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442B1 - 이어폰 - Google Patents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442B1
KR102310442B1 KR1020207032326A KR20207032326A KR102310442B1 KR 102310442 B1 KR102310442 B1 KR 102310442B1 KR 1020207032326 A KR1020207032326 A KR 1020207032326A KR 20207032326 A KR20207032326 A KR 20207032326A KR 102310442 B1 KR102310442 B1 KR 102310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rt
earphone
central axis
edge
conch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2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4326A (ko
Inventor
비다르 산단거
요한 순드크비스트
헨리크 마이어-산드마르크
Original Assignee
섹티오 아우레아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19170641.5A external-priority patent/EP3731536B8/en
Priority claimed from US16/392,597 external-priority patent/US10820085B1/en
Priority claimed from GB1905656.3A external-priority patent/GB2583341B/en
Priority claimed from NO20190532A external-priority patent/NO346154B1/en
Application filed by 섹티오 아우레아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섹티오 아우레아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200134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7Hearing device specific tools used for storing or handling hearing devices or parts thereof, e.g. placement in the ear, replacement of cerumen barriers, repair, cleaning hea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5Housing parts, e.g. shells, tips or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H04R25/652Ear tips; Ear moulds
    • H04R25/656Non-customized, universal ear tips, i.e. ear tips which are not specifically adapted to the size or shape of the ear or ear canal

Abstract

본 발명은 귀(10)에 사용하는 이어폰(32)에 관한 것이다. 귀(10)는 외이 바닥(26), 외이 측벽(28) 및 외이 천장(30)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범위가 정해진 외이 공동(22)을 포함하고 있다. 외이 측벽(28)은 외이 바닥(26)을 외이 천장(30)에 연결시키고, 외이 천장(30)의 표면은, 적어도 한 성분이 외이 바닥(26)쪽으로 향해 있는 법선을 가지고 있다. 상기 이어폰(32)은 외부 스커트 표면(38)과 내부 스커트 표면(68)을 포함하는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을 포함하는 주변 스커트(34)를 포함하고 있고, 외부 스커트 표면(38)으로부터 내부 스커트 표면(68)으로의 전이가 스커트 가장자리(40)에서 일어난다. 스커트 가장자리(40)는 이어폰(32)의 중심축(CA) 둘레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레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기 이어폰(32)은, 이어폰(32)을 귀(10) 속에 삽입하는 동안,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이 공동(22) 내에서, 중심축(CA)과 평행한 방향으로, 사용 위치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주변 스커트(34)가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내부 스커트 표면(68)의 적어도 일부분은 중심축(CA)과 마주 대한다. 상기 이어폰(32)은,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이 공동(22) 내에서 사용 위치를 차지하도록 되어 있어서: - 외부 스커트 표면(38)의 적어도 일부분이 외이 천장(30)의 적어도 일부분과 맞닿고, - 스커트 가장자리(40)가 외부 스커트 표면(38)보다 외이 바닥(26)에 더 가깝게 배치되고, 그리고 - 스커트 가장자리(40)가 외이 바닥(26)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이어폰
본 발명은 귀에 사용하는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귀에 사용하는 이어폰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어폰은 시끄러운 소음으로부터 사용자의 귀를 보호하기 위한 귀마개로 사용될 수 있다. 이어폰에 대한 다른 사용예는 이어폰이 이어폰 장치를 구성하거나, 이어폰 장치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면, 이어폰은 소리를 귀의 외이도로 향하게 하도록 구성된, 스피커와 같은, 소리 발산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폰의 용도와 관계없이,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귀에 대해 제자리에 유지되도록 하는 이어폰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어폰의 한 예가 WO 2008/147215 A1에 개시되어 있다. WO 2008/147215 A1에 개시된 이어폰은 다양한 용도에 적합하지만, 여전히 상기 이어폰의 설계 형태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한 가지 목적은 사용자의 귀에 대해 제자리에 유지될 수 있고 사용하기에도 편안한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이어폰에 의해서 달성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귀에 사용하는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귀는 외이 바닥(concha floor), 외이 측벽(concha side wall) 및 외이 천장(concha ceiling)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범위가 정해진 외이 공동(concha cavity)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외이 측벽은 상기 외이 바닥을 상기 외이 천장에 연결시킨다. 상기 외이 천장의 표면은 법선을 가지고 있고, 상기 법선의 적어도 한 성분이 상기 외이 바닥쪽으로 향해 있다.
상기 이어폰은 외부 스커트 표면과 내부 스커트 표면을 포함하는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을 포함하는 주변 스커트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으로부터 상기 내부 스커트 표면으로의 전이가 스커트 가장자리에서 일어난다. 단지 하나의 예로서,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과 상기 내부 스커트 표면의 각각은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에서 끝을 이룬다.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는 상기 이어폰의 중심축 둘레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레방향으로 뻗어 있다. 상기 이어폰은, 상기 이어폰이 귀속에 삽입되는 동안,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외이 공동 내에서, 상기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사용 위치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주변 스커트가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내부 스커트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중심축과 마주 대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non-influenced condition)”라는 표현은 상기 주변 스커트가 사용 위치 또는 다른 상태, 예를 들면,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외이 공동 속으로 삽입되는 과정에 있는 상태나, 상기 주변 스커트가 외부 부하를 받는 상태에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어폰은,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외이 공동 내에서 사용 위치를 차지하도록 되어 있어서,
-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외이 천장의 적어도 일부분과 맞닿고,
-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가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보다 상기 외이 바닥에 더 가깝게 배치되고, 그리고
-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가 상기 외이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은,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에 의해, 귀에 대하여 이어폰의 위치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게다가,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가 사용하는 동안 귀의 외이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는 사실은 편안한 사용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은 적절하게 편안한 사용 위치를 얻을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이어폰과 귀 사이의 적절하게 내구성이 있는 연결부의 결합체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스커트 가장자리가 외이 바닥과 접촉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의해, 공기가 외이 바닥과 스커트 가장자리 사이에서 순환될 수 있고 이것은 사용자를 위한 요망되는 편안함을 의미한다. 다르게 표현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은 외이 바닥에 대한 적절하게 작은 접촉범위(footprint)를 의미한다.
또한, 내부 스커트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중심축과 마주 대하고 있는 특징은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이 기울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이 사용 위치를 차지하려고 할 때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이 사용자에 의해 간단하게 휘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이 기울어져 있다는 사실은 이 부분이 중심축쪽으로 만곡시키는 수단에 의해 휘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이 사용 위치에 접근하고 있을 때,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이 이완되어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로 이동할 수 있고 이것은 외부 스커트 표면과 외이 천장 사이의 적절한 접촉을 의미한다. 게다가, 상기한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의 이완은 또한 스커트 가장자리와 외이 측벽 사이의 적절한 접촉을 의미할 수 있고, 이것은 스커트 가장자리가 외이 바닥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는 자유 스커트 가장자리이다. “자유 스커트 가장자리(free skirt edge)”라는 용어에 의해, 이어폰이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이어폰의 어떠한 추가적인 구성요소도 스커트 가장자리와 외이 바닥 사이에 배치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가 자유 스커트 가장자리이다는 특징은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례에서 그리고 첨부된 청구범위 중의 각각의 청구항에서 이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스커트 가장자리에서 일어나는 외부 스커트 표면로부터 내부 스커트 표면으로의 상기한 전이(transition)는, 스커트 가장자리에 인접한 내부 스커트 표면의 부분과 외부 스커트 표면의 부분이 각각, 상기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에 수직인 반경방향축에 의해서 정해진 평면에서 보았을 때, 서로에 대해 적어도 12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0°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에 인접한 부분들에 관한 상기 특징은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례에서 그리고 첨부된 청구범위 중의 각각의 청구항에서 이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는, 상기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에 수직인 반경방향축에 의해서 정해진 평면에서 보았을 때, 0.1mm 내지 3mm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0.5mm 내지 2mm 범위 내의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스커트 가장자리의 곡률 반경에 관한 상기 특징은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례에서 그리고 첨부된 청구범위 중의 각각의 청구항에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가 연장부(extension)를 가지는 경우, 별도의 표시가 없으면, 본 출원 전체에 걸쳐서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와 다른 독립체(entity) 사이의 임의의 거리는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독립체까지의 최대 거리를 의미하는 것이다.
단지 하나의 예로서, 상기 이어폰의 실시례는,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외이 공동 내에서 사용 위치를 차지하도록 되어 있어서,
-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외이 천장의 적어도 일부분과 맞닿고,
-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가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의 각각보다 상기 외이 바닥에 더 가깝게 배치되고, 그리고
-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가 상기 외이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에 수직인 반경방향축에 의해서 정해진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이 상기 반경방향축을 따라서 2개의 별개의 위치 사이에 뻗어 있는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세그먼트는, 상기 주변 스커트가 상기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세그먼트와 관련된 상기 내부 스커트 표면과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의 각각이, 상기 중심축을 따라서 보았을 때,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의 동일한 측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현 형태는 상기 중심축쪽으로 만곡시키는 수단에 의해서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의 일부분을 구부릴 가능성을 더 높일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이,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을 따라서 보았을 때,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된 외부 스커트 표면 원위 지점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스커트 표면이, 상기 내부 스커트 표면을 따라서 보았을 때,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된 내부 스커트 표면 원위 지점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 원위 지점은 상기 내부 스커트 표면 원위 지점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주변 스커트가 상기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 원위 지점과 상기 내부 스커트 표면 원위 지점의 각각이, 상기 중심축을 따라서 보았을 때,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의 동일한 측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내부 스커트 표면 원위 지점과 외부 스커트 표면 원위 지점으로부터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쪽으로 보았을 때,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쪽으로 기울어져 있고, 이것은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를 상기 중심축쪽으로 만곡시킬 가능성을 높일 것이다.
