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248B1 - Mountinb unit for rear suspension - Google Patents

Mountinb unit for rear suspen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248B1
KR102383248B1 KR1020170132794A KR20170132794A KR102383248B1 KR 102383248 B1 KR102383248 B1 KR 102383248B1 KR 1020170132794 A KR1020170132794 A KR 1020170132794A KR 20170132794 A KR20170132794 A KR 20170132794A KR 102383248 B1 KR102383248 B1 KR 102383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side
side member
bracket
mounting unit
rear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27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41339A (en
Inventor
민헌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2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248B1/en
Priority to US15/822,256 priority patent/US10259502B1/en
Priority to CN201711269238.4A priority patent/CN109649102B/en
Publication of KR20190041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3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2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1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 B60G11/1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1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with resilient means for suspension, e.g. of wheels or engine; sub-frames for mounting engine or susp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62D21/03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transverse members providing body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62D21/155Sub-frames or under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2Wound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4Mounting of coil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은 리어 서스펜션 멤버를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에 체결하기 위한 멀티링크 타입의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파이프 너트와, 상기 파이프 너트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와 리어 크로스 멤버에 각각 고정 연결하는 제1, 제2 브라켓과, 상기 리어 서스펜션 멤버의 일측을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에 고정하도록 상기 파이프 너트에 체결되는 마운팅 볼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제2 브라켓의 각 차체 내측방향 단부에 대응하여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의 외측면과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저면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둘레를 따라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를 통하여 상기 제1, 제2 브라켓과 함께,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와 리어 크로스 멤버에 접합된다. A mounting unit for a rear suspension is disclosed. A mounting unit for a rear susp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link type mounting unit for a rear suspension for fastening a rear suspension member to a rear floor side member, and is installed through one side of the rear floor side member. a pipe nut; first and second brackets for fixedly connecting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ipe nut to the rear floor side member and the rear cross member, respectively; and fixing one side of the rear suspension member to the rear floor side member; and a mounting bolt fastened to the pipe nut, dispos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floor side member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cross member corresponding to the inward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respectively, around the circumference It is joined to the rear floor side member and the rear cross member together with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through a flange integrally formed along the .

Description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MOUNTINB UNIT FOR REAR SUSPENSION} Mounting unit for rear suspension

본 발명은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횡강성을 향상시키는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nting unit for a rear suspens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unting unit for a rear suspension that improves lateral rigidity of a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는 차량의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이 휠 및 차축을 통해 프레임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In general, a suspension device of a vehicle prevents vibrations and shocks continuously generated from a road surface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from being transmitted to a frame through wheels and axles.

또한, 상기 서스펜션 장치는 탑승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무리한 충격에 의해 차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휠의 불규칙한 진동을 억제하고, 주행의 안전을 도모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suspension device improves the riding comfort of the occupant and prevents the vehicle body from being damaged by excessive impact, thereby suppressing irregular vibrations of the wheel and promoting safety of driving.

한편, 차량의 후방에 위치한 리어 서스펜션은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파이프 너트와, 리어 서스펜션 멤버를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에 고정하도록 상기 파이프 너트에 체결되는 마운팅 볼트를 포함하는 마운팅 유닛에 의해 차체에 고정된다. Meanwhile, the rear suspension locat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includes a pipe nut installed through one side of a rear floor side member, and a mounting bolt fastened to the pipe nut to fix the rear suspension member to the rear floor side member. fixed to the vehicle body by

이때, 상기 마운팅 볼트는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의 내측과 하부에 각각 브라켓을 통해 지지되면서 장착된다. In this case, the mounting bolts are mounted while being supported through brackets on the inn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rear floor side member, respectively.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은 차량의 코너링 시, 후륜 타이어의 횡력이 마운팅 볼트에 하중으로 집중되며, 이로 인해,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 리어 크로스 멤버, 및 마운팅 유닛 사이의 국부적인 변형이 발생되게 된다. However, in the mounting unit for the rear suspens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vehicle is cornering, the lateral force of the rear tire is concentrated as a load on the mounting bolt, and thus, between the rear floor side member, the rear cross member, and the mounting unit local deformation of the

