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491B1 - Spare tire moun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Spare tire moun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491B1
KR102383491B1 KR1020180009414A KR20180009414A KR102383491B1 KR 102383491 B1 KR102383491 B1 KR 102383491B1 KR 1020180009414 A KR1020180009414 A KR 1020180009414A KR 20180009414 A KR20180009414 A KR 20180009414A KR 102383491 B1 KR102383491 B1 KR 102383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rope
joint
spare tire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4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90566A (en
Inventor
이철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9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491B1/en
Publication of KR20190090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5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4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6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 B62D43/1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and arrang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2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 B62D43/04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attached beneath the vehicle body
    • B62D43/045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attached beneath the vehicle body the wheel or its cradle being attached to one or more chains or cables for hand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와 이의 고정 및 탈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에 있어서, 기존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의 구조보다 공장 내 작업 편의성이 개선되고, 조립 품질 확인 작업 공정을 저감시킬 수 있는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re tire fixing device and a method for fixing and remo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in the spare tire of a vehicle, the work convenience in the factory is improved compared to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spare tire fixing device, and assembly quality check work The invention relates to a spare tire fixing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process.

Description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와 이의 고정 및 탈거방법{Spare tire mounting apparatus}Spare tire mou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fixing and remov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와 이의 고정 및 탈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에 있어서, 기존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의 구조보다 공장 내 작업 편의성이 개선되고, 조립 품질 확인 작업 공정을 저감시킬 수 있는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re tire fixing device and a method for fixing and remo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in the spare tire of a vehicle, the work convenience in the factory is improved compared to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spare tire fixing device, and assembly quality check work The invention relates to a spare tire fixing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process.

일반적으로, 스페어 타이어는 차량에 장착된 차이어가 펑크나 공기압 저하 등으로 인하여 사용하기 어려울 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타이어이며, 대부분의 차량은 비상 시를 대비하여 항상 스페어 타이어를 구비하여 다니고 있다.In general, a spare tire is an auxiliary tire that can be replaced when it is difficult to use a chire mounted on a vehicle due to a puncture or low air pressure, etc., and most vehicles are always equipped with a spare tire in case of an emergency. .

이러한 스페어 타이어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위치에 장착되고 있으며, 승용차의 경우 대부분 차량 후방의 러기지 룸에 또는 차량의 하부에 위치하는 캐리어를 이용하여 차량의 하부에 장착하여 보관되고 있다.These spare tires are mounted at different positions depending on the type of vehicle, and in most passenger cars, they are installed and stored in a luggage room at the rear of the vehicle or under the vehicle using a carrier located under the vehicle.

종래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 브라켓(2)을 휠 중앙부 홀(6)에 관통시켜서 서포트 브라켓(2)의 플랜지부가 휠(4)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In the conventional spare tire fixing device,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support bracket 2 is penetrated through the wheel center hole 6 so that the flange portion of the support bracket 2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wheel 4 . to be fixed.

그러나 서포트 브라켓(2)의 양측단 사이의 길이가 휠 중앙부 홀(6)의 직경보다 길기 때문에 서포트 브라켓(2)을 휠의 중앙부 홀(6)에 관통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length between both ends of the support bracket 2 is longer than the diameter of the wheel center hole 6,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penetrate the support bracket 2 through the center hole 6 of the wheel.

따라서 공장 내 작업 시간이 증가하거나 오장착의 문제로 인해 후공정에서 서포트 브라켓(2)의 장착이 확실히 완료되었는지 확인하는 공정이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Therefore, there was a problem in which a process of confirming whether the installation of the support bracket 2 was definitely completed in the post-process due to an increase in the working time in the factory or a problem of erroneous mounting was required.

또한, 응급 상황 발생 시 스페어 타이어를 신속하게 탈거하여 교체 작업이 필요하지만 서포트 브라켓(2)을 탈거하는 작업 역시 어렵기 때문에 고객 불만이 발생하거나 서포트 브라켓(2)을 빼내지 못해 타이어 교체 작업이 불가한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in case of an emergency, replacement work is required by quickly removing the spare tire, but since it is also difficult to remove the support bracket (2), customer complaints or tire replacement work is impossible because the support bracket (2) cannot be removed There was one problem.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7966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7966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기존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보다 단순한 구조로 구성하여 고정 및 탈거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공장 내 작업 편의성을 개선하고, 조립 품질 확인 작업 공정을 저감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has a simpler structure than the existing spare tire fixing device to facilitate fixing and dismounting, thereby improving work convenience in the factory and reducing the assembly quality check work process. There is a purpose.

