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308B1 - 냉각장치가 내장된 카메라 하우징 - Google Patents

냉각장치가 내장된 카메라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308B1
KR101693308B1 KR1020160131962A KR20160131962A KR101693308B1 KR 101693308 B1 KR101693308 B1 KR 101693308B1 KR 1020160131962 A KR1020160131962 A KR 1020160131962A KR 20160131962 A KR20160131962 A KR 20160131962A KR 101693308 B1 KR101693308 B1 KR 101693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eat
air
housing case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1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콘트롤전기
김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콘트롤전기, 김민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콘트롤전기
Priority to KR1020160131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3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33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5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heating or cooling, e.g. in aircraf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04N5/2252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10/00Electrical generator or motor structure
    • Y10S310/80Piezoelectric polymers, e.g. PVD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s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장치가 내장된 카메라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나 센서 등의 구성을 보호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내부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을 냉각수단을 통해 하우징 내부의 온도를 낮춰 카메라나 센서 등의 구성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카메라 렌즈 측으로 분사하여 먼지 등을 제거하여 촬영시 이물감이 없도록 하여 선명하게 촬영 가능하도록 하는 냉각장치가 내장된 카메라 하우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각장치가 내장된 카메라 하우징{The camera housing in which the cooling device is built}
본 발명은 냉각장치가 내장된 카메라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나 센서 등의 구성을 보호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내부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을 냉각수단을 통해 하우징 내부의 온도를 낮춰 카메라나 센서 등의 구성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냉각장치가 내장된 카메라 하우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인 감시용 카메라는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주변 상황을 감시하기 위한 것으로, 원격지에서 영상을 모니터링 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되어져 왔으며, 이를 위하여 영상을 송출하기 위한 영상송출기와 영상송출기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표시장치에 제공하는 표시부 등의 구성으로 구성된다.
종래의 감시용 카메라는 감시하는 시간동안 소정의 밝기를 계속 유지하는 장소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카메라와, 외부의 조건에 따라 밝기가 변하는 장소에서 사용되는 적외선 카메라로 구분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적외선 카메라를 가지는 카메라는 설정된 조도 이하로 떨어지면 자동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적외선 램프가 작동되고, 적외선 램프에서 발생되는 빛을 통하여 보다 식별력이 우수한 영상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져 어떠한 환경에서도 사용이 편리하므로 적외선 램프를 가지는 카메라의 연구개발 및 보급이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적외선 카메라에서 사용되는 적외선 램프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카메라의 내부에 손상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적외선 램프 부착형 폐쇄회로 카메라가 제안되었다. 상기 기술은 적외선 램프 또는 LED를 외부에 장착하고, 설정된 조도의 범위에서 점등 및 소등되도록 구성하여 불필요한 전력소모의 방지 및 고열에 따른 카메라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적외선 램프 또는 LED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방출되어 카메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나, 적외선 램프 또는 LED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누수로 인한 잦은 고장과, 부피가 크고 부품이 많아 조립공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85303 적외선 엘이디를 부착한 CCTV용 카메라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카메라나 센서 등의 구성을 보호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내부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을 냉각수단을 통해 하우징 내부의 온도를 낮춰 카메라나 센서 등의 구성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카메라 렌즈 측으로 분사하여 먼지 등을 제거하여 촬영시 이물감이 없도록 하여 선명하게 촬영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고온의 대기에서 카메라나 센서를 보호하기 위한 냉각장치가 내장된 카메라 하우징은,
외부의 고온으로부터 촬영수단(200)과 냉각수단(300)을 보호하며, 일측은 관통 형성되고, 타측은 촬영수단(200)이 촬영가능하도록 촬영구(111)가 형성되는 하우징케이스(110)와,