결과적으로, 종래 기술에 따른 리어 서스펜션의 마운팅 유닛은 차량의 리어부 전체에 걸쳐 횡변형에 대한 저항력이 낮아져 차량의 안전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As a result, the mounting unit of the rear suspens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the resistance to lateral deformation over the entire rear portion of the vehicle is lowered, thereby lowering the safety of the vehicle.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Matters described in this background section are prepared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and may include matters that are not already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technology belongs.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와 리어 크로스 멤버 사이에 서포트 브라켓을 적용하여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차량의 코너링 시,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횡변형에 대한 저항령을 증대시켜 안전성을 확보하는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pport bracket is applied between a rear floor side member and a rear cross member to improve structural rigidity, thereby increasing the resistance to lateral deformation of the rear cross member when cornering a vehicle, thereby securing safety. We would like to provide a mounting unit for suspension.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리어 서스펜션 멤버를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에 체결하기 위한 멀티링크 타입의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파이프 너트와, 상기 파이프 너트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와 리어 크로스 멤버에 각각 고정 연결하는 제1, 제2 브라켓과, 상기 리어 서스펜션 멤버의 일측을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에 고정하도록 상기 파이프 너트에 체결되는 마운팅 볼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제2 브라켓의 각 차체 내측방향 단부에 대응하여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의 외측면과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저면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둘레를 따라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를 통하여 상기 제1, 제2 브라켓과 함께,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와 리어 크로스 멤버에 접합되는 서포트 브라켓을 포함하는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 을 제공할 수 있다. In one or m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ounting unit for a multi-link type rear suspension for fastening the rear suspension member to the rear floor side member, a pipe nut installed through one side of the rear floor side member; first and second brackets for fixing and connecting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ipe nut to the rear floor side member and the rear cross member, respectively, and fastening to the pipe nut to fix one side of the rear suspension member to the rear floor side member and a mounting bolt to be used,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are dispos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floor side member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cross memb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sid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and are integrally formed along the peripher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unting unit for a rear suspension including a support bracket joined to the rear floor side member and the rear cross member together with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through the formed flange.

또한,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와 상기 제1 브라켓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상기 파이프 너트가 관통 설치되는 보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inforcing plate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plate, interposed between the rear floor side member and the first bracket, through which the pipe nut is installed.

또한,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의 양측 내측면과 저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겹쳐지도록 프레스 성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inforcing plate may be formed by press-molding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and bottom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rear floor side member and to overlap a predetermined s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서포트 브라켓은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되어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둘레에 일정구간 형성되어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의 외측면과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1 브라켓과 함께 용접되는 제1 플랜지, 상기 몸체부의 둘레에 일정구간 형성되어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일측 내측면에 용접되는 제2 플랜지, 및 상기 몸체부의 둘레에 일정구간 형성되어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저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2 브라켓과 함께 용접되는 제3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 bracket has a convex central portion, a body portion, a first flange formed around the body port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floor side member, and welded together with the first bracket; A second flange formed around the body for a predetermined period and welded to one inner surface of the rear cross member, and formed around the body for a predetermined period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cross member, the second bracket It may include a third flange welded together.

또한, 상기 서포트 브라켓은 상기 몸체부와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와 리어 크로스 멤버 사이에 폐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 bracket may form a closed space portion between the body portion, the rear floor side member, and the rear cross member.

또한, 상기 서포트 브라켓은 상기 몸체부의 상면 높이가 상기 제1 브라켓의 상면 높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 bracket may be formed such that the upper surface height of the body portion corresponds to the upper surface height of the first bracket.