또한, 스페어 타이어의 탈거 방법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응급 상황 시 탈거 작업이 용이하여 고객 만족도를 상승시키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by facilitating the removal method of the spare tire, it is easy to remove the spare tire in an emergency, thereby increasing customer satisfac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에 있어서,In the spare tir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제1브라켓;a first bracket;

제1브라켓과 결합되는 제2브라켓;a second bracket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을 결합시키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의 회전축이 되는 조인트;를 포함하고,Including; a joint that couples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and serves as a rotation shaft of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제1브라켓, 제2브라켓 및 조인트는 서로 다른 로프에 연결되어, The first bracket, the second bracket and the joint are connected to different ropes,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에 연결된 로프에 장력이 발생되면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이 서로 결합되며,When tension is generated in the rop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are coupled to each other,

조인트에 연결된 로프에 장력이 발생되면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ension is generated in the rope connected to the joint,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is released.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 각각은,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내부가 빈 구조이며, 일측면이 개방되어 있고, It has a hollow structure inside, and one side is open,

일단에서의 하면과 상면 사이의 높이가 타단에서의 하면과 상면 사이의 높이보다 높은 단차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between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at one end is a step structure that is higher than the height between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at the other end.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이 서로 결합되었을 때,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의 단차 구조는 서로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step structure of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is symmetrical to each other.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 각각의 일단에는 상면을 관통하는 로프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a rope hole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is formed.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의 일단의 양측면 각각의 하단에는 조인트가 관통하는 조인트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joint hole through which the joint passes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each of both sides of one end of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제1브라켓의 일단 양측면에는 단부로부터 타단을 향하여 일정 깊이의 요철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concave-convex grooves of a predetermined depth are formed on both sides of one end of the first bracket from the end toward the other end.

제2브라켓의 일단 양측면에는 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일정 길이의 요철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convex protrusions of a certain length are formed on both sides of one end of the second bracket toward the outside from the end.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은, 요철홈과 요철돌출부의 결합에 의해 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fixed to each other by coupling the concave-convex groove and the concave-convex protrusion.

로프는,the rope,

상단이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a wire rope whose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spare tire carrier;

와이어로프로부터 분기되며, 하단이 제1브라켓에 형성된 제1로프홀에 고정되는 제1로프;a first rope branching from the wire rope and having a lower end fixed to a first rope hole formed in the first bracket;

제1로프와 동일한 부분에서 와이어로프로부터 분기되며, 하단이 제2브라켓에 형성된 제2로프홀에 고정되는 제2로프;a second rope branching from the wire rope at the same portion as the first rope and having a lower end fixed to a second rope hole formed in a second bracket;

상단이 와이어로프에 연결되며, 하단이 조인트에 연결되는 조인트로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wire rope, the lower end is a joint rope connected to the joi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와이어로프에서 제1로프와 제2로프가 분기되는 부분에는, 제1로프와 제2로프의 상단을 지지하기 위한 분기링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ranch link for supporting the upper ends of the first rope and the second rope is mounted on a portion where the first rope and the second rope are branched from the wire rope.

조인트로프의 중간 부분에는 와이어로프의 하단이 연결되는 조인트로프 링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joint rope link 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wire rope is connected is mounted in the middle part of the joint rope.

조인트로프에서 조인트로프의 상단과 조인트로프 링크 사이에 고리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ing part is mount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joint rope and the joint rope link in the joint rope.

조인트로프의 상단은 분기링크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end of the joint rop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above the branch link.

조인트로프의 길이는, The length of the joint rope is,

제1브라켓의 하면과 상면 사이의 길이와 제1로프의 길이를 합친 것 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nger than the sum of the length between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racket and the length of the first rop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의 고정방법에 있어서,In the fixing method of the spare tir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조인트로프에 장착된 고리부가 상측으로 당겨지는 단계;The step of pulling the hook portion mounted on the joint rope upward;

조인트로프에 장력이 발생되는 단계;generating tension in the joint rope;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이 조인트를 회전축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브라켓 제1회전단계;a first bracket rotation step in which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rotate in different directions using the joint as a rotation axis;

제1브라켓의 하면과 제2브라켓의 하면이 서로 맞닿는 단계;abut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racket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racket;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을 스페어 타이어 휠의 중앙부 홀 내측으로 삽입하는 단계;inserting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into the center hole of the spare tire wheel;

고리부를 상측으로 당기는 힘이 해제되는 단계;The step of releasing the force pulling the ring portion upward;

조인트로프에 작용하는 장력이 해제되는 단계;The step of releasing the tension acting on the joint rope;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의 자중에 의해 와이어로프에 장력이 발생되는 단계;generating tension in the wire rope by the weights of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이 브라켓 제1회전단계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단계;rotating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in opposite directions to the first rotating step of the bracket;

제1브라켓의 요철홈과 제2브라켓의 요철돌출부가 서로 결합되어 고정장치의 고정이 완료되는 단계;Completing the fixing of the fixing device by coupling the uneven groove of the first bracket and the uneven protrusion of the second bracket to each other;

를 포함한다.include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의 탈거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removing a spare tir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조인트로프에 장착된 고리부가 상측으로 당겨지는 단계;The step of pulling the hook portion mounted on the joint rope upward;

조인트로프에 장력이 발생되는 단계;generating tension in the joint rope;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이 조인트를 회전축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브라켓 제1회전단계;a first bracket rotation step in which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rotate in different directions using the joint as a rotation axis;

제1브라켓의 하면과 제2브라켓의 하면이 서로 맞닿는 단계;abut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racket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racket;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을 스페어 타이어 휠의 중앙부 홀 외측으로 탈거하는 단계;removing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to the outside of the center hole of the spare tire wheel;

를 포함한다.includes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보다 단순한 구조로 구성되어 고정 및 탈거가 용이해짐으로써 공장 내 작업편의성이 개선되고, 조립 품질 확인 작업 공정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has a simpler structure than the existing spare tire fixing device, fixing and dismounting are easy, so that work convenience in a factory is improved, 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assembly quality check work process.

