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2651B1 - Cctv 카메라 하우징 - Google Patents

Cctv 카메라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2651B1
KR102382651B1 KR1020210181782A KR20210181782A KR102382651B1 KR 102382651 B1 KR102382651 B1 KR 102382651B1 KR 1020210181782 A KR1020210181782 A KR 1020210181782A KR 20210181782 A KR20210181782 A KR 20210181782A KR 102382651 B1 KR102382651 B1 KR 102382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outlet
inlet
fluid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1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희원
Original Assignee
피닉스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닉스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피닉스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210181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6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5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heating or cooling, e.g. in aircraft
    • H04N5/225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은, 외주면에 플렌지부가 구비되고, 내부에 제1 통공(111), 제2 통공(112), 출구공(113)을 갖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의 하측에 결합되고 제3 통공(123)을 갖는 환형 고정구(120)와, 상기 몸체의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130)와, 상기 몸체의 제2 통공(112)과 환형 고정구의 제3 통공(123)을 연결하는 연결관(140)과, 상기 몸체와 환형 고정구 사이에 설치되는 강화유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 환형 고정구, 및 커버의 결합에 의해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110)는 원기둥부(110C)와 상기 원기둥부의 타측 외주면에 설치되는 플렌지부(110F)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통공(111)에는 제1 유체가 이동하고, 상기 제2 및 제3 통공(112,123)에는 제2 유체가 이동하며, 상기 제1 유체는 제1 통공의 입구(111-1)를 거쳐 제1 통공의 출구(111-2)를 통해 몸체의 내부로 유입된 이후에, 몸체의 출구공(113)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고, 상기 제2 유체는 제2 통공의 입구(112-1)를 통해 유입된 후 제2 통공의 출구(112-2)를 통해 이동하고, 이어서 연결관(140)을 거쳐, 제3 통공의 입구(123-1)을 통해 유입된 후 제3 통공의 출구(123-2)를 통해 유출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CCTV 카메라 하우징{CCTV CAMERA HOUSING}
본 발명은 CCTV 카메라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탱크 내부를 촬상하기 위한 CCTV 카메라가 탑재되는 카메라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방범, 안전, 화재 등과 같은 다양한 목적으로 다양한 CCTV 카메라의 설치가 확대되고 있다. 산업분야에도 CCTV 카메라가 설치되고 있는데,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위험한 작업환경 예컨대, 고온 작업환경, 먼지가 많은 작업환경, 폭발 발생의 우려가 있는 장소에도 CCTV 카메라가 설치된다.
또 보다 신뢰성 있는 작업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외부환경으로부터 차단된 챔버, 탱크에도 내부 작업환경을 관찰하기 위하여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카메라는 탱크또는 챔버의 몸체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관통공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내부 공간을 촬상할 수 있다.
작업환경이 고온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카메라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촬상 모듈이 고온으로 인해 정상적인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내부 먼지로 인해 카메라로부터 촬상된 영상 이미지의 품질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86588호, 개폐수단이 구비된 로 내 감시카메라용 하우징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8625호, 산업용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등록특허공보 제10-1505574호, 국부 냉각 장치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27363호, 압축공기를 이용한 공기 냉각기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고온 환경에서 카메라 하우징 내부의 온도를 소정의 범위 이내로 유지할 수 있는 CCTV 카메라 하우징을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탱크 내부의 고온, 고압, 유해가스와 같은 환경에도 선명한 촬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 CCTV 카메라 하우징을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은, 외주면에 플렌지부가 구비되고, 내부에 제1 통공(111), 제2 통공(112), 출구공(113)을 갖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의 하측에 결합되고 제3 통공(123)을 갖는 환형 고정구(120)와, 상기 몸체의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130)와, 상기 몸체의 제2 통공(112)과 환형 고정구의 제3 통공(123)을 연결하는 연결관(140)과, 상기 몸체와 환형 고정구 사이에 설치되는 강화유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 환형 고정구, 및 커버의 결합에 의해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110)는 원기둥부(110C)와 상기 원기둥부의 타측 외주면에 설치되는 플렌지부(110F)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통공(111)에는 제1 유체가 이동하고, 상기 제2 및 제3 통공(112,123)에는 제2 유체가 이동하며, 상기 제1 유체는 제1 통공의 입구(111-1)를 거쳐 제1 통공의 출구(111-2)를 통해 몸체의 내부로 유입된 이후에, 몸체의 출구공(113)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고, 상기 제2 유체는 제2 통공의 입구(112-1)를 통해 유입된 후 제2 통공의 출구(112-2)를 통해 이동하고, 이어서 연결관(140)을 거쳐, 제3 통공의 입구(123-1)을 통해 유입된 후 제3 통공의 출구(123-2)를 통해 유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몸체의 플렌지부(110F)의 외주면에는 제1 통공의 입구(111-1), 출구공(113), 및 제2 통공(112-1)의 입구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의 원기둥부(110C)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방향으로 제1 통공의 출구(111-2)가 형성된다.