상기 하우징케이스(110)가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우징케이스(110) 일측에 형성되는 하우징각도조절수단(120)과,
상기 하우징케이스(110) 일측으로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되는 하우징 전면부재(130)와,
상기 하우징케이스(110) 내부에 내장되는 촬영수단(200)과 냉각수단(300)의 유지보수를 위해 하우징케이스(110)의 일측으로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덮개(140)와,
상기 하우징케이스(110)를 기준으로 하우징덮개(140)가 힌지개폐 가능하도록 하우징케이스(110)와 하우징덮개(140)가 맞닿는 외주면 일단에 형성되는 힌지수단(150)과,
힌지수단(150)을 통해 힌지개폐되는 하우징덮개(140)가 하우징케이스(110)에 고정 결합되도록 상기 하우징케이스(110)와 하우징덮개(140) 일측 맞닿는 외주면에 형성되는 잠금수단(160)을 포함하는 하우징부(100)와;
주변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하고, 하우징케이스(110)에 형성되는 촬영구(111) 측으로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 형성되는 촬영수단(200)과;
일측면의 열을 흡수하여 타측면으로 열을 전달하는 펠티어소자(310)에 의해 하우징부(100) 내부의 온도를 낮추도록 형성되는 냉각수단(300)과;
하우징부(10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하우징케이스(110) 내부 일측에 형성되는 온도센서(400)와;
상기 온도센서(400)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가 기설정 온도 이상일 경우 냉각수단(300)을 작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제어수단(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나 센서 등의 구성을 보호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내부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을 냉각수단을 통해 하우징 내부의 온도를 낮춰 카메라나 센서 등의 구성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카메라 렌즈 측으로 분사하여 먼지 등을 제거하여 촬영시 이물감이 없도록 하여 선명하게 촬영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냉각장치가 내장된 카메라 하우징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냉각장치가 내장된 카메라 하우징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냉각장치가 내장된 카메라 하우징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냉각장치가 내장된 카메라 하우징에 대한 부분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냉각장치가 내장된 카메라 하우징에 대한 공기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 고온의 대기에서 카메라나 센서를 보호하기 위한 냉각장치가 내장된 카메라 하우징은,
외부의 고온으로부터 촬영수단(200)과 냉각수단(300)을 보호하며, 일측은 관통 형성되고, 타측은 촬영수단(200)이 촬영 가능하도록 촬영구(111)가 형성되는 하우징 케이스(110)와,
상기 하우징케이스(110)가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우징케이스(110) 일측에 형성되는 하우징각도조절수단(120)과,
상기 하우징케이스(110) 일측으로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되는 하우징 전면부재(130)와,
상기 하우징케이스(110) 내부에 내장되는 촬영수단(200)과 냉각수단(300)의 유지보수를 위해 하우징케이스(110)의 일측으로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덮개(140)와,
상기 하우징케이스(110)를 기준으로 하우징덮개(140)가 힌지개폐 가능하도록 하우징케이스(110)와 하우징덮개(140)가 맞닿는 외주면 일단에 형성되는 힌지수단(150)과,
힌지수단(150)을 통해 힌지 개폐되는 하우징덮개(140)가 하우징케이스(110)에 고정 결합되도록 상기 하우징케이스(110)와 하우징덮개(140) 일측 맞닿는 외주면에 형성되는 잠금수단(160)을 포함하는 하우징부(100)와;
주변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하고, 하우징케이스(110)에 형성되는 촬영구(111) 측으로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 형성되는 촬영수단(200)과;
일측면의 열을 흡수하여 타측면으로 열을 전달하는 펠티어소자(310)에 의해 하우징부(100) 내부의 온도를 낮추도록 형성되는 냉각수단(300)과;
하우징부(10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하우징케이스(110) 내부 일측에 형성되는 온도센서(400)와;
상기 온도센서(400)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가 기설정 온도 이상일 경우 냉각수단(300)을 작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제어수단(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부(100)는 크게 촬영수단(200)이 내장되는 하우징케이스(110)와, 냉각수단(300)이 내장되는 하우징덮개(140)와 촬영수단(200)의 촬영시 내열강화유리(131)에 발생되는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분사노즐(135)이 형성되는 하우징 전면부재(130)의 구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케이스(110)는 내부에 내장된 촬영수단(200)과 냉각수단(300)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하우징케이스(110) 일측으로는 하우징 전면부재(130)와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되도록 복수의 결합구가 형성되며, 일측 중앙은 촬영수단(200)의 카메라렌즈가 수용될 수 있도록 관통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케이스(110)의 타측으로 하우징덮개(140)가 형성되는 것으로, 하우징케이스(110)와 하우징덮개(140)는 힌지수단(150)과 잠금수단(160)을 통해 연결되고,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각도조절수단(120)은 하우징케이스(110)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우징부(100)를 일정 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각도조절수단(120)은 하우징케이스(110) 측으로 조절판이 형성되고, 조절판이 조절고정판에 핀결합되어 조절고정판을 중심으로 조절판이 일정 각도로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각도조절수단(120)에서 조절판과 조절고정판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각도조절수단으로 도면부호를 기재하진 않았다.
