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1020B1 - 역풍을 이용한 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역풍을 이용한 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1020B1
KR102381020B1 KR1020190108525A KR20190108525A KR102381020B1 KR 102381020 B1 KR102381020 B1 KR 102381020B1 KR 1020190108525 A KR1020190108525 A KR 1020190108525A KR 20190108525 A KR20190108525 A KR 20190108525A KR 102381020 B1 KR102381020 B1 KR 102381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waste plastic
headwind
dehydration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7735A (ko
Inventor
정종헌
한윤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삼동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삼동이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삼동이엔티
Priority to KR1020190108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020B1/ko
Publication of KR20210027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applying pressure, e.g. wringing; by brushing; by wi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된 폐플라스틱 조각을 탈수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상측에 배기구(110)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배수구(120)가 형성되는 본체(100); 외주면에 다수의 탈수공(210)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상기 본체(100)를 관통하는 형태로 삽입고정되고, 양단부에 투입구(220)와 배출구(230)가 각각 형성되는 탈수통(200); 상기 탈수통(200)의 양단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축으로서, 상기 투입구(220)와 인접한 이송구간(L1)과, 상기 배출구(230)와 인접한 배출구간(L2)으로 구분되고,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되는 샤프트(300); 상기 샤프트(300)의 이송구간(L1) 외주면을 따라 정방향 나선형으로 부착되고, 상기 샤프트(300)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투입구(200)를 통해 투입된 폐플라스틱 조각(p)을 상기 배출구(230) 측으로 이송·압착하는 스크류부재(400); 및 상기 샤프트(300)의 배출구간(L2) 외주면을 따라 역방향 나선형으로 부착되고, 상기 샤프트(300)와 함께 회전되면서 다가오는 폐플라스틱 조각(p)을 향해 역풍(F)을 가하는 역풍날개(5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역풍을 이용한 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Device for dehydrating scrap of waste plastics using reverse wind}
본 발명은 역풍을 이용한 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플라스틱의 재활용을 위하여 미분쇄되어 세척된 폐플라스틱 조각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탈수 및 건조하는 역풍을 이용한 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플라스틱의 처리방법에는 매립, 소각, 재활용 등의 방법이 있으나, 매립과 소각은 2차적인 환경오염을 초래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폐플라스틱은 펠릿으로 사출되는 형태로 재활용되고 있다.
폐플라스틱은 대부분 PS, PP, PE 및 PET재질인데, PS(Polystyrene)는 소형 요구르트병에 많이 사용되고, PP(polypropylene)는 고추장이나 된장 등을 담는 각진 용기류에 많이 사용되며, PE(polyethylene)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는 음료수병이나 술병 같은 둥근 병류에 많이 사용된다.
수거된 폐플라스틱은 재활용을 위해 재질별로 선별 및 분쇄되고, 별도의 탈수장치를 통해 탈수된다. 상기 탈수장치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공보 제10-1972832호('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을 특허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종래의 '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는, 스크류 압착과 바람에 의한 건조가 동시에 이루어지고, 폐플라스틱 조각의 건조 과정에서 교반플레이트에 의해 교반 및 가압이 추가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폐플라스틱 조각의 탈수 및 건조 효율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는 스크류(400)에 의해 배출구(230) 측으로 이송되는 폐플라스틱 조각이 아무런 방해없이 이송·배출됨으로 인해, 공기와 접촉할 수 있는 체류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아 건조·탈수 효과가 그만큼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는 폐플라스틱 조각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공기로서, 샤프트(300)의 에어홀(320)에서 분출되는 건조공기(A)가 유일하였기 때문에, 폐플라스틱 조각의 건조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는 샤프트(300)의 에어홀(320)에서 배출된 건조공기(A)가 탈수통(200)에서 신속하게 배출되지 못하고 정체되어 전체적인 공기 흐름량이 저하됨으로 인해, 폐플라스틱 조각의 건조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는 샤프트(300)가 통상의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됨으로 인해, 샤프트(300) 주변에 존재하는 폐플라스틱 조각의 교반 효과가 미미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72832호(공고일자 2019년04월26일, 발명의 명칭 : 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 