또한, 제3 통공의 입구(123-1)은 환형 고정구(120)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3 통공의 출구(123-2)는 환형 고정구의 내면에 하나 이상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 에어(air)가 카메라 하우징 내부로 유입하도록 하여, 카메라의 회로소자의 열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고, 냉각 에어가 강화유리 전측으로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강화유리 일측면과 타측면에서 과도한 온도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강화유리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 몸체와 환형 고정구에 각각 단턱을 형성하고, 이들 사이에 강화유리를 설치함으로써, 탱크 내부의 압력으로 인한 위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탱크 내부에 존재할 수 있는 유해가스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를 탱크에 설치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통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통공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형 고정구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에 높이 조절부를 결합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부의 설치이전과 설치이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탱크 내부를 촬상하기 위한 CCTV 카메라가 탑재되는 카메라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를 탱크에 설치한 것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CCTV 카메라는 공간부를 갖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에 탑재되는 카메라(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카메라 하우징(100)은 외주면에 플렌지부가 구비되고, 내부에 제1 통공과 제2 통공과 출구공을 갖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의 하측에 결합되고 제3 통공을 갖는 환형 고정구(120)와, 상기 몸체의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130)와, 상기 몸체의 제2 통공과 환형 고정구의 제3 통공을 연결하는 연결관(140)과, 상기 몸체와 환형 고정구 사이에 설치되는 강화유리(15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10)는 원기둥부(110C)와 상기 원기둥부의 타측 외주면에 설치되는 플렌지부(110F)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의 상측에는 커버(130)가 결합되고, 상기 몸체의 하측에는 환형 고정구(120)이 결합된다. 이와 같이 커버, 몸체, 강화유리, 환형 고정구가 결합되면, 상기 몸체의 내측 영역은 공간부를 형성한다. 상기 공간부에는 카메라가 설치된다. 실시예로서, 상기 카메라는 커버에 고정된 후 몸체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는 카메라(200)는 렌즈(210)와, 이미지 소자(220)와, 회로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회로부는 케이블(CBL)을 통해 서버로 촬상 이미지를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통공을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통공을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형 고정구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몸체에는 제1 통공(111)과, 제2 통공(112)과, 출구공(113)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통공(111)의 입구(111-1)과 출구공(113)은 몸체의 플렌지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1 통공(111)은 제1 유체가 이동하는 통로가 되고, 상기 제2 통공(112)과 제3 통공(123)은 제2 유체가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 상기 제1 유체와 제2 유체는 서로 다른 온도 또는 압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유체는 하우징 내부의 공간부를 냉각하고, 상기 제2 유체는 하우징의 일측 단부에 설치된 강화유리를 냉각한다. 상기 제1 및 제2 유체는 에어(air)일 수 있다.
도 5는 제1 유체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플렌지부의 외주면 일측에는 제1 통공의 입구(111-1)가 설치되고, 원기둥부의 내측에는 제1 통공의 출구(111-2)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통공의 출구(111-2)는 원기둥부의 내측 방향 즉, 공간부 방향에 형성된다. 제1 유체(AIR-1)는 제1 통공의 입구(111-2)로 들어간 이후에 제1 통공의 출구(111-2)를 통해 하우징의 공간부로 유입된다. 이후 공간부 내부를 냉각한 후, 플렌지부의 출구공(113)을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도 6 및 도 7은 제2 유체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하우징 몸체의 플렌지부에는 제2 통공의 입구(112-1)가 설치되고, 원기둥부의 단부에는 제2 통공의 출구(112-2)가 설치된다. 또 환형 고정구(120)의 상부에는 제3 통공(123)의 입구(123-1)가 설치되고, 환형 고정구(120)의 내측면에는 제3 통공(123)의 출구(123-2)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3 통공의 입구는 하나이고, 제3 통공의 출구(123-2)는 환형 고정구의 중심방향을 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통공의 출구를 강화유리의 중심을 향하게 함으로써 강화유리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냉각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 통공의 출구(112-2)와 제3 통공의 입구(123-1)에는 연결관(140)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 유체는 제2 통공(112), 연결관(140), 제3 통공(123)을 거쳐 외부로 유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하우징(100)의 내측 공간부에 카메라(200)을 설치하고, 탱크(TANK)의 몸체에 형성된 관통공에 끼워고정한다.
