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1606B1 - 이어플러그 및 이어플러그를 이용한 이어폰 - Google Patents

이어플러그 및 이어플러그를 이용한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1606B1
KR102381606B1 KR1020200021192A KR20200021192A KR102381606B1 KR 102381606 B1 KR102381606 B1 KR 102381606B1 KR 1020200021192 A KR1020200021192 A KR 1020200021192A KR 20200021192 A KR20200021192 A KR 20200021192A KR 102381606 B1 KR102381606 B1 KR 102381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ear
diameter
wing portion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6249A (ko
Inventor
황지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아이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아이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아이엘
Priority to KR1020200021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606B1/ko
Publication of KR20210106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08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08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 A61F11/12External mounting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52Mas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syc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구성한 제1날개부;
상기 일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2날개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플러그의 구성을 가진다.

Description

이어플러그 및 이어플러그를 이용한 이어폰{Earplugs and Earphones with Earplugs}
본 발명은 이어플러그 또는 이어플러그를 이용한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도6에서 귀마개와 이를 가지는 귀마개 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귀마개(10)는 소단면부(11)와 확장부(12)를 가지는 본체
(10a)와 본체(13)의 소단면부(11) 외주면에 결합하는 이어패드(13) 및 본체(10a)의 확장부(12)에 설치된 볼륨조절수단(14)을 갖추고 있다. 본체(10a)에는 소단면부(11)와 확장부(12)의 내부를 통과하는 볼륨조절용 구멍이 뚫려 있고, 소단면부(11) 외주면을 따라서는 이어패드(13)가 장착된 상태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귀마개와 이를 가지는 귀마개 세트는 소면단부와 확장부로 나뉘어 구성되어 상당한 부피를 차지하므로 이물감이 느껴질 수 밖에 없고, 이어패드 외에는 별도로 귀에 고정시켜줄 수 있는 것이 없어 이탈되기 쉬우며, 소음차단을 전적으로 볼륨조절수단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소음이 완전하게 차단된다고 볼 수 없다는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1545087호(2015년08월17일)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1418195호(2014년07월03일)
첫번째 과제는 귀에서 이어플러그 또는 이어폰이 이물감이 없도록 구성하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두번째 과제는 귀에서 이어플러그 또는 이어폰이 이탈되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세번째 과제는 소음이 완벽하게 차단되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네번째 과제는 소음이 완벽하게 차단되어 이어폰으로 사용시 듣고자 하는 음만을 들을 수 있는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구성한 제1날개부;
상기 일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2날개부를 구성하는 이어플러그를 구성한다.
여기서 이어플러그를 이용하여 이어폰의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플러그의 몸체부의 내부에 이어폰의 구성을 삽입하여 적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날개부와 상기 제2날개부는 각각 원뿔형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날개부의 직경보다는 제2날개부의 직경이 더 크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의 중앙부에 구성한 홀입구직경은 상기 제2날개부를 구성한 부분의 하부에 구성된 홀직경이 동일한 범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의 단면 구성이 타원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에 구성된 상기 제1날개부의 직경 및 상기 제2날개부의 직경이 타원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날개부에 구성된 몸체부일단부직경과 상기 제2날개부가 구성된 상기 몸체부중앙부직경은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의 타단부에 귀바퀴삽입부를 더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귀바퀴삽입부의 장방향의 길이방향은 상기 몸체부의 타원형의 장방향의 길이방향과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첫번째 효과는 귀에서 이어플러그 또는 이어폰이 이물감이 없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두번째 효과는 귀에서 이어플러그 또는 이어폰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세번째 효과는 소음이 완벽하게 차단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네번째 효과는 소음이 완벽하게 차단되어 이어폰으로 사용시 듣고자 하는 음만을 들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제1도는 이어플러그 또는 이어폰의 전체를 보이는 구성도이다.