대비하여 폐플라스틱 조각의 탈수 및 건조효과가 보다 향상된 역풍을 이용한 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역풍을 이용한 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는, 세척된 폐플라스틱 조각을 탈수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상측에 배기구(110)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배수구(120)가 형성되는 본체(100); 외주면에 다수의 탈수공(210)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상기 본체(100)를 관통하는 형태로 삽입고정되고, 양단부에 투입구(220)와 배출구(230)가 각각 형성되는 탈수통(200); 상기 탈수통(200)의 양단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축으로서, 상기 투입구(220)와 인접한 이송구간(L1)과, 상기 배출구(230)와 인접한 배출구간(L2)으로 구분되고,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되는 샤프트(300); 상기 샤프트(300)의 이송구간(L1) 외주면을 따라 정방향 나선형으로 부착되고, 상기 샤프트(300)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투입구(200)를 통해 투입된 폐플라스틱 조각(p)을 상기 배출구(230) 측으로 이송·압착하는 스크류부재(400); 및 상기 샤프트(300)의 배출구간(L2) 외주면을 따라 역방향 나선형으로 부착되고, 상기 샤프트(300)와 함께 회전되면서 다가오는 폐플라스틱 조각(p)을 향해 역풍(F)을 가하는 역풍날개(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역풍을 이용한 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배기구(110)에 결합되어 상기 탈수통(200) 내에 음압을 제공하는 진공펌프(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역풍을 이용한 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300)의 단면이 다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역풍을 이용한 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300)는, 상기 이송구간(L1)과 상기 배출구간(L2)을 경계로 복수로 분할되어, 제1 샤프트(310)와 제2 샤프트(320)로 구분되고, 상기 제2 샤프트(320)에 상기 구동모터(M)의 회전구동력이 전달되며, 상기 제2 샤프트(320)에 축 결합되는 입력축(710), 상기 제1 샤프트(310)에 축 결합되는 출력축(720) 및 상기 입력축(710)의 회전속도를 일정비율로 감속하여 상기 출력축(720)에 전달하는 변속기어군(730)을 구비하는 축변속부(7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역풍날개(500)가 상기 스크류부재(400)보다 빨리 회전되면서, 상기 역풍(F)이 더 강해지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역풍을 이용한 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에 따르면, 역풍날개에 의해 발생된 역풍에 의하여 폐플라스틱 조각의 이동이 정체되고 그만큼 탈수통 내에서의 체류시간이 길어짐으로써, 폐플라스틱 조각의 건조·탈수 효과가 극대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샤프트의 에어홀에서 분출되는 건조공기와, 역풍에 의해 형성된 건조기류에 의해 폐플라스틱 조각의 건조가 병행됨으로써, 폐플라스틱 조각의 건조 효과가 보다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탈수통 내에 존재하는 건조공기가 진공펌프에 의해 강제로 흡입·배출됨으로써, 폐플라스틱 조각의 건조 효과가 훨씬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은 물론, 건조공기가 역풍에 밀려 배기구 측으로 유도됨으로써, 건조공기가 보다 신속하게 배출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샤프트의 단면이 다각 형상으로 구성됨으로써, 샤프트 주변에 대한 탈수 및 건조 효과가 더 높아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축변속부에 의해 역풍날개가 스크류부재보다 더 빨리 회전됨으로써, 역풍의 강도가 더 세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풍을 이용한 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역풍을 이용한 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역풍을 이용한 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에 포함된 샤프트에 의해 그 주변의 폐플라스틱 조각이 교반되는 과정을 나타낸 과정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역풍을 이용한 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역풍을 이용한 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에 포함된 축변속부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역풍을 이용한 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공지된 기술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된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풍을 이용한 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역풍을 이용한 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역풍을 이용한 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에 포함된 샤프트에 의해 그 주변의 폐플라스틱 조각이 교반되는 과정을 나타낸 과정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풍을 이용한 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는 폐플라스틱의 재활용을 위하여 미분쇄되어 세척된 폐플라스틱 조각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탈수 및 건조하는 역풍을 이용한 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로서, 본체(100), 탈수통(200), 샤프트(300), 스크류부재(400)와 역풍날개(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0)는 상측에 배기구(110)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배수구(120)가 형성되는 사각 함체이다.
