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1524B1 -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구의 설치 구조물 - Google Patents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구의 설치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1524B1
KR102381524B1 KR1020200010540A KR20200010540A KR102381524B1 KR 102381524 B1 KR102381524 B1 KR 102381524B1 KR 1020200010540 A KR1020200010540 A KR 1020200010540A KR 20200010540 A KR20200010540 A KR 20200010540A KR 102381524 B1 KR102381524 B1 KR 102381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uxiliary sheet
door frame
finger protector
door lea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0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6900A (ko
Inventor
윤태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의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의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의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1020200010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524B1/ko
Publication of KR20210096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06B7/367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by covering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t the hinge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구의 설치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손가락 보호구 설치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구의 설치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손가락 보호구 설치방법은, 여닫이형 출입문의 문틀과 문짝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출입문의 개방시 발생하는 상기 문틀과 문짝 사이의 틈을 커버하기 위한 손가락 보호구를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문틀 및 문짝과 상기 손가락 보호구 사이에는, 상기 손가락 보호구의 길이와 같거나 더 긴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손가락 보호구의 폭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며, 이면에는 상기 문틀과 문짝의 도장면 또는 상기 문틀과 문짝에 부착된 시트지의 표면에 부착되기 위한 부착부가 형성된 보조 시트지가 마련되어, 상기 보조 시트지가 상기 문틀과 문짝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시트지의 표면에 상기 손가락 보호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구의 설치 구조물{INSTALLATION STRUCTURE OF FINGER PROTECTOR FOR DOORS}
본 발명은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구의 설치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가락 보호구를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 등으로 문틀과 문짝에 부착한 후 제거할 때 문틀이나 문짝의 표면에 부착된 시트지가 파손되거나 도장이 벗겨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구의 설치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닫이문은 문틀과 문짝으로 이루어져 있고, 2개 이상의 경첩에 의해 문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경첩은 개폐각도에 따라 90도부터 110도, 135도, 165도 및 180도까지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으며, 문을 열 때, 경첩이 설치되는 문틀과 문짝 사이에는 공간(이하, '손 끼임 영역'이라고 함.)이 형성된다.
2000년에 한국소비자보호원에서 165° 경첩의 손 끼임 영역의 간격을 조사한 결과, 문을 열 때 이 간격이 최소 0.5cm에서 최대 3.5cm까지 이르고 있어 어린이 손가락은 물론 어른 손가락이 끼일 정도로 넓었다.
여기서 문제는 문이 닫힐 때 최대 40ton/inch2의 크기만큼 압력이 작용한다는 것이다. 이 손 끼임 영역 사이에 손가락이나 다른 신체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문이 닫히게 되면 큰 상해를 입거나 심지어 영구적인 손상도 입는 사례가 많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특허공보 제6,141,909호(등록일: 2000.11.07)는 문설주에 설치되는 안전가드(Safety guards for door jambs)가 개시되어 있다. 핀치-보이드(pinch-void) 영역을 덮고 도어가 닫힐 때 손가락이나 다른 물체가 끼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해, 도어 및 문설주에 부착하도록 고안된 보호쉴드이다. 보호쉴드는 독특한 형상을 가지고 좁은 영역에 부착할 수 있어서 푸시 바 또는 패닉 장치가 있는 도어에도 보호쉴드를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보호쉴드는 간단하게 설계되고, 따라서 오래 지속되며 심미감이 있다. 또한, 보호쉴드 자체, 도어 또는 도어 하드웨어에 대한 어떠한 손상도 없이, 예컨대 110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도 까지 비교적 큰 스윙을 허용할 수 있게된다.
전술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문틀과 문짝 사이의 손 끼임 영역을 막음으로써 설치가 간단함은 물론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문틈에 손가락이 끼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은 문틀과 문짝 사이의 손 끼임 영역 쪽으로 보호장치가 변형되어 문의 닫힘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보호 장치가 손 끼임 영역으로 변형됨으로써 손 끼임 영역을 커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24370호(공고일 : 2008.04.25)에는 문짝용 다단식 손끼임 방지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기술에 따른 손끼임 방지기구는 외곽부재(100), 제1중간부재(200), 제2중간부재(300), 및 내부부재(4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손끼임 방지기구는 도 1(a)에서와 같이 외곽부재의 제1부착부(110)를 양면 테잎 등에 의하여 문짝(2)에 부착하고, 내부부재의 제2 부착부(410)를 양면 테잎 등에 의하여 문틀(3)에 부착한 상태에서 문짝(2)을 여닫으면 문짝(2)은 경첩(1)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게된다. 이때, 문짝(2)에 고정된 외곽부재(100)와 문틀(3)에 고정된 내부부재(400)의 상대적 움직임이 생기고, 상기 외곽부재,중간부재,내부부재의 원호모양은 경첩(1)을 중심으로 갖는 동심원 상에 위치하므로, 외곽부재 내에 위치한 제1, 2중간부재와 내부부재는 자연스럽게 미끌어져 나오면서 문짝(2)과 문틀(3)의 틈새를 막게 된다.