앞에서 시사한 바와 같이,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이 자신의 사용 위치를 차지하고 있을 때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는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보다 상기 외이 바닥에 더 가깝게 배치되어 있다. 그래서, 위에 사용된“동일한 측에”라는 표현은 상기 이어폰이 상기 외이 바닥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스커트 가장자리가 상기 내부 표면 및 외부 표면의 관련 부분과 상기 외이 바닥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는 배치상태를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 원위 지점으로부터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까지 상기 중심축을 따라서 측정하였을 때의 외부 표면 거리가 상기 내부 스커트 표면 원위 지점으로부터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까지 상기 중심축을 따라서 측정하였을 때의 내부 표면 거리보다 더 길다.
선택적으로, 상기 주변 스커트가 상기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내부 스커트 표면 원위 지점으로부터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까지 상기 중심축을 따라서 측정하였을 때의 최장 거리가 1mm 내지 8mm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2mm 내지 6mm의 범위 내에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이,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에 대한 법선과 평행한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내부 스커트 표면과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 사이의 중간에 배치된 중립층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의 상기 중립층은, 상기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에 수직인 반경방향축에 의해서 정해진 평면에서 보았을 때 그리고 상기 주변 스커트가 상기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반경방향축을 따라서 일정 거리만큼 분리된 제1 중립층 지점과 제2 중립층 지점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 중립층 지점과 상기 제2 중립층 지점의 각각을 통과하여 뻗은 중립층 선이 상기 중심축에 대해 선각(line angle)을 형성한다. 상기 선각은 15°내지 65°의 범위 내에 있다.
다시,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이 자신 사용 위치를 차지할 때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는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보다 상기 외이 바닥에 더 가깝게 배치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중립층 선은, 상기 이어폰이 상기 외이 바닥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중심축을 따라서 보았을 때,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가 교차 지점과 상기 외이 바닥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는 교차 지점에서 상기 중심축과 교차할 것이다.
상기 범위 내의 선각은 사용하는 동안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외이 천장의 적어도 일부분 사이의 적절한 접촉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이 상기 사용 위치를 차지할 때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가 적절한 상태, 예를 들면, 상기 외이 벽과 맞닿는 상태를 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게다가, 상기 범위 내의 선각은 또한, 예를 들면,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의 일부분을 상기 중심축쪽으로 만곡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중심축쪽으로 휘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외이 공동 내에 삽입된 후,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의 상기 휘어진 부분은 자신의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로 되돌아 오게 굴곡하고 그 결과 상기 외부 표면과 상기 외이 천장의 적어도 일부분 사이의 접촉이 적절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선각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의 적어도 30%에 대해 적용된다. 또한, 이하에서 논의될, 최대 윤곽 지점을 포함하는 상기 스커트의 일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각이 상기 범위 내에 있도록 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이하에서 논의될, 기다란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의 일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각이 상기 범위 내에 있도록 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반경방향축을 따라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중립층 지점과 상기 제2 중립층 지점 사이의 상기 거리가 상기 제1 중립층 지점과 상기 제2 중립층 지점을 포함하는 전체 중립층의 반경방향 연장부의 40%보다 크거나 같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경방향 연장부의 80%보다 크거나 같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어폰은,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외이 공동 내에서 사용 위치를 차지하도록 되어 있어서,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를 따라서 모든 부분에 대해, 공극이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와 상기 외이 바닥 사이에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공극 특징은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이 상기 사용 위치를 차지할 때 상기 이어폰이 상기 외이 바닥을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에 연결시키는 어떠한 구성요소도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중심축에 원점을 가진 스커트 가장자리가 없는 각진 구역은 각진 구역에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가 없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가 없는 각진 구역은 적어도 4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의 스커트 가장자리가 없는 각진 구역 각도를 가지고 있다.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가 없는 각진 구역은 상기 이어폰이, 예를 들면, 귀의 이륜 다리(crus of helix)와 반드시 맞닿을 필요 없이 적절한 사용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가 없는 각진 구역 각도가 320°보다 작거나 같고, 바람직하게는 270°보다 작거나 같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80°보다 작거나 같다. 상기한 각도들 중의 어느 한 각도보다 작은 스커트 가장자리가 없는 각진 구역 각도는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과 상기 외이 천장 사이에 적절하게 큰 접촉 구역이 자리 잡게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주변 스커트가 상기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중심축과 일치하는 법선을 가진 평면 위의 상기 주변 스커트의 투영도가 외부 윤곽을 가지고 있고 상기 중심축이 상기 외부 윤곽 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중심축은, 상기 평면에서 측정하였을 때,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외부 윤곽까지의 최장 거리와 최단 거리 사이에서 최소 차이가 얻어지도록 위치되어 있다. 상기 이어폰이 상기 평면에서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외부 윤곽까지 최대 거리를 가진 최대 윤곽 지점을 포함하고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중심축에 원점을 가진 각진 평면 구역이 상기 각진 평면 구역에 상기 주변 스커트가 없도록 및/또는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각진 평면 구역에서의 상기 외부 윤곽의 각 지점까지의 거리가 상기 최대 거리의 85%보다 작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각진 평면 구역은 적어도 4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의 각진 평면 구역 각도를 가지고 있다. 상기한 각도들 중의 어느 한 각도보다 작은 각진 평면 구역 각도는 상기 이어폰이, 예를 들면, 귀의 이륜 다리와 반드시 맞닿을 필요 없이 적절한 사용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최대 윤곽 지점까지 뻗은 최대 윤곽 지점 선이 상기 각진 평면 구역을 한정하는 선과 최소각을 형성한다. 상기 최소각은 0°내지 15°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내지 5°의 범위 내에 있다. 상기 범위들 중의 한 범위 내의 최소각은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이, 예를 들면, 귀의 이륜 다리와 반드시 맞닿을 필요 없이, 귀에서, 예를 들면, 대이륜 구역에서 비교적 높이 배치되어 있는 외이 천장의 일부분과 맞닿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어폰이 상기 평면에서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외부 윤곽까지 근위 거리를 가진 근위 윤곽 지점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최대 거리와 상기 근위 거리 사이의 비가 1.1보다 크거나 같고, 바람직하게는 1.5보다 크거나 같다. 상기 범위들 중의 한 범위 내의 비는 상기 외부 윤곽이 외이 공동의 경계를 정하는 귀 부분의 형상을 따라가도록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 윤곽은,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외부 윤곽까지의 거리가 상기 근위 윤곽 지점으로부터 상기 최대 윤곽 지점까지 점차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으로 증가하도록 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 윤곽이 중간 윤곽 지점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중간 윤곽 지점까지의 거리가 상기 근위 거리보다는 길지만 상기 최대 거리보다는 짧고, 상기 중심축에 원점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최대 윤곽 지점, 상기 근위 윤곽 지점 및 상기 중간 윤곽 지점을 포함하는 가장 큰 각진 세그먼트가 적어도 4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0°,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80°의 각도를 가지고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중심축과 일치하는 법선을 가진 상기 평면 위의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의 투영도가 상기 외부 윤곽의 적어도 일부분과 일치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 윤곽을 둘러싸는 가장 작은 원이 15mm 내지 31mm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9mm 내지 27mm의 범위 내의 직경을 가지고 있다. 상기 범위들 중의 한 범위 내의 직경은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이 귀의 다양한 부분과 접촉할 수 있기에 충분히 클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과 귀 사이의 적절한 연결을 보장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이 상기 사용 위치를 차지할 때,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이, 상기 중심축을 따라서 보았을 때, 상기 외이 바닥으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되도록 된 원위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은 상기 원위 부분으로부터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까지 적어도 부분적으로 뻗어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원위 부분에 대해 상기 중심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되어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이 상기 사용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중심축의 양 측에 배치된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의 두 부분의 각각이 상기 원위 부분에 대해 상기 중심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되어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이 상기 사용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주변 스커트의 일부분이, 상기 평면에서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주변 스커트의 일부분의 상기 외부 윤곽까지의 거리가 적어도 5%만큼 탄성적으로 감소될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용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상기 주변 스커트의 일부분이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내용에 따른 탄성 변형은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외이 공동 속으로 삽입되는 것이 간단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이 상기 내부 스커트 표면으로부터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까지 뻗어 있는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복수의 개구는 상기 복수의 개구가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과 상기 외이 천장 사이의 연속적인 접촉의 면적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를 편안하게 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의 재료 두께가,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에 대한 법선과 평행한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내부 스커트 표면과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 사이의 거리로 정해진다.