탈수통(200)은 외주면에 다수의 탈수공(210)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제작되어, 본체(100)를 관통하는 형태로 삽입고정되고, 양단부에 투입구(220)와 배출구(230)가 각각 형성되는 통이다.
탈수통(200)의 양단부 중, 배출구(230)가 형성된 타단부는 본체(100)를 관통한 후, 적어도 후술되는 역풍날개(500)의 1피치 길이(나선을 따라 축 주위를 한바퀴 돌 때의 축방향 이동거리)보다 길게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샤프트(300)는 탈수통(200)의 양단에 축베어링을 매개로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축으로서, 투입구(220)와 인접한 이송구간(L1)과, 배출구(230)와 인접한 배출구간(L2)으로 구분되고, 구동모터(M)와 벨트(B)에 의해 회전되는 축이다.
샤프트(300)의 축 중심에는 중공부(310)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중공부(310)와 연통되는 다수의 에어홀(320)이 형성된다. 통상의 공압 콤프레샤와 에어호스로 이루어진 공압부(미도시)가 샤프트(300)의 중공부(310)에 건조공기(A)를 공급하게 된다.
폐플라스틱 조각(p)에 포함된 물기의 대부분은 후술되는 스크류부재(400)의 압착작용에 의해 탈수·분리되어 본체(100)의 배수구(120)로 배수되고, 나머지는 샤프트(300)의 에어홀(320)을 통해 배출된 건조공기(A)에 의해 증발된다. 증발된 물기는 본체(100)의 배기구(1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탈수와 건조가 병행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샤프트(300)의 이송구간(L1)은 본체(100)를 통과하는 구간이고, 배출구간(L2)은 탈수통(200)의 타단부를 통과하는 구간으로 정의된다.
이때, 폐플라스틱 조각(p)들이 서로 불규칙적으로 혼합되면서 이송되는 것이 탈수·건조 효율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폐플라스틱 조각(p) 사이에 머금어진 물기의 증발속도는 공기와의 접촉면적 및 횟수에 비례하여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에 착안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300)의 단면이 다각 형상(경험칙상 바람직하게는 8각)으로 구성된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300) 주변에 존재하는 폐플라스틱 조각(p) 중, 샤프트(300)의 면(301)에 있던 폐플라스틱 조각(p)은 샤프트(300)의 모서리(302)에 밀려 외측 방향으로 교반되고,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300)의 모서리(302)에 있던 폐플라스틱 조각(p)은 샤프트(300)의 면(301)으로 떨어져 내측 방향으로 교반된다. 즉, 다각 형상의 샤프트의 모서리부분에 의하여 폐플라스틱 조각을 충격함으로써 폐플라스틱 조각에 잔유하는 수분을 탈리시키는 과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샤프트(300) 주변에 존재하는 폐플라스틱 조각(p)들이 섞이는 과정에서, 폐플라스틱 조각(p) 사이에 갇혀있던 물기가 탈리되어 탈수통(200)의 탈수공(210)으로 추가 배출되고, 폐플라스틱 조각(p)과 공기와의 접촉횟수가 많아짐으로써, 물기의 증발속도 또한 빨라지게 된다.
스크류부재(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300)의 이송구간(L1) 외주면을 따라 정방향 나선형으로 부착되고, 샤프트(300)와 함께 회전되면서 투입구(200)를 통해 투입된 폐플라스틱 조각(p)을 배출구(230) 측으로 이송·압착하는 기능을 하는 구성이다.
탈수통(200)에 투입된 폐플라스틱 조각(p)은 스크류부재(400)의 회전가압력에 의해 탈수통(200)의 외벽면으로 쏠리면서 1차적으로 압착되고, 앞서 투입된 폐플라스틱 조각(p)에 밀려 정체되면서 2차적으로 압착된다. 이 과정에서 폐플라스틱 조각(p)에 묻어있는 물기와 이물질이 탈수통(200)의 탈수공(210) 및 본체의 배수구(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물기와 이물질의 원활한 배출을 위하여, 본체(100)의 바닥면에는 배출용 스크류컨베이어(50)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풍날개(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300)의 배출구간(L2) 외주면을 따라 역방향 나선형으로 부착되되, 본 실시예에서는 2열 나선 형태로 부착된다. 역풍날개(500)는 상기 2열 나선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끊어진 형태로 부착되어 샤프트(300)와 함께 회전되면서 다가오는 폐플라스틱 조각(p)을 향해 역풍(F)을 가하는 구성이다.
