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3821B1 - 귓속형 보청기용 고정구 - Google Patents

귓속형 보청기용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3821B1
KR100963821B1 KR1020080014156A KR20080014156A KR100963821B1 KR 100963821 B1 KR100963821 B1 KR 100963821B1 KR 1020080014156 A KR1020080014156 A KR 1020080014156A KR 20080014156 A KR20080014156 A KR 20080014156A KR 100963821 B1 KR100963821 B1 KR 100963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shell
hearing aid
tip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4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8712A (ko
Inventor
박민우
Original Assignee
박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우 filed Critical 박민우
Priority to KR1020080014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3821B1/ko
Publication of KR20090088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8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3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3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5Housing parts, e.g. shells, tips or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H04R25/652Ear tips; Ear mou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5Housing parts, e.g. shells, tips or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H04R25/658Manufacture of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77Design aspects, e.g. CAD, of hearing aid tips, moulds or 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귀속형 보청기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귓속으로 착용이 용이하도록 형태로 형성된 쉘과, 상기 쉘을 내측으로 밀착되게 감싸고, 외측으로 다수개의 날개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귓속에 밀착되도록 고무재질,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체로 이루어진 이어팁으로 이루어진 귓속형 보청기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귀속형 보청기용 고정구는, 귓속으로 보청기가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전방의 직경은 작고, 후방이 직경이 큰 콘형태로 형성되고, 곡선형태로 휘어진 곡선부를 가지는 쉘과, 상기 쉘의 외측에 밀착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쉘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외측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4~8개의 날개가 형성된 탄성재질의 이어팁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이어팁의 날개의 두께(t)는 0.2~0.4㎜로 형성되고, 높이(h)는 1.3~1.7㎜로 형성되며, 이어팁의 후방에는 쉘을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날개가 형성되되, 상기 고정날개의 두께(t')는 0.2~0.4㎜로 형성되고, 높이(h')는 1.2~1.4㎜로 형성된다.
귓속형, 보청기, 이어팁, 탄성, 날개