또한, 상기 서포트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서포트 브라켓의 몸체부와 상기 제3 플랜지 사이의 경계선과, 상기 제2 브라켓과 용접 플랜지의 경계선이 일치하도록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양면에 각각 용접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are welded and fixed on both sides of the rear cross member so that the boundary line between the body part of the support bracket and the third flange coincides with the boundary line between the second bracket and the welding flange. can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와 리어 크로스 멤버 사이에 서포트 브라켓을 적용하여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차량의 코너링 시,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횡변형에 대한 저항령을 증대시켜 안전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structural rigidity by applying a support bracket between the rear floor side member and the rear cross member, thereby increasing the resistance to lateral deformation of the rear cross member when cornering the vehicle, thereby securing safety there is

즉,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 서포트 브라켓을 통해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꺾임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차량의 리어부의 횡강성을 증가시켜 R&H(Ride and Handling)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eventing the bending of the rear cross member through the support bracket, the lateral rigidity of the rear part of the vehicle can be increased, thereby improving R&H (Ride and Handling) performance.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In addition, the effects obtainable or predict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be disclosed directly or implicitly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various effects predi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isclo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o be described lat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이 적용된 차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의 일측 투영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의 저면 투영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이 적용된 차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body to which a mounting unit for a rear susp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mounting unit for a rear susp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projection perspective view of a mounting unit for a rear susp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ottom projection perspective view of a mounting unit for a rear susp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vehicle body to which a mounting unit for a rear susp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02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02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한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ppli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하여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names of the components are divided into 1st, 2nd, etc., because the names of the components are the same to distinguish them, and the order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이 적용된 차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의 일측 투영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의 저면 투영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이 적용된 차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body to which a mounting unit for a rear susp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mounting unit for a rear susp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A side projection perspective view of a mounting unit for a rear susp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4 is a bottom projection perspective view of a mounting unit for a rear susp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mounting for a rear susp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hicle body to which the unit is appli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이하, 간단히 마운팅 유닛이라 함)은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 멤버(2, 도 5 참조)를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에 체결하기 위하여 적용된다. Referring to FIG. 1 , in a mounting unit for a rear suspension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moun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suspension member 2 of the vehicle (refer to FIG. 5 ) is fastened to the rear floor side member 1 . applied to do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은 멀티링크타입의 서스펜션에 적용되는 것이며, 상기 멀티링크타입의 서스펜션은 로워 암과 코일 스프링이 별개로 구성된 것으로, 그 형상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mounting unit for a rear susp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multi-link type suspension, and the multi-link type suspension has a lower arm and a coil spring separately. .

상기 멀티링크타입의 서스펜션은 뒷바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휠 캐리어와, 상기 휠 캐리어의 하측부와 크로스 멤버 사이에 차폭 방향으로 설치된 로워 암과, 상기 휠 캐리어의 상측부와 크로스 멤버 사이에 차폭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어퍼 암과, 상기 휠 캐리어의 전측부와 차체 사이에 차체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트레일링 암과, 상기 로워 암의 차체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 쇽 업소버 및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The multi-link type suspension includes a wheel carrier for rotatably supporting a rear wheel, a lower arm installed between a lower portion of the wheel carrier and a cross member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and a vehicle width direction between the upper portion and the cross member of the wheel carrier. It consists of a pair of upper arms arranged as , a trailing arm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between the front side of the wheel carrier and the vehicle body, and a shock absorber and a coil spring installed vertically between the vehicle body of the lower arm.

이러한 멀티링크타입의 서스펜션은 주요구성 부품인 쇽 업소버와, 코일 스프링, 및 이를 지지하는 로워 암이 상호 연결되어 노면으로부터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에 의해 상하운동을 하게 되면서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This multi-link type suspension absorbs vibration and shock as the main components of the shock absorber, the coil spring, and the lower arm supporting it are interconnected and move up and down by the vibration and shock continuously generated from the road surface. do.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은 멀티링크타입의 서스펜션에 적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른 타입의 서스펜션에 적용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mounting unit for the rear susp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multi-link type suspension as an exampl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other types of suspension as necessary.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마운팅 유닛은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파이프 너트(7)를 포함한다. 2 to 5 , the mounting unit includes a pipe nut 7 installed through one side of the rear floor side member 1 .

상기 마운팅 유닛은 상기 파이프 너트(7)의 상단부를 고정하면서,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의 내측에 장착되는 제1 브라켓(10)을 포함한다. The mounting unit includes a first bracket 10 mounted inside the rear floor side member 1 while fixing the upper end of the pipe nut 7 .