즉, 역풍날개(500)는 스크류부재(400)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되, 스크류부재(400)의 반대방향으로 곡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출구간(L2)에 존재하는 공기를 이송구간(L1) 측으로 밀면서 역풍(F)을 일으키게 된다.
상기 역풍(F)은 배출구간(L2) 측으로 밀려오는 폐플라스틱 조각(p)의 이송을 방해하는 방해기류와, 폐플라스틱 조각(p)의 물기를 증발시키는 건조기류로 각각 작용하게 된다.
종래에는 폐플라스틱 조각이 아무런 방해없이 배출구 측으로 이송·배출됨으로 인해, 탈수통 내에서의 체류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아 건조·탈수 효과가 그만큼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샤프트(300)의 에어홀(320)에서 분출되는 건조공기(A)에 의해서만 건조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폐플라스틱 조각의 건조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은 역풍날개(500)에 의해 발생된 역풍(F)에 의하여 폐플라스틱 조각(p)의 이동이 정체되고 그만큼 탈수통 내에서의 체류시간이 길어짐으로써, 폐플라스틱 조각의 건조·탈수 효과가 극대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샤프트(300)의 에어홀(320)에서 분출되는 건조공기(A)와, 역풍(F)에 의해 형성된 건조기류에 의해 폐플라스틱 조각의 건조가 병행됨으로써, 폐플라스틱 조각의 건조 효과가 보다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종래에는 샤프트(300)의 에어홀(320)에서 배출된 건조공기(A)가 탈수통(200)에서 신속하게 배출되지 못하고 정체되어 전체적인 공기 흐름량이 저하됨으로 인해, 폐플라스틱 조각의 건조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이에 대한 대책으로서, 본 실시예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배기구(110)에 결합되어 탈수통(200) 내에 음압을 제공하는 진공펌프(60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역풍날개(500)는 샤프트(300)에 고정되어 스크류부재(400)와 동일한 회전주기를 가질 수도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분리되어 서로 다른 회전주기를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데, 스크류부재와 동일한 회전주기를 갖는 경우에는 역풍날개의 개수와 비틀림 각도, 날개의 길이와 폭, 배치 등을 조절하여 역풍의 강도와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진공펌프(6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통(200) 내에 존재하는 건조공기(A)를 배기구(110)를 통해 진공흡입하여 외부로 강제로 배출하는 작용을 한다. 탈수통(200) 내의 전체적인 공기 흐름량이 높아지면서 폐플라스틱 조각의 건조 효과가 훨씬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은 물론, 상기 역풍(F)에 의해 건조공기(A)가 배기구(110) 측으로 유도됨으로써, 건조공기(A)가 보다 신속하게 배출되는 상승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역풍을 이용한 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앞 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은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역풍을 이용한 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역풍을 이용한 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에 포함된 축변속부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샤프트(300)는, 이송구간(L1)과 배출구간(L2)을 경계로 복수로 분할되어, 제1 샤프트(310)와 제2 샤프트(320)로 구분되고, 제2 샤프트(320)에 구동모터(M)의 회전구동력이 전달되게 구성되며, 축변속부(700)가 더 포함된다.
이는 제1 샤프트(310)에 결합되어 폐플라스틱 조각(p)을 압착·이송하는 스크류부재(400)는 천천히 회전시키고, 역풍(F)을 일으키는 역풍날개(500)는 빠르게 회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서, 축변속부(7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샤프트(320)에 축 결합되는 입력축(710), 제1 샤프트(310)에 축 결합되는 출력축(720) 및 입력축(710)의 회전속도를 일정비율로 감속하여 출력축(720)에 전달하는 변속기어군(730)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변속기어군(730)은 입력축(710)의 단부에 결합되고 제1 잇수로 구성되는 선기어(731), 선기어(731)의 외측에 에워싸도록 배치되고 외주면에 밀착되는 브레이크슈(미도시)에 의해 회전이 억제되는 링기어(732), 선기어(731)와 링기어(732) 사이에 맞물려 선기어(731)의 회전에 따라 링기어(732)의 내주면을 구르면서 선기어(731)를 중심으로 행성처럼 공전하는 제2 잇수로 구성된 복수의 피니언기어(733), 복수의 피니언기어(733)의 연장된 축을 연결하면서 상기 복수의 피니언기어(733)가 일체로 움직이게 구속하는 캐리어(734)로 구성된다.