또한, 스페어 타이어의 탈거 방법이 용이하기 때문에 응급 상황 시 탈거 작업이 용이하여 고객 만족도가 상승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ethod of removing the spare tire is easy, it is easy to remove the spare tire in an emergency, so that customer satisfaction can be increased.

도 1은 종래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의 개념도.
도 2는 종래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의 고정 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의 조립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의 로프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의 고정 초기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의 고정 완료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의 탈거 시 개념도.
1 is a conceptual view of a conventional spare tire fixing device.
2 is a conceptual view of a conventional spare tire fixing device fixed.
3 is an exploded view of a spare tir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assembly view of a spare tir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rope of the spare tir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initial conceptual view of fixing a spare tir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view of the completion of fixing of the spare tir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ceptual view when the spare tir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nfiguration in each drawing is sometimes illustrat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와 이의 고정 및 탈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에 있어서, 기존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의 구조보다 공장 내 작업 편의성이 개선되고, 조립 품질 확인 작업 공정을 저감시킬 수 있는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re tire fixing device and a method for fixing and remo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in the spare tire of a vehicle, the work convenience in the factory is improved compared to the structure of the existing spare tire fixing device, and assembly quality check work The invention relates to a spare tire fixing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process.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의 조립도가 도시되어 있다.3 is an exploded view of the spare tir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assembly view of the spare tir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차량에 장착되는 본 발명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 장치는 제1브라켓(10), 상기 제1브라켓(10)과 결합되는 제2브라켓(18), 상기 제1브라켓(10)과 상기 제2브라켓(18)을 결합시키며 상기 제1브라켓(10)과 상기 제2브라켓(18)의 회전축이 되는 조인트(26)를 포함한다.The spare tir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a vehicle includes a first bracket (10), a second bracket (18)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10), the first bracket (10) and the second bracket (18). ) and includes a joint 26 serving as a rotation shaft of the first bracket 10 and the second bracket 18 .

상기 제1브라켓(10)은 내부가 빈 구조이며, 일측면이 개방되어 있고, 일단에서의 하면과 상면 사이의 높이가 타단에서의 하면과 상면 사이의 높이보다 높은 단차 구조로 형성된다.The first bracket 10 has a hollow interior, one side is open, and is formed in a stepped structure in which the height between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at one end is higher than the height between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at the other end.

상기 제2브라켓(18)은 내부가 빈 구조이며, 일측면이 개방되어 있고, 일단에서의 하면과 상면 사이의 높이가 타단에서의 하면과 상면 사이의 높이보다 높은 단차 구조로 형성된다.The second bracket 18 has a hollow inside structure, one side is open, and has a stepped structure in which the height between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at one end is higher than the height between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at the other end.

즉, 상기 제1브라켓(10)의 일단과 상기 제2브라켓(18)의 일단이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브라켓(10)과 상기 제2브라켓(18)의 크기 및 단차 구조는 서로 대칭이 된다.That is, when one end of the first bracket 10 and one end of the second bracket 18 are coupled to face each other, the size and step structure of the first bracket 10 and the second bracket 18 are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상기 제1브라켓(10)의 일단에는 상면을 관통하는 제1로프홀(12)이 형성되고, 상기 제1브라켓(10) 일단의 양측면 각각의 하단에는 상기 조인트(26)가 관통하는 제1조인트홀(14)이 형성된다.A first rope hole 12 penetrating an upper surfac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bracket 10, and a first joint through which the joint 26 penetrates at the lower end of each of both sides of one end of the first bracket 10. A hole 14 is formed.

상기 제1브라켓(10)의 일단 양측면에는 단부로부터 타단을 향하여 일정 깊이의 요철홈(16)이 형성된다.Concave-convex grooves 16 of a predetermined depth are formed on both sides of one end of the first bracket 10 from one end toward the other.

상기 제2브라켓(18)의 일단에는 상면을 관통하는 제2로프홀(20)이 형성되고, 상기 제2브라켓(18) 일단의 양측면 각각의 하단에는 상기 조인트(26)가 관통하는 제2조인트홀(22)이 형성된다,A second rope hole 20 penetrating an upper surfac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bracket 18, and a second joint through which the joint 26 penetrates at the lower end of each of both sides of one end of the second bracket 18. A hole 22 is formed,

상기 제2브라켓(18)의 일단 양측면에는 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일정 길이의 요철돌출부(24)가 형성된다.Concave-convex protrusions 24 of a certain length are formed on both sides of one end of the second bracket 18 from the end toward the outside.

상기 제1브라켓(10)과 상기 제2브라켓(18)은, 상기 요철홈(16) 내측에 상기 요철돌출부(24)가 삽입되는 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The first bracket 10 and the second bracket 18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coupling in which the concave-convex protrusion 24 is inserted into the concave-convex groove 16 .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의 로프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5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rope of the spare tir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1브라켓(10), 상기 제2브라켓(18) 및 상기 조인트(26)는 서로 다른 로프에 의해 연결된다.The first bracket 10, the second bracket 18, and the joint 26 are connected by different ropes.