따라서, 문틀과 문짝 사이의 틈새를 막음으로써 문틈에 손가락이 끼는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다양한 손끼임 방지기구는,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문틀과 문짝에 부착하여 설치하였기 때문에 손끼임 방지기구를 제거할 경우에, 문짝이나 문틀에 시공된 시트지 또는 도장이 파손되거나 벗겨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손끼임 방지기구를 나사 등으로 문짝이나 문틀에 부착할 경우에 문틀이나 문짝에 나사공을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접착제나 접착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손끼임 방지기구를 문짝이나 문틀에 부착하고 있었으나, 접착테이프 등으로 부착한 손끼임 방지기구를 제거할 경우에 접착테이프의 접착력에 의해 문짝과 문틀의 표면에 부착된 시트지 또는 도장이 벗겨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 경우에 시트지를 재 시공하거나 재 도장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 특허문헌 1 : 미국특허공보 제6,141,909호(등록일: 2000.11.07) . 특허문헌 2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24370호(공고일 : 2008.04.25)
본 발명의 목적은, 손가락 보호구를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 등으로 문틀과 문짝에 부착한 후 제거할 때 문틀이나 문짝의 표면에 부착된 시트지가 파손되거나 도장이 벗겨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여닫이형 출입문의 문틀과 문짝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출입문의 개방시 발생하는 상기 문틀과 문짝 사이의 틈을 커버하기 위한 손가락 보호구를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문틀 및 문짝과 상기 손가락 보호구 사이에는, 상기 손가락 보호구의 길이와 같거나 더 긴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손가락 보호구의 폭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며, 이면에는 상기 문틀과 문짝의 도장면 또는 상기 문틀과 문짝에 부착된 시트지의 표면에 부착되기 위한 부착부가 형성된 보조 시트지가 마련되어, 상기 보조 시트지가 상기 문틀과 문짝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 시트지의 표면에 상기 손가락 보호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구의 설치 구조물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보조 시트지의 폭은, 상기 손가락 보호구보다 1.5 - 3배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착부는 점착제가 도포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점착제는, 감압 점착제, 재접착풀 또는 아크릴산이소옥틸(95중량%)와 메타크릴이미드(5중량%)을 포함하는 아크릴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점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조 시트지의 길이방향 양쪽 끝단 코너 영역 또는 어느 한쪽 끝단의 코너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부착부에는, 상기 점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제거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거단은, 상기 보조 시트지를 상기 문틀이나 문짝으로부터 떼어내어 제거할 때 작업자의 손가락에 걸리도록 상기 문틀 및 문짝의 표면과 이격되도록 절곡되거나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설치 구조물을 이용하여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구를 상기 문틀과 문짝에 설치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 보조 시트지의 이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부착부를 형성하는 보조 시트지 형성단계; 상기 보조 시트지 형성단계에서 이면에 부착부가 형성된 상기 보조 시트지를 상기 문틀과 문짝에 각각 부착하는 보조 시트지 부착단계; 및 상기 보조 시트지 부착단계에 의해 상기 문틀과 문짝에 보조 시트지가 부착되면, 상기 보조 시트지의 표면에 상기 손가락 보호구를 부착하여 설치하는 손가락 보호구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구의 설치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보조 시트지 형성단계는, 상기 보조 시트지의 길이방향 양쪽 끝단 코너 영역 또는 어느 한쪽 끝단의 코너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제거단을 제외한 영역에만 점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제거단을 상기 문틀 및 문짝의 표면과는 이격되도록 절곡하거나 만곡지게 성형하는 제거단 형성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문틀과 문짝에 보조 시트지를 부착한 후 보조 시트지의 표면에 손가락 보호구를 부착함으로써 손가락 보호구를 제거할 때 접착 테이프의 접착력에 의해 문틀과 문짝의 도장부위 또는 시트지가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조 시트지가 제거 및 재 부착이 용이한 점착제에 의해 문틀과 문짝에 부착됨으로써 보조 시트지의 제거시 도장면이나 시트지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재 부착을 통하여 재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조 시트지의 제거단이 문틀이나 문짝의 표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보조 시트지를 제거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의 (a),(b)는 종래기술에 의한 손가락 보호구를 도시한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구의 설치 구조물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구의 설치 구조물에 의해 출입문에 설치된 손가락 보호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구의 설치 구조물에 의해 출입문에 설치된 손가락 보호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구의 설치 구조물에 제거단이 형성된 상태를 표현한 일부확대도이다.