변속비는 1 + (제2 잇수 ÷ 제1 잇수)로 계산되며, 변속비가 적어도 1 이상이므로, 제2 샤프트(320, 입력축에 해당)에 결합된 역풍날개(500)가 되는 제1 샤프트(310, 출력축에 해당)에 결합된 스크류부재(400)보다 무조건 빨리 회전되면서, 역풍(F)이 더 강하게 불게 된다. 폐플라스틱 조각의 탈수 및 건조효과가 보다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물기의 온도가 높을수록 물기의 증발속도는 빨라지고 증발량은 많아지므로, 탈수통(200)을 가열하는 가열부(미도시)가 본 실시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가열부는 탈수통(200)의 외부를 감싸는 열선 형태로 설치될 수 있고, 인덕션과 같이 자기장에 의한 유도전류를 이용해 탈수통(200)을 가열시킬 수도 있으며, 이외에 다양한 공지기술을 이용하여 탈수통(200)을 가열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가열부(800)는 물의 끓는점과 폐플라스틱의 용융점 사이의 온도로 탈수통(200)을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폐플라스틱 조각에 포함된 물기가 열에 의해 증발되어 본체(100)의 배기구(110)로 배출됨으로써, 폐플라스틱 조각의 건조 효율이 보다 높아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역풍을 이용한 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는, 역풍날개에 의해 발생된 역풍에 의하여 폐플라스틱 조각의 이동이 정체되고 그만큼 탈수통 내에서의 체류시간이 길어짐으로써, 폐플라스틱 조각의 건조·탈수 효과가 극대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샤프트의 에어홀에서 분출되는 건조공기와, 역풍에 의해 형성된 건조기류에 의해 폐플라스틱 조각의 건조가 병행됨으로써, 폐플라스틱 조각의 건조 효과가 보다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탈수통 내에 존재하는 건조공기가 진공펌프에 의해 강제로 흡입·배출됨으로써, 폐플라스틱 조각의 건조 효과가 훨씬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은 물론, 건조공기가 역풍에 밀려 배기구 측으로 유도됨으로써, 건조공기가 보다 신속하게 배출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샤프트의 단면이 다각 형상으로 구성됨으로써, 샤프트 주변에 대한 탈수 및 건조 효과가 더 높아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축변속부에 의해 역풍날개가 스크류부재보다 더 빨리 회전됨으로써, 역풍의 강도가 더 세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본체
200 : 탈수통
300 : 샤프트
400 : 스크류부재
500 : 역풍날개

Claims (4)

  1. 세척된 폐플라스틱 조각을 탈수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상측에 배기구(110)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배수구(120)가 형성되는 본체(100);
    외주면에 다수의 탈수공(210)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상기 본체(100)를 관통하는 형태로 삽입고정되고, 양단부에 투입구(220)와 배출구(230)가 각각 형성되는 탈수통(200);
    상기 탈수통(200)의 양단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축으로서, 상기 투입구(220)와 인접한 이송구간(L1)과, 상기 배출구(230)와 인접한 배출구간(L2)으로 구분되고,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되며 단면이 다각 형상으로 구성되는 샤프트(300);
    상기 샤프트(300)의 이송구간(L1) 외주면을 따라 정방향 나선형으로 부착되고, 상기 샤프트(300)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투입구(220)를 통해 투입된 폐플라스틱 조각(p)을 상기 배출구(230) 측으로 이송·압착하는 스크류부재(400); 및
    상기 샤프트(300)의 배출구간(L2) 외주면을 따라 역방향 2열 나선 형태로 부착되고, 상기 샤프트(300)와 함께 회전되면서 다가오는 폐플라스틱 조각(p)을 향해 역풍(F)을 가하는 역풍날개(500);
    상기 본체(100)의 배기구(110)에 결합되어 상기 탈수통(200) 내에 음압을 제공하는 진공펌프(600);를 포함하며,
    상기 탈수통(200)의 양단부 중, 배출구(230)가 형성된 타단부는 본체(100)를 통과한 후, 역풍날개(500)의 1피치 길이보다 길게 돌출되며,
    상기 샤프트(300)는, 상기 이송구간(L1)과 상기 배출구간(L2)을 경계로 복수로 분할되어, 제1 샤프트(310)와 제2 샤프트(320)로 구분되고,
    상기 제2 샤프트(320)에 상기 구동모터(M)의 회전구동력이 전달되며,
    상기 제2 샤프트(320)에 축 결합되는 입력축(710), 상기 제1 샤프트(310)에 축 결합되는 출력축(720) 및 상기 입력축(710)의 회전속도를 일정비율로 감속하여 상기 출력축(720)에 전달하는 변속기어군(730)을 구비하는 축변속부(7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역풍날개(500)는 2열 나선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끊어진 형태로 부착되며,