상기 하우징 전면부재(130)는 하우징케이스(110) 일측면에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전면부재(130) 중앙에는 촬영수단(200)이 촬영가능하도록 관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촬영수단(200)의 카메라렌즈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전면부재(130) 중앙에 형성된 관통홈에 내열강화유리(1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4에서 하우징 전면부재(130)는 촬영수단(200)의 카메라 렌즈를 보호하도록 하우징 전면부재(130) 중앙 관통홈에 형성되는 내열강화유리(131)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내열강화유리(131) 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하우징 전면부재(130) 외측에서 내부로 수직 관통 형성되는 제1공기공급홀(132)과;
상기 제1공기공급홀(132)과 연결되어 제1공기공급홀(132)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분사노즐(135)로 공급하도록 전면부재 내측부에 원형으로 형성되는 제2공기공급홀(133)과;
외부의 공기를 상기 제1공기공급홀(132) 측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공기 공급관(134)과;
상기 제2공기공급홀(133)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내열강화유리(131) 측으로 분사하기 위해 형성되는 분사노즐(135)과;
상기 분사노즐(135)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가 일정한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우징 전면부재(130) 내측면에 일정 각도로 형성되는 공기배출면(1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열강화유리(131)는 하우징 전면부재(130)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홈에 수용 결합되는 것으로, 하우징 전면부재(130)가 하우징케이스(110)에 결합시 하우징케이스(110) 내부에 내장된 촬영수단(200)의 카메라 렌즈를 외부의 고온 및 먼지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열강화유리(131)는 하우징 전면부재(130)에 수용 결합되며, 결합에 의한 부착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결합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공기공급홀(132)은 하우징 전면부재(130) 외주면 일측에서 하우징 전면부재(130) 중앙측으로 수직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공기공급홀(132)에서 제2공기공급홀(133) 측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수직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공기공급홀(133)은 상기 제1공기공급홀(132)에 연결 형성되는 원형의 공간으로써, 분사노즐(135)을 통해 내열강화유리(131)측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상하좌우에서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하나의 공기공급관(134)을 통해 중심 측으로 다방향에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원형의 공간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원형의 공간인 상기 제2공기공급홀(133)에 링형상을 갖는 분사노즐(135)이 삽입 결합되고, 링형상을 갖는 분사노즐(135)에는 복수의 분사홀이 형성되어 복수의 분사홀을 통해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내열강화유리(131)측으로 다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공급관(134)은 하우징 전면부재(130) 외주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제1공기공급홀(132) 측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부의 공기펌프 등을 통해 상기 공기공급관(134)으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공급관(134)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제1공기공급홀(132)을 지나 제2공기공급홀(133)로 유입되고, 원형의 공간인 제2공기공급홀(133)을 통해 360˚공기가 순환되며 순환시 분사노즐(135)에 형성되는 복수의 분사홀을 통해 공기가 내열강화유리(131) 측으로 다방향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공기공급관(134)이 하우징 전면부재(130) 외주면 상측과 하측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2공기공급관(134)이 형성되지 않고, 제1공기공급관(134)을 통해 직접 분사노즐(135) 측과 연결되어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노즐(135)은 제2공기공급홀(133)에 수용되는 것으로, 제2공기공급홀(133)을 통해 순환되는 공기가 분사노즐(135)에 형성되는 복수의 분사홀을 통해 공기가 내열강화유리(131) 측으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노즐(135)에는 복수의 분사홀이 형성되며, 분사홀은 내열강화유리(131) 측으로 일정각도로 형성되어 공기의 분사시 내열강화유리(131) 면에 부착된 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배출면(136)은 분사노즐(135)을 통해 내열강화유리(131) 측으로 분사되는 공기가 일정한 방향으로 분사되어 배출되도록 하우징 전면부재(130) 