Description

귓속형 보청기용 고정구{Fixation for hearing aid}
본 발명은 귀속형 보청기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귓속으로 착용이 용이하도록 형태로 형성된 쉘과, 상기 쉘을 내측으로 밀착되게 감싸고, 외측으로 다수개의 날개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귓속에 밀착되도록 고무재질,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체로 이루어진 이어팁으로 이루어진 귓속형 보청기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청기란 소리, 즉 ‘음파’를 증폭시키는 작은 기구를 말하며, 난청자나 노인들의 귀에 착용, 소실된 청력을 보완해주는 역할을 한다.
음파란, 일반적으로 소리 혹은 소리의 파동을 지칭하는 것으로, 진폭과 주파수에 의해 그 크기 및 높낮이가 결정되며, 보청기의 유래는 19세기 이전에 선원들이 멀리서 들리는 소리를 잘 듣기 위해 사용하던 것으로 전기, 전화기의 발명으로 본격적으로 개발되었다.
보청기의 기본 구조는 송화기(Microphone), 증폭기(Amplifier), 음량조절기 (Volume control), 수화기(Receiver) 및 전원(Battery)으로 구성된다.
상기 송화기는 음향적 신호(소리)를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주는 것이며, 상기 증폭기는 전기적으로 신호를 주파수에 따라 차별적으로 증폭시키는 것이며, 상기 음량조절기는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며, 상기 수화기는 송화기와 반대로 전기적 신호를 다시 소리로 바꾸어 주는 것이다.
이런 기본적인 장치 외에 각 난청자에 적합한 음질을 제공하기 위해 여러 가지 음질 조율 장치들이 선택적으로 추가된다.
오늘날 전자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이러한 장치들이 컴퓨터화되어 가며, 보청기의 크기도 귓속에 넣으면 거의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아져 가고 있다.
보청기의 종류에는 착용위치에 따라 포켓형, 귀걸이형, 안경형, 귀속형이 있으며, 상기 귓속형은 외이도형, 고막형, 외이형으로 구분된다.
상기 귓속형 보청기는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귓속으로 완전히 삽입되어 외측에서 잘 표시가 나지 않아 미용상 좋은 특징이 있다.
그러나 귓속형 보청기의 경우 귓속과 보청기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게 되면, 공기의 이동으로 인하여 잡음이 발생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유발시키며, 심한 경우에는 잡음에 의하여 소리를 들을 수 없는 현상도 발생한다.
또한, 귓속형의 보청기의 경우 액티브한 운동시 보청기가 귓속에서 이탈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국내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1992-7602호의 귀속형 보청기 쉘에는 보청기가 내측에서 완벽하게 파지될 수 있도록 쉘 몸체 귀속삽입부에 파지돌출부를 형성하 고, 귀속삽입부가 쉘몸체 내측으로 절곡되어 절곡부를 형성한 보청기 쉘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국내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1992-7602호에 제시되어 있는 보청기 쉘은 귀속과 쉘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는 단점과, 활동시 쉽게 귀속에서 이탈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고자 국내출원번호 제10-2001-10671호의 탄성물질을 이용하여 귀속에 밀착되도록 제작된 보청기 쉘에는 귓속에서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재질의 보청기 쉘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국내출원번호 제10-2001-10671호에 제시되어 있는 보청기 쉘은 사용자의 귓속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귓속에 삽입되어 밀착된 보청기 쉘은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가압 되었을 경우 지속적으로 귓속에 힘을 가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줄 수 있는 단점이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귓속에 밀착되는 힘을 줄이기 위하여 삽입을 적게 할 경우 액티브한 귓속으로 이탈하거나 틈새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고자, 귓속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보청기 쉘을 내측으로 삽입하고, 외측에 귓속과 접촉하여 틈새를 방지하고, 활동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귓속에 강한 힘을 가하지 않도록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얇은 날개가 형성된 이어팁으로 이루어진 귓속형 보청기용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귓속형 보청기용 고정구는 귓속으로 보청기가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전방의 직경은 작고, 후방이 직경이 큰 콘형태로 형성되고, 곡선형태로 휘어진 곡선부를 가지는 쉘과, 상기 쉘의 외측에 밀착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쉘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외측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4~8개의 날개가 형성된 탄성재질의 이어팁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어팁의 날개의 두께(t)는 0.2~0.4㎜로 형성되고, 높이(h)는 1.3~1.7㎜로 형성되며, 이어팁의 후방에는 쉘을 고정할 수 있도록 턱이 형성되도록 고정날개가 형성되되, 상기 고정날개의 두께(t')는 0.2~0.4㎜로 형성되고, 높이(h')는 1.2~1.4㎜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귓속형 보청기용 고정구는, 탄성재질로 형성된 이어팁의 외측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날개에 의하여 활동시 귓속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다수개의 날개에 의하여 귓속과의 틈새를 제거하여 공기의 흐름으로 발생하는 잡음을 제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날개의 두께가 비교적 얇은 0.2~0.4㎜로 형성됨으로써 탄성력에 의하여 귓속에 가하는 힘이 작아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청기용 고정구인 이어팁과 쉘가 분리가 가능하여 이어팁만을 교체할 수 있는 특징으로 유지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이어팁의 크기만을 변화시켜 다양한 크기의 귓속에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귓속형 보청기가 귓속에 설치된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귓속형 보청기용 고정구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이어팁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이어팁의 정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귓속형 보청기용 고정구의 단면도이다.
첨부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와 같이 귓속형 보청기용 고정구는 크게 쉘(1)과, 이어팁(2)으로 구분된 다.
상기 쉘(1)은 보청기의 형상을 결정짓는 것으로 도 3과 같이 귓속으로 보청기가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전방(1a)의 직경은 작고, 후방(1b)이 직경이 큰 콘형태로 형성되고, 곡선형태로 휘어진 곡선부(1c)를 가진다.
상기 쉘(1)의 재질은 보청기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가 사용되되, 보통 형상이 변화하지 않도록 딱딱한 재질의 합성수지가 사용되나, 형상이 유지되고, 약간의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4와 도 6과 같이 상기 이어팁(2)은 쉘(1)의 전체를 감싸되, 쉘(1)의 외측에 밀착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내측이 쉘(1)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외측은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6개의 날개(21)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이어팁(2)은 부드러운 탄성재질의 고무재질, 실리콘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 이어팁(2)의 날개(21)의 두께(t)는 사용자로 하여금 강한 탄성력에 의하여 불쾌감을 주지않도록 0.2~0.4㎜로 형성되어, 높이(h)는 1.3~1.7㎜로 형성되어 이어팁(2)의 교체로 다양한 크기의 귓구멍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어팁(2)의 전방(2a)에는 쉘(1)의 전방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과 대응되게 구멍이 형성되고, 이어팁(2)의 후방(2b)에는 쉘(1)을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날개(22)가 형성되어 턱(23)이 형성되되, 상기 고정날개(22)의 두께(t')는 0.2~0.4㎜로 형성되고, 높이(h')는 1.2~1.4㎜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귓속형 보청기용 고정구는 도 1과 같이 설치됨으로써 이어팁(2)에 형성된 다수개의 날개(21)에 의하여 귓속의 내면과 보청기(A)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다수개의 날개(21)가 귓속의 내면과 접촉됨으로써 활동시 귓속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귓속의 내면과 접촉하는 날개(21)가 다수개로 분리되어 그 두께가 가늘게 형성됨으로써 날개(21)의 탄성력에 의하여 귓속에 가해지는 힘을 작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감소시킨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귓속형 보청기가 귓속에 설치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귓속형 보청기용 고정구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이어팁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이어팁의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귓속형 보청기용 고정구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보청기
1 : 쉘 2 : 이어팁
21 : 날개 22 : 고정날개
t, t' : 두께 h, h' : 높이

