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887B1 - 제습기 - Google Patents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887B1
KR102383887B1 KR1020150020869A KR20150020869A KR102383887B1 KR 102383887 B1 KR102383887 B1 KR 102383887B1 KR 1020150020869 A KR1020150020869 A KR 1020150020869A KR 20150020869 A KR20150020869 A KR 20150020869A KR 102383887 B1 KR102383887 B1 KR 102383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issipation
blower
air
control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8800A (ko
Inventor
서원교
윤대덕
이의순
이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Priority to KR1020150020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887B1/ko
Publication of KR20160098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8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54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56Cooling being a secondary asp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습기를 개시한다. 개시된 제습기는, 본체와, 이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상기 본체로 흡입하는 송풍부와, 이 송풍부를 제어하도록 본체에 구비되는 제어유닛과, 송풍부에 의해 이송되는 공기를 통해 제어유닛을 방열시키도록 송풍부와 제어유닛을 연결하는 방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습기{DEHUMIDIFIER}
본 발명은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순환팬의 바람을 이용하여 제어를 위한 제어기의 방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습기는 본체 내부에 냉동사이클장치를 구성하는 압축기, 응축기 및 증발기 등이 설치된다. 즉 냉매가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스가 대기중으로 방열되어 저온고압으로 변하는 응축기가 본체의 좌측 상부에 설치되고, 이와 대응되는 우측 상부에 응축기를 거친 냉매가스가 모세관을 거치면서 저온저압으로 변한 상태에서 실내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가 설치된다.
또한, 증발기와 응축기의 사이에 실내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키는 순환팬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습기는 냉매가스가 압축기와 응축기 및 증발기를 거치면서 실내공기가 제습되는 것으로서, 순환팬에 의해 강제순환되는 실내공기가 증발기를 거치면서 순간적으로 냉각되고 이에 포함된 수분이 결로되어 증발기 표면에 이슬로 맺히게 된다.
또한, 제습기는 순환팬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인버터(Inverter)가 사용되기도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인버터가 적용되는 제습기는 인버터가 협소한 내부에 설치되므로, 방열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한편, 한국 등록특허 제10-0381158호(등록일:2003년04월08일)에는 "제습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순환팬의 바람을 이용하여 제어를 위한 제어기의 방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제습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상기 본체로 흡입하는 송풍부; 상기 송풍부를 제어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제어유닛; 및 상기 송풍부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를 통해 상기 제어유닛을 방열시키도록 상기 송풍부와 상기 제어유닛을 연결하는 방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풍부는, 공기유입구 및 공기송풍구를 구비하는 안내덕트; 상기 안내덕트의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이 결합되도록 상기 안내덕트에 결합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안내덕트의 내부 공기가 접촉하도록 상기 안내덕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열부는, 상기 송풍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송풍부에 형성되는 방열구멍; 및 상기 방열구멍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어유닛에서 돌출 형성되는 방열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종래 기술과 달리 제어를 위한 제어기측으로 순환팬의 바람을 유도함으로써, 제어기의 방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요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요부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요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100)는 공기흡입구(110a) 및 공기토출구(110b)를 구비하는 본체(110)와, 이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부(120)와, 이 송풍부(120)를 제어하는 제어유닛(130)과, 이 제어유닛(130)의 방열을 위한 방열부(14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전면패널(111), 후면패널(113) 및 상면패널(115)을 포함하며, 후면패널(113)에 공기흡입구(110a)가 형성되고, 상면패널(115)에 공기토출구(110b)가 형성된다. 이때, 상면패널(115)에는 공기토출구(110b)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토출덕트(117)가 구비된다.
또한, 본체(110)는 공기흡입구(110a)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습기를 제거하도록 공기흡입구(110a)와 송풍부(120) 사이에 응축기(118)와 증발기(119)를 구비한다.
송풍부(120)는 제습기(100)의 크기를 보다 슬림화할 수 있도록 안내덕트(121), 송풍팬(123) 및 구동모터(125)를 포함한다. 이러한, 송풍부(120)는 송풍팬(123)의 회전을 통해 안내덕트(121) 내부의 공기를 공기토출구(110b)측으로 송풍시킴에 따라 제습기(100) 외부의 공기를 공기흡입구(110a)로 강제흡입시킨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안내덕트(121)는 공기송풍구(127)가 형성되는 케이스(121a)와, 이 케이스(121a)를 커버하며 공기유입구(129)가 형성되는 커버(121b)를 포함한다. 이러한, 안내덕트(121)는 내부에 송풍팬(123)이 위치하고, 케이스(121a)에 구동모터(125) 및 이 구동모터(125)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130)이 결합된다. 이때, 구동모터(125)는 안내덕트(121)에 결합되는 별도의 장착브래킷(125a)을 통해 안내덕트(121)에 고정되고, 제어유닛(130)은 스크류를 통해 안내덕트(121)에 고정된다.
또한, 안내덕트(121)와 제어유닛(130) 사이에는 방열부(140)가 구비되어 송풍팬(123)에 의해 송풍되는 안내덕트(121) 내부의 송풍공기를 제어유닛(130)으로 유도하여 제어유닛(130)의 방열효과를 향상시키게 된다. 이를 통해 제어유닛(130)의 외부를 감싸는 방열판의 크기를 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방열부(140)는 송풍부(120)의 송풍팬(123)에 의해 안내덕트(121)에서 이송하는 공기를 이용하여 제어유닛(130)을 방열시킬 수 있도록 제어유닛(130)과 송풍부(120) 사이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방열부(140)는 제어유닛(130)과 안내덕트(121)의 내부를 연통시킬 수 있도록 안내덕트(121)의 케이스(121a)에 형성되는 방열구멍(141)과, 이 방열구멍(141)으로 삽입되도록 제어유닛(130)에서 돌출 형성되는 방열돌부(143)를 포함한다. 이때, 방열돌부(143)와 방열구멍(141) 사이에는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부재(145)가 구비된다.
이를 통해 안내덕트(121)의 내부를 이송하는 공기가 방열돌부(143)에 접촉하면서 방열시킴에 따라 제어유닛(130)의 방열판을 신속하게 방열시킬 수 있다. 즉, 공냉방식을 통해 제어유닛(130)을 방열시킴으로써, 제어유닛(130)의 방열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100)는 냉매가스가 응축기(118) 및 증발기(119)를 순환하면서 증발기(119)를 냉각시키고, 송풍부(120)에 의해 공기흡입구(110a)로 강제 흡입되는 본체(110)의 외부공기를 증발기(119)에서 열교환시켜 냉각시킨다. 그러면, 공기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기(119)의 표면에 결로되면서 이슬이 맺히게 된다.
그리고, 증발기(119)를 통과한 제습공기는 응축기(118)를 거쳐 송풍부(120)의 안내덕트(121)로 흡입되어 본체(110)의 공기토출구(110b)로 토출된다. 이때, 안내덕트(121)로 흡입되는 제습공기가 방열구멍(141)을 통해 안내덕트(121)의 내부로 노출되는 방열돌부(143)에 접촉되면서 방열돌부(143)를 방열시킨다.
즉, 구동모터(125)의 제어를 위하여 가열되는 제어유닛(130)을 제습공기를 이용하여 공냉시킬 수 있으므로, 제어유닛(130)의 방열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제어유닛(130)의 방열을 위한 방열판의 크기를 보다 슬림하게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제습기 110 : 본체
120 : 송풍부 121 : 안내덕트
123 : 송풍팬 125 : 구동모터
130 : 제어유닛 140 : 방열부
141 : 방열구멍 143 : 방열돌부
145 : 패킹부재