선택적으로, 상기 원위 부분으로부터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까지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을 따라갈 때,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의 최소 재료 두께가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의 최대 재료 두께의 75%보다 작다. 상기 값보다 작은 최소 두께는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외이 공동 속으로 삽입될 때 변형될 수 있고 그 결과 힌지(hinge)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비교적 약한 부분을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이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최소 재료 두께를 가진 부분이 - 상기 중심축에 수직인 반경방향축을 따라서 보았을 때 - 상기 원위 부분으로부터 최소 재료 두께 거리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최소 재료 두께 거리가, 상기 반경방향축을 따라서 보았을 때, 상기 원위 부분으로부터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까지의 거리의 0% 내지 8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 내지 40%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5%의 범위 내에 있다. 상기 범위 내의 최소 재료 두께 거리는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의 변형이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외이 공동 속으로 삽입하는 것을 쉽게 하는 적절한 장소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이 기다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기다란 부분은,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을 따라서 상기 원위 부분으로부터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까지의 상기 기다란 부분의 거리인 기다란 부분 길이가 상기 원위 부분으로부터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까지 상기 기다란 부분을 따라갈 때의 상기 기다란 부분의 평균 재료 두께보다 크게 되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다란 부분 길이가 상기 기다란 부분의 평균 재료 두께의 적어도 1.05배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다란 부분 길이가 상기 기다란 부분의 평균 재료 두께의 적어도 1.5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다란 부분 길이가 상기 기다란 부분의 평균 재료 두께의 적어도 2배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스커트가 25 내지 90 범위 내의 쇼어 A 경도를 가진 탄성 폴리머로 된 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 폴리머가 실리콘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이 복수의 둘레방향으로 분리된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 돌출부를 포함하고 있고, 각각의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 돌출부는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의 일부를 형성하는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 돌출부 가장자리까지 거리가 증가하면서 뻗어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이 상기 사용 위치를 차지할 때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맞닿도록 되어 있는 상기 외이 천장이 귀의 다음 부분: 대이륜, 이주 및 대이주 중의 적어도 하나의 천장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이 천장이 상기 대이륜의 천장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어폰은,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외이 공동 내에서 사용 위치를 차지하도록 되어 있어서,
-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의 제1 부분이 상기 대이륜의 천장 부분과 맞닿고, 그리고
-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의 제2 부분이 상기 대이주의 천장 부분과 맞닿도록 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어폰은,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외이 공동 내에서 상기 사용 위치를 차지하도록 되어 있어서, 상기 이어폰의 상기 중심축을 따라서 보았을 때,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와 상기 외이 바닥 사이의 최소 거리가 적어도 0.5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mm가 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최소 거리는 상기 사용자를 위한 적절한 편안함을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외이 측벽의 적어도 일부분과 맞닿고, 이로 인해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가 상기 외이 바닥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외이 공동 내에서 상기 사용위치를 차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과 상기 외이 측벽 사이의 접촉은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이 상기 사용 위치를 차지할 때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가 상기 외이 바닥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외이 바닥이 귀로부터 바깥으로 외이 바닥 법선 방향으로 뻗은 외이 주바닥 평면 법선(concha main floor plane normal)을 가진 외이 주바닥 평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외이 측벽이 상기 외이 바닥 법선 방향에 대해 30°이하의 각도를 형성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외이 측벽은, 상기 중심축의 양 측에 배치된 2개의 외이 측벽 부분의 법선이 서로를 향하도록 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어폰이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주변 스커트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우징을 둘러싸고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중심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되어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이 상기 사용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중심축의 양 측에 배치된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의 두 부분의 각각이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중심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되어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이 상기 사용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어폰이,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이 상기 외이 바닥에 대해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외이 바닥과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이동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하우징이 상기 이동 방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외이 바닥 맞닿음 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이어폰은, 상기 하우징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외이 공동 내에서 사용 위치를 차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외이 공동에서 상기 외이 바닥 맞닿음 부분이 상기 외이 바닥과 맞닿고, 이로 인해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가 상기 외이 바닥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동 방지 부재가 바깥쪽 맞닿음 부분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바깥쪽 맞닿음 부분은 상기 이어폰이 사용 위치를 차지할 때 상기 외이 천장의 반대쪽에 있는 귀의 일부분과 맞닿도록 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바깥쪽 맞닿음 부분은, 상기 이어폰이 상기 사용 위치를 차지할 때 귀의 대이륜의 외부 부분과 맞닿도록 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적어도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이 주름진 형태로 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이 주름진 형태로 되어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변 스커트가 주름진 형태로 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의 표면 거칠기가,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로 향하는 방향에서 측정하였을 때, 0.1mm보다 크거나 같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어폰이 소리 발산 수단, 바람직하게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이어폰이 안경의 측면부에 연결하기 위한 부착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예로서 기술된 본 발명의 여러 실시례의 보다 상세한 설명이 아래에 이어진다.
상기 도면에서:
도 1a 및 도 1b는 사람의 귀를 나타내고 있고,
도 2a 내지 도 2c는 이어폰의 한 실시례를 나타내고 있고,
도 3은 이어폰의 한 실시례의 단면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4는 이어폰의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고 있고,
도 5는 이어폰의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고 있고,
도 6은 이어폰의 주변 스커트의 외부 윤곽을 나타내고 있고,
도 7은 이어폰의 한 실시례의 주변 스커트의 외부 윤곽을 나타내고 있고,
도 8은 이어폰의 다른 실시례의 주변 스커트의 외부 윤곽을 나타내고 있고,
도 9는 이어폰의 다른 실시례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10 은 이어폰의 또 다른 실시례의 주변 스커트의 외부 윤곽을 나타내고 있고,
도 11은 이어폰의 한 실시례의 단면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12a 및 도 12b는 이어폰의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고 있고,
도 13은 이어폰의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고 있고,
도 14는 이어폰의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고 있고,
도 15는 이어폰의 다른 실시례의 단면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16은 이어폰의 또 다른 실시례의 단면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17은 이어폰의 또 다른 실시례의 단면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18a 및 도 18e는 이어폰의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고 있고,
도 19는 이어폰의 또 다른 실시례의 단면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20은 이어폰의 추가적인 실시례의 단면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21은 이어폰의 다른 실시례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22는 이어폰의 또 다른 실시례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설명할 것이다. 본 출원의 전체에 걸쳐서, 모든 범위는 닫힌 범위(closed range)로 해석되어야 한다. 다르게 표현하면, 본 출원에 사용된 모든 범위는 그 범위의 종단점(end point)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a는 귀(10)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귀"라는 용어는 사람의 귀에 관한 것이다. 귀(10)는 귓바퀴(pinna) 또는 외이(auricle)라고 칭할 수도 있다. 귀(10)는 두개골을 향해서 위쪽으로 그리고 안쪽으로 귀의 주변부를 따라 이어지는 이륜(helix)(12)을 포함하고 있고, 이륜(12)은 이륜 다리(crus of helix)(14)로 전이한다.
게다가, 도 1a는 귀(10)가 이주(tragus)(16), 대이주(antitragus)(18) 그리고 대이륜(antihelix)(20)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게다가, 외이 공동(22)은 이주(16), 대이주(18) 그리고 대이륜(20)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범위가 정해져 있다. 게다가, 도 1a는 외이도(24)를 나타내고 있다.
도 1b는 도 1a의 귀(10)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b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외이 공동(22)은 외이 바닥(26), 외이 측벽(28) 그리고 외이 천장(30)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범위가 정해져 있다. 아래에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이, 외이 천장(30)은 이주(16), 대이주(18) 그리고 대이륜(20)의 적어도 일부분과 같은, 귀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외이 측벽(28)은 외이 바닥(26)을 외이 천장(30)에 연결시킨다. 게다가, 도 1b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외이 천장(30)의 표면은 법선(32)을 가지고 있고, 상기 법선의 적어도 한 성분이 외이 바닥(26)쪽으로 향해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귀에 사용하는 이어폰(32)의 한 실시례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이어폰(32)은 외부 스커트 표면(38)과 내부 스커트 표면(68)을 포함하는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을 포함하는 주변 스커트(34)를 포함하고 있고, 외부 스커트 표면(38)으로부터 내부 스커트 표면(68)으로의 전이(transition)가 스커트 가장자리(40)에서 일어난다.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예를 들면, 도 2a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내부 스커트 표면과 외부 스커트 표면(68, 38)의 각각은 스커트 가장자리(40)에서 끝을 이룬다.
도 2a에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완전한 주변 스커트(34)를 구성한다. 그러나, 이어폰(32)의 다른 실시례에서는, 주변 스커트(34)가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에 더하여 스커트 부분(도 2a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a의 실시례에서는, 상기 이어폰이 이어폰(32)용 하우징(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수용하도록 된 프레임(42)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이어폰의 여러 실시례는, 하우징이 주변 스커트(34)에 직접 부착되도록 또는 주변 스커트(34)와 하우징이 단일 구성요소(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도 예상된다.
도 2b는 이어폰(32)의 일부분이 귀(10) 속에 삽입되기 전의 상태의 이어폰(32)을 나타내고 있다. 게다가, 도 2b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어떠한 외부 부하도 상기 주변 스커트(34)에 부여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도 2b는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의 주변 스커트(34)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b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스커트 가장자리(40)는 이어폰(32)의 중심축(CA)의 둘레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레방향으로 뻗어 있다. 게다가, 도 2b는 이어폰(32)이, 이어폰(32)을 귀(10) 속에 삽입하는 동안,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이 공동(22) 내에서, 중심축(CA)과 평행한 방향으로, 사용 위치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2b는 또한 주변 스커트(34)가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내부 스커트 표면(68)의 적어도 일부분이 중심축(CA)과 마주 대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래서,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의 적어도 일부분이 경사져 있다. 도 2b의 예에서는, 도시된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의 양 측이 경사져 있다. 따라서, 단지 하나의 예로서, 스커트 가장자리(40)의 적어도 일부분이 중심축(CA)을 향하는 방향으로 휘어지게 되어 있어서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사용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가능한 휘어짐이 도 2b의 아래 부분에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2c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32)은,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이 공동(22) 내에서 사용 위치를 차지하도록 되어 있어서:
- 외부 스커트 표면(38)의 적어도 일부분이 외이 천장(30)의 적어도 일부분과 맞닿고,
- 스커트 가장자리(40)가 외부 스커트 표면(38)보다 외이 바닥(26)에 더 가깝게 배치되고, 그리고
- 스커트 가장자리(40)가 외이 바닥(26)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되어 있다.