내부면에 일정각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노즐(135)을 통해 배출된 공기는 상기 공기배출면(136)을 따라 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흐르게 됨으로 전면부재(130)의 내열강화유리(131) 표면에 존재하는 먼지는 제거 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분사노즐(135)에 형성되는 분사홀이 하나 형성되는 경우에도 공기가 공기배출면(136) 전체를 이동하면서 먼지 등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기공급관(134)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제1공기공급홀(132)을 통해 제2공기공급홀(133)로 이동되며, 제2공기공급홀(133)을 통해 순환되는 공기가 분사노즐(135)에 형성되는 분사홀을 통해 내열강화유리(131) 측으로 공기를 분사하며, 분사되는 공기는 전면부재(130) 내측면에 일정 각도로 형성되는 공기배출면(136)을 따라서 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덮개(140)는 하우징케이스(110) 일측으로 힌지수단(150)을 통해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덮개(140) 일측으로 형성되는 잠금핀(161)에 하우징케이스(110) 일측에 형성되는 잠금고리(162)가 잠겨짐으로 물 등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밀폐되도록 닫히며, 잠금고리(162)를 잠금핀(161)으로부터 열림시 하우징케이스(110)와 하우징덮개(140) 일측으로 형성되는 힌지수단(150)에 의해 회전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덮개(140) 일측에는 촬영수단(200)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수단(300)에 의한 강제 배출이나 자연배출이 될 수 있도록 방열구(141)가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열구(141)는 하우징덮개(140) 일측면에 다수 형성되는 것으로, 냉각수단(300)에 의해 배출되는 열과 평시 자연대류 현상으로 미열이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수단(150)은 하우징케이스(110) 일측 끝단과 하우징덮개(140)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우징케이스(110)와 하우징덮개(140)에 형성되는 힌지부재에 힌지핀을 통해 결합하여 하우징케이스(110)의 힌지핀을 중심으로 힌지핀에 고정된 하우징덮개(140)가 회전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금수단(160)은 하우징케이스(110)에서 회전 개폐되는 하우징덮개(140)를 밀착 잠금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하우징케이스(110)에는 잠금고리(162)가 형성되고, 하우징덮개(140)에는 잠금핀(161)이 형성되어 잠금고리(162)를 통해 잠금핀(161)을 걸어 잠금으로 밀폐 잠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잠금수단(160)은 하우징덮개(140) 외주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잠금핀(161)과;
상기 잠금핀(161)을 고리방식으로 걸어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하우징케이스(110) 일측으로 형성되는 잠금고리(1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금핀(161)은 하우징 덮개 외주면 일측으로 형성되며, 잠금고리(162)가 걸릴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금고리(162)는 하우징케이스(110) 외주면 일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덮개(140)가 닫힘 시 하우징덮개(140)에 형성되는 잠금핀(161)과 일치되는 방향에 형성되어 잠금고리(162)를 잠금핀(161)에 걸어 잠금으로 하우징케이스(110)에 하우징덮개(140)가 닫혀짐으로 잠금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촬영수단(200)은 주변을 촬영하기 위한 수단으로 카메라를 포함하며, 카메라 렌즈가 내열강화유리(131) 측으로 형성되어 주변 촬영시 내열강화유리(131)를 통해 외부 환경으로부터 렌즈를 보호 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각수단(300)은 촬영수단(20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한 하우징 케이스(110) 내부 온도 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냉각수단(300)은 촬영수단(200) 측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타측면으로 열을 전달함으로 촬영수단(200) 측의 온도를 낮추도록 형성되는 펠티어소자(310)와;
펠티어소자(310) 일측면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기 위해 펠티어소자(310) 일측면에 접촉 형성되는 방열판(320)과;
방열판(320)이 흡수한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하우징 덮개 일측면에 형성되는 방열팬(330)과;
상기 펠티어소자(310) 일측면에서 발생되는 냉기를 흡수하기 위해 펠티어소자(310) 일측면에 접촉 형성되는 냉각판(340)과;
상기 냉각판(340)이 흡수한 냉기를 촬영수단(200) 측으로 배출하도록 냉각판(340) 일측으로 형성되는 냉각팬(3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펠티어소자(310)는 하우징케이스(110)와 하우징덮개(140) 사이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펠티어소자(310)에 전류를 흘리게 되면 일측면은 열을 흡수하여 타측면으로 전달한다.