Claims (3)

  1.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상기 본체로 흡입하는 송풍부; 상기 송풍부를 제어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제어유닛; 및 상기 송풍부에 의해 이송되는 공기를 통해 상기 제어유닛을 방열시키도록 상기 송풍부와 상기 제어유닛을 연결하는 방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열부는, 상기 송풍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송풍부에 형성되는 방열구멍;
    상기 방열구멍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어유닛에서 돌출 형성되는 방열돌부; 및
    상기 방열돌부와 상기 방열구멍 사이에 구비되어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는 패킹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공기유입구 및 공기송풍구를 구비하는 안내덕트; 상기 안내덕트의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이 결합되도록 상기 안내덕트에 결합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안내덕트의 내부 공기가 접촉하도록 상기 안내덕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3. 삭제
KR1020150020869A 2015-02-11 2015-02-11 제습기 KR102383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869A KR102383887B1 (ko) 2015-02-11 2015-02-11 제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869A KR102383887B1 (ko) 2015-02-11 2015-02-11 제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800A KR20160098800A (ko) 2016-08-19
KR102383887B1 true KR102383887B1 (ko) 2022-04-08

Family

ID=56874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869A KR102383887B1 (ko) 2015-02-11 2015-02-11 제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38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36069B (zh) * 2019-02-21 2020-07-24 嘉兴市恒泰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活性炭防风蚀的电力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37229A (ja) 2010-12-27 2012-07-19 Panasonic Corp 空気調和機の室外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098U (ko) * 1987-06-23 1989-01-09
KR100347950B1 (ko) * 1999-12-02 2002-08-09 엘지전자주식회사 제습기의 하우징
KR20090002735A (ko) * 2007-07-04 2009-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37229A (ja) 2010-12-27 2012-07-19 Panasonic Corp 空気調和機の室外機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 Y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8800A (ko) 2016-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1008B2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2006058004A (ja) 冷蔵庫
KR0137414B1 (ko) 냉장고의 냉동사이클 배치구조
JP2020180709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6337272B2 (ja) 除湿装置
KR102383887B1 (ko) 제습기
JP2003106569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JP2014023747A (ja) 衣類処理装置
KR20170084658A (ko) 제습기
US9057384B2 (en) Integrated fan
KR102436120B1 (ko) 토출공기의 온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제습기
KR200357621Y1 (ko) 모터의 냉각장치
JP2014184369A (ja) 除湿機
CN106573196B (zh) 除湿机
KR20170000140A (ko) 제습기
KR20160098805A (ko) 제습기
KR101539391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N101452194B (zh) 投影装置
JPH08320135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KR20170001852A (ko) 제습기
CN212138220U (zh) 一种激光器电流源
KR100722451B1 (ko) 벽걸이형 디스플레이장치의 방열장치
KR100347100B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전장실 냉각구조
KR200267632Y1 (ko) 제습기
JP2005083618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