되돌아가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 몸체의 플렌지부에는 그 외주면에 제1 통공의 입구(111-1), 출구공(113), 및 제2 통공의 입구(112-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통공의 입구(111-1)에는 제1 튜브(TUBE-1)이 연결되어 있고, 출구공(113)에는 배출 튜브(TUBE-11)이 연결되어 있으며, 제2 통공의 입구(112-1)에는 제2 튜브(TUBE-2)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튜브(TUBE-1)를 통해 제1 유체를 하우징 몸체 내부로 공급하고, 배출 튜브(TUBE-11)을 통해 나온다. 또 상기 제2 튜브(TUBE-2)를 통해 제2 유체를 공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하우징에 높이 조절부를 결합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부의 설치이전과 설치이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몸체의 원기둥부에는 높이 조절부(SCR)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부(SCR)은 원기둥부에 끼워질 수 있는 환형을 가지며, 가장자리에 볼트공이 형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몸체의 플렌지부와 탱크에는 각각 볼트공이 형성되어 있다. 탱크의 관통공에 높이 조절부(SCR)와 카메라 하우징(100)을 대응하여 배치시킨 후, 볼트를 사용하여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다.
도 9는 하우징의 원기둥부에 높이 조절부를 설치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9(a)와 같이, 탱크의 관통공의 깊이 - 탱크의 두께 - 가 원기둥부의 길이 보다 얇을 경우, 원기둥부는 탱크 내부에서 돌출되게 된다. 이렇게 설치된 경우, 원기둥부의 측면에서 촬상 사각영역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며, 도 9(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기둥부에 높이 조절부(SCR)을 끼운 후, 하우징을 탱크에 고정하면, 카메라의 촬상 영역은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 카메라 하우징
110 : 몸체
110C : 원기둥부
110F : 플렌지부
111 : 제1 통공
112 : 제2 통공
120 : 환형 고정구
123 : 제3 통공
130 : 커버
140 : 연결관
150 : 강화유리
200 : 카메라
210 : 렌즈
220 : 이미지 소자
230 : 회로부
SCR : 높이 조절부
CBL : 케이블

Claims (3)

  1. 외주면에 플렌지부가 구비되고, 내부에 제1 통공(111), 제2 통공(112), 출구공(113)을 갖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의 하측에 결합되고 제3 통공(123)을 갖는 환형 고정구(120)와,
    상기 몸체의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130)와,
    상기 몸체의 제2 통공(112)과 환형 고정구의 제3 통공(123)을 연결하는 연결관(140)과,
    상기 몸체와 환형 고정구 사이에 설치되는 강화유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 강화유리, 환형 고정구, 및 커버의 결합에 의해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110)는 원기둥부(110C)와 상기 원기둥부의 타측 외주면에 설치되는 플렌지부(110F)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130)에는 카메라가 고정되고, 상기 카메라가 고정된 커버와 몸체의 결합하면, 상기 카메라는 공간부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몸체의 플렌지부(110F)의 외주면에는 제1 통공의 입구(111-1), 출구공(113), 및 제2 통공(112-1)의 입구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의 원기둥부(110C)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방향으로 제1 통공의 출구(111-2)가 형성되며,
    상기 환형 고정구(120)의 상면에는 제3 통공의 입구(123-1)가 형성되고, 상기 제3 통공의 출구(123-2)는 환형 고정구의 내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제3 통공의 출구는 강화유리를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통공(111)에는 제1 유체가 이동하고, 상기 제2 및 제3 통공(112,123)에는 제2 유체가 이동하며,
    상기 제1 유체는 제1 통공의 입구(111-1)를 거쳐 제1 통공의 출구(111-2)를 통해 몸체의 내부로 유입된 이후에, 몸체의 플렌지부에 형성된 출구공(113)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고, 상기 제2 유체는 제2 통공의 입구(112-1)를 통해 유입된 후 제2 통공의 출구(112-2)를 통해 이동하고, 이어서 연결관(140)을 거쳐, 환형 고정구(120)의 제3 통공의 입구(123-1)을 통해 유입된 후 환형 고정구의 제3 통공의 출구(123-2)를 통해 강화유리로 유출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1 유체와 제2 유체는 서로 다른 온도 또는 압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하우징.