상기 제1 브라켓(10)은 내측으로 개방되도록 절곡 형성되어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The first bracket 10 is bent to open inwardly to form a space between the first bracket 10 and the rear floor side member 1 .

이러한 제1 브라켓(10)은 둘레를 따라 플랜지를 형성하여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0)에 접합된다. The first bracket 10 forms a flange along its circumference and is joined to the rear floor side member 10 .

또한, 상기 마운팅 유닛은 상기 파이프 너트(7)의 하단부를 고정하면서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와 리어 크로스 멤버(3)에 장착되는 제2 브라켓(11)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mounting unit includes a second bracket 11 mounted to the rear floor side member 1 and the rear cross member 3 while fixing the lower end of the pipe nut 7 .

이때, 상기 제2 브라켓(11)은 일단부가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에 접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3)에 접합된 상태로, 중앙부가 하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second bracket 11 has one end joined to the rear floor side member 1 , and the other end joined to the rear cross member 3 , and a central portion is formed to be convex downward.

이러한 제2 브라켓(11)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서포트 브라켓(20)과 함께,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3)에 접합되는 용접 플랜지(13)가 형성된다. A welding flange 13 joined to the rear cross member 3 is formed on the second bracket 11 together with a support bracket 20 to be described below.

또한, 상기 마운팅 유닛은 상기 리어 서스펜션 멤버(2)의 일측을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에 고정하도록 상기 파이프 너트(7)에 체결되는 마운팅 볼트(9)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mounting unit includes a mounting bolt 9 fastened to the pipe nut 7 to fix one side of the rear suspension member 2 to the rear floor side member 1 .

상기 마운팅 볼트(9)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를 관통하여 상기 파이프 너트(7)에 체결되되, 상기 마운팅 볼트(9)는 상기 파이프 너트(7)에 나사산을 통해 체결될 수 있고, 억지끼움 방식으로 체결될 수도 있다. The mounting bolt 9 is fastened to the pipe nut 7 by passing through the rear floor side member 1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nd the mounting bolt 9 is fastened to the pipe nut 7 through a thread. It may be, and it may be fastened by an interference fit method.

그리고 상기 마운팅 유닛은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의 외측면과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3) 사이에 장착되는 서포트 브라켓(20)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mounting unit includes a support bracket 20 mount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floor side member 1 and the rear cross member 3 .

다시 말해, 상기 서포트 브라켓(20)은 상기 제1 브라켓(10)과 제2 브라켓(11)의 각 차체 내측방향 단부에 대응하여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의 외측면과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3)의 저면 사이에 배치된다. In other words, the support bracket 20 corresponds to the inner side ends of the first bracket 10 and the second bracket 11, respectively,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floor side member 1 and the rear cross member ( 3) is placed between the bottom surfaces.

이때, 상기 서포트 브라켓(20)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t this time, the support bracket 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상기 서포트 브라켓(20)은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된 몸체부(21)를 포함한다. The support bracket 20 includes a body 21 having a convex central portion.

이때, 상기 몸체부(21)는 차체 내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와 리어 크로스 멤버(3) 사이에 폐공간부를 형성한다. At this time, the body portion 21 is convex toward the inside of the vehicle body to form a closed space portion between the rear floor side member 1 and the rear cross member 3 .

이러한 폐공간부는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와 리어 크로스 멤버 사이(3)의 강성을 보강한다. Such a closed space reinforces the rigidity between the rear floor side member 1 and the rear cross member 3 .

더불어, 상기 몸체부(21)는 상면 높이가 상기 제1 브라켓(10)의 상면 높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body portion 21 is formed so that the upper surface height corresponds to the upper surface height of the first bracket (10).

이는 상기 몸체부(21)와 상기 제1 브라켓(10)과의 L방향 하중 지지를 유리하게 하기 위함이다. This is to advantageously support the L-direction load between the body portion 21 and the first bracket 10 .

또한, 상기 서포트 브라켓(20)은 상기 몸체부(21)의 둘레의 일정구간에 제1 플랜지(23)가 형성된다. In addition, in the support bracket 20 , a first flange 23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body 21 .