상기 로프는, 상단이 상기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28)와, 상기 와이어로프(28)로부터 분기되며 하단이 상기 제1브라켓(10)의 상기 제1로프홀(12)에 고정되는 제1로프(30)와, 상기 제1로프(30)와 동일한 부분에서 상기 와이어로프(28)로부터 분기되며 하단이 상기 제2브라켓(18)의 상기 제2로프홀(20)에 고정되는 제2로프(32)와, 상단이 상기 와이어로프(28)에 연결되며 하단이 상기 조인트(26)에 연결되는 조인트로프(34)로 구성된다.The rope includes a wire rope (28) having an upper end connected to the spare tire carrier, branching from the wire rope (28) and having a lower end fixed to the first rope hole (12) of the first bracket (10). A first rope (30) and a second rope branched from the wire rope (28) at the same portion as the first rope (30) and having a lower end fixed to the second rope hole (20) of the second bracket (18) It consists of two ropes 32 and a joint rope 34 having an upper end connected to the wire rope 28 and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joint 26 .

상기 와이어로프(28)에서 상기 제1로프(30)와 상기 제2로프(32)가 분기되는 부분에는 상기 제1로프(30)와 상기 제2로프(32)의 상단을 지지하기 위한 분기링크(36)가 장착된다.A branch link for supporting the upper ends of the first rope 30 and the second rope 32 at a portion where the first rope 30 and the second rope 32 are branched from the wire rope 28 . (36) is mounted.

상기 조인트로프(34)의 중간부분에는 상기 와이어로프(28)의 하단이 연결되는 조인트로프 링크(34)가 장착된다.A joint rope link 34 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wire rope 28 is connected is mounted in the middle of the joint rope 34 .

상기 제1로프(30)와 상기 제2로프(32)의 길이(a)는 서로 동일하며, 상기 조인트(26)와 조인트로프 링크(38) 사이의 조인트로프(34)의 길이(b)는, 상기 제1브라켓(10)의 하면과 상면 사이의 길이(h)와 상기 제1로프(30)의 길이(a)를 합친 것보다 길어야 한다.The length (a) of the first rope 30 and the second rope 32 is equal to each other, and the length (b) of the joint rope 34 between the joint 26 and the joint rope link 38 is , it should be longer than the sum of the length (h) between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racket (10) and the length (a) of the first rope (30).

상기 와이어로프(28)에 연결되는 상기 조인트로프(34)의 상단은 상기 분기링크(36)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조인트로프(34)에서 상기 조인트로프(34)의 상단과 상기 조인트로프 링크(38) 사이에는 상기 와이어로프(28)에 장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고리부(40)가 장착된다.The upper end of the joint rope 34 connected to the wire rope 28 is positioned above the branch link 36 , and the upper end of the joint rope 34 and the joint rope in the joint rope 34 . A hook portion 40 for generating tension in the wire rope 28 is mounted between the links 38 .

상기 제1브라켓(10)의 요철홈(16)과 상기 제2브라켓(18)의 요철돌출부(24)가 서로 결합된 상태일 때, 상기 조인트로프 링크(38)는 상기 분기링크(36)보다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When the concave-convex groove 16 of the first bracket 10 and the concave-convex protrusion 24 of the second bracket 18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joint rope link 38 is higher than the branch link 36 . will be located on the lower side.

상기 제1브라켓(10)의 요철홈(16)과 상기 제2브라켓(18)의 요철돌출부(24)가 서로 결합되지 않은 상태일 때, 상기 조인트로프 링크(38)는 상기 분기링크(36)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When the concave-convex groove 16 of the first bracket 10 and the concave-convex protrusion 24 of the second bracket 18 are not coupled to each other, the joint rope link 38 becomes the branch link 36 will be located higher.

상기 제1브라켓(10)과 상기 제2브라켓(18)의 자중에 의해 상기 와이어로프(28)에 장력이 작용하게 되면, 상기 제1브라켓(10)의 요철홈(16)에 상기 제2브라켓(18)의 요철돌출부(24)가 삽입되면서 상기 제1브라켓(10)과 상기 제2브라켓(18)이 서로 결합된다.When tension is applied to the wire rope 28 by the weights of the first bracket 10 and the second bracket 18, the second bracket is inserted into the concave-convex groove 16 of the first bracket 10. The first bracket 10 and the second bracket 18 are coupled to each other as the concave-convex protrusion 24 of (18) is inserted.

상기 와이어로프(28)에 작용되는 장력은 상기 와이어로프(28)에 연결된 상기 제1로프 및 상기 제2로프(32)에도 작용되며, 상기 와이어로프(28)에 작용되는 장력의 크기는 반으로 나누어져 상기 제1로프(30)와 상기 제2로프(32) 각각에 동일한 크기로 작용하게 된다.The tension applied to the wire rope 28 is also applied to the first rope and the second rope 32 connected to the wire rope 28, and the magnitude of the tension applied to the wire rope 28 is halved. It is divided and acts on the first rope 30 and the second rope 32 in the same size, respectively.

상기 와이어로프(28)에 장력이 작용할 때, 상기 조인트로프(34)에는 장력이 작용하지 않는다.When tension is applied to the wire rope 28 , no tension is applied to the joint rope 34 .