  2. 삭제
  3. 삭제
KR1020210181782A 2021-12-17 2021-12-17 Cctv 카메라 하우징 KR102382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782A KR102382651B1 (ko) 2021-12-17 2021-12-17 Cctv 카메라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782A KR102382651B1 (ko) 2021-12-17 2021-12-17 Cctv 카메라 하우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2651B1 true KR102382651B1 (ko) 2022-04-08

Family

ID=81183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1782A KR102382651B1 (ko) 2021-12-17 2021-12-17 Cctv 카메라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26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7916B1 (ko) 2023-05-16 2023-11-29 주식회사 인더스비젼 리셋 스위치를 갖는 방폭 카메라 장치용 케이스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231U (ko) * 1991-06-13 1993-01-21 이동식 재가열로의 내부 감시 카메라용 하우징의 냉각장치
JPH0548936A (ja) * 1991-08-21 1993-02-26 Hitachi Zosen Corp 炉内監視カメラの冷却装置
KR200208625Y1 (ko) 2000-06-20 2001-01-15 주식회사우진정밀 산업용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KR101286588B1 (ko) 2012-01-17 2013-07-22 삼성영상보안주식회사 개폐수단이 구비된 로 내 감시카메라용 하우징
KR20130127363A (ko) 2012-05-14 2013-11-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압축공기를 이용한 공기 냉각기
KR101505574B1 (ko) 2014-11-12 2015-03-25 (주)세양메카트로닉스 국부 냉각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231U (ko) * 1991-06-13 1993-01-21 이동식 재가열로의 내부 감시 카메라용 하우징의 냉각장치
JPH0548936A (ja) * 1991-08-21 1993-02-26 Hitachi Zosen Corp 炉内監視カメラの冷却装置
KR200208625Y1 (ko) 2000-06-20 2001-01-15 주식회사우진정밀 산업용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KR101286588B1 (ko) 2012-01-17 2013-07-22 삼성영상보안주식회사 개폐수단이 구비된 로 내 감시카메라용 하우징
KR20130127363A (ko) 2012-05-14 2013-11-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압축공기를 이용한 공기 냉각기
KR101505574B1 (ko) 2014-11-12 2015-03-25 (주)세양메카트로닉스 국부 냉각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7916B1 (ko) 2023-05-16 2023-11-29 주식회사 인더스비젼 리셋 스위치를 갖는 방폭 카메라 장치용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2651B1 (ko) Cctv 카메라 하우징
KR101693308B1 (ko) 냉각장치가 내장된 카메라 하우징
EP1817825B1 (en) Pressure equalizing equipment housing
CN1945124B (zh) 一种液冷式燃烧摄像机
CN202720434U (zh) 一种针孔高温工业电视防护罩
KR100467748B1 (ko) 로(爐) 내부 감시용 비젼튜브
CN205002154U (zh) 内窥式锅炉炉膛火焰电视监视系统冷却装置
KR100467747B1 (ko) 로 내부 감시를 위한 비젼튜브의 자동 추출장치
CN109913785A (zh) 一种镀锌炉高温摄像机
JP2963719B2 (ja) カメラハウジング
KR100446578B1 (ko) 비젼튜브를 이용한 로 내부 감시 방법
KR102144983B1 (ko) 감시 카메라 장치
CN115871023A (zh) 一种具有主动散热功能的防尘防爆视觉保护装置
KR100749571B1 (ko) 제철소 압연실 내부 감시카메라
US20220330451A1 (en) Air Conditioner for Sealed Enclosures
TWM537201U (zh) 高溫爐爐內攝影系統
CN213126158U (zh) 一种具备降温功能的工业相机
US6155064A (en) Housing for protecting monitoring equipment
CN210222461U (zh) 防粉尘及高温气幕摄像头
TWI732196B (zh) 具有冷卻配置之照相機組件
KR101855623B1 (ko) 스나우트의 카메라장치
KR200208625Y1 (ko) 산업용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CN218998707U (zh) 车机控制装置以及车辆
KR101895987B1 (ko) 방폭형 카메라 장치
CN219248227U (zh) 一种传感器散热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