상기 제1 플랜지(23)는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의 외측면과 접촉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The first flange 23 is formed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floor side member 1 .

상기 제1 플랜지(23)는 상기 제1 브라켓(10)과 함께,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에 용접된다. The first flange 23 is welded to the rear floor side member 1 together with the first bracket 10 .

또한, 상기 서포트 브라켓(20)은 상기 몸체부(21)의 둘레의 일정구간에 제2 플랜지(25)가 형성된다. In addition, in the support bracket 20 , a second flange 25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ection around the body portion 21 .

상기 제2 플랜지(25)는 상기 제1 플랜지(23)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3)의 일측 내측면에 용접된다. The second flange 25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flange 23 and is welded to one inner side surface of the rear cross member 3 .

또한, 상기 서포트 브라켓(20)은 상기 몸체부(21)의 둘레의 일정구간에 제3 플랜지(27)가 형성된다. In addition, in the support bracket 20 , a third flange 27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ection around the body portion 21 .

상기 제3 플랜지(27)는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3)의 저면에 접촉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The third flange 27 is formed at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cross member 3 .

이러한 제3 플랜지(27)는 상기 제2 브라켓(11)과 함께,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3)에 용접된다. This third flange 27 is welded to the rear cross member 3 together with the second bracket 11 .

다시 말해, 상기 제3 플랜지(27)는 상기 제2 브라켓(11)의 용접 플랜지(13)의 경계선이 일치하는 위치에 용접된다. In other words, the third flange 27 is welded at a position where the boundary lines of the welding flange 13 of the second bracket 11 coincide.

한편, 상기 마운팅 유닛은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와 상기 제1 브라켓(10) 사이에 개재되는 보강 플레이트(30)를 포함한다. Meanwhile, the mounting unit includes a reinforcing plate 30 interposed between the rear floor side member 1 and the first bracket 10 .

상기 보강 플레이트(30)는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의 양측 내측면과 저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reinforcing plate 3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both inner and bottom surfaces of the rear floor side member 1 .

이러한 보강 플레이트(30)는 프레스 성형되어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겹쳐져 장착된다. The reinforcing plate 30 is press-formed and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rear floor side member 1 to overlap for a certain perio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보강 플레이트(30)는 일측에 상기 파이프 너트(7)가 관통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pipe nut 7 is installed through one side of the reinforcing plate 30 .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은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와 리어 크로스 멤버(3) 사이에 서포트 브라켓(20)을 적용하여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차량의 코너링 시,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3)의 횡변형에 대한 저항령을 증대시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erefore, the mounting unit for the rear suspens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structural rigidity by applying the support bracket 20 between the rear floor side member 1 and the rear cross member 3, so that when cornering the vehicle, the It is possible to secure safety by increasing the resistance to lateral deformation of the rear cross member 3 .

다시 말해, 상기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은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와 리어 크로스 멤버(3) 사이에 적용된 서포트 브라켓(20)이 상기 제1, 제2 브라켓(10, 11)과 함께,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와 리어 크로스 멤버(3)에 접합되어 차량의 횡강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차량의 코너링 시,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3)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mounting unit for the rear suspension includes the support bracket 20 applied between the rear floor side member 1 and the rear cross member 3 together with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10 and 11, By being joined to the rear floor side member 1 and the rear cross member 3 to increase the lateral rigidity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ar cross member 3 from being deformed when the vehicle is cornering.

결과적으로,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꺾임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차량의 리어부의 횡강성을 증가시켜 R&H(Ride and Handling)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a result, by preventing the bending of the rear cross memb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lateral rigidity of the rear part of the vehicle, thereby improving R&H (Ride and Handling) performanc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variously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1: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
2: 리어 서스펜션 멤버
3: 리어 크로스 멤버
5: 대시 패널
7: 파이프 너트
9: 마운팅 볼트
10: 제1 브라켓
11: 제2 브라켓
13: 용접 플랜지
20: 서포트 브라켓
21: 몸체부
23: 제1 플랜지
25: 제2 플랜지
27: 제3 플랜지
30: 보강 플레이트
1: Rear floor side member
2: Rear suspension member
3: rear cross member
5: Dash panel
7: pipe nut
9: Mounting bolt
10: first bracket
11: 2nd bracket
13: welding flange
20: support bracket
21: body part
23: first flange
25: second flange
27: third flange
30: reinforcement plate