상기 와이어로프(28)에 장력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고리부(40)를 상측으로 잡아 당기게 되면, 상기 고리부(40)가 잡아당겨지는 힘에 의해 상기 조인트(26)로프에 장력에 작용하게 되고, 상기 제1브라켓(10)과 상기 제2브라켓(18)이 상기 조인트(26)를 회전축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요철홈(16)으로부터 상기 요철돌출부(24)가 탈거되어 상기 제1브라켓(10)과 상기 제2브라켓(18)의 결합이 해제된다.When the ring portion 40 is pulled upward in a state in which tension is applied to the wire rope 28, the tension acts on the rope at the joint 26 by the pulling force of the ring portion 40. As the first bracket 10 and the second bracket 18 rotate in different directions about the joint 26 as a rotation axis, the concave-convex protrusion 24 is removed from the concave-convex groove 16,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bracket 10 and the second bracket 18 is released.

상기 조인트로프(34)에 장력이 작용할 때, 상기 와이어로프(28), 상기 제1로프(30) 및 상기 제2로프(32)에는 장력이 작용하지 않는다.When tension is applied to the joint rope 34 , no tension is applied to the wire rope 28 , the first rope 30 , and the second rope 32 .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의 고정 초기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의 고정 완료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6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initial fixing of the spare tir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diagram showing the completion of fixing of the spare tir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의 고정방법은, The fixing method of the spare tir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상기 조인트로프(34)에 장착된 고리부(40)가 상측으로 당겨지는 단계;The step of pulling the ring portion 40 mounted on the joint rope 34 upwards;

상기 조인트로프(34)에 장력이 발생되는 단계;generating tension in the joint rope (34);

제1브라켓(10)과 제2브라켓(18)이 조인트(26)를 회전축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브라켓 제1회전단계;a first bracket rotation step in which the first bracket 10 and the second bracket 18 rotate in different directions with the joint 26 as a rotation axis;

상기 제1브라켓(10)의 하면과 상기 제2브라켓(18)의 하면이 서로 맞닿는 단계;abut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racket (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racket (18);

상기 제1브라켓(10)과 상기 제2브라켓(18)을 스페어 타이어 휠의 중앙부 홀 (6) 내측으로 삽입하는 단계;inserting the first bracket (10) and the second bracket (18) into the center hole (6) of the spare tire wheel;

상기 고리부(40)를 상측으로 당기는 힘이 해제되는 단계;The step of releasing the force pulling the ring portion 40 upwards;

상기 조인트로프(34)에 작용하는 장력이 해제되는 단계;releasing the tension acting on the joint rope (34);

상기 제1브라켓(10)과 상기 제2브라켓(18)의 자중에 의해 와이어로프(28)에 장력이 발생되는 단계;generating tension in the wire rope (28) by the weight of the first bracket (10) and the second bracket (18);

상기 제1브라켓(10)과 상기 제2브라켓(18)이 상기 브라켓 제1회전단계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단계;rotating the first bracket (10) and the second bracket (18) in opposite directions to the first rotating step of the bracket;

상기 제1브라켓(10)의 요철홈(16)과 상기 제2브라켓(18)의 요철돌출부(24)가 서로 결합되어 고정장치의 고정이 완료되는 단계;a step in which the concave-convex groove 16 of the first bracket 10 and the concave-convex protrusion 24 of the second bracket 18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complete fixing of the fixing device;

를 포함하여 진행된다.is carried out including

상기 조인트로프(34)에 장착된 상기 고리부(40)가 상측으로 당겨지면 상기 와이어로프(28), 상기 제1, 2로프(30, 32)에는 장력이 발생하지 않고 상기 조인트로프(34)에만 장력이 발생하게 된다.When the ring portion 40 mounted on the joint rope 34 is pulled upward, tension is not generated in the wire rope 28 and the first and second ropes 30 and 32, and the joint rope 34 Only tension is generated.

상기 조인트로프(34)에 작용하는 장력에 의해 상기 제1브라켓(10)과 상기 제2브라켓(18)은 상기 조인트(26)를 회전축으로 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면상 상기 제1브라켓(1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브라켓(18)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The first bracket 10 and the second bracket 18 rotate in different directions with the joint 26 as a rotation axis by the tension acting on the joint rope 34 . In the drawing, the first bracket 10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the second bracket 18 rotates clockwise.

상기 제1브라켓(10)과 상기 제2브라켓(18)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브라켓(10)과 상기 제2브라켓(18)은 하면이 서로 맞닿은 접힘 상태가 된다.By rotation of the first bracket 10 and the second bracket 18, the lower surfaces of the first bracket 10 and the second bracket 18 are in a folded state in which their lower surface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제1브라켓(10)과 상기 제2브라켓(18)의 접힘 상태가 되면 상기 제1브라켓(10)의 타단과 상기 제2브라켓(18)의 타단 사이의 길이가 상기 요철홈(16)에 상기 요철돌출부(24)가 삽입되어 있는 결합상태 보다 짧아지기 때문에 상기 제1브라켓(10)과 상기 제2브라켓(18)을 스페어 타이어 휠의 중앙부 홀(6) 내측으로 삽입 시 삽입이 보다 용이해진다.When the first bracket 10 and the second bracket 18 are in a folded state, the length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first bracket 1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racket 18 is in the concave-convex groove 16 . Since the concave-convex protrusion 24 is shorter than the inserted state, it is easier to insert the first bracket 10 and the second bracket 18 into the center hole 6 of the spare tire wheel. .

