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158B1 -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시설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시설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158B1
KR102383158B1 KR1020210156484A KR20210156484A KR102383158B1 KR 102383158 B1 KR102383158 B1 KR 102383158B1 KR 1020210156484 A KR1020210156484 A KR 1020210156484A KR 20210156484 A KR20210156484 A KR 20210156484A KR 102383158 B1 KR102383158 B1 KR 102383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d
stacked
segmental
segmented
waste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6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환
전용식
김자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산업
Priority to KR1020210156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1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5/00Transportable or portable shielded containers
    • G21F5/005Containers for solid radioactive wastes, e.g. for ultimate dispos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1/00Shield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terials
    • G21F1/02Selection of uniform shielding materials
    • G21F1/04Concretes; Other hydraulic hardening material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28Treating solids
    • G21F9/34Disposal of solid waste
    • G21F9/36Disposal of solid waste by packaging; by ba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시설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시설은, 미리 설정된 깊이로 터파기된 지반의 하부로부터 적층되어 되메워지며, 암거 또는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드럼이 적층될 수 있도록 드럼 적층공간이 마련된 적층방식 분절구조물,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상, 하, 좌, 우로 연결하는 연결구, 각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내부에 마련되어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강성을 증대시키고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타설압에 대한 저항성을 증대시키도록 마련되는 저항 타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시설 및 그 시공방법{WASTE TREATMENT FACILITY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LAMINATING METHOD SEGMENT STRUCTURE}
본 발명은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시설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듈러 방식의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이용하여 시공성 및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시설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방사성폐기물은 원자력 시설이나 방사성 물질을 다루는 작업장이나 실험실 등에서 나오는 폐기물로서 방사성 물질에 오염된 정도에 따라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과 고준위 방사성폐기물로 분류한다. 방사성폐기물의 정의는 방사성물질 또는 그에 의하여 오염된 물질로서 폐기의 대상이 되는 물질이라고 관계법령에서 정하고 있다.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은 원자력발전소의 경우에는 유지보수시 오염된 작업용품 등이고 병원의 경우에는 치료시 오염된 물품이며 산업체에서는 비파괴 검사 등에서 발생하며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은 원자력 발전소에서 전력을 생산하고 남은 핵연료 등이 있다. 즉 방사성폐기물의 생성은 학교, 병원, 연구기관, 산업체, 원자력발전 등 원자력을 이용하는 모든 분야에서 발생한다.
방사성폐기물의 처분방법은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의 경우에는 수 백미터이내에 지형특성을 고려하여 처분한다. 천층처분(near surface disposal)은 땅을 얕게 파고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하고 폐기물 드럼을 쌓아 매립하는 방법이며, 동굴처분(rock cavern disposal)은 적어도 수십~수백미터 이상의 지하암반에 터널/사일로(tunnel/silo)를 굴착하여 내부에 매립하여 처분한다.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의 경우에는 지표면에서 500~1,000m 이내의 암반에 심지층처분(deep geological disposal)한다.
도 1과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천층처분을 이용한 방사성폐기물의 처분방법은, 구조물의 규모에 맞게 지반 터파기를 한 후 적층될 폐기물 드럼(20)의 높이에 맞게 구조물(10)을 완성한 후 폐기물 드럼(20)을 적층한 후 일괄적으로 되메우기를 하였다.
종래기술에 따른 천층처분을 이용한 방사성폐기물의 처분방법은 구조물(10)을 한번에 완성하고 폐기물 드럼(20)을 쌓는 방법을 택하였으므로 시공성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높이가 높은 구조물(10)의 상부에서 구조물(10) 내부로 접근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폐기물 드럼(20)을 적층한 후 구조물(10)의 측면에 지반을 일괄적으로 되메우기 해야 하므로 되메움된 지반에 의해 토압이 크게 발생하여 이에 저항하기 위해 구조물(10)의 벽체 두께를 과다하게 마련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07631호(2015. 01. 21)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통해 작업안정성이 제고되고, 구조적 안전성이 높으면서도 경제성을 개선할 수 있는,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시설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시설은, 미리 설정된 깊이로 터파기된 지반의 하부로부터 적층되어 되메워지며, 암거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드럼이 적층될 수 있도록 드럼 적층공간이 마련된 적층방식 분절구조물; 상기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상, 하, 좌, 우로 연결하는 연결구; 및 각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강성을 증대시키고 상기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타설압에 대한 저항성을 증대시키도록 마련되는 저항 타이;를 포함한다.
