 운영장치가 동작되는 상태에 따라 테스트 전압 및 전력 소모량이 자동으로 변동되면서 실제 동작 상태와 동일한 형태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DB)(230)에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검사대상물이 사용되는 운영장치를 선택만 하면 별도의 셋팅없이 자동으로 부하 테스트가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간편하게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으며, 각 동작 상태에 따른 부하를 점검할 때 특정 동작 조건에서 부하율이 감소되는지 검사 기록을 인쇄할 수 있어 검사대상물의 품질을 세부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300kW 모의부하기의 케이블보관부(300)는 내부에 서로 다른 규격의 케이블이 권취되거나 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다수 개의 케이블릴(310)과, 다수 개의 케이블릴(31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릴선택모듈(320)과, 다수 개의 케이블릴(310)에 형성되며 릴선택모듈(320)에 의해 선택된 케이블릴(310)을 회전시켜 케이블을 권취하거나 권출하도록 제어하는 구동모터(3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케이블릴(310)은 케이블을 검사대상물이 위치된 거리까지 길이를 조절하여 배출시켜 케이블의 일측이 검사대상물의 출력단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검사가 완료된 후에는 케이블을 케이블릴(310)에 권취시켜 보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케이블은 검사대상물에서 출력되는 전원에 따라 허용된 규격을 사용해야 하는데, 서로 다른 규격의 케이블이 권취되어 필요한 케이블만 권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케이블릴(310)이 케이블 규격에 따라 다수 개가 마련되어 있다.
이때 각각의 케이블릴(310)에는 서로 다른 규격의 케이블이 마련되어 있으며, 사용의 편리성을 위하여 각 케이블릴(310)에 권취되어 있는 케이블은 모의 부하부(200) 및 검사대상물과 연결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가닥이 하나의 피복으로 감싸져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각 케이블은 규격별로 모의 부하부(200) 및 검사대상물과 연결되는 단자 개수에 따라 여러 가닥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릴선택모듈(320)은 각각의 케이블릴(310)과 연결되어 케이블릴(310)이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검사에 필요한 케이블이 권취된 케이블릴(310)은 케이블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회전될 수 있게 한다.
이때 릴선택모듈(320)은 모의 부하부(200)에서 데이터베이스(DB)(230)에서 선택된 운영장치의 규격에 맞는 테스트 전압 및 전력 소모량에 따라 케이블릴(310)을 자동으로 선택하여 케이블이 권출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수 개의 서로 다른 규격의 케이블이 검사대상물과 모의 부하부(200)에 연결되어야 하는 경우 릴선택모듈(320)은 하나 이상의 케이블릴(310)을 선택하여 선택된 각각의 케이블릴(310)에서 케이블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도 있게 된다.
구동모터(330)는 다수 개의 케이블릴(310)에 동력을 전달하여 릴선택모듈(320)이 선택한 케이블릴(310)을 회전시켜 케이블이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릴선택모듈(320)은 구동모터(330)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이 선택된 케이블릴(310)에만 전달되도록 제어하게 되며, 선택되지 않은 케이블릴(310)은 구동모터(330)의 회전축과 물리지 않도록 방지함으로써 구동모터(330)의 회전과는 관계없이 정지된 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
또한 릴선택모듈(320)에서 선택되지 않은 케이블릴(310)은 중력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별도의 스토퍼가 케이블릴(310)에 마련되어 있어 스토퍼에 의해 회전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동모터(330)는 검사가 종료된 후 케이블이 검사대상물과 모의 부하부(200)에서 분리되면 케이블릴(310)을 회전시켜 케이블이 케이블릴(310)에 내부로 권취되어 회수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릴선택모듈(320)은 케이블이 권취되는 것을 감지하여 케이블의 일측이 케이블 보관함 내부로 삽입되면 이를 감지하여 구동모터(330)가 정지되도록 유도하고, 구동모터(330)의 회전축과 연결된 케이블릴(310)을 분리시켜 구동모터(330)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300kW 모의부하기의 모의부하부 내부 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00kW 모의부하기의 모의부하부는 내부에 다수 개의 보조배터리가 형성되어 있어 검사대상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보조배터리를 통해 모의부하부 내부를 냉각시키는 팬을 구동하여 부하를 발생시키는 저항체의 발열로 인해 화재가 발생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검사대상물인 발전기가 연결되면 발전기로부터 생성되는 전원을 모의부하부가 공급받고, 공급된 전원을 기반으로 저항체를 발열시켜 모의 부하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러나 3상 전력 중 단상으로 구동되는 인버터를 사용하는 경우 3상 발전기와 상밸런스가 맞지 않아 발전기의 트립(trip)이 걸리면서 발전기의 전원이 차단되게 된다.
