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2348B1 - 전력량계 통합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량계 통합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2348B1
KR102382348B1 KR1020190164249A KR20190164249A KR102382348B1 KR 102382348 B1 KR102382348 B1 KR 102382348B1 KR 1020190164249 A KR1020190164249 A KR 1020190164249A KR 20190164249 A KR20190164249 A KR 20190164249A KR 102382348 B1 KR102382348 B1 KR 102382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t
hour meter
data
measurement
me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3725A (ko
Inventor
류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Priority to KR1020190164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348B1/ko
Publication of KR20210073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3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remote commun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30Smart metering, e.g.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re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통합 관리 장치는, 한전 전력량계를 포함하는 제1 전력량계; 사용자 전력량계를 포함하는 제2 전력량계; 상기 제1 전력량계의 측정 시작점, 측정 종료점, 측정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계량 기준과, 상기 제2 전력량계의 측정 시작점, 측정 종료점, 측정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계량 기준을 동기화시키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력량계 통합 관리 장치{APPARATUS FOR MANAGING TIME DIFFERENCE OF WATT HOUR METER}
본 발명은 복수의 전력량계로부터 출력된 계량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을 공급하는 한국 전력 등의 전력 공급자가 단위 시설마다 1개씩 설치한 제1 전력량계외에도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설치한 복수의 개인 계량기가 있을 수 있다. 스마트 그리드를 통하여 이들 복수의 전력량계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전력량계의 데이터를 통합 처리하거나 관리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력 공급자의 전력량계 외에도 다수의 전력량계가 설치되는 상황이 증가하면서 각 전력량계의 시간차 및 계측 단위를 동기화하고 이들을 통합 관리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합 관리 장치는, 한전 전력량계를 포함하는 제1 전력량계; 사용자 전력량계를 포함하는 제2 전력량계; 상기 제1 전력량계의 측정 시작점, 측정 종료점, 측정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계량 기준과, 상기 제2 전력량계의 측정 시작점, 측정 종료점, 측정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계량 기준을 동기화시키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설정한 제2 계량 기준에 따라 계량 정보가 생성되고 관리될 수 있다. 이때, 계량 정보는 단위 시설 내의 여러 곳에 설치된 각각의 전력량계에 의해 획득되므로, 사용자는 단위 시설 내의 각 요소별로 전력 사용 상태를 통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설치한 제2 전력량계의 제2 계량 기준은 전력 공급자에 의해 설정된 제1 전력량계의 측정 시작점, 종료점, 측정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계량 기준과 다를 수 있다.
한전 전력량계를 포함하는 제1 전력량계의 측정 시작점, 측정 종료점, 측정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계량 기준과, 사용자 전력량계를 포함하는 제2 전력량계의 측정 시작점, 측정 종료점, 측정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계량 기준이 동기화되면, 사용자는 동기화된 계량 정보를 이용해 전기 절감 정책을 효과적으로 수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계량 기준과 제2 계량 기준 간의 시간차가 획득되고, 해당 시간차를 이용해 제1 계량 기준 또는 제2 계량 기준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계량 정보가 관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전력량계가 제1 계량 기준에 따라 단위 시설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전력량계 처리부가 제1 전력량계의 상태 또는 계량 기준을 획득하는 상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전력량계와 제2 전력량계의 계량 기준이 동기화된 상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관리 서버가 제1 전력량계의 제1 추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상태와 제2 전력량계의 제2 추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상태를 시간 데이터에 따라 도시한 블록도이다.
예를 들면 공장의 단위 시설이 사용하는 전기 요금을 측정하는 한전 전력량계가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단위 시설에 에너지 저장 장치를 추가 설치하면 에너지 저장 장치의 충전 방전 내역을 확인하는 어느 하나의 제2 전력량계가 추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전기차 충전설비를 단위 시설에 설치하면 또 하나의 제2 전력량계가 추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자가 소비용으로 태양광을 설치하면 태양광 발전 설비에도 민간 전력량계로서 또 하나의 제2 전력량계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너지 관리를 위해 사용자가 추가적인 계측 설비나 전력량계를 설치할 수 있다.