스커트 가장자리(40)가 외이 바닥(26)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태는 한 가지 이상의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단지 하나의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자의 외이 공동(22) 내에서 사용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 후에 사용자는 자신이 스커트 가장자리(40)와 외이 바닥(26) 사이의 접촉을 경험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이 공동(22) 내에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를 삽입하기 전에 페인트와 같은 물질이 스커트 가장자리(40)에 도포될 수 있다. 그 후에 이어폰(32)은 귀(10)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그 후에, 예를 들면, 스커트 가장자리(40)가 외이 바닥(26)과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그래서, 도 2c를 참고하면, 외부 스커트 표면(38)의 적어도 일부분과 외이 천장(30)의 적어도 일부분 사이의 접촉에 의해 이어폰(32)이 외이 바닥(26)으로부터 멀어지게, 다시 말해서, 도 2c에서 위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도 2a 내지 도 2c의 실시례에서는, 스커트 가장자리(40)의 적어도 일부분과 외이 측벽(28)의 일부분 사이의 접촉력에 의해 이어폰(32)이 외이 바닥(26)쪽으로, 다시 말해서, 도 2c에서 아래쪽으로 더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아래에 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스커트 가장자리(40) 대신에 또는 스커트 가장자리(40) 이외에 다른 수단을 이용하여 이어폰(32)이 외이 바닥(26)쪽으로 더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 2c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스커트 가장자리(40)는, 이어폰(32)이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이어폰(32)의 어떠한 추가적인 구성요소도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40)와 귀(10), 예를 들면, 외이 바닥(26)의 사이에 배치되지 않도록 하는 자유 스커트 가장자리(free skirt edge)일 수 있다. 상기 이어폰(32)은,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이 공동(22) 내에서 사용 위치를 차지하도록 되어 있어서, 스커트 가장자리(40)를 따라서 모든 부분에 대해, 공극(43)이 스커트 가장자리(40)와 외이 바닥(26) 사이에 형성되도록 될 수 있다.
이어폰(32)의 도 2c의 실시례는,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이 공동(22) 내에서 사용 위치를 차지하도록 되어 있어서, 이어폰(32)의 중심축(CA)을 따라서 보았을 때, 스커트 가장자리(40)와 외이 바닥(26) 사이의 최소 거리(dmin)가 적어도 0.5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mm가 되도록 될 수 있다. 단지 하나의 예로서, 상기 최소 거리는 페인트 또는 잉크와 같은 물질의 사용을 포함하는 상기 절차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3은 주변 스커트(34)가 상기한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의 이어폰(32)의 한 실시례의 단면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도 3은 이어폰(32)의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반경방향축(R)이 중심축(CA)과 수직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게다가, 중심축(CA)과 반경방향축(R)이 도 3의 평면인 평면을 정한다.
이 평면에서,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반경방향축(R)을 따라서 2개의 별개의 위치(37’, 37”) 사이에 뻗어 있는 세그먼트(37)를 포함하고 있다. 게다가,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세그먼트(37)는, 주변 스커트(34)가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세그먼트(37)와 관련된 내부 스커트 표면(68)과 외부 스커트 표면(38)의 각각이, 중심축(CA)을 따라서 보았을 때, 스커트 가장자리(40)의 동일한 측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스커트 가장자리(40)에 대해 “상승된(raised)”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단지 하나의 예로서, 반경방향축(R)을 따라서 보았을 때, 2개의 별개의 위치(37’, 37”) 사이의 거리는 2개의 별개의 위치(37’, 37”)를 포함하는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의 반경방향 연장부의 40%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경방향 연장부의 80%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도 3의 실시례에서, 2개의 별개의 위치(37’, 37”)는, 반경방향축(R)을 따라서 보았을 때, 2개의 별개의 위치(37’, 37”) 사이의 거리가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의 반경방향 연장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실제로 선택될 수 있다.
게다가, 도 3은 또한 외부 스커트 표면(38)이, 외부 스커트 표면(38)을 따라서 보았을 때, 스커트 가장자리(40)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된 외부 스커트 표면 원위 지점(39)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게다가, 도 3에서는, 내부 스커트 표면(68)이, 내부 스커트 표면(68)을 따라서 보았을 때, 스커트 가장자리(40)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된 내부 스커트 표면 원위 지점(69)을 포함하고 있다. 단지 하나의 예로서, 외부 스커트 표면 원위 지점(39)과 내부 스커트 표면 원위 지점(69)의 각각은 위에서 설명한 프레임(42)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비제한적인 예로서, 외부 스커트 표면 원위 지점(39)과 내부 스커트 표면 원위 지점(69)의 각각은 주변 스커트(34)가 하우징에 연결되어 있을 때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과 하우징(도 3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 사이의 교차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게다가, 도 3을 다시 참고하면, 외부 스커트 표면 원위 지점(39)이 내부 스커트 표면 원위 지점(69)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도 3의 예에서,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의 적어도 일부분은, 주변 스커트(34)가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외부 스커트 표면 원위 지점(39)과 내부 스커트 표면 원위 지점(69)의 각각이, 중심축(CA)을 따라서 보았을 때, 스커트 가장자리(40)의 동일한 측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3은 외부 스커트 표면 원위 지점(39)으로부터 스커트 가장자리(40)까지 중심축(CA)을 따라서 측정하였을 때의 외부 표면 거리(L1)가 내부 스커트 표면 원위 지점(69)으로부터 스커트 가장자리(40)까지 중심축(CA)을 따라서 측정하였을 때의 내부 표면 거리(L2)보다 긴 이어폰(32)의 한 실시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실시례의 왼쪽을 주목하면, 도 3에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외부 스커트 표면(38)에 대한 법선(n)과 평행한 방향에서 보았을 때, 내부 스커트 표면(68)과 외부 스커트 표면(38) 사이의 중간에 배치된 중립층(35)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중립층은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의 두께의 절반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의 적어도 일부분의 중립층(35)은, 중심축(CA)과 반경방향축(R)에 의해 정해진 평면에서 보았을 때 그리고 주변 스커트(34)가 상기한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반경방향축(R)을 따라서 거리 Lnlp만큼 분리된 제1 중립층 지점(41)과 제2 중립층 지점(45)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게다가,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제1 중립층 지점(41)과 제2 중립층 지점(45)의 각각을 통과하여 뻗은 중립층 선(47)이 중심축(CA)에 대해 선각(φ)을 형성한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선각(φ)은 15°내지 65°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중립층(35)의 적어도 일부분은, 중립층(35)을 통과하여 뻗은 중립층 선(47)이 상기 범위 내에서 선각(φ)을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단지 하나의 예로서, 상기 부분은 비교적 클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상기 부분은, 반경방향축(R)을 따라서 보았을 때, 제1 중립층 지점(41)과 제2 중립층 지점(45) 사이의 거리 Lnlp가 제1 중립층 지점(41)과 제2 중립층 지점(45)을 포함하는 전체 중립층의 반경방향 연장부(Lnl)의 40%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경방향 연장부(Lnl)의 80%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도 4는 이어폰(32)의 한 실시례를 나타내고 있고, 이 실시례에서 중심축(CA)에 원점을 가진 스커트 가장자리가 없는 각진 구역(skirt edge-free angular sector)(44)은 각진 구역에 스커트 가장자리(40)가 없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가 없는 각진 구역(44)은 적어도 4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의 스커트 가장자리가 없는 각진 구역 각도(α)를 가지고 있다.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가 없는 각진 구역(44)은 상기 이어폰이, 예를 들면, 귀(10)의 이륜 다리(도 1a에서 참고 번호 14 참조)와 반드시 맞닿을 필요없이 적절한 사용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단지 하나의 예로서,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가 없는 각진 구역 각도(α)는 320°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70°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80°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가 없는 각진 구역(44)은 도 4의 실시례에서 주변 스커트(34)의 절결부(cut-out)로 간주될 수 있다. 그러나, 절결부를 이용하지 않고 스커트 가장자리가 없는 각진 구역(44)을 가진 이어폰(32)의 실시례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을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실시례를 참고한다.
이어폰(32)의 도 5의 실시례는 주변 스커트(34),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인 주변 스커트(34)의 한 부분 그리고 이어폰(32)이 사용 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이 공동(22) 내에서 사용 위치를 차지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추가적인 스커트 부분(46)을 포함하고 있다. 그래서, 추가적인 스커트 부분(46)은 외부 스커트 표면을 포함하지 않으며, 그 결과 추가적인 스커트 부분(46)은 본 발명의 의도에 맞게 스커트 가장자리에서 끝을 이루지 않는다. 그래서, 추가적인 스커트 부분(46)의 위쪽으로 만곡된 형상에 의해 스커트 가장자리가 없는 각진 구역 각도(α)를 가진 스커트 가장자리가 없는 각진 구역(44)이 도 5의 실시례에서 얻어진다.
도 6은, 주변 스커트(34)가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중심축(CA)과 일치하는 법선(n)을 가진 평면(P) 위의 주변 스커트(34)의 투영도가 외부 윤곽(48)을 가지고 있고 중심축(CA)이 상기 외부 윤곽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중심축(CA)은, 평면(P)에서 측정하였을 때, 중심축(CA)으로부터 외부 윤곽(48)까지의 최장 거리와 최단 거리 사이에서 최소 차이가 얻어지도록 위치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32)의 주변 스커트(34)의 외부 윤곽(48)을 나타내고 있다. 도 7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도 7의 이어폰(32)은 평면(P)에서 중심축(CA)으로부터 외부 윤곽(48)까지 최대 거리(Rmax)를 가진 최대 윤곽 지점(50)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이어폰(32)의 도 7의 실시례는, 중심축(CA)에 원점을 가진 각진 평면 구역(angular plane sector)(52)이 상기 각진 평면 구역(52)에 주변 스커트(34)가 없도록 및/또는 중심축(CA)으로부터 상기 각진 평면 구역(52)에서의 상기 외부 윤곽(48)의 각 지점까지의 거리가 상기 최대 거리(Rmax)의 85%보다 작도록 되어 있다. 단지 하나의 예로서, 상기 각진 평면 구역(52)은 적어도 4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의 각진 평면 구역 각도(β)를 가지고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단지 하나의 예로서, 중심축(CA)으로부터 최대 윤곽 지점(50)까지 뻗은 최대 윤곽 지점 선(54)이 각진 평면 구역(52)을 한정하는(defining) 선(56)과 최소각(γ)을 형성한다. 상기 최소각(γ)은 0°내지 15°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내지 5°의 범위 내에 있다.