흡수하는 측은 주변 온도보다 낮은 냉기가 발생 되며, 흡수된 열이 타측면에 전달되어 타측면은 주변보다 온도가 높아지게 된다.
상기 펠티어소자(310)는 하우징케이스(110) 또는 하우징덮개(140)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부착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펠티어소자(310)는 온도센서(400)를 통해 설정온도 이상일 경우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설정온도 이상이 되면 펠티어소자에 전류가 공급되어 펠티어 소자가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방열판(320)은 열이 발생되는 펠티어소자(310) 일측에 접촉형성되는 것으로, 촬영수단(200) 측의 열을 흡수한 펠티어소자(310) 일측면에서 발생되는 열을 접촉을 통해 흡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펠티어소자(310) 일측면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판(320)이 흡수하여 열의 고르게 분산시켜 열의 집중됨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열팬(330)은 방열판(32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방열판(320)에 고르게 분사된 열을 낮춰주기 위해 작동되는 것으로, 상기 방열팬(330)은 온도센서(400)를 통해 설정온도 이상일 경우 작동되어 방열판(320)의 열을 외부로 배출시킴으로 냉각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판(340)은 냉각되는 펠티어소자(310) 일측에 접촉형성되는 것으로,상기 냉각판(340)을 통해 흡수한 냉기는 냉각팬(350)을 통해 촬영수단(200)측으로 제공되도록 하며, 상기 냉각판(340)은 펠티어소자(310) 일측면에 형성되는 냉기가 한 곳에 집중되지 않고, 냉기를 고르게 분산시켜 냉기가 촬영수단(200) 측으로 빠르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팬(350)은 냉각판(34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냉각판(340)에 고르게 분사된 냉기를 촬영수단(200) 측으로 제공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팬(350)은 온도센서(400)를 통해 설정온도 이상일 경우 작동되어 냉각판(340)이 흡수한 냉기를 촬영수단(200) 측으로 제공하여 하우징케이스(110) 내부의 온도를 낮춰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온도센서(400)는 하우징케이스(110)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어, 촬영수단(200)에 의해 발생되는 열의 온도를 센싱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도센서(400)의 센싱으로 설정된 온도 이상일 경우를 센싱하여 제어수단(500) 측으로 센싱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어수단(500)은 온도센서(400)에서 센싱되는 센싱신호에 의해 펠티어소자(310)와 냉각팬(350)과 방열팬(330)을 작동시키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수단(500)은 온도센서(400)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일 경우, 방열팬(330)과 냉각팬(350)과 펠티어소자(310)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수단(500)을 통해 작동되는 순서는 온도센서(400)가 설정된 온도 이상을 감지한 경우, 감지신호를 제공받은 펠티어소자(310)가 작동되고, 펠티어소자(310) 작동과 동시에 방열팬(330)과 냉각팬(350)을 작동시켜 냉각팬(350)을 통해 촬영수단(200) 측으로 냉기를 제공하고, 방열팬(330)을 통해 외부로 열을 배출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하우징부
110 : 하우징케이스 111 : 촬영구
120 : 하우징각도조절수단 130 : 하우징 전면부재
131 : 내열강화유리 132 : 제1공기공급홀
133 : 제2공기공급홀 134 : 공기공급관
135 : 분사노즐 136 : 공기배출면
140 : 하우징덮개 141 : 방열구
150 : 힌지수단 160 : 잠금수단
161 : 잠금핀 162 : 잠금고리
200 : 촬영수단
300 : 냉각수단
310 : 펠티어소자 320 : 방열판
330 : 방열팬 340 : 냉각판
350 : 냉각팬
400 : 온도센서
500 : 제어수단

Claims (6)

  1. 고온의 대기에서 카메라나 센서를 보호하기 위한 냉각장치가 내장된 카메라 하우징에 있어서,
    외부의 고온으로부터 촬영수단(200)과 냉각수단(300)을 보호하며, 일측은 관통형성되고, 타측은 촬영수단(200)이 촬영가능하도록 촬영구(111)가 형성되는 하우징케이스(110)와,
    상기 하우징케이스(110)가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우징케이스(110) 일측에 형성되는 하우징각도조절수단(120)과,
    상기 하우징케이스(110) 일측으로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되는 하우징 전면부재(130)와,
    상기 하우징케이스(110) 내부에 내장되는 촬영수단(200)과 냉각수단(300)의 유지보수를 위해 하우징케이스(110)의 일측으로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덮개(140)와,