도 6의 (a),(b)는 도 5에 도시된 제거단에 돌기가 형성된 상태를 표현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하에서 '시트지'는 0.1 - 1mm 정도의 두께를 갖는 다양한 종이 형태의 종이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것을 의미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구의 설치 구조물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구의 설치 구조물에 의해 출입문에 설치된 손가락 보호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구의 설치 구조물에 의해 출입문에 설치된 손가락 보호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구의 설치 구조물에 제거단이 형성된 상태를 표현한 일부확대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구의 설치 구조물(30)은, 여닫이형 출입문(10)의 문틀(10A)과 문짝(10B)에 각각 설치되어 출입문(10)의 개방시 발생하는 문틀(10A)과 문짝(10B) 사이의 틈을 커버하기 위한 손가락 보호구(20)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설치 구조물(30)은, 손가락 보호구(20)의 길이와 같거나 더 긴 길이로 형성되고, 손가락 보호구(20)의 폭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며, 이면에는 문틀(10A)과 문짝(10B)의 도장면 또는 문틀(10A)과 문짝(10B)에 부착된 시트지의 표면(12)에 부착되기 위한 부착부(34)가 형성된 보조 시트지(32)로 이루어진다.
보조 시트지(32)는, 손가락 보호구(20)의 폭보다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되, 손가락 보호구(20)보다 1.5 - 3배 더 넓게 형성된다. 이는 보조 시트지(32)가 문틀(10A)과 문짝(10B)의 표면(12)에 부착되는 면적이, 손가락 보호구(20)가 보조 시트지(32)에 부착되는 면적보다 더 크게 하여 손가락 보호구(20)를 보조 시트지(32)에 부착한 후 떼어 내더라도 보조 시트지(32)가 표면(12)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보조 시트지(32)에 형성된 부착부(32) 전체의 접착력이 손가락 보호구(20)의 각 부착날개(22)의 이면에 형성된 접착부(24) 전체의 접착력보다 더 크도록 하여 손가락 보호구(20)을 보조 시트지(32)의 표면에서 떼어낼 때 보조 시트지(32)가 문틀(10A) 또는 문짝(10B)의 표면(12)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보조 시트지(32)의 길이는 손가락 보호구(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여 보조 시트지(32)의 접착 면적이 손가락 보호구(20)의 접착 면적보다 더 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보조 시트지(32)의 부착부(34)는 접착제보다 접착력이 낮은 점착제가 도포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부착부(34)를 형성하는 점착제는, 접착되는 구성요소를 접착면에 가압하여 접착할 때 접착력을 발생시키는 감압 점착제, 붙이고 떼어낸 후 다시 붙일 수 있는 재접착풀 또는 아크릴산이소옥틸(95중량%)와 메타크릴이미드(5중량%)을 포함하는 아크릴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점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시트지(32)의 길이방향 양쪽 끝단 코너영역(31) 또는 어느 한쪽 끝단의 코너영역(31)에 해당하는 부착부(34)에는, 점착제가 도포되지 않은 제거단(36)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거단(36)은, 문틀(10A)이나 문짝(10B)의 표면(12)에 부착된 보조 시트지(32)를 용이하게 떼어 내어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제거단(36)의 이면에는 점착제가 도포되지 않으므로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문틀(10A) 및 문짝(10B)의 표면(12)으로부터 이격시켜 잡을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제거단(36)은, 보조 시트지(32)를 문틀(10A)이나 문짝(10B)으로부터 떼어내어 제거할 때 작업자의 손가락에 걸리도록 문틀(10A) 및 문짝(10B)의 표면(12)과는 이격되도록 절곡되거나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 취부단(36)이 문틀(10A) 및 문짝(10B)의 표면(12)과 이격되도록 표면(12)과는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표면(12)과 이격됨으로써, 보조 시트지(32)를 떼어낼 때 작업자가 용이하게 제거단(36)을 잡고 떼어낼 수 있게 된다.