도 8은 이어폰(32)이 평면(P)에서 중심축(CA)으로부터 외부 윤곽(48)까지 근위 거리(Rprox)를 가진 근위 윤곽 지점(58)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최대 거리(Rmax)와 상기 근위 거리(Rprox) 사이의 비는 1.1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게다가, 도 8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외부 윤곽(48)은, 중심축(CA)으로부터 외부 윤곽(48)까지의 거리가, 근위 윤곽 지점(58)으로부터 최대 윤곽 지점(50)까지 점차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으로 증가하도록 될 수 있다. 그래서, 외부 윤곽(48)은 근위 윤곽 지점(58)으로부터 최대 윤곽 지점(50)까지 나선 형상을 따라서 이어질 수 있다.
도 8은 또한 외부 윤곽(48)이 중간 윤곽 지점(60)을 더 포함하고 있고, 중심축(CA)으로부터 중간 윤곽 지점(60)까지의 거리(Rinterim)가 상기 근위 거리(Rprox)보다는 길지만 상기 최대 거리(Rmax)보다는 짧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게다가, 도 8은 중심축(CA)에 원점을 가지고 있으며 최대 윤곽 지점(50), 근위 윤곽 지점(58) 그리고 중간 윤곽 지점(60)을 포함하는 가장 큰 각진 세그먼트가 적어도 4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0°,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80°의 각도(δ)를 가지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예에서는, 중심축(CA)과 일치하는 법선을 가진 평면(P) 위의 주변 스커트(34)의 투영도가 외부 윤곽(48)의 적어도 일부분과 일치한다. 다르게 표현하면, 도 6의 실시례에서는, 스커트 가장자리(40)가 주변 스커트(34)의 적어도 일부분의 가장 바깥쪽 부분을 구성한다. 그러나, 이어폰(32)의 실시례가, 주변 스커트(34)의 일부분이 스커트 가장자리(40)의 상응하는 부분보다 중심축(CA)으로부터 더 먼 거리에 배치되어 있는 형태의, 주변 스커트(34)를 포함할 수 있는 것도 예상된다.
이러한 실시례의 한 예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9의 이어폰(32)에서, 주변 스커트(34)는, 중심축(CA)으로부터 주변 스커트(34)의 가장 바깥쪽 부분까지의 최대 반경방향의 거리가 중심축(CA)으로부터 스커트 가장자리(40)의 상응하는 부분까지의 반경방향의 거리보다 더 길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주변 스커트(34)의 투영도는 스커트 가장자리(40)의 어느 부분도 반드시 포함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도 10은 주변 스커트(34)의 외부 윤곽(48)을 둘러싸는 가장 작은 원(62)을 나타내고 있다. 단지 하나의 예로서, 상기 가장 작은 원(62)의 직경(D)은 이어폰(32)의 실시례에 대해 15mm 내지 31mm의 범위 내에, 바람직하게는 19mm 내지 27mm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게다가, 외부 윤곽의 형상에 관계없이, 주변 스커트(34)의 일부분은, 상기 평면에서 중심축(CA)으로부터 상기 주변 스커트(34)의 일부분의 외부 윤곽(48)까지의 거리가 적어도 5%만큼 탄성적으로 감소될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게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주변 스커트(34)의 일부분이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 11은 이어폰(32)의 한 실시례의 단면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의 실시례에서는,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사용 위치를 차지할 때,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중심축(CA)을 따라서 보았을 때, 외이 바닥(도 11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으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되도록 된 원위 부분(64)을 포함하고 있다.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은 상기 원위 부분(64)으로부터 스커트 가장자리(40)까지 적어도 부분적으로 뻗어 있다. 단지 하나의 예로서, 상기 원위 부분(64)은 상기한 프레임(42)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비제한적인 예로서, 상기 원위 부분(64)은 주변 스커트(34)가 하우징에 연결되어 있을 때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과 하우징(도 11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 사이의 교차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1은, 주변 스커트가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내부 스커트 표면 원위 지점(69)으로부터 스커트 가장자리(40)까지 중심축(CA)을 따라서 측정하였을 때의 최장 거리(Lmax)를 나타내고 있다. 단지 하나의 예로서, 상기 최장 거리(Lmax)는 1mm 내지 8mm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2mm 내지 6mm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게다가, 다시 도 11을 참고하면,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의 재료 두께(t)는, 외부 스커트 표면(38)에 대한 법선(n)과 평행한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내부 스커트 표면(68)과 외부 스커트 표면(38) 사이의 거리로 정해진다. 따라서,“재료 두께”라는 표현은“재료 두께”의 값이 내부 스커트 표면(68)과 외부 스커트 표면(38) 사이의 스커트 재료를 포함하는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에 대해서만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게다가, 도 11은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기다란 부분(7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다란 부분(70)은, 외부 스커트 표면(38)을 따라서 원위 부분(64)으로부터 스커트 가장자리(40)까지의 기다란 부분(70)의 거리인 기다란 부분 길이(Lelong)가 원위 부분(64)으로부터 스커트 가장자리(40)까지 기다란 부분(70)을 따라갈 때의 기다란 부분(70)의 평균 재료 두께보다 크게 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다란 부분 길이(Lelong)가 기다란 부분(70)의 평균 재료 두께의 적어도 1.05배이고, 바람직하게는 기다란 부분 길이(Lelong)가 기다란 부분(70)의 평균 재료 두께의 적어도 1.5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기다란 부분 길이(Lelong)가 기다란 부분(70)의 평균 재료 두께의 적어도 2배이다.
또한, 도 11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것과 같이, 스커트 가장자리(40)의 적어도 일부분이 원위 부분(64)에 대해 중심축(CA)을 향하는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되어 있고 이로 인해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사용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1에 도시된 예에서는, 도 11에서 2개의 화살표로 나타낸 것과 같이, 중심축(CA)의 양 측에 배치된 스커트 가장자리(40)의 두 부분의 각각이 원위 부분(64)에 대해 중심축(CA)을 향하는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되어 있고 이로 인해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사용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하우징(78)을 포함하는 이어폰(32)의 실시례(예를 들면, 도 16 참조)에서는, 스커트 가장자리(40)의 상기한 부분이 원위 부분(64)에 대해 휘어지는 대신에 하우징(78)에 대해 휘어지게 될 수 있거나 원위 부분(64)에 대해 휘어지는 것에 추가하여 하우징(78)에 대해 휘어지게 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이어폰(32)의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b를 참고하면, 원위 부분(64)으로부터 스커트 가장자리(40)까지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을 따라갈 때,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의 최소 재료 두께(tmin)가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의 최대 재료 두께(tmax)의 75%보다 작다.
게다가, 최소 재료 두께(tmin)를 가진 부분은, 도 12a 및 도 12b의 실시례에서, - 반경방향축(R)을 따라서 보았을 때 - 원위 부분(64)으로부터 최소 재료 두께 거리(rmin)에 배치되어 있다. 단지 하나의 예로서, 상기 최소 재료 두께 거리(rmin)는, 반경방향축(R)을 따라서 보았을 때, 원위 부분(64)으로부터 스커트 가장자리(40)까지의 거리(rdist)의 0% 내지 8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 내지 40%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5%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최소 재료 두께(tmin)를 가진 부분은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이 공동(도 12a 또는 도 12b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 내에 삽입되도록 변형될 수 있게 하는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의 연약부(weakening)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약부는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에 대한 힌지(hinge)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3은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내부 스커트 표면(68)으로부터 외부 스커트 표면(38)까지 뻗어 있는 복수의 개구(72)를 포함하는 이어폰(32)의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고 있다.
지금까지 제시한 이어폰(32)의 실시례는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인 스커트 가장자리를 가진 둘레방향으로 연속적인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을 포함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의 이어폰(32)의 실시례가 둘레방향으로 불연속적인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는 것도 예상된다.
이것을 위하여, 단지 하나의 예로서, 도 14는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복수의 둘레방향으로 분리된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 돌출부(74)를 포함하는 이어폰(32)의 실시례를 나타내고 있다. 각각의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 돌출부(74)는 중심축(CA)으로부터 스커트 가장자리(40)의 일부를 형성하는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 돌출부 가장자리(76)까지 거리가 증가하면서 뻗어 있다.
단지 하나의 예로서, 상기 주변 스커트(34)가 25 내지 90 범위 내의 쇼어 A 경도(Shore A durometer)를 가진 탄성 폴리머로 된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상기 주변 스커트(34)가 25 내지 90 범위 내의 쇼어 A 경도를 가진 탄성 폴리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 폴리머가 실리콘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고, 대안적으로, 실리콘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구성된다. 상기한 재료의 예는 본 발명의 이어폰(32)의 모든 실시례에 사용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그리고 도 1a 및 도 1b를 참고하면,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사용 위치를 차지할 때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38)의 적어도 일부분이 맞닿도록 되어 있는 외이 천장이 귀의 다음 부분: 즉, 대이륜(20), 이주(16) 그리고 대이주(18) 중의 적어도 하나의 천장 부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외이 천장이 대이륜(20)의 천장 부분을 포함한다.
단지 하나의 예로서, 그리고 다시 도 1a 및 도 1b를 참고하면, 이어폰(32)은,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이 공동(22) 내에서 사용 위치를 차지하도록 되어 있어서,
- 외부 스커트 표면(36)의 제1 부분이 대이륜(20)의 천장 부분과 맞닿고, 그리고
- 외부 스커트 표면(36)의 제2 부분이 대이주(18)의 천장 부분과 맞닿도록 될 수 있다.