상기 접힘상태의 상기 제1브라켓(10)과 상기 제2브라켓(18)이 상기 스페어 타이어 휠의 중앙부 홀(6) 내측으로 삽입되면 상기 고리부(40)를 상측으로 당기는 힘을 해제시켜 상기 조인트로프(34)에 작용하는 장력을 해제시키게 된다.When the first bracket 10 and the second bracket 18 in the folded state are inserted into the center hole 6 of the spare tire wheel, the force pulling the ring part 40 upward is released to release the joint. The tension acting on the rope 34 is released.

상기 조인트로프(34)에 작용하던 장력이 해제되면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의 자중에 의해 상기 와이어로프에 장력이 발생하게 된다.When the tension acting on the joint rope 34 is released, tension is generated in the wire rope by the weights of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상기 와이어로프에 발생된 장력은 상기 제1로프(30)와 상기 제2로프(32)에도 작용하게 된다.The tension generated in the wire rope also acts on the first rope 30 and the second rope 32 .

상기 제1로프(30)와 상기 제2로프(32)에 작용하는 장력에 의해 상기 제1브라켓(10)과 상기 제2브라켓(18)은 상기 접힘 상태가 될 때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면상 상기 제1브라켓(1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브라켓(18)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The first bracket 10 and the second bracket 18 are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when they are in the folded state by the tension acting on the first rope 30 and the second rope 32. do. In the drawing, the first bracket 10 rotates in a clockwise direction and the second bracket 18 rotat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상기 제1브라켓(10)과 상기 제2브라켓(18)이 회전하면서 상기 요철홈(16)과 상기 요철돌출부(24)가 서로 결합되어 고정장치의 고정이 완료된다.As the first bracket 10 and the second bracket 18 rotate, the concave-convex groove 16 and the concave-convex protrusion 24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complete the fixing of the fixing device.

상기 고정장치의 고정 뒤 상기 스페어 타이어를 이용하기 위한 상기 고정장치의 탈거는 다음과 같다.After fixing the fixing device, the removal of the fixing device for using the spare tire is as follows.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의 탈거 시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removal of the spare tire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의 탈거방법은, The method of removing the spare tir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상기 조인트로프(34)에 장착된 상기 고리부(40)가 상측으로 당겨지는 단계;The step of pulling the ring portion 40 mounted on the joint rope 34 upwards;

상기 조인트로프(34)에 장력이 발생되는 단계;generating tension in the joint rope (34);

상기 제1브라켓(10)과 제2브라켓(18)이 조인트(26)를 회전축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브라켓 제1회전단꼐;a first rotation step of a bracket in which the first bracket 10 and the second bracket 18 rotate in different directions with the joint 26 as a rotation axis;

상기 제1브라켓(10)의 하면과 상기 제2브라켓(18)의 하면이 서로 맞닿는 단계;abut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racket (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racket (18);

상기 제1브라켓(10)과 상기 제2브라켓(18)을 스페어 타이어 휠의 중앙부 홀(6) 외측으로 탈거하는 단계;removing the first bracket (10) and the second bracket (18) to the outside of the center hole (6) of the spare tire wheel;

를 포함하여 진행된다.is carried out including

상기 제1브라켓(10)과 상기 제2브라켓(18)을 상기 스페어 타이어 휠의 중앙 부 홀(6)로부터 용이하게 탈거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브라켓(10)과 상기 제2브라켓(18)이 접힘 상태가 되어야 한다.In order to easily remove the first bracket 10 and the second bracket 18 from the center hole 6 of the spare tire wheel, the first bracket 10 and the second bracket 18 are folded. state should be

따라서 상기 스페어 타이어 휠의 중앙부 홀(6) 내측에 고정된 상기 제1브라켓(10)과 상기 제2브라켓(18)을 접힘 상태로 만들기 위해 상기 고리부(40)에 상측으로 당기는 힘을 가하여 상기 조인트로프(34)에 장력을 발생시키게 된다.Therefore, in order to make the first bracket 10 and the second bracket 18 fixed inside the center hole 6 of the spare tire wheel in a folded state, an upward pulling force is applied to the ring part 40 to make the Tension is generated in the joint rope (34).

상기 조인트로프(34)에 발생된 장력에 의해 도면상 상기 제1브라켓(10)은 반시계방향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2브라켓(18)은 시계방향 회전하게 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bracket 10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the second bracket 18 rotates clockwise due to the tension generated in the joint rope 34 .

상기 제1브라켓(10)과 상기 제2브라켓(18)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브라켓(10)과 상기 제2브라켓(18)은 하면이 서로 맞닿은 접힘 상태가 된다By rotation of the first bracket 10 and the second bracket 18, the lower surfaces of the first bracket 10 and the second bracket 18 are in a folded stat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제1브라켓(10)과 상기 제2브라켓(18)이 접힘 상태가 되면 상기 제1브라켓(10)과 상기 제2브라켓(18)을 상기 스페어 타이어 휠의 중앙부 홀(6) 외측으로 탈거하여 상기 고정장치의 탈거를 완료한다.When the first bracket 10 and the second bracket 18 are in a folded state, the first bracket 10 and the second bracket 18 are removed to the outside of the center hole 6 of the spare tire wheel. Complete removal of the fixing devic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는 기존의 고정장치 보다 단순한 구조로 구성되기 때문에 고정 및 탈거가 용이하며, 따라서 공장 내 작업 편의성을 개선하고 조립 품질 확인 작업 공정을 저감시킬 수 있다.Since the spare tir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a simpler structure than the conventional fixing device, fixing and dismounting are easy, thus improving the working convenience in the factory and reducing the assembly quality check work process.