전력 공급자인 한전의 제1 전력량계와 사용자가 추가 설치한 제2 전력량계는 각각 계량을 개시한 시점이 다르고 계량 주기도 다를 수 있다. 전력량 데이터의 목적에 따라 계량 데이터가 기준으로 잡을 시간과 계량되는 데이터의 단위 시간 역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제2 계량계는 1분 단위로 계량하고 다른 하나의 졔2 계량계는 15분 단위로 계량할 수 있다. 모든 계량 데이터의 시간차를 기록 관리하고, 계량 데이터의 필요 목적에 따라 계량 데이터의 정렬과 연관 관계를 관리 서버가 재계산할 수 있다.
다양한 계량계가 설치되는 상황에서는 단순히 전력의 사용량만 측정하지 않고 전력을 생산하는 상황도 포함하여 계량 데이터들의 다양한 조합이 나올 수 있기에 전력 데이터의 기준 시간과 데이터 주기를 동기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리 장치는 제1 전력량계(90), 관리 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력량계(90)는 단위 시설(10)의 사용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량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력량계(90)는 한국 전력 등의 전력 공급자가 설정한 제1 계량 기준에 따라 단위 시설(10)의 사용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제2 전력량계는 단위 시설(10)의 사용자가 설정한 제2 계량 기준에 따라 추가 장치의 사용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단위 시설(10) 내에 배치된 전력 소비 수단의 사용 전력을 측정하는 복수의 제2 전력량계(111)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전력량계(90)로부터 제1 계량 기준을 획득하는 제1 전력량계 처리부(112)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전력량계로부터 출력되는 계량 정보는 제2 전력량계(111)에서 측정된 전력 소비 수단의 사용 전력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제2 전력량계로부터 출력된 계량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단위 시설(10)의 사용자가 설정한 제2 계량 기준에 따라 계량 정보를 관리하는 제1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에서 이루어지는 계량 정보의 관리는 저장부에 계량 정보를 저장하거나, 저장된 계량 정보를 검색 또는 편집하거나, 편집된 계량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력량계의 상태 또는 계량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전력량계 데이터는 제1 전력량계 처리부(112)를 통하여 관리 서버에 입출력될 수 있다. 제1 전력량계 처리부(112)는 제1 전력량계에 설치되며 제1 전력량계의 세팅값이나 동작을 관리 서버의 지령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복수의 제2 전력량계(111)와 제1 전력량계 처리부(112)를 을 제2 계량 기준에 동기화시킬 수 있다. 동기화로 인해 관리 서버(130), 제2 전력량계(111) 및 제1 전력량계 처리부(112)는 동일한 제2 계량 기준에 따라 동작되고,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동일한 제2 계량 기준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전력 에너지 절감을 위해 가장 중요한 일은 단위 시설(10) 내부에서 전기를 어디에서 얼만큼 쓰고 있는지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기를 많이 쓰는 주요 전력 소비 수단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기 위해 제2 전력량계가 필요한 전력 소모 노드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관리의 편의를 위해 제2 전력량계 및 관리 서버(130)는 단위 시설(10)의 사용자가 설정한 제2 계량 기준에 따라 계량 정보를 저장하거나 편집 또는 출력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가 제1 모드로 동작되면 계량 정보가 관리 시준에 따라 관리되므로, 관리 서버(130)로부터 인쇄물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각종 관리 데이터는 사용자가 전력 절감 정책 등에 이용하기 편리하다.
한편, 전기 요금을 과금하기 위해 전력 공급자가 설치한 제1 전력량계(90)는 전력 공급자가 운영하는 제1 계량 기준을 따른다. 이때, 제1 계량 기준은 통상적으로 단위 시설(10)마다 다르게 책정될 수 있는 제2 계량 기준과 차이를 갖는다. 이로 인해 단위 시설(10)에 마련된 제2 전력량계의 제2 전력량계 데이터와 제1 전력량계(90)의 제1 전력량계 데이터는 동일한 시간 기준으로 관리되기 어려울 수 있다. 서로 다른 시간 기준을 갖는 제2 전력량계의 계량 정보와 제1 전력량계(90)의 검침 데이터로 인해 사용자는 전기 절감 정책을 원활하게 수립하기 어려울 수 있다.
전기 절감 정책이 용이하게 수립되도록, 관리 서버(130)는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제1 모드는 한전이 설정한 제1 계량 기준에 따라 계량 정보를 관리하는 동작 모드일 수 있다.
제2 전력량계 데이터는 제2 전력량계에 세팅된 제2 계량 기준을 시간 주기로 하여 측정될 수 있고, 관리 서버에 전달될 수 있다. 제2 모드는 제1 전력량계 처리부(112)을 통해 획득된 제1 계량 기준과 제2 계량 기준간의 시간차를 산출하고, 산출된 시간차를 이용해서 제2 전력량계의 제2 전력량계 데이터를 제1 계량 기준에 따라 관리하는 동작 모드일 수 있다.