도 15는 이어폰(32)의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의 실시례에서는, 스커트 가장자리(40)의 적어도 일부분이 외이 측벽(28)의 적어도 일부분과 맞닿고, 이로 인해 스커트 가장자리(40)가 외이 바닥(26)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이 공동(22) 내에서 사용위치를 차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은 바람직하게는 스커트 가장자리(40)의 크기와 형상이 스커트 가장자리(40)와 외이 측벽(28)의 적어도 일부분 사이의 접촉을 초래하도록 되어 있다. 게다가,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은,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사용 위치를 차지할 때 스커트 가장자리(40)가 외이 측벽(28)쪽으로 바깥쪽으로 눌러지도록 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도 3과 관련하여 상기한 15°내지 65°의 범위 내에서 선각(φ)과 관련되어 있으면 스커트 가장자리(40)가 바깥쪽으로 눌러질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외이 바닥(26)이 귀(10)로부터 바깥으로 외이 바닥 법선 방향으로 뻗은 외이 주바닥 평면 법선(nmf)을 가진 외이 주바닥 평면(Pmf)을 가지고 있다. 외이 측벽(28)은 외이 바닥 법선 방향에 대해 30°이하의 각도를 형성한다.
외이 바닥 법선 방향에 관하여 외이 측벽(28)을 한정하는 것 대신에, 또는 한정하는 것에 추가하여, 외이 측벽(28)은 중심축(CA)의 양 측에 배치된 2개의 외이 측벽 부분의 법선(ncsw)들이 서로를 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계획안(scenario)도 도 15에 나타나 있다.
스커트 가장자리(40)를 외이 측벽(28)의 적어도 일부분과 맞닿게 함으로써 스커트 가장자리(40)가 외이 바닥(26)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 대신에 또는 방지하는 것에 추가하여, 상기 이어폰(32)의 실시례는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외이 바닥(26)에 대하여 스커트 가장자리(40)의 적어도 일부분이 외이 바닥(26)과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이동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방지 부재의 구현예는 도 16 내지 도 20과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할 것이다.
도 16의 실시례에서는, 이어폰(32)이 하우징(78)을 더 포함하고 있고, 주변 스커트(34)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78)을 둘러싸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단지 하나의 예로서, 하우징(78)이 프레임(도 16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통하여 주변 스커트(34)에 연결될 수 있거나 하우징(78)이 주변 스커트(34)에 직접 부착될 수 있고, 대체 실시형태로서, 주변 스커트(34)와 하우징(78)이 단일 구성요소를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78)과 주변 스커트(34)가 서로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와 관계없이, 도 16의 하우징(78)은 외이 바닥 맞닿음 부분(80)을 포함하고 있다. 그래서, 도 16의 실시례에서는, 외이 바닥 맞닿음 부분(80)이 이동 방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게다가,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이어폰(32)은, 하우징(78)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이 공동(22) 내에서 사용 위치를 차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외이 공동(22)에서 외이 바닥 맞닿음 부분(80)이 외이 바닥(26)과 맞닿고, 이로 인해 스커트 가장자리(40)가 외이 바닥(26)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단지 하나의 예로서, 상기 이어폰(32)이 하우징(78)과 외이 바닥(26) 사이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상기 센서는 하우징(78)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도 16의 실시례에서, 외이 바닥(26)과 마주하도록 되어 있는 하우징(78)의 부분은 비교적 편평하다. 그러나, 외이 바닥 맞닿음 부분(80)이 하우징(78)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는 것도 예상된다. 이러한 실시례의 한 예가 도 17에 도시되어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외이 바닥 맞닿음 부분(80)은 귀(10)의 외이도(도 17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 또는 그 주위에서 외이 바닥(26)의 일부분과 맞닿도록 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례에서, 외이 바닥 맞닿음 부분(80)은 하우징(78)의 적어도 일부분, 예를 들면, 하우징(78)의 소리 발산 구성요소로부터 외이도로 소리를 안내하는 음향 도관 개구(audio duct opening)와 같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a는 상기한 외이 바닥 맞닿음 부분(80)이 하우징(78)으로부터 뻗어 나온 노즐로 구현되어 있는 이어폰(32)의 한 실시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a의 노즐(80)은 음향 도관 개구(82)를 포함하고 있다. 단지 하나의 예로서, 노즐(80)의 길이는 일정할 수 있다. 다른 비제한적인 예로서, 노즐(80)의 길이가 이어폰(32)의 사용자에게 맞게 조정될 수 있도록 노즐(80)의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단지 하나의 예로서, 상기 노즐(80)의 길이가 손으로 또는 이어폰(32)과 결합된 액추에이터(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이용하여 변경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노즐(80)이 하우징(78)의 다른 부분에 대해 만곡되도록 될 수 있다. 이것을 위하여, 이어폰(32), 예를 들면, 노즐(80) 및/또는 하우징(78)의 다른 부분이 노즐(80)을 하우징(78)의 다른 부분에 대하여 만곡되거나 휘어지게 할 수 있는 연결부(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78)의 다른 부분에 대해 노즐(80)의 길이 및/또는 각도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사용자가 이어폰(32)을 사용자의 귀에 맞게 조정하는 유연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8b는 이어폰(32)의 도 18a의 실시례에 이어폰 고무캡(84)이 상기 노즐(80)에 끼워져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노즐(80)이 상기한 바와 같이 길이가 조정가능하게 및/또는 각도가 조정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노즐(80)은 이어폰 고무캡을 구비할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도 18c 내지 도 18e는 도 18a의 노즐(80)과 같은 노즐(80)에 끼우기 위한 이어폰 고무캡의 여러 구현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c는 이주에 의해서 직접 가려지는 이주 아래 구역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는 이어폰 고무캡(84)을 나타내고 있다. 도 18c의 구현 형태는 외이도 또는 외이도의 개구와 접촉할 필요 없이 편안하게 끼워질 수 있다. 도 18c의 실시례는 약간의 주변 소리가 귀속으로 들어가게 할 수 있어서 휴대폰 용도로 유리할 수 있다.
도 18d와 도 18e의 각각은 실질적으로 주변 소리를 제거할 수 있는 외이도의 개구에 꼭 끼워지는 원뿔대 형상의 이어폰 고무캡(84)을 나타내고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의 실시례에 대해서, 하우징(78)이 스피커와 같은 소리 발산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9와 도 20은 상기 이동 방지 부재의 대체 구현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어폰(32)의 도 19과 도 20의 실시례의 각각에서, 이동 방지 부재는 바깥쪽 맞닿음 부분(86)을 포함하고 있다. 바깥쪽 맞닿음 부분(86)은 이어폰(32)이 사용 위치를 차지할 때 외이 천장(30)의 반대쪽에 있는 귀(10)의 일부분과 맞닿도록 되어 있다. 단지 하나의 예로서, 바깥쪽 맞닿음 부분(86)은 이어폰(32)이 사용 위치를 차지할 때 귀의 대이륜(20)의 외부 부분과 맞닿도록 될 수 있다.
그래서, 도 19와 도 20의 실시례의 각각에서는, 귀의 일부분이 외부 스커트 표면(38)의 적어도 일부분과 바깥쪽 맞닿음 부분(86)의 적어도 일부분의 사이에 끼인다. 이것은 스커트 가장자리(40)가 외이 바닥(26)과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이어폰(32)이 제자리에 유지되는 것을 보장할 것이다.
또한, 귀의 일부분이 외부 스커트 표면(38)의 적어도 일부분과 바깥쪽 맞닿음 부분(86)의 적어도 일부분의 사이에 끼여 있음으로 인해 이어폰(32)의 사용자의 온도나 맥박과 같은 상태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게 해준다. 이것을 위하여, 도 19와 도 20의 각각은 도 19와 도 20에 개시된 이어폰(32)의 실시례가 센서 조립체(88)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단지 하나의 예로서, 상기 센서 조립체는 바깥쪽 맞닿음 부분(86)에 발신기 그리고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에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거나, 반대로, 바깥쪽 맞닿음 부분(86)에 수신기 그리고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에 발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1은 적어도 외부 스커트 표면(38)이 주름진 형태로 되어 있는 본 발명의 이어폰의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고 있다. 실제로, 도 21의 실시례에서는,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이 주름진 형태로 되어 있는 주변 스커트에 해당한다.
선택적으로, 외부 스커트 표면의 표면 거칠기는, 중심축으로부터 스커트 가장자리로 향하는 방향에서 측정하였을 때, 0.1mm보다 크거나 같다.