또한, 응급 상황 시 보다 빠른 탈거가 가능하기 때문에 고객 만족도를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quicker removal is possible in an emergency, customer satisfaction can be increased.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와 이의 고정 및 탈거방법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spare tire fixing device and the fixing and remov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perform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implementations therefrom. It will be well understood that examples are possible. Therefore, it is well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mentioned i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Moreo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2 : 종래의 서포트 브라켓
4 : 스페어 타이어 휠
6 : 스페어 타이어 휠의 중앙부 홀
10 : 제1브라켓
12 : 제1로프홀
14 : 제1조인트홀
16 : 요철홈
18 : 제2브라켓
20 : 제2로프홀
22 : 제2조인트홀
24 : 요철돌출부
26 : 조인트
28 : 와이어로프
30 : 제1로프
32 : 제2로프
34 : 조인트로프
36 : 분기링크
38 : 조인트로프 링크
40 : 고리부
2: Conventional support bracket
4: spare tire wheel
6: center hole of the spare tire wheel
10: first bracket
12: 1st rope hole
14: 1st joint hole
16: concave-convex groove
18: 2nd bracket
20: 2nd rope hole
22: 2nd joint hole
24: uneven protrusion
26: joint
28: wire rope
30: first rope
32: second rope
34: joint rope
36: branch link
38: joint rope link
40: ring part

Claims (16)

차량에 장착되는 스페어 타이어의 고정 장치에 있어서,
제1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과 결합되는 제2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을 결합시키며,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의 회전축이 되는 조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브라켓, 상기 제2브라켓 및 상기 조인트는 서로 다른 로프에 연결되어,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에 연결된 로프에 장력이 발생되면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이 서로 결합되며,
상기 조인트에 연결된 로프에 장력이 발생되면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In the fixing device of a spare tire mounted on a vehicle,
a first bracket;
a second bracket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a joint that couples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and serves as a rotation axis of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and
The first bracket, the second bracket and the joint are connected to different ropes,
When tension is generated in the rope connected to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are coupled to each other;
When tension is generated in the rope connected to the joint,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is released
Spare tire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 각각은,
내부가 빈 구조이며, 일측면이 개방되어 있고,
일단에서의 하면과 상면 사이의 높이가 타단에서의 하면과 상면 사이의 높이보다 높은 단차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It has a hollow structure inside, and one side is open,
A spare tire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between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at one end is higher than the height between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at the other en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이 서로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의 단차 구조는 서로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step structure of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is symmetrical to each oth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 각각의 일단에는 상면을 관통하는 로프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pare tire fix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ope hole passing through an upper surface is formed at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의 일단의 양측면 각각의 하단에는 상기 조인트가 관통하는 조인트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pare tire fix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joint hole through which the joint passes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each of both side surfaces of one end of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의 일단 양측면에는 단부로부터 타단을 향하여 일정 깊이의 요철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pare tire fix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concave-convex grooves of a predetermined depth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one end of the first bracket from the end to the other en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라켓의 일단 양측면에는 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일정 길이의 요철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pare tire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convex protrusions of a predetermined length are formed on both sides of one end of the second bracket toward the outside from the en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요철홈과 상기 요철돌출부의 결합에 의해 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pare tire fix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are fixed to each other by coupling the concave-convex groove and the concave-convex protrus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는,
상단이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
상기 와이어로프로부터 분기되며, 하단이 상기 제1브라켓에 형성된 제1로프홀에 고정되는 제1로프;
상기 제1로프와 동일한 부분에서 상기 와이어로프로부터 분기되며, 하단이 상기 제2브라켓에 형성된 제2로프홀에 고정되는 제2로프;
상단이 상기 와이어로프에 연결되며, 하단이 상기 조인트에 연결되는 조인트로프;로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ope is
a wire rope whose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spare tire carrier;
a first rope branching from the wire rope and having a lower end fixed to a first rope hole formed in the first bracket;
a second rope branching from the wire rope at the same portion as the first rope and having a lower end fixed to a second rope hole formed in the second bracket;
A joint rope whose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wire rope and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joint;
Spare tire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에서 상기 제1로프와 상기 제2로프가 분기되는 부분에는, 상기 제1로프와 상기 제2로프의 상단을 지지하기 위한 분기링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 branching link for supporting upper ends of the first rope and the second rope is mounted on a portion of the wire rope where the first rope and the second rope branch off.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로프의 중간 부분에는 상기 와이어로프의 하단이 연결되는 조인트로프 링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 spare tire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joint rope link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wire rope is mounted on the middle part of the joint rop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로프에서 상기 조인트로프의 상단과 상기 조인트로프 링크 사이에 고리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Spare tire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ing portion is mounted between the joint rope link and the upper end of the joint rope in the joint rop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로프의 상단은 상기 분기링크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pare tire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of the joint rope is located above the branch link.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로프의 길이는,
상기 제1브라켓의 하면과 상면 사이의 길이와 상기 제1로프의 길이를 합친 것 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length of the joint rope is,
The spare tire fix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ngth between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racket is longer than the sum of the length of the first rope.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의 고정 방법에 있어서,
조인트로프에 장착된 고리부가 상측으로 당겨지는 단계;
상기 조인트로프에 장력이 발생되는 단계;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이 조인트를 회전축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브라켓 제1회전단계;
상기 제1브라켓의 하면과 상기 제2브라켓의 하면이 서로 맞닿는 단계;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을 스페어 타이어 휠의 중앙부 홀 내측으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고리부를 상측으로 당기는 힘이 해제되는 단계;
상기 조인트로프에 작용하는 장력이 해제되는 단계;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의 자중에 의해 와이어로프에 장력이 발생되는 단계;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이 상기 브라켓 제1회전단계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단계;
상기 제1브라켓의 요철홈과 상기 제2브라켓의 요철돌출부가 서로 결합되어 고정장치의 고정이 완료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의 고정방법.
The method for fixing the spare tire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4,
The step of pulling the hook portion mounted on the joint rope upward;
generating tension in the joint rope;
a first bracket rotation step in which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rotate in different directions using the joint as a rotation axis;
abutting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bracket and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racket;
inserting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into the center hole of the spare tire wheel;
The step of releasing the force pulling the ring portion upward;
releasing the tension acting on the joint rope;
generating tension in the wire rope by the weights of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rotating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in opposite directions to the first rotating step of the bracket;
completing the fixing of the fixing device by coupling the uneven grooves of the first bracket and the uneven protrusions of the second bracket to each other;
A fixing method of a spare tire fixing device comprising a.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의 탈거 방법에 있어서,
조인트로프에 장착된 고리부가 상측으로 당겨지는 단계;
상기 조인트로프에 장력이 발생되는 단계;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이 조인트를 회전축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브라켓 제1회전단계;
상기 제1브라켓의 하면과 상기 제2브라켓의 하면이 서로 맞닿는 단계;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을 스페어 타이어 휠의 중앙부 홀 외측으로 탈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의 탈거방법.
The method for removing the spare tire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4,
The step of pulling the hook portion mounted on the joint rope upward;
generating tension in the joint rope;
a first rotation step of the bracket in which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rotate in different directions with respect to a rotation axis of the joint;
abutting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bracket and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racket;
removing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to the outside of the center hole of the spare tire wheel;
A method of removing a spare tire fixing device comprising a.
KR1020180009414A 2018-01-25 2018-01-25 Spare tire mounting apparatus KR1023834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414A KR102383491B1 (en) 2018-01-25 2018-01-25 Spare tire moun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414A KR102383491B1 (en) 2018-01-25 2018-01-25 Spare tire moun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566A KR20190090566A (en) 2019-08-02
KR102383491B1 true KR102383491B1 (en) 2022-04-06