이때 발전기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에 의해 부하가 발생된 저항체는 발열된 상태로 유지되게 되는데, 발전기의 전원이 차단됨과 동시에 저항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팬도 정지되어 화재가 발생될 수 있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모의부하부 내부에는 다수 개의 보조배터리가 마련되어 있으며, 발전기로부터 공급받은 전력 중 일부로 보조배터리를 충전시키고, 발전기의 트립이 발생된 경우 충전된 보조배터리의 전력을 기반으로 팬을 가동함으로써 모의부하부 내부의 저항체를 냉각시켜 화재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버터는 발전기와 동일한 3상 인버터로 형성하여 상밸런스를 맞춰 발전기의 트립이 발생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00kW 모의부하기에 의하면, 발전기 또는 전원공급장치를 설비와 직접연결하지 않고 설비의 작동 조건과 유사한 부하를 발생시켜 정상 작동하는지 판단할 수 있고, 필드 환경이나 장치가 동작되는 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구현하여 발전기나 전원공급장치를 검사할 때 필드의 불안정한 상태와 동일한 조건으로 검사할 수 있으며, 발전기 또는 전원공급장치가 사용되는 다양한 설비의 종류를 선택하면 테스트 정보가 자동으로 로딩되어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이송부
110 : 바퀴
120 : 견인봉
130 : 후미등
140 : 방향지시등
150 : 공구함
200 : 모의 부하부
201 : 입력커넥터
202 : 환풍구
203 : 조작패널
204 : 부하 선택 스위치
205 : 입력전압 선택 스위치
206 : 주 차단 스위치
207 : 상태표시창
208 : 미터계
210 : 규격판단기
220 : 화재판단기
230 : 데이터베이스
300 : 케이블보관부
310 : 케이블릴
320 : 릴선택모듈
330 : 구동모터
400 : 제어부
410 : 감쇄기
411 : 감쇄링
412 : 레일
420 : 자세조정기
430 : 안정기
440 : 환경조절기
441 : 냉각기
442 : 습도조절기

Claims (7)

  1. 양측에는 바퀴가 형성되어 있어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전면에는 차량과 연결된 후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검사대상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설정된 테스트 전압 및 전력 소모량에 따라 부하를 발생시키는 모의 부하부와;
    상기 모의 부하부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검사대상물과 상기 모의 부하부를 연결하기 위한 다수 개의 케이블이 권취되어 있는 케이블보관부와;
    상기 이송부에 형성되며 상기 모의 부하부 및 상기 검사대상물의 상태를 판단하고 설정된 상태로 자세 및 작동환경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의 부하부와 상기 이송부 사이에 형성되어 충격이나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다수 개의 감쇄기와;
    상기 모의 부하부의 하부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모의 부하부가 지면에 따라 수평상태 또는 기울어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자세조정기와;
    상기 모의 부하부에 형성되며 테스트 전압 및 전력 소모량에 따른 부하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검사대상물과 상기 모의 부하부의 전원을 차단하는 안정기와;
    상기 검사대상물이 사용되는 실제 환경에 맞춰 상기 모의 부하부 및 상기 검사대상물의 습도, 진동, 분진, 온도, 자세를 설정된 상태로 조절하여, 작동 중 발생되는 환경요인을 출력함으로써 필드 테스트와 동일한 조건을 구현할 수 있는 환경조절기와;
    상기 모의 부하부 내부에 형성되며 부하에 따라 발생되는 열을 배출하기 위해 냉매를 이용하여 냉풍을 발생시키는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에 형성되며 상기 냉매에 의해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포집하여 습도를 조절하거나, 포집된 수분을 초음파 진동으로 내부를 가습시켜 습도 변화에 따른 상기 검사대상물의 테스트 환경을 변화시키는 습도조절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의 부하부는
    테스트 전압 및 전력 소모량에 따라 상기 검사대상물과 연결된 케이블이 비인가 규격의 케이블인지 판단하는 규격판단기와;
    상기 케이블이 부하 테스트 중 발생하는 온도를 측정하고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증가되면 테스트를 중지시켜 화재를 방지하는 화재판단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의 부하부는
    상기 검사대상물이 실제 연결되는 운영장치의 규격에 맞는 테스트 전압 및 전력 소모량이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DB)가 저장되어 있어, 상기 모의 부하부에 입력되는 상기 운영장치를 설정하면 필드 테스트에 부합되는 필요한 검사 정보가 자동으로 로딩되어 검사를 수행하고,
    상기 감쇄기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용 레일이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레일 사이에 독립된 다수 개의 원형으로 된 감쇄링이 형성되어 있어 진동이나 충격이 발생되면 감쇄링을 따라 이동되면서 충격을 감소시키고 진동을 분산시켜 수직 방향으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력을 억제할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00kW 모의부하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부하부는
    내부에 다수 개의 보조배터리가 형성되어 있어 검사대상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보조배터리를 통해 상기 모의부하부 내부를 냉각시키는 팬을 구동하여 부하를 발생시키는 저항체의 발열로 인해 화재가 발생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00kW 모의부하기.