마지막으로, 도 22는 이어폰(32)이 소리 발산 수단(86), 바람직하게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있는 본 발명의 이어폰(32)의 다른 실시례를 나타내고 있다. 단지 하나의 예로서, 상기 소리 발산 수단은 이어폰(32)의 하우징(78)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위에 기술되어 있고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례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고 이해하여야 하고;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변경 사항과 수정 사항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알 수 있을 것이다. 단지 하나의 예로서, 위에 기술된 이어폰(32)의 실시례는 주로 이어폰의 소리 발산 능력과 관련하여 기술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32)이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도 예상된다. 단지 하나의 예로서, 이어폰(32)의 여러 실시례가 시끄러운 소음으로부터 사용자의 귀를 보호하기 위한 귀마개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비제한적인 예로서, 이어폰(32)이 안경(도시되어 있지 않음)의 측면부에 연결하기 위한 부착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어폰(32) - 예를 들면, 이어폰(32)의 하우징 - 이 소리 발산을 위해 필요한 부품 이외에 전자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고 예상된다. 비제한적인 하나의 예로서, 이어폰(32)의 실시례가 무선 신호를 발신하거나 수신하는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어폰의 상기한 특징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상기 이어폰의 모든 실시례에 적용될 수 있다고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46)

  1. 귀(10)에 사용하는 이어폰(32)으로서, 상기 귀(10)는 외이 바닥(26), 외이 측벽(28) 및 외이 천장(30)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범위가 정해진 외이 공동(22)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외이 측벽(28)은 상기 외이 바닥(26)을 상기 외이 천장(30)에 연결시키고, 상기 외이 천장(30)의 표면은 법선을 가지고 있고, 상기 법선의 적어도 한 성분이 상기 외이 바닥(26)쪽으로 향해 있고,
    상기 이어폰(32)이 외부 스커트 표면(38)과 내부 스커트 표면(68)을 포함하는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을 포함하는 주변 스커트(34)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38)으로부터 상기 내부 스커트 표면(68)으로의 전이가 스커트 가장자리(40)에서 일어나고,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40)가 상기 이어폰(32)의 중심축(CA) 둘레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레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기 이어폰(32)은, 상기 이어폰(32)이 상기 귀(10)속에 삽입되는 동안,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외이 공동(22) 내에서, 상기 중심축(CA)과 평행한 방향으로, 사용 위치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주변 스커트(34)가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내부 스커트 표면(68)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중심축(CA)과 마주 대하고,
    상기 이어폰(32)이,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외이 공동(22) 내에서 상기 사용 위치를 차지하도록 되어 있어서,
    -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38)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외이 천장(30)의 적어도 일부분과 맞닿고,
    -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40)가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38)보다 상기 외이 바닥(26)에 더 가깝게 배치되고, 그리고
    -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40)가 상기 외이 바닥(26)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CA)과 상기 중심축(CA)에 수직인 반경방향축(R)에 의해서 정해진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상기 반경방향축(R)을 따라서 2개의 별개의 위치(37', 37'') 사이에 뻗어 있는 세그먼트(37)를 포함하고, 상기 세그먼트(37)는, 상기 주변 스커트(34)가 상기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세그먼트(37)와 관련된 상기 내부 스커트 표면(68)과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38)의 각각이, 상기 중심축(CA)을 따라서 보았을 때,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40)의 동일한 측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38)이,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38)을 따라서 보았을 때,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40)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된 외부 스커트 표면 원위 지점(39)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스커트 표면(68)이, 상기 내부 스커트 표면(68)을 따라서 보았을 때,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40)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된 내부 스커트 표면 원위 지점(69)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 원위 지점(39)은 상기 내부 스커트 표면 원위 지점(69)으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주변 스커트(34)가 상기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 원위 지점(39)과 상기 내부 스커트 표면 원위 지점(69)의 각각이, 상기 중심축(CA)을 따라서 보았을 때,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40)의 동일한 측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 원위 지점(39)으로부터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40)까지 상기 중심축(CA)을 따라서 측정하였을 때의 외부 표면 거리(L1)가 상기 내부 스커트 표면 원위 지점(69)으로부터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40)까지 상기 중심축(CA)을 따라서 측정하였을 때의 내부 표면 거리(L2)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스커트(34)가 상기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내부 스커트 표면 원위 지점(69)으로부터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40)까지 상기 중심축(CA)을 따라서 측정하였을 때의 최장 거리(Lmax)가 1mm 내지 8mm의 범위, 또는 2mm 내지 6mm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38)에 대한 법선과 평행한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내부 스커트 표면(68)과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38) 사이의 중간에 배치된 중립층(35)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의 적어도 일부분의 상기 중립층(35)은, 상기 중심축(CA)과 상기 중심축(CA)에 수직인 반경방향축(R)에 의해서 정해진 평면에서 보았을 때 그리고 상기 주변 스커트(34)가 상기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반경방향축(R)을 따라서 거리(Lnlp)만큼 분리된 제1 중립층 지점(41)과 제2 중립층 지점(45)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1 중립층 지점(41)과 상기 제2 중립층 지점(45)의 각각을 통과하여 뻗은 중립층 선(47)이 상기 중심축(CA)에 대해 선각(φ)을 형성하고, 상기 선각(φ)이 15°내지 65°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축(R)을 따라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중립층 지점(41)과 상기 제2 중립층 지점(45) 사이의 거리(Lnlp)가 상기 제1 중립층 지점(41)과 상기 제2 중립층 지점(45)을 포함하는 전체 중립층의 반경방향 연장부(Lnl)의 40%보다 크거나 같거나, 또는 상기 반경방향 연장부(Lnl)의 80%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32)은,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외이 공동(22) 내에서 사용 위치를 차지하도록 되어 있어서,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40)를 따라서 모든 부분에 대해, 공극(43)이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40)와 상기 외이 바닥(26) 사이에 형성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CA)에 원점을 가진 스커트 가장자리가 없는 각진 구역(44)은 각진 구역에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40)가 없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가 없는 각진 구역(44)은 적어도 45°, 또는 적어도 90°의 스커트 가장자리가 없는 각진 구역 각도(α)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가 없는 각진 구역 각도(α)가 320°보다 작거나 같거나, 또는 270°보다 작거나 같거나, 또는 180°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스커트(34)가 상기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중심축(CA)과 일치하는 법선(n)을 가진 평면(P) 위의 상기 주변 스커트(34)의 투영도가 외부 윤곽(48)을 가지고 있고 상기 중심축(CA)이 상기 외부 윤곽(48) 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중심축(CA)은, 상기 평면(P)에서 측정하였을 때, 상기 중심축(CA)으로부터 상기 외부 윤곽(48)까지의 최장 거리와 최단 거리 사이에서 최소 차이가 얻어지도록 위치되어 있고, 상기 이어폰(32)이 상기 평면(P)에서 상기 중심축(CA)으로부터 상기 외부 윤곽(48)까지 최대 거리(Rmax)를 가진 최대 윤곽 지점(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CA)에 원점을 가진 각진 평면 구역(52)이 상기 각진 평면 구역(52)에 상기 주변 스커트(34)가 없도록 및/또는 상기 중심축(CA)으로부터 상기 각진 평면 구역(52)에서의 상기 외부 윤곽(48)의 각 지점까지의 거리가 상기 최대 거리(Rmax)의 85%보다 작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각진 평면 구역(52)이 적어도 40°, 또는 적어도 90°의 각진 평면 구역 각도(β)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CA)으로부터 상기 최대 윤곽 지점(50)까지 뻗은 최대 윤곽 지점 선(54)이 상기 각진 평면 구역(52)을 한정하는 선(56)과 최소각(γ)을 형성하고, 상기 최소각(γ)이 0°내지 15°의 범위, 또는 0°내지 5°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32)이 상기 평면(P)에서 상기 중심축(CA)으로부터 상기 외부 윤곽(48)까지 근위 거리(Rprox)를 가진 근위 윤곽 지점(58)을 포함하고, 상기 최대 거리(Rmax)와 상기 근위 거리(Rprox) 사이의 비가 1.1보다 크거나 같거나, 또는 1.5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윤곽(48)이, 상기 중심축(CA)으로부터 상기 외부 윤곽(48)까지의 거리가 상기 근위 윤곽 지점(58)으로부터 상기 최대 윤곽 지점(50)까지 점차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증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윤곽(48)이 중간 윤곽 지점(6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심축(CA)으로부터 상기 중간 윤곽 지점(60)까지의 거리(Rinterim)가 상기 근위 거리(Rprox)보다는 길지만 상기 최대 거리(Rmax)보다는 짧고, 상기 중심축(CA)에 원점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최대 윤곽 지점(50), 상기 근위 윤곽 지점(58) 및 상기 중간 윤곽 지점(60)을 포함하는 가장 큰 각진 세그먼트가 적어도 40°, 또는 적어도 120°, 또는 적어도 180°의 각도(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CA)과 일치하는 법선(n)을 가진 상기 평면(P) 위의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40)의 투영도가 상기 외부 윤곽(48)의 적어도 일부분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윤곽(48)을 둘러싸는 가장 작은 원(62)이 15mm 내지 31mm의 범위, 또는 19mm 내지 27mm의 범위 내의 직경(D)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1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상기 사용 위치를 차지할 때,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상기 중심축(CA)을 따라서 보았을 때, 상기 외이 바닥(26)으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되도록 된 원위 부분(64)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상기 원위 부분(64)으로부터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40)까지 적어도 부분적으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40)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원위 부분(64)에 대해 상기 중심축(CA)을 향하는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되어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상기 사용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CA)의 양 측에 배치된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40)의 두 부분의 각각이 상기 원위 부분(64)에 대해 상기 중심축(CA)을 향하는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되어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상기 사용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2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스커트(34)의 일부분이, 상기 평면에서 상기 중심축(CA)으로부터 상기 주변 스커트(34)의 일부분의 상기 외부 윤곽(48)까지의 거리가 적어도 5%만큼 탄성적으로 감소될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2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상기 내부 스커트 표면(68)으로부터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38)까지 뻗어 있는 복수의 개구(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2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의 재료 두께(t)가,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38)에 대한 법선과 평행한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내부 스커트 표면(68)과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38) 사이의 거리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상기 사용 위치를 차지할 때,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상기 중심축(CA)을 따라서 보았을 때, 상기 외이 바닥(26)으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되도록 된 원위 부분(64)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상기 원위 부분(64)으로부터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40)까지 적어도 부분적으로 뻗어 있고, 상기 원위 부분(64)으로부터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40)까지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을 따라갈 때,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의 최소 재료 두께(tmin)가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의 최대 재료 두께(tmax)의 