Family

ID=67614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414A KR102383491B1 (en) 2018-01-25 2018-01-25 Spare tire moun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3491B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4187U (en) * 1987-12-16 1989-06-21
KR200190133Y1 (en) * 1997-07-18 2000-08-01 정몽규 Spare wheel carrier assembly of truck
KR100372550B1 (en) * 1999-12-30 2003-0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pare Tire Fixing Apparatus of Automobile
KR20030024265A (en) * 2001-09-17 2003-03-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arrier of spare tire
KR20060079666A (en) 2005-01-03 2006-07-0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Spare tire mounting structure of an 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566A (en) 201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642307A5 (en) TIRE AND WHEEL RIM ASSEMBLY.
CA2542997A1 (en) Wheel of solid rubber adhered to metallic base welded to conventional metal rim
KR102383491B1 (en) Spare tire mounting apparatus
US2680463A (en) Tubeless tire
KR100761556B1 (en) Apparatus for falling prevention of spare tire
US1904081A (en) Auxiliary wheel for automobiles
KR100680831B1 (en) Device of wire type spare tire carrier
US1472983A (en) Carrier for spare wheels and the like
IT201900007662A1 (en) ANTI-SLIP DEVICE WITH EXTERNAL MOUNTING PARTICULARLY FOR WHEELS WITH ALLOY RIMS
JP4970138B2 (en) Vehicle rim for mounting tire and bearing support, and mounting method of tire / wheel assembly provided with such rim
US2204783A (en) Traction device
CA2922789C (en) Safety wheel assembly for a guided vehicle
KR100536367B1 (en) Wire-winding apparatus of spare tire carrier
KR101055061B1 (en) Spare tire carrier
JP5020471B2 (en) Tubeless mounting assembly for bicycles, rims and tubeless tires
KR20020075454A (en) Rim with seats sloping outwards and assemblies comprising same and an inflated bearing support
KR101667408B1 (en) Tire equipped safety apparatus
CN215244538U (en) Wrecker capable of preventing tire from knocking off
KR102534529B1 (en) Pneumatic tire having rim protector
KR100461828B1 (en) A Carrier Apparatus of Spare Tire for Vehicles
CN212106724U (en) Novel car axle head nut installation is fixed device
US2598946A (en) Tire handling stand with movable clamping arbor
KR102244793B1 (en) Snow tire
KR101517809B1 (en) Wire type carrier for fixing spare tire
KR100288050B1 (en) Rim assembly connected to circular frame by spring and dam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