이때, 제거단(36)에는, 도 6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으로 취부할 때 미끄럼을 방지하고 손걸림을 향상시키기 위한 돌기(36A)들이 표면과 이면 또는 끝단부에서 돌출 형성거나, 표면을 거칠게 가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거단(36)에 돌기(36A)가 돌출 형성되거나 표면이 거칠게 가공됨으로써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제거단(36)을 잡더라도 미끄럼없이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손가락 보호구(20)용 설치 구조물(30)을 이용하여 손가락 보호구(20)를 문틀(10A)과 문짝(10B)에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a) 보조 시트지 형성단계
0.1 - 1mm의 두께를 갖는 종이재, 합성수지재 또는 비닐재 등으로 이루어진 보조 시트지(32)를, 손가락 보호구(20)의 길이보다 더 길고, 그 폭보다 더 넓은 폭으로 절단한다. 이어서 보조 시트지(32)의 이면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부착부(34)를 형성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점착제는 접착제에 비하여 접착력이 낮으나,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보조 시트지(32)의 부착부(34) 면적이 손가락 보호구(20)의 접착부(24) 면적보다 크도록 보조 시트지(32)의 폭과 길이를 손가락 보호구(20)의 폭과 길이보다 더 크게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점착제로 이루어진 부착부(34)의 접착력은 낮아 표면(12)의 도장이나 시트지의 손상없이 쉽게 떼어질 수 있으나, 접착면적이 접착부(24)의 접착면적보다 더 넓게 되므로 손가락 보호구(20)의 접착부(24)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보조 시트지(32)의 코너 영역에 형성된 제거단(36)의 이면을 제외한 영역에만 점착제를 도포하여 부착부(34)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거단(36)을 부착부(34)의 반대방향으로 절곡한다. 또한 제거단(36)에 돌기(36A)들을 돌출 형성한다.
이는 보조 시트지(32)가 문틀(10A)이나 문짝(10B)의 표면(12)에 부착된 상태에서 떼어 낼 때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제거단(36)을 용이하게 잡기 위한 것이다.
한편, 부착부(34)에는 이형지를 결합시켜 보관 및 유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b) 보조 시트지 부착단계
전술한 부착부 형성단계에서 이면에 부착부(34)가 형성된 각 보조 시트지(32)를 문틀(10A)과 문짝(10B)에 각각 부착한다. 즉, 손가락 보호구(20)가 부착될 문틀(10A)과 문짝(10B)의 표면(12)에 보조 시트지(32)를 각각 부착하는 것이다.
c) 손가락 보호구 설치단계
전술한 보조 시트지 부착단계에 의해 문틀(10A)과 문짝(10B)에 보조 시트지(32)가 각각 부착되면, 손가락 보호구(20)의 접착부(24)에서 이형지를 제거한 후 각 보조 시트지(32)의 표면에 부착하여 설치한다.
이 과정으로 손가락 보호구(20)의 설치는 완료된다.
이와 같이, 접착제가 도포된 손가락 보호구(20)의 접착부(24)가 문틀(10A)과 문짝(10B)의 표면(12)에 부착된 보조 시트지(32)의 표면에 부착됨으로써 접착부(24)에 의해 보조 시트지(32)에 부착된 손가락 보호구(20)를 떼어 내어 제거할 때 접착부(24)가 보조 시트지(32)로부터 떨어져 분리되므로 접착부(24)에 의해 문틀(10A)과 문짝(10B)의 표면(12)을 형성하는 도장면이나 시트지가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조 시트지(32)의 이면에 점착제로 이루어진 부착부(3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조 시트지(32)가 문틀(10A)과 문짝(10B)의 표면(12)으로부터 쉽게 떨어지게 되어 그 표면(12)의 손상없이 제거가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제거시 제거단(36)을 취부하여 제거할 수 있음으로써 보조 시트지(32)의 제거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출입문 10A : 문틀
10B : 문짝 12 : 표면
20 : 손가락 보호구 24 : 접착부
30 : 설치 구조물 31 : 코너영역
32 : 보조 시트지 34 : 부착부
36 : 제거단 36A : 돌기

Claims (7)

  1. 여닫이형 출입문의 문틀과 문짝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출입문의 개방시 발생하는 상기 문틀과 문짝 사이의 틈을 커버하기 위한 손가락 보호구를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문틀 및 문짝과 상기 손가락 보호구 사이에는 보조 시트지가 마련되고, 상기 손가락 보호구의 부착날개 이면에 형성된 접착부가 상기 보조 시트지의 표면에 부착되며,
    상기 보조 시트지는,
    상기 접착부가 상기 보조 시트지에 부착되는 접착면적보다 상기 보조 시트지가 상기 문틀과 문짝의 표면에 부착되는 접착면적이 더 넓게 하여 상기 보조 시트지에 부착된 상기 손가락 보호구를 떼어 내더라도 상기 보조 시트지가 상기 문틀 및 문짝의 표면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손가락 보호구의 길이와 같거나 더 긴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손가락 보호구의 폭보다 1.5 - 3배 더 넓은 폭으로 형성되며 이면에만 점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문틀과 문짝의 도장면 또는 상기 문틀과 문짝에 부착된 시트지의 표면에 부착되는 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 시트지의 길이방향 양쪽 끝단 코너 영역 또는 어느 한쪽 끝단의 코너영역에, 상기 보조 시트지를 상기 문틀이나 문짝으로부터 떼어내어 제거할 때 작업자의 손가락에 걸리도록 상기 점착제가 도포되지 않고 상기 문틀 및 문짝의 표면과는 이격되게 절곡되거나 만곡지게 형성되는 제거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구의 설치 구조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는,