Claims (2)

  1. 귓속형 보청기에 있어서,
    귓속으로 보청기가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전방(1a)의 직경은 작고, 후방(1b)이 직경이 큰 콘형태로 형성되고, 곡선형태로 휘어진 곡선부(1c)를 가지는 쉘(1)과;
    상기 쉘(1)의 전체를 감싸되, 외측에 밀착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쉘(1)과 동일한 형태의 내측면이 형성되고, 외측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4~8개의 날개(21)가 형성된 탄성재질의 이어팁(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어팁(2)의 날개(21)의 두께(t)는 0.2~0.4㎜로 형성되고, 높이(h)는 1.3~1.7㎜로 형성되며,
    이어팁(2)의 후방(2b)에는 쉘(1)을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날개(22)가 형성되어 턱(23)이 형성되되, 상기 고정날개(22)의 두께(t')는 0.2~0.4㎜로 형성되고, 높이(h')는 1.2~1.4㎜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귓속형 보청기용 고정구.
  2. 삭제
KR1020080014156A 2008-02-15 2008-02-15 귓속형 보청기용 고정구 KR100963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156A KR100963821B1 (ko) 2008-02-15 2008-02-15 귓속형 보청기용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156A KR100963821B1 (ko) 2008-02-15 2008-02-15 귓속형 보청기용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712A KR20090088712A (ko) 2009-08-20
KR100963821B1 true KR100963821B1 (ko) 2010-06-16

Family

ID=41207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4156A KR100963821B1 (ko) 2008-02-15 2008-02-15 귓속형 보청기용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38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108A (ko) 2014-06-26 2016-01-06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방향 또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보청기 이어 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602Y1 (ko) * 1990-08-29 1992-10-16 서진성 귀속형 보청기의 쉘(shell)
JPH10164695A (ja) * 1996-11-29 1998-06-19 Sayama Precision Ind Co 耳せん付き補聴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602Y1 (ko) * 1990-08-29 1992-10-16 서진성 귀속형 보청기의 쉘(shell)
JPH10164695A (ja) * 1996-11-29 1998-06-19 Sayama Precision Ind Co 耳せん付き補聴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108A (ko) 2014-06-26 2016-01-06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방향 또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보청기 이어 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8712A (ko) 2009-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2068B2 (en) Otoplasty for behind-the-ear (BTE) hearing aids
US9307313B2 (en) Flexible earphone cover
US7340075B2 (en) Otoplasty for behind-the-ear (BTE) hearing aids
KR100922337B1 (ko) 고무 귓 청을 구비한 이어폰
WO2018058878A1 (zh) 耳机套及具有该耳机套的耳机
WO2018058879A1 (zh) 一种耳机
US20120237068A1 (en) Soft Concha Ring Behind-The-Ear Hearing Aid
US8224005B2 (en) Hearing aid extension
CN110679160B (zh) 一种耳承以及应用该耳承的耳塞和助听器
US20070058831A1 (en) Ear ring type two way wireless mini-ear piece
TW200305346A (en) Ear pad, and earphone with the pad
US20090052709A1 (en) Hearing aid sleeve
US8230965B1 (en) Hearing assistance device
US8391526B2 (en) Ear device for improved fit and sound
KR102482897B1 (ko) 청음 장치
US20110075871A1 (en) Soft Concha Ring In-The-Ear Hearing Aid
US8989418B2 (en) Ear device for improved fit and sound
KR101535916B1 (ko) 음향필터가 설치된 이어피스 및 이어폰
EP3731536B1 (en) Auricular structure using skirt attachment
JP5894322B1 (ja) 簡易型補聴器具
TW201127094A (en) Earphone
KR100963821B1 (ko) 귓속형 보청기용 고정구
JP2003284177A (ja) イヤーパッド及び該パッドを具えたイヤホーン
KR101756648B1 (ko) 착용감이 부드러우며, 운동시에 이탈이 되지 않는 이어폰 및 보청기
JP3187151U (ja) 対話聴力補助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