제2 모드시, 관리 서버(130)는 제2 계량 기준에 따라 획득된 제2 전력량계 데이터를 시간차를 이용해서 제1 계량 기준에 맞도록 변환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계량 기준은 제1 공급 시각을 시점으로 하고 공급 설정 시간 이 경과된 제2 공급 시각을 종점으로 할 수 있다.
제2 계량 기준은 제1 관리 시각을 시점으로 하고 관리 설정 시간이 경과된 제2 관리 시각을 종점으로 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시간차를 이용해서 제2 전력량계의 계량 정보를 제1 계량 기준 영역으로 변환하거나, 제1 전력량계(90)의 검침 데이터를 제2 계량 기준 영역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시점에 측정된 제2 전력량계의 계량 정보는 추정 데이터를 삽입함으로써, 제1 계량 기준 영역에서 다른 시점에 측정된 정보로 처리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기본적으로 제2 전력량계의 계량 정보를 제2 계량 기준 영역에서 저장, 편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시간차를 이용해서 계량 정보를 제1 계량 기준 영역으로 변환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관리 서버(130)는 전력 공급자가 설치한 제1 전력량계(90)의 과금 정보와 단위 시설(10)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측정된 제2 전력량계의 계량 정보의 차이를 없애서 사용자에게 전기 절감 정책에 필요한 정확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전력량계(90)는 단위 시설(10) 단위로 전력 사용량을 파악하므로, 단위 시설(10) 내에 배치된 복수의 전력 소비 수단의 전력 사용량을 각각 파악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위 시설(10) 내의 각 노드에 배치된 전력 소비 수단(전력을 소모하는 부하에 해당) 별로 제2 전력량계(111)가 마련되므로, 각 전력 소비 수단별로 전력 사용량이 파악될 수 있다.
도 4는 관리 서버(130)가 제1 계량 기준 또는 제2 계량 기준에 맞춰 제1 전력량계와 제2 전력량계를 동기화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2 전력량계가 복수로 마련된 경우, 각각의 제2 전력량계(111)으로부터 입수된 데이터의 시간 기준이 동일할 필요가 있다. 이는 제1 전력량계 처리부(112) 역시 마찬가지이다. 관리 서버(130)는 단위 시설(10)의 사용자, 즉 사용자가 설정한 제2 계량 기준에 맞춰 각각의 제2 전력량계를 동기화시킬 수 있다. 동기화 대상에는 관리 서버(130)나 제1 전력량계 역시 포함될 수 있다.
동기화 과정을 통해 제2 전력량계에 포함된 모든 계량 수단의 시간이 제1 계량 기준으로 통일되므로, 각 계량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계량 정보가 일관되게 관리될 수 있다.
제1 전력량계 처리부(112)는 제1 전력량계(90)의 시간 정보를 수집해서 관리 서버(130)로 전달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제1 전력량계(90)의 시간 정보를 이용해서 제1 전력량계(90)의 제1 계량 기준을 파악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파악된 제1 계량 기준을 이용해서 제2 계량 기준과의 시간차를 산출하고, 산출된 시간차를 이용해서 제2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한편, 제1 전력량계 처리부(112)은 제1 전력량계(90)에서 측정된 검침 데이터를 전력 공급자에게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위 시설(10)의 전력 사용량을 나타내는 검침 데이터는 데이터량이 작은 편일 수 있다. 그러나, 전력 공급자가 관리하는 단위 시설(10)이 증가할수록 전력 공급자에게 제공되는 전체 검침 데이터의 양은 막대해질 수 있다.
막대한 검침 데이터가 한꺼번에 입력될 경우, 통신 지연이 발생되고 통신 지연 과정에서 일부 검침 데이터가 누락될 수 있다. 통신 지연을 막는 좋은 방법은 총 검침 데이터의 양을 줄이는 것이다. 검침 데이터의 양을 줄이는 방법으로 제1 전력량계(90)로부터 송신되는 검침 데이터의 양을 줄이는 제1 전력량계 처리부(112)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전력량계 처리부(112)는 제1 계량 기준을 파악하기 위해 제1 전력량계(90)를 감시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제1 전력량계(90)의 검침 데이터를 파악하는데 별다른 무리가 없다.