KR1020210192156A 2021-12-30 2021-12-30 300kW 모의부하기 KR102384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156A KR102384107B1 (ko) 2021-12-30 2021-12-30 300kW 모의부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156A KR102384107B1 (ko) 2021-12-30 2021-12-30 300kW 모의부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4107B1 true KR102384107B1 (ko) 2022-04-08

Family

ID=81183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2156A KR102384107B1 (ko) 2021-12-30 2021-12-30 300kW 모의부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41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00145A (zh) * 2023-01-05 2023-07-07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测试方法、系统、设备以及存储介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5030U (ko) 1995-11-29 1997-06-20 전원 특성 시험장치
JPH09178612A (ja) * 1995-12-25 1997-07-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模擬負荷の形成方法及びその装置とこの装置を用いたクラッチ負荷試験装置
KR101578521B1 (ko) * 2015-07-29 2015-12-17 (주)보성테크 모의 부하기
JP2020099141A (ja) * 2018-12-18 2020-06-25 三菱電機株式会社 制御装置試験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試験システム
JP6906269B1 (ja) * 2021-01-25 2021-07-21 株式会社辰巳菱機 負荷試験装置
KR20210150819A (ko) * 2020-06-04 2021-12-13 김병국 구동장치용 부하 시험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5030U (ko) 1995-11-29 1997-06-20 전원 특성 시험장치
JPH09178612A (ja) * 1995-12-25 1997-07-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模擬負荷の形成方法及びその装置とこの装置を用いたクラッチ負荷試験装置
KR101578521B1 (ko) * 2015-07-29 2015-12-17 (주)보성테크 모의 부하기
JP2020099141A (ja) * 2018-12-18 2020-06-25 三菱電機株式会社 制御装置試験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試験システム
KR20210150819A (ko) * 2020-06-04 2021-12-13 김병국 구동장치용 부하 시험 장치
JP6906269B1 (ja) * 2021-01-25 2021-07-21 株式会社辰巳菱機 負荷試験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00145A (zh) * 2023-01-05 2023-07-07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测试方法、系统、设备以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6224B2 (en) Hybrid and electric vehicle battery pack maintenance device
US20190105998A1 (en) Hybrid and electric vehicle battery pack maintenance device
US9466992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rvicing high voltage battery packs
US8463563B2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4229687A (en) Temperature maintained battery system
KR102384107B1 (ko) 300kW 모의부하기
CN102545307B (zh) 蓄电池控制装置以及用于辅助供电的方法和系统
WO2013112235A2 (en)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testing apparatus
KR101279684B1 (ko) 전기 자동차용 bms 시뮬레이터
JPWO2013128987A1 (ja) 充電器の検査装置および方法
US8655553B2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vehicle and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CN202975311U (zh) 一种电池管理系统综合性能测试平台
CN110504721A (zh) 移动充电站
KR101838470B1 (ko) 배터리 시험 시스템
CN104808078A (zh) 一种用于电池管理系统功能测试的测试系统
JP2013094048A (ja) 車両用充電装置の携帯型検査装置
CN204835645U (zh) 一种便携式交流220v试验电源
KR20180113800A (ko) 이동형 에너지저장장치
CN201355380Y (zh) 智能式现场高压试验车
WO2023120282A1 (ja) 電池監視装置、電池輸送機器、電池監視方法
CN103728562B (zh) 确定车辆的蓄电池组的电池单元的电压的方法、系统及车辆
CN114074528B (zh) 运输气候控制系统的闭环反馈控制和诊断
CN207339307U (zh) 用于电动车辆静态检测的设备
CN103625346B (zh) 开关柜类设备移动式检测装置
US3599094A (en) Tester for storage batteries and voltage regulators including differential voltage indicator and null adjusting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