상기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상부 일측 단부에는 상기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좌, 우로 연결하는 연결철근을 수용할 수 있도록 U자형 또는 V자형의 다수 개의 수평 연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구의 좌우 연결철근은 상기 수평 연결홈에 삽입되며 어느 하나의 적층방식 분절구조물과 면접하는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내부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연결구의 상하 연결철근은 상기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내주면에 인접하도록 상기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내주면을 따라 수직으로 다수 개 마련되며, 어느 하나의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상부와 상기 어느 하나의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상부에 적층된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항 타이는, 상기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벽면에 고정되는 인서트; 상기 인서트로부터 연장되어 마주하는 벽면까지 연장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에 마련되어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턴버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는 적층되는 드럼의 사이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서트는, 상기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벽면 내부에 사전 매립되어 고정되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너트; 및 상기 지지너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며 단부에 결합후크가 마련된 결합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시설 시공방법은, 지반을 미리 설정된 깊이로 터파기 하고 암거 또는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드럼이 적층될 수 있도록 드럼 적층공간이 마련된 프리캐스트로 형성되는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터파기된 지반의 하부에 1 단으로 다수 개 배치하는 제1 시공단계; 1 단으로 배치된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내부에 드럼을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적층하는 제2 시공단계; 상기 적층방식 분절구조물들을 상, 하, 좌, 우로 연결하는 연결구를 마련하는 제3 시공단계; 1 단으로 배치된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4 시공단계; 및 1 단으로 배치된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상부에 2 단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적층하는 제5 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시공단계 또는 상기 제3 시공단계 후, 각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강성을 증대시키고 상기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타설압에 대한 저항성을 증대시키도록 마련되는 저항 타이를 마련하는 저항타이 마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5 시공단계 후 상기 1 단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측부에 되메우기를 하는 되메우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 단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상부에 3 단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이 적층된 후 상기 2 단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측부에 되메우기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이용함으로써 시공안전성이 제고되고,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상, 하, 좌, 우로 연결하되 저항 타이를 내부에 마련함으로써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박판으로 형성할 수 있어 시공경제성이 제고됨은 물론 구조적 안전성이 제고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천층처분을 이용한 방사성폐기물의 처분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시설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시설의 분절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시설의의 적층방식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절구조물에 콘크리트타설압 저항타이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시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시설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시설의 분절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시설의의 적층방식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절구조물에 콘크리트타설압 저항타이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절구조물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시설(100)은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10, 120, 130, 140, 150), 연결구(160, 170), 저항 타이(180, 190, I, T)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천층처분을 이용한 방사성폐기물의 처분방법으로, 계획된 부지의 지반(G)을 미리 설정된 깊이로 터파기를 한 후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적층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이 5층으로 적층되며, 좌,우 한쌍으로 적층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터파기 깊이나 계획에 따라 다양한 높이나 폭으로 마련되어 적층될 수 있다.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은 미리 설정된 깊이로 터파기된 지반(H)의 하부로부터 적층되어 되메워지며, 암거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드럼(D)이 적층될 수 있도록 드럼 적층공간이 마련된다. 여기서,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이 암거형상으로 마련된다는 것은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측부만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는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이 암거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하면이 폐쇄된 상자형으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은 박판의 프리캐스트로 공장에서 미리 제작되어 현장에 반입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의상 도 3을 참조하여 적층방식 분절구조물 중 1 단에 적층된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10)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10)은 미리 설정된 두께로 마련되며 내부에 드럼(T)의 적층공간(113)이 마련되는 본체부(111),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상부 일측 단부에마련되며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좌, 우로 연결하는 연결철근(170)을 수용할 수 있도록 U자 또는 V자형으로 마련된 다수 개의 수평 연결홈(H1, H2)을 포함한다.