Claims (7)

리어 서스펜션 멤버를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에 체결하기 위한 멀티링크 타입의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파이프 너트와, 상기 파이프 너트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와 리어 크로스 멤버에 각각 고정 연결하는 제1, 제2 브라켓과, 상기 리어 서스펜션 멤버의 일측을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에 고정하도록 상기 파이프 너트에 체결되는 마운팅 볼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제2 브라켓의 각 차체 내측방향 단부에 대응하여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의 외측면과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저면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둘레를 따라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를 통하여 상기 제1, 제2 브라켓과 함께,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와 리어 크로스 멤버에 접합되는 서포트 브라켓; 및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와 상기 제1 브라켓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상기 파이프 너트가 관통 설치되는 보강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
A mounting unit for a multi-link type rear suspension for fastening a rear suspension member to a rear floor side member, the mounting unit comprising:
a pipe nut installed through one side of the rear floor side member; first and second brackets fixedly connecting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ipe nut to the rear floor side member and the rear cross member, respectively; and the rear suspension member A mounting bolt fastened to the pipe nut to fix one side of the rear floor side member to the rear floor side member,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are dispos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floor side member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cross memb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en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and the first and second brackets are provided through flanges integrally formed along the periphery. , a support bracket joined to the rear floor side member and the rear cross member together with the second bracket; and
a reinforcing plate interposed between the rear floor side member and the first bracket and through which the pipe nut is installed;
A mounting unit for rear suspension that include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의 양측 내측면과 저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겹쳐지도록 프레스 성형되어 형성되는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
According to claim 1,
The reinforcing plate is
A mounting unit for a rear suspension formed by press-molding to overlap a predetermined s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shape corresponding to both inner and bottom surfaces of the rear floor side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브라켓은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되어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둘레에 일정구간 형성되어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의 외측면과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1 브라켓과 함께 용접되는 제1 플랜지;
상기 몸체부의 둘레에 일정구간 형성되어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일측 내측면에 용접되는 제2 플랜지; 및
상기 몸체부의 둘레에 일정구간 형성되어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저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2 브라켓과 함께 용접되는 제3 플랜지;
를 포함하는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bracket is
The central portion is formed to be convex, the body portion;
a first flange formed around the body port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and welded together with the first bracket whil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floor side member;
a second flange formed around the body port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and welded to one inner surface of the rear cross member; and
a third flange formed around the body port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and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cross member and welded together with the second bracket;
A mounting unit for rear suspension that includ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브라켓은
상기 몸체부와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와 리어 크로스 멤버 사이에 폐공간부를 형성하는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upport bracket is
A mounting unit for a rear suspension that forms a closed space between the body and the rear floor side member and the rear cross memb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브라켓은
상기 몸체부의 상면 높이가 상기 제1 브라켓의 상면 높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upport bracket is
A mounting unit for a rear suspension in which a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to correspond to a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racke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서포트 브라켓의 몸체부와 상기 제3 플랜지 사이의 경계선과, 상기 제2 브라켓과 용접 플랜지의 경계선이 일치하도록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양면에 각각 용접 고정되는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uppor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are
A mounting unit for a rear suspension that is welded and fixed to both surfaces of the rear cross member so that a boundary line between the body of the support bracket and the third flange and a boundary line between the second bracket and the welding flange coincide with each other.
KR1020170132794A 2017-10-12 2017-10-12 Mountinb unit for rear suspension KR1023832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794A KR102383248B1 (en) 2017-10-12 2017-10-12 Mountinb unit for rear suspension
US15/822,256 US10259502B1 (en) 2017-10-12 2017-11-27 Mounting unit for rear suspension
CN201711269238.4A CN109649102B (en) 2017-10-12 2017-12-05 Mounting unit for rear suspen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794A KR102383248B1 (en) 2017-10-12 2017-10-12 Mountinb unit for rear suspen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339A KR20190041339A (en) 2019-04-22
KR102383248B1 true KR102383248B1 (en) 2022-04-05