    상기 하우징케이스(110)를 기준으로 하우징덮개(140)가 힌지개폐 가능하도록 하우징케이스(110)와 하우징덮개(140)가 맞닿는 외주면 일단에 형성되는 힌지수단(150)과,
    힌지수단(150)을 통해 힌지개폐되는 하우징덮개(140)가 하우징케이스(110)에 고정 결합되도록 상기 하우징케이스(110)와 하우징덮개(140) 일측 맞닿는 외주면에 형성되는 잠금수단(160)을 포함하는 하우징부(100)와;
    주변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하고, 하우징케이스(110)에 형성되는 촬영구(111) 측으로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 형성되는 촬영수단(200)과;
    일측면의 열을 흡수하여 타측면으로 열을 전달하는 펠티어소자(310)에 의해 하우징부(100) 내부의 온도를 낮추도록 형성되는 냉각수단(300)과;
    하우징부(10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하우징케이스(110) 내부 일측에 형성되는 온도센서(400)와;
    상기 온도센서(400)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가 기설정 온도 이상일 경우 냉각수단(300)을 작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제어수단(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가 내장된 카메라 하우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전면부재(130)는,
    촬영수단(200)의 카메라 렌즈를 보호하도록 하우징 전면부재(130) 중앙 관통홈에 형성되는 내열강화유리(131)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내열강화유리(131) 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하우징 전면부재(130) 외측에서 내부로 수직 관통 형성되는 제1공기공급홀(132)과;
    상기 제1공기공급홀(132)과 연결되어 제1공기공급홀(132)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분사노즐(135)로 공급하도록 전면부재 내측부에 원형으로 형성되는 제2공기공급홀(133)과;
    외부의 공기를 상기 제1공기공급홀(132) 측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공기 공급관과;
    상기 제2공기공급홀(133)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내열강화유리(131) 측으로 분사하기 위해 형성되는 분사노즐(135)과;
    상기 분사노즐(135)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가 일정한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우징 전면부재(130) 내측면에 일정 각도로 형성되는 공기배출면(1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가 내장된 카메라 하우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덮개는,
    하우징부(1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다수 형성되는 방열구(1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가 내장된 카메라 하우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160)은,
    하우징 덮개 외주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잠금핀(161)과;
    상기 잠금핀(161)을 고리방식으로 걸어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하우징케이스(110) 일측으로 형성되는 잠금고리(1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가 내장된 카메라 하우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단(300)은,
    촬영수단(200) 측의 열을 흡수하여 타측면으로 열을 전달함으로 촬영수단(200) 측의 온도를 낮추도록 형성되는 펠티어소자(310)와;
    펠티어소자(310) 일측면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기 위해 펠티어소자(310) 일측면에 접촉 형성되는 방열판(320)과;
    방열판(320)이 흡수한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하우징 덮개 일측면에 형성되는 방열팬(330)과;
    상기 펠티어소자(310) 일측면에서 발생되는 냉기를 흡수하기 위해 펠티어소자(310) 일측면에 접촉 형성되는 냉각판(340)과;
    상기 냉각판(340)이 흡수한 냉기를 촬영수단(200) 측으로 배출하도록 냉각판(340) 일측으로 형성되는 냉각팬(3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가 내장된 카메라 하우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500)은,
    온도센서(400)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일 경우, 방열팬(330)과 냉각팬(350)과 펠티어소자(310)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장치가 내장된 카메라 하우징.