    감압 점착제, 재접착풀 또는 아크릴산이소옥틸(95중량%)와 메타크릴이미드(5중량%)을 포함하는 아크릴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구의 설치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단에는,
    손가락으로 취부할 때 미끄럼을 방지하고 손걸림을 향상시키기 위한 돌기가 표면과 이면 또는 끝단부에서 돌출 형성되거나, 표면이 거칠게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구의 설치 구조물.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010540A 2020-01-29 2020-01-29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구의 설치 구조물 KR102381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540A KR102381524B1 (ko) 2020-01-29 2020-01-29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구의 설치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540A KR102381524B1 (ko) 2020-01-29 2020-01-29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구의 설치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900A KR20210096900A (ko) 2021-08-06
KR102381524B1 true KR102381524B1 (ko) 2022-04-01

Family

ID=77315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540A KR102381524B1 (ko) 2020-01-29 2020-01-29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구의 설치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152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1673A (ja) * 2007-03-16 2008-10-02 Daiken Trade & Ind Co Ltd 指詰め防止装置および戸構造
JP2016211233A (ja) * 2015-05-01 2016-12-15 株式会社アール 断熱性を有する窓の遮蔽構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1909A (en) 1997-06-11 2000-11-07 Kreger-Hanson, Incorporated Safety guards for door jambs
KR100824370B1 (ko) 2006-10-10 2008-04-25 노승현 문짝용 다단식 손끼임 방지기구
WO2012005875A1 (en) * 2010-06-29 2012-01-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applying window film
TWM410101U (en) * 2011-02-22 2011-08-21 Cheng-Yi Yang Improved structure of protection cover for door gap
KR20150113757A (ko) * 2014-03-31 2015-10-08 정도영 여닫이문용 안전보호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1673A (ja) * 2007-03-16 2008-10-02 Daiken Trade & Ind Co Ltd 指詰め防止装置および戸構造
JP2016211233A (ja) * 2015-05-01 2016-12-15 株式会社アール 断熱性を有する窓の遮蔽構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73647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900A (ko) 2021-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8267A (en) Resisting entry of an object into a space between the hinged edge of a door member hingedly attached to a associated jamb member and a surface of the jamb member
US6141909A (en) Safety guards for door jambs
US5799443A (en) Door and door frame protector assembly
EP1561001B1 (en) Door safety device
KR102381524B1 (ko)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구의 설치 구조물
KR102167385B1 (ko) 문틈 커버를 겸하는 여닫이문용 손끼임 방지장치
GB2164690A (en) Door hinge guard
AU2013279085B2 (en) Safety device and method
AU7585100A (en) Window protector assembly
US5983570A (en) Safety device for sliding glass doors
US8028376B2 (en) Door safety mechanism
US20040237411A1 (en) Finger guard
KR20210017712A (ko) 여닫이문용 패널형 손끼임 방지구
KR200312166Y1 (ko) 도어 안전장치
KR200246115Y1 (ko) 출입문 앞,뒤 틈새 손밀어내기식 안전 보호구
KR102245817B1 (ko) 여닫이문용 자바라형 손끼임 방지구
KR102360755B1 (ko)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
KR200357485Y1 (ko) 강화유리 출입문 안전커버
KR102187417B1 (ko) 여닫이문 손 끼임 방지 장치
KR20020087660A (ko) 여닫이문용 안전장치
KR102125482B1 (ko) 여닫이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장치
KR200350823Y1 (ko) 출입문용 손가락 보호대 및 방풍방음 그 조립체
KR200172251Y1 (ko) 강화유리 출입문 안전커버
KR102102056B1 (ko) 틈새 끼임 방지구
KR200490948Y1 (ko)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