제1 계량 기준에 따라 제1 시점부터 제2 시점까지 수집된 단위 시설(10)의 사용 전력값은 제1 전력량계(90)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력량계 처리부(112)는 사용 전력값을 대신해서 제2 시점의 사용 전력값과 제1 시점의 사용 전력값의 차이에 해당하는 변화량을 전력 공급자 및 관리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단위 시설(10)의 사용자가 설정한 제2 계량 기준에 따라 단위 시설(10)에 마련된 전력 소비 수단의 사용 전력이 포함된 제2 전력량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전력 공급자가 설정한 제1 계량 기준에 따라 단위 시설(10)의 사용 전력을 측정하는 제1 전력량계(90)로부터 제1 계량 기준을 획득할 수 있다. 제1 전력량계(90)는 제1 계량 기준에 따라 단위 시설(10)의 전력 사용량을 포함하는 제1 전력량계 데이터를 보여줄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계량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관리할 수 있다.
제1 모드는 제1 계량 기준에 따라 제1 전력량계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제2 모드는 제2 계량 기준과 제1 계량 기준의 시간차를 산출하고, 산출된 시간차를 이용해서 제1 전력량계 데이터를 제2 계량 기준 영역으로 변환하거나, 제2 전력량계 데이터를 제1 계량 기준 영역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전력량계 데이터를 제2 계량 기준 영역으로 변환할 때, 제2 계량 기준으로 보았을 때 제1 전력량계 데이터가 누락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누락된 제1 전력량계 데이터는 도 4에 점선으로 표시된다. 제2 계량 기준으로 보았을 때 누락된 제1 전력량계 데이터는 제1 추정 데이터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계량 기준으로 보았을 때, 제2 전력량계 데이터가 누락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누락된 제2 전력량계 데이터는 도 4에 점선으로 표시된다. 제1 계량 기준으로 보았을 때 누락된 제2 전력량계 데이터는 제2 추정 데이터로 대체될 수 있다.
관리 서버는 제1 추정 데이터 또는 제2 추정 데이터를 시간 데이터별로 미리 산출 또는 저장해 놓을 수 있다. 제1 계량 기준 또는 제2 계량 기준으로 변환시, 관리 서버는 미리 준비된 제1 추정 데이터 또는 제2 추정 데이터를 채워넣을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처리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자유로운 데이터 변환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력회사의 제1 계량기의 시간과 시설물 내부에 설치된 제2 전력량계의 기준시간 사이에서 발생하는 시간차 정보를 별도로 저장할 수 있다. 에너지 통합 관리시 전력 요금 정보를 제공할 때 두 계량계 사이의 시간차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전력회사 계량기의 과금 정보와 내부에서 측정된 전력량 정보의 차이를 없애서 정확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요금과 상관이 없는 시설물 운전 상황 등에 대한 서비스에서는 내부에 설치된 계량기의 정보만 사용하여 필요없는 계산을 줄일 수 있다.
10...단위 시설 90...제1 전력량계
111...제2 전력량계 112...제1 전력량계 처리부
130...관리 서버 310...시간 데이터
320...제1 전력량계 데이터 330...제2 전력량계 데이터
340...제1 계량 기준 350...제2 계량 기준
360...제2 추정 데이터 370...제1 추정 데이터

Claims (3)

  1. 한전 전력량계를 포함하는 제1 전력량계;
    사용자 전력량계를 포함하는 제2 전력량계;
    상기 제1 전력량계의 측정 시작점, 측정 종료점, 측정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계량 기준과, 상기 제2 전력량계의 측정 시작점, 측정 종료점, 측정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계량 기준을 동기화시키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력량계가 측정하는 단위 시설은 복수의 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노드는 전력 생산 및 전력 소비를 하고,
    상기 복수의 노드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 전력량계가 마련되며,
    상기 제2 전력량계는 각 노드의 전력 생산 및 전력 소비를 포함하고,
    서로 다른 제2 전력량계는 상기 전력 생산의 측정 시작점, 측정 종료점, 측정 기간, 및 상기 전력 소비의 측정 시작점, 측정 종료점, 측정 기간이 서로 다르며,
    상기 동기화는 복수의 상기 제2 전력량계의 동기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력량계 또는 제2 전력량계의 계량 데이터는, 상기 전력 생산의 측정 시작점, 측정 종료점, 측정 기간, 및 상기 전력 소비의 측정 시작점, 측정 종료점, 측정 기간을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계량 데이터를 기록 및 관리하고, 상기 계량 데이터를 정렬하며, 상기 계량 데이터간의 연관 관계를 산출하는 통합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전력량계로부터 상기 제1 계량 기준 또는 상기 제1 전력량계의 측정 데이터인 제1 전력량계 데이터를 입수하는 제1 전력량계 처리부가 마련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전력량계 처리부를 통하여 상기 제1 전력량계 데이터 또는 상기 제1 계량 기준을 입출력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제2 전력량계를 통하여 제2 전력량계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계량 기준을 입출력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전력량계 