드럼(D)은 방사성 폐기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것으로 적층공간(113)에서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된다. 드럼(D)은 연결구(160, 170)와 저촉되지 않도록 적층공간(113)의 내부에 배치되며, 드럼(D) 사이사이에는 와이어(180, 190)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간격이 조정되어 배치된다.
연결구(160, 170)는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상, 하, 좌, 우로 연결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된 두께의 철근으로 마련되고 좌우 연결철근(170)과 상하 연결철근(160)을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좌우 연결철근(170)은 수평 연결홈(H1)에 삽입되며 어느 하나의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10a)과 면접하는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10b)의 내부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좌우 연결철근(170)은 U자형 또는 V자형으로 마련되는 수평 연결홈(H1)의 하부에 삽입되며, 미도시하였지만 어느 하나의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10a)과 면접하는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10b)의 면접하는 측부를 관통하도록 홀(미도시)이 마련되어 좌우 연결철근(170)은 이 홀(미도시)을 관통하여 어느 하나의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10a)과 면접하는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10b)의 내부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하 연결철근(160)은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10a, 110b)의 내주면에 인접하도록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10a, 110b)의 내주면을 따라 수직으로 다수 개 마련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하 연결철근(160)은 어느 하나의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10a, 110b)의 상부와 어느 하나의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10a, 110b)의 상부에 적층된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20a, 120b)의 하부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저항 타이(180, 190, I, T)는 각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10a, 110b)의 내부에 마련되어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10a, 110b)의 강성을 증대시키고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10a, 110b)의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타설압에 대한 저항성을 증대시키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저항 타이(180, 190, I, T)는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10a, 110b)의 벽면에 고정되는 인서트(I), 인서트(I)로부터 연장되어 마주하는 벽면까지 연장되는 와이어(180, 190), 와이어(180, 190)에 마련되어 와이어(180, 19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턴버클(T)을 포함한다.
와이어(180, 190)는 적층되는 드럼(D)의 사이사이에 마련되어 드럼(D)과 저촉되지 않도록 마련된다.
와이어(180, 190)는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10a, 110b)의 가로방향으로 마련되는 가로방향 와이어(180)와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10a, 110b)의 세로방향으로 마련되는 세로방향 와이어(190)를 포함한다.
와이어(180, 190)는 다층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도 6에서는 와이어(180, 190)가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10a, 110b)에 각각 배치되도록 예시하였으나 와이어(180, 190)는 어느 하나의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10a)과 면접하는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10b)의 면접하는 측부를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인서트(I)는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10a, 110b)의 본체부(111) 벽면 내부에 사전 매립되어 고정되며 지지부(f)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너트(N), 지지너트(N)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며 단부에 결합후크(h)가 마련된 결합볼트(B)를 포함한다.
턴버클(T)은 회전에 의해 와이어(180, 190)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은 박판으로 마련되나 저항 타이에 의해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박판 본체부에 콘크리트 타설압에 저항할 수 있어 종래 대비 시공경제선이 획기적으로 개선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시설 시공방법은, 지반(G)을 미리 설정된 깊이로 터파기 하고 암거 또는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드럼(D)이 적층될 수 있도록 드럼 적층공간이 마련된 프리캐스트로 형성되는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10a, 110b)을 터파기된 지반의 하부에 1 단으로 다수 개 배치하는 제1 시공단계, 1 단으로 배치된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10a, 110b)의 내부에 드럼(D)을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적층하는 제2 시공단계,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10a, 110b)을 상, 하, 좌, 우로 연결하는 연결구(160, 170)를 마련하는 제3 시공단계, 1 단으로 배치된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10a, 110b)의 내부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는 제4 시공단계, 1 단으로 배치된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10a, 110b)의 상부에 2 단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20a, 120b)을 적층하는 제5 시공단계를 포함한다.
제1 시공단계에서 지반(G)은 적층방식 분절구조물들의 적층 높이에 대응하도록 터파기 되며,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은 프리캐스트로 형성되어 공장에서 반입된 후 터파기된 지반의 하부에 1 단으로 배치된다.