KR1020160131962A 2016-10-12 2016-10-12 냉각장치가 내장된 카메라 하우징 KR101693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962A KR101693308B1 (ko) 2016-10-12 2016-10-12 냉각장치가 내장된 카메라 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962A KR101693308B1 (ko) 2016-10-12 2016-10-12 냉각장치가 내장된 카메라 하우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3308B1 true KR101693308B1 (ko) 2017-01-11

Family

ID=57832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1962A KR101693308B1 (ko) 2016-10-12 2016-10-12 냉각장치가 내장된 카메라 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308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4369A (ko) 2017-04-10 2018-10-1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고속 디지털 카메라 하우징 장치
KR102069124B1 (ko) * 2019-08-19 2020-01-22 이정훈 옥외 노출형 cctv 카메라의 항온 항습 장치
KR102280335B1 (ko) 2021-04-08 2021-07-21 주식회사 코앨 온도조절 기능을 갖는 cctv 카메라
CN114125270A (zh) * 2021-10-29 2022-03-01 山东顺国电子科技有限公司 多角度影像拼接、呈现方法
CN114694348A (zh) * 2020-12-30 2022-07-01 斯润天朗(无锡)科技有限公司 车内高温时对于被困儿童的报警装置
KR102462102B1 (ko) 2022-07-26 2022-11-03 (주)유원건축사사무소 지능형 스마트 고속도로 시스템의 교통량 검출을 위한 유선 통신 카메라 냉각장치
CN116736733A (zh) * 2023-07-05 2023-09-12 南京铭立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自动控制管理系统
KR102619027B1 (ko) 2023-03-15 2023-12-28 주식회사 컴텍 하우징카메라 도난방지구조
CN117565047A (zh) * 2023-12-05 2024-02-20 广东亚数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恒温式三维扫描用机械臂及其控制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1902A (ko) * 2000-04-14 2001-08-29 심석주 온도 보상 기능을 가진 비디오 카메라
KR200285303Y1 (ko) 2002-05-15 2002-08-13 고윤화 적외선 엘이디를 부착한 cctv용 카메라
KR20060002046A (ko) * 2004-07-01 2006-01-09 (주)유인테크 열전소자를 이용한 온도조절수단을 갖는 특수 차량용카메라 및 온도제어방법
KR20080073072A (ko) * 2007-02-05 2008-08-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방열수단이 구비된 카메라모듈
KR20120021086A (ko) * 2010-08-31 2012-03-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 냉각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1902A (ko) * 2000-04-14 2001-08-29 심석주 온도 보상 기능을 가진 비디오 카메라
KR200285303Y1 (ko) 2002-05-15 2002-08-13 고윤화 적외선 엘이디를 부착한 cctv용 카메라
KR20060002046A (ko) * 2004-07-01 2006-01-09 (주)유인테크 열전소자를 이용한 온도조절수단을 갖는 특수 차량용카메라 및 온도제어방법
KR20080073072A (ko) * 2007-02-05 2008-08-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방열수단이 구비된 카메라모듈