데이터를 상기 제2 계량 기준 영역으로 변환하거나, 상기 제2 전력량계 데이터를 상기 제1 계량 기준 영역으로 변환하는 통합 관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제1 계량 기준과 상기 제2 계량 기준 간의 시간차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시간차를 이용해서 상기 제1 전력량계 데이터 또는 제2 전력량계 데이터를 관리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제2 계량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기 제1 전력량계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가 누락되면, 상기 누락된 제1 전력량계 데이터를 제1 추정 데이터로 대체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계량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기 제2 전력량계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가 누락되면, 상기 누락된 제2 전력량계 데이터를 제2 추정 데이터로 대체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추정 데이터 또는 제2 추정 데이터를 시간 데이터별로 미리 산출 또는 저장하고, 상기 제1 계량 기준 또는 제2 계량 기준으로 변환시, 미리 준비된 상기 제1 추정 데이터 또는 제2 추정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통합 관리 장치.
KR1020190164249A 2019-12-11 2019-12-11 전력량계 통합 관리 장치 KR102382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249A KR102382348B1 (ko) 2019-12-11 2019-12-11 전력량계 통합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249A KR102382348B1 (ko) 2019-12-11 2019-12-11 전력량계 통합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725A KR20210073725A (ko) 2021-06-21
KR102382348B1 true KR102382348B1 (ko) 2022-04-05

Family

ID=76599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249A KR102382348B1 (ko) 2019-12-11 2019-12-11 전력량계 통합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234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0855B1 (ko) * 2011-04-22 2012-09-07 (주)누리텔레콤 원격 검침 데이터의 시구간 데이터 보정 방법 및 그 장치
KR101855979B1 (ko) * 2016-12-20 2018-05-10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전력량계 시간차 관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0855B1 (ko) * 2011-04-22 2012-09-07 (주)누리텔레콤 원격 검침 데이터의 시구간 데이터 보정 방법 및 그 장치
KR101855979B1 (ko) * 2016-12-20 2018-05-10 주식회사 그리드위즈 전력량계 시간차 관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725A (ko) 202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8750B2 (ja) 消費電力予測装置、消費電力予測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050064A (ja) 配電系統状態推定装置
JP5563949B2 (ja) 電力管理システム
US20100188255A1 (en) Relative time system
KR101092507B1 (ko) 실시간 에너지 정보 표시 시스템
KR20120023475A (ko) 동태적 시변 에너지 요금제를 지원하는 에너지 계량 시스템, 에너지 계량 방법 및 전력량계
KR101463391B1 (ko) 수용가 전력 사용 요금 최소화를 위한 에너지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JP5380504B2 (ja) エネルギー計量システム、エネルギー計量方法
JP2010213507A (ja) 自然エネルギー併用型蓄電システム、および自然エネルギー併用型蓄電方法
CN103185834A (zh) 电子式电能表和用于存储其数据的方法
KR102382348B1 (ko) 전력량계 통합 관리 장치
JP5410118B2 (ja) エネルギー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KR101855979B1 (ko) 전력량계 시간차 관리 장치 및 방법
EP3133373B1 (en) Power monitoring system
KR20190088083A (ko) 전력 사용량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101719953B1 (ko) 전력량 모니터링 장치
JP6113030B2 (ja) エネルギー管理装置、エネルギー管理方法及び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
US11301942B2 (en) Method for trading electrical energy between small producers and end users
JP6404285B2 (ja) 電力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KR101249659B1 (ko) 충방전 시스템 및 충방전 장치
KR20170025023A (ko) 중소형 분산 에너지 저장장치를 활용한 소비 전력 운영 시스템
JP7091156B2 (ja) パルス発生装置
JP2020052549A (ja) 受電点電力予測装置、受電点電力予測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5047041A (ja) エネルギー管理装置、エネルギー管理方法及び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
JP2011217470A (ja) 系統制御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