드럼(D)은 제1 시공단계 후 제2 시공단계 전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3 시공단계 후 적층하는 것도 무방하다.
제2 시공단계 또는 상기 제3 시공단계 후, 각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10a, 110b)의 내부에 마련되어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10a, 110b)의 강성을 증대시키고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10a, 110b)의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타설압에 대한 저항성을 증대시키도록 마련되는 저항 타이(180, 190, I, T)를 마련하는 저항타이 마련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5 시공단계 후 1 단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10a, 110b)의 측부에 되메우기를 하는 되메우기 단계가 개시된다. 되메우기에 의해 되메우기 지반(G1)이 1 단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10a, 110b)을 둘러싸도록 되메우기 하며, 되메우기 지반(G1)의 높이는 1 단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10a, 110b) 높이 또는 1 단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10a, 110b)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되메우기 지반(G1) 되메우기 후, 2 단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20a, 120b)을 마련하고 드럼(D)을 적층한 후, 2 단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20a, 120b)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2 단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20a, 120b)과 1 단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10a, 110b)을 상하로 연결하며 2 단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20a, 120b)을 수평으로 연결한 후 2 단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20a, 120b)의 각 상부에 3 단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30)이 적층된다.
3 단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30)이 적층된 후, 2 단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20a, 120b)의 측부에 되메우기를 하며, 되메우기에 의해 되메우기 지반(G2)이 2 단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20a, 120b)을 둘러싸도록 되메우기 하며, 되메우기 지반(G2)의 높이는 2 단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20a, 120b) 높이 또는 2 단 적층방식 분절구조물(120a, 120b)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후 각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내부에 저항 타이(180, 190, I, T)를 마련하는 저항타이 마련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위의 과정들이 계획된 높이까지 달성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이용함으로써 시공안전성이 제고되고,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상, 하, 좌, 우로 연결하되 저항 타이를 내부에 마련함으로써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박판으로 형성할 수 있어 시공경제성이 제고됨은 물론 구조적 안전성이 제고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120, 130, 140, 150: 적층방식 분절구조물
160: 상하 연결철근
170: 좌우 연결철근
180, 190: 와이어

Claims (10)

  1. 미리 설정된 깊이로 터파기된 지반의 하부로부터 적층되어 되메워지며, 암거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드럼이 적층될 수 있도록 드럼 적층공간이 마련된 적층방식 분절구조물;
    상기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상, 하, 좌, 우로 연결하는 연결구; 및
    각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강성을 증대시키고 상기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타설압에 대한 저항성을 증대시키도록 마련되는 저항 타이;를 포함하는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시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상부 일측 단부에는 상기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좌, 우로 연결하는 연결철근을 수용할 수 있도록 U자형 또는 V자형의 다수 개의 수평 연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시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의 좌우 연결철근은 상기 수평 연결홈에 삽입되며 어느 하나의 적층방식 분절구조물과 면접하는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내부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연결구의 상하 연결철근은 상기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내주면에 인접하도록 상기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내주면을 따라 수직으로 다수 개 마련되며, 어느 하나의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상부와 상기 어느 하나의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상부에 적층된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시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타이는,
    상기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벽면에 고정되는 인서트;
    상기 인서트로부터 연장되어 마주하는 벽면까지 연장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에 마련되어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턴버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시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적층되는 드럼의 사이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시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상기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벽면 내부에 사전 매립되어 고정되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너트; 및
    상기 지지너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며 단부에 결합후크가 마련된 결합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시설.
  7. 지반을 미리 설정된 깊이로 터파기 하고 암거 또는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드럼이 적층될 수 있도록 드럼 적층공간이 마련된 프리캐스트로 형성되는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터파기된 지반의 하부에 1 단으로 다수 개 배치하는 제1 시공단계;
    1 단으로 배치된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내부에 드럼을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적층하는 제2 시공단계;
    상기 적층방식 분절구조물들을 상, 하, 좌, 우로 연결하는 연결구를 마련하는 제3 시공단계;
    1 단으로 배치된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4 시공단계; 및
    1 단으로 배치된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상부에 2 단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적층하는 제5 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시설 시공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공단계 또는 상기 제3 시공단계 후, 각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강성을 증대시키고 상기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타설압에 대한 저항성을 증대시키도록 마련되는 저항 타이를 마련하는 저항타이 마련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시설 시공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시공단계 후 상기 1 단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측부에 되메우기를 하는 되메우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시설 시공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2 단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상부에 3 단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이 적층된 후 상기 2 단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의 측부에 되메우기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시설 시공방법.