제2도는 이어플러그 또는 이어폰의 날개부를 보이는 구성도이다.
제3도는 이어플러그 또는 이어폰의 일단부를 보이는 도이다.
제4도는 이어플러그 또는 이어폰의 타단부를 보이는 도이다.
제5도는 이어플러그 또는 이어폰의 단면도를 보이는 도이다.
제6도는 배경이 되는 기술을 보이는 도이다.
도면1 내지 도5에 의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몸체부(140)와 상기 몸체부(140)의 일단부에 제1날개부(120)를 가진다.
상기 일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2날개부(130)를 구성하여 두날개형이어플러그(100)를 구성한다.
이어플러그(100)를 이용하여 이어폰의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플러그의 몸체부(140)의 내부에 이어폰의 구성을 삽입하여 적용하는 것이다.
도5인 단면도에서 몸체부 내부를 이어폰의 구성이 삽입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날개부(120)와 상기 제2날개부(130)는 각각 원뿔형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귀에 이물감을 줄이면서도 귀에 밀착되도록 얇은 박막의 실리콘으로 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제1날개부(120)의 직경보다는 제2날개부(130)의 직경이 더 크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귀속내부에서 외부로 향할수록 점점 직경이 커지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소리를 완벽하게 차단되도록 구성한다.
귀구멍은 내부에서 외부로 옴에 따라 점점더 넓어지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40)의 일단부의 중앙부에 구성한 홀입구직경(c)은 상기 제2날개부(130)를 구성한 부분의 하부에 구성된 홀직경(d)이 동일한 범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부의 직경을 일정하게 하면서도 귀구멍이 좀더 작은 사람들에게도 이물감이 없도록 하려면 몸체부의 내부에 홀을 구성하여 몸체부도 축소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다양한 인체 및 남녀노소 누구나 하나의 크기의 이어플러그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40)의 단면 구성이 타원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140)에 구성된 상기 제1날개부(120)의 직경 및 상기 제2날개부(130)의 직경이 타원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부분 인체의 귀구멍은 인체의 신장방향으로 장방향으로 구성되어 최대한 인체의 구조에 해당하도록 본 발명은 이어플러그를 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날개부(120)에 구성된 몸체부일단부직경(a)과 상기 제2날개부(130)가 구성된 상기 몸체부중앙부직경(b)은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는 이유는 몸체부의 직경이 균일하고 날개부의 크기가 상이할때에 보다 이물감없이 귀에 이어플러그를 장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몸체부로부터 약 135도 상방향으로 몸체부의 타단부가 향하는 것이 인체의 귀구멍으로부터 귀바퀴에 자연스럽게 이어지게 하는 장점이 있어 귀바퀴삽입부에 잘장착되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의 타단부(170)에 귀바퀴삽입부(150)를 일체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이어플러그가 이탈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인체에 이물이 삽입되면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원래의 위치로부터 외부로 이동되어 인체로부터 이어플러그가 이탈되기 쉬운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귀바퀴삽입부를 두는 것이다. 귀바퀴삽입부는 다양한 링의 형태로 구성하여 귀바퀴가 작은 사람에게도 전혀 부담감 없이 착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귀바퀴삽입부는 인체의 귀바퀴에 상응하도록 타원형으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귀바퀴삽입부(150)의 장방향의 길이방향은 상기 몸체부(140)의 타원형의 장방향의 길이방향과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부의 타단부(170)는 원형의 형태로 구성하고 원형의 몸체부에서 귀바퀴삽입부가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부의 타단부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되어있도록 구성한다.
귀바퀴는 오른쪽과 왼쪽이 동일한 방향이지만 좌우가 반대되므로 이어플러그에 귀바퀴삽입부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몸체부의 타원형의 장방향은 이어플러그착용시 상하방향이다. 이에 대하여 귀바퀴삽입부의 장방향으로 구성하면 귀바퀴에 무리없이 잘 착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어플러그에서 플러그홀부(110)를 구성하는 것은 귀의 내측구멍이 작은 사람들에게도 약간의 외부력에 의하여 잘 삽입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플러그홀부(110)는 플러그홀입구(112)와 플러그홀종부(114)로 구성되되,중앙부까지는 홀의 지름인 플러그홀중앙부직경(d)과 홀입구직경(c)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 좋다.
홀의 크기는 플러그홀중앙부에서 플러그홀종부(114)까지는 포물선형으로 점점작아지는 크기를 가진다.
이렇게 구성하는 것은 귀구멍에 삽입되는 이어플러그가 귀구멍의 크기가 다양한 모든 사람에게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이어플러그의 구성을 이어폰의 구성에 사용하여도 좋다.
이어폰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홀의 내부에 이어폰의 작용을 하는 기구를 장착하는 것으로 족하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a:몸체부일단부직경 b:몸체부중앙부직경 c:홀입구직경
d:홀중앙부직경
100:두날개형이어플러그 110:플러그홀부 112:플러그홀입구
114:플러그홀종부 120:제1날개부 130:제2날개부
140:몸체부 150:귀바퀴삽입부 160:공간부
170: 몸체부의 타단부

Claims (10)