75%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재료 두께(tmin)를 가진 부분이 - 상기 중심축(CA)에 수직인 반경방향축(R)을 따라서 보았을 때 - 상기 원위 부분(64)으로부터 최소 재료 두께 거리(rmin)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최소 재료 두께 거리(rmin)가, 상기 반경방향축(R)을 따라서 보았을 때, 상기 원위 부분(64)으로부터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40)까지의 거리(rdist)의 0% 내지 80%의 범위, 또는 0% 내지 40%의 범위, 또는 0% 내지 25%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상기 사용 위치를 차지할 때,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상기 중심축(CA)을 따라서 보았을 때, 상기 외이 바닥(26)으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되도록 된 원위 부분(64)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상기 원위 부분(64)으로부터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40)까지 적어도 부분적으로 뻗어 있고,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기다란 부분(70)을 포함하고, 상기 기다란 부분(70)은,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38)을 따라서 상기 원위 부분(64)으로부터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40)까지의 상기 기다란 부분(70)의 거리인 기다란 부분 길이(Lelong)가 상기 원위 부분(64)으로부터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40)까지 상기 기다란 부분(70)을 따라갈 때의 상기 기다란 부분(70)의 평균 재료 두께보다 크게 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기다란 부분 길이(Lelong)가 상기 기다란 부분(70)의 평균 재료 두께의 적어도 1.05배이거나, 또는 상기 기다란 부분 길이(Lelong)가 상기 기다란 부분(70)의 평균 재료 두께의 적어도 1.5배이거나, 또는 상기 기다란 부분 길이(Lelong)가 상기 기다란 부분(70)의 평균 재료 두께의 적어도 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2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가 25 내지 90 범위 내의 쇼어 A 경도를 가진 탄성 폴리머로 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폴리머가 실리콘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2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복수의 둘레방향으로 분리된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 돌출부(74)를 포함하고, 각각의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 돌출부(74)는 상기 중심축(CA)으로부터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40)의 일부를 형성하는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 돌출부 가장자리(76)까지 거리가 증가하면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3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상기 사용 위치를 차지할 때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38)의 적어도 일부분이 맞닿도록 되어 있는 상기 외이 천장(30)이 상기 귀(10)의 다음 부분: 대이륜(20), 이주(16) 및 대이주(18) 중의 적어도 하나의 천장 부분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외이 천장이 상기 대이륜(20)의 천장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32)이,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외이 공동(22) 내에서 사용 위치를 차지하도록 되어 있어서,
    -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38)의 제1 부분이 상기 대이륜(20)의 천장 부분과 맞닿고, 그리고
    -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38)의 제2 부분이 상기 대이주(18)의 천장 부분과 맞닿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3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32)이,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외이 공동(22) 내에서 상기 사용 위치를 차지하도록 되어 있어서, 상기 이어폰(32)의 상기 중심축(CA)을 따라서 보았을 때,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40)와 상기 외이 바닥(26) 사이의 최소 거리가 적어도 0.5mm, 또는 적어도 1.0mm, 또는 적어도 1.5mm가 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3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40)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외이 측벽(28)의 적어도 일부분과 맞닿고, 이로 인해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40)가 상기 외이 바닥(26)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외이 공동(22) 내에서 상기 사용위치를 차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외이 바닥(26)이 상기 귀로부터 바깥으로 외이 바닥 법선 방향으로 뻗은 외이 주바닥 평면 법선(nmf)을 가진 외이 주바닥 평면(Pmf)을 가지고 있고, 상기 외이 측벽(28)이 상기 외이 바닥 법선 방향에 대해 30°이하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외이 측벽(28)이, 상기 중심축(CA)의 양 측에 배치된 2개의 외이 측벽 부분의 법선(ncsw)이 서로를 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3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32)이 하우징(78)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변 스커트(34)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우징(78)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40)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하우징(78)에 대해 상기 중심축(CA)을 향하는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되어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상기 사용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CA)의 양 측에 배치된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40)의 두 부분의 각각이 상기 하우징(78)에 대해 상기 중심축(CA)을 향하는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되어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상기 사용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3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32)이,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상기 외이 바닥(26)에 대해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40)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외이 바닥(26)과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이동 방지 부재(80; 8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32)이 하우징(78)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변 스커트(34)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우징(78)을 둘러싸고, 상기 하우징(78)이 상기 이동 방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외이 바닥 맞닿음 부분(80)을 포함하고, 상기 이어폰(32)이, 상기 하우징(78)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외이 공동(22) 내에서 사용 위치를 차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외이 공동(22)에서 상기 외이 바닥 맞닿음 부분(80)이 상기 외이 바닥(26)과 맞닿고, 이로 인해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40)가 상기 외이 바닥(26)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방지 부재가 바깥쪽 맞닿음 부분(86)을 포함하고, 상기 바깥쪽 맞닿음 부분(86)은 상기 이어폰(32)이 사용 위치를 차지할 때 상기 외이 천장(30)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귀(10)의 일부분과 맞닿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쪽 맞닿음 부분(86)은, 상기 이어폰(32)이 상기 사용 위치를 차지할 때 상기 귀(10)의 대이륜(20)의 외부 부분과 맞닿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4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38)이 주름진 형태로 되어 있거나, 또는 적어도 상기 위치결정 스커트 부분(36)이 주름진 형태로 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주변 스커트(34)가 주름진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4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스커트 표면(38)의 표면 거칠기가, 상기 중심축(CA)으로부터 상기 스커트 가장자리(40)로 향하는 방향에서 측정하였을 때, 0.1mm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4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32)이 소리 발산 수단(86), 또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4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32)이 안경의 측면부에 연결하기 위한 부착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32).
KR1020207032326A 2019-04-23 2019-12-30 이어폰 KR1023104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70641.5A EP3731536B8 (en) 2019-04-23 2019-04-23 Auricular structure using skirt attachment
EP19170641.5 2019-04-23
US16/392,597 US10820085B1 (en) 2019-04-23 2019-04-23 Skirt attachment
NO20190532 2019-04-23
GB1905656.3A GB2583341B (en) 2019-04-23 2019-04-23 Skirt attachment
US16/392,597 2019-04-23
NO20190532A NO346154B1 (en) 2019-04-23 2019-04-23 Skirt attachment
GB1905656.3 2019-04-23
PCT/EP2019/087158 WO2020216463A1 (en) 2019-04-23 2019-12-30 Earpie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326A KR20200134326A (ko) 2020-12-01
KR102310442B1 true KR102310442B1 (ko) 2021-10-08

Family

ID=69061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2326A KR102310442B1 (ko) 2019-04-23 2019-12-30 이어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753261B1 (ko)
KR (1) KR102310442B1 (ko)
CN (4) CN214338098U (ko)
WO (1) WO20202164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92030A1 (en) * 2019-04-23 2023-06-07 Sectio Aurea AS Earpiece
WO2023096641A1 (en) * 2021-11-24 2023-06-01 Bose Corporation Retaining piece for an earpiece
KR102489667B1 (ko) * 2021-08-24 2023-01-17 주식회사 버닛 운동 데이터 관리를 위한 착용성이 향상된 이어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47215A1 (en) 2007-06-01 2008-12-04 Freebit As Improved earpiece
US20140286515A1 (en) 2013-03-22 2014-09-25 Treefrog Developments, Inc. Earmolds
US20150215693A1 (en) 2012-07-27 2015-07-30 Freebit As Sub tragic ear unit
WO2017183027A1 (en) 2016-04-17 2017-10-26 Lifebeam Technologies Ltd. Earbud with physiological sensor and stabilizing 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68896A2 (en) * 2003-01-30 2004-08-12 Smith Richard C Ambidextrous earpiece
US7986803B1 (en) * 2007-05-10 2011-07-26 Plantronics, Inc. Ear bud speaker earphone with retainer tab
US10462549B2 (en) * 2016-12-09 2019-10-29 Kingston Technology Corp. Headphones with an ergonomic cushion and an ergonomic cushion thereof
US10149038B2 (en) * 2017-01-20 2018-12-04 Decibullz Llc Earpiece intra-auricular support system
US10728645B2 (en) * 2017-12-22 2020-07-28 New Audio LLC Earpiece with stabilizing features and related technology
EP3731536B8 (en) * 2019-04-23 2023-08-09 Sectio Aurea AS Auricular structure using skirt attach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47215A1 (en) 2007-06-01 2008-12-04 Freebit As Improved earpiece
US20150215693A1 (en) 2012-07-27 2015-07-30 Freebit As Sub tragic ear unit
US20140286515A1 (en) 2013-03-22 2014-09-25 Treefrog Developments, Inc. Earmolds
WO2017183027A1 (en) 2016-04-17 2017-10-26 Lifebeam Technologies Ltd. Earbud with physiological sensor and stabilizing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326A (ko) 2020-12-01
CN212064318U (zh) 2020-12-01
WO2020216463A1 (en) 2020-10-29
EP3753261C0 (en) 2023-06-07
CN111836150A (zh) 2020-10-27
EP3753261A1 (en) 2020-12-23
CN212231703U (zh) 2020-12-25
CN214338098U (zh) 2021-10-01
EP3753261B1 (en) 202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2823B2 (en) In-ear headphones with an ergonomic cushion and an ergonomic cushion thereof
US11122353B2 (en) Earpiece
US9774963B1 (en) Ear-wing
US10462549B2 (en) Headphones with an ergonomic cushion and an ergonomic cushion thereof
KR102310442B1 (ko) 이어폰
US10820084B2 (en) Ear tip sealing structure
JP4839016B2 (ja) 補聴器用柔軟性耳当て
EP3082347B1 (en) In-ear headphones with retention members
JP5382821B2 (ja) イヤホン装置およびイヤホン装置本体
EP3522560B1 (en) Earphone
JP3375135B2 (ja) 耳甲介ヘッドホン安定装置
EP2071867B1 (en) Headset
US20170339481A1 (en) Earpiece system
US9462366B2 (en) Earpieces having flexible flaps
US11381897B2 (en) Variable eartip for earphone
US10999670B2 (en) Ear tip sealing structure
US11924602B2 (en) Sound output device and attachment aid member
US20190238965A1 (en) Sound generating device
US11696061B2 (en) Earpiece
KR102315063B1 (ko) 세미 커널 타입 무선 이어셋
US20230078406A1 (en) Retaining piece for an earpiece
US20230379612A1 (en) Universal Earpiece
WO2020252761A1 (zh) 耳机及耳机套
JP2770756B2 (ja) 電気音響変換器
EP3213528A1 (en) Earpie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