Family

ID=66095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2794A KR102383248B1 (en) 2017-10-12 2017-10-12 Mountinb unit for rear suspension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59502B1 (en)
KR (1) KR102383248B1 (en)
CN (1) CN109649102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5921A (en) * 2019-07-31 2019-10-11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Trailing arm assembly attachment point mounting structure after a kind 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9093A (en) * 2005-10-05 2007-04-19 Mazda Motor Corp Lower body structure f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17945C (en) * 1994-10-12 2003-03-25 Laurence J. Holt Suspension system
JP2000229581A (en) * 1999-02-10 2000-08-22 Nissan Motor Co Ltd Structure of suspension mounting part
KR20030024945A (en) * 2001-09-19 2003-03-2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Joint Part Reinforcement Structure of Frame and Cross Member
US7448478B2 (en) * 2003-10-30 2008-11-11 Sean Thomas Upper strut mount
JP3988745B2 (en) * 2004-05-06 2007-10-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Body floor structure
US20060043659A1 (en) * 2004-08-30 2006-03-02 Marian Gofron Dual spring jounce bumper assembly
US7416242B2 (en) * 2006-03-29 2008-08-26 Chrysler Llc Reinforcement plate
CN101678861B (en) * 2007-06-22 2011-11-02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Rear vehicle body structure
DE102009045038B4 (en) * 2009-09-25 2012-05-24 Lisa Dräxlmaier GmbH Spring pad and method of making same
JP5329575B2 (en) * 2011-01-26 2013-10-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Vehicle body front
CN102189908A (en) * 2011-03-25 2011-09-21 许晓华 Double-cantilever independent suspension system of scooter
JP5821425B2 (en) * 2011-08-31 2015-11-24 マツダ株式会社 Vehicle body structure
KR101354374B1 (en) * 2012-12-03 2014-01-2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Bolting structure of sub frame
JP6332837B2 (en) * 2016-02-04 2018-05-30 マツダ株式会社 Lower body structure of the vehicle
CN106739905B (en) * 2016-12-30 2023-08-29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Rear spring lower vibration isolator structure for multi-connecting rod type rear independent suspens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9093A (en) * 2005-10-05 2007-04-19 Mazda Motor Corp Lower body structure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49102B (en) 2022-12-13
KR20190041339A (en) 2019-04-22
CN109649102A (en) 2019-04-19
US10259502B1 (en) 2019-04-16
US20190111972A1 (en) 2019-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3954B2 (en)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KR101826566B1 (en) Carrier for suspension system of vehicles
KR101090806B1 (en) Stabilizer link mounting unit for shock absorber
KR100448791B1 (en) a mounting part structure of floor and rear suspension in vehicles
CA2691602C (en)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KR102383248B1 (en) Mountinb unit for rear suspension
KR20100067312A (en) Assembly for a lower arm and a shock absorber bracket
KR20120007608U (en) brakets for shock absorber
JP4529737B2 (en) Trailing arm structure
KR101361246B1 (en) Coupled torsion beam axle for vehicle
KR100901578B1 (en) Trailing arm mounting structure in vehicle
KR19980040143A (en) McPherson Independent Suspension System for Automobile
JP6204159B2 (en) Car body rear structure
KR102235838B1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Torsion Beam Spring for Automotive Applications
KR20110063122A (en) Sub-frame for front suspension of automobile device for vehicle
KR20100001153A (en) Leaf spring mounting unit for vehicle
KR100482055B1 (en) a lower arm of suspention system for vehicles
WO2015189909A1 (en) Suspension device
KR101211421B1 (en) Torsion beam for vehicles
KR101767914B1 (en) Reinforcement structure of vehicle
CN205686116U (en) The semi-independent suspension of torsion girder-like
KR100290805B1 (en) Forward suspension for vehicle
KR102377539B1 (en) An automobile
KR0137689Y1 (en) Upper arm bracket and shock-absorber for vehicle suspension
KR20080023557A (en) Strut mount structure of suspension for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