  1.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제1날개부를 구성하고,
    상기 일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2날개부를 구성하며,
    상기 제1날개부와 상기 제2날개부는 각각 원뿔형구성을 가지되,
    상기 제1날개부의 직경보다는 상기 제2날개부의 직경을 더 크게 구성하고,
    상기 몸체부의 단면 구성이 타원형으로 구성되되,
    상기 몸체부에 구성된 상기 제1날개부 및 상기 제2날개부 각각의 단면이 타원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타단부에 귀바퀴삽입부를 일체형으로 더 구성하되,
    상기 귀바퀴삽입부는 인체의 귀바퀴에 상응하도록 타원형으로 구성하며,
    상기 몸체부의 타단부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절곡되어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귀바퀴삽입부의 장방향의 길이방향은 상기 몸체부의 타원형의 장방향의 길이방향과 동일하게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의 중심부에는 플러그홀부를 구성하여 귀의 내측구멍이 작은 사람들에게도 약간의 외부력에 의하여 잘 삽입되도록 하며,
    상기 플러그홀부는 플러그홀입구와 플러그홀종부로 구성되되,중앙부까지는 홀의 지름인 홀중앙부직경(d)과 홀입구직경(c)이 동일하게 구성하고,
    상기 홀의 크기는 플러그홀중앙부에서 상기 플러그홀종부까지 포물선형으로 점점 작아지는 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귀구멍에 삽입되는 부분이 귀구멍의 크기가 다양한 모든 사람에게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플러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의 중앙부에 구성한 홀입구직경은 상기 제2날개부를 구성한 부분의 하부에 구성된 홀직경이 동일한 범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플러그.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날개부에 구성된 몸체부일단부직경과 상기 제2날개부가 구성된 상기 몸체부중앙부직경은 동일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플러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타측인 몸체부의 타단부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약 135도 상방향으로 향하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플러그.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제4항,제6항,제7항 중 어느 한항의 이어플러그를 이용한 이어폰.
KR1020200021192A 2020-02-20 2020-02-20 이어플러그 및 이어플러그를 이용한 이어폰 KR102381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192A KR102381606B1 (ko) 2020-02-20 2020-02-20 이어플러그 및 이어플러그를 이용한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192A KR102381606B1 (ko) 2020-02-20 2020-02-20 이어플러그 및 이어플러그를 이용한 이어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249A KR20210106249A (ko) 2021-08-30
KR102381606B1 true KR102381606B1 (ko) 2022-04-05

Family

ID=77502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192A KR102381606B1 (ko) 2020-02-20 2020-02-20 이어플러그 및 이어플러그를 이용한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160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088B1 (ko) 2018-10-04 2019-03-05 박진용 귀마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520B1 (ko) * 2009-04-07 2012-01-13 박진용 귀마개
SG182596A1 (en) 2010-01-19 2012-08-30 Widex As Hearing aid ear plug with an extraction cord
KR200478741Y1 (ko) * 2014-04-17 2015-11-11 주식회사 제일뢰스텍 차음용 귀마개
KR101545087B1 (ko) 2014-04-17 2015-08-17 채승호 귀마개와 이를 가지는 귀마개 세트
KR101702004B1 (ko) * 2015-04-30 2017-02-02 디큐브랩 주식회사 통기 구조를 갖는 이어폰 및 이에 사용되는 이어팁
KR101801014B1 (ko) * 2015-07-09 2017-12-05 구호림 소음 저감 조절용 청력보호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088B1 (ko) 2018-10-04 2019-03-05 박진용 귀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249A (ko) 202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21200A1 (en) Sub tragic ear unit
US9955249B2 (en) Earpiece with movable joint
US10820084B2 (en) Ear tip sealing structure
ES2366537T3 (es) Almohadilla para el oído, y auricular con la almohadilla.
DE60122935T2 (de) Akustische einrichtung mit in einem menschlichen ohr befestigten mitteln
JP4839016B2 (ja) 補聴器用柔軟性耳当て
US9462366B2 (en) Earpieces having flexible flaps
CN110679160B (zh) 一种耳承以及应用该耳承的耳塞和助听器
US20080085030A1 (en) Inconspicuous communications assembly
US10999670B2 (en) Ear tip sealing structure
US9584895B2 (en) Teardrop variable wall earbud
CN107172512A (zh) 耳机耳翼
KR102310442B1 (ko) 이어폰
US20150059776A1 (en) Earplug
KR102381606B1 (ko) 이어플러그 및 이어플러그를 이용한 이어폰
KR102381636B1 (ko) 이어플러그 및 이어플러그를 이용한 이어폰
KR101954088B1 (ko) 귀마개
US20150059775A1 (en) Earplug
JP6092743B2 (ja) 耳あな式補聴器
KR200356186Y1 (ko) 이어폰
KR102645970B1 (ko) 이어폰
KR20050094184A (ko) 이어폰
KR100848274B1 (ko) 이어폰용 이어피스
KR20050112325A (ko) 이어폰의 귀삽입구
KR100963821B1 (ko) 귓속형 보청기용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