    상기 역풍날개(500)가 상기 스크류부재(400)보다 빨리 회전되면서, 상기 역풍(F)이 더 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풍을 이용한 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108525A 2019-09-03 2019-09-03 역풍을 이용한 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 KR102381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525A KR102381020B1 (ko) 2019-09-03 2019-09-03 역풍을 이용한 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525A KR102381020B1 (ko) 2019-09-03 2019-09-03 역풍을 이용한 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735A KR20210027735A (ko) 2021-03-11
KR102381020B1 true KR102381020B1 (ko) 2022-03-31

Family

ID=75143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525A KR102381020B1 (ko) 2019-09-03 2019-09-03 역풍을 이용한 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102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589Y1 (ko) * 2004-08-20 2004-11-06 차찬열 다용도 분쇄기능을 구비한 잼 제조용 교반기
KR101357019B1 (ko) * 2012-02-28 2014-02-04 김인철 재활용 플라스틱조각 탈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026B2 (ja) * 1993-11-26 1996-01-29 株式会社タカハシキカン 産業廃棄物用熱風乾燥機
JP3205349U (ja) * 2016-05-09 2016-07-21 日空工業株式会社 真空乾燥機
KR101972832B1 (ko) * 2017-09-13 2019-04-26 주식회사삼동이엔티 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589Y1 (ko) * 2004-08-20 2004-11-06 차찬열 다용도 분쇄기능을 구비한 잼 제조용 교반기
KR101357019B1 (ko) * 2012-02-28 2014-02-04 김인철 재활용 플라스틱조각 탈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735A (ko) 2021-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60310C (en) Integrated method and system for recycling waste material
CN101844379B (zh) 用于废塑料生产再生聚酯瓶片装置及其生产工艺
US6644572B1 (en) Laminar polyolefine plastic material recycling installation
CA208232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on of canned goods and reclaiming useful food values therefrom
CN107470328A (zh) 一种生活垃圾干燥破碎一体装置
US9833961B2 (en) Extracting-squeezing-compressing equipment used for municipal solid waste mixture
US9192936B2 (en) Method and device for crushing and drying moisture-containing material, especially wood
KR102381020B1 (ko) 역풍을 이용한 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
KR100999417B1 (ko)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의 스팀 멸균 처리조
KR101357019B1 (ko) 재활용 플라스틱조각 탈수장치
KR100957245B1 (ko) 부산물 또는 슬러지 건조장치
CN208346022U (zh) 一种分级式污泥干燥设备
CN104191540B (zh) 薄膜挤干脱水机
KR101972832B1 (ko) 폐플라스틱 조각 탈수장치
CN106429253A (zh) 一种用于废纸铝塑快速分离预处理的蒸汽加热螺旋输送机
CN114345523B (zh) 一种低温连续闪干成套设备及干燥工艺
KR100464982B1 (ko) 야채쓰레기 탈수장치
KR20100098139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파쇄함에 개재된 파쇄기어와 누름판
KR101618250B1 (ko) 슬러지의 탈수 및 배출장치
CN110978335A (zh) 一种高含杂废旧农膜环保再生生产线
KR200418321Y1 (ko) 페트병 분쇄물 탈수장치
CN105936575B (zh) 一种污泥干化箱
KR200189475Y1 (ko) 다단식 관형 건조기
CN106040399B (zh) 一种果蔬废弃物回收利用装置及方法
KR100363941B1 (ko) 폐기물 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