KR20120021086A (ko) * 2010-08-31 2012-03-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 냉각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4369A (ko) 2017-04-10 2018-10-1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고속 디지털 카메라 하우징 장치
KR102069124B1 (ko) * 2019-08-19 2020-01-22 이정훈 옥외 노출형 cctv 카메라의 항온 항습 장치
CN114694348B (zh) * 2020-12-30 2024-03-15 斯润天朗(无锡)科技有限公司 车内高温时对于被困儿童的报警装置
CN114694348A (zh) * 2020-12-30 2022-07-01 斯润天朗(无锡)科技有限公司 车内高温时对于被困儿童的报警装置
KR102280335B1 (ko) 2021-04-08 2021-07-21 주식회사 코앨 온도조절 기능을 갖는 cctv 카메라
CN114125270B (zh) * 2021-10-29 2023-07-18 山东顺国电子科技有限公司 多角度影像拼接、呈现方法
CN114125270A (zh) * 2021-10-29 2022-03-01 山东顺国电子科技有限公司 多角度影像拼接、呈现方法
KR102462102B1 (ko) 2022-07-26 2022-11-03 (주)유원건축사사무소 지능형 스마트 고속도로 시스템의 교통량 검출을 위한 유선 통신 카메라 냉각장치
KR102619027B1 (ko) 2023-03-15 2023-12-28 주식회사 컴텍 하우징카메라 도난방지구조
CN116736733A (zh) * 2023-07-05 2023-09-12 南京铭立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自动控制管理系统
CN116736733B (zh) * 2023-07-05 2024-01-23 南京铭立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自动控制管理系统
CN117565047A (zh) * 2023-12-05 2024-02-20 广东亚数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恒温式三维扫描用机械臂及其控制方法
CN117565047B (zh) * 2023-12-05 2024-04-26 广东亚数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恒温式三维扫描用机械臂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3308B1 (ko) 냉각장치가 내장된 카메라 하우징
KR200285303Y1 (ko) 적외선 엘이디를 부착한 cctv용 카메라
JP2019186705A (ja) 監視カメラ
KR101387460B1 (ko) 카메라 및 카메라 구동장치
KR20150090344A (ko) 적외선 led 감시 카메라
KR102389976B1 (ko) 수냉식 옥외 함체
TWM480697U (zh) 具有調溫功能之攝影機防護裝置
BR112012014880B1 (pt) Dispositivo de controle térmico, compartimento e método de montagem de um dispositivo de controle térmico
KR20120138346A (ko) 카메라용 다목적 방열 함체
CN115685649A (zh) 具有冷却的内部照明器的摄像机组件
KR200416965Y1 (ko) 적외선 감시카메라
KR100696608B1 (ko) 적외선 조명 감시 카메라 장치
KR102280335B1 (ko) 온도조절 기능을 갖는 cctv 카메라
JP6400822B2 (ja) カメラ一体型エルイーディー照明装置
JP2019186915A (ja) 監視カメラおよび監視カメラの結露抑制方法
KR200460104Y1 (ko) 다방향 촬영 및 야간 촬영 기능을 갖는 방범 시스템
ITRM20130603A1 (it) Apparato di illuminazione stradale o urbana a led comprendente una coppia di morsetti serracavo a tenuta stagna
TWM537201U (zh) 高溫爐爐內攝影系統
KR101073091B1 (ko) 난반사 방지 감시카메라
KR101140863B1 (ko) 카메라 보호장치
KR101969054B1 (ko) 보안 카메라용 습기 제거 장치 및 습기 방지용 보안 카메라
CN208337693U (zh) 一种隐性多功能智能监控摄像头
KR100988318B1 (ko) 적외선 엘이디를 갖는 돔형 감시카메라
CN203788357U (zh) 一种摄像头
CN109905578A (zh) 一种具有隐蔽功能的安全可靠的智能监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