KR1020210156484A 2021-11-15 2021-11-15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시설 및 그 시공방법 KR102383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484A KR102383158B1 (ko) 2021-11-15 2021-11-15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시설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484A KR102383158B1 (ko) 2021-11-15 2021-11-15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시설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3158B1 true KR102383158B1 (ko) 2022-04-08

Family

ID=81183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6484A KR102383158B1 (ko) 2021-11-15 2021-11-15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시설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31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544B1 (ko) * 2022-07-12 2023-03-16 한국원자력환경공단 건설용 리프트를 이용한 방사성폐기물 표층처분시설 대형용기 장입 및 임시 개구부 폐쇄시공 공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7793A (ja) * 2006-11-17 2008-06-05 Shimizu Corp 坑道の支保構造
KR20150007631A (ko) 2013-07-12 2015-01-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핵 폐기물 저장 장치
KR20210133604A (ko) * 2020-04-29 2021-11-08 한국원자력연구원 처분 면적 저감을 위한 방사성 폐기물 처분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7793A (ja) * 2006-11-17 2008-06-05 Shimizu Corp 坑道の支保構造
KR20150007631A (ko) 2013-07-12 2015-01-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핵 폐기물 저장 장치
KR20210133604A (ko) * 2020-04-29 2021-11-08 한국원자력연구원 처분 면적 저감을 위한 방사성 폐기물 처분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544B1 (ko) * 2022-07-12 2023-03-16 한국원자력환경공단 건설용 리프트를 이용한 방사성폐기물 표층처분시설 대형용기 장입 및 임시 개구부 폐쇄시공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9770B1 (ko) 흙막이 가설구조 및 흙막이 가설 방법
KR20210130725A (ko) 보강장치 및 다량 수분 함유 자갈 지층 중 심층 피트 국소 냉동 보강 시공 방법
CN104234056B (zh) 用于防止高水位液化地区地下综合管廊变形的施工方法
CN104234080B (zh) 用于防止在高水位液化地区发生变形的地下综合管廊结构
KR101474515B1 (ko) 버팀대와 흙막이패널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및 이 시공 공법
KR102383158B1 (ko) 적층방식 분절구조물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시설 및 그 시공방법
JP5041838B2 (ja) 杭基礎構造の構築方法
KR101324231B1 (ko) 소일 시멘트벽 가시설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070044839A (ko) 하수관거 합성구조 기초 구조물 시공공법 및 그 구조물
CN105804085B (zh) 多单元井筒式地下立体车库分区施工方法
CN111424675A (zh) 一种超大桩间距深基坑支护体系的施工方法
CN214783995U (zh) 一种基于快速施工的复合钢管柱基坑支护体系
CN215715515U (zh) 不良地质条件下市政管网施工支护一体化结构
JPH05321249A (ja) 鋼製地下連続壁の構築方法
CN112323816A (zh) 卸荷式组合支挡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146757B1 (ko) 적층식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659997B1 (ko) 에이치빔을 이용한 흙막이공법 및 그 에이치빔 구조체
JPH086107Y2 (ja) 土留用シーティングプレート及び土留用シーティングプレート組合体
KR20210015135A (ko) 말뚝 보강재 가이드 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38704B1 (ko) 지하공간 구조물 벽체를 위한 강재 지중연속벽 및 이의 시공방법
CN206956730U (zh) 多道环形砼支撑基坑土方外运施工结构
CN216304659U (zh) 基坑支护结构
CN220644294U (zh) 一种沟槽用装配式支护结构
CN212427250U (zh) 一种防水防渗隔振空沟
KR101290766B1 (ko) 수직구 시공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수직구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